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1078A -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1078A
KR20160051078A KR1020140150496A KR20140150496A KR20160051078A KR 20160051078 A KR20160051078 A KR 20160051078A KR 1020140150496 A KR1020140150496 A KR 1020140150496A KR 20140150496 A KR20140150496 A KR 20140150496A KR 20160051078 A KR20160051078 A KR 20160051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me appliance
module
information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성
Priority to KR1020140150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1078A/ko
Publication of KR20160051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1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와 이용자의 단말기 각각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가 접속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단말기가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증모듈; 상기 웹서버에 연결되는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정보, 상기 인증모듈의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이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가 동일한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가전기기의 연결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가전기기가 동작하도록 상기 가전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상태변경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용자가 외부에서 가전기기를 인증절차에 의해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상태 및 정보 변경 그리고 필요한 도움말 제공 등에 의해 가전기기의 편리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용자의 위치검출에 따른 가전기기의 연동에 의해, 구동시 원하는 동작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가지는 가전기기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Smart home controll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외부에서 가전기기를 안전한 인증절차에 의해 편리하게 제어하도록 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통신 기술과 방송 기술의 발전에 따라 유비쿼터스(Ubiquitous)한 네트워크 환경이 제안되면서, 가정에 구비되는 가전기기는 본래의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정보통신 인프라와 융합하여 광대역 홈 서버를 통한 네트워킹을 수행하는 홈 네트워크 기능이 추가되고 있으며, 이에 의해 가전기기는 이전의 가전제품에서 홈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정보통신단말의 기능을 더 포함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53151호의 "인터넷을 이용한 가전기기 제어 장치"가 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제어기기로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와, 상기 피제어기기가 판독할 수 있는 제어 데이타가 포함된 정보를 인터넷 망을 통해 공급하는 공급자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인터넷 접속 수단과,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받아 제어 데이타의 선택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된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에 의한 선택에 따라 공급자로부터 인터넷 접속 수단을 통해 수신된 제어 데이타를 상기 신호 송신부를 통해 상기 피제어기로 송출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이용자가 안전하면서도 편리한 사용을 제공하는데 한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용자가 원격지에서 가전기기의 필요한 제어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용자가 외부에서 가전기기를 안전한 인증절차에 의해 편리하게 제어하고, 이용자에 의한 가전기기의 제어에 필요한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통신망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가전기기와 이용자의 단말기 각각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가 접속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단말기가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증모듈; 상기 웹서버에 연결되는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정보, 상기 인증모듈의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이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가 동일한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가전기기의 연결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가전기기가 동작하도록 상기 가전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상태변경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도움말 데이터로부터 조작에 필요한 도움말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의 버튼으로 계속 볼 수 있는 반응성 웹페이지로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도움말제공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가전기기에 고유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고유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고유번호가 할당된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변경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GPS모듈을 통해서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변경모듈은, 상기 위치검출모듈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가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시,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가전기기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가 설정된 거리 내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가전기기의 반대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정전 예정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예정 시간 동안 가전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전대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에 의하면, 이용자가 외부에서 가전기기를 인증절차에 의해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고, 가전기기의 상태 및 정보 변경 그리고 필요한 도움말 제공 등에 의해 가전기기의 편리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용자의 위치검출에 따른 가전기기의 연동에 의해, 구동시 원하는 동작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가지는 가전기기 사용의 불편을 해소하도록 하고, 정전으로 인한 가전기기의 오동작이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여 정전으로 인한 가전기기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의 제어단말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10)은 통신망, 예컨대 인터넷 통신망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가전기기(1)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으로서, 웹서버(11), 인증모듈(12), 데이터베이스부(13), 모니터링모듈(14) 및 상태변경모듈(1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전기기(1)는 예컨대 통신모듈을 가짐으로써 유선 또는 무선의 인터넷 통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서, 필요한 정보나 설정을 위한 입력부를 가질 수 있고, 입력부에 의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1)는 TV, 냉장고, 세탁기, 전기밥솥, 컴퓨터, 에어컨, 청정기, 조명, 전원플러그개폐기, 가스밸브차단기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가전용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에 의해 외부에서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제품일 수 있다.
웹서버(11)는 가전기기(1)와 이용자의 단말기(20) 각각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20)가 접속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도록 한다. 웹서버(11)는 단말기(20)를 통한 회원 가입을 통해 가입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인증절차에 필요한 정보를 단말기(20)와 주고 받을 수 있다.
인증모듈(12)은 웹서버(11)에 연결된 단말기(20)가 가전기기(1)의 제어를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단말기(20)가 미리 정해진 정보, 예컨대 암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3)는 웹서버(11)에 연결되는 단말기(20)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정보, 인증모듈(12)의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 및 단말기(20)에 의해 제어되는 가전기기(1)에 대한 기기정보를 이용자별로 저장하며, 그 밖에도 가전기기(1)의 제어를 위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여, 이를 필요로 하는 모듈 각각에 제공할 수 있다.
모니터링모듈(14)은 인증모듈(12)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20)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와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 가전기기(1)의 상태가 동일한지를 모니터링하고, 단말기(20)와 가전기기(1)의 연결, 즉 통신망을 통한 연결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단말기(20)에 제공할 수 있다.
상태변경모듈(15)은 인증모듈(12)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20)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단말기(20)에 연결된 가전기기(1)가 동작하도록 가전기기(1)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태변경모듈(15)은 단말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단말기(20)를 통해서 기등록된 가전기기(1)나, 직접 기등록된 가전기기(1)에 통신망을 통해서 송신되도록 출력하여, 단말기(20)가 원하는 가전기기(1)가 원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태변경모듈(15)은 단말기(20)가 다수의 등록된 가전기기(1) 중에서 일부를 선택해서 그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10)은 도움말제공모듈(16), 정보변경모듈(17), 위치검출모듈(18) 및 정전대비모듈(19) 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움말제공모듈(16)은 인증모듈(12)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20)의 요청시,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 도움말 데이터로부터 조작에 필요한 도움말을 추출하여, 단말기(20)의 버튼으로 계속 볼 수 있는 반응성 웹페이지로서 단말기(20)에 제공하도록 한다.
정보변경모듈(17)은 단말기(20)에 연결된 가전기기(1)에 고유번호를 할당하고, 고유번호를 단말기(20)에 제공하며, 단말기(20)를 통해서 고유번호가 할당된 가전기기(1)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변경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부(13)에 이용자별로 저장된다.
위치검출모듈(18)은 단말기(20)의 GPS모듈(26; 도 2에 도시)을 통해서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단말기(20)로부터 수신받아 단말기(20)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다. 위치검출모듈(18)은 단말기(20)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을 허용하도록 설정된 경우에 한해서, 단말기(20)로부터 위치정보를 제공받게 된다.
상태변경모듈(15)은 위치검출모듈(18)을 통해서 단말기(20)가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시, 단말기(20)가 미리 설정한 가전기기(1)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단말기(20)가 설정된 거리 내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시, 가전기기(1)의 반대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로딩 및 정상 동작에 시간이 필요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일정 시간이 소요되는 셋톱박스, 컴퓨터, 전기매트, 커피포트 등의 경우, 이용자는 웹서버(11)에 접속된 단말기(20)를 통해서 해당하는 가전기기(1)의 선택, 거리의 설정 등을 마치면, 이를 웹서버(11)가 데이터베이스부(13)에 이용자별로 저장되도록 한다. 그리고 위치검출모듈(18)이 단말기(2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단말기(20)의 위치를 파악하여, 정해진 거리 내에 단말기(20)가 위치시, 상태변경모듈(15)은 등록된 가전기기(1)가 등록된 동작, 예컨대 온(on)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태변경모듈(15)은 이용자가 집으로 오지 않고 다른 사정으로 인해 집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즉 단말기(20)가 설정된 거리 내에서 벗어나는 경우, 가전기기(1)의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위험 발생 또는 에너지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반대동작, 예컨대 오프(off)되도록 가전기기(1)를 제어할 수 있다.
정전대비모듈(19)은 인증모듈(12)에 의해 인증된 단말기(20)에 의해 정전 예정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하고, 정전 예정 시간 동안 가전기기(1)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정전으로 인해 갑자기 전원이 차단되거나, 정전 해제로 갑자기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전기 회로 또는 부품이 손상되기 쉬운 가전기기(1)에 대한 보호를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정전대비모듈(19)은 정전 예정 시간대의 시작 전에 가전기기(1)가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정전 예정 시간대의 종료 후에 가전기기(1)가 정상적으로 안전하게 온(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10)은 상기한 단말기(2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단말기(20)는 예컨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일 수 있고, 그 밖에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상기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다양한 통신 및 정보 처리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통신망을 통해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부(21),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2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필요한 동작을 수행함과 아울러, 그 밖에 정해진 동작 수행에 필요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3), 동작 상태 및 입력 정보 등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디스플레이부(24), 동작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25), 그리고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한 GPS모듈(26)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밖에 기기의 용도 수행에 따른 구성들이 부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단말기(20)에 본 시스템(10)의 사용을 위해 배포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설정화면으로 이동하는데, 이 경우 인증을 위한 정보, 예컨대 사용자 암호의 입력을 위한 기능만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인증에 필요한 암호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기(20)를 사용하여 웹서버(11)로부터 제공되는 웹페이지의 화면을 통해서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화면에는 입력한 암호가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 설정 화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이용자는 단말기(20)의 설정화면에서 정해진 암호를 입력하면, 다른 기능들이 활성화되고, 이후 가전기기(1)들을 제어할 수 있는 대시보드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인증에 필요한 암호 입력이 부정확할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종료되며, 언제든 다시 암호의 입력이 시도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단말기(20)에서 사용자 인증을 마치면, 그 화면에 다른 기능이 활성되는데, 여기서 기기 모니터링 항목이 체크되어 있으면, 모니터링모듈(14)에 의해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부(13)에 저장된 가전기기(1)의 상태와 단말기(20)의 어플리케이션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가 동일한지 체크하게 되는데, 이 화면에서 자동연결 체크를 해제할 경우 수동 연결 항목이 활성화되어 연결을 위한 서버 주소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단말기(20)의 화면에는 등록된 가전기기(1)가 화면으로 제공되는데, 이와 함께 도움말 터치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이용자가 도움말 터치 영역을 터치하면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도움말을 제공받도록 하는 화면들이 제공된다. 도움말은 도움말제공모듈(16)이 데이터베이스부(13)에 미리 저장된 도움말 정보를 통해서 제공되는데, 이러한 도움말은 반응성 웹페이지로 구성될 수 있고, 화면에서 하단의 네비게이션 버튼의 동작으로 계속 볼 수 있으며, 화면에서 뒤로 가기 버튼을 터치하면 가전기기(1)의 제어화면인 대시보드로 복귀하게 된다.
도 13에서와 같이, 단말기(20)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가전기기 아이콘을 길게 터치하면, 수정과 삭제를 선책할 수 있는 리스트가 생성되는데, 이때 삭제를 선택할 경우 해당 가전기기의 정보가 즉시 삭제되며, 이는 통신망을 통해서 정보변경모듈(17)이 수신받아 데이터베이스부(13)에 대한 가전기기(1)의 정보를 수정하도록 한다.
도 14에서와 같이, 단말기(20)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정보변경모듈(17)에 의해, 단말기(20)와 연결된 가전기기(1)에 할당된 고유번호가 단말기(20)로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이때 단말기(20)의 입력부(22) 조작에 의해 적합한 이름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름을 입력후, 단말기(20)의 화면에서 기기 종류를 변경 내지 선택할 수 있으며, 변경 후 확인을 터치하면 변경사항이 단말기(20)의 메모리부(25)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에서와 같이, 단말기(20)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단말기(20)의 옵션 버튼을 터치하면, 하단에 설정 또는 가전기기(1)를 새로 추가할 수 있는 메뉴가 생성되는데, 가전기기(1)의 추가 선택시 기기 변경 화면과 동일하게 조작이 가능하다.
도 17에서와 같이, 단말기(20)의 대시보드 화면에서 가전기기(20)를 짧게 터치하면 색상이 변하면서 연결 진행 상태를 알리게 된다. 또한 도 18에서와 같이, 상태변경모듈(15)은 단말기(20)로부터 사용자 정보와 가전기기(1) 조작 정보, 예컨대 온(on) 또는 오프(off)를 단말기(20)에서 전송받아 이용자에게 속한 가전기기(1)를 선택하여 각각의 상태 정보를 질의한 후, 그 결과 정보를 단말기(20)에 전달할 수 있으며, 단말기(20)의 명령에 따라 해당하는 가전기기(1)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 : 웹서버 12 : 인증모듈
13 : 데이터베이스부 14 : 모니터링모듈
15 : 상태변경모듈 16 : 도움말제공모듈
17 : 정보변경모듈 18 : 위치검출모듈
19 : 정전대비모듈 20 : 단말기
21 : 통신부 22 : 입력부
23 : 제어부 24 : 디스플레이부
25 : 메모리부 26 : GPS모듈

Claims (6)

  1. 통신망에 연결되어 제어되는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가전기기와 이용자의 단말기 각각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통신을 수행하고, 단말기가 접속하여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웹서버;
    상기 웹서버에 연결된 단말기가 가전기기의 제어를 위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증모듈;
    상기 웹서버에 연결되는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가입정보, 상기 인증모듈의 인증에 필요한 인증정보 및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제어되는 가전기기에 대한 기기정보를 이용자별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가전기기의 상태가 동일한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단말기와 상기 가전기기의 연결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모니터링모듈; 및
    상기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을 마친 단말기의 제어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가전기기가 동작하도록 상기 가전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상태변경모듈;
    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요청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도움말 데이터로부터 조작에 필요한 도움말을 추출하여, 상기 단말기의 버튼으로 계속 볼 수 있는 반응성 웹페이지로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도움말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가전기기에 고유번호를 할당하고, 상기 고유번호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고유번호가 할당된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변경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GPS모듈을 통해서 확인되는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상기 단말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변경모듈은,
    상기 위치검출모듈을 통해서 상기 단말기가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시, 상기 단말기가 미리 설정한 가전기기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가 설정된 거리 내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시, 상기 가전기기의 반대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정전 예정 시간대를 설정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 예정 시간 동안 가전기기의 전원이 오프(off)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전대비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KR1020140150496A 2014-10-31 2014-10-31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KR20160051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496A KR20160051078A (ko) 2014-10-31 2014-10-31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0496A KR20160051078A (ko) 2014-10-31 2014-10-31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1078A true KR20160051078A (ko) 2016-05-11

Family

ID=5602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496A KR20160051078A (ko) 2014-10-31 2014-10-31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10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6351A1 (en) 2018-05-30 2019-12-04 ABB Schweiz AG Notifying a user about the safety of a piece of property
CN113498042A (zh) * 2020-03-18 2021-10-12 厦门哈夭德企业管理有限公司 智能场景控制方法及系统
US20220163932A1 (en) * 2019-03-28 2022-05-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control page display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CN113498042B (zh) * 2020-03-18 2024-06-07 厦门哈夭德企业管理有限公司 智能场景控制方法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76351A1 (en) 2018-05-30 2019-12-04 ABB Schweiz AG Notifying a user about the safety of a piece of property
US20220163932A1 (en) * 2019-03-28 2022-05-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Device control page display metho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CN113498042A (zh) * 2020-03-18 2021-10-12 厦门哈夭德企业管理有限公司 智能场景控制方法及系统
CN113498042B (zh) * 2020-03-18 2024-06-07 厦门哈夭德企业管理有限公司 智能场景控制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6650B1 (en)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KR102229356B1 (ko) 제어 장치
EP2611079B1 (en) Network system of home appliance and network setup method of the same
CN102194306B (zh) 控制由与建筑物相联系的多个家用自动装备项目构成的设施的方法及可编程遥控器
US20160094702A1 (en) Universal remote control
KR20140144504A (ko) 가전 기기와 모바일 기기, 가전 기기의 제어 시스템
CN104471958B (zh) 通信方法以及通信装置
WO2014175438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592062B2 (en) Control apparatus
CN101568945A (zh) 用于可编程多媒体控制器的遥控装置
US9489836B2 (en) Control system and passive device control method
CN105389020A (zh) 通用输入设备
EP3200468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122845A (zh) 家电设备控制系统及方法
EP2822264B1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60051078A (ko)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KR10042189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품 주소 설정방법
CN110770510B (zh) 空调系统
US9934680B2 (en) Managing the control of an electrical device controllable by infrared control signals
KR20170057487A (ko) 모바일 리모컨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의 상태 인식 방법 및 상태 인식 장치
KR20160072006A (ko)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CN113572671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828898B1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보일러 제어 방법 및 단말 장치
JP2020522074A (ja) 製造設備を稼働させるための方法およびその製造設備の構成
KR19990066368A (ko) 분산 시스템의 통합 운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