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1251A - 디스크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1251A
KR980011251A KR1019970035294A KR19970035294A KR980011251A KR 980011251 A KR980011251 A KR 980011251A KR 1019970035294 A KR1019970035294 A KR 1019970035294A KR 19970035294 A KR19970035294 A KR 19970035294A KR 980011251 A KR980011251 A KR 980011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disk
pair
gear
hold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이시게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80011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125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광학 디스크(D)의 주연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보유지지 홈을 갖는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를 설치하고,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를 광디스크(D)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편의 부재(61)에 의해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의시키는 동시에, 편의 부재(65a, 65b)에 의해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를 광디스크(D)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편의하고, 광디스크(D)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가 양측으로부터 광디스크(D)를 협지하여 디스크 척킹 위치까지 끌어 들여 반송시키는 디스크 로딩 기구를 설치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재생 장치
본 발명은 정보 기록 매체로써 광디스크나 광자기 디스크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정보의 기록(기입) 및/또는 재생(독취)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으로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써의 광디스크에는 CD(콤팩트 디스크)나 CD-ROM 등과 같은 리드 온리(read only)형, 한번만 쓸 수 있는 라이트 원스(write once)형, 및 다시 기입이 가능한 리라이터블(rewritable)형의 3종류의 타입이 있다.
이들 광디스크를 정보 기록 매체로써 정보의 기록 및/또는 재생을 행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서는 스핀들 모터의 회전축에 부착된 턴테이블 위에 광디스크를 수평으로 장착하여 회전 구동하는 한편, 광학 픽업의 대물 렌즈에 의해 레이저 빔 등을 광디스크의 정보 기록면에 수직으로 조사하고, 그 대물 렌즈를 광디스크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정보 기록면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해당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광디스크는 예를 들어 폴리카아보네이트와 같은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원판형으로 형성된 디스크 기판과, 이 디스크 기판의 한 주요 표면부에 형성된 신호 기록면부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광디스크의 신호 기록면부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얇은 막이 반사층으로써 피착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광디스크는 상기 광학 픽업을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에 장착됨으로써 정보 신호의 기록 및/또는 재생에 제공되고 있다.
이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를 디스크 장착부에 장착시키는 디스크 로딩 기구와, 장착된 광디스크를 광학 픽업에 대향시킨 상태로 보유지지하여 회전 조작하는 회전 조작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 조작 기구는 광디스크가 장착되는 디스크 장착부를 구성하고 있고, 디스크 드라이브의 외부 하우징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삽입 조작된 광디스크를 디스크 로딩 기구가 반송하여 디스크 장착부에 장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디스크 로딩 기구로는 소위 슬롯 인 방식의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이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로딩 기구는 외부 하우징에 형성된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광디스크를 이 광디스크의 주요 표면부를 따라 디스크 장착부까지 반송하고, 이 디스크 장착부에 대한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위치 결정 부재를 동작시켜 광디스크를 장착하는 동시에, 이 광디스크의 장착 후에는 상기 위치 결정 부재를 광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키는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또, 이러한 종류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광디스크를 외부에서 디스크 장착부까지 반송하는 수단에 의해 분류하면, 트레이 방식에 의한 것과 롤러 방식에 의한 것의 2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트레이 방식은 광디스크를 수평으로 적재하기 위한 트레이라는 부재가 외부 하우징에 대하여 출입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광디스크가 수평으로 적재된 트레이를 외부 하우징 내로 끌어 들임으로써 해당 광디스크가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 척킹위치까지 반송되어, 회전 조작 기구의 일부를 이루는 턴테이블에 척킹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롤러 방식은 한쌍의 롤러로 광디스크를 주요 표면부 양측에서 협지하여 그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장치 전면의 슬롯으로부터 삽입된 광디스크를 장치 내로 끌어 들이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에 있어서는 광디스크의 위치 결정 부재 및, 이 위치 결정 부재를 이동 조작하는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로딩 기구에서는 장치 구성이 복잡화되어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트레이 방식의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구가 비교적 간단한 것으로 되어 저 가로 실현되므로, 현재로서는 이 트레이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트레이라는 부재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대형이 된다.
그리고, 트레이가 장치 밖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트레이가 돌출하는 공간을 항상 확보해 둘 필요가 있다. 이들은 특히 장치가 컴퓨터에 탑재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만이 되고 있었다.
한편, 롤러 방식은 롤러의 회전과 디스크의 척킹 동작에 각각 동력이 필요해 져 장치가 고가의 것으로 되고 만다. 또한, 롤러부의 협지 마찰에 의해 광디스크를 반송하므로, 롤러의 슬립 등에 의한 동작 불량이나 정보 기록면부에 대한 손상 등의 악영향의 가능성 등과 같이 내구성, 신뢰성 상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고, 롤러 등의 부품에 대하여 엄격한 품질 관리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장치 구성의 간소화,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해지고, 소비 전력의 증가가 억제되고, 특히 컴퓨터에 탑재하는 등의 실내용으로써 구성되는 디스크 드라이브에 적용하기 적합한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의 로딩, 언로딩을 안정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일예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의 일예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베이스 샤시와 최상부 샤시를 합체한 상태의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최상부 샤시의 일예의 상면측 사시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최상부 샤시의 일예의 하면측 사시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와 디스크 로딩 기구에 의한 광디스크의 척킹 동작 상태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이젝트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상태를 도시한 측면 단면도.
제9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로딩 기어열의 단면도.
제10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언로딩 기어열의 단면도.
제11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부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부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삽입 조작이 개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부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삽입 조작의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4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부에 있어서 광디스크가 척킹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5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부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배출 조작이 개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6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디스크 로딩 기구부에 있어서 광디스크의 배출 조작의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17도는 제1도에 도시한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의 수동 조작 기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외부 하우징 3:디스크 삽입 슬롯
5: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 6:베이스 샤시
7:서브 샤시 10:광학 픽업 장치
11:턴테이블 12:스핀들 모터
20:캐리지 이동 기구 30:디스크 로딩 기구
31:최상부 샤시 34, 35:홀더판
36, 37:디스크 홀더(디스크 협지 부재) 54, 55:풀리 캐치
56:척킹 부재 61:코일 스프링(편의 부재)
65a, 65b:비틀림 스프링(편의 부재) 66, 67:보유지지 부재
76:캠 기어 79:언로딩 기어열
80:로딩 기어열 81:유성 치차 장치
100:수동 조작 기구 D:광디스크(디스크형 기록 매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등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주연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홈을 갖는 한쌍의 디스크 홀더와,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의하는 제1편의 수단과,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의하는 제2편의 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에 보유지지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척킹 위치까지 반송하기 위한 로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한쌍의 디스크 협지 부재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여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간단한 구조에 의해 확실하게 반송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크 재생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관련한 디스크 기록 재생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광디스크에 기록된 정보 신호를 재생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 적용한 것으로, 이하의 순서에 의해 설명한다.
[1] 광디스크의 구성(제1도)
[2]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외관 구성(제1도)
[3]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내부 구성
(3-1)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제2도)
(3-2) 디스크 로딩 기구(제3도 내지 제10도)
[4]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
(4-1) 광디스크의 로딩 초기 상태(제11도)
(4-2) 광디스크의 로딩 조작(제12도 내지 제14도)
(4-3) 광디스크의 척킹(제6도, 제14도)
(4-4) 광디스크의 이젝트 조작(제11도, 제15도, 제16도)
(4-5) 광디스크의 수동 취출 조작(제17도)
[1] 광디스크의 구성(제1도)
광디스크(D)는 예를 들어 폴리카아보네이트와 같은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직경이 예를 들어 120㎜ 정도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디스크 기판을 갖고, 이 디스크 기판의 중앙부에는 직경이 예를 들어 15㎜ 정도의 척킹 구멍(d)이 천공되어 있다. 이 디스크 기판의 한쪽 면인 주요 표면부는 신호 기록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디스크 기판이 사출 성형 수단에 의해 성형될 때에 미세한 요철로 이루어진 피트가 형성된다. 이 피트는 이 광디스크(D)에 기록되는 디지탈 신호화된 정보 신호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호 기록면 상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 반사층이 피착 형성되어 있다.
이 광디스크(D)는 광학 픽업 장치를 사용하여 다른 한쪽의 주요 표면부인 신호 독취면 측에서 디스크 기판을 통과하여 신호 기록면에 집광시킨 광속을 조사하고, 이 광속의 신호 기록면으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함으로써, 정보 신호의 독취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외관 구성(도1)
본 예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광디스크(D)의 슬롯-인 방식으로써, 장치 외관을 제1도에 도시한다.
이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후술한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 및 디스크 로딩 기구를 내장할 수 있는 크기로 전면측이 개방된 외부 하우징(1)과, 이 외부 하우징(1)의 전면측 개방부에 부착되는 전방 패널(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외부 하우징(1)은 상면부에 대해 양 측면부 및 후면부를 일체로 형성한 피복판부와 저면판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방 패널(2)에는 횡폭 치수가 광디스크(D)의 직경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개구된 디스크 삽입 슬롯(3)이 설치되어 있고, 이 디스크 삽입 슬롯(3)으로부터 광디스크(D)가 외부 하우징(1)의 내외로 출입된다.
그리고, 전방 패널(2)에는 광디스크(D)를 자동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이젝트 조작하는 조작 버튼(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2)의 재질로써는 강판, 전방 패널(3)의 재질로써는 ABS수지 등의 합성 수지가 바람직하나, 외부 하우징(2)을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되고, 또 전방 패널(3)을 판금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3]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내부 구성
(3-1)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제2도)
이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는 베이스 샤시(6)에 굴곡 가능하게 지지되는 서브 샤시(7)에 부착되어 있고, 베이스 샤시(6)를 거쳐서 외부 하우징(1)의 내부로 수용되고 있다.
베이스 샤시(6)는 바닥이 얕은 사변형의 하우징으로 되어 있고, 그 상면에 개방된 개구부(6a)의 안쪽 양 측부에는 서브 샤시(7)의 후방부 양단을 위치 결정하여 굴곡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위치 결정 돌기(6b)가 설치되어 있다(제7도 참조).
이 베이스 샤시(6)의 위치 결정 돌기(6b)에 대응시켜 서브 샤시(7)의 후방부 양 측부에는 인슐레이터 부착부(7a)가 설치되고, 또 전방부의 중앙에는 인슐레이터 부착부(7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인슐레이터 부착부(7a, 7b)에는 고무 등의 탄성 부재에 의해 형성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덤핑 부재인 인슐레이터(8)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 샤시(7)의 후방부에 부착된 각 인슐레이터(8)가 위치 결정 돌기(6b)에 결합되고, 전방부에 부착된 인슐레이터(8)가 승강 구동 레버(9)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샤시(6) 및 서브 샤시(7)의 재질로써는, 예를 들어 폴리아세탈 등의 기계적 강도가 높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이 바람직하나, 그 외의 합성 수지 재료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알루미늄 합금이나 강판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서브 샤시(7)에는 광학 픽업 장치(10)와 턴테이블(11)이 탑재되어 있다.
턴테이블(11)은 스핀들 모터(12)의 회전축의 선단측에 부착되어 있고, 그 스핀들 모터(12)는 서브 샤시(7)의 전방부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11)의 상부 중앙에는 광디스크(D)의 척킹 구멍(d)이 끼워지는 센터링 가이드(11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센터링 가이드(11a)의 중앙부에는 후술한 척킹용의 척킹 링(62)이 부착되어 있고, 이 센터링 가이드(11a)에 의해 광디스크(D)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한편, 광학 픽업 장치(10)는 턴테이블(11)의 후방측에 있어서 서브 샤시(7)에 배치된 좌우 한쌍의 안내축(15a, 15b)을 따라 전후 방향, 즉 턴테이블(11)에 대해 접근·이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2개의 안내축(15a, 15b)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양단이 서브 샤시(7)에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광학 픽업 장치(10)는 대물 렌즈(16)와 스큐(skew) 센서(17)가 위쪽을 향해 부착된 캐리지(18)를 갖고, 이 캐리지(18)의 양단에 설치된 베어링부(18a, 18b)에 한쌍의 안내축(15a, 15b)이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삽입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지(18)의 측면에는 대물 렌즈(16)에 대해 레이저 빔을 송수신하는 광학 블록(19)이 부착되어 있다. 또, 스큐 센서(17)는 광디스크(D)의 주요 표면부의 경사를 검출하여 이것에 대물 렌즈(16)를 추종시키기 위한 검출기이다.
이와 같은 광학 픽업 장치(10)를 턴테이블(11)에 대해 진퇴 동작시키기 위해 서브 샤시(7)에는 캐리지 이동 기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리지 이동 기구(2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샤시(7)에 고정된 캐리지 구동 모터(21)와, 이 캐리지 구동 모터(21)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 기어(22)와, 이 구동 기어(22)와 캐리지 구동 모터(21)의 회전축에 부착된 출력 기어(23)의 사이를 동력 전력 가능하게 연결하는 기어 트레인(24)과, 캐리지(18)의 한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구동 기어(22)에 맞물려진 래크(25) 등을 가지고 있다.
이리하여, 복수개의 기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기어 트레인(24)을 거쳐서 정역회전되는 구동 기어(22)가 래크(25)를 직선 구동함으로써, 캐리지(18)가 한쌍의 안내축(15a, 15b)에 안내되어 진퇴 동작된다.
(3-2) 디스크 로딩 기구(제3도 내지 제10도)
또,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에는 전술한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에 대응하고, 이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에 광디스크(D)를 로딩 및 언로딩시키기 위한 디스크 로딩 기구(30)가 구비되어 있다.
이 디스크 로딩 기구(30)는 베이스 샤시(6)의 상면측에 부착되는 최상부 샤시(31)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있고, 그 일부를 이루는 후술한 캠 레버(32) 및 기어 레버(33)는 베이스 샤시(6)의 상면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최상부 샤시(31)는 본 예에서는 판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나, 베이스 샤시(6)와 마찬가지로 폴리아세탈 등의 기계적 강도가 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의해 성형할 수 있다.
이 최상부 샤시(31)는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아 베이스 샤시(6)와 거의 같은 크기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샤시(6)의 상면에 설치한 복수개의 부착 다리부(6c)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베이스 샤시(6)에 고정되어 있다.
이 최상부 샤시(31)의 내면측에 구비되는 디스크 로딩 기구(30)는 좌우 한쌍의 홀더판(34, 35)과, 동일하게 좌우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와, 이젝트 아암(38)과, 이젝트 레버(39)와 래크판(40)과, 캠 레버(41)와, 로딩용 모터(42)와, 로딩 기어열(43)과, 언로딩 기어열(44) 등을 가지고 있다.
좌우 한쌍의 홀더판(34, 35)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인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요 평면부(34a, 35a)와, 각 주요 평면부(34a, 35a)의 안쪽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내측으로 돌출하는 수평변부(34b, 35b)와, 전방측의 선단부로부터 약간 후방으로의 위치에 있어서 내면측으로 돌출하는 단면 L자형의 지지부(34c, 35c)와, 이들 지지부(34c, 35c)와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절곡 형성된 지지편(34d, 35d)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주요 평면부(34a, 35a) 및 수평변부(34b, 35b)와 지지편(34d, 35d)의 사이에 최상부 샤시(31)가 삽입 관통되어 있다.
한쪽의 홀더판(34)의 수평변부(34b)는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수평변부(35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홀더판(34)의 주요 평면부(34a)의 후방단부에는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수평변부(35b)의 선단부에 설치한 전방 방향 오목부(35e)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절결(34f)이 설치되고, 또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주요 평면부(35a)의 후방부에는 한 쪽의 홀더판(34)의 수평변부(34b)의 선단이 결합되는 절결(35f)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수평변부(34b, 35b)가 서로 대향하는 모서리에는 각각 스프링 수용편(34g, 35g)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수용편(34g, 35g) 사이에는 편의 부재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45)이 가설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45)의 스프링력에 의해 한쌍의 홀더판(34, 35)이 최상부 샤시(31)를 좌우 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서로 내측으로 편의되어 있다.
또한, 한 쪽의 홀더판(34)의 수평변부(34b)의 양 단부와,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전방 방향 오목부(35e)에는 최상부 샤시(31) 쪽으로 돌출하는 안내 핀(46a, 46b 및 47)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안내 핀(46a, 46b 및 47)의 선단부는 최상부 샤시(31)에 설치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하게 된 안내 홈(48a, 48b, 48c)에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한 쪽의 홀더판(34)의 수평변부(34b)의 기부는 전방측으로 돌출해 있고, 이 돌출부의 다른 쪽의 홀더판(35) 측의 단부 모서리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래크부(49)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래크부(49)는 안내 홈(48a) 등과 평행으로 되어 있고, 이 래크부(49)와 평행이 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50)이 한 쪽의 홀더판(34)의 주요 평면부(34a)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안내 홈(50)에는 편의 부재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판 스프링(51)이 부착되어 있다.
판 스프링(51)은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된 고정부(51a)와, 이 고정부(51a)의 한쪽에 연속된 조작부(51b)를 갖고, 고정부(51a)를 안내 홈(50)의 한쪽 측부 모서리를 따르도록 한 상태로 고정 나사(52)에 의해 홀더판(34)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판 스프링(51)의 조작부(51b)는 안내 홈(50)의 상방으로 돌출해 있는 동시에, 그 전방 모서리부에는 안내 홈(50) 내를 미끄럼 이동하는 조작 핀(53)을 가압하여 후술하는 캠 레버(32)를 요동시키기 위한 경사면으로 된 핀 조작부(51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핀 조작부(51c)에 의한 조작 핀(53)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확보하기 위하여 안내 홈(50)의 전방부에는 내측으로 연속된 도피부(50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또, 양 홀더판(34, 35)의 주요 평면부(34a, 35a)의 선단부로부터 약간 후방으로의 위치에는 후방측으로 돌출하는 L자형의 후크부(34h, 35h)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후크부(34h, 35h)는 양 홀더판(34, 35)이 로딩을 위해 후퇴 동작했을 때에 한쌍의 풀리 캐치(54, 55)의 캐치 홈(54a, 55a)에 각각 결합하고, 다음 동작에 의한 양 홀더판(34, 35)의 외측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각 풀리 캐치(54, 55)를 제6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에서 이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외측으로 이동시켜 척킹 부재(56)의 보유지지를 개방한다.
척킹 부재(56)는 최상부 샤시(31)의 하면측 전방 중앙부에 부착된 풀리 커버(57)의 풀리 수용부(5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풀리 커버(57)는 전방부가 직사각형으로 그리고 후방부가 반원형을 이루는 동시에 일면측으로 개방한 얇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후방부의 내측을 원형으로 구획함으로써 그 내부에 풀리 수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리 수용부(58)의 개방측과 반대측에는 원형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내향의 플랜지부(5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풀리 커버(57)의 풀리 수용부(58)의 디스크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양 측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팽창하는 팽창부(57b)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각 팽창부(57b)의 내측에 위치한 플랜지부(57a)에는 절결(57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풀리 수용부(58)에 척킹 부재(56)가 직경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풀리 커버(57)의 좌우의 팽창부(57b)에 대응시켜 이 팽창부(57b)의 중심과 중심부가 일치하도록 최상부 샤시(31)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홈(6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홈(60)은 좌우 방향의 양 외측에 설치된 캐치 미끄럼 이동부(60a)와, 양 캐치 미끄럼 이동부(60a)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부(60b)를 갖고, 각 캐치 미끄럼 이동부(60a)에는 풀리 캐치(54, 55)의 빠짐 방지용 플랜지부(54b, 55b)를 통과시키기 위한 통과 구멍(6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안내 홈(60)에 도3 내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킹 부재(56)를 끼워 지지하기 위한 동일 부재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풀리 캐치(54, 55)가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쌍의 풀리 캐치(54, 55)는 안내 홈(60)의 캐치 미끄럼 이동부(60a)에 결합되는 직사각형의 블록체로 이루어지고, 그 내외 양측 상부에는 하면측으로의 빠져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플랜지부(54b, 54c 및 55b, 55c)가 설치되고, 또 하면측 중앙부에는 척킹 부재(56)를 끼우기 위한 갈퀴부(54d, 55d)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풀리 캐치(54, 55)의 갈퀴부(54d, 55d)는 척킹 부재(56)를 끼우기 위해 이 척킹 부재(56)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있고, 상면측으로의 빠져나감을 방지하는 동시에 척킹 부재(56)를 안정되게 협지하기 위해 안내 홈(60)의 통과 구멍(60c)의 치수보다도 폭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풀리 캐치(54, 55)의 내단부에는 서로 대향하도록 스프링 수용부(54e, 55e)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 수용부(54e, 55e) 사이에는 편의 부재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61)이 가설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61)의 스프링력에 의해 한쌍의 풀리 캐치(54, 55)가 척킹 부재(56)를 좌우 방향에서부터 끼우도록 서로 내측에 편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풀리 캐치(54, 55)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안내 홈(60)의 캐치 미끄럼 이동부(60a)의 내단부 모서리에 의해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풀리 캐치(54, 55) 및 풀리 커버(57)의 재질로써는, 예를 들어 ABS 수지가 바람직하나, 그 외의 합성 수지 재료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재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풀리 캐치(54, 55)에 협지되는 척킹 부재(56)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축부(56a)를 갖는 원판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중앙부를 상방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위치 결정 축부(56a)의 주위에 링 형상의 공간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공간부에는 링형상의 자석(14)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고, 이 자석(14)의 자력에 의해 척킹 부재(56)가 턴테이블(11) 쪽으로 흡인된다.
이 척킹 부재(56)의 공간부에는 로딩시에 턴테이블(11)의 센터링 가이드부(11a)가 끼워지고, 이에 따라 턴테이블(11)에 대한 광디스크(D)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 척킹 부재(56)의 자석(14)의 자력을 턴테이블(11)에 확실하게 작용시키기 위해, 턴테이블(11)의 중앙부에는 링형상의 함몰부를 설치하여 자성체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철제의 척킹 링(62)이 고착되어 있다.
상기 한 쪽의 홀더판(34c)의 지지부(34c)의 내측에는 한쌍의 디스크 협지 부재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가 그 전방부를 지점축(64a)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대해,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지지부(35c)의 내측에는 한쌍의 디스크 협지 부재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가 그 전방부를 지점축(64b)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양 디스크 홀더(36, 37)는 각 지점축(64a, 64b)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편의 부재로써의 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비틀림 스프링(65a, 65b)에 의해 각각 외측, 즉 제11도에 있어서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는 시계 방향으로, 또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는 반시계 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의 내면측에는 광디스크(D)의 외주인 주연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오목측에 만곡된 원호형의 보유지지 홈(66, 6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보유지지 홈(66, 67)은 광디스크(D)의 외주연과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는 동시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보유지지 홈(66, 67)의 홈폭 방향의 양측에는 광디스크(D)의 외주연을 중앙의 보유지지 홈(66, 67)으로 안내하기 위한 내측으로 경사진 테이퍼면(66a, 66b 및 67a, 67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테이퍼면(66a, 66b 및 67a, 67b)의 경사 각도는 광디스크(D)의 평면 방향에 대해 대략 60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광디스크(D)의 외주연을 안내할 수 있는 경사면이라면 이 경사 각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디스크 홀더(36, 37)의 지점축(64a, 64b)에 의한 선회 중심은 보유지지 홈(66, 67)의 광디스크(D)의 직경이 최대가 되는 보유지지 홈 중심(C)보다도 전방측에 설정되어 있다(제12도 참조).
이것에 의해,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의 지점축(64a)의 전방측에는 광디스크(D)의 비산을 규제하는 턱 모양의 규제부(36a)가 설정되고,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의 지점축(64b)의 전방측에는 광디스크(D)의 삽입력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65b)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디스크 홀더(37)를 선회 동작시키기 위한 턱 모양의 입력부(37a)가 설정되어 있다.
또,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에는 지점축(64b)을 기어 중심으로 한 부채꼴형 기어(68)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 부채꼴형 기어(68)는 보유지지 홈(66)의 상부에 위치하는 테이퍼면(66a) 쪽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그 기어부는 후방부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부채꼴형 기어(68)는 이젝트 레버(69)의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홀더 구동 기어(70)에 맞물려지도록 되어 있고, 통상 상태에서는 부채꼴형 기어(68)와 홀더 구동 기어(70)는 맞물리지 않는 상태로 보유지지되고 있다. 이 홀더 구동 기어(70)를 지지하고 있는 이젝트 레버(69)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단부가 회전축(71)에 의해 최상부 샤시(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홀더 구동 기어(70)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선단부에는 캠 핀(69a)이 고정되어 있다.
이 이젝트 레버(69)와 최상부 샤시(31)의 사이에는 편의 부재로써의 코일 스프링(72)이 가설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의해 홀더 구동 기어(70)가 부채꼴형 기어(68)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그리고, 코일 스프링(72)의 스프링력에 의해 캠 핀(69a)이 래크판(40)의 캠부(40a)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게 되어 있다.
이 래크판(40)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40b)을 갖고, 이 안내 홈(40b)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계단 부착 핀(73)을 거쳐서 최상부 샤시(31)에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래크판(40)의 외측 단부 모서리 전방부에는 캠부(40a)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내측 단부 모서리 전후에는 전후 방향으로 치부를 연속시켜서 설치한 전후의 래크부(40c, 40d)가 형성되어 있다. 이 래크판(40)의 캠부(40a)를 캠 핀(69a)이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이젝트 레버(69)가 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홀더 구동 기어(70)가 래크판(40)의 전방 래크부(40c)와 디스크 홀더(36)의 부채꼴형 기어(68)에 맞물린다.
래크판(40)의 후방 래크부(40d)에는 최상부 샤시(31)에 지지축(74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래크 구동 기어(75)가 항상 맞물려 있다.
이 래크 구동 기어(75)에는 캠 레버(41)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캠 레버(41)의 래크판(40) 쪽의 선단부에는 전술한 조작 핀(53)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캠 레버(41)의 래크판(40) 측과 반대측의 선단부에는 캠 핀(41a)이 고정되어 있고, 이 캠 핀(41a)은 최상부 샤시(31)에 지지축(74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캠 기어(76)의 캠부(77)에 결합되어 있다. 이 캠 기어(76)는 제5도 및 제10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측의 직경 방향 내측을 오목하게 하여 설치한 2개소의 캠부(77)와, 외주면에 설치한 2개소의 기어부(78)를 갖고, 회전 중심을 점대칭의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캠부(77)는 반경 방향 외측에 설치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오목한 결합 오목부(77a)와, 이 결합 오목부(77a)에 대응시켜서 반경 방향 내측에 설치한 결합 볼록부(77b)를 갖고, 이들 결합 오목부(77a)와 결합 볼록부(77b)의 사이에 캠 핀(41a)이 착탈 가능하게 보유지지된다.
캠 기어(76)의 기어부(78)에는 둘레 방향의 연속을 끊는 절결부(78a)가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절결부(78a)의 둘레 방향의 한 쪽에는 치폭을 다른 부분보다도 얇게 한 얇은 치형부(78b)가 설치되고, 또 절결부(78a)의 둘레 방향의 다른 쪽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설치함으로써 전체에 탄성을 갖게 하는 탄성 치부(78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 기어(76)의 기어부(78)에는 래크 구동 기어(75)와 언로딩용 기어열(79)의 종단의 중간 기어(79d)가 맞물려 있다.
언로딩용 기어열(79)은 상기 래크 구동 기어(75)와 캠 기어(76)와 4개의 중간 기어(79a 내지 79d)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중간 기어(79a)와 중간 기어(79b), 및 중간 기어(79c)와 중간 기어(79d)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 지지축(74c 및 74d)을 거쳐서 최상부 샤시(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언로딩용 기어열(79)의 시작단의 중간 기어(79a)에는 로딩 기어열(80)의 중간 기어(80b)가 맞물려 있다. 이 로딩 기어열(80)은 최상부 샤시(31)에 고정된 로딩용 모터(42)의 회전축에 부착된 출력 기어(42a)와, 2개의 중간 기어(80a 및 80b)와, 유성 치차 장치(81)를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중간 기어(80a, 80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지지축(74e)을 거쳐서 최상부 샤시(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 기어(42a)에는 중간 기어(80a)가 맞물리고, 중간 기어(80b)에는 유성 치차 장치(81)의 외부 대치차(82a)가 맞물려 있다.
이 유성 치차 장치(81)는 외주에 설치된 단이 다른 2단 치부로 이루어진 외부 대치차(82a) 및 외부 소치차(82b)와, 양 외부 치차(82a, 82b)와 회전 중심을 동일하게 하여 일체로 형성된 태양 치차(83)와, 이 태양 치차(83)에 맞물린 유성 치차(84)와, 이 유성 치차(84)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회전판(85)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 치차(82a, 82b) 및 태양 치차(83)와 회전판(85)은 이들 중심부를 관통하는 지지축(86)에 의해 최상부 샤시(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성 치차(84)는 회전판(85)의 중심부에서 한쪽으로 돌출된 지지부(85a)에 코킹 고정된 지지축(85c)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 유성 치차(84)의 상부는 최상부 샤시(31)에 설치한 원호형으로 연속된 원호 홈부(87a)를 관통하여 최상부 샤시(31)의 상방으로 돌출하고, 한 쪽의 홀더판(34)의 전술한 래크부(49)의 후방 단부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되고 있다. 또, 회전판(85)의 중심부에서 다른 쪽으로 돌출된 지지부(85b)에는 마찬가지로 최상부 샤시(31)에 설치한 개구부(87b)를 관통하여 최상부 샤시(31)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작동 핀(88)이 코킹 고정되어 있다. 이 작 동 핀(88)에는 전술한 코일 스프링(45)에 의해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내단부 모서리가 편의되어 있다.
또, 다른 쪽의 홀더판(35)의 하면측에는 디스크 홀더(37)보다 약간 후방측으로 위치하도록 이젝트 아암(38)이 부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홀더판(35)에는 내측으로 구부러진 지지편(35i)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편(35i)에 대략 L자형을 이루는 이젝트 아암(38)의 기부가 지지핀(38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이젝트 아암(38)은 짧은 쪽을 전방을 향하면서 긴 쪽을 내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지지되고 있고, 편의 부재로써의 코일 스프링(89)에 의해 전방측에 편의되어 있다.
이 이젝트 아암(38)의 짧은 쪽에는 이것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조작 핀(38b)이 고정되어 있고, 이 조작 핀(38b)의 상단부는 홀더판(35)에 설치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홈(35j)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 조작 핀(38b)의 하단부는 최상부 샤시(31)에 설치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48d)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이젝트 아암(38)의 긴 쪽의 선단부에는 로딩되는 광디스크(D)의 이동 궤적 상에 돌출하는 조작편(38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편(38c)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에서 광디스크(D)를 협지했을 때에 코일 스프링(89)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약간 후방으로 선회한 상태에서 광디스크(D)의 외주연에 편의되어 양 디스크 홀더(36, 37)와 함께 광디스크(D)를 협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전술한 서브 샤시(7)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 동작시키기 위하여, 제7도 및 제12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샤시(6)의 전방부 상면에는 캠 레버(32)와 기어 레버(33)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캠 레버(32)는 베이스 샤시(6)에 세워진 지점축(90)에 의해 요동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서브 샤시(7)를 향한 후면측에는 캠 홈(9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캠 홈(91)은 지점축(90)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단차를 설정하고, 그 상단부(91a)와 하단부(91b)의 사이를 적당한 경사 각도의 홈으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캠 홈(91)에는 서브 샤시(7)의 선단부에 연결된 승강 구동 레버(9)의 캠 핀(92)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캠 홈(91)의 단차의 크기만큼 캠 핀(92)이 승강하고, 이 캠 핀(92)의 상하 동작에 의해 서브 샤시(7)의 자세가 제7도에 도시한 전방이 후방보다 처지는 언로딩 상태와 제8도에 도시한 대략 수평의 로딩 상태로 절환된다.
이 캠 레버(32)의 상부에는 그 치부를 후방부 측에 설치한 부채꼴형 기어(32a)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부채꼴형 기어(32a)에는 기어 레버(33)에 설치된 부채꼴형의 부채꼴형 기어(33a)가 맞물려 있다.
이 기어 레버(33)는 베이스 샤시(6)에 세워진 지점축(93)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의 동작에 연동하여 기어 레버(33)가 회전되며, 이에 의해 캠 레버(32)가 요동 운동되게 된다.
또한, 제12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 94는 디스크 삽입 슬롯(3)의 개폐 장치로써, 로딩 시에 있어서 디스크 삽입 슬롯(3)의 내측 중앙부에 스톱 레버를 돌출시켜서 광디스크(D)의 이중 삽입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 제11도에 있어서 도면 부호 95는 광디스크(D)의 삽입 상태를 검출하는 디스크 삽입 검출기, 96은 광디스크(D)의 배출 상태를 검출하는 디스크 배출 검출기, 97은 디스크 척킹이 개방된 상태를 검출하는 척 개방 검출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최상부 샤시(31)에 축 지지되어 있는 캠 기어(76)를 정전이나 고장 등의 비상시에 수동에 의해 회전 조작할 수 있도록 최상부 샤시(31)에는 수동 조작 기구(100)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수동 조작 기구(100)는 제17도에 도시한 바 같이 캠 기어(76)에 맞물림 가능하게 설치된 요동 레버(101)와, 이 요동 레버(101)의 기어부(101a)를 캠 기어(76)의 외부 소치차(82b)에 착탈 가능하게 맞물리는 지레형 레버(102)와, 이 지레형 레버(102)를 요동시키는 활주 레버(103)로 구성되어 있다.
요동 레버(101)는 활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 원호 부분에 기어부(101a)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 레버(101)에는 기어부(101a)와 거의 평행을 이루도록 원호형의 안내 홈(101b)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안내 홈(101b)의 한쪽 끝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기어 맞물림부(101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 홈(101b) 및 기어 맞물림부(101c)에는 최상부 샤시(31)에 고정된 2개의 안내 핀(104a, 104b)이 각각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기어 맞물림부(101c)에 의한 반경 방향 외측의 단차에 의해 요동 레버(101)에 요동 동작이 일어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지레형 레버(102)는 그 중도부가 지점축(105)에 의해 최상부 샤시(31)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고, 그 한 쪽에는 요동 레버(101)에 설치된 안내 핀(101d)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내 홈(102a)이 설치되고, 다른 쪽에는 안내 핀(10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편의 부재로써의 코일 스프링(106)에 의해 지레형 레버(102)가 요동 레버(101)의 기어부(101a)를 캠 기어(76)의 외부 소치차(82b)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의되어 있다.
또, 활주 레버(103)는 직사각형 모양의 긴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 방향의 한쪽 끝에는 지레형 레버(102)의 안내 핀(102b)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로 안내 홈(103a)이 설치되고, 또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 세로 안내 홈(103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세로 안내 홈(103b)에는 최상부 샤시(31)에 고정된 2개의 안내 핀(107)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이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의 직진성이 확보되고 있다.
이 활주 레버(103)와 최상부 샤시(31)의 사이에는 편의 부재로써의 코일 스프링(108)이 가설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108)의 스프링력에 의해 활주 레버(103)는 전방측으로 항상 편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와 디스크 로딩 기구(30)를 합체한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의 베이스 샤시(6) 상에 디스크 로딩 기구(30)의 최상부 샤시(31)를 겹쳐서 베이스 샤시(6) 쪽의 부착 다리부(6c)와 최상부 샤시(31)의 소정 위치를 맞추어 결합한다.
이에 의해, 최상부 샤시(31)에 보유지지된 척킹 부재(56)의 척킹 링(62)이 베이스 샤시(6)에 조립되는 서브 샤시(7)에 지지된 턴테이블(11)의 상방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샤시(6)와 최상부 샤시(31)를 합체한 상태에서 전술한 외부 하우징(1) 내에 끼워 고정하고, 이 외부 하우징(1)의 전체 표면측 개방부에 전방 패널(2)을 끼워 부착함으로써, 이 전방 패널(2)의 디스크 삽입 슬롯(3)이 베이스 샤시(6)와 최상부 샤시(31)의 전방 단부 사이에 대응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예의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가 구성된다.
[4]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디스크 플레이어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4-1) 광디스크의 로딩 초기 상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의 광디스크(D)의 배출 완료 상태에서는 디스크 로딩 기구(30)의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는 부채꼴형 기어(68)에 맞물리는 홀더 구동 기어(70)의 결합력에 의해 비틀림 스프링(65a)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광디스크(D)의 이동 궤적 상에 돌출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로딩 기구(30)의 다른 쪽의 디스크홀더(37)는 비틀림 스프링(65b)의 편의력에 의해 외측(반시계 방향)으로 후퇴된 위치에 있다.
(4-2) 광디스크의 로딩 조작
이 상태에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패널(2)의 디스크 삽입 슬롯(3)으로부터 광디스크(D)를 손으로 밀어 삽입하면, 광디스크(D)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의 보유지지 홈(66)에 맞닿는다. 또한, 소정의 힘으로 광디스크(D)를 계속 삽입하면, 비틀림 스프링(65a)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가 지점축(64a)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이 디스크 홀더(36)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광디스크(D)가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 측으로 눌려져 이동한다.
이에 따라, 광디스크(D)가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의 입력부(37a)에 맞닿고, 광디스크(D)의 가압력에 의한 시계 방향의 작용력이 입력부(37a)에 작용한다. 그 때문에,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가 비틀림 스프링(65b)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지점축(64b)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좌우의 디스크 홀더(36, 37)의 자세가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변화하여, 양 디스크 홀더(36, 37)의 보유지지 홈(66, 67)에서 광디스크(D)의 전방쪽 양 측부가 보유지지되게 된다.
또한, 광디스크(D)에 삽입력이 가해지면,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디스크 홀더(36)가 소정 각도까지 회전 변위하면, 부채꼴형 기어(68)와 홀더 구동 기어(70)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부채꼴형 기어(68)와 홀더 구동 기어(70)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는 비틀림 스프링(65a)의 편의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대해, 다른 쪽의 디스크 홀더(37)에서는 광디스크(D)의 삽입량에 따라 디스크의 폭이 서서히 커지기 때문에, 디스크 홀더(37)가 광디스크(D)에 의해 가압되는 동시에, 비틀림 스프링(65b)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D)가 한쌍의 디스크 홀더(36, 37)의 보유지지 홈(66, 67)의 보유지지 홈 중심(C)에 도달하면, 광디스크(D)의 폭이 최대의 직경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광디스크(D)가 양 디스크 홀더(36, 37)에 의해 양측에서 협지된다.
이 경우, 광디스크(D)는 그 중심 부분을 양측에서 디스크 홀더(36, 37)에 의해 협지되기 때문에, 광디스크(D)가 흔들림이 없이 확실하게 보유지지할 수가 있다.
또, 이 때에는 광디스크(D)의 경사 측부 모서리가 이젝트 아암(38)의 조작편(38c)에 맞닿고, 코일 스프링(89)의 편의력에 저항하여 이젝트 아암(38)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다음에, 광디스크(D)가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까지 삽입되면, 이 삽입 상태가 디스크 삽입 검출기(95)에 의해 검출된다. 이에 따라, 로딩용 모터(42)가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축에 부착된 출력 기어(42a)로부터 구동력이 로딩 기어열(80)과 언로딩 기어열(79)에 전달된다.
이 출력 기어(42a)로부터 출력되는 토오크에 의해, 로딩 기어열(80)에서는 2개의 중간 기어(80a, 80b)를 거쳐 유성 치차 장치(81)의 태양 치차(83)가 회전 구동되고, 유성 치차(8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유성 치차(84)에 한 쪽의 홀더판(34)에 형성된 래크부(49)가 맞물리고, 이 홀더판(34)이 디스크 삽입 방향으로 반송됨과 동시에, 이 홀더판(34)과 디스크 삽입 방향에 일체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다른 쪽의 홀더판(35)이 일체로 반송된다.
그 결과, 제13도의 상태로부터 제14도의 상태로 변화하여 광디스크(D)가 턴테이블(11)의 상방에 대응된다.
(4-3) 광디스크의 척킹
제14도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광디스크(D)의 척킹 동작이 행해진다.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독취 기구(5)의 베이스 샤시(6) 상에 있어서는 척 개방 검출기(97)에 의해 광디스크(D)가 소정의 로딩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되고, 이에 따라 기어 레버(3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동시에, 이 기어 레버(33)에 의해 캠 레버(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그 결과, 캠 레버(32)의 캠 홈(91)이 회전 구동되고, 이 캠 홈(91)에 결합된 캠 핀(92)이 하단의 하부 계단부(91b)로부터 경사면을 따라 상승하여 상단의 상부 계단부(91a)까지 이동한다.
이로 인해, 서브 샤시(7)가 제7도에 도시하는 경사 하방으로 경사진 하강 위치로부터 제8도에 도시하는 대략 수평으로 되는 상승 위치까지 상승 구동된다.
그 결과,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샤시(7)에 탑재되어 있는 턴테이블(11)의 디스크 적재면의 높이와 최상부 샤시(31)에 부착되어 있는 척킹 부재(56)의 하면측의 높이가 같게 되며, 광디스크(D)의 상면측에 위치하는 척킹 링(62)에 매설된 자석(14)의 흡인력에 의해 광디스크(D)가 턴테이블(11) 상에 척킹된다. 이 때, 한쌍의 홀더판(34, 35)의 후퇴 동작에 의해 최상부 샤시(31)의 상방에 위치하는 후크부(34h, 35h)가 최상부 샤시(31)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보유지지된 한쌍의 풀리 캐치(54, 55)의 캐치 홈(54a, 55a)에 걸린다. 그리고, 유성 치차 장치(81)의 유성 치차(84)가 태양 치차(83)의 전방측으로 공전하면서 이동하여 원호 홈부(87a)의 전방단 모서리에 맞닿기 때문에, 이 유성 치차(84)의 후방단측의 위치와 전방단측의 위치의 차이분 만큼 한 쪽의 홀더판(34)이 외측, 즉 척킹 부재(5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판(85)을 거쳐 유성 치차(84)와 일체로 회전되는 작동 핀(88)이 태양 치차(83)의 외주를 따라 후방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작동 핀(88)의 후방단측의 위치와 전방단측의 위치의 차이분 만큼 다른 쪽의 홀더판(35)이 외측, 즉 척킹 부재(56)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제6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풀리 캐치(54, 55)의 갈퀴부(54d, 55d)가 척킹 링(62)에서 떨어지고, 척킹 부재(56)가 회전 자유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광학 픽업 장치(10)에 의해 광디스크(D)의 독취가 행해진다.
또한, 로딩 시, 언로딩 기어열(79)에 전달된 토오크는 3개의 중간 기어(79a 내지 79c)를 경유하여 4개째의 중간 기어(79d)까지 전달되지만, 이 중간 기어(79d)에 대해서 캠 기어(76)는 그 기어부(78)의 절결부(78a)가 위치하여 중간 기어(79d)와는 맞물리지 않기 때문에, 이 보다도 하류측에 모터 토오크가 전달되는 일이 없다.
(4-4) 광디스크의 이젝트 조작
광디스크(D)의 독취 종료 후의 광디스크(D)의 배출은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이젝트용의 조작 버튼(4)의 조작에 의해 구동 회로에 디스크 배출의 명령이 지시되면, 로딩용 모터(42)가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유성 치차 장치(81)가 디스크 로딩 시와는 역의 회전을 시작한다.
이에 따라,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성 치차(84) 및 작동 핀(88)이 전술한 것과는 역방향으로 이동하여, 한쌍의 홀더판(34, 35)이 함께 내측, 즉 척킹 부재(5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캠 레버(32) 및 기어 레버(33)의 작동을 거쳐 서브 샤시(7)가 내려져서 전방이 후방보다 처지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턴테이블(11)이 척킹 부재(56)로부터 떨어져서 광디스크(D)의 배출이 가능해진다.
전술한 유성 치차 장치(81)의 작동에 의해, 좌우의 홀더판(34, 35)이 전방측으로 반송되어 제15도의 상태에서 제16도의 상태로 된다. 이 때, 좌우의 홀더판(34, 35)이 소정 위치까지 전진하면, 판 스프링(51)의 조작부(51a)가 래크 구동 기어(75)와 일체의 캠 레버(41)에 설치된 조작 핀(53)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캠 레버(41)가 지지축(74a)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때까지 캠 기어(76)의 캠부(77)의 결합 오목부(77a)에 결합되어 있던 캠 핀(41a)이 결합 오목부(77a)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캠 기어(76)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모터 토오크가 캠 기어(76)를 거쳐 래크 구동 기어(75)에 전달된다. 그 결과, 래크 구동 기어(75)의 회전에 의해 래크부(40d)에 맞물리는 래크판(40)이 장치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로 인해, 광디스크(D)가 제16도에 도시하는 로딩 위치로부터 제11도에 도시하는 당초의 배출 위치까지 배출된다.
래크판(40)이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 래크판(40)의 전방 단부에 설치된 캠부(40a)를 따라 이젝트 레버(69)의 캠 핀(69a)이 외측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이젝트 레버(69)가 회전축(7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래크판(40)의 전방 래크부(40c)가 홀더 구동 기어(70)에 맞물리는 동시에, 이 홀더 구동 기어(70)가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와 일체의 부채꼴형 기어(68)에 맞물린다.
그 때문에, 홀더 구동 기어(70)의 회전력에 의해 한 쪽의 디스크 홀더(36)가 내측으로 선회 동작되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D)가 디스크 삽입 슬롯(3)에서 절반 이상 배출된다.
또한, 동시에 홀더판(35)에 설치된 이젝트 아암(38)이 코일 스프링(89)의 편의력에 의해 그 조작편(38c)이 광디스크(D)의 외주부를 가압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광디스크(D)의 배출 상태에 의하면, 그 중앙부의 척킹 구멍(d)이 디스크 삽입 슬롯(3)의 외측까지 노출되기 때문에, 디스크 중앙부를 갖고 취출할 수가 있으며, 광디스크(D)의 신호 기록면을 오염시키는 바와 같은 염려는 없다.
(4-5) 광디스크의 수동 취출 조작
최상부 샤시(31)에 축 지지되어 있는 캠 기어(76)가 정전이나 고장 등에 의해 회전할 수 없게 된 경우에는, 제17도에 도시되는 수동 조작 기구(100)를 조작함으로써 수동으로 광디스크(D)를 배출할 수 있다.
즉, 활주 레버(103)를 가압하면, 지레형 레버(102)의 요동 동작을 거쳐 요동 레버(101)가 후방으로 선회하면서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요동 레버(101)의 기어부(101a)가 유성 치차 장치(81)의 외부 소치차(82b)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유성 치차 장치(81)의 회전이 가능해지고, 그 회전 토오크가 언로딩 기어열(79), 캠 기어(76)를 거쳐 래크 구동 기어(75)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래크판(40)이 전방으로 이동하므로, 광디스크(D)가 배출된다.
이상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CD나 CD-ROM 등의 광디스크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 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MO 등의 광자기 디스크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 하여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각종의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광학 디스크(D) 상에 기록된 정보의 재생(독취)을 행하는 슬롯 인 방식의 디스크 재생 장치에 대해 설명했지만, 정보의 기록만을 행하는 기록 전용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정보의 기록 및 재생의 양쪽을 행할 수 있는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디스크 홀더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확실하게 협지하여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구조가 간단해서 싼 값으로 제조되는 디스크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정보 기록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재생 장치에 있어서,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주연부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홈을 갖는 한쌍의 디스크 홀더와,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편의하는 제1편의 수단과,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편의하는 제2편의 수단과,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삽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에 보유지지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척킹 위치까지 반송하기 위한 로딩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 중 적어도 한쪽의 디스크 홀더를 회전시켜서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배출시키는 배출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 중 한쪽의 디스크 홀더에는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삽입력을 받는 입력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 수단은 로딩 모터와, 이 로딩 모터의 회전 토오크에 의해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이동 조작하도록 회전하는 치차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치차 기구는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하고, 또 협지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해방하도록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치차 기구는 태양 치차와, 이 태양 치차에 맞물려 태양 치차를 중심으로 공전하는 유성 치차로 이루어진 유성 치차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 치차 기구는 상기 태양 치차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유성 치차를 일체로 회전시키는 작동 부재를 구비하고, 이 작동 부재 및 유성 치차가 상기 태양 치차의 외주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가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협지 및 협지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디스크 홀더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지지 부재는 상기 유성 치차가 걸리는 후크부를 가지며, 제2지지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가 활주가능하게 접하는 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척킹 위치에 반송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디스크 테이블로 척킹시키기 위한 척킹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로딩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지지 부재를 디스크형 기록 매체가 상기 디스크 척킹 위치까지 반송되도록 이동 조작하는 동시에, 상기 척킹 수단의 디스크 테이블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또 규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재생 장치.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5294A 1996-07-26 1997-07-26 디스크 재생 장치 KR9800112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98208 1996-07-26
JP19820896A JP3728816B2 (ja) 1996-07-26 1996-07-26 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251A true KR980011251A (ko) 1998-04-30

Family

ID=1638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294A KR980011251A (ko) 1996-07-26 1997-07-26 디스크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16299A (ko)
JP (1) JP3728816B2 (ko)
KR (1) KR9800112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49691A (ja) * 1997-11-17 1999-06-02 Sony Corp ディスク装置
JP3021442B2 (ja) * 1997-12-31 2000-03-15 三星電子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ヤ―
US6577579B1 (en) * 1999-02-23 2003-06-1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drive apparatus of slot loading type
US7051344B2 (en) * 2000-11-20 2006-05-23 Sony Corporation Disk tray moving device and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US7373648B2 (en) * 2003-07-22 2008-05-13 Sony Corporation Disk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
JP4294616B2 (ja) * 2005-06-10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KR20080051682A (ko) * 2006-12-06 200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로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4349448B2 (ja) * 2007-07-30 2009-10-21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2025053B1 (ko) * 2016-10-04 2019-09-24 가부시키가이샤 아루박 게이트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4923Y2 (ko) * 1988-10-26 1993-11-16
JPH02183458A (ja) * 1989-01-09 1990-07-18 Clarion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US5255255A (en) * 1990-11-27 1993-10-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loading device
JP2784971B2 (ja) * 1992-02-25 1998-08-13 株式会社ケンウッド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DE69523714T2 (de) * 1994-08-26 2002-07-25 Nakamichi Corp., Kodaira Plattenwiedergabevorrichtung
JP3402408B2 (ja) * 1994-11-02 2003-05-0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28816B2 (ja) 2005-12-21
US6016299A (en) 2000-01-18
JPH1049954A (ja) 199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0698B2 (ja) 記録再生装置
KR980011251A (ko) 디스크 재생 장치
JP2007157190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254620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569643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008004212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470861B2 (ja)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27783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4299889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4525560B2 (ja) ディスク搬送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6127719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315067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422901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591019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357269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H08167209A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367405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1021618A (ja) 円盤状記録媒体搬送装置
JP5035032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1021617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3714359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59102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機構
JP3674492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714358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403411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機構と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