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463B1 - 선을 꼬는 공구 - Google Patents

선을 꼬는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463B1
KR100913463B1 KR1020050048604A KR20050048604A KR100913463B1 KR 100913463 B1 KR100913463 B1 KR 100913463B1 KR 1020050048604 A KR1020050048604 A KR 1020050048604A KR 20050048604 A KR20050048604 A KR 20050048604A KR 100913463 B1 KR100913463 B1 KR 10091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crew
tool
hol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551A (ko
Inventor
문원식
Original Assignee
문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원식 filed Critical 문원식
Priority to KR102005004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463B1/ko
Publication of KR2006012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1/00Combination or multi-purpose 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7/00Hand cutting tools, i.e. with the cutting action actuated by muscle power with two jaws which come into abutting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작업 및 공예품 작업 등 한 개 또는 그이상의 선을 꼬는데 있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공구의 고안임.
기존의 공구로는 이러한 꼬기 작업을 할 수 없었으므로 손의 근육을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시간도 많이 걸리고 깨끗한 작업이 어려웠음.
따라서 이러한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스크류의 원리를 이용하여 선을 잡은 공구를 회전시켜 편리성과 작업효율을 증대 시키도록 고안함. 또한 본 공구에 선의 피복 벗기기와 절단기를 통합하여 동시 이루어지는 작업을 공구 교체없이 수행하도록 함.
걸쇠, 피복 벗기기, 스크류응용체(회전체)

Description

선을 꼬는 공구{Twi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을 꼬는 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을 꼬는 공구를 이용하여 선을 꼬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고안은 공구에 관한 것으로 손의 근육이 아닌 스크류릉 응용하여 선을 깨끗하고 정확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꼴 수 있는 공구에 관한 것임.
지금까지 전기선 및 공에품 작업시 한선 또는 그 이상의 선을 꼬기 위해서 가는 선은 손가락, 굵은 선은 u찌 또는 플라이어 등의 공구를 손목 근육을 이용하여 회전 시켜 작업 하였음. 따라서 손목 및 속가락에 불필요한 피로가 누적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며 작업 결과도 깔끔하지 못하여 효율성이 적었음.
고안의 목적은 기존 공구로는 한선 또는 그 이상의 선을 꼬을 수 없어 전기 작업 및 공예품 등의 작업시 손의 근육을 이용하여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고 시간 과다 소요 및 깨끗한 작업이 어려웠음.
따라서 스크류의 원리를 응용하여 선을 잡은 공구를 회전시켜 편리성과 작업효율을 증대 시키고 연계된 작업을 공구의 교체 없이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의 근육이 아닌 스크류응용체를 이용하여 전선을 꼬는 선을 꼬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절단하는 구조뿐만 아니라 선을 꼬는 구조가 일체로 형성되는 선을 꼬는 공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을 꼬는 공구는, 물체 조임부, 천공된 원형 내부 호의 일부에 칼날이 설치되어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피복 제거부, 및 전선을 절단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손잡이부는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손잡이와, 제1 손잡이의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및 제1, 제2 손잡이의 제1,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을 꼬는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응용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크류응용체는 제1 손잡이의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결합부와 제2 손잡이의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결합부와 내부면에 스크류의 직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스크류홈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크류와, 스크류의 일단에 고정되며 밀대 고정홀이 형성되는 스크류 손잡이와, 스크류 손잡이의 밀대 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밀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을 꼬는 공구(10)는 크게 머리부(11)와, 손잡이부(12, 13)와, 운동걸쇠(14)와, 스크류응용체(15)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머리부(11)는 전선을 쥘 수 있도록 톱니 형태의 맞물림면이 형성되는 물체 조임부(111)와, 전선을 절단하는 절단부(112)와, 천공된 원형 내부 호의 일부에 칼날이 설치되어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피복 제거부(113)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2, 13)는 머리부(11)와 연결되는 것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에서 바라볼 때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손잡이부(12)와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손잡이부(13)로 이루어진다. 제1 손잡이부(12)와 제2 손잡이부(13)는 고정축(16)을 통해 고정된다.
제1 손잡이부(12)는 스크류응용체(15)가 결합되는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21a, 121b)와, 톱니 형태의 맞물림면(122a)을 갖는 고정걸쇠(122)와, 스프링(123)이 형성된다.
제2 손잡이부(13)는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21a, 121b)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31a, 131b)와, 걸쇠 구멍(132)과 고정홀(133)과 스프링(134)이 형성된다.
운동걸쇠(14)는 제2 손잡이(13)의 걸쇠 구멍(132)과 대응되는 형상의 이동홀(141)과, 제1 손잡이(12)의 고정걸쇠(122)의 맞물림면(122a)에 끼워지는 톱니 형태의 맞물림면(142)이 형성된다. 운동걸쇠(14)는 제2 손잡이(13)의 고정홀(133)에 삽입되는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제2 손잡이(13)에 고정되고, 제2 손잡이(13)에 고정 형성된 스프링(134)에 의해 지지된다.
스크류응용체(15)는 제1, 제2 손잡이(12, 13)에 고정 형성된 제1,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21a, 131a)와 결합되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을 꼬는 공구를 회전시킨다.
스크류응용체(15)는 제1 손잡이(12)의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21a)와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결합부(151a)와, 제2 손잡이(13)의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31a)와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결합부(151b)와, 내부면에 스크류(152)의 직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스크류홈을 갖는 관통홀(151c)이 형성되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의 관통홀(151c)에 삽입되는 스크류(152)와, 스크류(152)의 일단에 고정되며 밀대 고정홀(153a)이 형성되는 스크류 손잡이(153)와, 스크류 손잡이(153)의 밀대 고정홀(153a)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밀대(154)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7은 제2 손잡이(13)의 걸쇠 구멍(132)과 운동걸쇠(14)의 이동홀(141)에 모두 끼워지는 걸쇠핀이다. 걸쇠핀(17)이 도 1과 같이 걸쇠 구멍(132)과 이동홀(141)의 왼쪽에 위치한 경우, 운동걸쇠(14)는 제2 손잡이(13)에 고정 형성된 스프링(134)에 의해 힘을 받아 제1 손잡이(12)의 고정걸쇠(122)와 결합된다. 반면에 걸쇠핀(17)이 사용자에 의해 걸쇠 구멍(132)과 이동홀(141)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경우, 운동걸쇠(14)는 제2 손잡이(13)의 고정홀(133)에 삽입되는 고정핀(도시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운동걸쇠(14)와 제1 손잡이(12)의 고정걸쇠(122)는 결합이 풀어지게 된다.
도 1에서, 사용자가 스크류응용체(15)의 밀대(154)에 힘을 주게 되면, 밀대(154)와 스크류 손잡이(153)는 밀대 고정홀(153a)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스크류(152) 및 스크류(152)와 연결된 스크류 손잡이(153)만이 회전할 뿐 선을 꼬는 공구(10)는 가만히 있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스크류응용체(15)의 스크류 손잡이(153)를 잡고 A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21a, 121b) 및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131a, 131b)와 결합된 스크류응용체(15)의 몸체부(151)가 스크류(152)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몸체부(151)와 연결된 선을 꼬는 공구(10)가 회전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선을 꼬는 공구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을 꼬는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응용체를 필요에 따라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손의 근육이 아닌 스크류응용체를 이용하여 전선을 꼬는 작업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보장하여 직업 효율을 증대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선을 꼬는 공구는 전선의 피복을 벗기고 절단하는 구조뿐만 아니라 선을 꼬는 구조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각 작업을 위해 용도별 공구를 교체해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물체 조임부, 천공된 원형 내부 호의 일부에 칼날이 설치되어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피복 제거부, 및 전선을 절단하는 절단부가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연결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가: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1 손잡이;
    상기 제1 손잡이의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가 형성되는 제2 손잡이; 및
    상기 제1, 제2 손잡이의 제1,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결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을 꼬는 공구를 회전시키는 스크류응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스크류응용체가:
    상기 제1 손잡이의 제1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제1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2 손잡이의 제2 스크류응용체 결합부와 나사결합되는 제2 나사결합부와, 내부면에 스크류의 직진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스크류홈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의 일단에 고정되며, 밀대 고정홀이 형성되는 스크류 손잡이; 및
    상기 스크류 손잡이의 밀대 고정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을 꼬는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손잡이가 톱니 형태의 맞물림면을 갖는 고정걸쇠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 손잡이가 걸쇠 구멍과, 고정홀과, 스프링이 더 형성되고,
    상기 선을 꼬는 공구가:
    상기 제2 손잡이의 걸쇠 구멍과 대응되는 형상의 이동홀과 상기 제1 손잡이의 고정걸쇠의 맞물림면에 끼워지는 톱니 형태의 맞물림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손잡이의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제2 손잡이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손잡이의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운동걸쇠;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을 꼬는 공구.
KR1020050048604A 2005-06-07 2005-06-07 선을 꼬는 공구 KR10091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604A KR100913463B1 (ko) 2005-06-07 2005-06-07 선을 꼬는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604A KR100913463B1 (ko) 2005-06-07 2005-06-07 선을 꼬는 공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551A KR20060127551A (ko) 2006-12-13
KR100913463B1 true KR100913463B1 (ko) 2009-08-25

Family

ID=3773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604A KR100913463B1 (ko) 2005-06-07 2005-06-07 선을 꼬는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4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0706A1 (en) * 2011-11-07 2013-05-16 Stride Tool, Inc. Wire twisting pliers
KR200472634Y1 (ko) 2012-02-24 2014-05-26 김동철 원예 작업 결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3B1 (ko) * 2008-01-30 2009-10-06 이덕여 와이어 결속용 팬치
CN112497130A (zh) * 2020-12-14 2021-03-16 山东大学 一种金属丝用螺旋拧紧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811U (ko) * 1989-11-27 1991-06-27 임성호 니퍼가 겸비된 뺀치
KR930005292U (ko) * 1991-08-12 1993-03-22 최관섭 리벌버형 총의 밀대장치
KR930005292Y1 (ko) * 1991-04-24 1993-08-13 박노규 다용도 공구
KR950004889U (ko) * 1993-07-09 1995-02-18 후이지 히요시 피복전선용 스트리퍼
KR20000006290U (ko) * 1998-09-12 2000-04-15 유계춘 스트리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811U (ko) * 1989-11-27 1991-06-27 임성호 니퍼가 겸비된 뺀치
KR930005292Y1 (ko) * 1991-04-24 1993-08-13 박노규 다용도 공구
KR930005292U (ko) * 1991-08-12 1993-03-22 최관섭 리벌버형 총의 밀대장치
KR950004889U (ko) * 1993-07-09 1995-02-18 후이지 히요시 피복전선용 스트리퍼
KR20000006290U (ko) * 1998-09-12 2000-04-15 유계춘 스트리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0706A1 (en) * 2011-11-07 2013-05-16 Stride Tool, Inc. Wire twisting pliers
KR200472634Y1 (ko) 2012-02-24 2014-05-26 김동철 원예 작업 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551A (ko)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463B1 (ko) 선을 꼬는 공구
WO2007060590A3 (en) Hair-cutting device for self-users
JP2011223875A (ja) 電線中間部の皮剥ぎ工具
JP4859580B2 (ja) 巻付バインド着脱工具
CA2337734A1 (en) Hand-held wire cutter with enlarged gripping surface
JP4707458B2 (ja) 被覆線の皮剥器及び遠隔操作具
CN214673989U (zh) 一种电缆剥皮钳
JP4343843B2 (ja) グリップ
KR102194941B1 (ko) 멀티 스트립 컷팅장치
JP2014135842A (ja) 電線被覆剥離装置
CN112917422A (zh) 一种铁路机车检修用插头拆卸紧固扳手
JP4169280B2 (ja) 横ハンドル型の電線被覆剥離工具
KR101898054B1 (ko) 전선 피박기
JP2008023648A (ja) 作業工具
KR200452484Y1 (ko) 다용도 니퍼
CN220783568U (zh) 一种便携式多功能电工钢丝钳
JP5591740B2 (ja) 電動工具
CN217860801U (zh) 一种用于电力安装施工的多功能钳
JP5770222B2 (ja) 間接活線工事用先端工具
CN220863731U (zh) 一种具有防滑功能的钢丝钳
CN220903012U (zh) 装表接电工艺钳
CN218648477U (zh) 一种适用于不同直径线缆的剥线钳
CN217225324U (zh) 拆卸电器元件的螺丝刀
CN217620401U (zh) 一种新型多功能开口销安装工具
CN220475291U (zh) 手摇式绝缘导线剖削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