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692B1 - 승차권 발행 장치 - Google Patents

승차권 발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692B1
KR101114692B1 KR1020090124968A KR20090124968A KR101114692B1 KR 101114692 B1 KR101114692 B1 KR 101114692B1 KR 1020090124968 A KR1020090124968 A KR 1020090124968A KR 20090124968 A KR20090124968 A KR 20090124968A KR 101114692 B1 KR101114692 B1 KR 10111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unit
information
issuing device
issu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125A (ko
Inventor
오승윤
김주열
유현수
전경표
이승희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0043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1469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09012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ticket printing or like apparatus, e.g. apparatus for dispensing of printed paper tickets or payment c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inance (AREA)
  • Ticket-Dispensing Machines (AREA)

Abstract

RF 타입의 승차권의 발행 및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는 RF 타입 승차권의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고, 승차권 발행 요청을 입력 받는 승객 정보 표시부; 상기 승차권의 발행이 결정되면, 운임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권 정보를 상기 승차권에 기록하여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부; 승차권 발행 장치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 및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제어 또는 유지 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 및 상기 승차권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승차권의 운임 정보 및 상기 승차권의 발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운영자 조작부의 가동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승차권, 발행, 충전

Description

승차권 발행 장치{Apparatus for Issuing Ticket}
본 발명은 승차권 발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RF 타입의 승차권 발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이용자를 처리해야 하는 지하철에는 승차권의 발행, 개표, 집표, 및 정산 등의 역무가 모두 무인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무 자동화 시스템이 구축되어 다수의 승객을 신속히 처리하고 있다. 이러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은 승차권을 자동으로 발행하기 위한 승차권 발행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승차권 발행장치는 승객이 동전이나 지폐를 승차권 발행장치로 투입하고 필요한 역이나 구간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에 해당하는 요금 정보가 기록된 승차권을 승객에게 제공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종래의 종이 재질로 된 승차권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RF 타입의 승차권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일회용 승차권뿐만이 아니라 충전을 통해 반복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RF 타입의 승차권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승차권 발행장치는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RF 타입의 승차권을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승차권 발행장치는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조작부가 없어 승차권 발행장치를 유지 보수하는 운영자가 불편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승차권 발행장치는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가 에러를 확인할 때까지 에러가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수 밖에 없어서 승차권 발행장치를 이용하는 승객들이 불편을 겪게 되고,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자가 승차권 발행장치의 에러를 직접 확인하여 유지보수를 수행하기 때문에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도 불편을 겪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승차권 발행장치는 현금으로만 승차권을 발행 받을 수 있어 현금을 소지하고 있지 않은 승객은 승차권을 구입할 수 없었고, 현금으로 승차권을 구입하더라도 현금 영수증을 발급받을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승차권 발행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승차권 발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자 조작부가 구비된 승차권 발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차권 발행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에러 확인을 원격으로 수행하고, 코드 별로 분류된 에러 유형에 대응하여 원격으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승차권 발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으로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하는 경우 현금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승차권 발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현금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할 수 있는 승차권 발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는 RF 타입 승차권의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고, 승차권 발행 요청을 입력 받는 승객 정보 표시부; 상기 승차권의 발행이 결정되면, 운임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권 정보를 상기 승차권에 기록하여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부; 승차권 발행 장치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 및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제어 또는 유지 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 및 상기 승차권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승차권의 운임 정보 및 상기 승차권의 발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운영자 조작부의 가동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RF 타입의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할 수 있어 승객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한 운영자 조작부가 승차권 발행장치에 구비되어 있어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시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차권 발행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승차권 발행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승차권 발행 장치의 에러를 확인하고, 원격으로 유지보수를 수행할 수 있어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현금으로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하는 경우 현금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고, 현금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승차권을 발행하거나 충전할 수 있어 승객의 편의성이 증대된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는 각 역사 내에 설치될 수 있는데, 각 역사에는 승객이 지하철과 같은 교통수단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발행장치(100), 승차권 정산장치(200), 승차권 개집표장치(300), 및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장치들은 무선 또는 유선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장치들은 지하철 탑승을 위한 것으로서, 지하철 역사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승객으로부터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면, 해당 승객에게 지하철 탑승을 위한 승차권을 발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RF 카드형 승차권을 발행할 수 있고, 상기 RF 카드는 일회 사용을 목적으로 하는 일회용 카드와 일정 금액이 정립되는 선불형 카드를 포함한다.
한편,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상기 선불형 승차권을 발행하는 경우 승객이 원하는 금액만큼 승차권의 금액을 충전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할 금액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승객이 원하는 금액을 지정하고, 지정한 금액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RF 타입 승차권의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상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행 또는 충전 요청을 입력 받는 승객 정보 표시부와,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운영 요청 또는 유지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어, 승객뿐만 아니라 운영자의 편의성도 고려하여 설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 장치(1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이나 중앙 전산 시스템(500)에 의해 상기 운영자 조작부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조작부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에 의해 승차권의 집표시 발생된 운임이 해당 승차권에 기록되어 있는 금액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정산이나 충전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승차권의 금액을 정산하거나 충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승차권에서 해당 승객의 승하차 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승객에 대한 운임을 결정하고,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이 결정된 운임보다 작은 경우 정산하여야 할 금액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한다. 이때, 일회용 승차권의 경우에는 필요한 금액을 정산하고 선불형 승차권의 경우 필요한 금액을 충전할 수 있다. 충전시에는 승차권 정산 장치(200)로부터 제공된 정산 금액 이상을 충전할 수도 있는데, 이때 충전할 금액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선택할 수 있고, 승객이 원하는 금액을 지정하고, 지정한 금액을 선택적으로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RF 타입 승차권의 정산 및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정산 장치(12)의 상태 정보, 및 승객의 승하차 역에 대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정산 및 충전 요청을 입력 받는 승객 정보 표시부와, 특정 이벤트가 발생되면 가동되어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 및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운영자에게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승차권 정산 장치(200)의 제어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를 포함한다.
또한, 승차권 정산 장치(2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이나 중앙 전산 시스템(500)에 의해 상기 운영자 조작부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조작부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플랩도어를 개폐시켜 미지불 구역(Free Area)에서 지불구역(Paid Area)으로 또는 지불구역에서 미지불구역으로의 승객 통과를 제어한다.
이러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개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1 타입,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제2 타입, 집표 기능만을 수행하는 제3 타입, 개표 기능만을 수행하되 제1 타입에 설치된 플랩도어보다 길이가 긴 플랩도어가 설치되 는 제4 타입, 집표 기능만을 수행하되 제3 타입에 설치된 플랩도어보다 길이가 긴 플랩도어가 설치되는 제5 타입, 상기 제3 타입과 상기 제4 타입을 결합하여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한 제6 타입, 및 상기 제1 타입과 상기 제5 타입을 결합하여 개표 및 집표 기능을 모두 수행하도록 구성한 제7 타입으로 구성된다.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2개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한다. 예컨대,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와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 중간에 하나 이상의 제2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복수개의 통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제1 측에는 제4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5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거나, 제1 측에는 제1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5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는 제6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거나, 제1 측에는 제4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고 제2 측에는 제3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하며 그 중간에는 제7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통로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타입의 승차권 개집표 장치를 조합하여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를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할 수 있어 설치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하나의 정보 표시부를 승객의 승하차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모드와,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유지 보수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운영자 모드로 운영할 수 있다.
이때,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이나 중앙 전산 시스템(500)에 의해 상기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정보 표시부에 표시되는 운영 메뉴 정보 및 유지보수 관련 정보가 원격으로 모니터링되고,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원격으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원격처리는 상기 운영자 모드로 운영되는 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에러 유형을 분석하고, 에러 유형에 따른 유지 보수를 선택하여 수행된다. 상기 유지보수는 운영 소프트웨어 에러시 해당 소프트웨어 다운로드, 소프트웨어 버전 불일치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포함한다.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은 상술한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들의 동작을 통합 제어하고, 각 역무 자동화 장치들(100~300)로부터 전송되는 회계정보, 통계정보, 및 에러 정보를 취합하여 출력하거나 중앙 전산 시스템(500)으로 전송하며, 각 역무 자동화 장치들(100~300)의 운영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각 장치들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은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들의 에러 내용 또는 에러 내용에 상응하는 에러코드를 수신하여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중 또는 사용 중지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설정한 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은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플랩 도어 운용 방식(상시 닫힘 모드 또는 상시 열림 모드)을 설정하고,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가 제2 타입인 경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통로 방향을 설정하거나, 상기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의 검표 기능을 설정 또는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은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승차권 발행 방식이나 충전 방식을 통제하고, 승차권 정산장치(200)의 승차권 정산 방식이나 충전 방식을 통제한다.
이외에도,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은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들의 전원 공급 상태나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들과 상기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간의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그 결과를 운영자 또는 중앙 전산 시스템(500)에게 제공한다.
중앙 전산 시스템(500)은 각 역에 설치된 승차권 발행장치(100), 승차권 정산 장치(200), 승차권 개집표 장치(300), 및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을 원격에서 통합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술한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나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되는 운영자료를 이용하여 생성된 보고서를 열람 또는 수정하는 운영자 단말기와, 각 역사에 설치된 상술한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나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의 유지 보수를 위한 유지보수용 단말기와, 상기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나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자료들을 취합하여 통계 자료를 생성하거나 각 장 치들의 상태 및 운영 자료 등을 종합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 처리 장치는 이중화 구조로 구현되어, 액티브 상태였던 어느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에 에러가 발행하는 경우 스탠바이 상태에 있는 다른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가 구동됨으로써 데이터의 손실 없이 모든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각 장치(100~300)의 회계, 통계, 및 에러 정보 등을 포함하는 운영 정보를 수신 및 집계하여 일일 보고서, 월간 보고서, 분기 보고서, 반기 보고서, 및 연간 보고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각 역무 자동화 장치(100~300)의 회계정보를 이용하여 수입금을 결산하여 타 운영 기관과의 분배 수입금을 결정한다.
이러한 중앙 처리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의 에러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에러 발생 사실 및 에러 발생 내용을 운영자에게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승차권 발행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내부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외함에 대해서 살펴보면,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외함은 승차권 발행장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구성 요소들이 내장되는 것이므로 견고하고 쉽게 부서지지 않는 강판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재질은 전면 판넬은 스테인리스 재질이고, 기타 측면 및 후면 판넬은 소부도장된 강판 또는 동등 이 상의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외함은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후면도어와 측면도어를 포함하는데, 후면도어는 측면도어가 개방된 경우에 한하여 개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의 외함 중 전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전면에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 스피커(111), 승차권 투출구(112), 승차권 충전 거치대(113), 호출버튼(114), 인터컴 스피커(115), 동전 투입구(116), 동전 반환구(117), 지폐 투입구(118), 지폐 반환구(119), 및 장애인 안내 버튼(120)이 배치된다.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승차권의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메뉴 화면 또는 승객의 승차권 발행이나 충전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각종 선택요청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 받는 것으로서 조작 편의를 위하여 경사진 구조로 설계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객 정보 표시부(11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스피커(111)는 승객의 승차권 발행 또는 승차권 충전 요청에 따른 승차권의 발행 또는 충전 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해 준다.
승차권 투출구(112)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발행이 요청되면, 발행된 승차권이 제공되는 곳으로서, 승차권 투출구(112)는 승차권 발행 시 승차권이 이탈되지 않고, 승객이 용이하게 빼 낼 수 있도록 제작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차권 충전 거치대(113)는 승차권 충전을 위해 승차권이 거치되는 곳으로서, 충전하고자 하는 승차권 카드 1매를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인입형 구조로 제작 되고, 어른이 자연스럽게 선 자세에서 사용이 용이하도록 제작된다.
호출버튼(114)은 승객이 승차권 발행장치(100)를 조작하는 과정 중에 문의사항이 있거나, 승차권 발행장치(100)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자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버튼이다. 승객에 의해 호출버튼(114)이 눌려지면 버튼 내부에 있는 램프가 점등되며,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자와의 통화가 완료되면 자동 소등 된다. 이때,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자와의 통화는 호출버튼(114)과 근접한 부근에 배치된 인터컴 스피커(115)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동전 투입구(116)는 승차권의 발행 또는 충전을 위해 승객으로부터 동전이 투입되는 곳으로서 동전 투입구(116)를 통해 10원, 50원, 100원, 및 500원의 동전 투입이 가능하다. 한편, 동전 반환구(117)는 처리 불가능한 동전 또는 거스름돈이 반환되는 곳이다.
지폐 투입구(118)는 승차권의 발행 또는 충전을 위해 승객으로부터 지폐가 투입되는 곳으로서, 지폐 투입구(118)를 통해 1000원, 5000원, 10000원, 및 50000원권의 지폐 투입이 가능하다. 한편, 지폐 반환구(119)는 처리 불가능한 지폐 또는 거스름돈이 반환되는 곳이다.
다음으로 장애인 안내버튼(120)은 장애인이 승차권 발행장치(10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안내 멘트가 스피커(111)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버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 치(100)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 운영자 조작부(130), 화폐 처리부(140), 승차권 발행부(150), 승차권 충전부(160), 제어부(170), 전원 공급부(180), 및 히팅/쿨링 팬 유니트(190)를 포함한다.
먼저,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차권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 또는 승객의 승차권 발행이나 충전에 관련된 정보를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승차권 발행이나 충전을 위한 각종 선택요청을 터치 방식으로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발행이 요청된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명 검색을 통해 역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선 검색을 통해 역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금 및 운임 투입을 안내할 수 있는 정보 요금 표시 화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수증 발급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발행 진행을 안내할 수 있는 화면, 및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스름돈 및 승차권 투출을 안내할 수 있는 화면 등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되는 경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충전 대기화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선택할 수 있는 금액 단위로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금액 투입을 안내할 수 있는 화면,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진행을 안내할 수 있는 화면,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수증 발급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및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완료를 안내할 수 있는 화면 등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승차권의 충전시,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예컨대, 1000원 단위)로 승차권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원하는 금액 단위(예컨대, 10원 단위)로도 승차권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어, 승객이 필요로 하는 금액만을 정확히 충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화면 들을 승객에게 제공하는 과정 중에,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화면 상에서 승객으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입력되는 선택 요청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함으로써, 제어부(170)가 승차권의 발행 또는 승차권의 충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외에도 승객 정보 표시부(110)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로부터 인쇄 전표 용지나 적재함에 적재된 승차권이 부족하거나, 지폐 및 동전 수집함이 가득 찼거나, 동전 및 지폐의 걸림이 발생했거나, 내부 주요 장치에 이상이 발생했거나, 발행 중인 승차권의 걸림이 발생했거나, 후면 도어 및 측면 도어가 열림 상태 등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이 통지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신호가 수신되 는 경우 '사용중지' 또는 "장비 점검 중"이라는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 장치는 역 단위 감시 시스템(400) 또는 중앙 전산 시스템(500)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170)로부터 지폐 수집함이 가득 찼거나 후술할 지폐 처리부에 에러가 발생되었다는 사실이 통지된 경우에는 '동전만 사용가능'이라는 안내를 표시하고, 승객에 의해 호출버튼(114)이 눌려진 경우에는, '역무원 호출 중입니다.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 라는 안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운영자 조작부(130)는 외부 장치로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유지 또는 보수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제공하고, 운영자로부터 터치 방식으로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제어 요청 또는 유지 보수 요청을 입력 받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으로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제어 또는 유지 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영자 조작부(130)는 별도의 인증과정을 거쳐 운영자가 인증되는 경우에 승차권 발행장치(130)를 조작할 수 있는 화면을 운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운영자 조작부(130)를 통해 운영자는, 로그인을 통한 초기 화면 전환,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현재까지의 회계 및 통계 자료 요약 확인, 승차권 발행장치(100)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에 지정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버전 확인,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사용 중' 또는 '사용중지' 모드) 설정, 화폐 관련 설정 및 운영 파라미터 확인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운영자 조작부(130)는 평상시에는 오프 상태로 유지되다가 운영자의 요청이 있거나, 제어부(170)로부터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에러 발생이 통지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화폐 처리부(140)는 승차권 발행 또는 승차권 충전을 위해 동전 투입구 또는 지폐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화폐를 처리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전 처리부(142) 및 지폐 처리부(144)를 포함한다.
동전 처리부(142)는 동전 투입구(116)를 통해 투입된 동전을 반도체를 이용한 전전자 검전 방식을 통해 동전의 종류별로 직경, 재질, 및 두께나 무게 등을 검지하여 그 진위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유효한 동전으로 판단되면 투입된 동전을 종류 별로 동전 보류함(미도시)에 보관함으로써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발행 또는 충전 취소가 요청되는 경우 동전 반환구(117)를 통해 승객에게 반환될 수 있게 하거나, 투입된 동전을 각 종류 별로 동전 저장함(미도시)에 저장함으로써 거스름돈으로 재활용될 수 있게 한다.
한편, 판단결과 투입된 동전이 유효하지 않은 동전으로 판단되면, 투입된 동전을 동전 반환구(117)를 통해 반환한다.
또한, 동전 처리부(142)는 한 종류의 동전 저장함에 동전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동전 저장함에 보관된 동전을 동전 수집함(미도시)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동전 처리부(142)는 순한 호퍼(미도시) 또는 보조 호퍼(미도시)를 이 용하여 승차권 발행 또는 충전에 따라 발생되는 거스름돈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전 처리부(142)는 승객에게 제공될 거스름돈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면, 거스름돈을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동전 예비 저장함(미도시)로부터 동전을 인출하여 필요한 거스름돈을 승객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동전 처리부(142)는 승차권 발행 처리 중(승차권 발행 버튼을 누른 후 발행처리 과정 및 거스름돈 반환 완료까지의 과정)인 경우, 투입된 금액이 동전 처리부(142)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을 초과했을 경우, 취소 요청으로 투입된 동전을 반환 중이거나, 제어부(170)로부터 승차권 발행장치(100)가 사용 중지 중 또는 점검 중이거나 전원이 차단되었거나 동전이 걸린 경우 등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이 통지되면 동전 투입구(116)를 통해 동전이 투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지폐 처리부(144)는 지폐 투입구(118)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검지, 판독, 및 반환/저장하는 장치로서, 국내에서 유통되는 지폐 4종을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폐 처리부(144)는 지폐 투입구(118)를 통해 지폐가 투입되면 지폐가 정상적인 지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지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지폐의 투입과 동시에 해당 지폐를 지폐 투입구(118)를 통해 즉시 반환한다.
투입된 지폐가 정상적인 지폐로 판단되면, 투입된 지폐를 지폐 보류함(미도시)에 일시 저장함으로써 승객으로부터 승차권의 발행 또는 충전 취소가 요청되는 경우 지폐 반환구(119)를 통해 승객에게 반환될 수 있게 한다. 이후 지폐 보류함에 일시 저장되어 있던 지폐들은 지폐 수집함(미도시)으로 이동된다. 이때, 지폐 수집함에는 지폐의 종류에 관계 없이 모든 종류의 지폐가 함께 저장된다.
한편, 지폐 처리부(144)는 투입된 지폐를 감별 처리중인 경우, 승차권 발행 처리 중(승차권 발행 버튼을 누른 후 발행처리 과정 및 거스름돈 반환 완료까지의 과정)인 경우, 투입된 금액이 지폐 처리부(144)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수량을 초과했을 경우, 취소 요청으로 투입된 지폐를 반환할 경우, 지폐 수집함에 지폐가 가득 찬 경우나, 제어부(170)로부터 승차권 발행장치(100)가 사용 중지 중 또는 점검 중이거나 전원이 차단되었거나 지폐가 걸린 경우 등을 포함하는 에러 발생이 통지되면 지폐 투입구(118)를 닫아 지폐가 투입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승차권 발행부(150)는 제어부(170)에 의해 승차권의 발행이 결정되면, 승차권 적재함으로부터 승차권을 인출하여, 인출된 승차권에 제어부(170)에 의해 결정된 운임에 해당하는 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권 정보를 기록하여 승차권을 발행하고, 발행된 승차권을 승차권 투출구(112)를 통해 승객에게 제공한다.
이러한 승차권 발행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차권 정보 기록부(151), 승차권 적재함(152), 승차권 이송부(153), 승차권 위치 추적부(154), 승차권 검사부(155), 카운터(156), 및 승차권 폐표함(157)을 포함한다.
먼저, 승차권 정보 기록부(151)는 제어부(170)에 의해 승차권 발행이 결정되면, 승차권 적재함(152)으로부터 승차권을 인출하고, 인출된 승차권에 승차권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승차권 정보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운임에 해당하는 금액 정보뿐만 아니라, 승차권 발행 일시에 대한 정보, 승차권 발행 역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승차권 이송부(153)는 승차권 적재함(152)으로부터 승차권 정보 기록부(151)로 승차권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평면 이동 드라이빙 방식을 통해 승차권을 승차권 적재함(152)로부터 승차권 정보 기록부(151)로 이동시킨다.
승차권 위치 추적부(154)는 승차권 발행장치(100) 내에서 발행된 승차권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승차권의 걸림 여부를 판단하여, 승차권이 걸린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로 알람을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차권의 걸림 여부 판단이 승차권 위치 추적부(154)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승차권 걸림 여부 판단은 제어부(170)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승차권 발행부(150)는 승차권 위치 추적부(15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승차권 검사부(155)는 발행된 승차권이 정상적인 승차권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정상적인 승차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승차권을 승차권 폐표함(157)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폐기 처리하고, 승차권 정보 기록부(151)로 새로운 승차권의 재 발행을 요청한다. 한편, 재 발행된 승차권에 동일한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승차권 검사부(155)는 그 결과를 제어부(170)로 통지함으로써 제어부(170)가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 중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카운터(156)는 승차권 적재함(152)에 적재되어 있는 승차권의 매수를 카운팅하여 적재된 승차권의 매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출력장치를 통해 알람을 발생시키거나 그 결과를 제어부(170)로 통지하고, 적재된 승차권이 완전히 소모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로 그 결과를 통지함으로써 제어부(170)가 승차권 발행장 치(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 중지'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카운터(156)는 정상적으로 발행된 승차권의 매수와 폐기 처리된 승차권의 매수를 카운팅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승차권 충전부(160)는 승차권 충전 거치대(113)에 승차권이 거치된 후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되면 충전 요청된 카드의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송하고, 제어부(170)에 의해 승차권의 충전이 결정되면 충전 거치대(113)에 거치된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 정보에 승객이 요청한 금액 정보를 합산함으로써 승차권을 충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차권 충전부(160)는 승차권의 충전시 충전 요청된 승차권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승차권 충전시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된 일시, 승차권의 충전이 행해진 역사 또는 승차권 발행장치의 식별번호, 충전 요청된 금액 등의 정보를 승차권에 기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 운영자 조작부(130), 화폐 처리부(140), 및 승차권 발행부(150), 승차권 충전부(160), 전원 공급부(180), 히팅/쿨링 팬 유니트(190)의 동작을 제어하고, 승차권 발행 장치의 외부로부터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며, 상기 각 구성요소들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취합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이러한 제어부(170)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같이, 제어부(170)는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 원격 제어부(173), 현금 영수증 처리부(177), 및 온도 조절 부(1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는 승차권의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승객 정보 표시부(110)로 제공하고, 승객 정보 표시부(110) 상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통해 승차권의 발행이 요청되면 메모리(174)에 저장된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운임을 결정하며, 승차권의 발행을 위해 승객에 의해 지불된 금액 및 상기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결정된 운임을 기초로 승차권의 발행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승객이 이동하기 원하는 역명이 입력되거나 역명이 선택되면, 상기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현재 역과 승객에 의해 선택된 역간의 운임을 계산한다.
이후,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는 결정된 운임을 승차권 발행을 위해 승객에 의해 지불된 금액과 비교하여, 지불된 금액이 결정된 운임 이상인 경우 승차권의 발행을 결정하고, 승차권 발행부(150)로 승차권의 발행을 지시한다. 만약, 지불된 금액이 결정된 운임 보다 큰 경우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는 거스름돈을 계산하고, 계산된 거스름돈에 대한 정보를 화폐 처리부(140)로 제공한다.
한편, 지불된 금액이 결정된 운임보다 작은 경우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는 승차권의 발행을 거부하고 상술한 승객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추가 금액을 투입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는 승객으로부터 신용카드를 이용한 승차권의 발행이 요청되는 경우, 결제 대상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 및 결정된 운임을 기초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가 승인되면 승차권 발행을 결정하여 승차권 발행부(150)로 승차권의 발행을 지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신용카드를 이용한 결제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100)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전면에 신용카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는 승차권의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승객 정보 표시부(110)로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는 미리 정해진 금액 단위로 승차권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객이 원하는 금액 단위로도 승차권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화면을 생성하여 승객 정보 표시부(110)로 제공함으로써, 승객이 필요로 하는 금액만을 정확히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상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통해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되고 승차권 충전 거치대(113)를 통해 승차권의 정보가 판독되면, 충전 요청된 승차권이 충전 가능한 타입의 승차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충전 요구된 승차권이 일회용 승차권이거나, 승차권 정보가 판독 불가능한 경우 등은 충전이 가능하지 않은 승차권으로 판단한다.
판단결과, 충전 가능한 승차권인 경우 승객에 의해 충전 요청된 금액 이상이 지불된 것으로 판단되면, 승차권의 충전을 결정하여 승차권 충전부(160)로 승차권의 충전을 지시한다.
만약, 지불된 금액이 충전 요청된 금액 보다 큰 경우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는 거스름돈을 계산하고, 계산된 거스름돈에 대한 정보를 화폐 처리부(140) 로 제공한다.
한편, 지불된 금액이 충전 요청된 금액보다 작은 경우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는 승차권의 충전을 거부하고 상술한 승객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추가 금액을 지불할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는 승객으로부터 신용카드를 이용한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되는 경우, 결제 대상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 및 결정된 운임을 기초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결제가 승인되면 승차권의 충전을 결정하여 승차권 충전부(150)로 승차권의 발행을 지시할 수도 있다.
원격 제어부(173)는 외부 장치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승차권 발행 장치(100)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원격 제어 요청을 해당 요청과 관련된 구성요소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원격 제어부(173)는 에러 확인부(175) 및 정보 송수신부(176)을 포함한다.
먼저, 에러 확인부(175)는 자기진단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승차권 발행장치(100)에 에러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가 발생된 구성요소와 발생된 에러 내용을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승객 정보 표시부(110) 또는 운영자 조작부(130)로 전송한다. 이때, 에러 확인부(175)는 발생된 에러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한 후 코드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에러 확인부(175)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 운영자 조작부(130), 화폐 처리부(140), 승차권 발행부(150), 및 승차권 충전부(160) 등에 대한 하드웨어적 에러,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 현금 영수증 처리 부(177), 온도 조절부(178) 등에 대한 소프트웨어적 에러를 검출하고, 검출된 에러를 유형별로 분류 및 코드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러 확인부(175)는 화폐 처리부(140)에 동전 또는 지폐 걸림과 같은 하드웨어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동전 또는 지폐 걸림 에러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에러 코드를 운영자 조작부(130)로 전송하여 운영자 조작부(130)가 가동되게 함으로써 운영자 조작부(130)가 에러 발생 사실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175)는 화폐 처리부(140)로 그 결과를 통지하여 동전 또는 지폐가 투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175)는 에러 코드를 정보 송수신부(176)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에러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에러 코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원격으로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 외부 장치는 운영자 호출 요청의 전송을 통해 에러 발생을 운영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영자가 수동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화폐 처리부(140)에 동전 또는 지폐가 걸림의 에러가 발행한 경우, 요금 징수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에러 확인부(175)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중'에러 '사용 중지'모드로 전환하고, 해당 에러 코드를 승객 정보 표시부(110)로도 전송함으로써 승객 정보 표시부(110)가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사용중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175)는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에 승차권 운임을 결정하는 소프트웨어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에러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에러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에러 코드를 운영자 조작부(130)로 전송함으로써 운영자 조작부(130)가 가동되게 하여 운영자 조작부(130)가 에러 발생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 승차권 발행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없기 때문에 에러 확인부(175)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중'에서 '사용중지'모드로 전환함과 동시에 에러 코드를 승객 정보 표시부(110)로도 전송하여 승객 정보 표시부(110)가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사용중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175)는 에러 코드를 정보 송수신부(176)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에러 코드를 확인 하여 해당 에러 코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승차권 운임을 결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있는 경우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거나 소프트웨어의 버전이 불일치 하는 경우에는 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도록 한다. 이때, 원격으로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 외부 장치는 운영자 호출 요청의 전송을 통해 에러 발생을 운영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영자가 수동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175)는 온도 조절부(178)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온도 조절부(178)의 에러에 대해 매칭되어 있는 에러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에러 코드를 운영자 조작부(130)로 전송함으로써 운영자 조작부(130)가 가동되게 하여 운영자 조작부(130)가 에러 발생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또한, 에러 확인부(175)는 에러 코드를 정보 송수신부(176)로 전송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에러 코드를 확인하여 해당 에러 코드에 대한 유지 보수를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원격으로 유지 보수가 불가능한 경우 외부 장치는 운영자 호출 요청의 전송을 통해 에러 발생을 운영자에게 통지함으로써 운영자가 수동으로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온도 조절부(178)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승차권의 발행 및 충전 기능은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어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변경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에러 확인부(175)는 승객 정보 표시부(110)로 에러 코드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외에도, 에러 확인부(175)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후면도어 또는 측면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이를 승객 정보 표시부(110), 운영자 조작부(130), 및 정보 송수신부(176)로 전송하거나, 승차권 발행장치(100)에 발생된 에러 정도에 따라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사용중' 모드 또는 '사용 중지' 모드로 설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에러 확인부(175)가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를 설정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동작 상태는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 관리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거나 외부 장치에서의 원격 요청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보 송수신부(176)는 에러 확인부(175)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에러 코드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에러 내용을 처리하거나 상기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해당 요청과 관련된 구성요소로 제공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요청에는 운영자 조작부(130)의 가동 요청, 운영자 조작 부(130)를 이용한 유지 보수 요청, 운임 결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요청, 승차권 발행에 이용되는 운임 테이블의 업데이트 요청,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온도 조절 요청, 또는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의 호출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원격 제어 요청이 운영자 조작부(130)의 가동 요청 또는 운영자 조작부(130)를 이용한 유지 보수 요청인 경우, 정보 송수신부(176)는 해당 요청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운영자 조작부(130)로 제공함으로써 운영자 조작부(130)가 가동 되게 한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가 운영자 조작부(130)를 이용하여 승차권 발행장치(100)를 유지 보수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이 승차권의 운임 결정을 위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요청인 경우, 정보 송수신부(176)는 해당 요청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로 제공함으로써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가 업데이트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승차권의 운임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이 승차권 발행에 이용되는 운임 테이블의 업데이트 요청인 경우, 정보 송수신부(176)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새로운 운임 테이블을 수신하여 메모리(174)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버전의 운임 테이블을 업데이트 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이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온도 조절 요청인 경우, 정보 송수신부(176)는 해당 요청을 온도 조절부(178)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장치가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원격 제어 요청이 운영자 또는 유지 보수자의 호출 요청인 경우, 정보 송수신부(176)는 해당 요청을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운영자 조작부(130)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장치(미도시)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요청이 운영자 또는 유지보수자에게 시각적 또는 음성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러한 호출 요청은, 승차권 발행 장치(100)에 발생된 에러를 원격에서 처리할 수 없는 경우에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정보 송수신부(176)는 화폐 처리부(140), 승차권 발행부(150), 승차권 충전부(160), 승차권 발행 결정부(171), 승차권 충전 결정부(172), 에러 확인부(175), 및 현금 영수증 처리부(177)로부터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고장정보 등을 수집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비상 버튼의 작동, 정전 발생, 또는 화재 발생 신호 등과 같은 비상 신호를 수신 한다.
이때, 통계정보에는 발행된 승차권의 개수, 폐기 처리된 승차권의 개수, 승차권 충전 횟수, 승차권 처리 오류 횟수, 승차권 걸림 횟수, 기타 통계 관련 데이터 등이 포함되고, 회계 내역으로는, 획득된 종류별 동전의 개수, 획득된 종류별 지폐의 개수, 승차권 총 발행 금액, 승차권 총 충전 금액, 승차권 발행 장치 내에 보관된 금액, 미 반환된 또는 미처리된 금액, 현금 영수증 발급 관련 데이터, 및 기타 회계 관련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현금 영수증 처리부(177)는 승객으로부터 승객 정보 표시부(110)를 통해 승차권 발행 또는 충전에 대한 현금 영수증 발급 요청과 함께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현금 영수증을 발급하고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 및 현금 영수증 발급 대상 금액을 정보 송수신부(176)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한다. 이때,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는 현금 영수증 발급용 카드의 번호 또는 승객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 조절부(178)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히팅/쿨링 팬 유니트(190)를 제어하여,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특히 온도 조절부(178)는 온도 감지 센서(미도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내부 온도가 더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히팅 팬 유니트를 가동시켜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고,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내부 온도가 더 높은 것으로 감지되면 쿨링 팬 유니트를 가동시켜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내부 온도를 하강시킴으로써 승차권 발행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한편, 이러한 온도 조절부(178)는 원격 제어부(173)로부터 제공되는 원격 제어 요청에 따라 외부 장치가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180)는 승차권 발행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RCCB 유니트(182), 주전원장치(184), 퓨즈판넬(186), 및 백업 배터리(188)를 포함한다.
먼저, RCCB 유니트(182)는 외부의 AC 입력을 주전원 장치(184)에 공급하고, 과전류가 발생하거나 승차권 발행 장치(100)의 전류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RCCB 유니트(182) 내의 서지 프로텍터가 외부에서 인입되는 서지를 차단하여 승차권 발행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게 된다.
주전원 장치(184)는 RCCB 유니트(182)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압을 안정된 DC 전압으로 변환하여 후술할 퓨즈 판넬(186)을 통해 승차권 발행장치(100)의 각 구성요소들로 제공한다.
퓨즈 판넬(186)은 주전원 장치(184)로부터 직류전압을 공급 받아 승차권 발행장치(100) 내에서 DC 전원을 필요로 하는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퓨즈가 부착된 보드로서, 과도한 용량의 전류가 인입될 경우 퓨즈에 의해 차단된다.
백업 배터리(188)는 1개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주전원 차단시 직류 전압을 공급하여 승차권 발행장치(100)가 현재 진행중인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100)는 승차권 발행, 충전, 현금영수증 발급 등에 따른 영수증을 출력하거나, 각종 통계자료를 전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자료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100)는 발행된 승차권을 회수할 수 있는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함으로써, 발행된 일회용 승차권을 회수함과 동시에 승차권 발행 시 부과하였던 보증금을 동전 또는 지폐의 형태로 승객에게 반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의 전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차권 발행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승차권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객 정보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승차권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승차권 발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전원 공급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Claims (22)

  1. RF 타입 승차권의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고, 승차권 발행 요청을 입력 받는 승객 정보 표시부;
    상기 승차권의 발행이 결정되면, 운임 정보를 포함하는 승차권 정보를 상기 승차권에 기록하여 발행하는 승차권 발행부;
    승차권 발행 장치의 제어를 위한 메뉴화면 및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유지보수 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제어 또는 유지 보수 요청을 입력 받는 운영자 조작부; 및
    상기 승차권 발행을 위한 메뉴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승차권의 운임 정보 및 상기 승차권의 발행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운영자 조작부의 가동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에서 발생된 통계정보, 회계정보, 및 에러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원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 발행 장치의 에러를 확인하고, 에러 정보를 생성하는 에러 확인부; 및
    상기 에러 확인부에 의해 생성된 에러 정보를 상기 운영자 조작부나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정보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소프트웨어의 다운로드나 상기 소프트웨어의 버전 업데이트에 대한 원격 제어 요청 또는 운영자 호출을 위한 원격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상태에 따라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를 사용중 모드 또는 사용중지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역 단위 감시 시스템 또는 중앙 전산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에러 발생, 원격 제어 요청의 수신, 및 상기 운영자 조작부의 가동 요청 수신 중 적어도 하나가 수신되면 상기 운영자 조작부의 가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자 조작부는, 상기 운영자 조작부가 가동되면 인증절차를 수행하여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의 제어 또는 유지 보수를 위한 메뉴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운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승차권의 발행을 위해 지불된 금액 및 상기 운임 정보를 기초로 상기 승차권의 발행 여부를 결정하는 승차권 발행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운임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운임 정보를 결정하고, 승객으로부터 신용카드를 이용한 승차권의 발행이 요청되는 경우 결제 대상 신용카드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운임 정보를 기초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여 결제가 승인되면 상기 승차권 발행을 결정하는 승차권 발행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승객으로부터 상기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되어 상기 승차권의 충전이 결정되면, 상기 승차권에 기록된 금액을 승객으로부터 충전 요청된 금액과 합산함으로써 상기 승차권을 충전하는 승차권 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객 정보 표시부는 상기 승차권의 충전을 위한 메뉴화면을 승객에게 제공하고, 승객으로부터 상기 승차권 충전 요청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의 충전이 요청되면, 충전 요청된 승차권이 충전 가능한 타입의 승차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충전 가능한 승차권인 경우 충전 요청된 금액 이상의 화폐가 투입되면 상기 승차권의 충전을 결정하는 승차권 충전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의 충전을 위하여 승객이 원하는 금액 단위로 승차권 충전 금액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객 정보 표시부를 통해 현금 영수증 발급 요청과 함께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를 기초로 현금 영수증을 발급하고 상기 현금 영수증 발급을 위한 정보 및 상기 운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제공하는 현금 영수증 발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발행부는,
    발행될 승차권이 적재되어 있는 승차권 적재함;
    상기 승차권의 발행이 결정되면, 상기 승차권 적재함으로부터 인출된 승차권에 상기 승차권 정보를 기록하는 승차권 정보 기록부;
    상기 승차권 적재함으로부터 상기 승차권을 인출하여 상기 승차권 정보 기록부로 이송하는 승차권 이송부; 및
    상기 승차권의 발행 중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 내에서 상기 승차권의 위치를 추적하여 승차권의 걸림 여부를 판단하는 승차권 위치 추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발행부는,
    발행될 승차권이 적재되어 있는 승차권 적재함에서 잔존 승차권의 개수를 판단하여, 잔존 승차권의 개수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알람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람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발행부는,
    발행된 승차권이 정상적인 승차권인지 여부를 검사하여 정상적인 승차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승차권의 폐기를 결정하고 새로운 승차권의 재 발행을 요청하는 승차권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의 발행을 위해 화폐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화폐가 정상적인 화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상적인 화폐가 아닌 경우 상기 투입된 화폐를 반환하고, 정상적인 화폐인 경우 상기 투입된 화폐의 금액을 확인한 후 상기 투입된 화폐를 화폐 보류함 또는 화폐 수집함으로 이동시키는 화폐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AC 전압을 DC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에 공급하는 주전원부;
    상기 주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백업 배터리; 및
    상기 AC 전압이 상기 주전원부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RCCB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차권 발행장치는 측면도어 및 후면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도어는 상기 후면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차권 발행장치.
KR1020090124968A 2009-12-15 2009-12-15 승차권 발행 장치 KR10111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68A KR101114692B1 (ko) 2009-12-15 2009-12-15 승차권 발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968A KR101114692B1 (ko) 2009-12-15 2009-12-15 승차권 발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25A KR20110068125A (ko) 2011-06-22
KR101114692B1 true KR101114692B1 (ko) 2012-02-29

Family

ID=4440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968A KR101114692B1 (ko) 2009-12-15 2009-12-15 승차권 발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6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9762B1 (ko) * 2010-06-28 2013-01-09 최종백 Rf 티켓 자동 발매기 및 이를 사용한 rf 티켓 발매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71U (ko) * 1993-05-20 1994-12-10 티켓 무인 자동판매 시스템
KR19990066004A (ko) * 1998-01-20 1999-08-16 전영삼 1회용 알에프 카드 발매기
KR20040053059A (ko) * 2004-05-31 2004-06-23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승차권 자동 발매기
JP2004213556A (ja) 2003-01-08 2004-07-29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券売機及び自動改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371U (ko) * 1993-05-20 1994-12-10 티켓 무인 자동판매 시스템
KR19990066004A (ko) * 1998-01-20 1999-08-16 전영삼 1회용 알에프 카드 발매기
JP2004213556A (ja) 2003-01-08 2004-07-29 Nippon Signal Co Ltd:The 自動券売機及び自動改札装置
KR20040053059A (ko) * 2004-05-31 2004-06-23 현대정보기술주식회사 승차권 자동 발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125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3583A (ko) 현금처리기
JP4007842B2 (ja) 金融営業店における貨幣処理システム
CA2328198A1 (en) Automatic validating farebox system and method
KR101256294B1 (ko)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JP5401215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114692B1 (ko) 승차권 발행 장치
KR101276517B1 (ko) 절전기능을 구비한 역무 자동화 시스템
KR101114706B1 (ko) 승차권 정산 장치
US11887091B2 (en) Money handling apparatus and money handling system
JP6529940B2 (ja) インフォメーションシステム
JP5250734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KR101130417B1 (ko) 승차권 개집표 장치
JP2004362032A (ja) 現金処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114596B1 (ko) 역무 자동화 시스템
JP4966279B2 (ja) 駅務機器
JP3037011B2 (ja)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
JPH09251577A (ja) レジスタシステム
JP5349626B2 (ja) 駅務機器
JP3833737B2 (ja) 現金処理システム
KR20040053059A (ko) 승차권 자동 발매기
JP2000113253A (ja) 駅務機器
JPH0729069A (ja) 現金管理システム
JP4797443B2 (ja) 駅務システム、およびサーバ装置
JP3664991B2 (ja) 中央集中型精算機システム
KR101436216B1 (ko) Rfid를 이용한 급전급수 운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