KR101439192B1 -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192B1
KR101439192B1 KR1020137001690A KR20137001690A KR101439192B1 KR 101439192 B1 KR101439192 B1 KR 101439192B1 KR 1020137001690 A KR1020137001690 A KR 1020137001690A KR 20137001690 A KR20137001690 A KR 20137001690A KR 101439192 B1 KR101439192 B1 KR 1014391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bath
flow path
strain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367A (ko
Inventor
사토루 마츠모토
코이치로 마츠시타
아키 하마키타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3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는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토수부구로 인도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상기 노즐을 세정 또는 살균하는 노즐 세정 수단과, 상기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에 유로 단면적을 상류측보다 작게 한 축류부를 형성하고 그 보다 하류측 유로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케일에 의한 유로의 폐색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위생 세정 장치{SANITARY CLEANING DEVICE}
본 발명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서양식 좌변기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을 물로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좌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의 신체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은 그 세정 노즐이나 온수 탱크 등의 소정의 기능 부품을 설치하는 케이싱으로부터 적어도 일부를 외부에 노출(진출)한 상태에서 신체에 세정수를 분사한다. 그 때문에, 세정 노즐에는 오수나 오물이 부착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신체 세정을 행하기 전이나 행한 후에 있어서 세정 노즐에 부착된 오수나 오물을 씻어 없애서 제거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있다. 이에 따라, 세정 노즐은 청결하게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세정 노즐에 부착된 오수나 오물을 씻어 없애는 경우에도 화장실과 같은 습윤한 환경에 있어서는 시간의 경과와 아울러 세균이 세정 노즐에 번식할 경우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기의 볼(bowl) 면 등에 발생하는 예를 들면 핑크 슬라임(Pink Slime) 등으로 불리는 메틸로 박테리움(Methylo bacterium)이나 또는 검은 곰팡이 등의 세균이 세정 노즐에 부착되어 그 세정 노즐에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세균이 번식함으로써 예를 들면 바이오 필름 등으로 불리는 박테리아 및 그 분비물의 집합체(미끈 미끈하고, 흑색 오염)가 형성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노즐 세정에서는 그 바이오 필름을 제거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노즐 세정 생성부로서 전해조가 갖추어진 국부 세정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국부 세정 장치에서는 세정수로서 수돗물을 사용했을 때에는 이 중에 포함되는 염소가 전기 분해에 의해 차아염소산으로 화학 변화되어 산성의 약액으로서 클리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특히 암모니아 등에 의한 오염에 대하여 효과적인 클리닝이 가능해진다.
이때, 전해조에서 생성된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해조가 노즐보다 근접한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래서, 온수 탱크보다도 하류측의 유로에 전해조가 설치된 국부 세정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2).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국부 세정 장치에서는 전해조 내의 온수가 전기 분해되어 전해수가 생성된다. 그리고, 노즐 세정 수단은 엉덩이 세정 노즐 및 비데 세정 노즐에 대하여 온수를 세정수로서 분사한다.
그러나, 온수가 전기 분해되어서 전해수가 생성되면 소위 「스케일」등으로 불리는 탄산 칼슘 등이 생성되기 쉽다. 스케일이 전해조의 전극에 부착되면 전해수의 생성 능력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국부 세정 장치는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해 전극으로의 인가 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키고 있다. 또한, 이과 같이 전해조의 전극의 양극측과 음극측의 극성을 전환하는 극성 전환 수단을 구비한 전해조의 제어 장치가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2 및 3에 각각 기재된 국부 세정 장치 및 전해조의 제어 장치에 의하면 생성된 스케일은 극성 반전에 의해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박리된다.
그러나, 유로가 비교적 좁은 위생 세정 장치에서는 전극으로부터 박리된 스케일에 의해 유로가 폐색될 우려가 있다.
일본 특허 제 3487447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5-155098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34156 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의 인식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로의 스케일에 의한 폐색을 억제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인도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상기 노즐을 세정 또는 살균하는 노즐 세정 수단과, 상기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에 유로 단면적을 상류측보다 작게 한 축류부를 형성하고 그 보다 하류측에 스트레이너(strainer)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구비한 화장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과 유로의 상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전해조 유닛에 있어서 생성되는 스케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6은 pH의 변화에 의거한 탄산 칼슘 및 탄산 이온의 용해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유닛에 있어서 생성되는 스케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도 8은 온도 변화에 의거한 탄산 칼슘의 용해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스케일을 포착하는 스트레이너를 설명하는 평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제 1 발명은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인도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상기 노즐을 세정 또는 살균하는 노즐 세정 수단과, 상기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에 유로 단면적을 상류측보다 작게 한 축류부를 형성하고 그 보다 하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에 의해 전해조로부터 배출된 스케일의 포착은 물론 전해조로부터 배출된 스케일이 석출될 우려가 있는 불안정한 전해수의 영역에 축류부를 형성하여 이 축류부에 의해 발생하는 흐름의 산란이 스케일의 석출, 스케일의 성장을 의도적으로 유도시켜 포착하도록 하였으므로 스트레이너로부터 하류측에서의 스케일에 의한 유로의 폐색을 억제할 수 있다.
전해조 내에서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음극측의 pH(페하)가 높아져서 전극 표면에서는 스케일이 형성하기 쉬운 상태가 되지만 이 전극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수역에서도 pH는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전해조로부터 배출된 전해수는 유로를 유하하지만 전해조로부터 금방 나온 유역에서는 pH의 상태가 불안정하고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스케일의 석출의 우려나 전해조에서 생성된 작은 스케일의 파편 등이 성장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한 스케일의 석출이나 성장은 전해조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수의 흐름이 산란되는 것에 기인해서 발생하고 있다고 추측된다. 그 때문에, 유로를 축경하고 그 축경부에서 의도적으로 스케일을 석출시켜 그 스케일을 스트레이너에서 포착하여 스트레이너 하류측에서의 예측할 수 없는 스케일 석출,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발명은 변기 상부에 탑재되어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상기 변기의 볼면을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인도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상기 볼면을 세정 또는 살균하는 볼 세정 수단과, 상기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에 유로 단면적을 상류측보다 작게 한 축류부를 형성하고 그 보다 하류측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에 의해 전해조로부터 배출된 스케일의 포착은 물론 전해조로부터 배출된 스케일이 석출될 우려가 있는 불안정한 전해수의 영역에 축류부를 형성함으로써 이 축류부에 의해 발생하는 흐름의 산란이 스케일의 석출, 스케일의 성장을 의도적으로 조장시켜 포착하도록 했기 때문에 스트레이너로부터 하류측에서의 스케일에 의한 유로의 폐쇄를 억제할 수 있다.
전해조 내에서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음극측의 pH가 높아져서 전극 표면에서는 스케일이 형성되기 쉬운 상태가 되지만 이 전극 표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수역에서도 pH는 높은 상태가 되어 있다. 전해조로부터 배출된 전해수는 유로를 유하하지만 전해조로부터 막 나온 유역은 pH의 상태가 불안정하고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스케일의 석출의 우려나 전해조에서 생성된 작은 스케일의 파편 등이 성장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한 스케일의 석출이나 성장은 전해조로부터 유출되는 전해수의 흐름이 산란되는 것에 기인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그 때문에, 유로를 축경하고 그 축경부에서 의도적으로 스케일을 석출시켜 그 스케일을 스트레이너에서 포착하여 스트레이너 하류측에서의 예측할 수 없는 스케일 석출,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류부는 상기 전해조의 출구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또한, 제 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축류부는 상기 전해조의 출구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들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전해조의 출구부는 비교적 좁은 유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근방에 축류부를 형성하면 석출, 성장한 스케일은 출구 근방에서 퇴적되어 출구부의 폐색을 초래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출구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둠으로써 석출, 성장한 스케일이 스트레이너에 효과적으로 포착되는 것이 가능해져 유로의 폐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의 출구측 유로를 상류측보다 직경이 큰 출구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또한, 제 6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의 출구측 유로를 상류측보다 직경이 큰 출구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들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전해조로부터 배출되는 불안정한 전해수를 하류측에 형성된 축류부까지 유수에 최대한 산란이 생기지 않도록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수가 비교적 산란되기 쉬운 전해조 출구 부분에서의 폐색의 리스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또한, 제 8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들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스트레이너는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포착한 스케일을 제거해 스트레이너에서의 유로 저항을 경감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 세정시의 유량 저감이 세정감을 손상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9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표면 에너지가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또한, 제 10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표면 에너지가 낮은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들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에 보충된 스케일 입자가 부착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스트레이너에서 보충되는 입자가 고착되어 그 스케일 입자가 핵이 되는 입자 성장이나 뒤로부터 흘러 오는 스케일 입자의 퇴적에 의해 스트레이너가 폐색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1 발명은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유로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표면 에너지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또한, 제 12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유로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표면 에너지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들 위생 세정 장치에 이르면 스케일은 스트레이너의 주위에 존재하는 스트레이너보다 표면 에너지가 큰 고정부쪽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유로의 중심부의 물리적인 폐색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스케일을 부착가능한 정도로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것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스트레이너의 그물코를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스케일을 스트레이너의 주위에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하류측에서의 미세한 스케일이 응집해서 조대화(粗大化)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하류측 유로에 폐색의 우려가 없는 입자는 통과할 수 있는 그물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또한, 제 14 발명은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하류측 유로에 폐색의 우려가 없는 입자는 통과할 수 있는 그물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이다.
이들 위생 세정 장치에 의하면 스트레이너에서 보충할 필요가 없는 입자는 하류측으로 유하시켜 배출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가 폐색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를 갖는 화장실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도 2는 수로계와 전기계의 요부 구성을 함께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화장실 장치는 서양식의 좌변기(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로 「변기」로 칭함)(800)와 그 위에 설치된 위생 세정 장치(100)를 구비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케이싱(400)과, 변좌(200)와, 변기 덮개(300)를 갖는다. 변좌(200)와 변기 덮개(300)는 케이싱(40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케이싱(400)의 내부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의 세정을 실현하는 신체 세정 기능부 등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케이싱(400)에는 사용자가 변좌(200)에 앉은 것을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인체 검지 수단)(404)가 설치되어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를 검지하고 있을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리모콘 등의 조작부(500)를 조작하면 세정 노즐(이하 설명의 편의상 주로 「노즐」로 칭함)(473)을 변기(800)의 볼(801) 내로 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위생 세정 장치(100)에서는 노즐(473)이 볼(801) 내로 진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노즐(473)의 선단부에는 한개 또는 복수개의 토수구(47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473)은 그 선단부에 설치된 토수구(474)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을 세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도나 저수 탱크 등의 급수원(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노즐(473)의 토수구(474)로 인도하는 유로(20)를 갖는다. 유로(20)의 상류측에는 전자 밸브(431)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431)는 개폐가능한 전자 밸브이며 케이싱(4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물의 공급을 제어한다. 또한, 유로(20)는 전자 밸브(431)로부터 하류측의 2차측으로 한다.
전자 밸브(431)의 하류에는 열교환기 유닛(가열 수단)(440)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 유닛(440)은 온수 히터(441)를 갖는다. 온수 히터(441)는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소정의 온수로 한다. 온수 히터(441)의 상류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입수 서미스터가 설치되고 온수 히터(441)의 하류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온수 서미스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수 온도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다.
온수 히터(441)의 하류에는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 유닛(전해조)(450)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473)이나, 전해조 유닛(450)보다도 하류측의 유로(20)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된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다.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측 유로에는 유로 단면적이 작아진 축류부가 형성되고 그 보다 하류측에는 스트레이너(S)가 배치되어 있다. 전해조 유닛(450) 및 축경부, 스트레이너(S)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해조 유닛(450)의 하류에는 압력 변조 장치(4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 변조 장치(460)는 유로(20) 내의 물의 흐름에 맥동을 주어 노즐(473)의 토수구(474)로부터 토수되는 물에 맥동을 줄 수 있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력 변조 장치(460)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압력 변조 장치(460)의 하류에는 수세(유량)의 조정을 행하는 유량 전환 밸브(471)와,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실(노즐 세정 수단)(478)로의 급수의 개폐나 전환을 행하는 유로 전환 밸브(4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는 1개의 유닛으로서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계속해서,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의 하류에는 노즐(47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 전환 밸브(472)로부터 변기(800)의 볼(801) 면에 살균수를 토수하는 전용 노즐을 형성해도 좋다.
노즐(473)은 노즐 모터(476)로부터의 구동력을 받아 변기(800)의 볼(801) 내로 진출하거나 후퇴할 수 있다. 즉, 노즐 모터(476)는 제어부(405)로부터의 지령에 의거하여 노즐(473)을 진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5)는 전원 회로(401)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화장실로의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하는 입실 검지 센서(인체 검지 수단)(402)나, 변좌(2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를 검지하는 인체 검지 센서(인체 검지 수단)(403)나, 변좌(200)로의 사용자의 착좌를 검지하는 착좌 검지 센서(404)나, 조작부(500) 등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전자 밸브(431)나 온수 히터(441)나 전해조 유닛(450)이나 유량 전환 밸브(471)나 유로 전환 밸브(472)나 노즐 모터(476)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착좌 검지 센서(404)는 사용자가 변좌(200)에 착좌하기 직전에 있어서 변좌(200)의 상방에 존재하는 인체나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착좌 검지 센서(404)는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변좌(200)의 상방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착좌 검지 센서(404)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투수광식의 측거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인체 검지 센서(403)는 변기(800)의 전방에 있는 사용자 즉 변좌(200)로부터 전방으로 이간된 위치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인체 검지 센서(403)는 화장실에 입실해서 변좌(200)에 근접해 온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 검지 센서(403)로서는 예를 들면 적외선 투수광식의 측거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입실 검지 센서(402)는 화장실의 도어를 열어 입실한 직후의 사용자나 화장실에 입실하고자 하여 도어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입실 검지 센서(402)는 화장실에 입실한 사용자뿐만 아니라 화장실에 입실하기 전의 사용자 즉 화장실의 외측의 도어 앞에 존재하는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입실 검지 센서(402)로서는 초전 센서나 도플러 센서 등의 마이크로파 센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센서나 마이크로파를 송신해서 반사한 마이크로파의 진폭(강도)에 의거하여 피검지체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이용할 경우 화장실 도어 너머의 사용자의 존재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화장실 실에 입실하기 전의 사용자를 검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화장실 장치에서는 케이싱(400)의 상면에 오목부(409)가 형성되어 이 오목부(409)에 일부가 매립되도록 입실 검지 센서(402)가 설치되어 있다. 입실 검지 센서(402)는 변기 덮개(300)가 닫힌 상태에서는 그 기부 근방에 설치된 투과창(310)을 통해서 사용자의 입실을 검지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입실 검지 센서(402)가 사용자를 검지하면 제어부(405)는 입실 검지 센서(402)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변기 덮개(300)를 자동적으로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착좌 검지 센서(404) 및 인체 검지 센서(403)는 케이싱(400)의 전방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단, 착좌 검지 센서(404), 인체 검지 센서(403) 및 입실 검지 센서(402)의 설치 형태는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400)에는 변좌(200)에 앉은 사용자의 「엉덩이」등을 향해서 온풍을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온풍 건조 기능」이나 「탈취 유닛」이나 「실내 난방 유닛」등의 각종 기구가 적절히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때 케이싱(400)의 측면에는 탈취 유닛으로부터의 배기구(407) 및 실내 난방 유닛으로부터의 배출구(408)가 적절히 형성된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위생 세정 기능부나 그 밖의 부가 기능부는 반드시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사시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47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대로서의 설치대(475)와, 설치대(475)에 지지된 노즐(473)과, 노즐(473)을 이동시키는 노즐 모터(476)를 갖는다. 노즐(473)은 도 3에 나타낸 화살표(A)와 같이 벨트 등의 전동 부재(477)를 통해서 노즐 모터(476)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설치대(475)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 노즐(473)은 노즐(473) 자신의 축방향(진퇴 방향)으로 직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노즐(473)은 케이싱(400) 및 설치대(475)로부터 진퇴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노즐 유닛(470)에는 노즐 세정실(478)이 설치되어 있다. 노즐 세정실(478)은 설치대(475)에 대하여 고정되어 그 내부에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살균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노즐(473)의 외주 표면(동체)을 살균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의 양극판(454)(도 5 참조) 및 음극판(455)(도 5 참조)에 통전시킴으로써 살균수를 생성시킬 경우에는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되는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다. 한편,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의 양극판(454) 및 음극판(455)에 통전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되는 물에 의해 물리적으로 세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473)이 케이싱(4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노즐(473)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노즐 세정실(478) 내에 대부분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즐 세정실(478)은 그 내부에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살균수 또는 물을 분사함으로써 수납된 상태의 노즐(473)의 토수구(474)의 부분을 살균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세정실(478)은 노즐(473)의 진퇴시에 있어서 토수부(479)로부터 물 또는 살균수를 분사함으로써 토수구(474)의 부분뿐만 아니라 다른 부분의 외주 표면을 살균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노즐(473)은 노즐(473)이 케이싱(4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노즐(473) 자신이 갖는 토수구(474)로부터 살균수 또는 물을 토수함으로써 토수구(474)의 부분을 살균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또한, 노즐(473)이 케이싱(40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노즐(473)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노즐 세정실(478) 중에 대부분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473)의 토수구(474)로부터 토수된 살균수 또는 물은 노즐 세정실(478)의 내벽에 의해 반사되어 토수구(474)의 부분에 걸린다. 그 때문에, 노즐(473)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노즐 세정실(478)의 내벽에서 반사된 살균수 또는 물에 의해서도 살균 또는 세정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과 유로의 상태의 개략을 나타내는 개념 모식도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유로의 상태는 전해조 유닛(450)보다도 하류측의 유로(20)의 내부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해조 유닛(450)은 도 5에 관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부(405)로부터의 통전의 제어에 의해 양극판(454)과 음극판(455) 사이의 공간(유로)을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다.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전기 분해된 물은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으로 변화된다.
여기에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살균수는 은 이온이나 구리 이온 등의 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용액이여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살균수는 전해 염소나 오존 등을 포함하는 용액이여도 좋다. 또는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살균수는 산성수나 알칼리수이여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용액은 보다 강한 살균력을 갖는다. 이하,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되는 살균수가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용액일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차아염소산은 살균 성분으로서 기능하고, 그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용액 즉 살균수는 암모니아 등에 의한 오염을 효율적으로 제거 또는 분해하거나 살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살균수」는 차아염소산 등의 살균 성분을 수돗물(주로 「물」이라고 함)보다도 많이 포함하는 용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전해조 유닛(450)이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용액 즉 살균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수돗물을 전기 분해하면 탄산 칼슘(CaCO3) 등의 스케일이 생성된다. 스케일은 예를 들면 물에 녹아 있는 칼슘 이온(Ca2 +)과 탄산(H2CO3)으로부터 발생하는 탄산 이온(CO3 2 -)이 결합함으로써 생성된다. 스케일이 생성되어 전해조 유닛(450)의 양극판(454) 및 음극판(455)의 표면에 부착되면 차아염소산의 생성 효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자는 검토의 결과 전해조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의 pH(페하: 수소 이온 농도)는 높은 상태이며 배출 후에 스케일이 생성, 성장되는 것을 찾아냈다. 이들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전기 분해할 때의 물의 온도가 높을수록 스케일이 생성되기 쉽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 통전할 때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의 동작의 개략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면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하고 유로(20)에 상수를 공급시킨다[타이밍(t101)]. 이때, 위생 세정 장치(100)는 온수 히터(441)를 동작시킨다. 그 때문에, 유로(20) 내의 물은 변기(800)의 볼(801)에 배출되어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된 온수로 치환된다. 즉,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동작시켜 토수구(474)로부터 물을 배출시키는 온수 준비를 개시시킨다[타이밍(t101)]. 또한, 온수 준비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6~15초 정도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상수」라고 할 경우에는 냉수뿐만 아니라 가열된 더운물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조작부(500)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엉덩이 세정 스위치」를 누르면[타이밍(t102)] 제어부(405)는 신체 세정을 실행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5)는 우선 상수에 의해 「전세정」을 실행한다[타이밍(t102~t103)].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모든 토수구(474)로부터 상수를 토수시켜 이들 토수구(474)를 세정시킨다. 이때에는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고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복수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토수구(474) 자신이 토수한 상수[노즐 세정실(478)의 내벽에서 반사된 상수를 포함함]에 의해 물리적으로 세정된다. 또한, 전세정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2~7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노즐 세정실(478)에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상수를 분사시키면서 노즐(473)을 볼(801) 내로 진출시킨다. 그 때문에,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된 상수에 의해 세정된다[타이밍(t103~t104)]. 이 때에도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된 상수에 의해 물리적으로 세정된다. 또한, 노즐(473)의 진출 시간은 예를 들면 약 1.2~2.5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엉덩이 세정」용의 토수구(474)로부터 상수를 분사시켜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의 「엉덩이」를 세정시킨다[타이밍(t104~t105)]. 이 때,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살균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분사되는 일은 없다. 또한, 온수 히터(441)가 동작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는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된 온수로 세정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조작부(500)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정지 스위치」를 누르면[타이밍(t105)], 제어부(405)는 압력 빼기의 제어를 실행한다[타이밍(t105~t106)]. 그리고,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노즐 세정실(478)에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상수를 분사시키면서 노즐(473)을 케이싱(400) 내에 수납시킨다[타이밍(t106~t107)]. 즉, 제어부(405)는 노즐의 진출시와 마찬가지로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된 상수에 의해 노즐(473)의 동체를 물리적으로 세정시킨다. 또한, 노즐(473)의 수납 시간은 예를 들면 약 1.2~2.5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노즐(473)이 케이싱(4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모든 토수구(474)로부터 상수를 토출시켜 이들 토수구(474)의 「후세정」을 실행한다[타이밍(t107~t108)]. 이 때에는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복수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토수구(474) 자신이 토수한 상수[노즐 세정실(478)의 내벽에서 반사된 상수를 포함함]에 의해 물리적으로 세정된다. 또한, 전세정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3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되고나서 소정 시간(여기서는 예를 들면 약 25초간 정도)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함을 개시시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시킨다[타이밍(t109)].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거나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킨다[타이밍(t109)]. 여기에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통전량을 저감시킴」은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신체 세정을 실행할 때의 온수 온도의 설정값보다도 낮은 온도가 되는 통전량으로 저감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신체 세정을 실행할 때의 온수 온도의 설정값은 예를 들면 약 30~40℃ 정도이다.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 전해조 유닛(450) 내에 온수가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함으로써 전해조 유닛(450)의 온수를 배출시켜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로 치환시킨 후에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하여 전해조 유닛(450)보다도 하류측의 유로(20)에 살균수를 공급시킨다[타이밍(t109)]. 이에 따라, 전해조 유닛(450)보다도 하류측의 유로(20)는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다. 또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모든 토수구(474)로부터 살균수를 토수시켜 이들 토수구(474)의 「전살균」을 실행한다[타이밍(t109~t110)]. 그 때문에, 복수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토수구(474) 자신이 토수한 살균수[노즐 세정실(478)의 내벽에서 반사된 살균수를 포함함]에 의해 살균된다. 또한, 전살균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3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노즐 세정실(478)로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살균수를 분사시키면서 노즐(473)을 볼(801) 내로 진출시키고 그 후에 케이싱(400)에 수납시킨다[타이밍(t110~t111)]. 즉, 제어부(405)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된 살균수에 의해 노즐(473)의 「동체 세정」을 행한다[타이밍(t110~t111)]. 이에 따라, 전해조 유닛(450)보다도 하류측의 유로(20)의 내부 및 노즐(473)의 동체는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다. 또한, 살균수에 의한 동체 세정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5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노즐(473)이 케이싱(4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모든 토수구(474)로부터 살균수를 토출시켜 이들 토수구(474)의 「후살균」을 실행한다[타이밍(t111~t112)]. 그 때문에, 복수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토수구(474) 자신이 토수한 살균수[노즐 세정실(478)의 내벽에서 반사된 살균수를 포함함]에 의해 살균된다. 또한, 후살균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3초 정도이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폐쇄하고 그 후 유로 전환 밸브(472) 폐쇄하여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한 살균수를 유로(20)의 내부에 소정 시간 유지한다[타이밍(t112~t113)]. 이에 따라, 사용자가 「엉덩이 세정」을 실행한 후에 있어서 유로(20)의 내부를 살균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언급한 소정 시간는 예를 들면 약 60분 정도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유로(20)의 내부에 살균수를 보다 긴 시간 유지하기 때문에 유로(20)의 내부에 생존하는 세균을 보다 확실하게 살균할 수 있다.
계속해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물 빼기」를 행한다[타이밍(t113~t114)]. 즉, 제어부(405)는 유로(20)의 내부의 살균수를 빼서 유로(20)의 내부를 비운다. 이 「물 빼기」의 실행 시간은 예를 들면 약 30초 정도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100)는 유로(20)의 내부에 살균수를 소정 시간 유지한 후에 유로(20)의 내부의 살균수를 빼서 유로(20)의 내부를 비우기 때문에 살균수의 살균력이 경시 변화에 의해 저하했을 경우라도 그 살균수가 세균의 영양원이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타이밍(t112~t113)에 관해서 전술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생성한 살균수를 유로(20)의 내부에 소정 시간 유지한다[타이밍(t114~t115)].
계속해서, 위생 세정 장치(100)가 최후에 사용되고나서 소정 시간(여기서는 예를 들면 8시간 정도)가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타이밍(t109~t110) 및 타이밍(t111~t112)에 관해서 전술한 동작과 마찬가지로「전살균」 및 「후살균」을 실행한다[타이밍(t115~t116) 및 타이밍(t116~t117)].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켜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시켜 노즐(473)을 살균시킬 때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거나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킨다. 그 때문에,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는 전해조 유닛(450) 내의 물은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이다. 또는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 전해조 유닛(450) 내에 온수가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함으로써 전해조 유닛(450)의 온수를 배출시켜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로 치환시킨 후에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킨다. 그 때문에,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는 전해조 유닛(450) 내의 온수는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로 치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키고 있을 때에도 유로(20)나 전해조 유닛(450) 등 내의 물이 동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온이 소정 온도(예를 들면 약 6도 정도) 이하가 되면 온수 히터(441)에 통전[온수 히터(441)를 온/오프 제어)시켜 수온을 상승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서도 동결 방지를 위한 통전량은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신체 세정을 실행할 때의 온수 온도의 설정값보다도 낮은 온도가 되는 통전량이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서도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통전량을 저감시킴」이라는 범위에는 「동결 방지시에 온수 히터(441)에 통전시킴」의 경우가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변좌(200)로부터 이좌(離座)한 후나 화장실로부터 퇴실한 후 등에는 다음 사용자를 위해서 신체를 세정할 때의 물의 온도로 살균을 행할 일은 없고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신체 세정을 실행할 때의 온수 온도의 설정값보다도 낮은 온도가 되는 통전량으로 온수 히터(441)의 통전량을 저감시킨다. 그 때문에, 신체 세정시의 물의 온도의 설정값보다도 낮은 온도의 살균수로 노즐(473)을 살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된 후에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시킨다. 그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세정의 이용을 고려할 필요는 없고 유로(20) 내에 온수를 보존해 둘 필요는 없다. 이에 따라,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살균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변좌(200)로부터 이좌한 후에 곧바로 위생 세정 장치(100)를 이용할 경우를 고려하여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유로(20) 내에 남겨 둘 경우가 있다. 이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에서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되고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시킨다. 그 때문에, 제어부(405)는 사용자가 변좌(200)로부터 확실하게 이좌한 후에 노즐(473)을 살균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동작에서는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된 후에 노즐(473)을 살균수에 의해 살균할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5)는 인체 검지 센서(403) 또는 입실 검지 센서(402)가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된 후에 노즐(473)를 살균수에 의해 살균시켜도 좋다. 이 경우라도,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전해조 유닛에 있어서 생성되는 스케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6은 pH의 변화에 의거한 탄산 이온(CO3 2 -) 및 탄산 칼슘(CaCO3)의 용해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전해조 유닛(45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양극판(454) 및 음극판(455)을 갖고, 제어부(405)로부터의 통전의 제어에 의해 양극판(454)과 음극판(455) 사이의 공간(유로)을 흐르는 수돗물을 전기 분해할 수 있다. 이 때, 음극판(455)에서는 식(1)에 나타낸 반응이 발생한다.
H+ + e- → 1/2H2 ↑ ···(1)
그 때문에, 음극판(455)에 있어서는 산(H+)이 소비되어 음극판(455)의 근방에서는 pH가 상승한다. pH가 상승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산 이온(CO3 2 -)의 용해량은 상승한다. pH의 상승에 따라 탄산(H2CO3)이 수소 이온(H+)을 방출해서 탄산 이온(CO3 2 -)을 생성하고 식(2)에 나타낸 반응이 생긴다. 그리고 발생한 탄산 이온(CO3 2 -)과 수돗물 중에 존재하는 칼슘 이온(Ca2+)이 결합하고 식(3)의 반응이 생긴다. 즉, pH의 상승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산 칼슘(CaCO3: 스케일)생성(용해도 저하에 의한 석출)을 일으킨다.
H2CO3 → 2H+ + CO3 2 - ···(2)
Ca2 ++ CO3 2 → CaCO3 ···(3)
한편, 양극판(454)에서는 식(4)에 나타낸 반응이 발생한다. 또한, 수돗물은 염소 이온(Cl-)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염소 이온은 수원(예를 들면, 지하수나 댐의 물이나 하천 등의 물)에 식염(NaCl)이나 염화 칼슘(CaCl2)으로서 포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식(5)에 나타낸 반응이 발생한다.
2OH→ 2e- + H2O + 1 / 2O2 ↑ ···(4)
Cl→ e- + 1 / 2Cl2 ···(5)
식(5)에 있어서 발생한 염소는 기포로서는 존재하기 어려워 대부분의 염소는 물에 용해된다. 그 때문에, 식(5)에 있어서 발생한 염소에 대해서는 식(6)에 나타낸 반응이 발생한다. 이렇게 하여 염소 이온을 전기 분해함으로써 차아염소산(HClO)이 생성된다. 그 결과,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전기 분해된 물은 차아염소산을 포함하는 액으로 변화된다. 한편, 양극판(454)에 있어서는 알칼리(OH-)가 소비되기 때문에 양극판(454)의 근방에서는 pH가 하강한다.
Cl2 + H2O → HClO + H+ + Cl- ···(6)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열교환기 유닛에 있어서 생성되는 스케일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모식도이다.
또한, 도 8은 온도 변화에 의거한 탄산 칼슘의 용해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킴으로써 열교환기 유닛(440) 내의 수온이 상승하면 탄산은 수중에 녹기 어려워져 이산화산소(CO2)로서 공기 중에 방출된다. 그러면, 온수 히터(441)의 근방에서는 pH가 상승한다. 그 때문에, 도 5 및 도 6에 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스케일이 생성되기 쉬워진다. 또한, 수온이 상승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산 칼슘의 용해량은 하강한다. 즉, 수온이 상승하면 탄산 칼슘은 물에는 용해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수온이 상승하면 스케일은 생성되기 쉬워지고 또한 석출되기 쉬워진다.
이것은 열교환기 유닛(440)뿐만 아니라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즉, 보다 고온의 물이 전해조 유닛(450)에 공급되어 그 전해조 유닛(450)이 보다 고온의 물을 전기 분해하면 스케일은 생성되기 쉬워지고 또한 석출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전해조 유닛(450) 및 열교환기 유닛(440)에 있어서 스케일이 생성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하고 차아염소산의 생성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전해조 유닛(450) 및 열교환기 유닛(440)에 있어서의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킨다. 그 때문에,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할 때에 전해조 유닛(450) 및 열교환기 유닛(440) 내의 물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해조 유닛(450) 및 열교환기 유닛(440)에 있어서의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어서, 전해조 유닛(450)에서 전기 분해되어 전해조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로부터의 스케일 생성과 그 스케일을 포착하는 스트레이너(S)에 대해서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의 유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있어서 전해조 유닛(450)의 출구부(450a)에는 실리콘 튜브 등의 가요성 튜브(C)가 외감되어 접속되어 있다. 참조 부호 600은 하류측의 물이 상류측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설치된 진공 브레이커이며 그 접속부(600a)에 가요성 튜브(C)가 외감되어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부(600a)(축류부)의 내경은 가요성 튜브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부(600a)에서는 상류측보다 유로 저항이 높아져 흐름에 산란이 발생한다. 또한, 접속부(600a)의 하류측에는 스트레이너(S)와 플로트 밸브(600b)가 배치되어 진공 브레이커의 오버플로우 물을 배출하는 배출 유로와 노즐(473)을 향하는 유로(20)로 분기되어 있다. 상기 배출 유로는 변기의 볼 내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해조 유닛(450)에서 전기 분해되어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는 전해조 유닛(450) 중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극측에서는 pH가 상승하고 양극측에서는 pH는 하강하고 있다. 그와 같이 전해조 유닛 내에서는 pH가 불균형한 상태이지만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배출되는 전해수는 여전히 불균형한 상태이다. 또한,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배출된 직후는 pH가 높은(pH 10 이상) 상태일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높은 pH의 전해수는 가요성 튜브(C)를 통과해서 진공 브레이커(600)에 이르지만 가요성 튜브(C) 내는 유로 저항 없이 대부분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배출된 pH의 상태인채로 불균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pH가 높은 상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케일이 생성되는 조건으로서는 적합하다.
pH가 높은 전해수의 흐름은 가요성 튜브(C)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는 진공 브레이커(600)의 접속부(600a)(축류부)에서 유로 저항을 받아 전해수가 교반된다. 그것에 의해 용해되어 있었던 탄산 이온(CO3 2 -)과 수돗물 중에 존재하는 칼슘 이온(Ca2 +)이 결합하기 쉬워져 상기한 식(3)의 반응이 발생한다. 또한, 식(3)의 반응이 진행되면 전해수 중에 부유하고 있었던 미소한 스케일 편을 핵으로 해서 스케일의 성장도 조장되게 되어 접속부(600a) 근방에서는 스케일이 발생한다. 또한, 미소한 스케일 편은 전해조 유닛(450)의 전극의 극성을 반전할 때에 발생해서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생성된 스케일과 함께 전해수는 유하하지만 접속부(600a)의 보다 하류측에 스트레이너(S)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생성한 스케일은 스트레이너(S)에 포착된다. 또한, 접속부(600a)에서 유로 저항을 발생시켜 전해수를 교반함으로써 pH의 불균형 상태가 해소되기 때문에 스트레이너(S)의 하류측의 pH는 낮아져 스케일의 생성은 억제된다. 그 때문에, 진공 브레이커(600)보다 하류측으로 배치되어 유로가 축경되는 압력 변조 장치, 유로 전환 밸브, 노즐에서의 스케일의 폐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물론, 스트레이너(S)에서는 전해조 유닛(450)으로부터 배출되는 비교적 큰 스케일 편도 포착가능하다.
또한, 스트레이너(S)의 위치는 교반이 충분히 행하여져 pH의 불균형이 수습되는 접속부(600a)의 하류측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H가 불균형한 상태의 유로 내에 스트레이너(S)를 배치하면 스트레이너(S)의 하류측에서 스케일이 생성될 우려가 있어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상기 스트레이너(S)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이나 수지로 형성한 그물코 형상의 것이 적합하게 이용가능하다. 그물코의 사이즈는 유로 저항과 하류측의 유로의 폐색을 피할 수 있도록 포착하는 스케일의 크기를 고려해서 적절히 설정하지만 18~80메시 정도가 적합하게 이용가능하다.
또한, 스트레이너(S)는 특히,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 표면 에너지가 작은 재료가 바람직하다. 표면 에너지가 작은 재료로 구성된 스트레이너(S)에는 스케일 편이 고착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그물코 사이즈보다 작은 스케일 편은 스트레이너(S)에 보충되지 않고 하류측으로 흘려지기 때문에 스트레이너의 스케일에 의한 폐색을 극력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축류부에 의해 의도적으로 스케일을 석출 및 스케일을 성장시킬 때에 발생하는 스케일 편은 작은 사이즈의 것이 많다. 그 때문에, 작은 스케일 편이 고착하고 서서히 성장하는 것에 의한 폐색을 효과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그물코 사이즈보다 큰 스케일 편도 스트레이너에 고착되지 않기 때문에 스케일의 성장의 기점으로 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동일하게 스트레이너의 스케일에 의한 폐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도 9의 부분 확대 모식도이며 스트레이너(S)의 고정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스트레이너(S)는 S1의 수지의 메시 부분과 S2의 고정 가장자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가장자리부(S2)는 진공 브레이커(600)의 내벽에 형성된 스트레이너 고정부(600c)와 지지부(600d) 상에 탑재되고 상류측의 수압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트레이너를 고정한 메시 부분(S1)의 표면 에너지는 진공 브레이커(600)의 재질보다도 작고 또한 스트레이너(S)의 고정 가장자리부(S2)보다도 작게 하고 있기 때문에 메시를 통과하지 않는 스케일은 스트레이너(S)의 중심보다 외측[스트레이너 고정부(600c), 지지부(600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갖는다. 그 때문에, 스트레이너(S)의 유로 저항을 극력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트레이너(S)를 배치할 때에는 착탈 가능하게 해 두고 정기적으로 포착한 스케일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한, 출구부(450a)의 유로는 굴곡하거나 유로 직경이 작아져 유로 저항을 일으키기 쉬워 스케일의 생성, 폐색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그것보다 상류측의 유로의 내경보다 크게 하여 출구부(450a) 근방에서 유로 저항을 극력 억제하도록 그것보다 하류측에 형성한 축류부에서 의도적으로 스케일의 생성을 유도하고 유하하는 전해수로부터의 예측할 수 없는 스케일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위생 세정 장치의 동작의 구체예를 예시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우선,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면[타이밍(t201)]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원점」으로부터 「SC(셀프 클리닝)」로 전환시켜 「엉덩이 세정」 및 「비데 세정」을 위한 모든 토수구(474)로부터의 토수를 가능하게 한다. 이 때의 유량(수량)은 예를 들면 약 450cc/분이다.
계속해서,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의 전환이 완료되면[타이밍(t202)]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구하여 온수 히터(441)를 「사수(捨水) 모드」로 설정시킨다. 이에 따라, 유로(20) 내의 냉수가 배수되어 온수 준비가 다시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온수 준비를 완료시키면 전자 밸브(431)를 폐쇄하고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SC」로부터 「원점[바이 패스(1)]」으로 전환시킨다[타이밍(t203)].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사수 모드」로부터 「보온 제어 모드」로 설정 변경시킨다[타이밍(t203)].
계속해서, 사용자가 조작부(500)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엉덩이 세정 스위치」를 누르면[타이밍(t204)] 제어부(405)는 신체 세정을 실행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원점」으로부터 「SC」로 전환시켜 전자 밸브(431)를 개구하고 온수 히터(441)를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 설정시킨다.
이때,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 설정시켜 물을 가열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토수구(474)의 부분은 토수구(474) 자신이 토수한 온수에 의해 세정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SC」로부터 「바이 패스(2)」로 전환시켜 노즐 세정실(478)에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물을 분사 가능하게 한다[타이밍(t205)].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에 수납되어 있었던 노즐(473)을 「엉덩이 세정」의 위치까지 진출시킨다[타이밍(t206~t207)].
이때,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구하고 있고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고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 설정시켜 물을 가열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된 온수에 의해 세정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바이 패스(2)」로부터「엉덩이 수세(5)」로 전환시켜[타이밍(t207~t208)] 본세정(엉덩이 세정)을 실행한다[타이밍(t208~t209)].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가 「엉덩이 세정」에 있어서의 수세를 「수세(5)」로부터 「수세(3)」로 조작부(500)에 의해 설정 변경했을 경우에는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엉덩이 수세(5)」로부터 「엉덩이 수세(3)」로 전환시킨다[타이밍(t209~t210)]. 그리고, 제어부(405)는 「수세(3)」에 있어서 본세정을 계속시킨다[타이밍(t210~t211)].
이 본세정에서는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는다. 그 때문에, 살균수가 사용자의 신체에 분사될 일은 없다. 또한, 온수 히터(441)가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는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된 온수로 세정된다.
계속해서, 사용자가 조작부(500)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정지 스위치」를 누르면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엉덩이 수세(3)」로부터 「바이 패스(2)」로 전환시켜 노즐 세정실(478)에 설치된 토수부(479)로부터 물을 분사 가능하게 한다[타이밍(t211)].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엉덩이 세정」의 위치로 진출해 있었던 노즐(473)을 케이싱(400)에 수납시킨다[타이밍(t212~t213)].
이때,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구하고 있고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고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 설정시켜 물을 가열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된 온수에 의해 세정된다.
계속해서, 노즐(473)이 케이싱(400)에 수납된 상태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바이 패스(2)」로부터 「SC」로 전환시켜 「엉덩이 세정」 및 「비데 세정」을 위한 모든 토수구(474)로부터 토수함으로써 후세정을 행한다[타이밍(t213~t214)].
이 때에도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구하고 있고 전해조 유닛(450)에는 통전시키지 않아 살균수를 생성시키지 않고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 설정시켜 물을 가열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노즐(473)의 토수구(474)의 부분은 토수구(474) 자신이 토수한 온수에 의해 세정된다.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폐쇄하고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SC」로부터 「원점」으로 전환시킨다[타이밍(t214)].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전세정 모드, 본세정 모드, 후세정 모드」로부터「보온 제어 모드」로 설정 변경시킨다[타이밍(t214)].
계속해서, 사용자가 「엉덩이 건조」를 적절히 행하여 변좌(200)로부터 이좌한 후[타이밍(t215)], 소정 시간(여기서는 예를 들면 약 25초간 정도)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원점」으로부터 「SC」로 전환시켜 「엉덩이 세정」 및 「비데 세정」을 위한 모든 토수구(474)로부터의 토수를 가능하게 한다[타이밍(t216)].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한다[타이밍(t216)].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킨다[타이밍(t217)]. 또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동결 방지 모드」로부터 「히터 통전 금지 모드」로 설정 변경시킨다[타이밍(t217)]. 즉,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토수구(474)의 「전살균」이 실행된다.
여기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한 후에[타이밍(t216)]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키고 있다[타이밍(t217)]. 그 때문에, 전해조 유닛(450) 내에 온수가 있을 경우라도 그 온수는 배출되어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로 치환된다. 즉,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의 온수를 배출시켜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로 치환시킨 후에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가 전기 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한 후에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해조 유닛(450)의 전극 사이에 물이 없는 상태에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극판(454) 및 음극판(455)에 국소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양극판(454) 및 음극판(455)의 수명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SC」로부터 「원점」으로 전환시킨다[타이밍(t218)].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케이싱(400)에 수납되어 있었던 노즐(473)을 「최진출」의 위치까지 진출시킨다[타이밍(t219~t220)]. 이 때,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하고 있고 전해조 유닛(450)에 통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되는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최진출」의 위치로 진출해 있었던 노즐(473)을 케이싱(400)에 수납시킨다[타이밍(t220~t221)]. 이 때에도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을 개방하고 있고 전해조 유닛(450)에 통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노즐(473)의 동체는 토수부(479)로부터 분사되는 살균수에 의해 살균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원점」으로부터 「SC」로 전환시켜 「엉덩이 세정」 및 「비데 세정」을 위한 모든 토수구(474)로부터의 토수를 가능하게 한다[타이밍(t221)]. 이에 따라, 토수구(474)의 「후살균」이 실행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정지시켜 온수 히터(441)를 「히터 통전 금지 모드」로부터 「동결 방지 모드」로 설정 변경시킨다[타이밍(t222)].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폐쇄하고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SC」로부터 「원점」으로 전환시킨다[타이밍(t222)].
계속해서, 위생 세정 장치(100)가 최후에 사용되고나서 소정 시간(여기서는 예를 들면 8시간 정도)이 경과하면 제어부(405)는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원점」으로부터 「SC」로 전환시켜 「엉덩이 세정」 및 「비데 세정」을 위한 모든 토수구(474)로부터의 토수를 가능하게 한다[타이밍(t223)].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를 개방한다[타이밍(t223)]. 그 후,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킨다[타이밍(t224)]. 이에 따라, 유로(20) 내 및 토수구(474)의 정기적인 살균이 실행된다.
계속해서,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정지시킨다[타이밍(t225)]. 또한, 제어부(405)는 전자 밸브(431)을 패쇄하고 유량 전환 밸브(471) 및 유로 전환 밸브(472)를 「SC」로부터 「원점」으로 전환시킨다[타이밍(t225)].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제어부(405)는 「전살균」을 행할 때에 온수 히터(441)를 「동결 방지 모드」로부터 「히터 통전 금지 모드」로 설정 변경시키고 있지만[타이밍(t217)]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405)는 「전살균」을 행할 때에 온수 히터(441)를 「동결 방지 모드」인 채로 설정해 두어도 좋다. 즉, 타이밍(t217~t222)에 있어서 제어부(405)는 온수 히터(441)를 「동결 방지 모드」인 채로 설정해 두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405)는 수온이 소정 온도(예를 들면 약 6℃ 정도) 이하가 되면 온수 히터(441)에 통전[온수 히터(441)를 온/오프 제어]시켜 수온을 상승시킨다. 여기에서, 동결 방지를 위한 통전량은 온수 히터(441)에 의해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신체 세정을 실행할 때의 온수 온도의 설정값보다도 낮은 온도가 되는 통전량이다. 그 때문에, 이 경우라도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한랭지 이외에서는 온수 히터(441)는 「동결 방지 모드」로 설정되어 있어도 실질적으로는 정지하고 있는 상태와 동일하다.
한편, 도 11에 나타낸 구체예에서는 제어부(405)는 「전살균」을 행할 때에 온수 히터(441)를 「동결 방지 모드」로부터 「히터 통전 금지 모드」로 설정 변경시키고 있다[타이밍(t217)]. 즉, 제어부(405)는 「전살균」을 행할 때에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405)는 수온이 소정 온도(예를 들면 약 6℃ 정도) 이하가 되어도 온수 히터(441)에 통전시키지 않지만 전자 밸브(431)가 개방되어 물이 유로(20) 내를 유수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동결될 우려가 적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어부(405)는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켜서 전해조 유닛(450)에 있어서 살균수를 생성시켜 노즐(473)을 살균시킬 때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온수 히터(441)로의 통전량을 저감시킨다. 그 때문에,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는 전해조 유닛(450) 내의 물은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이다. 또는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에는 전해조 유닛(450) 내의 온수는 가열되어 있지 않은 물로 치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케일의 생성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들의 기술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당업자가 적절히 설계 변경을 더한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갖고 있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위생 세정 장치(100) 등이 구비하는 각 요소의 형상, 치수, 재질, 배치 등이나 노즐(473)이나 노즐 세정실(478)의 설치 형태 등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착좌 검지 센서(404)가 변좌(200)에 착좌한 사용자를 검지하지 않게 되고나서 제어부(405)가 전해조 유닛(450)으로의 통전을 개시시킬 때까지의 소정 시간(도 4 및 도 11에 관해서 전술한 예에서는 25초간 정도)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100)가 최후에 사용되고나서 제어부(405)가 정기적인 살균을 실행시킬 때까지의 소정 시간(도 4 및 도 11에 관해서 전술한 예에서는 8시간 정도)에 대해서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볼(801)에 살균수를 토수하는 전용 노즐의 토수 타이밍은 변기 세정 후가 바람직하지만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각 요소는 기술적으로 가능한 한도에 있어서 조합시킬 수 있고 이들을 조합시킨 것도 본 발명의 특징을 포함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케일에 의한 유로의 폐색을 억제할 수 있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공된다.
10 : 급수원 20 : 유로
100 : 위생 세정 장치 200 : 변좌
300 : 변기 덮개 310 : 투과창
400 : 케이싱 401 : 전원 회로
402 : 입실 검지 센서 403 : 인체 검지 센서
404 : 착좌 검지 센서 405 : 제어부
407 : 배기구 408 : 배출구
409 : 오목부 431 : 전자 밸브
440 : 열교환기 유닛 441 : 온수 히터
450 : 전해조 유닛 450 : 출구부
454 : 양극판 455 : 음극판
460 : 압력 변조 장치 470 : 노즐 유닛
471 : 유량 전환 밸브 472 : 유로 전환 밸브
473 : 노즐 474 : 토수구
475 : 설치대 476 : 노즐 모터
477 : 전동 부재 478 : 노즐 세정실
479 : 토수부 500 : 조작부
600 : 진공 브레이커 600a : 접속부 800 : 변기 801 : 볼
S : 스트레이너 C : 가요성 튜브

Claims (14)

  1.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물을 분사해서 사용자의 신체를 세정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인도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상기 노즐을 세정 또는 살균하는 노즐 세정 수단과,
    상기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에 유로 단면적을 상류측보다 작게 한 축류부를 형성하고 그 보다 하류측 유로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2. 변기 상부에 탑재되어 토수구를 갖고 상기 토수구로부터 상기 변기의 볼면을 향해서 물을 토수하는 노즐과,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토수구로 인도하는 유로와,
    상기 유로의 도중에 설치되어 살균수를 생성가능한 전해조와,
    상기 전해조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로 상기 볼면을 세정 또는 살균하는 볼 세정 수단과,
    상기 전해조로부터 하류측에 유로 단면적을 상류측보다 작게 한 축류부를 형성하고 그 보다 하류측 유로에 스트레이너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부는 상기 전해조의 출구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부는 상기 전해조의 출구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의 출구측 유로를 상류측보다 직경이 큰 출구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의 출구측 유로를 상류측보다 직경이 큰 출구부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의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유로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표면 에너지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상기 유로의 고정부에 고정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의 표면 에너지는 상기 스트레이너의 표면 에너지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하류측 유로에 폐색의 우려가 없는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그물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이너는 하류측 유로에 폐색의 우려가 없는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그물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세정 장치.
KR1020137001690A 2010-07-28 2011-07-27 위생 세정 장치 KR101439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8749 2010-07-28
JP2010168749 2010-07-28
JPJP-P-2011-056033 2011-03-15
JP2011056033A JP5093762B2 (ja) 2010-07-28 2011-03-15 衛生洗浄装置
PCT/JP2011/067148 WO2012014947A1 (ja) 2010-07-28 2011-07-27 衛生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367A KR20130032367A (ko) 2013-04-01
KR101439192B1 true KR101439192B1 (ko) 2014-09-12

Family

ID=4553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690A KR101439192B1 (ko) 2010-07-28 2011-07-27 위생 세정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56979B2 (ko)
EP (1) EP2599926B1 (ko)
JP (1) JP5093762B2 (ko)
KR (1) KR101439192B1 (ko)
CN (1) CN103025972B (ko)
TW (1) TWI473927B (ko)
WO (1) WO20120149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762B2 (ja) * 2010-07-28 2012-12-1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327727B2 (ja) * 2012-02-14 2013-10-30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US9194110B2 (en) 2012-03-07 2015-11-24 Moen Incorporated Electronic plumbing fixture fitting
JP2015147162A (ja) * 2014-02-05 2015-08-20 Toto株式会社 電解水生成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KR101837619B1 (ko) * 2014-02-13 2018-03-13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용 물 저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104775490B (zh) * 2015-03-09 2016-06-08 厦门优胜卫厨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装置及其清洁方法
JP2017025561A (ja) * 2015-07-22 2017-02-02 Toto株式会社 トイレ装置
JP1572278S (ko) * 2015-08-28 2017-03-27
JP6676313B2 (ja) * 2015-08-31 2020-04-08 株式会社Lixil 除菌装置および便器
CN108349760A (zh) 2015-12-04 2018-07-31 吉博力国际股份公司 淋浴厕所
JP6541096B2 (ja) * 2016-08-24 2019-07-10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EP3567136A4 (en) * 2016-12-28 2020-12-16 De Nora Permelec Ltd ELECTROLYZED WATER PRODUCTION DEVICE
JP1608415S (ko) * 2018-01-22 2021-07-05
JP2019173350A (ja) * 2018-03-28 2019-10-10 株式会社Lixil 局部洗浄装置
US10851533B2 (en) * 2018-06-01 2020-12-01 Toto Ltd. Sanitary washing device
JP6979175B2 (ja) * 2019-07-05 2021-12-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80147B2 (ja) * 2019-11-29 2023-11-15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7398048B2 (ja) 2019-11-29 2023-12-1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3346A (ja) * 1995-01-18 1996-07-30 Minolta Co Ltd 便器の水洗装置
KR100440988B1 (ko) 1994-08-19 2004-10-14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변기세정방법및장치
JP2009225886A (ja) 2008-03-19 2009-10-08 Toto Ltd 浴室殺菌システム
KR101082017B1 (ko) 2009-05-21 2011-11-10 최장수 스트레이너/필터 기능을 가지는 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유동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51030A (en) * 1931-03-20 1936-08-18 Joseph Z Dalinda Method and apparatus for smoking
US3425414A (en) * 1965-05-28 1969-02-04 William J La Roche Inhalant dispenser
US4393884A (en) * 1981-09-25 1983-07-19 Jacobs Allen W Demand inhaler for oral administration of tobacco, tobacco-like, or other substances
JPS6434156A (en) 1987-07-28 1989-0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ermanent magnet
JP3487447B2 (ja) 1994-09-27 2004-01-19 東陶機器株式会社 局部洗浄装置
WO1999053150A1 (fr) * 1998-04-08 1999-10-21 Toto Ltd. Douchette de nettoyage corporel
ATE325633T1 (de) * 1999-11-08 2006-06-15 Capnia Inc Vorrichtung zur gleichzeitigen verabreichung von gasen und medikamenten
JP2001279780A (ja) * 2000-03-31 2001-10-10 Toto Ltd 銀イオン電解装置付局部洗浄装置
DE10259997B4 (de) * 2002-12-20 2007-09-13 Airbus Deutschland Gmbh Flugzeugtoilettensystem
JP2005007348A (ja) * 2003-06-20 2005-01-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脱イオン装置
JP2005155098A (ja) 2003-11-21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局部洗浄装置
JP2006097311A (ja) * 2004-09-29 2006-04-13 Sanyo Electric Co Ltd 水洗トイレ及び水洗トイレの脱臭方法
CN1840789B (zh) * 2005-04-01 2011-05-11 三洋电机株式会社 坐便座用清洗装置
JP5617151B2 (ja) * 2007-01-10 2014-11-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4794589B2 (ja) * 2008-03-12 2011-10-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2009225888A (ja) * 2008-03-19 2009-10-08 Toto Ltd 浴室殺菌システム
GB0808154D0 (en) * 2008-05-06 2008-06-11 British American Tobacco Co Aerosol dispensing device
JP5601570B2 (ja) * 2009-08-06 2014-10-08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US8505126B2 (en) * 2009-08-06 2013-08-13 Toto Ltd. Sanitary washing apparatus
EP2305903A1 (en) * 2009-09-28 2011-04-06 Toto Ltd. Washing device for user's private parts
JP4756404B1 (ja) * 2010-06-18 2011-08-24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JP5093762B2 (ja) * 2010-07-28 2012-12-12 Toto株式会社 衛生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988B1 (ko) 1994-08-19 2004-10-14 도토기키 가부시키가이샤 변기세정방법및장치
JPH08193346A (ja) * 1995-01-18 1996-07-30 Minolta Co Ltd 便器の水洗装置
JP2009225886A (ja) 2008-03-19 2009-10-08 Toto Ltd 浴室殺菌システム
KR101082017B1 (ko) 2009-05-21 2011-11-10 최장수 스트레이너/필터 기능을 가지는 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체유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4947A1 (ja) 2012-02-02
EP2599926A1 (en) 2013-06-05
JP5093762B2 (ja) 2012-12-12
KR20130032367A (ko) 2013-04-01
EP2599926A4 (en) 2017-05-03
JP2012047030A (ja) 2012-03-08
TWI473927B (zh) 2015-02-21
US8856979B2 (en) 2014-10-14
EP2599926B1 (en) 2018-02-21
CN103025972B (zh) 2014-12-03
CN103025972A (zh) 2013-04-03
US20130185861A1 (en) 2013-07-25
TW201207201A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192B1 (ko) 위생 세정 장치
JP4756404B1 (ja) 衛生洗浄装置
KR101506225B1 (ko) 위생 세정 장치
JP5601570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2082615A (ja) 衛生洗浄装置
JP2012125715A (ja) 電気分解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JP2001279780A (ja) 銀イオン電解装置付局部洗浄装置
JP2012067442A (ja) 衛生洗浄装置
JP5660519B2 (ja) 衛生洗浄装置
JP5954681B2 (ja) 衛生洗浄装置
JP5617151B2 (ja) 衛生洗浄装置
JP5678540B2 (ja) 衛生洗浄装置
JP5532412B2 (ja) 衛生洗浄装置
JP2009225888A (ja) 浴室殺菌システム
JP6635404B2 (ja) 衛生洗浄装置
JP2012107473A (ja) 衛生洗浄装置
JP2019027015A (ja) 衛生洗浄装置
JP2011252371A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