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1548A -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1548A
KR20030091548A KR1020020029631A KR20020029631A KR20030091548A KR 20030091548 A KR20030091548 A KR 20030091548A KR 1020020029631 A KR1020020029631 A KR 1020020029631A KR 20020029631 A KR20020029631 A KR 20020029631A KR 20030091548 A KR20030091548 A KR 2003009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ignal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block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필현
김유진
임윤구
Original Assignee
안필현
김유진
임윤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필현, 김유진, 임윤구 filed Critical 안필현
Priority to KR102002002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1548A/ko
Publication of KR2003009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154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16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1/165Cylindrical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 부정승차 단속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써, 특히 개찰구의 시스템을 개량하여 무단 통과 승객을 완벽하게 감지하여 알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단막(150a,150b) 근처에 설치되는 센서장치(70,80,75,85)와, 인체감지장치(90,95)와, 상기 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00,105)와, 감시카메라(111), 알람장치(110)를 중앙처리장치(120)와 연결하여 지하철 개찰구 시스템을 구성한다. 상기 센서장치와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와, 센서장치의 신호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고,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정상으로 판단하고,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어 그 신호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부정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 촬영하고 동시에 알람부를 통하여 경고를 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이 게이트에 접근한 후 되돌아가거나 게이트를 통하여 물건만을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이를 부정승객으로 판단하지 않는 완벽한 감지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A subway platform ticket system}
본 발명은 지하철 부정승차 단속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써, 특히 개찰구의 시스템을 개량하여 승객이 자동 개집표기에 표를 넣지 않고 무단 통과할 경우 그 무단 통과를 오류 없이 완벽하게 감지하여 알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련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개찰구는 삼발이형 개찰구를 갖는 1호형과 폴의 양쪽에 개폐가능한 차단막을 갖는 2호형으로 구분되고, 본 발명은 상기 2호형의 지하철 개찰구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상기 2호형의 지하철 개찰구 시스템의 종래 구조는 도 1과 같이 폴(20),(30)이 양쪽에 설치되고, 상기 폴(20)의 상단 단부에는 승차표 투입부(40a),(40b)이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폴의 측면 양쪽 단부에는 상기 승차표 투입부(40a)(40b)에 승차표가 투입되는지 여부에 의하여 각각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제1차단막(50a)과 제2차단막(50b)이 각각 구성된다.
또, 폴의 하단에는 승객의 발을 감지하여 승객의 통과 여부를 체크하는 감지센서(60a,60b,60c,60d)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2호형 지하철 개찰구는 승차표 투입부(40a)에 정상적인 승차표를 투입하고 승객이 폴(20,30)사이를 통과하여 지나 갈 때는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이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반대 방향 즉, 승차표 투입부(40b)에 정상적인 승차표를 투입하고 폴 사이를 통과하여 지날 때도 마찬가지로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은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만일, 부정승차 승객이 승차표 투입부에 승차표를 투입하지 않고, 폴 사이를 통과하여 지나는 경우에는 감지센서(60a,60b,60c,60d)의 신호에 의하여 그 통과하는 맞은 편에 있는 차단막이 차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이 차폐되었을 경우 승객이 다시 되돌아 나오거나 차폐막을 뛰어 넘에 무단승차하는 2가지의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부정승차 방지를 위하여 자동 알람하고 경고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차단막이 차폐되는 신호를 감지하였을 때 부정승차로 판단하여 경고하거나 알람할 경우에는 선의의 승객 즉, 폴 사이를 통과하다 다시 되돌아 나오는 승객, 차다막 건너편으로 물건만을 전달하여 주고 되돌아 나오는 승객까지도 부정승차 승객으로 판단하는 요류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승객의 개찰구 통과여부를 정확히 감지하여 부정통과인지 정상 통과인지를 판단하는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제1차단막(150a) 근처의 폴의 상,하단부에 제1센서장치(70,80)를 설치하고, 그 개찰구 차단막 근처의 중앙부에 각각 제1인체감지장치(90)를 설치한다.
또, 제2차단막(150b) 근처의 폴의 상,하단부에 제2센서장치(75,85)를 설치하고, 그 개찰구 차단막 근처의 중앙부에 각각 제2인체감지센서(95)를 추가로 설치한다.
또,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에는 그 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제1감지센서(105)와 제2감지센서(100)를 각각 설치한다.
상기 제1감지센서, 제1센서장치, 제1인체감지장치의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제1차단막 쪽으로 통과하는 부정승객을 판별하도록 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 제2센서장치, 제2인체감지장치의 신호를 서로 비교하여 제2차단막 쪽으로 통과하는 부정승객을 판별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상기 제1,제2인체감지장치는 하나의 예로 일본 무라타 매뉴팩처링사의 IRA-E500 타입의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
도 1은 종래 개찰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부정승차 방지 개찰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차단막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의 다른 설치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0,200,300 - 폴 70, 80 - 제1센서장치
75,85 - 제2센서장치 90 - 제1인체감지장치
95 - 제2인체감지장치 105 - 제1감지센서
100 - 제2감지센서 110 - 알람장치
111 - 감시 카메라 120 - 중앙처리장치
112 - DVR 50a, 150a - 제1차단막
50b, 150b - 제2차단막
본 발명은 승차표 투입구와, 상기 승차표 투입구의 승차표 투입에 의하여 개폐되는 차단막을 구비하는 폴과,
상기 차단막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막의 상,하단으로 통과하는 승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부정승차 여부를 판별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는 개찰구 감시용 카메라 및 알람부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차단막 근처에 설치되는 센서장치와, 인체감지장치와,상기 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와, 센서장치의 신호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고,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정상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고,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어 그 신호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부정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 촬영하고 동시에 알람부를 통하여 경고를 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폴의 양쪽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 개폐 감시용 감지센서는 차단막의 배면과 당접하는 폴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단막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감지센서 신호가 스위칭되도록 구성하거나, 차단막의 측면에 당접하는 폴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단막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감지센서 신호가 스위칭 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작용은 도 2 및 3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부정 승차방지용 개찰구 시스템은 개찰구용 제1차단막(150a), 제2차단막(150b)이 양쪽에 설치되는 폴(200),(300)을 구비한다. 상기 폴의 상단부에는 승차표 투입구(140a,140b)가 상기 제1차단막과 제2차단막 근처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승차표 투입구를 통하여 정상적인 승차표가 투입되면 상기 각각의 차단막이 폴과 수평 상태 즉, 폴에 당접하여 접혀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찰구를 구성하는 차단막의 동작신호는 신호선에 의하여 연결된 중앙처리장치(120)에 전송된다.
한편, 폴(200,300)의 측면 양쪽에는 제1센서장치(70,80)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센서장치는 각각 발광부(70a,80a)와 수광부(70b,80b)로 이루어져 승객의 통과로 인하여 발광부의 신호가 수광부에 차단되는가의 여부를 알 수 있도록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한다.
또, 상기 제1센서장치가 설치되는 근방에는 제1인체감지장치(90)가 설치되고, 상기 제1인체감지장치는 물건을 제외한 인체의 통과 여부만 감지할 수 있는 센서 즉, 하나의 예로 일본의 무라타 매뉴팩처링사의 IRA-E500의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제1인체감지센서는 제1차단막(150a)의 개폐와 관계없이 승객이 제1차단막의 상,하부를 통하여 통과할 때 그 통과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부정승차 승객이 발생하였을 때 중앙처리장치를 통하여 경고하거나 알람할 수 있도록 컨트롤되는 알람장치(110)가 폴 또는 게이트 근처에 설치되고, 중앙처리장치 를 통하여 제어되는 감시 카메라(111)가 게이트 근처에 설치되어 부정승차 승객이 발생시 카메라와 연결된 DVR(112)에 그 상황을 녹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차단막(150a)의 배면과 당접하는 폴의 위치에는 제1차단막의 개폐를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제1감지센서(105,)의 발광부(105a)가 구성되고맞은 편의 폴의 위치에는 수광부(105b)가 각각 구성된다.
상기 제1차단막 부분에서의 부정승차 승객의 판단은 제1차단막이 차단되어 제1감지센서가 연결된 상태 즉, 발광부(105a)의 광을 수광부(105b)가 받아들여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된 상태에서 제1센서장치(70,80)의 신호가 스위칭됨과 동시에 제1인체감지장치의 센서 신호가 스위칭되는 것을 중앙처리장치(120)가 감지하였을 때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부정승차 승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DVR(112)를 통하여 녹화함과 동시에 알람장치(110)를 을 통하여 부정승차 승객에게 경고한다.
한편, 제1감지센서가 스위칭된 상태에서 제1센서장치(70,80)의 신호가 스위칭되는 것과는 관계없이 제1인체감지장치(90)의 센서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20)는 부정승차 승객으로 판단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승객이 폴의 내부로 진입하였다가 되돌아 나온 경우이므로 부정승차 승객으로 판단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제1감지센서가 끊어진 상태 즉, 제1차단막이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제1센서장치(70,80)의 신호가 스위칭됨과 동시에 제1인체감지장치의 센서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면 중앙처리장치는 게이트를 통하여 승객이 정상적으로 통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중앙처리장치의 데이터 베이스 등에 그 승객의 승차표의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상기 폴의 다른 한 쪽에는 제2차단막(150b)이 설치되고, 제2차단막(150b)의 배면과 대응하는 폴의 위치에는 제2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알수 있도록 하는 제2감지센서(100)의 발광부(100a)가 구 성되고 맞은 편의 폴의 위치에는수광부(100b)가 각각 구성된다. 폴(200,300)의 측면 양쪽에는 제2센서장치(75,85)가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센서장치는 각각 발광부(75a,85a)와 수광부(75b,85b)로 구성되고, 상기 제2센서장치가 설치되는 근방에는 제2인체감지장치(95)가 설치된다.
상기 제2차단막, 제2감지센서, 제2센서장치, 제2인체감지장치 등의 신호 스위칭에 의한 중앙처리장치의 판단은 앞서 설명한 제1차단막, 제1감지센서, 제1센서장치, 제1인체감지장치 등의 신호 스위칭에 의한 중앙처리장치의 처리 시스템과 동일한 방법에 의하여 실현된다.
상기 차단막에 설치되는 감지센서는 도 3과 같이 차단막의 상하 측면과 당접하는 폴의 위치 즉, 차단막이 장착되는 홈(99)의 상하면에 발광부(105a)와 수광부(105b)를 설치하여 차단막(150)a이 개폐되는 것에 따라 감지센서가 온/오프 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차단막 근처에 설치되는 센서장치와, 인체감지장치와, 상기 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2호형 지하철 개찰구 부정승차 방지 시스템은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와, 센서장치의 신호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고,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정상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고,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어 그 신호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부정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 촬영하고 동시에 알람부를 통하여 경고를 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승객이 게이트에 접근한 후 되돌아가거나 게이트를 통하여 물건만을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이를 부정승객으로 판단하지 않는 완벽한 감지 시스템을 구성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부정승차 방지 시스템의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승차표 투입구와, 상기 승차표 투입구의 승차표 투입에 의하여 개폐되는 차단막을 구비하는 폴과,
    상기 차단막 근처에 설치되어 상기 차단막의 상,하단으로 통과하는 승객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부정승차 여부를 판별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와 연결되는 개찰구 감시용 카메라 및 알람부를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차단막 근처에 설치되는 센서장치와, 인체감지장치와, 상기 차단막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고,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와, 센서장치의 신호와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스위칭되고, 상기 인체감지장치의 신호가 스위칭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정상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고,
    상기 센서장치, 상기 인체감지장치,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가 동시에 스위칭되어 그 신호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부정승차 승객 통과로 판단하여 상기 감시용 카메라를 통하여 녹화 촬영하고 동시에 알람부를 통하여 경고를 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폴의 양쪽에 각각 구성되고, 상기 차단막 개폐 감시용 감지센서는 차단막의 배면과 당접하는 폴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단막이 차단되었을 때 상기 감지센서 신호가 스위칭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차단막의 측면에 당접하는 폴의 위치에 설치되어 차단막의 개폐에 따라 상기 감지센서 신호가 스위칭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KR1020020029631A 2002-05-28 2002-05-28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KR200300915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631A KR20030091548A (ko) 2002-05-28 2002-05-28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9631A KR20030091548A (ko) 2002-05-28 2002-05-28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1548A true KR20030091548A (ko) 2003-12-03

Family

ID=3238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9631A KR20030091548A (ko) 2002-05-28 2002-05-28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15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10B1 (ko) * 2008-02-20 2010-07-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096A (ja) * 1994-05-25 1995-12-08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H08329292A (ja) * 1995-05-31 1996-12-13 Omron Corp ゲート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
KR19980014224A (ko) * 1996-08-09 1998-05-25 배순훈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KR19980026011A (ko)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용 부정출입방지 도어장치
KR19980040934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KR19980058149U (ko) * 1997-02-19 1998-10-26 변종식 자동 출입 통제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096A (ja) * 1994-05-25 1995-12-08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H08329292A (ja) * 1995-05-31 1996-12-13 Omron Corp ゲート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
KR19980014224A (ko) * 1996-08-09 1998-05-25 배순훈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KR19980026011A (ko)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용 부정출입방지 도어장치
KR19980040934A (ko) * 1996-11-30 1998-08-17 배순훈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KR19980058149U (ko) * 1997-02-19 1998-10-26 변종식 자동 출입 통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8210B1 (ko) * 2008-02-20 2010-07-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도로 차량 또는 철도 차량용 스마트 정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8145A1 (en) Automated tailgating detection via fusion of video and access control
CA2522117C (en) Method of programming security control panels for door entry device compatibility
CN107119595B (zh) 基于图像处理的控制方法
JP4962862B2 (ja) ゲートシステム、及びゲート制御方法
JP4029403B2 (ja) 自動改札装置
CN107193232A (zh) 自动控制的闸门
KR20030091548A (ko)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US20070080802A1 (en) Tamper &amp; intrusion detection device
CN112950822A (zh) 一种闸机通行逻辑自动识别系统和方法
KR20100082580A (ko) 지문 인식형 보안 출입 게이트 및 이를 이용한 출입 통제 시스템
JPH10105748A (ja) 自動改札装置
KR20030091547A (ko) 부정승차 방지용 개찰구 시스템
JP3713388B2 (ja) 不正開扉検知装置付き遊技機
JP3343053B2 (ja) 駐車場用自動管理装置
KR19980040934A (ko) 자동 개집표기의 부정통과 감지방법
JPH08235393A (ja) カード式ゲート装置
JP3675175B2 (ja) 自動改札機
JP2010122999A (ja) 人体通信を用いた自動改札システム
KR200155075Y1 (ko) 양방향 개찰기 자동전환장치
JP4635510B2 (ja) 自動改札装置および通行制御方法
KR19980014224A (ko) 자동 개, 집표기용 폴장치
KR19980040933A (ko) 자동 개집표기의 승객 감지장치
JP2006127344A (ja) 施設出入り管理システム
JP3728863B2 (ja) 自動改札機
JPH10283511A (ja) 自動改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