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157B1 - 세탁기, 표시 조작 패널 및 이 표시 조작 패널을 구비한가전 기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표시 조작 패널 및 이 표시 조작 패널을 구비한가전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157B1
KR100421157B1 KR10-2001-0023180A KR20010023180A KR100421157B1 KR 100421157 B1 KR100421157 B1 KR 100421157B1 KR 20010023180 A KR20010023180 A KR 20010023180A KR 100421157 B1 KR100421157 B1 KR 10042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item
wash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0039A (ko
Inventor
오오따요시히로
고이께도시후미
나가노요오스께
다까기시가쯔후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70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0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4Time settin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유로이 표시 조작 패널의 레이아웃과 세탁 동작을 변경할 수 있는 사용 편의성이 좋은 세탁기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표시 배치 구조에 의거하여, 투명한 압력식 터치 패널을 실제 장착한 표시 수단의 표시면 상에,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ID = 0 내지 9)을 배치 표시하여 표시 및 압박에 의한 조작 지시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 조작 수단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세탁기, 표시 조작 패널 및 이 표시 조작 패널을 구비한 가전 기기{WASHER, DISPLAY OPERATING PANEL AND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유로이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는 표시 조작 패널과 이를 탑재한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세탁기에서는 세탁 순서를 모두 자동적으로 행하는 전자동 세탁기가 주류이며, 사용자가 개시 버튼을 누르면 투입된 세탁물량을 세탁기가 판단하여 필요한 물을 급수하고, 미리 세탁기에 준비되어 있는 표준적인 조건으로 세탁, 탈수를 행한다. 그러나 세탁물에 따라서는 일률적인 세탁으로는 행하지 않는 것도 있으며, 이 때문에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세탁 코스를 선택하는 복수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준 조건으로 세탁을 행하는 표준 코스라 하더라도, 통상, 세탁 시간, 헹굼 횟수, 탈수 시간 등을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세탁기에 많은 기능이 추가되는 데 수반하여, 표시 및 조작을 행하는 표시 조작 패널 상의 좁은 면적 내에는, 많은 조작 버튼과 작은 인쇄 문자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문자의 판독이나 조작 버튼의 조작이 어렵게 되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종래 기술로서, 일본 특허 공개 평9-84989호 공보에 기재된 세탁기가 있다. 이 세탁기에는 액정 표시기 위에 터치 패널을 배치한 표시 조작 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기에는 지시 조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표시와 지시 조작에 관한 현재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 표시가 표시된다. 안내 표시와 상태 표시의 형상, 크기, 표시 위치는 액정 표시기에 표시되는 화면마다 결정되어 있으며, 액정 표시기의 전체 표시 영역에 대한 화면 데이터가 각 화면마다 안내 표시와 상태 표시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여 준비되어 있다. 사용자는 안내 표시를 터치함으로써 각 화면 데이터를 절환하고, 그곳에 표시되는 복수의 키 영역 중에서 희망하는 세탁 조건 등을 설정하는 키 영역(설정 항목 표시)을 터치함으로써, 세탁 조건 등을 설정해 간다.
이것은 소위 메뉴 입력 방식이며, 페이지를 넘기도록 차례차례로 화면을 절환하여 필요한 화면에 도달하게 되면, 그곳에 표시되는 설정 항목 표시를 터치함으로써 세탁의 동작, 세탁 조건 등을 입력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액정 표시기의 전체 표시 영역에 대한 화면 데이터를 각 화면마다 복수개 준비하므로, 이를 기억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용량은 커지게 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되는 메모리 용량으로는 충족되지 않아 고가의 외부 기억 메모리가 필요해진다.
또한 안내 표시나 상태 표시의 표시 형상, 크기, 위치는 미리 결정되어 있으며, 후일 새로운 세탁 기능이 추가된 경우에 이를 추가 표시하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다. 또한, 표시 문자나 키 영역을 크게 표시하도록 변경하거나, 하나의 화면 중에서 불필요해진 표시나 키 영역을 삭제하는 것도 용이하지는 않다.
이러한 표시나 키 영역의 변경 요구는 사용자가 고령화 됨에 따라 문자의 판독이 어려워지는 경우, 안내 표시나 상태 표시의 배치 디자인을 원하는대로 변경하고 싶어지는 경우, 또한 오른손잡이, 왼손잡이의 문제로 인해 배치를 대조 반전시키고 싶다고 하는 경우 등이 있다.
또한 세탁기에는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기능이 준비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미리 준비된 모든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조작 패널 상에, 사용하지 않는 기능에 대해서도 표시를 행하거나 키 영역을 마련하는 것은 표시 조작 패널의 표시 면적을 유효하게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고,또한 기능의 선택(지시 조작)을 복잡하게 하거나, 잘못된 조작을 초래하거나, 사용자를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한해서 표시나 키 영역의 설정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관련된 일련의 표시나 키 영역의 설정이 모순 없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조작 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표시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하나의 화면 내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의 일부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통해 사용자의 요망에 맞는 표시 조작 패널을 실현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좋은 세탁기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세탁기의 외관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세탁기의 종단면도.
도3은 전방부 조작 상자의 평면도.
도4는 전방부 조작 상자의 단면도.
도5는 압력식 터치 패널의 평면도.
도6은 압력식 터치 패널의 단면도.
도7은 세탁 공정 제어부의 전기 접속 블록도.
도8은 제1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블록도.
도9는 표시 조작 제어부의 전기 접속 블록도.
도10은 제2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블록도.
도11은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데이터 구조.
도12는 표시 조작 제어부와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억부의 상세도.
도13은 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도.
도15는 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의 상세 부품 아이템 데이터 구조.
도16은 액션 스크립트의 예.
도17은 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화상.
도18은 제2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도19는 제2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수목 구조.
도20은「세탁수」아이템 화상 데이터.
도21은 제3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도22는 제3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수목 구조.
도23은「기호 선택」아이템 화상 데이터.
도24는 제4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도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표시 조작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
도26은 제1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 실시예의 상세도.
도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마이크로 컴퓨터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28은 신세제 대응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도29는 신세제 대응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수목 구조도.
도30은 제2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 실시예의 상세도.
도31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의 세탁기.
도32는 세탁기의 가정내 LAN으로의 접속도.
도33은 호스트의 구성도.
도34는 게이트 웨이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부 프레임
2 : 톱 커버
2d : 전방부 수납 상자
3 : 표시 조작 패널
3a : 압력식 터치 패널
3b : 액정 패널
3c : 배면광
15 : 전원 스위치
16 : 표시 조작 패널 선택 스위치
35 : 제1 마이크로 컴퓨터
35a : 양 방향 통신부
35b : 공정 제어부
35b-1 : 시퀀스 제어부
35b-4 : 센서 입력부
35b-5 : 시퀀스 데이터 기억부
40 : EEPROM
41, 46, 85 : 양 방향 통신 회로
45 : 제2 마이크로 컴퓨터
45a : 양 방향 통신부
45b : 표시 조작부
45b-1 : 표시 조작 제어부
45b-2 : 좌표 데이터 입력부
45b-3 : 액정 패널 구동부
45b-4 :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억부
45b-5 : 선택 스위치 입력부
45b-6 : 조도 센서 입력부
45b-7 : 광원 구동부
45b-8 : 부저 구동부
45b-9 : 플래시 메모리 입출력부
45b-1-1 :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
45b-1-3 : 공정 정보 해석부
45b-1-6 : 좌표 검색부
45b-1-7 : 아이템 관리부
45b-1-8 : 터치 영역 테이블
45b-1-9 :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
45b-1-10 : 수목 구조 테이블
45c : 외부 데이터 입력부
47 : 조도 센서
60 : 비접촉 데이터 판독 회로
60a :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
60c : 수신 코일
61 : 플래시 메모리
62 :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기입 장치
80 : 외부 통신부
81 : 제3 마이크로 컴퓨터
82 : 외부 통신 회로
83 : 기기 정보 메모리
84 : 암호 해독 회로
86 : 제조 번호 표시 스위치
90 : 세탁기
91 : 가정내 LAN
92 : 게이트 웨이
93 : 인터넷
94 : 호스트
압력식 터치 패널을 표시면 상에 배치한 표시 조작 패널에 표시하는 각 항목을 부품(표시 화상 부품)으로서 취급한다.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의 관계를 표시 배치 구조로서 지정한다. 이 표시 배치 구조는, 구체적으로는 각 표시 화상 부품의 종속 관계와 병렬 관계를 지정하는 수목 구조를 기술하도록 하면 좋다.
각 표시 화상 부품에 대해서는 그 표시와 동작에 관한 정보를 지정해 둔다. 표시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표시 위치, 크기,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 등의 화상 데이터 정보와 구체적인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 구성하면좋다. 동작에 관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키 영역(터치 영역)을 갖는 항목(표시 화상 부품)은 표시에 관한 정보와 함께 터치 영역의 위치, 크기의 터치 영역 정보 및 동작을 지시하는 액션 스크립트로서 기술하면 좋다.
복수의 표시 배치 구조를 준비해 두고, 어느 하나의 표시 배치 구조를 선택함으로써, 표시 조작 패널 상에 원하는 표시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각 표시 배치 구조에서 공통된 표시 화상 부품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정보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 또한 표시 배치 구조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혹은 다른 표시 화상 부품을 준비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표시 조작 패널 상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 배치 구조나 표시 화상 부품은 미리 준비한 것 외에, 다음에 추가, 삭제 또는 수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 후일에 다른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표시 조작 패널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최신 표시를 행하거나, 새로운 세제, 의료에 적합한 세탁 및 탈수 동작을 지정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세탁기의 외관도이며, 도2는 도1의 A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외장은 강철로 된 외부 프레임(1)과 그 상부에 부착된 톱 커버(2)에 의해 구성된다.
톱 커버(2)는 덮개(2a)와, 세탁수를 투입하는 투입구(2b)와, 주로 급수에 관련된 부품을 수납하는 후방부 수납 상자(2c)와, 주로 전기 부품을 수납하는 전방부 조작 상자(2d)로 구성된다. 표시 조작 패널(3)과 전원 스위치(15),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선택 스위치(16)(이하 선택 스위치라 약칭하는 경우가 있음)는 전방부조작 상자(2d)의 상면에 배치된다.
물 받침 조인 외조(4)는 외부 프레임(1)의 상부 네 구석으로부터 현수봉(5a) 및 코일 스프링이나 미끄럼 이동 링으로 이루어지는 방진 장치(5b)에 의해 외부 프레임(1) 내에 현수 상태로 지지되고, 세탁 공정에서의 세탁수 및 헹굼 공정에서의 헹굼수(이하, 세탁수라 부름)를 저장한다. 외조(4) 내에는 스테인레스로 된 세탁 겸 탈수조(6)(이하, 세탁조라 부름)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세탁조(6) 측면에는 다수의 탈수 구멍(6a)을 마련하고, 상부 모서리부에는 균형 장치(6b)를 설치한다. 또한 세탁조(6)의 중앙 바닥부에는 회전 날개(7)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외조(4)의 바닥면 외측에는 지지판(8)이 부착되어 있으며, 지지판(8)에는 구동 장치(9)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 장치(9)는 내측 회전자형의 DC 무브러시 모터(9a)와, 기어 감속 기구와 클러치 기구가 조립된 동력 전달 장치(9b)로 구성된다. 동력 전달 장치(9b)의 하측에는 DC 무브러시 모터(9a)가 배치되고, 동력 전달 장치(9b)의 입력축은 DC 무브러시 모터(9a)의 회전축(회전자)에 체결된다. 동력 전달 장치(9b)는 동축의 2개의 출력축을 갖고, 장치 내의 클러치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그 한쪽에만 DC 무브러시 모터(9a)의 회전이 전달된다. 동력 전달 장치(9b)의 2개의 출력축은 외조(4)의 바닥벽을 수밀 상태로 관통하여 외조(4) 내로 돌출하고, 각각 회전 날개(7) 및 세탁조(6)와 연결되어 있다. 구동 장치(9)는 세탁 공정 및 헹굼 공정시에는 세탁조(6)를 정지시키고, 동력 전달 장치(9b)의 기어 감속 기구에 의해 DC 무브러시 모터(9a)의 회전을 감속시켜 회전 날개(7)를 시계 방향(정) 및 반시계 방향(역)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탈수 공정시에는 기어 감속 기구에 의해 감속하는 일 없이 DC 무브러시 모터(9a)의 회전을 세탁조(6)에 전달하여, 이것을 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외조(4) 바닥면에는 세탁용수의 배수를 행하는 배수 밸브(13)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수 밸브에 접속한 배수 호스(14)로 세탁용수를 세탁기 밖으로 배출한다.
도3에 전방부 조작 상자(2d) 상면의 상세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부품인 표시 조작 패널(3)이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우측 단부에 전원 스위치(15), 표시 조작 패널(3)의 바로 인접한 우측에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선택 스위치(16)가 배치된다. 이 표시 조작 패널(3)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부 조작 상자(2d)의 전방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면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약 세로 60 ㎜ × 가로 240 ㎜의 유효 표시 및 압박 검출 영역을 갖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4에 도3 중의 AA선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표시 조작 패널(3)은 최상면에 지시 조작을 행하는 압력식 터치 패널(3a)과 그 바로 아래에 패널형으로 형성되어,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액정 패널, 특히 칼라 표시가 가능한 구동 회로를 주변에 갖는 매트릭스식 액정 표시 패널(3b)로 구성된다. 이 액정 표시 패널(3b)의 하부에는 냉열 음극관 등으로 구성되는 광원(3c-1), 광원의 빛을 액정 패널 전체 배면으로 유도하는 도광로판(3c-2), 전반사막과 반투과막이 스트라이프 혹은 격자형으로 배치되는 반사판(3c-3)으로 구성되는 배면광(3c)이 배치된다. 이들 3개는 일체로 형성되어, 전방부 조작 상자(2d)의 내측에 밀봉재(3d)에 의해 내부로의물방울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여 고정된다. 이 표시 조작 패널(3)의 하부에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표시 조작 제어부 기판(17), 그 하부에 제1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세탁 공정 제어부 기판(18)이 배치된다.
도5에 압력식 터치 패널(3a)의 평면도, 도6에 일부(도5 중 AA선으로 도시함)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압력식 터치 패널(3a)은 투명 전극(3a-1)이 배치되는 투명 패널(3a-2)을 2매, 투명 전극(3a-1)이 대향하여 투명 전극 끼리가 매트릭스형이 되도록 복수의 투명 탄성체 스페이서(3a-3)를 삽입하여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면 중 세로 방향의 투명 전극을 X 전극, 가로 방향의 투명 전극이 Y 전극이 된다. 이들의 투명 탄성체 스페이서는 투명 전극 끼리의 4개 교점의 대략 중심에 배치된다.
한쪽의 투명 패널 상의 주변에는 압박에 의해 X, Y 전극이 폐쇄된 위치를 주사하는 X 좌표, Y 좌표의 주사 회로(3a-4, 3a-5)와 이 압박 위치 정보(X, Y 좌표)를 출력하는 좌표 출력 회로(3a-6)가 배치된다. 이로 인해 주변에 압박 불감 영역이 발생한다. 도5 중, 일점 쇄선으로 둘러싸는 영역이 유효 지시 영역이다. 압력식 터치 패널(3a)의 하부에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3b)도 마찬가지로 주변에 구동 회로가 배치되므로, 패널 자체보다도 좁은 유효 표시 영역을 갖고, 이들의 유효 영역 끼리가 겹치도록 압력식 터치 패널(3a)과 액정 표시 패널(3b)을 일체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력식 터치 패널(3a)의 표면에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경화형 피막(3a-7) 및 압박에 의한 지문 오일 오염을 자동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산화 티탄 등의 광촉매막(3a-8)이 도포되어 있으며, 내마모성을 높이고또한 오염에도 강하게 하고 있다.
기계적인 압박으로 터치 영역을 검출하기 위해 압력식 터치 패널(3a)을 이용하는 이유는 ① 세탁기를 조작하는 경우는 젖은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점과, ② 패널 상에 물방울이 부착되기 쉬운 점과, ③ 세탁물을 꺼낼 때에 세탁물이 패널 표면에 접촉하는 점을 고려한 결과이다. 터치 패널에는 표면 초음파의 반사를 이용하는 초음파식, 표면 탄성파의 반사를 이용하는 탄성파 방식, 포인팅한 영역에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이용하는 정전식 등이 있지만, 세탁기에서의 이용에는 전술한 이유 즉 표면으로의 물방울, 오염, 세탁물의 접촉 등이 영향을 끼쳐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밀봉재(3d)에 의해 표시 조작 패널(3)을 전방부 조작 상자(2d)에 방수 밀착하는 것도 기판(17, 18) 상의 전기 부품에 물방울이 진입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전방부 조작 상자(2d) 내에는 세탁 공정 제어부 기판(18)의 하부에, 외조(4) 내의 수압을 검출함으로써, 규정 수위까지 물이 저장되었는지를 판정하는 수위 센서(19), 덮개의 개방을 검출하는 덮개 개폐 센서(20), 덮개 로크 기구(21), 세탁조 진동 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 로크 기구(21)는 서로 마주보는 덮개(2a)의 끼워 맞춤 구멍에 훅을 걸어 덮개(2a)의 개방을 로크하는 것이다. 세탁조 진동 센서(22)는 외조의 진동에 의해 동작하는 레버 스위치이다.
후방부 수납 상자(2c)에는 수도 꼭지 등으로부터의 호스가 접속되는 수도 꼭지구(26), 이에 계속해서 급수 전자 밸브(27), 세탁수를 흡수하는 세탁수 흡수 펌프(28)가 배치된다.
도7은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세탁 공정 제어부의 전기 블록도이다. 마이크로 컴퓨터(35)로부터의 출력은 구동 회로(36)에 접속되어, 세탁수 펌프(28), 급수 전자 밸브(27), 배수 밸브(13) 등에 상용 전원을 공급하여 이들의 개폐 혹은 회전을 제어한다.
상용 전원에 접속되는 배전압 정류 회로(38)는 상용 전원을 배전압 정류하여 약 280V의 직류 전압을 생성하여 PWM 인버터 회로(39)에 공급한다. PWM 인버터 회로(39)는 DC 무브러시 모터(9a)의 각 UVW상 계자권선에 3상 교류 전류를 공급한다.
DC 무브러시 모터(9a)에는 회전자의 위치 검출 수단으로서 3세트의 홀 소자(9c)가 내장되고, 회전자의 위치는 이 홀 소자(9c)에 의해 검출되어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전달된다. 그리고 이 회전자의 위치, 회전 속도의 정보로부터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PWM 신호를 연산 처리하여 PWM 인버터 회로(39)에 출력하고, PWM 인버터 회로(39)가 DC 무브러시 모터(9a)의 고정자의 UVW각상의 계자권선에, 파고치(波高値)가 대략 입력 직류 전압의 PWM 직사각형파 전압을 인가한다. 이 때 모터 권선의 인덕턴스, 용량에 의해 각 권선에 흐르는 전류는 정현파가 된다. 즉 각 권선에는 3상 정현파 전류가 공급된다. UVW상의 전류가 이 순서로 120도의 위상 관계이면, DC 무브러시 모터(9a)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예를 들어 앞에 서술한 UV상을 반대로 하는 위상 관계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역회전한다. DC 무브러시 모터(9a)의 회전수는 PWM 신호의 듀티 즉 통류율에 의해 제어된다.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R0M인 EEPROM(40)에는 주로 이전에 행한 세탁에서의 동작 상태가 기억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세탁 공정의 실행 중에 각종 센서 출력치로부터 세탁기의 동작 상태 혹은 사용자의 설정치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지금까지 행한 세탁 횟수, 세탁수 펌프의 단선 등의 탑재 전기 부품의 발생 문제점, 사용자가 행한 세탁에서의 설정치(세탁 코스명, 세탁수 급수의 유무, 세탁 시간, 헹굼 횟수, 탈수 시간 등) 등의 정보를 그 때마다 EEPROM(40)에 기억함으로써, 다음 번의 세탁 공정에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이들의 설정은 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조작 패널(3)에서의 초기 화면에 반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의 내부 R0M에는 세탁 공정을 제어하는 시퀀스 프로그램, 무브러시 모터(9a)를 구동하는 프로그램, 시퀀스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양 방향 통신 회로(41)는 표시 조작 제어부의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접속되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로부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세탁 실행 조건 등의 정보를 받고, 또한 센서 등으로부터 수집한 세탁 공정에서의 상황 등의 정보를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출력한다.
도8에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의 내부 R0M에 기입된 소프트웨어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양 방향 통신부(35a)는 양 방향 통신 회로(41)를 이용하여,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 사이에서 각종 정보를 지령 데이터의 형태로 송수신한다. 양 방향으로 통신되는 지령 데이터로서는 사용자의 지시 혹은 세탁 공정에서의 정보이다. 공정 제어부(35b)는 세탁 공정의 일련의 흐름을 실행한다. 이 사용자의 지시 정보는 표시 조작 제어부의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로부터 양 방향 통신 회로(41), 양 방향 통신부(35a)를 거쳐서 공정 제어부(35b), 구체적으로는 시퀀스제어부(35b-1)에 지령의 형태로 보내게 된다. 시퀀스 제어부(35b-1)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양 방향 통신부(35a)의 수신된 지령을 판독하는, 혹은 지령 수신에 의한 할입하는 형태로 항상 사용자의 지시를 받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 지령 송수신의 상세는 후술한다. 공정 제어부(35b)는 시퀀스 제어부(35b-1)가 주류이며, DC 무브러시 모터(9a)를 인버터 구동하는 모터 구동부(35b-2), 각종 작동기를 제어하는 작동기 구동부(35b-3), 각종 센서의 상태를 감시하는 센서 입력부(35b-4), 구체적인 각 세탁 공정의 시퀀스 데이터를 기억하는 시퀀스 데이터 기억부(35b-5), EEPROM(40)으로의 데이터의 기입, 판독을 행하는 EEPROM 입출력부(35b-6)로 구성된다. 공정 제어부(35b)는 표시 조작 제어부로부터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세탁 공정을 개시, 정지하거나, 세탁 공정 설정 내용을 변경하여 세탁 공정을 실행하거나 한다. 이 때, 실제로는 시퀀스 제어부(35b-1)가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한 세탁 공정을 시퀀스 데이터 기억부(35b-5)로부터 그 시퀀스 데이터로서 판독하여, 이 데이터에 의거한 모터 구동부(35b-2), 작동기 구동부(35b-3)를 이용하여 하드웨어를 제어하여 공정을 진행시킨다. 이 때, 각 센서로부터의 데이터를 센서 입력부(35b-4)를 거쳐서 판독하여, 각 세탁 공정(급수, 세탁, 헹굼, 탈수, 배수) 실행 중의 상태를 감시한다. 그리고 문제점이 있으면, 현실행을 정지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거나, 다음 공정으로의 이행, 그리고 세탁 공정의 종료 통지 등을 행한다. 이 중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 등은 이 정보를 지령 데이터로서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보냄으로써 표시 조작 제어부가 행한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도9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표시 조작 제어부의 전기 블록도이다. 양 방향 통신 회로(46)는 세탁 공정 제어부의 양 방향 통신 회로(41)에 접속된다. 부호 3a는 매트릭스형으로 투명 전극을 배치한 압력식 터치 패널, 부호 3a-4, 3a-5는 매트릭스형의 투명 전극이 압박에 의해 어떤 위치(XY 좌표)에서 폐쇄 상태가 되었는지를 검출하는 X, Y 좌표 주사 회로, 부호 3a-6은 X, Y 좌표 주사 회로로부터 XY 좌표를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출력하는 좌표 출력 회로이다. 부호 3b는 액정 패널이며,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로부터 출력되는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액정 구동 회로(3b-1)를 거쳐서 표시한다. 부호 3c-1은 냉음극관 등의 광원이며, 점등 회로(3c-4)로 고주파 점등되어, 액정 패널의 배후를 비추는 배면광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압력식 터치 패널(3a), 액정 패널(3b), 배면광(3c)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유효 터치 영역, 유효 표시 영역, 배면광 영역이 겹치도록 배치되어, 일체의 표시 조작 패널(3)을 구성한다. 부호 47은 조도 센서이며, 전방부 조작 상자(2d)의 상면에 배치되고(도시하지 않음), 표시 조작 패널(3) 상의 조도를 검출한다. 이것은 표시 조작 패널(3)로의 조명 상황에서 배면광(3c)의 점등을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패널으로의 조도가 충분하면 소등한다. 밤 등 패널에의 조도가 부족하면 점등하여 액정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도 센서를 삭제하여 항상 광원을 점등해도 좋다. 부호 16은 후술하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R0M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표시 배치 구조(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수목 구조 데이터이며,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라고도 함)로부터 하나를 선택하는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선택 스위치, 부호 16a는 선택 스위치 내용을 판독하는 선택 스위치 입력 회로이다. 부호49는 압전 부저, 부호 49a는 이 구동 회로이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액정 패널(3b)에 표시되는 버튼 화상 상부를 압박한 때, 이에 대한 반응으로서 전자음을 발생시키는 혹은 세탁 공정 제어부의 각종 센서에 의해 검출된 에러를 경고, 통지하기 위해 전자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10에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소프트웨어 구성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양 방향 통신부(45a)는 양 방향 통신 회로(46)를 이용하여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와의 사이에서 사용자의 지시 정보 혹은 세탁 공정 정보 등을 지령 데이터의 형태로 송수신한다. 표시 조작부(45b)는 액정 패널(3b)로의 표시 및 압력식 터치 패널(3a)의 압박에 의한 사용자의 세탁 지시를 접수하는 일련의 흐름을 실행한다. 이 사용자의 지시는 양 방향 통신부(45a)를 거쳐서 양 방향 통신 회로(46)에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로 보내게 된다. 또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로부터의 세탁 정보는 표시 조작부(45b)에 의해 해석되어, 액정 패널(3b)에 표시된다.
표시 조작부(45b)는 표시 조작 패널(3)을 제어하는 표시 조작 제어부(45b-1)가 주로 구성된다. 표시 조작 제어부(45b-1)는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6)로 선택한 표시 배치 구조(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수목 구조 데이터이며,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이라고도 함)를 패널 데이터 기억부(45b-4)로부터 판독하여 액정 패널 구동부(45b-3)를 제어하여 액정 패널(3b)에 표시한다. 또한 표시 조작 제어부(45b-1)에는 터치 패널(3a)로의 사용자의 압박 좌표를 좌표 출력 회로(3a-6), 좌표 데이터 입력부(45b-2)로부터 입력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후술하는 표시 버튼 화상으로의 지시를 검출한다.
조도 센서 입력부(45b-6)는 조도 센서의 값을 판독하여, 이 값으로 표시 조작 제어부(45b-1)가 광원 점등부(45b-7)를 제어하여 배면광(3c)을 점등 혹은 소등한다. 부저 구동부(45b-8)는 부저 구동 파형을 작성, 부저 회로(49a)를 구동하여 압전 부저(49)를 발음(發音)시킨다. 이것은 후술하는 터치 영역으로의 사용자의 압박 좌표를 좌표 데이터 입력부(45b-2)가 받은 때 사용자로의 접수 반응으로서, 혹은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로부터 세탁 공정에서 이상이 있었던 때의 경고음 등으로서 발음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 관심인 표시 조작 패널(3) 상으로의 자유로운 표시법 및 이 패널 상으로의 사용자의 압박에 의한 세탁기 조작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조작 패널(3)의 표시 화상 레이아웃 및 조작법을 복수 작성하기 위해, 표시 화상을 부품화하여 이를 액정 패널(3b)에 배치하여 표시한다. 화상 데이터로서는 소위 표시 도트(화소)를 복수 이용하여 그림, 문자를 표현하는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이다. 표시 화상 부품에는 상기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의 어드레스(포인터) 정보만은 아니며, 기능 정보를 갖게 한다. 표시 화상 부품의 항목(아이템)으로서는
① 다른 화상 부품의 배경이 되는 부품 항목(프레임 아이템이라 부름)과,
② 프레임 상에 동적인 변수 표시(문자, 숫자)를 행하는 부품 항목(인디케이터 아이템이라 부름)과,
③ 조작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터치 영역의 조작에 의해 온과 오프의 상태를 절환하는 부품 항목(버튼 아이템이라 부름)과,
④ 조작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터치 영역을 설정할 수 있고, 터치 영역의 조작에 의해 배타적으로 하나를 선택 가능한 N개의 상태를 갖는 부품 항목(선택기 아이템이라 부름)이다.
그리고 이들 아이템에는 이하의 성질을 갖게 한다.
① 프레임 아이템 : 어린이 아이템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아이템이며, 프레임 아이템을 단위로 하여 표시가 제어된다. 프레임 아이템 위에 어린이 프레임 아이템을 부착하더라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1개의 화상 데이터 및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플랙와 어린이 아이템으로의 포인터를 갖는다.
② 인디케이터 아이템 : 프레임 상에 동적인 변수의 표시를 행하는 아이템이다. 숫자, 문자 등의 표시에 이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개의 화상 데이터 정보를 갖는다. 또한 점멸 표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투명 화상 데이터 정보를 갖게 한다.
③ 버튼 아이템 : 온, 오프의 표정을 갖는 아이템. 하나의 터치 영역 정보를 갖고, 이 영역이 압박되면 온으로부터 오프 혹은 오프로부터 온으로 화상의 표시를 변경하여, 아이템 내에 기술된 동작(액션 스크립트)을 해석하여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온, 오프 2개의 화상 데이터 정보와 2개의 동작 정보(액션 스크립트) 를 갖는다.
④ 선택기 아이템 : 1개의 터치 영역과 복수개(N개)의 표정을 갖는 아이템. 상태는 배타적으로 하나의 상태를 보유 지지하여, i번째 화상을 표시한다. 터치되면 i번째로부터 i + 1번째의 화상으로 표시를 변경하고, i + 1번째로 기술되어 있는 동작(액션 스크립트)을 해석하여 실행한다. i가 N 이상이 되면, 사이클릭(처음으로 복귀)으로 동작한다. 구조적으로는 N개의 화상 데이터 정보와 N개의 동작 정보와 1개의 터치 영역 정보를 갖는다.
각 항목에 분류되는 표시 화상 부품은 복수이며, 각 부품에는 이름, ID, 크기, (커렌트) 번호마다의 화상 데이터 정보와 동작 정보(액션 스크립트), 표시 상태(커렌트 번호), 터치 영역 정보 등의 기능 정보도 갖게 한다. 도11에 표시 화상 부품의 데이터 구조를 아이템마다 도시한다.
도12는 도10의 표시 조작 제어부(45b-1)와 패널 데이터 기억부(45b-4)의 상세 소프트웨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패널 데이터 기억부(45b-4)는 미리 준비된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의 배치를 종속 관계와 병렬 관계로 표현하는 수목 구조를 복수 기억하는 수목 구조부, 표시 화상 부품인 도11의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부, 각 아이템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되어 실제로 표시되는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부로 구성된다.
표시 조작 제어부(45b-1)는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수목 구조에 따라서 하나의 화면에 전개하여 액정 패널에 표시시키는 표시 데이터 전개부(45b-1-5),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45b-1-1), 아이템 관리부(45b-1-7), 좌표 검색부(45b-1-6), 지령 송신부(45b-1-4), 지령 수신부(45b-1-2), 공정 정보 해석부(45b-1-3) 등으로 구성된다. 아이템 관리부(45b-1-7) 내에는 일시 기억(RAM) 영역으로서, 수목 구조 테이블(45b-1-10),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이 있다.
이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으로서 도13에 도시한 간단한 일예(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를 근거로 표시 및 조작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면 중, 파선으로 둘러싼 것(ID 번호가 진동하고 있는 것)이 각 표시 화상 부품(아이템)이다. 선택 스위치(16)로 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하는 수목 구조(도14)에 따라서 표시 조작 패널(3)이 도13과 같이 레이아웃된다.
도14에 본 패널 화면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 중, 사각은 배경 아이템, 평행 사변형은 메세지 아이템, 타원은 버튼 아이템을 나타낸다. 또 아이템 가로의 숫자는 1D를 나타낸다. 수목 구조는 ID 부호 및 아이템 종류의 연결 관계(형제, 자녀)로 표현된다. 병렬 관계가 형제, 종속 관계가 자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ID마다 각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항목) 데이터가 정의되고, 이것이 도11에 도시한 데이터 구조에 의해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부에 기억되어 있다.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부의 화상 데이터 정보는 표시 위치(좌측 상부의 X, y 좌표), 크기,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이며, 표시하는 구체적인 도트 그림 데이터는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부에 기억된다.
도15에 도13의 레이아웃에서의 구체적인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예를 ID 순으로 도시한다. 좌표 데이터는 도5에 도시한 좌측 상부를 원점(0, 0)으로서, 우측 하부를 (600, 150)으로 하고 있다. 즉 액정 패널의 해상도를 600 × 150 도트로 하고 있다. 터치 패널의 해상도는 약 1/10 정도로 엉성하다. 터치 패널의 좌표도 좌측 상부를 원점(0, 0)으로 하고, 우측 하부를 (60, 15)로 하고 있다. 도13의 파선으로 둘러싼 버튼 아이템의 터치 영역은 화상 데이터와 동일한 파선 내이다.
우선 선두가 되는 프레임 아이템으로서「전체 배경」이라는 이름을 붙여 ID = 0을 부여하는 부품이 준비된다. 「전체 배경」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서는 전방부 조작 상자(2d)의 상면색과 마찬가지인 무지(無地)의 도트 그림이다. 이 프레임 아이템의 하부에 어린이 아이템으로서,「우측 배경」이라는 이름을 붙여 ID = 1을 부여하는 부품과,「좌측 배경」이라는 이름을 붙여 ID = 2를 부여하는 부품을 준비한다. 이들「좌측 배경」,「우측 배경」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도, 전방부 조작 상자(2d)의 상면색과 마찬가지인 무지의 도트 그림이다. 이「우측 배경」,「좌측 배경」의 프레임 속에 어린이 아이템으로서 각 표시 화상 부품을 배치해 간다. 우선「좌측 배경」중에는 3가지의 인디케이터 아이템으로서 세탁의 각 공정에서의 정보 예를 들어 투입 세제량, 종료까지의 시간, 에러 등 메세지를 표시하는「공정 표시」(ID = 3), 영숫자를 표시하는「숫자 표시」(ID = 4), kg, 분 등의 단위를 표시하는「단위 표시」(ID = 5)라는 이름을 붙인 표시 화상 부품이 배치된다. 「우측 배경」 중에는 4개의 버튼 아이템으로서 세탁의 개시와 그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개시 버튼」(ID = 6), 오염이 많은 세탁물의 세탁을 지시하는「오염 다량 버튼」(ID=7), 통상의 세탁을 지시하는「표준 버튼」(ID = 8), 오염이 적인 세탁물의 세탁을 지시하는「오염 소량 버튼」(1D = 9)이라는 이름을 붙인 표시 화상 부품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아이템 위에 인디케이터 아이템, 버튼 아이템을 어린이용으로서 배치하고, 수목 구조로 함으로써 관련시킨다. 이렇게 하여, 프레임 아이템 위에는 복수의 부품이 놓이고, 각 부품은 반드시 어느 하나의 프레임 아이템을 부모가 갖도록 조립할 수 있다. 구축된 아이템의 수목 구조와 각 표시 화상 부품의 아이템 데이터가 표시 조작 패널의 레이아웃을 표현한다.
도14와 같이 수목 구조로 관련지어진 표시 화상 부품은 사용자의 압박 조작 혹은 세탁 공정 제어부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화상을 변화시킨다. 표시 화상의 변화는 2가지를 들 수 있다.
① 아이템의 화상 포인터를 변경한다.
② 아이템을 표시 대상으로부터 제외한다. 또는 표시 대상으로 한다.
미리 그려 둔 화상을 절환하기 위해, 하나의 아이템에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갖게 해 둔다. 아이템은 배타적으로 하나의 화상 데이터만을 표시 대상으로 한다. 해당하는 아이템은 인디케이터, 버튼, 선택기이다. 버튼 아이템의 경우, 오프의 화상(커렌트 번호 0)과 온의 화상(커렌트 번호 1)이 포함되어, 커렌트 번호가 표시 대상의 화상을 나타내고 있다. 인디케이터와 선택기의 경우는 N개의 화상이 포함되어 N개 중 i번째를 표시 대상으로 하기 위해 커렌트 번호 i로 표현한다.
아이템의 표시 유무는 프레임 아이템만이 가지고 있다. 프레임 아이템이 표시 대상 밖(표시 플랙 = 0)인 경우에는 프레임 아이템 자신과 그 위에 얹는 모든 부품 아이템이 표시되지 않는다. 복수의 화상 데이터 정보를 갖는 아이템은 내부(커렌트 번호)에서 표시 절환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는 커렌트 번호를 재기입한다. 또한 터치 영역을 갖는 아이템은 표시 데이터와 함께, 동작 지시를 액션 스크립트(동작 기술)로서 기술한다.
아이템의 화면 표시를 절환하는 트리거로서는 액정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로의 압박 및 타이머, 세탁 공정 제어부에서의 정보이다.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은 버튼, 선택기의 터치 영역을 갖는 아이템의 터치 영역 정보를 보유 지지하고, 사용자가 압박한 액정 패널 상의 좌표가 터치 영역인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표시 대상인 커렌트 프레임(표시 플랙 = 1) 상의 터치 영역만이 저장되고, 커렌트 프레임이 변경(추가 혹은 삭제)이 되면, 아이템 관리부(45b-1-7)에 의해 갱신된다.
좌표 데이터 입력부(45b-2)로부터 좌표가 입력되면, 그 좌표(x, y)가 어느 한 아이템의 터치 영역에 해당하는지가 좌표 검색부(45b-1-6)에 의해 탐색되고, 해당하는 것이 있으면 그 아이템의 ID가 아이템 관리부로 이송된다.
아이템 관리부(45b-1-7)는 아이템의 관리를 행하는 것이며, 터치된 아이템의 정보를 그 ID를 근거로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로부터 판독하고, 아이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액션 스크립트를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45b-1-1)로 부여하고, 혹은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에서 해석 결과의 지시를 받아 아이템 데이터의 커렌트 번호의 변경, 혹은 프레임 아이템을 표시 대상으로부터 제외하고(표시 플랙 = 0) 또는 표시 대상(표시 플랙 = 1)이 되는 등의 아이템 데이터의 상태 변경을 행하는 것이다.
해석 모듈인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45b-1-1)는 액션 스크립트의 기술자(지령)를 해석하여, 해석 결과에 의해 아이템 관리부(45b-1-7)에 지시를 부여하거나, 타이머(45b-1-11)의 설정이나 참조를 행한다. 또한 지령 송신부(45b-1-4)에 대하여, 제1 마이크로 컴퓨터에 보내는 지령을 지시한다. 액션 스크립트에 의해 동작을 기술할 수 있는 것은 터치 영역을 갖는 버튼, 선택기의 각 아이템이다. 도16에 도시한 것은 액션 스크립트에 준비되는 기술자(지령)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는 세탁 공정 제어부로부터 표시 조작 제어부로 송출되는 공정 정보도 지령의 형태로 기입하고 있다. 지령은 인수를 갖는 것과 갖지 않는 것이 있다. 도16에는 지령을 알기 쉽게 문자로 쓰고 있지만, 실제로는 부호화시킨 데이터이다. 지령은 세탁 공정 제어부가 실행하는 공정명, 인수의 형태로 공간을 디리미네이터로 하고 있다. 정기적인 동작을 기술하기 위해, 타이머를 실제 장착한다. 타이머의 용도는 점멸 표시나 부저음 발생 타이밍 등이다.
이하 도17의 (a) 내지 (f)에 도시한, 도13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의 화상 표시 추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주된 업무는 사용자의 조작에 반응하여, 혹은 세탁 공정의 진행에 따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화면 표시를 절환하는 것이다. 절환하는 트리거로서는 터치 패널로부터의 좌표 입력,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로부터의 세탁 공정 정보(센서 정보, 진행 상태, 에러) 혹은 타이머로부터의 정기적인 신호이다.
선택 스위치(16)는 도13의 표준 패널 레이아웃(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이 선택되어 있으며(공장 출하시), 이 표시가 전원 스위치(15)를 투입하면, 도17의 (a)에 도시한 화면이 액정 패널(3b)에 표시된다. 전원이 투입되면, 제1 및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리셋되어 초기화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제1 마이크로 프로세서(35)는 초기화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45)에 패널 초기 설정의 지령 {초기 설정}을 이송한다. 이 초기화 지령에 의해,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45)는 상술한 도17의 (a)를 화면 표시한다.
우선 선택 스위치(16)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수목 구조가 아이템 관리부 내의 수목 구조 테이블(45b-1-10)에서 판독된다. 계속해서 아이템 관리부는 이 수목 구조의 ID를 바탕으로, 패널 데이터 기억부의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부 내의 각 아이템 데이터를 검색하여, 필요한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에서 판독한다. 동시에, 상기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 중 터치 영역이 정의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터치 영역 정보는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에서 판독된다. 그리고 표시 데이터 전개부(45b-1-5)가 수목 구조 테이블의 수목 구조와 아이템 테이블의 표시 정보(표시 플랙, 커렌트 번호) 및 화상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패널 데이터 기억부의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부로부터 실제의 도트 그림 데이터를 판독하여 액정 패널 상에 전개 표시해 간다. 결과적으로 도17의 (a)와 같은 초기 표시가 행해진다. 표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목 구조를 바탕으로, 프레임 화상의 상부에, 각 표시 화상, 각 버튼 화상을 표시 위치에 맞춰 E0R 처리에 의해 겹치게 한다. 이 경우,「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표시 플랙은 0으로 하고 있다(도15 참조).
「개시 버튼」아이템의 도트 그림 화상으로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회색의 원 속에 문자「개시」,「일시 정지」가 그려져 있다. 커렌트 번호 0(오프)의 화상으로서, 문자「개시」가 백색, 문자「일시 정지」가 흑색의 도트 그림 화상, 커렌트번호 1(온)의 화상으로서, 문자「개시」가 흑색, 문자「일시 정지」가 백색의 도트 그림 화상을 준비한다. 마찬가지로「오염 다량 버튼」,「표준 버튼」,「오염 소량 버튼」아이템의 도트 그림 화상으로서도, 각각 커렌트 번호 0(오프)의 화상으로서, 회색의 원 속에 백색의 문자「오염 다량」「표준」「오염 소량」을 갖는 도트 그림 화상, 커렌트 번호 1(온)의 화상으로서, 회색의 원 속에 흑색의 문자「오염 다량」「표준」「오염 소량」을 갖는 도트 그림 화상을 준비한다. 이와 같이 조작 버튼 도트 그림 화상에는 내용을 나타낸 문자를 기입하여, 온 오프의 상태에서 그 색이 변화하도록 한다. 또한 터치 영역으로서, 파선으로 나타낸 아이템(화상 표시) 영역을 지정해 둔다. 이들 중 하나가 사용자의 압박에 의해 선택된 때에는 이들 버튼 화상, 구체적으로는 원 속의 문자의 색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조작 버튼의 내의 문자색이 백색에서 흑색으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표준 버튼」이 선택된 때에는 회색의「표준」버튼 원 내의 문자「표준」이 백색에서 회색으로 변화한다.
계속해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각종 초기 설정을 행한 후, 우선 전회세탁에서의 설정, 동작 상황을 EEPROM(40)에서 판독한다. 그리고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EEPROM 내용을 표시하는 지령을 송신한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지령 수신 대기 상태에 있으며, 이 지령 수신 후, 초기화시에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에서 판독한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의 변경을 행한다. 예를 들어 전회의 세탁이 표준 세탁이면, {EEPRO 표준 세탁}의 지령을 수신한다(공장 출하시에는 통상 이 설정으로 하고 있음). 이 지령은 공정 해석부에서 해석되고,「표준 세탁」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1로 한다. 이 결과 초기화 후의 표시에서는 도17의 (b)로 이행하여, 표준 버튼 화상의 문자의 색은 흑색이 된다. 다른 EEPROM 내용도 마찬가지로 {EEPROM *}의 지령을 보냄으로써 버튼 혹은 표시 화상 부품 선택기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변경한다. 그리고 타이머를 이용하여「표준 세탁」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0과 1로 교대로 1초 간격으로 재기입한다. 이 결과, 표시는 도17의 (a)와 (b)를 1초마다 이행한다. 즉「표준」문자가 점멸하여, 이것이 전회 사용자가 선택하였던 것임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EEPROM(40)에는 아무것도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우선,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선택 스위치(16)가 지시하는(제1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를 판독한다. 이 수목 구조 데이터에 따라, 액정 표시부에 표시 화상 부품을 배치해 간다. 처음에는 톱에 있는「전체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계속해서 그 어린이인「우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그리고 이 위에 각종 버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 표시한다. 당초「우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표시 플랙은 0이므로, 자신과 이 위에 배치되는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은 표시되지 않는다. 이 표시 상태가 도17의 (a)에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표준」문자의 점멸은 없다.
그 후 지시 영역의 x, y 좌표의 판독 동작을 행한다. 이 좌표 판독 동작은 정기적인 할입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xy 좌표 출력 회로(3a-6)는 사용자가 지시한 좌표를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출력하고, 제2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 출력을 트리거로 하여,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을 검색한다. 현재 사용자가「표준」버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에 터치하여「표준」세탁을 지시했다고 한다. 좌표 검색부(45b-1-6)는 입력된 x, y 좌표로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을 검색하여 이것이「표준」버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인 것을 알고, 이 ID를 아이템 관리부(45b-1-7)로 보낸다. 아이템 관리부는 그 ID를 바탕으로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로부터「표준」버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를 판독하고, 데이터에 포함되는 액션 스크립트 {표준 세탁}을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45b-1-1)에 부여한다. 동시에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 테이블(45b-01-9) 내의「표준」버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의 커렌트 번호를 0에서 1로 재기입함으로써, 화상 데이터 정보를 변경하여「표준 버튼」화상을 오프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부터 온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 변경한다. 점멸하고 있는 경우라도 마찬가지로, 번호의 여하에 관계 없이 1로 고정하여 타이머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점멸 동작이 정지된다. 이 경우에는 도1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표준 버튼」 도트 그림 화상의 회색의 원 내의 문자「표준」이 백색에서 흑색으로 액정 표시가 변화한다. 또한 좌표 검색부(45b-1-6)는 부저 구동부로 지시를 보내고, 압전 부저(49)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압박이 접수된 것을 알린다.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는 {표준 세탁}이 세탁 공정의 하나라고 해석하여, 다음 사용자의 버튼 조작을 기다린다.
현재, 계속해서 사용자가「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이 지시된 것으로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표 검색부(45b-1-6)는 입력된 x, y 좌표로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을 검색하여, 이것이「개시 버튼」표시 화상부품 아이템인 것인 것을 알고,「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ID가 아이템 관리부(45b-1-7)로 이송된다. 아이템 관리부는 그 ID를 바탕으로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로부터「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에 포함되는 액션 스크립트 {개시}를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에 부여한다.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45b-1-1)는 {개시}가 세탁 동작의 개시라 해석하여 지령 송신부(45b-1-4), 양 방향 통신부(45a), 양 방향 통신 회로(46)를 거쳐서 {표준 세탁} {개시} 지령을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출력한다. 동시에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 테이블(45b-01-9) 내의「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의 커렌트 번호를 0에서 1로 재기입함으로써,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를 변경하여「개시 버튼」화상 데이터를 오프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부터 온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로 바꾼다. 이 경우에는 도1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시 버튼 화상의 문자 화소의 색이 변경된 화상에 액정 표시를 변화시킨다. 또한 좌표 검색부(45b-1-6)는 부저 구동부(45b-7)에 지시를 보내어, 압전 부저(49)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압박이 접수된 것을 알린다. 이와 같이 표시를 변경하는 동시에 소리로 접수를 통지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로부터 {표준 세탁} {개시} 지령을 받아, 사용자가「표준 버튼」과「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을 압박한 것을 확인하여, 우선 회전 날개를 구동하여 투입된 세탁물량의 검출을 행한다. 그리고, 검출 결과인 세탁물량의 정보를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세탁수 6 kg} 지령으로서 보낸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지령수신부(45b-1-2)를 거쳐서 지령을 받아, 공정 정보 해석부(45b-1-3)에 세탁물량의 표시 요구라고 해석하여,「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표시 플랙을 오프로부터 온으로 재기입한다. 그리고「세탁 표시」표시 화상 부품,「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단위 표시」표시 화상 부품의 표시를 가능하게 한 후, 각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제1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이송된 지령을 바탕으로, 공정 정보 해석부에서 해석하여 재기입한다. 이 경우는 커렌트 번호를 1로 재기입한다. 이 결과 표시를 도17의 (d)에 도시한다. 「세탁 표시」는 세탁수의 문자로,「숫자 표시」는 6으로,「단위 표시」는 kg이 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소정 시간 후, 이 세탁물량에 적합한 세제량을 표시시키기 위해 세탁물량으로부터 적절한 세제량을 계산한 후, {세제 42 그램} 지령을 제2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송한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공정 정보 해석부에서 이것을 해석하여 아이템 관리부가 각 표시 아이템의 커렌트 프레임 번호를 재기입함으로써 도17의 (e)의 표시를 행한다. 이 경우는 커렌트 번호를 1에서 2로 재기입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는 급수 밸브(27)를 개방하여, 세탁조(6)에 급수를 개시한다. 지금까지 사용자는 세탁조에 세제를 투입하고 있다. 수돗물은 수도 꼭지 구(26)로부터 급수 전자 밸브(27)를 통과하여 외조(4)[세탁조(5)] 내에 저장된다.
수위 센서(14)에 의해 규정량의 세탁수가 외조(4) 내에 급수된 것을 알게 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급수 전자 밸브(27)를 폐쇄하여 급수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회전 날개(6)을 정역 회전시키므로, PWM 인버터 회로(39)를 제어하여 DC 무브러시 모터(9a)를 구동한다. 그 결과, 회전 날개(6)가 정역 회전을 개시하여 세탁이 시작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세탁을 개시하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세탁 종료까지의 시간을 표시 조작 패널에 표시하기 위해 {나머지 시간 40분}이라는 지령을 보낸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지령 수신부에서 이 지령을 접수하면 공정 정보 해석부(45b-1-3)에서 나머지 시간 표시의 요구라고 해석하여, 아이템 관리부에 대하여「공정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2에서 3으로 변경하고, 표시 문자 화상을「세제량」에서「남은 시간」으로 변화시킨다. 또한「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2에서 3으로 변화시키고, 표시 문자 화상을「6」에서「40」으로 변화시킨다. 또한「단위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2에서 3으로 변화시키고, 표시 문자 화상을「kg」에서「분」으로 변화시킨다. 결과적으로 도17의 (f)에 도시한 화상으로 변화한다. 이 나머지 시간 표시는 타이머 기능을 이용하여 정기적 예를 들어 1분 간격으로 실시된다. 당연히 나머지 시간은 진행에 따라서 감소하므로「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재기입하여 숫자 표시를 감소시킨다.
최초의 세탁 공정이 종료하였다면,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배수 밸브(13)를 개방하여 외조(4) 내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배수 종료 후, 제1 탈수 행정으로 이행한다. 이 때 덮개 개폐 센서(20)로부터, 덮개가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덮개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공정의 진행을 일시 정지하여, 안전 동작을 위해 양 방향 통신 회로(41)를 통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에러C3} 지령을 송신한다. 이것을 수신한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공정 정보 해석부(45b-1-3)에서 덮개 개방에서의 에러 표시의 요구라고 해석하고, 아이템 관리부에 대하여「공정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3에서 4로 변경하고, 표시 문자 화상을「남은 시간」에서「탈수」로 변화시킨다. 또한「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3에서 4로 변화시키고, 표시 문자 화상을「40」에서「C3」으로 변화시킨다. 또한「단위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3에서 0으로 변화시키고, 표시 문자 화상을「분」에서「」(문자가 없는 투명 화상)으로 변화시킨다. 이 때「공정 표시」,「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표시는 타이머 기능으로 점멸 표시한다. 이것은 일정 시간마다 예를 들어 1초마다 각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4에서 0(문자가 없는 투명 화상), 0에서 4로 재기입하여 행한다. 또한 이 시간마다 부저 구동부로 지시를 보내어, 압전 부저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또한「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1(온)에서 0(오프)로 변화시키고, 버튼 화상의 문자를 일시 정지로 한다. 사용자가 덮개를 폐쇄하여「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을 압박하였다면, 커렌트 번호를 0에서 1로 변화시켜 표시 문자의 색을 변화시키는 동시에, {개시} 지령을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송신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이 지령을 받아 덮개가 폐쇄된 것을 확인하여, 일시 정지하고 있었던 공정을 다시 재개한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에 의해 세탁 공정을 일시 정지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투입을 잊고 있었던 세탁물을 세탁 혹은 헹굼 공정의 도중에서 추가하는경우 등이다. 사용자는「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을 압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좌표 검색부는 입력된 x, y 좌표에서 터치 영역 테이블을 검색하여 이것이「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인 것을 알고,「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ID가 아이템 관리부로 이송된다. 아이템 관리부는 그 ID를 바탕으로 아이템 테이블(45b-1-9)로부터 화상 표시 부품 아이템 데이터를 판독하여, 아이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액션 스크립트 {일시 정지}를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로 부여한다.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는 {일시 정지}가 세탁 동작의 일시 정지라 해석하여 양 방향 통신 회로(46)를 거쳐서 {일시 정지} 지령을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출력한다. 동시에, 아이템 테이블(45b-1-9) 내의「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0에서 1로 재기입함으로써, 도트 그림 화상 개시 어드레스를 변경하여「개시 버튼」도트 그림 화상을 온에서 오프로 변경한다. 이 경우에는 개시 버튼 화상의 문자 화소의 색이 변경된 화상에 액정 표시를 변화시킨다. 또한 좌표 검색부는 부저 구동부로 지시를 보내, 압전 부저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압박이 접수된 것을 알린다. {일시 정지} 지령을 수신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진행시키고 있는 공정을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사용자의 재개 지시를 기다린다. 사용자가 다시「개시 버튼」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을 가압하였다면, 이번은 {개시} 지령을 송신한다. 그러면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이것을 받아 세탁 공정을 재개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세탁 공정에서의 탈수 기동시에 세탁조 진동 센서(22)에 의해 외조(4)의 진동을 검출한다. 세탁 교반에 의해 세탁물이 얽히고, 배수 종료시에는 세탁조 바닥부에 균일하게 세탁물이 침강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가 되면, 외조(4)는 크게 흔들려 외부 프레임(1)에 충돌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세탁기가 쓰러질 위험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탁조 진동 센서(22)로 외조(4)의 진동을 검출하고, 큰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탈수 기동시에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세탁조 진동 센서(22)를 감시하고, 센서 출력이 있었던 경우에는 세탁물 치우침 에러라 판단하여, 즉각 모터(9a)로의 전기 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세탁조가 회전을 정지한 것을 확인하여 덮개 로크 기구(21)를 해제한다. 그리고 양 방향 통신 회로(41)를 통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에러 C4}라는 지령을 보낸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지령 수신부에서 이 지령을 접수하면 공정 정보 해석부에서 탈수 기동에서의 에러 표시의 요구라고 해석하고, 아이템 관리부에 대하여「공정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변경하고, 표시 문자 화상을「남은 시간」에서「탈수」로 변화시킨다. 또한「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도 변화시키고, 표시 문자 화상을「40」에서「C4」로 변화시킨다. 또한「단위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도 변화시키고, 표시 문자 화상을「분」에서「」(문자가 없는 투명 화상)으로 변화시킨다. 이 때「공정 표시」,「숫자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표시는 타이머로 점멸 표시한다. 이것은 일정시간마다 예를 들어 1초마다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를 5에서 0(문자가 없는 투명 화상), 0에서 5로 재기입하여 행한다. 또한 이 시간마다 부저 구동부로 지시를 보내 압전 부저로부터 전자음을 발생시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 공정 중에 검출되어 사용자에게 필요한 여러가지의 정보를 일정 영역에, 필요한 때에만 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표시 조작 패널의 표시 레이아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종래에서는 표시는 인쇄되어 항상 표출되어 있으며, 패널은 번잡한 문자 기호로 매립되어 있으며, 실시예 설명과 같이 필요한 때에 표출시킬 수는 없었다.
세탁 공정이 종료하면,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이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종료}라는 지령을 보낸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지령 수신부에서 이 지령을 접수하면 공정 정보 해석부에서 공정 종료 표시의 요구라고 해석하여, 아이템 관리부에 대하여「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표시 플랙의 리셋(이것으로, 전원 투입시의 화면으로 복귀시킴)한다.
도18은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의 다른 일예(제2 표시 조작 레이아웃)이다. 선택 스위치(16)로 제2 표시 조작 레이아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것은 전술한 제1 패널 레이아웃에 세탁수 급수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이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를 도19에 도시한다. 「우측 배경」에 선택기 아이템으로서,「온수」화상 부품 아이템(도18에서 ID = 10의 파선으로 둘러싼 아이템)을 추가한다. 이 아이템은 도20의 (a)에서 (d)에서 도시한 4개의 화상 데이터를 갖고, 터치 영역으로서 일점 쇄선의 영역을 정의하고 있다.
전술한 제1 표시 조작 레이아웃에서의 표시 동작과 마찬가지로, 우선 선택 스위치(16)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제2 표시 조작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가 아이템 관리부 내의 수목 구조 테이블(45b-1-10)에서 판독된다. 계속해서 아이템 관리부는 수목 구조의 ID를 바탕으로, 각 아이템 데이터를 검색하여, 필요한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에서 판독한다. 동시에, 상기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 중 터치 영역이 정의되어 있는 각 아이템의 터치 영역 정보는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에서 판독된다. 그리고 표시 데이터 전개부(45b-1-5)가 수목 구조 테이블의 수목 구조와 아이템 테이블의 화상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패널 데이터 기억부의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부로부터 실제의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액정 패널 상에 전개 표시해 간다.
세탁수의 급수를 설명한다. 전원 투입 후는「온수」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은 커렌트 번호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 아이템의 도트 그림 화상은 도20의 (a)의 표시로 되어 있다. 다른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에 대해서는 제1 패널 레이아웃(도17)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다. 사용자에 의해,「온수」선택기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이 눌러지면, xy 좌표 출력 회로는 사용자가 지시한 좌표를 제2 마이크로 컴퓨터에 출력하고, 제2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 출력을 트리거로 하여 터치 영역 테이블을 검색한다. 결과적으로,「온수」선택기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ID가 아이템 관리부로 이송된다. 아이템 관리부는 그 ID를 바탕으로 데이터 기억부에서 판독하여, 아이템 데이터에 포함되는 액션 스크립트 {세탁수 세탁}을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에 부여한다. 또한 커렌트 번호는 1로 갱신되어, 도20의 (b)의 세탁 표시 화상이 된다. 이것은 세탁에만 세탁수의 잔류 온수를 사용하는 설정이다.
「온수」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은 선택기 아이템이며, 표시 포인터가 4개 있다. 하나는「무사용」, 그리고「세탁」,「헹굼 1」,「헹굼 2」이며, 스크립트에는 {세탁수 없음}, {세탁수 세탁}, {세탁수 헹굼 1}, {세탁수 헹굼 2}가 기술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에는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는「세탁수」이 세탁수 펌프 사용이라 해석하여 양 방향 통신 회로(46)를 거쳐서 {세탁수 세탁} 지령을 제1 마이크로 컴퓨터에 출력한다. 다시 터치 영역이 압박되면, 커렌트 번호는 증가되어, {세탁수 헹굼 1} 지령이 송신된다. 동시에 화상은 도20의 (c)로 변화된다. 또한 터치 영역이 압박되면, 커렌트 번호는 증가되어 {세탁수 헹굼 2} 지령이 송신된다. 동시에 화상은 도20의 (d)로 변화된다. 다시 터치 영역이 압박되면, 커렌트 번호는 0으로 복귀하여, {세탁수 무} 지령이 송신된다. 동시에 화상은 도20의 (a)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선택기 아이템은 사이클릭에 표시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개시 버튼」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이 압박된 시점의 전술한 지령에 의해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세탁수 펌프(28)를 제어하여 세탁조로의 급수를 행한다.
세탁수의 급수 동작을 설명한다. 세탁조에 공급되는 물은 세탁수 급수구(28a)에 접속되는 호스를 통해 공급된다.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의 {세탁수 세탁} 지령을 받아 급수 전자 밸브(27)를 단시간(15초 정도) 개방하고, 수돗물은 급수 전자 밸브(27)로부터 세탁조에 급수된다. 그 때, 급수의 일부가 출수구로부터 세탁수 흡수 펌프(28)로 유입한다. 이것이 세탁수 흡수 펌프(28)로의 출수이다. 그 후 펌프 모터를 회전시켜 세탁수를 세탁수 급수구(28a)로부터 자흡하여, 세탁조(6)에 급수한다. 이 자흡 및 급수시에,마이크로 컴퓨터(35)는 전류 센서(28d)로부터 펌프 모터에 흐르는 전류치 및 수위 센서(14)로 세탁수에 저장되는 잔류 온수의 양을 검출하고 있다. 자흡시(호스 내의 공기를 배출하고 있을 때)에는 부하가 가벼우므로, 이 전류치는 작으며, 급수가 시작되면 부하가 무거워져 전류치가 커진다.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자흡 시간이 소정 시간(예를 들어 2분)을 넘어도 전류치가 커지지 않는 경우에는 급수 호스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혹은 세탁수에 잔류 온수가 없어 급수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하기 위해, 제2 마이크로 컴퓨터에 {에러 C1}를 보낸다. 이 후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표시 조작 패널의 표시 영역에 경고 내용이 표시되는 동시에 전자음이 울린다.
자흡이 종료하여, 급수가 개시되면 서서히 세탁조(6)에 잔류 온수가 저장되게 된다. 이 때, 수위 센서(14)의 수위치가 소정의 수위까지 도달하지 않아, 증가 변화가 멈추고, 또한 전류 센서의 전류치가 작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예를 들어 2분) 경과한 경우에는 세탁수의 잔류 온수가 없어졌다고 판단하여 상술바와 같이 {에러 C2} 지령을 송신한다.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점멸하는 에러 표시와 전자음으로 주의를 촉진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새로운 기능과 그에 따른 제어 등을 간단히 조작 표시 패널(3) 상에 추가하고, 또한 기능을 사용자가 압박 지시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된 새로운 기능의 에러 표시, 경보 등도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다.
도21은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의 제3 예이다. 선택 스위치(16)로 제3 표시 조작 레이아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이다. 전술한 제1 패널 레이아웃에 세탁공정을 추가하고, 이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기호 선택」표시 화상 부품 선택기 아이템을 추가했다. 세탁 시간이나 헹굼 횟수, 탈수 시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수동」세탁 공정, 이불을 세탁하는 「이불」세탁 공정, 단시간에 세탁하는 「긴급」세탁 공정, 소량의 진흙 오염물을 세탁하는「강력 비빔」세탁 공정 중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기호 선택」표시 화상 부품 선택기 아이템을 추가한 것이다. 이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를 도22에 도시한다. 「우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에 선택기 아이템으로서, 도21에 도시한「기호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ID = 11로 도면에 파선으로 둘러싼 것)을 추가한다. 이 아이템에는 도23의 (a)에서 (e)에 도시한 5개의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갖게 해, 터치 영역으로서 일점 쇄선의 영역을 정의하고 있다. 「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상부 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과「하부 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으로 나눠「상부 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에는「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과「수치 설정」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 배치하고,「하부 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에는 제1 패널 레이아웃과 마찬가지로「공정 표시」,「숫자 표시」,「단위 표시」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 배치하고 있다. 「기호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수동」이 선택되었을 때만,「상부 좌측 배경」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 표시 가능하게 하여,「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과「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을 표시한다. 이것은 도22의 (b) 화상의 액션 스크립트에 {좌측 상부 배경 셋트}을 기술하고, 계속해서 선택기의 내용을 나타낸 {수동 세탁}을 기술하여, 그 밖의 화상의 액션 스크립트에는 선택기의 내용(세탁 공정)을 나타낸 {이불 세탁}, {급속 세탁}, {강력 비빔 세탁} 외에 {좌측 상부 배경 클리어}의 기술을 추가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액션 스크립트에 다른 화상 부품의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추가하면 많은 복잡한 화상 배치가 가능해진다.
전술한 제1 표시 조작 레이아웃에서의 표시 동작과 마찬가지로, 우선 선택 스위치(16)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제3 표시 조작 레이아웃의 수목 구조가 아이템 관리부 내의 수목 구조 테이블(45b-1-10)에서 판독된다. 계속해서 아이템 관리부는 수목 구조의 ID를 바탕으로, 패널 데이터 기억부의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부 내의 각 아이템 데이터를 검색하여, 필요한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를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테이블(45b-1-9)에서 판독한다. 각 아이템의 터치 영역 정보는 터치 영역 테이블(45b-1-8)에서 판독된다. 그리고 표시 데이터 전개부(45b-1-5)가 아이템 테이블의 화상 데이터 정보를 바탕으로 패널 데이터 기억부의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액정 패널 상에 전개 표시해 간다.
「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터치 영역(일점 쇄선 내)을 사용자가 누르면「세탁」(커렌트 번호 1),「헹굼」(커렌트 번호 2),「탈수」(커렌트 번호 3)의 문자 표시로 변화하여, 이 각 표시에 대응하여 우측의「설정 선택」표시도 변화한다. 이는 각 화상의 액션 스크립트에「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설정의 기술을 행한다. 현재「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도트 그림 화상으로서, 세탁 시간을 나타낸 표시 화상「3분」(커렌트 번호 1),「5분」(커렌트 번호 2),「8분」(커렌트 번호 3),「12분」(커렌트 번호 4),「15분」(커렌트 번호 5)의 다섯개, 헹굼 횟수를 도시한 표시 도트 그림 화상「1회」(커렌트번호 6),「2회」(커렌트 번호 7)의 2개, 탈수 시간을 나타낸 표시 도트 그림 화상「1분」(커렌트 번호 8),「3분」(커렌트 번호 9),「5분」(커렌트 번호 10),「8분」(커렌트 번호 11),「12분」(커렌트 번호 12)의 다섯개의 합계(12) 표시 도트 그림 화상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1(「세탁」문자 표시)의 액션 스크립트에는 {세탁} ID = 15(「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커렌트 번호 1 셋트}라 기술하고,「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5(「15분」문자 표시)에는 {15분} {ID = 15 커렌트 번호 1 셋트}라 기술해 둔다.
「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이「세탁」문자 표시인 때는「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은 최초「3분」표시로 터치 영역을 누룰 때마다,「5분」(커렌트 번호 2),「8분」(커렌트 번호 3),「12분」(커렌트 번호 4),「15분」(커렌트 번호 5)라는 수치를 표시하여 다시「3분」표시로 복귀한다. 마찬가지로,「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2(「헹굼」문자 표시)의 액션 스크립트에는 {헹굼} {ID = 15(「설정 선택」아이템) 커렌트 번호 6 셋트}라 기술하여,「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7(「2회」문자 표시)에는 {2회} {ID = 15 커렌트 번호 6 셋트}라 기술해 둔다. 또한「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3(「탈수」문자 표시)의 액션 스크립트에는 {탈수} {ID = 15(「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커렌트 번호 8 셋트}라 기술하여,「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커렌트 번호 12(「12분」문자 표시)에는 {12분} {1D = 15 커렌트 번호 8 셋트}라 기술해 둔다. 이렇게 하면「공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표시와「설정 선택」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표시를 연동시키고, 또한 사이클릭에 표시할 수 있다.
이들 화상에 기술되는 액션 스크립트는 차례로 액션 스크립트 해석부로 보내어지고, 화상 표시 제어되는 동시에 지령으로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이송된다. 예를 들어 {수동 세탁} 지령에 계속해서 {세탁 3분} {헹굼 1회} {탈수 5분}이라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송신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예에서는 선택기 아이템을 이용하여 동적으로(사용자의 압박 조작으로)표시 및 조작법이 변화하는 경우를 설명했다. 터치 패널(3a)과 액정 패널(3b)을 이용하여, 표시 화상을 부품화하여 조작 대상 화상 부품에 터치 영역을 정의하여 터치 영역을 갖는 부품 내에 표시 동작 기술 및 조작 결과에서 동작 기술을 갖게 함으로써, 자유로운 표시 조작 패널을 작성할 수 있다.
도24에 제4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예를 도시한다. 선택 스위치(16)로 제4 표시 조작 레이아웃이 선택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것은 제1 예(도15)를 왼손잡이 사용자용으로 모든 표시 배치를 좌우 반전한 것이다. 제1 예의 수목 구조 및 실제의 도트 그림 데이터를 아무런 변경없이, 아이템 데이터 내 화상 데이터의 표시 시점 좌표 및 터치 영역 시점 좌표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선택 스위치(16) 이외에 다른 하나의 오른손잡이, 왼손잡이 설정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이 설정에 의해 시점 좌표 데이터를 간단한 좌표 변환 프로그램으로 변경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개 표시 및 터치 영역의 압박 검출을 행하는 것만으로 도24의 패널 레이아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목 구조로서 제1 내지 제3의 예와 같이 복수의 레이아웃을 기억 내장해 두면, 실제의 표시 화상 데이터를 보충하는 일 없이, 사용자는 선택 스위치(1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처음부터 인쇄된 압박 조작법은 아니며, 자유로이 조작법 및 그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호에 따라 혹은 고령화에 따른 부자유 등에 의해, 조작법을 바꾸고 싶다고 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부응하는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서 세탁을 하고 싶은 제1 그룹의 사람들은 선택 스위치(16)로 제1 조작 표시 레이아웃을 선택하고, 자신만의 방법으로 치밀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세탁하고 싶은 제2 그룹의 사람들은 제3 조작 표시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좋다. 왼손잡이의 사람은 제4 조작 표시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좋다.
도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표시 조작 제어부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는 미리 준비된 복수의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수목 구조로 표현함)를 표시 조작 선택 버튼(16)으로 사용자가 선택하는 구성이다. 본 제2 실시예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세탁기 외부로부터 기입 장치를 이용하여 기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미리 세탁기에 복수의 데이터를 기억해 둘 필요가 없으므로,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R0M 용량을 저감할 수 있어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 선택의 범위를 넓힐 수도 있다. 또한, 후일 다른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로 교체할 수도 있어 고령화 됨에 따라 조작이 부자유해진 때라도,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세제가 발매되어, 이에 대응한 새로운 세탁 공정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25에 있어서, 제1 실시예의 도9와 동일 부호는 동일물을 나타낸다. 부호 60은 세탁기 외부로부터 접속 단자를 거치지 않고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판독하는 비접촉 판독 회로, 부호 61은 판독한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기억하는 플래시 메모리이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도9)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비접촉 판독 회로(60)와 이에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기입하는 표시 조작 패널 기입 장치(62)의 상세를 도26에 도시한다. 또 도25에 도시한 표시 조작 제어부와 접속되는 세탁 공정 제어부(도7)는 EEPROM의 데이터(후술하는 플래시 메모리 기입 플랙) 및 송출 지령(데이터 수신 지령)의 일부를 제외하고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27에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도시한다. 이것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소프트웨어 구성(도10 및 도12)으로 선택 스위치 입력부는 삭제하고, 패널 데이터 기억부(45b-4) 대신에 플래시 메모리 입출력부(45b-9)와 외부의 플래시 메모리(61)가 추가되고, 또한 데이터 복조 레벨 변환 회로(60b)로부터의 외부 데이터를 판독하는 외부 데이터 입력부(45c)가 추가된 것이다. 그 밖의 것은 도10 및 도12와 마찬가지이다.
도26에 있어서, 부호 62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이며, 본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비접촉 데이터 판독 회로(60)를 거쳐서 플래시 메모리(61)에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기입한다.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에 있어서, 부호 62a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 회로, 부호 62b는 복수의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데이터 메모리, 부호 62c는데이터 메모리(62b) 내의 복수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하나를 선택하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선택 스위치, 부호 62d는 선택된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의 송신을 개시시키는 송신 개시 버튼, 부호 62e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의 재기입을 요구하는 재기입 요구 버튼, 부호 62f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여 캐리어 변조하여 출력하는 직렬 변환 변조 회로, 부호 62g는 적외선 LED 구동 회로, 부호 62h는 적외선 LED, 부호 62i는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 부호 62j는 RS232C 커넥터 등의 외부 접속 단자, 부호 63은 퍼스널 컴퓨터 등의 데이터 처리 장치이다. 적외선 LED(62h)는 장치 하부의 적외선 광학 필터(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장치 외부로 적외광을 출력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63)에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수목 구조, 아이템 데이터,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복수 작성한다. 예를 들어 도13, 도18, 도21, 도24 등의 레이아웃 데이터이다. 이 작성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는 처리 장치의 RS232C 단자와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의 외부 접속 단자(62j)를 RS232C 케이블로 연결되어, 외부 인터페이스 회로(621)를 거쳐서 데이터 메모리(62b)에 미리 기억해 둔다. 처리 장치(63)로부터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의 데이터 메모리(62b)에 기입하는 방법은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통상 행해지는 데이터 통신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판매점 등의 서비스맨은 미리 데이터 메모리(62b)에 복수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를 세탁기설치 장소에 휴대하여, 세탁기에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의 하나를 기입한다. 세탁기에는 비접촉 판독 회로(60)로서 전방부 조작 상자(2d) 내의 표시 조작 패널(3)의 가로에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60a)가 배치되고, 이 출력은 증폭 복조 병렬 변환 회로(60b)를 거쳐서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접속되어 있다.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60a)의 전방면은 전방부 조작 상자의 플라스틱 부재이다. 통상 얇은 플라스틱재는 적외선을 투과시킨다.
서비스맨은 우선 사용자 자택에서 세탁기의 전원 스위치(15)를 투입한다. 전원 스위치가 투입되면,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EEPROM(40)에 기억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 기입 플랙을 검사하여, 이 플랙이 셋트되어 있지 않으면,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양 방향 통신 회로를 통해 데이터 수신 지령을 송신한다. 이 플랙은 공장 출하시에 재장착되어 있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데이터 수신 지령 {데이터 수신}을 수신한 후, 복조 레벨 변환 회로(62b)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휴대한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를, 장치 내의 적외선 LED(62-h)가 이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62a)의 전방면에 위치하도록 보유 지지하고, 데이터 선택 스위치(62c)로 표시 조작 데이터의 하나를 선택하여 송신 버튼(62d)을 누른다. 송신 버튼이 눌러지면, 제어 회로(62a)는 우선 미리 결정된 데이터 송신 개시를 도시한 데이터, 계속해서 데이터 메모리 내의 선택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마지막으로 데이터 송신 종료를 나타낸 데이터를 직렬 변환 변조 회로(62f)로 송출한다. 데이터는 직렬 변환 변조 회로(62f)에서 차례로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어 캐리어 변조되고, 적외선 LED 구동 회로(62g)에서 적외선 LED(62h)를 구동한다. 변조된 적외광은 전방부 조작 상자(2d)의 플라스틱 부재를 투과하여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60a)에서 수광된다. 수광된 적외광은 적외선 수광 다이오드(60a)에서 전압으로 변환되고, 복조 레벨 변환 회로(60b)에서 증폭 복조되어, 원래의 직렬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직렬 데이터를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외부 데이터 입력부(45c)가 판독한다. 외부 데이터 입력부(45c)가 데이터 송신개시 데이터를 수신하였다면, 제2 마이크로 컴퓨터는 계속해서 플래시 메모리 입출력부(45b-8)를 이용하여 수신하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하는 처리로 이행하여, 차례로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하여 기억한다. 이것은 데이터 송신 종료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계속할 수 있다. 하나의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수신 종료하였다면, 플래시 메모리 기입 루틴을 제외하고, 플래시 메모리의 기입 종료를 기입 종료 지령으로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송신한다. 종료 지령을 수신한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전술한 기입 플랙을 셋트한다. 이후는 전원 스위치 투입으로 데이터 수신 지령이 이송되지 않고(입력 접수 처리는 행해지지 않음), 직접 표시 처리가 행해진다. 또, 적외선 출력을 캐리어 변조하는 것은 옥외에서 기입하는 경우, 태양광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기입이 종료하였다면, 일단 세탁기의 전원을 끄고 다시 전원을 투입하면, 앞에 기입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표시 조작 패널(3)에 표시된다. 이하의 동작은 제1 실시예에서 선택 스위치(16)에 의해 하나의 레이아웃을 선택한 때의 동작과 마찬가지이다.
여기에서, 사용자가 기입한 패널안을 확인한 후, 다른 패널안으로 변경하는 것을 요구한 경우의 재기입법을 설명한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전원 투입시의 초기 설정 처리의 하나로서, 복조 레벨 변환 회로(60b)로부터의 데이터를 단시간 예를 들어 300mS간 접수하여,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로부터의 재기입 요구를 판단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전원 투입시에 표시 조작 패널의 데이터 기입 장치(62)를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에 장착하여 재기입 요구 버튼(62e)를 눌러 재기입 요구 적외선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이 재기입 요구를 접수하였다면, 통상의 처리가 아닌 부저음을 발생하여 요구 접수를 서비스맨에게 알리는 동시에, 플래시 메모리(61)를 제거하여 다시 부저음을 발생하여 전술한 증폭 복조 레벨 변환 회로(60b)로부터의 데이터를 접수하는 입력 접수 처리를 행한다[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로부터 데이터 수신 지령을 수신한 것과 같은 처리를 행함]. 이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선택하여 데이터 송신 버튼을 눌러 새로운 데이터를 기입하면 좋다.
도28에 새로운 세제의 발매에 의해, 그 세탁에 적합한 세탁 공정 특히 세탁 공정을 추가한 경우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이것은 제1 표시 조작 레이아웃(도13)에 신세제 버튼을 추가한 것이다. 도29에 그 수목 구조를 도시한다. 1D = 16으로서「신세제」표시 화상 부품 버튼 아이템을 추가한다. 온에서의 액션 스크립트로서, {세탁 8분 시한 1.2 - 1.2 회전수 150rpm}이 기술된다.
이 수목 구조 데이터, 수목 구조의 각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 데이터, 각 표시 화상 부품 아이템의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 조작 패널의 데이터 기입 장치(62)로 세탁기 내의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입한다. 표시 및 조작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는「신세제」버튼에서의 동작만을 설명한다.
세탁 공정 제어부의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는 시퀀스 데이터로서 각 세탁 공정(오염 다량, 표준, 오염 소량 세탁)에서의 세탁 혹은 헹굼 공정에서의 공정 시간ㆍ회전 날개의 정 혹은 역회전 구동 시간 및 중지 시간ㆍ회전수, 탈수 공정에서의 공정 시간ㆍ각 탈수 회전수에서의 구동 시간ㆍ회전수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세탁 혹은 헹굼 공정에서의 회전 날개의 정 혹은 역회전 구동 시간 및 중지 시간을 시한이라 부르고, 보통 정회전 시간과 역회전 시간은 같게 하여, 구동 시간과 중지 시간의 조합으로 표현한다. 시한 1.2 - 1.2라 하면 1.2초 구동하여 1.2초 중지하는 것이다. 이것을 정역으로 반복하여 세탁 혹은 헹굼 공정을 실행한다. 이 경우 공정 시간은 이 반복 횟수로도 표현하게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는 {표준 세탁}이라는 지령을 수신하였다면, 미리 시퀀스 데이터로서 기억되는 상술한 공정 시간ㆍ시한ㆍ회전수를 바탕으로 PWM 인버터 회로를 구동하여, DC 무브러시 모터를 회전시켜 세탁을 실행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가 지령으로서 공정 시간ㆍ시한ㆍ회전수를 보냄으로써,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에 시퀀스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지 않은 세탁을 행하게 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 아이템의 액션 스크립트로서 공정 시간ㆍ시한ㆍ회전수를 변수로서 {세탁}이라는 지령과 함께 제1 마이크로 컴퓨터(35)로 보냄으로써 실현하고 있다.
본 설명에서는 세탁 공정만을 신세제에 대응하도록 변경하였지만, 당연히 헹굼 공정 혹은 탈수 공정에서도 마찬가지로 액션 스크립트에 기술함으로써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세탁 8분 시한 1.2 -1.2 회전수 150 rpm}에 계속하여 {헹굼 4분 시한 1.2 - 0.8 회전수 120rpm} {탈수 4분 10초 l50rpm 30초 200rpm 200초 800rpm}이라 기술한다. 또 액션 스크립트로서 세탁의 기술만이면 헹굼 공정, 탈수 공정은 미리 기억되어 있는 시퀀스 데이터 가령 표준 세탁을 이용한다.
도30은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 및 비접촉 판독 회로(60)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30에 있어서 도26과 동일 부호는 동일물을 도시한다. 빛으로 인한 정보 전달에는 세제 부착 오염에 의해 오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실시예는 이에 대처하는 것으로, 비접촉 데이터 판독을 전자 유도로 행하는 것이다.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기입 장치(62) 내의 부호 62k는 송신 코일 구동 회로, 부호 62l은 송신 코일, 세탁기 내의 부호 60c는 수신 코일이다.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는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고, 캐리어 변조되어 송신 코일(62-1)에 변조 전류를 흘린다. 이 변조 전류는 수신 코일(60-c)에 전압을 발생해, 이 전압을 복조 레벨 변환 회로(60b)에서 복조한 후, 복조 직렬 데이터를 레벨 변환하여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입력한다.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는 이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한다. 다른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의 도28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바탕으로, 표시 조작 패널(3)에 표시한다. 이하의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설명과 마찬가지이며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탁기를 제어하는 제1 마이크로 컴퓨터 및 표시 조작을 제어하는 제2 마이크로 컴퓨터를 교체하는 일 없이, 새로운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혹은 새로운 세탁 공정을 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의 R0M 용량은 적어져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는 서비스맨이 사용자 자택에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다양하게 표시시키면서,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사용자가 선택한 것을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가장 사용 편의성이 좋다고 판단한 조작 패널과 조작법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후일 다른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로 교체함으로써, 고령화에 따라 조작이 부자유해진 때라도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세제나 의료가 발매되어, 이에 대응한 새로운 세탁 공정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61)에 레이아웃 기입하는 동작으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45)의 R0M에 미리 제1 실시예의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기입해 두고, 후일 앞의 데이터를 활용하여(특히 실제로 표시하는 도트 그림 데이터를 유용함), 새로운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에 필요한 수목 구조 등 필요 최소한의 데이터만을 기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기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도31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회로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제1 실시예의 양 방향 통신 회로에서 접속된 표시 조작 제어부와 세탁 공정 제어부에다가, 양 방향 통신 회로를 갖는 외부 통신부(80)를 추가하고, 각각의 양 방향 통신 회로를 스타형으로 접속한 것이다. 외부 통신부(80)는 제3 마이크로 컴퓨터(81), 외부 통신 회로(82), 세탁기의 기종 기능, 형식 및 제조 번호를 기억하는 기기 정보 메모리(83), 상기 형식 및 제조 번호를 열쇠로서 암호 해독을 행하는 암호 해독 회로(84),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인 양 방향 통신 회로(85)로 구성된다. 외부 통신 회로(82)는 세탁기의 외부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가정내의 상용 전원선을 거쳐서 외부와 통신을 행하는 전력선 통신 회로 혹은 전파 혹은 적외선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회로이다. 또한 표시 조작 제어부에는 제조 번호 표시 스위치(86)를 설치했다. 이 제조 번호 표시 스위치(86)를 누르면 표시 조작 패널(3)에 제조 번호가 표시된다. 또 암호 해독 회로(84)의 암호 해독 처리는 제3 마이크로 컴퓨터(81)의 소프트웨어로 행해도 좋다.
도32는 제3 실시예의 세탁기(90)를 외부 통신 회로(82)를 거쳐서, 가정내의 로컬 에어리어 네크워크(이하 LAN이라 약칭함)(91)에 접속한 상태를 도시한다.
세탁기(90)는 가정내 LAN(91)을 거쳐서 게이트 웨이(92)에 이어지고, 이 게이트 웨이(92)는 인터넷(93)에 직접 접속되어, 마찬가지로 인터넷(93)에 접속되어 있는 호스트(94)와 통신하여 정보의 교환을 행한다. 또 가정내 LAN의 형태로서는 무선, 유선별, 통신 방식별로 여러가지 형태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떠한 형태라도 좋다.
호스트(94)는 인터넷(93)에 소정의 홈 페이지를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써, 가전 기기의 기기 정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으로 세탁기 기종마다의 서비스 정보로서, 세탁기 형식, 각 형식에서의 판매된 제조 번호, 각 형식에서의 복수의 변경 가능한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및 그를 표시한 화상 데이터, 혹은 새롭게 발매된 세제를 이용한 적합한 세탁 공정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이들의 데이터는 당연히 호스트(94)에 대하여 세탁기 제조자가 억세스하여 갱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인터넷(93)에 접속되는 호스트(94)에 억세스하여, 소유하고 있는 세탁기에 새로운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 혹은 새로운 세탁 공정이 가능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다운 로드하여, 도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호스트(94)는 데이터 베이스 기능, 통신 기능, 갱신 기능을 갖고,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 제어부, 표시부, 키보드, 인증 정보 기억부, 네트워크 정보 기억부, 프로그램 기억부, 인터넷 통신부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기억부(94a)는 호스트(94)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기억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호스트 제어부(94b)가 호스트(9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증 정보 기억부(94c)는 인터넷 통신부(594d)를 거쳐서 인터넷(93)으로 정보 교환하는 경우의 상대를 인식, 식별하기 위한 등록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로 정보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인증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로서는 이용자, 정보 제공자, 갱신 등에 관한 정보가 있다. 이용자 정보로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람을 등록 기억하고, 정보 제공 정보로서 이용자, 제공처로의 개시 정보를 기억하고, 또한 개시 정보 형태도 기억하여, 전송처 정보로서의 어떤 주소(인터넷 상부)에 어떠한 정보를 전송하는지 등의 등록 정보를 기억하고, 갱신 정보로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자나 제공자로부터 갱신해도 좋은 정보인지의 등록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네트워크 정보 기억부(94e)는 네트워크에서 제공되는 문자 정보, 화상 정보, 음성 정보, 프로그램 정보 등을 기억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는 여기에 제조자에 의해 기억된다.
게이트 웨이(92)에는 세탁기(90) 외에 가정내 LAN(91)을 거쳐서 에어컨, 전자 레인지, 건조기 등의 가전 기기가 이어진다. 게이트 웨이(92)는 가전 기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호스트(94)에 대하여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 등의 각종 정보를 요구하여, 호스트(94)로부터 반송되어 오는 정보를 수취하여 기억하고, 요구한 가전 기기에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가전 기기의 외계로의 창구가 된다.
게이트 웨이(92)는 데이터 베이스 기능, 통신 기능, 갱신 기능을 갖고, 도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 웨이 제어부, 표시부, 키보드, 인증 정보 기억부, 네트워크 정보 기억부, 프로그램 기억부, 인터넷 통신부, 가정내 LAN 통신부, LAN 정보 기억부로 이루어진다.
프로그램 기억부(92a)는 게이트 웨이(92)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기억부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의해 게이트 웨이 제어부(92b)가 게이트 웨이(9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인증 정보 기억부(92c)는 인터넷 통신부(92d)를 거쳐서 인터넷(93)으로 정보 교환하는 경우의 호스트(94)를 인식, 식별하는 것이며, 네트워크로 정보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인증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는 정보로서는 인터넷 접속에서의 호스트(94), 이용자, 갱신 등의 정보가 있다.
게이트 웨이(92)는 가정내 LAN 통신부(92e)를 거쳐서 가정내 LAN(91)에 접속되는 각 가전 기기와 이어져 있다. 그리고 각 가전 기기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호스트(94)로부터 수취하여, 상기 정보를 네트워크 정보 기억부(92f)에 기억하여 표시부에서 표시하는 동시에, 이 표시 정보의 선택 기능을 갖고, 이 선택된 정보에 의거하여 가전 기기가 요구하는 정보를 가전 기기에 제공한다.
가전 기기를 게이트 웨이(92)에 등록하는 처리를, 가전 기기로서 본 실시예의 세탁기(90)를 새롭게 가정내 LAN에 접속한 경우로 설명한다. 우선 게이트 웨이(92)로부터 세탁기(90)에 대하여 기기 정보 요구를 송신하고, 이에 대하여 세탁기(90)가 기기 정보를 송신함으로써, 게이트 웨이(92)는 어떠한 기기 이 경우 세탁기(90)가 가정내 LAN(91)에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게이트 웨이(92)로부터의 요구는 외부 통신 회로(82)를 거쳐서 제3 마이크로 컴퓨터(81)에 전달된다. 이에 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81)는 기기 정보 메모리(83)로부터 기기 정보을 판독하여 이것을 외부 통신 회로(82)로부터 게이트 웨이(92)로 송신하는, 게이트 웨이(92)는 세탁기(90)로부터 기기 정보를 수취하면 이것을 LAN 정보 기억부(92g)에 기억하고, 이 새롭게 접속된 가전 기기의 기기 등록을 행한다.
인터넷(93)의 월드ㆍ와이드ㆍ웨이브(이하 WWW라 부름)에 배치되는 호스트(94)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기(90)의 복수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이 형식에 의해 분류되어 기억되어 있다. 세탁기 사용자는 게이트 웨이(92)로부터 브라우저 프로그램에서 호스트(94)의 홈페이지에 억세스하여 자신이 사용하는 세탁기의 형식을 바탕으로, 이용 가능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을 열람한다. 그리고, 자신의 기호 혹은 필요성에 적합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이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호스트(94)로부터 다운 로드하는 경우에는 호스트(94)에 대하여 우선 제조 번호 데이터를 송신한다. 제조 번호는 사용자가 세탁기(90)의 제조 번호 표시 스위치(86)를 누름으로써 표시 조작 패널(3)에 표시된다. 이것을 확인하여 사용자는 호스트(94)에 제조 번호를 송신한다. 호스트(94)는 이 제조 번호와 형식을 열쇠로 희망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암호화한 다음 억세스한 사용자에게 송신한다. 암호화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는 일단 게이트 웨이(92)의 네트워크 정보 기억부(92e)에 축적되고, 그 후 세탁기(90)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가정내 LAN(91)를 거쳐서 세탁기(90)의 외부 통신 수단(80)에 전송된다. 외부 통신 수단은 기기 정보 메모리(83)에 기억되는 제조 번호와 형식으로부터 암호 해독 회로(84)를 이용하고 해독한 후, 양 방향 통신 수단(85)으로 제2 마이크로 컴퓨터(45)에 송신한다.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제조 번호로 암호화하는 것은 ① 억세스한 자가 세탁기 사용자 본인인 것을 인증하는 동시에, ② 동력 혹은 열원을 갖는 세탁기를 악의가 있는 타인의 개변으로부터 보호하여, 안전성,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형식을 암호 열쇠에 이용하는 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세탁기의 형식을 오인한 경우의 확인을 위해서이다. 이러한 이중의 안전책으로 인해 사용자는 안심하고, 원하는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제2 마이크로 프로세서(45)는 해독된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를 제2 실시예와 같이 양 방향 통신부(45a)로부터 플래시 메모리 입출력부(45b-8)를 거쳐서 플래시 메모리(61)에 기억한다. 그 후는 이 새로운 갱신된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레이아웃에 따라 상기 표시기로 이송하여 각종 숫자, 문자, 세탁 진행 상태나 조작 버튼 등의 표시 화상 부품을 표시시킨다. 이 동작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세탁기 사용자는 호스트에 축적된 복수의 표시 조작 패널 레이아웃 데이터로부터 자유롭게 원하는 것을 선택하여, 이것을 안전하게 다운 로드하여 세탁기에 기입하고, 실제로 표시, 조작을 행하여 세탁 작업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특히 고령화에 따른 시력의 쇠퇴, 손의 떨림 등에 의한 조작 곤란에 대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패널 데이터의 선택의 폭을 제1, 2의 실시예보다도 넓힐 수 있다. 또한 차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최신의 표시 조작 패널 데이터를 실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제1, 제2, 제3 마이크로 컴퓨터에 각각의 기능을 분담시켜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의 성능 향상(속도와 기억 용량)에 따라 전체를 하나의 마이크로 컴퓨터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통상의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이 수직인 이른바 세로형 전자동 세탁기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탁겸 탈수조의 회전축이 수평인 이른바 드럼식 세탁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본 발명을 세탁기로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이 증가함에 따라 표시 조작이 복잡화된 가전 기기(에어컨, 의류 건조기, 식기 세척기 등)에 있어서도, 본 특허의 사용자가 자유롭게 표시 조작을 변경할 수 있는 구성은 조작의 선택 자유도를 높여, 모든 사람에게 사용하기 쉬운 기기를 제공한다고 하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특히 고령화에 따라, 눈이 보이지 않게 되거나, 손놀림이 자신이 없어진 고령자에게 있어서는 유효해진다. 또한 새롭게 도입할 수 있는 기능과 그 조작법도 자유롭게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조작 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표시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하나의 화면 내에 있어서의 표시 내용의 일부 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요망에 맞는 표시 조작 패널을 실현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좋은 세탁기를 포함하는 가전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투명한 압력식 터치 패널을 표시면 상에 실제 장착한 표시 수단과,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과 이 표시 화상 부품의 조합 및 표시면 상의 배치를 기술하는 표시 배치 구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배치 구조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으로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을 배치 표시하여, 표시 및 압박에 의한 조작 지시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 조작 수단을 구성하고, 이 표시 조작 수단에 의해 세탁기의 동작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배치 구조는 각 표시 화상 부품의 종속 관계와 병렬 관계를 지정하는 수목 구조를 기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부품에 대하여,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면 상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 크기,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 및 이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에 대하여,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화상 부품에 대하여 표시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면 상에 있어서의 표시 위치, 크기,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 및 이 도트 그림 화상 데이터의 개시 어드레스에 관한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하고, 동작에 관한 정보로서, 상기 압력식 터치 패널 상에 압박 영역이 지정되는 표시 화상 부품은 상기 표시에 관한 정보과 함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를 대응시켜 기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배치 구조 중에서 하나의 표시 배치 구조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과 상기 표시 배치 구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으로서,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기억 수단과, 이 기억 수단에 세탁기의 외부로부터 송신된 표시 화상 부품 또는 표시 배치 구조를 취입하는 데이터 통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통신 수단은 비접촉으로 데이터를 판독하는 비접촉 데이터 판독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투명한 압력식 터치 패널을 표시면 상에 실제 장착한 표시 수단과,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과 이 표시 화상 부품의 조합 및 표시면 상의 배치를 기술하는 표시배치 구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배치 구조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을 배치 표시하여 표시 및 압박에 의한 조작 지시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조작 패널.
  10. 투명한 압력식 터치 패널을 표시면 상에 실제 장착한 표시 수단과,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과 이 표시 화상 부품의 조합 및 표시면 상의 배치를 기술하는 표시 배치 구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 배치 구조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수단에 의해 복수의 표시 화상 부품을 배치 표시하여 표시 및 압박에 의한 조작 지시를 가능하게 하는 표시 조작 수단을 구성하고, 이 표시 조작 수단에 의해 동작을 설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기기.
KR10-2001-0023180A 2001-02-28 2001-04-28 세탁기, 표시 조작 패널 및 이 표시 조작 패널을 구비한가전 기기 KR100421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53420A JP2002253892A (ja) 2001-02-28 2001-02-28 洗濯機、表示操作パネル及びこの表示操作パネルを備えた家庭電化機器
JP2001-053420 200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0039A KR20020070039A (ko) 2002-09-05
KR100421157B1 true KR100421157B1 (ko) 2004-03-03

Family

ID=18913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3180A KR100421157B1 (ko) 2001-02-28 2001-04-28 세탁기, 표시 조작 패널 및 이 표시 조작 패널을 구비한가전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26013B2 (ko)
JP (1) JP2002253892A (ko)
KR (1) KR100421157B1 (ko)
CN (1) CN13732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348B1 (ko) 2013-03-19 2015-10-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EP3767022A1 (en) 2019-07-16 2021-01-20 LG Electronics Inc. A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1916B2 (en) * 2001-08-02 2004-01-06 Maytag Corporation Laundry appliance having automatic start feature
US20030028258A1 (en) * 2001-08-06 2003-02-06 Peterson Gregory A.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network accessible programmable memory
US6813911B2 (en) * 2001-08-06 2004-11-09 Emerson Electric Company Appliance control system with cycle selection detection
KR100457141B1 (ko) * 2002-03-02 2004-11-16 주식회사 레인콤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버튼의 기능을 변경하는 방법 및장치
US7296236B2 (en) * 2002-07-02 2007-11-13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control identification system employing user interface scan matrix
WO2004030438A2 (en) * 2002-10-04 2004-04-15 Lancer Partnership, Ltd. Multiple brand ice beverage dispenser
KR100510657B1 (ko) * 2002-11-26 2005-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의 구동방법
KR100929229B1 (ko) * 2002-11-28 2009-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도어 열림 제어방법
US7246395B2 (en) * 2002-12-09 2007-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Washer/dryer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502935B1 (ko) * 2003-01-11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및 그 제어 장치
DE10309225A1 (de) * 2003-03-03 2004-09-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TWM249056U (en) * 2003-11-07 2004-11-01 Hon Hai Prec Ind Co Ltd Computer
US7096601B2 (en) * 2003-12-26 2006-08-2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drying system
US20080151364A1 (en) * 2004-01-14 2008-06-26 Carl Zeiss Smt Ag Catadioptric projection objective
US20050162399A1 (en) * 2004-01-23 2005-07-28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ing and inputting apparatus
US20050177799A1 (en) * 2004-02-05 2005-08-11 Knight Juliet F. Method of associating an icon with a temporary profile
US7310893B2 (en) * 2004-05-19 2007-12-25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with user selected default settings
KR20050111045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DE102004062244A1 (de) * 2004-12-23 2006-07-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er ohne Reiniger-/Klarspüler-/Enthärterzugabe
US20060164397A1 (en) * 2005-01-27 2006-07-27 Maytag Corporation Appliance with membrane overlay
US20060185096A1 (en) * 2005-02-21 2006-08-24 Maytag Corporation Automated switch scanning matrix for obtaining user input
KR101095555B1 (ko) * 2005-05-04 2011-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KR101259801B1 (ko) * 2005-10-11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DE202005019472U1 (de) * 2005-12-13 2006-02-23 Eppendorf Ag Laborgerät mit einer Bedienvorrichtung
US20090025432A1 (en) * 2006-01-13 2009-01-29 Seong Kyu Kim Laundry machine having changeable controlling part and dual laundry machine having the same
KR100848268B1 (ko) * 2006-12-20 2008-07-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입력장치 및 그 제어방법
ITRN20070020A1 (it) * 2007-04-05 2008-10-06 Indesit Co Spa Elettrodomestico con doppia interfaccia e set di elettrodomestici dotati di un pannello di comando comune.
KR101366560B1 (ko) * 2007-04-10 2014-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제어 시스템
KR20090022856A (ko) * 2007-08-31 2009-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WO2009134044A2 (en) * 2008-04-29 2009-11-05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8532273B2 (en) * 2008-04-29 2013-09-10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101627219B1 (ko) * 2008-04-29 2016-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시스템
US8705715B2 (en) * 2008-04-30 2014-04-22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diagnosis method of a home appliance
US9054953B2 (en) * 2008-06-16 2015-06-09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US20100066554A1 (en) * 2008-09-02 2010-03-1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system
US7928857B2 (en) * 2008-11-21 2011-04-19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Console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US8007597B2 (en) * 2008-12-09 2011-08-30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providing usage guidance
KR101555586B1 (ko) * 2009-04-10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KR101579481B1 (ko) * 2009-04-10 201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21685B1 (ko) * 2009-04-10 2014-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42115B1 (ko) * 2009-04-10 2014-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시스템
KR101597523B1 (ko) * 2009-04-10 2016-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서비스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65079B2 (en) * 2009-04-10 2013-10-22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20100112948A (ko) * 2009-04-10 2010-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563487B1 (ko)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DE102009026712A1 (de) * 2009-06-04 2010-12-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Oberfläche, welche einen Photokatalysator aufweist
WO2011005018A2 (ko) 2009-07-06 2011-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10374A (ko) * 2009-07-24 2011-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03000B1 (ko) * 2009-07-24 2014-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신호출력방법
KR101472402B1 (ko) * 2009-07-31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82137B1 (ko) * 2009-07-3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82138B1 (ko) * 2009-07-3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607891B1 (ko) 2009-07-31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553843B1 (ko) * 2009-07-31 201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20110013582A (ko) * 2009-07-31 2011-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472401B1 (ko) * 2009-07-31 2014-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KR101553840B1 (ko) * 2009-08-05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52619B1 (ko) * 2009-08-05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동작방법
AU2010279835B2 (en) * 2009-08-05 2014-08-28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521625A2 (en) 2010-01-05 2012-11-14 Stratasys, Inc. Support cleaning system
KR101748605B1 (ko) 2010-01-15 201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 진단시스템
CN103053136B (zh) 2010-07-06 2015-11-25 Lg电子株式会社 家用电器诊断系统和用于其的诊断方法
KR101386818B1 (ko) * 2010-12-02 2014-04-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KR101275582B1 (ko) * 2010-12-31 2013-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CN102168356B (zh) * 2011-04-18 2012-09-19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洗澡水洗衣机的洗澡水水路故障的判断处理方法
US10260754B2 (en) * 2011-07-12 2019-04-16 Viking Range, Llc Advanced electronic control display
KR101416937B1 (ko) 2011-08-02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동작방법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252167B1 (ko) 2011-08-18 201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장치 및 그 진단방법
EP2573632A1 (de) * 2011-09-20 2013-03-27 Miele & Cie. K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Haushaltsgeräts und zur Verwendung in einem solchen Verfahren vorgesehenes Haushaltsgerät
KR101942781B1 (ko) 2012-07-03 2019-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가전기기 진단을 위한 신호음 출력방법
KR20140007178A (ko)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JP2014014588A (ja) * 2012-07-11 2014-01-30 Panasonic Corp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2014014586A (ja) * 2012-07-11 2014-01-30 Panasonic Corp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2014014587A (ja) * 2012-07-11 2014-01-30 Panasonic Corp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6399330B2 (ja) * 2012-08-08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5978461B2 (ja) * 2012-08-08 2016-08-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6101924B2 (ja) * 2012-08-08 2017-03-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2014033844A (ja) * 2012-08-09 2014-02-24 Panasonic Corp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6060371B2 (ja) * 2012-08-09 2017-01-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の操作表示装置
JP6032639B2 (ja) * 2012-08-28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JP6074196B2 (ja) * 2012-09-07 2017-02-01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6103863B2 (ja) * 2012-09-07 2017-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機器
KR101960308B1 (ko) * 2012-09-13 2019-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6097923B2 (ja) * 2012-09-14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5596096B2 (ja) * 2012-09-14 2014-09-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JP6134900B2 (ja) * 2012-09-14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2014054489A (ja) * 2012-09-14 2014-03-27 Panasonic Corp 洗濯機
JP5596095B2 (ja) * 2012-09-14 2014-09-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EP2896735A4 (en) * 2012-09-14 2015-07-22 Panasonic Ip Man Co Ltd WASHING MACHINE
JP6118983B2 (ja) * 2012-09-14 2017-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6131019B2 (ja) * 2012-10-15 2017-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6246530B2 (ja) * 2013-08-28 2017-12-1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KR20140121027A (ko) 2013-04-04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 컨트롤패널의 제어방법 및 상기 컨트롤 패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WO2014193157A1 (en) * 2013-05-30 2014-1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isplaying wash cycle
JP6099521B2 (ja) * 2013-08-27 2017-03-2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6035219B2 (ja) * 2013-09-25 2016-11-3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DE102013113772A1 (de) 2013-12-10 2015-06-11 Pa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Bedienerführung, Blendenbauteil, Herstellung eines Blendenbauteils sowie Haushaltsgerät mit einem Blendenbauteil
JP5938805B2 (ja) * 2014-02-25 2016-06-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2014100600A (ja) * 2014-03-04 2014-06-05 Panasonic Corp 洗濯機
CN105088641B (zh) * 2014-05-08 2019-06-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循环用水处理模块及洗衣机
JP5887504B2 (ja) * 2014-07-24 2016-03-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JP2016202595A (ja) * 2015-04-23 2016-12-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機
CN106436147B (zh) * 2015-08-05 2019-01-25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480659B (zh) * 2015-08-26 2020-05-0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NL2016064B1 (nl) * 2016-01-07 2017-07-13 Intergas Heating Assets Bv Bedieningselement en daarvan voorzien apparaat.
EP3290565B1 (en) * 2016-08-31 2021-04-0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with a touch display
WO2018041172A1 (zh) * 2016-08-31 2018-03-0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冲锋衣洗涤方法及洗衣机
JP6359623B2 (ja) * 2016-12-28 2018-07-18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N109793470A (zh) * 2017-11-16 2019-05-24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控制方法及洗碗机
JP2019208887A (ja) * 2018-06-05 2019-12-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衣類処理装置
US10829885B2 (en) * 2018-08-06 2020-11-10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in pump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11176500B (zh) * 2018-11-13 2022-06-17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触摸屏中滑块的显示控制方法
US10907288B1 (en) * 2019-09-27 2021-02-02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with luminary communication interface
US20230245630A1 (en) * 2020-07-14 2023-08-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4989A (ja) * 1995-09-20 1997-03-31 Hitachi Ltd 電気洗濯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1348B1 (ko) 2013-03-19 2015-10-16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EP3767022A1 (en) 2019-07-16 2021-01-20 LG Electronics Inc. A washing machine
US11781260B2 (en) 2019-07-16 2023-10-10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53892A (ja) 2002-09-10
CN1373249A (zh) 2002-10-09
US6626013B2 (en) 2003-09-30
KR20020070039A (ko) 2002-09-05
US20020116959A1 (en) 200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1157B1 (ko) 세탁기, 표시 조작 패널 및 이 표시 조작 패널을 구비한가전 기기
CN207992863U (zh) 用于控制机器的操作的控制旋钮
CN108965481A (zh) 家用电器及包括该家用电器的联机系统
CN102912589B (zh) 一种无显示控制器件的全自动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6120242A (zh) 洗衣机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US20050140506A1 (en)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me appliance placed within certain distance
JPH10174799A (ja) 電気洗濯機
CN211454410U (zh) 用于控制机器的操作的控制旋钮
CN104878558A (zh) 洗衣机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6930041A (zh)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KR19990011182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통합리모콘 키이출력 방법 및 장치
JP2005034179A (ja) 機器の制御システム
JP2003210890A (ja) 洗濯機
KR101033567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JP2003284889A (ja) 洗濯機
KR100370088B1 (ko) 세탁기의 맞춤코스 추천장치 및 방법
KR100404201B1 (ko) 세탁기 및 그 서비스 요청방법
KR101029804B1 (ko) 스마트 서버를 이용한 가전 기기의 제어 방법
KR100400759B1 (ko) 세탁기의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41194A (ko) 세탁기 및 그 세탁정보 표시방법
KR20160051078A (ko)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JP2003205195A (ja) 洗濯機
CN110938966A (zh) 洗衣机及其控制方法、洗衣机系统及其控制方法和程序
KR100400758B1 (ko) 세탁기의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12417A (zh) 洗衣机及其控制装置和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