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132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132B1
KR100383132B1 KR10-2000-7007077A KR20007007077A KR100383132B1 KR 100383132 B1 KR100383132 B1 KR 100383132B1 KR 20007007077 A KR20007007077 A KR 20007007077A KR 100383132 B1 KR100383132 B1 KR 10038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movable base
motor
turntable
waiting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567A (ko
Inventor
도시히로 오가와
챵하오 구이
요시키 기리노에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3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1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가동 베이스(13)가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클램퍼(16)가 턴테이블(20)로부터 벗어난 후에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169)를 설치한다.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FF상태가 되었을 때부터 제 1 대기시간만큼 모터(91)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고, 제 1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제 2 대기시간만큼 모터에 대하여 역전압을 부여하며 제 2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모터의 구동을 제 3 대기시간만큼 정지시키고 제 3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모터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회전시켜 트레이를 배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한다(190, 191, S12-S20).

Description

디스크 장치 {DISK APPARATUS}
일반적으로, 디스크 장치(가령, CD-ROM장치)에서의 디스크 로딩동작은, 1) 디스크가 놓인 트레이를, 디스크 장치 본체 내에 수납하는 동작과, 2) 디스크 장치 본체내에 수납된 디스크를, 턴테이블위에 유지시키는 동작(구체적으로는, 턴테이블과 클램퍼사이에 샌드위치하는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 동작은 모터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최근 들어 디스크 장치의 소형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1)과 2)의 동작을 단일 모터로 수행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장치의 일례로서, 가령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5-282512 호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1995-282512 호에 개시된 디스크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트레이를, 디스크 장치 본체내에 수납하는 동작과 턴테이블과 클램퍼사이에 디스크를 샌드위치하는 동작을 단일 모터에 의해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및 턴테이블이 가동 베이스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 베이스는 구동 기구에 의해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디스크가 놓인 트레이가 디스크 장치 본체내의 소정의 장착 위치까지 끌어들여지면 가동 베이스는 상승하고, 이에 따라 턴테이블도 상승하여 디스크는 턴테이블에 놓인 상태에서 트레이로부터 멀어진다. 가동 베이스가 더욱 상승하면, 턴테이블에 놓인 디스크는 클램퍼를 향하여 이동하고, 이로 인해 디스크는 턴테이블과 클램퍼사이에서 유지된 상태가 된다(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로딩동작이라 한다).
한편, 디스크를 이젝트하는 경우, 가동 베이스는 구동기구에 의해 하강되며, 이에 따라 턴테이블도 하강한다. 따라서, 턴테이블위의 디스크는 클램퍼로부터 멀어지고, 가동 베이스가 더욱 하강함으로써 디스크는 트레이에 다시 놓여진다. 이어서, 트레이는 디스크 장치 본체로부터 배출되고, 디스크는 트레이로부터 꺼내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이러한 일련의 동작을 이젝트 동작이라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이 설치된 가동 베이스가 승강하는 구성에서는, 디스크의 재생 처리가 종료된 후 디스크의 이젝트 동작이 이루어질 때, 가동 베이스의 하강 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디스크가 트레이의 정규 위치에 놓이지 않은 채로 트레이가 배출되고 말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디스크가 트레이의 정규 위치에 놓이지 않은 채로 트레이가 배출되면, 디스크가 트레이내에서 유동하여, 가령 디스크가 전면 베젤(디스크 장치 본체의 정면에 설치된 프론트 패널)에 닿아 훼손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8cm의 소형 CD-ROM을 이용한 경우에 발생하기 쉽다.
한편, 로딩동작에서는, 가령 트레이에 놓인 상태에서 디스크위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등의 경우, 로딩동작이 완료되어도 턴테이블과 클램퍼사이에는 디스크와 함께 이물질도 샌드위치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지력을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디스크가 적정하게 회전할 수 없고, 가동 베이스가 하강하고 마는 등의 이상이 발생한다. 또한, 트레이의 이동속도를 가속하면, 디스크가 트레이내에서 유동하고 만다.
더욱이, 상기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이 설치된 가동 베이스가 승강하는 구성에서는, 디스크를 트레이로부터 턴테이블에 다시 올려놓을 때, 트레이와 턴테이블이 고정밀도로 위치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적정하게 올려놓을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트레이에 트레이 보스(돌기)를 설치하는 동시에, 구동기구(가령 가동 베이스를 승강시키는 슬라이더)에 트레이가 소정의 로딩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트레이 보스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설치하고, 결합부와 트레이 보스가 맞닿음으로써 트레이와 턴테이블의 위치가 결정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결합부와 트레이 보스는, 트레이와 턴테이블의 위치 결정을 위하여 설치되었으나, 구동기구는 가동(稼動)부품이기 때문에 설정된 위치에 반드시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고, 더욱이 위치결정용 부재에는 다수의 부품이 존재하기 때문에, 위치결정의 정밀도가 얻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크의 로딩동작 및 이젝트 동작을 확실히 수행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더욱이 로딩동작시에 트레이와 턴테이블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 방식의 디스크 로딩기구를 구비한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되는 CD-ROM장치를, 트레이가 생략된 상태에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CD-ROM장치를, 전면 베젤이 분리된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CD-ROM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CD-ROM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CD-ROM장치의 캠홈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C는 종래 장치의 캠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CD-ROM장치를, CD-ROM 로딩 구동기구 조립체가 생략된 상태에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CD-ROM 로딩 구동기구 조립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D-ROM 로딩 구동기구 조립체를, 화살표 Ⅶ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 8B, 8C 및 8D는 도 1의 CD-ROM장치의 로딩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CD-ROM장치의 트레이를 안과 겉을 뒤집은 상태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로딩동작과 이젝트 동작시, 도 1에 도시된 CD-ROM장치의 각 부분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임챠트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CD-ROM장치의 CD-ROM 로딩 구동기구의 로딩동작 개시이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트레이가 수납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트레이가 수납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회동 베이스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가동 베이스가 수평 위치까지 회동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CD-ROM의 이젝트 동작이 개시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CD-ROM 로딩 구동기구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되는 CD-ROM장치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제 2 실시예의 로딩동작(정상시)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이다.
도 19A 및 도19B는, 제 2 실시예의 로딩동작(이상시)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이다.
도 20은 제 2 실시예의 로딩동작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제 2 실시예의 이젝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챠트이다.
도 22는 제 2 실시예의 이젝트 동작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종래 장치의 이젝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임 챠트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를 배출 위치와 장치 본체내의 수납 위치간에서 이송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턴테이블이 클램퍼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가 유지되는 유지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베이스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트레이가 배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 위치로부터 퇴피(退避)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가 상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클램퍼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분리된 후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가동 베이스 위치 검출 스위치와,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FF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제 1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제 2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에 역전압을 부여하며, 상기 제 2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 3 대기시간만큼 정지시키고, 상기 제 3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모터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레이를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가동 베이스가 퇴피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이젝트 동작시에, 클램퍼가 턴테이블로부터 분리된 후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클램퍼가 턴테이블로부터 분리됨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개방된 시점으로부터 제 1 대기시간만큼 모터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동 베이스는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턴테이블에 놓인 디스크는 트레이를 향해 이동한다.
또, 제 1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제 2 대기시간만큼 모터에 역전압을 부여함으로써, 가동 베이스에는 로딩방향에 대한 힘이 작용하며, 이 힘은 트레이로부터 멀어지는 가동베이스의 속력을 감속하도록 작용한다. 더욱이, 제 2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모터의 구동을 제 3 대기시간 만큼 정지시킴으로써 모터는 가동베이스의 이동을 규제하는 브레이크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각 대기시간마다 가동 베이스에는 그 속도를 감속하는 브레이크력이 단계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턴테이블에 놓인 디스크를 트레이로 천천히 올려놓을 수 있다. 이로써, 이젝트 동작시에 디스크가 트레이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고신뢰도로 이젝트 동작을 확실히 실현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모터와, 상기모터를 구동원으로하고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를 배출 위치와 장치 본체내의 수납 위치간에서 이송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턴테이블이 클램퍼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베이스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지 위치로 상기 가동 베이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가 배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가 상기 유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동 베이스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가동 베이스 위치 검출 스위치와,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N상태가 된 후, 제 1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를 상기 유지위치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제 2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에 역전압을 부여한 후,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FF상태로 변환된 경우, 상기 트레이를 상기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트레이 및 가동 베이스가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가동 베이스를 퇴피위치로 소정량 이동시켰을 때, 트레이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수단에 의해 턴테이블과 클램퍼의 결합은 용이하게 해제된다.
따라서, 가동 베이스를 퇴피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는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화한다. 따라서, 가동 베이스를 퇴피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의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의 상태변화에 따라 이물질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 제어수단은 가동 베이스를 퇴피위치를 향하여 이동시켰을 때,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변화하였음을 검지하면, 구동기구에 의해 트레이를 배출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로써, 디스크 이외의 이물질이 디스크 장치내에 들어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로딩동작에 있어서, 디스크가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턴테이블위에 놓여진 다음,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자석에 의해 완전히 결합되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로딩모터에 정회전 방향의 전압 및 역회전 방향의 전압을 부여하므로, 이로 인해 미소한 진동이 발생하여 턴테이블과 디스크의 센터가 일치되기 쉬워진다. 또, 상기한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가 턴테이블위에 놓여진 다음,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완전히 결합될 때까지의 시간이, 종래의 경우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디스크와 턴테이블의 센터가 일치되기 쉬워진다.
더욱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르면,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 장치에 놓여지고, 상기 디스크를 배출 위치와 장치본체내의 수납 위치간에서 이동시키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및 턴테이블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디스크와 결합되는 결합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베이스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에 형성된 제 1 위치결정부와, 상기 트레이에 형성된 제 2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위치결정부는, 상기 트레이의 위치가 상기 수납 위치로 결정되고 상기 가동 베이스의 위치가 상기 결합 위치로 결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2 위치결정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동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트레이의 위치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트레이에 제 1 위치결정부를 설치하며 가동 베이스에 제 2 위치결정부를 설치하여, 트레이의 위치가 소정의 수납위치로 결정되고, 가동 베이스의 위치가 소정의 결합위치로 결정되었을 때, 제 1 위치결정부와 제 2 위치결정부가 결합하여 가동 베이스와 트레이의 위치가 결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가동 베이스에는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및 턴테이블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위치결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턴테이블과 트레이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턴테이블에 대한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1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되는 디스크 장치를 나타낸다. 우선, 각 도면을 이용하여 제 1 실시예가 되는 디스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과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장치로서CD-ROM장치(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ROM장치(10)는 섀시(11)와, 섀시(11)에 장착되어 있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 베이스(13)와, 베이스(1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트레이(14)와, 베이스(12)에 장착되어 있는 로딩 구동기구(15)와, 베이스(1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클램퍼(16)와, 섀시(11)의 전면에 장착되어 있는 전면 베젤(17)과, 상측을 덮는 커버부재(도시생략)를 가진다.
가동 베이스(13)는 가동 베이스 본체(19)에, 턴테이블(20), 턴테이블(20)을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용 모터(21), 광학 헤드(22) 및 광학 헤드(22)를 이동시키는 광학 헤드 이동기구(23)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CD-ROM(26)을 장착함에 있어서, CD-ROM장치(10)는 도 8A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즉, 트레이(14)가 도면의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하여 CD-ROM장치 본체(25)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가 되며, 가동 베이스(13)는 하방으로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CD-ROM(26)을 CD-ROM장치(10)에 장착하려면, 조작자가 CD-ROM(26)을 트레이(14)위에 올려두고서 조작 버튼(143, 도 5 참조)을 조작하거나 혹은 트레이(14)를 CD-ROM장치(10)를 향하여 누른다. 이로써, 로딩 구동기구(15)가 동작을 개시하는데, 우선은 1)트레이(14)가 도면의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2)가동 베이스(13)가 수평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1)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ROM(26)이CD-ROM장치 본체(25)내에 끌려 들어간다. 또한, 상기 2)의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ROM(26)이 턴테이블(20)에 의해 지지되어 트레이(14)로부터 부상하고 클램퍼(16)에 의해 클램프되어 재생처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CD-ROM(26)의 로딩동작 및 재생 처리에 이용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베이스(12)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2)는 대략 사각의 프레임 형상이며, 대략 장방형의 개구로 이루어진 가동 베이스 장착부(30)를 가지고, 도면의 화살표 Y2방향 단측에, 노칭에 의해 이루어진 로딩 구동기구 장착부(31)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12)는 도면의 화살표 Y1, Y2방향 단측에 기립 벽부(32,33)를 가지며, 도면의 화살표 Y1방향 단측에 기립 리브(34)를 갖는다.
또한, 베이스(12)는 랜스(lance)가공에 의해 형성된 4개의 레그(35)가, 인슐레이터(36)를 통해 대략 박스형상의 섀시(11)의 바닥판(11a)위에 부상한 상태에서 장착되어 섀시(11)내에 수납되어 있다. 더욱이, 베이스(12)위에는 도면의 화살표 X2, X1단측에 트레이 가이드 부재(37,38)가 장착되어 있으며, 도면의 화살표 X2단측에 트레이 압출판(39)이 도면의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압출판(39)은 스프링(40)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 Y2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이어서, 가동 베이스(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베이스(13)는 대략 사각 프레임 형상의 가동 베이스 본체(19)를 갖는다. 상기 가동 베이스 본체(19)의 도면중 Y2방향 단측에는 턴테이블용 모터(21)가 장착되어 있으며, 턴테이블(20)은 상기 턴테이블용 모터(21)의 스핀들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턴테이블(20)은 가동 베이스 본체(19)보다 상방(도면의 화살표 Z1방향)에 위치하며, 후술될 클램퍼(16)와 결합되어 CD-ROM(26)을 유지하기 위한 영구자석(20a)을 구비한다. 더욱이, 가동 베이스 본체(19) 상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위치 결정용 돌기(180)가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한편, 가동 베이스 본체(19)의 하면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축(50,51)이 유지부(52,53)에 의해 그 양단이 유지되면서 도면의 화살표 Y1, Y2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광학 헤드(22)는 그 양측이 상기 가이드축(50,51)에 의해 지지되며, 가동 베이스 본체(19)의 개구(54) 내부를 도면의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베이스 본체(19)에는 광학 헤드 이동기구(23)가 설치되어 있다. 광학 헤드 이동기구(23)는 모터(55)와, 모터(55)에 의해 구동되는 기어기구(56)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가동 베이스(13)는, 가동 베이스 본체(19)의 도면중 화살표 Y1방향 단측이, 판 스프링 부재(56)를 통해 베이스(12)의 Y1방향 단측에 장착되어, 가동 베이스 장착부(30)내에 장착되어 있으며, 판 스프링 부재(56)가 휨으로써 도 3의 A, B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가동 베이스 본체(19)의 도면중 화살표 Y2방향단의 X1, X2방향 중앙에 핀(57 ; 종동핀)이 Y2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핀(57)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12)의 Y2방향단 근방의 빔(41)에 장착되어 있는 판스프링 부재(42)에 맞닿는다.
이어서, 트레이(14)에 관하여 설명한다.
트레이(1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ROM(26)이 놓인 접시형상의 CD-ROM 올림부(60), 양측부로부터 도면의 화살표 Y1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아암부(61,62), 상기 아암부(61,62)사이를 연결하는 빔(63), 턴테이블(20) 및 광학 헤드(22)가 끼워지는 개구(64), 턴테이블(20)에 대하여 트레이(14)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결정용 구멍(181) 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14)의 도면중 화살표 X1, X2측단에는, 각각 한 단계 내려간 가늘고 긴 플랜지부(65,66)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부(65,66)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67) 및 돌기부(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14)의 이면인 X2방향측에는, 가이드홈(69), 기어면으로서의 랙(70), 볼록부(71), 맞붙음면(71a, 71b), 결합부(73) 등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아암부(62)의 결합부(73)근방에는 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트레이(14)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이드홈(67)을 트레이 가이드 부재(38)의 3개의 돌출부(75-1∼75-3)에 끼우고, 가이드 홈(68)을 트레이 가이드 부재(37)의 3개의 돌출부(76-1∼76-3)에 끼우며, 플랜지부(65)를 트레이 가이드 부재(38)의 3개의 가압 아암부(77-1∼77-3)에 의해 가압하고, 플랜지부(65)를 트레이 가이드 부재(37)의 3개의 가압 아암부(78-1∼78-3)에 의해 가압하여 도면의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트레이(14)는 CD-ROM(26)을 분리 및 장착하는 배출 위치(P1; 도 8A에 도시됨)와, CD-ROM(26)을 CD-ROM장치 본체(25)내에 수납하는 수납 위치(P2; 도 8B, 8C, 도 1 및 2에 도시됨)간을 슬라이딩한다. 또, 랙(70)은 후술되는 기어(96)와 맞물려 있고, 기어(96)가 회전함으로써 트레이(14)는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로딩 구동기구(15 ; 이하, 구동기구 조립체(15)라 한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 도 7 및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구 조립체(15)는 각 부품을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90)를 가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90)에는 도면의 화살표 X1방향부근측에 구동수단으로서 로딩모터(91)가 장착되어 있고, 도면의 화살표 X2방향부근측에 기어(92∼96) 및 회동 베이스(97)가 부착되어 있으며, 화살표 Y1방향단측에는 가동 베이스 이동수단으로서 슬라이더(100)가 부착되어 있다.
기어(92∼96)는 감속 기어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그 중 기어(93,95)는 2단 기어이다. 그리고, 감속 기어기구의 최종단의 기어(96)가, 상기 랙(70)과 맞물린다. 또, 기어(93 및 96)는 베이스 플레이트(90)위의 핀(101)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칼라(104)는 풀리(102)에 고정되어 있는 축(103)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고, 기어(92)는 축(103)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칼라(104)는 베이스 플레이트(90)에 형성되어 있는 가늘고 긴 개구(105)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가늘고 긴 개구(105)는 핀(101)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늘고 긴 개구(105)단에는, 원형의 개구(105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106는 이머젼시 아암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90)의 하면에 핀(10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머젼시 아암(106)은 스프링(108, 도 2참조)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이머젼시 아암(106)의 U자형 노치부(106a)의 테두리는, 칼라(104)외주의 링형상 홈(104a)으로부터 하측 부분에 끼워져 있다.
상기 칼라(104)는 통상적으로 아암(106)에 의해 눌리어, 가늘고 긴 개구(105)의 안쪽 위치(정위치 ; Q1)에 위치하며, 홈(104a)이 가늘고 긴 개구(105)의 테두리에 끼워진다. 이로써, 기어(92)는 기어(93)와 맞물린다.
회동 베이스(97)는, 그 구멍(97a)에 핀(101)이 끼워지고, 클로우(claw ; 97b)가 베이스 플레이트(90)의 원호형상 슬릿(109)에 끼워지며, 원호형상 슬릿(97c)이 베이스 플레이트(90)의 랜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레그(110)에 결합됨으로써, 부상이 제한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9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동 베이스(97)는 구멍(97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기어부(97d)를 가진다. 또한, 회동 베이스(97)에는 핀(111)에 기어(94)가 끼워져 지지되며, 핀(112)에 기어(95)가 끼워져 지지된다.
상기 기어(95)는 기어(94)와 기어(96)에 맞물려 있고, 기어(94)는 기어(93)와 맞물려 있다. 또, 회동 베이스(97)의 한 쌍의 기립편으로 이루어지는 아암 가이드 부착부(97e)에는 아암 가이드(113)가 부착되어 있다.
슬라이더(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로우(100a, 100b)를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슬릿(114,115)에 끼워 베이스 플레이트(90)위를 도면의 화살표 X1, X2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100)는 랙부(100c)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랙부(100c)는 상기 기어부(97d)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슬라이더(100)는 기립벽부(100d)를 가지며, 상기 기립벽부(100d)에는 캠홈(18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홈(182)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시점부(182a)와,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종점부(182b)와, 상기 시점부(182a) 및 종점부(182b)간에 형성되며 경사각도(θ12)가 다른 제 1 경사홈부(182c) 및 제 2 경사홈부(182d)로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의 장치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홈(200)의 형상은 시점부(200a)로부터 종점부(200b)까지 단일 경사각(θ0)을 가진경사홈부(200c)가 형성된 구성이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캠홈(182)과 종래의 캠홈(200)을 비교한다.
본 실시예의 캠홈(182)의 시점부(182a)로부터 종점부(182b)까지의 수평 방향 길이(L1, 도면의 화살표 X1, X2방향 길이)는, 종래의 캠홈(200)의 수평 방향 길이(L0)에 비해 길도록 설정되어 있다(L1>L0). 또한,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의 경사각도(θ12)와, 종래의 경사홈부(200c)의 경사각(θ0)을 비교하면,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의 경사각도(θ12)는 모두 종래의 경사홈부(200c)의 경사각(θ0)보다 작다(θ1<θ0, θ2<θ0).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90)의 하면측에서 모터(91)의 풀리(116)와 상기 풀리(102)사이에는 벨트(117)가 걸쳐져 있다. 또, 베이스 플레이트(90)의 도면중 화살표 X2방향 단부근방에는, 트레이 로크 아암(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 로크 아암(118)은 한 쌍의 걸림 돌출부(118a, 118b) 및 걸림 돌출부(118c)를 가지며, 구멍(118d)에 핀(119)이 끼워짐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90)위에 부착된다. 또, 상기 트레이 로크 아암(118)은, 토션 코일 스프링(120)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기구 조립체(15)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90)의 양단측이 베이스(12)에 나사고정됨으로써, 도 5의 로딩 구동기구 부착부(31)에 수납되도록 장착된다. 이 장착 상태에서 기어(96)는 랙(70)과 맞물리고, 핀(57)은 캠홈(182)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한, 클램퍼(16)는 도 1 내지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윗면에 원형의 철판(130)이 고정되어 있으며, 클램퍼 홀더(131)의 중앙 개구(132)부분에 클램퍼 스톱퍼(133)에 의해 유지된다. 또, 클램퍼 스톱퍼(133)는 클램퍼 홀더(131)에 고정된다. 상기 클램퍼 홀더(131)는 장방형이며, 베이스(12)의 양측 기립벽부(32,33)간에 걸쳐져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전면 베젤(17)은 섀시(11)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40), 상기 개구(140)를 막는 클램프(141), 이머젼시 홀(142) 및 조작 버튼(143)등을 구비한다. 또한, 트레이 로크 아암(118)의 걸림 돌출부(118c) 및 아암 가이드(113)는 회동 베이스(97)를 위치 U1에 로크시키는 회동 베이스 로크 기구(150)를 형성하며, 트레이 로크 아암(118)의 2개의 걸림 돌출부(118a, 118b) 및 트레이(14)의 볼록부(71)는 트레이(14)를 위치 P2에 로크시키는 기구(160)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CD-ROM장치(10)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CD-ROM장치(10)는 로딩 동작함으로써 CD-ROM(26)을 CD-ROM장치 본체(25)내에 수납하고, 이젝트 동작함으로써 CD-ROM(26)을 CD-ROM장치본체(25)로부터 배출한다. 우선, CD-ROM장치(10)의 로딩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CD-ROM장치(10)의 이젝트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이젝트 상태에서 슬라이더(100)는 도면의 화살표 X2방향으로 슬라이드한 위치에 있으며, 회동 베이스(97)는 도 7에 도시된 제 1 위치인 회동 위치 U1에 위치한다.
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출부(118c)는 아암 가이드(113)를 걸어 고정한다. 따라서, 회동 베이스 로크기구(150)는 온상태에 있으며(도 10의 E 참조), 회동 베이스(97)는 회동 위치 U1에 로크되어 반시계 방향의 회동이 제한된다. 또한, 트레이(14)는 배출위치 P1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CD-ROM올림부(60)는 장치 본체(25)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로써, 조작자는 CD-ROM올림부(60)에 대하여 CD-ROM(26)을 장착 및 분리할 수 있다.
또, 트레이 로크 기구(160)는 오프 상태이고, 이에 따라 트레이(14)는 도면의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더욱이 가동 베이스(13)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진 위치 V1에 위치한다.
상기 이젝트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 버튼(143)을 누르거나 혹은 트레이(14)를 장치 본체(25)쪽으로 가압함으로써 로딩동작이 개시된다. 로딩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모터(91)가 시동되어 정회전한다. 모터(91)의 회전은, 벨트(117)→풀리(102)→기어(93)→기어(94)→기어(95)를 통해 감속되며 전달되고, 기어(96)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회동 베이스(97)는 로크된 상태이기 때문에 위치 U1에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어(96)가 회전함으로써 랙(70)이 구동되고, 이로써 트레이(14)는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위치 P1로부터 도면의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기어(96)가 약 1.3 회전함으로써 트레이(14)는 수납위치 P2까지 이동하고 CD-ROM(26)은 장치 본체(25)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트레이(14)가 수납 위치 P2직전에서 위치 P2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다음의 2가지 동작이 이루어진다.
우선, 제 1 동작으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4)의 볼록부(71)의 맞닿음면(72)이 트레이 로크 아암(118)의 걸림 아암부(118b)에 맞닿고, 이를 가압함으로써 트레이 로크 아암(118)이 스프링(120)에 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로써 볼록부(118c)가 아암 가이드(113)로부터 벗어나고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베이스 로크 기구(150)가 오프된다.
또한, 제 2 동작으로서, 트레이 로크 아암(118)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출부(118a)가 맞닿음면(71b)에 대향하고, 걸림 돌출부(118a, 118b)가 트레이(14)의 볼록부(71)의 Y1, Y2방향윗단에 대향하여 볼록부(71)를 샌드위치한다. 이로써 도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로크 기구(160)가 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 베이스 로크 기구(150)가 오프되면, 회동 베이스(97)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트레이 로크 기구(160)가 온됨으로써, 트레이(14)는 Y1방향 및 Y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기어(96)는 그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모터(91)는 상기 동작을 수행한 후에도 정회전을 계속한다. 이로써 기어(95)는 기어(96)의 주위를 회전하기 시작하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 베이스(9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회동 베이스(97)는 원호형상 슬릿(109)의 범위내에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위치인 위치 U2까지 회동한다.
회동 베이스(97)가 상기와 같이 회동함으로써 기어부(97d)는 랙부(100c)를 구동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100)는 도 13 및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의 화살표 X1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슬라이더(100)가 X1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캠홈(182)이 핀(57)을 밀어 올리고 가동 베이스(13)는 도 10(G)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방향(랙(14)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동작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더(100)가 X1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이에 따라 캠홈(182)도 변위하면, 캠홈(182)에 결합된 핀(57)은 캠홈(182)의 형상을 따라 이동하기 시작하여 시점부(182a)로부터 종점부(182b)를 향하여 캠홈(182)내부를 이동한다. 이 때, 도 4A 및 4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캠홈(182)은 그 경사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캠홈(182)은 경사각도(θ12)가 다른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캠홈(182)의 시점부(182a)로부터 종점부(182b)까지의 수평방향 길이(L1)는, 종래의 캠홈(200)의 수평방향 길이(L0)에 비해 길게 설정되어 있으며,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의 경사각도(θ12)는 종래의 경사홈부(200c)의 경사각(θ0)에 비해 작게 설정되어 있다(θ1<θ0, θ2<θ0).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의 캠홈(182)을 채용하면 종래에 비해 가동 베이스(13)의 이동 속도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10(G)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0(G)에 있어서, 화살표 A1로 나타낸 것이 본 실시예의 캠홈(182)을 채용한 경우의 가동 베이스(13)의 이동 특성이며, 화살표 B1로 나타낸 것이 종래의 캠홈(200 ; 도 4C 참조)을 채용한 경우의 가동 베이스(13)가 이동 특성이다. 종래의 캠홈(200)을 채용한 경우에는 가동 베이스(13)가 급격히 상승함(즉, 이동속도가 빠르다)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계된 캠홈(182)을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 길이(L1)가 길고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의 경사각도(θ12)가 작기 때문에, 가동 베이스(13)는 완만하게 상승한다(즉, 이동속도가 느리다).
이로써, 가동 베이스(13)에 설치된 턴테이블(20)은 트레이(14)에 놓인 CD-ROM(26)에 천천히 결합됨으로써 CD-ROM(26)을 턴테이블(20)위에 확실히 올려놓을수 있다.
상기한 가동 베이스(13)는 도 3에 나타낸 수평 위치 V2까지(즉, 핀(57)이 종점부(182b)에 도달할 때까지)회전하나, 상기 가동 베이스(13)가 위치 V2에 이르는 최종 과정에서, 턴테이블(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CD-ROM(26)과 결합되어 CD-ROM(26)을 트레이(14)의 CD-ROM올림부(60)로부터 약간 들어올린다.
또한, 이에 따라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은 근접하며, 턴테이블(20)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20a)에 의해 클램퍼(16)는 턴테이블(20)에 자기적으로 흡착된다. 이로써, CD-ROM(26)은 턴테이블(20)위에 클램퍼(16)에 의해 클램프되고 유지되는 상태가 된다.
도 1에 도시된 위치검출 스위치(169)는, CD-ROM(26)이 턴테이블(20)위에 클램프되었을 때 폐쇄(ON)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로써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N되어, 모터(91)는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CD-ROM(26)의 일련의 로딩동작이 완료된다. 이어서, 모터(21)가 시동되고, CD-ROM(26)이 회전하며 광학 헤드(22)에 의해 재생된다.
그런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 베이스(13)를 구성하는 가동 베이스 본체(19)상면의 소정의 위치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위치결정용 돌기(180)가 설치되어 있고, 트레이(14)에는 위치결정용 구멍(18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용 돌기(180)와 위치결정용 구멍(181)은, 트레이(14)의 위치가 상기 수납위치 P2로 결정되고, 가동 베이스(13)의 위치가 턴테이블(20)과클램퍼(16)가 결합되는 소정의 결합위치로 결정되었을 때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위치결정용 돌기(180)와 위치결정용 구멍(181)이 결합함으로써 가동 베이스(13)와 트레이(14)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베이스(13)에는 CD-ROM(26)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20)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턴테이블(20)과 트레이(14)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로써, 턴테이블(20)과 트레이(14)의 위치를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에 따라 CD-ROM(26)을 소정의 수납위치에 고정밀도로 위치시킬 수 있으며 양호하게 재생처리할 수 있다.
한편, 가동 베이스(13)는, 수평 위치 V2까지 회동된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7)이 판스프링(42)에 닿게 되어 그 선단이 화살표 17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리어, 핀(57)이 종점부(182b)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동 베이스(13)는 유동없이 베이스(12)에 고정된 상태가 되어 CD-ROM(26)이 안정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이어서, CD-ROM(26)을 언로딩하는 이젝트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이젝트 동작은, 기본적으로는 로딩 모터(9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즉, 상기한 각 구성요소를 로딩동작에 대하여 역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이젝트 동작을 수행한다.
1) 회동 베이스(97)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슬라이더(100)가 X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며, 가동 베이스(13)가 위치 V1로 회동한다. 이로써, CD-ROM(26)은 클램프 해제되어 트레이(16)위에 놓인다.
2) 회동 베이스(97)가 위치 U1까지 회동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로크 아암(118)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회동 베이스 로크 기구(150)가 온되며, 트레이 로크 기구(160)가 오프된다.
3) 트레이(14)가 Y2방향으로 위치 P1까지 이동한다.
이로써, CD-ROM(26)은 트레이(14)의 이동에 따라 CD-ROM장치 본체(25)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트레이(14)가 배출위치 P1까지 이동하면, 돌출부(68)가 스위치(171)를 눌러 로딩모터(91)가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4)의 결합부(73)가 걸림 돌출부(118b)에 걸림으로써 트레이(14)의 배출은 제한된다.
여기서, 상기 이젝트 동작중 특히 가동 베이스(13)의 동작에 주목하여 이하의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CD-ROM(26)에 대하여 재생처리할 때, CD-ROM(26)은 턴테이블(20)에 놓여 트레이(14)로부터 부상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젝트할 때CD-ROM(26)을 턴테이블(20)로부터 트레이(14)로 옮기는 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CD-ROM(26)을 턴테이블(20)로부터 트레이(14)로 옮기는 처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우선, 로딩 모터(91)가 역회전함으로써, 슬라이더(100)가 도면의 화살표 X2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로써, 캠홈(182)은 핀(57)을 하방으로 누르고 가동 베이스(13)는 도 10(G)에 나타낸 바와 같이 B방향(랙(1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100)가 도면의 화살표 X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 캠홈(182)도 변위하며 이로써 캠홈(182)에 끼워져 있는 핀(57)은 캠홈(182)의 형상에 따라 종점부(182b)로부터 시점부(182a)를 향하여 캠홈(182)내부를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캠홈(182)은, 경사각도(θ12)가 다른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182d)를 가지며 이로써 그 경사가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 비해, 캠홈(182)의 시점부(182a)로부터 종점부(182b)까지의 수평방향 길이(L1)는 길고,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의 경사각도(θ12)는 작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캠홈(182)을 채용하면, 이젝트 동작이 개시된 직후의 가동 베이스(13)의 이동속도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10(G)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G)에 있어서 화살표 A2로 나타낸 것이 본 실시예의 캠홈(182)을 채용한 경우의 가동 베이스(13)의 이동 특성이며, 화살표 B2로 나타낸 것이 종래의 캠홈(200, 도 4C 참조)을 채용한 경우의 가동 베이스(13)의 이동 특성이다. 종래의 캠홈(200)을 채용한 경우에는 가동 베이스(13)가 급격히 하방으로 움직임(즉, 이동 속도가 빠름)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관계된 캠홈(182)을 채용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수평방향 길이(L1)가 길고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의 경사 각도(θ12)가 작기 때문에, 가동 베이스(13)는 완만하게 하방으로 움직인다(즉, 이동 속도가 느리다).
이로써, 자석(20a)의 흡착력에 대항하여,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의 클램프 해제동작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으며, 클램프 해제된 후에도 CD-ROM(26)은 턴테이블(20)로부터 랙(14)으로 천천히 놓인다. 이에 따라, CD-ROM(26)을 랙(14)위의 정규 위치에 확실히 올려놓을 수 있으며, 랙(14)위에서 CD-ROM(26)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젝트 동작할 때 CD-ROM(26) 및 이젝트 동작을 수행하는 각 구성 요소가 훼손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는, CD-ROM(26)을 턴테이블(20)에 천천히 올려놓기 위하여, 가동 베이스(13)를 구동하는 캠홈(182)에 단계적으로 경사진 제 1 및 제 2 경사홈부(182c, 182d)를 설치하여 턴테이블(20)의 이동속도를 기계적으로 늦춤으로써 이젝트 동작을 확실히 실현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 모터(91)의 회전을 시스템 컨트롤러(190 ; CPU)로 제어(이하, 이러한 제어를 모터 제어라 한다)함으로써,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가동 베이스에 형성된 제 1 위치결정부(180)와, 트레이에 형성된 제 2 위치결정부(181)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관계된 CD-ROM장치의 시스템블록도(주요부만을 나타냄)이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검출 스위치(169)는, 시스템 컨트롤러(190)에 대하여 가동 베이스(13)의 위치정보(즉, 턴테이블(20)의 위치정보)를 공급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메모리(191)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191)에는 후술되는 로딩동작 처리 및 이젝트 동작 처리의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더욱이,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드라이버(192)를 통해 로딩 모터(91)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검출 스위치(169)는, 가동 베이스(13)가 트레이(14)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는 위치(퇴피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클램퍼(16)가 턴테이블(20)로부터 벗어나는 위치(클램퍼 해제위치)보다 더욱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 후에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도록 설치 위치가 선정되어 있다.
도 21A, 21B 및 도 21C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에 관계된 모터 전압, 턴테이블 높이, 및 위치검출 스위치(169)의 각 상태를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이에 대하여 도 23A, 23B 및 도 23C는 종래 장치의 모터 전압, 턴테이블 높이 및 위치검출 스위치의 각 상태를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도 21A, 21B 및 도 2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설치된 위치검출 스위치(169)는, 턴테이블 높이(이는, 가동 베이스(13)의 위치와 같다)가 클램퍼 해제 위치보다 소정량 낮아진 후에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 높이가 클램퍼 해제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곧바로 ON-OFF 변환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턴테이블 높이가 클램퍼 해제위치보다 소정량 낮아진 시점에서 ON-OFF변환이 이루어지도록 위치검출 스위치(169)의 설치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클램퍼(16)로부터 턴테이블(20)이 벗어남을 위치검출 스위치(169)의 출력신호를 통해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23A, 23B 및 도 2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위치검출 스위치는, 턴테이블 높이가 클램퍼 해제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위치검출 스위치가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된 시점에서, 실제로는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은 여전히 클램프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서는 클램퍼(16)로부터 턴테이블(20)이 벗어남을 확실히 검출할 수 없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계된 CD-ROM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CD-ROM장치의 로딩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A 및 18B는 로딩동작이 적정하게 이루어진 경우의 타임챠트이며, 도 19A 및 19B는 CD-ROM(26)이외의 이물질이 로딩된 경우의 타임챠트이다.
CD-ROM(26)을 트레이(17)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조작자가 조작버튼(143)을 누르거나 혹은 트레이(14)를 장치 본체(25)를 향하여 누르면,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메모리(191)에 저장되어 있는 도 20에 도시된 로딩동작을 시작한다.
로딩 동작이 시작되면, 우선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단계 30(도면에서는 단계를 S로 약칭한다)에서, 로딩 모터(91)를 기동함으로써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동작으로 장치본체(25)에 대한 트레이(14)의 수납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레이(14)가 장치 본체(25)내의 소정의 장착 위치까지 이동하면, 단계 32의 처리가 실시되어 가동 베이스(13)는 상승한다. 이러한 가동 베이스(13)의 상승처리는 단계 34의 처리에 의해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변환될 때까지 실시된다.
그러나, 트레이(14)에 CD-ROM(26)이 아닌, 이물질이 존재하여 로딩된 경우에는 이물질이 걸린 상태가 되어 가동 베이스(13)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단계 36에서는 가동 베이스(13)가 상승처리되어 있는 시간(상승처리시간)을 계측하여, 이 상승처리 시간이 소정의 시간(TO)을 초과한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이물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로딩이 이루어졌음을 판단하고, 처리를 단계 50으로 진전시켜 이젝트 동작을 수행한다. 이로써, 클램퍼(16), 턴테이블(20), 혹은 광학 헤드(22)등이 이물질에 의해 악영향을 받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34에서 긍정적인 판단을 하였을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90)는시간제어에 의해 이후의 로딩 모터(91)를 제어한다.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단계 34에서 긍정적인 판단이 내려지면 단계 38로 처리를 진행하여 지연 시간(Ta ; 제 1 대기시간)만큼 로딩모터(91)의 회전을 유지시킨다. 이로써, 가동 베이스(13)는 상승동작을 계속하고, 따라서 가동 베이스(13)를 완전히 수평방향이 되는 위치까지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다.
지연 시간(Ta)이 경과하면, 처리는 단계 40으로 진행되어 시간(Tb ; 제 2 대기시간)만큼 로딩모터(91)에 대하여 이젝트 방향(역방향)의 구동력이 부가되도록 역전압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로딩모터(91)에 이젝트 방향의 구동력이 부가되도록 역전압을 부여하면 가동 베이스(13)는 감속된다. 이어지는 단계 42에서는 시간(Tc ; 제 3 대기시간)만큼 로딩 모터(91)를 정지시킨다.
상기 단계(40,42)의 처리는, 단계 34에서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N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즉, 단계 40, 42의 처리는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이 자석(20a)의 흡착력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그런데,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은 결합 상태인 경우가 있다. 이 때,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의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간의 자석(20a)의 흡착력은, CD-ROM(26)이 적정하게 장착된 경우의 자석(20a)의 흡착력에 비해 작다. 이는 이물질이 존재하면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의 결합 상태가 불안정하여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간에서 일부 이간된 부분이 발생하여 자석(20a)의 흡착력이 작아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간의 자석(20a)의 흡착력이 정상시와 이물질이 존재할 때에 따라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고, 이점에 근거하여 CD-ROM(26)을 장착할 때 이물질이 존재하는 지를 검출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상기와 같이 단계 40에서 로딩모터(91)에 이젝트 방향으로 구동력이 부가되도록 역전압을 부여하여 가동 베이스(13)를 감속하면, 정상적인 경우에는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간의 자석(20a)의 흡착력은 크기 때문에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의 클램프 해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대하여,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간의 자석(20a)의 흡착력은 작기 때문에, 가동 베이스(13)가 이젝트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은 클램프 해제된다. 상기와 같이 클램퍼(16)와 턴테이블(20)의 클램프 해제가 이루어졌는 지의 여부는 상기한 위치검출 스위치(169)의 출력 신호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40 및 42의 처리를 한 후, 단계 44에서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단계 44에서 부정 판단이 내려졌을 경우, 즉,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N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CD-ROM(26)이 적정하게 장착된 상태에 있음을 판단하고, 단계 46이후의 처리를 이행한다.
단계 46에서는, 단계 40의 처리에 의해 하방으로 움직인 가동 베이스(13)를 다시 상승시켜 소정 시간(Td ; 이 시간(Td)은 가동 베이스(13)가 수평위치까지 이동하는 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이 경과하기를 기다린 후에 로딩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 44에서 긍정 판단이 내려졌을 경우, 즉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Tb) 혹은 시간(Tc)동안에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된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이물질이 존재한 로딩동작이라 판단한다. 그리고, 처리를 단계 50으로 진행시켜 트레이(14)를 퇴피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이젝트동작한다.
이로써, CD-ROM(26)이외의 이물질이 장치 본체(25)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학 클램퍼(16), 턴테이블(20) 혹은 광학 헤드(22)등이 이물질에 의해 악영향을 받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계된 CD-ROM장치의 이젝트 동작에 관하여 도 21 내지 2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로딩동작이 종료되고, CD-ROM(26)에 대한 재생처리가 종료되면, 조작자는 조작버튼(143)을 누른다. 이로써,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도 22에 도시된 이젝트 동작을 시작한다.
도 22에 도시된 이젝트 동작이 시작되면, 우선 단계 10에서 로딩 모터(91)를 이젝트 방향으로 역회전시켜 가동 베이스(13)를 트레이(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강)시킨다. 이러한 가동 베이스(13)의 하강처리는, 단계 12의 처리에 의해 위치검출 스위치(169)가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될 때까지 실행된다.
단계 12에서 긍정 판단이 내려진 경우,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시간제어에 의해 이후의 로딩 모터(91)를 제어한다. 즉, 시스템 컨트롤러(190)는 단계 12에서긍정 판단이 내려지면 단계 14로 처리를 진행시켜 시간(T1; 제 1 대기시간)만큼 로딩 모터(91)의 회전을 유지시킨다(도 21 참조). 이로써, 가동 베이스(13)는 시간(T1)동안, 그 이전과 동일한 하강 속도로 가동 베이스(13)를 하강시킨다.
시간(T1)이 경과하면, 처리는 단계 16으로 진행되고, 시간(T2; 제 2 대기시간)만큼 로딩모터(91)를 로딩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로딩 모터(91)가 로딩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가동 베이스(13)에는 로딩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며 이 힘은 트레이(14)로부터 멀어지는 가동 베이스(13)의 하강 속도를 감속하도록 작용한다.
이어지는 단계 18에서는 시간 (T3; 제 3 대기 시간)만큼 로딩 모터(91)를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로딩 모터(91)를 정지시킴으로써 로딩 모터(91)는 가동 베이스(13)의 이동을 규제하는 브레이크(숏브레이크)로서 기능하며, 가동 베이스(13)의 하강 속도는 더욱 감속된다.
상기한 시간(T3)이 경과한 시점에서, 가동 베이스(13)는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단계 18의 처리가 종료되면, 이어서 단계 20에서 로딩 모터(91)는 이젝트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고 이로써 트레이(14)는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이젝트동작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각 대기시간(T1∼T3)마다 가동 베이스(13)에는 그 하강 속도를 감속하는 브레이크력이 단계적으로 작용한다.이로 인해 재생시에 턴테이블(20)에 놓인 CD-ROM(26)을 트레이(14)로 천천히 올려놓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된 CD-ROM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 베이스(13)의 하강속도를 감속하는 브레이크력이 단계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턴테이블의 높이는 완만히 하강한다. 이에 대하여, 도 23(B)에 도시된 종래의 CD-ROM장치에서는 가동 베이스(13)에 대하여 브레이크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턴테이블 높이는 급격히 하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CD-ROM(26)을 턴테이블(20)로부터 트레이(14)로 천천히 옮길 수 있게 되며, 이젝트 동작할 때 CD-ROM(26)이 트레이(14)내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확실하고 신뢰도 높은 이젝트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의 모터 제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로딩동작에 있어서, 디스크가 센터링 기구를 구비한 턴테이블위에 놓여진 후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자석에 의해 완전히 결합하는 동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로딩 모터에 정회전 방향의 전압 및 역회전 방향의 전압이 부여되므로, 이로 인해 미소한 진동이 발생하여 턴테이블과 디스크의 센터가 일치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한 실시예의 모터 제어를 구비한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에 따르면, 디스크가 턴테이블위에 놓여진 다음 턴테이블과 클램퍼가 완전히 결합할 때까지의 시간이, 종래의 경우보다 길어지기 때문에 디스크와 턴테이블의 센터가 일치하기 쉬워진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예나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다.

Claims (7)

  1.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를 배출 위치와 장치 본체내의 수납 위치간에서 이송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턴테이블이 클램퍼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가 유지되는 유지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베이스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가 배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가 상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클램퍼가 상기 턴테이블로부터 분리된 후 ON상태에서 OFF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가동 베이스 위치 검출 스위치(169)와,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FF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제 1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91)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제 2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에 역전압을 부여하며, 상기 제 2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 3 대기시간만큼 정지시키고, 상기 제 3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모터를 퇴피동작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레이를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190, 191, S12-S2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모터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기록 매체가 되는 디스크를 배출 위치와 장치 본체내의 수납 위치간에서 이송하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이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턴테이블이 클램퍼와 결합되어 상기 디스크를 유지하는 유지 위치로 이동하는 가동 베이스와, 상기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유지 위치로 상기 가동 베이스를 이동시키고 상기 트레이가 배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구동기구를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가 상기 유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상기 가동 베이스가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OFF상태에서 ON상태로 변환되도록 구성된 가동 베이스 위치 검출 스위치(169)와,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N상태가 된 후, 제 1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91)를 상기 유지위치 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제 2 대기시간만큼 상기 모터에 역전압을 부여한 후,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FF상태로 변환된 경우, 상기 트레이를 상기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90, 191, S38-S44, S5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제어수단을 접속하는 드라이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드라이버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 2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 3 대기시간만큼 정지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함(S42)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에 상기 제 2 대기시간만큼 역전압을 부여한 후, 상기 가동 베이스 위치검출 스위치가 OFF상태로 변환되지 않고 ON상태를 유지한 경우, 상기 가동 베이스를 상기 유지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제 4 대기시간 만큼 계속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S46,S48)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에는 자석(20a)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수납위치에 있을 때,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클램퍼가 상기 자석에 의한 흡착력으로 인해 결합하고 이 결합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 유지 위치에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베이스(13)에 형성된 제 1 위치 결정부(180)와,
    상기 트레이(14)에 형성된 제 2 위치 결정부(181)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위치 결정부는 상기 트레이의 위치가 상기 수납 위치로 결정되고 상기 가동 베이스의 위치가 상기 유지 위치로 결정되었을 때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결합하고, 상기 제 1 위치 결정부와 제 2 위치 결정부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가동 베이스에 대하여 상기 트레이의 위치가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2000-7007077A 1997-12-24 1998-12-16 디스크 장치 KR100383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355680 1997-12-24
JP1997-355681 1997-12-24
JP35568197 1997-12-24
JP35568097 1997-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567A KR20010033567A (ko) 2001-04-25
KR100383132B1 true KR100383132B1 (ko) 2003-05-12

Family

ID=2658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7077A KR100383132B1 (ko) 1997-12-24 1998-12-16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96463B1 (ko)
EP (1) EP1041564B1 (ko)
JP (1) JP3644384B2 (ko)
KR (1) KR100383132B1 (ko)
CN (1) CN1240072C (ko)
DE (1) DE69825481T2 (ko)
HK (1) HK1031025A1 (ko)
TW (1) TW394935B (ko)
WO (1) WO1999034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7119A (ja) * 2001-02-13 2002-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
US7111308B2 (en) * 2001-05-17 2006-09-19 Lite-On It Corporation Protection method for manual ejection operation of optical disk drive
JP3889666B2 (ja) * 2002-05-16 2007-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4348852A (ja) * 2003-05-22 2004-12-09 Funa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JP4179962B2 (ja) * 2003-10-20 2008-1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20050066279A (ko) * 2003-12-26 200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디스크 인출 제어방법
KR100712335B1 (ko) 2006-02-09 2007-05-02 주식회사 히타치엘지 데이터 스토리지 코리아 광디스크 장치
JP2010040130A (ja) * 2008-08-07 2010-02-18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5426893B2 (ja) * 2009-02-09 2014-02-26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743A (ja) * 1993-11-12 1995-06-02 Nakamichi Corp ディスクプレ−ヤのトレイ駆動装置
JPH07282516A (ja) * 1994-04-07 1995-10-27 Teac Corp トレイロック機構
KR970029548A (ko) * 1995-11-20 1997-06-26 김광호 편심보정장치를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923Y2 (ko) * 1988-10-26 1993-11-16
JP2599015B2 (ja) 1990-03-30 1997-04-0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243568A (ja) * 1993-02-22 1994-09-02 Tanashin Denki Co ディスク再生装置
JP3531200B2 (ja) * 1993-03-05 2004-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US5691969A (en) 1994-04-07 1997-11-25 Teac Corporation Compact disk apparatus having enhanced disk handling capabilities
JP2861798B2 (ja) 1994-04-07 1999-02-2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装置
GB2293041B (en) * 1994-09-06 1998-08-19 Alco Electronics Ltd Compact disc drive
JP3550958B2 (ja) * 1997-07-18 2004-08-0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1743A (ja) * 1993-11-12 1995-06-02 Nakamichi Corp ディスクプレ−ヤのトレイ駆動装置
JPH07282516A (ja) * 1994-04-07 1995-10-27 Teac Corp トレイロック機構
KR970029548A (ko) * 1995-11-20 1997-06-26 김광호 편심보정장치를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0072C (zh) 2006-02-01
KR20010033567A (ko) 2001-04-25
DE69825481D1 (de) 2004-09-09
TW394935B (en) 2000-06-21
EP1041564A1 (en) 2000-10-04
US6496463B1 (en) 2002-12-17
JP3644384B2 (ja) 2005-04-27
DE69825481T2 (de) 2005-07-28
EP1041564B1 (en) 2004-08-04
HK1031025A1 (en) 2001-05-25
CN1283301A (zh) 2001-02-07
EP1041564A4 (en) 2001-10-10
WO1999034367A1 (fr) 199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669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3685047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US7500253B2 (en) Disk loading device having a lift frame protrusion
KR100383132B1 (ko) 디스크 장치
JPS63140450A (ja) デイスクプレ−ヤ−のデイスクセツト機構
JP2002203354A (ja) 記録媒体装着装置
US6229781B1 (en) Disk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creased reliability of disk holding and clamping operations when installed in its vertical position
KR100417105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0417106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US7676818B2 (en) Disk unit
US8146113B2 (en) Disk unit for conveying disks of different diameters
KR100691637B1 (ko) 디스크 장치
US20030223323A1 (en) Ejecting device
JPH11185338A (ja) ディスク装置
JP4136968B2 (ja) ディスク装置
JPH07334903A (ja) ディスクプレーヤ
KR100275890B1 (ko) 디스크 드라이버의 로딩장치
KR100333597B1 (ko) 디스크구동장치
JP4087123B2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機構
KR20000027123A (ko) 디스크 구동장치
JP2859490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210009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1176362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7042189A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H065024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