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637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637B1
KR100691637B1 KR1020040109418A KR20040109418A KR100691637B1 KR 100691637 B1 KR100691637 B1 KR 100691637B1 KR 1020040109418 A KR1020040109418 A KR 1020040109418A KR 20040109418 A KR20040109418 A KR 20040109418A KR 100691637 B1 KR100691637 B1 KR 100691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loading mechanism
disc
clamp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9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343A (ko
Inventor
후지사와신이치
후마히데노리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for moving the turntable or the clamper towards the dis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Abstract

슬롯 방식의 디스크 장치에서의 디스크의 로딩동작의 도중에, 사용자가 손으로 디스크를 강제적으로 인출하려고 하면,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로딩된 것이라 잘못 인식하여, 스핀들 모터의 클램프 헤드가 디스크 표면에 부딪쳐서 손상을 끼쳐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디스크의 로딩동작에 있어서, 디스크가 정상적으로 클램프되는 위치에 이른 것에 호응해서 클램프 동작을 허가하는 안전기구를 설치한다. 안전기구는 기계적인 스토퍼라도 전기적인 검출수단이라도 된다.
컴퓨터, 광디스크, 기록매체, 트레이, 기어, 유인암, 클램프

Description

디스크 장치{DISK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크 장치에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저면에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디스크 장치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클램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디스크 지지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디스크의 반입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구동기구 C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로딩 기어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로딩 기어 유닛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록 기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4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5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6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승강 기구의 동작의 제7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클램프 헤드의 승강 동작에서의 왕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클램프 헤드의 승강 동작에서의 귀로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디스크 지지암의 동작 상태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디스크 지지암의 동작 상태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디스크 지지암의 동작 상태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디스크 지지암의 동작 상태의 제4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디스크 지지암의 동작 상태의 제5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디스크 지지암의 동작 상태의 제6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디스크 지지암의 반출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유인암의 작동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레버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1은 레버암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2는 유인암의 동작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유인암의 동작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4는 유인암의 동작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유인암의 동작의 제4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유인암의 동작의 제5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레버암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8은 레버암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9는 정상적인 클램프 동작에서의 랙 주체와 스토퍼의 위치 관계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은 정상적인 클램프 동작에서의 랙 주체와 스토퍼의 위치 관계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은 정상적인 클램프 동작에서의 랙 주체와 스토퍼의 위치 관계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2는 이상한 클램프 동작에서의 랙 주체와 스토퍼의 위치 관계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3은 이상한 클램프 동작에서의 랙 주체와 스토퍼의 위치 관계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는 랙 주체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4의 일부확대도이다.
도 45는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2의 베이스 패널을 중심으로 발췌한 평면도이다.
도 46은 디스크 지지암과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7은 디스크의 위치 관계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 48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와 캠의 위치 관계의 제1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9는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와 캠의 위치 관계의 제2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0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와 캠의 위치 관계의 제3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1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와 캠의 위치 관계의 제4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2는 디스크 장치의 제어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3은 디스크 로딩 동작에서의 각 검출 스위치의 논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54는 디스크 로딩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5는 디스크 이젝트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6은 디스크 이젝트 동작을 결정하는 플래그의 설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8은 도 57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랙 주체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와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 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9는 디스크 로딩 동작에서의 각 검출 스위치 및 센서의 논리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60은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 장치 2 : 샤시 케이스
3 : 베젤 4 : 이젝트 스위치
5 : 인디케이터 6 : 베이스 패널
7 : 클램프 헤드 8 : 프레임 부재
9 : 완충지지구조 10 : 턴테이블
11 : 스핀들 모터 12 : 광 픽업
13 : 캐리어 블록 14, 15 : 가이드 샤프트
16 : 스레드 모터 17 : 디스크 지지암
18 : 홀더 19 : 지지판
20 : 지핀 21 : 제1 링크암
22 : 인장 코일 스프링 23 : 제2 링크암
24 : 리벳핀 25 : 지지핀
26 : 록레버 27 : 나사 코일 스프링
28 :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 28a :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
28b :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 29 : 기동핀
30 : 로딩 모터 31 : 웜기어
32 : 더블 기어 33 : 더블 기어
34 : 더블 기어 35 : 기어 베이스
36 : 홀더 37 : 지지핀
38 : 압축 코일 스프링 39 : 리미트 스위치
40 : 슬라이더 부재 41 : 지지핀
42 : 인장코일 스프링 43 : 랙 주체
44 : 레버암 45 : 기어 부재
46 : 강압핀 47 : 더블 기어
48 : 기어 프레임 49 : 작용편
50 : 유인암 51 : 슬라이더 부재
52 : 슬라이더 부재 53 : 종동핀
54 : 탄성링 55a : 링 부재
55b : 링 부재 55c : 종동핀
56 : 클램프 해제핀 57 : 종동핀
58 : 지지핀 59 : 지지핀
60 : 롤러 70 : 마이크로 컴퓨터
71 : 모터 드라이버 72 : 스토퍼
73 : 개구부 74 : 스페이서
75 :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 76 : 데이터 처리부
77 : 신호처리회로 79 : 리드 스크류
80 :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 81 :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
83 : 판 스프링 84 : 지주
86 : 포토 인터럽터 87 :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
A : 구동계 유닛 B : 헤드 유닛
C : 구동기구 D : 디스크
E : 반송기구 R1, R2, R3, R4, R5, R6 : 저항
본 발명은, 각종 컴퓨터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에 있어서, 대량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의 광디스크(예를 들면 CD-R/RW, DVD-R/-RW/RAM/+R/+RW 등)를 드라이브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 함) 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스크 장치는, 보통, 디스크를 장전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고, 이 디스크 트레이가 전진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에 장전된 디스크는, 디스크 장치의 본체 내에서 드라이브되어,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소위 슬롯 방식의 디스크 장치도 많이 채용되는 경향에 있고, PC의 박형화, 소형화에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 다. 이 슬롯 방식의 디스크 장치는, 장치 본체에의 디스크의 로드(반입)/언로드(반출)에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가 디스크의 과반을 슬롯에 삽입하면, 이후, 장치 본체의 로딩기구가 작동해서 자동적으로 로드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117604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종래기술을 설명한다.
도 60은 종래기술에 의한 디스크 장치(101)의 개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디스크 D는 베젤(103)로부터 사용자의 손에 의해 밀려 들어가면, 디스크 D의 주연이 디스크 지지암(117) 선단의 홀더(118)에 접촉하고, 디스크 지지암(117)은 위치 M1로부터 위치 M2까지 밀려 들어간다.
이윽고 디스크 D는, 유인암(150)이 종동핀(157)을 축으로서 회동하면, 유인암(150) 선단의 롤러(160)가 디스크 D의 주연과 접촉해서 미치게 하는 힘에 의해 디스크 D가 디스크 장치(101)에 수납되는 것에 충분한 위치에 도달한다. 이것이 로딩기구 구동개시위치인 위치 M2이다.
디스크 지지암(117)이 위치 M2에 이르면, 디스크 지지암(117)에 연동하고 있는 도시하지 않은 리미트 스위치가 온이 된다.
리미트 스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것을 받고, 도시하지 않은 로딩 모터를 구동제어한다. 도시하지 않은 로딩 모터가 랙 주체(143)를 디스크 장치(101)의 안쪽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랙 주체(143)는 유인암(150)을 인장하는 방향으로 구동한다.
유인암(150)은, 종동핀(157)이 유도홈(143e)을 따라 디스크 장치(101)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지지핀(158)을 축으로서, 위치 Q1로부터 위치 Q2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윽고, 유인암(150) 선단의 롤러(160)는 위치 Q2에서 디스크 D의 주연에 접촉한다.
또한, 유인암(150)이 회동하고, 디스크 D는 디스크 장치(101)의 안쪽 방향으로 계속해서 이동하고, 디스크 D의 중심이 턴테이블(110)에 이르면, 도시하지 않은 스핀들 모터가 디스크 D의 기록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밀어 올라간다.
이 결과, 디스크 D는 턴테이블(110)에 고정되어 있는 클램프 헤드(107)에 의해 클램프된다.
클램프 동작이 완료하면, 랙 주체(143)의 후단은 위치 L2에 도달하고, 랙 주체(143)의 후단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180)를 누른다.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180)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것을 수신하여, 도시하지 않은 로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디스크를 배출할 때에는, 도시하지 않은 로딩 모터가 로딩동작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실현된다.
우선, 랙 주체(143)가 베젤(103)의 방향으로 구동되고, 이에 따라 디스크 D와 클램프 헤드(107)와의 클램프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랙 주체(143)에 연접하는 디스크 지지암(117)이 디스크 D를 밀어낸 다.
최종적으로 디스크 지지암(117)이 위치 M1에 이르면, 랙 주체(143)의 후단은 위치 L1에 도달하고, 랙 주체(143)의 후단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181)의 강압을 해제한다.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181)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는 이것을 수신하여, 도시하지 않은 로딩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즉,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180)는 로딩동작의 종료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고,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181)는 이젝트 동작의 종료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레버암(144)에는 안전을 위한 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규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겨지면 록 기구가 빠져서, 레버암(144)의 길이가 길어진다.
로딩동작의 도중에 디스크를 인출하려고 하면, 디스크 D의 주연을 통해서 유인암(150)에 큰 인장력이 가해진다. 이것에 호응하고, 레버암(144)에 설치되는 안전을 위한 록 기구가 어긋나, 레버암(144)의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면, 유인암(150)은 디스크 D의 방출 조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 장치에서는, 로딩동작 도중에 사용자가 디스크를 인출할 때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전술한 디스크 장치(101)의 로딩기구에는, 로딩동작의 도중에 사용자가 디스크를 인출했던 것을 검출하는 수단이 없다.
이 때문에, 로딩동작의 도중에 디스크를 인출하려고 하면, 전술한 레버암(144)의 록은 해제되지만, 로딩동작은 계속되어버린다.
그러면, 디스크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지 않은 상태로 스핀들 모터가 밀어 올라가 버리고, 디스크 D는 클램프 헤드(107)와 디스크 장치(101)의 도시하지 않은 톱 커버에 끼워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즉, 로딩동작의 도중에 디스크를 인출하려고 하면, 디스크의 기록면이 클램프 헤드(107)로 손상 받아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디스크 인출 조작에서도 디스크를 안전하게 취급할 수 있는 로딩 기능을 구비한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각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즉 제1 국면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탑재하는 클램프 동작이 가능한 위치까지 디스크를 인입하는 인입동작과, 상기 인입동작 후 디스크에 상기 클램프 동작을 행하는 로딩기구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해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클 램프 동작을 금지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한 때에는, 상기 작동수단이 구동된 것에 따라,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클램프 동작을 허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한다.
제2 국면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제1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했을 때의 디스크 중심으로부터 내측의 위치에 설치된다.
제3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1 국면 또는 제2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지수단은 스토퍼이고,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되는 디스크 접촉 부재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디스크 접촉 부재가 상기 디스크의 외주부에 접촉해서 구동된 것에 따라, 상기 로딩기구에 대한 상기 클램프 동작의 금지 상태를 해제한다.
제4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3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접촉부는, 상기 인입동작 후, 상기 클램프 동작시에 상기 디스크를 위치결정하는 디스크 위치결정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제5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1 국면 또는 제2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로서, 상기 금지수단은,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와,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한 상태를 검출하는 인입종료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입종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한 것을 검출하고, 또한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에 의해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를 검출한 것을 받고, 상기 로딩기구에 대하여 상기 클램프 동작을 허가한다.
제6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5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는 반사형 포토 인터럽터로서,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 오류 검출을 방지하기 위한 광반사 방지막이, 디스크 장치의 케이스 이면의 상기 반사형 포토 인터럽터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7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1 국면 또는 제2 국면 또는 제3 국면 또는 제4 국면 또는 제5 국면 또는 제6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디스크가 클램프 위치에 이르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8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7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클램프 동작을 완료한 상태를 검출하는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도 상기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프 동작의 완료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한다.
제9 국면의 발명에서는, 제5 국면 또는 제6 국면의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입종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 한 것을 검 출했을 때,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에 의해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를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 내지 제9 국면에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의 로딩동작의 도중에 사용자가 디스크를 인출해도, 잘못된 클램프 동작은 금지되므로, 디스크의 기록면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딩동작에 타이머에 의한 에러 검출의 기구를 설치하고, 로딩동작이 규정시간 내에 완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램프 동작을 금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이젝트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종래와 비교해서 디스크 장치 및 디스크의 피손의 가능성을 저하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본 발명의 개략은, 로딩기구의 인입동작에 의해 디스크가 디스크 장치 내의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른 것을, 디스크 바로 그것으로부터 직접 검출하는 수단을, 디스크 장치의 내측에 설치하고, 이 검출수단에 호응해서 클램프 동작을 허가하도록 한 것이다.
검출수단은 로딩기구에 대한 기계적인 스토퍼라도, 제어수단인 마이크로 컴퓨터에 접속되는 전기적인 센서라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슬롯 방식의 디스크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실드 상태로 구성된 샤시 케이스(2)의 상부판의 중앙에 개구(2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개구(2a)의 개구 주연부에 내부에 돌출하는 볼록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샤시 케이스(2)의 전단에는 베젤(3)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베젤(3)에는, 디스크 D를 삽입하는 슬롯(3a)과 이머전시 해제를 위한 관통 구멍(3b·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젤(3)에는,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 D의 장치 외부에의 반출을 지시하기 위한 이젝트 스위치(4) 및 디스크 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를 구비한다.
도 2는 디스크 장치(1)의 샤시 케이스(2)의 상부판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그 사시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동일 도면에서, 샤시 케이스(2) 내에는 베이스 패널(6)이 배치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부터 비스듬히 아래쪽으로의 배치 상태에서 디스크 D에 대한 구동계 유닛 A가 설치된다. 이 구동계 유닛 A는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를 클램프 또는 클램프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상하 동작 가능해지도록 한 프레임 부재(8)가 완충지지구조(9a, 9b)에 의해 복수개소(본 실시예에서는 3개소)에서 베이스 패널(6)에 연결되어 있다(도 4·개구도 참조).
디스크 장치(1)는 슬롯(3a)에 삽입한 디스크 D를 클램프 가능한 위치까지 반송하는 동작과, 그 후 클램프를 행하는 동작이 이루어진다. 이것 이후, 디스크 D를 클램프 가능한 위치까지 반송하는 동작을 인입동작, 클램프를 행하는 동작을 클램프 동작이라 칭한다. 디스크 장치(1)의 로딩동작이란, 인입동작과 클램프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베젤(3)의 근방에 2개 설치되어 있는 완충지지구조 9a는 스페이서(74) 상에 설치된다. 이 구조에 의해, 프레임 부재(8) 중, 완충지지구조 9a에 지지되는 부분은 상하 동작하지 않고, 완충지지구조 9a는 프레임 부재(8)의 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베젤(3)로부터 가장 먼 곳에 하나 설치되어 있는 완충지지구조 9b는 프레임 부재(8)를 상하동작 가능하게 지지한다.
후술하는 랙 주체(43) 및 슬라이드 부재(51)의 이동에 따른, 프레임 부재(8)는 2개의 완충지지구조 9a를 회전 지점으로서, 후술하는 클램프 동작 및 클램프 해제 동작시에, 디스크 D의 기록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상하 동작한다.
베이스 패널(6)의 단에는 개구부(73)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개구부(73)를 통해 스토퍼(72)(금지수단)가, 베이스 패널(6) 상에 설치된다. 스토퍼(72)는, 후술하는 랙 주체(43)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른 시점에서 디스크 D의 주연에 의해 조금 밀리면, 랙 주체(43)로의 이동제한상태가 해제된다. 스토퍼(72)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프레임 부재(8)의 선단에는, 반입해서 정지한 디스크 D의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클램프 헤드(7)가 배치된다. 이 클램프 헤드(7)는 턴테이블(10)과 일체로 구성되고, 바로 아래에 배치한 스핀들 모터(11)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고, 이 스핀들 모터(11)에 의해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된 디스크 D를 회전구동해서 드라이브하고, 정보의 기록/재생이 행해진다.
다음에, 부호 B는 프레임 부재(8)에 지지된 헤드 유닛이고, 광 픽업(12)을 디스크 D의 직경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캐리어 블록(13)이, 그 양단을 프레임 부재(8)에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14·15)에 지지되고, 스레드 모터(16) 및 기어 유닛(도시 생략)에 의해 왕복운동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장치(1)는, DVD-R 디스크의 기록재생 및 CD-R/RW 디스크의 기록재생을 실현하는 장치이고, 광 픽업(12)이 대형화하고 있으므로, 캐리어 블록(13)은 스핀들 모터(11)보다도 두께가 있다. 이 때문에, 프레임 부재(8)가 디스크 D와 스핀들 모터(11)와의 클램프를 해제할 때는, 스핀들 모터(11)의 하강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캐리어 블록(13)이 스핀들 모터(11)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장치(1)의 구동계 유닛 A에 의한 클램프 동작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디스크 D가 클램프 헤드(7)에 정상적으로 클램프하고 있는 상태이다. 캐리어 블록(13)의 저면 부분의 높이는 스핀들 모터(11)의 저면 부분의 높이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도 6b는 디스크 D가 클램프 헤드(7)로부터 제거되어 있는 상태이고, 완충지지구조 9a를 축으로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있다. 만일 캐리어 블록(13)이 스핀들 모터(11)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면, 캐리어 블록(13)이 스핀들 모터(11)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있는 상태에 비해, 디스크 장치(1)의 저면에는 스핀들 모터(11)의 저면보다도 먼저 캐리어 블록(13)의 저면이 접촉해 버리고, 거리 d 만큼만 스핀들 모터(11)를 하강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스핀들 모터(11)는 디스크 D를 클램프 헤드(7)로부터 클램프 해제하는 것에 필요한 거리만큼 하강시킬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결과적으로, 캐리어 블록(13)의 존재에 의해 클램프 해제 동작이 실현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장치(1)의 클램프 동작 및 클램프 해제 동작일 때는, 캐리어 블록(13)을 스핀들 모터로부터 가장 먼 위치, 즉 완충지지구조 9a에 가장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부호 17은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안내하는 동시에 장치 외부로 밀어내는 동작을 주관하는 디스크 지지암이고, 그 선단에는 디스크 D의 단부를 지지하는 홀더(1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홀더(18)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에 수단부(18a)가 형성되고, 측부에 유지홈(18b)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 지지암(17)을 요동시키는 구동기구 C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지지암(17)의 요동 지점이 되는 단부는,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판(19)과 일체로 되어 있고, 이 지지판(19)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핀(20)에 의해 선회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지판(19)의 선회에 따라 베이스 패널(6) 상의 디스크 지지암(17)이 슬릿(6a)의 범위 내에서 요동한다.
도 8은 디스크 지지암(17)의 구동기구 C가 구성되어 있는 평면 상태를, 베이스 패널(6)을 제거해서 나타낸 것으로, 디스크 지지암(17)을 직접 구동하는 제1 링크암(21)은 지지판(1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핀(17b)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인장 코일 스프링(22)에 의해 상시 가압되어 있다. 한편, 제2 링크암(23)에는 도 9에 나 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23a·23b)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23a·23b)으로부터 리벳핀(24)이 삽통되고, 그 선단이 제1 링크암(21)의 관통 구멍(21a·21b)에 고정되며, 제1 링크암(21)과 제2 링크암(23)은 슬릿(23a·23b)의 범위 내에서 신축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이때, 제1 링크암(21)과 제2 링크암(23)에는, 후술하는 록 기구가 작용하는 절결부(21c·23c)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25는 제2 링크암(23)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암이고, 지점이 되는 관통 구멍(25a)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핀(25d)으로 지지되고, 요동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레버암(25)의 작용단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핀(25b)이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핀(25b)은 제2 링크암(23)의 관통 구멍(23d) 및 록 레버(26)의 관통 구멍(26a)에 삽통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암(23)과 록 레버(26)의 사이에는 나사 코일 스프링(27)이 배치되고, 그 일단(27a)이 제2 링크암(23)의 오목결부(23e)에 걸어 놓게 되고, 타단(27b)은 록 레버(26)의 오목결부(26b)에 걸어 놓게 된다. 이에 따라 록 레버(26)의 걸림단(26c)은 제1 링크암(21)의 절결부(21c)와 제2 링크암(23)의 절결부(23c)와 걸어 맞추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때,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는 디스크 지지암(17)과 연동해서 회동하는 지지판(19)이 접촉함으로써 온/오프 동작되는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 그리고 제2 링크암이 소정의 위치에 달했을 때, 록 레버(26)의 후단부(26d)를 누르기 위한 기동핀(29)이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 지지암(17)의 구동기구 C에의 동력전달요소가 되는 슬라이더 기구 및 반송기구 E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반송기구 E는, 대별해서 로딩 기어 유닛(G1)과 록 기어 유닛(G2)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로딩 기어 유닛(G1)의 구성 및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동일 도면에서 부호 30은 동력원이 되는 로딩 모터이고, 이 로딩 모터(30)의 출력축에는 웜 기어(31)가 동축으로 회전하도록 고정되고, 이 웜 기어(31)의 회전력이 기어 베이스(35)에 축지된 더블 기어(32·33·34)에 순차, 소경 기어로부터 대경 기어로 감속되면서 전달된다.
상기 기어 구성에서, 더블 기어(32)는 웜 기어(31)와의 맞물림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기구를 구비한다. 이것은, 더블 기어(32)를 유지하면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의 홀더(36)의 단부(36a)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7)에 삽통되고, 압축 코일 스프링(38)에 의해 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축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정상의 상태에서는,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웜 기어(31)와 더블 기어(32)는 정상의 맞물림 상태가 된다. 이때, 홀더(36)의 로딩 모터(30)측의 단부에는, 도구 헤드(36b)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 베이스(35)에 고정되는 리미트 스위치(39)의 노브(39a)를 작동가능하게 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홀더(36)의 단부(36a)의 하면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7)과 동축으로 축지된 슬라이더 부재(40)가 설치된다. 이 슬라이더 부재(40)의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7)에 축지되는 부분에는 긴홈(40a)이 형성되어 있고, 홀더(36)의 단부(36a)와 직각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슬라이더 부재(40)는, 전단과 후단과의 사이에 경사면(40b)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더 부재(40)를 전진시켰을 때, 이 경사면(40b)이 홀더(36)의 단부(36a)를 저면으로부터 밀어 올리고, 홀더(36) 전체가 상승한다.
슬라이더 부재(40)의 후단에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핀(41)에 축지되는 걸림 단부(40c)를 구비한 긴홈(40d)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후단부에는 밀봉 돌기(40e)를 구비한 작용편(40f)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 부재(40)의 전단부에는 록 기어 유닛(G2)의 동작에 따라 기동되는 리셋트편(40g)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체로 구성된 슬라이더 부재(40)는 그 걸림 편(40h)과 기어 베이스(35)의 걸림 편(35a)과의 사이에 토글 작용을 주기 위한 인장 코일 스프링(42)이 경사각을 구비하여 펼쳐져 설치되어 있고, 슬라이더 부재(40)가 항상 후퇴하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가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슬라이더 부재(40)가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도 10에 나타내는 정상상태에서는, 슬라이더 부재(40)는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7)을 지점으로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 부재(40)를 후단부로부터 눌러 전진시켜, 회전가능하게 지지핀(41)의 위치에 긴홈(40d)의 걸림 단부(40c)가 이르면, 상기 인장 코일 스프링(42)의 장력에 의해 슬라이더 부재(4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핀(37)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단부(40c)와 회전가능하게 지지핀(41)이 걸어 맞추어 록 상태가 되고, 그 자세가 유지되게 된다.
다음에, 록 기어 유닛(G2)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주체(43)에 기어 열(43a·4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어 열 43a는 로딩 기어 유닛(G1)의 더블 기어(34)의 소경 기어와 맞물린다. 따라서, 로딩 모터(30)를 구동함으로써, 랙 주체(43)는 샤시 케이스(2)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랙 주체(43)를 전진 또는 후퇴시킴으로써, 이 랙 주체(43)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는 구 동기구 C가 구동해서 디스크 지지암(17)이 요동하는 동시에 도 2에 나타내는 베이스 패널(6)면에서 랙 주체(43)에 연결되어 있는 레버암(44)에 의해 유인암(50)이 요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랙 주체(43) 상에는, 이 랙 주체(43)의 선단부에서 전진 후퇴하는 기어 부재(45)가 유동 상태로 배치되고, 이 기어 부재(45)를 눌러 전진시키기 때문에, 전후에 블록(46a·46b)을 구비한 강압핀(46)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열 43b와 기어 부재(45)를, 기어 프레임(48)에 자유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더블 기어(47)에 맞물리게 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더블 기어(47)의 대경 기어(47a)는 기어 열 43b의 후단부에 맞물리고, 소경 기어(47b)는 상기 블록 46b와 일체로 성형된 기어 부재(45)의 선단부에 맞물리도록 한다.
따라서, 강압핀(46)을 통한 외력에 의해 기어 부재(45)가 눌러지면, 더블 기어(47)는 정위치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기어 열 43b에 대경 기어(47a)의 회전력이 전달하고, 랙 주체(43)가 이동한다. 이때, 부호 49는 전술한 로딩 기어 유닛(G1)의 슬라이더 부재(40)의 전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리셋트편(40g)을 누르는 작용편이고, 로딩 기어 유닛(G1)이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이 작용편(49)이 슬라이더 부재(40)의 리셋트편(40g)을 누르면, 회전가능하게 지지핀(41)과 걸림 단부(40c)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기 때문에,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 복귀한다.
상위 장치의 셧다운 후 등, 전기적으로 디스크 이젝트 동작을 행할 수 없는 상황이 된 경우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 D를 수동에 의해 배출하는 「이머전시 이젝트」의 순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베젤(3)의 관통 구멍 3b의 후방에는 로딩 기어 유닛(G1)의 슬라이더 부재(40)(도 10참조)가 배치되어 있고, 베젤(3)의 관통 구멍 3c의 후방에는 강압핀(46)의 블록 46a(도 12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정상상태에서는, 베젤(3)의 관통 구멍 3c의 후방에 슬라이더 부재(40)의 밀봉 돌기(40e)가 위치하고 있고, 관통 구멍 3c는 밀봉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관통 구멍 3c에 이젝트 핀을 삽입해도 이머전시 이젝트를 행할 수 없다.
이머전시 이젝트를 행하는 경우에는, 처음에 베젤 3c의 관통 구멍 3b로부터 이젝트 핀을 삽입하고, 슬라이더 부재(40)를 누른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 부재(40)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울어지고, 밀봉 돌기(40e)에 의한 관통 구멍 3c의 밀봉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이때 슬라이더 부재(40)의 경사면(40b)이 홀더(36)의 단부(36a)를 저면으로부터 밀어 올리기 위해, 웜 기어(31)와 더블 기어(32)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더블 기어(32·33·34)는 자유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핀들 모터(11)가 디스크를 회전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홀더(36)의 도구 헤드(36b)가, 노브(39a)를 구동해서 리미트 스위치(39)를 온으로 한 것에 따라, 스핀들 모터(11)를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관통 구멍 3b로부터 인출했던 이젝트 핀을 관통 구멍 3c에 삽입하고, 이것을 밀어 넣음으로써, 강압핀(46) 및 기어 부재(45)를 전진시킨다. 기어 부재(45)가 전진함으로써 더블 기어(47)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랙 주체(34)가 후퇴 한다. 랙 주체(34)가 후퇴함으로써, 프레임 부재(8)가 강하해서 디스크 D의 클램프가 해제되고, 그 후 디스크 지지암(17)이 요동해서 디스크 D가 배출된다.
다음에, 프레임 부재(8)의 승강 기구의 구성 및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승강 기구는, 랙 주체(43) 및 이 랙 주체(43)에 동기해서 전진 후퇴하는 슬라이드 부재(51), 그리고, 상기 랙 주체(43), 슬라이드 부재(51)에 형성된 캠 홈에 안내되는 종동핀(53)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51)는 링크 부재(55a)에 의해 랙 주체(43)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랙 주체(43), 슬라이드 부재(51)가 동기해서 전진 후퇴하도록 하고 있다. 도 4는 랙 주체(43)가 가장 전진한 상태이고, 도 5는 가장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프레임 부재(8)에 고정된 종동핀(53)은, 그 개방단이 랙 주체(43) 및 슬라이드 부재(51)에 형성된 캠 홈에 각각이 걸어맞추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종동핀(53)과 각각의 캠 홈과의 걸어맞춤 관계는 대략 공통되므로, 이하에서는, 랙 주체(43)의 캠 홈과 종동핀(53)과의 걸어맞춤 관계를 대표예로서 설명한다.
우선, 도 13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부재(8)에 국정 된 종동핀(53)에 유연성을 구비한 탄성링(54)을 장착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랙 주체(43)에 형성한 캠 홈은, 종동핀(53)이 슬라이딩 접촉해서 안내되는 캠 홈 43c와, 이 종동핀(53)이 캠 홈 43c에 의해 안내되어 있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링(54)이 접촉하지 않는 정도의 유합 상태로 하는 캠 홈 43d와의 2중 캠 구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캠 홈 43c·43d의 고위부 P2에서는, 탄성링(54)을 유지하고자 캠 홈 43d는 탄성링(54)의 직경과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캠 홈 43c는 고위부 P2의 입구 부근에서 그 홈 형성이 종료하고, 고위부 P2에 개구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캠 홈 43c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에서는, 이 캠 홈 43c에서 종동핀(53)이 규제 지지되고, 고위부 P2에 이르면 탄성링(54)을 통해 종동핀(53)이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프레임 부재(8)의 승강 기구의 동작 형태를 도 13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공정도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디스크 D가 디스크 장치(1) 내에 반입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에 정대칭 위치에서 정지한 가장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종동핀(53)은 캠 홈 43c의 저위부 P1에 있기 때문에, 프레임 부재(8)는 가장 강하하고 있고, 클램프 헤드(7)는 상승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로 있다. 이 상태로부터 또한 랙 주체(43)가 후퇴를 시작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동핀(53)이 캠홈 43c의 경사부 P3에 안내되어서 점차 상승하고, 이에 따라 프레임 부재(8) 및 클램프 헤드(7)도 상승을 시작한다.
그리고, 캠홈 43c에 안내되어 있는 종동핀(53)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 경사부 P3을 상승하면, 클램프 헤드(7)의 척 돌기(7a)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의 개구 단부에 접촉한다. 이 상태로부터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헤드(7)가 상승하면, 그 척 돌기(7a)가 디스크 D를 밀어 올려, 그 중심 구멍 Da의 개구 단부를 샤시 케이스(2)의 개구(2a)의 볼록부(2b)에 누른다. 또한 종동핀(53)이 안내되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홈 43c의 정상부에 이르면, 클램프 헤 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끼워 들어가, 그 척 돌기(7a)가 디스크 D의 개구 단부에 걸려 놓아져 턴테이블(10) 상에 디스크 D를 고정하고, 클램프가 이루어진다.
도 17의 상태로부터 또 랙 주체(43)가 후퇴하면 프레임 부재(8)는 조금 강하하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링(54)이 고위부 P2에 들어간다. 이 시점에서 클램프 동작이 종료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동핀(53)이 캠홈 43c로부터 이탈해서 이 캠 홈 43c에 의한 규제 지지가 해제되는 동시에, 탄성링(54)에 의해 종동핀(53)이 탄성지지되게 되고, 프레임 부재(8)에 대한 완충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도 19는 디스크 D를 반출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랙 주체(43)를 전진시킴으로써 종동핀(53)이 상기와는 반대의 공정을 찾아가고, 저위부 P1에 이르는 과정에서 클램프 해제핀(56)에 의해 디스크 D는 클램프 헤드(7)로부터 이탈하고, 장치 외부에의 반출이 가능해진다. 이때, 이상에서 설명한 동작형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0에 디스크 D를 클램프하는 공정을 나타내고, 도 21에 디스크 D의 클램프를 해제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나타낸다.
다음에, 디스크 지지암(17)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지지암(17)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 C는 도 9에 나타내는 기구 요소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지만, 그 동작은 랙 주체(43)의 전진 후퇴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도 22에서, 랙 주체(43)에 형성된 가이드 홈(43f)에 레버암(25)의 단부에 고정된 종동핀(25c)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홈(43f)에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동일 도면에 나타낸 상태는,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슬롯(3a)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전단이 디스크 지지암(17)의 선단의 홀더(18)의 수단부(18a)에 수습된 상태의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는, 록 레버(26)의 후단부(26d)가 기동핀(29)으로 눌러져 있기 때문에, 그 걸림 단(26c)이 제1, 제2 링크암(21·23)의 절결부(21c·23c)에 개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23은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더 밀어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디스크 지지암(17)이 후방으로 요동하고, 이 디스크 지지암(17)의 기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핀(17c)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링크암(21)이 견인되고,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 내부의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레버암(25)은 정지하고 있는 랙 주체(43)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링크암(23)은 정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링크암(21)은 제2 링크암(23)에 대하여 언록의 상태이고,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링크암(21)이 제2 링크암(23) 상에서 슬라이드해서 연장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시점으로부터,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으로 되어 있는 것에 호응해서 로딩 모터(30)가 약한 전력으로 구동되고, 반송기구 E가 구동을 시작한다.
도 24는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더 밀어 들어간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디스크 지지암(17)이 후방으로 요동하고, 이 디스크 지지암(17)의 기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핀(17c)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링크암(21)이 견인되고,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 내부의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다.
이 시점에서는, 이미 도 23의 상태로부터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으로 되어있는 것에 호응해서 반송기구 E가 구동을 시작하고 있으므로, 랙 주체(43)가 후퇴한 상태이다. 이 상태는, 랙 주체(43)의 후퇴에 따른, 그 가이드 홈(43f)에 의해 레버암(25)이 요동되고, 제2 링크암(23)이 제1 링크암(21)에 추종하도록 슬라이드해서 전진하기 때문에, 기동핀(29)에 의한 강압으로부터 해방된 록 레버(26)의 걸림 단(26c)은, 제1, 제2 링크암(21·23)의 절결부(21c·23c)에 개재함으로써, 제1, 제2 링크암(21·23)의 일체화가 록된 상태가 된다. 즉 디스크 D의 반입시에는, 제1, 제2 링크암(21·23)은, 일단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위(도 22의 상태로부터 도 23의 상태로)하고 나서,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도 23의 상태로부터 도 24의 상태에)로서 제1, 제2 링크암(21·23)이 록 상태가 된다.
도 25는 랙 주체(43)가 더 후퇴하기 때문에 디스크 지지암(17)이 후방에 요동해서 디스크 D를 반입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 상에 일치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이 시점까지는, 홀더(18)와 유인암(50)으로 디스크 D를 척킹해서 유지하고 있고, 디스크 지지암(17)과 유인암(50)은 동기해서 요동해 온다.
도 25로부터 도 26의 과정에서는, 레버암(25)의 종동핀(25c)은, 랙 주체(43)의 가이드 홈(43f)의 종홈 부분을 슬라이드할 뿐이므로, 디스크 지지암(17)은 정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종동핀(53)이 랙 주체(43)와 슬라이드 부재(51)에 형성된 캠홈에 안내됨으로써, 프레임 부재(8)의 승강 기구가 동작해서 도 26에 나타내는 시 점에서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진입한다. 그리고, 클램프 헤드(7)의 정상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부분이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접촉함으로써 코어 돌출이 행해진다.
이후,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더 침입해서 클램프할 때는, 디스크 D가 클램프 헤드(7)에 의해 상승한다. 이 상승동작시에는, 디스크 지지암(17) 및 유인암(50)에 의한 척킹은 방해된다. 만일 척킹을 행한 상태로 클램프 헤드(7)를 상승시키면, 디스크 D를 우산 모양으로 변형시키게 되고, 클램프 헤드(7)의 상승 동작에 부하가 걸린다. 그래서, 클램프 헤드(7)의 정상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부분에 의한 코어 돌출을 행한 후에는 디스크 D로부터 디스크 지지암(17) 및 유인암(50)을 조금 분리하고, 척킹을 해제시켜, 클램프 헤드(7)를 더 상승시키고, 척 돌기(7a)를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서로 맞물리게 한다.
도 27은 도 26의 시점으로부터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를 클램프한 후, 랙 주체(43)가 조금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에 따라 랙 주체(43)의 가이드 홈(43f)의 종횡의 종단부에서 레버암(25)이 조금 요동하고,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디스크 지지암(17)도 조금 요동하기 때문에, 홀더(18)에 의한 디스크 D의 척킹이 해제된다. 이 시점에 이르면, 유인암(50)도 동기해서 조금 요동하고, 디스크 D의 척킹을 해제한다. 또한 프레임 부재(8)의 승강 기구에서는, 종동핀(53)이 캠홈 43c 내에서 조금 강하하고, 디스크 D의 회전 구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클램프 동작이 종료한다.
이상은, 디스크 D의 반입시의 구동기구 C의 동작 형태이지만, 디스크 D의 반 출시는, 이것과 반대의 경로를 찾아 가 각부의 기구 요소는 역동작을 행한다. 즉 반송기구 E가 반대로 구동되고, 랙 주체(43)를 전진시켜 디스크 지지암(17)이 도 27의 상태로부터 도 24의 상태까지 전방에 요동하고, 도 28에 나타내는 상태로 록 레버(26)의 후단부(26d)가 기동핀(29)에 접촉한다. 그리고, 또한 랙 주체(43)가 전진하면, 상기 후단부(26d)가 기동핀(29)으로 눌러지는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 레버(26)의 걸림 단(26c)이 제1 링크암(21)과 제2 링크암(23)의 절결부(21c·23c)로부터 요동해서 이탈하고, 제1 링크암(21)과 제2 링크암(23)이 일체화된 록 상태가 해제되며, 이것과 동시에 인장 코일 스프링(22)의 치우친 힘이 작용해서 디스크 지지암(17)이 도 2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요동하고, 반출의 최종 과정의 최후의 일순간 디스크 D를 슬롯(3a)으로부터 팝 아웃해서 반출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 반입동작 개시시에는, 제1, 제2 링크암(21·23)은 록이 해제된 상태이고, 디스크 D가 삽입됨에 따라, 제1, 제2 링크암(21·23)은 일단은 연장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나서,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도 24의 상태에 이르러 록 레버(26)에 의해 록된다. 한편, 디스크 D의 반출동작 개시시에는, 제1, 제2 링크암(21·23)은 록된 상태이고, 따라서, 제1, 제2 링크암(21·23)은, 반입시와 같이 연장되는/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를 하지 않고, 도 28의 상태에 이르러 록 레버(26)에 의한 록이 해제된다. 이때, 디스크 D의 반출시에는, 거의 모든 반출 공정을 반출 기구 E로 구동제어하도록 했으므로, 반출 동작이 항상 일정하게 되고, 반출 종료시에 디스크 D가 베젤(3)의 슬롯(3a)으로부터 노출해서 정지한 상태가 항 상 일정하게 된다.
다음에, 랙 주체(43)에 의해 구동되는 유인암(50)의 구성 및 동작 형태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29는 유인암(50)을 구동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랙 주체(43)에 형성된 유도홈(43e)에 중합하는 위치의 베이스 패널(6)에 가이드 슬릿(6b)이 형성되고, 상기 유도홈(43e)과 가이드 슬릿(6b)에 레버암(44)의 선단에 고정한 종동핀(57)을 삽입했던 형태로 되어 있고, 전진 후퇴하는 유도홈(43e)에 대한 정위치에 있는 가이드 슬릿(6b)이 서로 작용하여 상기 종동핀(57)을 동작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유인암(50)은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능하게 지지핀 58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기단부에 레버암(44)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핀 59로 축지되어 있다. 유인암(50)의 선단에는 디스크 D의 유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유지홈 내부에 롤러(60)가 배치되어 있다. 유인암(50)은 이렇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암(44)의 동작에 따라 샤시 케이스(2) 내에서 요동하고,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반입가능해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유인암(50)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레버암(44)은,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인암(50)의 지지핀 59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관통 구멍 44a가 형성되어, 걸림 돌기(44b) 및 하면에 팽출시킨 걸림 볼록부(44c)의 형성된 슬라이드편(44A)과, 종동핀(57)이 고정되는 관통 구멍 44d가 형성되고, 측부에 슬릿(44e)이 형성된 가이드 홈(44f)을 구비하는 지지편(44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44B)의 가이드 홈(44f)의 저판부에는 관통 구멍 44g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홈(44f)으로 향하게 해서 절결부(44h)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슬라이드편(44A)의 걸림 돌기(44b)를 지지편(44B)의 절결부(44h)로부터 삽입하고, 슬라이드편(44A)을 전방에 조금 슬라이드시키면, 상기 걸림 돌기(44b)는 슬릿(44e)에서 걸어 놓아지고, 걸림 볼록부(44c)가 지지편(44B)의 관통 구멍 44g에 걸어 맞추어,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편(44A)과 지지편(44B)은 서로 신축 가능해 지지만, 걸림 볼록부(44c)와 관통 구멍 44g가 걸어 맞추어져 있는 상태에서 레버암의 기준장이 록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 32 내지 도 36은 상기 유인암(50)의 동작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랙 주체(43)의 캠 홈 43c로 도입되는 종동핀(53)의 동작 형태에 대응시켜 설명한다. 도 32는 디스크 D가 디스크 장치(1) 내에 조작자에 의해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다.
디스크 지지암(17)이 디스크 D의 반입 방향의 전단측에서 복귀됨으로써 후방에 요동하고, 디스크 지지암(17)에 연동하는 지지판(19)에 의해, 각도 위치 검출 스위치(28) 내부의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작동하고, 로딩 모터(30)가 약한 전력으로 구동되어, 구동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하기 직전의 상태에 있다. 따라서, 랙 주체(43)는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전단에 위치하고, 레버암(44)의 종동핀(57)은 유도홈(43e)의 후단 위치에 있다. 이후, 각도 위치 검출 스위치(28) 내부의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작동하면, 랙 주체(43)가 후퇴를 시작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하고나서 디스크 D를 디스크 장치(1)에 더 밀어 넣는 조작을 계속하면, 디스크 지지암(17)이 더 후방으로 요동하 고, 디스크 지지암(17)에 연동하는 지지판(19)도 회전 각도가 바뀌고,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 내부의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작동하고, 로딩 모터(30)가 강한 전력으로 구동된다. 그러면,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 주체(43)가 더 후퇴한다. 이때, 종동핀(57)은 유도홈(43e)의 후단의 경사면과 가이드 슬릿(6b)의 측벽에서 구호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랙 주체(43)의 후퇴에 따라 종동핀(57)도 후퇴하고, 레버암(44)이 견인됨으로써 유인암(50)이 요동해서 디스크 지지암(17)에 의해 디스크 D를 체킹한 상태가 되고, 디스크 D의 반입이 개시된다. 이때, 종동핀(53)은 캠 홈 43c의 저위부 P1의 수평부분을 이동하고 있어, 높이는 변화되지 않는다.
도 34는 랙 주체(43)가 더 후퇴하고, 종동핀(57)이 가이드 슬릿(6b)의 정상부에 이른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인암(50)의 요동에 의해 디스크 D의 반입이 계속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와 일치하는 위치에 달한 상태이며, 이때, 종동핀(53)은 캠 홈 43c의 경사부 P3의 업(up) 구배를 상승하기 시작한다.
도 35는 랙 주체(43)가 도 34의 위치로부터 조금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종동핀(57)이 유도홈 43e에 의해 가이드 슬릿(6b)의 정상부의 횡홈에 밀어 들어가는 상태로 있다. 유인암은 도 34에서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조금 후퇴하고, 디스크 D의 척킹을 해제한다. 이때, 종동핀(53)은 캠 홈 43c의 경사부 P3의 정상부에 도달하고,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고정된다.
도 36은 랙 주체(43)가 최종 위치까지 후퇴한 상태이고, 도 35 내지 도 36에 이르는 과정에서 종동핀(57)이 유도홈(43e) 전단의 장홈에 의해 가이드 슬릿(6b)의 정상부의 횡홈으로 더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유인암(50)은 디스크 D로부터 완전하게 이격된다. 이때, 종동핀(53)은 캠 홈 43c의 정상부에서 고위부 P2로 강하하고, 디스크 D의 회전 구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37은 로딩동작의 도중에 사용자가 디스크 D를 인출할 때의, 레버암(44)의 동작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디스크 D의 반입 과정, 즉 랙 주체(43)가 후퇴해서 유인암(50)에 의해 디스크 D가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반입되어 온 상태에서, 디스크 D가 반출 방향으로 방출되는 상황이 되고, 해당 디스크 D가 동일 도면 실선 위치에 이르면, 이에 따라 유인암(50)도 요동한다. 이때, 레버암(44)의 지지편(44B)은, 랙 주체(43)에 의한 견인이 계속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한편, 슬라이드편(44A)은 유인암(50)의 요동에 따라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상황은, 슬라이드편(44A)과 지지편(44B)이 서로 대향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38a에 나타내는 걸림 볼록부(44c)와 관통 구멍 44g와의 걸어맞춘 상태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게 되므로, 도 3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장에 록된 상기 걸어맞춘 상태가 해제되고, 슬라이드편(44A)이 화살표 X1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D의 인발조작에 의한 유인암(50)으로부터 레버암(44)에 발생하는 부의 방향의 힘은 슬라이드편(44A)의 슬라이드에 의해 흡수되고, 상기 유인암(50), 레버암(44) 및 이것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 다.
이와 같이 하여, 디스크 D의 인발조작에 따르는 파손이 방지되면, 후술한 에러검출동작에 의해 구동기구를 그 시점에서 역전하고, 디스크 D의 반송을 반출 방향으로 반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레버암(44)의 슬라이드편(44A)은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상태의 위치로부터 신장하고 있는 상태에 있지만, 도 32의 초기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슬라이드편(44A)에 지지편(44B)이 눌러지고, 레버암(44)은 정상 상태에서의 기준장에 록된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서, 레버암(44)의 걸림 볼록부(44c)와 관통 구멍 44g의 걸어맞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부하의 크기에 대응시킨 걸어맞춤 해제의 타이밍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편(44A)과 지지편(44B)을 박판 모양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냈지만, 정상상태에서의 레버암(44)의 기준장을 록 상태로 할 수 있고, 신축이 가능해지도록 한 구성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램프 안전기구]
도 39, 도 40, 도 41, 도 42 및 도 43은 디스크 장치(1)에서의 클램프 동작의 안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주요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스토퍼(72)는 베이스 패널(6) 상에서, 축(72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판 스프링(83)은, 스토퍼(72)의 설편(72b)(작동수단)을 항상 디스크 배출 방향으로 가압하는 방향에 걸려들게 되어 있다.
개구부(73)의 근처에는 베이스 패널(6)을 잘라 세운 지주(84)가 설치된다.
도 39, 도 40 및 도 41은 각각 디스크 D가 정상적으로 클램프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약도이다.
도 39에서, 랙 주체(43)의 종단이 스토퍼(72)에 근접하는 타이밍에서, 디스크 D의 주연이 스토퍼(72)의 설편(72b)을 누른다. 그러면, 스토퍼(72)는 축(72a)을 중심으로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스토퍼(72)의 선단(72c)은 아직 랙 주체(43)와는 접촉하지 않고 있다.
이때, 스토퍼(72)를 누르고 있는 판 스프링(83)은, 지주(84)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 즉, 스토퍼(72)는 판 스프링(83)의 전체 길이에 의해 약한 치우친 힘이 걸려져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스토퍼(72)는 디스크 D가 유인암(50)에 의해 인입될 때의, 디스크 D의 주연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회동된다.
도 40에서, 스토퍼(72)의 선단(72c)은 랙 주체(43)의 제1 경사부(43h)에 접촉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스토퍼(72)는 랙 주체(43)의 후퇴 이동에 따라 시계회전방향으로 더 회동하고, 결과적으로 랙 주체(43)에 대한 제한이 해제된다.
이후, 랙 주체(43)가 이동함에 따라 스토퍼(72)의 선단(72c)은 랙 주체(43)의 제1 장변부(43i)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리고, 스토퍼(72)를 누르고 있는 판 스프링(83)은, 지주(84)에 접촉한다. 그러면, 그것까지 스토퍼(72)는 판 스프링(83)에 의해 약한 치우친 힘이 걸려져 있었던 상태로부터, 판 스프링(83)의 치우친 힘을 제공하는 범위가 지주(84)로 좁아지게 됨으로서, 큰 치우친 힘이 제공되는 상태로 변한다. 그러면, 스토퍼(72)의 설편(72b)은, 디스크 D가 유인암(50)에 의해 인입될 때의, 디스크 D의 주연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대하여 움직이기 어려워지므로, 스토퍼(72)의 설편(72b)은 디스크 D의 주연부로부터 미치게 되는 압력에 저항해서 디스크 D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때의 스토퍼(72)의 설편(72b)의 위치는,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와 일치하는 위치이다. 즉, 이때의 스토퍼(72)의 설편(72b)은 클램프 동작시에 디스크 D의 위치가 벗어나는 현상을 막고, 확실한 클램프 동작을 행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랙 주체(43)의 제1 장변부(43i)는 그 길이가 클램프 동작의 도중 과정 바로 그것으로, 그 위치가 스토퍼(72)의 설편(72b)을 클램프 동작의 가이드 부재로서 도움이 되게 하기 위한 규제 위치이다.
도 41에서, 클램프 동작이 완료하기 직전이 되면, 스토퍼(72)의 선단(72c)은 랙 주체(43)의 제1 장변부(43i)를 넘어 제2 경사부(43j)를 경유해서 제2 장변부(43k)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스토퍼(72)는 시계회전방향으로 더 회동한다. 그러면, 스토퍼(72)의 설편(72b)은 디스크 D의 주연으로부터 조금 이격되어, 디스크 D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가 된다.
즉, 클램프 동작이 완료하면 스토퍼(72)의 설편(72b)의 가이드로서의 역할은 끝나므로, 스토퍼(72)의 설편(72b)을 디스크 D로부터 이격되어 올릴 필요가 있고, 이 동작은 랙 주체(43)의 제2 장변부(43k)에 의한 규제 위치에 의해 실현된다.
도 42 및 도 43은 각각 디스크 D를 로딩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디스크 D를 도중에 인출하려고 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약도이다.
도 42에서, 랙 주체(43)의 종단이 스토퍼(72)에 근접하는 타이밍으로, 사용자가 디스크 D를 인출하려고 하고 있으므로, 디스크 D의 주연은 스토퍼(72)의 설편(72b)을 누르지 않는다.
도 43에서, 랙 주체(43)의 종단이 스토퍼(72)의 선단(72c)에 접촉한다. 스토퍼(72)는 랙 주체(43)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위치하고 있고, 랙 주체(43)의 이동이 진행되어 스토퍼(72)에 접촉하면, 랙 주체(43)는 그 이상의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랙 주체(43)에는 클램프 동작을 주관하는 캠 홈 43c 및 캠 홈 43d가 설치되어 있고, 스토퍼(72)가 랙 주체(43)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종동핀(53)은 캠홈 43c 및 캠 홈 43d의 경사부 P3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랙 주체(43)에 의한 클램프 동작은 금지된다.
도 44는 도 4의 좌측 위 부분을 확대하고, 주요부만을 나타낸 도면이다.
랙 주체(43)는 그 일단이 위치 U1로부터 위치 U2의 사이에 이동한다.
위치 U1은 랙 주체(43)가 디스크 장치(1)의 베젤(3)이 있는 방향(전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고, 디스크 D가 클램프되어 않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의 검출편(80a)은 랙 주체(43)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는 오프 상태이다. 마찬가지로,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인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의 검출편(81a)은 랙 주체(43)의 일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도 오프 상태이다.
위치 U2는 랙 주체(43)가 디스크 장치(1)의 베젤(3)이 있는 방향의 반대 방 향(후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고, 디스크 D가 클램프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의 검출편(80a)은 랙 주체(43)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어,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는 온 상태이다. 마찬가지로,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의 검출편(81a)은 랙 주체(43)의 일단에 의해 밀리고 있어,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도 온 상태이다.
즉,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온이 됨으로써 로딩 모터(30)가 오프가 되고, 디스크 D를 인입해서 클램프하는 로딩동작은 종료한다.
또한,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가 오프가 됨으로써 로딩 모터(30)가 오프가 되고, 디스크 D의 클램프를 해제해서 토출하는 이젝트 동작은 종료한다.
도 45는 도 2의 디스크 장치(1)의 베이스 패널(6)을 중심으로서 주요부를 발췌한 평면도이다. 도 2와 달리, 몇개인가의 부품의 기입이 생략되어 있다.
캐리어 블록(13)의, 가이드 샤프트(15)에 가까운 개소에는 최외주 위치검출 스위치(75)가 설치되고, 캐리어 블록(13)이 최외주 위치에 이르면, 캐리어 블록(13)에 접촉해서 오프가 된다.
도 46은 디스크 장치(1) 중, 디스크 지지암(17)과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7은 디스크 장치(1)의 상태와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를 겸한 개략도이다.
도 48 내지도 51은 도 47에서, 지지판(19)과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디스크 지지암(17)에는 연동해서 회동하는 지지판(19)이 설치된다.
지지판(19)의 주연 부분은, 그 양단이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과, 그 동안에 반경방향으로 함몰되어 있는 부분으로 되는 캠을 구성하고 있다.
지지판(19)의 가까이는 지지판(19)에 의해 작동되는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가 설치된다.
지지판(19)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의 조작편(28c)을 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지지판(19)이 회동하면, 조작편(28c)은 지지판(19)의 각도위치에 따라,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의 본체에 대하여, 좌측/중앙/우측으로 각도위치가 변화된다.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는 2개의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다.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는 내장하는 스프링에 의해 조작편(28c)이 중앙위치에서 안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조작편(28c)이 한쪽에 기울어지면 한쪽의 스위치가, 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이미 한쪽의 스위치가 각각 배타적으로 오프가 되고, 중앙 위치에서는 2개의 스위치가 양쪽 모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52는 슬롯 방식의 디스크 장치(1)의, 제어수단을 중심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수단인 마이크로 컴퓨터(70)는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ROM, RAM, CPU, 버스 등을 갖는 주지의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70)의 버스에는, 이젝트 스위치(4)와, 스레드 모터(16)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와, 모터 드라이버(71)와,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와, 데이터 처리부(76)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 (81)가 접속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70)에는 이것 이외에도 여러가지 구성요소가 접속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직접 관계되지 않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접속관계 및/또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젝트 스위치(4)는 베젤(3)의 슬롯(3a)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주지의 푸시버튼식 스위치이다.
또한 베젤(3)에는 관통 구멍(3b, 3c)이 설치되어 있고, 관통 구멍(3b, 3c)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이젝트 핀을 삽입함으로써, 전술한 이머전시 이젝트 기구에 의해 랙 주체(43)가 구동되고, 수동으로 디스크 D의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이젝트 핀은 종래의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이머전시 이젝트 기구로 사용되는, 주지의 철사형인 것이다.
스레드 모터(16)는 리드 스크류(79)를 구동하고, 광 픽업(12)이 탑재되어 있는 캐리어 블록(13)을 디스크 D의 직경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것임과 동시에, 후술하는 이젝트 준비 상태로 이행할 때는 캐리어 블록(13)을 스핀들 모터(11)의 구동축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이동시킨다.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는 프레임 부재(8) 내부에 설치되고,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방향으로 이동해서 메카 스톱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캐리어 블록(13)에 밀려 오프가 된다.
이때, 이것 이후, 이 메카 스톱 위치를 디스크 최외주 위치라 칭한다.
모터 드라이버(71)는 로딩 모터(3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파워 트랜지스터를 중심으로 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모터 드라이버(71)에 대하여 2단계의 전력제어를 행한다. 이 전력제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데이터 처리부(76)는 신호처리회로(77)를 경유해서 광 픽업(12)으로부터 판독되는 정보를, ATA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 장치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위 장치로부터 오는 각종 명령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70)에 동작 지령을 행한다.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는 전술한대로, 로딩 모터(30)에 의해 구동되는 랙 주체(43)가 이젝트 동작을 종료한 위치에서 이격된다. 즉, 랙 주체(43)가 이젝트 동작의 종료 시점까지 이른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이다.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는 전술한대로, 로딩 모터(30)에 의해 구동되는 랙 주체(43)가 클램프 동작을 종료한 위치에서 눌러진다. 즉, 랙 주체(43)가 로딩동작의 종료 시점까지 이른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이다.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에는 전술한대로,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와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의 2개의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다.
이젝트 스위치(4)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와,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 및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와,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는 각각 저항R1, R2, R3, R4, R5, R6을 통해 전원전압에서 풀업되어 있고, 온 상태로 0V가 된다.
[로딩 제어]
이것으로부터 로딩 제어의 동작에 관계되는 기능을 설명한다.
도 53은 디스크 장치(1)에 디스크 D를 삽입해서 로딩동작을 행할 때의,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 및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와의 논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시점 t0은 디스크 D를 슬롯(3a)에 삽입하기 전의 상태이고, 시점 t1은 디스크 D를 슬롯(3a)에 삽입한 후, 디스크 D의 주연이 디스크 지지암(17)에 접촉한 상태이다.
시점 t0으로부터 시점 t1까지는, 도 47의 「배출 위치 」와 도 48의 상태가 해당한다.
사용자가 디스크 장치(1)에 디스크 D를 밀어 넣고, 디스크 D가 홀더(18)에 접촉한 것 뿐인 위치이다. 이것은 디스크 장치(1)로부터 디스크 D를 배출하고, 디스크 지지암(17)이 흔들려 끊겨 배출 동작이 완료했을 때의 위치이다.
조작편(28c)은 지지판(19)의 제1 돌출 부분과 접촉하고 있고, 도 48에서는 아래쪽에 흔들리고 있다.
이 시점에서는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오프이고,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는 온이다.
시점 t1로부터 시점 t2의 직전까지는, 도 48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디스크 장치(1)에 디스크 D를 더 밀어 넣음으로써, 디스크 지지암(17)이 회동하고 있지만, 조작편(28c)은 지지판(19)의 제1 돌출 부분과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을 계속하고 있다.
이 시점까지는 각 스위치의 논리는 시점 t1의 상태로부터 변화되지 않는다.
시점 t2는 디스크 D가 디스크 지지암(17)을 밀어 넣고,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이 된 상태이고, 도 47의 「구동개시위치 」와 도 49가 해당한다.
도 48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디스크 장치(1)에 디스크 D를 더 밀어 넣고, 디스크 D가 홀더(18)를 통해 디스크 지지암(17)을 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지지판(19)이 회동하고, 조작편(28c)은 지지판(19)의 함몰 부분에 이른다.
지지판(19)의 함몰 부분은 조작편(28c)과 조금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판(19)과 조작편(28c)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49에서는, 조작편(28c)은 중앙방향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 시점에서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한다.
이때,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오프이며,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는 온인 상태이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이 된 것에 호응하고, 모터 드라이버(71)에 펄스형의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즉, PWM 제어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듀티비 10%의 펄스로 PWM 제어를 행한다. 이 결과, 모터 드라이버(71)로부터는 전원전력이 약 10%정도까지 제한된 상태의 전력이 로딩 모터(30)에 공급된다.
그러면, 로딩 모터(30)는 약한 전력으로 회전을 비롯하여, 랙 주체(43)를 구동하고, 이것에 호응해서 유인암(50)이 구동된다. 이윽고, 유인암(50) 선단의 롤러(60)는 디스크 D의 외측 가장자리에 접촉한다. 그러나, 마이크로 컴퓨터(70)에 의한 PWM 제어에 의해, 로딩 모터(30)에 공급되는 전력은 약하고, 디스크 D를 로딩 방향 혹은 그 반대의 이젝트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만의 구동력은 생길 수 없다.
즉, 이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손에 의한 디스크 D를 디스크 장치(1)로 밀어 넣는 힘으로 인입동작이 행해지고 있다. 그리고, 유인암(50) 선단의 롤러(60)가 디스크 D의 외측 가장자리에 접촉하면서, 디스크 D는 사용자의 손의 힘에 의해 디스크 장치(1)의 로딩 방향으로 몰입되어 간다.
이 시점에서는, 로딩 모터(30)를 풀 파워 구동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유인암(50) 선단의 롤러(60)로부터 디스크 D의 주연에 접촉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발생하는 힘의 방향이, 디스크 장치(1)의 로딩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반대로 디스크 D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윽고, 랙 주체(43)가 이동함으로써, 시점 t3에서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도 온이 된다. 단, 로딩동작에는 직접 관계되지 않는다.
시점 t4는 디스크 D가 디스크 지지암(17)을 밀어 넣고,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오프가 된 상태이고, 도 47의 「중간위치 」와 도 50이 해당한다.
도 49의 상태로부터 지지판(19)이 더 회동하고, 조작편(28c)은 지지판(19)의 함몰 부분으로부터 제2 돌출 부분에 접촉한다.
조작편(28c)은 지지판(19)의 제2 돌출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도 50에서는 중앙 방향으로부터 조금 위쪽으로 흔들리고 있다.
이때, 디스크 D는 그 과반 부분이 디스크 장치(1) 내부에 이르고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오프가 된 것에 호응하고, 모터 드라이버(71)에 직류의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모터 드라이버(71)로부터는 전원전력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의 전력이 로딩 모터(30)에 공급된다. 그러면, 로딩 모터(30)는 강한 전력으로 회전을 비롯하여, 랙 주체(43)를 더 구동하고, 이것에 호응해서 유인암(50)이 구동된다. 이 시점에서 이미 유인암(50)선단의 롤러(60)는 디스크 D의 외측 가장자리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디스크 D를 로딩 방향으로 구동한다.
시점 t5에 이르기 직전에서, 디스크 D의 주연은 스토퍼(72)의 설편(72b)을 밀어 들어간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랙 주체(43)의 클램프 동작에의 이행이 기계적으로 허가된다.
시점 t5는 디스크 D의 중심이 스핀들 모터(11)에 설치되는 클램프 헤드(7)와 일치하고, 클램프 동작이 시작되는 상태이고, 도 50의 상태로부터 지지판(19)이 더 회동한 상태이다.
이 상태는,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에는 아무런 논리적 변화는 없다.
시점 t5로부터 클램프 동작이 진행되면, 랙 주체(43)는 시점 t6에서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를 온으로 한다. 도 47의 「로드 위치 」와 도 51이 해당한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온이 된 것에 호응하여, 모터 드라이버(71)에 대하여 전원공급을 금지하기 위해 제어한다. 그러면, 로딩 모터(30)는 회전을 정지하고, 로딩동작은 종료한다. 즉, 클램프 동작이 완료한다.
도 54는 마이크로 컴퓨터(70)에서 행해지는, 디스크 로딩 동작의 플로우차트이다. 이 동작에 관한 프로그램은, 마이크로 컴퓨터(70) 내부에 있는, 도시하지 않은 ROM에 저장되어 있다.
스텝 S100에서 디스크 로딩 동작 프로그램이 시작한다. 그러면, 스텝 S101에서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이 된 것인지 아닌지를 본다.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이 될 때까지는 폴링하고 있다.
사용자의 손에 의해 디스크 D가 디스크 장치(1)에 삽입되고, 디스크 D의 주연이 디스크 지지암(17) 선단의 홀더(18)에 접촉하고, 디스크 D를 더 밀어 넣으면,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이 된다.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가 온이 되면, 스텝 S102에서 5초간을 계측하는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기동한다.
다음에, 스텝 S103에서 로딩 모터(30)를 10%의 PWM 구동으로 구동한다. 로딩 모터(30)는 이 약한 전력으로 회전 구동되고, 랙 주체(43)가 구동되며, 유인암(50)이 구동을 시작한다. 이윽고, 사용자의 손에 의한 디스크 D의 삽입 속도에 대하여 유인암(50)이 추종하고, 유인암(50) 선단의 롤러(60)가 디스크 D의 후단에 접촉한다. 단, 로딩 모터(30)에 제공되는 전력이 약하므로, 유인암(50)은 디스크 D를 밀어 넣을 정도의 구동력을 갖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 S104에서 5초 타이머의 값을 보고, 타이머 기동, 즉 디스크 D가 구동개시위치에 이른 시점으로부터 5초를 경과한 것인지 아닌지를 본다. 스텝 S104에서 5초가 경과하지 않았으면, 다음에 스텝 S105에서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오프가 된 것인지 아닌지를 본다.
사용자의 손에 의한 디스크 D의 삽입 조작에 의해, 스텝 S101의 시점으로부터 디스크 D가 더 밀려 들어가면, 이윽고 디스크 지지암(17)은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를 오프로 하는 각도위치까지 도달한다. 스텝 S105에서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오프가 될 때까지는, 스텝 S104로 되돌아와 5초 타이머를 감시한다. 만약 5초를 경과하고 있으면, 조작자의 손에 의한 수동로딩동작이 너무 늦었거나, 혹은 조작자가 디스크를 도중에 인출하거나 수동로딩동작을 중단했는지 등의 요인이 생각된다. 그래서, 스텝 S106에서 디스크 D를 배출하는 에러 처리를 행하고, 종료한다.
스텝 S105에서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오프가 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107에서 1.5초를 계측하는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기동한다. 이때, 스텝 S102일 때에는 수동로딩조작이므로 5초의 여유를 보고 있지만, 이 스텝 S107에서는 로딩기구에 의한 자동로딩조작이므로, 1.5초만의 여유를 보고 있다.
다음에, 스텝 S108에서 로딩 모터(30)를 100%의 전력으로 풀 파워 구동을 한다. 로딩 모터(30)는 이 강한 전력으로 회전구동되고, 랙 주체(43)가 구동되며, 유인암(50)이 강한 구동력을 따라 구동을 계속한다. 이에 따라 유인암(50)은 디스크 D의 후단을 강한 힘으로 밀어 들어간다.
다음에, 스텝 S109에서 1.5초 타이머의 값을 보고, 타이머 기동, 즉 디스크 D가 중간위치에 이른 시점으로부터 1.5초를 경과한 것인지 아닌지를 본다. 스텝 S109에서 1.5초가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 다음에 스텝 S110에서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온이 된 것인지 아닌지를 본다.
유인암(50)에 의해 디스크 D가 밀어 넣어져,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면, 이윽고 디스크 D의 주연은 스토퍼(72)의 설편(72b)을 밀어 넣고, 랙 주체(43)의 클램프 동작으로의 이행이 기계적으로 허가된다. 그러면, 로딩동작이 진행됨으로써 디스크 D의 클램프 동작이 밀려 없게 행해지고, 랙 주체(43)의 선단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를 온으로 하는 위치까지 도달한다. 스텝 S110에서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온이 될 때까지는, 스텝 S109로 되돌아와 1.5초 타이머를 감시한다. 만일 조작자가 디스크를 도중에 인출하거나 했는지 등으로, 스토퍼(72)가 해제되지 않은 채 랙 주체(43)가 진행되고, 랙 주체(43)가 스토퍼(72)에 부딪히는 도 43의 상태가 되면, 1.5초를 경과해 버린다. 그래서, 스텝 S111에서 로딩 모터(30)를 역회전시켜, 디스크 D를 배출하는 에러 처리를 행하고, 종료한다.
스텝 S110에서 1.5초 동안에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온이 된 것을 검출하면, 스텝 S112에서 로딩 모터(30)를 오프 제어하고, 스텝 S113에서 로딩동작을 종료한다.
[이젝트 제어]
이것으로부터 이젝트 제어의 동작에 관계되는 기능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컴퓨터(70) 내부의 도시하지 않은 ROM에는 이젝트 제어처리기능과 이젝트 준비가 필요한 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필요 이젝트 준비」 판단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70)에는, 상위 장치로부터 ATAPI 인터페이스를 통해 오는 여러가지 명령이 데이터 처리부(76)를 경유해서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장치(1)에서,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어 있는 디스크 D를 이젝트 하기 위해서는,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클램프를 해제해야만 한다.
클램프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스핀들 모터(11)의 상하 동작의 방해되지 않도록, 클램프 해제 동작에 앞서 미리 캐리어 블록(13)을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디스크 D의 이젝트 동작을 행할 때는, 우선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로 검출한다.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의 검출 결과에 의해,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안 경우에는, 캐리어 블록(13)을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해 스레드 모터(16)를 제어한다.
스레드 모터(16)를 제어해서 캐리어 블록(13)을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이동시키면서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의 검출 결과를 계속해서 감시하고, 이윽고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의 검출 결과에 의해 판단되면, 이것을 받아 로딩 모터(30)를 구동하기 위해 모터 드라이버(71)를 제어한다.
디스크 장치(1)는 상위 장치인 주지의 PC에 삽입되는 것을 상정해서 만들어 져 있다.
PC는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전원이 온/오프되는 것으로, 따라서 디스크 장치(1)는 PC의 전원공급이 끊어지는 계기를 파악할 수 없다.
상기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 장치(1)는 전원의 공급이 끊어질 때에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캐리어 블록(13)이 스핀들 모터(11)의 상하 동작의 방해가 되고, 이머전시 이젝트 기구를 동작시킬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장치(1)가 상위 장치로부터 곧 액세스를 요구되는 가능성이 낮아졌을 경우나, 상위 장치로부터 명시적으로 대기 상태로의 이행이 요구된 경우에, 캐리어 블록(13)을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이동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즉, 디스크 장치(1)를,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D는 배출하지 않지만,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서, 디스크 D의 배출을 바로 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것 이후, 이 상태를 이젝트 준비 상태라 칭한다.
마찬가지로, 디스크 D의 중심 구멍Da가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지 않고 있는 상태를 디스크 배출 상태라 칭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Da가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어 있는 동시에,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없고, 디스크 D의 배출이 바로 할 수 없는 상태를 디스크 재생 상태라 칭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장치(1)는 디스크 재생 상태로부터 디스크 D를 이젝트 하기 위해서는, 일단 이젝트 준비 상태를 경유하고, 디스크 배출 상태로 이행한다.
도 55는 본 발명에 관한 마이크로 컴퓨터(70)의 제어동작을 기재하는 플로우차트이고, 도 56은 도 55의 제어동작과 평행해서 동작한다, 디스크 장치(1)의 상태를 체크하는 동작을 적은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도 55의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200에서 시작하는 제어동작은, 스텝 S201에서, 우선 디스크 D가 로딩기구에 의해 디스크 장치(1) 내부에 인도되어,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 로딩동작의 완료시에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랙 주체(43)에 의해 밀리는 것에 호응하여, 마이크로 컴퓨터(70)는 디스크 D가 로드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고 있다. 디스크 D가 로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크가 로드될 때까지 확인을 계속한다.
스텝 S201에서 디스크 D가 로드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2에서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가 업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 이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를 업하는 처리는 도 56과 함께 후술한다.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가 업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가 업될 때까지 확인을 계속한다.
스텝 S202에서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가 업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3에서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있는 것인지 아닌지가,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를 통해 검증된다. 만일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 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안 경우에는, 스텝 S204에서 캐리어 블록(13)을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시크시키기 위해, 스레드 모터(16)를 구동하고, 리드 스크류(79)를 회전 구동시킨다.
리드 스크류(79)의 회전구동제어는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이르는 것을 최외주 위치 검출 스위치(75)에 의해 검출할 때까지 계속된다.
스텝 S203에서 캐리어 블록(13)이 디스크 최외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5에서 「이젝트 명령」 플래그가 업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 만일 「이젝트 명령」 플래그가 업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06에서 이젝트 동작이 행해지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2로 되돌아와,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가 업될 때까지 확인을 계속한다.
도 55의 플로우차트에서, 스텝 S202 및 스텝 S205의 판정 결과가 허위(No)였을 경우, 스텝 S202의 처음으로 돌아가는 것 외에, 스텝 S201의 처음으로 돌아가는 처리로서도 된다.
이때,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 및 「이젝트 명령」 플래그는, 디스크 D의 이젝트 동작이 완료하면 내려간다. 또한 디스크 D가 장착되어 있고, 또한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가 오르고 있는 상태라도, 상위 장치로부터 디스크 장치(1)에 재생명령이 오면, 캐리어 블록(13)은 디스크 내주측으로 이동되고,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는 내려간다.
이하, 도 56의 「필요 이젝트 준비」 판단동작을 설명한다.
스텝 S207에서 판단 루틴이 개시되면, 스텝 S208에서 이젝트 버튼이 눌렸는 지, 즉 이젝트 스위치(4)가 온이 된 것인가 아닌지가 검증된다.
이젝트 스위치(4)가 온이 되면, 스텝 S210에서 이젝트 명령 플래그를 상승시킨다.
스텝 S208에서 이젝트 스위치(4)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9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이젝트 명령이 오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
이젝트 명령이 오고 있으면, 스텝 S210에서 이젝트 명령 플래그를 상승시킨다.
스텝 S209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이젝트 명령이 오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1에서 타임아웃으로 되어 있는 것인지 아닌지가 검증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지는 도시하지 않은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가동시키고 있고, 상위 장치로부터 오는 커맨드가 데이터 처리부(76)를 통해 받아들여지고, 커맨드가 올 때마다 소프트웨어 타이머를 제로(0) 클리어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타이머는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8분간을 계측하고, 8분을 지나치면 타임아웃 상태로 이행한다.
스텝 S211에서, 최후에 상위 장치로부터 온 명령으로부터 8분이 경과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13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슬리브 커맨드가 왔는지, 즉 대기 상태로의 이행이 명령된 것인지 아닌지를 검증한다.
스텝 S211에서, 최후에 상위 장치로부터 온 명령으로부터 8분이 경과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후술한 스텝 S212로 이행한다.
스텝 S213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슬리브 커맨드가 오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14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셧다운 명령이 온 것인지 아닌지를 검증한다.
스텝 S213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슬리브 커맨드가 오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후술한 스텝 S212로 이행한다.
만일, 상위 장치가 셧다운 상태로 되었다면, 그것으로부터 잠깐동안 디스크 장치(1)로의 전원공급은 끊어지므로, 이젝트 준비 상태로 이행할 필요가 있다.
스텝 S214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셧다운 명령이 오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스텝 S215에서 상위 장치의 전원이 외부전원으로부터 내장 전원, 즉 AC 전원으로부터 DC 전원으로 바뀐 것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명령이 온 것인지 아닌지를 검증한다.
만일, 상위 장치가 예를 들면 노트북이고, 전원공급수단이 AC 어댑터로부터 DC 배터리로 전환되었을 때는, 예를 들면 정전 등에 의한 긴급사태가 발생한 가능성이 생각된다.
마찬가지로, 데스크 톱 컴퓨터나 서버 머신에 있어서, 정전에 구비해서 UPS(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 UPS)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도, 정전시에 UPS로부터 발생하는 제어신호를 받아 동일한 처치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
이때, 스텝 S214 및 S215는 표준적인 ATAPI의 규격에는 존재하지 않는, 흔히 벤더유닉이라 할 수 있는, 소위 메이커 독자의 커맨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장치(1)는 납입처에 따라, 제조 완료후 출시 직전시 에 마이크로 컴퓨터(70) 내의 도시하지 않은 플래시 메모리나 점퍼 스위치 등을 조작함으로써, 스텝 S214 및 스텝 S215를 유효하게 하거나 무효로 하거나 할 수 있다.
스텝 S214에서 상위 장치로부터 셧다운 명령이 왔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후술의 스텝 S212로 이행한다.
스텝 S211, S213, S214 및 S215의 판단 결과가 참(Y)인 경우와, 스텝 S210의 처리 후에는, 스텝 S212에서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를 상승시킨다.
스텝 S208로부터 시작되어 스텝 S213 혹은 S214 혹은 S215를 경유해도 이때 판단 결과가 허위(N)인 경우에는, 스텝 S216에서 전술한 이젝트 명령 플래그 및 「필요 이젝트 준비」 플래그를 상승시키지 않고 이 서브루틴을 종료한다.
스텝 S207로부터 시작되어 스텝 S216에서 끝나는 서브루틴은, 짧은 사이클로 반복하여 실행된다.
이상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장치(1)는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
(a) 디스크 D의 삽입 후, 디스크 D가 중간위치에 이른 것을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가 검출하면, 유인암(50)은 디스크 D를 강한 힘으로 클램프가 가능한 위치까지 인입한다.
(b)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면, 디스크 D의 주연이 스토퍼(72)를 밀어 넣고, 랙 주체(43)에 대하여 클램프 동작으로의 이행이 기계적으로 허가된다.
(c) 디스크 D의 로딩동작이 정상적으로 종료한 것을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인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가 검출하면, 로딩 모터(30)는 정지한다.
(d) 상기 동작에서,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에서 디스크 D가 중간위치에 이른 것을 검출하고 나서 1.5초간을 경과해도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에 의한 로딩동작의 종료를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스토퍼(72)의 동작에 의해 랙 주체(43)의 클램프 동작으로의 이행이 허가되지 않는 등의 요인에 의해, 클램프 동작이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고, 로딩 모터(30)를 역회전시켜, 디스크 D의 이젝트 동작을 행한다.
(실시예 2)
도 5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8은 디스크 장치(1’)를 이면에서 본 일부 확대도이다.
도 57은 도 2와 거의 동일하지만, 디스크 장치(1’)의 내측에 디스크 장치(1)의 스토퍼(72), 판 스프링(83) 등 대신에, 포토 인터럽터(86)(작동수단)가 설치된다.
포토 인터럽터(86)는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주지의 반사형 광센서이고,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서 디스크 D의 외주 부분에 숨겨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의 부근까지 다가오면, 포토 다이오드의 빛은 디스크 D의 외주부의 기록면에서 반사하고, 반사광은 포토 트랜지스터에 조사되고, 포토 트랜지스터가 온 동작함으로써, 디스크 D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디스크 장치(1’)의 케이스(2)의 이면의, 포토 인터럽터(86)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디스크 D의 비삽착시에 케이스(2)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한 오류 검출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광반사 방지막이 부착되어 있다. 광반사 방지막은 광택 소거 처치된 블랙 혹은 녹색 등의, 포토 다이오드의 빛을 거의 반사하지 않는 색과 표면처리가 시행되어 있다.
도 58은 도 44와 거의 동일하지만, 랙 주체(43)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위치로서,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와의 사이에, 인입종료 검출수단인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가 설치된다.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는 랙 주체(43)의 이동 동작에 의해 유인암(50)이 디스크 D를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게 했을 때에 온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클램프 동작되는 과정에서는, 포토 인터럽터(86)의 온 동작 후에 온 동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가 온이 되었을 때에 포토 인터럽터(86)가 온이면, 디스크 D는 정상적으로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고 있는 것이라 판단할 수 있고, 반대로 포토 인터럽터(86)가 오프이면, 디스크 D는 정상적으로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포토 인터럽터(86) 및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도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 컴퓨터(70)(금지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마이크로 컴퓨터(70)는 로딩동작 및 이젝트 동작의 제어를 주관한다.
도 59는 디스크 장치(1’)에 디스크 D를 삽입하고, 로딩동작을 행할 때의, 각도위치 검출 스위치(28)에 내장되어 있는 구동개시위치 검출 스위치(28a) 및 중간위치 검출 스위치(28b)와, 이젝트 종료 검출 스위치(80)와, 로딩종료 검출 스위치(81)와, 포토 인터럽터(86)와,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의 논리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9는 도 53과 거의 동일하지만, 포토 인터럽터(86)와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의 논리상태가 추가되어 있다.
도 59에서, 시점 t4에서 로딩 모터(30)는 강한 전력으로 회전을 비롯하여, 디스크 D를 로딩 방향으로 구동하는 동작까지는 제1 실시예와 같다.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의 부근까지 이르면, 시점 t7에서 포토 인터럽터(86)가 디스크 D를 검출해서 온이 된다.
이윽고 시점 t5에서,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가 랙 주체(43)의 이동에 의해 온이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70)는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가 온이 되었을 때에 포토 인터럽터(86)가 온이면, 디스크 D는 정상적으로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고 있는 것이라 판단하고, 로딩 모터(30)의 회전 제어를 계속한다.
만일 반대로 클램프 위치 검출 스위치(87)가 온이 되었을 때에 포토 인터럽터(86)가 오프이면, 디스크 D는 정상적으로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바로, 로딩 모터(30)의 회전 방향을 반전 제어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예가 생각된다. 이하, 열거하는:
(1) 스텝 S106 및 S111에서의 에러 검출시의 이젝트 동작은,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 레버암(44)의 복귀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동작이 완료하지 않는 동안에 디스크를 다시 삽입되면, 디스크의 기록면의 손해, 또는 디스크 장치(1)의 기구 부분의 치명적 파손에 연결될 가능성이 있어서 좋지 않다. 그래서, 에러 검출시의 이젝트 동작의 기간은, 베젤(3)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터(5)를 점멸시키기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70)에서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2) 스토퍼(72)의 위치도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에 디스크 D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 장치(1)의 내측에서, 또한 디스크 D의 외주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에 변경가능하다. 요컨대,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있을 때에 한하여, 랙 주체(43)에 대하여 클램프 동작으로의 이행이 허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3) 포토 인터럽터(86)도 마찬가지로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고, 디스크 D가 클램프 가능한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 있어서, 디스크 D의 중심으로부터 디스크 장치(1)의 내측에서, 또한 디스크 D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이면, 적의 변경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국면 내지 제9 국면에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의 로딩동작의 도중에 사용자가 디스크를 인출해도, 잘못된 클램프 동작은 금지되므로, 디스크의 기록면을 손상시키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딩동작에 타이머에 의한 에러 검출의 기구를 설치하고, 로딩동작이 규정시간 내에 완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클램프 동작을 금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이젝트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종래와 비교해서 디스크 장치 및 디스크의 피손의 가능성을 저하할 수 있다.

Claims (16)

  1.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탑재하는 클램프 동작이 가능한 위치까지 디스크를 인입하는 인입동작과, 상기 인입동작 후 디스크에 상기 클램프 동작을 행하는 로딩기구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해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에 의해 구동되는 작동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클램프 동작을 금지하고,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했을 때에는, 상기 작동수단이 구동된 것에 따라,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클램프 동작을 허가하는 금지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했을 때의 디스크 중심으로부터 내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는 디스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수단은 스토퍼이고,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스토퍼에 설치되는 디스크 접촉 부재로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디스크 접촉 부재가 상기 디스크의 외주부에 접촉해서 구동된 것에 따라, 상기 로딩기구에 대한 상기 클램프 동작의 금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접촉부는 상기 인입동작 후, 상기 클램프 동작시에 상기 디스크를 위치결정하는 디스크 위치결정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로서,
    상기 금지수단은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와,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한 상태를 검출하는 인입종료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인입종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 한 것을 검출하고,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에 의해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를 검출한 것을 수신하며, 상기 로딩기구에 대하여 상기 클램프 동작을 허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는 반사형 포토 인터럽터로서, 상기 디스크가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에 위치하지 않을 때에 상기 반사형 포토 인터럽터에 의해 오류 검출을 방지하기 위한 광반사방지막이, 디스크 장치의 케이스 이면의 상기 반사형 포토 인터럽터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는 디스크 장치.
  7.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디스크가 클램프 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디스크가 클램프 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디스크가 클램프 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했을 때, 상기 디스크가 클램프 위치에 이르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클램프 동작을 완료한 상태를 검출하는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도 상기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프 동작의 완료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클램프 동작을 완료한 상태를 검출하는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도 상기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프 동작의 완료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클램프 동작을 완료한 상태 를 검출하는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도 상기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프 동작의 완료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구에 설치되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클램프 동작을 완료한 상태를 검출하는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을 갖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로딩기구에 의한 상기 인입동작의 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해도 상기 클램프 완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클램프 동작의 완료 상태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종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 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에 의해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를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종료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로딩기구가 상기 인입동작을 종료 한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디스크 외주부 검출기에 의해 상기 클램프 가능위치까지 인입된 디스크의 외주부를 검출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로딩기구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KR1020040109418A 2003-12-25 2004-12-21 디스크 장치 KR100691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30134A JP4155191B2 (ja) 2003-12-25 2003-12-25 ディスク装置
JPJP-P-2003-00430134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43A KR20050065343A (ko) 2005-06-29
KR100691637B1 true KR100691637B1 (ko) 2007-03-09

Family

ID=3469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9418A KR100691637B1 (ko) 2003-12-25 2004-12-21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33392B2 (ko)
JP (1) JP4155191B2 (ko)
KR (1) KR100691637B1 (ko)
CN (1) CN1637901A (ko)
TW (1) TWI257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5238A (ja) * 2004-03-30 2005-10-13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装置
JP4368764B2 (ja) * 2004-08-25 2009-11-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2008084358A (ja) * 2006-09-25 2008-04-10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搬送方法
JP2009277297A (ja) 2008-05-15 2009-11-26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5541880B2 (ja) * 2009-05-07 2014-07-09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排出制御方法
US20110246138A1 (en) * 2010-04-01 2011-10-06 Yi-Jen Chung Hardware status detecting circuit for generating one hardware status detecting signal having information of multiple hardware status detectors, related hardware status identifying circuit, related hardware status detec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062A (ja) 1986-06-27 1988-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円盤再生装置
KR950010274B1 (ko) * 1993-08-23 1995-09-12 대우전자주식회사 미니디스크 클램핑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9990025951U (ko) * 1997-12-19 1999-07-15 윤종용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래이 로딩/언로딩 장치
JP2000306309A (ja) 1999-04-21 2000-11-0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9567A (ja) 1986-03-28 1987-10-08 Sanyo Electric Co Ltd デイスクプレイヤ
JPH01227258A (ja) 1988-03-05 1989-09-11 Pioneer Electron Corp オー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JPH0634285B2 (ja) 1989-06-20 1994-05-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ローディング―クランプ機構
JPH03280264A (ja) 1990-03-29 1991-12-11 Canon Inc 情報記録再生装置
JP3556094B2 (ja) * 1998-06-17 2004-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0163624A (ja) 1998-11-27 2000-06-16 Omron Corp 紙葉類識別装置
JP3647809B2 (ja) * 1999-06-22 2005-05-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685047B2 (ja) 1999-12-03 2005-08-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装着装置
JP4621372B2 (ja) * 2000-09-26 2011-01-26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JP3743276B2 (ja) 2000-10-11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6839898B2 (en) * 2001-04-27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JP3816010B2 (ja) * 2002-01-30 2006-08-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7134127B2 (en) * 2002-11-28 2006-11-07 Sanyo Electric Co., Ltd. Disk player
JP3752689B2 (ja) * 2003-03-25 2006-03-08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レイ駆動機構
EP1482496B1 (en) * 2003-05-30 2006-03-08 ORION ELECTRIC CO., Ltd. Disc device with disc chang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062A (ja) 1986-06-27 1988-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円盤再生装置
KR950010274B1 (ko) * 1993-08-23 1995-09-12 대우전자주식회사 미니디스크 클램핑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9990025951U (ko) * 1997-12-19 1999-07-15 윤종용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트래이 로딩/언로딩 장치
JP2000306309A (ja) 1999-04-21 2000-11-02 Hitachi Ltd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343A (ko) 2005-06-29
TW200521977A (en) 2005-07-01
CN1637901A (zh) 2005-07-13
JP4155191B2 (ja) 2008-09-24
US7533392B2 (en) 2009-05-12
US20050144629A1 (en) 2005-06-30
JP2005190553A (ja) 2005-07-14
TWI257609B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638B1 (ko) 디스크 장치
US4866693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1465179B1 (en) Disc apparatus
US7814508B2 (en) Disk device including a lifting frame for disk handling
JP3685047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KR100691641B1 (ko) 디스크장치
US20050249101A1 (en) Disc loading apparatus
KR100691637B1 (ko) 디스크 장치
JP4964665B2 (ja) ディスク装置
US7937718B2 (en) Disc device with shutter to block insertion of a disk
KR100383132B1 (ko) 디스크 장치
JP4052246B2 (ja) 交換型ディスク再生装置
US7197753B2 (en) Recording medium drive device
EP2221820B1 (en) Disc apparatus
US20050094503A1 (en) Recording medium eject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7299480B2 (en) Loading disc optical detection apparatus
JP4478663B2 (ja) ディスク装置
JP4152633B2 (ja) ディスク装置のカートリッジ位置決め機構
JP3948467B2 (ja) ディスク装置
JP4087123B2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機構
JP4528744B2 (ja) ディスク装置
JP2531641Y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取出し位置記憶装置
JPH06111447A (ja) ローディング装置
JPH11185338A (ja) ディスク装置
JPH11339349A (ja) ディスク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