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4224A -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4224A
KR19980014224A KR1019960033090A KR19960033090A KR19980014224A KR 19980014224 A KR19980014224 A KR 19980014224A KR 1019960033090 A KR1019960033090 A KR 1019960033090A KR 19960033090 A KR19960033090 A KR 19960033090A KR 19980014224 A KR19980014224 A KR 19980014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ticket
pole
automatic opening
sens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3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4224A/ko
Publication of KR19980014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224A/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에 의해 승차권, 정기권, 횟수권 등이 투입되면 이에 대한 처리 동작뿐만 아니라,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승객을 판단하여 그 승객의 승차나 하차를 허가 또는 불허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는 폴 측면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설치되고, 승객이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 접속되고, 그 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승객을 판별하여 판정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폴 입구 상부면에 설치되고, 판정부가 승차권의 종류를 판정하여 출력시킨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승차권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각 구별되는 승객에 따라 차별된 요금을 적용할 수 있고, 승차권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승객을 쉽게 판별할 수가 있으며, 승객의 이동이 감지됨과 동시에 투입된 승차권도 반송되므로 자동 개·집표기 이용시의 혼잡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
제1도의 (a)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집표기의 외관을 도시한 내측면도이고, (b)는 제1도 (a)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의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2:투입구
3:배출구4:게이트
6:폴(pole)7:통로
10:자기헤드부20:판정부
30:게이트구동부100:감지수단
101:입장발광센서102a, 102b:이동발광센서
103:출장발광센서101':입장수광센서
102a', 102b':이동수광센서103':출장수광센서
110:승차권 표시수단111:할인표시등
112:정상표시등113:이상표시등
120:제어모듈
본 발명은 자동 개·집표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하철, 철도 등의 자동 개·집표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에 의해 승차권, 정기권, 횟수권 등이 투입되면 이에 대한 처리 동작뿐만 아니라,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승객을 판단하여 그 승객의 승차나 하차를 허가 또는 불허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철도 등의 교통시스템에 사용되는 자동 개·집표기는, 승객이 승차권 발매기에서 당일 승차권을 구입하여, 그 자동 개·집표기에 투입하면 이에 대한 소정의 처리동작을 실행하여 그 승객의 승차나 하차를 허가 또는 불허하는 장치이다. 즉, 승차시에는 승차권에 기록된 요금을 판단하여 승차거리에 따른 소정의 요금이 남아 있을 경우에만 입장을 허가하고, 하차시에는 승객의 승차 거리에 해당하는 요금 이상의 금액이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을 경우에만 퇴장을 허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자동 개·집표기에 있어서는 승객이 글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할 때 투입한 승차권의 종류와 일치하는 지를 판단할 수 없다. 그러므로 대인과 소인 또는 할인 요금 적용 대상자에게 동일한 요금을 적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승객이 할인 요금 적용 대상자인지, 정상 요금적용 대상자인지를 판단하고 아울러 승차권의 이상을 판단하여 그 결과를 승객의 승차나 하차를 허가 또는 불허하도록 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투입구로 투입된 승차권에 기록된 자기 정보를 자기헤드부에서 감지하고, 이 자기헤드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승차권이 정당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판정부를 갑추고, 승객이 폴 사이를 통과하면서 게이트 밖으로 출장하도록 허가하는 자동 개·집표기에 있어서:
폴 측면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설치되고, 승객이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감지수단에 접속되고, 그 감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승객을 판별하여 판정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과;
폴 입구 상부면에 설치되고, 판정부가 승차권의 종류를 판정하여 출력시킨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승차권 표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감지수단은 승객의 입장을 감지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두대의 폴의 입구에 설치되는 입장발광센서와 입장수광센서;
자동 개·집표기를 이용하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폴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발광센서와 한쌍의 이동수광센서;
자동 개·집표기를 승객이 출장하도록 폴의 출구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출장발광센서와 출장수광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승차권표시수단은 승차권의 판정결과에 따라 점등되는 할인표시등, 정상표시등, 이상표시등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의 (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집표기를 도기해 놓은 도면으로, 도면에서 복수로 설치되게 되는 자동 개·집표기의 본체(1)에는 각각 투입구(2)와 배출구(3), 게이트(4), 폴(6), 그리고 폴(6)의 측면 길이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승객이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0), 폴(6) 입구 상부면에 설치되고, 승차권의 종류를 표시하는 승차권표시수단(110)이 구비된다.
투입구(2)에는 개·집표기 안으로의 입장시, 또는 개찰구 밖으로의 출장시에 기록매체, 이른바 승차권류로서의 승차권이나, 정기승차권, 할인승차권이 투입되게 되며, 배출구(3)는 개·집표기안으로의 입장시 또는 개·집표기 밖으로 출장시에 투입되는 승차권이나 정기승차권 그리고 할인승차권 등을 배출하게 되고, 게이트(4)는 개·집표기 안으로의 입장시, 또는 개·집표기 밖으로의 출장시에 각 승차권류 투입자의 통과를 저지하게 된다.
폴(6)은 각 자동 개·집표기의 본체(1)에 대응하는 통로(7)를 구별하기 위한 간막이 기능과 더불어 그 측면의 길이 방향에 설치된 감지수단(100)에 의해 승객의 통과를 감지하게 되는데, 감지수다(100)은 복수의 감지기로 구성된다. 또 이들 감지기로서는 투과형이나 반사형 등이 이용되는데, 투과형인 경우에는 대향하는 다른 본체(1)에 설치되는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인도된다.
즉, 다시 설명하자면, 승객의 입장을 감지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두대의 폴(6) 입구에 설치되는 입장발광센서(101)와 입장발광센서(101'), 자동 개·집표기를 이동하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폴(6)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발광센서(102a, 102b)와 한쌍의 이동수광센서(102a', 102b') 및 자동 개·집표기를 승객이 출장하도록 폴(6)의 출구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출장발광센서(103)와 출장발광센서(103')로 구성된다.
또한, 승차권표시수단(110)은 승차권의 판정결과에 따라 점등표시되는 할인표시등(111), 정상표시등(112), 이상표시등(113)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대한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의 블럭도로서, 종래의 자기헤드부(10), 판정부(20), 게이트구동부(30) 외에 승객감지부(100), 승차권표시수단(110), 제어모듈(120)로 구성된다.
자기바코드 등으로 구성되는 자기기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승차권이 자동 개·집표기의 투입구(2)로 투입되면, 승차권의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간정보, 할인정보, 대인 및 소인의 구별, 입장시간, 발행역 등이 기록된 자기기록부의 정보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정보를 판정부(20)로 출력시킨다.
승객감지부(100)는 자동 개·집표기 폴(6) 측면의 길이 방향에 설치되고, 승객이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할 때 그 승객이 대인인지, 소인인지, 할인요금 적용대상자인지를 감지하여 소정의 구별된 신호를 출력시킨다.
제어모듈(120)은 감지부(100)에 접속되고, 그 감지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를 분석하여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승객을 판별하여 그 결과에 따른 신호를 판정부(20)로 출력시킨다.
판정부(20)는 자기헤드부(10) 및 제어모듈(120)에 접속되며, 자기헤드부(10)에서 감지된 정보와 제어모듈(120)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게이트(4) 개방이 정당하다고 판단되면 게이트구동부(30)로 신호를 출력시킨다.
즉, 다시 설명하면, 자기헤드부(10)에서 감지된 승차권의 종류(대인, 소인, 할인)와 제어모듈(120)로 부터 입력된 승객신호(대인신호, 소인신호, 할인신호)가 일치하며, 승차거리에 해당되는 요금이상의 금액이 감지된 경우에만 게이트구동부(30)로 개방신호를 출력시킨다. 그리고, 자기헤드부(10)에서 대인 표임이 감지되고, 제어모듈(120)에서 소인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승차거리에 따른 요금만을 고려하여 개방신호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구동부(30)는 판정부(20)에 접속되며, 판정부(20)로 개방신호가 입력될 때에만 1인 승객이 통과할 수 있는 구간만큼(또는, 소정의 시간동안) 게이트(4)를 개방시킨다.
승차권표시수단(110)는 제어모듈(120)과 접속되며, 판정부(20)에서 승차권의 종류 판단하여 출력시킨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모듈에 의해 할인표시등(111), 정상표시등(112), 이상표시등(113)으로 점등 표시된다.
상술한 승객감지부는 제1도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대의 자동 개·집표기 폴(6) 장치에 승객의 이동에 따라 소정의 광 신호를 출력시키는 발광센서와 그 발광센서를 각각 수신할 수 있도록 수광센서가 구비됨으로써,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승객이 없을 경우 또는 소인인 통과시에는 발광센서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는 수광센서에 수신되며, 대인이 통과시에는 수광센서에 수신되는 광신호가 모두 차단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수광센서에서 감지되는 광 신호 감지여부에 따라 할인, 정상, 이상 등을 구별된 신호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승객이 승차권을 자동 개·집표기의 투입구(2)에 투입하고 그 통로(7)를 구별하기 위한 간막이 기능과 더불어 감지수단(100)이 설치된 두대의 폴(6)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자기헤드부(10)는 승차권에 기록된 구입장소, 구입년월일, 구가정보 할인정보, 대인·소인구별, 입장시 날짜·시각, 발행역, 입장데이터 등 각종 정보를 독출하여 판정부(20)로 입력시키고, 감지수단(100)에서 그 승객의 입장, 이동, 출장 상황이 감지된 신호는 제어모듈(120)을 거쳐 소정의 승객신호(할인, 정상, 이상)로 변환되어 판정부(20)로 입력된다.
그리고, 판정부(20)에 의해 승차권으로부터 독출되는 정보가 할인이라고 판정되면 그 판정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모듈에 의해 할인 등이 점등표시되고, 승차권으로부터 독출된 정보가 정상요금이라고 판정되면 정상등이 점등표시되고, 그 승차권과 감지되는 승객이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되면, 이상등이 점등 표시된다.
그 다음, 판정부(20)에서는 자기헤드부(10)로 부터 입력된 승차권의 정보와 제어모듈(120)로 부터 입력된 판별된 승객신호를 비교 분석하여 그 데이터가 정당한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그 체크 결과가 정당하다고 판정되면 게이트구동부(30)로 개방신호를 출력하여 그 게이트(4)를 개방하여 승객의 통과를 허가함과 더불어 승차권을 배출구(3)로 배출하게 된다.
이에따라, 승객은 통로(7)를 통과하면서 승차권을 돌려 받게 된다. 이때, 자기헤드부(10)로 부터 입력되어 독출된 정보가 할인승차권 신호이고, 제어모듈(120)로 부터 입력된 정보는 미할인 대상자 신호일 경우에는 미자격자가 다른 승차권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므로 이상등이 점등되면서 게이트구동부(30)로 개방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동 개·집표기 폴 장치에 승객 감지장치를 구비하여 그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승객을 할인, 정상, 이상으로 구별하고, 이를 게이트 개방 여부 판단 수단으로 이용함으로써, 대인과 소인 또는 할인 대상자에게 차별된 요금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승차권을 부정하게 사용하는 승객을 쉽게 판별할 수가 있으며, 승객의 이동이 감지됨에 따라 투입된 승차권동 동시에 반송되므로 자동 개·집표기 이용시의 혼잡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투입구(2)로 투입된 승차권에 기록된 자기 정보를 자기헤드부(10)에서 감지하고, 이 자기헤드부(10)의 감지 결과에 따라서 승차권이 정당한 것인가를 판단하는 판정부(20)를 갖추고, 승객이 폴(6) 사이를 통과하면서 게이트(4) 밖으로 출장하도록 허가하는 자동 개·집표기에 있어서:
    상기 폴(6) 측면의 길이 방향에 걸쳐 설치되고, 승객이 상기 자동 개·집표기를 통과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수단(100)과;
    상기 감지수단(100)에 접속되고, 그 감지수단(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승객을 판별하여 판정부(20)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모듈(120)과;
    상기 폴(6) 입구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판정부(20)가 승차권의 종류를 판정하여 출력시킨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모듈(120)에 의해 표시되는 승차권 표시수단(1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100)은 승객의 입장을 감지하도록 서로 대향하는 두대의 폴(6)의 입구에 설치되는 입장발광센서(101)와 입장수광센서(101');
    상기 자동 개·집표기를 이용하는 승객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폴(6)의 중앙부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이동발광센서(102a, 102b)와 한쌍의 이동수광센서(102a', 102b');
    상기 자동 개·집표기를 승객이 출장하도록 상기 폴(6)의 출구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되는 출장발광센서(103)와 출장수광센서(10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표시수단(110)은 승차권의 판정결과에 따라 점등되는 할인표시등(111), 정상표시등(112), 이상표시등(1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집표기용 폴 장치.
KR1019960033090A 1996-08-09 1996-08-09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KR19980014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090A KR19980014224A (ko) 1996-08-09 1996-08-09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3090A KR19980014224A (ko) 1996-08-09 1996-08-09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224A true KR19980014224A (ko) 1998-05-25

Family

ID=66250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3090A KR19980014224A (ko) 1996-08-09 1996-08-09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422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547A (ko) * 2002-05-28 2003-12-03 안필현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KR20030091548A (ko) * 2002-05-28 2003-12-03 안필현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KR102443591B1 (ko) * 2022-01-24 2022-09-16 (주)에이텍티앤 비접촉 결제시 승객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KR102453247B1 (ko) * 2022-02-21 2022-10-12 (주)에이텍티앤 모바일의 수신신호를 이용한 게이트 진입 판단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547A (ko) * 2002-05-28 2003-12-03 안필현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KR20030091548A (ko) * 2002-05-28 2003-12-03 안필현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KR102443591B1 (ko) * 2022-01-24 2022-09-16 (주)에이텍티앤 비접촉 결제시 승객위치 인식장치 및 방법
KR102453247B1 (ko) * 2022-02-21 2022-10-12 (주)에이텍티앤 모바일의 수신신호를 이용한 게이트 진입 판단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9454B1 (ko) 차종 판별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 요금 자동 수수 시스템
KR100365097B1 (ko)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US7474233B2 (en) Parking control device
JP3784897B2 (ja) 自動改札装置
KR19980014224A (ko)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KR19980040934A (ko)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JPH11306484A (ja) 無人駐車場の車種別管理システム
JPH09251598A (ja) 駐車場システム
KR200155075Y1 (ko) 양방향 개찰기 자동전환장치
KR19980040933A (ko) 자동 개집표기의 승객 감지장치
JPH0714038A (ja) 自動改札装置
JP5322372B2 (ja) 自動改札装置
JP3637093B2 (ja) 自動改札装置
KR100356450B1 (ko) 자동 개찰 시스템
JP3702634B2 (ja) 自動改札機
JP4107794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運行状況確認方法
JPH0836658A (ja) 駐輪場管理装置
JP5459687B2 (ja) 自動改札装置
JP2783556B2 (ja) 自動改札システム
JP2000020762A (ja) 自動改札装置及び自動改札システム
JP3637101B2 (ja) 自動改札装置
KR0175788B1 (ko) 소화물 이동을 위한 자동 개.집표기 통로장치
JP3637103B2 (ja) 自動改札装置
JPH0887623A (ja) 自動改札装置
JPH10143687A (ja) 自動改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