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926Y1 - 철근 결속선 결속기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선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926Y1
KR200254926Y1 KR2020010025392U KR20010025392U KR200254926Y1 KR 200254926 Y1 KR200254926 Y1 KR 200254926Y1 KR 2020010025392 U KR2020010025392 U KR 2020010025392U KR 20010025392 U KR20010025392 U KR 20010025392U KR 200254926 Y1 KR200254926 Y1 KR 200254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spindle
ratchet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주현
Original Assignee
백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주현 filed Critical 백주현
Priority to KR2020010025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926Y1/ko

Lin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결속선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 선단에 후크가 형성된 수동식 돌리개 형태로 이루어져 있던 종래의 결속기를 사용하여 결속선을 결속시킬 때의 불편함을 감안하여, 작업자가 결속선을 결속시킨 상태에서 선단의 후크를 가결속시킨 결속선에 끼우고 손잡이를 당기면 결속선이 자동으로 견고하게 꼬여질 수 있도록, 선단에 후크(10)가 결합되고 외측에 나선홈(22)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20)이 끼워지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을 갖는 스핀들(40)과,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손잡이(30)의 내부에 수납되며 베어링(50)과 스핀들(40)사이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60)과, 상기 스핀들(40)내부에 설치되어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이 수용되며 그 외측에 래칫기어(82)가 형성된 래칫(80)과, 상기 스핀들(40)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8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래칫키이(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철근 결속선 결속기 {Connector for Reinforce Iron Core Connecting Wire}
본 고안은 철근 결속선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작업자가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만에 의해 결속선이 견고하게 결속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수고를 덜고 철근결속작업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래칫과 래칫키이에 의해 후크의 인출시에는 회전이 되고 원위치로 복귀시에는 정지상태에서 후퇴하도록 하여 결속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철근 아래에 스페이서 블록을 놓는 작업을 할 때에는 레버를 눌러 후크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철근을 당겨 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 건물의 골조를 이루는 철근은 건물의 구조상 요구로 하는 하중과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여 배근하게 되는데, 철근의 배근시에는 여러개를 서로 교차시켜 고정한 후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철근의 상호 결속을 위하여는 가느다란 연철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철근 결속선은 연철을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한 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작업자가 이를 소지하고 다니면서 결속이 필요한 위치에서 수동식 돌리개를 사용하여 철근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꼬아주어야 했었다.
이와 같은 철근 결속작업은 온전히 인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도 단순한 작업을 수없이 반복하여야 했었으므로 작업자의 손목에 많은 부담을 주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실용신안등록출원 제01-15106호로 철근 결속선 결속기를 출원한 바 있는데, 이는 작업자가 결속선을 결속시킨 상태에서 선단의 후크를 결속선에 끼우고 손잡이를 당기면 결속선이 자동으로 견고하게 꼬여질 수 있도록, 선단에 후크가 결합되고 외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축과, 이 축이 끼워지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의 나선홈에 끼워지는 볼을 갖는 스핀들과, 상기 축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베어링과 스핀들사이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한편,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고안은 후크가 당겨지면서 결속선을 결속시킬 때에도 회전이 되었음은 물론 원위치로 복귀시에도 축의 나선홈이 스핀들에 고정된 볼을 따라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결속선이 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잡아 당긴 상태에서 후크를 결속선에서 빼내어 주어야 했었으므로 결속기의 전체길이가 길어진 상태에서 후크를 결속선에서 빼기가 불편하여 실제 결속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이 이점에 대하여 개선을 요구해 왔었으며, 철근 아래에 스페이서 블록을 설치할 경우에 결속기의 후크를 철근에 걸고 위로 당긴 상태에서 스페이서 블록을 설치할 경우에도 축이 인출된 상태에서 철근을 당겨주어야 했었으므로 결속기의 전체길이가 길어져 작업이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에서 발견된 몇가지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철근 결속선의 결속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결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작업자가 결속선을 결속시킨 상태에서 선단의 후크를 결속선에 끼우고 손잡이를 당기면 후크가 회전되어 결속선이 자동으로 견고하게 꼬여질 수 있도록, 선단에 후크가 결합되고 외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축과, 이 축이 끼워지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의 나선홈에 끼워지는 볼을 갖는 스핀들과, 상기 축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베어링과 스핀들사이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에는 축의 나선홈에 끼워지는 볼이 수용되며 외측에 래칫기어가 형성된 래칫과, 래칫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래칫키이가 설치되어 후크를 결속선에 걸고 손잡이를 당기면 축이 손잡이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축이 회전하면 상기 래칫기어는 래칫키이에 걸린 상태가 되어 축 선단의 후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결속선을 꼬아 줄 수 있도록 하고, 결속선의 결속이 완료되어 손잡이에서 힘을 빼면 손잡이 내부의 복원스프링에 의해 돌출되었던 축이 손잡이 내부로 삽입될 때에는 래칫기어가 래칫키이에 걸리지 않고 래칫이 회전하면서 상대적으로 축은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후진할 수 있도록 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스핀들에는 스프링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축의 선단부에는 상기 레버를 누를 경우 레버 하단의 걸림부가 걸려 축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턱을 형성시켜 철근의 하부에 스페이서 블록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경우 결속기의 후크를 철근에 걸어 당기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기의 후크가 당겨진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결속기의 후크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축이 회전되면서 인출되도록 래칫이 래칫 키이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축이 제자리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래칫이 래칫 키이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레버를 눌러 후크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로 결속기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크 20 : 축
22 : 나선홈 24 : 걸림턱
30 : 손잡이 40 : 스핀들
42 : 볼 44 : 축공
50 : 베어링 52 : 키이와셔
60 : 복원스프링 70 : 캡
80 : 래칫 82 : 래칫기어
84 : 래칫키이 90 : 레버
91 : 걸림부 92 : 스프링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결속기는 선단에 후크 (10)가 결합되고 외측에 나선홈(22)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20)이 끼워지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을 갖는 스핀들(40)과, 상기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상기 손잡이(30)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베어링(50)과 스핀들 (40)사이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60)과, 상기 스핀들(40)내부에 설치되어 축(20)의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이 수용되며 그 외측에 래칫기어(82)가 형성된 래칫(80)과, 상기 스핀들(40)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8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래칫키이(8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래칫키이(84)는 스핀들(40)외측에 끼워진 스프링(86)에 의해 하방으로 눌려 래칫(80)의 래칫기어(82)와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 고안은 상기 스핀들(40)에는 스프링(92)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레버(90)가 설치되고, 상기 축(20)의 선단부에는 상기 레버(90)를 누를 경우 레버(90)하단의 걸림부(91)가 걸려 축(20)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어 레버(90)의 조작에 의해 축(20)의 인출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20)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선홈(22)은 이중나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핀들(40)에도 2개의 볼(42)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스핀들(40)은 손잡이(30)의 선단에 억지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스핀들(40)의 중심부에는 축(20)이 관통되어 슬라이드가능하도록 축공(4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래칫(80)에 수용된 볼(42)이 이 축공(44)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축공을 관통하는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진다.
도면중 부호 46은 스핀들(40)의 외측에 끼워지는 커버이다.
상기 손잡이(30)는 그 외측에 너얼링가공을 실시하여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를 당길때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잡이(30)의 후단에는 내부로 흙이나 기타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캡(70)을 씌운다.
상기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은 축(20)의 출몰동작시 손잡이 (30)의 내면과 마찰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축(20)의 출몰동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베어링과 손잡이의 내벽 사이에 충분한 여유(clearence)를 둔다.
도면중 부호 52는 베어링(50)을 축(20)의 후단에 고정시키기 위한 키이 와셔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축(20)의 외면에 형성되는 나선홈(22)은 축(20)의 회전수를 결정하게 되므로 그 피치를 더 짧게 하거나 더 길게 형성하여 요구로 하는 회전수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결속기의 후크가 당겨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작업자가 도시안된 결속선을 철근의 교차부위 또는 결속부위에 대고 감아 가결속시킨 상태에서 본 고안의 결속기 선단의 후크(10)를 결속선의 결속부위에 끼운 후 손잡이(30)를 잡아 당기면 손잡이(30)의 후퇴에 의해 내부의 축(20)은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30)선단의 스핀들(40)에 설치된 래칫(80)의 래칫기어(82)가 래칫키이(84)에 걸린 상태이므로 래칫(80)은 회전이 불가능하게 정지된 상태에서 이 래칫(80)에 설치된 볼(42)을 따라 축(20)의 나선홈 (22)이 끼워져 있으므로 축(2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를 잡아 당기는 동작에 의해 가결속된 결속선은 수회 꼬여지게 되면서 견고하게 결속된다.
작업자는 손잡이(30)를 당기는 힘을 조절하기만 하면 결속선의 결속력을 원하는 대로 할 수 있으며, 결속이 완료된 후 잡아당겼던 손잡이(30)에서 힘을 빼면 손잡이(30)의 전방으로 돌출되었던 축(20)이 내부의 복원스프링(60)에 의해 다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30)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30)선단의 스핀들(40)에 설치된 래칫(80)의 래칫기어(82)가 래칫키이(84)에 걸리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하려 하므로 래칫(80)은 축(20)의 후퇴동작에 의해 스핀들(40)내부에서 회전되므로 상대적으로 축(20)은 정지상태에서 후퇴동작을 하게 된다.
이처럼, 본 고안의 결속기는 작업자가 단순히 손잡이(30)를 당기는 동작만 취하게 되면 축(20)이 회전하면서 축(20)선단의 후크(10)가 결속선을 꼬아주게 되며, 결속선의 꼬기작업을 완료한 후 손잡이에서 힘을 빼면 축(20)이 정지상태에서 후퇴하므로 한번 꼬아진 결속선이 다시 풀리게 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축(20)이 손잡이(30)내부에 완전 수납된 상태에서 후크(10)를 결속선으로부터 빼낼 수 있으므로 빼내는 동작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레버를 눌러 후크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로 결속기를 사용하는 상태를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은 철근의 하부에 스페이서 블록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경우 레버(90)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레버(90)하단의 걸림부(91)가 축(20)의 걸림턱 (24)에 걸려 축(20)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후크(10)가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철근을 당겨 올릴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결속기는 손잡이를 당겨주는 동작에 의해 선단의 후크가 회전하면서 결속선을 결속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손목을 돌리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결속선의 결속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축의 후퇴시에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후퇴하므로 결속선이 풀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레버의 조작에 의해 축이 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철근 아래에 스페이서 블록을 설치하는 작업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등 배근작업에서 없어서는 아니되는 실용성을 갖는다.

Claims (2)

  1. 선단에 후크(10)가 결합되고 외측에 나선홈(22)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 (20)이 끼워지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을 갖는 스핀들(40)과, 상기 축 (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상기 손잡이(30)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베어링(50)과 스핀들(40)사이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60)과, 상기 스핀들(40)내부에 설치되어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이 수용되며 그 외측에 래칫기어(82)가 형성된 래칫(80)과, 상기 스핀들(40)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8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래칫 키이(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40)에는 스프링(92)에 의해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레버(90)가 설치되고, 상기 축(20)의 선단부에는 상기 레버(90)를 누를 경우 레버(90)하단의 걸림부(91)가 걸려 축(20)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걸림턱(24)이 형성되어 있어 레버(90)의 조작에 의해 축(20)의 인출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
KR2020010025392U 2001-08-22 2001-08-22 철근 결속선 결속기 KR200254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92U KR200254926Y1 (ko) 2001-08-22 2001-08-22 철근 결속선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92U KR200254926Y1 (ko) 2001-08-22 2001-08-22 철근 결속선 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926Y1 true KR200254926Y1 (ko) 2001-11-27

Family

ID=7310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92U KR200254926Y1 (ko) 2001-08-22 2001-08-22 철근 결속선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9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17Y1 (ko) 2011-09-26 2012-04-18 김성호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철근 결속기
CN109680957A (zh) * 2019-02-20 2019-04-26 中建八局浙江建设有限公司 自旋转钢筋绑扎钳及钢筋绑扎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17Y1 (ko) 2011-09-26 2012-04-18 김성호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철근 결속기
CN109680957A (zh) * 2019-02-20 2019-04-26 中建八局浙江建设有限公司 自旋转钢筋绑扎钳及钢筋绑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239B2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JP2009275486A (ja) 鉄筋結束機
CN113235938B (zh) 一种建筑工地用钢筋捆扎机
KR200254926Y1 (ko) 철근 결속선 결속기
KR200241851Y1 (ko) 철근 결속선 결속기
KR100910027B1 (ko) 철근 결속선 결속기
JP2659149B2 (ja) 撚線結束機
ZA200508401B (en) Method and machine for binding elongate objects together
JP2969353B1 (ja) コンジットパイプ配管用ガイド部材とその配管方法
CN109779381B (zh) 一种输电铁塔组立时内悬浮抱杆的拉绳紧固装置
CN208650534U (zh) 建筑施工时钢筋绑扎用伸缩旋转扎丝钩
CN211908225U (zh) 一种电力工程用电缆抱箍
JP5555059B2 (ja) 可撓電線管先導用具
CN213234346U (zh) 一种用于塑料薄膜铺设牵引装置
KR100419469B1 (ko) 철근결속용 회전구
CN110017028A (zh) 一种建筑使用的钢筋扭紧设备
KR200335567Y1 (ko) 철근 자동결속기
CN213381301U (zh) 一种多用钢筋捆扎辅助装置
CN220782060U (zh) 一种施工现场钢筋弯曲加工装置
KR200301039Y1 (ko) 철사 결속기
JPS6028719Y2 (ja) ロ−プの差し間形成装置
JP3024034U (ja) 鉄筋結束工具
JP3094178U (ja) 結束用具
KR200286504Y1 (ko) 철근결속용 회전구
CN215760521U (zh) 一种用于密集钢筋混凝土结构浇筑施工的振捣棒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