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878B1 -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 Google Patents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878B1
KR102479878B1 KR1020200094439A KR20200094439A KR102479878B1 KR 102479878 B1 KR102479878 B1 KR 102479878B1 KR 1020200094439 A KR1020200094439 A KR 1020200094439A KR 20200094439 A KR20200094439 A KR 20200094439A KR 102479878 B1 KR102479878 B1 KR 10247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orque wrench
tension lever
box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4622A (ko
Inventor
장근철
Original Assignee
장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철 filed Critical 장근철
Priority to KR102020009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878B1/ko
Publication of KR2022001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04Applying separate sealing or securing members, e.g. clips
    • B65B51/08Applying binding material, e.g. to twisted bag n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22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hand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torque indicators or adjustable torque lim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후방을 회동하는 인장레버(120)에 의해서 박스에 감긴 밴드(B)를 인장시켜서 결속되도록 하는 밴드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레버(120)에 연결되어,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꺾이도록 구성된 토크렌치(150)를 포함한다.
따라서,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토크렌치(150)가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꺾어지게 되므로 회전력의 전달이 방지되므로 박스가 밴드(150)의 압박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든지, 내용물이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BAND BINDING TOOL WITH TORQUE WRENCH}
본 발명은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밴드로 박스를 결속할 때 규정된 이상의 모멘트가 작용하면 결속 기능이 중단되도록 구성하므로, 상기 박스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를 박스에 올린 후 밴드의 일측을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밴드의 상대측을 로터에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인장레버를 왕복시켜서 밴드의 상태측을 인장시킨 후 밴드의 일측과 상대측을 클램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밴드결속기를 이탈시키므로 박스의 결속이 완료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박스(X)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PET 또는 PP로 제조된 밴드(B)를 감아서 결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밴드(B)를 인장시켜서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구가 밴드결속기(1)이다.
이러한 밴드결속기(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처럼, 지지 기능을 하는 프레임(10)이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므로 전후방으로 회동 가능한 인장레버(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장레버(20)에 연결되어 프레임(10)의 일측방에 장착되는 파이프 형상의 로터(30)가 구성된다. 상기 로터(30)에는 밴드(B)가 통과할 수 있도록 원주를 따라 슬릿(33)이 다수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인장레버(20)가 후방으로 회동할 때에는 로터(30)가 일측방으로 회전하고 전방으로 회동할 때에는 로터(30)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로터(3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밴드(B)를 잡아주는 홀더(40)가 구성되고, 상기 홀더(40)의 홀딩과 홀딩 해제가 가능하도록 홀더(40)와 연동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에 장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홀딩레버(45)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딩레버(45)가 후방으로 회동하면 홀더(40)가 밴드(B)를 홀딩하게 되고, 다시 역방향으로 회동하면 홀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터(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에 고정되어 밴드(B)의 일측(K)과 상대측(L)이 동시에 통과하여 중첩되게 하므로 클램핑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이더(50)가 구성된다. 상기 가이더(50)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밴드(B)가 통과하는 슬릿(55)이 형성된다.
이러한 밴드결속기(1)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처럼, 밴드결속기(1)를 박스(X) 위에 올려 놓는다. 그리고, 박스(X)를 하부에서 감싸는 밴드(B)의 일측(K)이 상기 홀더(40)를 통과하여 로터(30)의 하부를 지나 가이더(50)의 슬릿(55)을 지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인장레버(2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서 홀딩레버(45)에 힘을 가하여 회동시키게 되면 홀더(40)가 열리면서 밴드(B)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인장레버(2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홀딩레버(45)가 전방으로 복귀하면서 홀더(40)가 밴드(B)를 압박하여 홀딩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처럼, 밴드(B)의 상대측(L)이 일측(K)의 상면에 포개어진 상태로 가이더(50)의 슬릿(55)을 지나 상기 로터(30)의 슬릿(33)을 통과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에서처럼, 상기 인장레버(20)를 전후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로터(30)는 일측방으로만 회전하면서 밴드(B)를 감아서 인장시키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적정한 힘으로 밴드(B)가 인장되면 클립(C)을 포개어진 밴드(B)의 일측(K)과 상대측(L)을 동시에 수용하도록 한 후 밴드집게(도시하지 않음)로 집어서 결속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5에서처럼, 상기 로터(30)에 감긴 밴드(B)를 절단한 후 밴드결속기(1)를 측방으로 이탈시키므로 박스 결속 작업이 완료된다.
이처럼,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1)로 인해서 박스(X)를 밴드(B)로 결속시킬 수 있지만, 상기 인장레버(20)를 회동시켜서 밴드(B)를 인장시킬 때 인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밴드(B)의 압박에 의해 박스(X)가 찌그러지기도 하고, 박스(X)가 찌그러지면서 수용된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https://blog.naver.com/wander1125/130095340113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로 인해서 박스를 밴드로 결속시킬 수 있지만, 상기 인장레버를 회동시켜서 밴드를 인장시킬 때 인장력이 과도하게 작용하여 밴드의 압박에 의해 박스가 찌그러지기도 하고, 박스가 찌그러지면서 수용된 물건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규정값 이상의 모멘트가 상기 인장레버에 작용할 때 회전력이 작동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므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전후방을 회동하는 인장레버에 의해서 박스에 감긴 밴드를 인장시켜서 결속되도록 하는 밴드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레버에 연결되어,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꺾이도록 구성된 토크렌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크렌치는,
상기 인장레버에 연결되는 하부로드와, 상기 하부로드에 핀이음되어 회동가능한 상부로드와, 상기 하부로드와 상부로드가 통과하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압축스프링을 받치도록 상기 하부로드에 형성된 지지판과, 상기 상부로드가 통과하고 상기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도록 형성된 와셔와, 상기 상부로드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탭홀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서 상기 와셔를 하강시키는 바(BAR) 형상의 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1항 및 제2항에 의하면, 밴드로 박스를 결속할 때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토크렌치가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꺾어지게 되므로 회전력의 전달이 방지되어, 박스가 밴드의 압박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든지, 내용물이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2항에 의하면, 상기 토크렌치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토크렌치에 비해서 간단한 구조이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배경기술에 의한 밴드결속기를 박스에 올린 후 밴드의 일측을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밴드의 상대측을 로터에 홀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인장레버를 왕복시켜서 밴드의 상태측을 인장시킨 후 밴드의 일측과 상대측을 클램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밴드결속기를 이탈시키므로 박스의 결속이 완료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1실시예로서 토크렌치가 인장레버에서 이탈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1실시예로서 밴드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걸려서 토크렌치가 꺾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로서 토크렌치가 이탈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토크렌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에 구성되는 토크렌치의 핸들을 돌려서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로서 밴드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걸려서 토크렌치가 꺾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100)의 제1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1실시예로서 토크렌치가 인장레버에서 이탈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1실시예로서 밴드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걸려서 토크렌치가 꺾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후방을 회동하는 인장레버(120)에 의해서 박스에 감긴 밴드(B)를 인장시켜서 결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장레버(120)의 전후 회동에 의해서 밴드(B)의 일측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대측을 감아서 인장시키는 일반적인 밴드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레버(120)에 연결되어,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꺾이도록 구성된 토크렌치(150)가 구성된다. 이때, 인장레버(120)의 길이는 기존의 것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토크렌치(150) 장착 시 일반적인 인장레버(120)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토크렌치(150)는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면 꺾어지면서 더이상 회전력이 작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부종단부(F)가 토크렌치(150)의 하단부 속으로 일부가 수납되어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하부종단부(F)를 기준으로 토크렌치(150)의 상부가 회동하게 되면서 과부하를 알리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토크렌치(150)는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토크렌치(150)가 인장레버(12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는 인장레버(120)의 상단에 상기 하부종단부(F)가 삽입되는 삽입구(D)가 형성되고 좌우 측방에 홀(H)이 천공된다. 또한, 하부종단부(F)의 좌우 측방에는 상기 홀(H)에 끼워지는 볼플런저(G)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종단부(F)를 삽입구(D)에 끼워서 누르게 되면 양측의 볼플런저(G)가 각각의 홀(H)에 끼워지면서 연결이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밴드(B)로 박스를 결속하기 위해서 상기 토크렌치(150)를 전후방으로 회동시키면서 밴드(B)를 인장할 때에 규정값 이하의 회전력일 경우, 즉, 박스를 손상시키지 않는 회전력일 때에는 토크렌치(150)가 꺾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게 되면 도 8에서처럼, 상기 하부종단부(F)를 기준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여 꺾이게 되면서 힘의 전달이 방지된다. 따라서, 박스가 밴드(150)의 압박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든지, 내용물이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100)의 제2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로서 토크렌치가 이탈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토크렌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에 구성되는 토크렌치의 핸들을 돌려서 압축스프링을 압축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의 제2실시예로서 밴드를 인장하는 과정에서 과부하가 걸려서 토크렌치가 꺾이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후방을 회동하는 인장레버(120)에 의해서 박스에 감긴 밴드(B)를 인장시켜서 결속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장레버(120)의 전후 회동에 의해서 밴드(B)의 일측을 홀딩한 상태에서 상대측을 감아서 인장시키는 일반적인 밴드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레버(120)에 연결되어,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꺾이도록 구성된 토크렌치(150)가 구성된다. 이때, 인장레버(120)의 길이는 기존의 것보다 짧게 형성되므로 토크렌치(150) 장착 시 일반적인 인장레버(120)의 길이가 되도록 한다.
상기 토크렌치(15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인장레버(120)에 연결되는 하부로드(151)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로드(151)에 핀이음되어 회동가능한 상부로드(15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로드(151)와 상부로드(155)가 통과하는 압축스프링(157)이 구성되고, 상기 압축스프링(157)을 받치도록 상기 하부로드(151)에 형성된 지지판(15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로드(155)가 통과하고 상기 압축스프링(157)을 압축하도록 형성된 와셔(158)가 구성되며, 상기 상부로드(15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수나사부(15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156)에 체결되는 탭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서 상기 와셔(158)를 하강시키는 바(BAR) 형상의 핸들(159)이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59)을 돌려서 하강시키면 와셔(158)가 내려가면서 압축스프링(157)을 압축시키게 되고, 핸들(159)을 돌려서 상승시키면 와셔(158)가 올라가면서 압축스프링(157)이 느슨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서 압축스프링(157)이 압축될수록 상부로드(155)를 회동시키는 힘을 커지게 되고, 느슨할수록 상기 힘은 작아진다. 이로 인해서 상기 핸들(159)을 정역 방향으로 돌리는 정도에 따라서 상부로드(155)를 회동시키는 회전력의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인장레버(120)의 상단에는 하부로드(151)의 일부가 끼워지는 삽입구(D)가 형성되고, 좌우 측방에는 홀(H)이 천공된다. 또한, 하부로드(151)에서 상기 홀(H)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각각 볼플런저(G)가 삽입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로드(151)를 인장레버(120)의 삽입구(D)에 끼우게 되면 볼플런저(G)가 홀(H)에 삽입되면서 장착이 완료된다.
이상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규정값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상부로드(155)가 꺾어지도록 압축스프링(157)의 압축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핸들(159)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 상기 압축 정도를 컨트롤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서처럼, 상기 인장레버(120)에 장착한 상태로 사용하게 되면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에서는 상부로드(155)가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꺾어지게 되므로 회전력의 전달이 방지된다.
따라서, 박스가 밴드(150)의 압박에 의해서 형상이 변형되든지, 내용물이 손상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특히, 제2실시예에 의한 상기 토크렌치(150)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토크렌치에 비해서 간단한 구조이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120: 인장레버
H: 홀 150: 토크렌치
151: 하부로드 153: 지지판
155: 상부로드 156: 수나사부
157: 압축스프링 158: 와셔
159: 핸들

Claims (2)

  1. 삭제
  2. 전후방으로 회동하는 인장레버(120)에 의해서 박스에 감긴 밴드(B)를 인장시켜서 결속되도록 하는 밴드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인장레버(120)에 연결되어, 규정값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꺾이도록 구성된 토크렌치(150)를 포함하고,
    상기 토크렌치(150)는,
    상기 인장레버(120)에 연결되는 하부로드(151)와,
    상기 하부로드(151)에 핀이음되어 회동가능한 상부로드(155)와,
    상기 하부로드(151)와 상부로드(155)가 통과하는 압축스프링(157)과,
    상기 압축스프링(157)을 받치도록 상기 하부로드(151)에 형성된 지지판(153)과,
    상기 상부로드(155)가 통과하고 상기 압축스프링(157)을 압축하도록 형성된 와셔(158)와,
    상기 상부로드(15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수나사부(156)와,
    상기 수나사부(156)에 체결되는 탭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회전에 의해서 상기 와셔(158)를 하강시키는 바(BAR) 형상의 핸들(15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KR1020200094439A 2020-07-29 2020-07-29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KR10247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39A KR102479878B1 (ko) 2020-07-29 2020-07-29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39A KR102479878B1 (ko) 2020-07-29 2020-07-29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22A KR20220014622A (ko) 2022-02-07
KR102479878B1 true KR102479878B1 (ko) 2022-12-20

Family

ID=8025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39A KR102479878B1 (ko) 2020-07-29 2020-07-29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98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905U (ko) * 1989-08-30 1991-04-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4622A (ko)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06158B2 (en) Wire strainer
US20120111206A1 (en) Machine for binding reinforcement bars
RU2419279C1 (ru) Обвя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пресса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крупных тюков
TWI700218B (zh) 捆束機
KR102479878B1 (ko) 토크렌치가 장착된 밴드결속기
KR102012517B1 (ko) 농산물 자동 묶음장치
DE60317998T2 (de) Vorrichtung zum Umreifen mit verbesserter Spanntrommel
US6009646A (en) Apparatus for tying and binding bales of compressed materials
US6283017B1 (en) Apparatus for tying and binding bales of compressed materials
US5012559A (en) Rope tightener
JP2003041775A (ja) 鉄筋結束機
US3865155A (en) Wire tensioning and tying tool means
KR100919703B1 (ko) 와이어 결속용 팬치
JP4016797B2 (ja) 鉄筋結束機
WO2018042243A1 (de) Vorrichtung zum spannen eines bezugs über ein bügelbrett
EP1972711B1 (de) Stickrahmen mit einer Spannvorrichtung
JP2005170489A (ja) 棒鋼・鋼管のワイヤ自動結束機
CN214420784U (zh) 双股钢丝捆扎收紧机
DE102011076278B4 (de) Abbindevorrichtung für Pressballen
US20090133775A1 (en) Wire-tying tool having clutch mechanism
CN213782742U (zh) 一种穿管器
JPH08169412A (ja) 自動結束機
AU2015264905B2 (en) Wire strainer
US2272521A (en) Band tying device
US6363583B1 (en) Fence-tighten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