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465B1 -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65B1
KR101898465B1 KR1020170105932A KR20170105932A KR101898465B1 KR 101898465 B1 KR101898465 B1 KR 101898465B1 KR 1020170105932 A KR1020170105932 A KR 1020170105932A KR 20170105932 A KR20170105932 A KR 20170105932A KR 101898465 B1 KR101898465 B1 KR 101898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portion
insertion hole
cutting
body plat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왕식
최경창
Original Assignee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제일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70105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커팅부의 전, 후진 및 회전을 통해 와이어의 피복을 박리함으로써, 기계적 자동화 작업에 따라 인력수요가 적어 인력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며 작업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생산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Wire cloth peeling device}
본 발명은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플레이트(100);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샤프트축(210)가 구비되는 제1 구동부재(200);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제1 삽입공(310)이 타공형성되는 고정블럭(300);과, 상기 샤프트축(2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부(200)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안내로드(410)가 다수개 형성되는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와, 외측에 톱니부(5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520)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함몰홈(53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에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톱니부(510)와 연결되는 벨트부(610)가 구비되는 제2 구동부재(600);와, 상기 제1 삽입공(310)에 삽입되되, 내측에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삽입되는 제3 삽입공(710)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함몰홈(530)으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제2 함몰홈(72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와, 상기 제3 삽입공(710)에 삽입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제3 함몰홈(8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함몰홈(810)을 관통하는 제1 핀삽입공(82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결합부재(800);와, 각각의 상기 제3 함몰홈(810)에 안착되되, 상기 제1 핀삽입공(820)과 연통되는 상기 제2 핀삽입공(90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로구간(910)이 형성되며, 타측에 와이어(10)의 피복을 절단하는 원형칼날(920)이 형성되는 커팅부(900);와,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3 함몰홈(8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핀삽입공(820) 및 상기 제2 핀삽입공(901)에 삽입되는 연결핀(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wire) 또는 전선(electric wise)는 전력 또는 전기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선류을 통틀어 말한다.
이와 같은 와이어는 나선(裸線)과 절연전선의 두 종류가 있으며, 나선은 일반적으로 구리로 만들며, 단선과 연선으로 구분되고, 절연전선은 단선 또는 연선에 절연물을 피복(被覆)한 것으로서, 절연물로는 고무·에나멜·비닐·면(綿) 등을 사용하며 옥내용·옥외용이 있다.
이러한 와이어는 전기 장치들 간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일측, 타측, 양측 또는 중간 부분에 피복을 제거하여 상호 전기신호를 교류할 수 있게 해 주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한편, 와이어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의 “피복 제거가 용이한 와이어(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2260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피복 제거가 용이한 와이어”는 피복(24)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절취선(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취선(26)은 심선(22)을 향하여 소정 깊이만큼 형성되어 니퍼 또는 벤치를 이용하여 절취선에 의해 손쉽게 피복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피복 제거가 용이한 와이어”는 와이어 외부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가 니퍼 또는 벤치를 사용해야만 피복이 가능함으로써, 대량의 와이어의 피복 제거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가 축척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인력을 통한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인력비가 상승하거나 작업시간이 많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22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커팅부의 전, 후진 및 회전을 통해 와이어의 피복을 박리함으로써, 기계적 자동화 작업에 따라 인력수요가 적어 인력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며 작업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생산성이 증가하는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는, 본체플레이트(100);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샤프트축(210)가 구비되는 제1 구동부재(200);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제1 삽입공(310)이 타공형성되는 고정블럭(300);과, 상기 샤프트축(2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부(200)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안내로드(410)가 다수개 형성되는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와, 외측에 톱니부(5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520)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함몰홈(53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에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톱니부(510)와 연결되는 벨트부(610)가 구비되는 제2 구동부재(600);와, 상기 제1 삽입공(310)에 삽입되되, 내측에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삽입되는 제3 삽입공(710)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함몰홈(530)으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제2 함몰홈(72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와, 상기 제3 삽입공(710)에 삽입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제3 함몰홈(8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함몰홈(810)을 관통하는 제1 핀삽입공(82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결합부재(800);와, 각각의 상기 제3 함몰홈(810)에 안착되되, 상기 제1 핀삽입공(820)과 연통되는 상기 제2 핀삽입공(90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로구간(910)이 형성되며, 타측에 와이어(10)의 피복을 절단하는 원형칼날(920)이 형성되는 커팅부(900);와,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3 함몰홈(8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핀삽입공(820) 및 상기 제2 핀삽입공(901)에 삽입되는 연결핀(P);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500)가 전진시, 상기 경사로구간(910)이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상기 커팅부(900)가 회전하여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900)와 상기 제3 함몰홈(810)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내측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500)가 후진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탄성부재(10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900)의 외측에는 상기 제1 함몰홈(530) 및 상기 제2 함몰홈(7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연결함몰홈(9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또한,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플레이트(10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구동부(1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개의 커팅부의 전, 후진 및 회전을 통해 와이어의 피복을 박리함으로써, 기계적 자동화 작업에 따라 인력수요가 적어 인력비를 절약할 수 있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하며 작업시간이 대폭 줄어들어 생산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전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구성 중 커팅부결합부재의 제3 함몰부에 커팅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연결핀으로 커팅부결합부재와 커팅부를 연결하는 모습을 보인 연결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정면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구성 중 각각의 커팅부가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A-A"의 단면도 및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구성 중 각각의 커팅부가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인 "A-A"의 단면도 및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구성 중 제2 구동부재에 의해 커팅부가 회전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의 구성 중 리니어구동부에 의해 본체플레이트가 전진하는 모습을 보인 실시예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또는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1)는 크게 본체플레이트(100), 제1 구동부재(200), 고정블럭(300),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 제2 구동부재(600),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 커팅부결합부재(800) 및 커팅부(900)로 구성된다.
설명에 앞서, 도 4의 (a)를 기준으로 왼쪽을 타측, 타측방향, 전진방향으로 오른쪽을 일측, 일측방향, 후진방향으로 설정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먼저, 본체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본체플레이트(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판(板)으로서, 상부에는 제1 구동부재(200), 고정블럭(300), 제2 구동부재(600)가 고정되고, 하부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플레이트(10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구동부(110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1 구동부재(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구동부재(2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후술할 다수개의 커팅부(900)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원형칼날(920)을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수개의 상기 원형칼날(920)이 샤프트축(210)의 중심축(C)으로부터 벌어지거나 상기 샤프트축(210)의 중심축(C)으로 오므라드는 형태가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타측에는 제1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전, 후진하는 샤프트축(21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부(미도시)는 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샤프트축(210)의 일측방면에는 “⊃”형상의 가이드찬넬(220)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찬넬(220)의 상, 하부에는 회전링크(230)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고정블럭(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블럭(3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의 설치위치를 가이드 해 주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고정블럭(300)의 내측에는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가 통과되어 안착되도록 제1 삽입공(310)이 타공형성된다.
다음으로,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축(210)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부(200)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원형칼날(920)을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타측면에서부터 일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안내로드(410)가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경사안내로드(410)는 상기 커팅부(900)의 수만큼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외측면의 호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외측면에는 링형상의 회전링크삽입홈(420)이 함몰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링크삽입홈(420)에 각각의 회전링크(2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구동부재(200)에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회전하면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는 경우,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기설치된 정위치에서 정확하게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을 가이드 해 준다.
다음으로,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형상으로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타측에 구비되어 후술할 제2 구동부재(600)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톱니부(510), 제2 삽입공(520), 제1 함몰홈(530)이 구성된다.
상기 톱니부(510)는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의 외측둘레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벨트부(610)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구동부재(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가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삽입공(520)은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의 내측에 통공형성되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함몰홈(530)은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의 내측둘레에 다수개 함몰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함몰홈(530)의 개수와 위치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같은 개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전진하여 상기 경사로구간(910)이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가 후술할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은 내측방향으로, 일측은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고,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1 함몰홈(530)에 안착되어 상기 커팅부(900)와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 구동부재(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구동부재(6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에 상부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톱니부(510)와 연결되는 벨트부(610)가 구비된다.
이로 인하여,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와이어(10)를 각각의 상기 원형칼날(920)이 위치한 상기 샤프트축(210)의 중심축(C)에 놓고,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상기 원형칼날(920)이 상기 와이어(10)의 피복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부재(600)를 구동하게 되면, 상기 벨트부(610)가 회전되고 상기 벨트부(610)와 연결된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와 결합된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도 회전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원형칼날(920)이 상기 와이어(10)의 피복의 표면을 회전하면서 커팅하여 커팅된 상기 와이어(10)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게 해 준다.
다음으로,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삽입공(310)에 삽입되어 상기 커팅부(900)의 전, 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요소로서, 제3 삽입공(710), 제2 함몰홈(720)이 구성된다.
상기 제3 삽입공(710)은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의 중앙 내측에 타공형성되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의 타측이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2 함몰홈(720)은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함몰홈(530)으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함몰형성되고 상기 제2 함몰홈(720)의 개수는 상기 제1 함몰홈(530)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전진하여 상기 경사로구간(910)이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가 후술할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은 내측방향으로, 일측은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고,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2 함몰홈(720)에 안착되어 상기 커팅부(900)와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500)가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커팅부결합부재(8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결합부재(800)는 상기 제3 삽입공(710)에 삽입되고,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와 상기 연결핀(P)을 통한 힌지결합이 이루어져 작동여부에 따라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상기 원형칼날(920)들이 상기 샤프트축(210)의 중심축(C)을 기준으로 모이거나 벌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로서, 제3 함몰홈(810), 제1 핀삽입공(8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3 함몰홈(810)은 상기 커팅부결합부재(800)의 외주면에 상기 경사안내로드(410)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함몰형성되어 상기 커팅부(900)의 중앙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제1 핀삽입공(820)은 상기 제3 함몰홈(8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핀삽입공(820)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3 함몰홈(8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2 핀삽입공(901)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핀(P)이 상기 제1, 2 핀삽입공(820, 901)에 연속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상기 커팅부(900)가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커팅부(9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팅부(900)는 도 2,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제3 함몰홈(810)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200) 및 상기 제2 구동부재(200)의 구동여부에 따라 상기 와이어(10)의 피복을 커팅하는 구성요소로서, 제2 핀삽입공(901), 경사로구간(910) 및 원형칼날(920), 연결함몰홈(930)로 구성된다.
상기 제2 핀삽입공(901)는 상기 커팅부(900)에 타공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2 함몰홈(8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핀삽입공(820)과 연통됨으로써, 상기 연결핀(P)에 의해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커팅부결합부재(8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상기 커팅부(900)가 회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경사로구간(910)은 상기 커팅부(900)의 일측에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에 따라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접촉되어 상기 연결핀(P)을 중심으로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가능하게 해 준다.
상기 원형칼날(920)은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에 와이어(10)의 피복을 절단하는 원형상의 칼날이다.
상기 연결함몰홈(930)은 상기 커팅부(900)의 외측에 상기 제1 함몰홈(530) 및 상기 제2 함몰홈(7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구성요소로서, 상기 연결함몰홈(930)은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500)가 전진하여 상기 경사로구간(910)이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가 후술할 연결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은 내측방향으로, 일측은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의 일측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 주고, 각각의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1 함몰홈(5230) 및 상기 제2 함몰홈(720)에 안착되어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500), 상기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 및 상기 커팅부(900)가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커팅부(900)와 상기 제3 함몰홈(810)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내측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500)가 후진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탄성부재(1000)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팅부(900)의 설치개수는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개소로 설치하되, 상기 샤프트축(210)을 중심으로 3등분한 위치에 각각 형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리니어구동부(110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본체플레이트(10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작업자가 원하는 상기 와이어(10)의 피복 커팅부분을 쉽게 커팅할 수 있게 해 준다.
상기 리니어구동부(1100)의 구성은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하부에 고정되는 한쌍의 레일블럭(1110) 및 본체플레이트연결블럭(1140), 판(板)형상의 하부플레이트(1160), 상기 하부플레이트(1160)에 설치되는 제3 구동부재(1120) 및 상기 제3 구동부재(1120)에 연결되는 볼스크류(1130), 상기 하부플레이트(116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블럭(1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레일(11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와이어 피복 박리 장치
10: 와이어
100: 본체플레이트
200: 제1 구동부재 210: 샤프트축
220: 가이드찬넬 230: 회전링크
300: 고정블럭 310: 제1 삽입공
400: 커팅부간격조절부재 410: 경사안내로드
420: 회전링크삽입홈
500: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 510: 톱니부
520: 제2 삽입공 530: 제1 함몰홈
600: 제2 구동부재 610: 벨트부
700: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 710: 제3 삽입공
720: 제2 함몰홈
800: 커팅부결합부재 810: 제3 함몰홈
820: 제1 핀삽입공
900: 커팅부 901: 제2 핀삽입공
910: 경사로구간 920: 원형칼날
930: 연결함몰홈
1000: 탄성부재
1100: 리니어구동부 1110: 레일블럭
1120: 제3 구동부재 1130: 볼스크류
1140: 본체플레이트연결블럭 1150: 이동안내레일
1160: 하부플레이트
C: 샤프트축(210)의 중심축
P: 연결핀

Claims (5)

  1. 본체플레이트(100);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샤프트축(210)가 구비되는 제1 구동부재(200);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상부에 설치되되, 내측에 제1 삽입공(310)이 타공형성되는 고정블럭(300);
    상기 샤프트축(210)와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200)에 의해 전, 후방향으로 이동되되,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안내로드(410)가 다수개 형성되는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
    외측에 톱니부(510)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공(520)이 형성되며, 내측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함몰홈(53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에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톱니부(510)와 연결되는 벨트부(610)가 구비되는 제2 구동부재(600);
    상기 제1 삽입공(310)에 삽입되되, 내측에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삽입되는 제3 삽입공(710)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제1 함몰홈(530)으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제2 함몰홈(72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정위치가이드부재(700);
    상기 제3 삽입공(710)에 삽입되되, 외주면에는 상기 경사안내로드(410)로부터 연장된 위치에 제3 함몰홈(8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3 함몰홈(810)을 관통하는 제1 핀삽입공(820)이 각각 형성되는 커팅부결합부재(800);
    각각의 상기 제3 함몰홈(810)에 안착되되, 상기 제1 핀삽입공(820)과 연통되는 제2 핀삽입공(901)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진 경사로구간(910)이 형성되며, 타측에 와이어(10)의 피복을 절단하는 원형칼날(920)이 형성되는 커팅부(900);
    상기 커팅부(900)가 상기 제3 함몰홈(8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핀삽입공(820) 및 상기 제2 핀삽입공(901)에 삽입되는 연결핀(P);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구동부재(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전진 또는 후진시, 상기 경사로구간(910)이 상기 경사안내로드(410)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원형칼날(920)이 상기 샤프트축(210)의 중심축(C)으로부터 벌어지거나 상기 샤프트축(210)의 중심축(C)으로 오므라들게 되고,
    상기 제2 구동부재(6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벨트부(610)가 회전되고, 상기 벨트부(610)와 연결된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커팅부회전가이드부재(500)와 결합된 상기 커팅부(900)도 회전되어 상기 원형칼날(920)이 와이어(10)의 피복의 표면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1).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900)와 상기 제3 함몰홈(810) 사이에는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내측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팅부간격조절부재(400)가 후진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팅부(900)의 타측이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하는 탄성부재(10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1).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900)의 외측에는 상기 제1 함몰홈(530) 및 상기 제2 함몰홈(720)에 대응되는 위치에 내측방향으로 함몰된 연결함몰홈(9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1).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플레이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플레이트(100)를 전,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리니어구동부(110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1).
KR1020170105932A 2017-08-22 2017-08-22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KR101898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32A KR101898465B1 (ko) 2017-08-22 2017-08-22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932A KR101898465B1 (ko) 2017-08-22 2017-08-22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465B1 true KR101898465B1 (ko) 2018-09-27

Family

ID=6371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932A KR101898465B1 (ko) 2017-08-22 2017-08-22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4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350B1 (ko) 2020-07-27 2021-04-14 (주)제일에프에이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085B1 (ko) 1996-02-16 1999-09-01 후토타 코타로 전선피박장치 및 전선피박방법
KR100697219B1 (ko) 2004-11-02 2007-03-22 (주)태양전자 산업 에나멜선 탈피장치
KR101152915B1 (ko) * 2010-07-27 2012-06-05 주식회사 넥센테크 자동식 케이블 단부 스트립장치
KR101480645B1 (ko) * 2013-10-30 2015-01-08 강호근 전선피복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085B1 (ko) 1996-02-16 1999-09-01 후토타 코타로 전선피박장치 및 전선피박방법
KR100697219B1 (ko) 2004-11-02 2007-03-22 (주)태양전자 산업 에나멜선 탈피장치
KR101152915B1 (ko) * 2010-07-27 2012-06-05 주식회사 넥센테크 자동식 케이블 단부 스트립장치
KR101480645B1 (ko) * 2013-10-30 2015-01-08 강호근 전선피복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350B1 (ko) 2020-07-27 2021-04-14 (주)제일에프에이 케이블 포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071971U (zh) 一种主网高压电缆外护套环形切割工具
CN205921306U (zh) 一种轮盘式电缆外皮倒角刀具
KR101898465B1 (ko) 와이어 피복 박리장치
CN106058745A (zh) 一种轮盘式电缆外皮倒角刀具及其倒角方法
CN111755988B (zh) 一种用于安装绝缘毯及绝缘毯夹的装置
CN113794165B (zh) 手持式架空电缆绝缘层剥皮器
CN110021868A (zh) 线缆切剥扭线装置
US3782227A (en) Insulation-slitting and stripping machine
JP3414573B2 (ja) ケーブル導体切断装置
CN103594907A (zh) 一种电缆线绝缘层剥离装置
CN105186392A (zh) 绝缘导线剥皮工具
JP2016123156A (ja) 電線被覆剥ぎ取り工具
CN216056057U (zh) 一种电缆用转动式剥皮机
CN213584949U (zh) 一种配电线带电剥皮装置
CN111082368B (zh) 一种电力用线缆接头去皮装置
CN109510119B (zh) 电缆绝缘层剥离系统
CN211183176U (zh) 一种中高压电缆剥皮器
CN209766842U (zh) 线缆切剥扭线装置
CN215897167U (zh) 一种手持式架空电缆绝缘层剥皮器
CN107342556B (zh) 一种电缆半导电层剥切装置
KR20200099809A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JP2932142B2 (ja) 複数の電線配列間隔変換装置
CN216121582U (zh) 一种二次电缆剥线刀具
CN220107417U (zh) 一种铠装电缆剥皮工具
CN103560442A (zh) 电缆剥线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