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764B1 - 승차권 개집표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권 개집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764B1
KR101223764B1 KR1020100139375A KR20100139375A KR101223764B1 KR 101223764 B1 KR101223764 B1 KR 101223764B1 KR 1020100139375 A KR1020100139375 A KR 1020100139375A KR 20100139375 A KR20100139375 A KR 20100139375A KR 101223764 B1 KR101223764 B1 KR 10122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nformation
unit
ticket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7429A (ko
Inventor
송명희
홍기용
김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13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76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Abstract

승차권 개집표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복수개의 정보를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1 통로를 구성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제1 이웃 승차권개집표 장치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들을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승차권 개집표 장치{Apparatus for Collecting and Ticket}
본 발명은 승차권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지하철역 내에는 승객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승객이 직접 승차권을 개집표 장치에 마련된 승차권 판독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요금 미지불구역(Free Area)과 요금 지불구역(Paid Area)간을 통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정상적인 승차권 또는 정상적인 교통카드의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도어를 개방하여 해당 승객을 통과시키지만, 사용 불가능한 승차권, 정산이 불가능한 교통카드, 또는 구역을 초과한 승차권인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도어를 닫음으로써 승객의 출입을 차단한다.
이러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승객이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를 통한 승객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웃하는 2개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연동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연동시키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각 구성요소 별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서로 송수신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각 구성 요소 별로 제어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전선들이 각각 요구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제어 신호의 전송을 위해 복수개의 전선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설치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이설이나 증설이 어려우며, 많은 전선으로 인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고장 발생 시 정비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승차권 개집표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복수개의 정보를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제1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1 통로를 구성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제1 이웃 승차권개집표 장치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들을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승차권 개집표장치 간의 연동을 위한 복수개의 정보를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송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 송수신을 위한 전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설치 비용을 감소는 물론,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보다 원활하게 정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차권 개집표장치 간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전선 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이설이나 증설이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센서부의 배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방향 표시기를 통해 표시되는 다양한 표시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방향 표시기가 경고 표시를 표시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b에 도시된 전원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a는 도 2b에 도시된 제1 신호 합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제1 신호 합성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형도.
도 6a는 도 2b에 도시된 제1 신호 분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제1 신호 분리부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간에 송수신되는 신호의 파형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포함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발행 장치(10), 승차권 정산 장치(12), 승차권 개집표 장치(14), 역 단위 감시 장치(16), 및 중앙 전산 장치(18)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각 장치(10~8)들은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역무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들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장치들은 지하철 탑승을 위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차권 발행 장치(10)는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면, 지하철 탑승을 위한 승차권을 발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승차권 발행 장치(10)는 RF 카드형 승차권을 발행할 수 있고, 상기 RF 카드는 일회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카드와 일정 금액이 정립되는 선불형 카드를 포함한다.
한편, 승차권 발행 장치(10)는 상기 선불형 승차권을 발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만큼 승차권의 금액을 충전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할 금액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지정하고, 지정한 금액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 장치(10)는 RF 타입 승차권의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발행장치(10)의 상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행 또는 충전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디스플레이와, 승차권 발행 장치(10)의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승차권 발행장치(10)의 운영 요청 또는 유지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디스플레이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 승객뿐만 아니라 운영자의 편의성도 고려하여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 장치(1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16)나 중앙 전산 장치(18)에 의해 상기 운영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승차권 정산 장치(12)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에 의해 승차권의 집표시 발생된 운임이 해당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는 금액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정산이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승차권의 금액을 정산하거나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승차권 정산 장치(12)는 승차권에서 해당 승객의 승하차 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승객에 대한 운임을 결정하고,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이 결정된 운임보다 작은 경우 정산하여야 할 금액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한다. 이때, 일회용 승차권의 경우에는 필요한 금액을 정산하고 선불형 승차권의 경우 필요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시에는 승차권 정산 장치(12)로부터 제공된 금액 이상을 충전할 수도 있는데, 이때 충전할 금액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지정하고, 지정한 금액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승차권 정산 장치(12)는 RF 타입 승차권의 정산 및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정산 장치(12)의 상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정산 및 충전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디스플레이와,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가동되어 승차권 정산 장치(12)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정산 장치(12)의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승차권 정산 장치(12)의 제어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또한, 승차권 정산 장치(12)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16)나 중앙 전산 장치(18)에 의해 상기 운영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14)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측면에 부착된 플랩도어(미도시)를 개폐시켜 미지불 구역(Free Area)에서 지불구역(Paid Area)으로 또는 지불구역에서 미지불구역으로의 승객 통과를 제어한다.
이러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14)는 개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1 타입,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제2 타입, 집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3 타입, 개표 기능만을 수행하되 제1 타입에 설치된 플랩도어보다 길이가 긴 플랩도어가 설치되는 제4 타입, 집표 기능만을 수행하되 제3 타입에 설치된 플랩도어보다 길이가 긴 플랩도어가 설치되는 제5 타입, 상기 제3 타입과 상기 제4 타입을 결합하여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한 제6 타입,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기 제5 타입을 결합하여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한 제7 타입으로 구성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14)는 다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간에 하나 이상의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1 측에는 제4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5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거나,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5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는 제6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거나, 제1 측에는 제4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는 제7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조합하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차권 개집표 장치(14)를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역 단위 감시 장치는(16)는 상술한 각 장치(10~14)들의 동작을 통합 제어하고, 각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회계 및 통계 데이터들을 중앙 전산 장치(18)로 전송하며, 각 장치들의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각 장치(10~14)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역 단위 감시 장치(16)는 각 장치(10~14)들의 운영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상태에 따라 각 장치(10~14)의 동작 상태를 사용중 또는 사용 중지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결정한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장치(16)는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플랩 도어 운용 방식(상시 닫힘 모드 또는 상시 열림 모드)을 설정하고,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14)가 제2 타입인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통로 방향을 설정하거나,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검표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검표 기능이란, 개표 또는 집표 이후 규정된 시간 이내인지 여부 또는 개표 후 지불구역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규정된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타임체크(Time Check)기능 및 개표 또는 집표되지 않은 승차권에 대해서도 집표 또는 개표를 허용하는 스페이스 체크(Space Check)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장치(16)는 승차권 발행장치(10)의 승차권 발행 방식이나 충전 방식을 통제하고, 승차권 정산장치(12)의 승차권 정산 방식이나 충전 방식을 통제한다.
이외에도, 역 단위 감시 장치(16)는 각 장치(10~14)들의 전원 공급 상태나 각 장치(10~14)들과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16)간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운영자에게 제공한다.
중앙 전산 장치(18)는 각 역에 설치된 승차권 발행장치(10), 승차권 정산 장치(12), 승차권 개집표 장치(14), 및 역 단위 감시 장치(16)를 원격에서 통합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역사에 설치된 상술한 장치들(10~16)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자 단말기와, 각 역사에 설치된 상술한 장치들(10~16)의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용 단말기와, 상기 각 장치(10~14)나 역 단위 감시 장치(16)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자료들을 취합하여 통계 자료를 생성하거나 각 장치들의 상태 및 운영 자료 등을 종합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처리 장치(18)는 이중화 구조로 구현되어, 액티브 상태였던 어느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에 에러가 발행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다른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가 구동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 없이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18)는 각 장치(10~16)로부터 전송되는 회계, 통계, 및 고장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영 정보를 수신 및 집계하여 일일 보고서, 월간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각 장치(10~16)부터 수신되는 회계 자료를 이용하여 수입금을 결산하여 타 운영 기관과의 분배 수입금을 결정한다.
이러한 중앙 처리 장치(18)는, 자기 진단 기능을 이용하여 중앙 처리 장치(18)의 에러 발생 여부를 체크하고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 발생 사실 및 에러 발생 내용을 운영자에게 출력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외함 구성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외함은 후술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각 구성요소들이 내장되는 것으로서, 내부 접근은 측면에 부착된 도어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외함은 내부 구성 요소들의 유지보수와 내부 구성요소들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제작된다.
한편, 승차권 개집표 장치(14)의 외함은 견고하고 쉽게 부서지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부 고정부가 구비 되며, 설치와 운반이 편리한 구조로 제작된다. 이때 외함에 사용되는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되고, 표면은 Dull Finish 처리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배치하여 통로를 구성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a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 300, 400)의 외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b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 300, 40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는 승차권 판독부(210), 센서부(220), 한 쌍의 플랩도어(230a, 230b), 정보 표시부(240), 방향 표시기(250), 제어부(260), 전원 공급부(270), 히팅/쿨링 팬 유니트(280), 신호 합성부(285), 및 신호 분리부(290)를 포함한다.
또한,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제1 및 제2 승차권 판독부(310, 312), 제1 및 제2 센서부(320, 322), 한 쌍의 제1 플랩도어 및 제2 플랩도어(330a, 330b, 332a, 332b),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 제어부(360), 전원 공급부(370), 히팅/쿨링 팬 유니트(380), 제1 및 제2 신호 분리부(390, 396), 및 제1 및 제2 신호 합성부(392, 394)를 포함한다.
또한,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는 승차권 판독부(410), 센서부(420),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 정보 표시부(440), 방향 표시기(450), 전원 공급부(470), 히팅/쿨링 팬 유니트(480), 신호 합성부(485), 및 신호 분리부(490)를 포함한다.
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에 비해 개표 및 집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승차권 판독부, 센서부, 한 쌍의 플랩도어, 정보 표시부, 방향 표시기, 신호 분리부, 및 신호 합성부를 한 개 더 포함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고,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에 비해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차이점이 있으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모든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중심으로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승차권 판독부(310)는 승차권의 집표를 위한 것으로서, 승객에 의해 승차권이 접근되면 해당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여기서, 승차권 집표시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가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연동하여 동작하기 위하여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1 승차권 판독부(310)는 제1 신호 합성부(392)를 통해 승차권 정보를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또한, 제1 승차권 판독부(310)는 승차권으로부터 승차권 번호,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 승차권 개표 역에 대한 정보, 승차권의 개표 시간 등을 포함하는 승차권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 결과 승차권의 기본 운임이 일치하면 해당 승차권을 정상적으로 집표하고, 기본 운임이 초과된 것으로 판단되면 추가 운임을 차감한 후 해당 승차권을 집표한다.
제2 승차권 판독부(312)는 승차권의 개표를 위한 것으로서, 승객에 의해 승차권이 접근되면 해당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하여 제어부(36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승차권 판독부(312)는 승차권 개표시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에서 기본 운임을 차감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승차권 판독부(310) 및 제2 승차권 판독부(312)는 차감할 운임을 직접 판단할 수도 있고, 각 제어부(260, 360)로부터 제공받는 운임 정보를 기초로 운임을 차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및 제2 승차권 판독부(310, 312)는 승객이 승차권을 쉽게 접근 시킬 수 있도록 승차권 자동 개집표 장치(300)의 상단에 설치된다.
이외에도, 제1 및 제2 승차권 판독부(310, 312)는 승차권이 판독되면 승차권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거나,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갱신한다. 예컨대, 제1 승차권 판독부(310)는 승차권 집표시 승차권 집표역에 대한 정보, 집표 시간, 및 잔액 등을 승차권에 기록하고, 제2 승차권 판독부(312)는 승차권 개표시 승차권 개표역에 대한 정보, 개표시간, 잔액, 및 환승을 나타내는 플래그 등을 승차권에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승차권 판독부(310)가 승차권 집표 기능을 담당하고 제2 승차권 판독부(312)가 승차권 개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반대로 제1 승차권 판독부(310)가 승차권 개표 기능을 담당하고 제2 승차권 판독부(312)가 승차권 집표 기능을 담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센서부(320, 322)는 승객의 출입을 감지하거나 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위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제1 센서부(320)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1 측면에 배치되어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출입 또는 승객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결과를 제1 신호 합성부(392)를 통해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센서부(322)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2 측면에 배치되어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출입 또는 승객의 위치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36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센서부(320, 322)는 복수개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센서부(320, 322)는 12개의 센서들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부에 8개의 센서가 배치되고 하부에 4개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플랩도어(330a, 330b, 332a, 332b)는 2개의 플랩도어가 한 쌍을 이루어 동작하게 되는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1 측면에 장착된 2개의 제1 플랩도어(330a, 330b)가 한 쌍이 되어 동작하고,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2 측면에 장착된 2개의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한 쌍이 되어 동작한다.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는 승객이 미지불 구역에서 지불구역으로 통과하거나 지불구역에서 미지불구역으로 통과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된다. 제1 플랩도어(330a, 330b)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플랩도어(230a, 230b)와 연동된다. 따라서, 제1 플랩도어(330a, 330b)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에 의해 개폐되는데, 이때 제1 플랩도어(330a, 330b)에 대한 개폐 제어 정보는 제1 신호 분리부(390)를 통해 수신된다.
이와 같이, 제1 플랩도어(330a, 330b)도 상술한 제1 승차권 판독부(310) 및 제1 센서부(320)와 동일하게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가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연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1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제1 플랩도어(330a, 330b)는 개폐 상태 정보를 제1 신호 합성부(392)를 통해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로 전송한다.
또한, 제2 플랩도어(332a, 332b)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 사이의 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의 출입을 제어하기 위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장착되어 있는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와 연동된다. 이러한, 제2 플랩도어(332a, 332b)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어부(360)에 의해 개폐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는 모터 구동 방식에 의해 신속하게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의 구동 방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열림 상태)에서 통로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태(닫힘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로 방향으로 대략 70~75도 정도 회전한 후 정지함으로써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닫히게 된다. 이를 통해 승객들의 출입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측면으로부터 통로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측면 쪽으로 다시 회전함으로써 제1 플랩도어(330a, 330b) 및 제2 플랩도어(332a, 332b)가 열리게 된다. 이를 통해 승객들의 출입이 허용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는 승객의 승하차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모드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운영자 모드로 운영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는 평상시에는 사용자 모드로 운영되어 승객의 승하차 관련 정보가 표시되고,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운영자 모드로 전환되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가 사용자 모드로 운영되는 경우, 제1 정보 표시부(340)는 승객의 하차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제2 정보 표시부(342)는 승객의 승차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한다.
한편, 제1 정보 표시부(340)의 모드 변환은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의 연동을 위해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에서 결정되므로 제1 정보 표시부(340)의 모드 변환 정보는 제1 신호 분리부(390)를 통해 수신되고, 제2 정보 표시부(342)의 모드 변환은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어부(360)에서 결정된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제어부(260, 360)에 의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도어 열림이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에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부터 제어부(260, 360)로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는 사용자 모드로 운영되는 경우, 개표 또는 집표를 요청한 승객의 승차역, 승차 시간, 하차역, 하차 시간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승차권 판독 오류에 대한 정보, 승차권의 유효성 판단에 대한 결과 정보, 이미 개표된 승차권에 대한 정보, 집표시 사용시간을 초과한 승차권에 대한 정보, 개표시 잔액 부족에 대한 정보,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는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에러 내용 및 에러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해당 코드를 표시한다. 이외에도,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는 통계자료,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정비와 관련된 자료, 승차권 판독 또는 쓰기 에러 발생 횟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 관리자가 수동으로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를 이용해서 로그인을 통한 초기 화면 전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현재까지의 회계 및 통계 자료 요약 확인,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설치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버전 확인,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사용 중 또는 사용중지 등과 같은 제어 설정, 또는 운영 파라미터 확인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정보 표시부(340, 342)는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기본 숫자를 화면상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는 승객의 진입 가능 여부 또는 승객의 진입 방향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는 2개의 칼라 LED 표시 모듈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 표시기(350)를 통해 출력되는 표시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의 연동을 위해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제어부(260)에서 결정되므로 제1 방향 표시기(350)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 변경 정보는 제1 신호 분리부(390)를 통해 수신되고, 제2 방향 표시기(352)를 통해 출력되는 표시는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제어부(360)에서 결정된다.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는 제어부(260, 360)의 통로 사용 허가 신호에 응답하여 녹색 화살표를 표시하고,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는 제어부(260, 360)의 통로 사용 불가 신호에 응답하여 적색의 진입 금지를 표시한다.
한편,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는 할인 승차권 또는 무임 승차권이 사용되는 경우 황색의 바를 표시한다.
또한, 제1 및 제2 방향 표시기(350, 352)는 경고 상황이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적색의 "ⅹ"표시를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360)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포함된 제2 승차권 판독부(312), 제2 센서부(322), 제2 플랩도어(332a, 332b), 제2 정보 표시부(342), 제2 방향 표시기(352)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와의 연동을 위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승차권 판독부(410), 센서부(420),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 정보 표시부(440), 방향 표시기(45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역 단위감시 시스템(16)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3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변환부(60), 플랩도어 제어부(62), 유효성 판단부(64), 요금 정산부(66), 방향 표시기 제어부(68), 원격 제어부(70), 에러 확인부(72), 온도 조절부(76), 및 메모리(8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먼저, 모드 변환부(60)는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제2 정보 표시부(34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를 사용자 모드에서 운영자 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 변환 정보를 생성한다. 반면, 모드 변환부(60)는 특정 이벤트가 해소되면, 제2 정보 표시부(34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를 운영자 모드에서 사용자 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 변환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사용자 모드는 승객의 승하차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하고, 운영자 모드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유지보수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드라는 것은 이미 상술한 바 있다.
이때, 모드 변환부(60)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를 사용자 모드에서 운영자 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 변환 정보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를 운영자 모드에서 사용자 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 변환 정보를 제2 신호 합성부(394)를 통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로 전달한다.
이러한 모드 변환은 상기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에서의 원격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제2 정보 표시부(34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가 사용자 모드로 변환되면, 제2 정보 표시부(34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로 승객의 승하차 관련 정보, 승차권 판독 오류에 대한 정보, 승차권의 유효성 판단에 대한 결과 정보, 이미 개표된 승차권에 대한 정보, 집표시 사용시간을 초과한 승차권에 대한 정보, 개표시 잔액 부족에 대한 정보,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한다.
상기 특정 이벤트는 에러 확인부(72)에서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도어 열림 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으로부터의 원격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플랩도어 제어부(62)는 제2 승차권 판독부(312)에 의해 판독된 정보 및 제2 센서부(322)에서 센싱된 결과를 이용하여 상술한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의 개폐여부를 결정하여 개폐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즉, 플랩도어 제어부(62)는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연동 동작 수행을 위해 제2 플랩도어(332a, 332b)뿐만 아니라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플랩도어(430a, 430b)를 함께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플랩도어 제어부(62)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를 개폐시키기 위한 플랩도어 개폐 제어 신호를 제2 신호 합성부(394)를 통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플랩도어 제어부(62)는 유효하지 아니한 승차권이 인식되는 경우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플랩도어(430a 430b) 닫힘을 결정한다. 상기 유효하지 않은 승차권인지 여부는 상기 유효성 판단부(64)에서 판단하며, 유효하지 않은 승차권으로 판단되는 경우란 판독되지 않는 훼손된 승차권인 경우, 사용시간이 초과된 승차권인 경우, 불완전한 정보가 기록된 승차권인 경우, 사용 불가한 승차권으로 판단되는 경우 등을 포함한다. 또한, 플랩도어 제어부(62)는 승차권이 판독되지 않은 상태에서 승객 진입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반대방향의 승객 진입 정보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 중지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에러가 확인되는 경우에도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플랩도어(430a 430b) 닫힘을 결정한다.
상기 사용 중지 모드는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 있고,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에서 원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플랩도어 제어부(62)는 플랩도어 닫힘 원인이 해소되는 경우, 도어 열림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개방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비상 버튼의 작동, 정전 발생, 또는 화재 발생 등 비상상태가 확인되는 경우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플랩도어(430a 430b) 열림을 결정한다.
또한, 플랩도어 제어부(62)는 플랩도어의 모드를 상시 개방 모드 또는 상시 닫힘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시 개방 모드란 평상시에는 플랩도어를 열림 상태로 유지하다가 유효하지 아니한 승차권이 인식되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플랩도어를 닫는 경우를 의미하고, 상시 닫힘 모드란 평상시에는 플랩도어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다가 유효한 승차권이 인식되거나, 비상사태가 확인되는 경우 등이 발생하면 플랩도어를 여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플랩도어 제어부(62)는 플랩도어 모드 설정 정보를 제2 신호 합성부(394)를 통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한 쌍의 플랩도어(430a, 430b)로 전달한다.
이러한 플랩도어 제어부(62)의 플랩도어 모드 설정은 상기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에서의 원격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유효성 판단부(64)는 승차권 정보가 기록된 하나 이상의 리스트와 제2 승차권 판독부(312)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에 의해 판독된 승차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플랩도어 제어부(62), 모드 변환부(60), 및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유효성 판단부(64)는 사용 불가능한 승차권 정보가 기록된 블랙 리스트 및 사용 가능한 승차권 정보가 기록된 파지티브 리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유효성 판단부(64)는 블랙 리스트를 이용하여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할지 파지티브 리스트를 이용하여 승차권의 유효성을 판단할지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블랙 리스트 및 파지티브 리스트는 메모리(86)에 기록되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원격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한편, 유효성 판단부(64)는 제2 승차권 판독부(31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로부터 전송되는 승차권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승차권이 사용기간을 초과한 승차권인지, 사용시간(예컨대 3시간)을 초과한 승차권인지, 승차권에 기록된 정보가 불완전 것인지, 또는 해당 승차권이 사용 불가능한 승차권인지 여부도 추가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플랩도어 제어부(62), 모드 변환부(60), 및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로 제공한다.
또한, 유효성 판단부(64)는 메모리(8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위변조 또는 복조된 승차권의 유형을 이용하여 해당 승차권이 위조, 변조, 또는 복조된 승차권인지 여부도 판단하고, 그 결과를 플랩도어 제어부(62), 모드 변환부(60), 및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로 제공할 수 있다.
요금 정산부(66)는 적용 시점이 상이한 2개의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승객에 대한 운임을 결정하고, 결정된 운임 정보를 제2 승차권 판독부(31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로 제공함으로 제2 승차권 판독부(31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가 해당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에서 결정된 운임만큼의 금액을 차감하도록 한다. 이때, 상이한 2개의 운임 테이블은 메모리(86)에 저장된다.
이때, 2개의 운임 테이블은 현재 운임 테이블과 장래에 적용될 운임 테이블일 수 있으며, 요금 정산부(66)는 미리 설정된 적용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해당 시간에 적용될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해당 승객에 대한 운임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승차권의 정보 및 제2 센서부(32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센서부(420)에 의한 센싱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 변경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유효성 판단부(64)에 의해 승차권이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진입을 허가하는 녹색 화살표가 표시 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하고, 승차권이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진입을 불허하는 적색의 진입 금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한다.
또한,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유효성 판단부(64)에 의해 해당 승차권의 사용기간이 초과되거나, 승차권이 기록된 정보가 불완전하거나, 사용 불가인 승차권으로 판단된 경우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진입을 불허하는 적색의 진입 금지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진입을 허용하는 녹색의 화살표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한다.
또한,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제2 센서부(32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센서부(420) 및 제2 승차권 판독부(312)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로부터 승객의 무단 통과 시도 또는 1개의 승차권으로 2인 이상의 승객이 통과를 시도하는 것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적색의 'ⅹ'표시가 점등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한다.
또한,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제2 센서부(32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센서부(420)에 의해 제1 승차권 판독기(310)가 배치된 쪽에서의 승객 출입이 감지되면, 제2 방향 표시기(352)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통로 사용을 불허하는 적색의 진입 금지 표시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하고, 해당 승객의 통과가 완료되면 적색의 진입 금지 표시가 다시 진입 허용을 나타내는 녹색 화살표로 전환되도록 하는 표시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한다.
이외에도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에러 확인부(72)로부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에러 발생 사실 또는 도어 열림 사실이 전송되면, 제2 방향 표시기(352)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통로 사용을 불허하는 적색의 진입 금지 표시가 표시되도록 하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방향 표시기(35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방향 표시기(45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는 표시 변경 정보를 제2 신호 합성부(394)를 통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방향 표시기(45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원격 제어부(70)는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부터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요청을 해당 요청과 관련된 구성요소로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요청에는 제2 정보 표시부(342)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 변환 요청, 제2 정보 표시부(34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를 이용한 유지 보수 요청,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430a, 430b)의 개폐 요청, 및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온도 조절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원격 제어 요청이 제2 정보 표시부(342)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 변환 요청이나 제2 정보 표시부(34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를 이용한 유지 보수 요청인 경우, 원격 제어부(70)는 해당 요청을 모드 변환부(60)로 제공함으로써 모드 변환부(60)가 제2 정보 표시부(34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를 운영자 모드로 변환시킨다. 이를 통해,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가 제2 정보 표시부(342)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를 이용하여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를 유지 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이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430a, 430b)의 개폐 요청인 경우, 원격 제어부(70)는 해당 요청을 플랩도어 제어부(62)로 제공함으로써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가 제2 플랩도어(332a, 332b)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430a, 430b)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온도 조절 요청인 경우, 원격 제어부(70)는 해당 요청을 온도 조절부(76)로 제공함으로써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부(70)는,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에 의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소프트웨어적인 에러 발생이 감지되는 경우, 이를 치유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한편,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에 의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의해 하드웨어적인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하드웨어적인 에러 발생 사실을 제2 정보 표시부(342),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정보 표시부(440), 또는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통해 운영자에게 전달되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부(70)는 에러 확인부(72)로부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도어 열림이나 에러 발생 사실이 전송되면, 에러 발생 내용을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원격 제어부(70)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제어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부터 직접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거나, 제2 승차권 판독부(312)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 유효성 판단부(64), 요금 정산부(66), 에러 확인부(72)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고장정보 등을 수집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 전송하거나,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부터 비상 버튼의 작동, 정전 발생, 또는 화재 발생 신호를 수신 한다.
이때, 통계정보에는 승차권 종별 개표 인원수, 승차권 종별 집표 인원수, 승차역별 승차권 종별 집표 인원수, 거부된 승차권의 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부(70)는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로부터 블랙 리스트, 파지티브 리스트, 및 위변조 또는 복조된 승차권의 유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86)에 저장한다.
에러 확인부(72)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에러 발생을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가 발생된 구성요소와 발생된 에러 내용을 모드 변환부(60), 플랩도어 제어부(62), 방향 표시기 제어부(68), 원격 제어부(70)로 전송한다. 이때, 에러 확인부(72)는 발생된 에러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한 후 코드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승차권 판독부(312), 제2 정보 표시부(342), 히팅/쿨링 팬 유니트(38), 또는 플랩도어(332a, 332b) 등에 대한 하드웨어적 에러, 모드 변환부(60), 유효성 판독부(64), 요금 정산부(66), 또는 온도 조절부(76) 등의 소프트웨어적 에러를 검출하고, 유형별로 분류, 그리고, 코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러 확인부(72)는 제2 승차권 판독부(312)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승차권 판독부(312)의 에러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에러 코드를 모드 변환부(60)로 전송함으로써 모드 변환부(60)가 제2 정보 표시부(342)의 모드를 운영자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에러 발생 사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72)는 에러 코드를 원격 제어부(70)로 전송함으로써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가 에러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에러 코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격으로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는 에러 발생을 운영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영자가 수동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승차권 판독부(312)에 에러가 발행한 경우, 승차권의 인식 및 요금 징수 등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에러 확인부(72)는 제2 승차권 판독부(312)에 에러가 발생된 경우, 에러 코드를 플랩 도어 제어부(62)로도 전송함으로써 플랩도어 제어부(62)가 플랩도어를 닫게 하여 승객의 출입이 통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로도 해당 에러 코드를 전송함으로써 방향 표시기 제어부(68)가 방향 표시기(352)에 진입 금지 표시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온도 조절부(76)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조절부(76)의 에러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에러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에러 코드를 모드 변환부(60)로 전송함으로써 모드 변환부(60)가 제2 정보 표시부(342)의 모드를 운영자 모드로 전환하여 에러 발생 사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72)는 에러 코드를 원격 제어부(70)로 전송함으로써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가 에러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에러 코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온도 조절을 위한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한다. 한편, 원격으로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는 에러 발생을 운영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영자가 수동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도 조절부(76)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승객의 통행을 제안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플랩도어 제어부(62)나 방향 표시기 제어부(68)로 에러 코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에도, 에러 확인부(72)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외부 도어 열림이 감지되면 이를 모드 변환부(60), 플랩도어 제어부(62), 방향 표시기 제어부(68), 및 원격 제어부(70)로 전송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72)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사용 중지 모드 및 사용 중 모드의 변환을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사용 중지 모드로 설정하고, 에러가 해소되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사용 중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에러 확인부(72)의 모드 변환은 상기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에서의 원격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 조절부(76)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히팅/쿨링 팬 유니트(380) 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히팅/쿨링 팬 유니트(480)를 제어하여,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및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특히 온도 조절부(76)는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의 내부 온도가 더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히팅 팬 유니트(380, 480)를 가동시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의 내부 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감지되면 쿨링 팬 유니트(380, 480)를 가동시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한편, 이러한 온도 조절부(76)는 원격 제어부(70)로부터 제공되는 원격 제어 요청에 따라 역 단위 감시 장치(16) 또는 중앙 전산 장치(18)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나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370)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370)를 도 4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37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370)는 RCCB 유니트(78), 주전원장치(80), 퓨즈판넬(82), 및 백업 배터리(84)를 포함한다.
먼저, RCCB 유니트(78)는 외부의 AC 입력을 주전원 장치(80)에 공급하고,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전류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주전원 장치(80)는 RCCB 유니트(78)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압을 안정된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후술할 퓨즈 판넬(82)을 통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제공한다.
퓨즈 판넬(82)은 주전원 장치(80)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 받아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내에서 DC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퓨즈가 부착된 보드로서, 과도한 용량의 전류가 인입될 경우 퓨즈에 의해 차단된다.
백업 배터리(84)는 1개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주전원 차단시 직류 전압을 공급하여 승차권 개집표 장치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히팅/쿨링 팬 유니트(380)는 제어부(360)의 제어 하에 가동되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4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다음으로, 제1 신호 합성부(392)는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연동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 정보를 각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하여 직렬적으로 합성함으로써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분리부(29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1 신호 합성부(392)는 제1 승차권 판독부(310)로부터 제1 승차권 판독부(310)에 의해 판독된 승차권 정보를 수신하고, 제1 센서부(320)로부터 제1 센서부(320)에 의해 센싱된 결과 정보를 수신하며, 제1 플랩도어(330a, 330b)로부터 제1 플랩도어(330a, 330b) 각각의 개폐 상태 정보, 또는 음성 출력 장치(미도시)로부터 음성 출력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제1 신호 합성부(392)는, 수신된 각 정보들을 직렬적으로 합성함으로써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분리부(29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 합성부(392)는 생성된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저전압 차분 시그널링(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방식을 통해서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분리부(29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1 신호 합성부(392)는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서로 다른 2개의 저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신호 합성부(392)가 통합 상태 정보를 LVDS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은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제1 신호 합성부(392)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 합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 합성부(392)는, 클럭 발생기(810), 타이밍 제어부(820), 입력 래치(830), 직렬화부(840), 및 LVDS 송신 모듈(850)을 포함한다.
먼저, 클럭 발생기(81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클럭을 발생시켜 타이밍 제어부(82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럭 발생기(810)는 제1 신호 합성부(392)로부터 출력되는 제1 통합 상태 정보가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분리부(290)를 통해 복수개의 상태 정보들로 출력될 때까지의 지연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럭 발생 주파수를 제1 통합 상태 정보의 전체 비트 수의 역수의 2배 이상이 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통합 상태 정보의 전체 비트 수란 전송 대상이 되는 각 상태 정보들의 비트수의 합과 타이밍 제어부(820)에 의해 생성되는 동기신호의 비트수의 합으로 정의된다.
다음으로, 타이밍 제어부(820)는 클럭 발생기(810)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입력 래치(830)의 동작 개시를 입력 래치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래치(820)로 제공하고, 제1 신호 합성부(392)와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에 포함된 신호 분리부(290)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동기 신호를 생성하여 직렬화부(84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밍 제어부(820)는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분리부(290)에서의 검출을 위해, 동기 신호의 비트수가 송신 대상이 되는 각 정보들의 전제 비트수의 배수(예컨대 2배)가 되도록 동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때 동기 신호의 마지막 비트(동기 구분 비트)의 비트 값은 이전 비트들의 비트 값과 반대되는 값을 가지도록 생성된다. 예컨대, 이전 비트들의 값이 하이인 경우 동기 구분 비트의 값은 로우가 되도록 생성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입력 래치(820)는, 타이밍 제어부(820)로부터 입력 래치 신호가 수신되면, 입력 래치 신호가 하이(High)인 구간 동안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구성요소들 중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연동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 정보(예컨대, 제1 승차권 판독부(310)에 의해 판독된 승차권 정보, 제1 센서부(320)에 의해 센싱된 결과 정보, 제1 플랩도어(330a, 330b) 각각의 개폐 상태 정보, 또는 음성 출력 정보)를 수신하여 직렬화부(83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신호 합성부(392)가 입력 래치(820)를 포함하는 이유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 정보가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분리부(290)로 전송되는 과정 중에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직렬화부(830)는 타이밍 제어부(810)로부터 동기신호가 수신되면, 동기 신호에 입력 래치(820)로부터 수신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정보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직렬적으로 부가함으로써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제1 신호 합성부(392)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 간의 송수신되는 정보들의 파형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다음으로, LVDS 송신 모듈(840)은 직렬화부(830)로부터 출력되는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고속으로 송신하기 위해,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서로 다른 2개의 저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신호 분리부(390)는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와 제2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의 연동을 위해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합성부(280)로부터 복수개의 제어 정보들이 직렬적으로 통합된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각 제어 정보가 전송되어야 할 각 구성요소 별로 분리하여 해당 구성요소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통합 제어 정보에는 제1 플랩도어(330a, 330b)의 개폐 제어 정보 또는 제1 플랩도어(330a, 330b)의 모드 설정 정보, 제1 정보 표시부(340)의 모드 변환 정보 또는 표시 정보, 제1 방향 표시기(350)의 표시 변경 정보들이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신호 분리부(390)는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제1 플랩도어(330a, 330b)의 개폐 제어 정보 또는 제1 플랩도어(330a, 330b)의 모드 설정 정보를 분리하여 제1 플랩도어(330a, 330b)로 제공하고,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제1 정보 표시부(340)의 모드 변환 정보 또는 표시 정보를 분리하여 제1 정보 표시부(340)로 제공하며,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제1 방향 표시기(350)의 표시 변경 정보를 분리하여 제1 방향 표시기(35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신호 분리부(390)는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합성부(280)로부터 전송되는 제1 통합 제어 정보가 LVDS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수신된 서로 다른 2개의 전압 신호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 및 6b를 참조하여 제1 신호 분리부(39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호 분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분리부(390)는, LVDS 수신 모듈(900), 동기신호 검출부(910), 타이밍 제어부(920), 클럭 발생기(930), 병렬화부(940), 및 출력 래치(950)를 포함한다.
먼저, LVDS 수신 모듈(900)은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의 신호 합성부(280)로부터 전송되는 2개의 전압 신호의 전압 차이값을 이용하여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병렬화부(940)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동기신호 검출부(910)는 LVDS 수신 모듈(900)로부터 획득된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동기신호를 검출하고,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타이밍 제어부(92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신호 검출부(910)는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정상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면 타이밍 제어부(920)로 수신 가능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정상적인 동기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타이밍 제어부(920)로 수신 불능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동기 신호 검출부(910)는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소정 개수(예컨대, 전송 대상이 되는 제어 정보들의 전체 비트수)의 비트로 구성된 하나의 비트열의 값이 하이 또는 로우이고 해당 비트열 이후의 1비트가 해당 비트열과 반대되는 값인 신호 구간이 검출되면 정상적인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기 신호 검출부(910)는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의 비트수가 동기 신호의 비트수(동기 구분 비트 포함)와 송신 대상이 되는 각 제어 정보들의 전제 비트수의 합과 동일한 비트수가 되도록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타이밍 제어부(920)는 동기 신호 검출부(910)로부터 수신 가능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가 전송되면, 클럭 발생부(930)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출력 가능 신호를 생성하여 병렬화부(940)로 제공하고 출력 래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래치(950)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클럭 발생기(93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클럭을 발생시켜 타이밍 제어부(92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럭 발생기(930)의 클럭 발생 주파수는 제1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200)에 포함된 신호 합성부(285)의 클럭 발생 주파수와 동일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병렬화부(940)는 LVDS 수신 모듈(9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복수개의 제어 정보들을 분리해내고, 타이밍 제어부(920)로부터 출력 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개로 분리된 제어 정보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출력 래치(950)로 출력한다.
예컨대, 병렬화부(940)는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제1 플랩도어(330a, 330b)의 개폐 제어 정보, 제1 플랩도어(330a, 330b)의 모드 설정 정보, 또는 제1 방향 표시기(350)의 표시 변경 정보 등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출력 래치(950)는 타이밍 제어부(920)로부터 출력 래치 신호가 수신되면, 출력 래치 신호가 하이인 구간 동안 병렬화부(940)로부터 제공되는 복수개의 제어 정보들을 해당 구성요소들에게 출력한다.
이때 제1 신호 분리부(39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 간에 송수신되는 정보들의 파형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신호 합성부(392) 및 제1 신호 분리부(390)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1 신호 합성부(392) 및 제1 신호 분리부(390)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1 신호 합성부(392) 및 제1 신호 분리부(390)는 하나의 타이밍 제어부와 하나의 클럭 발생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b를 참조하면, 제2 신호 합성부는(394)는,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와의 연동을 위해 제어부(36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개의 제어 정보를 직렬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신호 분리부(49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2 신호 합성부(394)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플랩도어(430a, 430b)의 개폐 제어 정보 또는 플랩도어(430a, 430b)의 모드 설정 정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정보 표시부(440)의 모드 변환 정보 또는 표시 정보,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방향 표시기(450)의 표시 변경 정보를 제어부(36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각 정보들을 직렬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생성한 후, 생성된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신호 분리부(490)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신호 합성부(394)는, 생성된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LVDS 방식으로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에 포함된 신호 분리부(49)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신호 합성부(394)는 각각의 제어 정보를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통합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제1 신호 합성부(392)는 각각의 상태 정보를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는 것의 차이만 존재할 뿐, 제2 신호 합성부(394)의 구성은 제2 신호 분리부(394)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2 신호 분리부(396)는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구성요소들 중 제2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와 연동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태 정보들이 직렬적으로 통합된 제2 통합 상태 정보를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신호 합성부(485)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제2 통합 상태 정보를 다시 각 구성요소 별 상태 정보로 분리하여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제2 통합 상태 정보에는,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에 의해 판독된 승차권 정보,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센서부(420)에 의해 센싱된 결과 정보,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플랩도어(430a, 430b) 각각의 개폐 상태 정보가 통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신호 분리부(396)는, 제2 통합 상태 정보를 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승차권 판독부(410)에 의해 판독된 승차권 정보,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센서부(420)에 의해 센싱된 결과 정보,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플랩도어(430a, 430b) 각각의 개폐 상태 정보로 각각 분리하여 제어부(36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신호 분리부(396)는 제3 타입 승차권 개집표 장치(400)의 신호 합성부(480)로부터 전송되는 통합 제어 정보가 LVDS 방식으로 전송되는 경우, 수신된 서로 다른 2개의 전압 신호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통합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신호 분리부(396)는 통합 상태 정보로부터 복수개의 상태 정보를 분리해고, 제1 신호 분리부(390)는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복수개의 제어 정보를 분리해낸다는 것의 차이만 존재할 뿐, 제2 신호 분리부(396)의 구성은 제1 신호 분리부(39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신호 합성부(394) 및 제2 신호 분리부(396)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2 신호 합성부(394) 및 제2 신호 분리부(396)는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2 신호 합성부(394) 및 제2 신호 분리부(396)는 하나의 타이밍 제어부와 하나의 클럭 발생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승차권 판독 결과나 각종 알람 등을 음향으로써 승객에게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승차권 발행장치 12: 승차권 정산장치
14: 승차권 개집표 장치 16: 역 단위 감시 장치
18: 중앙 전산 장치

Claims (15)

  1. 제1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1 통로를 구성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제1 이웃 승차권개집표 장치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들을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신호 합성부; 및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들이 직렬적으로 통합된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제어 정보를 분리하여 해당하는 제1 구성요소로 제공하는 제1 신호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합성부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입력 래치 신호 및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상기 입력 래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입력 래치 신호가 하이(High)인 구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로부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상태 정보들을 수신하는 입력 래치;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상기 동기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동기 신호에 상기 입력 래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직렬적으로 부가함으로써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직렬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의 비트수가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상태 정보들의 모든 비트수의 배수가 되도록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부는, 상기 동기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들 중 마지막 비트인 동기 구분 비트의 값이 상기 동기 구분 비트를 제외한 비트들의 값과 반대되는 값을 가지도록 상기 동기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발생기는 상기 주파수를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구성하는 전체 비트 수의 역수의 2배 이상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합성부는,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서로 다른 2개의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 전송하는 LVDS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는,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일 측면에 설치된 1쌍의 플랩도어 각각의 개폐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분리부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클럭을 발생시키는 클럭 발생기;
    상기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동기 신호의 검출 상태에 따라 상기 제1 통합 제어 정보의 수신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동기신호 검출부;
    상기 동기 신호 검출부로부터 상기 제1 통합 제어정보의 수신 가능을 나타내는 동기 신호 검출 상태 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클럭 발생기로부터 공급되는 클럭에 따라 상기 제1 통합 제어 정보의 출력 가능 신호 및 출력 래치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 제어부;
    상기 제1 통합 제어 정보로부터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제어 정보들로 분리하고,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상기 출력 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제어 정보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출력하는 병렬화부; 및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상기 출력 래치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출력 래치 신호가 하이(High)인 구간 동안 상기 병렬화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구성요소 각각의 제어 정보들을 해당하는 제1 구성요소들에게 출력하는 출력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 분리부는,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부터 2개의 전압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2개의 전압 신호의 전압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통합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LVDS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통로의 진입 가능 여부 및 진입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기의 표시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 변경 정보,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일 측면에 설치된 1쌍의 플랩도어를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제어 정보, 상기 플랩도어의 모드 설정 정보, 및 승차권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모드와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정보 표시부의 모드를 변환시키기 위한 모드 변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는,
    상기 제1 통로의 진입 가능 여부 및 진입 방향을 표시하는 방향 표시기;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일 측면에 설치된 1쌍의 플랩도어;
    승차권 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승차권 정보를 갱신하여 상기 승차권에 기록하는 승차권 판독부;
    승차권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모드와 유지보수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정보 표시부; 및
    상기 제1 통로를 통과하는 승객을 감지하는 센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13. 제1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1 통로를 구성하고, 제2 방향으로 대면하는 제2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2 통로를 구성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상기 제1 이웃 승차권개집표 장치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1 구성요소의 상태 정보들을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통합 상태 정보를 상기 제1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 전송하는 제1 신호 합성부; 및
    상기 제2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상기 승차권개집표 장치와 연동되는 복수개의 제2 구성요소의 제어 정보들을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직렬적으로 통합하여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통합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 전송하는 제2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제2 구성요소의 제어 정보들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는,
    상기 제2 이웃 승차권 개집표 장치로부터 상기 제2 구성요소 각각의 상태 정보들이 직렬적으로 통합된 제2 통합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통합 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제2 구성요소 각각의 상태 정보를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분리하는 제2 신호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KR1020100139375A 2010-12-30 2010-12-30 승차권 개집표 장치 KR10122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375A KR101223764B1 (ko) 2010-12-30 2010-12-30 승차권 개집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375A KR101223764B1 (ko) 2010-12-30 2010-12-30 승차권 개집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429A KR20120077429A (ko) 2012-07-10
KR101223764B1 true KR101223764B1 (ko) 2013-01-17

Family

ID=46710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375A KR101223764B1 (ko) 2010-12-30 2010-12-30 승차권 개집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7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376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자동 집/개표기
KR20010085592A (ko) * 2000-02-29 2001-09-07 니시무로 타이죠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KR20070037136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역사 게이트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8376A (ko) * 1997-12-30 1999-07-15 윤종용 자동 집/개표기
KR20010085592A (ko) * 2000-02-29 2001-09-07 니시무로 타이죠 자동개찰장치 및 방법
KR20070037136A (ko) * 2005-09-30 2007-04-04 주식회사 한국스마트카드 역사 게이트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429A (ko) 2012-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30555B1 (en) Remote, central monitoring system for game machines
CN103150839B (zh) 一种纸币输送通道、可配备多钞箱的自助终端以及医疗自助缴费找零服务终端
CN1971637B (zh) 纸张类处理装置
CN101065310B (zh) 电梯控制装置
US2002006303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rop safe
KR101161838B1 (ko) 자동요금징수시스템의 오류 모니터링 시스템
AU2004275415A1 (en) Mass transit bus fare box
CN110346842A (zh) 自助安检系统及控制方法
JP2016212655A (ja) バッテリ提供装置及びこれを含む駐車場システム
KR101223764B1 (ko) 승차권 개집표 장치
KR101256294B1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CN202120330U (zh) 自动检票机
KR101130417B1 (ko) 승차권 개집표 장치
KR101276517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KR101114596B1 (ko) 역무 자동화 시스템
US8480483B2 (en) Device for monitoring a validator
KR101114692B1 (ko) 승차권 발행 장치
JP4266127B2 (ja) Icカード処理装置
CN106815947A (zh) 自助设备、维护终端及自助设备维护方法
CN208460121U (zh) 快递柜收费装置
JP5459687B2 (ja) 自動改札装置
JP3556889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2017021567A (ja) 保守管理システム
KR101114706B1 (ko) 승차권 정산 장치
JP4797443B2 (ja) 駅務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