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027B1 - 철근 결속선 결속기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선 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027B1
KR100910027B1 KR1020090018982A KR20090018982A KR100910027B1 KR 100910027 B1 KR100910027 B1 KR 100910027B1 KR 1020090018982 A KR1020090018982 A KR 1020090018982A KR 20090018982 A KR20090018982 A KR 20090018982A KR 100910027 B1 KR100910027 B1 KR 100910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binding
reinforcing bar
gea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천
Original Assignee
이동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천 filed Critical 이동천
Priority to KR102009001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0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28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twisting
    • B65B13/285Han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결속선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를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철근 배근용 결속선을 조이는 동작은 물론 조여 놓았던 결속선을 푸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속고리를 길거나 짧은 것으로 교체하거나 결속고리 대신 드라이버 축이나 드릴 축을 끼워서 드라이버나 수동 드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선단에 결속고리(10)가 결합되고 외측에 2조의 나선홈(22,24)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20)이 끼워지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20)의 나선홈(22,2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래칫(41,42)을 갖는 방향전환부(40)와, 상기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상기 축(20)에 끼워져 손잡이(30) 내부에 수납되되 손잡이(30) 내부의 선단과 베어링(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축(20)이 손잡이(30) 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손잡이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90018982
철근, 결속선, 결속기, 나선홈, 왼나사, 오른나사

Description

철근 결속선 결속기 {wire binding tool for steel reinforcement}
본 발명은 철근 결속선 결속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손잡이를 잡아 당기 동작에 의해 철근 배근용 결속선을 꼬아 조이는 동작은 물론 꼬아 놓았던 결속선을 푸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속고리를 길거나 짧은 것으로 교체하거나 결속고리 대신 드라이버 축이나 드릴 축을 끼워서 자동 드라이버나 수동 드릴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41851호와 동 등록 제254926호의 철근 결속선 결속기, 특허 제754106호의 반자동 철근 결속기, 실용신안공개 제1998-037514호의 자동 회전식 철근 결속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는 결속고리가 선단에 형성된 축에 1줄의 나선홈이 형성되고, 상기 축이 끼워진 손잡이에는 상기 축의 나선홈에 끼워지는 볼(ball)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의 내부에는 외측으로 인출되었던 축의 복귀를 위한 복원스프링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결속기는 손잡이를 당기는 동작에 의해 축이 외측으로 인 출될 때, 이 축은 철근 결속선을 꼬아 조이는 방향(보통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으므로 결속선을 풀고자 할 경우에는 축을 손잡이에 고정한 상태에서 반대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결속기는 축과 결속고리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작업상황에 따라서 결속고리의 길이를 긴 것으로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 예를 들면 철근 내측 깊은 부위에 결속선을 결속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 공구를 사용할 수 없어 무용지물이 되는 단점도 있었으며, 결속고리를 교체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철근 결속기는 단지 결속기의 용도 외에는 달리 사용할 수 없는 사용상의 한계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결속선 결속기를 사용하여 결속선을 꼬아 조이는 동작은 물론 조여 놓았던 결속선을 푸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속고리를 길거나 짧은 것으로 교체하거나 결속고리 대신 드라이버 축이나 드릴 축을 끼워서 드라이버나 수동 드릴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단에 결속고리가 결합되고 외측에 각각 왼나사 방향과 오른나사 방향으로 2조의 나선홈이 형성된 축과, 이 축이 끼워지도록 관(pipe)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와, 이 손잡이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의 나선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래칫을 갖는 방향전환부와, 상기 축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축에 끼워져 손잡이 내부에 수납되되 손잡이 내부의 선단과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축이 손잡이 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손잡이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상기 축의 선단부에는 결속고리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켓이 구비되어 용도에 따라서 그 길이와 크기가 각기 다른 결속고리가 끼워지거나 결속고리가 아닌 일반 드라이버 축 또는 드릴 축이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드라이버나 드릴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방향전환부는 원통형의 몸체와, 이 몸체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축의 나선홈에 각각 끼워지는 돌기가 내면에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래칫에 물리는 기어이가 형성된 왼나사형 기어 및 오른나사형 기어와, 상기 래칫에 선택적으로 탄성을 부여하여 왼나사형 기어나 오른나사형 기어가 축의 나선홈에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동시에 걸리도록 하는 노브와, 상기 노브가 래칫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 외부에 씌워지는 원통형의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하나의 결속기를 사용하여 결속선을 조이는 동작은 물론 조여 놓았던 결속선을 푸는 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결속고리를 길거나 짧은 것으로 신속히 교체할 수 있으므로 작업여건에 따라 필요한 결속고리를 사용할 수 있어 어떠한 위치에서의 결속작업도 가능하고, 결속고리 대신 드라이버 축이나 드릴 축을 끼워서 드라이버나 수동 드릴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의 종단면도로서 도 1의 A -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결속기는 선단에 결속고리(10)가 결합되고 외측에 2조의 나선홈(22,24)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20)이 끼워지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20)의 나선홈(22,2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기어(44,45) 및 이 기어(44,45)를 선택적으로 괘해정하는 래칫(41,42)을 갖는 방향전환부(40)와, 상기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상기 축(20)에 끼워져 손잡이(30) 내부에 수납되되 손잡이(30) 내부의 선단과 베어링(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축(20)이 손잡이(30) 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손잡이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속고리(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와 크기가 각기 다른 것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철근 배근작업시의 상황에 따라서 손이 잘 닿지 않는 위치에의 결속작업은 길이가 긴 결속고리(10a)를 사용하고 접근이 용이한 장소에서는 길이가 짧은 결속고리(10b 또는 10c)를 사용하며, 결속선의 직경이나 수량에 따라서는 결속고리를 크거나 작은 것 중에서 적당한 것으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결속기를 사용하여 다양한 현장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으며, 결속고리가 아닌 드라이버나 기타 드릴 날 등을 부착하여 드라이버나 드릴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데, 이는 상기 축(20)의 선단부에는 결속고리(10)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켓(26)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소켓(26)은 도 3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의 누름 손잡이(26a)가 스프링(26b)에 의해 상방으로 밀린 상태에서는 소켓(26) 내부의 걸림편(26c)이 공구홈(26d) 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결속고리(10)의 후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1)과 회전방지턱(12)이 끼워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누름 손잡이(26a)를 손으로 밀어 내리게 되면 상기 걸림편(26c)이 외측으로 함몰되므로 공구홈(26d)에서 결속고리(10)를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에 적당한 결속 고리(10)나 기타 공구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바, 이와 같은 소켓(26)의 착탈구조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축(20)의 선단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속고리(10)가 분리가능하게 체결되는 소켓(26)이 구비되어 있고, 이 축(20)의 중간 부분에서부터 말단부까지는 그 외측에 2조의 나선홈(22,24)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의 나선홈(22)은 오른 나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하나의 나선홈(24)은 상기 오른나사 방향으로 형성된 나선홈(22)과 교차하도록 왼나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축(20)의 후단부에는 나선홈(22,24)이 형성된 부분보다 작은 직경으로 수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부(21)에는 베어링(50)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52)가 체결되어 상기 베어링(50)이 축(20)과 함께 손잡이(30) 내부에서 진퇴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손잡이(30)를 잡아당기는 동작 및 복원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하여 손잡이(30) 내부에서 축(20)의 진퇴동작이 부드럽고 조용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30)는 축(20)이 끼워지도록 내부가 빈 원통형의 관(pipe)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그 후단부에는 엔드캡(32)이 나사결합되어 끼워지며, 선단부에는 방향전환부(40)의 몸체(40a)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30)의 표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에 쥔 상태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표면가공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손잡이(30)의 표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서부터 후단까지 외경이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손잡이(30)를 잡고 주로 잡아당기는 동작에서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손잡이(30)의 뒷 부분 외경을 앞 부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향전환부(40)는 축(20)의 회전방향을 전환하거나 축(2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40a)와, 이 몸체(40a)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래칫(41,42)과, 상기 몸체(40a)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축(20)의 나선홈(22,24)에 각각 끼워지는 나선형 돌기(44a,45a)가 내면에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래칫(41,42)에 물리는 기어이(44b,45b)가 형성된 오른나사형 기어(44) 및 왼나사형 기어(45)와, 상기 래칫(41,42)에 선택적으로 탄성을 부여하여 오른나사형 기어(44)나 왼나사형 기어(45)가 축(20)의 나선홈(22,24)에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동시에 걸리도록 하는 노브(46)와, 상기 노브(46)가 래칫(41,42)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40a) 외부에 씌워지는 원통형의 캡(4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노브(46)는 그 하부에 래칫(41,42)을 누르기 위한 판스프링(46a)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외측에서 노브(46)를 슬라이딩 동작으로 위치이동시키기 위한 파지부(4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향전환부(40)에 표기한 도면 부호 41a,42a는 각각 기어(44,45)의 기어이(44b,45b)에 물리는 물림편으로, 이 물림편(41a,42a)은 내측의 기어(44,45)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물리고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기어이(44b,45b)에 걸리지 않고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각각 래칫(41,42)의 좌측 또는 우측의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기어이(44b,45b)에 접촉하는 안쪽면은 기어이(44b,45b)에 걸리기 용이하도록 하향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바깥쪽 면은 기어이(44b,45b)를 타고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상향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부호 47a는 캡(47)에 형성된 핀구멍이고, 부호 47b는 노브(46)의 슬라이딩동작을 선택하고 제한하기 위한 노브 구멍이며, 부호 48은 상기 방향전환부(40)의 몸체(40a)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이탈방지너트이고, 부호 48a는 몸체(40a)의 내부에 수납된 기어(44,45)의 전후유동을 제한하기 위한 반달형 키이(key)이며, 부호 49와 49a는 몸체(40a)의 외측에 씌워지는 원통형의 캡(47)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 및 스프링이다.
또, 부호 40b는 몸체(40a)의 외측에 형성되는 래칫 안착홈으로, 그 위와 아래쪽에 래칫(41,42)의 다리(41b,42b)가 끼워지는 경사진 홈이 형성되어 있고, 부호 40c는 상기 고정핀(49) 및 스프링(49a)이 끼워지는 핀홈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칫(41,42)은 노브(46)가 노브구멍(47b)에서 위 또는 아래로의 이동에 의해 어느 한쪽이 선택적으로 눌리게 되는데, 눌린 래칫(41 또는 42)은 기어(44,45)의 기어이(44b,45b)에 물리는 물림편(41a 또는 41b)부분이 들려지게 됨으로써 헛돌게 되며, 눌리지 않은 래칫(41 또는 42)은 기어(44,45)의 기어이(44b,45b)에 물리는 물림편(41a 또는 42a)이 기어이(44b,45b)에 물린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기어(44,45) 중의 어느 하나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어(44 또는 45)에 의해 내부에 설치된 축(20)의 회전방향이 결정된다.
또, 래칫(41,4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기어(44 또는 45)는 축(20)과 함께 제자리에서 회전되므로 축(20)의 회전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한편, 노브(46)를 노브구멍(47b)의 중간 즉, 중립위치에 놓게 되면 양측의 래칫(41,42)이 동시에 눌려지게 되는데, 이때에는 양측 래칫(41,42)의 물림편(41a,41b)이 각 기어(44,45)의 기어이(44b,45b)에 모두 물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결국 내부의 축(20)은 왼쪽이나 오른쪽의 어느방향으로도 회전하지 않게 되는 고정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여 철근 배근시 결속선을 결속시키거나 결속된 결속선을 해체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결속선을 결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40)의 노브(46)를 윗쪽으로 이동시키면 노브(46)에 의해 래칫(42)의 물림편(42a)이 왼나사형 기어(45)의 기어이(45b)에 물리게 되며, 이에 의해 기어(45)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45a)가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결속고리(10)를 철근(R)에 거치된 결속선(W)의 결속부위에 걸고 손잡이(30)를 잡아당기면 축(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결속선(W)을 꼬아 조이게 되며, 결속선(W)의 조임정도는 손잡이(30)를 잡아당기는 정도와 횟수에 의해 조절된다.
한편, 외측으로 당겨진 축(20)은 복원스프링(6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다시 손잡이(30) 내부로 수용되는데, 이때에는 축(20)은 회전되지 않고 후퇴되며 래칫(42)의 물림편(42a)이 기어(45)의 기어이(45b)에 물리지 않게 되므로 기어(45)만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된다.
또, 결속선(W)을 풀거나 느슨하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40)의 노브(46)를 아랫쪽으로 이동시키면 노브(46)에 의해 다른 래칫(41)이 오른나사형 기어(44)의 기어이(44b)에 물리게 되며, 오른나사형 기어(44)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44a)가 축(20)의 또 다른 나선홈(24)에 끼워진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결속고리(10)를 결속선(W)의 결속부위에 걸고 손잡이(30)를 잡아당기면 축(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꼬여 있던 결속선을 풀게 된다.
한편, 노브(46)를 노브 구멍(47b)의 중간에 위치시킬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래칫(44,45)이 모두 오른나사형 기어(44)와 왼나사형 기 어(45)의 외측에 형성된 기어이(44b,45b)에 물리게 되므로 이 기어(44,45)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44a,45a)가 각각 축(20)의 오른사나형 나선홈(24)과 왼나사형 나선홈(2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축(20)이 회전되지 않게 되어 손잡이(30)를 돌리는 작업에 의해 축(2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는 도면에 도시된 결속고리 대신 드라이버 축이나 드릴 축을 끼워서 드라이버나 수동 드릴로도 사용할 수 있는 데, 이때 상기 드라이버 축이나 드릴 축의 끝 부분에는 소켓(26)의 걸림편(26c)에 걸리는 걸림홈과 회전방지턱을 형성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철근 결속선 결속기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속기로 결속선을 조이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속기로 결속선을 푸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결속기에 사용되는 결속고리의 다양한 크기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10b,10c : 결속고리 11 : 걸림홈
12 : 회전방지턱 20 : 축
22,24 : 나선홈 26 : 소켓
26a : 누름손잡이 26b : 스프링
26c : 걸림편 26d : 공구홈
30 : 손잡이 32 : 엔드캡
34 : 수나사부 40 : 방향전환부
40a : 몸체 41,42 : 래칫
41a,42a : 물림편 41b,42b : 다리
44,45 : 기어 44a,45a : 나선형 돌기
44b,45b : 기어이 46 : 노브
46a : 판스프링 46b : 파지부
47 : 캡 47a : 핀구멍
47b : 노브구멍 48 : 이탈방지너트
48a : 반달형 키이 49 : 고정핀
49a : 스프링 50 : 베어링
52 : 고정너트 60 : 복원스프링

Claims (4)

  1. 선단에 결속고리(10)가 결합되고 외측에 각각 왼나사방향과 오른나사방향으로 2조의 나선홈(22,24)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20)이 끼워지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20)의 나선홈(22,24)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기어(44,45) 및 이 기어(44,45)를 선택적으로 괘해정하는 래칫(41,42)을 갖는 방향전환부(40)와, 상기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상기 축(20)에 끼워져 손잡이(30) 내부에 수납되되 손잡이(30) 내부의 선단과 베어링(5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축(20)이 손잡이(30) 외부로 인출된 후 다시 손잡이 내부로 수납되도록 복원력을 부여하는 복원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20)의 선단부에는 결속고리(10)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소켓(26)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전환부(40)는 원통형의 몸체(40a)와, 이 몸체(40a)의 외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래칫(41,42)과, 상기 몸체(40a)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축(20)의 나선홈(22,24)에 각각 끼워지는 돌기(44a,45a)가 내면에 형성되고 외면에는 상기 래 칫(41,42)에 물리는 기어이(44b,45b)가 형성된 오른나사형 기어(44) 및 왼나사형 기어(45)와, 상기 래칫(41,42)에 선택적으로 탄성을 부여하여 오른나사형 기어(44)나 왼나사형 기어(45)가 축(20)의 나선홈(22,24)에 선택적으로 걸리거나 동시에 걸리도록 하는 노브(46)와, 상기 노브(46)가 래칫(41,42)을 누른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몸체(40a) 외부에 씌워지는 원통형의 캡(4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선 결속기.
  4. 삭제
KR1020090018982A 2009-03-05 2009-03-05 철근 결속선 결속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910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82A KR100910027B1 (ko) 2009-03-05 2009-03-05 철근 결속선 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982A KR100910027B1 (ko) 2009-03-05 2009-03-05 철근 결속선 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027B1 true KR100910027B1 (ko) 2009-07-30

Family

ID=4133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9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10027B1 (ko) 2009-03-05 2009-03-05 철근 결속선 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02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78B1 (ko) 2014-02-11 2015-11-23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원터치식 해체도구
KR101916638B1 (ko) * 2018-07-20 2018-11-07 최이구 철근 결속구
CN111550058A (zh) * 2020-06-01 2020-08-18 张宇 一种钢筋网绑扎装置
EP3677736A4 (en) * 2018-05-03 2021-05-26 Guangdong Shunde Huayan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STEEL BAR STRAPPING MACHINE AND INTERCHANGEABLE PISTOL HEAD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IT
CN113463926A (zh) * 2021-06-04 2021-10-01 郑州商学院 一种钢筋绑扎工具
KR20220159236A (ko) 2021-05-24 2022-12-02 정봉제 무동력 철근결속기
CN119266544A (zh) * 2024-12-09 2025-01-07 闽南理工学院 一种可正反旋转的新型钢筋扎钩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79B1 (ko) * 1994-10-12 1998-04-24 김광호 철근 결속기
JP2001009751A (ja) 1999-06-30 2001-01-16 Takashi Sakamoto 針金結束工具
KR100754109B1 (ko) 2006-11-24 2007-08-3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반자동 철근 결속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4279B1 (ko) * 1994-10-12 1998-04-24 김광호 철근 결속기
JP2001009751A (ja) 1999-06-30 2001-01-16 Takashi Sakamoto 針金結束工具
KR100754109B1 (ko) 2006-11-24 2007-08-31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반자동 철근 결속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078B1 (ko) 2014-02-11 2015-11-23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착탈식 데크플레이트 구조 원터치식 해체도구
EP3677736A4 (en) * 2018-05-03 2021-05-26 Guangdong Shunde Huayan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STEEL BAR STRAPPING MACHINE AND INTERCHANGEABLE PISTOL HEAD AND OPERATING PROCEDURES FOR IT
KR101916638B1 (ko) * 2018-07-20 2018-11-07 최이구 철근 결속구
CN111550058A (zh) * 2020-06-01 2020-08-18 张宇 一种钢筋网绑扎装置
KR20220159236A (ko) 2021-05-24 2022-12-02 정봉제 무동력 철근결속기
CN113463926A (zh) * 2021-06-04 2021-10-01 郑州商学院 一种钢筋绑扎工具
CN113463926B (zh) * 2021-06-04 2022-11-15 郑州商学院 一种钢筋绑扎工具
CN119266544A (zh) * 2024-12-09 2025-01-07 闽南理工学院 一种可正反旋转的新型钢筋扎钩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027B1 (ko) 철근 결속선 결속기
US10040188B2 (en) Ratchet handle having an extension member
KR20150002562A (ko) 반자동래칫철근결속기
DE2009428B2 (de) Handwerkzeug zum Setzen oder Installieren von Blindankermuttern
JP5689723B2 (ja) ハンドル回動式掃除具
US4692116A (en) Dental pin and holder
WO2011092477A1 (en) Tap tool
CN211114881U (zh) 一种新型钢筋绑扎勾
JP5876924B2 (ja) T字形ハンドル回動式掃除具
US7069962B2 (en) Wire cutting and twisting tool with spool assembly and manual wire feeding mechanism
KR20220159236A (ko) 무동력 철근결속기
RU164231U1 (ru) Ключ универсальный зажимной со съёмными губками
KR20090083663A (ko) 와이어 결속용 팬치
CN106168066A (zh) 一种建筑模板的快速拉紧器
US2696134A (en) Slidable inner jaw wrench
KR200254926Y1 (ko) 철근 결속선 결속기
DE102006044506A1 (de) Als Hammer ausgebildetes Schlagwerkzeug
CN2429380Y (zh) 一种货物固定架
KR100419469B1 (ko) 철근결속용 회전구
KR200160806Y1 (ko) 철근결속용 철사조임구
KR101069739B1 (ko) 물림폭과 물림깊이의 조절이 자유로운 조립식 렌치
KR200291543Y1 (ko) 철근 결속구
JP2003301529A (ja) 建築構造材用ねじ式接合具
JP3094178U (ja) 結束用具
KR20010000303U (ko) 철사 결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9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