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641B1 - 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641B1
KR100691641B1 KR1020050011141A KR20050011141A KR100691641B1 KR 100691641 B1 KR100691641 B1 KR 100691641B1 KR 1020050011141 A KR1020050011141 A KR 1020050011141A KR 20050011141 A KR20050011141 A KR 20050011141A KR 100691641 B1 KR100691641 B1 KR 10069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support arm
recording medium
shaped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1799A (ko
Inventor
신이치 후지사와
타쿠 사토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483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1369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06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6939B2/ja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1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71Brassieres with interchangeable or detachable cup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8Brassieres with size and configuration adjustment means

Abstract

12㎝ 디스크 전용의 슬롯 방식 디스크장치에서, 8㎝ 디스크의 장치 내부로의 진입을 저지하여 장치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한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12㎝ 디스크 D의 반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8㎝ 디스크 Ds를 삽입구 3a로부터 제1안내부(27)를 따라 삽입한 때에 8㎝ 디스크 Ds가 통과하는 제1영역과, 8㎝ 디스크 Ds를 삽입구 3a로부터 제2안내부(29)를 따라 삽입한 때에 8㎝ 디스크 Ds가 통과하는 제2영역의 2개의 영역이 중복하는 범위 내에 디스크 접촉부(33)가 위치하도록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배치함으로써, 8㎝ 디스크 Ds가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12㎝ 디스크 D의 반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8㎝ 디스크 Ds가 삽입되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홀더(18)에 의해 장치 내부로의 진입을 저지할 수 없을 경우에, 8㎝ 디스크 Ds 전방 주연부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부착한 스토퍼(19)의 접촉부 19a와 접촉함으로써, 8㎝ 디스크 Ds의 장치 내부로의 진입을 저지한다.
슬롯방식, 디스크 지지 아암, 2종 디스크 드라이브, 삽입 오류, 개별 안내수단

Description

디스크장치{DISK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디스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디스크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기구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디스크 지지 아암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디스크 지지 아암의 동작의 제1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디스크 지지 아암의 동작의 제2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디스크 지지 아암의 동작의 제3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디스크 지지 아암의 동작의 제4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디스크 지지 아암의 동작의 제5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디스크 지지 아암의 동작의 제6공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디스크 지지 아암의 배출시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오토 로딩 시작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디스크 접촉부의 기능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디스크 접촉부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디스크 접촉부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종래의 디스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디스크 지지 아암의 홀더와 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1의 디스크장치에서, 8㎝ 디스크가 삽입될 경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1의 디스크장치에서, 8㎝ 디스크가 장치의 우측 단부 근처에 삽입될 경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1의 디스크장치에서, 스토퍼를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8㎝ 디스크가 삽입될 경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4는 도 1의 디스크장치에서, 12㎝ 디스크가 삽입되어 디스크의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디스크장치 2 : 샤시 케이스
3 : 베젤 4 : 푸시버튼
5 : 인디케이터 6 : 베이스 패널
7 : 클램프 헤드 8 : 프레임부재
9 : 완충 지지구조 10 : 턴테이블
11 : 스핀들 모터 12 : 광 픽업
13 : 캐리어 블록 14ㆍ15 : 안내 샤프트
16 : 스레드 모터 17 : 디스크 지지 아암
18 : 홀더 19 : 스토퍼
20 : 레버 아암 21 : 유인 아암
23 : 고정부 27ㆍ29 : 안내부재
30 : 로딩 모터 32 : 로딩 슬라이더
33 : 디스크 접촉부 56ㆍ57 : 종동 핀
A : 기록/재생부 B : 헤드 유닛
C : 로딩기구 C1ㆍC2 : 아암 구동기구
C3 : 프레임부재 구동기구 D : 직경 12㎝ 디스크
Ds : 직경 8㎝ 디스크
본 발명은 각종 컴퓨터 시스템 등의 정보기기에서, 대량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매체로서의 광 디스크(예를 들어, CD-R/RW, DVD-R/-RW/RAM/+R/+RW 등)를 드라 이브하는 디스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경이 상이한 디스크의 삽입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스널 컴퓨터(이하, "PC"라고 함) 등에 내장되어 있는 디스크장치는, 보통, 디스크를 장전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고, 이 디스크 트레이가 전진, 후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에 장전된 디스크는 디스크장치의 본체 내에서 드라이브되어,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소위 슬롯 방식의 디스크장치도 많이 채용되는 경향에 있고, PC의 박형화, 소형화에 적합한 것으로 되고 있다. 이 슬롯 방식의 디스크장치는 장치 본체로의 디스크의 로드(반입)/언로드(반출)에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가 디스크의 절반 이상을 슬롯(삽입구)에 삽입하면, 그 다음에 장치 본체의 로딩기구가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로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은 종래의 슬롯 방식의 디스크장치에서의 로딩기구의 구성 및 동작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동 도면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디스크 D를 조작자가 삽입하면, 디스크 D는 제1요동체(100)의 선단의 핀 100a 및 좌우의 안내체 101ㆍ102, 그리고 중간에서부터 제2요동체(103)의 선단의 핀 103a에 의해 높이방향과 좌우위치가 제한되면서 도 17에 도시한 위치까지 도달한다.
이 때, 제1요동체(100)는 디스크 D에 의해 선단의 핀 100a가 밀려서 화살표 100A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2요동체(103)도 디스크 D에 의해 선단의 핀103a가 밀려서 화살표 103A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104)가 제2요동체 (103)의 단부에 의해 밀려서 화살표 104A 방향으로 회전하고, 검출 스위치(105)를 작동한다.
상기 검출 스위치(105)가 작동하면 구동수단(106)의 동작이 시작하고, 제1슬라이드부재(107)의 화살표 107A 방향으로의 이동이 시작된다. 이 제1슬라이드부재(107)와 제2슬라이드부재(108)는, 각 선단이 슬라이드 연결부재(109)로 연결되고, 이 슬라이드 연결부재(109)가 핀(110)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제1슬라이드부재(107)의 후퇴에 동기하여 제2슬라이드부재(108)가 화살표 108A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슬라이드부재(107)가 후퇴를 시작하면, 이 슬라이드부재(107)에 한쪽 지지상태로 지지되어 있는 제1요동체(100)는 제1슬라이드부재(107)의 캠 홈 107a에서 종동 핀 100b가 안내되는 것으로부터, 지점 100c를 중심으로 화살표 100B 방향으로 요동체(100)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요동체(100)의 선단의 핀 100a가 디스크 D를 디스크 위치 결정부재(111)의 핀 111aㆍ11lb와 접촉할 때까지 화살표 107A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때, 제2요동체(103)의 핀 103a는 화살표 103A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2요동체(103)의 핀 103a는 제1요동체(100)의 선단의 핀 100a와 동기하여 디스크 D를 지지한 상태로 화살표 103A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디스크 D가 디스크 위치 결정부재(111)의 핀 111aㆍ11lb에 접촉한 후에는, 디스크 D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상은 장치 내부에 디스크 D를 반입할 경우의 로딩기구의 동작 형태이지만, 디스크 D를 장치 외부에 반출할 경우의 로딩기구는 전술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 형태가 된다. 즉, 디스크 D가 장치 내부에서 정위치에 있을 때, 언로드의 지시에 의거하여 구동수단(106)이 역회전 방향으로 시동되면, 제1슬라이드부재(107)가 화살표 107B 방향으로 전진을 시작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연결부재(109)에 연결되어 있는 제2슬라이드부재(108)가 동기하여 화살표 108B 방향으로 후퇴를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1요동체(100)는 화살표 100A 방향으로, 그리고, 제2요동체(103)는 화살표 103B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각각의 선단의 핀 100aㆍ103a에 의해 디스크가 지지되어 장치 외부에 반출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장치에서, 장치 내부에 반입된 디스크 D는 정위치에서 상하 동작하는 클램프 헤드(112)에 의해 클램프되도록 하고 있다. 이 클램프 헤드(112)는 스핀들 모터(114)의 구동축에 고정된 턴테이블(113)과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핀들 모터(114)는 프레임부재(115)에 배설되고, 이 프레임부재(115)를 승강 기구에 의해 상하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117604호 공보
이와 같이 구성된 디스크장치는 직경 12㎝의 디스크를 디스크장치 내부에 정확하게 로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디스크장치 내부에 디스크를 로딩하는 로딩기구는 12㎝ 디스크를 대상으로 삼은 것이며,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요동체(100)의 선단의 핀 100a 및 좌우의 안내체 101ㆍ102, 그리고 제2요동체(103)의 선단의 핀 103a는 12㎝ 디스크의 높이방향과 좌우위치를 제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 위치 결정부재(111)의 핀 111aㆍ11lb도 12㎝ 디스크를 위치 결정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슬롯 방식의 디스크장치에서는, 직경 12㎝의 디스크만을 이용 대상으로 하고 있고, 그 이외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이용 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다.
그러나, CD나 DVD 등의 디스크에는, 직경이 12㎝로 규격화된 12㎝ 디스크 이외에 직경이 8㎝로 규격화된 8㎝ 디스크(작은 직경 디스크)가 존재한다. 8㎝ 디스크는 특히, 비디오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채용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조작자의 부주의 등에 의해 예를 들어, 직경 8㎝의 작은 직경 디스크가 삽입구로부터 잘못 삽입되면, 경우에 따라서는, 작은 직경 디스크가 디스크장치의 로딩기구의 기구 부분에 끼이거나, 각 기구 부분이 파손되거나 할 수가 있다. 또한, 작은 직경 디스크 전체가 삽입구로부터 디스크장치 내부 측에 들어가 버려서, 조작자에 의해 작은 직경 디스크를 꺼내는 것이 불가능해져 버릴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슬롯 방식의 디스크장치에서는, 규정된 크기와 상이한 디스크의 삽입 오류가 디스크장치를 고장나게 하는 원인으로 된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자에 의해 직경 치수가 작은 디스크가 삽입구로부터 잘못 삽입되는 것 같은 일이 있어도, 이 디스크가 디스크장치 내부에 수납되어 꺼내기 불가능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서술하는 각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한 쪽을 안내하는 제1안내부와,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다른 쪽을 안내하는 제2안내부와,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디스크 접촉부를 구비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지지하여 요동함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디스크 지지 아암과, 디스크 지지 아암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를 구비하며 이루어지고, 직경이 치수 dA로 규격화된 제1디스크형 기록매체와, 직경이 치수 dA보다 작은 치수 dB(dB<dA)로 규격화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상이한 두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중에서, 상기 디스크 지지 아암을 요동시켜서 제1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로딩/언로딩하도록 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삽입구로부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구의 어느 장소로부터 삽입된 경우라도,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전체가 삽입구로부터 장치 내에 삽입되기 전에, 디스크 접촉부가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와 접촉하도록 디스크 지지 아암을 배치하고,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디스크 접촉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제1안내부와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삽입방향 후단부가 삽입구와 일치할 때 까지 삽입하였을 때에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통과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 규정 하고, 상기 디스크 접촉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제2안내부와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삽입방향 후단부가 삽입구와 일치할 때까지 삽입하였을 때에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통과하는 영역을 제2영역으로 규정하였을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중복하는 범위 내에 디스크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디스크 지지 아암을 배치한 상태에서 삽입구로부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아암을 구동함에 의해 규정된 외경의 디스크를 반입 또는 반출하도록 한 디스크장치로서, 상기 지지 아암이 디스크의 반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규정된 외경보다 작은 직경의 디스크가 지지 아암에 의해 지지 가능한 범위 외부에 삽입되는 것을 제지하도록 한 디스크 진입 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이다.
또한, 상기 디스크 진입 저지수단은 작은 직경의 디스크의 진입방향에서의 전방 주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스토퍼이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 아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 아암에 부착된 스토퍼는 탄성을 갖고 있고, 작은 직경의 디스크 전방 주연부가 상기 스토퍼의 접촉부를 누렀을 때, 그 누름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은 직경의 디스크가 반출방향으로 복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규정된 외경의 디스크의 반입을 완료하고, 상기 디스크의 지지 아암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 아암에 부착된 스토퍼의 접촉부가 장치 내부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 아암에 대한 방진기능이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부터 도 16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19부터 도 24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때, 각 실시예에 공통되는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착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한 슬롯 방식의 디스크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실드 상태로 구성된 샤시 케이스(2)의 상부판의 중앙에 개구 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개구 2a의 개구 주변부에 내부로 돌출한 볼록부 2b가 형성되어 있다. 샤시 케이스(2)의 전단에는 베젤(3)이 고정되어 있고, 이 베젤(3)에는 규정된 외경 치수(구체적으로는 직경 12㎝)를 갖는 디스크 D(제1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 3a와, 장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디스크 D의 외부로의 반출을 지시하기 위한 푸시버튼(4)과, 디스크장치(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5)를 구비한다.
도 2는 디스크장치(1)의 샤시 케이스(2)의 상부판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그 사시도이다. 샤시 케이스(2) 내에는 베이스 패널(6)이 배설되어 있고, 그 중앙으로부터 비스듬한 전방으로의 배치 상태에서, 디스크 D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 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록/ 재생부 A는 디스크 D의 중심구멍 Da를 클램프하는 클램프 헤드(7)가 고정된 프레임부재(8)가 이미 알려진 완충 지지구조(9)에 의해 복수의 장소(본 실시예에서는 3군데)에서 베이스 패널(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부재(8)는 클램프 헤드(7)에 의해 디스크 D를 클램프 또는 클램프 해제하기 위하여, 삽입구 3a 측을 회동축으로 하여 장치 후방 측이 상하 동작 가능한 한쪽 지지된 지지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클램프 헤드(7)는 턴테이블(10)과 일체로 구성되고, 바로 아래에 배치한 스핀들 모터(11)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핀들 모터(11)에 의해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되어 턴테이블(10) 상에 지지되어 있는 디스크 D를 회전 구동하여 드라이브하여, 정보의 기록/재생이 행해진다.
다음으로, 부호 B는 프레임부재(8)에 지지된 헤드 유닛이며, 디스크 D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시키는 광 픽업(12)이, 그 양단을 프레임부재(8)에 고정시킨 안내 샤프트(도시 생략)에 지지되어, 스레드(thread) 모터(16)및 기어 열(도시 생략)에 의해 왕복 운동하게 된다.
부호 17은 직경 12㎝의 디스크 D의 삽입방향 전단 측을 지지하여 장치 내부에 안내함과 동시에 장치 외부로 밀어내는 동작을 주관하는 디스크 지지 아암이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요동 지점이 되는 단부는 베이스 패널(6)에 형성된 슬릿 6a를 거쳐서 베이스 패널(6)의 이면 측으로 연장하고,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고정된 회전지지 핀(20)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슬릿 6a의 범위 내에서 요동한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는, 직경 12㎝의 디스크 D(제1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된 때에는 디스크 D의 삽입방향 전단과 접촉하여 디스크 D를 지지하고, 직경 8㎝의 디스크 Ds(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된 때에는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전단과 접촉하여 디스크 Ds가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스크 접촉부(33)가 고정되어 있다.
부호 21은 직경 12㎝의 디스크 D의 삽입방향 후단 측을 지지하여 장치 내부에 밀어 넣음과 동시에 장치 외부로 안내하는 동작을 주관하는 유인 아암이다. 유인 아암(21)은, 일단을 샤시 케이스(2)에 고정된 회전지지 핀(22)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타단에 디스크 D와 접촉하는 디스크 지지부 21a를 구비하고 있다.
부호 27은 삽입구 3a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 D의 좌측면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제1안내부)이며, 부호 29는 삽입구 3a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 D의 우측면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제2안내부)이다. 삽입구 3a로부터 삽입된 디스크 D는 좌우의 측면이 안내부재 27, 29에 의해 안내되면서, 디스크 지지 아암(17) 및 유인 아암(21)에 지지되어 반송되는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디스크 지지 아암(17)및 유인 아암(21)을 요동시킴과 동시에, 프레임부재(8)를 상하 동작시키는 로딩기구 C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로딩기구 C가 구성되어 있는 평면상태를 베이스 패널(6)을 제거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로딩기구 C는, 구동수단으로서의 로딩 모터(30)와, 도시하지 않은 기어 열을 통해 로딩 모터(30)에 접속되어 있고, 로딩 모터(30)의 구동력에 의해 X1-X2 방향으로 이 동하는 로딩 슬라이더(32)와, 로딩 슬라이더(32)에 접속된 아암 구동기구 C1ㆍC2 및 프레임 부재 구동기구 C3로 이루어진다. 아암 구동기구 C1은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요동시키고, 아암 구동기구 C2는 유인 아암(21)을 요동시키며, 프레임 부재 구동기구 C3은 프레임부재(8)를 상하 동작시킨다.
아암 구동기구 C1은, 대략, 로딩 슬라이더(32)의 상면에 형성된 유도 홈 32a, 레버 아암(37), 제1링크 아암(38), 제2링크 아암(39), 로크 레버(40)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아암 구동기구 C1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직접 구동하는 제1링크 아암(38)은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회전지지 핀 17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2링크 아암(39)에는 슬릿 39aㆍ39b가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 39aㆍ39b로부터 리벳 핀(42)이 삽통되어, 리벳 핀(42)의 선단이 제1링크 아암(38)에 고정됨으로써, 제1링크 아암(38)과 제2링크 아암(39)의 조립체는 슬릿 39aㆍ39b의 범위 내에서 신축 가능하게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 제1링크 아암(38)과 제2링크 아암(39)에는 로크 레버(40)의 걸림 단부 40a가 작용하는 절결부 38aㆍ39c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 44는 인장 코일 스프링이며, 일단이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걸리고, 타단이 제1링크 아암(38)에 걸려 있다. 이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제1링크 아암(38)은 A1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레버 아암(37)은, 지지가 되는 구멍 37a가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 고정된 회전지지 핀 37b(도 6 참조)에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단에는 회전지지 핀 37c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회전지지 핀 37d가 고정되어 있다. 회전지지 핀 37c는 로딩 슬라이더(32)의 유도 홈 32a에 끼워넣고 있고, 회전지지 핀 37d는 제2링크 아암(39)의 구멍 39d 및 로크 레버(40)의 구멍 40b에 삽통된다.
그리고, 제2링크 아암(39)과 로크 레버(40)와의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이 배치되고, 그 일단 45a가 제2링크 아암(39)의 오목부 39e에 걸리고, 타단 45b가 로크 레버(40)의 오목부 40c에 걸린다. 이에 따라, 로크 레버(40)의 걸림 단부 40a는 제1링크 아암(38)의 절결부 8a와, 제2링크 아암(39)의 절결부 39c에 계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때, 베이스 패널(6)의 이면에는, 제1링크 아암(38)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47)(도 6 참조), 그리고, 제2링크 아암(39)이 소정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로크 레버(40)의 후단부 40d를 누름 구동하기 위한 기동 핀(48)(도 6 참조)이 배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아암 구동기구 C1 및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구동하기 위한 아암 구동기구 C1은 도 5에 도시한 기구요소가 조립되어 구성되는 것이지만, 그 동작은 로딩 슬라이더(32)의 전진 후퇴에 수반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6에서, 로딩 슬라이더(32)에 형성된 유도 홈 32a에 의해 레버 아암(37)의 단부에 고정된 종동 핀 37c가 장착되고, 상기 유도 홈 32a에 의해 안내되도록 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한 상태는, 조작자가 디스크 D를 베젤(3)의 삽입구 3a로부터 삽입하고, 그 전단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설치된 디스크 접촉부(33)와 접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시점에서는, 로딩 모터(30)는 정지하고 있고, 로딩 슬라이더(32)는 X2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 정 지하고 있다. 로크 레버(40)의 후단부 40d가 기동 핀(48)으로 눌러져 있는 것으로부터, 그 걸림 단부 40a가 제1, 제2링크 아암(38)ㆍ39의 절결부 38aㆍ39c로부터 떨어져 있고, 제1링크 아암(38)은 제2링크 아암(39)에 대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로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링크 아암(38)은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제2링크 아암(39)에 대하여 A1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있고, 제1링크 아암(38)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X2 방향으로 요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더욱 밀어 넣은 상태를 단계적으로 도시하는 것으로, 디스크 접촉부(33)가 디스크 D에 밀림으로써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장치 후방으로 요동하고, 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기저 단부에 회전지지 핀 17a로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 아암(38)이 견인된다. 이 때, 레버 아암(37)은 정지하고 있는 로딩 슬라이더(3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제2링크 아암(39)은 정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1링크 아암(38)이 제2링크 아암(39)에 대하여 A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제1, 제2링크 아암 38ㆍ39의 조립체가 늘어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7의 상태에 도달한 시점에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의해 리미트 스위치(47)가 작동된다.
도 8은 상기에 의해 작동된 리미트 스위치(4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로딩기구 C의 로딩 모터(30)가 동작을 시작하고, 로딩 슬라이더(32)가 X1 방향으로 후퇴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로딩 슬라이더(32)의 유도 홈 32a에 의해 레버 아암(37)이 요동되어, 제2링크 아암(39)이 제1링크 아암(38)을 추종하도록 A2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전진함에 의해, 제1, 제2링크 아암 38ㆍ39의 조립체는 줄어든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동 핀(48)에 의한 누름으로부터 개방된 로크 레버(40)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걸림 단부 40a가 제1, 제2 링크 아암 38ㆍ39의 절결부 38aㆍ39c 내에 침입한다. 이에 따라, 제1, 제2링크 아암 38ㆍ39는 일체로 로크(lock)된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7로부터 도 8의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아암 구동기구 C2가 동작하여 유인 아암(21)이 동작을 시작하고,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접촉부(33)와, 유인 아암(21)의 디스크 지지부 21a와, 디스크 D를 유지한다.
도 9는 로딩 슬라이더(32)가 X1 방향으로 더욱 후퇴하여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후방으로 요동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 상에 일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이 시점까지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디스크 접촉부(33)와 유인 아암(21)의 디스크 지지부 21a에서 디스크 D를 유지하고 있고, 디스크 지지 아암(17)과 유인 아암(21)은 동기하여 요동한다. 그리고, 도 9로부터 도 10에 이르는 과정에서, 후술하는 프레임 부재 구동기구 C3이 동작하여 클램프 헤드(7)가 상승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를 클램프한다.
도 11은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를 클램프한 후, 로딩 슬라이더(32)가 약간 X1 방향으로 후퇴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로딩 슬라이더(32)의 안내홈 32a의 종단부에서 레버 아암(37)이 약간 요동하고, 동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약간 요동하기 위하여 광 디스크 D의 유지가 해제된다. 여기서, 이 때에 유인 아암(21)도 디스크 D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요 동하므로, 이에 따라 턴테이블(10)에 의한 디스크 D의 드라이브가 가능해진다.
이상은 디스크 D의 반입시에 있어서의 아암 구동기구 C1 및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동작 형태이지만, 디스크 D의 반출시에는, 이것과 반대의 경로를 천천히 진행하여 각부의 구성요소는 반대의 동작을 행한다. 즉, 로딩기구 C의 로딩 모터(30)가 반대로 구동되고, 로딩 슬라이더(32)를 X2 방향으로 전진함에 의해,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도 11의 상태로부터 도 8의 상태까지 전방으로 요동하고, 그 후 도 12에 도시한 상태에 이르러 로크 레버(40)의 후단부 40d가 기동 핀(48)에 접촉한다. 그리고, 로딩 슬라이더(32)가 더욱 전진하면, 상기 후단부 40d가 기동 핀(48)으로 눌러지고, 이에 따라 도 12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로크 레버(40)가 요동하여 걸림 단부 40a가 제1링크 아암(38)과 제2링크 아암(39)의 절결부 38aㆍ39c로부터 이탈하고, 제1링크 아암(38)과 제2링크 아암(39)이 일체화된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것과 동시에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가압력이 작용하여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도 6에 도시한 위치까지 요동하고, 반출 과정의 최후의 일순간에 디스크 D를 삽입구 3a로부터 팝업하여 반출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디스크 반입 동작 개시시에는, 제1, 제2링크 아암 38ㆍ39는 로크 아암(40)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 상태이며, 디스크 D가 삽입됨에 따라, 제1, 제2 링크 아암 38ㆍ39의 조립체는 일단은 늘어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나서,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하며, 도 8의 상태에 도달하여 로크 레버(40)에 의해 로크된다. 한편, 디스크 D의 반출 동작 개시시에는, 제1, 제2링크 아암 38ㆍ39는 로크 레버(40)에 의해 로크되어 일체화된 상태이며, 이에 따라, 제1, 제2링크 아암 38ㆍ39는 반입시 와 같이 늘어나기 때문에 줄어드는 방향으로 변위를 하지 않고, 도 12의 상태에 이르러 로크 레버(40)에 의한 로크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 D의 반출시에는, 거의 모든 반출 공정에서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가압력을 사용하지 않고, 로딩기구 C에서 구동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반출 동작이 항상 일정하게 되고, 반출 종료시에 디스크 D가 베젤(3)의 삽입구 3a로부터 노출하여 정지한 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아암 구동기구 C2의 구성 및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아암 구동기구 C2는, 로딩 슬라이더(32)의 상면에 형성된 유도 홈 32b와, 유도 홈 32b에 중합하는 위치의 베이스 패널(6)에 형성된 안내 슬릿 6b와, 일단이 유인 아암(21)의 중간 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 아암(50)과, 레버 아암(50)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고, 유도 홈 32b와 안내 슬릿 6b의 쌍방에 감합하는 종동 핀(5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딩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하여 로딩 슬라이더(32)가 X1-X2 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도 홈 32b 및 안내 슬릿 6b에 의해 안내되어 종동 핀(52)이 이동함으로써 레버 아암(50)이 변위하여 유인 아암(21)을 요동시킨다.
다음으로, 프레임 부재 구동기구 C3의 구성 및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프레임 부재 구동기구 C3은, 로딩 슬라이더(32)의 상면에 형성된 유도 홈 32c와, 로딩 슬라이더(32)의 측면에 형성된 캠 홈(도시 생략)과, 측면에 캠 홈(도시 생략)을 갖는 슬라이드부재(54)와, 프레임부재(8)에 고정되어 있는 로딩 슬라이더(32) 및 슬라이드부재(54)의 측면에 형성된 캠 홈에 안내되는 종동 핀 56ㆍ57과, V자의 각진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베이스 패널(6)에 지지되어 있 고, 일단이 유도 홈 32c에 끼워 넣어지고, 타단이 슬라이드부재(54)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부재(59)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딩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하여 로딩 슬라이더(32)가 X1-X2 방향으로 이동할 때, 링크부재(59)가 유도 홈 32c에 의해 구동되고 회동하여 슬라이드부재(54)를 슬라이드시킨다. 그리고, 이 때에 로딩 슬라이더(32) 및 슬라이드부재(54)의 캠 홈이 종동 핀 56ㆍ57을 안내함에 의해 프레임부재(8)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다음으로, 디스크장치(1)에 직경 12㎝의 디스크 D를 로딩할 경우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크 D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삽입 대기상태인 디스크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이 때의 디스크 지지 아암(17) 및 아암 구동기구 C2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때, 제1링크 아암(38)이 제2링크 아암(39)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음으로써,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로딩 슬라이더(32)의 동작과 무관하게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도면 중의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압되고, 슬릿 6a의 X2 방향 측단부 6c와 접촉하여 대기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또한, 유인 아암(21)은 도면 중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 대기하고 있고, 프레임부재(8)는 강하한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삽입구 3a로부터 삽입하면, 디스크 D의 삽입방향 전단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디스크 접촉부(33)와 접촉한다.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더욱 밀어 넣으면, 디스크 접촉부(33)가 디스크 D에 눌러짐으로써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요동하고, 도 7 및 도 13에 도시한 오토 로딩 시작위치에 도달한다. 이 상태에 이르면, 리미 트 스위치(47)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의해 작동된다.
리미트 스위치(47)가 작동하게 되면, 로딩 모터(30)가 구동되어 로딩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한다. 그러면, 로딩 슬라이더(32)가 X1 방향으로 이동하고, 아암 구동기구 C1이 동작하여 제1링크 아암(38)과 제2링크 아암(39)이 로크 레버(40)의 움직임에 의해 일체화되고, 또한, 아암 구동기구 C2가 동작하여 유인 아암(21)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하여,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설치된 디스크 접촉부(33)와, 유인 아암(21)의 선단에 설치된 디스크 지지부 21a로 디스크 D를 척킹(chucking)한다. 그리고, 다시 아암 구동기구 C1ㆍC2가 동작함에 의해, 디스크 지지 아암(17) 및 유인 아암(21)이 요동하여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 상에 일치하는 위치까지 디스크 D를 로딩 방향으로 반송한다. 여기서, 이 시점까지는, 디스크 지지 아암(17)과 유인 아암(21)은 동기하여 요동하고, 디스크 접촉부(33)와 디스크 지지부 21a로 디스크 D를 척킹하여 유지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후, 로딩 슬라이더(32)가 X1 방향으로 더욱 이동함에 의해 프레임부재 구동기구 C3이 동작하여 프레임부재(8)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프레임부재(8) 상에 배치된 클램프 헤드(7)의 척 손톱형상부 7a가, 디스크 D의 중앙의 개구 단부를 샤시 케이스(2)의 볼록부 2b에 눌러 갖다대면서,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의 테두리를 넘어가서, 디스크 D를 턴테이블(10) 상에 걸리게 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D가 턴테이블(10)에 일체화된다.
이 후, 로딩 슬라이더(32)가 약간 X1 방향으로 이동하여 아암 구동기구 C1ㆍ C2가 동작함에 의해, 도 4 및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디스크 지지 아암(17)ㆍ유인 아암(21)이 약간 요동하고, 디스크 접촉부(33)ㆍ디스크 지지부 21a에 의한 디스크 D의 척킹이 해제된다. 또한, 동시에 프레임부재 구동기구 C3이 동작함에 의해, 프레임부재(8)가 강하하여 디스크 D가 샤시 케이스(2)의 상부판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D의 회전 구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클램프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은 직경 12㎝인 디스크 D를 반입할 때의 디스크장치(1)의 동작 형태이지만, 디스크 D의 배출시에는 이것과 반대의 경로를 진행하고, 각부의 기구 요소는 반대의 동작을 행한다. 즉, 로딩 슬라이더(32)가 X2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프레임부재 구동기구 C3이 프레임부재(8)를 강하시켜서 클램프 헤드(7)에 의한 디스크 D의 클램프를 해제함과 동시에, 아암 구동기구 C1ㆍC2가 디스크 지지 아암(17)ㆍ유인 아암(21)을 요동시켜서 디스크 접촉부(33)ㆍ디스크 지지부 21a에 의해 디스크 D를 척킹한다. 그리고, 로딩 슬라이더(32)가 X2 방향으로 더욱 이동함에 의해, 아암 구동기구 C1ㆍC2가 디스크 지지 아암(17)ㆍ유인 아암(21)을 도 2에 도시한 위치까지 요동시키고, 디스크 D의 약 절반 정도를 삽입구 3a로부터 배출하여 반출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삽입구 3a로부터 직경 8㎝의 디스크 Ds가 삽입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크 D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직경 8㎝의 디스크 Ds가 삽입되었을 경우, 디스크 Ds의 삽입되는 위치가 삽입구 3a의 어느 위치이어도, 디스크 Ds 전체가 삽입구 3a로부터 장치(1) 내에 삽입되기 전에, 디스크 접촉부(33)가 디스크 Ds에 접촉하도록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배치하고, 디스크 Ds가 장치(1)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접촉부(33)를 제거한 상태에서 디스크 Ds를 좌측에 기대어 안내부재(27)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후단부가 삽입구 3a에 일치할 때까지 삽입하였을 때의 디스크 Ds의 이동 경로(도 14 중에서 우측으로 하강하는 방향의 해칭으로 표시한 영역)를 제1영역으로 하고, 디스크 접촉부(33)를 제거한 상태에서 8㎝ 디스크 Ds를 우측에 기대어 안내부재(29)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후단부가 삽입구 3a에 일치할 때까지 삽입하였을 때의 디스크 Ds의 이동 경로(도 14 중에서 우측으로 상승하는 방향의 해칭으로 표시한 영역)를 제2영역으로 하였을 경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중복하는 범위 내부(도 14 중에서 우측으로 하강하는 방향의 해칭과 우측으로 상승하는 방향의 해칭이 중복하고 있는 영역 내부)에 디스크 접촉부(33)를 대기시키도록 함으로써, 디스크 Ds가 삽입구 3a의 어느 장소로부터 삽입된 경우라도, 디스크 Ds 전체가 삽입구 3a로부터 장치(1) 내에 삽입되기 전에, 디스크 접촉부(33)가 디스크 Ds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D의 삽입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도 15 중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에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설치된 디스크 접촉부(33)는 안내부재(27)와의 이격 거리 dC가 약 4.1㎝, 안내부재(29)와의 이격 거리 dD가 약 7.8㎝, 삽입구 3a와의 이격 거리 dE가 5.1㎝가 되는 위치에 대기하고 있다(본 발명에서는, 이들의 이격 거리 dC, dD, dE를 작은 직경의 디스크 Ds의 직경 dB보다도 작 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조건으로 된다.).
도 15는 조작자가 직경 8㎝의 디스크 Ds를 삽입구 3a의 좌측에 기대어 안내부재(27)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장치(1) 내에 삽입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디스크 Ds의 삽입 도중에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전단부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설치된 디스크 접촉부(33)에 접촉한다. 조작자가 디스크 Ds를 더욱 밀어 넣으면, 디스크 접촉부(33)가 디스크 Ds에 의해 밀림으로써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장치 후방으로 요동한다. 그러나,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후단부가 디스크 삽입구 3a와 일치할 때까지 힘껏 밀어 넣은 경우에도,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도 15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밖에 요동하지 않고, 오토 로딩 시작 위치(도 15 중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함)에는 이르지 않으므로, 로딩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할 일은 없다. 이 후, 조작자가 디스크 Ds로부터 손을 떼면,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장치 전방으로 요동하여 삽입 대기위치(도 15 중에서 점선으로 도시함)에 복귀한다. 따라서, 디스크 Ds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의해 배출방향으로 복귀되는 것으로 되고, 디스크 Ds가 꺼내기 불가능하게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서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오토 로딩 시작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디스크 접촉부(33)와 삽입구 3a의 이격 거리 dF를 디스크 Ds(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직경 dB보다도 크게 하였으므로, 디스크 Ds를 삽입하였을 때에 로딩기구 C가 동작을 시작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조작자가 직경 8㎝인 디스크 Ds를 삽입구 3a의 우측에 기대어 안내부재(29)에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장치(1) 내에 삽입하였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크 Ds의 삽입 도중에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전단부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의 디스크 접촉부(33)에 접촉한다. 조작자가 디스크 Ds를 더욱 밀어 넣으면, 디스크 접촉부(33)가 디스크 Ds에 의해 밀림으로써,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화살표 P 방향의 힘이 더해진다. 여기서, 가령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P방향으로 회동하여 디스크 접촉부(33)와 안내부재(29)의 이격 거리가 디스크 Ds의 직경 dB보다도 커져 버리면, 디스크 Ds가 장치(1) 내에 완전히 들어가서 배출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 의하면,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도 16에 도시한 상태에서, 베이스 패널(6)에 형성된 슬릿 6a의 단부 6c에 접촉하고 있고, 화살표 P 방향으로의 요동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접촉부(33)와 안내부재(29)의 이격 거리가 디스크 Ds의 직경 dB보다 커질 일은 없다. 따라서, 디스크 Ds는 도 16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X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후단부가 장치 외부로 튀어나온 상태에서 정지하므로, 디스크 Ds가 꺼내기 불가능해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서, 조작자가 디스크 Ds를 삽입구 3a의 중간 위치로부터 디스크장치(1)에 삽입하였을 경우라도,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전단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설치된 디스크 접촉부(33)와 접촉한다. 그리고,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화살표 P 방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도 16의 상태로 되어 디스크 Ds의 그 이상의 삽입 조작을 저지한다. 또한, 디스크 지지 아암 (17)에 반시계 회전방향의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한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로, 일단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한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인장 코일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삽입 대기위치로 복귀함에 의해 디스크 Ds를 배출 방향으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디스크 Ds가 꺼내기 불가능해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 때, 도 16 중에서 횡방향의 해칭으로 도시한 영역은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요동할 때의 디스크 접촉부(33)의 이동 경로이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 의하면, 디스크장치(1)를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 디스크 접촉부(33)의 이동 경로가 턴테이블(10)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클램프 헤드(7)의 배치 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구성함에 의해, 클램프 헤드(7)의 강하량을 억제하여 디스크장치(1)의 박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도 19는 디스크장치(1)의 샤시 케이스(2)의 상부판 부분을 제거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서, 부호 17은 직경 12㎝인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안내함과 동시에 장치 외부에 밀어내는 동작을 주관하는 디스크 지지 아암이며, 그 선단에는, 12㎝ 디스크 이외의 작은 직경 디스크, 구체적으로는 직경 8㎝ 디스크 Ds가 잘못 삽입되었을 경우에, 잘못 삽입을 제지하여 장치 내부로의 진입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19)가 부착되어 있다. 이 때,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는 제1실시예에서 채용한 아암 구동기구 C1과 공통이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스토퍼(19)는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8㎝ 디스크 Ds 전방 주연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19a가 탄성부 19b를 거쳐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토퍼(19)의 걸림부 19c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설치된 피걸림부 17b와 계합하고, 스토퍼(19)의 걸림 손톱형상부 19d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설치된 통과 구멍 17c에 삽입됨으로써, 스토퍼(19)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인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이 스토퍼(19)로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다. 8㎝ 디스크 Ds가 잘못 삽입되었을 경우의 상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는 디스크 D의 단부를 지지하는 홀더(18)도 고정되어 있다. 상기 홀더(18)는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단에 수납 단부 18a가 형성되고, 측부에 유지 홈 1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18)는, 지지 아암 장착구 18c에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 17a가 삽입되어 이면 측에서 나사 멈춤시키는 것에 의해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18)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고정됨으로써, 스토퍼(19)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으로부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 이 홀더(18)는 전체를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로 성형하든지, 상기 수납 단부 18a 및 유지 홈 18b에 실리콘 고무 등을 접착하여 디스크 D에 마찰저항이 작용하도록 해 두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회전 구동되고 있는 디스크 D의 클램프를 해제하고, 디스크 지지 아암(17)으로 디스크 D를 지지할 때, 홀더(18)에 의해 재빠르게 디스크 D의 회전을 멈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12㎝ 디스크 D를 조작자가 삽입할 경우의 디스크장치(1)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구성에서는,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삽입하면, 디스크 D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홀더(18) 및 유인 아암(21)에 의해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안내한다. 이 때, 동 도면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상태는,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삽입구 3a로부터 삽입하여, 그 전단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의 홀더(18)의 수납 단부 18a에 의해 제한되어 지지된 상태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자가 디스크 D를 장치 내부에 밀어 넣으면,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후방으로 요동하여 오토 로딩 시작 위치에 도달하고, 리미트 스위치(47)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의해 작동된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47)가 작동되면, 로딩 모터(30)가 구동되어 반송 기구가 구동을 시작한다. 그러면, 로딩 슬라이더(32)가 후퇴를 시작하여, 로딩 슬라이더(32)의 후퇴에 수반하여 레버 아암(50)이 견인됨으로써 유인 아암(21)이 요동한다. 그리고, 유인 아암(21)과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의해 디스크 D를 척킹한다.
또한, 로딩 슬라이더(32)가 후퇴하면, 디스크 지지 아암(17) 및 유인 아암(21)이 후방으로 요동하여 디스크 D를 반입하고,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가 클램프 헤드(7) 상에 일치한 위치가 된다. 이 때, 이 시점까지는, 홀더(18)와 유인 아암(21)으로 디스크 D를 척킹하여 유지하고 있고, 디스크 지지 아암(17)과 유인 아암(21)은 동기하여 요동한다.
이 후, 프레임부재(8)에 고정된 종동 핀 56ㆍ57이, 로딩 슬라이더(32)와 이 로딩 슬라이더(32)에 동기하여 전진, 후퇴하는 슬라이드부재(54)에 형성된 캠 홈에서 안내됨으로써, 프레임부재(8)의 승강 기구가 동작한다. 즉, 로딩 슬라이더(32)가 더욱 후퇴하면, 종동 핀 56ㆍ57이 캠 홈의 경사부에 안내되어 상승하고, 이에 따라 프레임부재(8) 및 클램프 헤드(7)가 상승을 시작한다.
그리고, 클램프 헤드(7)의 척 손톱형상부 7a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의 개구 단부에 접촉한다. 또한, 클램프 헤드(7)가 상승하면, 그 척 손톱형상부 7a가 디스크 D를 밀어 올려서, 그 중심 구멍 Da의 개구 단부를 샤시 케이스(2)의 개구 2a의 볼록부 2b로 밀어 붙인다. 그러면,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에 끼워 넣어지고, 그 척 손톱형상부 7a가 디스크 D의 개구 단부에서 걸린다. 즉, 턴테이블(10) 상에 디스크 D를 고정하여 클램프가 행해진다.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를 클램프한 후, 로딩 슬라이더(32)가 약간 후퇴하면, 디스크 지지 아암(17)도 약간 요동하여, 홀더(18)에 의한 디스크 D의 척킹이 해제된다. 이 때, 유인 아암(21)도 동기하여 약간 요동하고, 디스크 D의 척킹을 해제한다. 또한, 프레임부재(8)의 승강 기구에서는, 종동 핀 56ㆍ57이 캠 홈 내에서 약간 강하하여, 디스크 D의 회전 구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즉, 클램프 동작이 종료한다.
이상은 직경 12㎝의 디스크 D의 반입시의 디스크장치(1)의 조작 형태이지만, 디스크 D의 반출시에는 이것과 반대의 경로를 진행하여 각부의 구성요소는 반대의 동작을 행한다. 즉, 반송 기구가 반대로 구동되고, 로딩 슬라이더(32)를 전진시켜 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전방으로 요동한다. 그리고, 도 19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위치까지 요동하고, 디스크 D의 약 절반 정도를 삽입구 3a로부터 배출하여 반출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디스크장치(1)에서,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직경 12㎝인 디스크 D보다도 작은 직경 8㎝의 작은 직경 디스크 Ds가 디스크장치(1)의 우측 단부 근처에 삽입구 3a로부터 삽입되었을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작자가 8㎝ 디스크 Ds를 디스크장치(1)의 우측 단부 근처(유인 아암(21)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구 3a로부터 삽입하였을 경우,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8㎝ 디스크 Ds 전체가 장치 내부에 완전히 들어가 버리기 전에, 디스크 Ds의 전방 주연부가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부착된 스토퍼(19)의 접촉부 19a에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8㎝ 디스크 Ds의 삽입이 제지되어 장치 내부로의 진입이 저지된다.
이 도 22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디스크 Ds를 장치 내부로 더욱 밀어 넣으면, 디스크 Ds의 전방 주연부에 의해 스토퍼(19)의 접촉부 19a가 눌러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9)로서 탄성체인 리프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고, 접촉부 19a는 리프 스프링의 탄성부 19b를 거쳐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Ds의 전방 주연부에 접촉하고 있는 스토퍼(19)의 접촉부 19a가 눌러져서 밀어 넣어지더라도, 그 누름에 의해 발생한 탄성부 19b의 탄성력에 의해 접촉부 19a는 복귀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디스크 Ds는 조작자 측으로 복귀되는 것 으로 된다. 즉, 디스크 Ds가 삽입구 3a로부터 조작자 측으로 일순간 튀어나오도록 복귀된다. 따라서, 디스크 Ds가 반출 방향으로 복귀됨으로써, 디스크장치(1)가 8㎝ 디스크 Ds의 드라이브에 대응하고 있지 않으면, 조작자가 알아차리는 것이 가능하여, 8㎝ 디스크 Ds의 삽입을 제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8㎝ 디스크 Ds가 삽입되어 디스크 Ds의 전방 주연부가 스토퍼(19)의 접촉부 19a에 접촉할 때의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위치는 규정된 외경의 디스크, 구체적으로는 12㎝ 디스크의 반입을 대기하고 있는 위치이다. 즉,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가장 전방으로 요동한 위치이다. 이 위치에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시계 회전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누르는 큰 힘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가해지면,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파손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동 도면의 위치로부터 디스크 Ds가 더욱 밀어 넣어지더라도 디스크 Ds의 전방 주연부와 접촉하고 있는 스토퍼(19)의 탄성부 19b가 변형함으로써 압력을 흡수한다. 따라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상술한 것과 같은 큰 힘이 가해질 일이 없고,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파손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조작자에 의해 8㎝ 디스크 Ds가 삽입구 3a로부터 잘못 삽입되는 것과 같은 일이 있더라도, 8㎝ 디스크 Ds 전체가 장치 내부에 완전히 들어가 버리기 전에, 조작자에 의한 잘못 삽입을 제지하여 8㎝ 디스크 Ds를 조작자 측으로 복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8㎝ 디스크 Ds를 장치 내부로부터 꺼낼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나 디스크장치(1)의 고장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3에는, 8㎝ 디스크 Ds의 진입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19)를 부착하지 않은 디스크장치(1)에, 조작자가 8㎝ 디스크 Ds를 디스크장치(1)의 우측 단부 근처에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구 3a로부터 삽입하였을 경우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디스크장치(1)의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클램프 헤드(7) 위를 지나지 않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클램프 헤드(7)보다 좌측에서 요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유인 아암(21)은 12㎝ 디스크 D의 반입을 장치의 우측 단부에서 대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디스크장치(1)의 구성 상, 8㎝ 디스크 Ds가 장치 내부에 진입할 수 있을 정도의 공간이 디스크 지지 아암(17)과 유인 아암(21)의 사이에 존재해 버린다. 이 공간이 8㎝ 디스크 Ds의 진입 경로로 될 수 없도록,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스토퍼(19)를 부착하여, 8㎝ 디스크 Ds의 진입 경로를 막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디스크장치(1)에 스토퍼(19)가 부착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 공간이 진입 경로로 되어 8㎝ 디스크 Ds 전체가 디스크장치(1) 내부에 진입해 버리며, 조작자에 의해 디스크 Ds를 꺼낼 수가 없게 되어 버리는 것을 동 도면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디스크장치(1)의 구성 상, 8㎝ 디스크 Ds의 장치 내부로의 진입 경로가 될 수 있는 공간이 장치의 우측 단부에 존재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서는, 8㎝ 디스크 Ds가 디스크장치(1)의 우측 단부 근처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었을 경우, 이 공간이 8㎝ 디스크 Ds의 진입 경로로 되지 않도록,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스토퍼(19)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8㎝ 디스크 Ds의 전방 주연부가 이 스토퍼(19)의 접촉부 19a에 접촉함으로써, 8㎝ 디스크 Ds의 삽입을 제지하여 8㎝ 디스크 Ds가 장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하였다.
이 때,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서, 조작자가 8㎝ 디스크 Ds를 디스크장치(1)의 우측 단부 이외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여 삽입구 3a로부터 삽입한 경우에는, 8㎝ 디스크 Ds의 전단이, 12㎝ 디스크 D의 반입을 가장 전방에서 대기하고 있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전단의 홀더(18)에 접촉하여 지지되는 것이 된다. 그러나, 디스크 Ds를 장치 내부에 더욱 밀어 넣는 것으로 하여도, 리미트 스위치(47)를 작동할 정도에 이르기까지 디스크 지지 아암(17)을 요동시킬 수가 없다. 즉, 8㎝ 디스크 Ds가 작은 직경이기 때문에, 디스크 Ds의 전단이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의 홀더(18)에 접촉하여 지지되어도, 반송 기구가 구동되지 않고,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가장 전방의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8㎝ 디스크 Ds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의해 조작자 측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되어, 8㎝ 디스크 Ds의 장치 내부로의 진입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도 24에는,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에 규정된 외경의 디스크인 직경 12㎝ 디스크 D가 삽입되어 클램프 동작 종료 후, 디스크 D의 회전 구동이 가능하게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클램프 헤드(7)가 디스크 D의 중심 구멍 Da를 클램프한 후,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홀더(18)에 의한 디스크 D의 척킹이 해제된 상태인 때에는,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선단에 부착된 스토퍼(19)의 접촉부 19a가 장치 내부의 내벽의 고정부(23)에 미끄럼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즉,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홀더(18)에 의한 디스크 D의 척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후방으로 약간 요동하면, 스토퍼(19)의 접촉부 19a가 고정부(23) 에 미끄럼 접촉하여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스핀들 모터(11)에 의해 클램프 헤드(7)에 클램프된 디스크 D를 회전 구동하여 정보의 기록 동작 중 및 재생 동작 중에, 디스크 지지 아암(17)이 격렬하게 진동하거나 덜컹거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진동이나 덜컹거림에 기인하는 소음이나 각 기구 부분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토퍼(19)로서 탄성체인 리프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고, 디스크 지지 아암(17)은 리프 스프링의 탄성부 19b를 거쳐 고정부(23)에 고정되기 때문에, 디스크 지지 아암(17)의 진동이나 덜컹거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거하여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크 D의 삽입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디스크 접촉부(33)의 위치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위치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직경의 디스크 Ds의 삽입방향 전단부와 접촉하여 디스크 Ds 전체가 장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이면,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스토퍼(19)로서 리프 스프링을 사용하여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부착하였지만, 8㎝ 디스크 Ds 전방 주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탄성부를 거쳐서 디스크 지지 아암(17)에 부착하는 구성이면, 적절하게 변경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자에 의해 직경 치수가 작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구로부터 잘못 삽입되는 것과 같은 일이 있어도, 디스크 지지 아암의 디스크 접촉부가 반드시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접촉하여,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 전체가 장치 내부에 수납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한다.

Claims (7)

  1.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한 쪽을 안내하는 제1안내부와,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다른 쪽을 안내하는 제2안내부와, 상기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와 접촉하는 디스크 접촉부를 구비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지지하여 요동함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디스크 지지 아암과,
    상기 디스크 지지 아암에 의해 장치 내부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직경이 치수 dA로 규격화된 제1디스크형 기록매체와, 직경이 치수 dA보다 작은 치수 dB(dB<dA)로 규격화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상이한 두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중에서, 상기 디스크 지지 아암을 요동시켜서 제1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로딩/언로딩하도록 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로부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상기 삽입구의 어느 장소로부터 삽입된 경우라도, 상기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전체가 상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장치 내에 삽입되기 전에, 상기 디스크 접촉부가 상기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에 접촉하도록 상기 디스크 지지 아암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접촉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상기 제1안내부와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삽입방향 후단이 상기 삽입구와 일치할 때까지 삽입하였을 때에,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통과하는 영역을 제1영역으로 규정하고,
    상기 디스크 접촉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상기 제2안내부와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삽입방향 후단이 상기 삽입구와 일치할 때까지 삽입하였을 때에,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통과하는 영역을 제2영역으로 규정하였을 경우,
    상기 삽입구로부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중복하는 범위 내에 상기 디스크 접촉부가 위치하도록 상기 디스크 지지 아암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직경 치수 dA는 12㎝이고, 상기 제2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직경 치수 dB는 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4. 디스크가 삽입되는 디스크 삽입구와,
    상기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삽입된 규정외경의 디스크를 지지하여 장치내부로 반입되고, 장치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규정외경의 디스크를 지지하여 장치외부로 반출하도록 요동하는 지지아암과,
    상기 지지아암을 요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한 디스크장치로서,
    상기 지지아암이 상기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디스크가 삽입되는 것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 삽입구로부터 규정된 외경보다 작은 직경의 디스크가 상기 지지아암에 의한 지지 가능한 범위 외부에 삽입되는 것을 제지하도록 한 디스크 진입 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진입 저지수단은 작은 직경의 디스크의 진입방향에서의 전방 주연부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스토퍼이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지지 아암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아암에 부착된 스토퍼는 탄성을 가지고, 작은 직경의 디스크의 전방 주연부가 상기 스토퍼의 접촉부를 눌렀을 때, 그 누름에 의해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은 직경의 디스크가 반출 방향으로 복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규정된 외경의 디스크의 반입을 완료하고, 상기 디스크의 지지 아암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 아암에 부착된 스토퍼의 접촉부가 장치 내부의 내벽에 미끄럼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 아암에 대한 방진기능이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장치.
KR1020050011141A 2004-02-24 2005-02-07 디스크장치 KR100691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8334 2004-02-24
JP2004048334A JP4136968B2 (ja) 2004-02-24 2004-02-24 ディスク装置
JPJP-P-2004-00340611 2004-11-25
JP2004340611A JP4196939B2 (ja) 2004-11-25 2004-11-25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799A KR20060041799A (ko) 2006-05-12
KR100691641B1 true KR100691641B1 (ko) 2007-03-09

Family

ID=34991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141A KR100691641B1 (ko) 2004-02-24 2005-02-07 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80251B2 (ko)
KR (1) KR100691641B1 (ko)
CN (1) CN100403431C (ko)
TW (1) TWI2576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4424B2 (ja) * 2004-05-10 2009-02-1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ディスク装置
WO2006046710A1 (ja) * 2004-10-29 2006-05-04 Pioneer Corporation 記録媒体駆動装置
JP4687477B2 (ja) * 2006-01-31 2011-05-2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4222386B2 (ja) * 2006-06-23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882547B2 (ja) 2006-06-29 2012-02-22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7958520B2 (en) * 2006-08-18 2011-06-07 Sony Corporation Disk drive device
US8455821B2 (en) 2006-10-20 2013-06-04 Fei Company Method for S/TEM sample analysis
JP2008305522A (ja) * 2007-06-11 2008-12-18 Teac Corp 光ディスク装置
US20120042329A1 (en) * 2009-05-04 2012-02-16 Quanta Storage Inc. Jam-proof device of slot-in optical disk drive
CN102422351A (zh) * 2009-06-10 2012-04-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光盘记录再现装置以及光盘记录再现装置的拾取器保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95077A (en) * 1990-01-31 1993-03-16 Clarion Co., Ltd. Disc loading mechanism for large and small disks
JP2784971B2 (ja) * 1992-02-25 1998-08-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3725321B2 (ja) * 1997-04-24 2005-12-07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DE19717519A1 (de) 1997-04-25 1998-10-29 Bosch Gmbh Robert Abspielgerät
JP3325820B2 (ja) * 1997-11-29 2002-09-17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機のディスク搬送装置
JP3291231B2 (ja) 1997-11-29 2002-06-10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US6542453B1 (en) * 1999-10-08 2003-04-01 Pioneer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read device
JP3619133B2 (ja) 2000-08-31 2005-02-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743276B2 (ja) 2000-10-11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US6839898B2 (en) 2001-04-27 2005-01-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drive
JP3737062B2 (ja) 2001-04-27 2006-0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JP3816010B2 (ja) * 2002-01-30 2006-08-30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100433415B1 (ko) * 2002-06-10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로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16925A1 (en) 2005-09-29
CN100403431C (zh) 2008-07-16
CN1661702A (zh) 2005-08-31
KR20060041799A (ko) 2006-05-12
TW200529184A (en) 2005-09-01
US7380251B2 (en) 2008-05-27
TWI257608B (en) 2006-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1641B1 (ko) 디스크장치
JP4543300B2 (ja) ディスク式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US20050229193A1 (en) Disc drive apparatus, frame, disc drive apparatus set and electronic appliance
US20090271809A1 (en) Disk drive
US20010001606A1 (en) Disc drive apparatus with insertion error inhibit means for recording media having different structures
US20050223398A1 (en) Disk apparatus
US7739704B2 (en) Disk apparatus having traverse and spindle cam member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100417105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US20070169135A1 (en) Disk drive device
JP410374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KR100538022B1 (ko) 디스크장치
KR980011251A (ko) 디스크 재생 장치
JP2005327431A5 (ko)
JP4136968B2 (ja) ディスク装置
JP4196939B2 (ja) ディスク装置
JP4754778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WO2005038796A1 (ja) ディスク装置
JP428516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737913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3812317B2 (ja) 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5163880B2 (ja) ディスク装置
KR100289527B1 (ko) 수동형 셔터를 갖는 카트리지
EP0944071A2 (en) Positioning system for use in an information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JP4103743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674492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