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8851B1 -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851B1
KR100438851B1 KR10-1998-0700566A KR19980700566A KR100438851B1 KR 100438851 B1 KR100438851 B1 KR 100438851B1 KR 19980700566 A KR19980700566 A KR 19980700566A KR 100438851 B1 KR100438851 B1 KR 10043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phosate
ions
iron
iii
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905A (ko
Inventor
이안 호지킨슨
Original Assignee
신젠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젠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신젠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19990035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C07F9/3804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not used, see subgroups
    • C07F9/3808Acyclic saturated acids which can have further substituents on alkyl
    • C07F9/3813N-Phosphonomethylglycine; Salts or complex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28Phosphorus compounds with one or more P—C bonds
    • C07F9/38Phosphonic acids [RP(=O)(OH)2]; Thiophosphonic acids ; [RP(=X1)(X2H)2(X1, X2 are each independently O, S or 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0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용성 또는 부분적으로 용해가능한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이온을 유출물과 같은 수성 혼합물에 첨가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에 존재하는 N-(포스포노메틸글리신)(글리포세이트)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이온형을 분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 (III) 이온이 특히 적당하다. 바람직한 통합 방법에서, 글리포세이트는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으로부터 회수된다.

Description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 제조 방법{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phosphonomethylglycine}
본 발명은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제초제인 N-포스포노메틸글리신(글리포세이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글리포세이트 제조 공정의 유출물(effluent)에 포함되어 버려지는 글리포세이트의 양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리포세이트를 제조할 수 있는 몇몇 제조방법이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3,969,398호, 미국 특허 제3,799,758호, 미국 특허 제3,927,080호, 미국 특허 제4,237,065호 및 미국 특허 제4,065,491호에 기술된 방법), 이들 모든 방법들은 공통된 문제점을 가진다. 상기 방법은 효과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통상적으로 생성물의 일부를 손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유출물에 글리포세이트가 존재함으로써, 글리포세이트의 제초 특성 때문에 잠재적으로는 환경 문제가 존재할 수 있다.
물론 생성물의 손실 또한 가능한 한 경제적으로 글리포세이트를 생산하고자 하는 제조업자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모든 이유에서 가능한 한 적은 생성물이 공장 유출물로 배출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 EP-A-0323821 호는 글리포세이트 공장의 폐수 시 문제를 기술하고 있으며, 혼합물 또는 용액 내에서 전이금속 촉매와 상기 폐수를 접촉시키는 해법을 제시하고 있다. 혼합물 또는 용액을 산소 분자-함유 기체와 접촉시킨 반응물을 충분한 온도로 가열하여 포스포노메틸글리신 유도체의 산화 반응이 개시 및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촉매, 산소 분자-함유 기체와 접촉시키는 단계 및 가열 단계 모두가 추가 비용을 요하므로 고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 반응은 종종 고압에서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것 또한 처리 공정의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글리포세이트 제조 공정의 유출물인 혼합물에 존재하는 글리포세이트 또는 이의 염 또는 유도체를 상기 혼합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효율적이면서 비용 면에서도 효과적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은 글리포세이트 제조 공정의 유출물인 수성 혼합물에 존재하는 N-(포스포노메틸글리신)(글리포세이트)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이온형을 상기 수성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불용성 또는 부분적으로 용해가능한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이온을 상기 수성 혼합물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로부터 착물 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글리포세이트의 수용성 염의 예에는 나트륨 염(예를 들면, 모노소듐 및 디소듐 염), 칼륨 염, 암모늄 염, 트리메틸설포늄 염 및 이소프로필암모늄 염이 포함된다. 글리포세이트의 이온 형태에는 프로톤화된 형태 또는 쌍극성 이온(zwitterion)이 포함된다.
본 발명가들은 글리포세이트를 함유하는 수성 혼합물에 이온을 첨가할 경우,착물 염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착물 염은 수불용성이어서 침전된다. 혼합물에 첨가되는 이온은 철 (III) 이온,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이다. 그러나, 철 (III) 이온이 가장 적은 양의 용해가능한 착물 염을 형성하여 상기 착물 염을 가장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므로 바람직하다.
착물 염의 형성 및/또는 용해도는 pH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산 또는 중성 조건이 필요할 수 있다. 철(III)의 경우, 철(III) 염을 첨가하기 전에 글리포세이트-함유 혼합물의 pH를 6 이하로 조절할 수 있다. pH가 1 - 4 (예를 들어, 약 3)인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포세이트-함유 혼합물에 첨가되는 이온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염의 형태로 첨가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착물 염의 형성은 pH 의존적인 것으로 사료되므로, 염은 pH 5 이하의 산성 용액에 용해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철(III)의 경우, 가용성 염은 예를 들면, 설페이트, 클로라이드 또는 하이드록사이드일 수 있다.
글리포세이트와 금속 염의 착물 염의 형성은 예를 들어, Hensley 등의(Weed Research 18, 293-297(1978)) 에 의하여 공지되어 있으며, 글리포세이트와 철(III)의 착물 염에 대하여는 McBride 등의 Soil Sci, Soc. Am. J. 53, 1668-1673 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그 효과는 유용하다고 사료되지 않으며, 산업상 이용도 곤란해 것 같다. 착물 염의 구조는 완전하게 명백한 것은 아니지만, 철(III)의 경우, 글리포세이트 및 철(III)을 1:1의 비율로 함유하며, 수불용성이고 주위 온도에서 거의 정량적으로 침전되는 것으로 보이는 착물 염이 형성된다.
일단 글리포세이트-함유 침전물이 형성되면, 이는 적당한 방법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은 여과법 및 원심분리법일 수 있다. 분리 공정을 보조하기 위하여, 상기 단계에서 응집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적당한 응집 계면활성제는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방법은 글리포세이트 제조 공정의 유출물에서 글리포세이트가 분리되도록 하는 바, 이는 유출물에 글리포세이트가 포함되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환경에 있어서 매우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물론 제조업자의 관점에서 글리포세이트를 침전물로부터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본 발명가들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또한 고안하였다.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의 침전물을 분리한 후, 이를 이용하여 알칼리성 수성 슬러리를 형성할 수 있다. pH를 증가시킴으로써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을 분해시켜 가용성 글리포세이트 염을 얻는데, 철 (III) 이온을 카운터-이온으로 사용할 경우 철 (III)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수화된 철 (III) 옥사이드 또는 철(III) 하이드록사이드의 침전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 방법에 의하면 글리포세이트 제조 공정에서 생성되는 글리포세이트와 재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글리포세이트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래 글리포세이트를 침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철(III)이 가용성 철(III) 염으로 전환되므로 철(III)을 본 발명의 유출물 처리 공정에 재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특히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슬러리의 pH 는 8 이상일 것이나 예를 들어, 12 이상과 같은 보다 높은 pH 가 더욱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슬러리의 pH는 약 12.2 - 12.8, 종종 약 12.4의 pH 일 것이다.
혼합물의 pH를 증가시킴으로써 수화된 페릭 옥사이드 또는 철(III) 하이드록사이드가 형성되고, 임의의 적당한 방법을 이용하여 이들을 혼합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슬러리는 2 단계로 제조할 수 있을 것인데, 먼저 침전물에 물을 첨가 및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혼합물에 염기를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별개의 절차에 있어서, 글리포세이트-함유 착물 염을 알칼리성 용액에 직접 첨가할 수 있다. 이는 종종 보다 농축된 글리포세이트 용액을 제공하는 이점을 가질 것이다.
어느 절차를 이용하더라도, 슬러리는 주위 온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용액의 pH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임의의 염기를 이용할 수 있지만, 수용성 글리포세이트 염을 형성시킬 수 있는 염기는 글리포세이트로부터 철(III) 하이드록사이드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되게 하므로 특히 적당하다.
특히 적당한 염기의 예에는 소듐 및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가 포함된다. 용액의 양을 최소한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농축된 염기가 바람직하다. 편리하게, 염기는 시판 중인 염기, 예를 들어, 50% w/w의 소듐 하이드록사이드일 것이다.
여러 가지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철 (III) 하이드록사이드를 제거할 수 있으나 특히 적절한 방법은 원심분리법이다.
일단 공정으로부터 철 (III) 하이드록사이드를 분리하면, 글리포세이트염의 수용액을 주요 공정의 생성물과 합체시킬 수 있다.
본 발명 방법은 배취 공정 또는 연속 공정으로서 작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을 다음의 비제한적 실시예에 의하여 더 예시하기로 하겠다
실시예 1
글리포세이트-함유 용액에 페릭 설페이트를 첨가하는 것을 이용한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의 형성
1 % w/w의 포스포노메틸글리신 및 20 % w/w의 소듐 클로라이드를 함유하며, 총 유기 탄소 함량이 1310 mg/l 로 추정되는 수용액(300 ml)을 50 % w/w의 페릭 설페이트 용액 7.2 g 으로 처리하고,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0.9 - 1.1 사이로 유지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한 후, 여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을 측정하였더니 60 mg/l 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글리포세이트-함유 용액에 페릭 클로라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이용한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수용액(300 ml)을 50 % w/w의 페릭 클로라이드 헥사하이드레이트 용액 7.7 g으로 처리하고,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슬러리의 pH를 1.0 으로 유지하였다. 이를 여과하여 침전물을 분리한 다음, 여액의 총 유기 탄소 함량을 측정하였더니 70 mg/l 로 나타났다.
실시예 3
글리포세이트의 회수
47 % 의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4.0 으로 유지하면서, N-포스포노메틸글리신(119.7g, 1.35 % w/w임)을 함유하는 일반 공정 유출물을 페릭 설페이트(9.0g, 45 % w/w임)의 수용액으로 처리하였다. 그 결과 얻은 침전물을 여과 분리하고 pH 12.7 에서 1 시간동안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용액(38.4g, 23.5 % w/w임)으로 재슬러리화시켰다. 이를 여과하여 수화된 젤라틴성 페릭 옥사이드(페릭 하이드록사이드)를 제거하여 옅은 황색 용액을 얻었으며, 이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 원래 시료에 존재하던 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 71.8%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페릭 이온의 재사용
실시예 3으로부터 얻은 수화된 페릭 옥사이드를 새로운 페릭 설페이트 용액(1.8g, 45 %임)과 함께 pH 1.3의 추가 공정 유출물 120g에 넣고, 이를 포스포노메틸글리신을 침전시키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가용성 글리포세이트 염을 함유하는 용액으로부터 글리포세이트를 고수율로 회수하며, 특히 글리포세이트를 침전시키기 위하여 철(III) 염을 사용하면, 재생 및 재사용될 수 있는 철 (III)을 고수율로 회수할 수 있게되어 보다 많은 글리포세이트를 회수할 수 있게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 방법은 글리포세이트가 존재하는 유출물로부터 글리포세이트를 경제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선행 기술들과는 달리 고온 및 고압과 같은 심한 반응 조건 또는 고가의 시약 사용을 포함하지 않는다.

Claims (11)

  1. 글리포세이트 제조 공정의 유출물(effluent)인 수성 혼합물에 존재하는 N-(포스포노메틸글리신)(글리포세이트) 또는 이의 염 또는 이의 이온형을 상기 수성 혼합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수성 혼합물의 pH를 1 내지 4로 조절하는 단계, 불용성 또는 부분적으로 용해가능한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이온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로부터 착물 염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알루미늄 이온 또는 철 (III)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철 (III) 이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성 혼합물의 pH를 3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을 글리포세이트-함유 혼합물의 pH 에서 수용액에 용해가능한 염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분리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이 철(III)이고, 상기 용해가능한 염이 설페이트, 클로라이드 또는 하이드록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여과법 또는 원심분리법에 의하여 침전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용성 또는 부분적으로 용해가능한 글리포세이트 착물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이온은 철 (III)이온이고, 8 이상의 pH 를 갖는 침전물의 수성 슬러리를 제조하고 상기 슬러리로부터 페릭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수화된 페릭 옥사이드를 분리하여 글리포세이트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얻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착물 염의 침전물로부터 글리포세이트를 회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리의 pH 가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에 물을 첨가한 다음 염기를 첨가하거나 또는 염기의 수용액에 상기 침전물을 첨가함으로써 상기 슬러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알칼리 금속 하이드록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방법.
KR10-1998-0700566A 1995-07-25 1996-06-27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제조방법 KR1004388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15265.8A GB9515265D0 (en) 1995-07-25 1995-07-25 Chemical process
GB9515265.8 1995-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905A KR19990035905A (ko) 1999-05-25
KR100438851B1 true KR100438851B1 (ko) 2004-09-13

Family

ID=1077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0566A KR100438851B1 (ko) 1995-07-25 1996-06-27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5898082A (ko)
EP (1) EP0842182B1 (ko)
JP (1) JP3667345B2 (ko)
KR (1) KR100438851B1 (ko)
CN (1) CN1068007C (ko)
AT (1) ATE208781T1 (ko)
AU (1) AU701535B2 (ko)
BG (1) BG63696B1 (ko)
BR (1) BR9609692A (ko)
CA (1) CA2224522C (ko)
CZ (1) CZ291133B6 (ko)
DE (1) DE69617020T2 (ko)
DK (1) DK0842182T3 (ko)
ES (1) ES2163029T3 (ko)
GB (1) GB9515265D0 (ko)
HU (1) HU219316B (ko)
IL (1) IL123022A (ko)
MX (1) MX9800628A (ko)
MY (1) MY113506A (ko)
NO (1) NO322972B1 (ko)
NZ (1) NZ311119A (ko)
PL (1) PL184805B1 (ko)
RO (1) RO119720B1 (ko)
RU (1) RU2159247C2 (ko)
SK (1) SK282217B6 (ko)
TR (1) TR199800114T1 (ko)
TW (1) TW332207B (ko)
WO (1) WO19970051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1070A (zh) * 2013-07-26 2013-10-16 闽南师范大学 草甘膦废水的处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07702A1 (de) 2000-02-19 2001-08-23 Sueddeutsche Kalkstickstoff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Phosphonomethyl)glycin
DE60115019T2 (de) 2000-05-22 2006-08-03 Monsanto Technology Llc. Reaktionssysteme zur herstellung von n-(phosphonomethyl)glyzin verbindungen
DE602005011454D1 (de) 2004-08-19 2009-01-15 Monsanto Technology Llc Herbizide glyphosatsalzusammensetzung
CN102775012B (zh) * 2012-07-18 2014-07-02 常州大学 一种草甘膦废水中高浓度磷去除方法
US9868650B2 (en) 2015-12-21 2018-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removing glyphosate from a solution using functionalized polymeric nanoparticles
CN106277249A (zh) * 2016-08-29 2017-01-04 南京工业大学 一种去除废水中草甘膦的方法
CN114933289B (zh) * 2022-06-22 2024-03-15 四川福思达生物技术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草甘膦和磷酸铁的联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29704B1 (ko) * 1973-05-17 1977-10-14 Monsanto Co
US4033896A (en) * 1976-06-18 1977-07-05 Monsanto Company Method of corrosion inhibition and compositions therefor
US4481026A (en) * 1982-11-16 1984-11-06 Stauffer Chemical Company Aluminum N-phosphonomethylglycine and its use as a herbicide
US4472189A (en) * 1982-12-27 1984-09-18 Stauffer Chemical Co. Stannic N-phosphonomethyglycine and its use as a herbicide
US4851131A (en) * 1987-12-31 1989-07-25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treating glyphosate process waste streams
US5087740A (en) * 1989-08-17 1992-02-11 Monsanto Company Process for purifying N-phosphonomethylglycine
GB9423254D0 (en) * 1994-11-16 1995-01-04 Zeneca Ltd Proces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 Food Chem., 1988, Vol.36, No.6, pp 1326-1329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51070A (zh) * 2013-07-26 2013-10-16 闽南师范大学 草甘膦废水的处理方法
CN103351070B (zh) * 2013-07-26 2015-05-06 闽南师范大学 草甘膦废水的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7005149A1 (en) 1997-02-13
BG102240A (en) 1998-12-30
EP0842182B1 (en) 2001-11-14
IL123022A0 (en) 1998-09-24
RU2159247C2 (ru) 2000-11-20
HUP9900146A2 (hu) 1999-04-28
TW332207B (en) 1998-05-21
AU701535B2 (en) 1999-01-28
CA2224522C (en) 2006-12-05
KR19990035905A (ko) 1999-05-25
SK282217B6 (sk) 2001-12-03
JPH11510152A (ja) 1999-09-07
CZ20698A3 (cs) 1998-06-17
EP0842182A1 (en) 1998-05-20
DE69617020D1 (de) 2001-12-20
PL184805B1 (pl) 2002-12-31
HU219316B (en) 2001-03-28
IL123022A (en) 2000-07-16
NO980312D0 (no) 1998-01-23
RO119720B1 (ro) 2005-02-28
NO980312L (no) 1998-01-23
GB9515265D0 (en) 1995-09-20
US5898082A (en) 1999-04-27
DK0842182T3 (da) 2002-03-25
MY113506A (en) 2002-03-30
SK9998A3 (en) 1998-05-06
DE69617020T2 (de) 2002-05-29
CN1191540A (zh) 1998-08-26
JP3667345B2 (ja) 2005-07-06
ES2163029T3 (es) 2002-01-16
NZ311119A (en) 1999-02-25
CA2224522A1 (en) 1997-02-13
AU6236296A (en) 1997-02-26
PL324617A1 (en) 1998-06-08
TR199800114T1 (xx) 1998-05-21
MX9800628A (es) 1998-04-30
BR9609692A (pt) 1999-03-23
NO322972B1 (no) 2006-12-18
HUP9900146A3 (en) 1999-11-29
ATE208781T1 (de) 2001-11-15
CZ291133B6 (cs) 2002-12-11
BG63696B1 (bg) 2002-09-30
CN1068007C (zh)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924119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phosphonomethyl)glycin durch oxidation von n-substituierten n-(phosphonomehtyl)glycin
KR100438851B1 (ko) N-포스포노메틸글리신의제조방법
EP1272498B1 (en) Removal of sodium chloride from waste streams from phosphonomethyliminodiacetic acid production
US6641741B2 (en) Removal and recovery of chloride from phosphonomethyliminodiacetic acid process brine
MXPA98000628A (en) Procedure for the preparation of n-fosfonometilglic
US4661606A (en) Extraction of amino acids from aqueous mixtures and quaternary ammonium salt intermediates produced therein
US3988344A (en) Process for purifying saccharin
KR19980071713A (ko) 측쇄형 아미노산을 정제하는 방법
JPH01111712A (ja) 濃縮アルカリ金属ハライドブラインからアルミニウムを除去する方法
JPH05317848A (ja) 有機リン化合物、特にスルホン化されたアリールホスフインを含有する廃水を後処理する方法
JP4225523B2 (ja) 亜硝酸亜鉛水溶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237295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17-hydroxysparteine by oxidation of sparteine with a permanganate
AU654066B2 (en) Process for removing organic phosphorus compounds and other impurities from dilute sulfuric acid
JPH0212885B2 (ko)
US6165427A (en) Method for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sodium di-(n-octyl)phosphinate or sodium di-(n-dodecyl) phosphinate
CS195775B1 (en) Method for the separation of mixture of potassium chloride,potassium phthalimide,phthalimide,n-/cyclohexylthio/phthalimide,possibly with n-chlorphthalimide
EP0806428A1 (en) Method for isolating N-phosphonomethylglycine
JPS61118336A (ja) ペンタクロルフエノ−ル及びその誘導体の精製法
SU1035081A1 (ru) Способ извлечени ртути
JPH0999288A (ja) 亜リン酸塩含有廃液の処理方法
JPH0977783A (ja) ジフェニルホスフィノベンゼン−m−モノスルホン酸の精製法
BE449678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