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703B1 - 와이어 결속용 팬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결속용 팬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703B1
KR100919703B1 KR1020080009599A KR20080009599A KR100919703B1 KR 100919703 B1 KR100919703 B1 KR 100919703B1 KR 1020080009599 A KR1020080009599 A KR 1020080009599A KR 20080009599 A KR20080009599 A KR 20080009599A KR 100919703 B1 KR100919703 B1 KR 100919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nch
lever
screw memb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3663A (ko
Inventor
이덕여
Original Assignee
이덕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여 filed Critical 이덕여
Priority to KR102008000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703B1/ko
Publication of KR2009008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B25B7/02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9/00Hand-held gripping tool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group B25B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와이어 결속용 팬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는 작업자가 팬치본체(A)에 와이어(w)를 물려 고정시킨 후, 외통체(7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키부재(80)에 의해 스크류부재(60)가 회전되면서 스크류부재(60)가 연결된 팬치본체(A)가 회전되어 와이어(w)를 꼬아 결속하므로, 와이어(w)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결속용 팬치{wire pincers}
본 발명은 와이어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와이어 결속용 팬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철근 등을 와이어로 묶어 상호고정하는 결속작업할 때는 통상 '결속선'이라 부르는 와이어를 결속할 철근의 둘레부에 감은 후, 와이어의 양단을 맞댄 후 꼬아서 결속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이 와이어결속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와이어의 양단을 붙잡은 상태에서 와이어가 꼬이도록 비틀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와이어의 길이가 길 경우, 결속작업을 마친 후 별도의 팬치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잘라야 하므로, 작업이 더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와이어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는 새로운 공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와이어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와이어 결속용 팬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간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전단부를 상하로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단부의 인접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가압부(11,21)가 형성된 한쌍의 레버부재(10,20)와, 상기 레버부재(10,20)에 구비되어 레버부재(10,20)가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4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1,21) 사이에 삽입된 와이어(w)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팬치본체(A)와;
상기 레버부재(10,20)의 후단에 결합되며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의 나사홈(61)이 형성된 스크류부재(60)와, 상기 스크류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스크류부재(60)의 외부에 끼움결합되는 외통체(70)와, 상기 외통체(70)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60)의 나사홈(61)과 맞물려 외통체(70)가 스크류부재(60)를 따라 전후진될 때 스크류부재(60)가 회전하도록 하는 키부재(80)가 구비된 회전구동장치(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는 작업자가 팬치본체(A)에 와이어(w)를 물려 고정시킨 후, 외통체(7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키부재(80)에 의해 스크류부재(60)가 회전되면서 스크류부재(60)가 연결된 팬치본체(A)가 회전되어 와이어(w)를 꼬아 결속하므로, 와이어(w)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도 1내지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는 와이어(w)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팬치본체(A)와, 상기 팬치본체(A)에 연결되어 팬치본체(A)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B)로 구성된다.
상기 팬치본체(A)는 중간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전단부를 상하로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단부의 인접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가압부(11,21)가 형성된 한쌍의 레버부재(10,20)와, 상기 레버부재(10,20)에 구비되어 레버부재(10,20)가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레버부재(10,20)는 강도가 높은 강철을 주물성형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전단상면에 가압부(11)가 형성되며 후단은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부(14)가 형성된 제1 레버부재(10)와, 전단 하측면에 가압부(21)가 형성되며 중간부가 힌지축(30)에 의해 상기 제1 레버부재(10)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단부를 상하방향으로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레버부재(20)로 나뉘어지며, 제1 레버부 재(10)의 손잡이부(14)를 상측으로 회동시켜 전단의 가압부(11,21)를 벌린 후, 가압부(11,21)의 사이에 와이어(w)를 넣은 후 손잡이부(14)를 눌러 가압부(11,21)가 와이어(w)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압부(11,21)에는 상호 맞물려 와이어(w)를 잘라내는 절단턱(12,22)과, 잘려진 와이어(w)를 고정하는 고정턱(13)이 형성되어, 가압부(11,21)의 사이로 삽입된 와이어(w)를 잘라냄과 동시에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잠금장치(40)는 상기 제2 레버부재(20)에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는 제1 레버부재(10)의 둘레면에 걸리는 걸림턱(41b)이 형성된 고정편(41)과, 상기 고정편(41)에 연결되어 고정편(41)과 레버부재(10,2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고정편(41)을 회동시키는 탄성부재(4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편(41)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철판을 구부려 제작된 것으로, 기단부에는 원통형의 지지부(41a)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41a)가 상기 제2 레버부재(20)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상기 걸림턱(41b)은 고정편(41)의 선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 레버의 상면에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41b)은 다단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단은 상기 제2 레버부재(20)의 중심축으로 부터의 거리가 각기 다르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레버부재(20)의 둘레부에는 상기 고정편(41)이 걸려 고정편(41)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걸림핀(43)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42)는 탄성와이어(w)를 원통형으로 감아 구성되어 제2 레버부재(20)의 외부에 끼워지는 코일형의 토션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으로, 일단은 제2 레 버부재(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41)에 연결되어, 고정편(41)의 걸림턱(41b)과 레버부재(10,20)의 결합이 해지되도록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11,21)의 사이에 와이어(w)를 집어넣은 후, 제1 레버부재(10)의 손잡이부(14)를 누르면, 상기 절단턱(12,22)이 와이어(w)의 여유부분을 물어 자름과 동시에 고정턱(13)에 의해 와이어(w)가 가압고정되며, 상기 고정편(41)을 회동시켜 고정편(41)의 걸림턱(41b)이 제1 레버부재(10)의 둘레부에 걸려 레버부재(10,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도 5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w)의 지름에 따라 제1 레버부재(10)와 제2 레버부재(20)가 벌어지는 각도 및 래버부재(10,20)의 간격이 달라지므로, 제1 레버부재(10)의 손잡이부(14)에 적절한 걸림턱(41b)을 걸어 고정하므로써, 다양한 지름의 와이어(w)도 용이하게 절단 및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장치(B)는 상기 제2 레버부재(20)의 후단에 결합되며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의 나사홈(61)이 형성된 스크류부재(60)와, 상기 스크류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스크류부재(60)의 외부에 끼움결합되는 외통체(70)와, 상기 외통체(70)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60)의 나사홈(61)과 맞물려 외통체(70)가 스크류부재(60)를 따라 전후진될 때 스크류부재(60)가 회전하도록 하는 키부재(80)와, 상기 외통체(70)와 스크류부재(60)의 사이에 구비되어 외통체(70)가 스크류부재(60)의 전방 쪽으로 전진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90)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부재(60)는 상기 제2 레버부재(20)의 후단에 제2 레버부재(20)의 가압부(11,21)를 향하도록 고정된 것으로, 둘레면의 나사홈(61)은 지름에 비해 피치가 더 길게 구성되어, 상기 외통체(70)의 전후진시 키부재(80)에 의해 스크류부재(6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외통체(70)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전방에 삽입공(71a)이 형성된 통본체(71)와, 상기 통본체(71)의 삽입공(71a)에 결합되는 링형상의 소켓(72)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소켓(72)의 내주면에는 상기 키부재(80)가 삽입되는 삽입홈(7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사홈(61)은 우측으로 회전되는 우나사이며, 상기 삽입홈(72a)은 외통체(70)의 후단에서 볼 때, 소켓(72)의 나선방향에서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재(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키부재(80)가 나사홈(61)과 삽입홈(72a)의 면 사이에 끼여, 외통체(70)와 스크류부재(60)가 함께 회전되며, 도 6의 (b)와 같이, 상기 스크류부재(60)가 시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키부재(80)가 나사홈(61)의 면에 의해 밀려 삽입홈(72a)으로 후퇴되므로써, 스크류부재(60)가 공회전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외통체(70)가 후방으로 슬라이드되면, 우나사인 나사홈(61)의 작용에 의해 스크류부재(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외통체(70)가 나사홈(61)을 따라 회전되면서 후진되며, 외통체(70)가 전진될 때는 스크류부재(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키부재(80)가 삽입홈(72a)으로 후퇴되므로써, 외통체(70)는 회전되지 않고 전진된다.
상기 키부재(80)는 금속볼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홈(72a)에 삽입된 상태에 서, 나사홈(61)을 따라 굴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9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상기 스크류부재(60)의 외부에 끼워지는 것으로, 스크류부재(60)의 후단에 구비된 브라켓(62)과, 상기 스크류부재(60)의 외부에 끼워져 상기 소켓(72)에 지지되는 링형상의 와셔부재(7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외통체(70)가 전방으로 전진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부재(60)가 전후진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외통체(70)를 잡고 후방쪽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나사홈(61)과 키부재(80)의 작용에 의해 외통체(70)가 나사홈(61)을 따라 회전되면서 후퇴되어야 하지만, 작업자가 외통체(70)를 잡고 있으므로, 반대로 스크류부재(60)가 회전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외통체(70)를 전방으로 밀면, 상기 키부재(80)가 삽입홈(72a)으로 후퇴되어 외통체(70)가 회전되지 않고 전진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와이어결속용 팬치의 작용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의 (a) 및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치본체(A)의 가압부(11,21)을 벌벌리고, 작업자가 결속할 와이어(w)의 양단을 팬치본체(A)의 가압부(11,21) 사이에 넣은 후, 제1 레버부재(10)의 손잡이를 누르면, 도 7의 (c)와 같이, 가압부(11,21)의 절단턱(12,22)과 고정턱(13)에 의해 와이어(w)가 잘림과 동시에 물려 고정되며, 작업자는 도 5의 (a)와 (b)와 같이, 상기 고정편(41)을 회동시 켜, 고정편(41)의 걸림턱(41b)이 제1 레버부재(10)의 손잡이부(14)에 걸므로써, 제1 레버부재(10)와 제2 레버부재(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때, 작업자는 와이어(w)의 지름에 따라 다단으로 이루어진 고정편(41)의 걸림턱(41b)중에서, 적절한 것을 제1 레버부재(1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도 8의 (a)와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체(70)를 손으로 잡고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스크류부재(60)가 회전되면서 스크류부재(60)가 연결된 팬치본체(A)가 회전되어 와이어(w)를 감아 결속하며, 도 8의 (c)와 같이, 외통체(70)를 앞으로 밀면 스크류부재(60)가 회전되지 않고 외통체(70)만 전진되며, 이러한 단계를 반복하여, 필요한 만큼 와이어(w)를 감아 결속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w)가 완전히 결속되면, 작업자는 상기 고정편(41)을 밀어 회동시키므로써, 고정편(41)과 제1 레버부재(10)의 결합을 해제하고, 손잡이부(14)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팬치본체(A)의 고정을 해제하여 와이어(w)를 빼낼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와이어결속용 팬치는 작업자가 팬채본체에 와이어(w)를 물린 상태에서, 고정편(41)으로 고정하고, 상기 외통체(70)를 후방으로 잡아당기는 것 만으로 와이어(w)를 감아 결속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와이어(w)를 손쉽게 결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레버부재(20)의 가압부(11,21)에 절단턱(12,22)과 고정턱(13)이 구비되어, 팬치본체(A)로 와이어(w)를 물면, 와이어(w)가 자동으로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므로, 와이어(w)를 결속한 후 필요한 길이로 잘라내는 별도의 작 업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41)에는 다단의 걸림턱(41b)이 형성되어, 와이어(w)의 지름에 따라 적절한 걸림턱(41b)을 제1 레버부재(10)에 걸어 팬치본체(A)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지름의 와이어(w)를 감을 수 있어서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편(41)은 제2 레버부재(20)에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걸림턱(41b)이 제1 레버부재(10)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구성되었으나, 상기 고정편(41)이 제1 레버부재(10)에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걸림턱(41b)이 제2 레버부재(20)의 둘레부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장금장치(40)는 상기 제2 레버부재(20)에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는 제1 레버부재(10)의 둘레면에 걸리는 걸림턱(41b)이 형성된 고정편(41)과, 상기 고정편(41)에 연결되어 고정편(41)과 레버부재(10,20)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고정편(41)을 회동시키는 탄성부재(42)을 포함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걸림턱(41b)과 상기 레버부재(10,20)의 사이에 끼워지는 키블록(42)이 더 구비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블록(42)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방향의 폭이 좁아지는 쐐기형상으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전후방향의 오목부(42a) 및 오목부(42a)의 바닥면을 상하로 관통하는 장공(42b)이 형성되어, 상기 장공(42b)을 관통하는 볼트(43)에 의해 상기 제1 레버부재(10)의 상면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키블록(42)의 상면은 전후방향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편(41)을 회동시켜 걸림턱(41b)이 키블록(4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블록(42)을 전진시키면, 키블록(42)이 걸림턱(41b)과 제1 레버부재(10)의 사이에 끼워져, 레버부재(10,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10은 전술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걸림턱(41b)에는 전후방향의 장공(41c)이 형성되며, 상기 키블록(42)은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장공(41c)을 관통하는 볼트(43)에 의해 걸림턱(41b)의 하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전진시 걸림턱(41b)과 제1 레버부재(10)의 사이에 끼워져, 레버부재(10,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키블록(42)의 하측면은 전후방향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잠금장치(40)는 상기 키블록(42)을 전진시켜 걸림턱(41b)과 제1 레버부재(10)의 사이에 끼우므로써 레버부재(10,20)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며,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키블록(42)만이 쐐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걸림턱(41b)이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제1 레버부재(10)의 상면이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되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편(41)이 제1 레버부재(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경우, 상기 키블록이 고정편의 걸림턱(41b)와 제2 레버부재(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40)에는 고정편(41)을 회동시키는 탄성부재(42)가 구비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탄성부재(42)를 제거하여, 사용자가 고정편(41)을 수작업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를 도시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를 도시한 배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의 고정편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의 고정편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의 스크류부재와 키부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결속용 팬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5)

  1. 중간부가 상호 힌지결합되어 전단부를 상하로 벌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전단부의 인접면에는 상호 대응되는 가압부(11,21)가 형성된 한쌍의 레버부재(10,20)와, 상기 레버부재(10,20)에 구비되어 레버부재(10,20)가 상호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잠금장치(40)를 포함하여, 상기 가압부(11,21) 사이에 삽입된 와이어(w)를 물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팬치본체(A)와;
    상기 레버부재(10,20)의 후단에 결합되며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의 나사홈(61)이 형성된 스크류부재(60)와, 상기 스크류부재(6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스크류부재(60)의 외부에 끼움결합되는 외통체(70)와, 상기 외통체(70)에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부재(60)의 나사홈(61)과 맞물려 외통체(70)가 스크류부재(60)를 따라 전후진될 때 스크류부재(60)가 회전하도록 하는 키부재(80)가 구비된 회전구동장치(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결속용 팬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재(10,20)의 가압부(11,21)에는 상호 맞물리는 절단턱(12,22)이 각각 형성되어, 와이어(w)를 물어 자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결속용 팬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40)는 일측의 레버부재(10,20)에 둘레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부에는 다른쪽 레버부재(10,20)의 둘레면에 걸리는 걸림턱(41b)이 형성된 고정편(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결속용 팬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41b)은 다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레버부재(10,20)가 벌어진 간격에 따라 걸림턱(41b)을 걸어 레버부재(10,20)가 더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결속용 팬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금장치(40)는 상기 걸림턱(41b)과 상기 레버부재(10,20)의 사이에 끼워지는 키블록(4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결속용 팬치.
KR1020080009599A 2008-01-30 2008-01-30 와이어 결속용 팬치 KR10091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599A KR100919703B1 (ko) 2008-01-30 2008-01-30 와이어 결속용 팬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599A KR100919703B1 (ko) 2008-01-30 2008-01-30 와이어 결속용 팬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663A KR20090083663A (ko) 2009-08-04
KR100919703B1 true KR100919703B1 (ko) 2009-10-06

Family

ID=41204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599A KR100919703B1 (ko) 2008-01-30 2008-01-30 와이어 결속용 팬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23B1 (ko) * 2009-12-07 201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편 절단용 와이어 로드 클램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34Y1 (ko) * 2012-02-24 2014-05-26 김동철 원예 작업 결속기
CN109659856B (zh) * 2018-11-28 2020-06-02 国网河南省电力公司漯河供电公司 一种老旧城区电网梳理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973U (ja) 1982-11-29 1984-06-12 カル興業株式会社 手動式捩り工具
KR19990036595U (ko) * 1998-02-25 1999-09-27 유무성 와이어 트위스터
JP2001009751A (ja) 1999-06-30 2001-01-16 Takashi Sakamoto 針金結束工具
KR20060127551A (ko) * 2005-06-07 2006-12-13 문원식 선을 꼬는 공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6973U (ja) 1982-11-29 1984-06-12 カル興業株式会社 手動式捩り工具
KR19990036595U (ko) * 1998-02-25 1999-09-27 유무성 와이어 트위스터
JP2001009751A (ja) 1999-06-30 2001-01-16 Takashi Sakamoto 針金結束工具
KR20060127551A (ko) * 2005-06-07 2006-12-13 문원식 선을 꼬는 공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423B1 (ko) * 2009-12-07 2013-04-23 주식회사 포스코 시험편 절단용 와이어 로드 클램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663A (ko) 2009-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239B2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US6931908B1 (en) Tube-bending device
US11813660B2 (en) Wire tying tool
DE602005006032T2 (de) Feststellung für Verlängerungskabel und Steckkupplung
KR100919703B1 (ko) 와이어 결속용 팬치
TWI710502B (zh) 捆束機
CN102791123A (zh) 渔具附接装置和方法
US11371582B2 (en) Ratchet load binder with two handles
TW201836932A (zh) 捆束機
US7520491B1 (en) Clip bender
ZA200508401B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JP3995999B2 (ja) ワイヤ−ロ−プ端末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KR101377608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CN109779381B (zh) 一种输电铁塔组立时内悬浮抱杆的拉绳紧固装置
KR200254926Y1 (ko) 철근 결속선 결속기
DE102011076278B4 (de) Abbindevorrichtung für Pressballen
CN110593577A (zh) 一种钢筋铁丝固定钳及其使用方法
US20090133775A1 (en) Wire-tying tool having clutch mechanism
JP4406576B2 (ja) 既設配管へのコルゲート管の挿入工法およびこの挿入工法に用いる挿入治具
KR100346961B1 (ko) 철사 결속기
US11623255B2 (en) Device for unclogging pumps and pipes
KR100696871B1 (ko) 클립 유니트의 교체에 의한 다규격 전선 가선용 쉐벨클립
KR102479878B1 (ko)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DE102009026006A1 (de) Vorrichtung zum Aufziehen und Positionieren einer Tülle auf ein Kabel
DE202010002526U1 (de) Ausziehwerk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