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4197B1 -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 Google Patents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4197B1
KR101404197B1 KR1020120032009A KR20120032009A KR101404197B1 KR 101404197 B1 KR101404197 B1 KR 101404197B1 KR 1020120032009 A KR1020120032009 A KR 1020120032009A KR 20120032009 A KR20120032009 A KR 20120032009A KR 101404197 B1 KR101404197 B1 KR 101404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hitting
binding
support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6460A (ko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정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우 filed Critical 정진우
Priority to KR102012003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197B1/ko
Publication of KR2013011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5/00Implements for fastening, connecting or tensioning of wire or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손잡이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U자형 몸체(12)의 하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나 접착시트(91)에 의해 일정길이 접합하되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U자형 클립(90)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전수단(10)과,
상기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의 최상단 클립(90)을 롤스프링(21)의 탄지력으로 압지하여 클립(9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게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압지수단(20)과,
상기 압지수단(20)의 롤스프링(21)으로 압지하여 하나씩 배출되는 클립(9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타격대(31)의 하부에 연결된 클립삽입구(32)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수단(30)과,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대(31)를 분리시켜 압지된 판스프링(33)에 의해 하향되면서 클립삽입구(32)에 삽입된 클립(90)을 인출하게 하는 분리수단(40)과,
상기 장전수단(10)의 몸체(12)와 결합된 지지프레임(51) 및 고정대(51')와 연결되어 타격수단(30)과 분리수단(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50)과,
상기 타격수단(30)이 하향하면서 접지봉(64)을 젖혀서 모터(8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67)를 온시키면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이 하나씩 인출되는 인출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에 의해 인출된 클립(90)으로 두개의 물체(100)를 결합하여 꼬아서 결속하는 결속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장전수단(10)은 손잡이부(11)에 타격대(31)를 타격하는 방아쇠(17)와 모터(80)의 전원을 온/오프, 자동, 수동으로 조정하는 스위치(14)를 형성하고, 몸체(12)의 중앙에는 롤스프링고정볼트(23)를 안내하도록 상하로 길게 안내홈(15)을 천공하고, 양측에는 클립보충볼트(24)를 안내하도록 ㄱ자형의 안내홈(16)을 상하로 길게 천공하고, 장전된 클립(9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BANDING MACHINE AND BANDING METHOD OR CLIP}
본 발명은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과 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자동 결속장치의 내부에 장전된 U자형의 클립을 타발시켜서 각종 건축물이나 구축물 공사시 사용되는 다수의 물체를 결합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자형 또는 수평으로 결합되는 물체를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결속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근이라 함은 주택 및 상업용 건물을 구축하는 건축공사나 다리나 옹벽과 같은 구조물을 구축하는 토목공사시 구조물의 내부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법정규격으로 배치되는 철근을 말하며, 이러한 철근의 연접부위는 상호 이탈이나 이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는 연질의 철사를 사용하여 묶어주게 된다.
이와 같이 철근을 결속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된 클립을 사람이 직접 철근의 둘레에 휘감아서 철사의 양끝단을 손으로 잡고 작업공구(속칭 뺑뺑이)를 이용하여 꼬아야하기 때문에, 작업의 속도가 느릴 뿐만 아니라, 수작업이므로 작업자의 손에 부상을 입는 경우가 매우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하여 결속작업의 효율성이 높지 못하고, 노동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인건비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배근 결속은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속장력이 일정하지 않아 결속 후 클립이 결속상태를 지속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자에 들어서는 다양한 종류의 결속장치가 개발되어 결속작업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예로 본 출원인은 2000년부터 특허공개 제2000-0059029호의 철근결속장치와 클립을 개발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특허공개 10-2011-0130617호의 "철근결속장치"의 개발에 몰두하고 있었다.
본 출원인이 10년여에 걸쳐 개발한 철근결속장치에 사용되는 클립은 철근을 기계적인 방식에 의해 완벽하게 결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클립의 결합면을 톱니형으로 맞물리게 개발하였기 때문에, 클립의 작업공정이나 제조원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은 물론 톱니형의 클립을 장전하여 타발하는 철근결속기의 구조원리도 복잡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본 출원인이 개발한 철근결속장치 이외에도 이미 공개된 다수개의 철근결속장치들이 있으나 철근을 결속하는 클립이 톱니형이거나 판형 및 인출식의 결속선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제품의 낭비로 인해 원가상승을 초래하는 결점이 있으며, 또한, 이미 출시되어 사용하는 결속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외에 공개된 철근결속장치들 역시 배근된 철근에 철근결속장치를 이용하여 클립이나 와이어로 철근을 배근하는데 있어서,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면 작업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복수개의 클립을 기성품으로 제작하여 하나씩 인출하여 철근의 굵기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조를 간단하게 한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품질의 일관성 및 작업자의 신체에 무리를 방지하고 철근결속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동력을 사용하여 타발되는 U자형의 클립으로 철근을 간단하게 결속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는 철근을 빠른 속도로 견고하게 결속함으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숙련공이 아닌 일반작업자들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의 U자형 클립을 결속장치 내부에 수장하여 타발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인출시켜 철근에 감고 꼬아서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는 결속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해결수단을 제시하였다.
본 발명은 손잡이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U자형 몸체(12)의 하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나 접착시트(91)에 의해 일정길이 접합된 다수개의 U자형 클립(90)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전수단(10)과,
상기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의 최상단 클립(90)을 롤스프링(21)의 탄지력으로 압지하여 클립(9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게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압지수단(20)과,
상기 압지수단(20)의 롤스프링(21)으로 압지하여 하나씩 배출되는 클립(9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타격대(31)의 하부에 연결된 클립삽입구(32)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수단(30)과,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대(31)를 분리시켜 압지된 판스프링(33)에 의해 하향되면서 클립삽입구(32)에 삽입된 클립(90)을 인출하게 하는 분리수단(40)과,
상기 장전수단(10)의 몸체(12)와 결합된 지지프레임(51) 및 고정대(51')와 연결되어 타격수단(30)과 분리수단(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50)과,
상기 타격수단(30)이 하향하면서 접지봉(64)을 젖혀서 모터(8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67)를 온시키면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이 하나씩 인출되는 인출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에 의해 인출된 클립(90)으로 두개의 물체(100)를 결합하여 꼬아서 결속하는 결속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장전수단(10)은 손잡이부(11)에 타격대(31)를 타격하는 방아쇠(17)와 모터(80)의 전원을 온/오프, 자동, 수동으로 조정하는 스위치(14)를 형성하고, 몸체(12)의 중앙에는 롤스프링고정볼트(23)를 안내하도록 상하로 길게 안내홈(15)을 천공하고, 양측에는 클립보충볼트(24)를 안내하도록 ㄱ자형의 안내홈(16)을 상하로 길게 천공하고, 장전된 클립(9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방법은 장전수단(10)과 결합된 타격수단(30)이 물체에 정지시킨 후, 장전수단(10)을 더 눌러서 타격수단(30)의 판스프링(33)이 압축되면, 지지수단(50)에 결합된 분리수단(40)이 일정길이 상승하여 L자형 지지구(48)가 분리구(59)에 의해 분리되어 타격수단(30)은 판스프링(33)의 압축에 의해 하강하면서 인출수단(60)의 접지봉(64)을 젖혀줌과 동시에, 인출수단(60)은 온/오프스위치(67)가 작동되어져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하나의 클립(90)을 인출하고, 또 타격수단(30)의 하강에 의해 결속기어(77')의 삽입공(77")에 삽입된 클립(90)은, 모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결속기어(77')가 회전하면서 클립(90)을 하부를 꼬아서 물체(100)를 결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속방법은 손잡이부가 형성된 장전수단에 U자형 클립을 장전하는 단계와,
상기 장전수단에 장전된 클립을 인출하여 두개의 물체를 결속하기 위해 장전수단과 연결된 분리수단의 누름판을 물체에 정지시키고 손잡이부를 더 하향하면, 지지수단에 결합된 분리수단이 상승하면서 판스프링을 압축함과 동시에 분리수단에 결합된 결속수단을 회전시켜서 결속기어를 물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수단의 상승에 의해 지지구가 타격수단의 고정홈에서 분리되어 압축된 판스프링에 의해 타격수단이 하강하는 단계와,
상기 타격수단이 하강하면서 인출수단의 접지봉을 젖혀서 온/오프 스위치를 온시키고 결속수단의 클립삽입홈에 클립을 삽입함과 동시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에 형성된 베벨기어가 수평회전축에 연결된 베벨기어가 맞물려 회전하고, 수평회전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는 연결회전축에 형성된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연결회전축에 형성된 회전기어는 결속기어회전축에 형성된 결속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결속기어의 삽입공에 삽입된 클립을 꼬아서 두개의 물체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전수단(10)에 장전되는 U자형 클립(90)은 일정길이로 다수개가 연결되도록 접착제나 접착시트(31)를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건축현장에서 기초 토대를 위하여 사용되는 철근들을 매우 견고하게 결속시킬 수 있으며, 특히 기계장치에 의해 전동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행함으로써 종래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행하는 것보다 결속작업을 빠르고 용이하게 진행함과 동시에 결속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결속장치는 물체를 결속시 자동으로 결속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클립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거나 중앙부분을 구부려놓아야 하는 사전 준비 없이도 용이하게 철근을 결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결속장치에 의해 클립으로 물체를 고정할 때, 결속하는 꼬임 부분이 일정하므로속력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재료비 및 공사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결속수단이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결속수단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장전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수단과 분리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의 지지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수단이 타격수단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수단의 판스프링의 돌기부가 타격대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수단의 판스프링의 양측으로 갈라진 탄성판이 지지수단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출수단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수단의 받침틀부가 작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수단의 밭침틀부가 회전되어 물체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수단의 동력전달부의 동력전달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결속수단에 장착되는 클립이 접착제나 접착시트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결속수단에 의해 물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과 클립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의 구성을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3의 결속장치의 사시도 및 분리한 분리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구성요소를 크게 나누어 보면, 클립(90)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전수단(10)과 장전된 클립(90)을 탄지하여 압지할 수 있게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압지수단(20)과, 상기 압지수단(20)에 압지된 클립(90)을 배출하여 두개 이상의 물체(100)를 결합할 수 있게 하는 타격수단(30)과, 상기 타격수단(30)과 연결되어 타격수단(30)을 분리하는 분리수단(40)과, 상기 타격수단(30) 및 분리수단(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50)과, 상기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을 하나씩 인출하여 타격수단(30)에 삽입하는 인출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30)에서 인출된 클립(90)으로 두개의 물체(100)를 결합하여 꼬아서 결속할 수 있는 결속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각 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세부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클립 장전부(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가 가능하고 간편하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게 권총과 같은 형상으로 U자형 몸체(12)의 선단부를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몸체(12)에는 커버(13)를 장착하여 몸체(12)와 커버(13)의 사이에 클립(90)을 장전할 수 있도록 공간(18)이 형성되게 하고, 또 몸체(12)의 일측에는 방아쇠(17) 및 스위치(14)가 장착된 손잡이부(11)와, 몸체(12)의 하측에 천공된 장홈(19)으로 인출수단(20)의 인출대(65)가 노출되게 하여 인출수단(60)을 몸체(12)에 장착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압지수단(20)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전수단(10)에 다수개의 클립(90)이 장전된 최상단을 압지하여 압지력에 의해 클립(90)이 하향 되도록 구성한다.
즉, 얇은 철판에 의해 탄지력을 갖도록 롤스프링(21)이 케이스(22)에 내부에 말려서 수장되고, 롤스프링(21)의 상부에는 장전된 클립(90)의 최상단을 압지하는 U자형 압지구(23)가 형성되고, 압지구(25)는 롤스프링고정볼트(23)에 의해 롤스프링(21)에 체결된다. 그리고 압지구(25)에는 압지구(25)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용 돌출턱(26)이 형성된다. 또한, 압지구(25)를 몸체(12)에 연결하는 클립보충볼트(24)가 형성되어 몸체(12)에 형성된 L자형 안내홈(16)을 따라 롤스프링(21)의 압지력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압지구(25)에 형성된 돌출턱(26)을 손으로 잡고 몸체(12)의 상부로 당겨서 회전하면 돌출턱(26)과 연결된 롤스프링(21)도 상승하면서 압지구(25)는 공간(18)을 개방하게 되고, 개방된 공간(18)을 통해서 클립(90)을 장전수단(10)에 장전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타격수단(30)은 도 5,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된 분리수단(40)의 지지구(48)와 가로지지대(58)에 장착된 분리구(59)의 밀착으로 판스프링(33)의 압지력에 의해 분리되어 상하 이동하는 타격대(31)와 장전수단(10)에서 배출되는 클립(90)을 삽입하는 클립삽입구(3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격대(31)는 판스프링(33)에 압지력이 가해지도록 판스프링(33)의 중앙 돌출부(33')를 삽입할 수 있게 상하로 일정길이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34)(34')의 사이에 삽입구(37)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하로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34)(34')에는 판스프링(33)이 전후이동할 수 있게 장공(37)(37')이 천공되어 있다.
그뿐만 아니라 판스프링(33)의 중앙 돌출부(33')의 양측에는 ㄱ자형으로 절곡하여 갈라진 탄성판(33")(33'")을 삽입할 수 있게 지지수단(50)의 지지프레임(51)에 상하로 일정길이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52)(52')(53)(53')의 삽입구(54)(5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하로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52)(52')(53)(53')에는 판스프링(33)이 전후 이동할 수 있게 장공(55)(55')(56)(56')을 천공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판스프링(33)의 중앙 돌출부(33')와 양측으로 갈라진 탄성판(33")(33'")에 장공(33a),(33b)(33c)을 천공하여 지지볼트(35)에 의해 판스프링(33)은 판스프링고정구(34)(34'),(52)(52')(53)(53')의 장공(37)(37'), (55)(55')(56)(56')에 지지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분리수단(40)은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에 물체를 접촉하여 정지할 수 있도록 원호형의 누름판(41)을 형성한다.
그리고 누름판(41)의 양측에는 세로지지틀(42)이 형성되고, 세로지지틀(42)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홈(43)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51)의 세로지지대(57)에 형성된 걸림돌기(57')와 결합하여 세로지지틀(42)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세로지지대(57)의 걸림돌기(57')와 세로지지틀(42)의 슬라이드홈(43)은 장부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세로지지대(57)에서 세로지지틀(42)은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세로지지틀(42)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연결대(44)가 연결되고, 연결대(44)에는 타격대(31)가 이동하는 장부맞춤홈(45)이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세로 지지틀(42)에 연결된 상부 연결대(44)의 지지턱(46) 중앙부에는 돌출턱(4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47)에는 L자형 지지구(48)의 하부에 형성된 삽입홈(48')과 장부맞춤으로 결합된다. 또한, 지지턱(46)에는 지지구(48)가 후방으로 이탈되지 못하게 이탈방지턱(46')이 직립하여 형성된다. 그뿐만 아니라 지지구(48)는 돌출턱(47)에 안착되어 이탈방지턱(46')에 압지된 압지스프링(49)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면서 타격대(31)의 고정홈(39)에 삽입/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구(48)는 가로지지대(58)에 장착된 지지스프링(49')에 의해 지지되어 세로지지틀(42)과 연결대(44)에 의해 형성된 분리수단(40)이 상부로 이동할 때는 압축되지만, 하부로 이동할 때 지지수단(50)에서 분리되지 못하게 지지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구(48)의 상부에 형성된 라운딩부(48")는 지지프레임(51)의 가로지지대(58)에 형성된 분리구(59)의 라운딩부(59')와 슬라이드접촉되면서 지지구(48)가 타격대(31)의 고정홈(39)에서 분리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지지수단(50)은 도 5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1)와 몸체(12)의 사이에 지지프레임(51)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51)은 고정대(51')와 세로지지대(57) 및 가로지지대(58)로 연결되어 구성한다.
그리고 가로지지대(58)에는 타격수단(30)의 타격대(31)가 상하로 이동하는 장부맞춤홈(45')이 형성된다. 따라서 타격대(31)가 가로지지대(58)에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가로지지대(59)에 형성되는 분리구(59)는 지지구(48)가 상승하면서 타격대(31)에서 분리할 수 있게 지지구(48)의 라운딩부(48")와 접촉되어 상승할 수 있게 단부면은 라운딩부(59')를 형성한다.
게다가 고정대(51')에는 장홈(5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장홈(51)에는 레버(79')의 중앙부에 장착된 힌지(79")를 장착하여 레버(79')의 힌지(79")가 장홈(51)에서 수평이동하면서 레버(79')의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게 형성한다.
본 발명의 타격수단(30)에 클립(90)을 하나씩 인출하여 삽입하는 인출수단(6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방에 형성되어 회전하는 회전축(61)(62)의 양측에 각각 체인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체인기어에는 체인(63)이 장착되어 양측에서 체인(63)이 회전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때 체인(63)을 회전시키는 회전축(61)(62)은 프리휠(freewheel)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 전방에 형성된 회전축(61)에는 타격대(31)의 클립삽입홈(32)이 하향할 때 마다 온오프시키는 스위치(67)를 장착한 접지봉(64)을 하부로 밀어 젖히며 회전시켜 모터(80)의 전원을 온/오프시켜주는 접지봉(64)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봉(64)이 하부로 젖혀(회전)질 때마다 체인(63)이 한 단계씩 회전한다. 이때 체인(6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돌출된 인출대(66)도 체인(63)과 같이 한 단계씩 회전하면서 압지수단(20)과 연관되어 클립(90)을 장전수단(10)에서 하나씩 전방으로 인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61)(62)에는 프리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접지봉(64)이 하향한 후 상향할 때는 체인(63)이 역회전 되지 않고 멈춰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타격수단(30)에서 배출된 클립(90)으로 두개의 물체(100)를 결속하는 결속수단(70)의 받침틀부(79)가 회전하면서 결속기어(77')를 물체(100)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결속수단(70)은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71)이 모터(80)와 연결되어 U자형 몸체(12)의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71)의 동력을 수평회전에서 수직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게 베벨기어(73)(74)가 서로 맞물려 작동하는 수평회전축(72)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회전축(72)의 수직회전을 수평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베벨기어(74)(75)가 서로 맞물려 작동하는 연결회전축(76)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즉, 수평회전축(72)의 베벨기어 상부에는 회전축(71)의 베벨기어가 맞물려 있고, 하부에는 연결회전축의 베벨기어가 맞물려 모터(8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연결회전축(76)에 형성된 회전기어(76')와 맞물려 회전하는 결속기어(77')가 결속기어회전축(77)에 장착된다. 이때 타격수단(30)에서 인출된 클립(90)이 결속기어의 삽입공(77")에 삽입되면 회전하면서 클립(90)으로 물체(100)를 결속하는 구성이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 결속기어(77')의 하부에 장착되어 결속기어(77')가 회전할 때 일정속도의 회전을 제어하는 속도제어판(78)이 형성되고, 상기 속도제어판(78)에도 삽입공(78')이 천공되어 클립(90)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회전축(72), 연결회전축(76), 결속기어회전축(77)을 받쳐주는 받침틀부(79)는 고정대(51')에 지지되는 레버(79')의 후단과 일체가 되게 결합하고, 또 레버(79')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79a)는 세로지지틀(42)의 장홈(42')에 결합하여 분리수단(40)과 결합된 레버(79')가 상하이동하면서 레버(79')와 연결된 받침틀부(79)를 정역회전시켜 결속기어(77')를 물체(100)의 하부에 위치하거나 및 분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79')의 결합구성에 대하여 도 2의 A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버(79')의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79")는 지지수단(50)의 고정대(51')에 천공된 장홈(51")에 장착되어 수평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고, 또 레버(79')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79a)는 분리수단(40)의 세로지지틀(42)에 단턱을 형성하고 있는 장홈(42')에 삽입장착되어 빠지지 못하고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형성되고, 또 레버(79')의 후단은 반침틀부(79)의 선단부와 일체로 고정되게 구성한다.
즉, 물체(100)의 굵기가 굵으면 레버(79')의 선단에 형성된 힌지(79a)가 분리수단(40)의 장홈(42')에서 상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레버(79')의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79")는 고정대(51')의 장홈(51")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받침틀부(79)를 결속하고자 하는 물체(100)에 위치하게 하고, 또 물체의 굵기가 가늘면 선단에 형성된 힌지(79a)가 세로지지틀(42)의 장홈(79a)에서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레버(79')의 중앙부에 형성된 힌지(79")는 고정대(51')의 장홈(51")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받침틀부(79)를 결속하고자 하는 물체에 위치하게 구성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지지프레임(51)과 결합된 세로지지대(57)의 장홈(42')에서 작용하는 힌지(79a)는 물체(100)의 굵기를 따라 높낮이가 정해주도록 하여 손잡이부(11)의 작동으로 결속수단(70)이 회전하여 물체(100)에 위치할 수 있도록 힌지(79a)와 결합된 레버(79")를 연결하여 고정대(51')의 장홈(51")에서 레버(79')의 중간에 형성된 힌지(79")가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결속수단의 받침틀부(79)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에 대하여 전술한 구성과는 달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71)에 장착된 베벨기어(73)를 연결회전축(76)에 형성된 베벨기어(74)에 직접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즉, 회전축(71)에 형성된 베벨기어(73)는 연결회전축(76)에 연결된 베벨기어(75)와 맞물리게 형성하고, 연결회전축(76)에 형성된 베벨기어(75)와 맞물리고, 또 연결회전축(76)의 회전기어(76')와 결속기어회전축(77)의 결속기어(77')가 회전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부품의 점수를 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수단(20)의 클립 장전부(10)에 장전되는 클립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정길이로 다수개가 연결되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어 접착제나 접착시트(91)에 의해 부착하여 구성된다. 또한, 클립(90)의 단면은 원형 또는 각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속장치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본 발명의 결속장치를 이용하여 두개의 물체(100)를 결속하기 위한 예로 철근의 결속에 대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부(11)를 잡고 장전수단(10)의 몸체(12)와 커버(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8)에 U자형 클립(90)을 장전한다. 즉, 압지수단(20)의 압지구(25)에 돌출된 돌출턱(26)을 잡고 몸체(12)에 형성된 ㄱ자형 안내홈(16)의 단부로 당기면서 젖혀주면 장전수단(10)의 몸체(12)와 커버(13)에 의해 형성된 공간(18)이 개방되므로 개방된 공간(18)에 클립(90)을 장전한 후 돌출턱(25)을 다시 원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롤스프링(21)은 압지구(25)와 연결되어 있어 상부로 인출되고, 클립(90)이 장전된 후에는 장전된 클립을 압지구(25)가 압지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22)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탄지력을 갖고 있는 롤스프링(21)과 연결된 압지부(23)는 롤스프링(21)의 탄지력으로 장전된 최상단의 클립(90)을 압지하면서 클립(90)을 하부로 배출하게 한다.
그리고 격자형으로 교차하는 철근이나 수평으로 상하 형성된 철근을 움직이지 않게 결속하기 위해서는 장전수단(10)의 손잡이부(11)를 잡고 분리수단(40)의 누름판(41)을 철근에 접촉하여 정지한 다음 손잡이부(11)를 더 하향한다,
그러면 지지수단(50)의 세로지지대(57)에 장부맞춤으로 결합되어 있는 분리수단(40)이 상승하면서 지지수단(50)에 지지되고, 타격수단(30)에 연결된 판스프링(33)의 중앙 돌출부(33')에서 ㄷ자형으로 갈라진 탄성판(33")(33'")을 상승시켜 압지한다.
이때 분리수단(40)이 상승하면서 분리수단(40)의 세로지지틀(42)에 형성된 돌출턱(47)과 결합되어 있는 L자형 지지구(48)의 라운드면(49')이 지지수단(50)의 가로지지대(58)에 장착된 분리구(59)의 라운드부(59')를 따라 상승됨과 동시에 지지구(48)는 타격수단(30)의 타격대(31)에 형성된 고정홈(39)에서 후방으로 해방되어 분리되는 과정으로, 분리된 지지구(48)는 지지턱(46)에 직립하여 형성된 이탈방지턱(46')에 지지된 압지스프링(49)을 압지한다.
이와 동시에 분리수단(40)이 상승하면 지지수단(50)을 축으로 분리수단(40)의 세로지지틀(42)과 결속수단(70)의 받침틀부(79)에 연결된 레버(79')의 선단이 상승함과 동시에 레버의 후단은 받침틀부(79)를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결속하는 물체(100)의 하부에 결속기어(77')를 위치한다.
이때 분리수단(40)의 세로지지틀(42)과 지지수단(50)의 고정대(51')에 형성된 장홈(51")에 장착된 레버(79')의 힌지(79")는 철근의 굵기에 따라 높낮이를 조정해가면서 승하강 및 수평이동하여 받침틀부(79)의 결속기어(77')를 결속하고자 하는 철근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분리수단(40)이 상승하면서 타격수단(30)을 분리할 때 타격수단(30)은 압지된 판스프링(33)에 의해 하향하면서 인출수단(20)의 접지봉(64)을 하부로 젖혀서 온/오프 스위치(67)를 온시킴과 동시에 인출수단(60)의 체인(63)을 한 단계 작동시켜 클립(90)을 인출하여 타격수단(30)의 클립삽입구(32)에 삽입시켜 주고, 클립(90)을 삽입한 타격수단(30)은 더 하향하여 결속수단(70)의 결속기어(77')와 속도제어판(78)에 각각 천공된 삽입공(77")(78')에 삽입하고 상승한다.
이때 타격봉(31)의 클립삽입구(32)에 의해 접지봉(64)이 온/오프 스위치(67)를 온시키면서 모터(80)도 가동시켜 결속수단(70)에 동력을 전달하여 결속기어(77')를 회전시켜서 클립(90)의 하부를 꼬아 철근을 결속하게 된다.
즉, 모터(80)가 구동하면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71)의 수평회전을 수직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게 베벨기어(73)(74)가 서로 맞물려 수평회전축(72)이 구동하고, 또 상기 수평회전축(72)의 수직회전을 수평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베벨기어(74)(75)가 서로 맞물려 연결회전축(76)이 작동하고, 또 상기 연결회전축(76)에 형성된 회전기어(76')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타격수단(30)에서 인출된 클립(90)을 삽입공(77")과 속도제어판(78)의 삽입공(78')에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기어(77')가 장착된 결속기어회전축(77)이 회전하면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립을 꼬아 물체(100)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수평회전축(72), 연결회전축(76), 결속기어회전축(77)은 구동할 수 있도록 받침틀부(79)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결속기어(77')의 하부에는 속도제어판(78)이 장착되어 결속기어(77')가 회전할 때 일시적으로 스타트를 일정간격 늦춰주어 물체가 서로 합치되도록 해준 뒤 결속기어(79')를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일정속도의 회전을 제어한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17의 방아쇠는 손잡이부(11)의 하부 면에 장착된 전원 스위치부(14)에 형성된 온스위치와, 수동스위치, 자동스위치에 의해 수동으로 전원을 연결하면 방아쇠(17)를 당겨 타격수단(30)이 분리수단(40)에서 이탈하게 하여 두개의 물체(철근)를 견고하게 결속하게 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자동스위치로 온시켰을 때의 작동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이상을 통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 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장전수단 11. 손잡이부
12. 몸체 13. 커버
14. 스위치 15. 안내홈
16. 안내홈 17. 방아쇠
18. 공간 19. 장홈
20. 압지수단
21. 롤스프링 22. 케이스
23. 롤스프링고정볼트 24. 클립보충볼트
25. 압지구 26. 돌출턱
30. 타격수단 31. 타격대
32. 클립삽입구 33. 판스프링
33a, 33b, 33c. 장공 33'. 돌출부
33". 33"'. 탄성판 34, 34'. 판스프링고정구
35. 지지볼트 36. 삽입구
37, 37'. 장공 39. 고정홈
40. 분리수단 41. 누름판
42. 세로지지틀 43. 슬라이드홈
44. 연결대 45, 45'. 장부맞춤홈
46. 지지턱 46'. 이탈방지턱
47. 돌출턱 48. 지지구
48'. 삽입홈 48". 라운딩부
49. 압지스프링 49' 지지스프링
50. 지지수단 51. 지지프레임
51'. 고정대 51". 장홈
52. 52',53. 53'. 판스프링고정구
54, 54'. 삽입구 55, 55', 56. 56'. 장공
57. 세로지지대 57'. 걸림돌기
58. 가로지지대 59. 분리구
59'. 라운딩부 60. 인출수단
61, 62. 회전축 63. 체인
64. 접지봉 65. 인출대
66. 케이스부 67. 스위치
70. 결속수단 71. 회전축
72. 수평회전축 73, 74, 75, 베벨기어
76. 연결회전축 76'. 회전기어
77. 결속기어회전축 77'. 결속기어
77". 삽입공 78. 속도제어판
79. 받침틀부 79'. 레버
79", 79a. 힌지
80. 모터 90. 클립
100. 물체

Claims (13)

  1. 손잡이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U자형 몸체(12)의 하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여 접착제나 접착시트(91)에 의해 일정길이 접합하되 단면이 원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U자형 클립(90)을 장전할 수 있는 장전수단(10)과,
    상기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의 최상단 클립(90)을 롤스프링(21)의 탄지력으로 압지하여 클립(90)을 하나씩 배출할 수 있게 몸체(12)의 내측에 형성된 압지수단(20)과,
    상기 압지수단(20)의 롤스프링(21)으로 압지하여 하나씩 배출되는 클립(90)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타격대(31)의 하부에 연결된 클립삽입구(32)를 형성하여 상하로 이동하는 타격수단(30)과,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대(31)를 분리시켜 압지된 판스프링(33)에 의해 하향되면서 클립삽입구(32)에 삽입된 클립(90)을 인출하게 하는 분리수단(40)과,
    상기 장전수단(10)의 몸체(12)와 결합된 지지프레임(51) 및 고정대(51')와 연결되어 타격수단(30)과 분리수단(4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50)과,
    상기 타격수단(30)이 하향하면서 접지봉(64)을 젖혀서 모터(80)의 구동을 온/오프하는 스위치(67)를 온시키면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이 하나씩 인출되는 인출수단(60)과,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에 의해 인출된 클립(90)으로 두개의 물체(100)를 결합하여 꼬아서 결속하는 결속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 장전수단(10)은 손잡이부(11)에 타격대(31)를 타격하는 방아쇠(17)와 모터(80)의 전원을 온/오프, 자동, 수동으로 조정하는 스위치(14)를 형성하고, 몸체(12)의 중앙에는 롤스프링고정볼트(23)를 안내하도록 상하로 길게 안내홈(15)을 천공하고, 양측에는 클립보충볼트(24)를 안내하도록 ㄱ자형의 안내홈(16)을 상하로 길게 천공하고, 장전된 클립(9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13)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지수단(20)은 탄지력을 갖도록 롤스프링(21)이 내장된 케이스(22)가 형성되고, 롤스프링(21)의 상단은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클립(90)의 최상단을 압지하기 위한 U자형 압지구(25)를 롤스프링고정볼트(23)로 롤스프링(21)에 체결하고, 압지구(25)에는 손잡이용 돌출턱(26)과 몸체(12)에 연결하는 클립보충볼트(24)가 형성되고, 클립보충볼트(24)에 지지되는 돌출턱(26)을 회전하여 클립(90)을 몸체(12)로 장전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수단(30)의 타격대(31)에는 판스프링(33)의 중앙 돌출부(33')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36)를 상하로 일정길이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34)(34')에 형성하고, 상기 상하로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34)(34')에는 판스프링(33)이 유동할 수 있게 장공(37)(37')을 천공하고, 판스프링(33)의 양측으로 갈리진 탄성판(33")(33'")은 지지수단(50)의 지지프레임(51)에 상하로 일정길이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52)(52')(53)(53')의 삽입구(54)(54')에 삽입하고, 상기 상하로 돌출한 판스프링고정구(52)(52')(53)(53')에는 판스프링(33)이 유동할 수 있게 장공(55)(55')(56)(56')을 천공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3)의 중앙 돌출부(33')와 양측 탄성판(33")(33'")에 장공(33a),(33b)(33c)을 천공하여 지지볼트(35)에 의해 판스프링(33)은 판스프링고정구(34)(34'),(52)(52')(53)(53')의 장공(37)(37'),(55)(55')(56)(56')에 지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40)은 하부에 원호형의 누름판(41)을 형성하고, 누름판(41)의 양측에는 세로지지틀(42)이 형성되고, 세로지지틀(42)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드홈(43)을 형성하여 지지프레임(51)의 세로지지대(57)에 형성된 걸림돌기(57')와 결합하여 세로지지틀(42)이 상하로 이동하게 형성하고, 세로지지틀(42)의 양측에는 다수개의 연결대(44)가 연결되고, 연결대(44)에는 타격대(31)가 이동하는 장부맞춤홈(45)이 형성되고, 상부 연결대(44)의 지지턱(46)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턱(47)은 L자형 지지구(48)의 하부 삽입홈(48')과 결합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구(48)가 이탈되지 못하게 이탈방지턱(46')을 형성하고, 지지구(48)는 압지스프링(49)에 의해 전후 이동하면서 타격대(31)의 고정홈(39)에 삽입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가로지지대(58)에 장착된 지지스프링(49')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구(48)의 상부에 형성된 라운딩부(48")는 지지프레임(51)의 가로지지대(58)에 형성된 분리구(59)의 라운딩부(59')와 슬라이드접촉되면서 지지구(48)가 타격대(31)의 고정홈(39)에서 분리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50)은 손잡이부(11)와 연결된 지지프레임(51)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51)은 고정대(51')와 세로지지대(57) 및 가로지지대(58)로 연결하고 가로지지대(58)에는 장부맞춤홈(45) 및 분리구(59)가 형성되고, 고정대(51')에는 레버(79')를 연결하는 장홈(51")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인출수단(60)은 프리휠이 장착된 회전축(61)6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체인(63)이 양측으로 형성되고, 선단부의 회전축(61)에는 타격대(31)의 상하 작동에 의해 클립삽입구(32)가 접촉되어 회전하향하면서 케이스부(66)에 형성된 온/오프스위치(67)를 접점시키는 접지봉(64)이 형성되고, 접지봉(64)이 하향할 때마다 체인(63)을 회전시켜서 체인(63)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돌출된 인출대(65)가 클립(90)을 하나씩 전방으로 인출하여 클립삽입구(32)에 삽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70)은 모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71)과,
    상기 회전축(71)의 동력을 수평회전에서 수직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게 베벨기어(73)(74)가 서로 맞물려 작동하는 수평회전축(72)과,
    상기 수평회전축(72)의 수직회전을 수평회전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베벨기어(73)(75)가 서로 맞물려 작동하는 연결회전축(76)과,
    상기 연결회전축(76)에 형성된 회전기어(76')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타격수단(30)에서 인출된 클립(90)을 삽입공(77")에 삽입하여 결속할 수 있도록 결속기어(77')가 장착된 결속기어회전축(77)과,
    상기 결속기어(77')의 하부에 장착되어 결속기어(77')가 회전할 때 일정속도의 회전을 제어하는 속도제어판(78)과,
    상기 수평회전축(72), 연결회전축(76), 결속기어회전축(77)을 받쳐주는 받침틀부(79)는 레버(79')를 결합하여 회전하면서 물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0. 장전수단(10)과 결합된 타격수단(30)이 물체에 정지시킨 후, 장전수단(10)을 더 눌러서 타격수단(30)의 판스프링(33)이 압축되면, 지지수단(50)에 결합된 분리수단(40)이 일정길이 상승하여 L자형 지지구(48)가 분리구(59)에 의해 분리되어 타격수단(30)은 판스프링(33)의 압축에 의해 하강하면서 인출수단(60)의 접지봉(64)을 젖혀줌과 동시에, 인출수단(60)은 온/오프스위치(67)가 작동되어져 장전수단(10)에 장전된 하나의 클립(90)을 인출하고, 상기 타격수단(30)의 하강에 의해 결속기어(77')의 삽입공(77")에 삽입된 클립(90)은, 모터(80)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결속기어(77')가 회전하면서 클립(90)을 하부를 꼬아서 물체(100)를 결속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방법.
  11. 손잡이부가 형성된 장전수단에 U자형 클립을 장전하는 단계와,
    상기 장전수단에 장전된 클립을 인출하여 두개의 물체를 결속하기 위해 장전수단과 연결된 분리수단의 누름판을 물체에 정지시키고 손잡이부를 더 하향하면, 지지수단에 결합된 분리수단이 상승하면서 판스프링을 압축함과 동시에 분리수단에 결합된 결속수단을 회전시켜서 결속기어를 물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수단의 상승에 의해 지지구가 타격수단의 고정홈에서 분리되어 압축된 판스프링에 의해 타격수단이 하강하는 단계와,
    상기 타격수단이 하강하면서 인출수단의 접지봉을 젖혀서 온/오프스위치를 온시키고 결속수단의 클립삽입홈에 클립을 삽입함과 동시에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에 형성된 베벨기어가 수평회전축에 연결된 베벨기어가 맞물려 회전하고, 수평회전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는 연결회전축에 형성된 베벨기어와 맞물려 회전하고, 연결회전축에 형성된 회전기어는 결속기어회전축에 형성된 결속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결속기어의 삽입공에 삽입된 클립을 꼬아서 두개의 물체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120032009A 2012-03-28 2012-03-28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KR101404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009A KR101404197B1 (ko) 2012-03-28 2012-03-28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009A KR101404197B1 (ko) 2012-03-28 2012-03-28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60A KR20130116460A (ko) 2013-10-24
KR101404197B1 true KR101404197B1 (ko) 2014-06-17

Family

ID=4963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009A KR101404197B1 (ko) 2012-03-28 2012-03-28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1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32585B (zh) * 2023-05-24 2024-01-12 甘肃一安建设科技集团有限公司 钢筋切削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07Y1 (ko) 2002-06-20 2002-09-10 양성원 급식용 용기의 용도 구분구조
KR200303743Y1 (ko) 2002-11-06 2003-02-11 이용덕 자동 철근 결속기
KR200364742Y1 (ko) 2004-07-09 2004-10-13 김용수 철근 결합용 자동 결속기
KR20110045432A (ko) * 2009-10-27 2011-05-04 김붕회 철근 결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8407Y1 (ko) 2002-06-20 2002-09-10 양성원 급식용 용기의 용도 구분구조
KR200303743Y1 (ko) 2002-11-06 2003-02-11 이용덕 자동 철근 결속기
KR200364742Y1 (ko) 2004-07-09 2004-10-13 김용수 철근 결합용 자동 결속기
KR20110045432A (ko) * 2009-10-27 2011-05-04 김붕회 철근 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6460A (ko)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9888A (ko)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과 클립
KR101404197B1 (ko) 두개의 물체를 클립으로 결속하는 결속장치 및 결속방법
EP0792808A1 (en) Wire tying apparatus for down-packer cotton press
CN107975244A (zh) 砌体砂浆填充勾缝一次成型设备
CN109160014B (zh) 一种线缆或管材捆扎方法
CN208235970U (zh) 一种手动操作式钢筋绑扎器
EP0323470B1 (en) A lashing machine
CN101736903A (zh) 钢筋捆扎机
KR101377608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KR101459344B1 (ko) 철근을 클립으로 결속하는 철근결속장치
CN109531491B (zh) 拉拔紧固器
KR20180077952A (ko) 케이블 타이 자동 절단기
JP5189468B2 (ja) 鉄筋の結束装置
CN210026478U (zh) 一种可调节的订箱机
JP6764098B1 (ja) ワイヤロープ端末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器
CN110508717B (zh) 一种建筑楼梯铺设钢筋折弯器
CN108481225B (zh) 一种用于扎紧管道接口的手动钳
KR200352561Y1 (ko) 철근 반자동결속기
CN111733815A (zh) 一种具有单向锁紧效果的多级拔桩装置
JP2008297710A (ja) 鉄筋の自動結束方法及び装置
KR20210012152A (ko) 건축 및 토목용 전동 철근 결속기
CN213381301U (zh) 一种多用钢筋捆扎辅助装置
CN219794699U (zh) 一种自动绑扎钢筋装置
KR20110067896A (ko) 자동철근결속장치
JPH0673249U (ja) 鉄筋結束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