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461B1 -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461B1
KR100436461B1 KR10-2001-0067186A KR20010067186A KR100436461B1 KR 100436461 B1 KR100436461 B1 KR 100436461B1 KR 20010067186 A KR20010067186 A KR 20010067186A KR 100436461 B1 KR100436461 B1 KR 10043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cutting member
tail cutting
spindle
thread t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514A (ko
Inventor
니이미기와무
야꾸시마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2004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38Arrangements for winding reserve lengths of yarn on take-up packages or spindles, e.g. transfer tai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16Yarn-severing arrangements, e.g. for cutting transfer tails; Separating of roving in fl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스핀들 기부에 남는 실 (실꼬리) 을 적게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스핀들 기부 (5b) 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5a) 에, 보빈 끼워넣음부 (9) 및 커터부 (10) 를 구비한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꼬리 절단부재 (8) 는 코일 스프링 (11) 에 의해 항상 스핀들 기부 (5b) 측에 탄성지지되어 있다. 도핑 정지시에, 링 레일이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의 맞닿음부 근방에 정지한다. 그리고, 상기 맞닿음부보다 약간 아래의 위치에 약 1 롤 이하로 실이 감긴 상태에서 스핀들 (1) 이 정지한다. 다음, 도핑장치에 의해 관사(管絲)가 뽑아 올려지고, 뽑아 올리는 도중까지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와 함께 상승되고,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관사로부터 트래벨러 (traveller) 에 연결되는 실이 유도된다. 그 후, 관사로부터 이탈된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실이 파지됨과 동시에, 커터부 (10) 에서 실이 절단된다.

Description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 {TAIL YARN-CUTTING METHOD AND DEVICE IN SPINNING MACHINE}
본 발명은 링 정방기, 링 연사기 등의 방적기에서의 도핑(doffing)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링 정방기, 링 연사기 등의 방적기에 있어서는, 만관(滿管)시에 관교체 작업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해, 관교체 후의 재기동시에 실을 공(空) 보빈에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도록, 롤러 파트에 연결되는 실이 트래벨러(traveller)를 통한 상태에서 스핀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종래 스핀들 기부에 실꼬리 절단부와, 그 하방에 실꼬리 롤부를 설치하고, 만관된 후, 링 레일을 급강하시켜 경사 롤을 행한 후, 실꼬리 롤부에 실을 감아, 만관사(滿管絲)의 인발시에 실꼬리 롤부로부터 만관사에 연결되는 실 (실꼬리) 을 실꼬리 절단부에서 절단하였다.
이 종류의 절단장치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48-93735 호에는, 절단 칼날을 갖는 실 지지장치에 보빈의 하부를 끼워맞추는 보빈 시트를 설치하여, 도핑시에 상기 실 지지장치를 만관사 (패키지) 와 함께 상승시키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2-141135 호에는, 실꼬리 롤부 (실꼬리 계류부) 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의 방향성을 갖는 보풀부분을 설치하고, 상기 보풀부분의 경사방향이 상이한 보풀을 교대로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158442 호에는, 실꼬리를 스핀들에 고정된 언더 와인딩 크라운과, 스핀들이 삽입고정된 와브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비된 윤활 슬리브로 파지하는 구성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도 6(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51) 의 보빈 끼워맞춤부 (52) 의 바로 아래에 언더와인딩 크라운 (53) 이 고정되어 있다. 와브 (54) 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비된 윤활 슬리브 (55) 에는, 상부에 수용 오목부 (56) 를 형성하기 위한 내 플랜지 (57a) 가 형성되고, 내 플랜지 (57a) 와 와브 (54) 의 상면 사이에 장치된 코일 스프링 (58) 에 의해, 윤활 슬리브 (55) 가 언더와인딩 크라운 (53) 측에 가압 탄성지지되어 있다. 내 플랜지 (57a) 보다 하방에는 외 플랜지 (57b) 가 형성되고, 외 플랜지 (57b) 상에 마모 링 (59) 이 배치되어 있다. 또, 링 레일 (60) 의 하면에는 마모 링 (59) 과 맞닿음이 가능한 돌기 (60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치에서는, 도핑시에 링 레일 (60) 이 실꼬리 롤위치까지 하강하는 도중에 돌기 (60a) 가 마모 링 (59) 과 맞닿은 후, 실꼬리 롤위치까지 하강한다. 그리고,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 레일 (60) 은 실꼬리 롤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마모 링 (59) 을 통하여 윤활 슬리브 (55) 를, 그 상단과 언더와인딩 크라운 (53) 의 하면 사이에 소정의 실꼬리 롤범위를 확보가능한 위치에 코일 스프링 (58)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실꼬리가 스핀들 (51) 에 3 ∼ 4 회 감긴 후, 관사 (61) 가 도핑되고, 도핑 도중에 관사 (61) 에 연결되는 실이 열단(裂斷)된다.
그리고, 공 보빈이 스핀들에 삽입된 후, 링 레일 (60) 이 감기 개시위치까지 상승되면, 윤활 슬리브 (55) 가 코일 스프링 (58)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언더와인딩 크라운 (53) 이 수용 오목부 (56) 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상승된다. 이 때, 실꼬리 롤범위에 감겨 있던 실꼬리는 수용 오목부 (56) 내에 지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48-93735 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158442 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도핑시에 모두 실꼬리를 스핀들에 수회 감기 때문에, 도핑한 후에 실꼬리 롤부에 남는 실이 많아진다. 그리고, 어느 경우라도 도핑을 반복할 때마다 잔사(殘絲)의 양이 증가되어, 잔사처리를 빈번하게 할 필요가 있다. 또, 실꼬리의 감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잔사를 제거하기 어렵다. 특히,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6-158442 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잔사를 도핑한 후에 수용 오목부 (56) 에 밀어 넣기 때문에, 잔사의 제거가 번거롭다.
한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62-141135 호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실꼬리 롤부에 특수한 구조의 실 파지부 (보풀부분) 를 설치했기 때문에, 실꼬리의 감는 길이는 약 1 롤 있으면 되고, 상기 두 종래기술에 비교하여 잔사의 양은 적어진다. 그러나, 특수한 실꼬리 롤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 제조가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스핀들 기부에 남는 실 (실꼬리) 을 적게 할 수 있는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제 2 목적은 상기 절단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실꼬리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 은, (a) 는 일 실시형태의 스핀들의 일부 파단 모식 측면도, (b) 는 실꼬리 절단부재의 장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도핑시의 작용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3 은 도핑시의 작용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4 는, (a) 는 다른 실시형태의 실꼬리 절단부재의 단면도, (b), (c) 는 다른 끼워맞춤력 증강수단의 단면도.
도 5 는, (a) 는 커터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모식 정면도, (b), (c) 는 다른 실시형태의 보빈 하부와 커터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 단면도.
도 6 은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핀들 4 : 베어링
5a : 블레이드 5b : 스핀들 기부
8 : 실꼬리 절단부재 9 : 보빈 끼워넣음부
10 : 커터부 11 : 규제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
12 : 스토퍼로서의 칼라 14 : 끼워맞춤력 증강수단으로서의 고무 링
15 : 링 레일 16 : 관사
17 : 트래벨러(traveller) 19 : 도핑장치(doffer)
20 : 자석 (마그네트) 22 : 스토퍼로서의 고정 링
B : 보빈 Y : 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보빈이 끼워넣어지는 보빈 끼워넣음부와, 이 보빈 끼워넣음부보다 하측에 설치된 커터부를 구비한 실꼬리 절단부재를 스핀들 기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그리고 스핀들 기부와의 사이에서 트래벨러 (traveller) 로부터 관사(管絲)에 연결되는 실을 파지가능하게 장비하고, 도핑 정지시에 링 레일을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의 근방에 정지시키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 이하의 위치에 실을 감은 상태에서 스핀들을 정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핑장치에 의해 관사를 뽑아 올리고, 뽑아 올리는 도중까지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를 관사와 함께 상승시키고, 이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 사이에 관사로부터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을 유도한 후, 관사로부터 이탈된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 사이에서 상기 실을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부에서 실을 절단한다.
이 발명에서는, 보빈은 그 하부가 실꼬리 절단부재의 보빈 끼워넣음부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스핀들에 장착된다. 도핑 정지시에, 종래와 동일한 동작으로 링 레일이 하강되고,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 근방에 정지한다. 그리고,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 이하의 위치에 실이 감긴 상태에서 스핀들이 정지한다. 다음, 도핑장치에 의해 관사가 뽑아 올려지고, 뽑아 올리는 도중까지 실꼬리 절단부재가 관사와 함께 상승되어,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 관사로부터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이 유도된다. 그 후, 관사로부터 이탈된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 상기 실이 파지됨과 동시에, 커터부에서 실이 절단된다.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의 단부는 다음 도핑까지,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 파지된다. 따라서, 다음 실을 감기 위해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을 스핀들에 고정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복잡한 실 파지부를 설치하지 않아도 짧게 할 수 있다. 또,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 파지된 실꼬리는, 그 다음 도핑시에 관사에 연결되어 스핀들로부터 이탈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링 레일이 소정 위치에 정지한 후,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 이하의 위치에 약 1 롤 이하의 실을 감은 상태에서 스핀들이 정지된다. 이 발명에서는, 도핑시에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 파지되는 실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고, 그 다음 도핑시에 상기 실이 확실하게 관사에 연결되어 스핀들로부터 이탈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 사이에,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상기 관사와 함께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설치되고, 관사가 소정 높이보다 위로 뽑아 올려졌을 때에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관사로부터 이탈된다. 이 발명에서는, 도핑시에 관사에 끼워맞춰져 상승되는 실꼬리 절단부재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규제수단에 의해 실꼬리 절단부재의 상승이 규제되고, 실꼬리 절단부재가 관사로부터 확실하게 이탈되어, 관사로부터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을 파지하는 상태가 된다.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핑장치에 의해 관사가 뽑아 올려진 스핀들에 공(空) 보빈이 삽입된 후, 실감기가 재개되는 방적기에 있어서, 스핀들 기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에, 보빈이 끼워넣어지는 보빈 끼워넣음부와, 이 보빈 끼워넣음부보다 하측에 설치된 커터부를 구비한 실꼬리 절단부재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를 항상 상기 스핀들 기부와 맞닿게 하여 이 스핀들 기부와의 사이에서 실꼬리를 파지가능하게 하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도핑시에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상기 스핀들 기부와 맞닿는 위치보다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하였다. 이 발명의 장치에서는, 청구항 3 의 발명과 동일한 작용으로 도핑시에, 관사로부터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을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서 파지함과 동시에, 관사측에서 실을 절단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의 내측 하부와, 상기 블레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토퍼 사이에 장치되고, 실꼬리 절단부재를 항상 스핀들 기부측에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다. 이 발명에서는, 실꼬리 절단부재는 스프링의 탄성지지력에의해 스핀들 기부와의 사이에서 실을 확실하게 파지한다. 또, 도핑시에 실꼬리 절단부재가 소정 위치까지 상승되어, 관사로부터 이탈되어 낙하할 때, 재빠르게 스핀들 기부와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여 실을 파지할 수 있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블레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맞닿음으로써 이 실꼬리 절단부재의 상승을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이 발명에서는, 실꼬리 절단부재의 상승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스핀들 기부측에 실꼬리 절단부재를 압접하기 위해, 기부 또는 실꼬리 절단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에 마그네트를 갖는다. 이 발명에서는, 실꼬리 절단부재가 스핀들 기부와 맞닿는 위치에 있어서, 마그네트의 흡인력에 의해 스핀들 기부측에 압접되어,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 사이에서 실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빈 끼워넣음부에는 보빈과의 끼워맞춤력을 높이기 위한 끼워맞춤력 증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발명에서는, 도핑시에 실꼬리 절단부재가 확실하게 관사와 함께 소정 높이까지 상승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를 도 1 ∼ 도 3 에 따라 설명한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1) 은 스핀들 레일 (2) 에 고정된 볼스터 (3) 에 베어링 (4) 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핀들 (1)은 블레이드부 (5) 와, 블레이드부 (5) 의 하측 중심부에 고착된 스핀들 축 (6) 을 구비하고, 스핀들 축 (6) 이 볼스터 (3) 에 삽입된 상태로 볼스터 (3)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블레이드부 (5) 는, 보빈 (B) 이 장착되는 블레이드 (5a) 와, 블레이드 (5a) 의 하측에 형성되고 블레이드 (5a) 보다 직경이 큰 스핀들 기부 (5b) 와, 스핀들 기부 (5b) 의 하측에 형성된 벨트 걸기부 (5c)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부 (5) 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제로, 스핀들 축 (6) 은 블레이드부 (5) 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블레이드 (5a) 의 상부에는, 보빈 (B) 을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걸기 위한 계지부재 (예컨대 버튼 칩) (7) 가 장비되어 있다.
스핀들 기부 (5b) 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 (5a) 에는,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꼬리 절단부재 (8) 는 보빈 (B) 이 끼워넣어지는 보빈 끼워넣음부 (9) 와, 보빈 끼워넣음부 (9) 보다 하측에 설치된 커터부 (10) 를 구비하고 있다. 보빈 끼워넣음부 (9) 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내측에 코일 스프링 (11) 을 수용하는 오목부 (9a) 가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 (5a) 에는,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스핀들 기부 (5b) 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그 하부가 보빈 끼워넣음부 (9) 의 상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스토퍼로서의 칼라 (12) 가 고정되어 있다. 칼라 (12) 의 외경은 오목부 (9a) 의 내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고, 실꼬리 절단부재 (8) 는 칼라 (12) 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보빈 끼워넣음부 (9) 는 그 외경이 상측일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11) 은, 하단이 오목부 (9a) 의 하단에 맞닿고, 상단이 칼라 (12) 의 하단에 맞닿은 상태로 오목부 (9a) 내에 수용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 (11) 은, 실꼬리 절단부재 (8) 를 항상 스핀들 기부 (5b) 측에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구성한다. 또, 코일 스프링 (11) 은,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스핀들 기부 (5b) 와 맞닿는 위치보다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구성한다.
커터부 (10) 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칼날의 선단의 직경이 보빈 (B) 의 하단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보빈 끼워넣음부 (9) 의 하부 외주면에는 환상의 홈 (13) 이 형성되고, 홈 (13) 내에는 일부가 홈 (13) 의 밖으로 나온 상태로 고무 링 (14) 이 수용되어 있다. 고무 링 (14) 은 보빈 끼워넣음부 (9) 와 보빈 (B) 의 끼워맞춤력을 높이기 위한 끼워맞춤력 증강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보빈 (B) 은 그 하부가 실꼬리 절단부재 (8) 의 보빈 끼워넣음부 (9) 에 끼워맞춰지고, 상부가 계지부재 (7) 에 걸어맞춰진 상태로 스핀들 (1) 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벨트 걸이부 (5c) 에 압접되는 도시하지 않은 벨트를 통하여 스핀들 (1) 이 회전되고, 보빈 (B) 이 스핀들 (1) 과 일체로 회전된다.
방출(紡出)이 계속되어 만관이 되면, 소정의 정지동작이 이루어지고, 종래와 동일한 동작으로 링 레일 (15) 이 급강하되어, 스핀들 (1) 에 장착되어 있는 관사(만(滿) 보빈) (16) 에 경사 롤 (16a) 이 실시된다. 그 후, 링 레일 (15) 은,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의 맞닿음부 근방에 정지하고, 링 레일 (15) 상의 트래벨러 (17) 는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의 맞닿음부보다 약간 하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의 맞닿음부보다 약간 하측의 위치에 약 1 롤의 실이 감긴 상태가 되도록 브레이크가 걸려 스핀들 (1) 이 정지된다. 다음, 래핏 (18) 이 도핑에 지장이 되지 않는 퇴피위치에 배치되어, 도 2(a)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다음,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핑장치 (19) 에 의해 관사 (만 보빈) (16) 가 뽑아 올려진다. 뽑아 올리는 도중까지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 (16) 와 함께 상승되고,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관사 (16) 로부터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 (Y) 이 유도된다. 도 2(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스핀들 기부 (5b) 에 감긴 상태의 실 (Y) 은, 관사 (16) 와 함께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상승되면, 블레이드 (5a) 의 외면을 따라 이동한다.
관사 (16) 와 함께 상승되는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소정의 높이까지 도달하면, 코일 스프링 (11) 의 탄성지지력에 의해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 (16) 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스핀들 기부 (5b) 와 맞닿는 위치까지 하강하고, 관사 (16) 로부터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 (Y) 이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된다. 관사 (16) 는 계속 상승되고 있기 때문에, 실 (Y) 이 커터부 (10) 에 긴장상태로 압접되어 절단되어, 도 3(a) 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 (16) 로부터이탈되어 하강하는 도중에, 커터부 (10) 에 의해 실 (Y) 이 절단되더라도, 실꼬리 절단부재 (8) 는 관사 (16) 로부터 이탈된 후, 순간적으로 스핀들 기부 (5b) 와 맞닿는 위치까지 낙하되므로, 실 (Y) 은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된다.
관사 (16) 가 도핑되어 도 3(b) 의 상태가 된 후, 공 보빈 (B) 이 스핀들 (1) 에 삽입되고, 래핏 (18) 이 권취 위치로 회전운동하여 배치된 후, 기대(機臺)가 재기동된다.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 (Y) 의 단부는 다음 도핑까지,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된다. 그리고,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된 실꼬리는, 그 다음의 도핑시에 관사 (16) 에 연결되어 스핀들 (1) 로부터 이탈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1) 도핑시에, 커터부 (10) 를 구비한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 (16) 와 함께 상승된 후, 하강함으로써, 관사 (16) 로부터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 (Y) 이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됨과 동시에, 커터부 (10) 에 의해 절단된다. 따라서, 스핀들 (1) 에 실꼬리를 감아 파지하는 종래의 장치와 달리 실꼬리를 수차례 감을 필요가 없고, 또 특수한 실꼬리 롤부를 형성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스핀들 기부에 남는 실 (실꼬리) 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된 실꼬리는, 그 다음의 도핑시에 관사 (16) 에 연결되어 스핀들 (1) 로부터 이탈된다.
(2)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 (16) 와 함께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 (코일 스프링) (11) 이 설치되고, 관사 (16) 가 소정 높이보다 위로 뽑아 올려졌을 때에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관사 (16) 로부터 이탈된다. 따라서, 도핑시에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소정의 높이에 도달하면, 관사 (16) 로부터 확실하게 이탈되어, 관사 (16) 로부터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을 파지하는 상태가 된다.
(3)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코일 스프링 (11) 에 의해 항상 스핀들 기부 (5b) 측에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꼬리 절단부재 (8) 는 스핀들 기부 (5b) 에 맞닿은 상태로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 (Y) 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 보빈 끼워넣음부 (9) 가 보빈 (B) 으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코일 스프링 (11) 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므로, 실꼬리 절단부재 (8) 의 낙하 도중에 실 (Y) 이 절단되더라도,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재빠르게 스핀들 기부 (5b) 와 맞닿는 위치에 도달하여 실 (Y) 을 파지할 수 있다.
(4) 보빈 끼워넣음부 (9) 에는 보빈 (B) 과의 끼워맞춤력을 높이기 위한 끼워맞춤력 증강수단 (고무 링 (14)) 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꼬리 절단부재가, 코일 스프링 (11) 의 탄성지지력에 대항하여, 확실하게 관사 (16) 와 함께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될 수 있다.
실시형태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해도 된다.
ㆍ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의 맞닿음부 이하의 위치에 감기는 실의 길이는, 1/3 ∼ 1/2 롤이 최적이다. 이 경우, 실꼬리 절단부재 (8)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된 실꼬리는, 그 다음의 도핑시에 관사 (16) 에 연결되어 스핀들 (1) 로부터 보다 이탈이 용이해진다.
ㆍ 실꼬리 절단부재 (8) 가 스핀들 기부 (5b) 와 맞닿는 상태에 있어서, 실꼬리 절단부재 (8) 를 스핀들 기부 (5b) 측에 탄성지지하는 지지수단으로서, 스프링 대신 자석 (마그네트) 을 이용해도 된다. 예컨대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기부 (5b) 의 상면에 자석 (20) 을 매설하고, 실꼬리 절단부재 (8) 의 저부 하면에 자성재 (예컨대 철) (21) 를 고정한다. 스핀들 기부 (5b) 및 실꼬리 절단부재 (8) 의 양측에 자석을 설치하거나, 실꼬리 절단부재 (8) 측에 자석, 스핀들 기부 (5b) 측에 자성재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서 실 (Y) 을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보빈 끼워넣음부 (9) 에 오목부 (9a) 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실꼬리 절단부재 (8) 의 상승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으로서, 스토퍼로서의 고정 링 (22) 을 블레이드 (5a) 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면 된다. 실꼬리 절단부재 (8) 는 관사 (16) 와 함께 상승중에 고정 링 (22) 과 맞닿음으로써, 관사 (16) 로부터 이탈된다.
ㆍ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서 실을 확실하게 파지하는 수단으로서, 실꼬리 절단부재 (8) 를 스핀들 기부 (5b) 측에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 대신, 실꼬리 절단부재 (8) 및 스핀들 기부 (5b) 의 맞닿음면의 적어도 한쪽을 조면(粗面)으로 하여, 마찰저항을 크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다음의 실감기시에, 실꼬리 절단부재 (8) 및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되어 있는 실 (Y)이 인장되더라도, 실꼬리 절단부재 (8) 및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서 빠지기 어렵게 된다.
ㆍ 끼워맞춤력 증강수단은 고무 링 (14) 에 한정되지 않고, 판상 또는 선상의 스프링재를 사용해도 된다. 스프링재는 완전한 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가 노칭된 링 형상이라도 된다. 또,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끼워넣음부 (9) 의 외면에 형성한 오목부 (9b) 내에 원호부가 돌출되도록 스프링재 (23) 를 수용해도 된다. 또, 도 4(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24) 으로 탄성지지된 버튼 (25) 을 설치해도 된다.
ㆍ 커터부 (10) 는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톱니모양이라도 된다. 또,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환상의 칼날체 (26) 를 별체로 하고, 칼날체 (26) 의 고정하는 다수의 코킹부 (27) 를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ㆍ 커터부 (10) 의 외경을 보빈 (B) 의 저부 외경보다 작게 해도 된다. 예컨대,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B) 의 하단부가 팽출한 형상으로 하거나, 도 5(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빈 (B) 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커터부 (10) 의 외경을 작게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도핑시에 관사 (16) 로부터 트래벨러 (17) 에 연결되는 실 (Y) 이, 실꼬리 절단부재 (8) 와 스핀들 기부 (5b) 사이에 파지되기 전에 절단될 우려가 없다.
ㆍ 스핀들 (1) 의 구동방식은 벨트 구동에 한정되지 않고, 각 추마다 모터를 설치하는, 소위 단일 추(單錘)구동방식이라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발명 (기술적 사상) 에 대해, 이하에기재한다.
(1) 청구항 4 ∼ 청구항 6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상기 스핀들 기부와 맞닿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 실꼬리 절단부재를 스핀들 기부측에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2) 청구항 1 ∼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 사이에서 실을 확실하게 파지하므로, 실꼬리 절단부재 및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면의 적어도 한쪽을 조면으로 하였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 ∼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스핀들 기부에 남는 실 (실꼬리) 을 적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보빈이 끼워넣어지는 보빈 끼워넣음부와, 이 보빈 끼워넣음부보다 하측에 설치된 커터부를 구비한 실꼬리 절단부재를 스핀들 기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를 따라 승강가능하게, 그리고 스핀들 기부와의 사이에서 트래벨러 (traveller) 로부터 관사에 연결되는 실을 파지가능하게 장비하고, 도핑 정지시에 링 레일을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의 근방에 정지시키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 이하의 위치에 실을 감은 상태에서 스핀들을 정지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핑장치에 의해 관사를 뽑아 올리고, 뽑아 올리는 도중까지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를 관사와 함께 상승시키고, 이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 사이에 관사로부터 트래벨러에 연결되는 실을 유도한 후, 관사로부터 이탈된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스핀들 기부 사이에서 상기 실을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커터부에서 실을 절단하는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레일이 소정 위치에 정지한 후,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스핀들 기부의 맞닿음부 이하의 위치에 약 1 롤 이하의 실을 감은 상태에서 스핀들이 정지되는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 사이에,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상기 관사와 함께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이 설치되고, 관사가 소정 높이보다 위로 뽑아 올려졌을 때에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관사로부터 이탈되는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4. 도핑장치에 의해 관사가 뽑아 올려진 스핀들에 공 보빈이 삽입된 후의 기대 재기동시에, 자동적으로 실감기가 행해지는 방적기에 있어서,
    스핀들 기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블레이드에, 보빈이 끼워넣어지는 보빈 끼워넣음부와, 이 보빈 끼워넣음부보다 하측에 설치된 커터부를 구비한 실꼬리 절단부재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를 항상 상기 스핀들 기부와 맞닿게 하여 이 스핀들 기부와의 사이에서 실꼬리를 파지가능하게 하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상기 블레이드 사이에, 도핑시에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가 상기 스핀들 기부와 맞닿는 위치보다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수단을 설치한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의 내측 하부와, 상기 블레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토퍼 사이에 장치되고, 실꼬리 절단부재를 항상 스핀들 기부측에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인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블레이드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실꼬리 절단부재와 맞닿음으로써 이 실꼬리 절단부재의 상승을 규제하는 스토퍼인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스핀들 기부측에 실꼬리 절단부재를 압접하기 위해, 기부 또는 실꼬리 절단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방에 마그네트를 갖는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장치.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끼워넣음부에는 보빈과의 끼워맞춤력을 높이기 위한 끼워맞춤력 증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장치.
KR10-2001-0067186A 2000-12-07 2001-10-30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 KR100436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72801 2000-12-07
JP2000372801A JP4284863B2 (ja) 2000-12-07 2000-12-07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方法及び尻糸切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514A KR20020045514A (ko) 2002-06-19
KR100436461B1 true KR100436461B1 (ko) 2004-06-22

Family

ID=1884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186A KR100436461B1 (ko) 2000-12-07 2001-10-30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13381B1 (ko)
JP (1) JP4284863B2 (ko)
KR (1) KR100436461B1 (ko)
CN (1) CN1265041C (ko)
DE (1) DE60122850T2 (ko)
TW (1) TW5070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7249B2 (ja) 2003-05-13 2007-11-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装置
JP4001052B2 (ja) * 2003-05-13 2007-10-3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紡機における玉揚げ時の糸切断方法
JP2005336662A (ja) * 2004-05-27 2005-12-08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における残糸除去方法
KR100713011B1 (ko) * 2005-05-31 2007-04-30 이영희 카라기난을 포함하는 액상커피 및 그 제조방법
JP2007284823A (ja) * 2006-04-17 2007-11-01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方法
JP2007303037A (ja) * 2006-05-12 2007-11-22 Toyota Industries Corp 紡機における尻糸把持装置
ITMI20072207A1 (it) * 2007-11-21 2009-05-22 Savio Macchine Tessili Spa Dispositivo e procedimento per la finitura delle spole da alimentare dai filatoi ad anello alla roccatura automatica
WO2012138245A1 (ru) * 2011-04-07 2012-10-11 Kurkov Vladimir Vasilievich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нити на веретене перед съёмом
DE102018132484A1 (de) * 2018-12-17 2020-06-18 Saurer Technologies GmbH & Co. KG Spinnspulenträger für eine Zwirnmaschine
CN113430683A (zh) * 2021-07-13 2021-09-24 湖北天门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制造便于寻头管纱的细纱机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3735A (ko) * 1972-02-26 1973-12-04
JPS62141135A (ja) * 1985-12-13 1987-06-24 Toyoda Autom Loom Works Ltd リング精紡機用スピンドル
KR880009151A (ko) * 1987-01-21 1988-09-14 도요다 요시도시 방적기등에 있어서의 정지방법
KR900003450A (ko) * 1988-08-31 1990-03-26 구니미쓰 오다와라 정방기, 연사기등에 있어서의 실끝 처리장치
JPH073547A (ja) * 1993-06-16 1995-01-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紡機の玉揚げ方法及び装置
JPH1077530A (ja) * 1996-08-30 1998-03-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10057C3 (de) * 1967-12-01 1978-09-21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erfahren und Abreißvorrichtung zum Abreißen von Garnen oder Zwirnen
DE4225964A1 (de) * 1992-08-06 1994-02-10 Rieter Ag Maschf Spinnvorrichtung
EP0949366B1 (de) * 1998-04-09 2003-05-07 Zinser Textilmaschinen GmbH Vorrichtung zum Klemmen eines Unterwindefadens an der Spindel einer Ringspinnmaschine oder Ringzwirnmaschi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93735A (ko) * 1972-02-26 1973-12-04
JPS62141135A (ja) * 1985-12-13 1987-06-24 Toyoda Autom Loom Works Ltd リング精紡機用スピンドル
KR880009151A (ko) * 1987-01-21 1988-09-14 도요다 요시도시 방적기등에 있어서의 정지방법
KR900003450A (ko) * 1988-08-31 1990-03-26 구니미쓰 오다와라 정방기, 연사기등에 있어서의 실끝 처리장치
JPH073547A (ja) * 1993-06-16 1995-01-0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紡機の玉揚げ方法及び装置
JPH1077530A (ja) * 1996-08-30 1998-03-2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4863B2 (ja) 2009-06-24
KR20020045514A (ko) 2002-06-19
CN1265041C (zh) 2006-07-19
EP1213381A3 (en) 2003-01-29
TW507030B (en) 2002-10-21
CN1357657A (zh) 2002-07-10
DE60122850D1 (de) 2006-10-19
EP1213381B1 (en) 2006-09-06
DE60122850T2 (de) 2007-04-12
JP2002173837A (ja) 2002-06-21
EP1213381A2 (en) 200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461B1 (ko) 방적기에서의 실꼬리 절단방법 및 실꼬리 절단장치
US3283489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yarn package
JP2007284823A (ja) 紡機における尻糸切断方法
US3210922A (en) Thread cutting apparatus for spinning frames or the like
KR100610142B1 (ko) 방사기에서의 실끝 절단장치
JP2005112632A (ja) 巻き取り装置
CN100415968C (zh) 用于在纺纱机中去除多余纱线的方法
CN201217728Y (zh) 夹纱式环锭纺留尾纱装置
CN109023611B (zh) 自由端型纺纱机
TW201804037A (zh) 紗線夾持裝置
US2625336A (en) Textile spindle
US4941314A (en) Apparatus for treating tail yarn in textile spindle assembly
EP0284846B1 (en) Method to wind down a yarn package and device to perform the method
CN101070652B (zh) 纺纱机中的尾纱握持装置
GB1563233A (en) Spindle with underwind crown for cord twisting frame
JP4001052B2 (ja) 紡機における玉揚げ時の糸切断方法
JP2004339642A (ja) リング精紡機における玉揚げ停止時の運転方法及び玉揚げ時の糸切断方法
US745466A (en) Yarn controller and separator for ring-spinning frames.
CN220564805U (zh) 一种基于细纱集落使用的锭盘
US2827244A (en) Winding machine and method
US2541802A (en) Spindle for use in textile machines
JPS63295726A (ja) 精紡機、撚糸機等における尻糸処理装置
EP0112304B1 (en) Ring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cop-removal device
US2938676A (en) Top drive spinning spindle
GB2282150A (en) Forming underwinding in spinning or twis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