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227B1 - 피복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피복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227B1
KR101026227B1 KR1020090040439A KR20090040439A KR101026227B1 KR 101026227 B1 KR101026227 B1 KR 101026227B1 KR 1020090040439 A KR1020090040439 A KR 1020090040439A KR 20090040439 A KR20090040439 A KR 20090040439A KR 101026227 B1 KR101026227 B1 KR 101026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ase
circular blade
cutting device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337A (ko
Inventor
임성주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 디지텍 filed Critical (주)케이엠 디지텍
Priority to KR1020090040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2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26D7/2621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for circular cut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7Features relating to cut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피복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선 피복을 회전식 칼날을 이용하여 전선의 둘레를 회전하며 탈피시키되, 칼날 자체도 회전되어 피복의 절단속도를 향상시키고, 피복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피복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를 이용하면, 베이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원형날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형날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칼날 자체가 회전함으로써 피복의 비틀림 발생이 방지되어 전선의 절단면이 깨끗하게 형성된다.
탈피, 절단수단

Description

피복절단장치{Apparatus for a cable peeling}
본 발명은 피복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선 피복을 회전식 칼날을 이용하여 전선의 둘레를 회전하며 탈피시키되, 칼날 자체도 회전되어 피복의 절단속도를 향상시키고, 피복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피복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의 피복을 탈피시키기 위해서 전선탈피장치가 이용되었다. 전선탈피장치는 전선이 탈피장치내에 삽입되면 한쌍의 커터가 마주보도록 승하강되어 피복에 흠집을 내면서 파지한뒤, 홀더가 전선을 당겨서 피복을 벗겨내도록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탈피장치는 한쌍의 커터가 피복의 상하부에 흠집을 낸 상태에서 전선을 잡아 당겨서 피복을 벗겨내므로 흠집이 발생되지 않은 피복의 양측 부분이 재대로 잘려나가지 못하고 늘어진 후 끊어지게 되어 절단부위가 깨끗하지 못하여 불량발생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식 탈피장치가 제공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탈피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탈피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기술에 의한 회전식 탈피장치는 피복(31)에 칼날자국을 내고 전선(30)을 잡아당김으로써 탈피 시키는 것으로, 중앙에 전선이 삽입되는 관통홀(41)이 형성된 베이스(40), 베이스(40)에 결합되며 상기 관통홀(41)에 삽입된 전선의 피복(31)을 절단하는 칼날(50), 베이스(40)를 구동시키는 모터(60)로 구성된다.
전선(30)을 관통홀(41)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칼날(50)의 위치를 고정시킨 뒤 모터(60)를 구동시킨다. 모터(60)의 구동에 의해 베이스(40)가 회전되고 베이스(40)의 회전에 의해 칼날(50)이 전선의 피복(31)을 절단하면, 사용자가 전선(30)을 잡아당겨 피복(31)을 탈피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회전식 탈피장치는, 칼날위치를 전선의 굵기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칼날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하며, 칼날이 피복을 절단할 때 칼날이 단순히 피복 주변을 공전하므로 전선 피복에 비틀림이 발생하여 피복의 절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절단면이 깨끗하게 형성되지 않아 불량이 생기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칼날이 전선 둘레를 회전하여 피복을 절단시키되, 자체 회전되는 원형의 칼날이 피복의 절단속도를 향상시켜 피복에 비틀림 발생이 방지되는 피복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선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중심에 상기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
자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의 피복을 절개시키는 절단수단;
상기 베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를 이용하면, 베이스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원형날을 회전시킴으로써 원형날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칼날 자체가 회전함으로써 피복의 비틀림 발생이 방지되어 전선의 절단면이 깨끗하게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전선탈피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피복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선탈피장치는 전선 피복(31)의 둘레면을 따라 피복을 절단시키는 피복절단장치(10)와, 절단된 피복(31)을 탈피시키고 탈피된 전선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는 전선탈피부(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전선탈피장치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 전선 피복(31)의 탈피를 위해 피복(31)을 절단한 뒤 절단된 피복을 탈피시키고, 탈피가 완료된 전선(30)을 절단하는 순서로 전선탈피가 이루어진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피복절단장치에서 전선의 피복을 절단한 뒤, 사용자 또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전선(30)을 피복절단장치에서 전선이 공급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겨 탈피시킴으로써, 별도의 전선탈피부를 구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선의 피복을 절단시키는 피복절단장치(10)를 살펴보자. 피복절단장치(10)는 전선(30)을 고정시키는 클램프(미도시), 중앙에 전선(30)이 관통되는 관통공(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200), 베이스(200)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전선의 피복(31)을 절단시키는 절단수단(100), 베이스(2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500)로 구성된다.
클램프(미도시)는 전선(30)을 일정 위치에 고정시키며, 전선(30)의 굵기에 제약을 받지 않고 모든 규격의 굵기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베이스(200)는 중심에 전선이 통과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선의 피복절단시 관통공(21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절단수단(100)은 관통공(210) 중심과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이동가능한 구조로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지지판(110), 전선(30)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판(110)에 결합되는 축(130), 축(1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형날(120) 및 원형날(12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40)으로 구성된다. 절단수단의 원형날(120)은 전선(30)의 둘레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베이스(200)가 회전함에 의해 전선(30)의 둘레면을 따라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단수단(100)이 관통공(210)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어 한 쌍의 절단수단(100)이 하나의 전선 피복(31)을 절단하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며, 하나의 절단수단(100)이 하나의 전선 피복(31)을 절단하거나, 셋 이상의 절단수단(100)이 하나의 전선 피복(31)을 절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판(110)과 결합된 축(130)은 나사결합되거나, 지지판(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10)은 전선(3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가이드(400)에 의해 이동된다. 가이드(400)에는 전선(30)과 교차되는 사선방향으로 돌출된 리브(410)가 형성되어 가이드(400)가 전선(3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될 때, 지지 판(110)의 일단이 리브(410)를 타고 슬라이딩 되면서 관통공(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도 4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지지판(110) 끝단에 리브(410)가 삽입되는 홈(111)이 형성되어 지지판(110)이 리브(4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리브(410)는 가이드(400)의 길이방향으로 사선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리브(410)의 사선과 홈(111)의 경사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판에 돌출된 리브가 형성되고, 가이드에 홈이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판(110)이 이동됨으로써, 지지판(110)에 고정된 원형날(120)이 전선 피복(31)에 삽입되는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전선(30)의 굵기에 따라 원형날(12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원형날(120)은 원반형상으로 가장자리에 피복(31)을 탈피시킬 수 있는 날이 형성되어 있다. 원형날(120)의 전면에는 돌출된 중앙돌출부(121)가 원형날(1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는 홀이 형성되어축(130)에 삽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원형날(120)의 유연한 회전을 위해 원형날(120)과 축(130) 사이에 베어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수단(140)은, 원형날(1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도록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회전롤러(141)와, 중심축이 원형날(1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갖도록 배열되며 내주면이 회전롤러(141)의 외주면과 접촉되되 별도의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링(142)으로 구성된다. 회전수단(140)은 하기 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베이스(2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축(130)을 중심으로 원형날(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롤러(141)는 원형날의 중앙돌출부(121)와 외접되도록 베이스(200)에 결합된다. 그러나, 회전롤러(141)의 외주면과 중앙돌출부(121)는, 피복절단시 지지판(110)이 베이스의 관통공(210) 측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회전롤러(141)와 중앙돌출부(121)와의 접촉이 해제되지 않도록 회전롤러(141)와 베이스(200) 사이에는 유동판(143)이 더 구비된다.
유동판(143)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4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43)에는 일단이 베이스(200)에 고정되어 유동판(143)과 베이스(200)를 결합시키는 결합축(145)이 삽입된다. 유동판(143)은 결합축(145)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가이드홀(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유동판(143)의 일측에는 회전축(41)이 구비되어 회전롤러(141)가 회전축(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유동판(143)이 지지판(110)과 연동되어 이동되도록 유동판(143)과 지지판(110)은 탄성부재(144)로 연결된다. 탄성부재(144)는 원형날(120) 방향으로 회전롤러(141)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지지판(110)이 관통공(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유동판(143)은 탄성부재(144)에 의해 결합축(145)을 중심으로 회전 및 가이드홀(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롤러(141)가 유동판(143)에 의해 지지판(110)과 연동되어 이동됨으로써, 회전롤러(141)와 중앙돌출부(121)는 항상 외접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회전롤러(141)의 회전력을 중앙돌출부(121)가 전달받아 원형날(120)이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고정링(142)은 내주면이 회전롤러(141) 외주면과 내접된 상태에 위치되도록 별도의 고정부재(300)에 의해 고정된다. 베이스(200)가 회전될 때, 회전롤러(141)는 고정된 고정링(142)과의 마찰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회전롤러(141)는 베이스(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되며, 회전롤러(141)의 회전력이 원형날(120)에 전달된다. 고정링(142)의 내측은 널링가공되고 회전롤러(141)의 외주면은 우레탄으로 형성됨으로써, 고정링(142)과 회전롤러(141)와의 마찰력을 극대화시켜, 접촉 마찰력에 의해 회전롤러(141)에 회전력이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를 이용하면,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베이스(20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원형날(120)을 자체 회전시킴으로써, 전력사용량을 최소로하면서 전선의 피복(31)을 보다 효과적으로 절단시킬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원형날(120)이 전선(30) 둘레를 회전함으로써 미끄럼 마찰이 발생하여, 피복(31)이 원형날(120)의 회전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반면, 본 발명의 원형날(120)은 자전하면서 공전함으로써 미끄럼 마찰보다 적은 값을 갖는 굴림마찰이 발생하여 전선의 피복(31)이 원형날(120)의 회전방향으로 밀리는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선 피복(31)의 절단면이 깨끗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수단은 베이스의 회전력을 이용할 수 있도 록 유성기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구동부(500)는 공지된 기술로 모터(미도시)가 구비되고 모터측에는 원동풀리(미도시)를, 베이스(200)측에는 종동풀리(510)를 결합시켜, 벨트(520)로 연결한다. 모터의 구동력을 베이스(200)와 결합된 종동풀리(510)에 전달하여 베이스(200)를 회전시킨다. 구동부(500)는 베이스(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일 뿐 아니라, 절단수단(1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원으로 구비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살펴보자.
전선(30)은 탈피될 피복의 길이만큼 베이스의 관통공(210)을 통과하도록 클램프(미도시)로 고정시켜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500)를 작동시키면, 베이스(200)가 회전된다(ⓐ). 베이스(200)가 회전됨과 동시에 가이드(400)가 전선(3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①)하여 원형날(120)이 전선 피복(31)의 두께만큼 삽입되도록 지지판(110)을 베이스의 관통공(210) 측으로 이동(②)시킨다. 여기서 가이드(400)의 이동을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전선(30)의 종류 및 전선 피복(31)의 두께와 같은 정보를 사전에 입력하여, 가이드(400)가 입력된 정보에 의해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400)가 전선(30)의 진행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판(110)이 베이스의 관통공(210) 측으로 이동되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가이드(400)가 전선(30)의 진행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때 지지판(110)이 베이스(200)의 관통공(210) 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베이스(200)의 이동에 의해 고정링(142)의 내측과 회전롤러(141) 외주면이 접촉되면서 마찰이 발생하여 회전롤러(141)가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롤러(141)의 회전에 의해 회전롤러(141) 외주면과 외접된 원형날의 중앙돌출부(121)가 회전롤러(14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13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원형날(120)의 지름과 베이스(200)의 지름에 차이가 있어 베이스(200)가 1회 회전할 때, 원형날(120)은 베이스(200)의 회전수 이상(본 실시예에서는 약 5회)으로 회전된다. 또한, 지지판(110)이 이동(②)될 때 지지판(110)과 유동판(143)에 연결된 탄성부재(144)에 의해 유동판(143)도 이동(③)되어 회전롤러(141)와 원형날의 중앙돌출부(121)가 접촉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원형날(120)의 회전방향은 베이스(2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롤러(141)를 두 개 구비하여 원형날(120)이 베이스(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원형날(120)이 베이스(200)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됨으로써 원형날(120)의 상대적인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피복(31)의 밀림현상 없이 절단면이 더욱 깨끗하게 형성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절단수단이 자체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피복의 절단면을 깨끗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절단수단의 회전을 위한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으므로써 전력소모를 최소할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 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선탈피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전선탈피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복절단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피복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피복절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복절단장치 20: 전선탈피장치
30: 전선 31: 피복
100: 절단수단 110: 지지판
120: 원형날 130: 축
140: 회전수단 200: 베이스
300: 고정수단 400: 가이드
500: 구동부

Claims (9)

  1. 전선(30)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중심에 상기 전선(30)이 통과하는 관통공(21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베이스(200);
    자전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31)을 절단하기 위한 원형날(120)을 포함하는 절단수단(100);
    상기 베이스(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500);
    를 포함하는 피복절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날(120)이 자전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며, 상기 원형날(120)과 상기 관통공(210) 간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200)에 이동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지지판(110)을 더 포함하는 피복절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3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110)의 일단이 안착되어 슬라이딩되는 리브(410)가 형성되며, 상기 전선(3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됨에 따라 상기 지지판(110)을 상기 관통공(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400)를 더 구비하는 피복절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110)의 일단에는 상기 가이드의 리브(410)가 안착되는 홈(111)이 형성된 피복절단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날(12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140)은,
    상기 원형날(1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도록 베이스(200)에 결합되는 회전롤러(141);
    중심축이 상기 원형날(120)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을 갖도록 배열되며 내주면이 회전롤러(141)의 외주면과 접촉되되 별도의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링(142)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원형날의 회전축 방향으로 일체로 돌출형성된 중앙돌출부와 외접되는 피복절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롤러(141)와 상기 베이스(200)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141)가 상기 원형날(120)을 향해 탄성력을 인가받도록 탄성부재(144)에 의해 상기 지지판(110)과 연결되는 유동판(143)을 더 포함하는 피복절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판(143)에는 가이드홀(43)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43)에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200)에 고정되는 결합축(145)이 구비되어,
    상기 유동판(143)이 상기 결합축(145)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가이드홀(4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복절단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회전롤러(141)의 둘레면은 우레탄으로 형성된 피복절단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42)의 내측면은 널링가공된 피복절단장치.
KR1020090040439A 2009-05-08 2009-05-08 피복절단장치 KR101026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39A KR101026227B1 (ko) 2009-05-08 2009-05-08 피복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39A KR101026227B1 (ko) 2009-05-08 2009-05-08 피복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37A KR20100121337A (ko) 2010-11-17
KR101026227B1 true KR101026227B1 (ko) 2011-03-31

Family

ID=4340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439A KR101026227B1 (ko) 2009-05-08 2009-05-08 피복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2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2330B (zh) * 2017-12-28 2023-08-25 赣州丰森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麦克风自动拆铝壳设备
KR102390064B1 (ko) * 2021-07-06 2022-04-26 에이원이앤에이치 주식회사 마킹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 선로 공사용 전선 가공장치 및 가공전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409A (en) * 1975-08-04 1977-04-26 Lyall Electric, Inc. Stripping and defille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36215A (ja) * 1994-02-22 1995-09-05 Hitachi Ltd 被覆カッティング機構
JP2002176714A (ja) * 2000-12-06 200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被覆電線の被覆剥離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9409A (en) * 1975-08-04 1977-04-26 Lyall Electric, Inc. Stripping and defille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236215A (ja) * 1994-02-22 1995-09-05 Hitachi Ltd 被覆カッティング機構
JP2002176714A (ja) * 2000-12-06 2002-06-21 Mitsubishi Electric Corp 被覆電線の被覆剥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337A (ko)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2135B (zh) 旋转剥离装置
US5016398A (en) Wire stripping apparatus
EP1946693B1 (en) Endoscope system
CN103560101A (zh) 一种柔性器件剥离设备
US20030121156A1 (en) Pipe cutter
KR101026227B1 (ko) 피복절단장치
US20220052514A1 (en) Apparatus for cutting, centering or retaining a cable in a stripping head, and cable-stripping device
CN111009814A (zh) 电缆剥线器
KR101480645B1 (ko) 전선피복절단장치
KR20130049956A (ko) 케이블 탈피장치
JPH01209909A (ja) ケーブルの多層被覆の選択的切断装置と方法
CN103389542A (zh) 快捷开缆刀
KR102240350B1 (ko)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KR200280142Y1 (ko) 전선 테이핑 장치
KR100318886B1 (ko) 헬리컬 기어식 전선피복 제거장치
JP3051302U (ja) 紙管切断機の千切れ止め装置
JPH08308053A (ja) 電線の絶縁体剥離装置
CN218145019U (zh) 一种电缆敷设牵引装置
JP3064207B2 (ja) ケーブル被覆層段剥ぎ工具
CN212652610U (zh) 一种铜电刷线加工用剪切装置
CN102403680A (zh) 护套切割装置
SE519624C2 (sv) Tejpare
CN219227096U (zh) 一种通信线缆脱皮工具
KR20200098278A (ko) Mi 케이블 고정장치
JP2004364439A (ja) ケーブルの被覆削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