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0350B1 -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0350B1
KR102240350B1 KR1020200093001A KR20200093001A KR102240350B1 KR 102240350 B1 KR102240350 B1 KR 102240350B1 KR 1020200093001 A KR1020200093001 A KR 1020200093001A KR 20200093001 A KR20200093001 A KR 20200093001A KR 102240350 B1 KR102240350 B1 KR 10224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il
rotation
electric wire
slide
rotation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왕식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200093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0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0350B1/ko
Priority to PCT/KR2021/009153 priority patent/WO2022025497A1/ko
Priority to EP21186893.0A priority patent/EP394443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65Machines the cutting elemen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48Machines
    • H02G1/1251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H02G1/1253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 H02G1/1256Machine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making a transverse cut using wire or cable-cl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97Removing armouring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98Shielding materials for shielding electrical cables

Landscapes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전선의 포일을 절개하는 포일 절개 유닛; 및 상기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절개된 상기 전선의 포일을 상기 전선으로부터 탈리시키는 포일 탈리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고 포일 탈리 유닛에 의해 절개된 포일을 탈리함으로써, 포일을 제거하는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고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의 균일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REMOVAL DEVICE OF CABLE FOIL}
본 발명은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전선(케이블 포함.)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고 포일 탈리 유닛에 의해 절개된 포일을 탈리함으로써, 포일을 제거하는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고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의 균일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전력 또는 전기 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선류를 통틀어 이른다.
상기한 전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선이 절연 부재에 의해 둘러 싸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한 절연 부재의 외부를 외부 절연 부재가 재차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금속 선을 감싸고 있는 절연 부재와 상기 절연 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외부 절연 부재의 사이에 EMI의 차폐를 위한 금속 포일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외부 절연 부재와 금속 포일을 전선으로부터 제거한 후, 상기 금속 선을 다른 전선의 금속 선과 결합시키거나 동력원의 동력 단자와 접속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상기한 외부 절연 부재와 금속 포일을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제거하였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증가하고 외부 절연 부재와 금속 포일의 균일한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98465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고 포일 탈리 유닛에 의해 절개된 포일을 탈리함으로써, 포일을 제거하는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고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의 균일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전선의 포일을 절개하는 포일 절개 유닛; 및 상기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절개된 상기 전선의 포일을 상기 전선으로부터 탈리시키는 포일 탈리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포일 절개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의 인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된 제1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모터;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전선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커팅 블레이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1 회전축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회전 부재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면이 상기 제1 회전 부재 측으로 테이퍼 진 형태의 슬라이드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 측은 상기 각 커팅 블레이드에 연결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 부재의 테이퍼 진 상기 외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 및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상기 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 부재의 테이퍼 진 상기 외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접촉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일 탈리 유닛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내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된 제2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 부재;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모터;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의 외 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탈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탈리 부재와 연결되는 제3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3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 부재 및 상기 탈리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고 포일 탈리 유닛에 의해 절개된 포일을 탈리함으로써, 포일을 제거하는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고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의 균일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10)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100), 고정 부재(100)의 인근에 배치되어 고정 부재(100)에 의해 고정된 전선(10)의 포일을 절개하는 포일 절개 유닛(200) 및 포일 절개 유닛(200)에 의해 절개된 전선(10)의 포일을 전선(10)으로부터 탈리시키는 포일 탈리 유닛(300)을 포함한다.
먼저, 고정 부재(100)는 대략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부와 하부가 분리되도록 형성되어 상부가 힌지 형태로 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고정 부재(100)의 상부와 하부가 접촉되는 부분에 전선(10)의 직경에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공에 전선(10)이 인입됨에 의해 고정 부재(100)가 전선(10)을 고정하게 된다. 고정 부재(100)가 전선(10)을 고정하는 것을 살펴보면, 고정 부재(100)의 상부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고정 부재(100) 하부의 상기 고정공에 전선(10)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 부재(100) 상부를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 부재(100)에 전선(10)을 고정하게 된다. 이때, 전선(10)의 포일이 탈리될 부분을 포일 절개 유닛(200) 및 포일 탈리 유닛(300) 측에 위치되도록 고정시킨다.
한편, 포일 절개 유닛(200)은 고정 부재(100)의 인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된 제1 회전축(220)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 부재(210), 제1 회전축(220)에 연결 설치되어 제1 회전축(220)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모터(230), 제1 회전 부재(2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전선(!0)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240) 및 커팅 블레이드(24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24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한다.
제1 회전 부재(21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 형상의 구조물로, 일 측이 고정 부재(100)와 마주보도록 고정 부재(100)의 인근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회전 부재(210)의 타 측은 제1 회전축(220)과 연결되며, 제1 회전축(220)은 제1 회전 모터(230)와 연결되어 제1 회전 모터(230)의 구동에 의해 제1 회전 부재(210)가 회전되게 된다. 여기서, 제1 회전축(220)과 제1 회전 모터(230)는 벨트 풀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회전축(220)과 제1 회전 모터(230)가 축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회전 부재(210)의 양 측에는 제1 회전 부재(210)의 외 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각 연장부에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240)가 각각 설치된다. 커팅 블레이드(24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금속으로 마련되며, 일 측 단부에 전선(10)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기 위한 커팅 날이 구비된다. 상기한 커팅 블레이드(240)는 제1 회전 부재(210)의 상기 각 연장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커팅 블레이드(240)의 간격이 좁아질 경우, 커팅 블레이드(240)의 커팅 날이 전선(10)의 외면과 접촉되고, 커팅 블레이드(240)의 간격이 넓어질 경우, 커팅 블레이드(240)의 커팅 날이 전선(10)의 외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커팅 블레이드(240)의 커팅 날이 전선(10)의 외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1 회전 부재(210)가 회전되면, 제1 회전 부재(210)와 함께 커팅 블레이드(240)가 회전되어 전선(10)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제1 회전축(220)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제1 회전축(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제1 회전 부재(21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면이 제1 회전 부재(210) 측으로 테이퍼 진 형태의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 제1 회전 부재(210)에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 측은 각 커팅 블레이드(240)에 연결 설치되고 타 측은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테이퍼 진 상기 외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간격 조절 부재(260),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270), 슬라이드 블록(270)과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드 블록(27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280) 및 간격 조절 부재(260)의 상기 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테이퍼 진 상기 외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접촉 휠(290)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뿔 형상의 부재로서, 제1 회전축(220)이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내부 중공에 끼워지도록 설치된다. 이때,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는 꼭지점이 제1 회전 부재(210)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외면이 제1 회전 부재(210) 측으로 테이퍼 지게 된다. 상기한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하부에는 슬라이드 블록(270)이 연결 설치되고, 슬라이드 블록(270)은 슬라이드 구동부(280)와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드 구동부(28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270)이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블록(270)과 연결된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가 제1 회전축(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간격 조절 부재(260)는 쌍으로 구비되어 각 간격 조절 부재(260)의 중앙부가 제1 회전 부재(210)의 상기 각 연장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각 간격 조절 부재(260)의 일 측은 각 커팅 블레이드(240)에 연결 설치되고, 타 측은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테이퍼 진 외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각 간격 조절 부재(260)의 상기 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접촉 휠(290)이 마련되어 상기 접촉 휠(290)이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테이퍼 진 외면에 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의 작동을,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슬라이드 구동부(280)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블록(270)이 슬라이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슬라이드 블록(270)에 연결된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가 제1 회전축(2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드 구동부(280)가 작동되어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가 도 3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간격 조절 부재(260)의 타 측은 접촉 휠(290)의 이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부재(250)의 외면을 따라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간격 조절 부재(260)의 일 측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 조절 부재(260)의 일 측과 연결된 커팅 블레이드(240)를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술한 설명은 도 3의 상부 측에 위치된 간격 조절 부재(260)와 커팅 블레이드(240)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도 3의 하부 측에 위치된 간격 조절 부재(260)와 커팅 블레이드(240)는 상술한 설명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간격 조절 수단에 의해 커팅 블레이드(240)의 상하로 움직이게 되어 커팅 블레이드(240)의 사이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작동에 의해 커팅 블레이트(240)의 커팅 날이 전선(10)의 외면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된다.
한편, 포일 탈리 유닛(300)은 제1 회전 부재(210)의 내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된 제2 회전축(320)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 부재(310), 제2 회전축(320)에 연결 설치되어 제2 회전축(320)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모터(330), 제2 회전 부재(3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전선(10)의 외 측면과 접촉되는 탈리 부재(340), 탈리 부재(340)와 연결되는 제3 회전축(350) 및 제3 회전축(350)에 연결 설치되어 제3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3 회전 모터(360)를 포함한다.
제2 회전 부재(310)는 제1 회전 부재(210)의 내부 중공에 설치되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 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일 측이 고정 부재(1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타 측은 제2 회전축(320)과 연결되어 제2 회전축(320)과 연결된 제2 회전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이때, 제2 회전축(320)은 제1 회전축(22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제1 회전축(2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축(320)과 제2 회전 모터(330)는 벨트 풀리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회전축(320)과 제2 회전 모터(330)가 축결합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탈리 부재(34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제2 회전 부재(310)의 상기 일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탈리 부재(340)는 제2 회전 부재(31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탈리 부재(340)의 측면이 전선(10)의 외 측면과 접촉되기 위함이다. 상기한 탈리 부재(340)의 측면은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탈리 부재(340)는 제3 회전축(350)과 연결 설치되고, 제3 회전축(350)은 제3 회전 모터(360)와 연결 설치되어 제3 회전 모터(360)의 회전에 의해 탈리 부재(34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탈리 부재(340)는 제2 회전 부재(3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의 작동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 부재(100)에 포일이 제거될 전선(10)이 고정되면, 상기 간격 조절 수단에 의해 커팅 블레이드(240)의 간격이 좁아져 커팅 블레이드(240)의 커팅 날이 전선(10)의 외 측면에 접촉된다. (도 5 참조)
이후,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1 회전 부재(210)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제1 회전 부재(210)에 설치된 커팅 블레이드(2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240)가 회전되면, 커팅 블레이드(240)의 커팅 날이 접촉된 전선(10)의 외 측면을 절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팅 블레이드(240)에 의해 전선(10)의 외 측면 즉, 전선(10)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이 절개되면, 제2 회전 모터(330)의 작동에 의해 제2 회전 부재(310)가 회전한다. 이때, 제2 회전 부재(310)는 제1 회전 부재(2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탈리 부재(340)가 제2 회전 부재(310)의 회전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인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되어 탈리 부재(340)의 측면 요철부가 전선(10)의 절개된 외 측면과 접촉하며 전선(10)의 외 측면을 타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탈리 부재(340)의 측면 요철부가 전선(10)의 절개된 외 측면을 타격함에 의해 전선(10)의 절개된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이 전선(10)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작동되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는 포일 절개 유닛(200)에 의해 전선(10)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을 절개하고 포일 탈리 유닛(300)에 의해 절개된 포일을 탈리함으로써, 포일을 제거하는 작업 시간을 감소시키고 전선의 외부 절연 부재 및 포일의 균일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선 100: 고정 부재
200: 포일 절개 유닛 210: 제1 회전 부재
220: 제1 회전축 230: 제1 회전 모터
240: 커팅 블레이드 250: 슬라이드 이동 부재
260: 간격 조절 부재 270: 슬라이드 블록
280: 슬라이드 구동부 290: 접촉 휠
300: 포일 탈리 유닛 310: 제2 회전 부재
320: 제2 회전축 330: 제2 회전 모터
340: 탈리 부재 350: 제3 회전축
360: 제3 회전 모터

Claims (7)

  1.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인근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기 전선의 포일을 절개하는 포일 절개 유닛; 및
    상기 포일 절개 유닛에 의해 절개된 상기 전선의 포일을 상기 전선으로부터 탈리시키는 포일 탈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포일 절개 유닛은,
    상기 고정 부재의 인근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된 제1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 모터;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상기 전선과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되는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 및
    상기 커팅 블레이드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커팅 블레이드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포일 탈리 유닛은,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내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연결된 제2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 부재;
    상기 제2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2 회전 모터;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전선의 외 측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탈리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탈리 부재는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탈리 부재와 연결되는 제3 회전축; 및
    상기 제3 회전축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제3 회전 모터;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조절 수단은,
    상기 제1 회전축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제1 회전 부재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외면이 상기 제1 회전 부재 측으로 테이퍼 진 형태의 슬라이드 이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중앙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 측은 상기 각 커팅 블레이드에 연결 설치되고, 타 측은 상기 슬라이드 이동 부재의 테이퍼 진 상기 외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간격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이동 부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슬라이드 블록;
    상기 슬라이드 블록과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록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구동부; 및
    상기 간격 조절 부재의 상기 타 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 부재의 테이퍼 진 상기 외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접촉 휠;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부재 및 상기 탈리 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KR1020200093001A 2020-07-27 2020-07-27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KR10224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01A KR102240350B1 (ko) 2020-07-27 2020-07-27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PCT/KR2021/009153 WO2022025497A1 (ko) 2020-07-27 2021-07-16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EP21186893.0A EP3944436A1 (en) 2020-07-27 2021-07-21 Removal device of cable fo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001A KR102240350B1 (ko) 2020-07-27 2020-07-27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0350B1 true KR102240350B1 (ko) 2021-04-14

Family

ID=7547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001A KR102240350B1 (ko) 2020-07-27 2020-07-27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944436A1 (ko)
KR (1) KR102240350B1 (ko)
WO (1) WO20220254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97A1 (ko) * 2020-07-27 2022-02-03 (주)제일에프에이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706A (ja) * 2003-11-17 2005-06-09 Kodera Electronics Co Ltd 電線ストリップ装置
KR100971071B1 (ko) * 2009-10-26 2010-07-20 지성훈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1152915B1 (ko) * 2010-07-27 2012-06-05 주식회사 넥센테크 자동식 케이블 단부 스트립장치
JP2013118797A (ja) * 2011-11-01 2013-06-13 Crt Co Ltd 同軸ケーブルの加工処理装置及び同軸ケーブルの加工処理方法
KR101480645B1 (ko) * 2013-10-30 2015-01-08 강호근 전선피복절단장치
KR20150062582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2017038419A (ja) * 2015-08-06 2017-02-16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線の被覆剥取器具
KR101781319B1 (ko) * 2017-03-21 2017-09-26 박명현 승강로 케이블용 케이블 재단탈피장치
KR101898465B1 (ko) 2017-08-22 2018-09-27 (주)제일에프에이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789A (en) * 1988-07-18 1990-07-24 Eubanks Engineering Co. Apparatus for step stripping wire means
JP3844831B2 (ja) * 1997-02-06 2006-11-15 石田電子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段剥装置
JP2006149082A (ja) * 2004-11-19 2006-06-08 Mcm Kk 被覆材除去装置
EP2747225B1 (en) * 2012-12-20 2017-10-04 Schleuniger Holding AG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a screen from a cable
KR102240350B1 (ko) * 2020-07-27 2021-04-14 (주)제일에프에이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706A (ja) * 2003-11-17 2005-06-09 Kodera Electronics Co Ltd 電線ストリップ装置
KR100971071B1 (ko) * 2009-10-26 2010-07-20 지성훈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1152915B1 (ko) * 2010-07-27 2012-06-05 주식회사 넥센테크 자동식 케이블 단부 스트립장치
JP2013118797A (ja) * 2011-11-01 2013-06-13 Crt Co Ltd 同軸ケーブルの加工処理装置及び同軸ケーブルの加工処理方法
KR101480645B1 (ko) * 2013-10-30 2015-01-08 강호근 전선피복절단장치
KR20150062582A (ko) * 2013-11-29 2015-06-08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복합케이블 외피탈피기
JP2017038419A (ja) * 2015-08-06 2017-02-16 中国電力株式会社 架線の被覆剥取器具
KR101781319B1 (ko) * 2017-03-21 2017-09-26 박명현 승강로 케이블용 케이블 재단탈피장치
KR101898465B1 (ko) 2017-08-22 2018-09-27 (주)제일에프에이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97A1 (ko) * 2020-07-27 2022-02-03 (주)제일에프에이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25497A1 (ko) 2022-02-03
EP3944436A1 (en) 202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887740B (zh) 用于从缆线移除屏蔽件的方法和装置
KR101646803B1 (ko) 탈피기
CN109792135B (zh) 旋转剥离装置
KR102240350B1 (ko)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KR20010070183A (ko) 케이블로부터 실딩을 스트리핑하고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20190118764A (ko) 케이블용 탈피 및 절단장치
EP4049353A1 (en) Method for removing insulation from a cable
KR101480645B1 (ko) 전선피복절단장치
KR900002893B1 (ko) 케이블 피복층 절단 장치
CN209748077U (zh) 一种电缆剥皮装置
CN116845784A (zh) 绝缘导线剥皮装置及方法
JP2016063706A (ja) 被覆剥離器
KR100696990B1 (ko) 피복 제거 장치, 이 장치에 이용되는 커터, 및 피복 제거 방법
CN107947037B (zh) 线缆去皮装置
JP5247404B2 (ja) 切断刃ユニット
EP1417688B1 (de) Bandagiervorrichtung
JP2008300110A (ja) 同軸ケーブルの端末加工方法
US20200287342A1 (en) Metal Foil Flaring Apparatus
JP2004079429A (ja) 皮剥ぎ工具
JP2006180681A (ja) 微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加工方法及び微細同軸ケーブルの端末加工装置
JP3288676B2 (ja) 同軸ケーブルの端末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20036397A (ja) 被覆電線の被覆剥ぎ取り装置
KR100514653B1 (ko) 검사용 케이블 자동 박피장치
JP2020010528A (ja) 被覆除去装置
JP6287398B2 (ja) ワイヤ加工装置およびワイヤ加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