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455Y1 - 자동 개집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개집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455Y1
KR200355455Y1 KR20-2004-0013849U KR20040013849U KR200355455Y1 KR 200355455 Y1 KR200355455 Y1 KR 200355455Y1 KR 20040013849 U KR20040013849 U KR 20040013849U KR 200355455 Y1 KR200355455 Y1 KR 2003554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wireless
wireless recording
communication
wireless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가메신이치
데미즈사나에
지에웨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4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4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4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07B11/02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for validating inserted ti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36Tickets or coupon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개집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행자가 제시한 무선카드(C)에 대해 통신부(16a)에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고, 통행 허가라고 판정된 경우, 통신부(16a)의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카드(C)는 회수권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회수권이라고 판정된 경우, 수납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여 당해 무선카드(C)를 수납하고, 이때 수납된 무선카드(C)는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인지를 확인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수납된 무선카드(C)를 회수상자(5)로 회수하고, 동일하지 않은 경우는 수납된 무선카드(C)를 반환구(51)로 반환하여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확실히 회수할 수 있고, 정기권 등의 재이용 가능한 무선식 기록매체의 오투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 통행자의 고의적인 행위나 실수 등에 의해 투입된 무효한 매체나 다른 매체를 확실히 반환할 수 있는 자동 개집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개집찰 장치{AUTOMATIC TICKET CHECKING APPARATUS}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철도 등의 교통기관의 역에 설치되어 통행자가 제시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통행의 여부를 판정하는 자동 개집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예를 들면 철도 등의 교통기관의 역에 설치되는 자동 개집찰 장치에서는 개찰처리의 고속화 및 서비스의 향상을 실현하기 위해 자기식 기록매체로 이루어진 승차권을 대신하여 무선식 기록매체로서의 무선식 IC 카드로 이루어진 승차권(이하, 무선카드라고 약칭함)을 처리하는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선카드를 처리하는 자동 개집찰 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카드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당해 무선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통행(역구내로의 입장 또는 역구외로의 출장)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무선카드는 자기식 승차권에 비해 1장당 비용이 높기 때문에 리사이클링이 원칙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사용 완료된 무선카드를 가능한한 회수할 수 있는 자동 개집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개집찰 장치에서는 통행 여부의 판정 결과가 허가 된 경우에 사용 완료의 무선카드를 회수하는 것이 어렵고, 또 정기권 등의 통행 허가후에 재이용 가능한 무선카드를 잘못해서 회수해버리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확실히 회수할 수 있고, 정기권 등의 재이용 가능한 무선식 기록매체의 오투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통행자의 고의적인 행위나 실수 등에 의해 투입된 무효한 매체나 다른 매체를 확실히 반환할 수 있는 자동 개집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개집찰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자동 개집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자동 개집찰 장치의 제어 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자동 개집찰 장치에 의한 하차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자동 개집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C : 무선카드(무선식 기록매체) 0 :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
1 : 주 제어부(판정수단, 금지수단) 5 : 회수상자(회수수단)
3 : 도어(통행 제어수단, 통행 거부수단) 10a : 집찰 처리부
10b : 개찰 처리부 12a, 12b : 통로 표시부
14 : 투입구(수납구, 수납수단) 14a : 셔터
16a, 16b : 통신부(통신수단) 18a, 18b : 안내표시부
20 : 덕트(회수수단) 35 : 셔터 제어부
43 : 무선 통신제어부(통신수단) 51 : 반환구(반환수단)
52 : 분기기구(회수수단, 반환수단)
53 : 분기제어부(회수수단, 반환수단)
본 고안의 자동 개집찰 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통상은 폐쇄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셔터와,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통해 허가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구의 셔터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구로부터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고, 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회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고안의 자동 개집찰 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구와, 이 수납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통상은 폐쇄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셔터와,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통행 허가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구의 셔터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구로부터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했을 때, 그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과,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회수수단과,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상기 통행자에 대해 반환하는 반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고안의 자동 개집찰 장치는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이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무선식 기록매체를 수납했을 때, 그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회수하는 회수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지 않다록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상기 통행자에 대해 반환하는 반환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고안의 실시형태)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대상이 되는 승차권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자동 개집찰 장치로 처리 대상이 되는 승차권은 무선식 기록매체로서의 무선카드이다. 이 처리 대상이 되는 무선카드에는 예를 들면 금액에 따른 거리에 있어서 1회만의 승강이 허가되는 보통 승차권, 소정 기간 및 소정 구간에 있어서 승강이 허가되는 정기권 또는 미리 기록된 금액 정보와 환승에 승강이 허가되는 스토어드 페어 카드(Stored Fare Card(이하, SF카드라고 약칭함)) 등을 예로들 수 있다.
보통 승차권은 통상 1회의 승강에 한해 유효한 승차권(1회권)이며, 하차시에 사용 완료가 된다. 이와 같이 하차시에 사용 완료가 되는 무선카드는 하차시에 회수해야 하는 승차권(회수권)이다.
또, 정기권 또는 SF카드는 반복 승차 가능한 승차권이다. 즉, 정기권은 기록되어 있는 유효 기간이 경과하기까지 사용되고, SF카드는 기록되어 있는 금액 정보의 잔액이 없어지기까지 사용된다. 이와 같이, 하차시에 사용 완료가 되지 않고 반복 사용 가능한 무선카드는 하차시에 회수되지 않는 승차권(비회수권)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집찰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개집찰 장치의 내부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0)에는 주 제어부(1), 전원부(2), 통행 제어 수단으로서의 도어(3), 스피커(4), 회수수단으로서의 회수상자(5), 집찰 처리부(10a) 및 개찰 처리부(10b)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개찰」이라는 것은 입구에서 티켓이나 정기권 등을 조사하는 것이며, 「집찰」이라는 것은 출구에서 승객으로부터 티켓을 수취하는 것이다.
주 제어부(1)는 본 장치 전체의 제어를 나타낸다. 전원부(2)는 본 장치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어(3)는 닫는 것에 의해 통행자의 통로를 폐쇄한다. 스피커(4)는 통행자에 대해 각종 안내를 음성에 의해 출력한다. 회수상자(5)는 후술하는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회수해야 하는 무선카드를 집적한다.
집찰 처리부(10a)에는 통로 표시부(12a), 무선카드(C)를 수납하는 수납구로서의 투입구(14), 통신부(16a), 안내표시부(18a), 덕트(20), 승차권 검지기(22), 반환구(51) 및 분기기구(52)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 표시부(12a)는 역구내측에서 본 장치로 접근해 온 통행자에 대해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투입구(14)는 통신부(16a)를 구성하는 루프형상 안테나의 내측에 설치되어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카드(C)를 수납하는 수납구이다. 이 투입구(14)에는 그곳을 개폐하는 셔터(14a)가 설치되어 있고, 통상은 폐쇄 상태로 설정되어 있어 무선카드(C)의 수납이 필요한 경우에 개방하도록 되어 있다.
통신부(16a)는 무선카드(C)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루프형상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고, 통행자에 의해 접촉되는 무선카드(C)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신부(16a)는 무선카드(C)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무선카드(C)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 표시부(18a)는 역구내측에서 집찰 통로를 통행하는 통행자, 즉 하차객에 대해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덕트(20)는 분기기구(52)로부터 수납된 무선카드(C)를 회수상자(5)로 안내한다. 승차권 검지기(22)는 투입구(1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를 광학적으로 검지한다.
분기기구(52)에는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가 통신부(16a)에서 기록 내용이 판독된 후, 일단 재치된다. 재치된 무선카드(C)는 통신부(16a)에 의해 투입구(14)의 셔터(14a)를 열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가 판정되고, 동일한 경우, 분기기구(52)가 지점(52a)을 중심으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재치되어 있는 무선카드(C)를 덕트(20)로 유도한다. 또, 투입된 무선카드(C)가 반환되는 승차권인 경우, 분기기구(52)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재치되어 있는 무선카드(C)를 반환구(51)로 유도한다. 즉, 투입된 무선카드(C)의 동일성 판정에 의해 무선카드(C)를 회수상자(5)로 회수하거나 반환구(51)로부터 통행자에게 반환할 수 있다.
개찰 처리부(10b)에는 통로 표시부(12b), 통신부(16b) 및 안내표시부(18b)가 설치되어 있다. 통로 표시부(12b)는 역의 구외측에서 본 장치에 접근해 온 통행자에 대해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통신부(16b)는 집찰 처리부(10a)의 통신부(16a)와 마찬가지로 루프형상 안테나 등으로 구성되고, 통행자에 의해 삽입되는 무선카드(C)와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통신부(16b)는 무선카드(C)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무선카드(C)에 대해 데이터를 송신한다. 안내표시부(18b)는 역구외측에서 개찰 통로를 통행하는 통행자, 즉 승차하는 통행자에 대해 각종 안내를 표시한다.
집찰 처리부(10a)는 탑커버(26a)에 의해 덮여 있고, 이 탑커버(26a)는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0)에 대해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커버(26a)에 투입구(14), 통신부(16a) 및 안내표시부(18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개찰 처리부(10b)는 탑커버(26b)에 의해 덮여 있고, 이 탑커버(26b)는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0)에 대해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탑커버(26b)에 통신부(16b) 및 안내표시부(18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탑커버(26a)는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0)에 의해 칸막이된 한쪽의 개찰 통로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 탑커버(26b)는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0)에 의해 칸막이된 다른쪽 개찰 통로측으로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 탑커버가 개방되고, 한쪽의 개찰 통로가 사용 불가능하게 되어도 다른쪽 개찰 통로까지 사용 불가능하게 되는 일은 없다.
도 3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 개집찰 장치의 제어 계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주 제어부(1)에는 ROM(Read·Only·Memory)(30), RAM(Random·Access·Memory)(32), 운임 메모리(34), 셔터 제어부(35), 승차권 검지기 감시부(36), 인간 검지기 감시부(37), 도어 개폐 제어부(38), 표시 제어부(39), 탑커버 개폐 감시부(41), 전원 제어부(42), 무선 통신 제어부(43),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44), 감시판 인터페이스(I/F)(45) 및 분기 제어부(53)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주 제어부(1)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장치 전체의 제어를 나타낸다. 이 주 제어부(1)는 타이머(1a)를 갖고, 여러가지 처리에 있어서의 시간 감시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ROM(30)은 주 제어부(1)의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다. RAM(32)은 주 제어부(1)에 의해 본 장치를 제어할 때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운임 메모리(34)는 운임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셔터 제어부(35)는 투입구(14)에 설치되어 있는 셔터(14a)를 개폐 구동 제어한다. 승차권 검지기 감시부(36)는 투입구(14)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는 승차권 검지기(22)로부터의 승차권 검지 신호를 감시한다.
인간 검지기 감시부(37)는 자동 개집찰 장치 본체(0)의 개찰 통로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인간 검지기(37a)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체크하고, 자동 개집찰 장치본체(0)를 따라서 통행하는 통행자를 감시한다.
도어 개폐 제어부(38)는 도어 개폐 구동부(3a)에 의한 도어(3)의 개폐 구동을 제어한다. 표시 제어부(39)는 통로 표시부(12a), 안내표시부(18a), 통로 표시부(12b), 안내표시부(18b) 등의 각종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한다.
탑커버 개폐 감시부(41)는 탑커버(26a)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탑커버 센서(41a) 및 탑커버(26b)의 개폐 상태를 검지하는 탑커버 센서(41b)로부터의 각 검지신호를 체크하고, 탑커버(26a, 26b)의 개폐 상태를 감시한다. 전원제어부(42)는 전원부(2)에 의한 전원 공급 등을 제어한다
무선 통신 제어부(43)는 통신부(18a, 18b)의 송수신 파워 등을 제어하거나 통신부(18a, 18b)로 수신된 데이터를 복조하거나 통신부(18a, 18b)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한다.
네트워크 통신 제어부(44)는 외부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감시판 인터페이스(45)는 외부에 설치되는 감시판(46)과 본 장치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분기제어부(53)는 분기기구(52)를 구동 제어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투입구(14)에 투입되는 무선카드(C)의 회수에 대해 설명한다. 즉, 셔터(14a)가 개방되고, 투입구(14)에 투입된 무선카드(C)는 일단 분기기구(52)상에 재치된다. 투입된 무선카드(C)는 승차권 검지기(22)에 의해 검지된 후, 통신부(16a)에 의한 무선 통신에 의해 기록 내용이 판독된다. 즉, 승차권 검지기(22)에 의해 무선카드(C)가 검지되면 주 제어부(1)는 통신부(16a)로 무선카드(C)의 기록 내용의 판독을 지시한다. 이 지시에 따라서 통신부(16a)는 무선카드(C)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셔터(14a)를 개방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는 기록 내용이 판독됨으로써 바른 무선카드(C)가 투입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 개집찰 장치에 의한 하차시의 동작에 대해 도 4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통행자가 역구내측에서 본 장치에 접근하면 도시하지 않은 근접 센서에 의한 검지에 의해 투입구(14)의 셔터(14a)가 닫혀진다. 이 때, 안내표시부(18a)에는 「승차권을 접촉시켜주십시요.」라는 안내가 표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통행자가 소지하고 있는 무선카드(C)를 통신부(16a)의 근방에 접촉하면 주 제어부(1)는 통신부(16a)에 의해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개시하고, 이 통신에 의해 무선카드(C)의 기록 내용을 판독한다(단계(S1)). 주 제어부(1)는 이 판독된 기록 내용에 기초하여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한다(단계(S2)).
이 판정 결과, 통행이 허가라고 판정되면(단계(S3)) 주 제어부(1)는 제시된 무선카드(C)가 회수권(예를 들면 사용 완료가 된 승차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 즉, 제시된 무선카드(C)가 보통 승차권 등의 1회권인 경우는 회수권이라고 판정하고, 정기권이나 SF카드 등의 경우에는 회수권이 아니라고(비회수권)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해 회수권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정기권 또는 SF카드 등의 회수하지 않는 무선카드(C)라고 판정된 경우, 주 제어부(1)는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은 채, 안내표시부(18a)에 「승차권을 투입하지 말고 그대로 통과해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5)), 도어(3)를 개방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한다(단계(S6)). 이에 의해 비회수권을 회수하지 않고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단계(S4)에서 회수권이라고 판정된 경우, 즉 보통 승차권 등의 회수해야 하는 무선카드(C)라고 판정된 경우, 주 제어부(1)는 투입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고(단계(S7)), 안내표시부(18a)에 「투입구에 승차권을 투입해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한다(단계(S8)).
이때, 주 제어부(1)는 타이머(1a)에 의해 시간 감시를 개시하고, 승차권 검지기(22)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의 시간내에 무선카드(C)가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9)).
이 판정에 의해 소정 시간내에 무선카드(C)가 투입된 경우, 주 제어부(1)는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는다(단계(S10)). 이 때, 통신부(16a)에 의해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실시함으로써 무선카드(C)의 기록 내용을 판독하고, 투입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1)).
이 판정에 의해 투입된 무선카드(C)가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하다고 판정되면 주 제어부(1)는 안내표시부(18a)에 「통과해주십시요.」 라는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12)), 도어(3)를 개방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한다(단계(S6)). 이에의해 회수권은 분기기구(52)에 의해 확실히 회수하면서 통행자의 통행을 허가할 수 있다.
상기 단계(S9)에서 소정 시간내에 투입구(14)에 무선카드(C)가 투입되지 않은 경우, 주 제어부(1)는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고(단계(S13)), 안내표시부(18a)에 「한번 더 해보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14)), 도어(3)를 폐쇄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불허가로 한다(단계(S15)).
상기 단계(S11)에서 투입된 무선카드(C)가 투입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주 제어부(1)는 안내표시부(18a)에 「일단 물러서고 나서 동일권을 투입해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16)), 분기기구(52)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재치되어 있는 무선카드(C)를 반환구(51)로 반환하고(단계(S17)), 도어(3)를 폐쇄하여 이용의 통행을 허가하지 않는다(단계(S155)).
이에 의해 통행자가 제시한 무선카드(C)는 틀림없이 회수되고, 또 통행자가 잘못해서 투입구(14)에 다른 무선카드나 다른 매체 등을 투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판정 결과에 대한 통행 제어를 정확히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단계(S3)에서 통행 판정 결과, 통행이 불허가라고 판정된 경우, 주 제어부(1)는 통행이 허가되지 않은 요인이 무선카드(C)의 요금 부족인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8)). 이 판정에 의해 요금 부족으로 허가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주 제어부(1)는 안내표시부(18a)에 「정산기로 정산해주십시요.」라는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19)), 도어(3)를 폐쇄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저지한다(단계(S15)).
상기 단계(S18)에서 요금 부족 이외의 요인으로 통행이 허가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 주 제어부(1)는 안내표시부(18a)에 「이 승차권으로는 통행할 수 없습니다.」라는 안내를 표시하고(단계(S20)), 도어(3)를 폐쇄하여 통행자의 통행을 저지한다(단계(S15)).
이와 같이 하차시에 보통 승차권 등의 회수해야 하는 무선카드(C)가 제시된 경우, 투입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여 무선카드(C)의 회수를 실시하고, 정기권이나 SF카드 등의 회수하지 않는 무선카드(C)가 제시된 경우, 투입구(14)의 셔터(14a)를 닫은 상태로 하여 무선카드(C)를 회수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회수해야 하는 무선카드(C)를 확실히 회수하고, 또 회수해야 하지 않는 무선카드(C)를 잘못해서 회수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각 통행자에 대한 처리를 적절히 실시할 수 있고, 또 자동 개집찰 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도 5는 자동 개집찰 장치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5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자동 개집찰 장치의 구성에 비해 분기기구(52)만이 다르고, 그외에는 동일 구성이다.
즉, 도 5에 도시한 분기기구(52)는 투입구(14)의 아래쪽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무단의 반송벨트(52b)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투입구(14)로부터 투입된 무선카드(C)는 통신부(16a)에서 기록 내용이 판독된 후, 일단, 반송벨트(52b)상에 재치된다. 그리고, 반송벨트(52b)상에 재치된 무선카드(C)는 전술한 바와 같이 투입구(14)의 셔터(14a)를 개방하기 전에 제시된 무선카드(C)와 동일한 것이 판정된다.
이 판정 결과, 동일한 무선카드(C)인 경우, 무선카드(C)를 화살표(a) 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무선카드(C)를 덕트(20)로 유도하여 회수상자(5)로 회수한다. 또, 동일한 무선카드(C)가 아닌 경우, 무선카드(C)를 화살표(b)방향으로 반송함으로써 무선카드(C)를 반환구(51)로 유도하여 통행자에게 반환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를 확실히 회수할 수 있고, 정기권등의 재이용 가능한 무선식 기록매체의 오투입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통행자의 고의적인 행위나 실수 등에 의해 투입된 무효한 매체나 다른 매체를 확실히 반환할 수 있는 자동 개집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통행자에 의해 투입되는 무선식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구와,
    통상은 폐쇄 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수납구를 개폐하는 셔터와,
    통행자에 의해 제시되는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통행자의 통행의 가부를 판정하는 제 1 판정수단과,
    상기 제 1 판정수단에 의해 통행 허가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2 판정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라고 판정된 경우, 통상은 폐쇄상태의 상기 수납구의 셔터를 개방하여 상기 수납구로부터 당해 회수해야하는 무선식기록매체만을 수납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제 2 판정수단에 의해 당해 무선식 기록매체는 회수해야 하는 무선식 기록매체가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상기 회수수단에 의한 상기 수납구의 셔터의 개방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소정시간내에 무선식기록매체를 수납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수납한 것으로 판정된 후, 상기 수납된 무선식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므로써 상기 수납된 무선식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기록매체와 동일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제 3 판정수단과,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기록매체와 동일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기록매체를 회수하는 회수수단과,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상기 수납수단에 의해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를 상기 통행자에 대해 반환하도록 수납구에 대해서 통행자의 진행방향에 대해서 앞쪽에 추가로 설치된 반환수단과,
    상기 제 3 판정수단에 의해 상기 수납된 무선식 기록매체는 상기 제시된 무선식 기록매체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당해 통행자의 통행을 거부하는 통행 거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집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수단은 무선식 기록매체와의 사이에서 무선에 의한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루프형상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이 루프형상의 안테나의 내측에 상기 무선식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개집찰 장치.
KR20-2004-0013849U 2001-03-16 2004-05-19 자동 개집찰 장치 KR2003554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5970 2001-03-16
JP2001075970A JP2002279453A (ja) 2001-03-16 2001-03-16 自動改集札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64A Division KR20020074065A (ko) 2001-03-16 2002-02-22 자동 개집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455Y1 true KR200355455Y1 (ko) 2004-07-06

Family

ID=1893297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64A KR20020074065A (ko) 2001-03-16 2002-02-22 자동 개집찰 장치
KR20-2004-0013849U KR200355455Y1 (ko) 2001-03-16 2004-05-19 자동 개집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464A KR20020074065A (ko) 2001-03-16 2002-02-22 자동 개집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2279453A (ko)
KR (2) KR20020074065A (ko)
CN (1) CN1181453C (ko)
TW (1) TW53511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89B1 (ko)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4863B2 (ja) * 2003-04-18 2008-11-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発券装置
JP4497878B2 (ja) * 2003-09-26 2010-07-07 レシップ株式会社 Icカード式運賃精算装置
CN100440259C (zh) * 2004-04-20 2008-12-03 广州市地下铁道总公司 一种代币型非接触式智能卡的回收装置
JP2006031157A (ja) * 2004-07-13 2006-02-02 Omron Corp 自動改札機
KR100841940B1 (ko) 2008-02-12 2008-06-27 대우정보시스템 주식회사 승차권 회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2646300A (zh) * 2012-05-02 2012-08-22 南京熊猫机电仪技术有限公司 地铁闸机票币分离回收方法及装置
CN102831651B (zh) * 2012-07-25 2015-03-11 深圳西龙同辉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Token的检测设备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4741B2 (ja) * 1992-10-27 1998-04-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カード挿入部
JPH06150092A (ja) * 1992-11-12 1994-05-31 Fuji Electric Co Ltd カード式ゲート装置
JP3802137B2 (ja) * 1996-06-04 2006-07-26 株式会社東芝 自動改札装置
JPH10293867A (ja) * 1997-04-17 1998-11-04 East Japan Railway Co Icカードを利用した自動改札システム
EP0875850A3 (en) * 1997-04-28 2004-04-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transfer system
JP4363709B2 (ja) * 1998-09-16 2009-11-11 株式会社東芝 無線カード対応自動改札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123212A (ja) * 1998-10-13 2000-04-28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改札機
JP2000229491A (ja) * 1999-02-12 2000-08-22 Canon Inc Icカード、カード情報処理装置、電子通貨決済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489B1 (ko) 2007-12-18 2010-04-22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티켓 회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279453A (ja) 2002-09-27
KR20020074065A (ko) 2002-09-28
CN1375801A (zh) 2002-10-23
TW535116B (en) 2003-06-01
CN1181453C (zh) 200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2137B2 (ja) 自動改札装置
JP3124164B2 (ja) 自動改札装置
KR100355975B1 (ko) 무선 기록 매체, 개찰 시스템, 및 거래 시스템
KR200355455Y1 (ko) 자동 개집찰 장치
JP2004220116A (ja) 自動改札機
JP5292774B2 (ja) 自動改札機
KR100475553B1 (ko) 자동개찰장치, 무선식 기록매체 발행장치 및 개찰 시스템
JP3772695B2 (ja) 非接触式自動改札装置
KR100356450B1 (ko) 자동 개찰 시스템
JP2000030089A (ja) 自動改札装置
KR100354952B1 (ko) 무선카드 대응 자동개찰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60838B2 (ja) 出場用ゲート装置、および通行制御システム
JP2004206199A (ja) 駐車位置確認システム
JP3637093B2 (ja) 自動改札装置
JP3637103B2 (ja) 自動改札装置
JP2003296780A (ja) 回収装置、自動改札装置、及び改札方法
JP2001307157A (ja) 自動改集札装置
JP3725303B2 (ja) Icカードを利用した自動改札装置
JP2736226B2 (ja) 自動改札装置
JP4266058B2 (ja) 無線式記録媒体処理装置、無線式記録媒体処理システム、自動改札装置、および自動改札システム
JP4202497B2 (ja) 自動改札装置
JP2846128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装置
JP2006085302A (ja) 非接触icカード処理装置、および自動改札機
JP2000113239A (ja) 自動改札装置と自動改札方法
JP2000251097A (ja) 自動改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