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899B1 -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899B1
KR100359899B1 KR1020000002896A KR20000002896A KR100359899B1 KR 100359899 B1 KR100359899 B1 KR 100359899B1 KR 1020000002896 A KR1020000002896 A KR 1020000002896A KR 20000002896 A KR20000002896 A KR 20000002896A KR 100359899 B1 KR100359899 B1 KR 10035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vehicle
ventilation
containment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575A (ko
Inventor
고지 이이노
Original Assignee
고지 이이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73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001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8657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26795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지 이이노 filed Critical 고지 이이노
Publication of KR2000005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3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assembled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3Artificial seawe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체 하우징(11)과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와, 통기부재로 이루어지며, 본체하우징(11)은, 그 둘레 가장자리의 홈과, 중앙의 환기개구(11a)를 구비하고, 둘레 가장자리의 홈으로서 적어도 자동차의 창문영역의 뒤쪽의 홈(11b)과, 앞쪽의 홈(11c)과, 아래쪽의 홈(11d)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뒤쪽의 홈(11b)에 봉쇄판A (13)의 우단이, 상기 앞쪽의 홈(11c)에 봉쇄판B(14)의 좌단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또한 조정가능하에 걸어넣어져 있고, 그리고 상기 아래쪽의 홈(11d)에는 자동차의 창틀의 아래 가장자리(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끌려 들어간 창문유리(6)가 출몰가능하게 걸어넣어지고, 본체하우징(11)의 상기 환기개구(11a)에 계속되는 내실에는 복수의 통기부재가 층형상으로 겹쳐져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부재.

Description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VENTILATION SYSTEM FOR CAR WINDOW}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로서 공지의 것에는, 착탈식 자동차용 환기장치로서, 플라스틱 등으로 일체성형되고, 복수의 환기구를 구비한 윈도패널을 자동차의 도어새시틀과 윈도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끼워서 외기와의 자연환기를 행하게 하는 것(일본 특개평 2 - 220924호 공보)이거나,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로서, 자동차의 도어새시틀과 원도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의 약간의 간극에 배기팬만을 설치하는 것(일본 실개평 6 - 55818호 공보) 등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에서는, 윈도패널의 4개 둘레를 자동차의 도어새시틀 및 윈도글라스의 상단 가장자리 사이에 조정불가능하게 장착하는 형식의 것이기 때문에, 창문의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경우나 상이한 차종에 대한 적용성이 결여된다는 결점이 있고, 또 팬에 의한 배기만으로 외기와의 사이의 자연환기도 이용하지 않는 것은 환기용량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등의 결점을 동반 하는 것이다.
종래 공지의 환기장치에서는, 환기부재가 어느 것이나 한 겹의 필터이기 때문에, 먼지나 빗물의 침입이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외부에서 장난하기 쉬운 구성이었다. 더욱이 종래의 환기부재의 통기구멍의 형상으로는, 외부로부터 통기구멍을 통과하여 차내에 물체가 투입될 수 있는 등의 위험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를, 창문의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경우나 상이한 차종에 대한 적용성이 풍부한 구성으로 하고,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유연하게 대응하도록, 외부로부터 차내에 먼지나 빗물 등의 직접적인 침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또한 환기기능에 맞추어서 팬유닛 등의 환기장치의 구성부재를 여러가지 조합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과제는, 통기부재를 통과하는 통기량이 조정가능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를 안출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1a는 그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G-G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1c는 도 1a의 H-H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1d는 도 1a의 I 화살표방향 도면,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2a는 그 정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G-G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2c는 도 2a의 H-H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2d는 도 2a의 I 화살표방향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본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1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3a는 도 1a의 III - III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b는 도 1a의 Z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3c는 도 1a의 z' 화살표방향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2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4a는 도 2a의 IV - IV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b는 도 2a의 Z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4c는 도 2a의 Z' 화살표방향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도 2a의 V 화살표방향에 의한 부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2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의 팬구동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3 실시예을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7a는 그 정면도, 도 7b는 도 7a의 G - G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7c는 도 7a의 H - H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7d는 도 7a의 I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7e는 도 7a의 K - K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4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며, 도 8a는 그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G - G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8c는 도 8a의 H - H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8d는 도 8a의 I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8e는 도 8a의 K - K 단면 화살표방향 도면,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4 실시예의 측면도이며, 도 9a는 도 8a의 IX - IX 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b는 도 9a의 부분확대도, 도 9c는 도 8a의 Z 화살표방향 도면, 그리고 도 9d는 도 8a의 Z' 화살표방향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덮개틀의 도면이며, 도 10a는 그 정면도, 그리고 도 10b는 그 측면 단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덮개틀에 끼워넣어지는 덮개의 도면이며, 도 11a는 그 정면도, 그리고 도 11b는 그 측면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f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가로형의제 1 실시양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그 정면도, 도 12b는 그 측면도, 도 12c는 봉쇄판과 자동차의 창문틀의 위 가장자리 및 아래 가장자리와의 접속부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12d는 접속부의 변형을 표시하는 단면도, 도 12e는 래크·피니언기구의 측면도, 그리고 도 12f는 래크와 피니언의 맞물림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및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가로형의 제 2 실시양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13a는 그 정면도, 도 13b는 그 부분측면도와 함께 표시된 부분정면도, 도 13c는 제 5 봉쇄판의 도 13a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 그리고 도 13d는 제 4 봉쇄판의 도 13a의 B' - B'선을 따르는 단면도.
이 과제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특정된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외기에 대한 자연의 환기기능만의 경우, 팬유닛도 사용하여 강제적으로 환기시키는 경우, 하우징에 차양겸 풍우방지용 차양을 설치하는 경우와 설치하지 않는 경우, 팬유닛의 구동을 위해 태양열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와 자동차에 비치식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 관하여, 각각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할 수 있는 것 외에, 항상 동일한 본체하우징을 사용하고 또한 자동차의 창문틀 및 창문유리의 상단 가장자리와 접속부분인 봉쇄판(창문유리와 동등정도의 두께의 조정가능한 간극 봉쇄판을 말한다. 이하 동일)을 투명 아크릴 수지 등의 일정한 두께의 봉쇄판재를 단순히 소정의 윤곽으로 절단함으로써, 창문의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경우나 상이한 차종에 대해서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에 의한 경우와 같이 고가인 성형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또한 특정의 한 차종밖에는 사용될 수 없는 전용품은 아니기 때문에, 여러가지 자동차에 적합하게 부착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봉쇄판의 가공은 통상의 사용자가 행할 수는 없고, 봉쇄판의 최종적인 윤곽가공은,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메이커나 자동차의 수리공장 등에 설치된 절단기계에 의해 행해지는 것은 물론이다.
또, 통기부재가 부착된 덮개틀에 전체 통기부재를 통과하는 통기량을 조정가능하게 하는 덮개판을 개폐가능하게 부설하였으므로, 자동차의 창문에 그 통기량이 조정가능한 환기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는, 이하에 도시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동차의 사이드도어에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기재되어 있는데, 물론 동일한 구성에 의해 자동차의 후부의 창문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d 및 도 3a 내지 도 3c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1 실시예로서의 팬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 2a 내지 도 2d 및 도 4a 내지 도 4c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2 실시예로서의 팬유닛을 구비한 구성이 표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창문글라스 로크용 글라스 누르개가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2 및 제 4 실시예의 팬 구동시스템을 태양열 배터리에 의해 구동하는 경우의 구동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a 내지 도 7e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3 실시예로서 덮개판을 구비하여 팬유닛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성이 표시되어 있으며, 도 8a 내지 도 8e 및 도 9a 내지 도 9d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4 실시예로서 덮개판 및 팬유닛을 구비한 구성이 표시되어 있고, 도 10a 및 도 10b에는, 가장 내측의 통기부재가 부착되는 덮개틀이 표시되며, 도 11a 및 도 11b에는 덮개틀에 부설되어 전체 통기부재를 통과하는 통기량을 조정가능하게 하기 위한 덮개판이 표시되어 있다.
도 1a, 도 2a, 도 7a, 및 도 8a에 있어서, 자동차의 창문유리(6)를 소정의 끌어넣기위치, 즉 창문유리(6)의 위 가장자리(6a)가, 예컨대 도 1a에 도시하는 위치로 내려진 위치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가 장착된 상태가 표시되어 있다. 1은 창문틀의 위 가장자리, 2는 창문틀의 아래쪽 가장자리, 3은 창문틀의 뒤쪽 가장자리, 4는 창문틀의 경사 가장자리, 그리고 5는 창문틀의 앞쪽 가장자리를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4 실시예의 중심단면을 도시하는 도 9a의 구성은, 팬유닛을 제외하고는, 도 7a에 표시하는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11은 본체하우징이며, 중앙에 환기개구(11a)가 열리며, 뒤쪽에는 봉쇄판 A(13)용 홈(11b), 앞쪽 가장자리에는 봉쇄판B(14)(또는 14')용 홈(11c),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창문유리(6)용 홈(11d), 그리고 본체하우징(11)의, 전방에 창문틀의 경사 가장자리의 윤곽에 상응하여 이것과 대략 평행하게 뻗는 전방부분(11')의 경사 가장자리에는, 봉쇄판B(14)(또는 14')용 홈(11'e)이, 또, 아래쪽에는 창문유리(6)용 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전방부분(11')을 포함하여 본체하우징 (11)은, 전체로서 올챙이모양 또는 안경의 반분에 상당하는 것 같은 형상을 드러낸다. 이 때 본체하우징(11)의 아래쪽 가장자리는, 자동차의 창문틀의 아래쪽 가장자리(2)에 대하여 상당히 상방에 위치하도록, 자동차의 창문틀의 아래쪽 가장자리(2)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도 1a에 도시하는 창문틀 윤곽의 창문과는 그 크기나 형상이 달라도,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또는 14')의 외형윤곽을 변경하는것 만으로 본체하우징(11)을 하등 변형할 필요 없이, 여러가지의 창문틀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뒤쪽의 봉쇄판A(13)의 좌단은 창문틀의 뒤쪽 가장자리(3)에 형성된 창문유리(6)용의 끌어넣기홈에 끼워넣게 되고, 그 우단은, 본체하우징(11)의 뒤쪽의 홈(11b)에 걸어넣어져 있으며, 도 3b, 도 4b 또는 도 9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홈(11b)중에, 바람직하게는 봉쇄판A(13)과의 걸어맞춤범위에 단부(段部)를 갖는 스토퍼를 끼워넣을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와의 걸어맞춤 범위에 단부를 갖는 봉쇄판A(13)의 선단과 홈(11b)의 바닥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즉 봉쇄판A(13)의 선단과 스토퍼와의 사이를 치수(S)의 범위내로 조정할 수가 있다. 조정은, 본체하우징(11)의 홈(11b)에 대하여 봉쇄판A(13)을, 예컨대 도 1a에 화살표시(A, B)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요동 및 출몰시키므로써 행해진다.
봉쇄판A(13)의 전체 형상은 직각3각형상이다. 봉쇄판A(13)은, 본체하우징 (11)에 대하여 고정나사(15, 15)에 의해 스폿 페이싱(spot facing)(11f)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너트와의 결합에 의해 스폿 페이싱(11f') 중에서 공구를 조작하여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그 때 최종적인 간극 봉쇄용 부재로서 본체하우징(11)과 봉쇄판A(13)과의 사이에 봉쇄 심(shim)(13a)을 끼워넣을 수 있다.
한편 앞쪽의 봉쇄판B(14)(또는14')의 좌단은 본체하우징(11)의 앞쪽의 홈 (11c)에 걸어넣어져 있으며, 그 외의 끝은 창문틀의 경사 가장자리(4)의 창문유리용 홈, 창문틀의 앞쪽 가장자리(5)의 창문유리용 홈, 및 본체하우징(11)의 수평홈 (11'd) 및 경사홈(11'e)중에 걸어넣어져 있으며, 도 3c, 도 4c 또는 도 9d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뒤쪽의 봉쇄판B(14)(또는 14')의 좌단의 본체하우징 (11)의 앞쪽의 홈(11c)으로의 걸어넣기는, 홈(11c)중에 바람직하게는 봉쇄판B(14)(또는 14')와의 걸어맞춤 범위에 단부를 갖는 스토퍼를 끼워넣고, 그것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스토퍼와의 걸어맞춤범위에 단부를 갖는 봉쇄판B(14)(또는 14')의 선단과 홈(11c)의 바닥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 즉 봉쇄판B(14)(또는14')의 선단과 스토퍼와의 사이를 치수(S')범위내에서 조정할 수 있다. 조정은, 본체하우징(11)의 홈(11c)에 대하여 봉쇄판B(14)(또는 14')을, 예컨대 도 1a에 화살표(A',B')로 도시하는 방향으로 요동 및 출몰시키므로써 행해진다.
봉쇄판B(14)(또는 14')의 전체 형상은 날붙이의 자루형상이다. 봉쇄판B(14)(또는 14')은, 본체하우징(11)에 대하여 고정나사(15', 15')에 의해 스폿 페이싱 (11g)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너트와의 결합에 의해 스폿 페이싱(11g')중에 공구를 조작해서 최종적으로 고정된다. 그 때 최종적인 간극 봉쇄용 부재로서, 본체하우징(11)과 봉쇄판B(14)(또는 14')과의 사이에 봉쇄 심(14a)(또는 14'a)를 끼워넣을 수 있다.
스폿 페이싱(11f, 11f', 11g 및 11g')이, 예컨대 도 1a에서 보아 그 상방에서 폐쇄되어 있고 하방에서 개방되어 있는 것은, 고정나사(15, 15')를 약간 완화하여 본체하우징(11)에 대하여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또는 14')을 조정할 때, 본체하우징(11)에 대하여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또는 14')의 걸어맞춤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이다.
자동차의 창문유리(6)와 본체하우징(11)의 하부의 홈(11d)을 걸어맞춤하는데에는, 자동차의 창문유리(6)를 창문틀의 아래쪽 가장자리(2)의 홈중으로 완전히 끌어넣은 상태로, 홈(11d)중에 미리 고무시일(17)을 끼워넣어진 본체하우징(11)과 함께(가조립상태로)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또는 14')을, 창문틀의 뒤쪽 가장자리(3), 창문틀의 위쪽 가장자리(1)의 창문유리용 홈, 창문틀의 경사 가장자리(4) 및 창문틀의 앞쪽 가장자리(5)에 걸어넣게한 후, 상기 고정나사(15, 15')를 스폿 페이싱(11f, 11g)중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너트에 대하여 죄이므로써, 본체하우징 (11)에 완전히 고정하고, 자동차의 창문유리용의 개폐핸들을 조작하여 자동차의 창문유리(6)를 창문틀의 아래쪽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내보내고, 그 창문유리 (6)의 위쪽 가장자리를 본체하우징(11)의 하방의 홈(11d) 중의 고무시일(17)과 압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전방 봉쇄판B(14)(또는 14')을 포함하여 본체하우징(11)의 전방부분(11')과 창문유리(6)와의 사이에 진동등의 장해가 발생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1)의 전방 부분(11')에 핀(36)에 의해 장착된 창문유리 로크용의 유리누르개(35)가 조작되고, 그것에 의해 유리누르개(35)의 클램프부재(37)가 압축스프링(38)의 힘에 의하여 창문유리(6)를 본체하우징(11)의 전방부분(11')에 로킹한다. 도 1a, 도 2a, 도 7a 및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문유리 로크용의 유리누르개(35)는, 본체하우징(11)에 복수개소, 예컨대 2개소, 그리고 본체하우징(11)의 전방부분(11')에는 1개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도난이나 파괴방지를 위하여, 봉쇄판A(13), 봉쇄판B(14)(또는 14')와 본체하우징(11)의 홈(11b, 11c) 사이를 전기적으로 브리징(bridging)하는 회로를 설치하고, 그 회로에 경보기를 중간접속하여, 이 경보회로가 차단된 경우에 경보기가 경보음을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도 4a 및 도 9a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에는, 본체하우징(11)의 환기개구(11a)에 대하여 단부를 통하여 계속되는 환기개구 (11a) 보다도 큰 개구횡단면적의, 내벽(11a')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실이 형성되고, 내벽(11a')에 의해 안내되어 펀치메탈로 이루어지는 통기부재(21)가 교환가능하게 장착되고, 통기부재(21)에 계속해서 간격부재(22)를 통하여 별도의 펀치메탈로 이루어지는 통기부재(20)가 교환가능하게 장착되며, 통기부재(20)의 다수의 통기구멍 (20a)은, 예컨대,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통기부재(21)의 다수의 통기구멍(21a)에 대하여 동일한 열(列)로 되지 않도록, 펀치메탈(21, 20)의 전면에 걸치어 서로 중심을 어긋나게 하여 배열되고, 그것에 의해, 또한 간격부재(22)를 통하여 장착되는 통기부재로서의 망판(網板)(19)에 차밖으로부터 직접 먼지나 빗물이 이르지 못하게 되어 있다. 망판(19)에 대신하여 통기성이 있는 종이필터, 합성섬유필터, 혹은 공기 유통구멍(19a)을 갖는 필터등을 교환가능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망판(19)의 내측에, 환기기판(18)이 장착되고, 환기기판(18)은 나사(23)에 의해 부착구멍(18c)을 통과하여 본체하우징(11)에 고정하여 부착된다. 환기기판(18)도 통기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수의 통기개구 (18b)를 갖는다. 물론, 통기기판(18)은 본체하우징(11)의 환기개구(11a)와 동일한 크기·형상의 환기개구(18a)를 갖는다. 상기 다수의 통기개구(18b)는, 통기용으로서 도움이 되는 외에 환기기판(18)을 본체하우징(11)에 대하여 조립하고, 분해 또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전체를 들어올리거나 할 경우에 사용되는 수개의 조작노브(24)를 각각 대응하는 너트(25)에 죄이므로써 환기기판(18)에 고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본체하우징(11)의 환기개구(11a)에 계속되는 내벽(11a')에 의해 둘러싸인 내실로부터, 창문으로의 부착상태로 본체하우징(11)의 하방영역에는, 내벽(11a')에 뚫려서 본체하우징(11)의 외측에 개구되는 배수구멍(26, 26')을 구비한다.
도 2a 및 도 8a에 표시되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4 실시예는, 본체하우징(11)에 개개의 차양요소(12a, 12b, 12c, 12d, 12e)로 이루어지는 차양 겸 풍우방지용 차양(12)이 설치되어 있는 점 및 강제적 환기장치로서의 팬유닛(30)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1a 및 도 7a에 도시하는 제 1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와는 상위하다. 그러나, 명세서의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환기장치 구성부재의 여러가지 조합을 가능하게 하는 점에 특징을 가지므로, 제 2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로서 설명하는 것 이외에도 환기장치 구성부재의 여러가지 조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차양 겸 풍우 방지용 차양(12)은, 도 5에도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2a, 도 4a, 및 도 8a 및 도 9a에는 또한 팬유닛(30)이 표시되어 있다. 팬유닛(30)은 환기기판(18)에 부착된 팬하우징(31)과 그 내단에 부착된 통기판 겸 팬부착판(33)으로 구성되고, 또한 통기판 겸 팬부착판(33)에는 날개바퀴(32)가 주축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팬유닛(30)은 선택이며, 사용자의 요망에 의해 부착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의 팬유닛(30)의 구동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의 전면유리의 내측에 부착될 수 있는 태양열패널(41)에 있어서 광전변환된 전류는 콘덴서(42)에 공급되고, 거기서 역류저지되어 변환스위치(43), 충전가능한 배터리(44)에 흐르며, 필요이상의 전력은 배터리 (44)에 충전된다. 거기로부터 온도센서(예컨대 서모스탯)(45)를 거쳐서 작동시간 설정가능한 타이머(46)로부터 타이머(46)에 의해 설정된 시간 동안 팬유닛(30)에 전류가 흐른다. 온도센서(45)에서 미리 세팅된 온도이하로 자동차 내실이 냉각된 경우에는, 온도센서(45)로부터의 신호를 변환스위치(43)로 복귀시키고, 자동차의 시가라이터 콘센트 등에 접속된 도선을 통하여 변환스위치(43)를 조작함으로써, 자동차용으로 원래 구비된 배터리(47)를 충전하여, 자동차용 배터리의 전력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팬유닛의 전원은, 도 6에 기재된 블록도 이외에, 자동차의 도시하지 않은 시가라이터 콘센트에 플러그소킷를 꽂아서, 시가라이터전원을 이용하는 경우나, 태양열 자동차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변환장치를 장비하는 경우에는, 태양열 자동차의 태양열 발전기로부터 팬유닛에 급전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고, 도 8a 내지 도 8e 및 도 9a 내지 도 9d는 제 4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들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7e 및 도 8e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창문유리(6)에 홈(11'd)에 의해 걸치는 본체하우징(11)의 전방부분(11')의 위 가장자리의 홈(11'e)에 전방의 봉쇄판B(14')이 끼워넣어지고, 3개소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는 나사(11'A)에 의해 전방부분(11')은, 전방의 봉쇄판B(1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9a, 도 10a 및 도 11a에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간격부재(22)를 통하여 내벽(11'a)으로 안내되어 덮개유닛(51)의 덮개틀(52)이 본체하우징(11)에 부착되고, 덮개틀(52)에는, 예컨대 통기부재(21, 20, 19)에 계속해서 위치하는 금속망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기부재(55)가 부착되며, 덮개틀(52)에는 개구(54)가 중앙에 개방되어, 이 개구(54)를 봉쇄하도록 덮개판(56)이 덮개틀(52)에 부설되어 있고, 덮개판(56)은 노브(62)를 조작해서 덮개틀(52)의 단부(53) 위를 미끄럼이동하여 개폐가능하다. 덮개판(56)이 임의의 개방위치에서 덮개틀(52)에 마찰걸어맞춤되기 위하여,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판(56)의 좌우의 측면상의 구멍(57, 57) 중에는 각각 스프링(61)에 의해 가압된 핀(60)이 부설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이 핀(60)이 덮개틀(52)의 단부(53)의 측벽에 마찰걸어맞춤되어 있고, 덮개판(56)은 그 내부의 밀봉홈(59)에 끼워넣어진 시일링(58)에 의해 밀봉되면서 덮개틀(52)의 단부(53) 위를 미끄럼이동가능하고 또한 임의의 위치에 고정가능하게 되며, 환기기판(18)에 설치되고, 그 선단이 덮개판(56)에 이르는 로크볼트(65)의 죄임에 의해 덮개판(56)은 덮개틀(52)에 로크되며, 그 결과 덮개틀(52)의 개구(54), 따라서 전체 통기부재(21, 20, 19, 55)를 통과하는 통기량을 0을 포함하여 임의의 값으로 조정가능하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f 및 도 13a 내지 도 13d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가로형의 제 1 실시양태 및 제 2 실시양태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도 12a 내지 도 12f에 표시되는 제 1 실시양태에 있어서, 자동차의 창문유리 (106)의 전단에 패킹(107a)과 함께 창문틀(107)이 부설되어 있으며, 창문틀 (107)내에 미끄럼이동하여 출몰가능하게 제 3 봉쇄판(108)이 격납되어 있다. 제 3 봉쇄판(108)의 전단 영역에는 금구(109)가 고정되고, 금구(109)에는 로크(110)가 부설되어 있다. 창문틀의 앞 가장자리(104)와 제 3 봉쇄판(108)과의 사이에 끼워넣어지고, 또한 제 1 봉쇄판(114)을 유지하는 금구(112)의 돌기에 로크(110)의 훅을 걸어맞춤시키므로써, 제 3 봉쇄판(108)과 제 1 봉쇄판(114)이 결합된다.
제 1 봉쇄판(114)에는, 중앙부에 복수의 메시판(119)이 층형상으로 삽입될 수 있는 본체하우징(111)이 구비되어 있다. 메시판(119)의 메시구멍은 통상의 퍼포레이션(perforation)구멍 이외에,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프레스에 의한 돌출등에 의해 형성되고, 메시판(119)의 외면이 융기되고 또한 통기성을 갖는 반원식 창문스크린 혹은 슬릿식 창문스크린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메시판(119)은 통기성을 갖는데, 풍우의 직접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하우징(111)의 자동차 내측에는, 팬유닛(130)이 부설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실외와 실내의 환기를 행할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제 1 봉쇄판(114)은 그 전단에 부설된 금구(131)에 고정된 로크(132)에 의해, 창문틀의 앞 가장자리(104)에 고정된 걸음부재(133)의 훅에 걸음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c에 의하면, 제 2 봉쇄판(135)은, 자동차의 창문의 위 가장자리(101)와 제 1 봉쇄판(114)의 아래 가장자리(114b) 사이의 간극을 봉쇄하기 위하여 유용하고, 그 때 제 2 봉쇄판(135)은 제 1 봉쇄판(114)에 부설된 2조의 래크 및 피니언(136, 137, 138, 139)에 의해 제 2 봉쇄판(135)의 하면(135b)이 지지되어 승강되며, 그리고 제 2 봉쇄판(135)의 위 가장자리를 자동차의 창문의 위가장자리(101)의 홈에 침입시킬 수 있다. 138a 및 139a는 각각 피니언(138 및 139)의 회전용 노브이다.
제 2 봉쇄판(135)은 단부(135a) 및 하면(135b)를 갖고 있으며, 단부(135a)는 제 1 봉쇄판(114)의 앞 상단(114a)에 지지되며, 하면(135b)은 그 하강위치에서는 제 1 봉쇄판(114)의 아래 가장자리(114b)에 지지된다. 제 1 봉쇄판 (114)의 앞 상단(114a)과 제 2 봉쇄판(135)의 단부(135a) 사이에는, 패킹(141)이 삽입되어 있고, 제 1 봉쇄판(114)에 고정된 가압판(140)을 통하여 나사(142)를 죄이므로써 양자의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도 12d에는 제 1 봉쇄판(114)과 창문의 아래 가장자리(102)와의 접합부의 변형예가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변형된 제 1 봉쇄판(114')의 아래 가장자리는 2개의 볼록 가장자리(114'a, 114'b)를 가지며, 그들을 창문의 아래 가장자리 (102)의 홈과 조합시키므로써 변형된 제 1 봉쇄판(114')의 아래 가장자리가 자동차의 창문에 대하여 밀봉되어서 접속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가로형의 제 2 실시양태가 표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창문틀에 출몰가능하게 격납된 제 3 봉쇄판(108)에는 훅(110)이 부설되어 있으며, 봉쇄판 격납케이스(160)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훅에 걸음될 수 있다. 봉쇄판 격납케이스(160)의 후단에는 제 3 봉쇄판(108)의 전단을 둘러싸는 형태의 수용부(160a)가 형성되며, 그 전체폭에 걸쳐서 제 5 봉쇄판(150) 수용용의 오목부(160b)와 바닥(160c)이 형성되어 있다. 봉쇄판 격납케이스(160)의 앞 가장자리는, 창문틀의 앞 가장자리(104)의 홈에 걸어넣는 제 4 봉쇄판(161)을 형성하고, 제 4 봉쇄판(161)은 봉쇄판 격납케이스(160)와 일체로 형성되든지, 혹은 별도로 형성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봉쇄판 격납케이스 (160)는 하방으로 향해서 그 두께를 얇게하고, 하단부는 제 4 봉쇄판(161)과 동일한 두께로 될 수도 있다.
제 5 봉쇄판(150)의 위 가장자리는 자동차의 창문의 위 가장자리(101)의 홈에 끼워넣을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5 봉쇄판(150)은, 전방의 단부(150a)와, 하면(150b)과, 후방의 단부(150d)와 제 3 봉쇄판(108)의 앞 가장자리 (108a)에 걸어맞춤하는 홈(150c)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3 봉쇄판(108)과 제 5 봉쇄판(150)의 홈(150c) 사이를 밀봉하도록 패킹(151)이 홈(150c)에 끼워넣어져 있다. 전방의 단부(150a)는 패킹(152)을 통하여 봉쇄판 격납케이스(160)의 단부(161a) 상에 지지된다. 하면(150b)은, 가장 하강했을 때에는 봉쇄판 격납케이스(160)의 오목부(160b)의 바닥(160c)에 지지된다. 그 밖의 경우에는 래크 및 피니언(156, 158, 157, 159)에 의해 래크(156, 157)의 상단에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제 5 봉쇄판(150)을 승강시킬 수 있다.
통기성의 차양 겸 풍우방지용 차양(155)은 복수의 차양요소(155a, 155b)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는, 외부로부터 차내에 먼지나 빗물 등의 직접침입을 저지하고, 또한 통기부재를 통과하는 통기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는, 창문의 크기나 형상이 상이한 경우나 상이한 차종에 적용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본체하우징(11)과,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와, 통기부재(18, 19, 20, 21)로 이루어지며,
    본체하우징(11)은, 그 주위의 가장자리와, 중앙의 환기개구(11a)를 구비하며, 주위의 가장자리로서 적어도 자동차의 창문영역의 뒤쪽의 홈(11b)과, 앞쪽의 홈(11c)과, 아래쪽 홈(1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뒤쪽의 홈(11b)에 봉쇄판A(13)의 우단이, 상기 앞쪽의 홈(11c)에는 봉쇄판B(14)의 좌단이 각각 착탈가능하고, 또한 조정가능하게 걸어넣어져 있으며, 그리고 아래쪽의 홈(11d)에는 자동차의 창문틀의 아래 가장자리(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끌어넣어진 창문유리(6)가 출몰가능하게 걸어넣어지고, 그 때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의 남은 둘레 가장자리가, 각각 자동차의 창문틀의 뒤쪽의 가장자리(3), 위쪽의 가장자리(1), 경사진 가장자리(4) 및 앞쪽의 가장자리(5)에 걸어넣어지고,
    그리고 본체하우징(11)의 상기 환기개구(11a)에 계속되는 내실에는 복수의 통기부재(18, 19, 20, 21)가 층형상으로 겹쳐서 배열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해 자동차의 창문에 환기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2.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본체하우징(11)과,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와, 통기부재(18, 19, 20, 21, 55)로 이루어지며,
    본체하우징(11)은, 그 주위의 가장자리와, 중앙의 환기개구(11a)를 구비하며, 주위의 가장자리로서 적어도 자동차의 창문영역의 뒤쪽의 홈(11b)과, 앞쪽의 홈(11c)과, 아래쪽의 홈(11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뒤쪽의 홈(11b)에 봉쇄판A (13)의 우단이, 상기 앞쪽의 홈(11c)에는 봉쇄판B(14')의 좌단이 각각 착탈가능하게, 또한 조정가능하게 걸어넣어져 있고, 그리고 아래쪽의 홈(11d)에는 자동차의 창문틀의 아래 가장자리(2)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끌어넣어진 창문유리(6)가 출몰가능하게 걸어넣어지며, 그 때 봉쇄판A(13) 및 봉쇄판B(14')의 남은 둘레 가장자리가, 각각 자동차의 창문틀의 뒤쪽 가장자리(3), 위쪽 가장자리(1), 경사진 가장자리(4) 및 앞쪽의 가장자리(5)에 걸어넣어지고,
    그리고 본체하우징(11)의 상기 환기개구(11a)에 계속되는 내실에는 복수의 통기부재(18, 19, 20, 21, 55)가 층형상으로 겹쳐서 배열되어 있으며, 가장 안쪽의 통기부재(55)의 부착된 덮개틀(52)에, 상기 통기부재(18, 19, 20, 21, 55)를 통과하는 통기량을 조정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덮개판(56)이 부설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자동차의 창문에 환기기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환기기능강화를 위하여 팬유닛(30)이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팬유닛(30)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자동차에 태양열패널 (41)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부착된 태양열패널(4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차에 부설된 고유의 배터리(47)에 공급하기 위하여 태양열패널 (41)로부터 배터리(47)에 도선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자동차에 부착된 태양열패널(41)로부터 팬유닛(30)으로의 도전시스템에,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운전·정지의 온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온도센서(45)가 부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하우징(11)의 환기개구 (11a)에 계속되는 내실로부터 본체하우징(11)의 외면에 개구되는 배수구멍(26, 26')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하우징(11)이, 그 환기개구(11a)의 영역에 차양 겸 풍우방지용 차양(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후부의 창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팬유닛(30)의 구동용 전원으로서, 자동차의 시가라이터의 전원전압이 이용되고, 또는 태양열 자동차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태양열 자동차의 태양열 발전기의 전원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의 도난방지 및 파괴방지를 위해, 봉쇄판A(13) 또는 봉쇄판B(14 또는 14')와 본체하우징(11)의 홈(11b, 11c) 사이를 전기적으로 브리징하는 회로에 경보기가 편입되어, 그것에 의해 경보회로가 차단된 경우 경보가 발신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12. 제 3의 봉쇄판(108)과 창문틀의 앞 가장자리(104) 사이에 제 1 봉쇄판(114) 또는 제 4 봉쇄판(161)이 장착되고, 제 1 봉쇄판(114) 또는 제 4 봉쇄판(161)의 상부와 자동차의 창문의 위 가장자리(101) 사이에 제 2 봉쇄판(135) 또는 제 5 봉쇄판(150)이 장착되며, 제 2 봉쇄판(135) 또는 제 5 봉쇄판(150)은 래크 및 피니언기구(136, 137, 138, 139 또는 156, 157, 158, 159)에 의해 자동차의 창문의 위 가장자리(101)의 홈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걸어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KR1020000002896A 1999-01-22 2000-01-21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KR100359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4731 1999-01-22
JP1473199A JP3000018B1 (ja) 1999-01-22 1999-01-22 自動車の窓用換気装置
JP28657799A JP3526795B2 (ja) 1999-10-07 1999-10-07 自動車の窓用換気装置
JP99-286577 1999-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575A KR20000053575A (ko) 2000-08-25
KR100359899B1 true KR100359899B1 (ko) 2002-11-07

Family

ID=2635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896A KR100359899B1 (ko) 1999-01-22 2000-01-21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224479B1 (ko)
EP (1) EP1022170B1 (ko)
KR (1) KR100359899B1 (ko)
CN (1) CN1120099C (ko)
AT (1) ATE370009T1 (ko)
BR (1) BR0000135A (ko)
CA (1) CA2295259C (ko)
DE (1) DE60035913T2 (ko)
ES (1) ES2292384T3 (ko)
HK (1) HK1029311A1 (ko)
ID (1) ID24536A (ko)
MY (1) MY125224A (ko)
PT (1) PT1022170E (ko)
TW (1) TW4876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8154B2 (ja) * 1999-10-28 2004-01-19 耕司 飯野 自動車の換気機能付きサイドバイザ
US20030129936A1 (en) * 2002-01-08 2003-07-10 Shaikh Mohammad Ali Room ventilating apparatus
US6805623B2 (en) 2002-12-10 2004-10-19 Thermo Fan Llc Apparatus for providing air flow within a vehicle
US20040162017A1 (en) * 2003-02-18 2004-08-19 Israel Pe'er Chamber ventilation device
US7044848B2 (en) * 2003-09-12 2006-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resh air intake for a vehicle
US8721407B2 (en) * 2003-09-12 2014-05-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having fresh air intake
US20060223434A1 (en) * 2005-03-29 2006-10-05 The Holmes Group, Inc.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a fresh air exchanger to a window frame assembly
TWM283762U (en) * 2005-04-08 2005-12-21 Wen-Shiun Jang Improved structure of vehicular window eave
US20080139108A1 (en) * 2006-12-12 2008-06-12 Rogacki Zenon A "Air-Flow" a window air filter insert
US20110105004A1 (en) * 2009-10-30 2011-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Fan system for venting a vehicle
US20110151761A1 (en) * 2009-12-23 2011-06-23 Zeledyne, Llc Through Glass Ventilation
CN102587808A (zh) * 2011-01-18 2012-07-18 万家玮 防雨窗片及具有防雨窗片的窗装置
US20120248816A1 (en) * 2011-03-31 2012-10-04 Wan jia-wei Rain shield and a tilt and slide window having said rain shield set thereon
CN102390240A (zh) * 2011-09-30 2012-03-28 东莞市长安上名模具科技有限公司 防鼠汽车
CN102390238A (zh) * 2011-09-30 2012-03-28 东莞市长安上名模具科技有限公司 汽车空调进气口防鼠装置
WO2013191691A2 (en) * 2012-06-21 2013-12-27 Yung-Yu Wu Solar powered heat-dissipating device used on car window
CN103921654A (zh) * 2013-01-15 2014-07-16 于勇涛 车辆通风透气、防虫防盗、遮阳节能窗板
CN103863063B (zh) * 2014-04-04 2016-01-20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用通风格栅
US10449831B2 (en) * 2014-06-23 2019-10-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vent for mitigating hot air in vehicle
DE202015103058U1 (de) 2015-06-11 2015-07-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tlüftung zur Abschwächung von heißer Luft in einem Fahrzeug
US9821637B1 (en) * 2016-04-20 2017-11-21 Anthony Robles Windshield sunshade with solar powered fans
US9776476B1 (en) 2016-05-19 2017-10-03 Rom Acquisition Corporation Security device for commercial vehicles
US20180015807A1 (en) * 2016-07-12 2018-01-18 Andrew Koo Vehicle window mounted discrete cooling assembly
US10987992B2 (en) * 2017-10-23 2021-04-27 Trinity Innovative Solutions, Llc Rear partition mounted cooling system
DE102019100496B4 (de) * 2019-01-10 2022-03-03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ageranordnung und Luftausströmer mit einer Lageranordnung
CN110422102A (zh) * 2019-07-03 2019-11-08 江苏宇腾物流有限公司 一种普通货物运输用装载装置
CN114619831B (zh) * 2021-02-03 2024-04-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空调系统的压板组件及车载空调系统
US11383585B1 (en) * 2021-12-13 2022-07-12 Bonalogic, LLC Safely vent for vehicles
CN114056062B (zh) * 2021-12-25 2023-05-16 深圳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多功能的汽车车窗加装装置的工作方法
CN115339291B (zh) * 2022-09-26 2023-02-03 浙江天涯同行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顶置换气扇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1106A (en) * 1977-04-18 1978-09-05 Burns William M Automobile ventilation system
DE3131803A1 (de) * 1981-08-12 1983-02-24 Erno 6230 Frankfurt Junge "scheiben-lueftungsgitter fuer autos"
US4546693A (en) * 1983-10-26 1985-10-15 Mctaw Jr Johnnie Vent window assembly
US4685718A (en) * 1986-06-09 1987-08-11 Liberty Specialties, Inc. Device for attaching rain shields to motor vehicle windows
US4864920A (en) * 1987-03-10 1989-09-12 Moriaki Inagaki Ventilating plate units to be attached to vehicle window glasses
US4799422A (en) * 1987-12-28 1989-01-24 Birt Robert M Motor vehicle window ventilator
GB2215034A (en) * 1988-02-04 1989-09-13 Stephen John Ogg Vehicle ventilation devices
JPH02220924A (ja) 1989-02-22 1990-09-04 Fumihiko Fujita 着脱式自動車用換気口
US5094151A (en) * 1991-05-20 1992-03-10 Bernard Ronald V Ventilator for installation in a vehicle window
JPH0655818U (ja) 1993-01-11 1994-08-02 亨一 村田 自動車側窓用の換気装置
DE4437209A1 (de) * 1994-10-18 1995-08-03 Weber Heinz Bert Einschubfenster mit Ventilator für PKW + LKW
DE19533596A1 (de) * 1995-09-11 1997-03-13 Oliver Stroemer Fahrzeugbelüftungsgerät
US5683293A (en) * 1996-09-10 1997-11-04 Mohammed; Gaffar Combined vent and glare screen unit for vehicle wind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5913D1 (de) 2007-09-27
BR0000135A (pt) 2001-03-13
ATE370009T1 (de) 2007-09-15
CN1262188A (zh) 2000-08-09
HK1029311A1 (en) 2001-03-30
CA2295259A1 (en) 2000-07-22
ID24536A (id) 2000-07-27
EP1022170A3 (en) 2001-07-04
MY125224A (en) 2006-07-31
EP1022170A2 (en) 2000-07-26
KR20000053575A (ko) 2000-08-25
CN1120099C (zh) 2003-09-03
EP1022170B1 (en) 2007-08-15
US6224479B1 (en) 2001-05-01
PT1022170E (pt) 2007-09-04
DE60035913T2 (de) 2008-05-15
CA2295259C (en) 2008-08-26
TW487656B (en) 2002-05-21
ES2292384T3 (es) 200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899B1 (ko) 자동차의 창문용 환기장치
EP1842705B1 (en) Supporting module for vehicle doors and mounting procedure for said module
US8678487B2 (en) Glazed roof of a motor vehicle, corresponding method of assembly and corresponding vehicle
US4630029A (en) Display systems
US6276426B1 (en) Vehicle rear window screen
US7789451B2 (en) Window screen for vehicles
JP3526795B2 (ja) 自動車の窓用換気装置
JP3449009B2 (ja)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防水構造
JP3000018B1 (ja) 自動車の窓用換気装置
CN214189918U (zh) 用于电动篷车的多功能工作台
US5577422A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MXPA00000787A (en) Ventilation system for car window
JP3581066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CN205800936U (zh) 一种新型后视镜
CN219033023U (zh) 一种便于安装的闸机盖板组件
WO2008074261A1 (fr) Epurateur d'air de niveau supérieur d'automobile
JP2708892B2 (ja) 自動車用換気装置
DE10303962B4 (de) Elektronischer Regler für Freiluftausrüstung
CN209365987U (zh) 一种车载直插式led显示屏多功能勘察车
GB2469617A (en) Improvements in vehicle door lighting
JPS642809Y2 (ko)
JPH06297947A (ja) 車両窓ガラスの遮光装置
JPH066535Y2 (ja) 屋外ボツクスの窓枠防雨構造
JP2000301942A (ja) 自動車用網戸
KR200413973Y1 (ko) 차량용 차광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