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809A -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 Google Patents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809A
KR20200099809A KR1020190017887A KR20190017887A KR20200099809A KR 20200099809 A KR20200099809 A KR 20200099809A KR 1020190017887 A KR1020190017887 A KR 1020190017887A KR 20190017887 A KR20190017887 A KR 20190017887A KR 20200099809 A KR20200099809 A KR 20200099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s
fixing
control
cutting devi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941B1 (ko
Inventor
우동영
Original Assignee
우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동영 filed Critical 우동영
Priority to KR1020190017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9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99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cutting and withdrawing insulation
    • H02G1/1204Hand-held tools
    • H02G1/1207Hand-held tools the cutting element not rotating about the wire or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Insulation Or Armoring From Wir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의 절단과 피복탈피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고 날부와 고정부를 제1,2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피홈의 크기를 각기 다르게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며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회전제어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Multi strip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절단과 피복탈피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므로 사용상 편리성이 향상되고 날부와 고정부를 제1,2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피홈의 크기를 각기 다르게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며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회전제어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변의 거의 모든 전자전기기기들에는 각 장치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나 회로기판의 각 접점의 전기적 연결 등을 위해 각종 전선이 사용되는데, 이 전선은 기본적으로 중심부에 도체가 내장되고 그 주변을 절연체가 감싸고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전선류, 철선류, 강선류 등의 각종 전선을 절단하기 위해 전선 컷팅장치가 사용된다.
금속재질의 전선이나 철선은 재질의 특성상 탄성력이 매우 강하며, 전선 컷팅장치를 사용하여 전선을 절단시에 전선이 튀어서 작업자에게 부상을 입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컷팅장치는 절단날이나 탈피홈이 손잡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상 및 파손시에는 컷팅장치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전선을 절단하거나 피복을 탈피하는 탈피홈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선의 직경이 다를 경우 작업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컷팅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한 쌍의 손잡이가 서로 회전하므로 안전상의 문제점도 수반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3731호(2013.03.08.공개)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의 절단과 피복탈피 기능을 일체형으로 갖춘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날부와 고정부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피홈의 크기를 각기 다르게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회전제어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는,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 손잡이; 상기 제1,2 손잡이 사이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는 제1 손잡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손잡이에 형성된 장착홈에 장착되는 탄발스프링; 상기 제1,2 손잡이에 형성되는 축공에 결합되어 제1,2 손잡이가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축; 상기 제1,2 손잡이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전선을 절단하거나 전선의 피복을 탈피하는 날부; 상기 제1,2 손잡이의 선단부에 서로 맞물리도록 고정되어 전선을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제2 손잡이의 외측에 형성된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작업시에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날부는, 상기 제1,2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 상기 고정홈에 각각 결합되는 절단헤드; 상기 절단헤드의 하부 선단에 형성되는 탈피홈; 상기 절단헤드의 하부 후단에 형성되는 절단날; 상기 절단헤드의 상부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고정홀을 통해 제1,2 손잡이에 나사체결되어 절단헤드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날부는 제1,2 손잡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탈피홈은 다수개로 연이어서 형성되며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 상기 제1,2 손잡이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되는 결합홀; 상기 제1,2 손잡이의 외측에서 결합돌기에 체결되어 고정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홀은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2 손잡이로부터 고정몸체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제어부는, 상기 제2 손잡이에 형성되는 설치공간; 상기 설치공간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어몸체; 상기 제어몸체의 선단 일측에 돌출되어 작업자가 제어몸체를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돌기; 상기 제어몸체의 선단 상부에 형성되는 제어돌기; 상기 설치공간과 인접한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돌기가 끼워지는 제어홈; 상기 제어몸체를 설치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돌기가 제어홈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어몸체의 회전으로 제어돌기가 제어홈에서 이탈되면 제2 손잡이가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의 절단과 피복탈피 기능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므로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날부와 고정부를 제1,2 손잡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므로 손쉽게 교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탈피홈의 크기를 각기 다르게 형성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손잡이의 일측에 회전제어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제1,2 손잡이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의 측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상기 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제1,2 손잡이(110)(120), 탄발스프링(130), 고정축(140), 날부(150), 고정부(160), 회전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 손잡이(110)(120)는 서로 대항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외측에서 고정축(140)이 각각 결합되어 제1,2 손잡이(110)(12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에는 고무재의 미끄럼방지부재가 끼워질 수도 있다.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사이에는 제1,2 손잡이(110)(120)가 탄력있게 회전하도록 탄발스프링(130)이 장착된다.
상기 탄발스프링(130)은 양측 단부가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제1 손잡이(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30')에 탄발스프링(130)의 일측 단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며, 제2 손잡이(1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장착홈(130")에 탄발스프링(130)의 타측 단부가 장착되어 탄력있게 고정된다.
상기 날부(150)는 전선(W)을 절단하거나 전선(W)을 감싸는 피복(C)을 탈피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제1,2 손잡이(110)(120)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홈(151)에 절단헤드(152)가 결합되고, 상기 절단헤드(152)는 상부에 형성된 고정홀(155)을 통해 고정스크류(156)로 체결하여 제1,2 손잡이(110)(120)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절단헤드(152)의 하부 선단에는 탈피홈(153)이 형성되어 전선(W)의 피복(C)을 탈피하게 된다.
상기 탈피홈(153)은 다수개로 연이어서 형성되며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어 직경이 서로 다른 전선(W)의 피복(C)도 아무런 문제없이 탈피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성되며, 상기 절단헤드(152)의 하부 후단에는 절단날(154)이 형성되어 전선(W)을 절단하게 된다.
상기 날부(150)는 제1,2 손잡이(110)(12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므로 탈피홈(153)이나 절단날(154)의 파손시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160)는 제1,2 손잡이(110)(120)의 선단부에 서로 맞물리도록 고정되며, 손쉽게 교체 가능하도록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60)는 고정몸체(161), 결합돌기(162), 결합홀(163), 고정스크류(16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정몸체(161)는 다수의 고정돌기(161')가 형성되어 전선(W) 고정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고정돌기(161')는 일방향으로 연속형성되거나 서로 직교되게 사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몸체(161)에는 제1,2 손잡이(110)(120)에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62)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62)는 장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선단부에는 결합돌기(162)와 대응하는 형상의 결합홀(163)이 각각 형성되어 고정몸체(161)에 돌출된 결합돌기(162)가 결합되며, 제1,2 손잡이(110)(120)의 외측에서 결합돌기(162) 측으로 고정스크류(164)가 체결되어 고정몸체(161)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제2 손잡이(120)의 외측에는 회전제어부(17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1,2 손잡이(110)(12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회전제어부(170)는 크게 설치공간(171), 제어몸체(172), 파지돌기(173), 제어돌기(174), 제어홈(175), 고정스크류(176)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공간은 제 제2 손잡이(12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간(171)으로는 제어몸체(172)가 고정스크류(17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제어몸체(172)의 선단 일측에는 파지돌기(173)가 돌출되고, 제어몸체(172)의 선단 상부에는 제어돌기(174)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171)과 인접한 제2 손잡이(120)의 일측에는 제어홈(175)이 형성되어 제어몸체(172)의 회전시 제어돌기(175)가 끼워지게 되어 제1,2 손잡이(110)(12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100)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회전제어부(170)의 제어돌기(174)가 제어홈(175)에 끼워진 상태로서, 제1,2 손잡이(110)(120)가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발명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10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회전제어부(170)의 제어몸체(172)에 형성된 파지돌기(173)를 파지하여 제어돌기(174)가 제어홈(175)에서 이탈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제어부(170)의 제어몸체(172)가 회전하게 되면, 제1,2 손잡이(110)(120) 사이에 장착된 탄발스프링(130)의 탄력에 의해 제1,2 손잡이(110)(120)는 서로 회전하여 고정부(160)가 벌어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날부(150)의 탈피홈(153)에 전선(W)을 위치시켜 제1,2 손잡이를 가압하게 되면, 전선(W)을 감싸고 있는 피복(C)이 탈피되며, 전선(W)의 직경에 따라 피복(C)을 선택적으로 탈피할 수 있으며, 상기 절단날(154)에 전선(W)을 위치시킨 후, 제1,2 손잡이(110)(120)를 가압하게 되면 전선(W)이 절단되므로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60)의 고정돌기(161')에 전선(W)을 위치시킨 후 제1,2 손잡이(110)(120)를 가압하여 전선(W)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1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제1,2 손잡이(110)(120)를 가압하여 탄발스프링(130)의 탄력에 의해 벌어진 상태의 고정부(160)를 오므린 후, 회전제어부(170)의 제어몸체(172)를 회전시켜 제어돌기(174)가 제어홈(175)에 끼워지게 되면 제1,2 손잡이(110)(120)가 회전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110: 제1 손잡이
120: 제2 손잡이
130: 탄발스프링
140: 고정축
150: 날부 151: 고정홈
152: 절단헤드 153: 탈피홈
154: 절단날 155: 고정홀
156: 고정스크류
160: 고정부 161: 고정몸체
162: 결합돌기 163: 결합홀
164: 고정스크류
170: 회전제어부 171: 설치공간
172: 제어몸체 173: 파지돌기
174: 제어돌기 175: 제어홈
176: 고정스크류

Claims (8)

  1. 서로 대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2 손잡이(110)(120);
    상기 제1,2 손잡이(110)(120) 사이에 장착되며 일측 단부는 제1 손잡이(110)에 형성된 장착홈(130')에 장착되고 타측 단부는 제2 손잡이(120)에 형성된 장착홈(130")에 장착되는 탄발스프링(130);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에 형성되는 축공(140')에 결합되어 제1,2 손잡이(110)(120)가 회전하도록 하는 고정축(140);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선단부에 각각 고정되어 전선(W)을 절단하거나 전선(W)의 피복(C)을 탈피하는 날부(150);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선단부에 서로 맞물리도록 고정되어 전선(W)을 고정하는 고정부(160); 및
    상기 제2 손잡이(120)의 외측에 형성된 설치공간(17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평상시에는 제1,2 손잡이(110)(120)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고, 작업시에는 제1,2 손잡이(110)(120)가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회전제어부(17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150)는,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51);
    상기 고정홈(151)에 각각 결합되는 절단헤드(152);
    상기 절단헤드(152)의 하부 선단에 형성되는 탈피홈(153);
    상기 절단헤드(152)의 하부 후단에 형성되는 절단날(154)
    상기 절단헤드(152)의 상부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되는 고정홀(155);
    상기 고정홀(155)을 통해 제1,2 손잡이(110)(120)에 나사체결되어 절단헤드(152)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15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150)는 제1,2 손잡이(110)(120)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홈(153)은 다수개로 연이어서 형성되며 직경이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60)는,
    전선(W)을 고정하기 위해 다수의 고정돌기(161')가 형성된 고정몸체(161);
    상기 고정몸체(161)에 돌출형성되는 결합돌기(162)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결합돌기(162)가 결합되는 결합홀(163);
    상기 제1,2 손잡이(110)(120)의 외측에서 결합돌기(162)에 체결되어 고정몸체(161)를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16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홀(162)은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2 손잡이(110)(120)로부터 고정몸체(161)의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170)는,
    상기 제2 손잡이(120)에 형성되는 설치공간(171);
    상기 설치공간(171)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어몸체(172);
    상기 제어몸체(172)의 선단 일측에 돌출되어 작업자가 제어몸체(172)를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돌기(173);
    상기 제어몸체(172)의 선단 상부에 형성되는 제어돌기(174);
    상기 설치공간(171)과 인접한 제2 손잡이(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어돌기(174)가 끼워지는 제어홈(175);
    상기 제어몸체(172)를 설치공간(1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스크류(1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돌기(174)가 제어홈(175)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1,2 손잡이(110)(120)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어몸체(172)의 회전으로 제어돌기(174)가 제어홈(175)에서 이탈되면 제2 손잡이(120)가 고정축(1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KR1020190017887A 2019-02-15 2019-02-15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KR102194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87A KR102194941B1 (ko) 2019-02-15 2019-02-15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887A KR102194941B1 (ko) 2019-02-15 2019-02-15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809A true KR20200099809A (ko) 2020-08-25
KR102194941B1 KR102194941B1 (ko) 2020-12-24

Family

ID=72292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887A KR102194941B1 (ko) 2019-02-15 2019-02-15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5007A1 (de) 2020-08-10 2022-02-10 Hyundai Mobis Co., Ltd. Bilderzeugungseinheit für ein head-up-display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1874B1 (ko) * 2005-12-17 2006-06-20 (주)유프랜드 전선작업용 공구
JP2006247074A (ja) * 2005-03-10 2006-09-21 Nagaki Seiki Co Ltd 手動工具
JP4846599B2 (ja) * 2004-01-22 2011-12-28 レンシュタイク・ヴェルクツォイゲ・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様々な導線断面積に合わせて自動的に適応調節されるケーブルストリッパー
JP3175584U (ja) * 2012-03-01 2012-05-17 楊息棟 多機能ワイヤーストリッパー
KR20130023731A (ko) 2011-08-29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절단기
CN103692374A (zh) * 2013-12-13 2014-04-02 罗添宇 一种多功能电工钳
KR20140097791A (ko) * 2013-01-30 2014-08-07 (주)쓰리케이 광케이블용 스트리퍼
KR20160038687A (ko) * 2014-09-30 2016-04-07 전연진 전선 피복용 박피공구
JP2016140154A (ja) * 2015-01-26 2016-08-04 弘満 土屋 線材加工用工具
CN207730968U (zh) * 2017-12-22 2018-08-14 宁波源泉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光纤剥离钳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5584B2 (ja) * 1996-04-15 2001-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パワー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6599B2 (ja) * 2004-01-22 2011-12-28 レンシュタイク・ヴェルクツォイゲ・ゲゼルシャフト・ミ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様々な導線断面積に合わせて自動的に適応調節されるケーブルストリッパー
JP2006247074A (ja) * 2005-03-10 2006-09-21 Nagaki Seiki Co Ltd 手動工具
KR100591874B1 (ko) * 2005-12-17 2006-06-20 (주)유프랜드 전선작업용 공구
KR20130023731A (ko) 2011-08-29 2013-03-08 한국전력공사 전선 절단기
JP3175584U (ja) * 2012-03-01 2012-05-17 楊息棟 多機能ワイヤーストリッパー
KR20140097791A (ko) * 2013-01-30 2014-08-07 (주)쓰리케이 광케이블용 스트리퍼
CN103692374A (zh) * 2013-12-13 2014-04-02 罗添宇 一种多功能电工钳
KR20160038687A (ko) * 2014-09-30 2016-04-07 전연진 전선 피복용 박피공구
JP2016140154A (ja) * 2015-01-26 2016-08-04 弘満 土屋 線材加工用工具
CN207730968U (zh) * 2017-12-22 2018-08-14 宁波源泉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光纤剥离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5007A1 (de) 2020-08-10 2022-02-10 Hyundai Mobis Co., Ltd. Bilderzeugungseinheit für ein head-up-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941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7202B2 (ja) ケーブル被覆剥取工具
US9698580B2 (en) Screwdriver having cable-stripping structure
KR102194941B1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KR101679827B1 (ko) 전선 피복용 박피공구
US20040221456A1 (en) [cable stripping and boring tool]
US20170125985A1 (en) Cutting structures of wire stripper
CN114204488A (zh) 一种电缆外护层去除工具
KR100591874B1 (ko) 전선작업용 공구
US6725533B1 (en) Cable stripping tool
KR100913463B1 (ko) 선을 꼬는 공구
CN205552327U (zh) 一种多功能电工钳
JP2018029445A (ja) ケーブル被覆剥離工具
CN210443942U (zh) 一种多功能剥线钳
CN210379745U (zh) 一种电缆剥线装置
CN203901238U (zh) 多功能电工钳
CN218648477U (zh) 一种适用于不同直径线缆的剥线钳
US10992118B1 (en) Wire stripping tool
KR20090002076U (ko) 피복전선 작업용 정공가위.
US2876426A (en) Self-grounding electrical plug
KR200303369Y1 (ko) 다중 케이블의 피복관 탈피장치
CN215433769U (zh) 一种可换头可剥线电工刀
CN210443944U (zh) 一种剥线钳
CN210490301U (zh) 一种电缆剥皮钳
KR20180028873A (ko) 탈부착 방식의 탈피기 및 조립 방법과 탈피 방법
JP5130412B1 (ja) ケーブル被覆剥ぎ取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