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990B1 -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 Google Patents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990B1
KR100366990B1 KR1019950037295A KR19950037295A KR100366990B1 KR 100366990 B1 KR100366990 B1 KR 100366990B1 KR 1019950037295 A KR1019950037295 A KR 1019950037295A KR 19950037295 A KR19950037295 A KR 19950037295A KR 100366990 B1 KR100366990 B1 KR 100366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thread
shaft
threads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457A (ko
Inventor
가따야마가즈노리
도미오까히로유끼
시노즈까히사노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3452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736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6514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29262A/ja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01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4Devices for changing the bobbi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2Devices for determining or indicating the length of thread still on the bob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그 위에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 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E) ;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스레드(150)(450)를 인발하기 위한 스레드 인발수단 ;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인발된 보빈스레드(150)(450)를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G)이 의해 구성되며, 그에의해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로 안내되는 보빈스레드(150)(450)는 공기안내수단(G)에 의한 공기와 스레드 인발수단의 인발동작에 의해 보빈케이스(8)(302)내로 공급되고, 보빈스레드(150)(450)는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유발되는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긴다.

Description

보빈스레드(bobbin thread) 감기장치
본 발명은 보빈에 보빈스레드를 감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재봉틀에 있어서, 보빈에 감긴 보빈스레드가 모두 사용된 때, 작업자는 항상 다음의 동작들중의 하나를 취한다. 제1동작에 있어서, 작업자는 셔틀바디로 부터 빈 보빈을 내장한 보빈케이스를 취하고, 빈 보빈상에 보빈스레드를 감으며 보빈케이스를 셔틀바디내로 다시 싣는다. 제2동작에 있어서, 작업자는 셔틀바디 밖으로 빈 보빈을 취하고, 그 위에 이미 보빈스레드가 감긴 새로운 것으로 빈 보빈을 교체한다. 따라서, 보빈스레드를 감는 작업과 새로운 것으로 빈 보빈을 교체하는 작업은 종래의 재봉틀에 대해서는 필수적이며, 시간이 낭비되고 지루하다. 이와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보빈위에 보빈스레드를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고 그 위에 이미 감긴 스레드를 갖춘 새로운 것을 가진 빈 보빈을 감을 수 있는 재봉틀을 제안했다.(출원 공개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5-192476호 및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 4-188688호).
출원 공개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5-192476호 및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4-188688호에 개시된 재봉틀의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는 보빈에서 나온 보빈스레드의 끝을 클램프기구에 의해 잡아서, 그 스레드를 보빈케이스내로 유도하고 그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보빈을 돌린다. 결과적으로, 클램프기구에 의해 잡힌 스레드는 스레드 감기동작이 완료된 후 보빈케이스 외측에 놓여진다. 만일 최종의 바느질이 이 상태에서 행해졌다면, 보빈케이스 외측에 놓여진 스레드는 얽히거나 또는 보빈케이스의 틈내에 포착된다. 나머지 스티취(stitch)는 좋지않거나 또는 극한의 경우에 놓이며, 실은 절단된다.
보빈으로 부터 유도된 스레드의 끝이 클램프기구에 의해 잡히는 것과 같이 구성된 재봉틀에 있어서, 스레드가 재봉틀 작동중에 클램프기구로 부터 미끄러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그렇게 되었다면, 스레드는 수동으로 클램프기구로 세트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기계의 신뢰성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한, 이들 기계에 있어서, 때때로 보빈케이스내로의 스레드의 도입이 실패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스레드가 보빈축 이외의 다른축, 예를 들어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감아 올림축 또는 보빈케스축 주위에 감긴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작업자는 수동으로 이와같은 축으로부터 스레드를 제거해야 하고, 그것을 클램프기구로 세트해야 한다. 이것은 기계 신뢰성의 열화를 가져온다.
이와같은 연결에 있어서, 보빈 위에 감긴 스레드의 양을 탐지할 수 있는 기구를 전술된 바와같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추가할 것이 제안되었다(출원 공개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5-239194호). 제안된 기계에 있어서, 스레드 감김양은 보빈 회전용 보빈 감아올림축의 회전수를 사용하여 탐지된다. 스레드 감김양을 표시하는 보빈 감아올림축의 회전수는 얀 카운트(yarn count)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수정의 정확도는 실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제안된 기계에 있어서, 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감긴 스레드의 양은 실제적인 바느질 주위에 감기며, 감음동작의 완료시간은 알려지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스레드 감김양은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 주위에 보빈레드를 확실하게 감을 수 있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스레드의 확실한 감김으로, 양호한 시임이 형성되고, 스레드가 절단되지 않는다. 또한, 스레드 끝이 미끄러지지 않고, 스레드가 보빈축 이외의 축 주위에 감기지 않으며 따라서 어떠한 수동 동작도 클램프기구에 스레드를 리세트 하기 위해 필요치 않다.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된 스레드의 얀 카운트에 관계없이 보빈스레드의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고, 스레드 감기기구에 과도한 부하가 가해지지 않으며, 그에 의해 어떠한 부가적인 효과도 스티칭 품질에 가해지지 않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 내부에서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인발된 하부 스레드가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하부 스레드를 강제적으로 끌어내기 위한 스레드 인발 기구없이 보빈축 주위에 정확하게 감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목적에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주변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진 보빈케이스; 그 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보빈;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 구동수단;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스레드를 끌어내기 위한 스레드 인발수단; 및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인발된 보빈스레드를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이스의 개구부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 안내수단으로 구성되며, 그에 의해 보빈 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인발수단의 인발동작에 의해 그리고 공기 안내수단에 의한 공기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되며, 보빈스레드는 보빈 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제2관점에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주변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진 보빈케이스; 그 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보빈;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보빈 구동수단;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된 보빈 스레드의 팁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따라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보빈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보빈 구동제어수단; 및 보빈축 주위에 감긴 보빈 스레드를 감기 시작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기탐지수단으로 구성되며, 그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의 회전과 함께 보빈축 주위에 감기며, 보빈축 주위의 보빈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기탐지수단의 입력신호에 근거해 탐지된다. 제3관점에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주변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진 보빈케이스; 그 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보빈;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 구동수단; 스레드 공급원과 보빈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그 위에 감긴 보빈스레드를 가진 채 회전가능한 인발롤러; 보빈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보빈의 보빈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인발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발롤러 구동수단; 보빈 구동수단이 인발롤러를 회전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발롤러 구동수단으로 부터 인발롤러를 연결 및 분리시키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 인발롤러의 회전을 탐지하기 위한 롤러 회전 탐지수단; 및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인발롤러의 회전에 의해 인발된 보빈스레드를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으로 구성되며, 그에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 보빈스레드는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인발롤러의 회전을 사용함으로써 그리고 공기안내수단에 의해 야기된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되고, 보빈스레드는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과 함께 보빈축 주위에 감기며,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는 것은 롤러회전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근거해 탐지된다.
제4관점에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주변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진 보빈 케이스; 그 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을 가지며, 보빈케이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보빈;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 보빈 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따라 보빈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빈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보빈 구동제어수단;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축 주위에 감긴 보빈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김양 탐지수단;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 보빈스레드가 감기는 시작점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 및 보빈스레드가 감기는 시작점의 탐지에 따라 스레드 감김양의 탐지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탐지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제5관점에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주변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진 보빈케이스; 그 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을 가지며, 보빈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보빈;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따라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빈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보빈구동제어수단;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 보빈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레드 감김양 탐지수단; 및 스레드 감김양 탐지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스레드 공급양 결정 수단으로 구성되며, 그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 보빈레드는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기며, 보빈축에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양은 스레드 공급양 결정 수단의 출력신호에 근거해 결정된다.
제6관점에 따라서, 제1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안내수단의 스레드 안내 방향은 보빈축의 중심과 공기안내수단의 팁을 연결하는 세그먼트(segment)보다 보빈축 주위의 보빈축 스레드 감기측에 더 가까히 놓인다.
제7관점에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그 원주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진 보빈케이스; 그 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을 가지며, 보빈케이스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보빈; 보빈케이스내에서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보빈스레드를 끌어당기고,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끌려나온 보빈스레드를 삽입하기 위한 스레드 삽입수단; 및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보빈의 회전과 협력하여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를 보빈축 주위에 감기 위한 스레드 감기수단으로 구성되며; 그에 의해 보빈스레드가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그 주위에 보빈스레드로 감긴 보빈축을 회전시킴으로써 보빈케이스내에 수용된 보빈에 감긴다.
제8관점에 따라서,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은 스레드 안내통로를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케이스의 개구부까지 공급되는 보빈스레드를 안내하고,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보빈스레드를 끌어내며, 공기흐름의 도움으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끌려나온 보빈스레드를 보빈케이스내로 삽입하기 위한 공기 안내수단이다.
본 발명의 제9관점에 따라서,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유도된 보빈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레드 감기수단이 보빈케이스내에서 공기흐름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기수단이다.
제10관점에 따라서,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또한 보빈축 주위에 감기고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부터 유도된 보빈스레드를 보빈케이스로 걸어두고, 스레드 장력 스프링의 힘을 받는 상태에서 보빈스레드를 끌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레드 후킹(hooking) 수단으로 구성된다.
제11관점에 따라서, 제7 또는 제10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또한 감긴 보빈스레드의 이미 설정된 양을 남기면서 보빈축 주위에 감기고 보빈케이스 밖으로 유도된 보빈스레드를 보빈케이스에 대한 절단수단의 이동에 의해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 과 보빈스레드가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는 스레드 절단점과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사이의 거리로 구성된다.
제12관점에 따라서,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또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에 인접한 작업위치와 그 작업위치로 부터 떨어져 위치된 퇴각위치 사이에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 부터 멀리 이동하고, 보빈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제13관점에 따라서, 제10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또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에 인접한 작업위치와 그 위치와 떨어진 퇴각위치 사이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에서 멀리 이동시키고, 보빈스레드는 보빈케이스로 걸린다.
제14관점에 따라서, 제11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또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에 인접한 작업위치와 그 위치와 떨어진 퇴각위치 사이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 부터 멀리 이동되며, 보빈스레드는 절단된다.
제15관점에 따라서, 제12 내지 제14관점중 어느것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작업위치와 퇴각위치중 어느 하나에 세트될 수 있다.
제16관점에 따라서, 제9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수단으로 부터 불어오는 공기방향은 공기수단의 팁으로 부터 길게 뻗은 선보다 보빈축의 외부면의 스레드 감기측에 더 가깝고, 반면에 보빈축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7관점에 따라서,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또한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에서 보빈축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김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탐지된다.
제18관점에 따라서, 제1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이 보빈축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는데 실패한 경우에,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위한 동작은 되풀이 되거나 또는 연속된다.
[발명의 동작]
제1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김장치에 있어서,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인발되며, 공기안내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다. 보빈케이스 개구부로 안내된 스레드는 또한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인발되며, 공기안내수단으로 부터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된다.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보빈의 회전에 의해, 스레드는 보빈케이스 주위에 정확하게 감긴다.
제2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삽입수단은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다. 보빈구동제어수단은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보빈구동수단을 제어한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기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탐지된다.
제3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인발롤러에 의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인발된다. 인발된 스레드는 공기안내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다. 개구부로 안내된 스레드는 또한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인발롤러에 의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인발되고, 공기안내수단으로 부터의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된다.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보빈의 회전에 의해, 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정확하게 감긴다. 인발롤러의 회전은 롤러 회전 탐지수단에 의해 탐지된다. 인발롤러의 속도는 보빈 속도보다 적다. 따라서, 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감길때, 일방향 클러치는 인발롤러에의 인발롤러 구동수단의 회전의 전달을 차단한다. 인발롤러의 롤러속도를 표시한 롤러회전 탐지수단의 출력신호는 보빈 속도를 표시하도록 한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의 감김과 보빈축 위에 감긴 스레드의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이 탐지된다.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은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긴 후에 보빈축 위에 감긴 스레드의 양이 되도록 세트된다. 그리고 그것은 인발롤러의 회전에 의존한다.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함으로써, 인발롤러 구동수단의 부하가 보빈구동수단에 인가되지 않는다.
제4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삽입수단은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다.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빈구동제어수단은 보빈 구동수단을 제어한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탐지된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를 감는 시작점이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탐지될 때, 스레드 감김양 탐지수단은 보빈구동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보빈축 주위에 감긴 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위해 기동을 시작한다.
제5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삽입수단은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보빈케이스내로 삽입한다.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보빈구동제어수단은 보빈 구동수단을 제어한다.
보빈축 주위에 감긴 스레드의 양은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에 의해 탐지된다. 스레드 공급량 결정수단은 감는 스레드의 양에 기초하여 스레드 감김양 탐지수단에 의해 스레드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양을 결정한다. 결정된 보빈스레드의 양으로 부터 보빈스레드의 정상적인 공급을 알 수 있다. 보빈스레드의 정상적인 공급의 실예들은 스레드가 다 사용된 상태와 스레드가 스레드 공급경로내에서 얽힌 상태들이다.
제6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안내수단의 스레드 안내 방향은 보빈축의 중심을 연결하는 세그먼트와 공기안내수단의 팁보다 보빈축의 원주상의 스레드 감김축에 더 가깝게 놓인다.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된 스레드는 공기흐름의 도움과 보빈축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은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보빈스레드를 끌어 당기며, 보빈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 케이스내로 끌어당겨진 보빈 스레드를 삽입한다. 스레드 삽입 수단의 도움으로, 스레드 감기수단은 보빈축 주위에의 스레드 삽입 수단에 의해 보빈 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를 감는다. 보빈구동수단은보빈스레드가 그 주위에 감긴 보빈축을 회전하여 보빈케이스내에 수용된 보빈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는다. 이와같은 구조로, 연속적인 동작에 있어서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은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스레드를 강제적으로 인발하는 기구없이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제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안내수단은 제7관점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을 위해 사용된다. 공기안내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스레드 안내경로를 따라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다. 보빈축 둘레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보빈스레드가 밖으로 끌어 당겨지고, 끌어 당겨진 보빈스레드는 공기흐름의 도움으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다.
제9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수단은 제7관점에서 스레드 감기수단을 위해 사용된다.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는 공기수단에 의해 야기된 공기흐름과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된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둘레에 감긴다.
제10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축 둘레에 감기고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부터 유도된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후킹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로 후킹되고 스레드 장력스프링의 힘을 받으면서 밖으로 유도된다.
제11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는 절단수단은 보빈축 둘레에 감기고 보빈케이스로 부터 유도된 보빈스레드를 절단하며(제7관점에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부터 유도된 보빈스레드와 제11관점에서 장력스프링하에서 유도된 보빈스레드에 상당함), 반면에 미리 세트된 감긴 보빈스레드의 양은 그대로이다. 보빈스레드가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는 스레드 절단점과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사이의 거리는 보빈축 둘레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스레드가 절단된 후에, 스레드 절단수단의 앞쪽 단부는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스레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연속적인 동작으로,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는 확실하게 보빈축 둘레에 감기고 스레드 공급원으로 부터 스레드를 강제적으로 인출하기 위한 기구없이, 보빈축 둘레에 감긴다.
제12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스레드가 보빈축 둘레에 감길 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 부터 멀리 이동된다. 따라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와 보빈축 사이의 거리는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보빈스레드는 전체 길이의 보빈축 위에 균일하게 감긴다.
제13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부터 유도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케이스로 후킹될 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 부터 멀리 이동된다. 따라서, 후킹수단에 의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의 여하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제14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스레드가 절단될 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 부터 멀리 이동된다. 따라서, 스레드 절단수단에 의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의 여하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제15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작업위치 및 퇴각 위치중의 하나로 세트될 수 있다. 보빈스레드가 절단될 때, 예를들어,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작업위치와 퇴각위치로 부터 멀리 떨어져서 보빈스레드가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되는 스레드 절단점과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 사이의 거리가 보빈축 둘레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와 거의 동일하다. 스레드가 감길때, 예를들면,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는 그것과 보빈축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퇴각위치로 이동되어서, 보빈스레드는 보빈축의 전체 길이 위에 균일하게 감긴다.
제6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수단으로 부터 불어온 공기의 방향은 공기수단의 팁으로 부터 뻗은 선보다 보빈축의 외부면의 스레드 감김측에 더 가깝고, 반면에 보빈축의 중심을 통과한다.
제17관점에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은 보빈축 둘레에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한다. 따라서, 그것이 보빈축 둘레에 감긴 후에 스레드의 양은 예를들어 감긴 보빈스레드의 양으로 탐지된다.
제18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이 보빈축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는데 실패한 경우에는, 보빈축 둘레에 보빈스레드를 감기 위한 동작은 반복되거나 또는 연속된다. 반복되는 그리고 연속적인 감기 동작에도 불구하고,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길 가능성은 개선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를 사용하는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가 제7도 내지 제11도를 참고로 하여 실명된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케이스 교환위치(A),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 및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가 서로 120 °를 이루면서 축 주위에 배치된다.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케이스 교환위치(A),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 및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와 연결되어, 한쌍의 지지막대(2)가 축의 양측에 배치된다. 메인베이스(3)는 지지막대(2) 위에 장착된다. 참고번호(4)로 표시된 상기 축은 메인베이스(3)에 의해 수평으로 지지된다. 축(4)은 안내축으로 기능한다. 안내축(4)과 결합한 회전암(5)은 회전 가능하며, 그것은 축선 방향으로 활주 가능하다. 레버(6)는 안내축(4)을 따라 회전암(5)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전방 및 역전방향으로 60 °의 단계로 회전암(5)을 돌리기 위한 구동 수단도 또한 구비된다.
제10도에 양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안내축(4)은 메인베이스(3)의 직립 부품들에 의해 양 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안내축(4)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비-원형이다. 회전암(5)의 보스(5a)의 구멍 또한 비-원형이다. 따라서, 회전암(5)은 안내축(4)을 따라 활주 가능하고 안내축(4)과 함께 회전 가능하다.
회전암(5)은 그 중심에 대해 형태에 있어서 대칭적으로 굽힌다(제7도). 보빈(7)을 수용하는 보빈 케이스(8)는 회전암의 양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된다. 회전암(5)용 보빈 탈착기구는 한쌍의 전자석 헤드일 수 있으며, 이것은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 공개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5-192476호에 개시된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에, 또는일본국 특허출원제 평5-121960호에 개시된 재봉틀용 보빈 교환장치에 사용되며, 또는 상기 탈착기구는 본 특허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5-116363호에 개시된 재봉틀용 보빈 교환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러버포올(pawl)을 사용하는 기구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보빈케이스(8)에 대면하여 배치된 부품, 예를들어 셔들바디(16)으로 부터 보빈케이스(8)를 탈착할 수 있는 어떤 수단도 보빈 탈착기구로 사용될 수 있다.
전방/후방 이동레버(6)는 메인베이스(3) 위에 직립한 축(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제8도 및 제9도). 긴 구멍(6a)은 레버(6)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레버(6)의 다른 단부는 축(1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13)은 공기실런더(11) 막대의 상단부에 형성된 너클(12)로 조여진다. 공기실린더(11)는 지지판(10)의 도움으로 메인베이스(3)에 조여진다. 결합 핀(15)은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후방 이동레버(6)의 긴 구멍(6a)내로 삽입된다. 결합핀(15)은 칼러(14)의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다. 칼러(14)는 회전암(5)의 보스(5a)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같은 연결 구조로, 공기실린더(11)의 막대가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될 때, 전방/후방 이동레버(6)는 축(9)에 대하여 전방 및 역으로 회전된다. 상기 움직임으로, 회전암(5)은 전방/후방 이동레버(6)의 긴 구멍(6a)과 결합하는 연결핀(15)과 함께, 안내축(4)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회전암(5)은 두 위치; 즉 셔틀바디(16)가 배치된 바느질 위치로서 보빈 교환위치(A)를 포함하는 위치(제7도 및 제10도)와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와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를 포함하는 다른 위치 사이에서 안내축(4)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암(5)을 돌리기 위한 구동기구는 모터(19), 기어(21)(22), 제네바(Geneva)기구 및 기어(26)(27)들로 구성된다. 모터(19)는 메인바디(2)로 부터 밑으로 뻗은 브레키트(17)로 조여진 브래키트 위에 장착된다. 기어(21)는 회전축(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어(122)는 브래키트(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기어(21)와 맞물린다. 제네바기구는 기어(22)의 한쪽 측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구동기(23)와 브래키트(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추적기(25)로 구성된다. 기어(26)는 동축을 이루는 방식으로 추적기(25)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어(27)는 안내 축(4)에 고정된 상태로 기어(26)와 맞물린다. 기어(26)(27)들이 미리 설정된 기어비를 가지도록 설계된 경우에, 회전암(5)은 구동기구내의 제네바기구와 구동원으로서 모터(19)에 의해 안내축(4)에 대해 60 °의 단계로 회전된다.
보빈내의 잔유스레드를 제거하기 위한 어떠한 적절한 장치도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에 이용될 수 있다. 잔유스레드 제거장치의 특별한 실예가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번호제 평5-203610호 및 제 평6-40351호에 개시된 보빈용 잔유스레드 제거장치이다. 전술된 것 이외에 어떠한 형식의 장치도 만일 그것이 보빈으로 부터 스레드를 인발하기 위한 스레드 인발수단이 보빈케이스가 파지된 상태로 작동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잔유스레드 제거위치(9)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보빈(7)은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회전되고, 따라서 스레드는 보빈(7)으로 부터 인발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에 있어서, 모터(19)이 구동에 의해서, 회전암(5)은 60 °의 단계로 전방으로 또는 역으로 회전되고, 안내축(4)을 따라 전방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회전암(5)의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보빈케이스(8)는 작업위치(A),(B),(C)들로 이동되고, 필요한 과정을 겪는다.
회전암(5)의 한쪽 단부는 보빈케이스(8)를 파지하지 않으며, 그 다른쪽 단부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의해 그 주위에 감긴 스레드와 함께 보빈(7)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8)를 파지하고(후술함), 보빈케이스(8)의 한쪽 단부는 작업위치(A)(B)들 사이의 위치(D)에 배치된다고(제8도) 가정한다. 이 상태에서, 주어진 바느질 동작은 끝난다. 그때, 회전암(5)은 60°의 단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제8도), 동시에 그것은 셔틀바디를 향해 이동된다(제7도). 그리고 잔유스레드를 가진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8)는 보빈케이스 교환위치(A)에 배치된 셔틀바디(16)로 부터 끌어 당겨지며, 회전암(5)의 한쪽 단부에 의해 파지된다.
그때, 회전암(5)은 동시에 60 °회전하면서 안내축(4)의 퇴각위치로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것은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때, 회전암(5)의 다른쪽 단부에 의해 파지되는 스레드를 가지지 않은 보빈을 수용한 보빈케이스(8)는 보빈케이스 교환위치(A)에 배치된 셔틀 바디(16)내로 끼여진다. 그때, 회전암(5)은 반시계 방향으로 60 °회전하면서 그것으로 부터 퇴각하며, 따라서 회전암(5)의 다른쪽 단부에 의해 파지된 잔유스레드를 가지고 있는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8)는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로 진행한다. 이와같은 위치에 있어서, 잔유 스레드는 잔유스레드 제거장치에 의해 보빈(7)으로 부터 제거되며, 보빈은 비게 된다.
그 다음에, 회전암(5)은 반시계 방향으로 180 °회전되고(제8도), 그곳으로부터 퇴각하면, 그 다음에 빈 보빈을 수용한 보빈케이스(8)는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로 진행한다. 이 위치에서, 스레드는 빈 보빈에 감긴다. 연속적으로, 일련의 동작들이 반복된다.
본 발명의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가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자동 보빈공급장치의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보빈(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E)을 구비하고 있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참고번호(50)는 감기축을 표시한다. 감기축(50)은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기구(50a)는 감기축(5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다. 클러치기구(50a)는 감기축(50)의 한쪽 단부에 구비된다. 클러치기구(50a)는 보빈(7)내에 이미 형성된 다수의 구멍과 함께 또는 구멍으로 부터 결합 또는 분리된다. 풀리(50b)는 감기축(50)의 다른쪽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빈 구동모터(M2)도 또한 베이스에 고정된다. 풀리(52)는 보빈 구동모터(M2)의 출력축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벨트(51)는 풀리(52)(50b)들 사이에 뻗어 있다.
회전암(5)은 회전되고 보빈케이스(8)는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로 이동되며, 그 위치에 도달한다. 그 다음에, 회전암(5)은 진행하며 보빈케이스(8) 또한 진행한다. 보빈 구동모터(M2)는 회전하기 위해 구동되며, 따라서 클러치기구(50a)는 보빈(7)과 연결된다. 사용되는 구동기구는 구멍들과 결합하거나 구멍들로 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러치기구가 전술된 것 이외에도 다른 적절한 구성을취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실패(200)로 부터 보빈스레드(150)를 인발하기 위한 인발기구(F)를 구비하고 있다(제4도). 인발기구(F)는 다음과 같다. 참고번호(53)는 제1도 내지 제3도의 베이스를 표시한다. 베이스(53)는 단면이 U형상이다. 인발롤러 구동수단으로서 인발모터(M1)는 베이스(53)의 측면판(53a)에 고정된다. 인발모터(M1)의 출력축(56)은 측면판(53a)을 통과한다. 인발모터(M1)의 모터 속도는 보빈 구동모터(M2)의 모터 속도보다 작다. 인발롤러축(55)은 인발모터(M1)의 출력축과 일렬로 배치된다. 인발롤러(54)는 인발모터(M)에 다소 더 가까운 인발롤러축(55)의 단부 부품에 고정된다. 실패로 부터 유도된 보빈스레드가 인발롤러(54) 위에 한번 감긴다. 일방향 클러치(57)는 인발모터(M1)의 출력축(56)과 인발롤러축(55) 사이를 중개한다. 일방향 클러치(57)는 축(55)과 축(56)을 연결하거나 또는 축(55)으로 부터 축(56)을 분리한다. 일방향 클러치(57)는 슬리브(59)내에 수용된다. 탐지 슬리트부재(58)는 슬리브(59)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일방향 클러치(57)는 인발롤러축(55)의 회전 속도가 인발모터(M1)의 출력축(56)의 회전 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일방향 클러치(57)가 인발롤러축(55)으로 부터 인발모터(M1)의 출력축(56)을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탐지 슬리트부재(58)는 디스크와 같은 형상이다. 홈은 디스크형 탐지 슬리트부재(58)의 원주 부분에 형성된다. 롤러회전 탐지부재로써 광센서(60)는 탐지 슬리트부재(58)에 대면한 위치에 배치된다. 광센서(60)는 탐지 슬리트부재(58)의 홈을 탐지한다. 다시 말해서, 광센서(60)는 인발 롤러(54)의 회전을 감지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인발기구(F)에 있어서, 광센서(60)는 보빈축 주위에 감김을 탐지하고 또한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 효과적인 양의 스레드를 탐지하는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 카운팅(Counting) 수단과 연결된다.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 카운팅 수단(61)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보빈스레드(150)의 늘어짐을 수정하기 위한 늘어짐 수정기구는 인발기구(F)내에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늘어짐 수정기구는 늘어짐 수정레버(62), 스프링(64) 및 스톱퍼(63)로 구성된다. 늘어짐 수정레버(62)는 그 사이를 중개하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을 가진 인발롤러축(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보빈스레드(150)는 늘어짐 수정레버(62)를 관통한다. 스프링(64)는 보빈스레드(150)의 늘어짐을 제거하기 위하여 늘어짐 수정레버(62)를 밀어부친다. 스톱퍼(63)는 스프링에 의한 미는 힘에 의해 발생된 늘어짐 수정레버(62)의 회전을 멈추도록 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인발기구(F)에 의해 끌어 당겨진 보빈스레드(150)를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G)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안내수단(G)은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참고번호(65)는 튜브형 스레드 업소버(65)를 표시한다. 흡입구멍(65a)은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레드 업소버(65)내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와 연결되는 업소빙구멍(65a)은 스트링 흐름의 더 높은 부분을 향한다. 스레드 업소버(65)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관(66)의 한쪽 단부는 스레드 업소버(65)의 상류 부분과 연결된다. 공기관(66)의 다른쪽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공급원과 연결된 전자변(68)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스레드 적용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전자석밸브(68)를 켜고 끄기 위해 사용된다.
스레드 업소버(65)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공기관(67)의 한쪽 단부는 스레드 업소버(65)의 하류 부분에 연결되며 스레드 업소버(6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공기관(67)의 다른쪽 단부부분은 U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굽혀진다. 공기관(67)은 그 다른쪽 단부에 있는 공기노즐(67a)이 클러치기구(5a)가 보빈(7)과 연결된 상태에서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에 대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이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에 대면한 위치(이하에서는 '대면위치'라 함)에서 멈춘 경우에 공기노즐(67a)의 팁(공기안내수단(G)의 팁)의 스레드 안내 방향은 보빈축의 스레드 감김측에 놓인다.
"보빈축의 스레드 감기측"은 공기노즐(67a)의 팁으로 부터 길게 뻗은 선(Y)에 의한 분리된 보빈축의 한쪽 측면을 표시하며, 반면에 보빈축의 중심, 즉, 보빈스레드를 수용하는 보빈축(7a)의 측면(화살표 X로 표시됨)을 관통한다(제13도). 공기노즐(67a)의 팁의 스레드 안내 방향은 공기노즐(67a)의 팁으로 부터 길게 뻗은 선은 보빈축 스레드 감김측(X) 위에서 보빈축(7a)의 외주를 절단하며, 특히 공기노즐(67a)의 팁으로 부터 뻗은 선이 보빈축(7a)의 외주위에서 점 접촉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전자석밸브가 열렸을 때, 공기는 공기공급원으로 부터 공급되고, 공기관(66), 스레드 업소버(65) 및 공기관(67)을 통해 이동하며, 공기노즐(67a)로 부터 불어온다. 대면위치에서 멈추는 공기노즐(67a)의 상단과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 사이의 거리(H)는 바람직하게는 10mm 또는 그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m이다. 만일 거리가 이와같은 범위내에 존재하도록 선택된다면, 보빈스레드(150)는 불어나온 공기에 의해 펄럭거리며, 보빈케이스(8)내에서 보빈축(7a) 주위에 감긴 보빈스레드(150)에 필요한 난류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관(67)의 중간부분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재봉틀 베드(1)에 의해 지지된다. 공기관(67)은 스프링(70)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밀린다. 그것이 노즐퇴각 솔레이드(69)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에, 스프링(70)의 미는힘에 저항하도록 회전된다. 노즐퇴각 솔레노이드(69)가 ON(켜진) 상태에 있을때, 공기노즐(67a)은 스프링(70)의 미는 힘에 저항하면서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로 부터 퇴각한다. 그것이 OFF(꺼진상태)에 있을때, 공기노즐(67a)이 스프링(70)의 미는 힘에 의해 그것이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에 대면하는 대면위치로 이동된다.
보빈스레드(150)의 장력을 변경시키는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204)은 인발기구(F)와 실패(200) 사이에 구비된다(제4도).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204)은 통과 보빈스레드(150)를 밀기 위한 장력스프링(205), 장력스프링(205)의 미는 힘을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나사(206) 및 장력스프링(205)의 미는 힘에 저항하는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재봉틀베드(1)내에 배치된 솔레노이드(SOL)로 구성된다.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204)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회로는 전원(V)이 솔레노이드(SOL)에 일렬로 연결되고, 스위치(SW)가 그 사이에 삽입되는 것과 같이 구성된다.
스위치(SW)가 꺼졌을 때, 솔레노이드 추진력이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긴장스프링(205)의 미는 힘의 최대치가 보빈스레드(150)에 작용하여, 스레드 장력은 그 최대치에 있다. 스위치(SW)가 켜졌을 때, 추진력의 최대치가 발생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장력스프링(205)의 미는 힘에서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뺀 값이 보빈스레드(150) 위에 작용한다. 스레드 장력은 그 최대치에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작동은 이하에서 제1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설명된다.
우선, 보빈스레드(150)는 실패(200)와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204)으로 부터 유도되고 한바퀴 인발롤러(54) 위에 감기며, 늘어짐 수정레버(62)의 구멍을 관통한다. 이때에,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204)의 스위치(SW)가 켜져서,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스레드의 장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킨다.
그 다음에, 보빈스레드(150)의 팁이 스레드 업소버(65)의 흡입구멍(65a)내로 삽입되며, 흡입구멍(65a)내로 가볍게 밀린다. 연속적으로, 인발모터(M1)가 보빈스레드(150)를 인발할 수 있도록 구동되며, 동시에 전자변(68)도 일시적으로 켜져서 공기공급원으로 부터 공기를 공기관(66)(67)으로 공급한다. 흡입구멍(65a)내로 밀려 들어갔던 보빈스레드(150)는 스레드 팁이 공기노즐(67a)의 밖으로 나타날 때까지 공기흐름에 의해 공기노즐(67a)내로 안내된다. 선택적으로, 전자변(68)을 켜고 끄기 위한 도시되지 않은 스레드 적용 스위치가 작동되어서 일정한 시간동안 공기관(66)내의 공기흐름을 발생하도록 한다. 공기흐름의 도움으로, 스레드 팁은 자동적으로 공기노즐(67a)밖으로 나타난다.
회전암(5)은 보빈케이스(8)를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로 이동 시키기 위해회전되고, 보빈케이스(8)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보빈 구동모터(M2)가 일시적으로 구동되어서 보빈(7)과 클러치기구(50a)를 결합시킨다. 그 후에 노즐퇴각 솔레노이드(69)가 꺼져서 공기노즐(67a)을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로 이동시킨다.
그 후에, 인발모터(M1)가 구동되어 보빈스레드(150)를 인발한다. 전자변(68)이 켜진다. 공기는 공기공급원으로 부터 공기관(66)(67)내로 공급된다. 공기노즐(67a)에 나타난 스레드 단부는 난류가 보빈케이스(8)내에 형성되어 있는 동안 보빈케이스(8)내로 안내된다. 거의 동시에 또는 약간의 시간이 지체된 후에, 보빈 구동모터(M2)가 구동되어 보빈(7)을 회전시킨다(제6도의 선(a)(c)). 보빈케이스(8)내로 인도된 보빈스레드(150)는 보빈축 위에 감긴다. 인발롤러(54)의 회전은 전술한 바와같이 광센서(60)에 의해 탐지된다. 보빈스레드(150)가 보빈축에 감기기 전에, 인발모터(M1)의 회전이 탐지된다. 보빈스레드(150)가 보빈축에 감김으로써 일방향 클러치(57)는 인발모터(M1)의 회전 속도가 보빈 구동모터(M2)의 회전 속도보다 작게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인발모터(M1)의 출력축(56)의 회전을 인발롤러축(55)에 전달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인발롤러(54)는 보빈 구동모터(M2)의 회전속도에서 회전된다.
광센서(60)로 부터 출력된 센서펄스 신호의 펄스 간격은 제6도의 선(d)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좁아진다. 광센서(60)와 결합된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 카운팅 수단(61)은 참고 클럭신호가 발생되는 소정의 시간내에서 센서펄스 신호의 펄스 숫자를 카운팅하고, 그에 의해 센서펄스 신호의 변경을 탐지한다. 보빈스레드(150)가 보빈축(7a)에 감기기 시작하는 시간은 센서펄스 신호의 변경을 탐지함으로써 탐지된다.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긴 후에 보빈축 위에 축적적으로 감긴 스레드의 양은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으로 탐지된다.
보빈스레드(150)가 보빈축(7a) 주위에 감기기 시작하는 것이 탐지되는 순간에, 인발모터(M1)는 작동을 멈추고, 전자변(68)은 닫힌다.
터(M2)의 회전속도의 증가가 필요없다. 소정의 회전수(소정의 스레드 감김양)에 달한 경우에, 보빈구동모터(M2)는 멈춘다.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69)가 켜지고, 그에의해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로 부터 공기노즐(67a)을 퇴각시킨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보빈(7) 둘레에 보빈스레드(150)를 감는 작업은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그후에, 스레드 장력변경수단(204)의 스위치(SW)가 꺼지고, 따라서 솔레노이드 추진력은 0(영)으로 감속되고, 스레드 장력은 최대로 증가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로부터 인도된 보빈스레드(150)는 자동적으로 보빈케이스에 후킹된다. 스레드 후킹작업이 끝난후에, 스레드 장력변경수단(204)의 스위치(SW)가 켜지고, 따라서 솔레노이드 추진력이 최대로 증가되고 스레드 장력은 최소로 감소된다. 그후, 스레드 장력 스프링의 하부측에서 인도된 스레드는 소정량의 스레드를 남긴채 절단된다.
보빈케이스에 스레드를 후킹하기 위한 스레드 후킹기구와 보빈케이스에 후킹된 스레드를 절단하기 위한 스레드 절단기구는 출원 공개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 5-192476호 및 제 평 4-18868호에 개시된 것들일 수 있다. 이들 기구는 본 발명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따라서 그에대한 더이상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자동 스레드 절단작업이 수행된 다음에, 회전암(5)은 회전하면서 안내축 위의 퇴각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다음, 그것은 그위에 스레드가 감겨있는 보빈을 수용하고 있는 보빈케이스(8)를 파지한채 앞으로 진행하고, 보빈케이스 교환위치(A)에서 보빈케이스(8)를 셔틀 바디(16)내로 싣는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인발기구(F)는 실패(200)로 부터 보빈스레드(150)를 인발한다. 공기안내수단(G)은 보빈스레드(150)를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로 안내한다. 인발기구(F)는 또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8A)에서 보빈스레드(150)를 실패(200)로부터 인발한다. 공기안내수단(G)은 공기 흐름에 의해 스레드를 보빈케이스(8)내로 공급한다. 보빈구동수단(E)은 보빈을 회전시키고, 따라서 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확실하게 감긴다. 따라서, 스레드는 보빈케이스(8)내에서 구속되고, 양호한 시임이 형성된다. 보빈스레드가 분리되는 일은 수동으로 복귀하는 일은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신뢰성은 향상된다.
인발모터(M1)는 보빈스레드(150)를 실패(200)로부터 인발한다. 공기안내수단(G)은 보빈스레드(150)를 개구부(8A)로 안내한다. 인발모터(M1)는 또한 인발롤러(54)에 의해, 보빈케이스 개구부(8A)에서 보빈스레드(150)를 실패(200)로부터 인발한다. 공기안내수단(G)은 공기흐름에 의해 스레드를 보빈케이스(8)내로 공급한다. 보빈구동수단(E)은 보빈을 회전시켜, 스레드가 확실하게 보빈축 주위에 감기도록 한다. 이때에, 광 센서(60)가 인발롤러의 회전을 탐지한다. 인발롤러의 회전속도는 보빈속도보다 빠르다. 따라서 보빈스레드(150)가 보빈축 주위에 감길때, 일방향 클러치(57)는 인발 모터(M1)의 회전이 인발롤러(5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인발롤러의 롤러속도를 표시한 광 센서(60)의 출력신호는 보빈 속도를 표시하도록 되어있다. 광 센서는 보빈축 주위에 감긴 보빈스레드(150)의 꼬임을 탐지하고, 보빈축 위에 감기는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을 탐지한다.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은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꼬인후에 보빈축 위에 감기는 스레드의 양이 되도록 세트된다. 그리고 그것은 보빈의 회전이 아니라, 인발롤러(54)의 회전에 의존한다. 따라서, 얀 카운트에 관계없이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레드가 감긴때, 일방향 클러치(57)는 인발모터(M1)의 부하가 보빈구동수단(E)에 인가되는 것을 막는다. 따라서, 스터칭 품질에 어떠한 부작용도 미치지 않으며, 그에의해 신뢰성이 향상된다.
공기노즐(67a) 팁의 스레드 안내는 보빈축 스레드 감긴측(X)로 향해진다. 이와같은 스레드 안내 방향에 의해, 보빈케이스(8)내로 공급된 보빈스레드(150)는 보빈축(7a) 둘레에 잘 감긴다.
스레드가 보빈축위에 감긴후에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이 보빈축위에 감기는 스레드의 양이 되도록 설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리고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의 사용이 정확하게 파악되도록 하기 위하여, 인발기구(F)와 공기안내수단(G)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스레드가 스레드 공급원으로서의 실패(200)로부터 끌어당겨지고 스레드의 팁이 그 개구부(8A)를 통해 보빈케이스(8)내로 삽입되는 방법으로 스레드가 보빈 케이스(8)내로 수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제어에 관하여, 보빈(7) 회전수를 탐지하기 위한 수단이 상기 수단에 부가될 수 있어서 광 센서(60)의 출력신호에 따라 보빈축에 스레드(150)의 감김을 탐지한다. 이와같은 수단은 엔코터(encoder)일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보빈축에 보빈스레드(150)의 감김이 탐지된 후에, 보빈회전 탐지수단은 보빈(7)위에 감기는 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시작한다.
본 발명의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되는 가운데,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69)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 노즐(67a)은 스레드를 후킹 및 절단할때에 그들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보빈케이스(8)의 개구부(8A)로 부터 퇴각한다.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69) 이외에 다른 적절한 수단이 물론 동일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의 변경에 있어서,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에 따라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스레드 양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수단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의 스레드(150)의 정상적인 공급은 결정수단에 의해 탐지된다. 스레드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실예는 보빈(150)이 모두 사용된 경우와 보빈 스레드(150)가 얽힌 경우이다.
인발모터(M1)의 출력축(56)은 예를들어 일방향 클러치(57)가 아니라, 커플링에 의해 인발롤러축(55)과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인발롤러(55)의 속도는 보빈의 속도와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다소 크도록 세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긴 때에는 인발모터(M1)는 멈춰져야한다. 인발모터(M1)를 멈추는 시간은 경험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인발롤러(54)의 롤러 속도의 탐지는 인발모터(M1)가 그 작동을 멈추는 시간으로부터 시작한다. 전술된 바와같이 모터 정지시간은 (실제적인 스레드 감김 시간은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가 감기는 시간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는 드물다.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은 정확하지 않다. 또한, 스레드가 감기는 시간에, 그것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에 인발 모터(M1)의 부하는 보빈 구동 모터(M2)에 인가된다. 스티칭 품질은 다소 열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된다.
제3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 잔유스레드 제거 장치(461) 및 보빈교환장치(460)로 구성된다. 보빈교환장치(460)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의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의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 셔틀위치(보빈케이스 교환위치)(A) 및 더미축(보빈케이스 홀더수단)(306)의 보빈케이스 세트/제거위치(D)중 어떤것에 보빈케이스(30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자동보빈스레드 공급장치는 재봉틀 베드(401) 밑에 배치된다. 보빈교환 장치(460)는 우선 제34도 내지 제38도를 참고로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34도 내지 제38도에 있어서, 참고번호(301)는 보빈케이스(302), 셔틀축(301a), 셔틀바디(301) 밑에 배치되고 재봉틀 바디위에 적절히 장착된 메인베이스위에 수직으로 서있는 지지부재로서의 베이스판(303)을 수용하는 셔틀 바디를 표시한다. 셔틀축(305)과 나란하게 정렬된 이송축(304)의 고정단부(304a)는 베이스판(303)에 고정되고 외팔보와 같은 방식으로 베이스판에 의해 지지된다.
실린더형인 이송블록(312)(제34도)는 베이스판에 대향하에 배치된 이송축의 개방단부(304b)에 인접한 이송축(304)와 일부에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활주가능하게 장착된다. 실린더형 이송블록의 외주면상의 2개의 부품은 이들 절단 부품들의 절단면들이 서로 대면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축선방향으로 절단된다.
한쌍의 L형상 이송판(310)(310)이 구비되어 있다. L형상 이송판들의 제1다리들은 각각 이송블록의 절단부품들의 절단면들에 고정되고, 그 제2다리들이 제3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축선에 대해 대향적으로 배치된다.
한쌍의 파지부(311)(311)들은 축선방향으로 셔틀로 굽혀진다. 파지부 (311)(311)들의 제1 단부들은 각각 L형상 이송판(310)(310)들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보빈케이스를 파지하고 보지케이스의 파지를 푸는 보빈케이스 파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은 각각 (셔틀로 향해진) 파지부(311)(311)들의 제2단부들에 고정된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은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제 평 5-192476호 또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 평 5-121960호에 개시된 자동보빈스레드 공급장치에 사용된 한쌍의 전자석 흡인 헤드일 수 있으며, 또는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평 5-116363호에 개시된 자동보빈스레드 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레버 포올일수도 있다. 만일 그것이 대향 부재(예를들면 셔틀바디)로 보빈케이스(302)를 끌어당길 수 있고 풀어놓을 수 있다면 어떤 다른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기어(313)는 이송블록(312)의 외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기어(313)는 제3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틀축(301a)을 따라 뻗은 구동기어(319)와 맞물린다. 구동기어(319)의 한쪽 단부는 베이스판(303)위에 장착된 모터 장착판(321)의 이송축의 제2 단부에 돌출한 부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구동기어의 다른쪽 단부는 모터장착판(321)에 고정된 회전모터(320)의 외부축과 직접 결합된다.
회전암(370)은 이송블록(312), L형상 이송판(310)(310)들 및 파지부 (311)(311)들로 구성된다. 회전모터(320)가 회전될때, 회전암(370)도 회전된다. 회전암(370)은 그것이 본 실시예의 퇴각위치(제35도 내지 제37도)에 있을때 작동된다. 외팔보 형식으로 지지되는 이송축(304)은 구동기어(319)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그것의 지지강도는 충분히 높다.
도시되지 않은 멈춤 스프링은 기어(313)보다 이송축(304)의 고정단부에 더 가까운 이송블록(312)의 외부면상의 위치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가동칼러(314)는 이송블록(312)의 외주면 위에서 기어(313)와 멈춤 스프링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셔틀축(301a)과 평행하게 이동가능한 랙(316)의 한쪽 단부는 제34도 내지 제3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칼러(314)에 고정된다. 랙(316)의 다른쪽 단부는 피니언(317)과 맞물린다. 피니언(317)은 베이스판(303)위에 장착된 운동 모터(318)의 외부측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운동모터(318)가 구동될때, 랙(316)과 함게 가동칼러(314)와 회전암(370)은 피니언(317)에 의해 이송축(304)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암(370)은이송축(304)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고 이송축(304)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탐지기 장착판(333)은 이송축(304)의 개방단부에 장착된다. 광방출 엘리먼트(331a)와 광흡수 엘리먼트(331b)로 구성된 회전센서(331)는 탐지기 장착 판(333)위에 장착된다. 탐지판(332)은 제34도와 제3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회전암(37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회전센서(331), 탐지기 장착판(333) 및 탐지판(332)은 회전암(370)이 회전될때, 탐지판(332)이 광방출 엘리먼트(331a)과 광흡수 엘리먼트(331b) 사이를 통과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그들의 위치에서 조정된다.
회전센서(331)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운동탐지기(341)는 제34도 및 제3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베이스판(303)위에 장착된다. 센서판(315)은 랙(316)에 견고히 장착된다. 운동탐지기(341)와 센서판(315)은 회전암(370)이 움직일때, 센서판(315)이 광방출 엘리먼트(341a)와 광흡수 엘리먼트(341b)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들의 위치에서 조정된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으로서 더미축(306)은 제3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틀바디(301)밑의 오른쪽 위치(D)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위치(D)는 회전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위치에 대면한 베이스판(303)상의 위치이다. 더미축(306)은 제3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셔틀축(305)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보빈을 수용하고 있는 보빈케이스(302)가 축으로 밀리때, 그것은 보빈케이스(302)를 파지할 수 있다. 보빈케이스(302)가 축으로 밀릴때, 보빈케이스(302)의 보빈잠금포올(302d)은 제3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더미축(306)에 인접해 돌출된 회전잠금부재(305a)의 홈내로 끼워진다. 따라서, 보빈케이스(302)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고 그곳에서 파지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와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는 재봉틀 베드(401)가 이송축(304)을 따라 수직면으로부터 상승될때 그것이 회전되는 피봇(403)을 수용하는 면적(W)과 이송축(304) 밑의 면적(V)내에서 회전보빈케이스 파지부재의 위치에 대면하여 배치된다.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는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보다 낮다.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는 (제33도의 종이면에 수직한 방향으로)이송축의 축선방향으로 볼때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퇴각위치에 배치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는 보빈케이스 파지부재가 이송축의 축선을 따라 퇴각위치로부터 약간 이동될때(제33도의 종이면을 향해 이동될때) 도달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는 잔유 스레드 제거위치(B)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잔유 스레드 제거장치(461)는 보빈에 감긴 스레드의 팁을 클램프할 수 있고 스레드의 클램프를 해제할 수 있는 클램핑 부재를 가지고 있는 수단이고, 예를들어 모터에 의해 구동될때 축선에 대하여 회전되며, 그에의해 클램핑부재로 클램핑 된 보빈스레드가 자동적으로 감긴다. 그러나, 잔유스레드 제거장치는 만일 그것이 보빈케이스(302)가 보빈케이스 파지부재에 의해 파지되거나, 또는 보빈케이스(302)가 보빈케이스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전달되고 그것이 수단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면 어떤 다른 수단일 수 있다. 보빈위에 감기고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로부터 유도되는(아래로 걸리는) 스레드를 인발하기 위한 스레드 인발수단이 보빈케이스로부터 스레드를 인발하기 위해 작동된다. 잔유 스레드 제거장치(461)의 특별한 실예가 일본국 특허출원 제 평 5-203610호 또는 제 평 6-40351호에 개시된 잔유보빈스레드 제거장치이다.
전술된 바와같이, 잔유스레드 제거장치는 보빈상에 감기고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스레드를 인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잔유스레드 제거장치는 기본적인 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주요부분은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보다 낮게 배치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는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에 배치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는 예를들어 모터의 회전에 의해 보빈위에 하부스레드 또는 보빈을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고, 그후에 보빈케이스(302)에 스레드를 후킹할 수 있으며, 스레드를 절단할 수 있다. 이와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보빈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으로써, 보빈구동기구(E)를 구비하고 있다. 보빈구동기구(E)는 다음과 같다. 제14도에서, 참고번호(350)는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클러치기구(350a)는 감기축(350)의 한쪽 단부에 고정된다. 클러치기구(350a)는 감기축(350)의 한쪽단부에 구비된다. 클러치기구(350a)는 보빈(307)내에 이미 형성된 다수의 구멍들과 결합하거나 또는 그것들과 분리된다. 풀리(350b)는 감기축(350)의 다른쪽 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보빈구동모터(M2)도 또한 베이스에 고정된다. 풀리(352)는 보빈구동모터(M2)의 출력축에 견고히 부착된다. 벨트(351)가 풀리(352) (350b)들 사이에 뻗어있다.
회전암(370)가 회전되고 보빈케이스(302)는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 도달한다. 그때, 스윙암은 진행하고 보빈케이스(302)도 또한 진행한다. 보빈구동모터(M2)는 구동되어 회전하고, 따라서 클러치기구(50a)는 보빈(307)과 연결된다. 사용된 클러치 기구는 구멍들과 결합하거나 또는 구멍들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클러치기구는 전술된 것 이외에도 다른 어떤 적절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스레드 공급원으로서의 실패(200)로 부터 보빈스레드(450)가 늘어지는 것을 수정하기 위한 기구(제17도)와,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의 감김과 보빈 주위에 감긴 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기구(이들 기구는 일반적으로 (F)로 표시됨)를 구비하고 있다. 기구(F)는 다음과 같다. 참고번호(353)는 제14도 내지 제17도의 베이스를 표시한다. 베이스(353)는 단면이 U형상이다. 롤러축(355)은 베이스(353)의 양 측면판(353a)(353b)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축(355)은 베이스의 양 측면판(353b) 밖으로 뻗어있다. 롤러(354)는 측면판(353b)의 밖으로 뻗은 롤러축(355)의 부분에 고정된다. 실패(500)로부터 인발된 보빈스레드(450)는 롤러축(355)의 뻗은 부분 주위에 (한번) 감긴다.
센서슬리트(358)는 측면판(353a)(353b)들 사이에 배치된 롤러축(355)의 일부에 고정된다. 홈이 디스크형 센서 슬리트(358)의 원주 부분에 형성된다. 광센서(360)는 센서 슬리트(358)에 대면한 위치에 배치된다. 광센서(360)는 센서 슬리트(358)의 홈을 탐지한다. 다시말해서, 광센서(360)는 인발롤러(354)의 회전을 감지한다.
광센서(360)는 보빈축 주위에서 감김을 탐지하고 또한 보빈축 주위에 감긴 효과적인 스레드의 양을 탐지하는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에 연결된다. 결정수단(361B)은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에 연결된다. 소정의 스레드 감김 양을 세팅하기 위하여 밖에 배치된 세팅수단(361A)으로부터의 소정의 스레드 감김 양과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으로부터 출력되는 보빈 주위에 실질적으로 감긴 스레드의 양을 비교한다. 양자의 스레드 감김 양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는, 결정수단(361B)은 모터 드라이버(361C)로 구동멈춤 신호를 보낸다.
보빈스레드(450)의 늘어짐을 수정하기 위한 늘어짐 수정기구가 부가적으로 기구(F)에 구비된다. 늘어짐 수정기구는 늘어짐 수정레버(362), 스프링(364) 및 스톱퍼(363)으로 구성된다. 늘어짐 수정레버(362)는 그 사이를 중개하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으로 인발롤러축(35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보빈스레드(450)는 늘어짐 수정레버(362)를 관통한다. 스프링(364)은 보빈스레드(450)의 늘어짐을 제거하기 위하여 늘어짐 수정레버(362)를 밀어부친다. 스톱퍼(363)는 스프링(364)에 의한 미는힘에 의해 유발되는 늘어짐 수정레버(362)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공기안내수단(G)은 기구(F)의 아래방향에 구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레드 꼬임수단(공기수단)으로서 가능함) 공기안내수단(G)은 인발기구(F)에 의해 밖으로 끌어당겨지는 보빈스레드(450)를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로 안내한다. 공기안내수단(G)은 다음과 같다. 제14도에서, 참고번호(365)는 관형 스레드 업소버(365)를 표시한다. 흡입구멍(365a)은 제14도 및 제18도에 도시된 바와같이스레드 업소버(365)내에 형성된다. 밖으로 연결된 흡입구멍(365a)은 스트링 흐름의 더 높은 부분으로 향해진다. 스레드 업소버(365)의 내부공간과 연통하는 공기관(366)의 한쪽 단부는 스레드 업소버(365)의 상류부분과 연결된다. 공기관(366)의 다른쪽 단부는 도시되지 않은 공기 공급원에 연결되는 전자변(368)에 연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전자변(368)을 켜고 끄기위해 사용되는 스레드 적용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스레드 업소버(365)의 내부 공간과 연통하는 공기관(367)의 한쪽 단부는 스레드 업소버(365)의 하류 부분과 연결되어 있으며, 스레드 업소버(36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다. 공기관(367)의 다른쪽 단부는 U형상을 가지도록 굽혀진다. 공기관(367)은 그 다른쪽 단부에 있는 공기노즐(367a)이 클러치기구(350a)가 보빈(307)과 연결된 상태에서 보빈케이스(308)의 개구부(308A)와 대면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제21도 및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것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302A)와 대면하는 위치(즉, 그것이 작업위치에 배치됨)(이하 대면위치 라 함)에서 그것이 정지할때 공기노즐(367a)의 팁(스레드 삽입수단의 팁 ; 공기안내 수단의 팁)의 스레드 안내방향(공기가 부는 방향)은 보빈축의 스레드 감기측면에 놓인다.
"보빈축의 스레드 감기 측면"은 공기노즐(367a)의 팁으로부터 뻗은 선 YY에 의해 분할된 보빈축의 한쪽 측면을 표시하며, 그것은 보빈축의 중심을 관통한다. 즉, 보빈스레드(450)을 수용하는 보빈축(307a)의 (화살표 XX로 표시된)측면이다(제22도). 공기노즐(367a)의 팁의 스레드 안내방향은공기노즐(367a)의 팁으로부터 뻗은 선이 보빈축 스레드 감기측면(XX)위에서 보빈축(307a)의 외주를 절단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며, 특히 공기 노즐(367a)의 팁으로부터 뻗은 선이 보빈축(307a)의 외주상의 한점과 접속하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공기노즐(367a)로부터 유도된 스레드의 길이(LL)는 보빈축 주위에 선단의 스레드를 감을 수 있을 정도로 선택된다. 선단 스레드의 이와같은 길이(이하에서 필요길이 라 함)는 바람직하게는
(1) {(작업위치에 배치된 공기노즐과 보빈축의 외부면 사이의 거리) + [보빈축의 외주의 길이 ×(1.1.∼2.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작업위치에 배치된 공기노즐과 보빈축의 외부면 사이의 거리) + [보빈축의 외주의 길이 ×(1.25 ∼ 1.8)]} 이다.
만일 선단 스레드의 필요길이가 상기 길이 (1)보다 길다면, 그 개구부(302A)를 통해 선단 스레드의 단부를 보빈케이스(302)내로 유도하기 어렵다. 만일 그것이 보빈케이스(302)내로 성공적으로 유도된다면, 스레드는 그 차체로 매듭을 만들고 보빈축(307a)을 조이기 위해 한바퀴 이상 보빈축 주위에 감길 수 있다. 만일 선단 스레드의 필요길이가 길이 (1) 또는 (2)보다 짧다면, 선단 스레드의 단부가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데 실패할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선단 스레드의 필요길이는 55mm가 되도록 선택된다. 이와같은 숫자는 다음의 치수들로부터 유도된다 : 공기노즐(367a)이 팁과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 사이의 거리는 7mm 이고, 보빈케이스개구부(302A)와 선단 스레드가 그 외부면을 접촉하는 보빈축의 외부면상의 한점 사이의 거리와 (25mm (보빈축의 외주) ×1.64) = 31mm.
전자변(368)이 켜졌을때, 공기는 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고, 공기관(366) 및 스레드 업소버(365) 및 공기관(367)을 통해 이동하며, 공기노즐(367a)로부터 불려나온다. 스레드 업소버(65)의 흡입구멍(365a)내로 유도된 선단스레드의 단부는 공기노즐(367a)로부터 유도된다.
대면위치에서 멈추는 공기노즐(367a)의 상단과 보빈케이스의 개구부(308A) 사이의 거리(H)는 바람직하게는 10mm 또는 그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mm 내지 7mm이다. 만일 상기 거리가 이 범위내에 있도록 선택된다면, 보빈스레드(450)는 불어나오는 공기에 의해 펄럭거리며, 스레드(450)가 보빈케이스(308)내에서 보빈축(307) 주위에 감기기 위한 필요한 와류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관(367)이 중간 부분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재봉틀 베드(80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공기관(367)은 이동수단의 하나를 구성하는 스프링(870)에 의해 시계방향(제14도)으로 밀어부쳐진다. 그것이 이동수단의 다른 것을 구성하는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에 의해 구동될때, 그것은 스프링(870)의 미는힘에 저항하도록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래칭(latching)솔레노이드는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로 사용된다. ON 신호가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로 인가되는때(제19도의 선(C)), 공기노즐(367a)은 스프링(870)의 미는힘에 저항하면서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로부터 퇴각한다. OFF 신호가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에 인가되는때(제19도의 선(d), 공기노즐(367a)은 스프링(870)의 미는 힘에 의해 그것이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에 대면하는 대향위치로 이동한다.
스레드 후킹수단과 스레드 절단수단으로 구성되는, 가동날을 가진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보빈케이스가 보빈스레드 감기위치에서 세트된때(제23도) 보빈케이스(302)에 인접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가동날(416A)를 구비하고 있다(제24도). 가동날(416A)은 V형상인 절단부(416C)(416D)로 구성된다. 절단부(416C)(416D)들은 스레드를 선단부(제24도의 앞쪽)와 후단부(제24도의 깊은쪽)내로 안내한다. V형 절단부(416C)의 꼭대기는 제24도의 V형 절단부(416D)의 꼭대기에 대하여 왼쪽으로 이동된다(제29도 및 제32도). 절단 아이 볼(cutting eye ball) (가동날) (416E)은 가동날(416A)의 상부면상에 절단부(416C)(416)들의 꼭대기를 거칠게 연결하는 선상에 구비된다. 작은 공간이 절단 아이볼 위에 구비된다. 작은 공간은 고정날(391)로 하여금 그곳을 관통하도록 허용한다. 스레드 분리편(416B)도 또한 스레드 분리편(416B)의 모서리가 절단 아이볼로 부터 약간 이동된 상태에서 절단 아이볼(416E) 위에 구비된다(제23도 및 제32도). 가동날(416A)과 스레드 절단편(416B)은 감기축(350)에서 동축선상으로 중심이 맞춰져 있다(제23도 및 제24도). 스레드 파지부재(416)가 보빈케이스(302) 주위에서 회전되고 고정날(391) 부분에 도달될때, 가동날(416A)의 후단부위의 절단아이볼(416E)은 고정날(391)의 팁 위에서 미끄러진다. 이들 관련 부품들은 그렇게 배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역전가능한 모터가 도시되지 않은 치차열을 통해 스레드 파지부재(416)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역전가능한 모터에 의해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전된다.
보빈케이스(302), 고정날(391), 스레드 절단점(S)등은 스레드 인도구멍(302E)로부터 스레드 절단점(S)(좀더 정확하게는 절단 아이볼(416E)이 고정날(391)과 접촉하는 점) 사이의 길이가 스레드가 서로 감김에 의해 시임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 즉 약 40mm에 상당하도록 배치된다(제23도. 스레드 인도구멍(302E)은 장력스프링 아래에 배치된다(제23도 및 제27도). 스레드 감기동작과 스레드, 후킹 동작(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함)이 끝난후에, 스레드는 스레드 인도구멍(302E)을 통해 인도된다.
공기노즐(367a)은 작업위치(제11도) 및 퇴각위치(제23도) 사이를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 위하여, 공기노즐(367a)은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스레드를 감고, 후킹하고 절단하기 위하여 공기노즐(367a)은 퇴각위치로 이동된다.
보빈케이스(302), 스레드 절단점(S) 및 공기노즐(367a)의 퇴각위치 등은 공기노즐(367a)이 퇴각위치에 세트되어 있을때, 스레드 절단점(S)과 스레드가 절단되는 때의 공기노즐(367a)의 팁 사이의 거리가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위해 요구되는 길이(LL)(전술함)에 거의 상당하도록(본 실시예에서는 약 55mm)가 되도록 배치된다.
보빈케이스(302)가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에 설정되었을때, 스레드 캐칭(catching)레버(424)는 스레드 파지부재(416)의 회전위치의 제26도의 종이 면에 수직한 평면에서 스템나사(424a)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제25도, 제26도및 제28도 내지 제32도). 제2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레드 파지 레버(424)는 그 상단에 있는 후크(424A)와 오른쪽 아래로 경사진 경사면(424B)으로 구성되며, 후크(424A)로 연속된다. 스레드 파지 레버(424)는 반시계 방향으로 밀린다(제25도에서). 일반적으로, 그것은 제25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배치된다.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와이퍼(430)는 감기축(350)의 앞쪽 단부의 이 측면(제28도)상에 구비된다. 스레드 장력변경수단(504)은 통과하는 보빈스레드(450)를 밀기 위한 스프링(505), 장력 스프링(505)의 미는 힘을 수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나사(506) 및 재봉틀 베드(401) 내에 배치되고 장력 스프링(505)의 미는 힘에 저항하는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SOL)로 구성된다.
스레드 장력변경수단(504)을 구동시키기 위한 전기회로는 전원(V)이 솔레노이드(SOL)에 직렬로 연결되고, 스위치(SW)가 그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스위치(SW)가 꺼진경우, 솔레노이드 추진력이 발생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장력스프링(505)의 미는힘의 최대값이 보빈스레드(450)위에 작용하고, 스레드 장력은 그 최대값에 있다. 스위치(SW)가 켜졌을때, 최대의 추진력이 발생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 장력스프링(505)의 미는힘에서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뺀 값이 보빈스레드(450)위에 작용한다. 스레드 장력은 그 최소값에 있다.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는 베이스판과 접촉하게된다(제33도 내지 제38도). 베이스판(303)은 적절한 위치에서 잘라낼 수 있다. 제33도의 실시에에서, 보빈케이스 세트/제거위치(D)는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와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에 인접해 배치되고, 파지부(311)(311)들은 확대된다. 상기 실예에서, 파지부(311)(311)들은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와 접촉할 위험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충분한 공간들이 그들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확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모터(318)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 케이스 지지수단은 보빈케이스 세트/제거 위치들(셔틀위치 ; 더미축의 위치)(A)(D)와 셔틀로 부터 떨어져 배치된 퇴각위치(제34도 내지 제38도)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이 퇴각위치로 이동되는 경우에, 센서판(315)은 광방출 엘리먼트(341a)로부터 이동탐지기(341)의 광흡수 엘리먼트(341b)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하고, 그에의해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퇴각위치로의 운동을 탐지한다. 그때 퇴각위치에서 원래의 위치가 탐지된다. 퇴각위치에서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회전에 의해, 탐지판(332)은 광방출 엘리먼트(331a)로 부터 광흡수 엘리먼트(331b)로 방출되는 빛을 차단한다. 원래의 위치는 탐지판(332)에 의한 광차단 위치에서 세트된다. 이와같은 세팅에 의해,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이 그 위치로 회전될때, 그것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예를들어 펄스모터가 회전모터(320)로 사용되는때는,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은 셔틀위치(A),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 잔유스레드 제거위치(D) 및 더미위치(D)로 펄스모터의 펄스수의 카운팅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자동보빈스레드 공급장치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중의 하나가 그 추위에 감긴 스레드를 가진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회전암축으로부터 그의 손을 삽입하고 셔틀축(305)으로 그것을 세팅하는 경우에서와 같이, 손바닥을 뒤집지 않고 더미축(306)에 대해 스레드가 감긴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를 민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이 보빈케이스를 2X로 표시하고, 후술될 보빈 케이스를 2Y로 표시한다.
그다음에, 전원스위치 켜진때, 회전암(370)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기동스위치가 켜진다. 차례로, 회전암(370)이 회전되어 더미위치(D)에서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중 하나를 세팅한다. 회전암(370)은 진행하도록 야기되고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중 하나는 더미축(306)에 의해 파지된 스레드가 감긴 보빈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2X)를 파지한다. 이때에 다른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은 어떠한 간섭도 겪지 않고 셔틀 바디로 이동한다.
더미축이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 또는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의 이송축(304)에 대해 반대위치에 구비된 경우에, 전술된 바와같이 이송축의 축선방향에서 볼때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의 위치는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퇴각위치와 일치하고, 이송축의 축선방향에서 볼때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의 위치는 보빈케이스 파지위치의 퇴각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약간 이동된 위치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만일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중 하나가 더미축(306)을 향해 이동한다면, 다른 것은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를 때릴 것이다. 이와같은 연결에서, 본 실시예에서 더미축(306)은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회전위치와 대면하면서 셔틀바디(301)의 오른쪽 아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이 잔유스레드 제거장치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를 때리는 위험이 없어진다.
그후에, 회전암(370)은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에 의해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중 하나가 셔틀바디(301)를 향하면, 그것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주위를 완전히 회전한 스레드를 가진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2X)는 셔틀에 세트된다. 이때에, 다른 보빈케이스 파지부재는 어떤 장애도 받지 않고 더미축(306)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회전암(370)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상기 경우에서와 같이, 작업자는 회전암 측에서 다시 그의 손을 삽입하고, 더미축(306)에 스레드가 감긴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2Y)를 세트한다.
바느질 동작을 시작한후에, 바느질 동작중에 전술한 경우에서와 같이, 보빈케이스 수단중 하나는 더미축(306)에 의해 파지된 스레드가 감긴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2Y)를 파지하게 되고, 회전암(370)은 후방으로 이동된다.
감긴 잔유스레드 양이 적고 보빈교환 명령이 발해진 경우에, 기계의 바느질 동작이 멈춘다. 보빈 케이스를 파지하지 않은 보빈케이스 파지부재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적은 양은 잔유스레드를 가지고 있는 보빈을 함유하는 보빈케이스(2X)로부터 선택하며, 후방으로 이동한다.
회전암(370)은 회전되고, 스레드가 감긴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2Y)는 셔틀바디(301)를 대면하여 세트된다. 또한, 회전암(370)은 진행되고, 스레드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에 의해 빈 보빈 주위에 감긴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의 동작은 제14도 내지 제32도를 참고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실패(200)와 스레드 장력변경수단(504)으로 부터 유되된 보빈스레드(450)는한바퀴씩 롤러(354)주위에 감긴다. 일회전의 스레드는 늘어짐 수정레버(362)의 구멍을 통과한다. 이때에, 스레드 장력변경수단(504)의 스위치(SW)가 켜지고, 그에의해, 솔레노이드 추진력은 최대로 되고 스레드 장력은 최소로 된다.
보빈스레드(450)의 단부는 스레드 업소버(365)의 흡입구멍(365a)내로 삽입되고, 다소간 그 내부로 밀린다. 그후에, 전자변(368)이 일시적으로 켜진다. 공기는 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기관(366)(367)로 공급된다. 공기흐름에 의해, 흡입구멍(365a)내에 밀려있는 보빈스레드는 공기노즐(367a)로 안내되고, 노출되며 공기노즐(367a)로 부터 유도된다. 끌어내진 길이(LL)는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 단부를 감기에 충분히 길다. 이 실시예에서, 그것은 약 5.5mm 이다. 흡수구멍(365a)내에 밀려있는 보빈스레드(450)는 출력축(356)으로부터 이송되고, 노출되며 공기노즐(367a)로 부터 유도될때, 작업자가 앞으로 실패(500)로부터 스레드의 충분한 길이를 끌거나 또는 그것을 앞으로 인발해낸다. 보빈구동모터(M2)는 일시적으로 구동되고, 그에의해 클러치기구(350a)를 보빈(307)과 결합한다.
제19도의 선(b)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구동모터(M2)는 저속으로 구동되고, 따라서 보빈은 저속으로 회전된다. 제19도의 선(d)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OFF 신호는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로 인가되며, 따라서 공기노즐(367a)은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에 인접한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제19도의 선(a)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변(368)이 켜지고, 따라서 공기는 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기관(366)(367)로 공급된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노즐(367a)로부터 유도된 스레드 단부는 미세하게 펄럭거리면서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로부터 보빈케이스(302)내로 도입(유도)되며, 또한 보빈축의 스레드가 감긴 측면(XX)으로 유도된다. 보빈축(307a)의 회전과 공기의 와류에 의해, 보빈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따라서, 실패(500)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450)는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긴다. 다음에 롤러(354)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광센서(360)는 제6도의 선(C)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펄스신호를 만들어낸다.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은 광센서로부터의 펄스신호의 펄스수를 카운팅한다. 펄스의 수가 소정의 값에 도달할때, 보빈스레드(450)가 보빈축 주위에 감겨지는 것을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와같은 결정은 3개의 펄스가 카운팅될 때 정해진다. 3개의 펄스숫자가 안전인자를 허용하여 선택된다. 따라서, 필요한 펄스숫자는 물론 3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보빈축(307a) 주위에서 보빈스레드(450)의 감김이 탐지된 다음에,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온 연속적으로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에 대한 펄스를 카운팅한다. 이때에, 제6도의 선(a)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변(368)이 꺼지고, 그에의해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멈춘다. 제6도의 선(C)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약간의 신호지체에 의해, ON 신호는 노즐퇴각 솔레노이드(369)로 인가되고, 공기노즐(367a)은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퇴각위치로 이동된다.
보빈스레드(450)가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기는데 실패한 경우에, 그리고 제7도의 선(a)로 도시된 바와같이, 광센서(368)는 어떠한 신호도 발생하지 않으며, 전자변(368)이 꺼지며, 제7도의 선(a)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공기공급원으로부터의공기공급은 멈춘다. 약간의 시간이 지체된 후에, 제7도의 선(C)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ON 신호가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로 인가된다. 공기노즐(367a)이 퇴각위치로 이동되고, 초기상태로 세팅된다.
제7도의 선(d)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ON 신호가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로 다시 인가되고, 공기노즐(367a)은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에 인접한 작업위치로 이동한다. 제7도의 선(C)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전자변(368)이 켜지고, 따라서 공기는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기관(366)(367)으로 공급된다. 즉, 재시도 동작이 수행된다. 이 실시예에서, 재시도 동작의 숫자는 3배이다. 만일 보빈축(307a) 주위에서 스레드의 감김은 3개의 재시도 동작후에는 탐지되지 않으며, 기계는 기계에 잘못이 있는지를 결정하고 작업자에게 곤란의 정도를 알리기 위해 경보음을 발생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보빈축(307a) 주위에서 스레드의 감김이 탐지되고 공기노즐(367a)이 퇴각위치(제23도)로 이동한 경우에, 보빈구동모터(M2)의 모터속도는 저속으로부터 증가되고 보빈축(307a)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는다. 보빈스레드가 공기노즐(367a)의 팁과 보빈축(307a) 사이의 긴 거리로 감길때, 보빈스레드(450)는 보빈축(307a)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긴다.
결정수단(361B)은 스레드양 세팅수단(361A)으로 부터 들어간 소정의 스레드의 감김 양과,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에 의해 탐지되는 실제적으로 감기는 스레드양을 비교한다. 양자의 양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 구동정지신호는 보빈구동모터(M2)의 드라이버(361C)로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보빈구동모터(M2)가 멈춘다. 즉, 스레드 양 세팅수단(361A)으로부터 들어오는 소정의 스레드를 감는 양은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긴다.
소정량의 감기는 스레드에 도달하기 직전에, 보빈구동모터(M2)의 모터속도는 감소되고, 감소된 모터속도가 계속 유지되고 모터는 스레드의 감김이 소정량에 도달한 경우에 멈춘다. 만약 그렇게 되었으면, 모터는 과도회전하지 않으며, 따라서 소정량으로 감긴 스레드는 실제적으로 감기는 스레드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보빈(307) 주위에 보빈스레드(450)가 감기는 동작은 자동적으로 수행된 후에,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504)의 스위치(SW)는 커지고,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최소화하며, 스레드 장력을 최대화한다. 이 상태에서,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로부터 인도되는 스레드(450)는 보빈케이스(302)에 후킹된다. 스레드 후킹동작은 이하에서 설명된다.
우선,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제28도에 도시된 초기위치로부터 반회전되고, 제29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세트된다. 그다음에,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로 부터 인도된 보빈스레드(450)(제27도)는 V형상 절단부(416D)의 꼭대기에 의해 파지되고, 보빈케이스(302)(제29도)의 장력 스프링에 더 인접해 배치된 후킹위치(302B)로 이동한다.
이때에, 후킹위치(302B)를 향해 이동하는 스레드는 스레드 파지레버(424)이 경사면(424B)과 접촉하게 되며, 그 진행방향으로 스레드 파지레버(424)를 민다. 이때에, 스레드 파지레버(424)는 코일스프링(425)에 의해 진행방향에 반대방향으로 밀리고 있다. 따라서, 제2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스레드(450)는 소정거리의진행방향으로 스레드 파지레버(424)를 밀고, 스레드 파지위치(302C)에서 슬리트(302C)로 안내된다. 역방향으로 절반 회전된 스레드 파지부재(416B)와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제30도).
결과적으로, 제3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와이퍼(430)는 약 180。만큼 초기위치로부터 회전된다(제21도). 슬리트(302C)로부터 인도된 스레드의 일부는 와이퍼(430)로 후킹되고, 슬리트(302C)내에 삽입된 스레드 부분은 장력스프링(302D) 밑에서 이동해가고 스레드 인도구멍(302E)으로부터 유도된다. 그후에, 와이퍼(430)는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베벨부분(302a)은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서 보빈케이스(302)내에 형성된다. 베벨부분(302a)을 구비함으로써, 보빈케이스의 베벨부분(302a)으로부터 인도되는 보빈스레드(450)는 보빈케이스(302) 밑에 배치된 장력스프링에 인접한 후킹위치(302B)로 용이하게 이동된다. 베벨부분(302a)의 구비는 스티칭의 품질에 어떠한 악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보빈케이스의 베벨부분(302a)으로부터 인도된 보빈스레드(450)가 후킹위치(302B)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곳에는 베벨부(2a)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후킹스레드의 자동동작을 보빈케이스(302)로 따르도록 하면, 스레드가 그곳으로 후킹되는 보빈케이스(302)로 공급된 스레드는 절단된다. 우선, 스레드 장력변경수단의 스위치(SW)가 켜져서 솔레노이드 추진력을 최대화하고 스레드 장력을 최소화한다.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제29도의 경우와 비교할때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후에, 제3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빈케이스(302)의 스레드 장력스프링(308D) 밑에 있는 스레드 인도 구멍(302E)으로부터 인도된 보빈스레드(450)는 V형 절단부분(416C)의 꼭대기에 의해 파지되고, 스레드가 밖으로 끌어당겨진다.
밖으로 끌어당겨진 스레드는 V형 절단부(416C)의 꼭대기에 의해 파지되고, 스레드 분리편(416B)에 의해 제32도의 오른쪽으로 분리된다.
그리고 스레드 파지부재(416)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후에, 스레드 파지부재(416)의 절단 아이볼(416E)는 고정날(391)을 대면하며, 그 사이에 존재하는 스레드는 절단된다(제23도 및 제32도).
보빈케이스(302)로부터의 보빈스레드는 약 40mm 정도인 그 길이만큼 장력스프링(302D) 밑에 있는 스레드 인도구멍(302E)으로부터 인도되고 절단된다. 40mm의 길이는 전술한 바와같이 보빈 또는 하부스레드에 대하여 충분히 길기 때문에 상부 스레드와 협동하여 시임을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실패로부터 나온 스레드는 약 55mm 정도인 그 길이 만큼 공기노즐(367a) 밖으로 인도된다. 55mm의 길이는 충분히 길기 때문에 보빈축(307a) 주위에 하부스레드를 감을 수 있다.
하부스레드를 절단하는 자동동작이 수행된후에, 회전암(37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대기상태에 있게된다. 보빈교환명령이 발해진때, 재봉틀의 바느질동작은 멈춘다. 회전암(370)은 회전된다. 보빈케이스를 파지하지 않은 보빈케이스 파지부재는 셔틀 바디(301)에 대면하도록 세트되고, 전방으로 이동한다. 적은양의 잔유스레드가 그 주위에 감긴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302Y)는 셔틀 밖으로 끌어당겨진다. 그후에, 회전암(370)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후에, 회전암(370)은 회전하면서 진행한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에 의해 그 주위에 감긴 보빈을 수용하는 보빈케이스(302X)는 셔틀 바디 내로 세트된다. 회전암(370)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전술된 일련의 동작들이 되풀이 된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에 의해 파지된 보빈케이스(302 ; 302X, 302Y)가 밖으로 끌어당겨질때 또는 보빈케이스(302)가 색상이 다른 스레드를 사용하기 위하여 더미축(306)에 의해 일시적으로 파지되고, 보빈케이스(302)를 파지하는 보빈케이스 파지부재는 더미축(306)에 대면하여 배치되고, 전방으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보빈케이스(302)는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으로부터 더미축(306)으로 이송된다.
셔틀축(305)으로부터 보빈케이스를 끌어당기는 경우에 있어서와 같이 더미축(306)에 의해 파지되는 보빈케이스(302)를 끌어내기 위하여, 손을 뒤집지않고 회전암 측으로부터 작업자의 손을 삽입하여 그것을 밖으로 끌어낼 수 있다. 더미축(306)에서 보빈케이스를 끌어당기는 수동작업은 매우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이어서, 실패(500)로 공급되는 스레드는 스레드 삽입수단으로서의 공기 안내수단에 의해, 스레드가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기에 필요한 그의 길이(LL) 만큼 공기노즐(367a) 밖으로 인도된다. 밖으로 인도된 스레드는 공기안내수단(G)에 의해 보빈케이스(302)내로 삽입되는 스레드는 스레드 감기수단으로서의 공기의 도움으로 그리고 보빈구동수단으로서의 보빈구동모터(M2)에 의해 유발되는 보빈 회전의 도움으로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기도록 만들어진다. 감긴 스레드를 가지고 있는 보빈축(307a)은 보빈구동모터(M2)에 의해 회전되고, 따라서 보빈스레드는 보빈케이스(302)내에 수용된 보빈(307) 주위에 감긴다. 실패(500)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는 제1실시예에서 개시된 바와같이 스레드 공급원 밖으로 스레드를 강제적으로 인발하기 위한 기구없이, 보빈축(307a) 주위에 확실하게 감긴다. 스레드 인발 기구의 사용이 없기 때문에 제조비용을 낮추도록 하고, 기구에 의해 야기되는 스레드 늘어지는 곤란을 제거한다. 기계 신뢰성의 개선이 확보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가 감기기 위해 필요한 길이(LL)의 스레드가 공기노즐(367a) 밖으로 인도된다. 따라서, 전술한 경우에서와 같이, 보빈케이스 위에 스레드를 감는 다음 및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보빈 구동모터(M2)는 저속으로 구동되고, 따라서 보빈 또한 저속으로 회전된다. 공기노즐(367a)은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전자변(368)이 켜지고, 공기가 공기공급원으로부터 공기관(366)(367)으로 공급된다. 그후에, 보빈축(307a)의 회전과 공기의 협동에 의해, 공기노즐(367a) 밖으로 유도된 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즉, 스레드는 인발 모터 없이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스레드가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길때, 공기노즐(367a)의 텁은 작업위치에서 퇴각위치로 이동하며, 그에 의해 공기노즐(367a)의 팁과 보빈축(307a)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보빈스레드(450)는 보빈축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케이스 개구부(302A)로부터 인도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케이스(302)에 후킹될때, 공기노즐(367a)의 팁은 작업위치에서 퇴각위치로 이동되고, 그에의해 스레드 파지부재(416)을 가지고 있는 공기노즐(367a)의 팁에 어떠한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기계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노즐(367a)로부터 불어오는 공기의 방향은 보빈축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공기노즐(367a)의 텁으로부터 길게 뻗은 선(YY)보다 보빈축의 외부연의 스레드가 감기는 측면(XX)에 더 가깝다. 따라서, 보빈케이스(302)내로 삽입된 보빈스레드는 공기흐름의 도움과 보빈축의 회전의 도움으로 보빈축 주위에 확실하게 감긴다. 기계의 신뢰성은 개선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은 보빈축(307a)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한다. 따라서, 그것이 보빈축 주위에 감긴후에 스레드의 양은 예를들어 감긴 보빈스레드의 양으로써 탐지되며, 정확한 보빈스레드의 감김이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 카운팅수단(361)이 보빈축(307a)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는데 실패한 경우에, 보빈스레드를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기위한 동작이 반복되거나 또는 연속된다.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반복동작이더라도 스레드가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길 가능성은 개선된다. 따라서 기계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본 실시예는 또한 다음과 같은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재봉틀 베드(401) 밑에 배치된다.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와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는 보빈케이스 파지수단과 함께 회전하는 이송축(304) 밑의 면적(V)내에서 회전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위치와 대면하고 있으며, 그것이 이송축(304)을 따라 수직평면에서 뻗은때 재봉틀 베드(401)가 그것에 대해 회전하는 피봇(403)을 수용하는 면적(W)내에 회전하는 보빈케이스 파지부재의 위치와 대면하고 있다. 잔유 스레드 제거장치(461) 및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는 기계헤드가 상승할때 외부면 측면의 회전위치(X)로부터 내부로 떨어져 있다. 장치(잔유 스레드 제거장치(461)와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와 바느질 테이블(402)의 간섭(접촉)이 재봉틀베드(401)가 상승할때 바느질 테이블(402)에 발생할 기회가 없다. 이것은 이들 장치의 구성 부품들을 제거하고 정확하게 가공할 필요없이 달성된다. 이것은 다양한 장점을 발생시킨다. 제조비용도 감소된다. 용이하고 단순한 조립, 배선 및 배관이 실현된다. 용이한 보수가 확보된다. 또한 이들 장치는 인접하게 배치된다. 그후에, 배선과 배관이 특정한 공간에 집중되고, 결과적으로 공간을 줄인다. 또한,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의 과도한 회전이 제거된다.
재봉틀의 하부측(404)(405)들은 보빈케이스 파지부재의 회전위치와 대면하고 보빈케이스 파지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이송축(304) 위의 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된다(제33도). 이와같은 이유때문에, 이 부분에 보빈스레드 감기장치(462) 및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를 배열하기가 곤란하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이 보빈케이스 세트/제거위치(셔틀위치) (A)로 축선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이송축(304)에 대해 대향하여 배치되는 회전암(370)의 보빈케이스 파지부재(이하에서는 제2 보빈케이스 파지부재 라함)도 또한 축선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2보빈케이스 파지부재가 피해들어갈 공간은 서로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보빈케이스 파지부재의 통로내에 형성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연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더미축(306)은 보빈케이스 파지부재의 회전위치와 대면하면서 셔틀바디의 오른쪽 밑에 배치된다.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이 보빈 세트/제거위치(셔틀위치)(A)로 축선방향으로 이동될때, 그리고 더미축(306)으로 축선방향으로 이동될때, 제2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이 그 인접부재들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부가적으로 피할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의 구성에 있어서, 보빈위에 감기고 보빈케이스(302)의 스레드 인도구멍으로부터 아래로 늘어진 스레드를 인발하는 스레드 인발수단의 스레드 인발 동작에 의해 보빈이 회전하는 방법으로 스레드가 보빈 밖으로 인발된다. 따라서, 그 주요부분은 잔유 스레드 제거위치(B) 밑에 배치된다. 따라서, 만일 잔유 스레드 제거위치(B)가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와 교환된다면,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의 주요부분에 대한 여유가 없다. 이와같은 연결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서, 잔유 스레드 제거위치(B)가 보빈스레드 감기위치(C) 밑에 배치된다. 그리고 빈 공간은 잔유스레드 제거위치(B) 밑에 배치된다.
따라서, 잔유스레드 제거장치(461)는 이 빈 공간내에 설치된다. 또한 잔유스레드 제거위치는 보빈스레드 감기위치 밑에 배치된다. 이때문에, 잔유스레드 제거위치로부터 제거된 스레드가 다른것, 예를들어 보빈스레드 제거위치 주위에 감긴다. 제거스레드는 부드럽게 방출된다.
본 발명이 그 구체적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되는 가운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수정변경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실패(500)로 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가 공기안내수단(G)에 의해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LL) 만큼 밖으로 빼낸 상태에서 보빈스레드는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다. 공기안내수단(G)의 수정에 있어서, 실패(500)로 부터 나온 보빈스레드는 짧은 관형부재내로 삽입된다. 짧은 관형부재는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LL)의 스레드 부분이 짧은 관형부재 밖으로 빼낸 상태에서 스레드를 파지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 관형부재는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그것은 항상 느슨한 상태로 배치된다. 관형부재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업위치와 퇴각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변경예에 있어서, 공기수단은 관형부재의 앞쪽단부로부터 보빈케이스(302)내로 인도된 스레드를 안내하는데 부가적으로 사용되며, 보빈축(307a) 주위에서 감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LL)의 스레드 부분이 보빈케이스(302)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스레드는 공기 안내수단(G)에 의한 공기와 보빈구동모터(M2)에 의한 보빈 회전의 도움으로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긴다. 공기는 본 특허출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평 5-239194호에 개시된 기구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보빈케이스(302)내에 배치된 보빈스레드는 저속 회전하는 보빈구동모터(M2)에 의해, 보빈축(307a)의 외부면으로부터 돌출한 키형상 스레드 파지부재의 키형상 조각에 후킹된다. 그후에, 그것은 스레드 후킹부재위에 배치된 보빈축(307a)의 외부면에 형성된 링형 홈내에 끼인다. 스레드 단부측 위의 링형 홈의 깊이는 스레드 공급측 상의 홈의 깊이보다 깊다. 스레드 단부측상의 스레드는 스레드 공급측상의 스레드밑에 놓인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보빈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꼬인다.
부가적으로, 짧은 관형부재가 스레드 삽입수단으로 사용된다. 스레드 파지부재와 링형홈은 스레드 꼬기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변경예에서 전술된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들이 확보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한 긴 길이(LL)의 스레드가 실패(500)에서 인발되는 상태에서 보빈스레드를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하기 위한 수단과 전자의 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302)내로 삽입되는 스레드를 보빈축(307a) 주위에 감기위한 수단은 단일수단(공기안내수단(G))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은 물론 개별적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빈스레드 감김 양의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제의 보빈스레드 감김 양은 롤러(354)의 회전을 이용하여 탐지된다. 다른 가능한 탐지기구에서, 엔코더와 같은 회전탐지장치는 보빈구동모터(M2)에 부착된다. 보빈스레드 감김 양은 보빈의 회전을 사용하여 탐지된다. 탐지기구는 탐지 정확도에 있어서 실시예의 탐지기구보다 여릉하다. 부가적으로, 보빈의 회전에 의해 탐지되는 보빈스레드 감김 양은 예를들어 계산수단을 사용하여 수정된다(수정의 실예에서, 감긴 스레드의 지름이 커짐에 따라 감긴 스레드의 길이는 회전수가 변하지 않는 경우에도 길어진다). 탐지 정확도는 개선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빈케이스(302)의 장력스프링(302D) 밑의 스레드 인도구멍(2E)으로부터 인도된 보빈스레드가 절단된다. 후킹되지 않고,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로부터 인도되는 스레드는 물론 절단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스레드가 후킹되고 절단된때, 공기 노즐(367a)은 스레드파지부재(416)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퇴각위치로 물러난다. 스레드를 후킹하고 절단하는 기구가 스레드 후킹 및 절단시에 공기노즐(367a)과 간섭하지 않도록 설계된 곳에 공기노즐(367a)이 작업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어 고정날(391)은 스레드 절단시의 스레드 절단점과 공기노즐(367a) 팁 사이의 거리가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와 거의 같을 수 있도록 이동되어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빈케이스(302)는 스레드파지부재(416)가 이동되는 중에, 스레드를 절단하기 위해 고정된다. 만일 필요한 경우에는 스레드파지부재(416)는 보빈케이스(302)가 회전 또는 이동하는 동안에 고정된다. 또한 스레드파지부재(416)와 보빈케이스(302) 양자는 동일한 목적을 위해 이동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스레드파지부재(416)는 스레드후킹 및 스레드절단의 양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이들 기능을 분리된 수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369)와 스프링(870)은 작업위치와 퇴각위치인 2개의 위치 사이에서 공기노즐(367a)을 이동시키는데 협력한다. 노즐 퇴각 솔레노이드와 스프링을 사용하는 대신에, 스탭핑 모터가 2개의 위치 사이에서 공기노즐(367a)을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이 경우에, 퇴각위치는 전술된실시예에서 보다 보빈케이스(302)의 개구부(302A)로부터 훨씬 떨어져 배치된다. 스레드가 절단된때에, 공기노즐(367a)은 공기노즐(367a)의 팁과 스레드 절단점(S) 사이의 거리가 보빈축(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한 길이에 실질적으로 상당할 수 있도록(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작업위치와 퇴각위치와 관계되도록 배치된다. 보빈스레드가 감긴때, 공기노즐(367a)의 팁은(전술된 실시예에서의 위치로부터 훨씬 멀어짐) 그것과 보빈축(307a)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퇴각위치로 이동되며, 따라서 보빈스레드는 보빈축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보빈케이스 파지수단은 더미축(306)이다. 선택적으로, 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자석은 보빈케이스(302)를 끌어당겨 그것을 홀더내로 삽입한다.
전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재시도 동작에서, 공기노즐(367a)은 퇴각위치로 이동되고, 다시 작업위치로 이동된다. 만일 스레드가 그것의 스레드 감기측(XX)에 대향한 보빈축의 측면상으로 삽입되면, 스레드는 끌려나오고, 보빈케이스내로 다시 삽입된다. 삽입은 공기노즐(367a)이 작업위치에 멈춰진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14도에 은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의해 전방 및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한쌍의 롤러(900)(900)들은 스레드 공급 경로내에 구비된다. 쌍진 롤러(900)(900)들은 보빈스레드(450)에 대해 압축될 수 있으며 스레드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재시도 모드에서, 롤러들은 스레드(450)에 대해 압축되고 회전되어서, 그에의해 소정의 길이의 스레드를 실패(500)로 복귀시킨다. 그다음에, 롤러(900)들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의해서 동일한 길이의 스레드를 보빈케이스(302)로공급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공기노즐(367a)이 작업위치에서 멈춰져 있는 동안에 재삽입이 수행될 수 있다. 보빈축(307a) 주위에서 보빈스레드(450)의 감김이 탐지된때, 롤러(900)(900)들은 물론 스레드(450)로부터 떨어진다.
제1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인발되고, 공기안내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다. 보빈케이스로 안내된 스레드는 또한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인발되고, 공기안내수단으로 공급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된다.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보빈의 회전에 의해, 스레드는 보빈케이스 주위에 확실하게 꼬인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 스레드는 보빈케이스 밖으로 결코 밀려나지 않으며, 양호한 시임이 형성되고, 스레드는 절단되지 않는다. 또한, 스레드 단부는 미끄러 떨어지지 않고, 스레드는 보빈축 이외의 축 주위에는 감기지 않으며, 따라서 어떠한 수동작업도 스레드를 클램핑 기구에 재세팅하는데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제2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삽입수단은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한다. 보빈구동 제어수단은 보빈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 보빈스레드를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는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의해 탐지된다. 제1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유효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제2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감기는 스레드의 양으로써, 그것이 보빈축 주위에 감긴후에 보빈축 주위에 감긴 스레드의 양을 탐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보빈상에의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을 탐지할 수 있다.
스레드가 감기기 시작하는 것을 탐지하는 구성에 의해, 감기 오류 및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의 보빈스레드가 공급되지 않는 것을 탐지할 수 있다. 제3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보빈스레드는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인발롤러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인발된다. 인발된 스레드는 공기안내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다. 개구부로 안내된 스레드는 또한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인발롤러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인발된다. 그것은 공기안내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된다. 보빈구동수단에 유발되는 보빈의 회전에 의해, 스레드는 보빈축 주위에 확실하게 감긴다. 인발롤러의 회전은 롤러회전 탐지수단에 의해 탐지된다. 인발롤러의 속도는 보빈 속도보다 적다. 따라서,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길때, 일방향 클러치는 인발롤러 구동수단의 회전이 인발를러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인발롤러의 롤러속도를 표시하는, 롤러회전 탐지수단의 출력신호는 보빈속도를 표시하게 된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의 감김과 보빈축 위에 감긴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이 탐지된다.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 양은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긴후에 보빈축상에 감기는 스레드의 양으로 세트된다. 그것은 보빈의 회전이 아니라, 인발롤러의 회전에 의존한다.
제3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제1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고, 사용된 얀 카운트에 관게없이 보빈스레드의 효과적인 스레드 감김양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방향 클러치를 구비함으로써 인발롤러 구동수단의 부하는 보빈구동 수단에 인가되지 않고, 그에의해 어떠한 부작용도 스티칭 품질에 가해지지 않는다.
제4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삽입수단은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보빈구동 제어수단은 보빈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보빈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기도록한다. 보빈축 주위에의 보빈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탐지된다.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가 감기기 시작하는 것이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탐지될때, 스레드 감김 양 탐지수단은 보빈구동제어수단의 제어하에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 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시작한다.
제5관점에 따라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삽입수단은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팁을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한다. 보빈구동 제어수단이 보빈구동수단을 제어하여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 주위에 감기도록한다.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 스레드의 양은 예를들어 광센서와 같은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에 의해 탐지된다. 스레드 공급양 결정수단은 감기는 스레드의 양에 따라 스레드 감김 양 탐지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의 양을 결정한다. 결정된 양의 보빈스레드로부터 보빈스레드의 비정상적인 공급을 알 수 있다. 보빈스레드의비정상적인 공급의 실예는 스레드가 다 소모된 상태 및 스레드가 스레드 공급경로에서 늘어지게 된 상태등이다.
제6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안내수단의 스레드 안내 방향은 보빈축의 원주상의 스레드 감기측에 위치한다. 보빈케이스내로 공급되는 스레드는 공기흐름과 보빈축의 회전이 협동하여 보빈축 주위에 견고하게 감긴다.
제7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 장치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은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보빈스레드를 끌어당기고,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끌어당겨진 보빈스레드를 삽입한다. 스레드 삽입수단과 협력하여, 스레드 감기장치는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를 감는다. 보빈구동수단은 보빈스레드에 의해 감긴 보빈축을 돌려서 보빈케이스내에 수용된 보빈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는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 스레드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스레드를 강제적으로 인발하기 위한 기구없이, 보빈축 주위에 확실하게 감긴다. 스레드 인발기구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제조비용의 감소를 가져오고, 기구에 의해 야기되는 스레드가 늘어지는 어려움을 제거한다. 기계신뢰성의 개선도 확보된다.
제8관점에 따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안내수단은 제7관점의 스레드 삽입수단으로 사용된다. 공기안내수단에 의해서,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안내경로를 따라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 안내된다. 보빈축 주위에 보빈축을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보빈스레드는 밖으로 끌어당겨지고, 밖으로 끌어당겨진 보빈스레드는 공기흐름의 도움으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제7관점의 장치의 것과 비교해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재9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공기수단의 제7관점이 스레드 감기 수단으로 사용된다.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내로 유도된 보빈스레드는 공기수단에 의해 유발되는 공기흐름과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유발되는 보빈의 회전의 도움으로, 보빈축 주위에 감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제7관점의 장치의 것과 비교해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제10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1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보빈축 주위에 감기고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유도되는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후킹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에 후킹되고 스레드 장력 스프링하에서 밖으로 유도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는 제1관점의 장치의 것과 비교해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자동 스레드 후킹기능을 실현한다.
제11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7 또는 제10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보빈케이스와 관련하여 이동하는 절단수단은 보빈축 주위에 감기고 보빈케이스로부터 유도되는 보빈스레드를 절단한다(제7관점에서 보빈케이스의 개구부로부터 인도되는 보빈스레드와 감긴 보빈스레드의 소정량을 남기는 제10관점의 장력스프링하에서 인도되는 보빈스레드에 상당함).
보빈스레드가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될때의 스레드 절단점과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 사이의 거리는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와거의 동일하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서, 스레드가 절단된후에,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의 스레드를 확실히 구비한다. 따라서, 일련의 동작으로,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는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스레드를 강제적으로 인발하기 위한 기구없이, 보빈축 주위에 확실히 감기고, 이는 제7 또는 제10관점의 장치에 유용한 효과를 추가한다.
제12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7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보빈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질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그에의해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와 보빈축 사이의 거리는 증가한다. 보빈스레드는 보빈축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기며, 이는 제7관점의 장치에 유용한 효과를 추가하는 것이다.
제13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10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보빈케이스로부터 인도되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케이스에 후킹될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그에의해 후킹수단을 가지고 있는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에 어떤 간섭도 생기지 않는다. 기계신뢰성은 제10관점의 장치의 유용한 효과에 추가되어 개선된다.
제14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11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보빈스레드가 절단될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며, 그에의해 스레드 절단수단을 가지고 있는 스레드 삽입수단이 앞쪽단부에 어떤 간섭도 발생하지 않는다. 기계신뢰성은 제11관점의 장치의 유용한 효과에 추가되어 개선된다.
제15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12 내지 제14관점중 어느것의 구성에 추가하여,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작업위치와 퇴각위치 중 어느하나에 세트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보빈스레드가 절단될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보빈스레드가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될때의 스레드 절단점과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 사이의 거리가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도록 작업위치와 퇴각위치로부터 떨어진다. 예를들어, 스레드가 감길때,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그것과 보빈축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퇴각위치로 이동하고, 따라서 보빈스레드는 보빈축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감긴다.
제16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19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공기수단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의 방향은 보빈축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공기수단의 팁으로부터 뻗은 선보다 보빈축의 외부면의 스레드 감기측에 더 가깝다. 따라서, 보빈케이스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는 공기흐름과 보빈축의 회전의 도움으로 보빈축 주위에 확실하게 감긴다. 기계 신뢰성은 제9관점의 장치의 유용한 효과들에 추가하여 개선된다.
제17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7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은 보빈축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한다. 따라서, 그것이 보빈축 주위에 감긴후에 스레드의 양은 예를들어, 감긴 보빈스레드의 양으로써 탐지되고, 보빈스레드의 정확한 감김이 실현되고, 제7관점의 장치의 유 ㅛㅇ 한 효과에 추가된다.
제18관점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있어서, 제17관점의 구성에 추가하여,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은 보빈축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는데 실패한 경우에, 보빈축 주위에 보빈스레드를 감기위한 동작은 반복되거나 또는 연속된다. 반복과 연속적인 감기 동작을 통해, 스레드가 보빈축 주위에 감기는 가능성은 개선된다. 따라서, 기계신뢰성은 제7관점의 장치의 유용한 효과에 추가하여 개선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내의 스레드 인출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내의 스레드 인출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내로 합체된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내에 사용되는 스레드 업소버 (absorber)를 도시하는 횡 단면도.
제6도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7도는 제1도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가 그 내부로 합체되는 자동 보빈 스레드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10도는 제7도의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11도는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내에 있는 회전암, 레버 및 안내축의 배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2도는 보빈케이스에 관한 공기안내수단 및 보빈축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13도는 보빈축의 스레드 감기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얽히는 스레드 및 감기는 스레드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기구와 풀림 수정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기구를 도식적으로 그리고 볼록 형태로 도시하는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내로 합체된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을 도시하는 정면도.
제18도는 제14도의 보빈스레드 감기장치내에 사용된 스레드 업소버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9도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20도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재시도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제21도는 기계가 작동하여 보빈축 주위에 스레드를 감을때에 보빈케이스와 보빈축에 대해 공기 수단으로 기능하는 공기안내수단의 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2도는 보빈축의 스레드 감기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3도는 기계가 작동되어 스레드를 절단할 때에 절단수단 및 보빈케이스에 대해 공기 수단으로 기능하는 공기안내수단의 팁의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24도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부착된 가동날을 가진 스레드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5도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에 부착된 스레드 파지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26도는 제25도의 스레드 파지레버의 단면도.
제27도는 제2실시예에 사용되는 보빈 상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8도는 보빈스레드가 감길때,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키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29도는 보빈스레드가 보빈축의 슬리트로 안내될 때,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키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0도는 제29도에 도시된 스레드 안내 동작에 이어서 일어나는 다른 스레드 안내 동작이 수행될 때,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키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31도는 스레드가 보빈케이스의 스레드 장력 스프링 아래로 걸릴때에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키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2도는 스레드가 절단될 때에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의 키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33도는 그 내부로 보빈스레드 감기장치와 합체하는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34도는 자동 보빈스레드 공급장치내에 사용된 보빈 교환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제35도는 보빈 교환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6도는 보빈 교환장치를 도시하는 좌측면도.
제37도는 보빈 교환장치를 도시하는 우측면도.
제38도는 티미(dummy) 위치와 티미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재봉틀 베드(bed) 2 : 지지막대 3 : 메인 베이스(main base)
4 : 축 5 : 회전암 6 : 레버
7 : 보빈 8 : 보빈케이스 10 : 지지판
11 : 공기실린더 12 : 너클(Knuckle) 13 : 축
14 : 칼러(Collar) 15 : 결합핀 16 : 셔틀 바디(Shuttle body)
17 : 브래키트 18 : 브래키트 19 : 모터
20 : 회전축 21 : 기어 22 : 기어
23 : 드라이버(driver) 4 : 핀 25 : 추적기(follower)
26 : 기어 27 : 기어 A : 보빈스레드 교환위치
B : 잔유스레드 제거위치 C : 보빈스레드 감기위치
D : 보빈케이스 세트/제거위치 E : 보빈 구동수단
F : 인발기구 G : 공기안내수단 M1 : 인발모터
M2 : 보빈 구동모터 55, 56 : 축 57 : 일방향 클러치
58 : 탐지슬리트 부재 59 : 슬리브 60 : 광센서
62 : 늘어짐 수정레버 63 : 스톱퍼 64 : 스프링
65 : 스레드 업소버 66, 67 : 공기관 68 : 전자변
69 : 노즐퇴각 솔레노이드 70 : 스프링 150 : 보빈스레드
200 : 실패 204 : 스레드 변경수단 205 : 장력스프링
206 : 나사 V : 전원 SOL : 솔레노이드
SW : 스위치 303 : 베이스 판 204 : 이송축
305 : 셔틀축 313 : 기어 314 : 가등칼러
316 : 랙 331 : 회전센서 332 : 탐지판
333 : 탐지기 장착판 341 : 이동 탐지기 352 : 풀리
369 : 노즐퇴각 솔레노이드 370 : 회전암 401 : 재봉틀 베드
460 : 보빈 교환장치 461 : 잔유스레드 제거장치
462 :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500 : 실패
504 : 스레드 장력 변경수단 505 : 스프링 506 : 장력 스프링

Claims (19)

  1.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 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E) ;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스레드(150)(450)를 인발하기 위한 스레드 인발수단 ;
    스레드 인발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인발된 보빈스레드(150)(450)를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G)으로 구성되며,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로 안내된 보빈스레드(150)(450)는 공기안내수단(G)에 의한 공기와 스레드 인발수단의 인발동작에 의해 보빈케이스(8)(302)내로 공급되고, 보빈스레드(150)(450)는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유발된 보빈(7)(307)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2.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 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E) ;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8)(302) 내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150)(450)의 팁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 ;
    보빈케이스(8)(302)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150)(450)가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보빈구동수단(E)를 제어하기 위한 보빈구동 제어수단 ;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는 보빈스레드를 감기 시작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으로 구성되며,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8)(302)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150)(450)가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고, 보빈축(7a)(307a) 주위에의 보빈스레드(150)(450)의 감김이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3.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그 위에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 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E) ;
    스레드 공급원과 보빈케이스(8)(302) 사이에 배치되고, 보빈스레드 (150)(450)가 감긴채 회전 가능한 인발롤러(54) ;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회전되는 보빈(7)(307)의 보빈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인발롤러(54)를 회전시키기 위한 인발 롤러 구동수단 ;
    보빈구동수단(E)이 인발롤러(5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발롤러 구동수단으로 그리고 인발롤러 구동수단으로부터 인발롤러(54)를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한 일방향 클러치(57) ;
    인발롤러(54)의 회전을 탐지하기 위한 롤러회전탐지수단 ; 및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유발되는 인발롤러(54)의 회전에 의해 인발되는 보빈스레드(150)(450)를 공기흐름에 의해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내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G)으로 구성되며,
    보빈케이스의 개구부(8A)(302A)로 안내되는 보빈스레드(150)(450)가 인발롤러 구동수단에 의해 야기되는 인발롤러의 회전과 공기안내수단(G)에 의해 유발되는 공기흐름을 사용하여 보빈케이스 내로 공급되며, 보빈스레드(150)(450)는 보빈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고, 보빈축(7a)(307a) 주위에의 보빈스레드(150)(450)의 감김은 롤러 회전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4.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그 위에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 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E) ;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내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150)(450)의 팁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 ;
    보빈케이스(8)(302) 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150)(4SO)가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보빈구동수단(E)을 제어하기 위한 보빈구동제어수단 ;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는 보빈스레드(150)(450)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긴량 탐지수단 ;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는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기기 시작하는 것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 ; 및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기기 시작하는 것을 탐지한 것에 따라 스레드 감김 양의 탐지를 시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탐지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5.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들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그 위에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긴 위한 보빈구동수단 (E) ;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150)(450)의 팁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수단 ;
    보빈케이스(8)(302)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150)(450)가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빈구동수단(E)을 제어하기 위한 보빈구동 제어수단 ;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는 보빈스레드(150)(450)의 양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긴량 탐지수단 ; 및
    스레드 감김 양 탐지수단에 의해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보빈스레드(150)(450)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스레드 공급량 결정수단으로 구성되며,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8)(302)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150)(450)는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구동되는 보빈(7)(307)의 회전에 의해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며, 보빈축(7)(307)으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150)(450)의 양은 스레드 공급량 결정수단의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공기안내수단(G)의 스레드 안내방향은 보빈축(7a)(307a)의 중심과 공기안내수단(G)의 팁을 연결하는 부분보다 보빈축(7a)(307a) 둘레의 스레드 감김측에 더 가까이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7. 그 원주 모서리를 따라 구멍을 가지고 있는 보빈케이스(8)(302) ;
    그 위에 보빈스레드(150)(450)가 감길 수 있는 보빈축(7a)(307a)을 가지고 있고, 보빈케이스(8)(302)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빈(7)(307) ;
    보빈케이스(8)(302) 내에서 보빈(7)(307)을 회전시키기 위한 보빈구동수단 (E) ;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보빈축(7a)(307a) 주위에 스레드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LL)의 보빈스레드(150)(450)를 끌어당기고,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를 통해 보빈케이스(8)(302)내로 밖으로 끌어당겨진 보빈스레드(150)(450)를 삽입하기 위한 스레드 삽입수단 ; 및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야기되는 보빈(7)(307)의 회전과 협력하여 보빈축(7a)(307a) 주위에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8)(302) 내로 삽입되는 보빈스레드(150)(450)를 감기위한 스레드 감기수단으로 구성되며,
    보빈스레드(150)(450)는 보빈구동수단(E)에 의해 보빈스레드(150)(450)에 의해 감기는 보빈축(7a)(307a)을 회전시킴으로써 보빈케이스(8)(302)내에 수용된 보빈(7)(307) 주위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에 스레드 공급원으로부터 스레드 안내경로를 따라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로 공급되는 보빈스레드(150)(450)를 안내하고, 보빈축(7a)(307a) 주위에 보빈스레드(150)(450)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LL)의 보빈스레드(150)(450)를 밖으로 끌어내며, 공기흐름의 도움으로 보빈케이스(8)(302)내로 밖으로 끌어내진 보빈스레드(150)(450)를 삽입하기 위한 공기안내수단(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스레드 감기수단이 스레드 삽입수단에 의해 보빈케이스 (8)(302)내로 유도되는 보빈스레드(150)(450)가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빈케이스(8)(302) 내에 공기흐름을 야기하는 공기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고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로부터 인도되는 보빈스레드(150)(450)를 보빈케이스(8)(302)에 후킹하고, 보빈스레드(150)(450)가 스레드 장력스프링(205)(506)하에서 밖으로 인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레드 후킹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1. 제7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빈축에 감겨 밖으로 도출된 보빈스레드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 절단중에 보빈케이스(8)(302)에 대한 상기 절단수단의 운동에 의해, 감긴 보빈스레드(150)(450)를 소정량 남기고,
    보빈스레드(150)(450)가 절단수단에 의해 절단될때인 스레드 절단점과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 사이의 거리는 보빈축(7a)(307a) 주위에 보빈스레드 (150)(450)를 감기에 충분히 긴 길이(LL)와 거의 동일한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에 인접한 작업위치와 작업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퇴각위치 사이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가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보빈스레드(150)(450)가 보빈축(7a)(307a) 주위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에 인접한 작업위치와 작업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퇴각위치 사이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부터 떨어져 이동되고, 보빈스레드(150)(450)가 보빈케이스(8)(302)에 후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보빈케이스(8)(302)의 개구부(8A)(302A)에 인접한 작업위치와 작업위치로부터 떨어져 배치된 퇴각위치 사이에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는 이동수단에 의해 작업위치로부터 멀리 이동되고, 보빈스레드(150)(450)가 절단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5. 제12항 내지 제1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단부가 작업위치와 퇴각위치중의 어느 하나에서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공기수단으로부터 볼어오는 공기의 방향이 보빈축 (7a)(307a)의 중심을 관통하면서, 공기수단의 팁으로부터 뻗은 선보다 보빈축 (7a)(307a)의 외부면의 스레드 감기측에 더 가까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7. 제7항에 있어서, 보빈축(7a)(307a)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기 위한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보빈축(7a)(307a)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은 스레드 감김 탐지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스레드 감김탐지수단이 보빈축(7a)(307a) 주위에의 스레드의 감김을 탐지하는데 실패한때에, 보빈축(7a)(307a)에 보빈스레드(150)(450)를 감기 위한 동작이 되풀이되거나 또는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스레드 삽입수단의 앞쪽 단부가 작업위치와 퇴각위치중의 어느 하나에서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KR1019950037295A 1994-10-26 1995-10-26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KR1003669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93294 1994-10-26
JP94-285932 1994-10-26
JP4345295A JPH08173671A (ja) 1994-10-26 1995-02-08 下糸巻回装置
JP95-43452 1995-02-08
JP95-65140 1995-02-27
JP6514095A JPH08229262A (ja) 1995-02-27 1995-02-27 下糸巻回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57A KR960014457A (ko) 1996-05-22
KR100366990B1 true KR100366990B1 (ko) 2003-06-11

Family

ID=27291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295A KR100366990B1 (ko) 1994-10-26 1995-10-26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39679A (ko)
KR (1) KR100366990B1 (ko)
CN (1) CN1090691C (ko)
DE (1) DE19539936B4 (ko)
TW (1) TW3049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41B1 (ko) 2005-08-29 2006-10-16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재봉기용 보빈 제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9679A (en) * 1994-10-26 1998-11-24 Juki Corporation Bobbin thread winding apparatus
JP3926454B2 (ja) * 1998-02-02 2007-06-06 Juki株式会社 下糸巻回装置
JP4514296B2 (ja) * 2000-09-05 2010-07-28 Juki株式会社 下糸巻回装置
US20050279265A1 (en) * 2004-03-09 2005-12-22 Chih-I Chien Wire-guiding structure of a shuttle of a sewing machine
US20120234223A1 (en) * 2011-03-18 2012-09-20 Mccue Geoff Sewing bobbin assembly and method thereof
CN102381587B (zh) * 2011-10-11 2013-04-24 吴国溶 一种绕线机
CN104233658A (zh) * 2014-10-16 2014-12-24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线量检测系统及方法
CN104862891B (zh) * 2015-06-17 2017-05-31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剪线机构
JP6867139B2 (ja) * 2016-11-09 2021-04-28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巻き装置及びミシン
CN107401003B (zh) * 2017-09-20 2023-02-14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钮门机打底线机构
TWI760626B (zh) * 2019-07-10 2022-04-11 啟翔股份有限公司 底線導入裝置及其縫紉機
CN111379094B (zh) * 2020-04-11 2024-06-21 诸暨轻工时代机器人科技有限公司 梭壳梭芯分离式自动去线绕线一体设备及工艺方法
CN111379100B (zh) * 2020-04-11 2023-08-29 诸暨轻工时代机器人科技有限公司 多工位自动换梭壳去线绕线装配一体化系统及工艺方法
CN112779647B (zh) * 2021-01-19 2022-12-23 江西博用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手工纺织中绕线挑花用梭子
CN114737325B (zh) * 2022-05-18 2023-04-28 常州纺织服装职业技术学院 自动缝合装饰绳的布料剪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8795A (en) * 1955-12-12 1957-10-08 New York Trust Company Automatic thread cutter for sewing machines
US3125973A (en) * 1960-05-28 1964-03-24 Arrangement in sewing machines for exchanging bobbins
DE1485356A1 (de) * 1965-04-27 1970-02-19 Singer Co Fadenergaenzungsmechanismus fuer Naehmaschinen
US3509840A (en) * 1967-06-12 1970-05-05 Ivanhoe Research Corp Lockstitch sewing method and system providing bobbinless feed of the bottom thread from a bulk source
SE355787B (ko) * 1970-06-16 1973-05-07 E Johansson
US4002130A (en) * 1975-09-22 1977-01-11 Automatech Industries, Inc. Automatic bobbin rewinding for sewing machines
JPS5929661Y2 (ja) * 1977-07-25 1984-08-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ミシンの駆動制御装置
US4117789A (en) * 1977-09-14 1978-10-03 Automatech Industries, Inc. Automatic, in situ bobbin spool loading
US4244313A (en) * 1978-04-17 1981-01-13 Automatech Industries Inc. Automatic, in situ bobbin spool loading
GB2004308A (en) * 1977-09-14 1979-03-28 Automatech Ind Sewing Machine
DE3467595D1 (en) * 1983-02-23 1987-12-23 Nikolaos Kosmas Bobbin run-out detector, and a bobbin changing mechanism incorporating the detector
US5143004A (en) * 1987-11-25 1992-09-01 Mardix Bar Cochva Sewing apparatus including automatic bobbin reloading
DD298099A5 (de) * 1988-04-26 1992-02-06 Glaxo Group Limited,Gb Form 2 von ranitidinhydrochlorid und dessen verwendung
DE3819059A1 (de) * 1988-06-04 1989-12-14 Pfaff Ind Mas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naht
EP0478638A1 (de) * 1989-06-22 1992-04-08 CARL SCHMALE GMBH & CO. KG Maschine zum automatischen bewickeln und auswechseln von unterfaden-spulen für steppstich-nähmaschinen
IL92066A (en) * 1989-10-20 1993-04-04 Orisol Original Solutions Ltd Sewing apparatus including an arrangement for automatically monitoring the bobbin thread, and a bobbin particularly useful in such apparatus
DE4116788C1 (ko) * 1991-05-23 1992-06-25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JPH07108357B2 (ja) * 1991-09-13 1995-11-22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下糸供給装置
JPH06272A (ja) * 1992-06-22 1994-01-11 Juki Corp 下糸自動供給装置の下糸切断装置
JPH06304369A (ja) * 1993-04-20 1994-11-01 Juki Corp ミシンのボビン交換装置
JPH06304370A (ja) * 1993-04-26 1994-11-01 Juki Corp ミシンのボビン交換装置
JP2613841B2 (ja) * 1993-07-26 1997-05-28 中小企業事業団 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TW262494B (ko) * 1993-08-31 1995-11-11 Zyuki Kk
JP2693107B2 (ja) * 1993-08-31 1997-12-24 ジューキ株式会社 下糸自動供給装置及び縫製装置
JP2642605B2 (ja) * 1994-02-15 1997-08-20 ジューキ株式会社 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US5839679A (en) * 1994-10-26 1998-11-24 Juki Corporation Bobbin thread wind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4841B1 (ko) 2005-08-29 2006-10-16 델파이코리아 주식회사 재봉기용 보빈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04997B (ko) 1997-05-11
CN1132277A (zh) 1996-10-02
KR960014457A (ko) 1996-05-22
US5839679A (en) 1998-11-24
CN1090691C (zh) 2002-09-11
DE19539936B4 (de) 2007-04-26
DE19539936A1 (de) 199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990B1 (ko) 보빈스레드 감기장치
US5651507A (en) Yarn splicing device for bobbin-winding textile machines
US4023741A (en) Apparatus for winding a multiplicity of threads onto respective bobbin tubes
JPS6114064B2 (ko)
JPH09156831A (ja) 綾巻きパッケージを巻成する繊維機械の綾巻きパッケージ交換装置
JPH08231127A (ja) 糸を巻き上げ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4186890A (en) Mechanis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yarn from a full package to an empty bobbin
KR100385796B1 (ko) 밑실와인더(low-threadwinder)
EP0148728B1 (en) Spindle for spinning frame or twisting machine
JP3504008B2 (ja) ボビンの残糸除去装置
JPH08229262A (ja) 下糸巻回装置
US5769016A (en) Bobbin exchange judging apparatus
GB2087936A (en) Yarn winding apparatus and method
JP3602889B2 (ja) 下糸巻回装置
JPH08173671A (ja) 下糸巻回装置
JP2636374B2 (ja) 精紡機の粗糸継装置及び粗糸継方法
US5485967A (en) Yarn winding apparatus with manifold assembly movable between blowing and standby positions relative to a pair of bobbin carrying spindles
JPH0674535B2 (ja) よこ糸の自動修復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074673B2 (ja) 下糸巻回装置
JP2519915B2 (ja) 給糸体交換装置
JP3593380B2 (ja) 下糸巻回装置
JPH0314928B2 (ko)
JP3538477B2 (ja) 下糸巻回装置
JPS6290333A (ja) 自動糸継ぎ玉揚げ装置
JP3568266B2 (ja) 下糸巻回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