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596B1 - 역무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역무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596B1
KR101114596B1 KR1020090126298A KR20090126298A KR101114596B1 KR 101114596 B1 KR101114596 B1 KR 101114596B1 KR 1020090126298 A KR1020090126298 A KR 1020090126298A KR 20090126298 A KR20090126298 A KR 20090126298A KR 101114596 B1 KR101114596 B1 KR 101114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unit
remote control
st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532A (ko
Inventor
오승윤
김주열
유현수
전경표
이승희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9012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69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07B15/04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comprising devices to free a barrier, turnstile,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1/00Apparatus for validating or cancelling issued ticke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각 역사 단위로 설치되어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들의 에러 발생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에러를 처리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RF 타입의 승차권을 정산하거나 충전하는 승차권 정산 장치, 및 RF 타입의 승차권을 개표 및 집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역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역 단위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차권, 원격, 제어, 감시

Description

역무 자동화 시스템{System for Automating Affairs of Station}
본 발명은 역무 자동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역무 자동화를 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처리해야 하는 지하철에는 승차권의 발행, 개표, 집표, 및 정산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을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에는 승차권을 자동으로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승차권의 금액을 정산하는 승차권 정산장치, 및 승차권 개집표를 통해 승객의 통행을 제어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같은 역무 처리 장치가 포함된다.
특히, 최근에는 종래의 종이 재질로 된 승차권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새로운 RF 타입의 일회용 승차권 또는 충전을 통해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RF 타입의 선불형 승차권 사용이 요구됨에 따라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할 수 있는 승차권 발행장치, RF 타입의 승차권 금액을 정산할 수 있는 승차권 정산장치, 및 RF 타입의 승차권을 개집표 할 수 있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가 개발예정에 있다.
한편, 이러한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 및 처리하기 위한 상술한 각 장치들 의 개발에 따라 상술한 각 장치들을 원격에서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각 역사에 설치되는 역무 처리 장치에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에러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자가 직접 에러를 확인한 후 에러를 수동으로 처리해야 하는데. 이러한 경우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가 에러를 확인할 때까지 각 역무 처리 장치들은 에러가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각 역무 처리 장치들을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이 요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역사 단위로 설치되어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들의 에러 발생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에러를 처리할 수 있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나 역 단위 감시 장치의 에러 발생을 원격에서 모니터링하여 원격에서 처리할 수 있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RF 타입의 승차권을 정산하거나 충전하는 승차권 정산 장치, 및 RF 타입의 승차권을 개표 및 집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역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역 단위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승차권 발행장치, 승차권 정산 장치, 및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 적어도 하 나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 단위 감시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영 정보나 상기 운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보고서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의 에러를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고, 원격에서 에러 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운영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각 역무 처리 장치가 에러가 발생된 채로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역무 처리 장치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편의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나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보고서를 생성할 수 있어 각 역사 및 각 역사에 배치된 역무 처리 장치에 대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각 역사 별로 배치된 역무 처리 장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무 자동화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무 자동화 시스템(10)은 승차권 발행장치(100), 승차권 정산장치(200), 및 승차권 개집표장치(300)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 역 단위 감시 장치(400), 및 중앙 전산 장치(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역무 처리 장치(100~300)와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각 역사 별로 설치된다.
각 역사 내에서 상술한 승차권 발행장치(100), 승차권 정산장치(200), 승차권 개집표장치(300), 및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각각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장치들은 지하철 탑승을 위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승객으로부터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면, 해당 승객에게 지하철 탑승을 위한 승차권을 발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RF 카드형 승차권을 발행할 수 있고, 상기 RF 카드는 일회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카드와 일정 금액이 정립되는 선불형 카드를 포함한다.
한편,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상기 선불형 승차권을 발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만큼 승차권의 금액을 충전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할 금액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지정하고, 지정한 금액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RF 타입 승차권의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행 또는 충전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디스플레이와,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운영 요청 또는 유지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 승객뿐만 아니라 운영자의 편의성도 고려하여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400)나 중앙 전산 장치(500)에 의해 상기 운영자 조작부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조작부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의해 승차권의 집표시 발생된 운임이 해당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는 금액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정산이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승차권의 금액을 정산하거나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승차권에서 해당 승객의 승하차 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승객에 대한 운임을 결정하고,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이 결정된 운임보다 작은 경우 정산하여야 할 금액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한다. 이때, 일회용 승차권의 경우에는 필요한 금액을 정산하고 선불형 승차권의 경우 필 요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시에는 승차권 정산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정산 금액 이상을 충전할 수도 있는데, 이때 충전할 금액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금액을 지정하고, 지정한 금액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RF 타입 승차권의 정산 및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정산 장치(12)의 상태 정보, 및 승객의 승하차 역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정산 및 충전 요청을 입력 받는 사용자 디스플레이와,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가동되어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제어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400)나 중앙 전산 장치(500)에 의해 상기 운영자 조작부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조작부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플랩도어를 개폐시켜 미지불 구역(Free Area)에서 지불구역(Paid Area)으로 또는 지불구역에서 미지불구역으로의 승객 통과를 제 어한다.
이러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개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1 타입,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제2 타입, 집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3 타입, 개표 기능만을 수행하되 제1 타입에 설치된 플랩도어보다 길이가 긴 플랩도어가 설치되는 제4 타입, 집표 기능만을 수행하되 제3 타입에 설치된 플랩도어보다 길이가 긴 플랩도어가 설치되는 제5 타입, 상기 제3 타입과 상기 제4 타입을 결합하여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한 제6 타입,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기 제5 타입을 결합하여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한 제7 타입으로 구성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2개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간에 하나 이상의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1 측에는 제4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5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거나,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5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는 제6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거나, 제1 측에는 제4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는 제7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조합하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하나의 정보 표시부를 승객의 승하차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모드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유지 보수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운영자 모드로 운영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400)나 중앙 전산 장치(500)에 의해 상기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상술한 승차권 발행장치(100), 승차권 정산장치(200), 및 승차권 개집표장치(300)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통합 제어하고, 각 역무 처리 장치들(100~300)로부터 전송되는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를 취합하여 출력하거나 중앙 전산 장치(18)로 전송하며, 각 역무 처리 장 치들(100~300)의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각 역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들의 에러내용 또는 에러 내용에 상응하는 에러코드를 수신하여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중 또는 사용 중지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플랩 도어 운용 방식(상시 닫힘 모드 또는 상시 열림 모드)을 설정하고,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가 제2 타입인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통로 방향을 설정하거나,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검표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승차권 발행 방식이나 충전 방식을 통제하고, 승차권 정산장치(200)의 승차권 정산 방식이나 충전 방식을 통제한다.
이외에도,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들의 전원 공급 상태나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들과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400)간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운영자 또는 중앙 전산 장치(500)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중앙 전산 장치(500)는 각 역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 및 역 단위 감시 장치(400)를 원격에서 통합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도시하지는 않 았지만, 상기 역무 처리 장치(100~300) 및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통계 및 회계 자료들을 취합하여 보고서를 생성하거나 각 장치들의 상태를 통합 제어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 없이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전송되는 회계, 통계, 및 에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영 정보를 수신 및 집계하여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월간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수입금을 결산하여 타 운영 기관과의 분배 수입금을 결정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자기 진단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 발생 사실 및 에러 발생 내용을 운영자에게 출력한다.
중앙 전산 장치(500)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역 단위 감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단위 감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역 단위 감시 장치(400)는 보고서 생성부(410), 원격 제어부(420), 전원 공급부(430), 인터컴 유니트(440), 및 데이터 백업부(450)를 포함한다.
보고서 생성부(410)는 원격 제어부(420)로부터 제공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보고서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고서 생성부(410)는 상술한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실시간 보고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간 보고서에는, 에러 발생 및 복구 완료 사항, 승차권 발행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에 포함된 지폐 수집함의 장탈 또는 회수 사항, 승차권 발행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에 포함된 동전 수집함의 장탈 또는 회수 사항, 각 장치의 시작 또는 종료 상황, 및 승차권 발행장치(100)/승차권 정산장치(200)/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정전으로 인한 초기화시 각 장치에 대한 정전 직전까지 발생된 모든 회계 및 통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일 보고서에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입구 및 출구 통행량, 에러 통계, 승차권 발행량 및 금액, 승차권 정산 및 충전량과 금액, 일별 이용현황, 일별 기기 운용현황, 및 기타 거래 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주간 보고서는 상술한 일일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 단위로 생성되고, 월간 보고서는 상술한 일일 보고서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월 단 위로 생성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410)는 상술한 실시간 보고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를 출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거나, 원격 제어부(420)로 전송한다. 이때, 출력장치는 보고서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보고서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 보고서를 인쇄하는 프린터일 수 있다.
원격 제어부(420)는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으로서,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전송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부(420)는 정보 송수신부(422), 에러 확인부(424), 및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를 포함한다.
먼저, 정보 송수신부(422)는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보고서 생성부(410) 또는 중앙 전산 장치(500)으로 전송한다.
정보 송수신부(422)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함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부(422)는 역사에 설치된 각각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통해 해당 역사에 설치된 모든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를 한번에 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부(422)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는 통계정보에는, 승차권 종류별 처리 총 매수에 대한 정보, 블랙 리스트 검출 상황에 대한 정보, 부정행위 감지 또는 승차권 처리 거부에 대한 정보, 승차권 종별 개표 인원수, 승차권 종별 집표 인원수, 승차역별 승차권 종별 집표 인원수, 거부된 승차권의 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송수신부(422)가 승차권 발행 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통계정보에는, 발행된 승차권의 개수, 폐기 처리된 승차권의 개수, 승차권 충전 횟수, 승차권 정산 횟수, 승차권 처리 오류 횟수, 승차권 걸림 횟수, 기타 통계 관련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송수신부(422)가 승차권 발행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로부터 수신하는 회계정보에는, 획득된 종류별 동전의 개수, 획득된 종류별 지폐의 개수, 승차권 총 발행 금액, 승차권 총 충전 금액, 승차권 발행 장치 내에 보관된 금액, 미 반환된 또는 미처리된 금액, 현금 영수증 발급에 관련된 정보, 및 기타 회계 관련 데이터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송수신부(422)가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수신하는 에러 정보는 각 에러 내용 별로 분류된 에러 코드일 수 있는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이러한 에러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에러 정보를 상기 에러 확인부(424)로 전송하거나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정보 송수신부(422)는 상기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에 의해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을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정보 송수신부(422)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운영을 위한 정보를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보 송수신부(422)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 승차권 카드의 운영 변수를 포함하는 정보, 블랙 리스트 정보, 파지티브 리스트 정보, 운임 테이블 정보, 운임 구조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고, 승차권 발행 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로 승차권의 발행, 정산, 또는 충전에 따른 운영 변수를 포함하는 정보, 운임 테이블 정보, 운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운영을 위한 상기 정보들은 중앙 전산 장치(500)으로부터 수신된 것일 수 있으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운영을 위한 정보에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운영에 관련되는 소프트웨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정보 송수신부(422)는 에러 확인부(424)에 의해 확인되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에러 내용을 분류하여 코드화한 에러 정보를 중앙 전산 장치(500)으로 전송하고, 보고서 생성부(41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보고서, 일일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를 중앙 전산 장치(500)으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에러 확인부(424)는 정보 송수신부(422)로부터 제공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에러 코드에 상응하는 에러 내용을 확인하여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로 전송하거나, 자기 진단 기능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에러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 내용을 코드화하여 정보 송수신부(422) 또는 데이터 백업부(440)로 제공하거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424)는 주기적으로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로 제공한다. 예컨대,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와 역 단위 감시 장치(400)간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전원 공급 상태 또는 통신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로 전송하거나 운영자에게 통지한다.
이외에도, 에러 확인부(424)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상술한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상술한 에러 확인부(424)로부터 에러 내용이 전송되면 해당 에러 내용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에러 내용이 전송되지 않더라도 운영자의 요청에 의해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에 의해 생성되는 원격 제어 요청에는, 승차권 발행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운영자 조작부 제어 요청,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정보 표시부 모드 전환 요청, 각 역무 처리 장치의 유지 보수 요청, 각 역무 처리 장치의 사용 모드 전환 요청,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플랩도어 제어 요청,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방향 표시기 제어 요청,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통로 방향 설정 요청,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검표기능 제어 요청 이나,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기본정보 설정 요청 등을 포함한다. 이하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에 의해 생성되는 원격 제어 요청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에러 확인부(424)로부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에러 발생 내용이 전달되면, 에러가 발생된 역무 처리 장치가 승차권 발행장치(100)나 승차권 정산장치(200)인 경우에는 운영자 조작부를 가동시키기 위한 운영자 조작부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이러한 운영자 조작부 제어 요청이 승차권 발생장치(100)나 승차권 정산장치(200)로 전송되면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자 조작부가 가동되게 된다.
또한, 에러가 발생된 역무 처리 장치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인 경우에는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정보 표시부 모드 변환 요청을 생성하여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포함된 정보 표시부가 승객의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모드에서 유지 보수를 위한 정보를 표시하는 운영자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이후,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해당 역무 처리 장치(100~300)에 발생된 에러를 처리하기 위해 운영자 조작부 또는 정보 표시부를 이용하여 운영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에러에 상응하는 유지 보수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지 보수 정보를 정보 송수신부(422)로 제공한다.
예컨대, 역무 처리 장치(100~300) 중 어느 하나의 온도 조절부에 에러가 발생되었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운영자 조작부 또는 정보 표시부를 통해 에러가 발생 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현재 온도가 기준 온도가 되도록 현재 온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온도 조절 요청을 생성하고, 생성된 온도 조절 요청을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역무 처리 장치(100~300) 중 어느 하나의 장치에 소프트웨어 에러가 발생한 경우, 해당 소프트웨어를 대체하거나 에러 치유를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 명령 또는 해당 소프트웨어의 버전을 업데이트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명령을 생성하여 해당 소프트웨어와 함께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에 발생된 에러를 처리하기 위해 해당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사용을 정지시켜야 하거나 에러 확인부(424)에 의해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사용 모드를 사용 중지 모드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 모드 전환 요청을 생성하여 정부 송수신부(422)로 전송하고, 해당 에러가 처리되면 사용 모드를 사용 중으로 변경하기 위한 사용 모드 변환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에러가 발생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인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사용을 중지시킴과 동시에 승객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플랩도어를 닫히게 하는 플랩도어 제어 요청이나 방향 표시기의 표시를 진입 금지로 변경하는 방향 표시기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하고,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승객의 출입을 허여하기 위해 플랩도어를 열리게 하는 플랩도어 제어 요청이나 방향 표시기의 표시를 진입 가능으로 변경하는 방향 표시기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한편,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에러 내용을 원격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것인 경우 운영자를 호출하기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에러 내용이 전송되지 않더라도 운영자의 요청에 의해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가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인 경우 승차권 개집표 방향의 통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통로 방향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통로 방향을 개표를 수행하는 출입용, 집표를 수행하는 출구용, 및 개표와 집표를 모두 수행하는 양방향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플랩도어의 운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플랩도어 운영 모드 설정 요청을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랩도어의 운영 모드는 평상시에는 플랩도어가 열려 있다가 승객의 통행을 불허해야 할 때 닫히게 되는 상시 열림 모드와 평상시에는 플랩도어가 닫혀 있다가 승객의 통행을 허가해야 할 때 열리게 되는 상시 닫힘 모드가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플랩도어의 운영 모드를 상시 열림 모드 또는 상기 닫힘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플랩도어 운영 모드 설정요청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검표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검표기능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표 기능은 타임 체크(Time Check)기능 및 스페이스 체크(Space Check)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타임 체크 기능이란 개표 또는 집표 이후에 규정된 시간(예컨대 10분) 이내인지 여부를 체크하거나, 지불구역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규정된 시간(예컨대 3시간) 이상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에 의해 타임 체크 기능 설정을 요구하는 검표기능 제어 요청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 전달되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개표 또는 집표 이후 규정된 시간 이내의 재개표 또는 재집표 요구는 불허하고, 개표 이후 지불구역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규정된 시간을 초과한 승차권의 집표 요구에 대해서도 불허한다.
다음으로, 스페이스 체크 기능이란 개표 또는 집표 되지 않은 승차권에 대해서도 집표 또는 개표 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에 의해 이러한 스페이스 체크 설정을 요구하는 검표기능 제어 요청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로 전달되면,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개표 또는 집표 되지 않은 승차권에 대해서도 집표 또는 개표를 허용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승차권 발행 방식 및 충전 방식 설정 요청, 승차권 정산장치(200)의 승차권 정산 방식 및 충전 방식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에 역 정보, 날짜, 시간 등을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의 기본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기본 정보 설정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422)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전원 공급부(430)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430)는 정전이 발생하더라도 소정 시간 이상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정전 전원장치(UPS: Uninterruptibl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컴 유니트(440)는 상술한 원격 제어부(420)을 통해 승차권 발행장치(100)나 승차권 정산 장치(200)로부터 승객의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승객과 통화로를 개설하여 운영자와 호출을 한 승객간에 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수행한다.
데이터 백업부(450)는 원격 제어부(424)에 의해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는 정보가 송신되면, 현재 처리중인 데이터를 백업 처리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부(420)가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내부 구성요소로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부(420)는 별도의 물리적인 단말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 형태의 원격 제어부의 주된 기능은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에러 확인 및 이의 처리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생성과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에러 확인 및 에러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역무 자동화를 위한 중앙 전산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전산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전산 장치(500)는 데이터 처리 장치(310) 및 운영자 전산기(320)를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 장치(310)는 각 역에 설치되어 있는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고,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여 집계함으로써 다양한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 장치(3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고서 생성부(312), 원격 제어부(314), 수입금 결산부(316), 전원 공급부(318), 및 데이터 백업부(319)를 포함한다.
보고서 생성부(312)는 원격 제어부(314)로부터 전송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통계, 회계, 및 에러 정보를 이용하여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월간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출력하거나, 운영자 전산기(320)로 제공한다.
이때, 일일 보고서에는 승차 통행량, 하차 통행량, 역사별 통행량, 각종 통계량, 승차권 발행장치, 승차권 전상장치의 판매량 및 금액, 지폐 수집함 및 동전 수집함의 세부 내역, 역사별 판매량 및 금액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에는 승차 통행량, 하차 통행량, 각종 통계량, 승차권 발행장치 및 승차권 정산장치의 판매량 및 금액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는 월간 보고서를 종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고서 생성부(312)가 원격 제어부(314)로부터 전송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통계, 회계, 및 에러 정보를 이용하여 각종 보고서를 생성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보고서 생성부(312)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보고서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된 보고서를 바로 출력하거나 운영자 전산기(3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원격 제어부(314)는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는 것으로서,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동작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즉, 원격 제어부(314)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 원격 제어 요청을 직접 전송하거나,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원격 제어 요청을 역 단위 감시 장치(400)를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부(314)는 정보 송수신부(522), 에러 확인부(524), 및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를 포함한다.
먼저, 정보 송수신부(522)는 각 역사에 설치된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여 보고서 생성부(312)로 제공한다. 이때,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수신되는 회계정보는 수입금 결산을 위해 수입금 결산부(316)에도 제공된다.
또한, 정보 송수신부(522)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가 상술한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하여 생성한 실시간 보고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수신하여 보고서 생성부(312)로 전송한다.
정보 송수신부(522)가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수신하는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는 상술한 역 단위 감시 장치(400)가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정보 송수신부(522)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전송되는 에러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로 전송하고,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에 의해 생성된 원격 제어 요청을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 전송한다.
이외에도, 정보 송수신부(522)는 승차권 카드의 운영 변수를 포함하는 정보, 블랙 리스트 정보, 파지티브 리스트 정보, 운임 테이블 정보, 운임 구조에 대한 정 보 등을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고, 승차권의 발행, 정산, 또는 충전에 따른 운영 변수를 포함하는 정보, 운임 테이블 정보, 운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승차권 발행 장치(100), 승차권 정산 장치(2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에러 확인부(524)는 정보 송수신부(522)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부터 제공되는 에러 코드에 상응하는 에러 내용을 확인하여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4)로 전송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524)는 자기 진단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에러가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 내용을 데이터 백업부(319)로 제공하거나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운영자가 데이터 처리 장치(310)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에러 확인부(524)는 주기적으로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4)로 제공한다. 예컨대,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전원 공급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거나,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과 데이터 처리 장치(310)간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 전원 공급 상태 또는 통신 상태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이를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로 전송하거나 운영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에러 확인부(524)는 비상상황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는 상술한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522)로 전송한다.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는 상술한 에러 확인부(524)로부터 에러 내용이 전송되면 해당 에러 내용에 상응하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에러 내용이 전송되지 않더라도 운영자의 요청에 의해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소프트웨어 에러가 발생한 경우, 소프트웨어 에러가 소프트웨어의 버전 불일치로 인한 것인 경우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는 소프트웨어 버전 업데이트를 명령하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새로운 버전의 소프트웨어와 함께 정보 송수신부(524)로 제공하고, 소프트웨어의 대체가 요구되는 것인 경우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를 명령하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대체될 새로운 소프트웨어와 함께 정보 송수신부(524)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전원 공급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각 역사에 배치된 역사 담당자를 호출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정보 송수신부(524)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포함된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526)의 경우, 상술한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426)과 비교할 때,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이를 처리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거나,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해 운영자로부터 입력 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한다는 점이 상이하고,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에러 발생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이나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내용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입금 결산부(316)는 원격 제어부(312)로부터 제공되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수입금을 자동으로 결산하고, 미리 정해진 수입금 분배 정보에 따라 타 운영기관과 분배할 수입금을 결정한다.
다음으로, 전원 공급부(318)는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318)는 정전이 되더라도 데이터 처리 장치(310)가 소정 시간 동안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무정전 전원장치(UPS)로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 백업부(319)는 에러 확인부(524)에 의해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었다는 정보가 송신되면, 현재 처리중인 데이터를 백업 처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데이터 처리 장치(310)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화 구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처리 장치(310)를 이중화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액티브 상태였던 제1 데이터 처리 장치에 에러가 발행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구동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 없이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운영자 전산기(320)는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의해 생성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월간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파일을 수집하여 수정하거나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의해 생성된 실시간 보고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또는 월간 보고서를 수집하여 보고서를 수정하고, 수정된 보고서를 출력한다.
또한, 운영자 전산기(320)는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통계정보 및 회계정보에 대한 요청을 데이터 처리 장치(310)로 전송하고, 요청에 따라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의 통계정보 및 회계정보를 데이터 처리 장치(31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부(314)가 데이터 처리 장치(310)의 내부 구성요소로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원격 제어부(314)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데이터 처리 장치(3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부(316)가 유지보수 전산기(330)와 같이 별도의 단말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유지보수 전산기(330)는 데이터 처리 장치(31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에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에러 정보에 상응하여 이를 처리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 청을 생성하여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데이터 처리 장치(310)로 제공하거나, 각 역무 처리 장치(100~300)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400)로 직접 제공하거나,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역무 처리 장치(100~300) 및 역 단위 감시 장치(400)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 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유지보수 전산기(330)는 에러 정보 및 에러 처리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보고서에는 날짜, 시간, 역 번호, 에러 처리 대상이 된 장치명, 에러 처리 대상이 된 장치번호, 에러 발생(또는 에러 처리 완료), 에러 형태 등의 정보가 기록된다.
한편, 이러한 유지보수 전산기(330)는 데이터 처리 장치(310)에 직접 연결되어 설치되는 메인 유지보수 전산기와 역 단위 감시 장치(400)가 설치되는 각 역사와 같은 로컬에 설치되어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310)나 메인 유지보수 전산기에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로컬 유지보수 전산기를 포함한다. 이때, 각 역사에 설치되는 로컬 유지보수 전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역 단위 감시 장치(400)에 포함된 원격 제어부(42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 유지보수 전산기는 로컬 유지보수 전산기와 상호 정보 교환이 가능하다. 즉, 로컬 유지보수 전산기는 로컬 유지보수 전산기에서 작성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 등을 메인 유지보수 전산기로 전송함으로써 메인 유지보수 전산기가 전체 역사에서 발생했던 에러 처리 현황에 대한 통계 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전산 장치(500)는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운영자의 요청에 따라 역무 운영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 RF 타입의 운영용 승차권을 발행한다.
이러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운영자로부터 운영용 승차권의 발행이 요구되면, 운영용 승차권 발행을 요청한 운영자에 의해 입력된 운영자 정보를 판독하고, 판독결과, 해당 운영자가 정당한 운영자로 인증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운영자에게 운영용 승차권을 발행한다. 이때, 운영자를 인증하기 위한 운영자 정보는 상술한 데이터 처리 장치(310)나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운영용 승차권 이외에 운영자용 뱃지를 발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에 적재되어 있는 운영용 승차권의 잔량을 감지하여 잔량이 기준치 미만인 경우에는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에 포함된 출력 장치를 통해 알람을 출력한다.
한편,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데이터 처리 장치(310)의 명령 및 별도의 요청이 있을 시 운영용 승차권 발급에 대한 권한과 발급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를 데이터 처리 장치(31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운영용 승차권 카드의 발행 상태, 운영용 승차권의 판독 및 실패 상황,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의 고장 상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의 일시 정시 상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의 도어 개폐여부 등의 정보를 데이터 처리 장치(310)로 전송한다.
한편,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발행된 운영용 승차권 또는 운영자용 뱃지가 도난 또는 분실된 경우, 도난 또는 분실된 운영용 승차권 또는 운영자용 뱃지의 사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블랙 리스트를 관리하거나,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 내에 기록되어 있는 운영자 정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는 자체 진단 기능을 통하여 에러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운영용 승차권 발행에 대한 모든 통계 및 발행 수량 등의 정보를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에 포함된 전표 인쇄기(미도시)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중앙 전산 장치(500)가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를 더 포함하게 되는 경우, 상술한 데이터 처리 장치(310)의 원격 제어부(314)는 운영용 승차권 발행 장치(340)의 에러 발생을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되면, 이를 운영자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 장치(310)의 원격 제어부(324)는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340)로부터 운영용 승차권 발행을 요청한 운영자가 정당한 운영자로 인증되지 않았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 처리 장치(310)의 메모리(미도시)에 기록되어 있는 운영자 정보를 변경하는 기능을 추가로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 단위 감시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 전산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승차권 발행 장치 200: 승차권 정산 장치
300: 승차권 개집표 장치 400: 역 단위 감시 장치
500: 중앙 전산 장치

Claims (29)

  1. 삭제
  2. 삭제
  3. 역무 자동화를 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RF 타입의 승차권을 정산하거나 충전하는 승차권 정산 장치, 및 RF 타입의 승차권을 개표 및 집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역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역 단위 감시 장치를 포함고,
    상기 원격 제어부는, 역무 처리 장치로부터 에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따른 에러 내용을 분석하고 상기 에러 내용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나 승차권 정산장치의 운영자 조작부를 가동시키거나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정보 표시부를 사용자 모드에서 운영자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 운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통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검표 기능 설정을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운영 상태를 사용중 상태와 사용중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승차권 발행/충전 방식이나 상기 승차권 정산장치의 승차권 정산/충전 방식을 통제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검표 기능은, 개표 또는 집표 이후 규정된 시간 이내인지 여부 또는 개표 후 지불구역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규정된 시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타임체크(Time Check)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검표 기능은, 개표 또는 집표되지 않은 승차권에 대해서도 집표 또는 개표를 허용하는 스페이스 체크(Space Check)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 및 상기 역무 처리 장치와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간의 통신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에러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에러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집계하여 실시간 보고서, 일일 보고서, 주간 보고서, 및 월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 되면 처리중인 데이터를 백업 처리하는 데이터 백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규정된 시간 이상 동안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무정전 전원장치(UPS)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는,
    상기 원격 제어부에 의해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나 승차권 정산장치를 이용하는 승객의 통화 요청이 수신되면, 운영자와 상기 승객간의 통화로를 생성하는 인터컴 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5. 역무 자동화를 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승차권 발행장치, 승차권 정산 장치, 및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 단위 감시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영 정보나 상기 운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보고서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의 동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른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 전송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에러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에러 정보에 따른 에러 내용을 분석하고 상기 에러 내용에 대응되는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요청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소프트웨어 에러 정보가 수신되면, 소프트웨어 에러 정보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또는 소프트웨어 재설치를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역무 자동화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 터 하드웨어 에러 정보가 수신되면, 에러 정보가 발생한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역 단위 감시 장치의 운영자 호출을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에러 정보의 내용을 확인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 및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에러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운영 정보를 집계하여 일일 보고서, 월간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거나,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보고서를 출력하는 보고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이 차단 되면 처리중인 데이터를 백업 처리하는 데이터 백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3.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나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수입금을 결산하고, 타 운영 기관과의 분배 수입금을 결정하는 수입금 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4.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규정된 시간 이상 동안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무정전 전원장치(UPS)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5.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1 데이터 처리 장치 및 제2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이중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데이터 처리 장치가 액티브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데이터 처리 장치가 스탠바이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는,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동작을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역무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의 에러 정보를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에 의해 생성되는 원격 제어 요청은,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나 승차권 정산장치의 운영자 조작부를 가동시키거나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정보 표시부를 사용자 모드에서 운영자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 운영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통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검표 기능 설정을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의 플랩도어를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전환하거나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운영 상태를 사용중 상태와 사용중지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승차권 발행/충전 방식이나 상기 승차권 정산장치의 승차권 정산/충전 방식을 통제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역무 처리 장치 및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생성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상기 운영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보고서 또는 상기 역 단위 감시 장치로부터 전송된 보고서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보고서를 수정하기 위한 운영자 전산기; 및
    상기 역무 처리 장치의 점검을 위한 RF 타입의 운영용 승차권을 발행하기 위한 운영용 승차권 발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
KR1020090126298A 2009-12-17 2009-12-17 역무 자동화 시스템 KR101114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98A KR101114596B1 (ko) 2009-12-17 2009-12-17 역무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298A KR101114596B1 (ko) 2009-12-17 2009-12-17 역무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32A KR20110069532A (ko) 2011-06-23
KR101114596B1 true KR101114596B1 (ko) 2012-03-05

Family

ID=4440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298A KR101114596B1 (ko) 2009-12-17 2009-12-17 역무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167A (ko) 2017-06-12 2018-12-20 대구도시철도공사 터치스크린 입력방식 발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167A (ko) 2017-06-12 2018-12-20 대구도시철도공사 터치스크린 입력방식 발권기
KR101953026B1 (ko) 2017-06-12 2019-05-17 대구도시철도공사 터치스크린 입력방식 발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532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2636B (zh) 由钞票处理机构成的系统、钞票处理机及其运行方法
US992818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devices using master and slave devices
CN103150846B (zh) 一种税务自助缴费找零服务终端
AU762804B2 (en) A parking management system
JP5887534B2 (ja) 充電システム
US20130208295A1 (en) Predictive fault resolution
CN102176267A (zh) 一种客户自助处理设备、自助授权认证系统及方法
CN202422294U (zh) 一种自动售票机
CN107438868A (zh) 自助设备的加钞控制方法及系统、自助设备
CN110349356A (zh) 清机加钞的监控系统、监控方法及监控装置
JP2008197777A (ja) 乗車券処理装置、および駅務システム
KR101114596B1 (ko) 역무 자동화 시스템
KR101256294B1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EP0163507A2 (en) Fare collection system
CN201955846U (zh) 一种客户自助处理设备、自助授权认证系统
KR101276517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MX2010005386A (es) Un sistema de control de estacionamientos a traves de un sistema de un tercero.
KR101130417B1 (ko) 승차권 개집표 장치
KR101114692B1 (ko) 승차권 발행 장치
KR20070075141A (ko) 휴대용 계원조작장치, 금융자동화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휴대용 계원장치의 이용방법
JP2015185001A (ja) 駅務機器システム並びに駅務機器システムの操作端末、自動改札機及び集計装置
KR101223764B1 (ko) 승차권 개집표 장치
KR20110069516A (ko) 승차권 정산 장치
KR20010027667A (ko) 카트 관리 시스템
JP2004272345A (ja) 通過人員帳票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