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832B1 - 화상형성기에적용되는화상제작(imaging)유니트및토너반송기구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에적용되는화상제작(imaging)유니트및토너반송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832B1
KR100405832B1 KR1019960030007A KR19960030007A KR100405832B1 KR 100405832 B1 KR100405832 B1 KR 100405832B1 KR 1019960030007 A KR1019960030007 A KR 1019960030007A KR 19960030007 A KR19960030007 A KR 19960030007A KR 100405832 B1 KR100405832 B1 KR 100405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conveying pipe
pipe member
toner conveying
collect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524A (ko
Inventor
스스무 다니구찌
히로키 모리시타
시니치 고테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미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미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미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28Prevention of damage or soiling, e.g. mechanical abrasion
    • G03G21/1832Shielding members, shutter, e.g. light, heat shielding, prevention of toner scatte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 G03G2221/162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cleaning unit re-use of cleaned ton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발명은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유니트 및 토너반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과제
본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간결하고 값싼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토너배출개구와 토너회수용기의 토너수입개구가 충분정밀하게 정합되는 새롭고 개량된 화상제작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발명을 해결하기 위하여 토너배출개구의 근방에 토너반송수단에 연결되는 제1의 연결수단과 토너수입개구의 근방에 토너회수용기에 연결되는 제 2의 연결수단을 형성한 위치결정부재를 프레임수단에 배설하고, 그 위치결정부재를 개재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토너배출개구와 토너회수용기의 토너수입개구가 서로 상호위치결정되도록 구성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발명은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부재에 전사하는 형식의 복사기, 인쇄기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유니트 및 토너반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imaging)유니트 및 토너반송기구
본발명은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부재에 전사하는 형식의 복사기, 인쇄기 또는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유니트 및 토너반송기구에 관한 것이다.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고, 그 토너상을 전사부재에 전사하는 형식의 화상형성기에 있어서, 하우징내의 소정 위치에 화상제작유니트가 장착되어 있다. 이 화상제작유니트는 프레임수단을 구비하고, 이 프레임수단에는 상담지수단과 함께 통상 현상수단 및 클리닝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상담지수단은 표면에 정전감광체가 배설된 회전드럼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그 상담지수단상에 적당한 방식으로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그 정전잠상이 현상수단의 작용에 의해 토너상으로 현상되고, 이어서 토너상이 보통지와 같이 전사부재에 전사되고, 그후에 클리닝수단의 작용에 의해 상담지수단상에 잔류하고 있는 토너가 제거된다.
클리닝수단은 착탈자유롭게 장착된 토너회수용기를 포함하고 있고, 상담지수단상에서 제거된 토너는 토너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되어 토너회수용기내에 회수된다. 토너반송기구의 전형적인 예는 가늘고 길게 연재하는 토너반송 파이프부재와, 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에 배설되고 또 회전구동되는 금속제 코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는 토너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회수용기에는 토너수입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반송파이프 부재를 통해 반송된 토너가 토너배출개구 및 토너수입개구를 통해 토너회수 용기내에 운반해 들어간다. 토너회수용기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시에 토너배출개구에서 토너가 주위에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토너배출개구를 막는 폐위치와 토너배출개구를 해방하는 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셔터부재가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셔터부재가 폐위치로 되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셔터부재와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실부재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제작유니트에는 다음과 같은 해결해야할 문제가 존재한다.
첫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하여 반송되고, 토너반송파이프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개구에서 배출된 토너가, 주위에 비산하는 것 없이, 토너회수용기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수입개구에서 토너회수용기내에 진입시키기 위해서는 토너배출개구와 토너수입개구를 충분양호하게 정합시키고, 토너회수용기와 토너반송파이프부재가 상호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토너회수용기와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상호위치결정하는 수단은 상당히 복잡하고, 제작비용을 증대시키고 있다. 특히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유연한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토너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위치자체도 특별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는 한 불안정하므로, 토너회수용기의 장착위치를 충분정밀하게 규제함과 동시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소요부분의 위치를 규제할 필요가 있고, 이것에 기인하여 상당히 복잡한 위치결정수단을 필요로 하고 있다.
둘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토너배출개구를 형성하고, 그 토너배출개구를 위한 셔터부재를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는 별개로 프레임부재에 장착하는 경우,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셔터부재를 상호 소요되는 바와 같이 관련시키는 경우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과 셔터부재의 내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킨 실부재가 압축되면서 셔터부재의 내면 또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지고, 이것에 기인하여 실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셋째, 특히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에 아직 충분한 양의 토너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를 연재하는 금속제 코일부재를 회전구동시키면, 코일부재가 토너반송부재의 내주면을 찰과하는 것에 의해 상당히 큰 소음이 생성된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에 충분한 양의 토너가 존재하게 되면, 토너가 소위 윤활재로서 기능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소음이 감소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제1의 목적은 비교적 간결하고 값싼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토너배출개구와 토너회수용기의 토너수입개구가 충분정밀하게 정합되는 새롭고 개량된 화상제작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의 제2의 목적은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개구를 개폐하는 셔터부재를 함유하고, 토너 반송파이프부재와 셔터부재는 별개로 프레임수단에 장착되고,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과 셔터부재와의 사이에서 압축된 실부재가 배설되어 있는 형태의 화상제작유니트에 있어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셔터부재를 상호 소요되는 대로 관련시킬 때에 실부재가 손상되는 것을 확실히 회피할 수 있게 개량한 것이다.
본발명의 제3의 목적은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를 연재하고 또 회전구동시켜지는 금속제코일부재로 구성된 토너반송기구를 개량하여,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에 아직 충분한 양의 토너가 존재하지 않을 때라도, 코일부재가 회전될 때 생성되는 소음을 충분히 작게 한 것이다.
본발명의 제1의 국면에 있어서는,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너배출개구의 근방에 토너반송수단에 연결되는 제1의 연결수단과 토너수입개구의 근방에 토너회수용기에 연결되는 제2의 연결수단을 형성한 위치결정부재를 프레임수단에 배설하고, 그 위치결정부재를 개재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토너배출개구와 토너회수용기의 토너수입개구가 서로 상호위치결정되도록 구성한다.
즉, 본발명의 제1의 국면에 의하면, 상기 제1의 목적을 달성하는 화상제작유니트로서, 프레임수단과, 그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상담지수단과, 그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클리닝수단을 구비하고,
그 상담지수단상에 토너상이 형성되고, 그 토너상이 전사부재에 전사되고, 그 토너상의 전사후에 그 상담지수단상에 잔류하는 토너가 그 클리닝수단에 의해 그 상담지수단상에서 제거되고,
그 클리닝수단은 그 상담지수단상에서 제거한 토너의 반송로를 규정하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반송수단과,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이탈자유롭게 조합된 토너회수용기를 함유하고,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는 토너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너회수용기에는 토너수입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그 토너회수용기가 조합되면 그 토너배출개구와 그 토너수입개구가 연통되는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imaging)유니트에 있어서,
그 프레임부재에는 위치결정부재가 배설되어 있고, 그 위치결정부재에는 그 토너배출개구의 근방에 그 토너반송수단에 연결된 제1의 연결수단과 그 토너수입개구의 근방에 그 토너회수용기에 연결된 제2의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그 위치결정부재를 개재하여 그 토너반송부재의 그 토너배출개구와 그 토너회수용기의 토너회수용기의 그 토너수입개구가 상호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유니트가 제공된다.
본발명의 제2의 국면에 있어서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토너배출개구를 형성하고, 토너배출개구를 막는 폐위치와 토너배출개구를 해방하는 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자유로운 셔터부재를 프레임수단에 배설하고, 셔터부재가 폐위치에 위치되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과 셔터부재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실부재를 배설하고, 폐위치와 개위치와의 사이의 셔터부재의 이동경로를 규제하는 안내수단이 배설되고, 그리고 안내수단은 셔터부재가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토너반송 파이프부재의 측면에 대하여 격리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한다.
즉, 본발명의 제2의 국면에 의하면, 상기 제2의 목적을 달성하는 화상제작유니트로서, 프레임수단과, 그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상담지수단과, 그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클리닝수단을 구비하고,
그 상담지수단상에 토너상이 형성되고, 그 토너상이 전사부재에 전사되고, 그 토너상의 전사후에 그 상담지수단상에 잔류하는 토너가 그 클리닝수단에 의해 그 상담지수단상에서 제거되고,
그 클리닝수단은 그 상담지수단위에서 제거한 토너의 반송로를 규정하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반송수단과,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이탈자유롭게 조합된 토너회수용기를 함유하고,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는 토너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너회수용기에는 토너수입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그 토너회수용기가 조합되면, 그 토너배출개구와 그 토너수입개구가 연통되는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imaging)유니트에 있어서,
그 토너배출개구는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프레임수단에는 그 토너배출개구를 막는 폐위치와 그 토너배출개구를 해방하는 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셔터부재가 배설되어 있고, 그 셔터부재가 그 폐위치에 위치되면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과 그 셔터부재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압축되는 실부재가 배설되어 있고, 그 폐위치와 그 개위치와의 사이의 그 셔터부재의 이동경로를 규제하는 안내수단이 배설되어 있고, 그 안내수단은 그 셔터부재가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대하여 격리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유니트가 제공된다.
본발명의 제3의 국면에 있어서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합성고무로 형성한다.
즉, 본발명의 제3의 국면에 의하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반송수단를 구비하고, 그 토너반송수단은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를 연재하고 또 회전구동되는 금속제 코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토너반송기구에 있어서,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는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반송기구가 제공된다.
그 위치결정부재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선단은 개구되어 있고, 그 위치결정부재의 그 제1의 연결수단은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개구된 선단에서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내에 삽입되고,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선단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선단을 밀폐한다. 또한 그 토너회수용기에는 규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위치결정부재의 그 제2의 연결수단은 그 토너회수용기의 그 규제구에 삽입되어, 그 토너회수용기의 위치를 규제한다.
그 합성고무는 JIS-K-6301에 규정되어 있는 스프링식 경도시험 A형에 의한 경도가 50 내지 70, 특히 55 내지 65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셔터부재를 그 폐위치에 탄성적으로 편의(偏倚)하는 탄성편의수단이 배설되어 있고, 그 셔터부재에는 피당접부(被接部)가 형성되고, 그 토너회수용기에는 당접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토너회수용기를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조합시키면, 그 당접부가 그 피당접부에 작용하고, 그 탄성편의수단의 작용에 대항하여 그 셔터부재를 그 폐위치에서 그 개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안내수단은 그 폐위치에서 그 개위치로 그 셔터부재가 이동될 때에,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따라 이동되고, 이어서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서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프레임 수단에는 그 상담지수단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수단도 장착되어 있고, 그 현상수단은 그 상담지체에 탄성적으로 눌러지는 현상롤러와 착탈자유로운 토너카트리지를 함유하고, 그 토너회수용기는 그 토너카트리지에 장착되고, 그 토너카트리지를 그 현상수단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그 프레임수단에 장착되고, 그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조합되고, 그 셔터부재가 그 개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탄성편의수단에서 그 셔터부재를 개재하여 그 토너회수용기에 가해지는 탄성편의력은 그 상담지수단에 대한 그 현상롤러의 누르는 힘에 실질상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이다.
이하, 본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제작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제작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다. 화상제작유니트는 전체를 번호(2)로 나타난 프레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 프레임수단(2)는 적당한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수단(2)에는 상담지수단(4)와 함께, 대전수단(6), 현상수단(8) 및 클리닝수단(10)이 장차되어 있다. 상담지수단(4)는 주표면에 정전감광체가 배설된 회전드럼(12)로 구성되어 있고, 이 회전드럼(12)는 화살표(14)로 나타난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대전수단(6)은 회전드럼(12)의 주표면을 특정극성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코로나방전기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수단(8)은 현상하우징(16)을 구비하고, 이 현상하우징(16)에는 현상롤러(18), 현상제규제부재(20), 현상제보급롤러(22), 현상제반송부재(24) 및토너 카트리지(26)이 장착되어 있다. 현상수단(8)에서 사용되는 현상제는 토너카트리지(26)에서 송출되는 토너만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한성분현상제로 좋다. 그 현상제는 화살표(28)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현상제반송부재(24)의 작용에 의해 현상제보급롤러(22)에 반송되고, 화살표(30)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현상제보급롤러(22)는 현상롤러(18)위에 현상제를 송급한다. 화살표(3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현상롤러(18)위에 지지된 현상제는 현상제규제부재(20)에 의해 그 층두께가 소요치로 규제된다. 현상롤러(18)은 금속제축부재(33)과 이 축부재(33)의 주표면에 배설된 합성고무제롤러부재(34)로 구성할 수 있다. 현상하우징(16)은 회전드럼(12)에 접근하는 방향 및 이것으로부터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회전드럼(1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적당한 탄성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탄성적으로 편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현상롤러(18)이 회전드럼(12)에 탄성적으로 눌러져 있다. 후에 다시 언급하는 바와 같이 토너카트리지(26)은 현상제하우징(16)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클리닝수단(10)은 클리닝하우징(36)과 함께, 이 클리닝하우징(36)에 배설되어 있는 클리닝블레이드(38) 및 나선우근부재(蝶旋羽根部材)(40)을 함유하고 있다. 클리닝블레이드(38)은 합성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 선단부가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 눌러져 있다. 나선우근부재(40)은 화살표(4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화상제작유니트는 예를 들면 정전복사기인 화상형성기의 기체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의 소요위치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그리고, 회전드럼(12)가 화살표(14)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대전역(35)에서 회전드럼(12)의 주표면이 특정극성으로 똑같이 대전되고, 이어서 노광역(37)에서 적당한 광학계(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성해야 할 상에 대응하여 회전드럼(12)의 주표면이 광조사되어,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어서, 현상역(39)에서 현상수단(8)의 현상롤러(18)의 작용에 의해 회전드럼(12)의 주표면상의 정전잠상이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전사역(41)에서는 보통지로 좋은 전사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 밀접하고, 회전드럼(12)의 주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상이 전사부재 상에 전사된다.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부재는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서 박리되어 정착수단(도시하지 않음)에 반송되고, 정착수단의 작용에 의해 토너 상이 정착된 후에 기체하우징외로 배출된다. 클리닝역(43)에서는 전사후에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 잔류하는 잔류토너가 클리닝블레이드(38)의 작용에 의해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서 제거된다. 회전드럼(12)의 주표면에서 제거된 토너는 나선우근부재(40)을 향해 유동되고, 화살표(4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되는 나선우근부재(40)의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다(나선우근부재(4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언급한다).
그리고,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에서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본발명에 따라 구성된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의 새로운 특징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고, 이들 자체의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주지의 것으로 좋은 고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제1도와 함께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클리닝수단(10)은 토너반송기구(44)도 함유하고 있다. 이 토너반송기구(44)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와 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내를 연재하고 있는 코일부재(48)로 구성되어 있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은 회전드럼(12)의 중심축선방향(제3도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상류단부(50)와 만곡부(52)와 회전드럼(12)의 중심축 선에 대하여 실질상 수직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된 주부(54)를 갖는다.
만곡부(52)를 개재하여 연속하고 있는 상류단부(50)과 주부(54)는 상호 약90도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제3도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수단(2)의 후벽(56)에는 원형개구(5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원형개구(58)의 주연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원통상 돌기(60)이 형성되어 있다. 클리닝수단(10)의 상기 나선우근부재(40)의 후단부는 원형개구(58)를 통해 원통상 돌기(60)내에 돌출되어 있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상류단부는 다른 부분에 비해 약간 큰 직경으로 되고, 그 내경은 상기 원통상 돌기(60)의 외경에 대응, 보다 상세하게는 이것보다도 약간 작게 되어 있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상류단부는 약간 탄성변형되어 원통상 돌기(60)에 강제적으로 끼워짐으로써 원통상 돌기(60)에 연결되어 있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이 원형개구(58)을 개재하여 클리닝하우징(36)내에 연동되어 있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주부(54)는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의 후방(제3도에서 하방)을 하류를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져 연재되어 있다. 스테인레스강선과 같이 적당한 금속선으로 형성할 수 있는 코일부재(48)의 상류단부는 제3도에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선우근부재(40)의 후단부에 둘러감겨져 있고, 따라서 나선우근부재(40)이 화살표(42)(제1도)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이것에따라 코일부재(48)도 화살표(4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리하여 회전구동되는 나선우근부재(40)의 작용에 의해 클리닝하우징(36)안을 후방으로(제3도에서 하방으로) 반송된 토너는 클리닝하우징(36)에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으로 송출되고, 코일부재(48)의 작용에 의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에 반송된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하류단부의 하면은 국부적으로 평탄한 면으로 되어 있고, 그 평탄한 면에 개구하는 직사각형상의 토너배출개구(62)가 형성되어 있다(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하류단부에 관련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상술한다).
토너반송기구(44)의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은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JIS-K-6301로 규정되어 있는 스프링식 경도시험 A형에 의한 경도가 50 내지 70, 특히 55 내지 65인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을 형성하는데 바람직한 합성고무로서는 우레탄고무를 들 수 있다. 본발명자 등의 경험에 의하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을 ABS수지와 같이 합성수지로 형성한 경우에는 특히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에 충분한 양의 토너가 송출되기 전에, 코일부재(48)이 회전 구동되면 코일부재(48)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내주면을 찰과하는 것에 의해 상당한 소음이 생성된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에 상당량의 토너가 존재하게 되면 토너윤활제로서 기능하는 것에 의해 상기 소음은 감소된다. 이것에 대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을 합성고무로 형성하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에 충분한 양의 토너가 송출되기 전에도 소음의 발생이 충분히 억제된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을 형성하는 합성고무의 경도를지나치게 크게 하면, 소음억제효과가 불충분하게 됨과 동시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을 소요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을 형성하는 합성고무의 경도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소위 형상유지성이 지나치게 작게 되고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이 그 자신의 중량, 내부에 존재하는 코일부재(48) 및 토너중량에 기인하여 변형해 버리는 경향이 발생한다.
제2도와 함께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의 외측면에는 ABS수지와 같이 적당한 합성고무로 형성할 수 있는 위치결정부재(70)이 고정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부재(70)은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에 따라 연장한 기부(72)와, 이 기부(72)의 선단(제4도 및 제5도에서 좌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주부(74)를 갖는다. 주부(74)는 기부(72)에 대하여 실질상 수직으로 후방에 돌출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70)의 기부(72)는 제4도 및 제5도에서 좌측을 향해 상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해 있다. 기부(72)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그 돌출부에는 구멍(76)이 형성되어 있다. 그 구멍(76)을 통해 잠금나사(77)(제5도)를,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구멍(78)(제6도 및 제7도)에 나사식 붙이기에 의해,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에 위치결정부재(70)이 고정된다. 위치결정부재(70)의 기부(72)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쌍의 구멍(79) 및 (80)도 형성되어 있다. 그 한쌍의 구멍(79) 및 (80)에는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에 형성된 한쌍의 안내핀(82) 및 (84)(제6도 및 제7도)의 선단부가 삽입된다. 한쌍의 안내핀(82) 및 (84)는 후벽(56)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후방에 돌출되어 있다(그 안내핀(82) 및 (84)의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언급한다). 위치결정부재(70)의 주부(74)에는 제1의 연결수단(86)과 제2의 연결수단(88)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부재(70)의 주부(74)의 외형, 보다 상세하게는 제1의 연결수단(86)과 제2의 연결수단(88)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형은 상술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하류단부의 외형에 약대응되어 있고, 하연은 원호상은 아니고 직선상이다. 제1의 연결수단(86)은 제4도 및 제5도에서 우측으로 돌출하는 원주상 주부(90)과, 이 원주상 주부(90)의 기단부 상면에 형성된 약직사각형의 돌기(92)로 구성되어 있다. 원주상 주부(90)의 외경은 상술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의 내경에 대응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이것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돌기(92)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약직사각형의 절결(切欠)(93)에 대응되어 있다. 제2의 연결수단(88)은 제1의 연결수단(86)과는 반대방향으로,그 결과 제4도 및 제5도에서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제2의 연결수단(88)은 원주상 기부(94)와 원추상 선단부(96)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주상 기부(94)의 외경은 제1의 연결수단(86)의 원주상 주부(90)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다. 제5도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의 연결수단(86)의 원주상 주부(90)의 중심축선과 제2의 연결수단(88)의 원주상 기부(94) 및 원추상 선단부(96)의 중심축선은 서로 합치되어 있고, 또 상술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주부(54)의 중심축선에 합치되어 있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술한 위치결정부재(70)에는 스폰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실부재(98)이 부설되어 있다. 이 실부재(98)은 장착부(100)과 이 장착부(100)의 하단에서 제4도 및 제5도에서 우로향해 하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하는 띠모양의 실부(102)를 갖는다. 장착부(100)의 중앙부에는 원형개구(104)가 형성되어 있다. 실부(102)에는 직사각형 개구(106)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00)에 형성되어 있는 원형 개구(104)의 내경은 위치결정부재(70)에 배설되어 있는 제2의 연결수단(88)의 원주상 기부(94)의 외경에 대응되어 있고, 제5도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원주상 기부(94)가 장착부(100)의 개구(104)를 통해 연장하게 됨으로써, 위치결정부재(70)의 주부(74)에 실부재(98)이 장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해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상류단부가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연결되면, 실부재(98)의 실부(102)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의 하면에 따라 연장하고, 실부(10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06)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토너배출개구(62)에 정합된다.
제4도 및 제5도와 함께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의 외면에는 스테인레스강박판과 같이 금속박판으로 형성할 수 있는 셔터부재(108)도 장착되어 있다. 이 셔터부재(108)은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에 따라 연장하는 기부(110)과, 이 기부(110)의 하단연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주부(112)를 갖는다. 기부(110)에는 슬롯(1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롯(114)는 기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하는 주부(116)과, 주부(116)에 계속하여 상방으로 향해 기울어져 연장하는 제1의 경사부(117)과, 제1의 경사부(117)에 계속하여 다시 상방으로 기울어져 연장하는 제2의 경사부(118)을 갖고, 주부(116)에 대한 제2의 경사부(118)의 경사각도는 주부(116)에 대한 제1의 경사부(117)의경사각도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슬롯(114)의 폭은 전체에 걸쳐 실질상 동일로 좋다. 기부(110)의 선단(제6도 및 제7도에서 좌단)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피당접부(12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110)의 후단(제6도 및 제7도에서 우단)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걸림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부재(108)의 주부(112)의 횡단면형상은 채널형상이고, 그 폭은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하류단부의 평탄한 하면의 폭(및 상기 실부재(98)의 실부(102)의 폭)에 대응되어 있다. 셔터부재(108)의 기부(110)은 프레임수단(2)의 후벽(56)과 상기 위치결정부재(70)의 기부(72)와의 사이에 위치되고, 셔터부재(108)의 기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114)에는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에서 실질상 수평으로 후방에 돌출되어 있는 상기 한쌍의 안내핀(82) 및 (84)가 끼워져 통해진다. 이리하여, 셔터부재(108)은 제 6도에 도시하는 폐위치와 제7도에 도시하는 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자유롭게 장착된다. 슬롯(114)와 한쌍의 안내핀(82) 및 (84)는 협동하여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폐위치와 개위치와의 사이의 셔터부재(112)의 이동경로를 규정한다. 제6도에 도시하는 폐위치에서는 안내핀(82)가 슬롯(114)의 후단에 맞붙고, 제7도에 도시하는 개위치에서는 안내핀(84)가 슬롯(114)의 선단에 맞붙거나 근접하여 위치한다. 안내핀(82)와 셔터부재(108)의 걸림부(122)와의 사이에는 인장코일나사(124)가 장설되어 있다. 탄성편의수단을 구성하는 나사(124)는 셔터부재(108)을 제6도에 도시하는 폐위치에 탄성적으로 편의한다.
제2도,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는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연결된다. 다시 상술하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는 약간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위치결정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제1의 연결수단(86)의 원주상 주부(90)에 끼워지고, 이것에 의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개구되어 있는 선단이 밀폐된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결(93)은 제1의 연결수단(86)의 돌기(92)에 걸어맞춰진다. 이렇게 해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즉 토너배출개구(62)가 형성되어 있는 근방)를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연결함으로써,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가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따라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개구(62)가 소정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가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연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유연성에 기인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의 위치, 따라서 토너배출개구(62)의 위치가 상당히 불안정하게 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제4도 및 제5도와 함께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를 연결할 때에는 예를 들면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을 손가락으로 누름으로써 셔터부재(108)을 코일나사(124)의 탄성편의 작용에 대항하여 제7도에 도시하는 개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개위치에 지지해 두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를 소요대로 연결한 후에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에서 손가락을 옮겨 코일나사(124)의 탄성편의작용에 의해 셔터부재(108)을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폐위치로 되돌린다.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를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소요대로 연결하면,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실부재(98)의 실부재(102)가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 하면에 따라 연장하고, 실부재(98)의 실부(102)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106)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개구(62)에 정합된다. 계속하여, 셔터부재(108)이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폐위치로 되돌려지면, 실부재(98)의 실부(102)가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하면과 셔터부재(108)의 주부(112)와의 사이에서 압축되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토너배출개구(62)가 충분확실하게 밀봉된다. 셔터부재(108)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는 폐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를 연결선으로 하면, 셔터부재(108)의 주부(112)와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실부재(98)의 실부(102)가 바람지하지 않은 형상으로 압축되고, 이것에 기인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를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원하는 대로 연결하는 것이 저해되고, 또 실부재(98)의 실부(102)가 손상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셔터부재(108)을 폐위치에서 개위치로 이동시키면, 제6도와 제7도를 비교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안내핀(84)가 셔터부재(108)의 슬롯(114)의 주부(116), 제1의 경사부(117) 및 제2의 경사부(118)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되므로, 셔터부재(108)은 제1의 연결부재(86)의 원주상 주부(90)에 따라(따라서, 제1의 연결부재(86)에 연결되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에 따라) 이동되고, 계속하여 원주상 주부(90)에서 하방으로 격리하는 방향으로(따라서, 제1의 연결수단(86)에 연결되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하면에서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셔터부재(108)을 제7도에 도시하는 개위치에 지지하여, 환언하면 셔터부재(108)을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하면에서 격리된 상태로 유지하여,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를 연결하면, 실부재(98)의 실부(102)에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생성하는 것없이 충분용이하게 연결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도와 함께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클리닝수단(10)은 다시 토너회수용기(126)을 함유하고 있다. 적당한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는 토너회수용기(126)의 상면에는 직사각형상의 토너수입개구(128)이 형성되어 있다. 토너회수용기(126)의 상면에는 토너수입개구(128)의 둘레를 두르고 있는 실부재(130)이 접착되어 있다. 이 실부재(130)은 스폰지와 같이 유연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제8도에 명확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너회수용기(126)에는 토너수입개구(128)에 인접하여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32)에는 규제구(13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134)는 원호상의 저면을 갖고, 상면은 해방되어 있다. 구(134)의 원호상 저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위치결정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의 연결수단(88)의 원주상 기부(94)의 곡률반경에 대응되어 있다. 토너회수용기(126)의 돌출부(132)에는 당접부(136)도 형성되어 있다. 이 당접부(136)은 제1의 당접단(138)과 제2의 당접단(140)을 갖고, 그 제1의 당접단(138)과 제2의 당접단(140)과의 사이에 경사면(142)가 연재되어 있다. 토너회수용기(126)의 돌출부(132)의 편면에는 걸어맞춤수단(144)도 형성되어 있다.
제2도에 명확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의 외측 면에는 수편(受片)(14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편(146)은 후벽(56)에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부분(148), 그 부분(148)의 선단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부분(150), 및 부분(150)의 하단에서 후벽(56)에 향해 연장하는 부분(152)를 갖는다. 상기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은 수편(146)의 부분(148)의 상방을 연장하고 있다.
제1도, 제2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도면의 실시형태에서는 클리닝수단(10)의 토너회수용기(126)은 현상수단(8)에서의 토너카트리지(26)의 편측, 즉 후측에 연결된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너카트리지(26)의 후측에는 피걸림수단(154)가 배설되어 있고, 그 피걸림수단(154)에 토너회수용기(126)의 상기 걸림수단(144)를 걸리게 함으로써, 토너카트리지(26)에 토너회수용기(126)이 이탈자유롭게 연결된다. 토너카트리지(26)은 제6도 및 제7도에 화살표(156)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현상수단(8)의 현상하우징(16)에 장착되고, 제6도 및 제7도에 화살표(158)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현상수단(8)의 현상하우징(16)에서 이탈된다. 토너회수용기(126)은 토너카트리지(26)에 부수하여, 프레임수단(2)의 소요위치에 장착되고, 또 프레임수단(2)의 소요위치에서 이탈된다. 토너카트리지(26)과 토너회수용기(126)과의 연결양식 및 현상하우징(16)에 대한 토너카트리지(26)의 장착양식은 본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제작유니트의 새로운 특징을 이루는 것 없이 주지의 적당한 양식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명세서에서는 생략한다.
제2도 및 제5도와 함께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토너카트리지(26)을 화살표(156)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시켜 현상하우징(16)에 장착할 때는 토너카트리지(26)의 이동에 부수하여 토너회수용기(126)도 화살표(156)으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6도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토너회수용기(126)이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토너회수용기(126)의, 화살표(156)으로 나타낸 이동방향으로 보아 전단부가 프레임수단(2)의 후벽(56)의 외측면과 수편(146)과의 사이에 진입된다. 또, 제2도, 제5도 및 제8도를 참조함으로써 이해되는 바와 같이, 토너회수용기(126)이 제6도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화살표(156)으로 나타낸 방향이동될 때에는 위치결정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의 연결수단(88)이 토너회수용기(126)의 규제구(134)안에 받아들여진다. 토너회수용기(126)의 규제구(134)의 원호상 저면의 곡률반경은 상기 위치결정부재(70)에 형성되어 있는 제2의 연결수단(88)의 원주상 기부(94)의 곡률 반경에 대응되어 있으므로, 제2의 연결수단(88)의 원주상 기부(94)가 규제구(134)안에 받아들여지면, 토너회수용기(126)의 돌출부(132)가 소요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따라서 토너회수용기(126)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수입개구(128)이 소요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위치결정부재(70)에 대한 토너회수용기(126)의, 제5도 및 제7도에서 지면에 수직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방으로의 이동은 제2의 연결수단(88)의 원주상 기부(94)가 규제구(134)안에 받아들여지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또 위치결정부재(70)에 대한 토너회수용기(126)의, 제5도 및 제7도에서 하방으로의 이동은 토너회수용기(126)의 전단부가 수편(146)의 부분(152)의 상면에 맞붙는 것에 의해 저지된다.
다시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토너회수용기(126)이 제6도에 도시하는 위치에서 제7도에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될 때에는, 토너회수용기(126)의 당접부(136)이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에 당접하고, 코일나사(126)의 탄성편의작용에 대항하여 셔터부재(108)을 제6도에 도시하는 폐위치에서 제7도에 도시하는 개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셔터부재(108)이 개위치에 있으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배출개구(62)가 해방되고, 해방된 토너배출개구(62)가 토너회수용기(126)의 토너 수입개구(128)에 연통된다. 따라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안을 반송되어 토너배출개구(62)에서 배출되는 토너가, 토너수입개구(128)을 통해 토너회수용기(126)안에 호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선단부가 위치결정부재(70)의 제1의 연결수단(86)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부재(70)에 대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의 토너배출개구(62)가 소요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또 위치결정부재(70)의 제2의 연결수단(88)이 토너회수용기(126)의 규제구(134)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위치결정부재(70)에 대하여 토너회수용기(126)의 토너수입개구(128)이 소요위치에 위치결정되므로, 토너배출개구(62)와 토너수입개구(128)은 상호 충분정밀하게 정합되어 연통된다.
토너회수용기(126)을 장착할 때의 셔터부재(108)의 이동에 관해서는 다음의 사실도 주목되어야 한다. 셔터부재(108)이 폐위치에서 개위치를 향해 이동되는 초기단계에 있어서는 토너회수용기(126)에 형성되어 있는 당접부(136)의 제1의 당접단(138)이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에 맞붙고, 셔터부재(108)을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에 따라 이동시킨다. 그러나 안내핀(84)가 셔터부재(108)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114)의 제1의 경사부(117)에서 제2의 경사부(118)에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되게 되면, 셔터부재(108)은 토너반송파이프부재(46)에서 격리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비교하면 토너회수용기(126)의 당접부(136)에서의 경사면(142)가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에 맞붙게 되고, 셔터부재(108)이 제7도에 도시하는 개위치까지 이동되면 당접부(136)의 제2의 당접단(140)이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에 맞붙는다. 당접부(136)의 제1의 당접단(138)이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에 맞붙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코일나사(124)의 탄성편의력에 기인하여 셔터부재(108)에서 토너회수용기(126)에 가해지는 힘은 화살표(158)로 나타낸 방향이지만,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접부(136)의 제2의 당접단(140)이 셔터부재(108)의 피당접부(120)에 맞붙는 상태가 되면, 코일나사(124)의 탄성편의력에 기인하여 셔터부재(108)에서 토너회수용기(126)에 가해지는 힘은 화살표(158)에 대하여 실질상 수직인 화살표(160)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시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현상수단(8)의 현상하우징(16)은 탄성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드럼(12)에 접근하는 방향에 탄성적으로 편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현상롤러(18)이 회전드럼(12)에 탄성적으로 눌러져 있다. 그리고, 토너카트리지(26) 및 토너회수용기(126)을 소요위치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126)에 가해지는 힘은 토너카트리지(26)을 개재하여 현상하우징(16)에 전해진다. 그 힘이 화살표(158)로 나타낸 방향인 경우, 이 방향은 현상롤러(18)을 회전드럼(12)에 누르는 방향이므로 코일나사(124)의 탄성편의력에 기인하여 토너회수용기(126)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드럼(12)에 대한 현상롤러(18)의 누름상태에 악영향을 미치게하여 얻는다. 그러나 토너회수용기(126)에 가해지는 힘이 화살표(158)로 나타낸 방향에 대하여 실질상 수직인 화살표(160)으로 나타낸 방향인 경우에는 코일나사(124)의 탄성편의력에 기인하여 토너회수용기(126)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회전드럼(12)에 대한 현상롤러(18)의 누름상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실질상 전혀 없다.
토너카트리지(26)안에 토너가 실질상 전부 소비되면 토너카트리지(26)은 화살표(158)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되어 현상하우징(16)에서 이탈된다. 그리고 토너카트리지(26)과 같은 이탈에 부수하여 토너회수용기(126)도 프레임수단(2)에서 이탈된다. 화상제작유니트의 사용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토너카트리지(26) 및 이것에 장착된 새로운 토너회수용기(126)을 장착한다.
이상, 본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제작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했는데, 본발명은 이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없이 각종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제작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간략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에 배설되어 있는 토너반송기구의 상류단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에 배설되어 있는 토너반송기구에서의 위치결정부재, 실부재 및 셔터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배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에 사용되고 있는 셔터부재를 토너회수용기를 장착하기 전의 상태에서 나타나는 간략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에 사용되고 있는 셔터부재를 토너회수용기를 장착한 후의 상태에서 나타나는 간략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화상제작유니트에 사용되고 있는 토너회수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Claims (17)

  1. 프레임수단과,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상담지수단과,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클리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담지수단 상에 토너상이 형성되고, 이 토너상이 전사부재에 전사되고, 토너상의 전사후에 상담지수단 상에 잔류하는 토너가 클리닝수단에 의해 상담지수단 상에서 제거되고,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담지수단 상에서 제거된 토너의 반송로를 규정하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반송수단과,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이탈이 자유롭도록 조합된 토너회수용기를 포함하고,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는 토너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너회수용기에는 토너수용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너반송파이프 부재에 토너회수용기가 조합되면 토너배출개구와 토너수용개구가 연통되는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imaging)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에는 위치결정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이 위치결정부재에는 토너배출개구의 근처에 토너반송수단에 연결되는 제1 연결수단과 또한 토너수용개구의 근처에 토너회수용기에 연결되는 제2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부재를 경유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토너배출개구와 토너회수용기의 토너수용개구가 상호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3. 제1항에 있어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선단은 개구되어 있고, 위치결정부재의 제1 연결수단은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개구된 선단에서 토너반송파이프부재 안에 삽입되어, 상기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선단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선단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토너회수용기에는 규제구가 형성되어 있고, 위치결정부재의 제2 연결 수단은 토너회수용기의 상기 규제구에 삽입되어 토너회수용기의 위치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반송파이프부재는 합성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JIS-K-6301에 규정되어 있는 스프링식 경도시험 A형에 의한 경도가 50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JIS-K-6301에 규정되어 있는 스프링식 경도시험 A형에 의한 경도가 5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8. 제1항에 있어서,
    토너배출개구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수단에는 토너배출개구를 막는 폐위치와 토너배출개구를 해방하는 개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셔터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부재가 폐위치에 있을 때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과 셔터부재의 내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시일(seal)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의 셔터부재의 이동경로를 규제하는 안내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수단은 셔터부재가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대하여 격리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셔터부재를 폐위치에 탄성적으로 편의(偏倚)하는 탄성편의수단이 배치되고,상기 셔터부재에는 피(被)접촉부가 형성되고, 토너회수용기에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너회수용기를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조합시키면 상기 접촉부가 피접촉부에 작용하여 상기 탄성편의수단의 작용에 대항하여 셔터 부재를 폐위치에서 개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안내수단은 셔터부재가 폐위치에서 개위치로 이동할 때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따라 이동하고, 계속하여 상기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서 격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수단에는 상담지수단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수단도 장착되어 있고, 상기 현상수단은 상담지체에 탄성적으로 눌러지는 현상롤러 및 착탈이 자유로운 토너카트리지를 포함하고, 토너회수용기는 토너카트리지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토너카트리지를 현상수단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수단에 장착되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조합되고, 셔터부재가 폐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셔터부재를 경유하여 탄성편의 수단에 의해 토너회수용기에 가해지는 탄성편의력은 상담지수단에 대한 현상롤러의 누름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12. 프레임수단과,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상담지수단과, 프레임수단에 장착된 클리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담지수단 상에 토너상이 형성되고, 이 토너상이 전사부재에 전사되고, 토너상의 전사후에 상담지수단 상에 잔류하는 토너가 클리닝수단에 의해 상담지수단 상에서 제거되고,
    상기 클리닝수단은 상담지수단 상에서 제거된 토너의 반송로를 규정하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반송수단과,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이탈이 자유롭도록 조합된 토너회수용기를 포화하고,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는 토너배출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너회수용기에는 토너수용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너반송파이프 부재에 토너회수용기가 조합되면 토너배출개구와 토너수용개구가 연통되는 화상형성기에 적용되는 화상제작(imaging)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토너배출개구는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수단에는 토너배출개구를 막는 폐위치와 토너배출개구를 해방하는 개위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셔터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셔터부재가 폐위치에 있으면 상기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과 셔터부재의 내면 사이에서 압축되는 시일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폐위치와 개위치 사이의 셔터부재의 이동경로를 규재하는 안내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수단은 셔터부재가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허용함과 동시에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 대하여 격리 및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부재를 폐위치에 탄성적으로 편의하는 탄성편의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셔터부재에는 피접촉부가 형성되고, 토너회수용기에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고, 토너회수용기를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조합시키면 접촉부가 피접촉부에 작용하여, 탄성편의수단의 작용에 대항하여 셔터부재를 폐위치에서 개위치로 이동시키는 화상제작 유니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폐위치에서 개위치로 셔터부재가 이동될 때에, 토너 반송파이프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계속하여 토너반송파이프부재의 측면에서 격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15. 제14항에 있어서,
    프레임수단에는 상담지수단 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수단도 장착되어 있고, 상기 현상수단은 상담지체에 탄성적으로 눌러지는 현상롤러 및 착탈이 자유로운 토너카트리지를 포함하고, 토너회수용기는 토너카트리지에 장착되고 또한 상기 토너카트리지를 상기 현상수단에 장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프레임 수단에 장착되어 토너반송파이프부재에 조합되고, 셔터부재가 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셔터부재를 경유하여 탄성편의수단에 의해 토너회수용기에 가해지는 탄성편의력은 상담지수단에 대한 현상롤러의 누름력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제작 유니트.
  16. 토너반송파이프부재와 이 토너반송파이프부재를 통해 토너를 반송하기 위한 토너반송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토너반송수단은 토너반송파이프부재 내로 연장되고 및 회전구동되는 금속제코일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토너반송기구에 있어서,
    상기 토너반송파이프부재는 JIS-K-6301에 규정되어 있는 스프링식 경도시험 A형에 의한 경도가 50 내지 70인 합성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반송기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JIS-K-6301에 규정되어 있는 스프링식 경도시험 A형에 의한 경도가 55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반송기구.
KR1019960030007A 1995-07-26 1996-07-24 화상형성기에적용되는화상제작(imaging)유니트및토너반송기구 KR100405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064095 1995-07-26
JP95-190640 1995-07-26
JP19064295 1995-07-26
JP95-190642 1995-07-26
JP95-190639 1995-07-26
JP19063995 1995-07-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24A KR970007524A (ko) 1997-02-21
KR100405832B1 true KR100405832B1 (ko) 2004-04-29

Family

ID=2732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007A KR100405832B1 (ko) 1995-07-26 1996-07-24 화상형성기에적용되는화상제작(imaging)유니트및토너반송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08952A (ko)
EP (1) EP0756216B1 (ko)
KR (1) KR100405832B1 (ko)
CN (1) CN1089909C (ko)
DE (1) DE69637236T2 (ko)
TW (1) TW3127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5709B2 (ja) * 1998-04-10 2004-09-15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式画像形成装置
JP2003337515A (ja) * 2002-05-21 2003-11-28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現像剤回収容器
KR100453068B1 (ko) * 2002-12-27 2004-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폐토너 회수장치
JP2005024665A (ja) * 2003-06-30 2005-01-27 Ricoh Co Ltd 粉体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トナー収容部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KR100529332B1 (ko) * 2003-07-04 2005-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폐토너 이송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인쇄기
US7085507B2 (en) * 2003-08-25 2006-08-01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waste toner collec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197263B2 (en) * 2003-09-18 2007-03-27 Sharp Kabushiki Kaisha Developer stora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205738B2 (en) * 2004-03-24 2007-04-17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based dc motor commutation
US7149467B2 (en) * 2004-03-26 2006-12-12 Lenmark International, Inc. Waste toner syste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US7263325B2 (en) * 2004-10-04 2007-08-28 Lexmark International, Inc. Auger for use in an image forming device
CN100412705C (zh) * 2004-12-21 2008-08-20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在复印机或扫描机中原稿盖板的关节臂
US7383014B2 (en) * 2005-06-10 2008-06-03 Lexmark International, Inc. Auger for use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US7257363B2 (en) * 2005-09-22 2007-08-14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moving toner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EP2023213A1 (en) * 2007-07-30 2009-02-11 Seiko Epson Corporation Developer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912400B2 (en) * 2007-09-18 2011-03-22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ing toner from a belt with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4605822B1 (ja) * 2009-12-14 2011-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8315548B2 (en) * 2010-02-22 2012-11-20 Lexmark International, Inc. Cleaner assembly for moving and storing waste toner in an imaging apparatus using an auger disposed within a tube
JP6308712B2 (ja) * 2012-01-31 2018-04-11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補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19916B2 (ja) * 2012-03-16 2016-05-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駆動伝達構造、現像剤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523947B2 (en) 2012-09-26 2016-12-20 Lexmark International, Inc. Time-based commut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fuser assembly
US8836747B2 (en) 2012-10-02 2014-09-16 Lexmark International, Inc. Moto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 laser scanning unit of an imaging apparatus
JP6427934B2 (ja) * 2014-04-18 2018-11-28 株式会社リコー トナー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439456B2 (ja) * 2015-01-15 2018-12-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現像剤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BR122019002419B1 (pt) 2015-02-27 2023-10-31 Canon Kabushiki Kaisha Cartucho e aparelho de formação de imagem eletrofotográfico
JP7187886B2 (ja) * 2018-08-23 2022-1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120548A (ja) * 2021-02-05 2022-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収容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480A (ja) * 1984-10-12 1986-05-12 Canon Inc 廃トナ−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1484A (en) * 1981-08-19 1985-02-26 Ricoh Company, Ltd. Photoconductive element cleaning apparatus and residual toner collecting apparatus
US5079593A (en) * 1988-06-22 1992-01-07 Konica Corporation Toner recycling mechanism detachably connected to a cartridge
US5020697A (en) * 1988-06-24 1991-06-04 Konica Corporation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toner reservoir
EP0368598B1 (en) * 1988-11-11 1994-04-06 Konica Corporation A toner recovery device
US5128724A (en) * 1988-12-23 1992-07-07 Casio Computer Co., Ltd. Developer restoring unit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574549A (en) * 1994-06-06 1996-11-12 Xerox Corporation Container coupling member
US5594541A (en) * 1994-12-09 1997-01-14 Xerox Corporation Cleaner/waste bottle interface sealing via toner valv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3480A (ja) * 1984-10-12 1986-05-12 Canon Inc 廃トナ−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12755B (ko) 1997-08-11
EP0756216A2 (en) 1997-01-29
US5708952A (en) 1998-01-13
EP0756216A3 (en) 1998-09-09
KR970007524A (ko) 1997-02-21
CN1166636A (zh) 1997-12-03
CN1089909C (zh) 2002-08-28
DE69637236T2 (de) 2008-06-12
EP0756216B1 (en) 2007-09-12
DE69637236D1 (de)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832B1 (ko) 화상형성기에적용되는화상제작(imaging)유니트및토너반송기구
US7634203B2 (en) Developing cartridg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835665B2 (en) Photosensitive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997817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5623328A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system on which process cartridge is mountable
US6898399B2 (en)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31070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3554164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シール部材
JPH1173085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7403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184742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er supply container removably mountable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30185588A1 (en)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96901A (ja) 現像剤飛散防止機構、ユニット、現像剤補給容器、保持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US76169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ixing device
JP2002341648A (ja) トナー補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223441B2 (ja) 画像形成機に適用される作像ユニット
JP2000098724A (ja) 粉体容器とこれを用いた現像装置
JPH1055128A (ja) 静電写真式複製機用の残留トナー回収サンプ装置
US4813531A (en) Developer transport apparatus
JP2002014587A (ja) トナー搬送機構
JP3530586B2 (ja) トナーカートリッジ
JPH0619229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934238A (ja) 現像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397727B2 (ja) 画像形成装置
JP4899887B2 (ja) プロセス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