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608B1 -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608B1
KR101377608B1 KR1020120059490A KR20120059490A KR101377608B1 KR 101377608 B1 KR101377608 B1 KR 101377608B1 KR 1020120059490 A KR1020120059490 A KR 1020120059490A KR 20120059490 A KR20120059490 A KR 20120059490A KR 101377608 B1 KR101377608 B1 KR 101377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reinforcing bar
fastening
shaft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5686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120059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60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5/00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 B21F15/02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 B21F15/04Connecting wire to wire or other metallic material or objects; Connecting parts by means of wire wire with wire without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e.g. by twi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및 철근 걸이당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 공사 등에 격자형 또는 수평으로 놓여 있는 다수개의 철근을,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자동 결속장치의 내부에 장전된 U자형의 클립을 한개씩 타발시킴과 동시에 작동날개의 걸이홈에 삽입되는 클립을 꼬아서 배근된 철근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Ties of solidarity that reinforced rebar clip device}
본 발명은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자동 결속장치의 내부에 장전된 U자형의 클립이 한개씩 타발되어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 공사 등에 격자형 또는 수평으로 놓여 있는 다수개의 철근을 감싸줌과 동시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작동날개의 걸림홈에 클립이 삽입되어 꼬아지면서 배근된 철근을 단단하게 결속하여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근이라 함은 주택 및 상업용 건물을 구축하는 건축공사나 토목공사 및 옹벽과 같은 구조물의 내부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법정규격으로 배치되는 철근을 말하며, 이러한 철근의 연접부위는 콘크리트가 양생 될 때까지 상호 이탈이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는 연질의 철사를 사용하여 묶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된 클립을 사람이 일차적으로 반으로 구부린 다음 직접 철근의 둘레에 휘감아서 철사의 끝단을 손으로 잡고 작업공구(속칭 뺑뺑이)를 이용하여 구부러진 부위를 당겨 꼬아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수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손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결속작업의 효율성이 높지 못하고, 노동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인건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배근 결속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속장력이 일정하지 않아 결속 후 클립이 결속상태를 지속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다양한 종류의 결속장치가 개발되어 결속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개발한 철근결속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은 철근을 기계적인 방식에 의해 완벽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철사를 롤로 하거나 클립의 결합면을 톱니형으로 맞물리게 개발하였기 때문에, 클립의 작업공정이나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톱니형의 클립을 장전하여 타발하는 철근결속기의 구조원리도 복잡하였던 것이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자동결속장치를 출원하였으나(출원번호 10-2012-0032010 ), 원터치방식에 의해 구동하면서 클립을 회전시켜주는 구동장치의 연결수단이 다수개의 기어 맞물림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기어와 기어의 연결시 맞물림이 원활하지 못하여 결속장치가 원활하게 가동하지 못함은 물론 기어와 기어가 만나는 시점에서 기어의 마모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철근결속장치는 장전수단에서 하나씩 타발되는 클립을 결속기어의 삽입공으로 삽입시켜 결속기어가 회전하면서 클립을 꼬아 결속하는 것이다. 그러나 결속기어의 회전으로 인하여 삽입공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타발되는 클립이 정확하게 삽입공으로 삽입되지 않고 위치를 벗어나기 때문에 철근결속시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철근 결속장치는 손잡이부가 지지수단에 직접 부착되어 있으므로 철근을 결속하고자 할 때, 앉거나 허리를 굽혀서 엎드린 자세로 계속하여 철근을 결속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었다.
1.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 10-2013-0109888 호 2. 국내 특허등록 제 10-12502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철근결속장치에 다수개로 결합되어 장전된 클립이 하나씩 타발되어 철근의 외주면을 감싸주게 되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결회전축의 상측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작동날개가 벌어짐 현상에 의해 벌어지면서 클립을 작동날개의 걸림홈에 걸어 굵기에 관계없는 다수개의 철근을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작동날개가 일정한 속도로 계속 회전하여도 타발되는 클립이 작동날개의 걸림홈에 걸려들어 삽입되기 때문에 철근을 손실 없이 결속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작동날개가 벌어짐과 동시에 클립을 걸어서 빠른 속도로 견고하게 꼬아 결속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공이 아닌 일반작업자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로 철근을 결속할 때 사용하는 걸이당김대는 거리나 높이가 일정하지 않은 철근을 일정거리로 끌어당겨 철근결속장치로 체결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클립을 꼬아서 다수개의 철근을 결속시켜주는 작동날개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모터나 작동날개의 가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시된 본 발명의 해결수단에 대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철근을 체결하기 위한 클립(300)을 장전하는 장전수단(30)과,
상기 장전수단(30)에 장전된 클립(30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게 클립을 수장하여 압지하는 압지수단(40)과,
상기 압지수단(40)에 의해 하나씩 배출되는 클립(300)을 삽입하여 배출할 수 있게 타격대(51)의 하부에 클립삽입홈(52)을 연결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수단(50)과,
상기 타격수단(50)의 타격대(51)에 연결된 판스프링(53)이 손잡이부(10)의 하향에 따라 상승할 때, 분리구(61)가 지지구(62)를 타격대(51)의 고정홈(54)에서 분리시켜 타격대(51)를 하향시키는 분리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50)이 하향함과 동시에 장전수단(30)에 장전된 클립(300)이 하나씩 클립삽입홈(52)으로 인출시키는 인출수단(80)과,
상기 인출수단(80)에서 인출된 클립이 타격수단(50)에 의해 결속해야 할 철근(200)으로 배출되면, 배출된 클립의 단부를 회전시켜 결속하도록 하는 클립 체결회전수단(90)과,
상기 클립체결회전수단(9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90a)과
상기 장전수단(30)과 타격수단(50)과 분리수단(60)을 일체로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70)과,
상기 지지수단(70)에 일체로 고정된 손잡이장착봉(20)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체결구(11)에 의해 고정되는 손잡이부(1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90a)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91)과,
상기 회전축(91)의 단부에 수평으로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축핀(91')에 의해 상부가 연결된 방향전환 연결구(92)와,
상기 방향전환 연결구(92)의 하부에 축핀(92')으로 결합하여 수평회전하는 수평회전축(93)과,
상기 수평회전축(9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수평회전축(93)을 지지하면서 수직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대(71)를 축으로 회전하는 레버(100)의 후단과 축핀(100')에 의해 연결된 베어링축(94)과,
상기 수평회전축(93)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기어(95)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96)와 일체로 결합된 체결회전축(97)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회전수단(90)은 체결회전축(97)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쐐기형의 결합돌기(97')를 체결할 수 있도록 쐐기형의 결합홈(99')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여 작동날개(98)를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형의 걸림홈(99b)을 형성하고, 걸림홈(99b)의 일측에는 작동날개(98)의 단부(98b)를 밀어서 벌어지도록 밀림돌기(99a)를 포함하여 형성한 작동구(99)와,
상기 작동구(99)의 상부에 형성되어 체결회전축(97)의 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날개(98)와도 체결구(98')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클립(300)의 단부가 꼬아지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형성된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날개(98)는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구(98')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고, 작동날개(98)의 삽입홈(98a)에 삽입되어 작동구(99)의 걸림홈(99b)에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11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동구(99)에 일단을 고정하고,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에 타단을 지지하고 있는 나선형스프링(120)이 작동구(99)를 탄지력으로 역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체결회전축(97)의 결합돌기(97')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97")를 결합하여 작동구(99)의 결합홈(99')에서 슬라이드 회전하여 작동구(99)를 회전시킬 때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철근(200)을 클립(300)으로 결속하기 위한 결속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확보되도록 철근을 잡아 당겨모아줄 수 있게 작동봉(410)의 첨단에는 철근을 걸 수 있도록 걸고리(420a)를 형성하고, 작동봉(410)의 외주면에는 고정수단(430)에 의해 손잡이(420)가 상하 좌우 이동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정수단(430)은 손잡이(420)의 일단에 너트(421)가 형성되고, 작동봉(4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고정판(431)의 양단부 중앙에 돌출하여 반원형으로 형성된 결합돌기(432)를 형성하여 너트(421)가 결합돌기(432)를 결합하여 압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91)과 수평회전축(93)에 연결되는 방향전환연결구(92)(92a)(92b)를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수개의 철근을 이음부분이나 교차지점에서 클립을 회전시키면서 꼬아 결속하는 작동날개에 동력을 전달하는 철근결속장치의 구동수단이 방향전환연결구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구동하게 함으로써, 부품점수를 줄임과 동시에 서서 걷는 편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하게 함으로써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결속시간을 단축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철근을 결속하기 위하여 클립을 꼬아 결속시키는 작동날개의 상부에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가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클립을 꼬아 결속하기 위한 꼬임 공간을 확보해줌으로써, 클립이 결속될 때 절단되지 않고 견고하게 철근을 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철근 배근작업을 위해 공사현장에 거리나 높이가 일정하지 않게 늘어놓은 바닥철근이나 벽철근을 결속하고자 할 때, 걸이당김대의 걸고리로 늘어 놓은 철근을 걸어서 원하는 위치로 끌어당기고 올려주면, 결속장치의 구동수단 및 체결회전수단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주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확보된 공간에서 철근결속장치를 설치한 후, 손잡이부를 눌러서 클립을 타발시켜 주게 되면 간단하게 클립 체결회전수단의 작동날개가 클립을 걸어 회전하면서 철근을 결속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와 철근 걸이당김대를 이용하여 철근을 결속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와 걸이당김대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결속장치의 체결회전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구동수단 및 체결회전수단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체결회전수단을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체결회전수단을 결합하여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체결수단의 작동날개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체결수단의 작동날개가 벌어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타격대를 분리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하향하여 타격대를 분리하는 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작동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걸이당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의 구동수단인 방향전환연결구가 다수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에서 공급되는 클립으로 철근을 결속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결속장치(500)의 클립 체결회전수단(90)으로 배출되는 클립(300)으로 철근(200)을 결속하기 위한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구성요소를 크게 나누어 보면, 클립(300)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전수단(30)과, 장전된 클립(300)을 탄지하여 압지할 수 있는 압지수단(40)과, 상기 압지수단(40)에 압지된 클립(300)을 하나씩 인출하여 타격수단(50)에 삽입하는 인출수단(80)과, 인출수단(80)에서 인출된 클립(300)으로 다수개 이상의 철근(200)을 결합할 수 있게 클립을 타격하여 배출하는 타격수단(50)과, 상기 타격수단(50)이 탄지력에 의해 하향할 수 있게 지지수단(70)에서 타격수단(50)을 분리하는 분리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50) 및 분리수단(60)을 일체가 되게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70)과, 상기 타격수단(50)에서 인출된 클립(300)으로 다수개의 철근(200)을 결합하여 꼬아서 결속할 수 있는 클립 체결회전수단(90)과, 상기 클립 체결회전수단(90)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90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철근결속장치(500)의 작동을 원활하게 철근(200)을 걸어 당겨 모아줌과 동시에 공간을 확보해주는 걸이당김대(40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각 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전수단(30)은 휴대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게 몸체(31)에는 커버(32)를 장착하여 몸체(31)와 커버(32)의 사이에 클립(300)을 장전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또 몸체(31)의 일측에는 지지수단(70)의 지지판(72)과 결합하고, 상기 지지판(72)에는 손잡이장착봉(2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손잡이장착봉(20)에 장착된 손잡이부(10)를 상하좌우 이동하여 체결구(11)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손잡이장착봉(20)은 이동이 가능하게 손잡이장착봉(20)의 일단에 볼트 및 너트(21)를 형성하여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압지수단(40)은 장전수단(30)의 공간에 장전된 다수개로 연결된 클립(200)의 최상단을 압지하여 압지력에 의해 클립(200)이 하향 되도록 구성한다.
즉, 얇은 철판에 의해 탄지력을 갖도록 롤스프링(41)이 케이스(42) 내부에 말려서 수장되고, 롤스프링(41)의 상부에는 장전된 클립(300)의 최상단을 압지하는 U자형 압지구(43)가 형성된다.
그리고 타격수단(50)은 도 2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된 지지수단(70)의 지지대(73)에 장착된 분리구(61)에 의해 분리수단(60)의 지지구(62)가 타격대(51)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판스프링(53)이 탄성에 의해 하향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격대(51)의 하부에는 클립삽입구(52)가 형성되어 인출수단(80)에서 인출되는 클립(300)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분리수단(40)은 도 3과 도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에 물체를 접촉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분리대(64)의 하부에 원호형의 누름판(63)을 형성한다. 상기 누름판(63)의 상부에는 지지구(6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63)은 지지수단(70)과 연결되어 상하로 작동한다. 즉, 누름판(63)의 양측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65)이 지지수단(70)의 세로지지대(73)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턱(73')과 결합되고, 그리고 분리대(64)의 중앙부에 가로지지대(64')에 슬라이드홈(64")을 형성하여 타격대(51)가 삽입되어 상하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수단(7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71)으로 형성되어 손잡이부(10)와 장전수단(30)의 몸체(31)를 일체화 되도록 결합하여 지지하고, 타격수단(50)을 결합한 분리수단(60)과 클립체결회전수단(90)을 작동하는 레버(100) 등을 결합하여 지지한다.
그리고 인출수단(80)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축(81)(82)의 양측에 각각 체인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체인기어에는 프리휠(freewheel)이 장착되어 체인(83)이 장착되어 양측에서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방의 회전축(81)에는 타격대(51)의 클립삽입홈(52)이 하향할 때마다 접지봉(84)을 하부로 밀어 젖히며 회전시켜 모터(91a')의 전원을 온/오프시켜주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접지봉(84)이 하부로 젖혀(회전)질 때마다 체인(83)이 일정한 길이만큼의 한 단계를 회전한다. 이때 체인(8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돌출된 인출대(85)가 체인(83)과 같이 한 단계씩 회전하면서 장전수단(30)에서 클립을 하나씩 전방으로 인출하여 타격대(51)의 클립삽입홈(52)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90a)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91a')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91)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수평회전으로 전환되고, 상기 회전축(91)의 단부에는 수평으로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축핀(91')에 의해 방향전환 연결구(9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향전환 연결구(92)의 하부에는 축핀(92')에 의해 수평회전하는 수평회전축(93)과 결합된다. 상기 수평회전축(93)의 외주면에는 수평회전축(93)을 지지하면서 수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축(94)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축(94)에는 고정대(71)를 축으로 회전하는 레버(100)의 후단과 축핀(100')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축(93)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기어(95)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96)는 체결회전축(97)과 일체로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클립을 체결하는 클립 체결회전수단(90)은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체결회전축(97)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쐐기형의 결합돌기(97')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97')를 결합할 수 있게 작동구(99)에도 서로 대향하여 쐐기형의 결합홈(99')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작동구(99')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여 작동날개(98)를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형의 걸림홈(99b)을 형성하고, 걸림홈(99b)의 일측에는 작동날개(98)의 단부(98b)를 밀어서 벌어지도록 밀림돌기(99a)를 형성한다.
게다가 상기 작동구(99)의 상부에 형성되는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는 체결회전축(97)의 단부(98b)와 고정볼트(130)에 의해 고정되게 결합함과 동시에 작동날개(98)와 체결구(98')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클립(300)의 단부가 꼬아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작동날개(98)의 하부에는 작동날개(98)가 분리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돌출하여 지지하는 돌출지지구(9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회전축(93)과 클립 체결회전축(87)은 받침대(90')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철근결속장치의 작동을 보조하는 걸이당김대(400)의 구성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420)를 작동봉(41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30)과 철근을 걸어 당기기 위해 작동봉(410)의 선단부에 걸고리(420a)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손잡이(420)의 일단에 너트(421)가 형성되고, 손잡이(420)의 너트(421)에 결합되어 손잡이(420)를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작동봉(41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고정판(431)의 양단부면의 중앙부에 각각 돌출하여 결합볼트(432)를 반원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420)의 일단에 형성된 너트(421)를 상기 고정판(431)의 양단면의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볼트(432)와 결합하면 고정판(432)은 너트(421)의 삽입에 의해 압착이 되면서 작동봉(410)에 고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근결속장치의 작동에 의해 배출되는 클립으로 철근을 결속시키는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철근결속장치(500)를 작동할 수 있도록 철근결속장치(500)의 손잡이부(10)를 손잡이장착봉(20)에서 높낮이 및 회전방향을 정한 후 체결구(11)로 일체가 되게 고정한다. 그뿐만 아니라 철근결속장치(500)의 작동을 보조하는 철근 걸이당김대(400)도 작업하기 편리하도록 작동봉(410)에 장착된 손잡이(420)를 높낮이 및 위치 조절하여 고정수단(430)에 의해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수단(430)은 손잡이(420)를 회전하여 너트(421)를 고정판(43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볼트(432)에서 분리한 후, 고정판(431)으로 높낮이 및 방향전환을 한 후, 다시 손잡이(420)의 너트(421)를 고정판(431)의 결합돌기(432)에 결합하여 고정하면 원하는 방향 및 위치에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이당김대(400)를 이용하여 철근(300)을 당겨서 철근결속장치(500)로 작업할 수 있는 철근(200)의 하부에 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때에는 작동봉(410)의 단부에 형성된 걸고리(420a)를 철근(200)에 걸어서 당겨주면 된다. 또한, 작동봉(410)에 장착된 손잡이(420)의 높낮이 및 방향 전환을 하여 고정할 때에는 손잡이(420)를 회전하여 너트(421)를 고정판(43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볼트(432)에서 분리한 후, 고정판(431)으로 높낮이 및 방향전환을 한 후, 다시 손잡이(420)의 너트(421)를 고정판(431)의 결합돌기(432)에 결합하여 고정하면 원하는 방향 및 위치에 손잡이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철근 걸이당김대(400)의 작동봉(410) 단부에 형성된 걸고리(420a)로 철근(200)을 걸어 당겨 모은 후, 철근결속장치(500)의 분리수단(60)을 철근(200)에 위치하고 손잡이부(10)를 하향시키면 고정대(71)에 장착된 분리구(61)가 지지구(62)를 이탈시킴과 동시에 압축된 판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타격수단(50)은 타격대(51)를 타발시켜 클립이 철근의 외주면으로 배출되면, 클립 체결회전수단(90)이 회전하면서 클립을 꼬아 철근(200)을 결속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클립으로 철근을 결속하기 위한 철근결속장치(500)의 구동은 손잡이부(10)가 하향하면 철근(200)에 정지된 분리수단(60)으로 인해 손잡이부(10)와 결합된 지지수단(70)이 하향하면서 타격수단(50)의 타격대(51)에 결합된 판스프링(53)이 상승하면서 탄성을 갖게 됨과 동시에 지지수단(70)의 지지대(73)에 형성된 분리구(61)가 하향하여 타격대(51)의 고정홈(54)에 삽입된 지지구(62)를 고정홈(54)에서 분리시키면 타격대(51)는 상승된 판스프링(53)의 탄성에 의해 하향하게 된다.
이때 인출수단(80)의 회전축(81, 82)이 회전하면서 체인(83)을 회전시켜 체인(83)에 결합된 인출대(85)가 회전하면서 장전수단(30)에 장전된 클립(300)을 하나씩 인출하여 타격수단(50)의 클립삽입구(52)에 삽입시킨다.
따라서 타격대(51)가 하향하면서 클립삽입구(52)에 삽입된 클립(300)을 철근(200)의 상부로 배출시킨다.
이와 동시에 지지수단(70)의 지지대(73)에 S자형으로 결합된 레버(100)가 작동하여 방향전환연결구(92)의 하부에 연결된 수평회전축(93)을 전방으로 이동하여 클립 체결회전수단(90)이 철근(20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구동수단(90a)이 가동하게 된다. 이때 레버(100)는 지지수단(70)의 고정대(71)를 축으로 일측은 분리수단(60)과 결합되고, 또 다른 일측은 수평회전축(93)의 외주면에 연결된 베어링축(94)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수단(70)의 지지대(73)가 하향하면 분리수단(60)이 상승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레버(100)의 일단이 상승하면 또 다른 일단은 하향하게 되면서 수평회전축(93)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동수단(90a)의 모터가 가동하여 회전축(91)을 회전시키면, 회전축(91)과 연결된 방향전환연결구(92)도 철근의 결속 위치에 맞게 각도 조정되어 수평회전하면서 방향전환연결구(92)의 하부에 결합된 수평회전축(93)을 수평회전시킨다.
상기 수평회전축(93)이 회전하면 수평회전축(93)과 결합된 회전기어(95)가 회전하면서 이와 맞물린 연결기어(96)가 회전하고, 연결기어(96)와 결합된 체결회전축(97)을 회전시킨다. 상기 체결회전축(97)이 회전하게 되면 체결회전축(97)의 결합돌기(97')와 결합된 작동구(99)가 회전하고, 작동구(99) 외주면의 걸림홈(99b)에 삽입된 작동날개(98)의 단부를 밀림돌기(99a)가 밀어주면 접혀져 있는 작동날개(98)가 벌어지면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날개(98)가 회전하면서 타격대(51)의 클립삽입홈(53)에서 배출된 클립(300)의 단부를 걸림홈(99b)에 걸어 회전하면서 작동날개(99)의 상부에 원추형으로 형성된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의 상부와 철근(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클립(300)을 꼬아 철근을 체결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날개(98)에 의해서 클립(300)이 철근(200)을 결속하고 난 후에는 작동날개(98)와 작동구(99)에 결합되어 지지된 스프링(110)의 탄지력에 의해 젖혀져 있던 작동날개(98)는 원위치로 역회전하여 걸림홈(99b)에 삽입이 되고, 또 작동구(99) 역시 작동구(99)와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에 탄지되어 있던 나선형스프링(120)에 의해 원위치로 역회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연결구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과 수평회전축에 다수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체결회전수단을 자유재로의 각도 및 방향으로 고정하여 클립으로 철근을 결속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여 철근결속장치(500)에 의해 클립(300)으로 철근(200)을 빠르고 간단하게 체결할 수 있는 것이다.
10. 손잡이부 11. 체결구 20. 손잡이 장착봉 30. 장전수단 31. 몸체 32. 커버
40. 압지수단 41. 롤스프링 42. 케이스
43. 압지구 50. 타격수단 51. 타격대
52. 클립삽입구 53. 판스프링 53' 판스프링 고정대
54. 고정홈 60. 분리수단 61. 분리구
62. 지지구 63. 누름판 70. 지지수단
71. 고정대 80. 인출수단 8, 82. 회전축
83. 체인 84. 접지봉 85 . 인출대
90. 클립체결수단 90a. 구동수단 91. 회전축 91' 축핀 92. 방향전환 연결구 92'. 축핀
93. 수평회전축 94. 베어링 축 95. 회전기어
96. 연결기어 97. 체결회전축 97'. 결합돌기
97". 탄성부재 97a.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
98. 작동날개 98'. 체결구 98a. 삽입홈 98b. 단부 99. 작동구 99'. 결합홈
99a. 밀림돌기 99b. 걸립홈 100. 레버
100'. 축핀 110. 스프링 120. 나선스프링
130, 고정볼트 200. 철근 300. 클립 400. 걸이당김대 410. 작동봉 420a. 걸고리 420. 손잡이 430. 고정수단 431. 고정판 432. 결합돌기 500. 철근결속기

Claims (9)

  1. 삭제
  2. 철근을 체결하기 위한 클립(300)을 장전하는 장전수단(30)과,
    상기 장전수단(30)에 장전된 클립(30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게 클립을 수장하여 압지하는 압지수단(40)과,
    상기 압지수단(40)에 의해 하나씩 배출되는 클립(300)을 삽입하여 배출할 수 있게 타격대(51)의 하부에 클립삽입홈(52)을 연결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수단(50)과,
    상기 타격수단(50)의 타격대(51)에 연결된 판스프링(53)이 손잡이부(10)의 하향에 따라 상승할 때, 분리구(61)가 지지구(62)를 타격대(51)의 고정홈(54)에서 분리시켜 타격대(51)를 하향시키는 분리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50)이 하향함과 동시에 장전수단(30)에 장전된 클립(300)이 하나씩 클립삽입홈(52)으로 인출시키는 인출수단(80)과,
    상기 인출수단(80)에서 인출된 클립이 타격수단(50)에 의해 결속해야 할 철근(200)으로 배출되면, 배출된 클립의 단부를 회전시켜 결속하도록 하는 클립 체결회전수단(90)과,
    상기 클립체결회전수단(9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90a)과,
    상기 장전수단(30)과 타격수단(50) 및 분리수단(60)을 일체로 결합하여 지지하는 지지수단(70)과,
    상기 지지수단(70)에 일체로 고정된 손잡이장착봉(20) 내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체결구(11)에 의해 고정되는 손잡이부(10)을 포함하여 구성한 철근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90a)은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91)과,
    상기 회전축(91)의 단부에 수평으로 방향전환 할 수 있도록 축핀(91')에 의해 상부가 연결된 방향전환 연결구(92)와,
    상기 방향전환 연결구(92)의 하부에 축핀(92')으로 결합하여 수평회전하는 수평회전축(93)과,
    상기 수평회전축(93)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수평회전축(93)을 지지하면서 수직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대(71)를 축으로 회전하는 레버(100)의 후단과 축핀(100')에 의해 연결된 베어링축(94)과,
    상기 수평회전축(93)의 하부에 결합된 회전기어(95)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96)와 일체로 결합된 체결회전축(97)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체결회전수단(90)은 체결회전축(97)의 상단부에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쐐기형의 결합돌기(97')를 체결할 수 있도록 쐐기형의 결합홈(99')을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여 작동날개(98)를 삽입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원호형의 걸림홈(99b)을 형성하고, 걸림홈(99b)의 일측에는 작동날개(98)의 단부(98b)를 밀어서 벌어지도록 밀림돌기(99a)를 포함하여 형성한 작동구(99)와,
    상기 작동구(99)의 상부에 형성되어 체결회전축(97)의 단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작동날개(98)와도 체결구(98')에 의해 일체로 체결되어 클립(300)의 단부가 꼬아지도록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형성된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날개(98)를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구(98')의 상단에 걸려 고정되고, 작동날개(98)의 삽입홈(98a)에 삽입되어 작동구(99)의 걸림홈(99b)에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110)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구(99)에 일단을 고정하고, 클립체결 공간형성회전구(97a)에 타단을 지지하고 있는 나선형스프링(120)이 작동구(99)를 탄지력으로 역회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결속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회전축(97)의 결합돌기(97')의 일측면에는 탄성부재(97")를 결합하여 작동구(99)의 결합홈(99')에서 슬라이드 회전하여 작동구(99)를 회전시킬 때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91)과 수평회전축(93)에 연결되는 방향전환연결구(92)(92a)(92b)를 다수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20059490A 2012-06-02 2012-06-02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KR101377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90A KR101377608B1 (ko) 2012-06-02 2012-06-02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490A KR101377608B1 (ko) 2012-06-02 2012-06-02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86A KR20130135686A (ko) 2013-12-11
KR101377608B1 true KR101377608B1 (ko) 2014-03-27

Family

ID=4998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490A KR101377608B1 (ko) 2012-06-02 2012-06-02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6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88Y1 (ko) * 2018-09-13 2019-03-19 강길구 건축 및 토목용 철근 결속기구
CN111005570A (zh) * 2018-12-21 2020-04-14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用于施工现场的钢筋绑扎工具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931A (ja) * 1993-08-09 1995-02-21 Naotake Kitajima 鉄筋結束装置
JP2002205705A (ja) * 2001-01-09 2002-07-23 Kouhachiro Kojima 自動鉄筋結束機
KR20030095220A (ko) * 2002-06-11 2003-12-18 김용진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KR100419469B1 (ko) * 2002-05-03 2004-02-25 이대훈 철근결속용 회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8931A (ja) * 1993-08-09 1995-02-21 Naotake Kitajima 鉄筋結束装置
JP2002205705A (ja) * 2001-01-09 2002-07-23 Kouhachiro Kojima 自動鉄筋結束機
KR100419469B1 (ko) * 2002-05-03 2004-02-25 이대훈 철근결속용 회전구
KR20030095220A (ko) * 2002-06-11 2003-12-18 김용진 자동 철근결속기 및 이에 사용되는 결속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5686A (ko)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534B2 (en) Multi-purpose hand held tool
KR101377608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CN101155999A (zh) 紧固件
CN109152334A (zh) 齿轮传动的手动工具
KR20130109888A (ko)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과 클립
CN214517284U (zh) 建筑施工钢筋折弯装置
NZ248964A (en) Fencing posts, fences, post drivers; post member has on one face an opening having opposed inwardly turned edges
KR101459344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CN208995096U (zh) 电缆井盖开启工具
KR101404197B1 (ko)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JP5189468B2 (ja) 鉄筋の結束装置
KR200469590Y1 (ko) 수직형 추락 방망 설치장치
JP3995999B2 (ja) ワイヤ−ロ−プ端末加工方法及び加工装置
KR100346961B1 (ko) 철사 결속기
CN216828424U (zh) 一种桥梁施工用钢筋快速捆绑装置
CN111733815A (zh) 一种具有单向锁紧效果的多级拔桩装置
CN213381301U (zh) 一种多用钢筋捆扎辅助装置
KR200303743Y1 (ko) 자동 철근 결속기
JPH0673249U (ja) 鉄筋結束工具
CN217581299U (zh) 一种钢筋绑扎工具
CN211480753U (zh) 手摇式电缆终端回头绑扎器
CN211647327U (zh) 一种易于拆卸建筑模板夹具
CN213971009U (zh) 一种建筑装修用拔钉器
CN210335772U (zh) 一种拉线铁丝缠绕器
CN218715332U (zh) 一种房建施工用安全防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