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533B1 - 절연피복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절연피복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533B1
KR100366533B1 KR10-2000-7013794A KR20007013794A KR100366533B1 KR 100366533 B1 KR100366533 B1 KR 100366533B1 KR 20007013794 A KR20007013794 A KR 20007013794A KR 100366533 B1 KR100366533 B1 KR 10036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sulation coating
belt
drive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아트 로헤르
Original Assignee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5157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665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filed Critical 쉴로이니게르 홀딩 아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8Machines the cutting element making a longitudinal in combination with a transverse or a helical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을 공구에 의해 처리하는 블레이드 스테이션이 마련된 케이블 처리장치, 특히 순환형 케이블 절연피복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측방으로, 또는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장치를 설치하고, 공구의 건너편에 놓인 케이블을 삽입 방향에 대해 후진 이동시키도록 측방으로 또는 상부로 평행이동 가능함으로써, 절연피복제거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충돌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절연피복제거장치{INSULATION STRIPP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을 잘라내고, 그 절연층을 절단하여 벗겨낼 수 있는 케이블가공용 절단 및 절연피복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구항 1의 전반부분에 따른 절연피복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은 이 장치를 상품명 “CS9100”으로 시판하고 있다. 이 장치는 축을 따라 장치로 이송된 케이블에 하나 또는 다른 칼날을 이용하여 칼날을 대거나 잘라낼 수 있도록 공기압 구동장치에 의해 상하부 공통 칼날 홀더를 통해 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며, 케이블 이송축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오프셋하는 칼날 쌍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물론, 상하부 칼날 홀더는 상호 이동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칼날 위치가 하나 밖에 없는 장치에 대하여 이점을 갖고 있지만, 이와 동시에 실제로 사용시 가공작업에 있어서 제한조건이 수반되는데, 즉 2곳의 칼날 위치에 의해 한정된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각 칼날 상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한 쌍의 칼날을 갖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문헌 참조 : 일본 요코하마 신메이와고교 가부시키가이샤(Shin Meiwa Ind. Co. Ltd., Yokohama, Japan)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대로 횡방향 케이블 이송장치에 의해 운반된 케이블이 복수 개의 절단 블레이드 칼날로 절단된다. 칼날이 개방된 후에, 케이블 핸들링 수단은 복수 개의 절단 블레이드 칼날 상의 절연피복제거 위치에 대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제어된 스핀들 위쪽의 칼날에 대해 직선상으로, 또한 평행하게 이동한다. 그 다음에, 절단된 케이블이 있는 칼날의 양측부 상의 핸들링 부품은 칼날의 방향으로 필요로 하는 절연피복제거 길이 만큼 이동된다. 이어서, 또한 추가 공정에 따라 칼날을 이동시켜서, 원하는 절연피복제거 직경을 얻고 절연 잔재(슬러그)를 제거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케이블을 직선상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장치의 단점으로서 2개의 케이블 핸들링 부품(칼날 전후방향)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일정하게 이동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실질적으로 상호 독립적으로 고속으로 움직이는 두 부품에 현저한 마모가 발생한다. 이는 또한 정확한 위치 및 손상 없이 작동될 수 있도록 서로 특별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불균일한 마모가 일어나서 마모되지 않은 블레이드로 교체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블레이드 칼날의 사용은 비경제적이다.
또한, 이 장치에는 특히 케이블의 굴곡성을 필요로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미국 시카모어 소재의 아이디얼 인더스트리 인코포레이티드(Ideal Ind., Inc. Sycamore,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지의 또 하나의 장치인 “스트립마스터 모델 900”도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고 상이한 유효 칼날 직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이한 직경의 케이블은 상호 인접하게 이송 오리피스로 삽입되어 풀 아웃시에 다시 칼날로 절단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장치는 자동 절연피복제거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예컨대, EP-A1-623982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공지 장치는 케이블이 상호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칼날 중 하나에 위치될 수 있는 선회 장치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도 케이블 굴곡성이 문제가 된다. 또한, 이 장치에는 케이블을 칼날 면에 최적으로 수직을 이루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칼날에 의한 절단이 또한 비스듬히 행해지므로, 이 결과로 불량한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미국 몬로비아 소재의 유뱅크스 엔지니어링 컴퍼니(Eubanks Engineering Co, Monrovia, USA)로부터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공지 장치인 “9800”는 축방향으로 절단 깊이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칼날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칼날은 공통 상하측 칼날 지지체 상에 위치하여, 삽입된 케이블이 그 축을 따라 여러 상이한 가공 단계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는 예를 들면 US-A-5146673호의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의 단점으로는 절단 가공 선정에 있어서 자유도가 비교적 작다. 또한 칼날 간격에 의한 가능한 절연피복제거 길이가 제한된다. 이 절연피복제거 길이를 다시 증가시키기 위한 시도에 있어서, 장치의 최대 허용가능한 크기에 대한 한계에 부딪혔다.
종래의 “코데라 타입(KODERA Type) 34”에 있어서도 가능한 절연피복제거의 길이가 칼날과 제2 롤러 쌍 사이의 간격으로 제한된다. 단일 공정의 특수 절연피복제거 공정을 이용하면, 계속하여 이 거리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각각의 섹션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은 사실이다(그러나, 케이블로부터 완전히 제거하지 않으나 제거 방향으로 케이블 상에서 동시에 약간 이동된다 = 부분 피복 제거). 절연피복제거 칼날과 제2 롤러 쌍 사이의 거리가 큰 코데라 타입 36은 긴 부분 절연피복제거공정을 허용하도록 제공되나, 이 장치에 의해 짧은 케이블 부재가 제거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상황은 새로운 공정에 의해 개선되어야 한다.
칼날에 의해 케이블로부터 제거되는 절연피복 잔재(슬러그)의 방출시에 문제가 발생되었는데, 지금까지도 이 경우에 대해서 적절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공지 장치, 예컨대 유뱅크스 9800에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 내경을 갖는 가이드장치의 경우에는 얇은 굴곡성이 있는 케이블을 동심원상으로 가이드될 수 없어서, 케이블 이송시 문제(빈번한 작은 고장)가 발생할 수 있다.
PC 및 PCI의 선행 기술이 본 출원에 기초가 된다.
캐리지에서 케이블에 대해 방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나란히 배치된 절연피복제거 절단 칼날 쌍을 포함하는 "Komax 153 Abisolierstation" 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지된 절연피복제거 스테이션은 케이블 단부 가공장치이며, 이 케이블 단부가공장치에서는 케이블이 연속적으로 또는 일렬로 가공될 수 없다. 공지된 구성에서는 케이블의 후속 이송을 위한 공간이 없다. 따라서, 상기 공지된 구성을 종래의 연속 케이블 가공기계(전방 및 후방 구동수단- 예컨대 롤러)에 의해 임의의 공구 수용을 불가능하게 한다. 절단 칼날의 이동도 개방 및 폐쇄에 국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성을 개량시킨 것으로, 긴 절연피복제거의 길이가 가능하고, 또 상술한 구조상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신규한 칼날 배열과 그 구동장치는 범용적으로 전자동으로 조작할 수 있고, 자유롭게 프로그램가능하게 절단하고 또는 용이한 절연피복제거의 가능성이 얻어진다. 이 기능은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의 신규한 가공 단계에 의해 보충된다. 이에 따라 공지된 단점을 피할 수 있다. 연속 작업에 있어서 케이블을 가공하기 위해 발생하는 비교적 하찮은 시간의 단점은 일반 사용자에 있어 범용장치의 이점에 의해 충분히 보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한 콤팩트 구성은 실용상 유리한 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하기의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고, 도면의 설명은 청구범위 및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전체 내용을 구성하며, 이들 중 몇몇은 서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하기의 정보로부터 명백하게 된다.
모든 경우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하는 공구 위치가 측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고, 스텝핑 모터 제어에 의해 이들 공구 위치를 프로그램 제어 가능하므로, 한편 케이블, 또는 평행한 위치에 유지되는 복수 개의 케이블을 상이한 공구 위치에서 가공할 수 있다. 이는 연속 케이블 가공 또는 작업자 또는 조작원이 케이블의 단부를 장치에 삽입한 다음, 다시 뽑아내는 각종 절연피복제거장치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둘째로, 칼날 또는 공구를 서로 모아 근접시켜서 서로에 대하여 측방향으로 상대적 이동시킴으로써, 그 이외의 작업, 예를 들면 케이블의 절단(sawing), 절개(incision), 트위스팅(twisting), 변형, 크림핑(crimping) 등의 가공작업을 할수 있다. 이와 같은 쐐기형 경사면이 마련된 공구로서의 트위스팅 조(jaw)의 경우에는 간단히 상호 수직으로 움직이는 것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트위스팅은 공구홀더가 케이블 축 범위에서 가능한 만큼 멀리 있는 회전점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계되고, 공구홀더의 측방향 이동을 위한 직선상의 진행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실현될 수 있다.
또, 하나 이상의 공구홀더가 연삭 또는 연마용 디스크를 구비하고, 이를 칼날 홀더의 왕복진동운동 또는 회전운동에 의해 케이블 단부를 연삭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다른 가능한 가공 방법이 존재하는데, 이는 유리섬유 케이블인 경우에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이송롤러 또는 이송장치 벨트 사이의 거리 또는 접촉압력을 모터로 제어하기 때문에, 케이블에 대한 접촉압력이 피복제거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거나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을 증가시키는 이점을 가져온다. 종래 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촉압력이 전체 공정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되면, 케이블 또는 이의 쉬스(sheath)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핀치를 받지만, 본 발명은 기껏해야 작은 범위에서만 발생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의 마모도 작게 된다. 피복제거 저항성은 일반적으로 피복제거 개시시에 가장 크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압력을 피복제거 거리, 예를 들면 4㎜ 만큼 증가시키고, 다시 낮은 값으로 낮출 수 있다. 그리하여, 발생하는 마크 또는 핀치는 약 4㎜로 제한된다.
또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롤러 또는 벨트를 개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즉, 공구홀더의 전후측의 벨트의 구동장치는 개폐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이들의 접촉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접촉압력으로 조정되어, 모터에 의해 원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지만, 더욱이 경우에 따라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싱글 구동모터 및 턴테이블에 의한 2 쌍의 롤러 또는 벨트 쌍의 결합된 개폐기술은 1989년에 발행된 문헌[참조 : the machine ATC 9000 of Sutter Electronic AG Thun]에 공지되어 있고, 이 문헌과 관련된 내용을 본 발명에 개시된 것으로 간주하며, 이 경우 롤러 또는 벨트는 공지의 롤러 또는 벨트와 비교하여 완전히 독립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 롤러 쌍 또는 벨트 쌍의 개방과 독립적으로, 제2 롤러 쌍 또는 벨트 쌍을 개방시킬 수 있는 다른 이점으로서 케이블을 소정의 원하는 길이, 예를 들면 500㎜로 설정하여 제2 롤러 쌍 사이를 통과한 후에 제1 롤러 쌍의 도움으로, 예를 들면 130㎜의 예비적 부분 피복제거를 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전원 케이블에 필요한 긴 절연피복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긴 예비피복제거에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절연피복의 나머지는 나중에 케이블에서 손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길다란 완전 피복제거 또는 긴 부분 피복제거에 대해서는, 상기 절차에 따른 예비 피복제거를 실시한 후에, 제2 롤러 쌍 또는 벨트 쌍의 접촉압력을 증가시키고, 쉬스는 피복제거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정지 마찰 상태에서 피복을 케이블로부터 제거해도 좋다.
복수 개의 개별 단계에서 긴 절연 조각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이것은 각 부분 단계에서 제2 롤러 쌍 또는 벨트 쌍을 개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될 수있다. 공지 장치(예컨대, 좌우측 이송 롤러 사이의 거리가 특히 긴 KODERA Type 36)와 비교하면, 매우 짧은 케이블 섹션의 절연피복 제거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또 다른 공지 장치(예컨대, 좌우측 이송 롤러 사이의 간격을 제한한 KODERA Type 34)와 비교하면, 실질적으로 임의의 길이의 절연피복제거가 가능하고, 공구홀더와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제2 롤러 쌍 사이의 거리가 절대적으로 제한되지 않는 이점이 있는데, 지금까지는 모든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절연피복제거 간격을 제한하고 있었다.
상술한 특징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요지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는 사실을 주목할 가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지만, 이 도면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들 도면은 상호 연관이 있고, 전체적으로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 구성부품을 나타내고, 또 상이한 지시를 갖는 동일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신규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공동으로 가이드된 상하부 공구홀더를 구비한 변형예,
도 3은 롤러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절연피복제거기의 신규한 모듈 구조의 각종 상이한 모듈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4는 벨트 구동장치를 구비한 도 3의 실시예의 개념도,
도 5a 및 도 5b는 신규한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갖는 개략적인 구조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절연피복제거방법의 8개의 상이한 일련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변형예에 따른 공구홀더 이송장치에 대한 상세도,
도 7은 도 5의 슬라이딩 가이드장치를 구비하는 신규한 절연피복제거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약 ±25∼75%로 변화되는 특정 실시형태의 치수를 갖고 큰 간격으로 배치한 전후방 연속 벨트 구동장치(12)를 구비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약 ±25∼75%로 변화될 수 있는 값을 갖고 단거리 및 그 결과적으로 발생한 효과를 갖는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최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당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상이한 용도를 갖는 상이한 공구 그룹의 도면,
도 11은 벨트 구동장치(12, 도 13의 평면도) 및 가이드용 선회 구동장치를 구비하는 장치에 대한 평면도의 좌측부,
도 12는 상기 평면도의 우측부,
도 13은 상측의 벨트 도시를 생략하고, 공구 앞에 선회가능한 케이블 가이드를 갖추고 제거된 상부 벨트를 구비하는 불완전 도면에 대한 좌측부,
도 14는 상기 도면의 우측부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롤러 구동장치를 갖는 도 12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긴 길이로부터의 절연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정도 및
도 17 내지 도 20은 제어를 프로그램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G : 호환성 모듈 a-c : 각종 칼날 변형예
1a, 1b : 상측 공구홀더 2a, 2b : 하측 공구홀더
3a, 3b, 3c, 3d, 3e, 3f, 3g, 3h : 상하측 공구(칼날 등)
5a, 5b, 5c : 구동장치 6 : 축
7 : 케이블 9 : 선회가능한 가이드장치
9b : 가이드 튜브 10a, 10b : 케이블 이송 유닛
11a-11d : 연속 벨트 또는 케이블 직접 구동용 롤러 구동장치
12 : 연속 벨트 구동장치
13 : 연속 벨트, 또는 바람직하게는 미끄러지지 않은 구동측을 갖는 치형벨트
14a, 14b : 벨트 구동장치(12)를 사전 설정하기 위한 스핀들
16a, 16b : 근접 구동장치 17 : 가이드장치
24 : 벨트 25 : 구동장치
26 : 스텝핑모터 또는 제어구동장치
27 : 선형 가이드장치
28 ; 31 : 스톱퍼 29 : 가압스프링
30b : 선회부재 31b : 방진고무
32 : 이동용 전자석 33 : 슬라이드
34 : 연결 로드 35 : 베어링
40a, 40b : 이동가능한 가이드슬리브
41 : 회전검출기, 엔코더 42 : 유도 센서 또는 이와 유사한 것
43a, 43b : 스냅 접속 44a, 44b : 가이드 로드
45a, 45b : 실린더와 가이드를 구비하는 공기압 구동장치지만 다른 구동장치도 가능함.
46 : 압축공기 토출구 47 : 구동장치, 스텝핑 모터
48 : 치형 벨트 49 : 스냅 스프링
50 : 구동 롤러 유지부재 51a, 51b : 록 너트
52a, 52b : 구동부재 57 : 케이블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장치의 사시도로서, 이 장치는 공구홀더(1, 2)와, 이 홀더 상에 유지되고 더 큰 공구홀더(1, 2) 상에서 평행하게 여러 개(2쌍 이상이 도시됨)가 설치되어 있는 칼날(3)를 구비하고 있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동장치(5a, 5b)는 축(6)에 대하여 각각 측방향으로 공구홀더를 구동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근접 구동장치(16a, 16b)가 (제어하에서) 공동으로 또는 별개로 공구홀더(1, 2)를 움직여 이들을 근접시킬 수 있다. 가이드장치(17)는 공구 지지체 또는 공구홀더 및 구동장치를 평행하게 유지한다.
도 2는 도 1의 장치에 비해 콤팩트한 작업 단계가 상하측 공구홀더(1, 2)를 하나의 근접 구동장치(16c)를 통해, 예컨대 스핀들 구동과 하나의 측방향 구동장치(5c)에 의해 공동으로 가이드된다. 이와 같은 간략화한 변형예는 컴팩트하지만, 작업단계가 도 1의 장치에 비해, 다만 수 개의 작업만을 행할 수 있다.
상기 두 도면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지, 즉 하나 이상의 케이블 가공용 공구, 특히 1개의 칼날 등이 케이블 이송 방향에 대략 수직인 평면에서 실질적으로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필요로 하는 경우에 따라 이 운동성은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3은 절연피복제거기의 모듈 구조의 신규한 특징에 관한 것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블 가공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b 내지 4b는 개략적으로 이송 모듈 A 및 B를 도시하지만, 이것은 예컨대 다른 이송 모듈, 예컨대 도 4의 이송 모듈 C에 의해 교체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송 모듈 A에는 모듈 B가 생략되고 이송 모듈 C가 추가된다.
선회가능한 가이드 튜브를 구비하고 종종 사용되는 모듈 D는 블레이드 또는 칼날 모듈 E 앞에 사용된다. 칼날 모듈은 바람직하게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추가의 고정형 또는 이동가능한 가이드장치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선회가능한 가이드 튜브의 기능을 예시한다.
실시예 3b, 4b 및 3a,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 D, E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가이드수단,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한 특수 절연피복제거 방법을 행할 수 있는 2개의 이동가능한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는 모듈 F로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연피복제거장치에는 다른 원하는 추가 모듈, 그 예로서 도시된 “동축 박스”를 나타내는 모듈 G, 즉 회전식 절개박스에 의해 보충될 수 있으며, 특히 동축 케이블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동축 박스는, 예를 들면 쉴로이니게르 아게(Schleuniger AG 제)의 상품명 “CA 9170”으로 시판되어 왔기 때문에, 그 구조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용이하게 관련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박스는 본 출원서에 개시된 것으로 본다.
본 발명의 독립적인 구성요지에서 중요한 점은, 범용적인 방법으로 절연피복제거의 각종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게 하는 기본 구조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 결과, 주로 생산에 있어서 발생하는 이점을 갖고 있는데, 이는 공장에서 모듈을 서로 독립적으로 생산되고 보관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사용자에게도 이점이 있는데, 절연피복제거 요구는 시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적절한 모듈을 해당 위치에서 교체함으로써, 그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요구에 적합하게 채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지의 기술적 실현은 기본 하우징에 선형 가이드수단이 필요하고, 이것이 모듈 상에서 대응하는 가이드장치와 상호 작용하여, 이들의 작동 소자를 갖는 모듈이 케이블 이송축(6)과 동심원상으로 배열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이것은 또한 완전한 절연피복제거기 또는 케이블 가공기를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신규하고 바람직한 작업 공정은, 본 발명의 제3 구성요지(선택적으로 또한 독립적으로 적용가능함)를 나타낸다. 짧은, 특히 직선상으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슬리브(40a, 40b)에 의해, 케이블 단부 섹션은 유리하게는 칼날(3a, 3b)에 의한 절개 또는 절연피복 제거 이전에 각각 중심축에 정렬되며, 칼날에 바로 인접한 곳에서 중심축에 유지된다.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지만 적용의 경우에, 특히 계속해서 벨트 또는 롤러 이송장치가 칼날(3)에 근접하게 이동되는 경우에 2개의 가이드슬리브(40) 중 하나가 필요 없게 되는 본 발명의 용도로 가능하다. 또 하나의 변형예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슬리브(40)를 모듈 D로 교체가 가능하면 얻어질 수 있다. 모듈 C로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벨트 구동장치를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롤러 구동장치로 교체하여도 좋다.
직접적으로 공구의 측방향 이동작용을 언급하지 않는 본 발명의 구성요지는 또한 예를 들면 슈터 일렉트로닉 아게의 절연피복제거기 모델 CCM(Sutter Electronic AG 제)에서와 같이, 수 개의 칼날(3)이 케이블 축(이송축, 6)을 따라 지그재그식으로 배열되어 있는 칼날 배열장치에 창의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합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공정과 이동가능한 가이드슬리브에 의해 케이블의 가공 속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변형 구성으로, 특히 모듈 구성을 이용함에 있어서는, 따라서 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복수 개의 칼날을 갖는 여러가지 칼날 모듈 F를 앞뒤로 배열할 수 있다. 이들 사이에 배치된 추가의 이송 모듈 A, B 또는 C를 갖는 변형예도 또한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함께 구동될 수 있는 조(jaw), 특히 절연피복제거기 상의 커터 조(cutter jaw)에 대한 신규한 측정 및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신규한 장치는 조를 전진시키는 구동 스핀들과 구동 모터 사이의 일정한 탄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 탄성은 구동 모터와 스핀들 사이의 탄성 커플링 부재, 특히 벨트의 토오크를 풀리를 통해 스핀들에 전달하는 치형 벨트에 의해 발생한다. 또 하나의 신규한 구성으로서 직접 회전검출기, 특히 엔코더(회전검출기)가 스핀들 상에 직접 장치되어 있다는 점이다. 조가 함께 구동되면, 조 사이의 접촉은 조가 더 이상 함께 이동되지 않고 그리하여 일정한 스톱 위치가 엔코더로부터 판독되거나 탭(tap)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신호가 보내지거나 리세트가 신호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나, 탄성으로 인해, 구동모터, 예를 들면 스텝핑 모터는 계속해서 조에 기계적 부하를 가하지 않고 그 모터력을 흡수하는 경우에만 치형 벨트의 탄성에 대해 본 발명에 따라 약간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핀들 상의) 회전검출기가 정지하여도, 다른 하나의 (예컨대, 스텝핑 모터) 회전검출기는 약간 연속적으로 회전한다는 사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조의 근접 위치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 근접 조 상에 기계적 부하를 작게 하기 위해 근접 위치의 근처에서 구동모터의 토오크를 감소하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제어된 접촉압력하에서 우측 벨트에 의한 피복제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선택에 따른 중간공정은 케이블과 절연재 사이의 강한 보유력하에서의 절연피복제거칼날에 대한 점핑이 감소하는 이점과 함께, 긴 절연편을 완전히 피복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는 가는 케이블의 경우에만 문제가 되지만, 두께가 굵고 특히 절연피복 두께가 큰 경우에는 일반적인 공지의 장치에는 좌측 벨트 구동장치를 차단하거나 미끄러짐이 발생하여, 좌측 벨트 또는 케이블의 파손을 유발할 수 있다.
전후방 롤러 또는 벨트를 완전히 개별적인 조정 및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의 추가 가공이 용이하지만, 충분한 크기의 구동모터와 목적에 맞는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것은 본 특허 출원서에 있어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게 명백하고 실현가능한 문제이다.
공정 1 내지 공정 8에 의한 바람직한 작업 공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전방 절연피복제거 길이까지 케이블(7)이 칼날(3) 뒤로 이송되도록 후방 가이드슬리브(40b)를 후퇴시킨다.
2. 칼날(3)을 절연피복제거 깊이까지 근접시켜 전방 모듈 C에 의해 케이블(7)을 회수한다.
3. 후방 가이드슬리브(40b)를 소정의 위치에 놓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 폐절연편을 배출한 후, 추가 공정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이 공정은 폐기물을 제거하기 위해 개방하여 추가의 메카니즘에 의해 폐기물을 배출하는 두 부분의 가이드슬리브를 제공하는 유뱅크스사의 공지 방법에 비해 특히 유리하다. 게다가, 이 공지 구성에는 개방된 가이드슬리브를 폐쇄할 때에 그 사이에 남은 폐잔류물이 끼워지는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해서는 그러한 우려가 없다. 해결책으로서, 또하나의 공지 장치에는 슬리브가 하방으로 개방하여 있고 제거된 폐잔류물을 하향으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구조에는 특히 굴곡성의 케이블인 경우 케이블 하측을 가이드할 수 없으므로 운전시 장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가이드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코데라사의 절연피복제거 모델(KODERA/JP “KODERA 34”)에 개시되어 있다.
4. 케이블(7)을 칼날(3) 아래의 절단 위치까지 이송한다. 이러한 신규 공정의 이용에 필수적이지 않는 도 1 또는 도 2의 구조에는, 절연피복제거 칼날(3) 및 절단 칼날(3)은 이동가능한 칼날용 지지체(1)에 평행하게 배열하고 있으므로, 절단용 칼날(3)은 공정 4와 공정 5 사이에서 절단 위치까지 이동되며, 그 외 다른 공정에서는 절연피복제거 칼날(3)을 도시된 위치에 놓는다.
5. 케이블(7)을 절단한다.
6. 제2 케이블 섹션(7b)은 후방 이송 모듈 C에 의해 후방 케이블 단부의 절연피복제거 위치까지 원위치하고, 전방 가이드슬리브(40a)는 후퇴한다. 이 방법에서 후자는 특히 전방 모듈 C과 칼날(3) 사이의 길이 보다 긴 케이블 단부 섹션으로부터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의 단부 섹션은 전방 가이드슬리브(40a)에 의해 측방향으로 가이드되지 않기 때문에, 굴곡성이 충분하면 사실상 구부려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방 케이블 단부 및 가이드슬리브(40b)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가 공정 1 내지 공정 2에서 이용될 수 있다.
7. 절연피복 섹션의 절개 및 제거(케이블 쉬스 폐기물 또는 “슬러그”).
8. 양 단부에서 절연피복을 제거한 케이블 섹션(7b)의 배출과, 공정 1에 따라 다음 케이블 섹션(7a)을 이송한다.
도 6은 도 2의 변형예에 대한 본 발명의 공구홀더 이송장치(예컨대, 모듈 E 또는 F)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공구의 개폐운동을 제어 구동하기 위한 나사형 스핀들(18), 치형 벨트 구동장치(24), 스텝핑모터(23) 및 칼날 홀더(1, 2)의 측방향 이동을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동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의 절연피복제거 공정 4 및 5에 관해서는, 한 쌍의 칼날(3E, 3F)이 사용되는 반면에, 다이 블레이드(3G, 3H)는 단지 절연피복을 절단하여 벗겨 낸다. 다이 블레이드(3G, 3H)는 상호 대면 지지하여 과다하게 절단되지 않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이 대면시에는 다른 공지의 절연피복제거기의 경우에도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조정의 문제가 있지만, 이것은 다른 실시예와 별개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해결된다. 모터(23)와 함께 구동장치를 부정확하게 조정하거나, 또는 칼날 홀더(1, 2)에서 각종 칼날 인서트가 상이한 경우에는, 칼날(3G, 3H)이 서로에 대하여 접촉할 때에 사실상 모터(23)가 추가의 토오크를 가하는 경우, 모터력은 스핀들(18) 또는 칼날 홀더(1,2) 상에 바람직하지 않은 힘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 문제는 직접 스핀들(18)에 광학엔코더(41)를 설치함으로써 해결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와 함께 이 엔코더가 모터(23)의 구동력 또는 회전력에 의해 스핀들(18)의 회전 운동을 모니터링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스핀들(18)이 회전하지 않으므로(엔코더 값의 무변화) 모터가 연속적으로 토오크를 가하는 경우, 제어장치는 칼날(3G, 3H)의 접촉을 독립적으로 검출한다. 이 때 치형벨트(24)의 탄성에 의해 스핀들의 기계적 과부하를 피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특정 실시형태에 있어서, 모터(24), 예를 들면 스텝핑모터의 엔코더는 상기 광학엔코더(41)와 비교하는데 사용되어, 근접된 칼날 위치를 검출한다. 칼날 홀더(1, 2)의 개방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면 유도용 센서의 초기치 센서(42)를 설치하여도 좋다.
도 7은 모듈 F의 일례의 상세도이다. 가이드슬리브(40)는 스냅접속(43)에 의해 가이드로드(44)에 유지되고, 이 경우에는 공기압구동장치(45)에 의해 이들 가이드로드를 컴퓨터 제어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냅 접속에 의해 가이드슬리브(40)를 각종 케이블에 적합하게 신속히 교환할 수 있다. 가이드슬리브(40)는 케이블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서 그 내부에 깔때기 형상으로 구멍의 위쪽을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수 용도에 관해서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선회식 가이드장치로 교체될 수 있거나, 완전히 사용하지 않아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은 또한 공회전식 센터링 조(centering jaw) 대신에 다른 절연피복제거기, 예컨대 시판되는 모델 207 (Schleuniger Productronic AG 제) 또는 모델 9200(Eubanks Monrovia, USA) 등의 종래 회전식 절연피복제거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슬리브(40) 사이에는 칼날(3) 또는 케이블 가공용 공구, 및 선택적으로 공구를 청소하기 위한 압축공기 흡출구(46)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모듈 구조 1a(도 4)에 의한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약 ±25-75%로 변화가능한 특정 실시형태의 치수를 갖는 전후방 연속 벨트 구동장치(12)가 큰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선회가능한 가이드장치(9)가 상방으로 선회하면 이에 따라 전방 케이블의 후단의 경로가 적어도 선회가능한 가이드장치(9)의 길이까지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이 가이드장치(9)에서 후측의 절연피복을 길게 제거할 수 있다. 선회가능한 가이드장치(9)는 케이블을 수평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평판상 가이드편이라도 좋고,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고정식으로 교체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는 가이드장치(17)에 대향 위치하며, 상술한 스냅 접속이 이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유리하게 사용된다. 이들 가이드 수단의 길이 또는 칼날과 벨트 또는 롤러 구동장치 사이의 간격이 케이블의 가공 가능한 최단 길이를 결정한다.
이에 대해, 도 9는 예를 들면 모듈 구성(3a, 도 4)과 같은 간격을 짧게 한 변형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약 ±25-75% 로 변화가능한 값을 갖는 결과로 얻어진 효과를 갖는 변형예를 도시하며, 물론 벨트 구동장치(12)를 롤러 구동장치(11)에서 교체 가능하다.
특히,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신규한 실시예로서, 벨트 구동장치(12)를 절단한 케이블 쉬스 섹션, 케이블을 보유하는 근접한 절연피복제거 칼날의 경우에 케이블 구조체의 기능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접촉압력 제어장치에 의해 피복제거 방향으로 케이블 쉬스를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일반적으로 후방 벨트 쌍으로 각각의 벨트를 피복제거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전방 벨트는 반대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단시간내에 케이블을 쉬스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벨트 구동장치에 의해 차후 완전한 피복제거와 부분적인 피복제거 작업이 추가의 공정 변형예로서 가능하다.
도 10의 칼날 실시형태의 동작 모드는 실질적으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부속품 a-c만을 선발한다.
특수의 부속품 a)의 경우에 있어서는, 큰 효율을 가져오는 본 발명의 피복제거장치를 이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가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 다음에 평행 가이드장치(40) 또는 선회 가이드장치(9)를 이 목적으로 설치한다.
특수의 부속품 b)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공될 수 있는 플랫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그 단면에는 b1)의 플랫 칼날이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칼날 c)를 장착한 변형예는 동일 실시예로 플랫 케이블용으로 사용되며, 이 경우 후자는 평형 케이블에 수직으로 절단되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평면도는 도 13의 측면도에 상당한다. 벨트 구동롤러(11b, 11d)를 구비하는 전방 벨트 구동장치(12a)는 축(6)을 따라 케이블을 선회가능한 가이드장치(9)로 이송한다. 이 가이드장치는 선회부재(30b)에 교체 가능하게 유지되는 가이드 튜브(9b)를 구비한다. 선회부재(30b)는 구동장치(33)로부터 가이드 튜브(9b)에 선회운동을 전달하는 연결로드(34)에 연결되어 있고, 횡방향 구동장치(9)는 급속하게 작용하는 이동용 전자석(32)에 의해 구동되고, 이것이 그 슬라이드(33)에서 가이드장치(9)를 충격적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선회체(30) 내지 연결로드(34)에는 완충용의 방진고무(31b)를 구비하는 스톱퍼(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33)도 필요하다면 동일하게 방진고무에 의해 완충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결로드는 두 개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평형 핀(34a)이 베어링(35)에 지지되는 선회부재(30b)에 연결된 회전 샤프트(34b)에 유지된다. 경우에 따라, 이 선회 가이드장치는 또한 축(6)을 중심으로 90 또는 180도로 회전되게 배열되고, 가이드장치(9)는 상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나, 측방향으로 또는 하향으로 회전하여도 좋다.
참조번호(47)는 벨트(48)를 통해 스핀들(14b)을 회전시키는 벨트 구동장치(12)용 조절 구동장치를 나타낸다.
도 12는 동일한 실시형태의 우측부를 도시하고, 참조번호(25)는 구동장치를 나타내고, 참조번호(24)는 연속 벨트 구동장치의 장력을 조정하는 벨트를 나타내며, 참조번호(26)는 선형 가이드(27)에서 공구홀더(1, 2)의 측방향 가이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된 (스텝핑) 모터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장치(40b)는 이동가능하게 유지되지 않으나, 스냅 접속(43b)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고정된다. 구동장치(5d)에 의해 이동가능한 공통의 유지부품(8b)이 공구홀더(1)를 유지한다.
도 13은, 벨트(치형 벨트; 13), 롤러(치형 롤러; 11a, 11c) 및 압력 롤러가 마련된 한 쌍의 연속 벨트 구동장치(12)를 구비하는 신규 장치용 벨트 구동장치(12a)의 상세도이다. 상하부 벨트는 상호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벨트(13) 사이의 접촉압력은 가압스프링(29)에 의해 제어되고, 구동 롤러 유지부재(50)에 근접 방향의 예압을 가한다. 상하부 벨트(13)가 접촉시 스핀들(14b)이 다시 근접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예압이 증가하고, 록 너트(51b)는 가압스프링(29)을 다시 압축시킨다. 예를 들면 케이블이 벨트(13)에 접촉하여 (벨트가) 손상되지 않도록 미리 벨트 구동장치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록 너트(51b)가 홀더부(52b)를 통해 구동 롤러 유지부재(50b)를 구동시킨다.
개방 이동은 조정가능한 스톱퍼(53)에 의해 제한된다. 이 위치에서, 근접 이동을 동시에 초기 설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는 샤프트(14b) 상의 회전 엔코더(도시생략) 또는 도 11의 제어구동장치(47) 중 하나에 의해 수행된다.
도 14의 변형예에 있어서, 벨트 구동용 구동모터(54)는 점선으로 나타내고, 이 모터가 절연피복제거 길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이것도 마찬가지로 엔코더로 제어된다.
도 15는 도 12의 구동장치를 롤러 구동장치로 한 변형예로 그 롤러(11)는 변속기(22) 내지 (21) 를 통해 구동장치(54b)에 의해 구동된다. 롤러의 개방 조절은 벨트 구동장치(12)의 경우에 해당한다.
도 16은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신규한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다른 공지된 구성을 함께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공지의 장치를 사용하여 새롭게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의 4개의 공정단계에 있어서, 케이블(7)은 특히 긴 절연피복이 제거될 수 있다.
1. 절연피복제거 위치까지 벨트 구동장치(12)를 회전 구동에 의해 칼날(3) 아래에 케이블(7)을 이송한다.
2. 케이블이 정확히 중심에 맞춰지게 유지하지만, 그 위에 접촉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우측의 벨트 구동장치(12b)를 회전 구동하여 케이블 직경까지 개방시킨다. 동시에, 칼날(3)에 의해 절연피복제거 깊이까지 절개한다. 상기 벨트 구동장치(12a)를 복귀 방향으로 회전하여 케이블(7)을 이 벨트 구동장치(12a)가 노출한 케이블(57)과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복귀한다. 절연피복제거 길이는 지금으로서는 고가의 부분 피복제거 공정의 반복에 의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3. 벨트 구동장치(12a)에 의해 케이블(7)을 클램핑하고 케이블 쉬스 피복 상의 적절한 접촉압력으로 피복제거하기 위해 벨트 구동장치(12b)를 회전시켜서, 피복이 케이블(57)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는 종래 장치에 비해 도시된 절연피복제거 길이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다.
4. 당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그 이후 공정의 가능성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한 설명 및 추가 공정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술되어 보호받고자 한다.
상술한 절연피복제거장치 또는 상기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 속하지 않는 다른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특수 공정은 동일하게 본 출원의 주제 대상이다.
본 방법의 목적은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제어하는 공지 방법을 개선하여, 특히 촉진하고, 이것에 의해 기계 내부의 순서를 최적화하고, 몇가지 기능을 자동화하여, 필요에 따라 입력을 다시 간략하게 하는 데에 있다.
공지된 제어 방법은 특수 케이블(예컨대, 동축 케이블)의 가공시 각 개별 조작, 즉 각 작업 단계, 예를 들면 케이블 또는 칼날 각각의 개별 이송 또는 회수, 선회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부품 등의 각 선회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이에 의해 기계를 적절히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램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만, 이는 특수 케이블의 절연피복제거의 경우 각각의 새로운 문제를 상세히 설정하기 때문에, 전체 절연피복제거공정의 “완전한” 프로그램의 작성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시간이 걸리며, 또한 실수로 인해 에러가 발생되기 쉽다.
본 발명은 작업 공정을 결합하고 어느 정도의 조정을 자동적으로 그룹 단위로 조정을 할 수 있는 동작 그룹을 도입함으로써, 처음으로 만족스럽게 상기 문제를 해결한다. 각 작업(공정)그룹에 종종 요구되는 과제를 해결하고, 이것은 복수 개의 작업 공정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일방측에 조절가능한 절연피복제거 깊이를 갖는 3단 케이블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방법의 이후 전개에 따르면, 하나의 동작 그룹의 개별 작업공정 또는 이에 관련된 값을 0으로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임의값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새로운 대체 동작 그룹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의 특수 케이블을 복수의 동작 그룹으로 이루어진 하나의 그룹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고, 계속해서 그 후 명령에 의해 케이블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후의 전개에 따르면, 복잡한 절연피복제거의 문제(예를 들면, 매우 많은 수의 절연피복제거의 공정)를 자동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동작 그룹을 부분적으로 오버랩(예를 들면 보다 큰 동작 그룹을 형성)하도록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모듈 방식의 작업 스텝의 블록이 형성되고, 각각의 블록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그것들에 의해 자유롭게 프로그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보통 사용자가 케이블을 교환하는 경우에, 그 케이블의 절연피복의 제거를 바람직한 방법으로 제어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 내의 하나 또는 다른 케이블만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프로그램(모듈) 그룹을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도 17은 그와 같은 표시의 일 실시예를 절연피복을 제거하는 케이블 섹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케이블 및 이의 가공 동작 그룹은 개략적으로 표시장치에 도시되어 있고, 메뉴 바도 도시되어 있다.
완전히 통상적인 3단 피복제거는 도면에서 최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좌측에 단부 및 슬릿이 없는 슬롯 윈도우로 구성되는 제4 단이 이어지며, 긴 길이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피복 제거된다. 다음 동작으로서 하나의 텍스트가 얻어진다. 다음에, 우측 단부, 완전 피복 제거가 이어진다. 이는 한 조각에 있어서의 반복 피복제거를 포함한다(다른 가능성도 있으나, 이를 추천한다). 상기 단부는 외부 장치에 의해 추가로 가공(예 : 크림프 가공)된다.
그리고, 개별 동작을 개략적으로 계속하여 도시된다. 여기서, 개별 동작 심볼은 완전히 나타낼 수 없으나, 각 경우에 사용자가 파라미터를 입력함으로써 선택된 기호가 표시된다. 케이블에는 적어도 단부에 기능이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은 구성하는 동작이 적으면 그만큼 간단하게 된다. 동작이 굉장히 많으면, 케이블이 스크롤되어, 그때 각각 표시화면의 약 반 정도가 점프한다. 표시장치는 X 방향 또는 Y 방향에서 원래 척도 그대로가 아니다.
2개의 바가 케이블 하측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두꺼운 바는 동작이 현재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고 있음(다른 동작 선택을 위한 엔터와 백 키(“Keys, Enterand Back”)참조)을 나타내며, 얇은 바 또는 바들은 현재 제어중인 동작과 오버랩하고 있는 동작을 나타낸다. 그 경우 전혀 오버랩하지 않는 것들은 도시되지 않으며(텍스트 등), 제1 동작 사이에 종료하는 다른 동작은 중앙에 완료하고, 실질적으로 두터운 바와 동일한 장소에서 완료하는 다른 동작은 동일 장소에서 완료한다. 이 범위를 넘은 동작, 예컨대 최외측의 피복제거 등에는 두꺼운 바 보다 길게 연장한다. 2개 이하의 오버랩은 그 자체로서 도시되어 있고, 그 이상은 적절한 측부상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나를 다른 하나 아래에 완전히 놓여 있는 동작은 다른 동작의 중앙부의 절반 길이 파선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 아래에 하나의 단부의 동작용 선택 메뉴를 도시한다. 메뉴의 상세한 설명은 예로 하기에 설명한다.
선택용으로 각종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케이블의 일 단부에 있을 때에 하나의 메뉴(단부 메뉴)가 동작한다. 사용자가 케이블의 단부에 없을 때에 다른 메뉴(중간부 메뉴)가 동작한다. 동작의 리스트 및 이것에 의해 제어되는 기능에 관해서는 하기의 설명을 참조하라. 적당한 키 중 하나를 누르면, 새로운 기능이 추가된다.
도 18은 케이블 단부 가공용 동작 그룹의 예를 나타내고 설명하며, 도 19는 중앙부의 동작 그룹 정보의 예를 간략히 설명한다.
도 8은 범용 가이드장치(17, 수평이송만)를 도시한다. 필요하다면, 이 장치는 케이블 직경에 맞게 구성된다. 평행이동 가능한 가이드장치(9)는, 필요하다면, 케이블 직경에 맞게 구성된다.
도시된 케이블 섹션은 다음 가공 가능성에 관계한다. L이 52㎜ 미만인 경우에는 쇼트 모드에서의 가공, 우측의 절연피복제거 길이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특수 모드에서의 가공이 가능하다. 절연피복은 또한 여러 섹션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예의 이점은 도 9에 따른 변형예 보다 신속하고 좌우측에 있어서의 보다 긴 피복제거 길이를 허용한다. 이러한 변형예의 단점은 가이드장치(9)와 함께 케이블의 선회가 가능하다. 짧은 동축 케이블 섹션을 가공할 수 없다.
도 9는 양 측면 상에(수평 이송만) 각각 하나의 범용 가이드장치(17)를 도시한다. 이 가이드장치는 케이블 직경에 맞게 구성된다. 이 장치는 평행이동가능하다. 도시된 케이블 섹션은 하기의 가공 가능성에 관계한다. L이 52㎜ 미만인 경우에는 쇼트 모드에서의 가공, 우측 절연피복제거 길이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특수 모드에서의 가공을 수행한다. 절연피복제거는 또한 여러 섹션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 변형예의 이점으로는 케이블과 떨어져서 회전하지 않지만 비교적 짧은 동축 케이블의 가공이 가능하다. 이 변형예의 단점은 도 8에 따른 변형예 보다 느리고, 좌측부에서는 최대 피복제거 길이가 50㎜, 우측부에서는 최대 완전 피복제거가 50㎜인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도 17에서 예로서 도시된 스크린 상에 나타낸 가공 설비는 도 18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동작은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특정한 특징을 갖는다.
1) 터미네이팅(terminating): 입력신호(로봇)가 가공의 종료를 표시할 때까지 계속된다.
2) 동축 슬릿(coax slit): 이것은 항상 표시되지만, 시스템 파라미터 중 동축 박스가 조정된 경우에만 가공이 행해진다. 이것은, 현재 동축 가공을 하지 않는 경우에도 동축 와이어를 신속히 검사할 수 있다. 당분야의 당업자라면 동축 박스가 동축 케이블을 절단하기 위해 회전 칼날을 갖는 추가의 모듈을 의미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3) 동축 스텝(coax steps): 피복 제거를 위한 3개 이하의 스텝(4개의 층)까지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스텝의 피복제거가 여기서 규정될 수 있다.
4) 커터 스트립(cutter strip): 수 회의 피복제거가 가능하다(동축 없이, 이 경우 동축 작업을 여기서 "독립적으로"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1 동작의 피복 제거로 하여, 전체 및 일부 피복제거가 가능하다. 또한, 동일 방법으로 다중 윈도우(케이블에서의 자유 윈도우(free window))도 규정될 수 있다. 칼날 피복제거용 그래픽스는 하기의 결과와 함께 과정으로서의 공정을 먼저 도시한다.
5) 커터 슬릿(cutter slit): 피복 제거 또는 단부와 절연 피복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규정할 수 있다. 각 개별 동작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가능한 수단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이하 참조). 이 공정은 동축 박스 대신에 칼날 헤드를 이용하여 절개를 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정 2와 유사하다.
6) 커터 스텝(cutter step): 3개 이하의 스텝을 피복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스텝의 피복제거도 여기에 한정될 수 있다. 이 공정은 동축 박스 대신에 칼날 헤드를 이용하여 절개를 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정 3과 유사하다.
도 19에서 중앙부의 동작 그룹에 의해, 좌우측 단부에서 개시되는 각각의 경우에서 위치결정할 수 있다. 이 동작은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특정한 특징을 갖는다.
1) 정지(stopping): 입력신호가 가공 종료를 지시할 때까지 계속된다.
2) 마킹(marking): 다수의 텍스트로 영역을 표시한다. 또한 이때 단일 텍스트를 표시할 수도 있다.
3) 동축 슬릿(coax slit): 보다 용이한 제거를 위해 절연피복이 양측부에서 찢어진 슬롯 윈도우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4) 커터 슬릿(cutter slit): 보다 용이한 제거를 위해 절연피복이 양측부에 찢어진 슬롯 윈도우의 한계를 규정할 수 있다. 각각의 개별 공정 3 및 공정 4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에, 가공이 융통성 있게 된다. 이 공정은 동축 박스 대신에 칼날 헤드를 이용하여 절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공정 3과 유사하다.
단부에 대한 본 발명의 각종 기본 동작은 도 20a 내지 도 20e에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a는 기본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0b는 상부 다이어그램에서 칼날 헤드를 사용하여 동축 절개, 종방향 절단 및 피복제거를 행하는 기본 동작을 도시하며, 코드는 케이블 특이성 및/또는 동작 그룹 특이성인 SPE로부터 시작된다.
도 20c는 다음의 가장 얕은 절개(shallowest incision)를 갖는 피복제거에서 가장 깊은 절개를 갖는 피복제거로 개시되는 제1 동축 절개, 제2 동축 절개, 제3 동축 절개 및 상응하는 절연피복 및 절연층 피복제거를 포함하는 기본 동작을 도시한다. 추천 동작은 추출 형태로 하기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또 다른 변형예는 두 단 또는 한 단의 절개와, 개별 절단 및 이와 관련된 피복제거의 생략 또는 총 6개의 가능한 단 전체를 각각 개별 피복제거의 생략 형태이다.
도 20d는 하기의 공정: 1. 최외 절개, 2. 최외 절개의 피복제거, 3. 다음 절개, 4. 이 절개의 피복제거를 이용한 칼날 피복제거 등의 기본 동작을 도시한다. 하기의 파라미터는 입력되어야 한다: 제1 절개 위치, 모든 섹션의 길이(한 개의 값만), 제1 피복제거의 길이, 모든 다른 피복제거의 길이(한개의 값만).
도 20e는 상부 다이어그램에 표시하기 위한 개략적인 기본 동작을 도시한다. 하부 다이어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또 하나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는 하기의 공정 스텝을 이용한 동축 윈도우를 포함하는 작동이다: 1. 우측 동축 절개, 2. 좌측 동축절개, 3. 종방향 슬릿, 4. 칼날 헤드를 이용한 우측 피복제거, 5. 칼날 헤드를 이용한 좌측 피복제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측방으로, 또는 상부로 또는 하부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장치를 설치하고, 공구의 건너편에 놓인 케이블을 삽입 방향에 대해 후진 이동시키도록 측방으로 또는 상부로 평행이동 가능함으로써, 절연피복제거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충돌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25)

  1. 삭제
  2. 2쌍의 공구(3)로 이루어지는 블레이드를 유지하는 한 쌍의 공구홀더(1, 2)와, 축(6)에 대해 하나 이상의 공구(3)를 측방향으로 케이블(7)을 따라 그 이송방향으로 이송가능한 블레이드 스테이션이 마련된 순환형 케이블 절연피복제거장치에 있어서,
    공구(3)의 건너편에 놓인 케이블(7)을 삽입 방향에 대해 후진 이동시키도록 측방으로 또는 상부로 평행이동 가능함으로써, 절연피복제거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충돌 없이 이루어지도록 측방으로 또는 상하부로 이동가능한 가이드장치(9)와,
    축(6)을 따라 공구(3)의 전후에 복수 개의 롤러 쌍(11) 또는 한 쌍의 연속 벨트(12)를 포함하는 케이블 이송유닛(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공구홀더(1b, 2b; 1c, 2c)가 하나의 공통 홀더 부품대(8)에 고정되고, 이 홀더 부품대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홀더(1, 2)가 측방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위치 설정 가능한 복수 개의 공구(3)용 수용장치를 포함하고, 이때 공구(3)는 블레이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 가공 공구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크림프 공구, 트위스트 공구, 스탬핑 공구, 클램핑 공구, 마킹 장치, 연삭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공구홀더(1, 2)가 서로에 대해 또는 상기 축(6)에 대해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6) 양측을 향해 배치된 롤러 쌍(11) 또는 연속 벨트(12)가 서로 연속적으로 상호 조절될 수 있으며, 케이블을 따라 이동 제어함으로써 개방 및 폐쇄되어, 케이블(7)이 개방된 롤러 쌍(11) 또는 연속 벨트(12) 사이에 수용되며, 서로 이동 또는 폐쇄하는 롤러 쌍(11) 또는 연속 벨트(12)에 의해 계속 이동되거나, 제어 가능한 압력 하에서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연속 벨트(12)의 경우에 연속 벨트(13)가 각각 2개의 롤러 쌍(11) 주위로 안내되고, 하나 이상의 지지 롤러(14)가 벨트(13)를 지지하기 위해 롤러 쌍(11) 사이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며, 벨트(들)(13)는 그것의 내측면을 치형 벨트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그것의 외측면을 미끄러지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복수 쌍을 이루는 연속 벨트(12)들의 경우에 연속 벨트(13)가 복수 개의 롤러 쌍(11) 중 일부 또는 하나 이상의 연속 벨트(12) 중 일부를 코팅된 구동 롤러(11)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하측 롤러(11) 또는 한 쌍의 연속 벨트(12)가 서로 상대적으로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들 사이에 놓인 케이블(7)에 대한 트위스트 가공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공구홀더 구동장치(5)에 하나 이상의 모터(23)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가능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케이블 에러 센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공구홀더(1, 2)를 가진 복수 개의 공구홀더 구동장치(5)가 상기 축(6)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복수 쌍의 롤러 또는 벨트(11, 12)가 스텝핑 모터 스핀들을 통해 서로 조절될 수 있고, 상기 모터에는 자동 리세트 또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회로를 가지는 제어수단과 케이블(7)에 가해지는 압력을 검출 또는 측정 기술에 의한 평가를 위한 하나 이상의 압력 측정 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 기초 플레이트와 정면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구동모듈, 이동모듈, 공구홀더모듈, 측정모듈 또는 마킹모듈이 각각 축(6)을 따라 상기 기초 플레이트의 조립, 분해 또는 교환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나의 정면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모듈은 다른 정면 플레이트와 독립적인 자신의 정면 플레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자동 드레딩(threading)장치, 케이블(7)의 인장 하중 측정장치, 케이블(7)의 인장 하중에 따라 이동 롤러(11), 이동 벨트(12)로의 동적 압력장치, 케이블 교정장치, 길이 측정장치, 케이블피복배출장치, 또는 절연피복제거 잔류물을 방출시키기 위한 측방으로 개방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장치가 롤러 또는 벨트 이동장치에 추가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공구 이송용 조절 스핀들(14)에 엔코더(41)가 배치되고, 상기 공구(3)의 마모가 검출되며 구동 운동을 중단하기 위해서 또는 구동장치 또는 그것의 엔코더를 보정하거나 초기화하기 위해 상기 엔코더(41)는 작동 상태에서 구동 모터(23; 16)의 구동 움직임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23; 16)의 엔코더와 비교 가능한 엔코더 값과의 비교를 통해 상기 조절 스핀들(14)에 대해 그것의 회전 운동을 모니터링하고, 이 때 구동 모터(23; 16)와 스핀들(14) 사이의 연결이 치형 벨트(24)를 통해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5. 제2항에 따른 절연피복제거장치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공구홀더(1)의 폐쇄 바로 전에 구동 모터(23; 16)의 구동력을 감소시키는 모니터링 수단이 설치되고, 구동 모터가 공구홀더를 작은 힘으로 폐쇄 위치에 놓으며, 상기 구동 모터(23; 16)에 접속되거나 통합된 엔코더가 구동 에너지의 이송에도 불구하고 회전 운동 진행을 그 이상 검출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공구홀더(1)의 개방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의 작동 방법.
  16. 제2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동작 상태에서 케이블 직경과 케이블 타입 및 사전 설정된 절연피복제거 길이를 입력 후에 자동적으로 벨트 구동수단(12)의 사전 개방 또는 긴 절연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압력을 계산하여 세트시키거나, 또는 구동장치를 그에 상응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17. 제2항에 따른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가공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 및 그리핑 장치가 제2 벨트 구동수단(12b)에 배치되고, 이때 제1 벨트 구동수단(12b)은 전방 케이블 섹션의 후단부의 절연피복제거 직후에 케이블을 노출시킴으로써, 케이블이 그리핑 장치에 의해 제거될 수 있고, 정면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모듈은 다른 상기 정면 플레이트와 독립적인 자신의 정면 플레이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가공 장치.
  18. 장치의 제어 가능한 구동을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프로그램은 개별 단계에 할당된 프로그램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제2항에 따른 절연피복제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복수 개의 프로그램 단계가 단계의 실행이 미리 주어지지만 하나 이상의 단계의 제어 파라미터가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세트될 수 있는 동작 그룹으로 통합되고, 동작 그룹이 호출되면 동작 그룹이 그러한 방식으로 예비 프로그래밍된 다수의 프로그램 단계를 호출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 단계는 단계의 실행 순서에 따라 구동장치의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개별 프로그램 단계 또는 작업공정 또는 그것과 연관된 제어 파라미터가 0으로 설정될 수 있고, 또는 소망하는 다른 파라미터에 의해 입력 유닛을 통해 메뉴 제어되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프로그램 그룹이 중첩된 프로그램 그룹으로 통합되고, 또는 개별 프로그램 그룹이 표시장치에서 개략적으로 표시된 다음 상세히 표시되며, 상기 표시가 개별 프로그램 단계에서 결정된 값의 상호 대화식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제어 방법.
  21. 제2항에 있어서, 가이드로드(44) 상에 스냅 접속(43)으로 장착되는 가이드슬리브(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컴퓨터 제어로 가이드로드(44)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가이드슬리브 (40)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리브(40)는 공기압구동장치(45)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리브(40)는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서 그 내부에 깔대기 형상으로 구멍의 위쪽을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리브(40) 사이에는 공구를 청소하기 위한 압축공기 흡출구(4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피복제거장치.
KR10-2000-7013794A 1995-11-06 1996-11-04 절연피복제거장치 KR100366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235/95 1995-11-06
CH323595 1995-11-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367A Division KR100310981B1 (ko) 1995-11-06 1996-11-04 절연피복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6533B1 true KR100366533B1 (ko) 2003-01-09

Family

ID=42515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367A KR100310981B1 (ko) 1995-11-06 1996-11-04 절연피복제거장치
KR10-2000-7013794A KR100366533B1 (ko) 1995-11-06 1996-11-04 절연피복제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367A KR100310981B1 (ko) 1995-11-06 1996-11-04 절연피복제거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3) EP1670109B1 (ko)
JP (1) JP3914571B2 (ko)
KR (2) KR100310981B1 (ko)
BR (1) BR9611275A (ko)
DE (3) DE59611361D1 (ko)
WO (1) WO19970177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57878B2 (en) * 1995-11-06 2007-08-21 Beat Locher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WO1998013907A1 (de) * 1996-09-23 1998-04-02 Schleuniger Holding Ag Endloskabelbearbeitungsvorrichtung
EP1061622A3 (en) * 1999-06-16 2001-11-14 Lear Automotive (EEDS) Spain, S.L. Station for cutting, trimming and peeling cables
DE10103827B4 (de) * 2001-01-29 2005-12-29 Rieter Automatik Gmbh Messeranordnung für einen Granulator zum Granulieren von Kunststoffsträngen
DE10134087B4 (de) * 2001-07-13 2004-08-05 Ha Kabeltechnik A. Haderlapp Stufiges Konfektionieren von Kabeln mit einer mehrlagigen Ummantelung
EP1369971B1 (de) * 2002-06-06 2004-10-20 Komax Holdin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arbeiten von Kabeln
EP1515403B1 (de) 2003-09-10 2007-10-24 komax Holding AG Kabelbearbeitungseinrichtung
DE502004005315D1 (de) * 2003-09-10 2007-12-06 Komax Holding Ag Kabelbearbeitungseinrichtung
ITVI20070296A1 (it) * 2007-11-13 2009-05-14 Samec Macchine S R L Metodo perfezionato di troncatura e sguainatura di cavi elettrici e troncatrice-sguainatrice perfezionata che realizza tale metodo
DE102007056459B4 (de) * 2007-11-23 2011-02-24 Schäfer Werkzeug- und Sondermaschinenbau GmbH Crimppresse mit einem Pressengehäuse und einem vertikal darin bewegbaren Pressenbär
JP2012507982A (ja) 2008-11-03 2012-03-29 シュロニガー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ケーブル区分材を生成するための切断剥離機
CN104040087B (zh) * 2011-08-12 2016-05-18 Vsl国际股份公司 张力构件进给设备
EP3081517B1 (de) * 2015-04-17 2017-10-25 Schleuniger Holding AG Vorrichtung zum führen und fördern von draht- oder strangförmigen produkten
JP2016213957A (ja) * 2015-05-08 2016-12-15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加工装置
DE202016100118U1 (de) 2015-12-30 2016-02-11 Metzn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m Abisolieren eines Kabels
EP3336976A1 (de) 2016-12-16 2018-06-20 Komax Holding Ag Kabelbearbeitungseinrichtung
DE102017109892A1 (de) 2017-05-09 2018-11-15 Metzner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Bearbeitung von Kabeln
DE102017114572A1 (de) * 2017-06-29 2019-01-03 Komax SLE GmbH & Co. KG Abtrenn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m Abtrennen einer Kabeltülle von einem Kabel
CN107769101A (zh) * 2017-12-04 2018-03-06 南京科技职业学院 一种10kV电缆自动剥线装置
CN109286160B (zh) * 2018-11-20 2024-01-30 清研同创机器人(天津)有限公司 一种适合机器人操作的剥线工具
CN109687354B (zh) * 2018-12-28 2020-10-02 合肥汇优科技有限公司 电力系统架空线路绝缘导线剥皮器的芯线检测和调刀方法
DE102019102164B4 (de) * 2019-01-29 2020-08-06 Lisa Dräxlmaier GmbH Vorrichtung zum Einführen einer flexiblen Leitung
DE102019119663A1 (de) 2019-04-24 2021-01-21 Metzn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Konfektionier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DE102020113516A1 (de) 2019-05-27 2020-12-03 Metzner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bisolieren eines Kabels sowie System zur Konfektionierung eines Kabels
DE102019119660A1 (de) 2019-06-14 2020-12-17 Metzner Maschinenbau Gmbh Verfahren, Vorrichtung und System zur Konfektionierung eines elektrischen Kabels
CN111082286B (zh) * 2020-01-02 2020-12-25 广西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有效切割外皮并自动抽离丝线的电力用缆线脱皮设备
DE102020129360B4 (de) 2020-11-06 2024-04-18 Wafios Aktiengesellschaft 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an ihren Enden abisolierten Werkstücken aus isoliertem länglichem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725A (ko) * 1973-12-07 1975-07-10
DE2857307C2 (de) * 1977-03-25 1982-05-19 Shin Meiwa Industry Co.,Ltd., Nishinomiya, Hyogo Schneid- und Abisoliervorrichtung
US4802512A (en) * 1986-02-25 1989-02-07 Kabushiki, Kaisha, Kodera, Denshi, Seisakusho Automatic wire decorticating and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DE59007328D1 (de) * 1989-10-18 1994-11-03 Ttc Tech Trading Co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zum Zubringen eines Kabels in einen Kabel-Verarbeitungsautomaten.
US5226224A (en) * 1990-05-31 1993-07-13 Shin Meiwa Industry Co., Ltd. Method of removing sheath from electric wire in intermediate region
US5253555A (en) * 1990-11-09 1993-10-19 Eubanks Engineering Company Multiple blade set strip apparatus for cable and wire
US5146673A (en) * 1990-11-09 1992-09-15 Eubanks Engineering Company Multiple blade set strip process for cable and wire
US5469763A (en) * 1990-11-09 1995-11-28 Eubanks Engineering Company Wire and cable processing system
JPH04261316A (ja) * 1991-01-18 1992-09-17 Nippon Data Syst Kk 自動電線切断剥皮装置
JPH087772Y2 (ja) * 1992-03-30 1996-03-04 新明和工業株式会社 中間ストリップ装置における切裂溝形成刃体
CH683809A5 (de) * 1992-07-01 1994-05-13 Ramatec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Ablängen und Abisolieren ummantelter Kabel.
JPH071223A (ja) * 1993-05-06 1995-01-06 Komax Holding Ag ケーブル加工機械用の切断ストリップ機構
JP3140255B2 (ja) * 1993-05-25 2001-03-05 住友電装株式会社 被覆線の切断・剥皮装置における被覆の剥皮方法
KR100284380B1 (ko) * 1995-01-30 2001-03-02 사이카와 시코오 전선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359A (ko) 1999-08-16
KR100310981B1 (ko) 2001-12-17
EP1670109A2 (de) 2006-06-14
EP1670109A3 (de) 2008-06-11
JPH11514835A (ja) 1999-12-14
EP1271729A2 (de) 2003-01-02
EP1271729A3 (de) 2003-08-06
EP1271729B1 (de) 2006-06-21
EP1670109B1 (de) 2010-04-28
EP0860044B1 (de) 2003-07-09
DE59610599D1 (de) 2003-08-14
WO1997017751A1 (de) 1997-05-15
BR9611275A (pt) 1999-01-26
DE59611508D1 (de) 2010-06-10
DE59611361D1 (de) 2006-08-03
JP3914571B2 (ja) 2007-05-16
EP0860044A1 (de) 199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533B1 (ko) 절연피복제거장치
US7257878B2 (en)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EP0234929B1 (en) Automatic wire stripping and cutting method and apparatus
JP4805208B2 (ja) カテーテルまたは誘導線に切れ目を形成するシステム
US5640891A (en) Wire and cable drive apparatus in wire and cable cutting and stripping system
KR102008173B1 (ko) 케이블 단자 자동 연결 장치
JP5400981B1 (ja) 電線撚り合わせ装置、撚り合わせ電線製造装置、撚り合わせ電線製造方法
JP5320396B2 (ja) ワイヤ終端機用のワイヤ位置決め装置
EP1312147A2 (en) Orbiting blade coaxial cable cutter/stripper
WO2018060880A1 (en) Rotary stripping device
EP0275630B1 (en) Automatic wire cutting and stripping method and apparatus
US6701765B2 (en) Spring manufacturing apparatus
US4993287A (en) Automated wire insulation cutter and stripper
US4461061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wire to insulation displacement-type contacts
CA1037692A (en) Cutting and insulation stripping apparatus for twisted wire pair
KR20010085818A (ko) 반자동 와이어 처리장치
US6044682A (en) Wire product manufacturing apparatus
JP2022522475A (ja) 電子スイッチギアの電子部品を自動的に配線する把持具、これに対応するロボットおよび対応する方法
KR20000030040A (ko) 브이홈 가공장치의 프론트 클램프 이송장치
CN210489305U (zh) 一种线束自动点缠设备及绞线机
KR20210008906A (ko)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CN113178764A (zh) 一种半自动套号码管压接机
CN211743902U (zh) 一种剥线机构
JPH04277411A (ja) 電線加工装置における電線送給方法
JPH04261315A (ja) 自動電線切断剥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