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106B1 - 기록매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기록매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106B1
KR100417106B1 KR10-2001-0062015A KR20010062015A KR100417106B1 KR 100417106 B1 KR100417106 B1 KR 100417106B1 KR 20010062015 A KR20010062015 A KR 20010062015A KR 100417106 B1 KR100417106 B1 KR 10041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disc
disk
lev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9610A (ko
Inventor
카바사와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423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23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423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231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142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2124000A/ja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9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1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15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11B19/124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involving the detection of diameter of disks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 가능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치공간 절약화, 고장 발생 방지, 기록매체 삽입시의 사용성 향상, 간단한 구성 및 저비용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캐리어유니트(70)와, 이 유니트를 지지하는 홀더(40)와, 그 유니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캐리어 위치검출용 캠(140)과, 그 유니트를 구동하는 로딩 모터와, 그 기록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턴테이블(24)을 구비한 베이스(20)와, 기록매체를 턴테이블에 고정하는 클램프 기구와,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스위치들과, 상기 모터 및 클램프 기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그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은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검출하고, 그 제어수단은, 기록매체의 반송시에 그 유니트가 동작되도록 외부의 삽입력을 고려한 구동력을 모터에 발생시키고, 판별된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그 턴테이블에 고정시키며, 기록매체의 종류에 대응한 서로 다른 복수의 검출위치가 적어도 일 개소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게 하여, 그 유니트가 이동하였을 때 제어수단이 그 유니트의 구동상태를 변경시켜,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반송한다.

Description

기록매체 장착장치{DEVICE OF MOUNTING RECORD CARRIER}
본 발명은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종류의 기록매체를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 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관해서, 복수 종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호환성을 갖게 한 디스크장치(이하, 호환 디스크장치라 함)에 탑재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혹은 워드프로세서 등의 전자장치에서는, 정보를 재생 및/또는 기록하는 수단으로서 디스크장치를 내장 혹은 외장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이 디스크장치는, 기록매체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사용하여 디스크장치 내부에 장착되어,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형 기록매체도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제공되어 있고, 예컨대 CD(Compact Disc), CD-R(Compact Disc-Recordable), CD-ROM(Compact Disc-Read Only Memory), CD-RW(Compact Disc-Rewritable), DVD-ROM(Digital Versatile Disc-Read Only Memory), DVD-RAM(Digital Versatile Disc-Random Access Memory)등이알려져 있다. 이들은, 12 센티미터의 직경을 갖는 디스크와, 8 센티미터의 두 가지가 있다. 또한, DVD-RAM은, 디스크를 디스크 카트리지 내에 장착한 구성으로 된 것을 추가하여 3종류가 있다.
상기한 것처럼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여러 가지의 형태의 것이 제공되어 있지만, 이것들의 각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1대의 디스크장치에 의해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를 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이 때문에, 상기한 각 종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대하여 호환성을 갖게 한 호환 디스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이 호환 디스크장치에서는, 형태가 다른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디스크장치 본체에 반송해야 할 필요가 있지만, 종래의 기록매체 장착장치는 각 종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디스크장치 본체에 반송하는 수단으로서 트레이를 사용하였다.
이 트레이는 디스크장치 본체에 대하여 인출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장착시 및 배출시(이하, 이젝트시라 함)에 있어서 디스크장치 본체로부터 인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의 디스크 장착면에는, 12cm 디스크, 8cm 디스크, 및 디스크 카트리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형태가 다른 각 종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 상에 장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었다.
종래의 호환 디스크장치는, 상기와 같이 형태가 다른 각 종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하기 위해서 트레이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트레이에장착탈할 때, 필연적으로 트레이를 디스크장치 본체로부터 심하게 인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호환 디스크장치에서는, 장치를 설치할 때에, 미리 트레이의 인출량을 예상한 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설치공간이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스크 장치 본체로부터 트레이가 심하게 인출된 상태에서는, 외력이 트레이에 인가되기 쉽다. 이 때문에, 트레이를 사용하여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구성에서는, 외력 인가에 의해 트레이가 고장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이 문제점을 해결한 기록매체 장착장치로서는,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클램프 레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외주 위치를 클램프 하여 디스크 장치 본체에 인입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클램프 레버를 사용한 구성에서는, 클램프 레버를 장치내의 복수 개소에서 정지시킬 필요가 생긴다.
즉, 트레이를 사용한 기록매체 장착장치는, 다른 형태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어도 트레이의 장착 오목부에 장착한 시점에서 각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위치(클램프 되는 위치)는 동일해진다. 이 때문에, 트레이를 사용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서는, 트레이의 인입 위치를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시킬 필요는 없다.
그러나, 클램프 레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구성에서는, 클램프 레버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외주(예를 들면, 삽입방향 선단부)를 지지하는 구성이므로, 8cm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클램프 하는 클램프 레버의 위치와, 12cm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클램프 하는 클램프 레버의 위치는 달라진다.
구체적으로는, 12cm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클램프 하는 클램프 레버의 위치는, 8cm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클램프 하는 클램프 레버의 위치에 대하여, 삽입방향에 대하여 깊숙한 안쪽의 위치가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클램프 레버가 각 디스크를 클램프 하는 위치, 또한 각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장착한 후에 디스크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퇴피하는 위치도 디스크의 종류마다 다르다. 이 때문에, 클램프 레버의 이동제어를 할 때, 상기와 같이 디스크의 종류마다 설정되는 각 정지 위치에 클램프 레버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구성에서는, 트레이의 정지 위치는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2개소일 뿐이다. 이 때문에, 클램프 레버를 사용하여 다른 종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방법에서는, 종래의 트레이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에서 사용된 반송제어에서는 대응할 수 없다고 하는 제 1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꾀함과 동시에 고장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제 1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클램프 레버를 이동 제어할 때에, 이 클램프 레버의 정지위치를 검출하는 수단으로는, 값싸고 신뢰성이 높은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온/오프 스위치를 클램프 레버의 소정 정지 위치에 설치하고, 클램프 레버의 이동에 따라 클램프 레버가 온/오프 스위치를 가압 조작하도록 구성하므로써, 클램프 레버의 정지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1 종류의 디스크를 클램프 레버에 의해 디스크 반송하는 경우에는, 이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한 구성으로도, 클램프 레버의 정지 위치가 적기 때문에(예컨대, 3 개소), 설치할 온/오프 스위치 수가 적어도 된다. 그러나, 복수 종류의 디스크를 장착 가능하게 한 호환 디스크장치에서는, 클램프 레버의 정지위치가 많아져 버린다. 즉, 예를 들면, 3 종류의 디스크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된 호환 디스크장치는, 3종류의 디스크에 각각 3 개소의 정지위치가 있으면, 합계 9개의 온/오프 스위치가 필요해진다.
따라서, 간단히 종래 행해진 온/오프 스위치를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으로 클램프 레버의 정지위치를 검출하려고 한 경우, 필요해지는 스위치 수가 많아져,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부품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구성이 복잡화됨과 동시에 비용이 상승해버린다고 하는 제 2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2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성의 간단화 및 저비용화를 꾀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제 2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에서 클램프 레버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 하여 디스크 장치 본체에 인입하는 구성에 있어서, 그 클램프 레버를 사용한 구성은, 클램프 레버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지지되면, 이에 따라 클램프 레버를 구동하는 모터의 가동이 시작된다. 이때, 종래는 클램프 레버를 구동하는 모터는 풀 가동된다.
이 때문에, 호환 디스크장치의 조작자가, 장착하려고 한 것과 다른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오삽입한 것을 삽입 직후에 알아차렸다고 하여도, 종래의 기록매체 장착장치에서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반송을 중지할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오삽입한 경우에는, 일단 로딩 위치(재생 및/또는 기록처리가 행해지는 위치)에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된 후가 아니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교환할 수 없어, 사용성이 나쁘다고 하는 제 3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제 3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삽입시에 사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제 3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의 측면도로, 홀더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에 설치되는 캐리어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캐리어유니트에 설치되는 클립 디스크의 사시도,
도 7은 클립 디스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첫 번째 도면,
도 8은 클립 디스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두 번째 도면,
도 9는 클립 디스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세 번째 도면,
도 10은 캐리어유니트에 설치되는 디스크 검출 스위치 및 디스크용 만곡벽을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디스크 레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에 8cm 디스크가 로딩 시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에 8cm 디스크가 로딩 완료 위치까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가 8cm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재생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에 12cm 디스크가 로딩 시작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에 12cm 디스크가 로딩 완료 위치까지 로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가 12cm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재생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에 디스크 카트리지가 로딩 시작위치까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가 디스크 카트리지내의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재생처리를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왼쪽 레일의 상세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은 캐리어유니트의 위치와,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 및 SW1, SW2, SW3의 동작 관계를 갖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23은 제어장치가 실시하는 반송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첫 번째 흐름도,
도 24는 제어장치가 실시하는 반송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첫 번째 흐름도,
도 25는 제어장치가 실시하는 반송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두 번째 흐름도,
도 26은 제어장치가 실시하는 반송제어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세 번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디스크장치 11 : 8cm 디스크
12 : 12cm 디스크 13 : 디스크 카트리지
20 : 베이스 24 : 턴테이블
26 : 픽업 28 :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
29 :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 30 : 홀더 구동 슬라이더
40 : 홀더 46 : 수하부
47, 48 : 종동핀 50 : 오른쪽 레일
51 : 왼쪽 레일 53 :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개구
54 :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 58 : 클램퍼
60 : 디스크 레버 63 : 걸어 맞춤 갈고리부
65 :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 66 : 걸어 맞춤부
70 : 캐리어유니트 74 : 클립 디스크
74-1 : 제 1 클립 디스크 74-2 : 제 2 클립 디스크
74-3 : 제 3 클립 디스크 74-4 : 제 4 클립 디스크
77 : 카트리지 레버 78 : 셔터 레버
79 : 판 스프링 85 : 고정부
86 : 설편부 86-8 : 8cm 디스크용 설편부
86-12 : 12cm 디스크용 설편부 93 : 디스크 대향면
94 : 8cm 디스크용 만곡벽 95 : 12cm 디스크용 만곡벽
96 : 8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8-SW)
97 : 12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12-SW)
98 :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DC-SW)
100 : 로딩 모터 102 : 기어
103, 104 :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 106 : 걸어 맞춤 갈고리
108 :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 113 : 셔터 구동핀
115 : 셔터 레버 부세 스프링 120 : 베이스 커버
126 : 슬릿 130 : 프론트 베젤
140 :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 141 : 상단 캠부
142 : 하단 캠부 150 : 제어장치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캐리어에 상당함)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반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기록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수단을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및 고정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조작부재에 의해 하나의 절환기를 조작하여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반송시에 상기 반송기구가 동작되도록 외부의 삽입력을 고려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수단에 발생시키고, 상기 판별된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고정시키며,
상기 기록매체의 종류에 대응한 서로 다른 복수의 검출위치가 적어도 일 개소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게 하여, 상기 반송기구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어수단이 반송기구의 구동상태를 변경시켜,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 1 국면의 구체적인 내용인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국면들을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지지 가능하게 된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삽입/배출 방향으로 구동하는 반송기구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기록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수단을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홀더와 상기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켜,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하는 클램프 기구와,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수단과,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 및 상기 클램프 기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매체 판별수단에 의해 지지된 기록매체의 종류가 판별된 때,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판별된 해당 기록매체에 대응한 고유의 클램프 위치까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시킨 후, 상기 클램프 기구에 의해 해당 기록매체를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지지 가능하게 된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삽입/배출방향으로 구동하는 반송기구 구동수단과,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디스크 판별수단과,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검출위치에서, 상기 반송기구의 구동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디스크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와,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가 적어도 1개소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국면은, 상기 제 3 국면에 기재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는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상기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하는 위치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상기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인입 시작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국면은, 제 3 국면에 기재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는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상기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퇴피위치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 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상기 제 2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지지 가능하게 된 반송기구는, 홀더 내를 반송기구 구동수단에 구동되어 기록매체의 삽입/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기록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클램프 기구는 홀더와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기록매체를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한다.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 및 클램프 기구는, 제어수단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또한, 매체 판별수단은,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한다.
또한, 기록매체 판별수단에 의해 지지된 기록매체의 종류가 판별된 때, 제어수단은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판별된 해당 기록매체에 대응한 고유의 클램프 위치까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시킨 후, 클램프 기구에 의해해당 기록매체를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한다.
이에 따라,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장착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각 종류마다 설정되어 있는 고유의 클램프 위치까지 기록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어, 복수 종류인 기록매체이더라도 이들을 확실히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지지 가능하게 된 반송기구는, 반송기구 구동수단에 구동되어 홀더 내를 기록매체의 삽입/배출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어수단은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구동 제어하고,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검출위치에 반송기구가 이동하였을 때,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반송기구의 구동상태를 변경한다.
이때,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와,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가, 적어도 1 개소에서 같은 위치가 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구성으로도, 검출위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이 실행하는 제어처리를 용이화 할 수 있고, 또한 반송기구가 소정의 검출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제 4 국면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나의 기록매체를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 하고, 이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를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 하는 위치로 하고, 또한, 상기 다른 기록매체를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 하고, 이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를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인입 시작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제 5 국면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하나의 기록매체를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 하고, 이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를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퇴피위치로 하고, 또한,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로 하고, 이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하는 위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국면들을 갖는다.
먼저, 본 발명의 제 6 국면은,
기록매체를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그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위치 검출수단을,
상기 반송기구에 설치되고, 조작됨으로써 온/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기구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부재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스위치 조작부재가, 상기 반송기구의 소정 검출위치마다 상기 스위치에 대하여 다른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7 국면은, 제 6 국면에 기재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는 것에 의해 온/오프하는 구성으로 하여 상기 스위치 조작부재를 상기 반송기구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스위치 가압 캠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8 국면은, 상기 제 7 국면에 기재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압 캠을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를 상기 스위치 가압 캠의 설치 수와 같은 수로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각 수단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제 6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는 홀더 내를 반송기구로 지지된 상태에서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반송된다. 또한, 반송시에 있어서의 반송기구의 위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은, 반송기구에 설치된 스위치와, 이 스위치를 반송기구의 이동에 따라서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부재는, 반송기구의 소정 검출위치마다 스위치에대하여 다른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복수의 반송기구의 검출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반송기구의 검출위치가 다수 개소 있더라도, 이것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서,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구성의 간단화 및 부품 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제 7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는 것에 의해 온/오프하는 구성으로 함과 동시에 스위치 조작부재를 스위치 가압 캠에 의해 구성하므로써, 스위치 가압 캠에 형성되는 캠 형상을 반송기구의 검출위치마다 다르게 해 놓은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 8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가압 캠과 스위치의 조를 복수로 설치하고, 이 복수의 스위치의 온/오프의 조합에 의하여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적은 스위치 수 및 스위치 수로 다수 개소에서의 위치검출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9 국면은,
삽입된 기록매체를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반송하는 기록매체반송기구와, 상기 기록매체 반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젝트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삽입방향 전방에 있는 로딩시작 위치까지의 사이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만으로는 상기 기록매체 반송기구가 동작하지 않는 크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수단에 발생시키도록 제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9 국면에 의하면, 삽입된 기록매체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기록매체 반송기구에 의해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반송된다. 또한, 구동수단은 제어수단을 제어하므로써 기록매체 반송기구에 의한 기록매체의 반송을 제어한다.
이 기록매체의 반송시, 제어수단은, 이젝트 위치로부터 로딩 시작위치까지의 사이는, 구동수단의 구동력만으로는 기록매체 반송기구가 동작하지 않은 크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수단에 발생시키도록 제어처리를 한다.
따라서, 이젝트 위치로부터 로딩 시작위치까지의 사이에서는, 기록매체 삽입력(기록매체를 삽입하고자 하는 조작자에 의한 삽입력)이 인가되어 있을 때는, 이 삽입력이 어시스트 힘이 되어 기록매체 반송기구는 동작한다. 또한, 삽입력의 인가를 정지하면, 기록매체 반송기구는 기록매체의 반송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조작자가 장착하려고 한 것과 다른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오삽입한 것을 삽입 직후에 알아차린 경우, 삽입을 정지하므로써 기록매체 반송기구는 그 이상의 기록매체의 반송을 정지한다. 따라서, 조작자는 종래와 같이 일단 로딩 위치에 기록매체가 장착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오삽입을 알아차린 시점에서 기록매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설치한 디스크장치(10)를 보이고 있다. 도 1은 디스크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디스크장치(10)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디스크장치(10)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디스크장치(10)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장치(10)는, 8cm의 직경을 갖는 CD, CD-ROM, CD-R, CD-RW, DVD-ROM, DVD-RAM(이하, 8cm 디스크(11)라 함), 12cm의 직경을 갖는 CD, CD-ROM, CD-R, CD-RW, DVD-ROM, DVD-RAM(이하, 이 디스크들을 총칭하여 12cm 디스크(12)라 함), 및 DVD-RAM(14)이 장착된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장착하여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를 할 수 있는, 소위 호환 디스크장치이다.
또한, 8cm 디스크(11) 및 12cm 디스크(12)는, 디스크 카트리지에 장착되지 않고 디스크 그대로의 상태로 디스크장치(10)에 장착된다. 이에 대하여, DVD-RAM(14)은, 디스크 카트리지(13) 내에 장착된다.
디스크장치(10)는, 대략, 베이스(20), 홀더(40), 캐리어유니트(70) 및 베이스커버(12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20)는, 베이스 본체(21)에 턴테이블(24), 픽업(26),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9)등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본체(21)는 평판상의 기판으로, 제 1 개구부(22) 및 제 2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22)에는, 이것을 횡으로 걸쳐놓도록 도면에서 화살표 Y1, Y2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가이드 샤프트(27)가 설치되어 있고, 이 각 가이드 샤프트(27)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있다.
픽업(26)은, 각 가이드 샤프트(27)로 안내되어, 픽업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각 디스크(11, 12, 14)의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픽업(26)은,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가 행하여지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 로딩 위치라 함)로 반송된 상태의 각 디스크(11, 12, 14)에 대하여 레이저 광을 조사하고, 또 그 반사광을 수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픽업(26)은 각 디스크(11, 12, 14)에 대하여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를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턴테이블(24)은, 베이스 본체(21)에 설치된 디스크 모터(25)에 의해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24)은, 각 디스크(11, 12, 14)가 로딩 위치에 반송되었을 때, 후술한 것처럼 홀더(40)가 이동함에 의해 각 디스크(11, 12, 14)의 중심 구멍(11a, 12a, 14a)과 걸어 맞추어지고, 클램퍼(58)와 협동하여 각 디스크(11, 12, 14)를 클램프 한다. 따라서, 각 디스크(11, 12, 14)는, 디스크 모터(25)에 의해 소정 회전수로 회전한다.
또한, 베이스 본체(21)의 배면에서 제 2 개구부(23)의 근방 위치에는, 홀더 구동 슬라이더(30)가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홀더 구동 슬라이더(30)는, 클램핑 모터(68)(도 3에는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X1, X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클램핑 모터(68)는, 디스크장치(10) 및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제어장치(150)(도 22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구동제어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홀더 구동 슬라이더(30)의 소정 위치에는, 상하방향(도면에서 화살표 Z1, Z2방향)으로 연장하는 캠판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캠판부(31)에는 긴 구멍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경사 캠(32, 33)이 설치된다. 이 각 경사 캠(32, 33)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대략 Z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 구동 슬라이더(30)가 클램핑 모터(68)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X1,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각 경사 캠(32, 33)도 도면의 화살표 X1, X2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은, 베이스 본체(21)에 도면에서 화살표 Z1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이다(도 1, 도 3 및 도 4a에 상세함). 이 제 1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은, 후술할 디스크 레버(60)의 설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홀더(40)는, 베이스(20)와 베이스 커버(120)의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오른쪽 레일(50), 왼쪽 레일(51), 클램퍼 홀더(59), 디스크 레버(60) 및 캐리어유니트(70)가 설치된다. 또한, 홀더(40)는, 후에 상술한 것처럼 베이스(20)와 베이스 커버(120)의 사이에서 회동축(57)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베이스(20)와 베이스 커버(120)는 고정되어 있다.
이 홀더(40)는, 금속판을 절곡 형성하여서 바닥판부(41), 우측벽부(42) 및 좌측벽부(43)를 일체적으로 성형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닥판부(41)에는, 제 1 개구부(44), 제 2 개구부(45) 및 제 3 개구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개구부(44)는, 상기한 베이스(20)에 설치된 턴테이블(24)의 설치 위치, 및 픽업(26)의 이동위치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턴테이블(24)은, 제 1 개구부(22)를 통해 각 디스크(11, 12, 14)를 장착하고, 또한 레이저 광은 픽업(26)과 각 디스크(11, 12, 14)의 사이에서 제 1 개구부(22)를 통해 주고받는다.
제 2 개구부(45)는, 그 가장자리에 수하(垂下)부(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하부(46)는, 바닥판부(41)에서 아래쪽(도면에서, 화살표 Z2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수하부(46)는, 한 쌍의 종동(從動)핀(47, 48)이 설치된다.
이 수하부(46)는, 홀더(40)를 베이스(20)에 맞붙인 상태에서, 베이스(20)에 형성된 제 2 개구부(23)로부터 베이스 배면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하부(46)에 설치된 종동핀(47, 48)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홀더 구동 슬라이더(30)에 설치된 캠판부(31)의 경사 캠(32, 33)에 걸어 맞추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디스크장치(10)가 도 3에 나타낸 상태(도 4a에 나타낸 상태와 동일)로부터 클램핑 모터(68)가 구동하여, 홀더 구동 슬라이더(30)가 도면에서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종동핀 47은 경사 캠 32내를, 종동핀 48은 경사 캠 33내를 상대적으로 아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수하부(46)가 설치되는 홀더(40)는, 회동축(57)을 중심으로 도 4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종동핀(47, 48)이 경사 캠(32, 33)의 하단부에 이른 상태에서,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홀더(40)는 베이스(20)와 접촉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상태(이하, 이 상태를 홀더(40)의 하동(下動) 위치라함)로부터 클램핑 모터(68)가 구동하여 홀더 구동 슬라이더(30)가 도면에서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에 따라 각 종동핀(47, 48)은 각 경사 캠(32, 33)내를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홀더(40)는 회동축(57)을 중심으로 도 4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그리고 종동핀(47, 48)이 경사 캠(32, 33)의 상단부에 이른 상태에서, 도 3 및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홀더(40)는 베이스(2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하, 이 상태를 홀더(40)의 상동(上動) 위치라 함)가 된다.
한편, 제 3 개구부(49)는, 상기한 베이스(20)에 설치된 제 1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40)가 하동 위치로 이동하면, 제 1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은, 이 제 3 개구부(49)를 통해 바닥판부(41)의 상부에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으로 된 바닥판부(41)의 우측부에는 우측벽부(42)가, 또한 좌측부에는 좌측벽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각 측벽부(42, 43)의 상부 소정 범위는, 내측을 향해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에 의해 플랜지(flange)부(55, 56)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홀더(40)의 양측부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대략자형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55, 56)를 갖는 각 측벽부(42, 43)에는, 레일(50, 51)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측벽부(42)에는 오른쪽 레일(50)이 고정되고, 좌측벽부(43)에는 왼쪽 레일(51)이 고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각 레일(50, 51)은, 수지 성형된 것으로, 홀더(40)의 양 측벽부(42, 43)를 따라 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각 레일(50, 51)의 단면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대략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후술할 캐리어유니트(70)는, 이 레일(50, 51)을 가이드로서 도면에서 화살표 Y1, Y2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왼쪽 레일(51)의 내벽 부분에는, 도 20에 나타낸 것처럼, 랙(rack) 기어(52) 및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이 형성되어 있다.
랙 기어(52)는,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은, 상부에 상단 캠부(141)가 형성됨과 동시에 하부에 하단 캠부(142)가 형성된 2단 구조의 캠이다. 도 21은,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을 형성하는 상단 캠부(141) 및 하단 캠부(142)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일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상단 캠부(141)는, 도면에서 좌단으로부터 도면에서 Y1방향으로 향하고, 제 1 볼록부(141a), 제 1 오목부(141b), 제 2 볼록부(141c), 제 2 오목부(141d), 제 3 오목부(141e)가 순차 형성된 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하단 캠부(142)는, 도면에서 좌단으로부터 도면에서 Y1방향으로 향하고, 볼록부(142a), 오목부(142b)가 순차 형성된 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각 캠부(141, 142)의 캠 형상은, 후술하는 캐리어유니트(70)의 소정 정지 위치에 대응하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 레일(50)에는 우측벽부(42)를 포함시켜 도면에서 화살표 X1, X2 방향으로 관통하는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개구(53)가 형성되고, 또한 왼쪽 레일(51)에는 좌측벽부(43)를 포함시켜 도면에서 화살표 X1, X2 방향으로 관통하는디스크 레버용 개구(6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각 레일(50, 51)은 홀더(4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고, 홀더(40)에 대하여 변위하는 경우는 없다.
디스크 레버(6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레버 본체부(61), 회전축(62), 걸어 맞춤 갈고리(係合爪)부(63) 및 걸어 맞춤부(66)를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축(62)은, 레버 본체부(61)의 도 1에서 Y1 방향 단부에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축(62)은, 홀더(40)의 좌측벽부(43)에 형성된 베어링부(64)에 끼워진다. 상기한 것처럼, 왼쪽 레일(51) 및 좌측벽부(43)에는 디스크 레버용 개구(67)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레버용 개구(67)내에서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레버 본체부(61)는 평판형상으로 되어 있고, 홀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닥판부(41) 상에 얹어 놓는다. 따라서, 디스크 레버(60)가 회동함에 의해, 레버 본체부(61)는 바닥판부(41)상을 접동(摺動)한다. 또한, 레버 본체부(61)의 소정 위치에는 걸어 맞춤부(6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 맞춤부(66)는 홀더(40)가 하동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베이스(20)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또는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과 선택적으로 걸어 맞추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상하 한 쌍의 갈고리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고, 레버 본체부(61)의 도 1에서의 화살표 Y2 방향 단부에 세워져 설치된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후술한 것처럼 8cm 디스크(11) 혹은 12cm 디스크(12)가 디스크장치(10) 내에 삽입되어 반송될 때, 각 디스크(11, 12)의 삽입 방향 후방부와 걸어 맞추어져 이것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구성으로 된 디스크 레버(60)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레버 부세(付勢) 스프링(65)에 접속되어 있다. 이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은, 화살표 Y1 방향 단부가 홀더(40)에 접속되어 있고, 화살표 Y2 방향 단부가 디스크 레버(60)에 접속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에 의해, 디스크 레버(60)는, 평면에서 본 상태에서 회전축(6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 동하는 힘을 받는다.
한편, 클램퍼 홀더(59)는, 양측부를 플랜지부(55, 56)에 나사 고정되는 것에 의해 홀더(40)의 상부에 부착된다. 이 클램퍼 홀더(59)는, 그 중앙부에 클램퍼(58)가 설치된다. 이 클램퍼(58)의 설치 위치는, 베이스(20)에 설치된 턴테이블(24)의 설치 위치와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이 클램퍼(58)는, 도 4a에 도시한 것처럼 홀더(40)가 상동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턴테이블(24)과 이격시켜 두고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의 홀더(40)내로의 장착을 허용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의 홀더(40)내로의 반송에 따라, 홀더(40)가 도 4b에 도시한 하동 위치로 이동하면, 상대적으로 클램퍼(58)는 턴테이블(24)에 근접한다.
그리고, 반송이 완료한 시점에서,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은 접촉하여, 각 디스크(11, 12, 14)는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이때, 클램퍼(58)에는 클램프용 자석이 설치되어 있고, 턴테이블(24)에는 클램프용 요크(yoke)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클램프용 자석이 자력에 의해 클램프용 요크를 흡착함으로써, 각 디스크(11, 12, 14)는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확실히 클램프 된다.
이어서, 캐리어유니트(70)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4와 아울러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캐리어유니트(70)는,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상기한 홀더(40)에 도면에서 화살표 Y1, Y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지지한 상태에서 캐리어유니트(70)가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는 삽입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지지한 상태로 캐리어유니트(70)가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는 배출방향으로 반송된다.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는 상부 반체(71), 오른쪽 하부 반체(72), 왼쪽 하부 반체(73), 클립(clip) 디스크(74-1∼74-4), 카트리지 레버(77)및 셔터 레버(78)등으로 구성된다.
각 반체(71∼73)는 수지 성형된 것으로, 협동하여 캐리어 본체를 구성한다. 상부 반체(71)는, 오른쪽부(71a)와 왼쪽부(71b)가 연통부(71c)에 의해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오른쪽부(71a)의 상면에는 제 1 클립 디스크(74-1) 및 판 스프링(79)이 설치되는 장착 오목부(91)가 형성되어 있고, 왼쪽부(71b)에는 제 3 클립 디스크(74-3)가 설치되는 장착 오목부(9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부(71a)의 우측부 근방에는, 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연장하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에는, 카트리지 레버(77)의 축부(105)가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이 카트리지 레버(77)는, 디스크 카트리지(13)를 반송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지만, 설명의 편의상 그 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오른쪽부(71a)의 상면에는 축 구멍(117)이 형성되어 있고, 셔터 레버(78)는 이 축 구멍(117)에 장착된다. 셔터 레버(78)는, 디스크 카트리지(13)가 디스크장치(10)에 삽입될 때, 디스크 카트리지(13)에 설치되는 셔터(150)를 개폐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 셔터 레버(78)는, 판형의 레버 본체(109)의 일단부 근방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축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110)가 축 구멍(117)으로 회동 가능하게 끼워 통하는 것에 의해 상부 반체(71)에 장착된다. 또한, 이 축부(110)가 축 구멍(117)으로 끼워서 통하는 위치에는,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셔터 레버 부세 스프링(115)이 설치된다.
이 셔터 레버 부세 스프링(115)은, 일단이 레버 본체(109)의 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114)와 걸어 맞추어지고, 타단부가 오른쪽부(71a)의 소정위치에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셔터 레버(78)는, 셔터 레버 부세 스프링(115)에 의해 축부(110)를 중심으로 하여 도 2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을 받는다.
또한, 레버 본체(109)의 타단부 근방에는, 레버 본체(109)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긴 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긴 구멍(112)에는, 셔터 구동핀(113)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셔터 구동핀(113)은,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레버 본체(109)보다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고, 디스크 카트리지(13)에 설치되는 셔터(150)와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 구동핀(113)은, 도 1에 도시되는 베이스 커버(120)에 형성된 슬릿(126)과도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3)가 디스크장치(10)에 대하여 삽입/배출될 때, 셔터 레버(78)의 회동에 따라 셔터 구동핀(113)이 긴 구멍(112) 및 슬릿(126)에 위치 규제되어 이동함에 의해 셔터(15)는 개폐된다.
또한, 레버 본체(109)의 중앙 위치에는, 걸어 맞춤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 맞춤 구멍(111)은,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에 따라 셔터(15)가 완전히 덮개를 여는 위치까지 회동한 시점에서, 상부 반체(71)에 설치된 판 스프링(79)(구체적으로는, 판 스프링(79)에 형성된 돌출부(116))과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3 내지 도 19 참조). 따라서, 셔터(15)가 완전히 덮개를 열은 후, 셔터 레버(78)가 셔터 레버 부세 스프링(115)의 부세력 및 판 스프링(79)의 걸어 맞추는 힘에 의해 셔터(15)의 덮개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은 방지되어, 셔터(15)는 덮개를 열은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배출시에는, 캐리어유니트(70)의 배출방향(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셔터 레버(78)에 설치된 셔터 구동핀(113)은 재차 슬릿(126)과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배출동작에 의해 셔터 구동핀(113)은 긴 구멍(112) 및 슬릿(126)에위치 규제되어 이동을 시작하고, 이에 따라 걸어 맞춤 구멍(111)과 판 스프링(79)의 걸어 맞춤은 해제되고, 셔터 레버(78)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셔터(15)는 덮개를 닫는다.
한편, 오른쪽 하부 반체(72)는, 상부 반체(71)를 구성하는 오른쪽부(71a)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오른쪽 하부 반체(72) 우측부 근방에는, 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연장하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에는, 카트리지 레버(77)의 하부에 위치하는 축부(105)(도면에 나타내지 않음)가 이동 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진다.
따라서, 오른쪽 하부 반체(72)가 상부 반체(71)에 고정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레버(77) 상하로 돌출한 축부(105)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에 이동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하게 걸어 맞춘다. 즉, 카트리지 레버(77)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의 형성 범위에 걸쳐서, 각 디스크(11, 12, 14)의 삽입탈 방향(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카트리지 레버(77)는 축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레버(77)에는,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의 일단부는, 카트리지 레버(77)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부(107)에 걸려 있고, 타단부는 오른쪽 하부 반체(72)의 소정 위치에 걸려져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레버(77)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내에서,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을 향하여 힘을 받고 있다.
또한, 오른쪽 하부 반체(72)에는 디스크 대향면(9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디스크 대향면(93)의 외주 위치에는 8cm 디스크용 만곡벽(94) 및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이 세워져 설치되고 있다.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은, 반경 4cm의 곡율을 갖고 있고, 또한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은 반경 6cm의 곡율을 갖고 있다.
그리고, 8cm 디스크(11)가 캐리어유니트(70)에 삽입되었을 때,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의 선단부분은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에 접촉하고, 또한 12cm 디스크(12)가 캐리어유니트(70)에 장착되었을 때, 12cm 디스크(12)의 삽입방향의 선단부분은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에 접촉한다. 상기한 것처럼, 각 디스크용 만곡벽(94, 95)은, 장착되는 각 디스크(11, 12)의 반경에 대응한 곡율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곡율이 큰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에 대하여, 곡율이 작은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은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된 8cm 디스크용 만곡벽(94) 및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은, 오른쪽부(71a), 왼쪽부(71b) 및 왼쪽 하부 반체(73)에도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부(71a) 및 왼쪽부(71b)에 형성된 각 디스크용 만곡벽(94, 95)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따라서, 8cm 디스크(11)가 캐리어유니트(70)에 삽입되었을 때, 8cm 디스크(11)는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에 접촉한다.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은, 8cm 디스크(11)의 외주와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히 8cm 디스크(11)를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에 꽉 누르는 것만으로,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한 8cm 디스크(1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마찬가지로, 12cm 디스크(12)가 캐리어유니트(70)에 삽입되었을 때, 12cm 디스크(12)는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에 접촉하지 않고서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에 접촉한다. 따라서, 간단히 12cm 디스크(12)를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에 꽉 누르는 것만으로,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한 12cm 디스크(12)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도 10 및 도 11 참조).
또한, 디스크 대향면(93)은, 각 디스크용 만곡벽(94, 95)으로부터 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기울어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각 디스크(11, 12)를 캐리어유니트(70)에 장착할 때, 각 디스크(11, 12)는 디스크 대향면(93)으로 안내되어 디스크용 만곡벽(94, 95)에 꽉 눌리게 되고, 이에 의해서도 각 디스크(11, 12)의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한 위치결정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3)가 디스크장치(10)에 삽입된 경우,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선단부는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에 접촉한다. 그리고, 이 접촉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한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위치결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오른쪽 하부 반체(72)에는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98)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접촉부(99)는 앞면(89)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캐리어유니트(70)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삽입된 것은,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98)의 출력에 의해 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98)는, 제어장치(150)에 접속되어 있다(도 22 참조).
한편, 왼쪽 하부 반체(73)에는, 로딩 모터(100), 기어군(101) 및 제 1 내지 제 3 위치 검출용 스위치(이하, SW1∼SW3라 함)가 설치되어 있다. 로딩 모터(100)는, 기어군(101)과 맞물림으로써, 기어군(101)을 구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기어군(101)의 최외부에 위치하는 기어(102)는, 왼쪽 하부 반체(73)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기어(102)는, 캐리어유니트(70)가 홀더(40)에 부착된 상태에서, 홀더(40)에 설치된 왼쪽 레일(51)에 형성된 랙 기어(52)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딩 모터(100)가 구동하고, 랙 기어(52)와 맞물린 기어(102)가 기어군(101)을 통해서 회동함으로써, 캐리어유니트(70)는 홀더(40) 내에서 도면에서화살표 Y1 방향(삽입방향) 또는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배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각 디스크(11, 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캐리어유니트(70)가 지지한 상태에서 로딩 모터(100)가 구동하면, 각 디스크(11, 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는 캐리어유니트(70)와 함께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삽입방향) 또는 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배출방향)으로 반송된다. 또한, 로딩 모터(100)는, 제어장치(150)(도 22 참조)에 접속되어 있고, 구동제어가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왼쪽 하부 반체(73)에도 8cm 디스크용 만곡벽(94) 및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이 설치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이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에는 8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가, 또한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에는 12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각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도, 상기한 제어장치(150)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8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는, 8cm 디스크(11)가 캐리어유니트(70)내의 소정 장착 위치(8cm 디스크용 만곡벽(94)과 접촉하는 위치)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12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7)는 12cm 디스크(12)가 캐리어유니트(70)내의 소정 장착위치(12cm 디스크용 만곡벽(95)과 접촉하는 위치)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각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로부터의 출력으로부터, 제어장치(150)는 캐리어유니트(70)내의 소정 장착위치에 각 디스크(11, 12)가 장착된 것을 검지할 수 있다.
한편, SW1∼SW3은, 스위치 노브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로, 각각 제어장치(150)에 접속되어 있다(도 22 참조). 이 3개의 SW1∼SW3은, 한가운데 설치된 SW2의 설치 높이에 대하여, 다른 SW1, SW3의 설치 높이가 약간 높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홀더(40)에 장착된 상태에서, SW1, SW3은 왼쪽 레일(51)에 형성된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의 상단 캠부(141)와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SW2는 하단 캠부(142)와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SW1, SW3은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에 따라 상단 캠부(141)의 캠 형상에 따라서 온/오프 되고, 또한 SW2는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에 따라 하단 캠부(142)의 캠 형상에 따라서 온/오프 된다.
이어서, 캐리어유니트(70)에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클립디스크(74-1∼74-4)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합계 4개의 클립 디스크(74-1∼74-4)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각 클립 디스크(74-1∼74-4)는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내지 제 4 클립 디스크(74-1∼74-4)를 특정하지 않고 설명하는 경우에는, 클립 디스크(74)로 총칭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6은, 클립 디스크(74)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클립 디스크(74)는, 탄성을 갖는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85) 및 한 쌍의 설편부(86)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85)에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가 끼워서 통하는 삽통(押通) 구멍(8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도시하지 않은 나사는, 삽통 구멍(85a)을 끼워서 통하여 오른쪽부(71a), 왼쪽부(71b), 오른쪽 하부 반체(72), 왼쪽 하부 반체(73)에 나사식으로 붙여진다. 이에 따라, 각 클립 디스크(74-1∼74-4)는, 캐리어유니트(70)에 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설편부(86)는, 고정부(85)의 양측부로부터 절곡됨으로써, 고정부(85)에 대하여 앞쪽으로 경사져서 연장되어 나온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클립 디스크(74)는, 측면에서 본 상태에서 대략 V자형을 갖는 형상이 된다. 또한, 각 설편부(86)의 선단부에는, 접촉부(88)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클립 디스크(74-1)는, 장착 오목부(91)에 오른쪽부(71a)의 상부로부터 설치된다. 이때, 제 1 클립 디스크(74-1)의 설편부(86)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장착 오목부(91)의 설편부(8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설편부(86)는 이 개구부(92)를 통해 디스크대향면(93)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클립 디스크(74-2)는, 오른쪽 하부 반체(72)에 형성된 장착 오목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하부로부터 설치된다. 이때, 제 2 클립 디스크(74-2)의 설편부(86)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장착 오목부의 설편부(8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설편부(86)는 이 개구부(92)를 통해 디스크 대향면(93)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1 클립 디스크(74-1)와 제 2 클립 디스크(74-2)의 설치 위치는, 서로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a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클립 디스크(74-1)와 제 2 클립 디스크(74-2)는, 서로의 설편부(86)가 대항하도록 설치되고, 또한 설치 상태에 있어서 각 설편부(86)의 선단부에 형성된 접촉부(88)가 설편부(86)의 탄성력을 가지고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 설편부(86)는, 각 디스크(11, 12)의 삽입방향(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을 향하여 점차 근접함으로써 접촉부(88)끼리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캐리어유니트(70)에 8cm 디스크(11) 또는 12cm 디스크(12)가 삽입되면, 디스크(11, 12)는 제 1 클립 디스크(74-1)와 제 2 클립 디스크(74-2)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도 7b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11, 12)의 삽입방향 오른쪽 선단부는, 제 1 클립 디스크(74-1)의 접촉부(88)와 제 2 클립 디스크(74-2)의 접촉부(88)의 사이에 끼워 넣어(클램프)진다. 이에 따라, 디스크(11, 12)는, 제 1 및 제 2 클립 디스크(74-1, 74-2)에 의해 확실히 지지된다.
또한, 제 3 클립 디스크(74-3)는, 장착 오목부(90)에 왼쪽부(71b)의 상부로부터 설치된다. 이때, 제 3 클립 디스크(74-3)의 설편부(86)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장착 오목부(90)의 설편부(8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부(92)가 형성되어 있고, 설편부(86)는 이 개구부(92)를 통해 왼쪽부(71b)의 디스크 대향면(93)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4 클립 디스크(74-4)는, 왼쪽 하부 반체(73)에 형성된 장착 오목부(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하부로부터 설치된다. 이때, 제 4 클립 디스크(74-4)의 설편부(86)는, 상부에 위치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장착 오목부의 설편부(86)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설편부(86)는 이 개구부를 통해 왼쪽 하부 반체(73)의 디스크 대향면(93)에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 3 클립 디스크(74-3)와 제 4 클립 디스크(74-4)의 설치 위치는, 상기한 제 1 및 제 2 클립 디스크(74-1, 74-2)와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대향 상태에서, 각 클립 디스크(74-3, 74-4)의 설편부(86)에 형성된 접촉부(88)는, 각각의 설편부(86)가 갖는 탄성력에 의해 접촉한다. 이때, 각 설편부(86)는, 각 디스크(11, 12)의 삽입방향(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을 향하여 점차 근접함에 의해 접촉부(88)끼리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캐리어유니트(70)에 8cm 디스크(11) 또는 12cm 디스크(12)가 삽입되면, 디스크(11, 12)는 제 3 클립 디스크(74-3)와 제 4 클립 디스크(74-4)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디스크(11, 12)의 삽입방향 오른쪽 선단부는, 제 3 클립 디스크(74-3)의 접촉부(88)와 제 4 클립 디스크(74-4)의 접촉부(88)의 사이에 끼워 넣어(클램프)진다. 이에 따라, 디스크(11, 12)는, 제 3 및 제 4 클립 디스크(74-3, 74-4)에 의해 확실히 지지된다.
여기서, 클립 디스크(74)에 형성된 설편부(86)의 설치 위치에 주목하여, 도 10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것처럼, 클립 디스크(74)에는 각각 한 쌍의 설편부(86)가 형성되어 있지만, 클립 디스크(74)가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한쪽의 설편부(86)는 8cm 디스크용 만곡벽(94)과 대향하도록 설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이하, 이 설편부(86)를 특정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설편부(86)를 8cm 디스크용 설편부(86-8)라 함). 또한, 다른쪽의 설편부(86)는,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과 대향하도록 설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이하, 이 설편부(86)를 특정하여 설명하는 경우에는 이 설편부(86)를 12cm 디스크용 설편부(86-12)라 함).
따라서, 캐리어유니트(70)에 8cm 디스크(11)가 삽입된 경우, 이 8cm 디스크(11)는 8cm 디스크용 설편부(86-8)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에 12cm 디스크(12)가 삽입된 경우, 이 12cm 디스크(12)는 12cm 디스크용 설편부(86-12)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각 디스크(11, 12)는 디스크용 설편부(86-8, 86-12)로 지지된 상태로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하여 각 디스크(11, 12)의 삽입탈이 행하여지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 이젝트 위치라 함)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반송된다.
이 반송시, 각 디스크(11, 12)는, 그 바깥 둘레(구체적으로는 삽입방향 앞쪽 가장자리)를 디스크용 설편부(86-8, 86-12)로 지지한 상태로 반송된다. 구체적으로는, 각 디스크(11, 12)의 외주 소정 범위에는 기록/재생이 행하여지지 않은 영역이 형성되어 있고, 각 디스크용 설편부(86-8, 86-12)의 접촉부(88)는, 이 기록/재생이 행하여지지 않은 영역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송시에 있어서, 디스크(11, 12)의 표면의 기록/재생처리가 행하여지는 영역에 흠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각 디스크용 설편부(86-8, 86-12)는, 각 디스크(11, 12)를 클램프한 상태로 반송처리를 하기 때문에, 반송 처리시에 있어서 디스크용 설편부(86-8, 86-12)와 디스크(11, 12)의 사이에 상대적인 변위(미끄러짐)는 발생하지 않고, 정밀도가 높은 반송처리를 할 수 있다.
그런데, 디스크장치(10)의 조작자가, 디스크(11, 12)를 삽입하여 캐리어유니트(70)로 지지시킨 후에도 디스크(11, 12)를 파지한 상태를 지지한 경우에는, 디스크(11, 12)에는 인출력이 작용한다. 조작자가 이러한 오류 조작을 행한 경우, 즉시 디스크(11, 12)가 캐리어유니트(70)로부터 이탈해 버리는 구성으로는 조작성이 저하하고, 또한 클램프 동작에 실패할 우려도 있다. 따라서, 삽입 후에 디스크(11, 12)에 어느 정도의 인출력이 작용하더라도, 디스크(11, 12)가 즉시 클립 디스크(74)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것처럼 클립 디스크(74)에 설치되는 설편부(86)가, 삽입방향(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을 향해 점차 근접하여 디스크(11, 12)의 바깥 둘레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7b에 나타낸 지지상태에서, 디스크(11, 12)에 캐리어유니트(70)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힘(인출 력)이 인가된 경우, 이 인출력에 의해 설편부(86)에는 도면에서 화살표 B로 나타내는 힘이 발생하여, 이 힘은 접촉부(88)를 디스크(11, 12)에 누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11, 12)를 캐리어유니트(70)(클립 디스크(74))에 지지시킨 후, 잘못하여 디스크(11, 12)에 인출력이 인가되어도, 디스크(11, 12)가 캐리어유니트(70)(클립 디스크(7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 한 쌍의 클립 디스크(제 1 클립 디스크(74-1)와 제 2 클립 디스크(74-2), 제 3 클립 디스크(74-3)와 제 4 클립 디스크(74-4)에 의해서 각 디스크(11, 12)를 끼워 넣은(클램프) 구성으로 하였지만,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클립 디스크(74)에 의해 각 디스크(11, 12)를 끼워 넣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클립 디스크의 수를 감소할 수 있고, 클립 디스크의 설치공간도 공간 절약화 되기 때문에, 캐리어유니트(70)의 소형화에 유리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각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는, 디스크용 만곡벽(94, 95)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의 설치 위치는, 클립 디스크(74)와 대향하는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를 클립 디스크(74)와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각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는, 디스크(11, 12)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가압되는 접촉부(99)를 갖고 있다. 이 접촉부(99)는, 도 9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스위치 본체 내에 설치된 스프링(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 위 방향을 향하여 힘을 받는다. 그리고, 각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는, 도 9a에 나타낸 것처럼, 접촉부 99가 클립 디스크(74)의 접촉부 88과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디스크(11, 12)가 캐리어유니트(70)에 삽입되면, 도 9b에 나타낸 것처럼, 디스크(11, 12)는 클립 디스크(74)와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의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가 된다. 또한, 설편부(86)는 탄성을 갖고, 또한 접촉부(99)는 위쪽을 향해 힘을 받기 때문에, 디스크(11, 12)는 클립 디스크(74)와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의 사이에서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 97)는 스위치로서의 기능과 아울러, 오른쪽 하부 반체(72)에 설치되는 제 2 클립 디스크(74-2)와 등가의 기능을 갖기 때문에, 부품 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캐리어유니트(70)를 소형화할 수 있다.
여기서,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설명을 계속한다. 상기 구성으로 된 캐리어유니트(70)는, 상기한 것처럼 홀더(40)에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홀더(40)의 상부에는, 베이스 커버(120)가 설치된다. 이 베이스 커버(120)는 금속판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한 것으로, 상판부(121), 우측판부(122), 좌측판부(123)로 구성된다.
상판부(121)에는, 제 1 및 제 2 오목부(124, 125)가 형성되어 있고, 특히 제 1 오목부(124)에는 상기한 슬릿(12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판부 및 좌측판부(122, 123)에는, 홀더(40)에 형성된 회동축(57)을 끼우는 축 구멍(127)이 형성되어 있다(좌측의 회동축(57) 및 축 구멍(127)은 도면에 나타나지 않음).
상기 구성으로 된 베이스 커버(120)는 베이스(20)에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베이스(20)에 대한 베이스 커버(120)의 위치는 변화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홀더(40)는 베이스(20)와 베이스 커버(120)의 사이에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a, 도 4b 참조).
또한, 디스크장치(10)의 전방부에는, 프론트 베젤(bezel)(130)이 설치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이 프론트 베젤(130)에는 삽입개구(133)가 형성되어 있고,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는 이 삽입개구(133)를 통해 디스크장치(10)내에 삽입탈 된다.
또한, 삽입개구(133)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기구에 의해 덮개를 개폐하는 덮개 몸체(131, 132)가 설치된다. 이 삽입개구(133)는,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탈시 이외일 때는 덮개 몸체(131, 132)에 의해 닫혀져 있고, 따라서 먼지가 디스크장치(10)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구성으로 된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제어장치(150)에는 8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이하, 8-SW(96)로 생략하여 나타냄), 12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7)(이하, 12-SW(97)로 생략하여 나타냄),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98)(이하, DC-SW(98)로 생략하여 나타냄), 클램핑 모터(68), 로딩 모터(100) 및 SW1∼SW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스위치(96∼98) 및 SW1∼SW3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클램핑 모터(68) 및 로딩 모터(100)를 구동 제어한다. 이때, 제어장치(150)는, 도 23∼도26에 도시한 제어동작을 행한다. 이하, 제어장치(150)가 실시하는 구체적인 제어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3에 도시하는 제어처리가 시작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1(도면에서는 스텝을 S로 약칭하고 있음)에 있어서 8cm 디스크(11)가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8-SW(96)의 출력신호에 의거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8-SW(96)가 온인 경우(즉, 8cm 디스크(11)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도 24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8-SW(96)이 오프인 경우(즉, 8cm 디스크(11)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처리를 스텝 2로 진행시킨다.
스텝 2에서는, 12cm 디스크(12)가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12-SW(97)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12-SW(97)가 온인 경우(즉, 12cm 디스크(12)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도 25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12-SW(97)이 오프인 경우(즉, 12cm 디스크(12)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처리를 스텝 3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3에서는,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삽입되었는지 아닌지를 DC-SW(98)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DC-SW(98)가 온인 경우(즉,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삽입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는, 도 26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DC-SW(98)이 오프인 경우(즉,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는, 다시 처리를 스텝 1로 복귀한다.
스텝 1∼스텝 3중 어느 쪽의 스텝에서도 부정 판단(NO라고 판단)된 상태를 도 2에 나타낸다. 이 상태는,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삽입되어있지 않은 상태로,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21a에 나타낸 상태이다. 이때, 캐리어유니트(70)는,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 한계의 위치(이하, 이 위치를 이젝트 위치 P1라 함)로 이동하고 있다.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 SW1은 상단 캠부(141)의 제 1 볼록부(141a)와 걸어 맞추어지고, SW2는 하단 캠부(142)의 볼록부(142a)와 걸어 맞추어지고, SW3은 상단 캠부(141)의 제 1 오목부(141b)와 대향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SW1∼SW3의 온/오프상태는, [SW1, SW2, SW3]=[온, 온, 오프]로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SW1∼SW3의 온/오프상태는, 상기한 것처럼 대괄호로 묶어 [온, 온, 오프]와 같이 나타낸 것으로 한다. 이때, 대괄호내의 왼쪽에 도시된 것은 SW1의 상태이고, 한가운데 도시된 것은 SW2의 상태이며, 더 오른쪽에 도시된 것은 SW3의 상태인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 디스크 레버(60)의 레버 본체부(61)는, 도 11a에 도시된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의 이면에 형성된 단차형의 캠부 N1과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에 방해되지 않은 위치까지 퇴피하고 있다.
또한, 카트리지 레버(77)는, 상기한 것처럼 축부(105)가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내에서 이동함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하여 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레버(77)는,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받는다.
그러나,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 카트리지 레버(77)에 형성된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오른쪽 레일(50)에 설치된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54)과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까지 이동한 상태에서, 축부(105)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의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 한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카트리지 퇴피용 캠(54)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카트리지 레버(77)의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이 경사면에 걸어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레버(77)가 경사면에 가압되면,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경사면을 따라 변위하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 레버(77)는 축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동한다.
그러나, 카트리지 레버(77)의 외측(도면에서 화살표 X2 방향측)에는, 디스크장치의 커버 N2(도 2에 일부를 도시)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레버(77)의 외측측면이 커버 N2와 접촉함에 의해, 카트리지 레버(77)의 소위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은 규제된다.
여기서,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에,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한 카트리지 레버(77)의 위치에 주목한다.
상기한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 카트리지 레버(77)가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54) 및 커버 N2와 접촉함에 의해, 축부(105)는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의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 한계까지 이동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레버(77)도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하여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변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위치하여도, 카트리지 레버(77)가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으로부터 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우는 없다.
종래의 트레이를 사용한 디스크장치는, 이젝트 상태에서 트레이가 장치 본체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설치공간의 증대 및 트레이의 손상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의 디스크장치(10)에서는, 이젝트 상태이라도 디스크장치(10)의 전방에 돌출하지 않아서, 디스크장치(10)를 설치할 때, 설치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고장의 발생을 막을 수 있다.
한편, 셔터 레버(78)는, 베이스 커버(120)에 형성된 슬릿(126)(도 2에서는, 도시 생략함)에 안내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셔터 구동핀(113)은, 삽입되는 디스크 카트리지(13)에 형성된 셔터(15)와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 홀더(40)는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상동 위치로 이동한 상태로 되어 있다. 홀더(40)가 상동 위치에 있을 때, 캐리어유니트(70)는 프론트 베젤(130)의 삽입개구(133)와 대향한 상태로 되고,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을 허용한다.
도 2에 도시된 이젝트 상태의 디스크장치(10)에, 프론트 베젤(130)을 통해8cm 디스크(11)가 삽입되면, 상기한 것처럼 8cm 디스크(11)는 디스크 대향면(93)으로 안내되어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진행하고, 이윽고 8cm 디스크용 만곡벽(94)에 접촉하고, 이와 함께 8cm 디스크용 설편부(86-8)(클립 디스크(74))에 지지된다.
또한, 8cm 디스크(11)가 8cm 디스크용 만곡벽(94)과 접촉함에 의해, 8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6)는 8cm 디스크(11)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이에 따라, 제어장치(150)는 8cm 디스크(11)가 캐리어유니트(70)에 지지된 것을 검지한다. 따라서, 스텝 1에서는 긍정판단이 되어, 제어장치(150)는 도 24에 나타낸 제어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8cm 디스크(11)의 삽입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는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SW1은 상단 캠부(141)의 제 1 볼록부(141a)로부터 이탈한다. 이 때문에, SW1∼SW3의 스위치 상태는 [오프, 온, 오프]가 된다.
스텝 10에서는, 제어장치(150)는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전압인가를 시작함에 따라 기어군(101)을 통해서 기어(102)는 회동된다. 이때, 제어장치는, 캐리어유니트(70)가 도 2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할 때까지는, 로딩 모터(100)에 인가하는 구동전압이 정규 구동전압(E 볼트라 함)의 20% 정도의 전압(0.2×E)이 되도록 제어한다(이 제어상태를 로딩 모터 어시스트 상태라 함).
구체적으로는, 캐리어유니트(70)가 도 2에 도시한 이젝트 위치 P1로부터 도 12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은,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정규 구동전압(E)의 약 20% 정도의 전압(0.2×E)이 인가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캐리어유니트(70)의 도 12에 나타낸 위치를 8cm 디스크 로딩 시작 위치(8L 시작위치라 약칭함)라 하고, 도면에서 P2로 나타낸 것으로 한다.
상기한 것처럼 로딩 모터(100)에 대한 인가전압을 낮게 하면, 로딩 모터(100)가 발생하는 구동력도 낮아지기 때문에, 그대로의 상태에서는 캐리어유니트(70)는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크 삽입시에는, 조작자가 8cm 디스크(11)를 디스크장치(10)에 삽입하는 삽입력이 캐리어유니트(70)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한다.
따라서, 조작자가 8cm 디스크(11)를 제 1 로딩 시작위치 P2까지 삽입하는 조작은, 조작자의 삽입력을 로딩 모터(100)의 구동력이 어시스트하는 구성으로 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하면 작은 삽입력으로 8cm 디스크(11)를 삽입할 수 있음에 따라 8cm 디스크(11)의 삽입시에 있어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상기한 로딩 모터 어시스트 상태 중에서 8-SW(96)가 오프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스텝 11). 그리고, 스텝 11에서, 긍정판단(즉, 8-SW(96)가 오프라고 판단)이 되면, 처리는 스텝 12로 진행하고, 제어장치(150)는 캐리어유니트(70)를 로딩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다시 이젝트 위치 P1로 되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스텝11에 있어서 긍정판단이 되는 경우는, 예컨대 조작자가 장착한 8cm 디스크가, 장착하려고 한 8cm 디스크와 다른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오삽입한 것을 삽입 직후에 알아차리고, 이 오삽입된 8cm 디스크를 인출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텝 10에서 실시되는 로딩 모터 어시스트 상태에서, 조작자가 삽입력을 해제하면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이 정지하기 때문에, 상기한 것처럼 반송도중의 8cm 디스크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조작자는 종래와 같이 일단 로딩 위치에 8cm 디스크가 장착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오삽입을 알아차린 시점에서 8cm 디스크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짐에 따라서 사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11에서 8cm 디스크(11)가 인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 12의 처리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는 이젝트 위치 P1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새로운 8cm 디스크(11), 12cm 디스크(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처리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스텝 13에서, SW3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3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하는 위치는, SW3이 상단 캠부(141)의 제 2 볼록부(141c)와 걸어 맞추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SW3이 제 2 볼록부(141c)와 걸어 맞추는 위치가 8L 시작위치 P2로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도 21b 참조). 따라서, 스텝 13에서 긍정판단이 될 때까지,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니트(70)가 8L 시작위치 P2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스텝 11, 13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여,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로부터 8L 시작위치 P2까지 이동하는 동안의 디스크 레버(60)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캐리어유니트(70) 및 디스크 레버(60)를 뒤쪽에서 본 도면으로, 도 11a는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b는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과 8L 시작위치 P2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c는 캐리어유니트(70)가 8L 시작위치 P2에 위치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부터 8L 시작위치 P2까지 이동함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의 이면에 형성된 단차형의 캠부 N1이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력에 의해 레버 본체부(61)가 단차형의 캠부 N1에 접어 접촉하면서 반시계 방향(도12에 화살표 C1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하여, 디스크 레버(60)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도 11c 및 도 12에 나타낸 것처럼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 후방부에 걸어 맞춘다.
디스크 레버(60)는, 레버 본체부(61)가 단차형의 캠부 N1으로부터 이격되면,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력에 의해,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 후방부를 디스크 삽입방향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8cm 디스크(11)는, 그 삽입방향 전방부가 클립 디스크(74)로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방향 후방부를 디스크 레버(60)에 의해 지지된 구성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 전방부 및 삽입방향 후방부의 쌍방을 지지함에 의해,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구성인 8cm 디스크(11)이어도, 이 8cm 디스크(11)가 캐리어유니트(7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한 반송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레버 본체부(61)는 캐리어유니트(70)의 이면에 형성된 단차형의 캠부N1에 의해 회동 동작시기가 조정되어 있고,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8cm 디스크(11)의 최대 직경 부위(화살표 X1, X2방향에 대한 최대 지름 부위. 즉, 중앙위치)가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통과한 후에 처음으로,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 후방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 삽입 부하의 경감을 꾀할 수 있다.
지금, 가령 디스크 레버(60)의 걸어 맞춤 갈고리부(63)가 8cm 디스크(11)의 최대 직경 부위를 통과하기 전에 8cm 디스크(11)에 걸어 맞추는 구성, 즉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시작에 따라 즉시 8cm 디스크(11)에 걸어 맞추는 구성으로 가정하면, 걸어 맞춤 갈고리부(63)가 8cm 디스크(11)의 최대 직경 부위를 통과하기까지의 동안은, 디스크 레버(60)를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도 11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도 12에 화살표 C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걸어 맞춤 갈고리부(63)가 8cm 디스크(11)의 최대 직경 부위를 통과하기 전에 8cm 디스크(11)에 걸어 맞추는 구성은, 8cm 디스크(11)를 삽입하는 데 요하는 디스크 삽입 부하가 커져 버린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캠부 N1에 의해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8cm 디스크(11)의 최대 직경 부위가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통과한 후에 처음으로 8cm 디스크(11)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8cm 디스크(11)를 삽입할 때에,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 방향으로만 회동하는 구성으로 됨에 따라서 디스크 삽입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서 8L 시작위치 P2로 이동함에 의해,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에 힘을 받아 축부(105)가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내를 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이젝트 위치 P1에서 8L 시작위치 P2까지의 이동에서는, 카트리지 레버(77)의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카트리지 레버 회피용 캠(54)과 접촉한 상태를 지지하고, 따라서 홀더(40)에 대한 카트리지 레버(77)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캐리어유니트(70)가 8L 시작위치 P2까지 이동한 상태에서는,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에 대하여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캐리어유니트(70)는 디스크장치(10)내에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레버(77)가 디스크장치(10)로부터 돌출하는 경우는 없다.
한편, 도 24에 나타낸 스텝 13에서 긍정판단이 되면, 즉 캐리어유니트(70)가 8L 시작위치 P2까지 이동했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14에서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정규전압(E)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로딩 모터(100)의 구동력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은, 도 13에 도시한 8cm 디스크(11)의 중앙에 형성된 중심 구멍(11a)이, 턴테이블(24)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행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8cm 디스크(11)의 중심 구멍(11a)과 턴테이블(24)이 일치하는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8cm 디스크 로딩 완료 위치(8L 완료 위치라 약칭함)라고 하고, 도면에서 P4로 나타낸다. 또한, 이때에 8cm 디스크(11)의 위치를 8cm 디스크의 로딩 위치라 한다.
제어장치(150)는, 스텝 14 처리를 실시 후, 스텝 15에서 SW2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했는지 아닌지를 항상 판단한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2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위치는, SW2가 하단 캠부(142)의 볼록부(142a)에서 이탈하여, 오목부(142b)와 대향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SW2가 오목부(142b)와 대향하는 위치가 8L 완료위치 P4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도 21d 참조). 따라서, 스텝 15에서 긍정판단이 될 때까지,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니트(70)가 8L 완료 위치 P4로 이동할 때까지,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은 계속된다.
이 캐리어유니트(70)가 8L 시작 위치 P2에서 8L 완료 위치 P4로 이동할 때, 디스크 레버(60)는 항상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 후방부와 걸어 맞춘 상태를 지지한다.
즉, 디스크 레버(60)는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또한 회전축(62)에 의해 반시계 방향(도 12에 화살표 C1로 나타낸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는다. 따라서, 8cm 디스크(11)가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반송되는 것에 의해, 이것에 따라 디스크 레버(60)는 회동하고, 따라서 디스크 레버(60)는 항상 8cm 디스크(11)의 삽입방향 후방부와 걸어 맞춘 상태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8L 시작위치 P2에서 8L 완료위치 P4로 8cm 디스크(11)가 반송되는 동안도, 8cm디스크(11)는 캐리어유니트(70) 및 디스크 레버(60)에 확실히 지지되어 안정한 반송이 행하여진다.
또한, 카트리지 레버(77)는, 도 12에 나타낸 캐리어유니트(70)가 8L 시작위치 P2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축부(105)가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의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 한계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또 캐리어유니트(70)가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와 함께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54)으로부터 이격되어,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의 부세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카트리지 레버(77)는 오른쪽 레일(50)을 따라 가도록 축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카트리지 레버(77)의 측면이 가장자리(53a)에서 이격된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카트리지 레버(77)는 오른쪽 레일(50)을 따라서 가는 상태(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연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스텝 15에서 긍정판단이 행하여지면, 즉 8cm 디스크(11)가 중심 구멍(11a)과 턴테이블(24)이 일치하는 8L 완료위치 P4까지 반송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16에서 로딩 모터(100)를 정지시켜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계속되는 스텝 17에 있어서, 클램프 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클램프 처리 전에는, 캐리어유니트 정지 위치의 위치 정밀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속도를 떨어뜨리면서, 전진·후퇴를 하도록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텝 15에 있어서 SW2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한 것에 따라서, 캐리어유니트(70)의 속도가 1/2로 되도록 로딩 모터(100)를 역방향 구동하고, 계속해서 SW2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된 것에 따라서, 캐리어유니트(70)의 속도가 1/4로 되도록 로딩 모터(100)를 정방향 구동하고, 또 SW2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것에 따라서 로딩 모터(100)를 정지시킨다. 이러한 동작을 함으로써, 캐리어유니트(70)의 정지위치의 위치 정밀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스텝 17의 클램프 처리에서는, 상기한 클램핑 모터(68)를 구동하여, 홀더 구동 슬라이더(30)를 도면에서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홀더(40)는 도 4a에 나타낸 상동 위치로부터 회동축(57)을 중심으로 하여 도 4b에 나타낸 하동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8cm 디스크(11)도 아래로 이동하여 턴테이블(24)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홀더(40)에 설치된 클램퍼(58)가 턴테이블(24)에 클램프용 자석의 흡착력에 의해 흡착되고, 이에 따라 8cm 디스크(11)는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이 상태에서, 8cm 디스크(11)는 디스크 모터(25)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디스크 레버(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는, 8cm 디스크(11)는 회전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클램프 처리시에 있어서, 디스크 레버(60)는 8cm 디스크(11)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디스크 레버(60)가 8cm 디스크(11)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것처럼, 베이스(20)에는 제 1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은, 캐리어유니트(70)가 8L 완료위치 P4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디스크 레버(60)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레버(60)는, 캐리어유니트(70)가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8cm 디스크(11)가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면, 이것에 따라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8cm 디스크(11)가 도 13에 나타낸 8L 완료위치 P4까지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디스크 레버(60)가 도 13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동하였을 때, 디스크 레버(60)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 맞춤부(66)는, 베이스(20)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것처럼 홀더(40)가 상동 위치로부터 하동 위치로 이동함에 의해,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은 디스크 레버(60)의 걸어 맞춤부(66)와 걸어 맞추어지고, 디스크 레버(60)를 도 14에 화살표 C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하는데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레버(60)에 설치되는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도 14에 나타낸 것처럼 8cm 디스크(11)로부터 이격된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레버(60)의 회동에 힘을 가하는 것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는, 디스크 레버(60)를 8cm 디스크(11)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서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을 별개로 설치하지 않고, 홀더(40)의 이동을 구동원으로서 디스크 레버(60)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디스크 레버(60)를 8cm 디스크(11)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스텝 17의 처리를 종료한 시점에서는, 8cm 디스크(11)는 캐리어유니트(70)에 지지된 상태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레버(60)를 8cm 디스크(11)로부터 이격시켜도 8cm 디스크(11)는 아직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가 8L 완료위치 P4까지 반송되면, 8cm 디스크(11)는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즉, 8cm 디스크(11)는, 이 상태에서 도면에서 화살표 Y1, Y2 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그리고, 제어장치(150)는, 도시하지 않은 검지 스위치에 의해 8cm 디스크(11)가 클램프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18을 실시하고, 로딩 모터(100)를 구동하여 캐리어유니트(70)를 도 14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도 14에 나타낸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8cm 디스크 로딩 퇴피위치(8L 퇴피위치라 약칭함)라 하고, 도면에서 P5로 나타낸다.
제어장치(150)는, 캐리어유니트(70)를 8L 퇴피위치 P5로 정지시키기 때문에, 스텝 19에서 SW3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3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하는 위치는, SW3이 상단 캠부(141)의 제 2 볼록부(141c)로부터 이탈하고, 제 2 오목부(141d)와 대향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SW3이 제 2 오목부(141d)와 대향하는 위치가 8L 퇴피위치 P5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도 21e 참조). 따라서, 스텝 19에서 긍정판단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처리를 스텝 20으로 진행되고, 로딩 모터(100)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8L 퇴피위치 P5에서 정지된다.
상기한 것처럼 8cm 디스크(11)가 클램프된 상태에서, 캐리어유니트(70)가 8L 완료위치 P4로부터 8L 퇴피위치 P5로 이동함으로써, 8cm 디스크(11)는 각 클립 디스크(74)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에 의한 8cm 디스크(11)의 지지도 해제되고, 8cm 디스크(11)에 대하여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8cm 디스크(11)가 디스크장치(10)로부터 배출될 때는, 상기한 장착시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8cm 디스크(11)의 배출시에는, 도 12에 나타낸 8L 시작위치 P2로부터 도2에 나타낸 이젝트 위치 P1까지의 사이도, 로딩 모터(100)에는 정규전압(E)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캐리어유니트(70)로부터 8cm 디스크(11)를 추출하는 (이탈시키는)조작은, 캐리어유니트(70)가 도 2에 나타낸 이젝트 위치 P1에 있는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이 상태에서는, 8cm 디스크(11)는 프론트 베젤(130)로부터 심하게 인출되기 때문에, 8cm 디스크(11)의 추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3에 도시한 스텝 2에 있어서, 긍정판단이 된 경우에 실시되는 제어장치(150)의 제어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이젝트 상태(즉,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프론트 베젤(130)을 통해 12cm 디스크(12)가 삽입되면, 상기한것처럼, 12cm 디스크(12)는 디스크 대향면(93)으로 안내되어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진행하고, 이윽고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에 접촉하고, 이와 함께 12cm 디스크용 설편부(86-12)(클립 디스크(74))로 지지된다.
또한, 12cm 디스크(12)가 12cm 디스크용 만곡벽(95)과 접촉함에 의해, 12cm 디스크 검출용 스위치(97)는 12cm 디스크(12)에 의해 가압 조작된다. 이에 따라, 스텝 2에서는 긍정판단이 행하여지게 되고, 제어장치(150)는 도 25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한다.
도 25에 나타낸 처리가 시작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30에 있어서, 로딩 모터(100)를 로딩 모터 어시스트 상태로 한다. 즉, 12cm 디스크(12)의 삽입시에 있어서도, 제어장치(150)는 캐리어유니트(70)가 도 2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5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은,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정규 구동전압(E)의 약 20%의 전압(0.2×E)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있고, 디스크 삽입시에 조작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캐리어유니트(70)의 도 15에 나타낸 위치를 12 cm 디스크 로딩 시작위치(12L 시작위치로 약칭함)라고 하고, 도면에서 P4로 나타낸다. 또한, 이 12L 시작위치 P4는, 8cm 디스크(11)의 반송시에, 도 13에 나타낸 8L 완료위치 P4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서 12L 시작위치 P4까지 이동하는 동안, 제어장치(150)는 스텝 31에 있어서 12-SW(97)의 출력을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31에서 12-SW(97)가 오프로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장치(150)는12cm 디스크(12)가 조작자에 의해 인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32에서 캐리어유니트(70)를 이젝트 위치 P1로 복귀하는 처리를 한다.
따라서, 12cm 디스크(12)의 삽입시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오삽입을 알아차린 경우, 오삽입을 알아차린 시점에서 즉시 12cm 디스크를 교환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32의 처리에 의해 디스크의 인출이 행하여지면 캐리어유니트(70)는 이젝트 위치 P1에 자동적으로 복귀되기 때문에, 새로운 8cm 디스크(11), 12cm 디스크(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처리도 빠르게 할 수 있다.
한편,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서 12L 시작위치 P4까지 이동함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의 이면에 형성된 단차형의 캠부 N1이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력에 의해 레버 본체부(61)가 단차형의 캠부 N1에 접어 접촉하면서, 반시계 방향(도 15에 화살표 C1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하고, 디스크 레버(60)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12cm 디스크(12)의 삽입방향 후방부에 걸어 맞춘다. 디스크 레버(60)는, 레버 본체부(61)가 단차형의 캠부 N1로부터 이격된 후는, 디스크 레버 부세 스프링(65)의 부세력에 의해, 12cm 디스크(12)를 가압한다.
이에 따라, 12cm 디스크(12)의 삽입에 있어서도, 12cm 디스크(12)는 그 삽입방향 전방부를 클립 디스크(74)에 지지됨과 동시에, 삽입방향 후방부를 디스크 레버(60)에 의해 지지된 구성이 된다. 따라서, 12cm 디스크(12)는, 삽입방향 전방부및 삽입방향 후방부의 쌍방을 지지되게 되고,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구성의 12cm 디스크(12)이어도 캐리어유니트(7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정한 반송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서 12L 시작위치 P4로 이동함에 의해,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에 힘을 받아 축부(105)가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내를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해서는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12cm 디스크(12)의 삽입시에 2L 시작위치 P4는, 먼저 설명한 8cm 디스크(11)의 삽입시에 8L 시작위치 P2에 비교하여,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리어유니트(70)의 12L 시작위치 P4로의 이동에 따라, 카트리지 레버(77)의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54)으로부터 이격되고,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의 부세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레버(77)는 오른쪽 레일(50)을 따라서 가도록 축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오른쪽 레일(50)을 따라서 가는 상태(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다시 도 25로 되돌아가, 제어장치(150)의 제어동작의 설명을 계속한다. 제어장치(150)는, 스텝 33에 있어서 SW2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했는지 아닌지를항상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2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위치는, SW2가 하단 캠부(142)의 볼록부(142a)로부터 이탈하여 오목부(142b)와 대향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SW2가 오목부(142b)와 대향하는 위치가 12L 시작위치 P4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21d 참조). 따라서, 스텝 33에 있어서 긍정판단이 될 때까지,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시작위치 P4로 이동할 때까지, 스텝 31, 33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도 25에 나타낸 스텝 33에서 긍정판단이 되면, 즉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시작위치 P4까지 이동했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34에 있어서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정규전압(E)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로딩 모터(100)의 구동력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은, 도 16에 나타낸 12cm 디스크(12)의 중앙에 형성된 중심 구멍(12a)이, 턴테이블(24)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행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12cm 디스크(12)의 중심 구멍(12a)과 턴테이블(24)이 일치하는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12cm 디스크 로딩 완료위치(12L 완료위치라고 약칭함)라고 하고, 도면에서 P5로 나타낸다. 또한, 이 12L 완료위치 P5는, 8cm 디스크(11)의 반송시에 도 14에 나타낸 8L 퇴피위치 P5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완료위치 P5에 있을 때에 12cm 디스크(12)의 위치를, 12cm 디스크의 로딩 위치라고 한다.
제어장치(150)는, 스텝 34의 처리를 실시 후, 스텝 35에 있어서 SW3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판단한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3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는 위치는, SW3이 상단 캠부(141)의 제 2 볼록부(141c)로부터 이탈하고, 제 2 오목부(141d)와 대향하는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SW3이 제 2 오목부(141d)와 대향하는 위치가 12L 완료위치 P5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도 21e 참조). 따라서, 스텝 35에 있어서 긍정판단이 될 때까지,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완료위치 P5로 이동할 때까지,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은 계속된다.
이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시작위치 P4에서 12L 완료위치 P5로 이동할 때, 8cm 디스크(11)의 반송시와 마찬가지로, 디스크 레버(60)는 항상 12cm 디스크(12)의 삽입방향 후방부와 걸어 맞춘 상태를 지지한다. 따라서, 12L 시작위치 P4에서 12L 완료위치 P5로 12cm 디스크(12)가 반송되는 동안도, 12cm 디스크(12)는 캐리어유니트(70) 및 디스크 레버(60)에 확실히 지지되어 안정한 상태로 반송이 행하여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레버(60)를 홀더(4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함에 의해, 직경 치수가 다른 8cm 디스크(11)와 12cm 디스크(12)의 삽입방향 후방부의 지지를 하나의 디스크 레버(60)에 의해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크장치(10)의 부품 수의 삭감 및 구성의 간단화를 꾀할 수 있다.
한편, 스텝 35에서 긍정판단이 행하여져, 12cm 디스크(12)가 중심 구멍(12a)과 턴테이블(24)이 일치하는 12L 완료위치 P5까지 반송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36에서 로딩 모터(100)를 정지시키고,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을정지시킨다. 그리고, 이어지는 스텝 37의 클램프 처리를 실시한다. 이 스텝 37의 처리는, 도 24에 나타낸 스텝 17의 클램프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다.
구체적으로는, 클램핑 모터(68)를 구동하고, 홀더 구동 슬라이더(30)를 도면에서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홀더(40)는 도 4a에 도시한 상동 위치에서 회동축(57)을 중심으로 하여 도 4b에 도시한 하동 위치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12cm 디스크(12)도 아래로 이동하여 턴테이블(24)에 장착됨과 동시에,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이 상태에서, 12cm 디스크(12)는 디스크 모터(25)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디스크 레버(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는, 12cm 디스크(12)는 회전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클램프 처리시에 디스크 레버(60)는 12cm 디스크(12)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퇴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디스크 레버(60)가 12cm 디스크(12)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퇴피하는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것처럼, 베이스(20)에는 제 1 및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 29)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9)은,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완료위치 P5까지 이동하였을 때에, 디스크 레버(60)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디스크 레버(60)는, 캐리어유니트(70)가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12cm 디스크(12)가 같은 방향으로 반송되면, 이에 따라 회전축(6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한다. 그리고, 12cm 디스크(12)가 도 16에 나타낸12L 완료위치 P5까지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디스크 레버(60)가 도 13에 나타낸 위치까지 회동하였을 때, 디스크 레버(60)에 형성되어 있는 걸어 맞춤부(66)는, 베이스(2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9)과 대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것처럼 홀더(40)가 상동 위치에서 하동 위치로 이동함에 의해,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9)은 디스크 레버(60)의 걸어 맞춤부(66)와 걸어 맞추어지고, 디스크 레버(60)를 도 17에 화살표 C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동하여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레버(60)에 설치되는 걸어 맞춤 갈고리부(63)는,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12cm 디스크(12)로부터 이격한다.
이때, 제 2 디스크 레버 구동 캠(29)에는, 상기한 제 1 디스크 레버 구동 캠(28)과 마찬가지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레버(60)를 회동하여 힘을 가하는 것을 원활히 할 수 있다. 또한, 12cm 디스크(12)의 반송시에 있어서도, 디스크 레버(60)를 12cm 디스크(12)로부터 이격시키는 데, 다른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서, 홀더(40)의 이동을 구동원으로 하여서 디스크 레버(60)를 회동시키기 때문에 디스크장치(10)의 구성을 간단화 할 수 있다.
그러나, 스텝 37의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는, 12cm 디스크(12)는 캐리어유니트(70)에 지지된 상태를 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디스크 레버(60)를 12cm 디스크(12)로부터 이격시키더라도, 12cm 디스크(12)는 아직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한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완료위치 P5까지 반송되면, 12cm 디스크(12)는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즉, 12cm 디스크(12)는, 이 상태에서 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그래서, 제어수단(150)은, 도시하지 않은 검지 스위치에 의해 12cm 디스크(12)가 클램프된 것을 검지하면 스텝 38을 실시하고, 로딩 모터(100)를 구동하여 캐리어유니트(70)를 도 17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낸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12 cm 디스크 로딩 퇴피위치(12L 퇴피위치라 약칭함)라 하고, 도면에서 P6으로 나타낸다.
제어장치(150)는, 캐리어유니트(70)를 12L 퇴피위치 P6에서 정지시키기 때문에, 스텝 39에서 SW3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3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위치는, SW3이 상단 캠부(141)의 제 2 오목부(141d)로부터 이탈하고, 제 3 오목부(141e)와 걸어 맞추는 위치이다(도 21f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이 SW3이 제 3 오목부(141e)와 걸어 맞추는 위치가 12L 퇴피위치 P6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스텝 39에 있어서 긍정판단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처리를 스텝 40으로 진행하여, 로딩 모터(100)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12L 퇴피위치 P6에서 정지된다.
상기한 것처럼, 12cm 디스크(12)가 클램프된 상태에서, 캐리어유니트(70)가 12L 완료위치 P5에서 12L 퇴피위치 P6으로 이동함에 의해, 12cm 디스크(12)는 각클립 디스크(74)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에 의한 12cm 디스크(12)의 지지도 해제되어, 12cm 디스크(12)에 대하여 재생 및/또는 기록처리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12cm 디스크(12)의 배출시에 있어서의 동작은, 상기한 장착시에 있어서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12cm 디스크(12)의 배출시에 있어서도, 도 12에 나타낸 12L 시작위치 P4로부터 도 2에 나타낸 이젝트 위치 P1까지의 사이는, 로딩 모터(100)에는 정규전압(E)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조작자가 캐리어유니트(70)로부터 12cm 디스크(12)를 추출하는(이탈시키는)조작은, 캐리어유니트(70)가 도 2에 나타낸 이젝트 위치 P1에 있는 상태에서 행하여진다. 이 상태에서는, 12cm 디스크(12)는 프론트 베젤(130)로부터 심하게 인출되므로, 12cm 디스크(12)의 추출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3에 나타낸 스텝 3에 있어서, 긍정판단이 된 경우에 실시되는 제어장치(150)의 제어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이젝트 상태의 디스크장치(10)에, 프론트 베젤(130)을 통해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삽입하면, 이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선단부는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에 우선 접촉한다.
앞면(89)에는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9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도 10 참조),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에 접촉함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 검출용 스위치(98)는 가압 조작된다. 이에 따라, 스텝 3에서는 긍정판단이 행하여지게 되어, 제어장치(150)는 도 26에 나타낸 처리를 시작한다.
또한, 이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캐리어유니트(70)와 접촉한 상태에서, 셔터 레버(78)에 설치된 셔터 구동핀(113)은, 디스크 카트리지(13)에 설치된 셔터(15)의 단부와 걸어 맞춘다.
도 26에 나타낸 처리가 시작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50에 있어서, 로딩 모터(100)를 로딩 모터 어시스트 상태로 한다. 즉,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시에 있어서도, 제어장치(150)는 캐리어유니트(70)가 도 2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도 18에 나타낸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은,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정규 구동전압(E)의 약 20%의 전압(0.2×E)을 인가하는 구성으로서 되고, 디스크 삽입시에 조작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캐리어유니트(70)의 도 18에 나타낸 위치를 디스크 카트리지 로딩 시작위치(DL 시작위치로 약칭함)라 하고, 도면에서 P3으로 나타낸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서 DL 시작위치 P3까지 이동하는 동안, 제어장치(150)는 스텝 51에 있어서 DC-SW(98)의 출력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51에서 DC-SW(98)가 오프가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어장치(150)는 디스크 카트리지(13)가 조작자에 의해 인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스텝 52에 있어서 캐리어유니트(70)를 이젝트 위치 P1로 복귀하는 처리를 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시에 있어서도, 조작자가 오삽입을 알아차린 경우, 오삽입을 알아차린 시점에서 즉시 디스크 카트리지를 교환할 수 있어서, 사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스텝 52의 처리에 의해, 디스크 카트리지의 인출이 행하여지면 캐리어유니트(70)는 이젝트 위치 P1에 자동적으로 복귀되므로, 새로운 8cm 디스크(11), 12cm 디스크(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처리도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로부터 DL 시작위치 P3까지 이동할 때,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에 방해가 되지 않은 위치로 퇴피한다.
즉,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로부터 DL 시작위치 P3으로 이동함에 의해, 디스크 레버(60)는 레버 본체부(61)가 캐리어유니트(70)의 이면의 단차형의 캠부 N1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나, 상기한 것처럼, 디스크 카트리지(13)는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과 접촉한 상태이므로, 레버 본체부(61)가 캠부 N1로부터 이격되어도, 계속해서 걸어 맞춤 갈고리부(63)가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측면에 접촉한다. 따라서, 디스크 레버(60)는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에 있을 때의 위치를 지지하게 되어, 디스크 레버(60)가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삽입에 방해되는 일은 없다.
한편, 캐리어유니트(70)가 이젝트 위치 P1로부터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여, 도 18에 P2로 나타낸 위치(이 위치는, 도 12에 나타낸 8L 시작위치 P2와 동일 위치)까지 이동하면, 이 이동에 따라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하여 화살표 Y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위치 P2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카트리지 레버(77)의 축부(105)는,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의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 한계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캐리어유니트(70)의 이젝트 위치 P1에서 위치 P2까지의 이동에서는, 카트리지 레버(77)의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54)과 접촉한 상태를 지지하고 있고, 따라서 홀더(40)에 대한 카트리지 레버(77)의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카트리지 레버(77)가 캐리어유니트(70)에 대하여 화살표 Y2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의 앞면(89)으로부터 도면에서 화살표 Y2방향으로 연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위치 P2에서 캐리어유니트(70)가 DL 시작위치 P3을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한 것처럼 캐리어유니트(70)가 위치 P2까지 이동한 시점에서 축부(105)가 카트리지 레버 안내 홈(103, 104)의 도면에서 화살표 Y2 방향 한계의 위치까지 이동하므로, 카트리지 레버(77)는 캐리어유니트(70)와 동시에 도면에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카트리지 레버 퇴피용 캠(54)으로부터 이격되어, 카트리지 레버(77)는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화살표 Y1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카트리지 레버(77)는 카트리지 레버 부세 스프링(108)에 힘을 받아서 축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측면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 맞춤 오목부(16)의 형성위치는 상기와 같이 회동하는 카트리지레버(77)의 걸어 맞춤 갈고리(106)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 레버(77)의 상기 회동에 의해, 도 18에 나타낸 것처럼, 걸어 맞춤 갈고리(106)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걸어 맞춘다. 그리고,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에 따라, 카트리지 레버(77)의 측면이 가장자리부(53a)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카트리지 레버(77)는 걸어 맞춤 갈고리(106)가 걸어 맞춤 오목부(16)에 걸어 맞추어진 상태를 지지하면서, 오른쪽 레일(50)을 따라서 가는 상태(도면에서, 화살표 Y1, Y2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에 따라, 셔터 레버(78)는 회동한다. 구체적으로는, 셔터 레버(78)에 설치된 셔터 구동핀(113)은 슬릿(126)에 걸어 맞추어지므로, 캐리어유니트(70)의 삽입에 따라 셔터 구동핀(113)은 슬릿(126)의 형상에 안내되어 이동한다.
이에 따라, 셔터 레버(78)는 회동하고, 또한 셔터 구동핀(113)과 걸어 맞추어져 있는 셔터(15)는 덮개가 열린다. 그리고, 셔터(15)가 완전히 덮개를 열은 시점에서, 상기와 같이 셔터 구동핀(113)은 슬릿(126)으로부터 이탈하고, 또한 걸어 맞춤 구멍(111)이 판 스프링(79)에 걸어 맞춤에 의해 셔터 레버(78)의 이동은 규제된다.
여기서, 다시 도 26으로 되돌아가, 제어장치(150)의 제어동작의 설명을 계속한다. 제어장치(150)는, 스텝 53에 있어서 SW1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또한 스텝 54에 있어서 SW3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감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1 및 SW3이 동시에 온 상태가 되는 위치는 도21c에 나타낸 위치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 위치가 DL 시작위치 P3이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스텝 53, 54에 있어서 동시에 긍정판단이 될 때까지,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니트(70)가 DL 시작위치 P3으로 이동할 때까지, 스텝 51∼54의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한편, 스텝 53 및 스텝 54에서 동시에 긍정판단이 되면, 즉 캐리어유니트(70)가 DL 시작위치 P3까지 이동했다고 판단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55에 있어서 로딩 모터(100)에 대하여 정규전압(E)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로딩 모터(100)의 구동력에 의해, 도면에서 화살표 Y1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이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은, 도 19에 나타낸 디스크 카트리지(13)에 내설된 DVD-RAM(14)의 중심 구멍(14a)이, 턴테이블(24)과 일치하는 위치까지 행해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DVD-RAM(14)의 중심 구멍(14a)과 턴테이블(24)이 일치하는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디스크 카트리지 로딩 완료위치(DL 완료위치라 약칭함)라 하고, 도면에서 P6으로 나타낸다.
또한, 이 DL 완료위치 P6은, 12cm 디스크(12)의 반송시에, 도 17에 나타낸 12L 퇴피위치 P6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DL 완료위치 P6에 있을 때에 있어서의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위치를,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 위치라 한다.
이 캐리어유니트(70)가 DL 시작위치 P3에서 DL 완료위치 P6으로 이동할 때도, 디스크 레버(60)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측면에 접촉하여,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반송이 방해되지 않도록 퇴피한 위치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제어장치(150)는, 스텝 55의 처리를 실시 후, 스텝 56 및 스텝 57에 있어서, SW3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후, SW3이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를 항상 판단한다. 여기서, 도 21을 참조하면, SW3이 온에서 오프로 전환되고, 그 후에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위치는, 도 21f에 나타낸 위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도 21f에 나타낸 위치가 DL 완료위치 P6이 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스텝 56 및 스텝 57에서 동시에 긍정판단이 될 때까지,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니트(70)가 DL 완료위치 P6으로 이동할 때까지, 캐리어유니트(70)의 이동은 계속된다.
한편, 스텝 56 및 스텝 57에 있어서 동시에 긍정판단이 되면, 제어장치(150)는 스텝 58에 있어서 로딩 모터(100)를 정지한다. 이에 따라, 캐리어유니트(70)는 DL 완료위치 P6에서 정지한다. 또한, 계속되는 스텝 59에서는, 제어장치(150)는 클램핑 모터(68)를 구동하여, 홀더 구동 슬라이더(30)를 도면에서 화살표 X1방향으로 이동시킨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홀더(40)는 도 4a에 나타낸 상동 위치에서 회동축(57)을 중심으로 하여 도 4b에 나타낸 하동 위치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디스크 카트리지(13)도 아래로 이동한다.
따라서, 디스크 카트리지(13)에 내설되어 있는 DVD-RAM(14)은 턴테이블(24)에 장착되고, 클램퍼(58)와 턴테이블(24)의 사이에서 클램프 된다. 이에 따라, DVD-RAM(14)은, 디스크 모터(25)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어, DVD-RAM(14)에 대하여 재생/기록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크 카트리지(13)가 디스크장치(10)로부터 배출될 때는, 상기한 장착시에 있어서의 동작과 반대의 동작이 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단, 디스크 카트리지(13)의 배출시에 있어서는, 추출 조작성의 향상을 꾀하기 때문에, DL 완료위치 P6에서 이젝트 위치 P1까지의 사이의 모든 사이에서, 로딩 모터(100)에는 정규전압(E)이 인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SW1∼SW3에 의해 캐리어유니트(70)에 삽입되어 지지된 디스크(11, 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종류가 판별되었을 때, 제어수단(150)은 로딩 모터(100)를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판별된 해당 디스크(11, 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에 대응한 고유의 클램프 위치 P4∼P6까지 캐리어유니트(70)를 이동시킨 후에, 디스크(11, 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를 턴테이블(24)에 클램프 한다. 따라서, 크기 및 형상이 다른 디스크(11, 12) 또는 디스크 카트리지(13)이더라도 이들을 확실히 턴테이블(24)에 클램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8cm 디스크(11)를 위해 설정된 캐리어유니트(70)의 검출위치(P1, P2, P4, P5), 12cm 디스크(12)를 위해 설정된 캐리어유니트(70)의 검출위치(P1, P4, P5, P6)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를 위해 설정된 캐리어유니트(70)의 검출위치(P1, P3, P6)가, 복수위치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이젝트 위치 P1은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에 있어서 공통으로 되어 있다. 또한, 8L 완료위치 P4와 12L 시작위치 P4, 8L 퇴피위치 P5와 12L 완료위치 P5, 12L 퇴피위치 P6과 DL 완료위치 P6이 각각 공통인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각 디스크(11, 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마다 다른 검출위치를설치한 경우에는 전부 11 개소가 필요해지는 검출위치를, 상기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위치의 공통화를 꾀하는 것에 의해 6개소(P1∼P6)로 줄인다. 이에 따라, 제어수단(150)이 실행하는 제어처리를 용이화 할 수 있고, 또한 캐리어유니트(70)가 검출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스위치(SW1∼SW3)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검출하는 데, SW1∼SW3 및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은, SW1 및 SW3과 걸어 맞추는 상단 캠부(141)와 SW2와 걸어 맞추는 하단 캠부(1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SW1∼SW3의 출력의 조합에 의하여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6개소(P1∼P6)에 있는 캐리어유니트(70)의 검출위치를 3개의 스위치(SW1∼SW3)로 검출할 수 있어, 스위치 수를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록매체 장착장치 및 디스크장치(10)의 구성의 간단화 및 부품 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SW1∼SW3으로서 가압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온/오프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것을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에 의해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캐리어 위치 검출용 캠(140)에 형성되는 캠 형상을 캐리어유니트(70)의 검출위치마다 다르게 하여 놓음으로써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검출이 가능해지고,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캐리어유니트(7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8cm 디스크(11), 12cm 디스크(12) 및 디스크 카트리지(13)의 전부도 장착할 수 있는 호환 디스크장치에 탑재한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호환 디스크장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스크만을 장착하는 구성의 디스크장치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에 서술하는 여러 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제 1 및 제 2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장착이 가능한 구성으로도, 각 종류마다 설정되어 있는 고유의 클램프위치까지 기록매체를 이동시킬 수 있고, 복수 종인 기록매체이어도 이들을 확실히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3 내지 제 5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어수단이 실행하는 제어처리를 용이화 할 수 있고, 또한 캐리어가 검출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의 수를 감소할 수 있다.
아울러, 제 6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스위치에 의해 복수의 캐리어의 검출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캐리어의 검출위치가 다수 개소이었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치 수를 적게 할 수 있어,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구성의 간단화 및 부품 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제 7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가압 캠에 형성되는 캠 형상을 캐리어의 검출위치마다 다르게 해 놓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캐리어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 8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적은 스위치 수 및 스위치 수로 다수 개소에서의 위치검출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제 9 국면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기록매체의 삽입을 정지하면 기록매체 반송기구는 기록매체의 반송을 정지하기 때문에, 기록매체를 오삽입하여도 오삽입을 알아차린 시점에서 기록매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9)

  1.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 사이에서 상기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반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기록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수단을 구비한 베이스와,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수단과, 상기 구동수단 및 상기 고정수단을 구동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위치검출수단은,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조작부재에 의해 하나의 절환기를 조작하여 검출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기록매체의 반송시에 상기 반송기구가 동작되도록 외부의 삽입력을 고려한 구동력을 상기 구동수단에 발생시키고, 상기 판별된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고정시키며,
    상기 기록매체의 종류에 대응한 서로 다른 복수의 검출위치가 적어도 일 개소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되게 하여, 상기 반송기구가 이동하였을 때 상기 제어수단이 반송기구의 구동상태를 변경시켜,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2.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지지 가능하게 된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구동하는 반송기구 구동수단과,
    상기 기록매체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기록매체를 회전 구동하는 매체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베이스와,
    상기 홀더와 상기 베이스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하는 클램프 기구와,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매체 판별수단과,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 및 상기 클램프 기구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매체 판별수단에 의해 지지된 기록매체의 종류가 판별된 때,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판별된 그 기록매체에 대응한 고유의 클램프 위치까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시킨 후, 상기 클램프 기구에 의해 해당 기록매체를 상기 매체 구동수단에 클램프 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3.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를 지지 가능하게 된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기록매체의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삽입 및 배출방향으로 구동하는 반송기구 구동수단과,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수단과,
    상기 복수 종류의 기록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디스크 판별수단과,
    상기 반송기구 구동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반송기구를 상기 기록매체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된 복수의 검출위치에서, 반송기구의 구동상태를 변경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와,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가 적어도 1개소에서 동일 위치가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는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상기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하는 위치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상기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인입 시작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는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하나의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상기 직경 8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퇴피위치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이고, 상기 다른 기록매체를 위해 설정된 검출위치는 직경 12cm의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클램프하는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6. 기록매체를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그 기록매체를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반송기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에 대한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반송 위치 검출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송 위치 검출수단을,
    상기 반송기구에 설치되고, 조작되는 것에 의해 온, 오프하는 스위치와,
    상기 홀더에 설치되고, 상기 반송기구가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부재로 구성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부재가, 상기 반송기구의 소정 검출위치마다 상기 스위치에 대하여 다른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를 가압 또는 가압 해제되는 것에 의해 온, 오프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스위치 조작부재를 상기 반송기구의 이동위치에 따라서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는 스위치 가압 캠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가압 캠을 복수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스위치를 상기 스위치 가압 캠의 설치 수와 같은 수로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온 및 오프 조합에 의하여 상기 반송기구의 위치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9. 삽입된 기록매체를 이젝트 위치와 로딩 위치의 사이에서 반송하는 기록매체반송기구와,
    상기 기록매체 반송기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이젝트 위치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상기 삽입방향 전방에 있는 로딩 시작 위치까지의 사이는,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만으로는 상기 기록매체 반송기구가 동작하지 않은 크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수단에 발생시키도록 제어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2001-0062015A 2000-10-13 2001-10-09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0417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4237A JP3812319B2 (ja) 2000-10-13 2000-10-13 記録媒体装着装置
JPJP-P-2000-00314237 2000-10-13
JPJP-P-2000-00314236 2000-10-13
JPJP-P-2000-00314235 2000-10-13
JP2000314236A JP3812318B2 (ja) 2000-10-13 2000-10-13 ディスク装置
JP2000314235A JP2002124000A (ja) 2000-10-13 2000-10-13 記録媒体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610A KR20020029610A (ko) 2002-04-19
KR100417106B1 true KR100417106B1 (ko) 2004-02-05

Family

ID=27344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015A KR100417106B1 (ko) 2000-10-13 2001-10-09 기록매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993777B2 (ko)
KR (1) KR100417106B1 (ko)
CN (1) CN1257505C (ko)
TW (1) TW5185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0555A (ja) * 2003-12-25 2005-07-14 Teac Corp ディスク装置
WO2006028127A1 (ja) * 2004-09-07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ィスク装置
KR100696819B1 (ko) * 2005-11-14 2007-03-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안착불량 검출장치
TWM291589U (en) * 2005-11-22 2006-06-01 Topray Technologies Inc Holding/positioning device for small/big optical disk
EP2442306A4 (en) * 2009-06-10 2014-05-21 Panasonic Healthcare Co Ltd DEVICE FOR DISPLAYING / DISPOSING OF AN OPTICAL DISC AND PROCESS FOR PROTECTING THE APPARATUS FOR DISPLAYING / DISPOSING AN OPTICAL DISC
US8566850B1 (en) * 2012-04-11 2013-10-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media drive
US9633686B1 (en) 2016-02-17 2017-04-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 storage cassettes
US10529371B1 (en) 2018-10-29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tuator tip calibration for robotic optical storage system
US10600441B1 (en) 2018-12-07 2020-03-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sc gripper for storage disc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5348A (ja) 1990-09-06 1992-04-16 Fujitsu Ltd 端末エミュレータのデータ表示処理方式
JP3082427B2 (ja) 1992-05-22 2000-08-2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ローディング装置
JP3692545B2 (ja) 1994-01-27 2005-09-07 ソニー株式会社 移動操作装置
US5737293A (en) * 1994-09-21 1998-04-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loading apparatus for loading optical discs in a cartridge or without
JPH08147841A (ja) 1994-09-21 1996-06-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WO1997041560A1 (fr) * 1996-04-26 1997-11-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dispositif d'enregistrement/de reproduction d'informations, et support d'enregistrement d'informations
JP3012519B2 (ja) 1996-05-22 2000-02-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カセット式記録媒体の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JP3387790B2 (ja) 1997-10-03 2003-03-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のトレイローディング機構
US6262961B1 (en) * 1997-11-18 2001-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k loading device and disk cartridge
JPH11154367A (ja) * 1997-11-20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US6538971B2 (en) * 1997-12-23 2003-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both disc cartridges holding 8cm and 12cm disc
KR100524297B1 (ko) * 1998-03-24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와 이를 이용한 기록 방법
JP2000113555A (ja) 1998-10-08 2000-04-21 Pioneer Electronic Corp フロントローディングディスクプレーヤ
JP2000215586A (ja) * 1998-12-23 2000-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多様な大きさおよび種類の記録媒体を使用できる光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情報記録/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7505C (zh) 2006-05-24
TW518563B (en) 2003-01-21
US6993777B2 (en) 2006-01-31
CN1355530A (zh) 2002-06-26
KR20020029610A (ko) 2002-04-19
US20020044504A1 (en) 200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104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0417106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0417105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0417103B1 (ko)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0538022B1 (ko) 디스크장치
JP3812318B2 (ja) ディスク装置
JP3674491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812316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812319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674492B2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3410281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812317B2 (ja) 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JP3807280B2 (ja) ディスク装置
JP3546868B2 (ja) ディスク装置
JP3807277B2 (ja) ディスク装置
JP3807279B2 (ja) ディスク装置
JP3807278B2 (ja) ディスク装置
JPH11162067A (ja) 記録媒体搬送機構
JP4673468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2124000A (ja) 記録媒体装着装置
JP2002124006A (ja) 記録媒体装着装置
WO2006132303A1 (ja) 保持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
JP2002124003A (ja) ディスク装置
JP2008159093A (ja) 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59092A (ja) 搬送機構、記録媒体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