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638B1 - 철근 결속구 - Google Patents

철근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638B1
KR101916638B1 KR1020180084895A KR20180084895A KR101916638B1 KR 101916638 B1 KR101916638 B1 KR 101916638B1 KR 1020180084895 A KR1020180084895 A KR 1020180084895A KR 20180084895 A KR20180084895 A KR 20180084895A KR 101916638 B1 KR101916638 B1 KR 101916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ll
cap
spiral
bea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이구
Original Assignee
최이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이구 filed Critical 최이구
Priority to KR1020180084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6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04G21/122Machines for joining reinforcing bars
    • E04G21/123Wire twis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축; 상기 나선축이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 지점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직경 축소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을 마감하는 캡; 상기 나선축을 감싼 상태에서 손잡이 내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기 캡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원 스프링; 상기 손잡이의 타단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홈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 유닛; 및,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 스프링의 일단과 베어링 유닛의 일단이 상기 직경 축소부에 걸려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므로, 나선축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부분과 상기 나선축에 회전 운동을 유도하는 베어링 유닛이 손잡이 내에서 직경 축소부를 중심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유닛 부분의 손상, 및 캡이나 복원 스프링 쪽의 손상이 별도로 관리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한결 편리해지고 조립작업이 한층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철근 결속구{Tool for Connecting Steel Bars}
본 발명은 철근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후크가 결합된 나선축이 회전하여 반자동으로 결속선을 꼬도록 구성된 철근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많은 철근이 시공되며 상기 철근들은 결속선에 의해 그 교차부가 서로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결속선이 철근의 교차부에 권취된 후 그 끝단부를 꼬는 작업에 의해 철근의 교차부가 서로 결속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철근 교차부에 권취된 결속선의 꼬임작업시 결속용 후크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결속선의 꼬임작업을 행함으로써 결속선의 꼬임회수가 부정확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결속 강도가 다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작업자의 손목의 힘으로 결속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피로도가 누적됨으로써 안전사고의 위험이 뒤따르며, 시공품질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근 골격계 질환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단순히 잡아당기는 동작에 의해 후크가 결합된 나선축이 회전하여 반자동으로 결속선을 꼬도록 구성된 철근 결속구가 개시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아래 선행문헌 1에 따른 철근 결속선 결속기는, 선단에 후크(10)가 결합되고 외측에 나선홈(22)이 형성된 축(20)과, 이 축 (20)이 끼워지도록 관형태로 이루어진 손잡이(30)와, 이 손잡이(30)의 선단에 결합되며 상기 축(20)의 나선홈(22)에 끼워지는 볼(42)을 갖는 손잡이(40)와, 상기 축(20)의 후단에 결합되는 베어링(50)과, 상기 손잡이(30)의 내부에 수납되며 상기 베어링(50)과 손잡이(40)사이에 위치하는 복원스프링(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러나, 선행문헌 1에 따르면, 볼(42)을 손잡이(40)와 축(20) 사이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2에는 손잡이(20)와 축(30) 사이에 베어링 몸체(50)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 몸체(50)의 측면에 형성된 볼 삽입홀(52)에 볼(60)을 삽입한 후 이탈방지캡(54)으로 마감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도 4a와 도 4b 참조).
그러나, 선행문헌 2에서의 구조에 따르면, 이탈방지캡(54)과 같이 베어링 몸체(50)의 측면을 마감하는 구성요소가 포함되고 이탈방지캡(54)이 손잡이(20)의 내면과 간섭하지 않도록 볼 삽입홀(52)에 정밀한 치수로 삽입되어야 했으므로 조립작업이 어렵고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결속선의 결속 작업 중, 볼(60)과 이탈방지캡(54)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이탈방지캡(54)이 마모되어 쉽게 고장이 발생할 수 있었으며, 고장이 발생한 후 상기 이탈방지캡(54)을 베어링 몸체(50)에서 분리하기도 어려워 유지보수가 곤란하다는 단점도 있었다.
선행문헌 1 :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1851호 (2001.07.27) 선행문헌 2 :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2584호 (2010.03.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어링의 조립 작업과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철근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기간 반복적으로 결속작업을 수행하여도 베어링의 마모가 적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철근 결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축;
상기 나선축이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 지점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직경 축소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을 마감하는 캡;
상기 나선축을 감싼 상태에서 손잡이 내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기 캡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원 스프링;
상기 손잡이의 타단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홈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 유닛; 및,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원 스프링의 일단과 베어링 유닛의 일단이 상기 직경 축소부에 걸려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직경 축소부에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지지 스프링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지지 스프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부시;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안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나선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테두리에는 축방향을 따라 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베어링 몸체; 및,
상기 볼 수용홈, 제1 플랜지, 손잡이의 내면 및 나선홈 사이에 수용되는 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어링 몸체는,
상기 볼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나사 결합하는 볼 고정부; 및,
상기 볼 고정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볼 고정부의 외면 직경보다 큰 가로방향 치수를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볼 수용홈은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볼 수용홈은 4각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플랜지와 함께 상기 볼을 수용하는 4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나선축에서 상기 캡이 위치한 쪽에는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에는 걸림 와셔가 삽입되되 상기 걸림 와셔는 상기 걸림턱과 복원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며,
상기 복원 스프링에서 상기 캡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2 파이프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부시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나선축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부분과 상기 나선축에 회전 운동을 유도하는 베어링 유닛이 손잡이 내에서 직경 축소부를 중심으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베어링 유닛 부분의 손상, 및 캡이나 복원 스프링 쪽의 손상이 별도로 관리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한결 편리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된 캡을 손으로 단순히 회전시켜서 분리할 수 있어 복원 스프링의 인출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유닛은 직경 축소부에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지지 스프링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지지 스프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부시, 손잡이의 타단에 안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나선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테두리에는 축방향을 따라 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베어링 몸체 및, 상기 볼 수용홈, 제1 플랜지, 손잡이의 내면 및 나선홈 사이에 수용되는 볼을 포함하므로, 상기 볼을 나선축과 손잡이 사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별도의 도구 없이도 쉽게 분리가 가능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후크부가 나선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후크부를 나선축에서 분리한 후 상기 나선축을 캡이 있는 손잡이의 일단부로부터 삽입한 후 베어링 유닛을 타단으로부터 설치할 수 있어 조립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볼이 볼 수용홈, 제1 플랜지, 손잡이의 내면 및 나선홈에 의해 생성된 4각형 공간에 수용되되 다소 유격이 있는 상태로 배치되고 볼과 날카롭게 접촉하는 부분도 없으므로 반복 작동을 하더라도 마모량이 최소화 된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베어링 몸체를 구성하는 볼 고정부에서 볼 수용홈이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이루어지므로 균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1a는 선행문헌 1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는 선행문헌 1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선행문헌 2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는 선행문헌 2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h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의 조립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1000)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에 나선홈(110)이 형성된 나선축(100), 상기 나선축(100)이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 지점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직경 축소부(210)를 포함하는 손잡이(200), 상기 손잡이(200)의 일단을 마감하는 캡(300), 상기 나선축(100)을 감싼 상태에서 손잡이(200) 내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기 캡(300)과 직경 축소부(2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원 스프링(400),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과 직경 축소부(21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홈(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 유닛(500) 및, 상기 나선축(1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60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를 결속선(W)에 걸어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나선축(100)의 나선홈(110)이 상기 베어링 유닛(500)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손잡이(200)에 대하여 나선축(100)이 회전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부(600)에 걸린 결속선(W)이 자동으로 꼬이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원 스프링(400)의 타단과 베어링 유닛(500)의 일단이 상기 직경 축소부(210)에 걸려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나선축(100)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부분과 상기 나선축(100)에 회전 운동을 유도하는 베어링 유닛(500)이 상기 직경 축소부(210)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직경 축소부(210)로부터 손잡이(200)의 캡(300) 쪽 일단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직경 축소부(210)로부터 반대쪽 타단부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베어링 유닛(500) 부분의 손상, 및 캡(300)이나 복원 스프링(400) 쪽의 손상이 별도로 관리될 수 있어 유지보수가 한결 편리해진다.
즉, 베어링 유닛(500) 내에 손상이 있는 경우 손잡이(200)에 대하여 베어링 유닛(500)만을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보수가 가능하고, 캡(300)이나 복원 스프링(400) 쪽에 손상이 있는 경우 캡(300)을 개방시켜서 복원 스프링(400)을 분리함으로써 용이한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캡(300)은 손잡이(200)의 일단에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손으로 간단히 상호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후크부(600)가 나선축(1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횡단면 폭이 큰 후크부(600)를 사전에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나선축(100)을 손잡이(200)의 일단부로부터 삽입한 후 베어링 유닛(500)을 타단으로부터 설치할 수 있어 조립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베어링 유닛(500)은, 상기 직경 축소부(210)에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510), 상기 지지 스프링(510)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521)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지지 스프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1 플랜지(522)를 포함하는 제1 부시(520),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에 안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나선축(100)이 통과하는 관통공(53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522)에 대향하는 테두리에는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볼 수용홈(532)이 형성되는 베어링 몸체(530) 및, 상기 볼 수용홈(532), 제1 플랜지(522), 손잡이(200)의 내면 및 나선홈(110) 사이에 수용되는 볼(54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를 결속선(W)에 걸어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나선축(100)의 나선홈(110)이 상기 베어링 유닛(500)의 볼(540)을 통해 안내되면서 상기 손잡이(200)에 대하여 나선축(100)이 회전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후크부(600)에 걸린 결속선(W)이 자동으로 꼬이게 된다.
상기 볼(540)이 볼 수용홈(532), 제1 플랜지(522), 손잡이(200)의 내면 및 나선홈(110)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수용되되 다소 유격이 있는 상태로 배치되고 볼(540)과 날카롭게 접촉하는 부분이 없으므로 반복 작동을 하더라도 마모량이 최소화 될 수 있다.
상기 볼 수용홈(532)은 대략 4각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플랜지(522)와 함께 상기 볼(540)이 수용되는 4각형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몸체(530)는, 상기 볼 수용홈(532)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에 나사 결합하는 볼 고정부(538) 및, 상기 볼 고정부(538)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볼 고정부(538)의 외면 직경보다 큰 가로방향 치수를 가지는 헤드부(5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립시 손가락으로 상기 헤드부(539)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상기 볼 고정부(538)가 상기 손잡이(200)의 내면에 용이하게 나사 결합되므로 조립작업이 한층 편리하다.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헤드부(539)는 원형으로 이루어져도 되나 손가락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육각 등 각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볼 고정부(538)에서 상기 볼 수용홈(532)은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균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축(100)에서 상기 캡(300)이 위치한 쪽 근방에는 외주면에 걸림턱(120)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100)에는 걸림 와셔(440)가 삽입되되 상기 걸림턱(120)과 복원 스프링(4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복원 스프링(400)이 상기 걸림턱(120)에 걸리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원 스프링(400)에서 상기 캡(300)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2 파이프(431)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제2 파이프(431)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2 플랜지(432)를 포함하는 제2 부시(4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시(430)를 구성하는 제2 플랜지(432)는 상기 직경 축소부(210)에 걸려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손잡이(200)를 결속선(W)에 걸어서 잡아당기게 되면 나선축(100)의 걸림턱(120)에 걸린 걸림 와셔(440)가 상기 복원 스프링(400)의 일단을 누르게 되고, 상기 직경 축소부(210)에 걸린 제2 플랜지(432)에 대하여 상기 복원 스프링(400)이 압축된다.
한편, 상기 후크부(600)는 상기 나선축(100)의 단부에 나사 결합이나 원터치 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나선축(100)의 일단부에는 후크 고정부(450)가 나선축(100)과 동심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600)가 후크 고정부(45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크 고정부(450)는 나선축(100)보다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나선홈(110)은 나선축(10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하여 볼(540)이 볼 수용홈(532)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200)의 타단에 대하여 베어링 몸체(530)를 회전시켜서 결합할 때 볼(540)이 자연스럽게 나선축(100)의 나선홈(11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플라스틱이나 고무 소재의 그립부(800)가 손잡이(200)를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그립부(200)의 타단을 축방향(길이방향)에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몸체(530)의 볼 고정부(538)를 통과하며 상기 헤드부(539)와 손잡이(200)의 타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지지 와셔(8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립부(200)의 일단은 상기 캡(300)의 타단에 걸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구(1000)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300)의 위치와 반대쪽인 나선축(100)의 단부로부터 걸림 와셔(440)와 복원 스프링(400)을 삽입하고, 상기 복원 스프링(400)의 타단부에는 제2 부시(430)를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축(100)을 손잡이(200)의 일단쪽 개구를 통해 인입하되 상기 제2 부시(430)로부터 삽입한다.
이 경우, 상기 제2 부시(430)의 제2 플랜지(432)가 손잡이(200)의 직경 축소부(210)에 걸릴 때까지 삽입한다.
다음 상기 캡(300)으로 상기 손잡이(200)의 일단부 개구를 마감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원 스프링(400)이 상기 캡(300)과 제2 플랜지(432) 및 직경 축소부(210) 사이에서 다소 압축되거나 단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나선축(100)의 타단은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부로부터 나선축(100)을 감싼 상태로 지지 스프링(510)을 삽입하여 직경 축소부(210)에 일단이 지지되도록 하고, 지지 스프링(510)의 타단부에는 제1 부시(520)를 설치한다.
이 경우, 제1 부시(520)의 제1 파이프(521)가 지지 스프링(510)의 안쪽에 끼워지도록 하고 제1 플랜지(522)는 손잡이(200)의 타단에 면하도록 한다.
이어서,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몸체(530)를 손잡이(200)의 타단에 결합하되, 헤드부(539)를회전시켜서 볼 고정부(538)가 손잡이(200) 타단의 내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 몸체(530)를 상기 손잡이(200)에 충분히 회전시켜서 고정하면 상기 지지 스프링(510)에 의해 상기 제1 부시(520)가 상기 볼 고정부(538)에 눌려서 접촉하며, 상기 볼 고정부(538)의 일단에 형성된 볼 수용홈(532)와 제1 부시(520)의 제1 플랜지(522)에 의해 볼(540)이 삽입될 공간이 형성된다.
즉, 지지 스프링(510)은 상기 손잡이(20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단부까지 미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베어링 몸체(530)가 나사 결합을 위해 회전하면서 전진할 때 비로소 눌려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40)을 볼 수용홈(532)에 수납하기 전에 먼저 베어링 몸체(530)의 타단으로부터 약간 돌출된 후크 고정부(450)에 후크부(600)를 나사 결합한다.
이어서, 도 6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몸체(530)를 손잡이(200)의 타단에서 분리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상기 볼 수용홈(532)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크부(600)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볼 수용홈(532)을 나선홈(110)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540)을 볼 수용홈(532)에 삽입시킨다.
이 경우, 상기 볼 수용홈(532)과 손잡이(200)의 타단 사이로 볼(540)을 삽입하게 되며, 볼 수용홈(532)이 충분히 노출되지 않아 볼(540)이 걸리는 경우 상기 베어링 몸체(530)를 손잡이(200)의 타단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손잡이(200)의 타단으로부터 약간 잡아 당겨서 완전히 노출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이때 복원 스프링(400)에 의해 베어링 몸체(530)와 후크부(600)가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힘이 작용한다.
이와 같이 후크부(600)를 회전시키면서 볼 수용홈(532)과 나선홈(110)을 대등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조립에 매우 간편하게 된다.
도 6h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540)이 볼 수용홈(532)에 삽입 완료되면 상기 베어링 몸체(530)를 회전시켜서 나선축(100)의 타단에 완전히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볼(540)이 볼 수용홈(532), 제1 플랜지(522), 손잡이(200)의 내면 및 나선홈(110)에 의해 생성된 공간에 약간의 유격을 두고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나선축
110... 나선홈
120... 걸림턱
200... 손잡이
210... 직경 축소부
300... 캡
400... 복원 스프링
440... 걸림 와셔
500... 베어링 유닛
510... 지지 스프링
520... 제1 부시
521... 제1 파이프
522... 제1 플랜지
530... 베어링 몸체
531... 관통공
532... 볼 수용홈
538... 볼 고정부
539... 헤드부
540... 볼
600... 후크부
800... 그립부
810... 지지 와셔
1000... 철근 결속구
W... 결속선

Claims (5)

  1.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축;
    상기 나선축이 삽입되도록 관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방향 일 지점에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직경 축소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일단을 마감하는 캡;
    상기 나선축을 감싼 상태에서 손잡이 내에 수용되어 길이방향으로 상기 캡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원 스프링;
    상기 손잡이의 타단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나선홈의 이동을 안내하는 베어링 유닛; 및,
    상기 나선축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여,
    상기 복원 스프링의 일단과 베어링 유닛의 일단이 상기 직경 축소부에 걸려서 축방향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베어링 유닛은,
    상기 직경 축소부에 일단이 지지되는 지지 스프링;
    상기 지지 스프링의 타단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지지 스프링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1 부시;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안쪽으로 결합되며 상기 나선축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플랜지와 대향하는 테두리에는 축방향을 따라 볼 수용홈이 형성되는 베어링 몸체; 및,
    상기 볼 수용홈, 제1 플랜지, 손잡이의 내면 및 나선홈 사이에 수용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몸체는,
    상기 볼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의 타단에 나사 결합하는 볼 고정부; 및,
    상기 볼 고정부의 타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볼 고정부의 외면 직경보다 큰 가로방향 치수를 가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며,
    축방향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볼 수용홈은 반경방향으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총 2개로 이루어지고,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볼 수용홈은 4각의 채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 플랜지와 함께 상기 볼을 수용하는 4각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에서 상기 캡이 위치한 쪽에는 외주면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축에는 걸림 와셔가 삽입되되 상기 걸림 와셔는 상기 걸림턱과 복원 스프링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며,
    상기 복원 스프링에서 상기 캡의 반대쪽 단부에 설치되는 제2 파이프와, 축방향을 따라 바라볼 때 상기 제2 파이프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절곡되어 확장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제2 부시가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결속구.
KR1020180084895A 2018-07-20 2018-07-20 철근 결속구 KR101916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95A KR101916638B1 (ko) 2018-07-20 2018-07-20 철근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895A KR101916638B1 (ko) 2018-07-20 2018-07-20 철근 결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638B1 true KR101916638B1 (ko) 2018-11-07

Family

ID=6436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895A KR101916638B1 (ko) 2018-07-20 2018-07-20 철근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6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51Y1 (ko) * 2001-05-23 2001-10-29 백주현 철근 결속선 결속기
KR100910027B1 (ko) * 2009-03-05 2009-07-30 이동천 철근 결속선 결속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1851Y1 (ko) * 2001-05-23 2001-10-29 백주현 철근 결속선 결속기
KR100910027B1 (ko) * 2009-03-05 2009-07-30 이동천 철근 결속선 결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05006032T2 (de) Feststellung für Verlängerungskabel und Steckkupplung
US5926961A (en) Tree trimmer with telescopic rod
WO2014203416A1 (ja) 靴紐巻取用リール
US7530334B1 (en) Shock absorber for attachment to a dog leash
AU780615B2 (en) Nut assembly
DE102013004844A1 (de) Haltevorrichtung für einen Versorgungsstrang
DE112015003754T5 (de) Einziehbare Leine mit biegsamem Griff
DE1929597A1 (de) Schlauchverbindungen,insbesondere fuer Staubsaugerschlaeuche
KR20150002562A (ko) 반자동래칫철근결속기
KR101916638B1 (ko) 철근 결속구
DE102015207151A1 (de) Befestigungsmittel für Handwerkzeugmaschine
JP7401628B2 (ja) 波付管の接続部構造
US2619860A (en) Flexible tool with predetermined overload yielding means
EP3257734A1 (de) Fahrradgriff
DE102004058556A1 (de) Saugschlauch für Staubsauger
DE2834009B1 (de) Vorrichtung zum Verbinden der Enden zweier Rohre o.dgl. mit einer schraublosen Bandschelle
DE102004060753A1 (de) Halteelement für eine Federbandschelle
KR20090083663A (ko) 와이어 결속용 팬치
JP6058305B2 (ja) 工具落下防止用安全ロープ
NZ328011A (en) Pipe coupling; hollow body part has a tail onto which a pipe is engaged and a coupling nut captively mounted on the part and with a screw threaded interior
CN110121263A (zh) 手持工具
EP2095911B1 (de) Arbeitsgerät mit einer Zugentlastung für ein Anschlusskabel
DE19641108C1 (de) Vorrichtung zur Sicherung und Entsicherung des aufgeweiteten Zustands einer Schelle aus einem ringförmig gebogenen Federstahlelement
US6345793B1 (en) Flexible rotatable handle for transmitting tension, compression and torque forces
JP2016182673A (ja) 工具落下防止用安全ロ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