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845B1 - 항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845B1
KR100413845B1 KR10-2001-7002818A KR20017002818A KR100413845B1 KR 100413845 B1 KR100413845 B1 KR 100413845B1 KR 20017002818 A KR20017002818 A KR 20017002818A KR 100413845 B1 KR100413845 B1 KR 100413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l formula
represented
antimicrobial composition
aminocarboxylic aci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2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950A (ko
Inventor
야기미노루
우스이우라라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ingredients stabilising the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하기 일반식[1] 또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하고, 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피부자극성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제 조성물{ANTIMICROBIAL COMPOSITION}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으로 대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은, 항균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냉각수계, 종이펄프, 도료, 접착제, 절삭유, 배설물처리 등의 각종 계통의 슬라임콘트롤제, 항균제, 항조(抗藻)제, 항곰팡이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은 극히 불안정한 화합물이기 때문에, 이들 화합물을 배합한 약품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제품 안정성 향상을 위한 검토가 필요하게 되어, 가지각색의 연구에 몰두해왔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공소 54-23968호 공보에는, 살생물적(殺生物的)으로 활성인 화합물이며, 여러가지의 생물유기체, 특히 미생물의 제어가 유용하며, 또한, 통상적인 첨가물, 오염물이나 과격한 조건에 의한 분해에 견디며, 특히 열안정성이 뛰어난 콤플렉스로서,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염화칼슘, 염화아연 등의 금속염콤플렉스가 제안되어있다. 또, 미국 특허 제 3,870,795호 명세서에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용액에, 질산칼슘, 질산마그네슘 등의 금속질산염이나, 아질산나트륨, 아질산칼슘 등의 금속아질산염을 첨가함으로써,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하여, 안정화 할 수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소 61-56174호 공보와 동 특개소 61-212576호 공보에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등의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을, 프로필렌글리콜, 1,5-펜탄디올, 벤질알콜 등의 용액으로 하고, 염화구리, 염화나트륨, 염화마그네슘, 질산구리 등의 금속염을 첨가한 이소티아졸론 안정화 용액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제제(製劑)를 물이나 유기용매에 의해 다시 희석해서 사용하면,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저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국 특개평 5-124917호 공보에는, 이소티아졸론과 L-시스틴 등의 유황함유화합물을 겸용하는 분해에 대한 방호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L-시스틴은, 물 및 친수성 유기용매에의 용해도가 낮고, 배합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할 수 있는 안정성이 뛰어난 항균제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은 피부자극성이 강한 것이 많고, 이들을 배합한 약품은 취급하는데 충분한 주의가 필요했다. 또한 일본국 특개평 5-246807호 공보에는, 폴리리신 등의 폴리카티온화합물과 이소티아졸론과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폴리리신은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하고, 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피부자극성을 저감할 수 있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한 아미노카르복시산 및 그 유도체가,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을 안정화 하고, 또한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피부자극성을 저감하는 작용을 가진 것을 발견하고, 이 식견에 의거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도달하였다.
즉, 본 발명은,
(1) 하기 일반식[1] 또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isothiazolone)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단, 식중, R1은,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X 및 Y는, 수소 혹은 할로겐, 또는, 이소티아졸론 화합물의 4위치와 5위치의 탄소와 함께 벤제고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중금속 또는 아민의 양이온이며, Z는, 착(錯)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용해도를 가진 양이온 M과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다. a는, 1 또는 2이며, n은, 음이온 Z가 양이온 M의 원자가를 만족시키는 정수이다.)
(단, 식중, R2는, 수소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 R3은, 곧은 사슬형상 또는 분기를 가진 탄소수 1∼5의 알킬렌기, R4는, 수소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히드록실기, 페닐기, 히드록시페닐기, 우레이드기, 메틸티오기 혹은 4-이미다졸릴기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R2와 R4는 N-(R3)b-C와 함께 무치환, 히드록실기치환 혹은 옥소기치환 복소환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b는, 0 또는 1이다.)
(2)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금속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1종 혹은 2종이상의 아미노카르복시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 혹은 그 금속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과 다른 아미노카르복시산이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 혹은 그 금속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N-아세틸화물 혹은 그 금속염 또는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아미드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3)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함유량이, 0.1∼10중량%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4)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함유량이, 0.5∼8중량%인 상기 (3)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5)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량이,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0.1∼50몰배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6)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량이,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1∼10몰배인 상기 (5)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7)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및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가, 물용매에 용해되어서 이루어진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8)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및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가, 물과 친수성 용매의 혼합용매에 용해되어서 이루어진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9)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0)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염화마그네슘과의 착화합물:또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질산마그네슘과의 착화합물: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1)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이, 글리신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2)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이, 이미노2아세트산인 상기 (1)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3)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글리실글리신인 상기 (2)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4)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글리실글리실글리신인 상기 (2)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5)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글리실-L-글루타민인 상기 (2)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6)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L-알라닐-L-글루타민인 상기 (2)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17)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β-알라닐-L-히스티딘인 상기 (2)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및
(18)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L-글루타민산나트륨인 상기 (2)항 기재의 항균제 조성물
을 들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및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한다.
(일반식[1] 및 일반식[2]에 있어서, R1은,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X 및 Y는, 수소 혹은 할로겐, 또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4위치와 5위치의 탄소와 함께 벤젠고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중금속 또는 아민의 양이온이며, Z는, 착(錯)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용해도를 가진 양이온 M과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다. a는, 1 또는 2이며, n은, 음이온 Z가 양이온 M의 원자가를 만족시키는 정수이다.)
(일반식[3]에 있어서, R2는, 수소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 R3은, 곧은 사슬형상 또는 분기를 가진 탄소수 1∼5의 알킬렌기, R4는, 수소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카르복실기(-COOH), 카르바모일기(-CONH2), 히드록실기(-OH), 페닐기(-C6H5), 히드록시페닐기(-C6H4OH), 우레이드기(-NHCONH2), 메틸티오기(-SCH3) 혹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4-이미다졸릴기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R2와 R4는 N-(R3)b-C와 함께 무치환, 히드록실기치환 혹은 옥소기치환 복소환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b는, 0 또는 1이다.)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2-에틸-4-이소티아졸린-3-온, 2-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5-클로로-2-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4,5-디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4,5-디클로로-2-옥틸-4-이소티아졸린-3-온, 1,2-벤조이소티아졸린-3-온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염화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염화구리, 질산구리, 염화칼슘 등과의 착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β-알라닌, 발린, 로이신, 이소로이신, 세린, 트레오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사르코신, 시트룰린, 메티오닌, α-아미노부티르산, β-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부티르산, ε-아미노카프론산, 페닐알라닌, 티로신, 히스티딘, 프롤린, 4-히드록시프롤린, 2-피롤리돈-5-카르복시산, 이미노2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이 펩티드결합으로 결합한 화합물로서는,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아미노카르복시산만이 펩티드결합으로 결합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알라닌, 글리실아스파라긴, 글리실로이신, 글리실이소로이신, 글리실페닐알라닌, 글리실프롤린, 글리실사르코신, 글리실세린, 글리실트레오닌, 글리실발린, 글리실글루타민, 알라닐알라닌, 알라닐아스파라긴, 알라닐글루타민, 알라닐글리신, 알라닐페닐알라닌, 알라닐티로신, β-알라닐히스티딘, 폴리아스파라긴산, 폴리글루타민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N-아세틸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N-아세틸글리신, N-아세틸알라닌, N-아세틸-L-아스파라긴산, N-아세틸-L-글루타민산, N-아세틸티로신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신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의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리튬염,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에는, DL-체, L-체 및 D-체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 발명 조성물에는, DL-체, L체 및 D-체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및 그 유도체로서는, 글리신 및 글루타민산나트륨을 특히 썩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글리신과 글루타민산나트륨은, 용해속도가 크므로 항균제 조성물을 신속히 조제할 수 있고, 분자량이 작으므로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에 대해서 일정한 몰비로 배합할 때의 첨가중량이 적고, 또한 공업적으로 대규모로 생산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본 발명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농도에 특히 제한은 없으나, 0.1~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농도가 0.1중량%미만이면, 제품으로서의 항균제 조성물의 용량이 커지게 되어, 수송, 저장 등에 관해서 경제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농도가 10중량%를 초과하면, 항균제 조성물의 안정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농도에 특히 제한은 없으나,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0.1~50몰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1~10몰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농도가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0.1몰배 미만이면, 항균제 조성물의 안정성이 손상되고,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이 분해되기 쉬워짐과 동시에, 피부자극성이 강하게 나타날 우려가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농도는, 통상적으로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50몰배 이하로 충분하며,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50몰배를 초과하는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해도, 항균제 조성물의 안정성과 피부자극성의 저감효과는 그 이상으로는 향상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폴리아미노산일 경우는, 항균제 조성물중의 농도가 0.1∼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조성물에 사용하는 용매는,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가 용해하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으나, 사용대상계열이 물계열인 경우가 많으므로, 물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유기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메틸셀로솔브, 페닐셀로솔브,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스테르류, 탄소수 8이하의 알콜류,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2-에톡시에틸아세테이트, 2-에톡시프로필아세테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의 pH는, 7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pH 2∼5로 하는 것이,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더 필요에 따라서, 부식방지제, 스케일 방지제, 이소티아졸론화합물 이외의 항균제, 소포(消泡)제, 계면활성제, 방조(防藻)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부식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릴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메틸벤조트리아졸, 몰리브덴산, 텅스텐산, 규산, 아질산,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르복시산, 히드록시에틸리덴디포스폰산, 헥사메타인산, 트리폴리인산, 정인산 및 이들의 염류, 염화아연, 염산산성염화아연, 황산아연, 리그닌술폰산아연, 히드라진 등을 들수 있다.
스케일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아크릴산/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물, 아크릴/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메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물, 아크릴산/알릴글루시딜에테르류의 공중합물, 아크릴산/2-히드록시-3-아릴옥시-1-프로판술폰산의 공중합물, 아크릴산/이소프렌술폰산의 공중합물, 아크릴산/비닐술폰산의 공중합물, 아크릴산/알릴술폰산의 공중합물, 폴리말레인산,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이소부틸렌의 공중합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스티렌술폰산의 공중합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아크릴산의 공중합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의 공중합물,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아밀렌산의 공중합체, 말레인산 또는 무수말레인산/알릴화형광물질(5-알릴벤조스베레놀 등)의 공중합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이타콘산 및 이들의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항균제로서는, 예를 들면, 2-브로모-2-니트로-1,3-프로판디올, 2,2-디브로모-2-니트로에탄올 등의 할로겐화 지방족 니트로화합물 및 이들의 에스테르류, 디브로모니트릴로프로피온아미드, 메틸렌비스티오시아네이트 등의 알킬렌비스티오시아네이트, 1,4-비스브로모아세톡시-2-부텐, 헥사브로모디메틸술폰, 5-클로로-2,4,6-트리플루오로이소프탈로니트릴,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등의 이소프탈로니트릴계 화합물, 디메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4,5-디클로로-1,2-디티올-3-온, 3,3,4,4-테트라클로로테트라히드로티오펜-1,1-디옥시드, 트리요드알릴알콜, 브로모니트로스티렌, 글루타르알데히드, 프탈알데히드, 이소프탈알데히드, 테레프탈알데히드 등의 알데히드계 화합물, 디클로로글리옥심, α-클로로벤즈알독심아세테이트, α-클로로벤즈알독심 등의 벤즈알독심계 화합물, 5,5-디메틸히단토인 등을 들수 있다.
소포(포말소거)제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계 또는 비실리콘계 소포제를,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성계면활성제를, 방조(防藻)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메트린과 같은 트리이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조성물의 태양으로서,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0.1∼10중량%,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 0.1∼20중량%, 부식방지제 0∼50중량%, 스케일방지제 0∼50중량%, 항균제 0∼30중량%, 소포제 0∼10중량%, 계면활성제 0∼10중량%, 방조제 0∼10중량% 및 물 또는 친수성 유기용매 30∼99중량%를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들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그 대상 및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농도를 선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종이펄프 초지계열이나 냉각수계통 등의 슬라임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농도가 0.1∼25g/㎥인 것이 바람직하고, 합성수지 에멀션, 전분풀, 전분슬러리, 도료, 금속가공유 등의 부식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농도가 1∼5,0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이소티아졸론화합물과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고, 경시안정성과 열안정성이 뛰어나고, 장기간에 걸쳐서 보존해도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이소티아졸론화합물에 의거한 뛰어난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피부자극성이 저감되고 있으므로,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항균제 조성물의 피부자극성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조제된 항균제 조성물에 대해서, 각각 3마리의 백색 토끼(뉴질랜드 화이트종)를 사용해서 피부자극성 스크리닝시험을 행한다. 토끼의 정상피부의 1개소를 시험부위로 하고, 각 시험부위에 희석하지 않는 항균제 조성물 0.5㎖를 가제의 패치에 붙이고, 4시간 덮는다. 4시간 후 패치를 제거하고, 시험부위를 세정한 후, 1시간, 24시간, 48시간 및 72시간 후의 피부자극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관찰기록한다. 기록한 홍반과 부종의 수치의 합계를 평균해서 산출하고, 피부 1차 자극성지수(P1I, 0∼8로 수치화된다.)로서 표시한다.
"홍반의 형성"
0: 홍반없음.
1: 대단히 가벼운 정도의 홍반(겨우 식별할 수 있다).
2: 확실한 홍반.
3: 중간정도 내지 고도의 홍반.
4: 고도의 홍반에서 약간의 부스럼 딱지의 형성까지.
"부종의 형성"
0: 부종없음
1: 대단히 가벼운 정도의 부종(겨우 식별할 수 있다).
2: 가벼운 정도의 부종(확실한 팽륭(膨隆)에 의한 명확한 가장자리를 식별할 수 있다.)
3. 중간정도의 부종(약 1㎜의 팽륭)
4: 고도의 부종(약 1㎜의 팽륭과 폭로범위를 넘는 번짐)
실시예 1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일본국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글리신 0.62중량부 및 물 94.38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합계몰수에 대해서 2몰배의 글리신을 함유한다.
글리신 대신에,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 알라닌, β-알라닌, DL-세린, DL-트레오닌, DL-아스파라긴, L-글루타민, 사르코신, DL-β-아미노부티르산, γ-아미노부티르산, DL-메티오닌, 이미노2아세트산,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L-글루타민, L-알라닐-L-글루타민, β-알라닐-L-히스티딘, 피롤리돈카르복시산, N-아세틸글리신, N-아세틸-L-티로신,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L-글루타민산나트륨, 시트룰린, 페닐알라닌 및 글리신아미드를 사용해서,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일본국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합계몰수에 대해서 2몰배의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는 물을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더욱 25종의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했다.
얻게된 26종의 항균제 조성물을 실내온도에서 1개월간 방치하였으나, 항균제 조성물은 모두 투명한 액체상태를 유지하고, 석출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일본국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및 물 95.0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을 실내온도에서 1개월간 방치했던바, 황등색의 석출물의 발생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1및 비교예 1의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NO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유도체 1개월 후의 외관
실시예 1 1 글리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 알라닌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3 β-알라닌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4 DL-세린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5 DL-트레오닌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6 DL-아스파라긴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7 L-글루타민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8 사르코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9 DL-β-아미노부티르산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0 γ-아미노부티르산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1 DL-메티오닌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2 이미노2아세트산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3 글리실글리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4 글리실글리실글리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5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6 글리실-L-글루타민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7 L-알라닐-L-글루타민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8 β-알라닐-L-히스티딘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19 피롤리돈카르복시산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0 N-아세틸글리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1 N-아세틸-L-티로신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2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3 L-글루타민산나트륨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4 시트룰린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5 페닐알라닌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26 글리신아미드 투명액체, 석출물 없음
비교예 1 - 없 음 황등색 석출물 있음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함유하고,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1의 항균제 조성물은, 실내온도에서 1개월간 방치하면, 석출물이 발생하나,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실시예 1의 항균제 조성물은, 실내온도에서 1개월간 방치해도 외관적인 변화는 확인되지 않으며, 경시적 안정성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조제한 항균제 조성물 중의 23종을, 60℃로 유지한 항온조속에 48시간 방치한 후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함유량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고, 그 잔류율을 계산하였다. 글리신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잔류율은, 76%였다. 그외의 항균제 조성물의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잔류율을, 표 2에 표시한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조제한 항균제 조성물은, 60℃로 유지한 항온조속에 48시간 방치한 후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함유량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크로마토그램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피크는 나타나지 않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완전히 분해되어 있었다.
비교예 3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폴리리신 2.0중량부 및 물 93.0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을, 60℃로 유지한 항온조속에 48시간 방치한 후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함유량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크로마토그램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피크는 나타나지 않고,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완전히 분해되어 있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2-3의 결과를 표 2에 표시한다.
NO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유도체 잔류율(%)
실시예 1 글리신 76
2 알라닌 60
3 β-알라닌 58
4 DL-세린 71
5 DL-트레오닌 76
6 DL-아스파라긴 67
7 L-글루타민 78
8 사르코신 60
9 DL-β-아미노부티르산 73
10 γ-아미노부티르산 61
11 DL-메티오닌 45
12 이미노2아세트산 99
13 글리실글리신 100
14 글리실글리실글리신 100
15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100
16 글리실-L-글루타민 100
17 L-알라닐-L-글루타민 100
18 β-알라닐-L-히스티딘 88
19 피롤리돈카르복시산 52
20 N-아세틸글리신 35
21 N-아세틸-L-티로신 62
22 L-아스파라긴산나트륨 68
23 L-글루타민산나트륨 74
비교예 2 - 없 음 0
비교예 3 - 폴리리신 0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함유하고,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2의 항균제 조성물은, 60℃에서 48시간 방치하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 완전히 분해되어 버린다. 그러나,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는 실시예 2의 항균제 조성물은 60℃에서 48시간 방치해도,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잔류율이 높고, 열안정성이 뛰어나다. 특히,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끼리가 펩티드결합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인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L-글루타민, L-알라닐-L-글루타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서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전혀 분해되는 일없이, 잔류율 100%를 유지하고 있다.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와 유사한 화합물에 있어서도, R4가 아미노기로 치환된 알킬기인 폴리리신을 함유하는 비교예 3의 항균제 조성물은, 열안정성이 나쁘고, 60℃에서 48시간 방치하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이 완전히 분해되어 버린다.
실시예 3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 용액[ZONEN-F,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대신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이소티아졸린-3-온을 3중량%, 염화마그네슘 및 질산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수용액[KATHON-WT, 롬앤드하스회사 제조]을 사용하여,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로서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L-글루타민 및 L-알라닐-L-글루타민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해서 5종의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고, 60℃로 유지한 항온조속에 48시간 방치한 후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함유량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잔류율은, 모두 100%였다.
비교예 4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3중량%, 염화마그네슘 및 질산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수용액[KATHON-WT, 롬앤드하스회사제조] 5.0중량부 및 물 95.0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을 60℃에서 48시간 방치한 후에,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함유량을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였다.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잔류율은, 51%였다.
실시예 3 및 비교예 4의 결과를, 표 3에 표시한다.
NO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유도체 잔류율(%)
실시예 3 13 글리실글리신 100
14 글리실글리실글리신 100
15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100
16 글리실-L-글루타민 100
17 L-알라닐-L-글루타민 100
비교예 4 - 없 음 51
표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인 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글리실글리실글리신, 글리실-L-글루타민, L-알라닐-L-글루타민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의 항균제 조성물은, 60℃에서 48시간 방치해도,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전혀 분해되는 일 없이, 잔류율 100%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4의 항균제 조성물은, 열안정성이 낮고, 60℃에서 48시간 방치하면,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은, 그 약 절반의 양이 분해되어 버린다.
실시예 4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글리실글리신 1.09중량부 및 물 93.91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합계몰수에 대해서 2몰배의 글리실글리신을 함유한다. Bacilus subtillus를 사용해서, 이 항균제 조성물의 증식저지효과를 조사했다.
펩톤 1g/ℓ 및 효모엑스 1g/ℓ을 함유하는 pH 7의 액체 배양기(培養基)에 Bacilus Subtillus를 106개/㎖가 되도록 접종하고, 상기의 항균제 조성물을 농도가 20㎎/ℓ, 60㎎/ℓ 및 100㎎/ℓ가 되도록 첨가하고, 30℃에서 24시간 진탕 배양하였다. 항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20㎎/ℓ인 경우는 증식저지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농도가 60㎎/ℓ 및 100㎎/ℓ인 경우는 증식저지효과가 확인되었다.
상기의 항균제 조성물을 실내온도에서 1개월 방치한 후에, 마찬가지로 해서 재차 증식저지효과를 조사하였다. 항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20㎎/ℓ인 경우는 증식저지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농도가 60㎎/ℓ 및 100㎎/ℓ인 경우는 증식저지효과는 확인되었다.
비교예 5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및 물 95.0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의 Bacilus, Subtillus에 대한 증식저지효과를, 실시예 4와 마찬가지로 해서 조사했다. 항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20㎎/ℓ인 경우는 증식저지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농도가 60㎎/ℓ 및 100㎎/ℓ인 경우는 증식저지효과가 확인되었다.상기의 항균제 조성물을 실내온도에서 1개월간 방치한 후, 마찬가지로 해서 재차 증식저지효과를 조사했다. 항균제 조성물의 농도가 20㎎/ℓ, 60㎎/ℓ 및 100㎎/ℓ인 어느 경우에도, 증식저지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5의 결과를 표 4에 표시한다.
사용시기 항균제 조성물 농도 (㎎/ℓ) 증식저지효과
실시예 4 조제 직후 20 없음
60 있음
100 있음
실내온도1개월방치 후 20 없음
60 있음
100 있음
비교예 5 조제 직후 20 없음
60 있음
100 있음
실내온도1개월방치후 20 없음
60 없음
100 없음
표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5에서 조제한 항균제 조성물을 실내온도에서 1개월 방치하면, Bacilus Subtillus에 대한 증식저지효과가 완전히 상실되는 데에 대해서, 실시예 4에서 조제한 글리실글리신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은, 실내온도에서 1개월 방치한 후에도 증식저지효과를 가지고,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이 경시적 안정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 글리신, L-글루타민산나트륨, 이미노2아세트산 및 글리실글리신을 사용하여,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의 합계몰수에 대해서 2배몰의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 및 전량을 100.0중량부로 하는 물을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4종의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들 항균제 조성물에 대해서, 상술한 피부자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6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1중량%, 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을 1중량% 함유하는 에틸렌글리콜용액[ZONEN-F, 이치카와 합성화학(주)제조] 5.0중량부 및 물 95.0중량부를 혼합해서 균일하게 용해시켜, 항균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항균제 조성물에 대해서, 상술한 피부자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6의 결과를, 표 5에 표시한다.
아미노카르복시산 경 과 피부 1차 자극성 지수
종별 1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실시예 5 글리신 홍반 2.33 2.33 2.67 3.33 5.67
부종 4.00 3.00 3.00 2.00
합계 6.33 5.33 5.67 5.33
L-글루타민산 나트륨 홍반 2.33 2.33 2.67 3.33 5.67
부종 4.00 3.00 3.00 2.00
합계 6.33 5.33 5.67 5.33
이미노2아세트산 홍반 2.33 3.00 2.67 3.33 5.42
부종 4.00 2.33 2.00 2.00
합계 6.33 5.33 4.67 5.33
글리실글리신 홍반 2.00 2.67 2.67 2.67 5.25
부종 4.00 2.67 2.33 2.00
합계 6.00 5.34 5.00 4.67
비교예 6 없 음 홍반 3.33 3.00 3.33 3.33 7.25
부종 4.00 4.00 4.00 4.00
합계 7.33 7.00 7.33 7.33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유무이외는 동일한 조성의 실시예 5와 비교예 6을 비교하면, 글리신, L-글루타민산나트륨, 이미노2아세트산 또는 글리실글리신을 함유하는 실시예 5의 항균제 조성물 쪽이,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6의 항균제 조성물보다 피부 1차 자극지수가 작고,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배합함으로써,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의 피부자극성이 저감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이소티아졸론(isothiazolone)화합물을 함유하고, 또한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억제하고, 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피부자극성을 저감할 수 있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이소티아졸론화합물과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함유하고, 경시안정성과 열안정성이 뛰어나, 장기간에 걸쳐서 보존해도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분해를 발생하는 일이 없고, 이소티아졸론화합물에 의거한 뛰어난 항균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피부자극성이 저감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Claims (18)

  1. 하기 일반식[1] 또는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isothiazolone) 화합물 0.1 내지 10중량% 및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해당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0.1 내지 50몰배의 양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단, 식중, R1은, 수소,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또는 아랄킬기이다. X 및 Y는, 수소 혹은 할로겐, 또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4위치와 5위치의 탄소와 함께 벤젠고리를 형성하는 것이다. M은,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중금속 또는 아민의 양이온이며, Z는, 착화합물을 형성하는데 충분한 용해도를 가진 양이온 M과의 화합물을 형성하는 음이온이다. a는, 1 또는 2이며, n은, 음이온 Z가 양이온 M의 원자가를 만족시키는 정수이다.)
    (단, 식중, R2는, 수소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카르복실기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 R3은, 곧은 사슬형상 또는 분기를 가진 탄소수 1∼5의 알킬렌기, R4는, 수소 또는 무치환의 혹은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히드록실기, 페닐기, 히드록시페닐기, 우레이드기, 메틸티오기 혹은 4-이미다졸릴기로 치환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R2와 R4는 N-(R3)b-C와 함께 무치환, 히드록실기치환 혹은 옥소기치환 복소환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b는 0 또는 1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금속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1종 혹은 2종 이상의 아미노카르복시산이 펩티드결합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 혹은 그 금속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과 다른 아미노카르복시산이 펩티드 결합에 의해 결합한 화합물 혹은 그 금속염,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N-아세틸화물 혹은 그 금속염 또는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함유량이, 0.5∼8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의 함유량이,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의 1∼10몰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및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가, 물 용매에 용해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1] 또는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 및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가, 물과 친수성 용매의 혼합용매에 용해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1]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으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2]로 표시되는 이소티아졸론화합물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염화마그네슘과의 착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과 질산마그네슘과의 착화합물: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이, 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이, 이미노2아세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3. 제 2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글리실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4. 제 2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글리실글리실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5. 제 2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글리실-L-글루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6. 제 2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L-알라닐-L-글루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7. 제 2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β-알라닐-L-히스티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18. 제 2항에 있어서,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미노카르복시산의 유도체가, L-글루타민산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001-7002818A 1998-09-03 1999-08-31 항균제 조성물 KR100413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973698 1998-09-03
JP1998-249736 1998-09-03
JP1999-230876 1999-08-17
JP23087699A JP3722268B2 (ja) 1998-09-03 1999-08-17 抗菌性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950A KR20010074950A (ko) 2001-08-09
KR100413845B1 true KR100413845B1 (ko) 2004-01-03

Family

ID=2652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2818A KR100413845B1 (ko) 1998-09-03 1999-08-31 항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429220B1 (ko)
EP (1) EP1110455B1 (ko)
JP (1) JP3722268B2 (ko)
KR (1) KR100413845B1 (ko)
CN (1) CN1163137C (ko)
AT (1) ATE242969T1 (ko)
BR (1) BR9913385A (ko)
DE (1) DE69908954T2 (ko)
ES (1) ES2203167T3 (ko)
ID (1) ID28716A (ko)
TW (1) TW486362B (ko)
WO (1) WO2000013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34896B2 (ja) * 2000-12-22 2012-05-23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機能型水処理剤
JP5456234B2 (ja) * 2003-06-30 2014-03-26 アルザ・コーポレーシヨン 非揮発性の対イオンを含有する被覆された微小突起のための製剤
US7141544B2 (en) * 2003-10-10 2006-11-28 Baxter International, Inc. Stabilization of pharmaceutical protein formulations with small peptides
US20050136118A1 (en) * 2003-12-19 2005-06-23 Wu Su-Syin S. Distribution and preparation of germicidal compositions
US7476767B2 (en) * 2004-01-30 2009-01-13 Ethicon, Inc. Alpha-hydroxy sulfonate aldehydes, germ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alpha-hydroxy sulfonate aldehydes, or mixtures of alpha-hydroxy sulfonate aldehydes and phthalaldehydes, and methods of using the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US20050171216A1 (en) * 2004-01-30 2005-08-04 Zhu Peter C. Germ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phthalaldehyde mixtures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for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US7390837B2 (en) * 2004-01-30 2008-06-24 Ethicon, Inc. Germ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phenylmalonaldehyde-type compounds, or mixtures of phenylmalonaldehyde-type compounds and phthalaldehydes, and methods of using such compositions for disinfection or sterilization
US7468384B2 (en) * 2004-11-16 2008-12-23 Rohm And Haas Company Microbicidal composition
US8138156B2 (en) * 2006-10-18 2012-03-20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diglycine
JP5390384B2 (ja) * 2007-07-19 2014-01-15 日本曹達株式会社 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亜鉛塩、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低刺激化方法、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亜鉛塩を用いる抗菌・防カビ方法、および抗菌・防カビ組成物
US8629099B2 (en) * 2008-03-25 2014-01-14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a dipeptide
EP2149364A1 (en) * 2008-07-24 2010-02-03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reducing odor in personal care products
WO2011145083A2 (en) 2010-05-20 2011-11-24 Ecolab Usa Inc. Rheology modified low foaming liquid antimicrob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664180B2 (en) 2012-02-06 2014-03-04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diglycine
US8324171B1 (en) 2012-02-06 2012-12-04 Bausch & Lomb Incorporated Ophthalmic compositions containing diglycine
WO2020246452A1 (ja) * 2019-06-03 2020-12-10 株式会社ケミクレア 安定な殺微生物剤組成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576A (ja) * 1985-03-08 1986-09-20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コンパニー イソチアゾロン溶液の安定化法
US4980176A (en) * 1986-03-04 1990-12-25 Sutton Laboratories, Inc. Preservativ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5153213A (en) * 1989-11-10 1992-10-06 Thor Chemie Gmbh Stabilized aqueous solutions of 3-isothiazolones
US5424324A (en) * 1989-11-17 1995-06-13 Rohm And Haas Company Use of carbonyl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KR19990063309A (ko) * 1997-12-22 1999-07-26 다케토시 가즈오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5655A (en) * 1965-10-19 1968-12-10 Ajinomoto Kk Milk product containing free amino acid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4150026A (en) 1971-05-12 1979-04-17 Rohm And Haas Company Metal salt complexes of 3-isothiazolones
US3870795A (en) 1973-02-28 1975-03-11 Rohm & Haas Stabilization of solutions of 3-isothiazolones employing certain metal nitrates and nitrites
JPS5929041B2 (ja) * 1976-01-12 1984-07-18 花王株式会社 抗菌剤組成物
JPS5843916B2 (ja) 1977-07-25 1983-09-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回路の接続方法
IL75598A (en) 1984-06-27 1990-07-12 Rohm & Haas Stabilized aqueous solutions of 5-chloro-3-isothiazolones,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GB8416314D0 (en) 1984-06-27 1984-08-01 Rohm & Haas Stabilization of aqueous solutions
US4824957A (en) 1985-03-08 1989-04-25 Rohm And Haas Commpany Stabilization of non-aqueous solutions of 3-isothiazolones
FI84421C (fi) * 1986-03-04 1991-12-10 Sutton Lab Inc Sammansaettningar av konserveringsaemnen och anvaendningar av desamma.
DE3911808A1 (de) 1989-04-11 1990-10-18 Riedel De Haen Ag Fluessiges konservierungsmittel
CA2027241A1 (en) * 1989-10-24 1991-04-25 Andrew B. Law Stabilized metal salt/3-isothiazolone combinations
WO1991007090A1 (de) * 1989-11-16 1991-05-30 Henkel Kommanditgesellschaft Auf Aktien Bekämpfung von schleimbildenden mikroorganismen
JPH05124917A (ja) 1991-02-27 1993-05-21 Rohm & Haas Co イソチアゾロンの防護方法
US5217711A (en) * 1991-10-16 1993-06-08 Mariana De Oliveira Hair care system
EP0542489A3 (en) 1991-11-14 1993-08-04 Rohm And Haas Company Micro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3-isothiazolones and polycations
US5342836A (en) 1992-08-11 1994-08-30 Rohm And Haas Company Nitrogen-based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JPH08214775A (ja) * 1995-02-16 1996-08-27 Meiji Milk Prod Co Ltd アミノ酸組成を人乳に類似させた育児用乳製品
JPH09263504A (ja) 1995-12-19 1997-10-07 Takeda Chem Ind Ltd イソチアゾロン系化合物含有組成物及びイソチアゾロン系化合物の安定化法
DE19548710A1 (de) * 1995-12-23 1997-06-26 Riedel De Haen Ag Konservierungsmittel, enthaltend Isothiazolinon-Derivate und Komplexbildner
JP3198075B2 (ja) 1997-06-09 2001-08-1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多層構造アクリル重合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
ATE302835T1 (de) * 1997-06-09 2005-09-15 Procter & Gamble Zusammensetzung mit unkomplexiertem cyclodextrin zur geruchs- und knitterkontrol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2576A (ja) * 1985-03-08 1986-09-20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コンパニー イソチアゾロン溶液の安定化法
US4980176A (en) * 1986-03-04 1990-12-25 Sutton Laboratories, Inc. Preservativ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US5153213A (en) * 1989-11-10 1992-10-06 Thor Chemie Gmbh Stabilized aqueous solutions of 3-isothiazolones
US5424324A (en) * 1989-11-17 1995-06-13 Rohm And Haas Company Use of carbonyl stabilizers for 3-isothiazolones
KR19990063309A (ko) * 1997-12-22 1999-07-26 다케토시 가즈오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2268B2 (ja) 2005-11-30
KR20010074950A (ko) 2001-08-09
CN1316879A (zh) 2001-10-10
ID28716A (id) 2001-06-28
CN1163137C (zh) 2004-08-25
ATE242969T1 (de) 2003-07-15
DE69908954T2 (de) 2003-12-04
DE69908954D1 (de) 2003-07-24
US6429220B1 (en) 2002-08-06
BR9913385A (pt) 2001-05-22
EP1110455B1 (en) 2003-06-18
ES2203167T3 (es) 2004-04-01
EP1110455A1 (en) 2001-06-27
WO2000013510A1 (fr) 2000-03-16
EP1110455A4 (en) 2001-10-17
TW486362B (en) 2002-05-11
JP2000143413A (ja) 2000-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3845B1 (ko) 항균제 조성물
ES2231286T3 (es) Preparaciones bactericidas y fungicidas liquidas para productos industriales.
RU2269264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борьбы с микроорганизмами, ее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борьбы с вредными микроорганизмами
AU6488898A (en) Stable microbicide formulation
US7083801B2 (en) Stabilized haloalkynyl microbicide compositions
SK98696A3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JP3692835B2 (ja) 抗菌剤組成物
US3899585A (en) Fungicidal method for protecting a plant
SK98596A3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JP2022012576A (ja) 水処理剤および水処理剤の安定化方法
EP0615688B1 (en) An industrial microbicide and a method for killing microbes for industrial use
MXPA01002295A (en) Antibacterial compositions
JP2005082596A (ja) イソチアゾロン誘導体およびピリオンジスルフィドに基づく低塩含量または塩フリーの殺菌剤組成物
KR100385714B1 (ko) 안정화된 이소티아졸론 용액 및 이소티아졸론의 안정화 방법
JP3368548B2 (ja) 工業用抗微生物剤並びに微生物の増殖抑制方法
US3821403A (en) Method of combatting bacteria or fungi on plants using amino acid higher alkyl esters
KR920005589B1 (ko) 공업용 살균제/미생물 발육 억제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JP5643117B2 (ja) 殺藻・殺菌剤及び殺藻・殺菌方法
JP3260450B2 (ja) 工業用殺菌・殺黴剤及び工業用殺菌・殺黴方法
KR100694833B1 (ko) 이소티아졸론 조성물, 이의 안정화 방법 및 이를 이용한미생물의 생장 억제 방법
JP2000128716A (ja) 抗菌性組成物
JPH0242007A (ja) 工業用殺菌、静菌剤
JP3009273B2 (ja) 工業用殺菌剤
GB2066075A (en) Liquid agent for fungicidal treatment of seed
JP2007314480A (ja) 工業用殺菌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