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097B1 -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097B1
KR100365097B1 KR1020010009607A KR20010009607A KR100365097B1 KR 100365097 B1 KR100365097 B1 KR 100365097B1 KR 1020010009607 A KR1020010009607 A KR 1020010009607A KR 20010009607 A KR20010009607 A KR 20010009607A KR 100365097 B1 KR100365097 B1 KR 10036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wireless
passage
use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9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5592A (ko
Inventor
이시가메신이치
이마즈카가츠오
마츠타니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63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35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634A external-priority patent/JP45944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3773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8409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85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10Movable barriers with registe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찰 통로를 따라 배치되며 자기식 승차권을 이 통로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1 반송기구를 갖고, 자기식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통로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용자에 대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며, 또한 통로를 따라 제 2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용자에 휴대된 자기식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통로를 따라 제 2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철도등의 교통기관에 설치된 자동개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철도등의 교통기관 역에는 자동개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자동개찰장치는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을 수납하여, 이 승차권에 기록되어있는 자기정보를 판독하여, 이용자의 통행(역구내로의 입장 또는 역구외로의 출장)의 가부를 판정한다. 자동개찰장치가 통행불가의 판정을 한 경우, 자동개찰장치에 설치된 문이 폐쇄되어 이용자의 통행이 저지된다. 또한, 이 때 자동개찰장치에 설치된 표시패널에 주의 등의 안내가 표시되거나 또는 스피커로부터 주의등의 안내가 출력된다.
이러한 자동개찰장치는 통상 크기 및 정기권 크기등의 복수 크기의 승차권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당일에 한해 유효한 근거리의 승차권(통상 크기), 정기권(정기권 크기) 및 SF(선불) 카드(정기권 크기)등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개찰장치의 승차권을 반송하는 반송기구에는 복수 크기의 승차권에 대응하기 위한 정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개찰장치는 복수장의 승차권을 일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기권과 SF 카드를 일괄하여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개찰장치내의 반송기구에는 복수장의 승차권에 대응하기 위한 승차권 보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개찰장치를 따라서 형성된 통로를 개찰로 및 집찰로로서 공용하는 경우는, 통상 자동개찰장치는 2대 1조로 통로경계로서 설치된다. 2대 1조로 설치되는 이들 2기의 자동개찰장치중 어느 한쪽의 자동개찰장치에 설치된 승차권의 투입구측이 다른쪽 자동개찰장치에서는 승차권의 배출구가 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한쪽의 자동개찰장치에 설치된 승차권 배출구측이 다른쪽 자동개찰장치에서는 승차권의 투입구가 되도록 2기가 조합되어 설치된다.
또한, 이 자동개찰장치에는 자기식 승차권 처리기능에 부가하여 무선통신기능; 즉 무선통신가능한 IC카드의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을 행하여, 자기식 승차권과 동일 형태의 이용정보를 판독하여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통행가부의 판정을 행하는 구성도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개찰장치의 반송기구에는 복수 크기의 승차권을 처리하기 위한 정렬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복수 장의 승차권을 일괄하여 처리하기 위한 보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반송기구가 길어져 전체 자동개찰장치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 크기의 승차권에 대처하여 복수장의 승차권을 일괄처리하기 위해서는 자동개찰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개찰용의 통로와 집찰용의 통로를 공용하기 위해 자동개찰장치가 2대 1조로 통로경계로서 설치되는 경우, 각 통로사이에 2대씩 자동개찰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통로의 경계에 2대씩 설치되기 때문에) 역의 개찰 코너에 있어서 자동개찰장치의 점유율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개찰장치를 자기식 및 무선식의 승차권에 대응시킨 경우, 자동개찰장치에서 이들 양 승차권을 조합하여 정산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에 대처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식 및 무선식 승차권에 대응가능하며 고효율의 작동상태로 작동하는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공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무선식 승차권과의 통신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자동개찰장치의 외관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내부구조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상의 공유 표시부에 설치된 차광판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탑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자동개찰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에 설치된 원격제어신호 수신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자동개찰장치의 외관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이용자의 수납 타이밍을 플로우차트;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정산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찰장치의 외관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내부구조의 개략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개략 구성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15는 자동개찰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개찰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및
도 17은 도 12에 도시된 자동개찰장치의 ID코드 개찰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주 제어부 102 : 제어 패널
103 :전원부 104 : 도어
105 : 센서 106 : 스피커
107 : 회수부 108 : 공유표시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찰장치는, 제 1 통로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자기식 승차권을 반송하기 위한 제 1 반송기구;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유효여부를 판정하는 제 1 개찰수단; 제 1 반송기구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며 자기식 승차권을 제 1 통로와 평행한 제 2 통로를 따라 제 1 방향과 역의 제 2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기구; 및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유효여부를 판정하는 제 2 개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찰장치는 하나의 크기로 한정된 자기식 승차권을 처리하기 위한 제 1 처리수단; 자기식 승차권과 다른 종류의 무선식 승차권을 처리하기 위한 제 2 처리수단; 제 1 처리수단에 의한 처리에 기초한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1 개찰수단; 및 제 2 처리수단에 의한 처리에 기초한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1 개찰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개찰장치는 주 본체; 주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1 이용자에 휴대된 이용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1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 이 제 1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이용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이 제 1 판단수단에서 통행허가가 판정된 경우 제 1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허가수단; 주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의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2 이용자에 휴대된 이용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2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의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 제 2 수단에서 수신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이용자의 통행가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 제 2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상기 허가수단에서 통행이 허가된 제 1 이용자에 유대된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 제 3 판단수단에서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한 제 2 이용자의 통행가부판단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 및 제 3 판단수단에서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다른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 2 판단수단에 의한 제 2 사용자의 통행가부판단을 실행시키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처리대상인 승차권 매체는 자기식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이다. 또한, 자기식 승차권은 한가지 크기의 승차권으로 제한된다. 무선식 승차권은 단일 크기로 제한된 자기식 승차권과는 다른 종류의 승차권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에서 처리대상인 자기식 승차권을 에드몬슨 사이즈(Edomondson size)(57.5mm x 30mm)로 한정한다. 또한, 처리대상인 자기식 승차권을 소정 거리의 승차권으로서 당일에만 유효한 승차권으로 한정한다. 달리 표현하면, 처리대상인 자기식 승차권을 보통 승차권으로 한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에서 처리대상인 무선식 승차권은 소정 기간에 있어서 소정 구간의 승차가 허가되는 정기승차권(57.5mm x 85mm), 미리 기록된 금액정보만큼의 승차가 허가되는 선불식 승차권(SF 승차권)(57.5mm x 85mm), 및 상기 소정 거리를 초과한 장거리의 승차가 허가된 장거리 승차권(57.5mm x 120mm) 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식 승차권의 종류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보통 승차권으로만 한정하는 것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에 기록되는 데이터량을 한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자기식 승차권을 에드몬슨 사이즈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는 다른 방법으로, 데이터의 기록방식을 변환하는 것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을 에드몬슨 사이즈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낮은 기록밀도를 가지는 NRZ 1(non return to zero 1) 방식 대신에, 높은 기록밀도를 가지며 CP트랙이 불필요한 FM 방식을 채용한다. 따라서, 에드몬슨 사이즈의 자기식 승차권에 있어서도 비교적 용량이 큰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특급승차권정보를 포함하는 장거리승차권도 에드몬슨 사이즈의 자기식 승차권으로 발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외관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내부구조의 개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찰장치에는 주 제어부(101), 제어패널(102), 전원부(103), 도어(104), 센서(105), 스피커(106), 회수부(107), 공유표시부(108), 개찰처리부(110a) 및 개찰처리부(110b)등이 설치되어 있다.
주 제어부(101)는 자동개찰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제어패널(102)은 이 자동개찰장치를 유지보수하는 보수원에 의해 조작되는 패널이다. 도어(104)는 도어 개/폐 구동부(104a)에 의해 개/폐된다. 센서(105)는 자동개찰장치의 측면을 통과하는 이용자, 즉 지동개찰장치를 통과하는 이용자를 검지한다. 스피커(106)는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회수부(107)는 회수상자를 가지며, 이 회수상자에 불필요한 자기식 승차권을 회수한다. 공유표시부(108)는 개찰처리부(110a)에 의한 개찰처리에 관한 안내, 개찰처리부(110b)에 의한 개찰처리에 관한 안내를 표시한다. 이 공유표시부(108)는 후술한다.
개찰처리부(110a)에는 매체처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개찰처리부(110a)에는 통로표시부(112a), 투입구(114a), 통신부(116a), 안내표시부(118a), 판정결과표시부(120a), 배출구(122a) 및 반송기구(124a)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표시부(112a)는 자동개찰장치를 따라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승객)에 대한 각종 안내가 표시된다. 투입구(114a)는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일단 근방에 설치된 기구로서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을 수납한다. 통신부(116a)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교신하여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식 승차권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표시부(118a)는 이용자에 대한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판정결과표시부(120a)는 통행의 가부판정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이 판정결과표시부(120a)에 표시되는 내용을 공유표시부(108)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이 판정결과표시부(120a)를 기기구성으로부터 생략할 수 있다. 배출구(122a)는 투입구(114a)에서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한다. 즉, 이용자에 대하여 자기식 승차권을 반환한다. 반송기구(124a)는 투입구(114a)에서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구(122a) 또는 회수부(107)의 회수상자까지 반송한다.
개찰처리부(110b)에는 매체처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개찰처리부(110b)에는 통로표시부(112b)(사시도이기 때문에 도면상에서는 볼 수 없슴), 투입구(114b), 통신부(116b), 안내표시부(118b), 판정결과표시부(120b) 및 반송기구(124b)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표시부(112b)는 자동개찰장치에 따른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에 대한 각종 안내가 표시된다. 투입구(114b)는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타단 근방(투입구(114a)와 반대측)에 설치된 기기로서, 이용자에 의해 삽입된 무선식 승차권을 수납한다. 통신부(116b)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교신하여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무선식 승차권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표시부(118b)는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판정결과표시부(120b)는 통행의 가부판정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이 판정결과표시부(120b)에 표시되는 내용을 공유표시부(108)에 표시하는 것에 의해 이 판정결과표시부(120b)를 기기구성에서 생략할 수 있다. 배출구(122b)는 투입구(114b)를 통해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한다. 즉, 이용자에 대하여 자기식 승차권을 반환한다. 반송기구(124b)는 투입구(114b)에서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구(122b) 또는 회수부(107)의 회수상자까지 반송한다.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일단 근방으로부터 중앙까지, 즉 개찰처리부(110a)의 일부(반송기구(124a))는 탑 커버(126a)에 의해 덮혀진다. 이 탑 커버(126a)는 자동개찰장치에 대하여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탑 커버(126a)상에는 투입구(114a), 통신부(116a), 안내표시부(118a), 판정결과표시부(120a), 배출구(122a)가 설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타단 근방에서 중앙까지, 즉 개찰처리부(110b)의 일부(반송기구(124b))는 탑 커버(126b)에 의해 덮혀있다. 이 탑 커버(126b)는 자동개찰장치에 대하여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탑 커버(126b)상에는 투입구(114b), 통신부(116b), 안내표시부(118b) 및 판정결과표시부(120b)가 설치되어 있다.
탑 커버(126a)는 이 자동개찰장치에 의해 분리된 한쪽 통로의 통로측으로 열리며, 탑 커버(126b)는 이 자동개찰장치에 의해 분리된 다른쪽 통로측으로 열린다(도 6 참조). 따라서, 한쪽의 탑 커버가 열려 한쪽의 통로가 사용불가로 되어도 다른쪽 통로는 사용불가로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이 제 1 및 제 2 개찰용의 통로를 따라 이들 양 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 탑 커버(126a)는 제 1 개찰용 통로측으로 열리며, 제 2 개찰용 통로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유사하게, 탑 커버(126b)는 제 2 개찰용 통로측으로 열리며, 제 1 개찰용 통로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탑 커버(126a)를 열어 개찰처리부(110a)의 매체처리기구를 유지보수하여도 개찰처리부(110b)에 의한 개찰처리(제 2 개찰용 통로의 사용)가 가능해진다. 유사하게, 탑 커버(126b)를 열어 개찰처리부(110b)의 매체처리기구를 유지보수하여도 개찰처리부(110a)에 의한 개찰처리(제 1 개찰용 통로의 사용)가 가능해진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동작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는 주제어부(101), ROM(130), RAM(132), 운임메모리(134), 판독/기록부(136), 반송제어부(138), 인쇄제어부(140), 승차권검지센서 감시부(142), 인간검지센서 감시부(144), 도어개폐 제어부(146), 표시제어부(148), 펀치제어부(150), 보류제어부(152), 탑 커버 개폐감시부(154), 전원제어부(156), 제어패널 제어부(158), 모드전환스위치(160), 무선통신제어부(162), 네트워크통신 제어부(164) 및 감시부 I/F(166)등을 구비한다.
주제어부(10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동개찰장치 전체를 제어한다. ROM(103)은 주제어부(101)의 제어프로그램등을 기억한다. RAM(132)은 주제어부(101)에 의해 자동개찰장치를 제어할 때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운임메모리(134)는 운임데이터를 기억한다. 판독/기록부(136)는 판독용 및 기록용의 자기헤드를 제어하여, 자기식 승차권에 자기기록된 데이터를 판독 및/또는 자기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를 자기기록한다. 반송제어부(138)는 반송기구(124a, 124b)에 의한 자기식 승차권의 반송을 제어한다. 또한, 반송제어부(138)는 투입구(114a, 114b)에 설치된 투입구 셔터를 제어하여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시킨다. 인쇄제어부(140)는 서멀헤드(139)를 제어하여 자기식 승차권에 소정의 정보를 인쇄기록한다.
승차권검지센서감시부(142)는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설치된 복수의 승차권검지센서(141)로부터의 승차권검지신호를 검사하여 반송기구(124a, 124b)에 의한 자기식 승차권의 반송상태를 감시한다. 인간검지센서감시부(144)는 인간검지센서(105)로부터의 인간검지신호를 검사하여 자동개찰장치를 따라 통행하는 사람을감시한다. 도어기구제어부(146)는 도어개폐구동부(104a)에 의한 도어의 개폐구동을 제어한다. 표시제어부(148)는 공유표시부(108), 통로표시부(112a), 안내표시부(118a), 판정결과표시부(120a), 통로표시부(112b), 안내표시부(118b), 판정결과표시부(120b)등의 각종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한다. 펀치제어부(150)는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소정위치에 설치된 펀치기구(149)에 의한 펀칭처리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보류제어부(152)는 반송기구(124a, 124b)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보류부(151a, 151b)에 의한 자기식 승차권의 보류를 제어한다. 탑 커버개폐감시부(154)는 탑 커버(126a)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탑 커버센서(154a)로부터의 검지신호와 탑 커버(126b)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탑 커버 센서(154b)로부터의 검지신호를 검사하여 탑 커버(126a, 126b)의 개폐상태를 감시한다. 전원제어부(156)는 전원부(103)에 의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제어패널 제어부(158)는 제어패널(102)로부터 입력된 설정값등에 기초하여 자동개찰장치를 제어한다. 달리 표현하면, 제어패널(102)은 개찰처리기구 및 집찰처리기구를 일괄하여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이 제어패널 제어부(158)에 의해 제어패널(102)에 의한 보수 대상의 변환이 제어된다. 예를 들면, 탑 커버(126a)만이 열린 상태에서는(탑 커버 개폐감시부(154)에 의한 탑 커버 개폐의 개폐상태는 감시되어 있음), 제어패널 제어부(158)는 제어패널(102)에 의한 보수 대상을 개찰처리부(110a)로 전환하고, 반대로, 탑 커버(126b)만이 열린상태에서는 제어패널 제어부(158)는 제어패널(102)에 의한 보수 대상을 개찰처리부(110b)로 전환한다. 또한, 탑 커버(126a, 126b)의 양쪽이 열린 상태에서는 제어패널 제어부(158)는 제어패널(102)에 의한 보수 대상을 개찰처리부(110a, 110b)의 양쪽으로 전환한다. 또한, 제어패널에는 보수 대상의 선택지정을 받는 키가 설치되어 있어 보수원이 보수대상을 선택지정할 수 있다.
모드전환스위치(160)는 자동개찰장치의 모드를 전환한다. 모드에는 자기식 승차권 전용모드, 무선식 승차권 전용모드 및 병용모드가 있다. 모드전환스위치(160)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 전용모드로 전환되면,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의 대상은 자기식 승차권만이 된다. 이 때, 통로표시부(112a, 112b)에는 자기식 승차권만이 처리대상인 것이 안내표시된다. 이 경우, 유효한 무선식 승차권의 통행은 허가되지 않는다. 모드전환스위치(160)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 전용모드로 전환되면,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의 대상은 무선식 승차권만이 된다. 이 때, 통로표시부(112a, 112b)에는 무선식 승차권만이 처리대상인 것이 안내표시된다. 또한, 투입구(114a, 114b)에 설치된 투입구 셔터가 닫히고 투입구(114a, 114b)에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할 수 없다. 모드전환스위치(160)에 의해 병용모드로 전환되면,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의 대상은 자기식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의 양쪽이 된다. 이 때, 통로표시부(112a, 112b)에는 자기식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의 양쪽이 처리대상인 것이 안내표시된다.
무선통신제어부(162)는 통신부(116a, 116b)의 송수신 파워 등을 제어하여, 통신부(116a, 116b)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통신부(116a, 116b)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한다. 네트워크통신제어부(164)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제어한다. 감시부 I/F는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부(166)와 자동개찰장치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또한, 감시부(166)에도 전술한 모드전환스위치(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감시부(166)에 설치된 모드전환스위치(160)는 자동개찰장치마다에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보류기구(151a, 151b) 및 회수부(107)의 회수상자를 상세히 설명한다. 회수상자에는 반송기구(124a, 124b)에 의해 반송되는 자기식 승차권이 일괄하여 회수된다. 달리 표현하면, 이 자동개찰장치는 반송기구(124a)용의 회수상자와 반송기구(124b)용의 회수상자를 구비하지 않고 반송기구(124a, 124b)용의 공통의 회수상자를 1개만 구비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동개찰장치의 비용이 감소된다. 또한, 이 회수상자는 자동개찰장치의 통로측의 양 측면으로부터 취출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이 제 1 및 제 2 개찰용의 통로를 따라 이들 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면, 회수상자는 제 1 개찰용의 통로측으로부터도 취출되고 제 2 개찰용의 통로측으로부터도 취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찰용의 통로측으로부터 회수상자를 취출하여도 제 2 개찰용 통로는 사용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2 개찰용의 통로측으로부터 회수상자를 취출하여도 제 1 개찰용 통로는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동개찰장치내에는 회수상자를 검지하는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회수상자가 장치로부터 취출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회수상자가 취출되어 있는 동안에는, 보류제어부(152)에 의해 보류기구(151a, 151b)가 제어되며, 회수되어지는 자기식 승차권이 일시적으로 보류된다. 따라서, 회수상자가 한쪽의 통로측으로부터 취출되어 있는 사이에서도 다른쪽의 통로를 이용한 개찰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설치된 승차권검지센서(141)로부터의 출력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보류기구(151a, 151b)에 의해 보류되어 있는 자기식 승차권의 매수를 알 수 있다. 보류기구(151a, 151b)에 의해 보류가능한 자기식 승차권의 매수에는 상한이 있으며, 보류기구(151a, 151b)의 보류능력이 포화상태에 도달하면 투입구 셔터(137)가 닫혀 자기식 승차권의 수납을 금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보류기구(151a, 151b)에서의 자기식 승차권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자동개찰장치의 설치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자동개찰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하기 위해 복수의 자동개찰장치가 설치된 형태를 위에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동개찰장치가 역 구외와 역 구내의 경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자동개찰장치의 사이의 공간이 통로가 된다. 달리 표현하면,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이 개찰 통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단의 자동개찰장치에는 개찰처리부(110a, 110b)중의 한쪽만이 탑재된 자동개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자동개찰장치가 제 1 및 제 2 개찰용의 통로를 따라 이들 양 통로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투입구(114a), 통신부(116a), 안내표시부(118a), 판정결과표시부(120a) 및 배출구(12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중심선으로부터 한쪽의 개찰 통로측(제 1 개찰처리측)에 치우진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개찰장치상의 투입구(114ba), 통신부(116b), 안내표시부(118b), 판정결과표시부(120b) 및 배출구(122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찰 통로를 따라 하우징의 중심선으로부터 다른쪽의 개찰 통로측(제 2 개철처리측)에 치우진 위치로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각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가 각 통로에 대응한 소정의 개찰처리부(110a 또는 110b)에 의해 개찰처리를 할 수 있다(별도의 통로에 대응한 개찰처리부(110a 또는 110b)에서 개찰처리를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기식 승차권으로 개찰처리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역 구외측으로부터 진입하여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일단 근방에 설치된 투입구(114a)에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한다.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은 반송기구(124a)에 의해 반송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반송기구(124a)는 개찰용의 통로를 따라 하우징의 일단 근방으로부터 대략 중앙까지의 구간에 설치된 기구로서, 투입구(124a)에 의해 수납된 자기식 승차권을 이 하우징의 일단 근방으로부터 대략 중앙까지 개찰용의 통로를 따른 제 1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제 1 방향은 역 구외로부터 역 구내로 향하는 방향이다. 반송 도중, 판독/기록용 자기헤드(135)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에 대한 소정의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되며, 필요에 따라 자기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제어부(101)는 자기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메모리(134)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에 필요에 따라 펀치처리 및 인쇄처리를 실시하고, 하우징의 대략 중앙에 설치된 배출구(122a)로부터 배출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120a)에는 승차권의 발취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통행불가인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구(122a)로부터 배출하여 도어(1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내로의 진입)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120a)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을 안내, 승차권의 발취안내등을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무선식 승차권으로 개찰처리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역 구외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통신부(116a) 위로 무선식 승차권을 가져간다. 이 때, 무선식 승차권과 통신부(116a)와의 교신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무선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제어부(101)는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메모리(134)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인 경우, 판정결과표시부(120a)는 통행허가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통행불가인 경우, 도어(1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내로의 진입)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120a)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자기식 승차권으로 집찰처리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역 구내측으로부터 진입하여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일단 근방에 설치된 투입구(114b)에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한다.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은 반송기구(124b)에 의해 반송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 반송기구(124b)는 개찰용의 통로를 따라 하우징의 타단 근방으로부터 대략 중앙까지의 구간에 설치된 기구로서, 투입구(124b)에 의해 수납된 자기식 승차권을 이 하우징의 타단 근방으로부터 대략 중앙까지 개찰용의 통로를 따른 제 2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 제 2 방향은 역 구내로부터 역 구외로 향하는 방향이다. 전술한 제 1 방향과는 반대방향이다. 반송 도중, 판독/기록용 자기헤드(135)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되며, 필요에 따라 자기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제어부(101)는 자기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메모리(134)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를 회수부(107)의 회수상자에 회수한다. 이와 같이, 통상, 집찰처리에서 통행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을 반환하지 않고 회수부(107)의 회수상자에 회수한다. 따라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하는 배출구(122b)등의 배출기구를 생략할 수 있다. 통행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구(122b)로부터 배출(반환)한다. 배출구(122b)등의 배출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는 투입구(114b)에서 반환하거나 또는 보류기구(151b)에서 보류하여 역무원이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외로의 출장)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120b)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을 안내, 승차권의 발취안내등을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무선식 승차권으로 집찰처리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역 구내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통신부(116b) 위로 무선식 승차권을 가져간다. 이 때, 무선식 승차권과 통신부(116b)와의 교신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무선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제어부(101)는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메모리(134)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인 경우, 판정결과표시부(120b)는 통행허가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통행불가인 경우, 도어(1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외내로의 출장)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120b)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1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전술한 경우에 공통으로 통행불가인 경우는 감시부(168)에 대하여 통행불가판정한 자동개찰장치의 호번호가 통지된다.
여기서, 자기헤드(135)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자기식 승차권의 한쪽의 표면은 자기정보가 자기기록되는 자기기록면이며, 다른쪽 면은 문자등의 정보가 인쇄기록되는 인쇄기록면이다. 자동개찰장치에서는 자기기록면을 아래쪽 또는 위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에도 처리할 수 있도록 자기헤드(135)가 배치되어 있다.
자기헤드(135)의 제 1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1 배치에 있어서는, 자기기록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용의 판독/기록용 자기헤드(135)를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배치한다. 또한, 자기기록면을 위로하여 투입된 경우용의 판독/기록용 자기헤드(135)를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배치한다. 이에 의해, 자기기록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 또는 위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개찰처리부(110b)에 있어서는 기록용 자기헤드(135)를 생략할 수 있다(기록용 자기헤드(135)를 설치하지 않음). 특히, 자기식 승차권에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회수부(107)에 회수되는 자기식 승차권의 자기기록부에 대해서는 펀치기구(149)에 의해 펀칭처리를 가하여 자기기록부를 파괴할 수 있다. 개찰처리부(110b)에 기록용 자기헤드(13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해 기기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자기헤드(135)의 제 2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 2 배치에 있어서는, 자기기록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용의 기록용 자기헤드(135)를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배치한다. 또한, 자기기록면을 위로하여 투입된 경우용의 기록용 자기헤드(135)를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배치한다. 이에 의해, 자기기록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 또는 위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에도 기록처리는 대응할 수 있다. 한편, 기록용 자기헤드(135)는 자기기록면을 아위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용만으로 반송기구(124a, 124b)를 따라 배치된다. 이 자기기록면을 아래쪽으로 또는 위쪽으로 하여 투입된 승차권은 이 자기헤드(135)에 의해서만 복사될 수있다. 승차권이 자기기록면을 아래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는 하등 문제가 없다. 자기기록면을 위쪽으로 하여 투입된 경우는 판독정보의 출력이 작아진다. 이는 자기기록면이 헤드로부터 멀리 위치하기 때문으로 공간손실의 영향으로 자기의 출력이 작아진다. 이 경우, 판독결과인 출력전류를 감시하여 출력전류가 규정값보다 낮으면, 판독 증폭기의 게인을 전환하여 출력배율을 높게 하게 판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개찰처리부(110b)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록용 자기헤드(135)를 생략할 수 있다(기록용 자기헤드(135)를 설치하지 않음). 전술한 바와 같은 자기헤드의 배치와 유사하게, 펀치기구(149)에 의해 펀칭처리를 가하여 자기기록부를 파괴할 수 있다. 개찰처리부(110b)에 기록용 자기헤드(135)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에 의해 기기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계속해서, 공유표시부(108)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자동개찰장치가 제 1 및 제 2 개찰처리용의 통로를 따라 그들 통로사이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가정한다. 또한, 이 자동개찰장치는 제 1 개찰용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고 제 2 개찰용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공유표시부(108)는 이들 제 1 및 제 2 개찰처리용의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양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이 공유표시부(108)에 표시되는 안내를 혼동하지 않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공유표시부(108)는 제 1 개찰용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지향성을 갖는 제 1 표시부(181)와 제 2 개찰용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하여 지향성을 갖는 제 2 표시부(182)를 구비한다. 도 5는 공유표시부(108)의 제 1 표시부(181) 및 제 2 표시부(182)의 지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표시부(181)는 제 1 개찰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한 지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차광판(181a)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표시부(182)는 제 1 개찰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대한 지향성을 부여하기 위한 차광판(182a)를 구비하고 있다. 차광판(181a)에 의해 광원(183)으로부터의 광은 제 1 개찰통로를 제 1 방향으로 통행하는 사람에게는 도달하지만 제 2 개찰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게는 도달하지 않는다. 역으로, 차광판(182a)에 의해 광원(183)으로부터의 광은 제 2 개찰통로를 통행하는 제 2 방향으로 통행하는 사람에게는 도달하지만 제 1 개찰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게는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광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공유표시부(108)에 표시되는 안내가 양 통로를 통행하는 사람에 혼동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공유표시부(108)를 제 1 표시부(181) 및 제 2 표시부(182)의 2개로 2분할하여 각각의 표시부에 차광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지향성을 부여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안내표시부(118a, 118b)에 차광판을 설치하여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판정결과표시부(120a, 120b)에 차광판을 설치하여 지향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상면부에 설치된 각 표시부는 이용자의 진행방향을 고려하여 표시내용의 상하방향을 제어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신호수신부(170)를 자동개찰장치에 설치하여, 리모콘(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한다. 원격제어신호수신부(170)는 자동개찰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센서(105)가 설치된 벽면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자동개찰장치에서는 어떤 에러의 원인으로 장치를 재설정하여 재기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개찰장치에 설치된 제어패널(102)로부터 재설정을 입력하거나 또는 원격조작이 가능한 리모콘으로부터 재설정을 입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원격제어신호수신부(170)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소자(1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수광소자(17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약 30°의 수신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수평방향에서 수신되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감도있게 수신할 수는 없다. 따라서, 수광소자(171)를 유백색의 아크릴 캡(172)으로 덮어 이 아크릴 캡의 상부에 차광판(173)을 설치한다. 아크릴 캡(172)은 외부 광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투과한 외부 광을 내부에서난반사시킨다. 또한, 차광판(173)은 아크릴 캡(172)내에 투과한 광이 난반사로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수평방향에서 송신되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제어신호를 감도있게 수광소자(171)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1)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에 대응하는 자기식 승차권을 하나의 크기로 한정한다. 예를 들면, 정기권 크기보다 작은 에드몬슨 크기로 한정한다. 또한, 자동개찰장치에 대응하는 무선식 승차권 모두는 하나의 크기로 한정된 자기식 승차권과는 다른 종류의 승차권이다. 따라서, 자동개찰장치내에 복수 크기의 자기식 승차권에 대응하기 위한 정렬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자동개찰장치내의 보류부의 크기도 축소시킬 수 있으며(정기권크기에 대응할 필요가 없기 때문), 자기헤드의 간격도 단축시킬 수 있다(정기권크기에 대응할 필요가 없기 때문). 그 결과, 자동개찰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반송로방향을 짧게 할 수 있다.
(2)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로방향을 짧게 할 수 있어 개찰용의 통로를 연장하지 않고 개찰용의 통로방향을 따라 개찰처리부(110a, 110b)를 직렬로 설치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개찰용 통로를 따라 병렬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3)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에서는 개찰처리측의 탑 커버가 이 자동개찰장치에 의해 분리된 한쪽 통로측으로 열리고, 집찰처리측의 탑 커버가 이 자동개찰장치에 의해 분리된 다른쪽 통로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쪽의 탑커버가 열려 한쪽 통로가 사용불가가 되어도 다른쪽의 통로까지 사용불가가 되지 않는다. 이는 자동개찰장치의 가동효율의 저하방지가 도모된다.
(4) 자동개찰장치상의 투입구(114a), 통신부(116a), 안내표시부(118a), 판정결과표시부(120a) 및 배출구(122a)는 개찰용 통로를 따라 하우징상의 중심선으로부터 한쪽의 개찰용 통로측에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동개찰장치상의 투입구(114b), 통신부(116b), 안내표시부(118b), 판정결과표시부(120b) 및 배출구(122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찰용 통로를 따라 하우징상의 중심선으로부터 다른쪽의 개찰용 통로측에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가 각 통로에 대응한 소정의 처리기구에서 개찰처리 또는 집찰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별개의 통로에 대응한 처리기구에서 개찰처리 또는 집찰처리를 하는 것이 방지된다.
(5) 1개의 제어패널을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에 공유시켜 제어패널에 의해 보수대상을 탑 커버의 개폐상태에 대응하여 전환하여 제어한다. 그 결과, 기기 비용이 감소됨과 동시에 편리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6) 차광판에 의해 표시내용에 따라 지향성을 부여하는 것에 따라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에 대응하는 표시부를 공유할 수 있다. 그 결과,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에 대응할 수 있고 소형화된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찰장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자동개찰장치의 외관의 개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찰장치에는 도어(204), 센서(205), 스피커(206), 회수부(207), 개찰처리부(210a) 및 개찰처리부(210b)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어(204)가 닫히면 통로는 폐쇄된다. 센서(205)는 자동개찰장치의 측면을 통과하는 이용자, 즉 자동개찰장치를 통과하는 이용자를 검지한다. 스피커(206)는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회수부(207)는 회수상자를 가지며, 이 회수상자에 불필요한 자기식 승차권을 회수한다.
개찰처리부(210a)에는 승차권처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개찰처리부(210a)에는 통로표시부(212a), 투입구(214a), 정산 키(215a), 통신부(216a), 안내표시부(218a), 판정결과표시부(220a), 배출구(222a), 반송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표시부(212a)는 자동개찰장치를 따라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승객)에 대한 각종 안내가 표시된다. 투입구(214a)는 이용자에 의해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을 수납한다. 정산 키(215a)는 정산을 필요로 할 때 본체에 정산을 지시한다. 통신부(216a)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교신하여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무선식 승차권에 대한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표시부(218a)는 이용자에 대한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판정결과표시부(220a)는 통행의 가부판정결과를 표시한다. 배출구(222a)는 투입구(214a)에서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한다. 즉, 이용자에 대하여 자기식 승차권을 반환한다. 반송기구(도시되지 않음)는 투입구(214a)에서 수납한 자기식승차권을 배출구(222a)까지 반송한다.
개찰처리부(210b)에는 승차권처리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개찰처리부(210b)에는 통로표시부(212b)(사시도이기 때문에 도면상에서는 볼 수 없슴), 투입구(214b), 정산 키(215b), 통신부(216b), 안내표시부(218b), 판정결과표시부(220b) 및 반송기구(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표시부(212b)는 자동개찰장치에 따른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에 대한 각종 안내가 표시된다. 정산 키(215b)는 정산을 필요로 할 때 본체에 정산을 지시한다. 통신부(216b)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교신하여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무선식 승차권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표시부(218b)는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판정결과표시부(220b)는 통행의 가부판정결과를 표시한다. 반송기구(도시되지 않음)는 투입구(214b)에서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을 회수부(207)까지 반송한다. 또한, 이 집찰처리부(210b)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달리 표현하면, 투입구(214b)에서 수납한 자기식 승차권은 모두 기기내의 회수부(207)에 회수된다.
개찰처리부(210a)의 반송기구(도시되지 않음)는 탑 커버(226a)에 의해 덮혀진다. 이 탑 커버(226a)는 자동개찰장치에 대하여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탑 커버(226a)상에는 투입구(214a), 통신부(216a), 안내표시부(218a), 판정결과표시부(220a), 배출구(222a)가 설치되어 있다. 유사하게, 개찰처리부(210b)의 반송기구(도시되지 않음)는 탑 커버(226b)에 의해 덮혀있다. 이 탑 커버(226b)는 자동개찰장치에 대하여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탑 커버(226b)상에는 투입구(214b), 통신부(216b), 안내표시부(218b) 및 판정결과표시부(220b)가 설치되어 있다.
탑 커버(226a)는 이 자동개찰장치에 의해 분리된 한쪽 통로의 통로측으로 열리며, 탑 커버(226b)는 이 자동개찰장치에 의해 분리된 다른쪽 통로측으로 열린다. 따라서, 한쪽의 탑 커버가 열려 한쪽의 통로가 사용불가로 되어도 다른쪽 통로는 사용불가로 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동작등을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자동개찰장치가 역 구외와 역 구내의 경계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 각 자동개찰장치의 사이의 공간이 개찰용의 공통의 통로가 된다. 또한, 양단의 자동개찰장치에는 개찰처리부(210a, 210b)의 어느 한쪽만이 탑재된 자동개찰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자기식 승차권으로 개찰처리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역 구외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투입구(214a)에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한다.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은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며, 도중에 판독/기록용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되며 필요에 따라 자기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는 자기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에 필요에 따라 펀치처리 및 인쇄처리를 실시하고, 배출구(222a)로부터 배출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220a)에는 승차권의 발취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통행불가인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구(222a)로부터 배출하고 도어(2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내로의 진입)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220a)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을 안내, 승차권의 발취안내등을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무선식 승차권으로 개찰처리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역 구외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통신부(216a) 위로 무선식 승차권을 가져간다. 이 때, 무선식 승차권과 통신부(216a)와의 교신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무선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 제어부는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인 경우, 판정결과표시부(220a)는 통행허가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통행불가인 경우, 도어(2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내로의 진입)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220a)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자기식 승차권으로 집찰처리를 하는 경우, 사용자는 역 구내측으로부터 진입하여 자동개찰장치의 하우징의 일단 근방에 설치된 투입구(214b)에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한다.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은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며 도중에 판독/기록용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된다. 주 제어부는 자기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 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를 회수부(207)의 회수상자에 회수한다. 따라서, 집찰처리에서 통행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을 반환하지 않고 회수부(207)의 회수상자에 회수한다. 그 결과,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하는 배출구등의 배출기구를 생략하여 기기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통행불가의 경우는,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구(214b)로부터 배출(반환)하거나 또는 보류기구에서 보류하여 역무원이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2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외로의 출장)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220b)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을 안내, 승차권의 발취안내등을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무선식 승차권으로 집찰처리를 하는 경우, 이용자는 역 구내측으로부터 진입하여 통신부(216b) 위로 무선식 승차권을 가져간다. 이 때, 무선식 승차권과 통신부(216b)와의 교신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데이터를 판독하고, 필요에 따라 무선식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주 제어부는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운임메모리에 기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허가인 경우, 판정결과표시부(220b)는 통행허가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통행불가인 경우, 도어(204)를 닫아 이용자의 통행(역 구외내로의 출장)을 저지한다. 이 때, 판정결과표시부(220b)에는 승차권이 부적합한 것의 안내를 표시하고 스피커(206)로부터도 동일한 안내를 음성출력한다.
계속해서, 도 10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자동개찰장치에 의한 사용자의 수납 타이밍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개찰장치의 개찰처리부(210a)는 개찰용 통로의 대략 중앙부근에 배출구(22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개철처리에 있어서 먼저 개찰용 통로에 진입한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자가 나중에 진입하는 이용자의 자기식 승차권을 취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납 타이밍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서로 근접되어 설치되는 2대의 자동개찰장치 즉 1호기 및 2호기를 가정하여, 이 1호기와 2호기 사이의 개찰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를 수납하기 위한 타이밍을 설명한다. 덧붙여 말하면, 1호기의 개찰 처리부(210a)는 이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가 개찰처리를 하도록 이용되고, 2호기의 개찰 처리부(210b)는 이 통로를 통행하는 이용자가 개찰처리를 하도록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1호기와 2호기 사이의 개찰 통로로 진입하는 이용자가 없는 상태에서는, 즉 다시 말하면 두 개찰 처리부(210a, 210b) 모두에서 사용자를 기다리는 상태가 되면, 무선식 승차권을 가진 이용자(이하, 이 이용자를 "우선 이용자"라 칭함)가 1호기의 개찰 처리부(210a)에 의해 개찰 처리후 통로안으로 진입한다. 다시 말하면, 1호기의 개찰 처리부(210a)는 무선식 승차권을 수납한다(ST210). 이 때에, 2호기의 개찰 처리부(210b)에 의한 수납은 금지되고(ST212), 예를들면, 2호기의 통로 표시부(212b)에서 진입금지등의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1호기의 개찰 처리부(210a)에 의한 개찰 처리에서는, 우선 이용자의 무선 승차권에 의한 통행이 허용되지 않으면(ST214, 아니오), 문이 폐쇄되어 이용자가 개찰기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방지한다(ST216). 이 무선식 승차권에 의해 이용자가 통로를 통과하도록 허용되면(ST214, 예), 문은 개방상태가 되고 이용자는 개찰 통로를 통과하도록 허용된다(ST218).
그런후, 센서(205)의 출력을 기초로 하여 우선 사용자의 통행상태를 인식하고, 이 우선 이용자의 통행상태를 기초로 하여 다음 이용자의 수납 타이밍을 제어한다. 예를들면, 우선 이용자가 1호기의 중앙까지 도달할 때까지(ST220, 아니오), 다음 이용자를 받아들이지 않는다(ST222). 즉 다시말하면, 다음 이용자의 자기식 승차권이 수납되지 않고 또한 무선식 승차권도 수납되지 않는다. 따라서, 투입구 셔터가 폐쇄되고 투입구(214a)안으로 자기식 승차권을 삽입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 때, 1호기의 통로 표시부(212a)상에서는 진입 금지등의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1호기의 중앙에서 우선 이용자의 도착이 판명되면(ST220, 예), 다음 이용자의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만이 허용된다(ST224). 이 때, 1호기의 통로 표시부(212a)상에서는 자기식 승차권을 가진 이용자의 진입을 금지하는 안내가 표시된다.
우선 이용자가 1호기의 출구에 도달할때까지(ST226 아니오), 다음 이용자의 자기식 승차권은 수납되지 않는다(ST228). 1호기의 출구에서 우선 이용자의 도달이 판명되면(ST226, 예), 다음 이용자의 자기식 승차권의 수납이 허용된다(ST230). 이 때, 투입구 셔터는 개방되고 투입구(214a)안으로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이 허용된다.
1호기의 출구를 우선 이용자가 통과할때까지는, 2호기의 개찰 처리부(210b)에 의한 개찰처리의 수납이 연속적으로 금지된다(ST234). 1호기의 출구를 우선 이용자가 통과한 것으로 판명되면(ST232, 예), 2호기의 개찰 처리부(210b)에 의한 개찰처리의 수납을 허가한다(ST236). 이 때, 2호기의 통로 표시부(212b)상에서 표시된 진입금지 안내가 삭제되어진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다음 이용자가 무선식 승차권을 가지고 있으면, 자기식 승차권을 가진자보다 보다 빨리 수납을 허가한다. 이것은 다음 이용자가 무선식 승차권을 가지고 있을때, 잘못하여 우선 이용자가 다음 이용자의 무선식 승차권을 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우선 이용자의 무선식 승차권은 무선 통신되어지고, 통행이 판정되어지고, 필요한 데이터가 무선식 승차권으로 송신되어지고, 필요한 데이터가 무선식 승차권으로 송신되어지고 기록이 완료되어지는 타이밍에서 다음 이용자의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이 허가된다. 다음 이용자가 자기식 승차권을 가지면, 우선 이용자(무선식 승차권을 가진 이용자)가 자동 개찰 장치의 중앙을 통과하고 출구에 도달한 것을 검지한 후, 수납이 허가되어진다.
상기에서 언급된 수납 타이밍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를 가진 이용자를 처리하면, 다음 이용자의 수납이 더욱 빨라지고, 자동 개찰장치의 이용효율이 향상된다. 즉 다시 말하면, 하기와 같이 자동 개찰장치의 처리 모드가 변화되면, 자동 개찰 및 집찰 장치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는 제 1 실시예와 같은 모드 전환 스위치를 구비한다. 유사하게, 모니터도 모드 전환 스위치를 제공한다. 모니터에 제공되는 모드 전환 스위치는 모든 기기에 대하여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 스위치는 자기식 승차권 모드만을, 무선식 승차권 모드만을 그리고 혼용 승차권 모드를 전환시킨다.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 모드만으로 전환되면, 자동 개찰장치에 의한 개찰처리 대상은 자기식 승차권만이 된다. 이 때, 통로 표시부(212a,212b)는 자기식 승차권만이 처리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는, 무선식 승차권이 유효할지라도, 무선식 승차권을 가진 이용자는 통행을 허가하지 않는다.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 모드만으로 변환되면, 자동 개찰장치에 의한 개찰처리의 대상은 무선식 승차권만이 된다. 이 때, 통로 표시부(212a, 212b)는 무선식 승차권만이 처리대상임을 알리는 안내를 표시한다. 또한, 투입구(214a, 214b)에서 제공되는 투입구 셔터는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될 수 없도록 폐쇄된다.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모드가 혼용 승차권 모드로 전환되면, 자동 개찰장치에 의한 개찰처리의 대상은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가 된다. 이 때, 통로 표시부(212a, 212b)는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를 처리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를 표시한다.
예를들면, 복수의 자동 개찰장치가 설치되고, 복수의 개찰용의 통로가 제공된 역을 가정하자. 이러한 역에서, 혼잡한 아침 및 저녁의 출퇴근시에는 대부분의 자동 개찰장치는 무선식 승차권 모드만으로 작동되어진다. 나머지 자동 개찰장치는 자기식 승차권 모드만으로 작동되거나 또는 혼용 승차권 모드로 작동된다. 혼잡한 아침 및 저녁의 출퇴근시에는, 대부분의 이용자가 정기권 승차권을 이용한다. 자동 개찰장치에서는, 모든 정기권 승차권은 무선식 승차권으로 할당되어진다. 즉 다시 말하면, 혼잡한 아침 및 저녁의 출퇴근시에는, 대부분의 자동 개찰 장치가 기기당 처리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무선식 승차권 모드로 작동되고 그 결과 개찰처리의 혼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한 예일뿐이고, 시간대 또는 주말등과 같이 자동 개찰장치의 작동 모드를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개찰처리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는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를 대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자기식 승차권을 처리하는 기구와 무선식 승차권을 처리하는 기구를 제공한다. 만일 이들중 하나가 고장되는 경우, 즉 다시말하면,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에 의한 처리가 불능인 경우에는 상기 기술되어진 것처럼 처리되는 모드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자동 개찰장치를 운용할 수 있다. 모드는 보수원에 의해 변경되어질 수 있고 또는 기계자체에서 고장의 상태를 검지하고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것으로, 자기식 승차권이 처리되지 않으면, 무선식 승차권에 의한 개찰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와 반대로, 무선식 승차권이 처리되지 않으면, 자기식 승차권에 대한 개찰처리가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에 의한 정산처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는 정산 키(215a, 215b)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산처리는 정산 키(215a)가 압하될때 가능해진다. 정산 키(215a)는 첫번째 승차권이 처리되기전 또는 후에 압하되어진다. 또한, 터치 패널과 같은 안내 표시부(218a, 218b)를 만들어, 정산 키를 안내 표시부(218a, 218b)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는 기기에 의해 정산의 요구를 자동적으로 판정하고 자동 개찰장치상에 정산 키의 제공없이 정산을 요구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첫째로, 정산 키가 첫번째 승차권이 처리되기전에 압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자동 개찰장치가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를 수납(ST240)할때 정산 키(215a 또는 215b)는 압하된다고 가정한다(ST242, 예). 즉 다시 말하면, 이용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1매의 자기식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개찰장치에 허가되지 않음을 알때, 정산 키(215a 또는 215b)는 승차권이 수납되기전에 압하되어진다. 물론, 이용자가 정산용의 다른 자기식 또는 무선식 승차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이 후의 정산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정산 키(215a 또는 215b)가 압하된 후(ST242, 예)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소정기간내에 수납되지 않으면(ST244, 아니오), 타임은 오버되고(ST246, 예) 처리는 처음 단계로 되돌아간다.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소정기간안에 수납되면(ST244, 예), 수납된 승차권을 기초로 개찰처리가 실행되어진다(ST258). 이 때, 판정결과 표시부(220a 또는 220b)에서 "정산처리 불요", "통로 통과"와 같은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판정이 NG인 경우(ST248, 아니오), 정산 처리에 대한 다음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요구되어진다(ST250). 이 때, 안내표시부(218a 또는 218b)상에서 "정산용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구 안으로 투입 또는 무선식 승차권을 통신부에 올림"과 같은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또한, 첫번째 승차권이 자기식 승차권이면, 이 첫번째 승차권은 보류기구에 의해 보류되고 정산처리 및 승차권 판정을 위해 대기한다.
만일 (정산을 하기위한)다음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요구되었지만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수납되지 않으면(ST252, 아니오), 타임은 오버되고(ST254, 예), 도어는 폐쇄되며 통행이 금지된다(ST260). 첫번째 승차권이 자기식 승차권이면, 승차권은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이 때, 안내표시부(218a 또는 218b)상에 "처음부터 다시 시도해 주십시요"와 같은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소정기간내에 수납되면(ST252, 예), 조합된 승차권 판정 또는 정산처리가 실행되어진다(ST256). 조합된 첫번째 및 두번째 승차권의 판정 결과가 OK이면(ST256, 예), 통행이 허가되어진다(ST258). 또한, 첫번째 및 두번째 승차권중 하나가 정산가능한 승차권(정산금액이 충분한 SF카드)이면, 정산처리후에 통행이 허가되어진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조합 판정 또는 정산처리에서는 필요에 따라 승차권에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어진다. 조합 판정이 NG이고 정산처리가 되지 않으면(ST256, 아니오), 도어는 폐쇄되고 통행은 금지된다(ST260).
다음에, 첫번째 승차권이 처리된 후 정산 키가 압하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자동 개찰장치가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를 수납하면(ST240),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은 정산 키(215a 또는 215b)의 압하없이 수납되고(ST262, 예), 수납된 1매의 승차권을 기초로하여 통행판정 처리가 실행되어진다(ST264). 판정 결과가 OK이면(ST264, 예), 통행이 허가된다(ST270). 판정 결과가 NG이면(ST264, 아니오), 도어는 폐쇄되고 통행은 금지되며 안내표시부(218a, 218b)상에 "만일 정산처리를 원하면 정산 키를 압하"와 같은 안내가 표시된다. 정산 키(215a 또는 215b)가 소정기간 동안 압하되지 않으면(ST266, 아니오), 타임은 오버되고(ST269, 예), 통행은 금지되며 처리는 종료된다(ST260). 이 경우에, 첫번째 승차권이 자기식 승차권이면, 이 자기식 승차권은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정산 키(215a 또는 215b)가 소정기간동안압하되면(ST266, 예), 정산을 위한 다음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요구된다(ST250). 이 때, 안내 표시부(218a 또는 218b)상에 "정산용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구 안으로 투입 또는 무선식 승차권을 통신부에 올림"등과 같은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또한, 승차권의 첫번째가 자기식 승차권이면, 이 첫번째 승차권은 보류기구에 의해 보류되고 조합 판정 및 정산을 위해 대기한다.
다음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정산을 위해 요구될지라도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소정기간동안 수납되지 않으면(ST252, 아니오), 타임은 오버되고(ST254, 예), 도어는 폐쇄되며 통행은 금지된다(ST260). 첫번째 승차권이 자기식 승차권이면, 이 승차권은 이용자에게 반환된다. 이 때, 안내 표시부(218a 또는 218b)상에서 "처음부터 다시 시도해 주십시요"와 같은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이 소정기간내에 수납되면(ST252, 예), 조합된 승차권 판정 또는 정산처리가 실행되어진다(ST256). 조합된 첫번째 및 두번째 승차권의 판정 결과가 OK이면(ST256, 예), 통행이 허가되어진다(ST258). 또한, 첫번째 및 두번째 승차권중 하나가 정산가능한 승차권(정산금액이 충분한 SF카드)이면, 정산처리후에 통행이 허가되어진다(ST258).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조합 판정 또는 정산처리에서는 필요에 따라 승차권에서 소정의 데이터가 기록되어진다. 조합 판정이 NG이고 정산처리가 되지 않으면(ST256, 아니오), 도어는 폐쇄되고 통행은 금지된다(ST260).
하기에서, 상기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기술한다.
(1)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에 적합한 자기식 승차권의 크기는 하나의 크기로 제한된다. 예를들면, 승차권의 크기는 정기권 사이즈보다 작은 에드몬슨 사이즈로 제한된다. 그때, 자동 개찰장치에 적합한 무선식 승차권은 하나의 크기로 제한되는 자기식 승차권과는 다르게 모든 종류의 승차권을 커버할 수 있다. 이것으로, 자동 개찰장치에서 복수 사이즈의 자기식 승차권에 적합한 정렬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이것은 자동 개찰장치내에 보류부를 축소화시킬 수 있고(정기권에 대응할 필요가 없음) 또한 자기 헤드의 간격을 단축시킬 수 있다(유사하게, 정기권에 대응할 필요가 없음). 그 결과, 자동 개찰장치는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반송로 방향을 단축시킬 수 있다.
(2)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반송로 방향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개찰 처리부(210a 및 210b)는 개찰 통로에 확장없이 개찰 통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질 수 있다. 즉 다시 말하면, 종래처럼 개찰 통로를 따라 서로 평행하게 설치할 필요가 없다.
(3)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자기식 승차권의 크기는 제한되어지고 그 기능도 제한되어진다. 예를들면, 단거리 승차권은 당일에만 유효하도록 제한되어진다. 이것으로, 개찰 처리부(210b)는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을 반환할 필요가 없고, 승차권 반환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장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에서는, 장치를 간략화 및 한방향에서만 제공되어지는 판독 자기 헤드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는 모드 전환 스위치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 전용 모드, 무선식 승차권 전용 모드 또는 혼용 전용 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가동되어진다. 그래서, 상황에 따른 최적의 모드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가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자동 개찰장치가 설치되고 복수의 개찰 통로가 제공되는 역에서, 대부분의 자동 개찰장치는 아침 및 저녁 출퇴근시에는 무선식 승차권으로만 가동되어진다. 남아있는 자동 개찰장치는 자기식 승차권 전용모드 또는 혼용 모드로만 가동되어진다. 아침 및 저녁의 출퇴근시에는, 대부분의 이용자는 정액권을 이용한다. 자동 개찰장치가 가동되면, 무선식 승차권은 정기권으로 할당되어진다. 다시 말하면, 아침 및 저녁의 출퇴근시 동안에, 많은 이용자는 정기권을 이용하므로, 대부분의 자동 개찰장치를 무선식 승차권으로 가동시키는 것에 의해 장치당 승차권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결과, 승차권 처리의 혼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중 어느 하나의 개찰처리가 불가능할때, 자동 개찰장치는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최적의 처리 모드를 선택하여 처리되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는 적용된 가동 모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제공하고, 이용자는 혼란없이 사용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는 자기식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의 조합과 대응하는 정산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자동 개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 소형화에 적합한 자동 개찰장치.
(2) 가동상태에 따라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을 대응시켜 고효율 가동이 가능한 자동 개찰장치.
(3)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에 대응하는 정산처리가 가능한 자동 개찰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인 자동 개찰장치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자동 개찰장치(무선 통신기의 하우징)(310)의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자동 개찰장치(310)는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되는 투입구(312)와 이 투입구(312)안으로 투입된 승차권이 나중에 기술되어지는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된 후 배출되는 배출구(314)를 구비한다. 이 배출구(314)와 투입구(312)사이 및 배출구(314) 근방에서는, 이용자에게 통행의 가부를 표시하기 위한 판정결과 표시부(316)가 제공되어진다. 자동 개찰장치의 상부면(상부 커버(317a, 317b)상에는 칸막이부(318)가 제공되어진다.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이 칸막이부(318)는 장치의 양단부 투입구 근방에서 통로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지지만, 장치의 중앙에서는 통로의 방향과 평행하지 않다(통로 측면으로 확대되는 경사방향). 또한, 이 칸막이부(318)는 센서(320, 322, 324 및 326)를 제공한다. 자동 개찰장치의 측면상에서는 센서(328, 330, 332 및 334)가 제공되어지고, 상하의 각 센서(320 및 328, 322 및 330, 324 및 332, 326 및 334)에서 검지하여 이용자의 통행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에게 음성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음성 안내 스피커(336)와 투입구(312) 안으로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에서 회수된 승차권을 수용하며 장치로부터 제거가능한 회수상자(338)가 자동 개찰장치(310)의 측면상에서 제공되어지고, 정면에서는 장치가 사용가능한 가를 표시하는 통로 표시부(340)가 설치되어진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310)는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 통신(송신,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인 무선 안테나(무선통신기기)(42) 및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에 관한 안내 표시를 하거나 무선식 승차권(무선기기)을 나타내기 위한 (필요에 따라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터치 패널로 대체할 수 있는)안내 표시부(344)가 설치되어진다. 무선 안테나(342)는 이용자의 진행방향에서 투입구 뒤에 설치되어진다. 무선 안테나(342) 및 안내 표시부(344)는 자동 개찰장치의 무선 안테나(342), 안내 표시부(344) 및 투입구(312)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통행 측면에서 제공되어진다. 즉 다시 말하면, 도 12에서, 이들은 자동 개찰장치(310)의 왼쪽 측면 통로가 아닌 오른쪽 측면 통로측에 설치되어진다. 또한, 정산이용을 선택이용하는 선택 버튼이 존재하고, 이 버튼이 가동되면 무선식 승차권 및 자기식 승차권의 이용정보를 조합하여 이용자의 자동 개찰장치의 통행을 판단한다.
또한, 상기한 기술은 도 12의 우측을 설명한 것이고 좌측은 우측부분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구비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칸막이부(318)는 탑 커버(317)상에 제공되고 인접한 통로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무선식 승차권을 제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우측절반부와 좌측절반부로 분리되고 탑 커버(317)에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는 도어(348)를 제공한다. 승차권이 무효이면, 이 도어(348)는 이용자가 정지하도록 폐쇄되어진다.
도 13은 자동 개찰장치(310)의 측면과 장치 일부의 내부구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자동 개찰장치(310)에 의해 처리되는 승차권은 하나의 크기인 자기식 승차권; 구체적으로 보통승차권(단거리권, 회수권, 에드몬슨 승차권) 및 보통 승차권과 다른 종류의 무선식 승차권(예를들면, 현행의 정기권, 선불권(선불 카드), 회수권 카드, 장거리 승차권)등이다. 즉, 자동 개찰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승차권은 자기식 승차권과 같은 보통 승차권과 무선식 승차권 두 종류가 있다. 또한 각 승차권은 승차권을 식별하는 ID카드, 승차 가능한 역, 하차가능한 역(또는 승차가능한 역에서의 이용금액), 자동 개찰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날짜와 시간, 사용가능한 구간, 정액권에 대한 이용일자와 기간등의 이용정보가 기억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기식 승차권을 하나의 크기로 제한하는 것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의 반송 기구를 간략화 할 수 있다.
자기식 승차권은 이용자에 의해 투입구(312)안으로 투입되면 반송기구(350)에 의해 반송되어진다. 반송기구(350)는 자기 헤드와 평면 롤러로 구성되는 자기 판독기구(352)와 자기 기록기구(354), 기록 확인 기구, 자기 판독기구(352)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자기식 승차권의 전후를 정렬하는 반전기구(358), 자기식 승차권상에 날짜를 인쇄하는 인쇄기구(360), 자기식 승차권을 펀칭하는 펀치기구(362) 및 자기식 승차권을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스토퍼(364)를 구비하고, 반송 벨트에서 배출구(314)상으로 다양한 기구를 통해 자기식 승차권을 반송한다. 스토퍼에서 일시적으로 보류되는 자기식 승차권은 이용자가 배출구(314) 근방의 센서(322 및 330)를 통과할때 회수상자(338)에 회수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은 반송기구(350)에 의해 반송되어진다. 자기식 승차권이 반송기구(350)에 의해 반송되지 않으면, 투입구(312)에 설치된 투입구 셔터(365)를 그 회전방향을 중심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이 금지되어진다.
자기 판독기구(352)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을 판독하고 또는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을 판독하여 판독된 승차권의 사용일자를 기초로하여 유효한가를 판독하면, 도어(348)는 도어 폐쇄 구동부(366)에 의해 개방되어진다. 승차권이 유효하지 않음을 판단하면, 도어(348)는 도어 폐쇄 구동부(366)에 의해 폐쇄되어진다.
또한,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투입구(312)는 자동 개찰장치(310)의 내부가 아닌 측면에서 제공되어지고 투입구(312)안으로 투입되는 자기식 승차권을 반송하는 반송기구(350)는 도 13에서 자동 개찰장치의 내부가 아닌 측면에서 제공되어진다(도 15에 도시된 배치도 참조).
또한, 제어 패널(367)을 구비하고, 이 패널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자기식/무선식 승차권의 판독 결과, 다양한 설정사항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게다가, 자동 개찰장치(310)는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과 메모리, 각 구성요소에서 출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출력을 기초로하여 다양한 종류의 구성요소제어를실행하는 주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부(368) 및 제어부와 다른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370)을 구비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 및 무선식 승차권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 개찰장치는 제어부(368), 주제어부(371), 주제어부(371)의 각종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ROM(372), 일시적으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RAM(373) 및 역사이의 운임을 기억하고 승차권 이용의 적부를 판단하는 운임 메모리(374)를 구비한다. 반송 제어부(376)는 반송기구(350)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의 반송을 제어한다. 또한, 이러한 반송 제어부(376)는 투입구(312)에서 제공되는 투입구 셔터(365)를 제어하고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하는 것을 금지한다. 인쇄 제어부(377)는 서멀 헤드(인쇄기구)(360)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상에 입장일시, 입장장소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인쇄하고 기록한다.
승차권 검지 센서 감시부(378)는 반송기구(350)를 따라 설치되어지고, 승차권의 존재 및 통행상태를 검지하는 복수의 승차권 센서(379)로부터 승차권 검지 신호를 검사하고, 반송기구(350)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의 반송상태를 감시한다. 인간 검지 센서 제어부(380)는 인간 검지 센서(320-334)로부터 인간 검지 센서 신호를 검사하고 자동 개찰장치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의 존재 및 통행 상태를 감시한다. 도어기구 제어부(381)는 도어 개폐 구동기(366)에 의해 도어(348)의 개폐를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382)는 판정결과 표시부(316), 통로 표시부(340), 안내 표시부(344)등을 제어한다. 펀치 제어부(383)는 반송기구(350)를 따라 상기에서 기술된 위치에 제공되는 펀치 기구(362)에 의해 펀칭 처리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보류 제어부(384)는 반송기구(350)를 따라 상기에서 기술된 위치에서 제공되는 스토퍼(364)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의 회수를 제어한다. 탑 커버 개폐 감시부(385)는 탑 커버(317a)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탑 커버 검지 센서(386)로부터 검지신호를 검사하고 탑 커버 검지 센서(387)로부터의 센서 신호는 탑 커버(317b)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고 탑 커버(317a 및 317b)의 개폐상태를 검지한다. 전원 제어부(388)는 전원부(370)의 전원 공급등을 제어한다.
제어 패널 제어부(389)는 제어 패널(367)로부터 입력된 설정등을 기초로 하여 자동 개찰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이 제어 패널 제어부(389)는 제어 패널(367)에 의해 보수 대상의 전환을 제어한다. 예를들면, 도 12에 도시된 우측면에서 탑 커버(317a)가 개방된 상태이면(탑 커버(317)의 개폐상태가 탑 커버 개폐 감시부(385)에 의해 감시되어지면), 제어 패널 제어부(389)는 제어 패널(367)에 의해 감시 대상을 도 12에 우측면에서 개찰 처리부로 전환한다. 이와 반대로, 도 12의 좌측면에서 탑 커버(317b)가 개방된 상태이면, 제어 패널 제어부(389)는 제어 패널(367)에 의해 보수 대상을 도 12의 좌측면에서 개찰 처리부로 전환한다. 또한, 두 탑 커버(317a 및 317b)가 개방된 상태이면, 제어 패널 제어부(389)는 제어 패널(367)에 의해 보수 대상을 두 개찰 처리부로 전환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390)는 자동 개찰장치의 모드를 전환한다. 이용가능한 모드로는 자기식 승차권 모드만, 무선식 승차권 모드만 및 자기식/무선식 승차권 혼용모드가 있다. 모드가 모드 전환 스위치(390)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 모드로만 전환되면, 자동 개찰장치에서 개찰 처리용 대상은 자기식 승차권만이 된다. 이 때, 통로 표시부(340)는 처리 대상이 자기식 승차권만임을 나타내는 안내를 표시한다. 이 경우에, 무선 승차권이 유효할지라도 이용자는 통로에 진입이 허가되지 않는다. 자기식 승차권 모드가 모드 전환 스위치(390)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 모드로 전환되면, 자동 개찰장치에서 개찰처리 대상은 무선식 승차권으로 된다. 이 때, 통로 표시부(340)는 처리대상이 무선식 승차권임을 알리는 안내를 표시한다. 또한, 투입구(312)에 설치된 투입구 셔터(365)는 반송 제어부(376)의 제어에 의해 폐쇄되고 자기식 승차권은 투입구(312)에 투입할 수 없게 된다. 모드가 모드 전환 스위치(390)에 의해 자기식/무선식 승차권 조합모드로 전환되면, 자동 개찰장치에서 개찰처리의 대상은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가 된다. 이 때, 통로 표시부(340)는 처리 대상이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 모두를 처리하는 안내를 표시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391)는 무선 안테나(342)등의 송신/수신 파워를 제어하고, 무선 안테나(342)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된 데이터를 RAM(373)으로 전송하고 주 제어부(371)의 제어하에서 그안에 기억한다. 또한, 이것은 RAM(373)에 기억된 데이터를 변조시키고 무선 안테나(342)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392)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하고 자동 개찰장치의 데이터를 또 다른 자동 개찰장치로 전송한다. 감시 인터페이스(393)는 외부에 설치된 감시부(394)와 자동 개찰장치사이에서 인터페이스와 같이 기능한다. 또한, 감시부(394)에는 상기에서 기술된 모드 전환 스위치(390)와 유사한 모드 전환 스위치(395)가 설치되어진다. 감시부(394)에 설치된 모드 전환 스위치(395)는 모든 자동 개찰장치에서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자동 개찰장치(310)의 무선 안테나에서 송신된 데이터는 무선식 승차권(400)의 무선 안테나에서 수신되어지고, 변조/복조부에서 복호화되고 제어부(406)에서 처리되어진다. 또한, 이 무선 승차권(400)은 제어부를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역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정보(승차권 고유의 식별정보로서의 ID카드, 현행의 정기권과 상당할때 이용가능한 구간 및 기간의 정보)들이 기억되는 ROM(메모리)(48), 프로그램 실행시의 데이터와 일시적으로 무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데이터와 이용가능한 역명과 현행의 금액카드와 상당할때 잔고를 불휘발성 상태로 기억하는 RAM(메모리)(410) 및 제어부(406)의 동작에 의해 ROM(408) 또는 RAM(410)안에 포함된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412)를 포함한다.
또한, 자기식 승차권의 구성은 현재 이용되고 있는 보통 승차권과 동일하고, 그래서 이것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자동 개찰장치의 설치예를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복수의 자동 개찰장치(310a, 310b, 310c 및 310d)는 역구외와 역 구내 사이의 경계에서 설치되어진다. 이 때, 각 자동 개찰장치사이의 공간은 개찰처리를 하기 위한 공통의 통로(A, B 및 C)이다. 또한, 양단부의 자동 개찰장치에는 개찰처리부 또는 집찰처리부중 하나가 설치되어 있다.
각 자동 개찰장치(310)는 투입구(312)(및 반송기구(350)), 배출구(314), 판정결과표시부(316), 무선 안테나(342) 및 안내 표시부(344)등과 같은 구성요소등을구비한다. 이러한 각 장치의 구성요소는 집찰측 구성요소인 투입구(316')(및 반송기구(350')), 배출구(314'), 판정결과 표시부(316'), 무선 안테나(342') 및 안내 표시부(344')와 동일한 기능을 구비한다. 자동 개찰장치(310b)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각 구성요소는(이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이용자에게 안내를 제공하는) 개찰장치의 중앙선보다 각각의 기구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통과하는 통로측에 설치되고 인접한 통로에서는 조작하기 어려운 위치에 배치한다(예를들어, 무선식 승차권의 무선 통신 영역이 멀리 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용자가 자동 개찰장치(310b)를 이용하여 자기식 승차권으로 입장하는 경우, 이용자는 통로(A)를 따라 역 구외로부터 진입하고 투입구(312)안으로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한다. 이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은 반송기구(350)에 의해 반송되고 자기식 승차권상에 기록된 이용 정보는 판독용 자기 헤드(352)에 의해 판독되어진다. 주 제어부(371)는 자기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이용구간(이용가능금액) 및 기간을 포함하는 이용정보와 운임 메모리(374)에 기억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이용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통행가능하게 판단되고, 기록 및 판독 자기 헤드(354 및 356)에 의해 필요하면 자기식 승차권상에 입장역명, 해당기기의 식별번호 및 이용시간을 기록하고 확인한다. 또한, 필요하면 인쇄기구에 의한 인쇄 및 펀치기구(362)에 의한 펀칭처리를 자기식 승차권에 실시하고 승차권은 배출구(314)로부터 배출된다. 이 때, 판정결과 표시부(316)는 통행을 허가를 표시하는 청색등을 점등한다. 이용조건이 만족되지 않으면, 통행이 불가능하게 판정되고 자기식 승차권은 배출구(314)로 반환되며 도어를 폐쇄하여 이용자의 통행을금지한다(이용자가 역 구내로 진입하는 것을 금지). 이 때, 판정 표시부(316)는 통행의 금지를 표시하는 적색등을 점등한다.
자동 개찰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식 승차권의 개찰처리를 수납하는 경우에, 이용자는 통로(A)를 따라 역 구외로부터 입장하고 무선식 승차권을 무선 안테나(342) 위에 위치시킨다. 이 때,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 안테나(342)의 무선통신을 통해 무선식 승차권상에 기록된 이용구간 및 기간을 포함하는 이용정보 데이터를 판독한다. 주 제어부(371)는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판독된 이용 데이터와 운임 메모리(374)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이용조건이 만족하는 경우에는 통행가능으로 판정되고 판정결과 표시부(316)는 녹색등을 점등한다. 이 때, 필요하면, 무선식 승차권상에 입장역명, 해당기기의 일련번호 및 이용시간을 포함하는 데이터가 기록되어진다. 이용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행은 통행 불가능으로 판정하고 도어(348)는 이용자의 통행을 금지하도록 폐쇄된다(이용자가 역구내로 진입하는 것을 금지). 이 때, 판정결과 표시부(316)는 적색등으로 점등한다.
자동 개찰장치(310b)를 이용하여 자기식 승차권의 집찰처리를 하는 경우에, 이용자는 통로(B)를 따라 역구내로부터 진입하고 투입구(312')에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한다.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에서 판독되어진 이용 데이터와 운임 메모리(374')에 기록된 데이터를 주 제어부(371')로 비교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이 허가되면, 자기식 승차권은 회수 상자(338')에 회수되고 집적된다. 이 때, 판정결과 표시부(316')는 녹색등을 점등한다. 통행이 허가되지 않으면, 자기식 승차권은 배출구(314')로 배출되고 도어(348')는 폐쇄되고 이용자는 통행이 금지된다(역구외로의 출장 금지). 이 때, 판정결과 표시부(316')는 적색등이 점등한다.
자동 개찰장치를 이용하여 무선식 승차권으로 집찰처리를 받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통로(A)를 따라 역 구내로부터 입장하고 무선식 승차권을 무선 안테나(342') 위에 위치시킨다. 이 때, 개찰처리시와 같이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 안테나(342')의 교신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상에 기록된 데이터가 판독되고, 필요에 따라 무선식 승차권상에 소정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주 제어부(371')는 무선식 승차권에서 판독된 데이터와 운임 메모리(374')상에 기록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 통행이 허가되면, 판정결과 표시부(316')는 녹색등을 점등한다. 통행이 허가되지 않으면, 도어(348')는 폐쇄되고 이용자는 통행이 금지된다(역구외로의 이용자의 출장 금지). 이 때, 판정 표시부(316')는 적색등이 점등한다.
상기에서 기술된 모든 경우에서, 통행이 허가되지 않는 자동 개찰장치의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모든 자동 개찰장치의 판정결과와 이용된 승차권의 데이터가 감시부(394)로 통지되어진다.
이하에서, 자동 개찰장치에 의한 승차권 개찰처리를 도 16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자동 개찰장치(310b)를 이용하여 통로(A)를 통해 역구내로 진입할때의 처리를 도시한다.
첫째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게이트에서 투입구(312)의 투입구 셔터(365)를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진다(역구외로부터 역구내로의 입장측). 또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게이트 측면에서 무선 안테나(342)는 응답신호의 송신을 요구하는 무선신 승차권에 대한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 제어부(371)는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구(312)안으로 첫번째로 투입되어는가(S500) 또는 무선식 승차권에 대응 신호가 첫번째로 검지되어는가(S502)를 판단한다. 이 판단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의 응답신호를 먼저 검출하고 자동 개찰장치(310a)에서 투입구 셔터(365)를 폐쇄하고 무선 안테나(342)의 무선 승차권의 응답신호 요구를 금지한다. 이것에 의해 통로(A)를 통한 역구내로부터 역구외로의 통행을 금지한다. 또한, 통로 표시부(340)는 자동 개찰장치가 개찰처리중일때 통로(A)안으로의 진입을 금지하는 표시를 한다. 또한, 자동 개찰 장치의 게이트측 안내 표시부(344)는 무선식 승차권이 개찰처리중 투입구 셔터(365)를 폐쇄하고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한다(S504).
다음으로, 주 제어부(371)는 무선식 승차권의 고유 ID를 포함하는 이용정보가 포함된 응답신호를 기초로 하여 통행의 가부를 판단한다. 즉 다시 말하면,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조건이 이용구간 및 기간에 한정될때, ROM(372) 또는 RAM(373)에 기억되는 자동 개찰장치가 설치된 역의 위치정보 및 일자를 기초로 하여, 상기 역이 이용구간 또는 이용기간내에 일자를 포함하는가를 판단한다. 또한, 이용조건이 이용금액에 의해 한정될때, 이용가능한 잔고가 있는지 또는 잔액이 소정의 요금을 공제한후 이용가능한 가를 판단한다. 또한, 모든 경우에서, 이전의 이용이 적절히 처리되어는가를 판단한다(S506).
이러한 판단에 기초하여, 만일 이용조건이 이용구간 및 기간에 한정되고 상기 역이 이용구간에 포함되고 일자가 이용기간내이면, 그리고 이용조건이 이용금액에 한정되면서 이 이용금액이 소정의 잔액이 남아있고 전회의 출장처리가 적절하게 처리되어지면, 통로(A)를 통한 역구내로의 입장이 자동 개찰장치(310b)에 의해 허가되어진다(S506의 예).
입장이 허가되지 않으면(S506의 아니오), 판정결과표시부(316)는 입장을 허가하지 않는 표시를 하고(S508), 도어(348)는 폐쇄되어 통행을 금지한다(S510). 통행이 금지된 후, 인간 검지 센서(320-334)가 이용자를 검지하지 않으면(자동 개찰장치사이에 이용자가 없으면),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의 투입구 셔터(365)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 수납금지를 해제하여 "S502"에서 무선식 승차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 금지가 해제된 후에는 투입구 셔터(365)가 개방되어 자기식 승차권 투입 금지가 해제된다.
자동 개찰장치(310b)에서 통로(A)를 통한 입장이 허가되면, 입장처리 시간 및 자동 개찰장치의 일련번호(잔액을 처리한 후의 새로운 잔액)등이 무선 안테나(342)로부터 무선식 승차권으로 전송되어지고 동시에 무선 안테나(342)를 통해 수신된 대응신호를 포함하는 ID 코드를 입장 처리 시간(또는 ID 코드가 수신된 시간)과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RAM 373)으로 송신하고 자동 개찰장치의 개찰측에서 무선 안테나(343)에 의해 수신된 ID코드를 기억시킨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으로의 ID 코드의 전송은 자동 개찰장치(310b)의 폭이 좁기 때문에(통로사이의 하우징의 폭은 개찰측과 집찰측의 반송기구를 서로 인접시키지 않고 교차하는 것에 의해 종래 2대의 하우징을 설치하는 것을 1대의 하우징으로 설치하여 폭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자동 개찰장치의 개찰측에서 처리되어진 무선식 승차권이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 무선 안테나(342')와 통신하는 것에 의해 개찰측에서 자동 개찰장치(310b)에 의한 무선식 승차권의 잘못된 재생처리를 방지한다.
통로(B)가 통로(A)와 같이 개찰통로로 동작하면(자동 개찰장치(310c)의 투입구(365)가 개방되어 무선 안테나(342)가 요구신호를 송신하고, 자동 개찰장치의 투입구(365')가 폐쇄되어 무선 안테나(342')가 요구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상태), 자동 개찰장치(310b)의 무선 안테나(342')는 무선식 승차권과 통신하지 않고, 이것으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에서 처리되어진 무선식 승차권과 통신하지 않으며, ID 코드의 송신은 생략된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 및 집찰측이 공통적으로 동일한 메모리(RAM 373)을 사용하고 각각의 데이터를 기억하면, ID 코드를 송신 또는 전송하는 것 없이 상기 메모리에서 ID 코드를 기억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식 승차권의 개찰처리가 완료되면, "S504"에서 금지된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을 해제한다. 즉 다시 말하면,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 무선 안테나(342)에서 무선식 승차권에 대한 응답신호의 요구신호를 재개한다(S514).
여기서, "S506"에서 역구내로 입장이 허가된 이용자가 자동 개찰장치(322 및330, 또는 322 및 330, 324, 332)의 중앙부에서 인간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어는가를 판정하고, 검지되지 않으면(이용자가 중앙부 인간 검지 센서에 도달되지 않으면), "S502"로 복귀하고 무선식 승차권이 체크되었는가를 판단한다. 또한, 이 때, 일정시간(예를들어, 3초정도)이 경과할때까지 중앙부의 인간 검지 센서까지 이용자가 도달하지 않거나 중앙부의 인간 검지 센서에서 이용자가 검지되지 않으면, 표시부(316)는 이용자에게 역구내로 진입하라는 안내를 표시한다.
자동 개찰장치의 중앙부에서 인간 검지 센서(322 및 330 또는 322 및 330, 324, 332)에 의해 이용자의 도달을 감지하면,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 투입구 셔터(365)는 개방되며 투입구(312)안으로 자기식 승차권 투입 금지가 해제되어진다(S518). 해제후에는 "S500"으로 되돌아가고 자기식 승차권 또는 무선식 승차권의 검지처리를 한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자동 개찰장치안으로 투입되어지는 자기식 승차권의 수납처리는, 이용자가 중앙부에 인간 검지 센서를 통과할때까지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이 금지되기 때문에, 이전 이용자가 잘못하여 자기식 승차권을 집는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안으로 투입되는 무선식 승차권은 이용정보가 유효하다고 판단되는(자기식 승차권을 수납전에) 시점에서 다음의 무선식 승차권 수납처리를 재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무선식 승차권 수납 금지 시간을 최소화하고 이용자의 유동성(단위시간당 처리건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승차권 검지센서(320-334)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이 무선식 승차권보다 먼저 투입구(312)안으로 투입되면, 자동 개찰장치(310a)의 투입구 셔터(365')는폐쇄되고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의 응답신호 요구를 금지한다. 또한, 통로 표시부(340)는 개찰처리에서와 같이 통로(A)안으로의 입장을 금지하는 안내를 표시한다. 또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 안내 표시부(344)는 자기식 승차권을 처리중임을 표시하며 장치의 투입구 셔터(365)을 폐쇄하여 다음 이용자에 의한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한다(S520).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되어지면, 승차권은 반송기구(350)에 의해 반송되어지고, 자기 헤드에서 기록된 자기 정보를 판독하고 반전기구(358)로 자기식 승차권의 자기 표면을 하측으로 전환한다. 판독된 자기정보는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정보의 판정처리(S506)와 같이 처리되어진다(S522).
판정처리결과, 역구내로의 입장이 허가되지 않으면(S522의 아니오), 자기 헤드(354 및 356)에 의한 처리가 실행되지 않고 입장을 허용하지 않는 안내가 판정 표시부(316)상에 표시되며(S524), 도어(348)는 통행을 금지하도록 폐쇄되며(S526) 그런후 무선식 승차권 및 자기식 승차권의 수납이 "S510"와 같이 재개되어진다.
자동 개찰장치(310b)에 의해 통로(A)를 통한 입장이 허가되면(S522의 예), 반송기구(350)에 의한 반송으로, 입장 처리 시간 및 해당 개찰장치의 일련번호와 같은 데이터의 기록 처리가 자기 헤드(354, 356)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상에 기록되어지고, 승차권은 배출구(314)로 반환되어진다. 또한, 단계 "S512"에서, ID코드를 전송하지만 자기식 승차권이 제시되면, 투입구(312')안으로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할 필요가 없어져 잘못 투입되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자동 개찰장치(310b)에 의해 통로(A)를 통한 입장이 허가되거나(S522의 예)또는 자기 헤드(356)에 의해 자기 승차권상에 데이터가 기록되어지면,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하는 상태에서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 수납 금지 상태가 해제된다(S528). 해제후, 배출구(314)에 제공된 승차권 검지 센서(379)의 검지를 기초로 하여, 이용자에 의해 배출구(314)에서 자기식 승차권이 배출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자기식 승차권이 배출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S502"에서 무선식 승차권의 검지(응답신호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한다. 또한, 자기식 승차권이 배출되었다고 판단하면, 투입구 셔터(365)는 개방되어지고,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금지가 해제되고 이용자에 의한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 금지를 해제한다(S532).
또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처리가 가능한 상태이고(역구외로부터 역구내로의 입장처리가 가능한 상태) 자동 개찰장치(310a)(이용자가 역구내 안에서 역구외로 출장할때에 동작하는 집찰측의 자동 개찰장치)가 자기식 및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을 금지하는 상태이고, 만일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이 단계 "S500" 및 "S502"에서 수납되지 않으면, 전회의 개찰처리가 일정시간(예를들면 3-5초)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특정 시간이 경과되면 자동 개찰장치(310a)의 투입구 셔터(365')의 상태가 폐쇄되고,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 승차권 수납 금지 상태가 해제되고(S536), "S502"에서 무선식 승차권의 검지가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런후,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 금지의 해제에 연속하여, 투입구 셔터(365')를 해방하여 투입구(312')로의 자기식 승차권 투입 금지를 해제함으로서, "S500"에서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이용자의 진행방향에 대한 투입구(312')의 후단부에서 무선 안테나(342')가 제공되기 때문이다.이것으로,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뒤에서 자기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가 있는 경우, 자기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가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뒤에서 손을 뻗어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하더라도 무선식 승차권의 무선 처리가 이미 시작되어 있고 자기식 승차권은 처리되지 않으므로, 이용자와 승차권의 순서가 바뀌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7에서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통로(B)를 통하여 역구내로부터 역구외로 출장하는 경우)에서 무선식 승차권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17은 도 16에서 도시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에서 개찰처리가 실행될때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에서의 무선식 승차권의 처리를 설명한다.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은 자동 개찰장치(310a)(집찰측 개찰장치)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자동 개찰장치(310c)의 개찰측이 통로(B)를 통해 역구외로부터 역구내로 진입하는 이용자의 진입 가부를 판정할때, 투입구 셔터(365')는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하도록 폐쇄되고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은 무선 안테나(342')에 의한 요구신호의 전송없이 금지되어진다. 또한, 통로(B)가 집찰통로와 같이 사용되거나 또는 통로(B)가 개찰통로 뿐만 아니라 집찰통로로 사용되면, 투입구 셔터(365')는 투입구(312')안으로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지고, 응답 요구 신호는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으로 전송되어진다.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에서,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가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으로 송신/전송된다(S600).
ID 코드가 송신 및 전송되면,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은 주 제어부(317')로 통로(B)가 집찰통로로 사용되었는지 판단한다(S602). 이러한 판단으로 통로(B)가 개찰 통로로 사용되었다고 판단하면(S602의 아니오), 단계는 자동 개찰장치의 개찰측에서 전송된 ID 코드의 기억없이 "S600"으로 돌아간다. 이것은 통로(B)가 개찰통로로 사용될때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 무선 안테나(342')가 무선식 승차권가 통신하지 않는다. 그래서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에서 처리되어지는 무선식 승차권은 통신되지 않으며 승차권은 이중으로 처리되지 않는다.
통로(B)가 "S602"에서 집찰통로로 사용되었다고 판단하면(S602의 예),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에서 송신/전송된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는 RAM(373')안에 기억되어진다. RAM(373')안에 기억된 ID 코드는 송신/전송된후 소정시간(약 5초)이 지나면 주 제어부(371')의 제어에 의해 RAM(373')에서 소거되어진다. 또한, 이 ID 코드는 시간이 경과되면 소거되지 않고 소정 갯수(예를들면, 2코드)의 ID 코드를 기억하는 구성 및 방법 또는 시간이 경과한 후 삭제하는 구성과 소정 갯수를 기억하는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자동 개찰장치(310b)의 개찰측에서 처리되는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가 RAM(373')에 기억되는 상태에서는, 무선식 승차권은 자동 개찰장치(310b)의 집찰측에서 무선 안테나(342)와 통신하고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가 수신되었는지 판단한다(S608, 도 5에 도시된 S502와 동일).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가 "S608"에서 수신되지 않음을 판단하면(이용자가 무선식 승차권을 제시하지 않으면), 단계는 "S600"으로 돌아간다.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가 "S608"에서 수신되었음을 판단하면, 수신된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는 자동 개찰장치의 개찰측에서 송신/전송된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와 비교하고, 이것은 RAM(373')에 기억되어진다.
"S610"에서 비교한 결과, 두 ID 코드가 서로 일치된다고 판단하면(S612), 집찰측 무선 안테나(342')에서 수신된 무선식 승차권의 정보가 반대쪽 개찰측 무선 안테나(342')에서 개찰처리후 이용자에 의해 집찰측 무선 안테나(342')에 잘못 제시된 무선식 승차권의 정보임을 판단하고, 무선식 승차권의 이중 처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수신된 무선식 승차권은 처리되지 않는다(통행의 가부 판단 실행을 금지한다). 그리고, 안내 표시부(344' 또는 316')상에는 통로(B)의 도어(348')을 폐쇄하는 것에 의한 집찰측 통로를 통한 통행(역구내의 안에서 밖으로) 및 무선식 승차권이 유효하지 않으면 통행이 금지(예를들면,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되는 안내가 표시되어진다. 이러한 통행 금지 및 표시는 소정 시간(약 3-5초)후에 해제된다. 또한, "S608"에서 수신되는 동일한 ID 코드를 구비하는 무선식 승차권이 표시부에서 해제(또는 RAM에서 ID코드가 삭제)된 후 다시 무선통신되어지면, RAM(373')안에 기억된 ID 코드와 일치하는 ID 코드는 기억되지 않으며, ID 코드는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S614"에서 처리가 실행(통행의 가부의 판단 실행)되지 않는다.
도 16에서 도시된 "S512"에서 전송/송신된 ID 코드가 상기 단계 "S610"에서 사용되고, 자동 개찰장치(310)가 좁은 폭을 구비하고 개찰측(한 측면) 무선안테나(342)에 의해 (이용 데이터)수신되고 처리되는 무선식 승차권이 집찰측(한 측면)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수신되어지면, 개찰측(한 측면)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수신되는 ID 코드와 같은 승차권의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집찰측(또 다른 측면)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수신/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 그래서, 무선식 승차권의 불필요한 이중처리를 방지할 수 있고; 즉 다시 말하면, 개찰처리(역구내로 입장) 직후 잘못된 집찰처리(역구내로부터의 출장)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내 표시부(344)상에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와 같은 안내가 표시되면, 이 상태는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이용정보)이 잘못되어 발생되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이 경우와 같이 무선식 승차권이 잘못 제시되면, 상기 이용자는 이미 역구내안으로 입장하여도 자동 개찰장치에서 물러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잠시 기다려 주십시요"등의 표시상태가 빠르게 고쳐지고(무선식 승차권 수납 처리를 재시작하기 위해서), 이러한 안내가 표시될지라도 만일 "S610"에서 비교되는 무선식 승차권과 다른 ID 코드를 가지는 무선식 승차권이 수신되고(S608, S608, S612의 아니오) 이 무선식 승차권이 유효하여 통행이 허가된다면, 안내 표시부는 빠르게 제거되고 이용자의 통행을 알리는 표시로 전환된다. 이것으로, 무선식 승차권의 수납중지 시간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S610"에서의 비교결과, RAM(373')에 기억된 승차권의 ID 코드와 다른 무선식 승차권의 ID 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정보를 기초로 하여, 무선식 승차권을 가지는 이용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S614).
또한, "S614"이후의 무선식 승차권의 처리 및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될때의처리는 도 16에서 도시된 개찰처리와 거의 동일하고, "개찰"등을 "집찰"등으로 대체하는 것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7에서 ID 코드의 체크처리는 도 16의 "S506"과 유사하게 실행되므로 설명을 이중으로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찰측(한 측면)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수신되고 처리되는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정보는 동일한 하우징의 집찰측(또 다른 측면) 무선 안테나(342')에 수신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잘못하여 무선식 승차권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는 무선 안테나에서는 동일한 하우징의 대향 측면의 무선 안테나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복수대의 자동 개찰장치의 개찰측 또는 집찰측에서 수신되고 처리되는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자동 개찰장치의 한 측면에 제공된 승차권 판정 무선식 안테나(342)에 의해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을 통해 이용자의 통행이 허가되고, 만일 통행이 허가된 이용자의 무선식 승차권이 또 다른 측면에서 제공된 인접한 집찰 무선 안테나(342')를 통해 통신되어지면, 이것은 개찰용으로 이용자가 제시한 무선식 승차권이 집찰 무선 안테나(342')로 잘못 제시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승차권은 통신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이용자의 의지에 상관없이 집찰처리가 집찰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실행되어 이용자가 역구내로 입장할지라도 무선식 승차권상에 이용장의 출장 데이터가 기록되어지고 시스템 및 승차권의 데이터상에서는 출장 상태로 처리(미입장)되어지는 것에 의해, 이용자가 입장 데이터가 없어도 불법적인 입장으로 판단하는 문제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구성과 같이,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 통신은 금지되며 인접한 통로로 이용자의 출장이 집찰 무선 안테나(342')에 의해 일시적으로 금지된다. 이것으로, 출장을 일시적으로 금지하는 것에 의해 이용자와 다음 이용자사이의 처리간격을 두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것으로 자동 개찰장치에서 무선 통신되는 무선식 승차권 데이터와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와의 조합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식 승차권 또는 자기식 승차권의 수납처리에서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 및 개찰측 또는 집찰측에서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이 금지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금지가 해제되면,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이 첫번째로 해제되고 다음으로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이 해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자기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가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뒤(또는 측면)에 있어도, 자기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는 투입구안으로 승차권을 투입할 수 있고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뒤에서 먼저 자기식 승차권을 투입하려고 해도, 이미 무선식 승차권에 대한 무선처리가 시작되어 자기식 승차권이 처리되지 않으며 이용자와 승차권의 순서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 개찰방법에 따르면, 자동 개찰장치의 통과가 이미 허가된 이용자의 무선식 승차권이 잘못하여 다시 제시되어도, 잘못된 제시를 인식할 수 있고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을 정확하게 실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찰처리 및 집찰처리에 대처할 수 있으며, 소형화가 가능한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자기식 및 무선식 승차권에 대응가능하며 고효율의 작동상태로 작동하는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찰기의 설치 공간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무선식 승차권과의 통신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는 자동개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6)

  1. 자기식 승차권을 제 1 통로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1 반송기구;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정하는 제 1 개찰수단;
    상기 제 1 반송기구의 대향 측면에 배치되며 자기식 승차권을 제 1 통로와 평행한 제 2 통로를 따라 상기 제 1 방향과 역의 제 2 방향으로 반송하는 제 2 반송기구; 및
    자기식 승차권 및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판독 정보가 유효한지를 판정하는 제 2 개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기구는 자기식 승차권을 장치의 일단으로부터 중앙까지 통로를 따라 제 1 방향으로 반송하여 대략 중앙에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하며,
    상기 제 2 반송기구는 자기식 승차권을 장치의 타단으로부터 중앙까지 통로를 따라 제 2 방향으로 반송하여 대략 중앙에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송기구는 장치의 제 1 통로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반송기구는 장치의 제 2 통로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장치의 일단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기식 승차권을 수납하는 제 1 수납수단;
    상기 제 1 반송수단에 의해 장치의 대략 중앙까지 반송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하는 제 1 배출수단;
    장치의 일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제 1 판독수단;
    장치의 타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자기식 승차권을 수납하는 제 2 수납수단;
    장치의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반송수단에 의해 장치의 대략 중앙까지 반송된 자기식 승차권을 배출하기 위한 제 2 배출수단; 및
    장치의 타단 근방에 설치되어 있으며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는 제 2 판독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따라 제 1 반송기구의 일단으로부터 대략 중앙까지 제 1 반송기구를 덮도록 구성된 제 1 커버; 및
    상기 통로를 따라 제 2 반송기구의 타단으로부터 대략 중앙까지 제 2 반송기구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커버와는 분리된 제 2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는 이용자가 제 2 방향으로 제 2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커버는 이용자가 제 1 방향으로 제 1 통로를 통행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납수단은 제 1 통로를 따라 중앙선으로부터 제 1 통로측으로 치우쳐 장치의 일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 2 수납수단은 제 1 통로를 따라 중앙선으로부터 제 2 통로측으로 치우쳐 장치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된 자기식 승차권을 일괄하여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은 회수된 자기식 승차권을 제 1 및 제 2 통로측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수단에 수용된 자기식 승차권이 상기 제 2 통로측으로부터 취출되는 동안 상기 제 1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된 자기식 승차권중 회수수단에 회수되는 자기식 승차권을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제 1 보류수단; 및
    상기 회수수단에 수용된 자기식 승차권이 상기 제 1 통로로부터 취출되는 동안 상기 제 2 반송기구에 의해 반송된 자기식 승차권중 회수수단에 회수되는 자기식 승차권을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제 2 보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류수단의 자기식 승차권 보류능력이 포화상태에 도달한 때 자기식 승차권의 수입을 금지하는 제 1 금지수단; 및
    상기 제 2 보류수단의 자기식 승차권 보류능력이 포화상태에 도달한 때 자기식 승차권의 수입을 금지하는 제 2 금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2. 제 5 항에 있어서,
    일괄적으로 보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개찰처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커버가 열린 때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보수대상을 상기 제 1 개찰수단으로 전환하고, 상기 제 2 커버가 열린 때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보수대상을 상기 제 2 개찰수단으로 전환하는 전환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한 보수대상의 선택지정을 받는 지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개찰수단에 의한 처리 안내를 표시하는 공통의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표시수단은
    상기 제 1 개찰수단에 의한 처리안내를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상기 제 2 개찰수단에 의한 처리안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시부에 표시된 안내가 상기 제 2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용자가볼 수 없도록 상기 제 1 표시부에 지향성을 부여하며, 상기 제 2 표시부에 표시된 안내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진행하는 이용자가 볼 수 없도록 상기 제 2 표시부에 지향성을 부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표시부에 소정의 지향성을 부여하도록 제 1 표시부에 배치된 제 1 차광판; 및
    상기 제 2 표시부에 소정의 지향성을 부여하도록 제 2 표시부에 배치된 제 2 차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7. 하나의 크기로 한정된 자기식 승차권을 처리하는 제 1 처리수단;
    상기 자기식 승차권과는 다른 종류의 무선식 승차권을 처리하는 제 2 처리수단;
    상기 제 1 처리수단에 의한 처리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1 개찰수단; 및
    상기 제 2 처리수단에 의한 처리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2 개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무선식 승차권은 소정 거리를 초과하는 긴 거리의 승차가 허가된 긴거리의승차권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개찰처리수단을 실행하는 제 1 모드, 제 2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2 모드 및 제 1 및 제 2 개찰처리를 병행하여 실행하는 제 3 모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수단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이용자에게 표시하는 안내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처리수단에 의한 개찰처리에서 운임부족이 판명된 때 정산을 요구하는 정산요구수단;
    상기 정산요구수단에 의한 정산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처리수단중의 적어도 하나에서 금액정보가 얻어진 때 부족운임을 정산하는 정신수단; 및
    상기 정산수단에 의한 정산결과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3 개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운임정산의 지시입력을 받는 정산지시수단;
    상기 제 1 및 제 2 개찰수단에 의한 개찰처리에서 운임부족이 판명되고 상기 정산지시수단에 의해 운임정보가 지시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처리수단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금액정보가 얻어진 때 이 금액정보에 기초하여 부족운임을 정산하는 정산수단; 및
    상기 정산수단에 의한 정산결과에 기초하여 개찰처리를 실행하는 제 3 개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3. 주 본체;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1 이용자에 휴대된 이용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1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
    상기 제 1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이용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통행가로 판단된 때 제 1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허가수단;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2 이용자에 휴대된 이용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2 무선식 승차권으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
    상기 제 2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이용자의 통행가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
    상기 제 2 수신수단에서 수신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상기 허가수단에서 통행을 허가한 제 1 이용자에 휴대되어 있는 상기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한 때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한 제 2 이용자의 통행가부판단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 및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때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한 제 2 이용자의 통행가부판단을 실행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각 무선식 승차권마다에 기록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단; 및
    수신된 무선식 승차권의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판단수단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정보를 기억한 후에 소정 시간경과한 때식별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소거하는 소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6. 주 본체;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1 이용자에 휴대된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제 1 무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이용자의 통행가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통행가로 판단한 때 제 1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허가수단;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2 이용자에 휴대된 제 2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무선통신에 기초하여 무선통신한 무선승차권이 상기 허가수단에서 통행을 허가한 제 1 이용자에 휴대된 상기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하다고 판단한 때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로의 이용자의 통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 및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한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한 때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제 2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이용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수단에 의한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해제수단;
    상기 해제수단의 해제후에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제 2 무선식 승차권과 다시 무선통신하여 이 재차의 무선통신결과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통행가부를 판단하는 통행가부판단수단; 및
    상기 통행가부판단수단에서 통행가로 판단한 때 제 2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통행허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무선식 승차권 마다에 기록된 고유한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및
    무선식 승차권의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무선통신한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기억된 이후 소정 시간 경과한 때 식별정보를 기억수단으로부터 소거하는 소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수단에 의해 식별정보가 소거된 때 상기 금지수단의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해제수단;
    상기 해제수단의 해제후에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 의해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 제 2 승차권과 다시 무선통신한 때 이 재차의 무선통신결과에 기초하여 이용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단하는 통행가부판단수단; 및
    상기 통행가부판단수단에서 통행가로 판단한 때 제 2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통행허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수단은 제 1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제 1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이 소정시간내인지를 더 판단하고,
    상기 금지수단은 제 1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제 1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이 소정시간내인 것으로 판단된 때 해당 무선식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로의 통행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지수단에 의한 통행금지를 소정시간 후에 해제하는 해제수단; 및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통행가로 판단된 때 상기 해제수단에 의한 통행금지의 해제에 우선하여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제 2 허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3. 주 본체;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1 이용자에 휴대되는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제 1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결과에 기초하여 제 1 이용자의 통행가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2 이용자에 휴대되는 제 2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통행가로 판단된 때 제 1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허가수단;
    상기 허가수단에 의해 통행이 허가된 제 1 이용자에 휴대되어 있는 제 1 무선식 승차권을 표시하는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수단;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무선통신에 기초하여 무선통신한 제 2 무선식 승차권이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제 1 무선식 승차권과 동일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서 무선통신한 무선식 승차권이 제 1 무선식 승차권인 것으로 판단된 때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통로로의 통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이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을 행하지 않은 때는 상기 기억수단의 기억을 금지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4. 주 본체;
    상기 주 본체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며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의 의해 자기권 승차권이 투입되는 제 1 투입구;
    상기 제 1 투입구로의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하는 제 1 투입금지수단;
    상기 제 1 투입구와 동일 형태로 상기 주 본체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며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하는 제 1 무선통신수단;
    상기 주 본체의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되는 제 2 투입구;
    상기 제 2 투입구로의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하는 제 2 투입금지수단;
    상기 제 2 투입구와 동일 형태로 상기 주 본체의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다른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하는 제 2 무선통신수단;
    상기 제 1 투입구 또는 제 2 투입구에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 또는 제 2 무선통신수단에서 무선통신한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각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허가수단;
    상기 제 1 투입구에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된 때 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에서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을 행한 때 상기 제 2 투입금지수단을 구동하여 제 2 투입구로의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하고,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에 의한 무선식 승차권과의 무선통신을 금지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제 1 투입구에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 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에서 무선통신한 무선식 승차권의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허가수단이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한 때 상기 제어수단에서 무선통신이 금지된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의 무선통신금지를 해제하고, 이 해제후에 상기 제 2 투입금지수단을 구동하여 제 2 투입구로의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금지를 해제하는 해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35. 주 본체의 한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1 투입구와 제 1 무선통신수단, 및 상기 주 본체의 다른쪽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투입구와 제 2 무선통신수단을 구비한 자동개찰장치의 개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투입구에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의해 자기식 승차권이 투입된 때 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에서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한 때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의한 제 2 투입구로의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을 금지하고, 상기 다른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이용자에 휴대된 무선식 승차권과 무선통신가능한 제 2 무선통신수단의 무선통신을 금지하고,
    상기 제 1 투입구에 투입된 자기식 승차권 또는 상기 제 1 무선통신수단에서 무선통신한 무선식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는 이용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고,
    승차권을 휴대하는 이용자의 통행 허가 후, 무선통신이 금지된 상기 제 2 무선통신수단의 무선통신금지를 해제하고,
    상기 무선통지금지의 해제후에 상기 제 2 투입구로의 자기식 승차권의 투입금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방법.
  36. 주 본체;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소정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1 이용자에 휴대된 이용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1 무선기기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제 1 수신수단;
    상기 제 1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이용자의 통행 가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수단;
    상기 제 1 판단수단에 의해 통행가로 판단한 때 제 1 이용자의 통행을 허가하는 허가수단;
    상기 주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소정 통로와는 다른 방향의 통로를 따라 통행하는 제 2 이용자에 휴대된 이용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제 2 무선기기로부터 이용정보를 수신하는 제 2 수신수단;
    상기 제 2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이용자의 통행 가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수단;
    상기 제 2 수신수단에서 수신한 이용정보에 기초하여 제 2 무선기기가 상기 허가수단에서 통행을 허가한 제 1 이용자에 휴대되어 있는 제 1 무선기기와 동일한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수단;
    상기 제 2 판단수단에 의한 통행가부판단의 실행을 금지하는 금지수단; 및
    상기 제 3 판단수단에 의해 제 2 무선기기가 제 1 무선기기와 동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 때 상기 통행가부판단을 실행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개찰장치.
KR1020010009607A 2000-02-29 2001-02-26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KR100365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4635A JP2001243508A (ja) 2000-02-29 2000-02-29 自動改集札装置
JP2000-054635 2000-02-29
JP2000054634A JP4594479B2 (ja) 2000-02-29 2000-02-29 自動改集札装置
JP2000-054634 2000-02-29
JP2000-083773 2000-03-24
JP2000083773A JP4528409B2 (ja) 2000-03-24 2000-03-24 自動改札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592A KR20010085592A (ko) 2001-09-07
KR100365097B1 true KR100365097B1 (ko) 2002-12-18

Family

ID=2734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9607A KR100365097B1 (ko) 2000-02-29 2001-02-26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732924B2 (ko)
EP (1) EP1130550A3 (ko)
KR (1) KR100365097B1 (ko)
CN (3) CN1508760A (ko)
TW (1) TW5333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138A (zh) * 2018-07-16 2019-01-15 福建神威系统集成有限责任公司 一种地铁闸机的读卡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86420B1 (en) * 1997-07-15 2004-09-0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ata distribution mechanism in the form of ink dots on cards
US6618117B2 (en) 1997-07-12 2003-09-0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sensing apparatus including a microcontroller
US6879341B1 (en) 1997-07-15 2005-04-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containing a VLIW vector processor
US6948794B2 (en) 1997-07-15 2005-09-27 Silverbrook Reserach Pty Ltd Printhead re-capping assembly for a print and demand digital camera system
US6690419B1 (en) 1997-07-15 2004-02-1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Utilising eye detection methods for image processing in a digital image camera
US7110024B1 (en) 1997-07-15 2006-09-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Digital camera system having motion deblurring means
US6624848B1 (en) 1997-07-15 2003-09-2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ascading image modification using multiple digital cameras incorporating image processing
AUPP702098A0 (en) 1998-11-09 1998-12-03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mage creation method and apparatus (ART73)
US20050160271A9 (en) * 1998-11-19 2005-07-21 Brundage Trent J. Identification document and related methods
AUPQ056099A0 (en) 1999-05-25 1999-06-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A method and apparatus (pprint01)
TW533381B (en) * 2000-02-29 2003-05-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ticket checking method thereof 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JP4619476B2 (ja) * 2000-02-29 2011-01-26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機
EP1360682A1 (en) * 2001-02-02 2003-1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active display system
US7728048B2 (en) 2002-12-20 2010-06-01 L-1 Secure Credentialing, Inc. Increasing thermal conductivity of host polymer used with laser engraving methods and compositions
FR2849431B1 (fr) * 2002-12-31 2005-12-16 Ier Dispositif pour transporter des documents plats, tels que tickets, cartes et analogues sur des modules de transport alignes
CA2522551C (en) 2003-04-16 2009-12-22 Digimarc Corporation Three dimensional data storage
US8127137B2 (en) 2004-03-18 2012-02-28 Digimarc Corporation Watermark payload encryption for media including multiple watermarks
WO2009069765A1 (ja) * 2007-11-30 2009-06-04 The Nippon Signal Co., Ltd. 片道券icカード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そのための共通券箱、券売機および改札機
KR101143588B1 (ko) * 2009-04-20 2012-05-09 주식회사소프트너울 Rf 카드를 이용하는 게이트의 개집표 처리 시스템
CN102142157B (zh) * 2010-02-02 2014-04-02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检票方法及设备
CN101840589A (zh) * 2010-03-15 2010-09-22 海宁伊满阁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与票务系统无线联网的手持式车票验票器及用途
CN101840588A (zh) * 2010-03-15 2010-09-22 海宁伊满阁太阳能科技有限公司 一种机器识别实名制出票方法和系统
IT1401277B1 (it) * 2010-07-16 2013-07-18 Aep Advanced Engineering Projects S R L Apparecchio modulare per la convalida, attraverso un'unica bocchetta, di titoli di viaggio di tipo diverso.
GB2501568B (en) * 2010-12-08 2018-02-21 Changs Ascending Entpr Co Ltd Electrode structure of lithium battery
KR101223764B1 (ko) * 2010-12-30 2013-01-17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승차권 개집표 장치
CN102855669A (zh) * 2012-09-19 2013-01-02 南昌航空大学 实名制火车票智能检票验票服务终端
CN103489225B (zh) * 2013-09-04 2016-02-10 广州铁路职业技术学院 铁路客运站多功能检票方法
CN103637791A (zh) * 2013-11-14 2014-03-19 成都博约创信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gsm网络的远程心电监测系统
CN105894589A (zh) * 2014-05-12 2016-08-24 北京仁康华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自动售检票设备的磁票模块
USD825781S1 (en) * 2016-06-01 2018-08-14 Cubic Corporation Access gate with optical reader
USD825567S1 (en) * 2016-06-01 2018-08-14 Cubic Corporation Optical reader for access gate
CN106149587B (zh) * 2016-06-29 2019-03-15 北京明生宏达科技有限公司 左右检票通行的通道管理设备及左右检票通行方法
JP2019035994A (ja) * 2017-08-10 2019-03-07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磁気記録媒体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8942A (en) * 1986-02-21 1989-01-17 Cubic Western Data Easy access ticket transport mechanism
US5043561A (en) * 1988-09-28 1991-08-27 Kabushiki Kaisha Toshiba Fare collection system using a boarding ticket and additional money card
JP2877594B2 (ja) * 1991-11-14 1999-03-31 富士通株式会社 入場者管理システム
US5414249A (en) * 1992-07-20 1995-05-09 Kabushiki Kaisha Toshiba Automatic gate apparatus
JP3124164B2 (ja) * 1992-12-28 2001-01-15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装置
GB2276266B (en) * 1994-03-11 1995-11-22 Ghazala Shaheen Jamil Malik Trip recorder
US5831547A (en) * 1995-09-06 1998-11-03 Nec Corporation Wireless card system
JP3802137B2 (ja) * 1996-06-04 2006-07-26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装置
JP3869065B2 (ja) * 1997-03-03 2007-01-17 株式会社東芝 改札システム、検索装置、改札システムの通行管理方法
JP4392893B2 (ja) * 1999-03-11 2010-01-06 株式会社東芝 無線式記録媒体
EP1079334A1 (en) * 1999-08-24 2001-02-28 Kabushiki Kaisha Toshiba Gate system
TW533381B (en) * 2000-02-29 2003-05-21 Tokyo Shibaura Electric Co 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ticket checking method thereof and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15138A (zh) * 2018-07-16 2019-01-15 福建神威系统集成有限责任公司 一种地铁闸机的读卡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33381B (en) 2003-05-21
CN1311494A (zh) 2001-09-05
US20040106374A1 (en) 2004-06-03
CN1508760A (zh) 2004-06-30
EP1130550A3 (en) 2004-10-13
EP1130550A2 (en) 2001-09-05
CN1286689C (zh) 2006-11-29
US20010017317A1 (en) 2001-08-30
CN1495078A (zh) 2004-05-12
US6732924B2 (en) 2004-05-11
CN1150491C (zh) 2004-05-19
KR20010085592A (ko) 2001-09-07
US7025264B2 (en)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097B1 (ko)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JP2001243509A (ja) 自動改札機
KR200355455Y1 (ko) 자동 개집찰 장치
TW200535738A (en) Automatic ticket checker
JP2003132377A (ja) 自動改札装置、無線式記録媒体発行装置、及び、改札システム
JP4528409B2 (ja) 自動改札機
JP4760838B2 (ja) 出場用ゲート装置、および通行制御システム
JP2000030089A (ja) 自動改札装置
KR100897299B1 (ko) 환승기능을 구비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
JP4266127B2 (ja) Icカード処理装置
JP4594479B2 (ja) 自動改集札装置
KR100356450B1 (ko) 자동 개찰 시스템
JP2931659B2 (ja) 自動改札装置
JP5932544B2 (ja) 入場機、出場機及び自動改札システム
JP3700199B2 (ja) 自動改札機、入出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自動改札システム
JP5776462B2 (ja) 券売機、および駅務システム
JP3970621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4798904B2 (ja) カード処理装置、カード処理方法
KR19980014224A (ko)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JP2006085302A (ja) 非接触icカード処理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
JPS5818669B2 (ja) 自動改札装置
JP4714182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JP2000099777A (ja) 自動改札装置
JPH11185075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ゲート装置、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607935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料金収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