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8906A -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8906A
KR20210008906A KR1020210006516A KR20210006516A KR20210008906A KR 20210008906 A KR20210008906 A KR 20210008906A KR 1020210006516 A KR1020210006516 A KR 1020210006516A KR 20210006516 A KR20210006516 A KR 20210006516A KR 20210008906 A KR20210008906 A KR 20210008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upled
driving
revers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성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성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성기술
Priority to KR1020210006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8906A/ko
Publication of KR20210008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9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longitudinal c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7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I(Mineral Insulated) 케이블의 사양에 맞게 MI 케이블의 종단 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MI Cable Position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MI(Mineral Insulated) 케이블의 사양(사이즈)에 맞게 MI 케이블의 종단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MI 케이블 종단 제거장치와 관련된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49518호가 있다.
MI 케이블의 형태와 용도는 위 등록특허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 등록특허는 XYZ 스테이지의 상면에 MI 케이블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스테이지의 위치를 XYZ축방향으로 제어하여 회전칼날을 통해 MI 케이블의 외피(이하 "피복층"이라 함)를 제거하는 MI 케이블 종단 피복 제거장치에 특징이 있다.
그러나, 위 등록특허는 MI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할 때 XYZ 스테이지를 통해 MI 케이블을 회전칼날의 위치로 XYZ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숙련자가 아니면 심선까지 절단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 MI 케이블의 외피는 PVC로 피복되어 있는 구리 케이블과 달리 그 외부는 금속(스테인레스, 구리)으로 피복되어 있고, 그 내부에 절연 및 내열재(MgO 혹은 AL2O3)가 충진되어 있으며, 절연 및 내열층 속에 심선(도선)이 삽입되어 있는데, MI 케이블은 전술한 PVC 케이블과 달리 매우 혹독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게 제조되므로 일반 PVC 케이블에 비해 매우 고가이다.
그런데, 전술한 등록특허에서 제안한 탈피장치는 직경이 비교적 큰 MI 케이블의 제거할 수는 있지만 외경이 작은 0.5mm 이하의 MI 케이블은 탈피하기가 어렵다.
또한 고정부에 고정된 MI 케이블을 XYZ 스테이지에 마련된 위치조절나사(XYZ축)들을 손으로 세밀하게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느리고, 회전칼날의 깊이를 항상 일정한 깊이로 탈피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탈피품질에 따른 신뢰성을 명확히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전술한 등록특허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서로 맞댄 후 맞댄 양 V홈 사이에 MI 케이블을 위치시킨 후, 양 고정부재를 볼트로 체결해야 하고, 어느 한 면의 외피를 제거한 후 MI 케이블을 180°뒤집어 고정부재에 다시 장착한 후 반대면의 지 탈피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비능률적이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안하기에 이르렀고 괄목할 만한 성과가 있어 본 발명을 통해 이를 제안하려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MI(Mineral Insulated) 케이블의 사양(사이즈)에 맞게 MI 케이블의 종단을 자동으로 제거하기 위한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를 구현하기 위해 해결수단은,
수평 및 수직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가이드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진 부재와;
상기 수평 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승하강 부재와;
상기 전·후진 부재의 상면에 양 축받이 부재에 구동풀리와 피동풀리가 연동하도록 대칭되게 결합되고 상기 피동풀리와 함께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MI 케이블이 장탈착되는 척과;
상기 전·후진 부재에 나선결합되고 수평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승하강 부재와 나선결합되고,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 3 구동모터 및 상기 축받이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제 2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구동모터는 펄스값에 의해 구동되는 펄스 모터(pulse motor) 혹은 스테핑 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MI 케이블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Mi 케이블의 전·후진운동과 회전칼날의 승하강 운동에 의해 MI 케이블의 외피를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I 케이블 외피 제거장치를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MI 케이블 외피 제거장치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MI 케이블 외피 제거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MI 케이블 외피 제거장치의 우측면을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MI 케이블 외피 제거장치의 평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후진 부재와 척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의해 외피가 제거된 MI 케이블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피 제거장치의 제어부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복수의 구성으로 목적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집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나 역할을 갖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가 불명확해지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한정의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되고, 그 구성요소가 추고하는 본질적 해결원리에 포함되는 변경예, 치환물 및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결합 혹은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명시하려는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나 부가를 배제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설명한 후 제어방법을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10은 프레임으로, 프레임(110)은 수평 및 수직 프레임(111)(112)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도면부호 120은 MI 케이블(MC)을 전·후진시키기 위한 전·후진 구동부(도 1 내지 도 4)이고, 도면부호 130은 회전칼날(131)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승하강 구동부(도 1, 도 3 및 도 4)이다.
따라서, MI 케이블(MC)의 외피은 전·후진되는 MI 케이블(MC)과 승하강되는 회전칼날(131)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케이블 종단 길이와 깊이로 제거할 수 있다.
양 프레임(111)(112)에는 양 프레임에 대해 수직방향과 전후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111a)(112a)(도 1, 도 3)가 각각 결합되어 있고, 가이드(111a)(112a)와 이웃하게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제 1 및 제 2 위치센서(114a,114b), (115a,115b)(도 1, 도 3)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위 양 전·후진 및 승하강 구동부(120)(13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양 가이드(111a)(112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전술한 양 부재(120a)(130a)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양 부재(120a)(130a)는 양 가이드(111a)(112a)를 따라 제 1 및 제 2 위치센서(114a,114b)(115a,115b) 사이를 운동할 수 있다.
전술한 전·후진 구동부는, 수평 프레임(111), 전·후진 부재(120a), 제 1 구동모터(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전·후진 부재(120a)는 수평 프레임(111)에 고정된 제 1 구동모터(122)의 스크루형 구동축(122a)(도 4)과 나선결합되어 제 1 구동모터(122)의 회전시 그와 연동하여 가이드(111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전술한 전·후진 부재(120a)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게 한 쌍의 축받이부재(123a,123b)(도 1)가 결합될 수 있다.
위 양 축받이부재에는 구동풀리(127)와 상기 구동풀리(127)와 연동하는 척(126)(도 1, 도 5 및 도 6)을 갖춘 피동풀리(129)(도 1, 도 6)가 서로 연동하도록 밸트(도면부호 미표기, 도 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위 양 풀리(127)(129)는 동축선상의 양 축받이부재(123a,123b)에 대면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 피동풀리(129)의 척(126)은 후술하는 제 2 구동모터의 구동시 회전할 수 있다.
전술한 척(126)은 MI 케이블(MC)을 장착 및 탈착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MI 케이블이 양 피동풀리(129)를 관통할 수 있고, 척의 나선 체결에 의해 MI 케이블을 고정 및 해제되므로 다양한 외경을 지닌 MI 케이블(MC)들을 호환하여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양 척(126)의 간격은 MI 케이블의 제거할 종단 길이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술한 승하강 구동부는, 수직 프레임, 승하강 부재, 제 3 구동모터, 전술한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승하강 부재(130a)는 전술한 척의 상부에 위치되는 회전칼날(131)과, 회전칼날의 타측에 결합되어 회전칼날(131)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M)가 절취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전술한 절취부는 전동모터(M)가 승하강 부재(130a)와 함께 상하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112)의 표면을 절취한 부분이다.
따라서, 회전칼날(131)는 전동모터(M)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전동모터(M)는 승하강 부재와 함께 수직 프레임(112)에서 승하강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승하강 부재(130a)는 전술한 수직 프레임(112)에 고정된 제 3 구동모터(128)의 구동축(128a)과 나선결합되어 제 3 구동모터(128)의 구동시 그와 연동되면서 가이드(112a)를 따라 승하강되게 된다.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도면부호 120b, 130b는 전술한 양 부재(120a)(130a)에 결합된 터처(toucher)이다. 양 터처(120b, 130b)는 양 부재(120a)(130a)와 함께 이동할 때 제 1 및 제 2 위치센서(114a,114b)(115a,115b)가 양 터처를 센싱하였을 때 제어부에 의해 양 부재(120a)(130a)의 이동여부(정지 및 전·후진)를 제어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제 1 내지 제 3 구동모터는 펄스 모터(pulse motor) 혹은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 스텝 모터 라고도 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펄스값에 의해 회전속도와 회전수가 제어된다.
전술한 펄스값은 초기값으로부터 일측의 위치센서(114a)(115a)에서 타측의 위치센서(114b)(115b)측으로 혹은 반대로 펄스값이 증감되는 방식으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 1 내지 제 3 구동모터는 특정된 펄스값에 의해 회전수는 제어될 수 있고, 그 결과 원하는 위치로 전·후진 부재와 승하강 부재 및 피동풀리를 정밀하게 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MI 케이블(MC) 외피 제거장치(100)는 회전칼날(131)의 마모로 인한 절삭 깊이의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회전칼날(131)의 출발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회전칼날(131)의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위치설정수단의 실시 예로서, 전술한 축받이부재(123b)의 상면에 이격되게 결합되는 발광 및 수광센서(131a)(131b)와, 수광센서의 센싱신호 검출시 제 3 구동모터에 가해진 펄스값을 메모리에 회전칼날의 출발위치 값으로 저장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회전칼날을 출발위치에서 부터 제거할 깊이까지의 제어값을 제어부에 의해 프로그램적으로 판단하여 양 값의 차이값에 해당하는 펄스값을 제 3 구동모터에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칼날(131)의 사용에 따른 마모, 편마모 혹은 진원이 아닌 경우에도 출발위치값에서부터 설정된 깊이값까지 제 3 구동모터의 구동을 펄스값으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양 척(126)은 동일 구조하므로 일 측의 척을 통해 설명한다.
척은 외경이 점진적으로 확경되는 나사산과, MI 케이블이 관통되는 내경을 갖추고 등각격으로 분할된 척과, 상기한 척에 나선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척의 양 내경속으로 MI 케이블을 삽입한 후 너트를 척의 나사산에 나선 결합하면, 그 체결력에 의해 척의 내경이 방사방향 내/외측방향으로 축경 혹은 확경되므로, MI 케이블을 장착하고 분리할 수 있다.
전술한 회전칼날(131)은 두께가 얇고 공업용 다이야몬드가 박힌 원반(Disk)형태의 공구로, 전술한 전동모터(M)의 구동시 회전에 의해 MI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하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MI 케이블 외피 제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외피 제거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도로, 제어부는 MI 케이블 사이즈별 모델(31) 사양 선택부(30)와, 메모리부(60), 탈피형태 선택부(20), 디스플레이부(40) 및 제 1 내지 제 3 구동모터 및 전동모터 구동부(50)를 제어로직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전술한 사양 선택부(30)의 MI 케이블의 모델(외경), 제거할 종단의 길이값 및 깊이값이 미리 메모리부(6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사용자가 키보드나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수단을 사용하여 직접 입력될 수 있다.
전술한 메모리부(60)는 전술한 위치설정값과 위 사양 선택부(30)의 정보(제거할 종단 길이 및 깊이값)들을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반도체를 말한다.
전술한 외피 제거방식 선택부(30)는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할 때, 외피의 제거형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혹은 스위치)를 포괄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을 통해 탈피타입을 직선형 혹은 나선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버튼의 선택에 대응하여 미리 프로그램화된 제어로직에 따라 외피 제거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버튼에 의해 직선탈피로 선택하면, 제어부(10)는 MI 케이블(MC)의 외피을 사용자가 설정한 혹은 선택된 MI 케이블의 모델과 그 모델의 외피 두께 및 제거할 길이를 메모리부(60)에 저장된 케이블의 모델(외경)과 그 모델의 외피 두께 및 제거할 외피의 길이로 MI 케이블의 외피를 1차로 제거한 후, 이어서 MI 케이블(MC)을 180°로 회전시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외피를 길이방향으로 제거하게 된다.
그와 같은 방식으로 버튼을 "나선 탈피"로 설정하여 운전하면, 제어부(10)는 구동풀리, 피동풀리 및 척(126)을 통해 회전시키면서 MI 케이블(MC)의 외피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태로 제거하게 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부(40)는 전술한 사양 선택부의 선택이나 입력값 정보를 포시(출력)하는 액정 혹은 모니터와 같은 표시장치를 포괄한다.
전술한 구동부(50)는 앞서 설명한 제 1 내지 제 3 구동모터와 전동모터를 통칭한 것으로, 제어부(10)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MI 케이블(MC)의 외피 제거방법에 관하여 첨부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앞서 사양 선택부를 통해 메모리부에 저장된 운전정보는 선택에 의해 특정되고, 양 척(126)에는 특정 사이즈의 MI 케이블(MC)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MI 케이블(MC)의 피복 제거시 사용자가 선택하는 직선탈피 혹은 나선탈피는 MI 케이블의 외피를 회전칼날에 의해 제거된 형태에 차이가 있을 뿐 탈피방식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직선탈피 방식으로 제거하는 MI 케이블의 종단 제거방법을 통해 설명한다.
또한 승하강 부재와 전·후진 부재는 양 위치센서(114a)(115a)가 양 부재((120a)(130a)의 터처를 센싱한 위치에 있는 상태 즉, 초기화 위치에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10)는 메인스위치를 턴온(ON)하면 운전이 개시된다.
제어부는,
초기화 단계, 회전칼날의 출발위치 설정단계, 정렬된 MI 케이블의 회전칼날로 사양 선택부의 설정조건에 따라 탈피하는 탈피단계 및 회전칼날을 MI 케이블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프로그램적으로 자동 수행한다.
전술한 초기화 단계는 회전칼날과 MI 케이블의 초기 위치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이동할 거리를 프로그램적으로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초기화 단계는 승하강 부재와 전·후진 부재를 양 위치센서(114a)(115a)가 양 터처를 센싱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제 1 및 제 3 구동모터를 제어부가 제어하는 프로세스이다. 양 센서의 센싱에 의해 제어부는 이렇게 승하강 부재와 전·후진 부재의 위치가 초기화된 상태로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회전칼날의 출발위치 설정단계를 수행한다.
회전칼날의 출발위치 설정단계는, 제어부에 의해 제 1 및 제 3 구동모터를 구동시켜 승하강 부재와 전·후진 부재를 위치센서(114b)(115b)가 센싱될 때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스를 말한다.
이 프로세스에 의해 전·후진 부재의 위치설정수단은 회전칼날의 하부에 위치되고, 승하강 부재는 MI 케이블에 근접되게 배치된다.
제어부는 제 3 구동모터와 구동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여 회전칼날(131)(도 1)을 회전시키면서 위치설정수단[발광 및 수광센서(131a,131b)(도 5)]에 의해 회전칼날이 센싱될 때까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위치설정수단이 회전칼날을 센싱하였을 때 제 3 구동모터(128)에 인가된 펄스값을 출발위치값으로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제어하면서 위치센서(114b)의 센싱위치로 제 3 구동모터(128)를 역회전시켜 승하강 부재가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이 프로세스에 의해 회전칼날의 출발위치가 설정되고, 회전칼날은 위치설정수단과 이격되게 된다.
전술한 MI 케이블 정렬단계는, 회전칼날의 하부에 MI 케이블을 배치하기 위한 프로세스로, 위치센서(114b)를 기준으로 제 1 구동모터를 미리 설정된 펄스값을 통해 회전시킴으로써 구현된다.
즉, 회전칼날의 하부에 위치된 MI 케이블의 외피위로 회전칼날을 수직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전술한 탈피단계는, 승하강 부재를 출발위치에서 설정된 깊이로 이동시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MI 케이블의 외피를 제거하는 프로세스를 말하는 것으로, 제어부는 출발위치값을 기준으로 설정된 깊이값의 차이값을 펄스값으로 변환하여 제 3 구동모터를 제어하고, 제 1 구동모터를 설정된 길이값에 해당하는 펄스값으로 구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그러므로, 회전칼날은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제 1 구동모터에 의해 전·후진 부재와 함께 MI 케이블이 이동함으로써 회전칼날에 의해 외피가 제거되게 된다.
설정된 길이가 제거되면, 제어부는 척이 180도 회전되도록 제 2 구동모터를 펄스값을 통해 제어한 뒤 전술한 제 1 구동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같은 방식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길이와 깊이로 MI 케이블(MC)의 외피가 제거되게 된다.
이때 탈피형태를 "나선탈피"로 선택해서 운전하면, 제어부는 척이 계속 회전되도록 제어함으로 설정된 길이와 깊이 및 나선형태로 외피가 제거하게 된다.
설정된 형태로 MI 케이블의 외피가 제거되면, 제어부는 회전날개를 구동시키는 전동모터(M)가 정지되도록 제어하고, 동시에 위치센서(115b)가 승하강 부재를 센싱할 수 있도록 제 3 구동모터를 제어한 후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MI 케이블 외피 제거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앞서 설명한 구성 및 제어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의 구성요소는 제조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되어야 하고, 또한 위 설명에 게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라면 다양한 변경 예 혹은 응용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변경 예나 응용 예는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정의하는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10: 제어부 20: 탈피형태 선택부
30: 사양 선택부 40: 디스플레이부
50: 구동부 100: MI 케이블 탈피장치
110: 지지부 111: 수평 프레임
111a, 112a: 가이드 112: 수직 프레임
114a,114b, 115a,115b: 위치센서 120: 전·후진 구동부
120a: 전·후진 부재 120b: 전·후진 부재의 터처
122: 제 1 구동모터 122a: 제 1 구동모터의 구동축
123a,123b: 축받이부재 124: 제 2 구동모터
126: 척 127: 구동풀리
128: 제 3 구동모터 129: 피동풀리
130: 회전칼날 승하강 구동부 131: 회전칼날
130a: 승하강 부재 130b: 승하강 부재의 터처
M: 전동모터 MC: MI 케이블

Claims (2)

  1.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 지지부;
    상기 수평 프레임에 서로 이격되게 결합된 가이드 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진 부재;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칼날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 부재;
    상기 전·후진 부재의 상면에 양 축받이 부재에 구동풀리와 피동풀리가 연동하도록 대칭되게 결합되어 있고, MI 케이블을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피동풀리와 함께 연동되는 척;
    상기 전·후진 부재에 나선결합되고 수평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승하강 부재와 나선결합되고, 수직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3 구동모터 및 상기 축받이 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풀리를 회전시키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상기 회전칼날의 출발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발광센서 및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위치설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인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수단은,
    상기 수광센서의 센싱신호 검출 시, 상기 제3 구동모터에 가해진 펄스값을 상기 회전칼날의 출발위치로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KR1020210006516A 2021-01-18 2021-01-18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KR20210008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16A KR20210008906A (ko) 2021-01-18 2021-01-18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516A KR20210008906A (ko) 2021-01-18 2021-01-18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200A Division KR20200098277A (ko) 2019-02-12 2019-02-12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906A true KR20210008906A (ko) 2021-01-25

Family

ID=7423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516A KR20210008906A (ko) 2021-01-18 2021-01-18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89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96B1 (ko) * 2021-02-17 2022-08-22 이중재 폐기 케이블의 피복 커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4996B1 (ko) * 2021-02-17 2022-08-22 이중재 폐기 케이블의 피복 커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6533B1 (ko) 절연피복제거장치
KR101162824B1 (ko) 전선절단탈피장치
CN109792135B (zh) 旋转剥离装置
US20050055822A1 (en)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98275A (ko) Mi 케이블의 종단 제거방법
KR20210008906A (ko)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EP3160673B1 (en) Wire shaping machine for cutting blocks of natural stone material
CN114759495B (zh) 一种电缆接头预处理装置
JP3140255B2 (ja) 被覆線の切断・剥皮装置における被覆の剥皮方法
KR20210009406A (ko) Mi 케이블의 종단 제거방법
KR20140028753A (ko)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KR101503795B1 (ko) 케이블 권취장치
CN207117075U (zh) 三芯交联电缆接头自动预处理设备
CN106992424A (zh) 剥线器
EP3108280A1 (en) Variable lay stranding
KR20200098277A (ko) Mi 케이블 위치 제어장치
JP2014124051A (ja) 被覆ケーブルの被覆剥離装置
KR20200098278A (ko) Mi 케이블 고정장치
CN113300284B (zh) 一种剥线装置
KR102288084B1 (ko) 미세 동축 케이블의 탈피가 용이한 자동 탈피기 및 이를 통한 자동 탈피방법
KR101026227B1 (ko) 피복절단장치
JP2003319522A (ja) 電線切断皮剥装置および方法
KR102240350B1 (ko)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JPH01209909A (ja) ケーブルの多層被覆の選択的切断装置と方法
JP5798831B2 (ja) 被覆層剥皮電線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