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6337B1 - 데이타저장용및오디오용재생장치와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저장용및오디오용재생장치와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6337B1
KR100346337B1 KR1019930027696A KR930027696A KR100346337B1 KR 100346337 B1 KR100346337 B1 KR 100346337B1 KR 1019930027696 A KR1019930027696 A KR 1019930027696A KR 930027696 A KR930027696 A KR 930027696A KR 100346337 B1 KR100346337 B1 KR 10034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gneto
audio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6018A (ko
Inventor
오까베마사노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6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6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6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1/10597Adaptations for transducing various formats on the same or different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on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1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distinguishing features of or on records, e.g. diameter end mar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auxiliary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11B2020/10879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the kind of record carrier being the selection criter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20/1087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 G11B2020/10888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a selection is made among at least two alternative ways of processing the kind of data being the selection criter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1Discs having both read-only and rewritable or recordable areas containing application data; Partial ROM medi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11B2220/2529Mini-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관리 정보의 일부를 사용하거나, 디스크 카세트의 관통 구멍을 사용하여 오디오 디스크, 데이타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고, 필요에 따라 동작을 전환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를 잘못 장착한 경우에도, 소망하는 데이타를 대응하는 디스크에 대해시만 선택적으로 기록 재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이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를 데이타 기록용으로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디스크 관리를 간략화할 수 있는 광자기디스크 장치 및 광자기 디스크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타 저장용 및 오디오용 기록 재생 장치
본 발명은 광자기 디스크 장치 및 광자기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디오 데이타 등의 각종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경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종래, 이런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열자기 기록 방법을 적용하여 데이타 압축한 오디오 데이타를 소형의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 있어서는, 순차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AI)를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 회로(A/D:2)에 의해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된 디지탈 신호를, 음성 압축 신장 회로(3)에서 음성 압축 처리하여, 이것으로 데이타량을 저감하여 오디오 데이타(DAI)를 생성한다.
상기 오디오 데이타(DAI)를 메모리 제어기(4)를 통해 메모리 회로(5)에 일단 격납한 후, 순차적으로 데이타 처리 회로(6)에 출력한다.
데이타 처리 회로(6)에서는 메모리 회로(7)로부터 순차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타를 소정의 블럭으로 분할하여 오류 정정 부호를 생성한 후,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에 적합한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고, 그 결과 얻어진 기록 데이타를 자기 헤드 구동회로(8)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11)에서는 전체의 동착을 제어하고, 서보 회로(12)를 통해 광자기 디스크(10)를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한다.
또,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서보 회로(12)를 통해 드레드부(thread)(13)를 구동하여, 자기 헤드(9) 및 광 헤드(14)를 소정의 기록 트랙으로 이동한다.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기록 데이타에 따라 자기 헤드(9)를 구동하고, 이 자기 헤드(9)가 형성하는 변조 자계를 광자기 디스크(10)의 소망하는 기록 트랙에 인가한다.
이 상태에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이 변조 자계의 인가 위치에 광헤
드(14)로부터 광빔을 조사하고, 이것에 의해서 열자기 기록 방법을 적용하여 고밀도로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이 광 빔의 반사광을 광 헤드(14)로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증폭 회로(15)를 통해 어드레스 디코더(16)에 출력한다.
이 어드레스 디코더(16)로 각 기록 트랙에 미리 기록된 번지 정보를 검출한다.
상기 디스크에는 미리 워블링(Wobbling)된 프리 그루브(Pre-groove)가 새겨져 있고, 이 워블링에 PM 변조를 작용시킴으로써 번지 정보가 디스크 전체에 기록된다.
따라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이 위치 정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소망하는 기록 트랙에 순차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또, 이때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증폭 회로(15)에서 트랙킹 에러 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등을 재생하여 서보 회로(12)에 출력하고, 이로 인해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를 확실히 기록할 수 있다.
이 기록시에,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데이타 처리 회로(6)에서 블럭 단위로 오디오 데이타를 처리함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 단위로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한다[제2(a)도]
1 클러스터는 4섹터분의 서브 데이타와 32섹터의 메인 데이타로 구성된다[제
2(b)도].
광자기 디스크 장치(7)에서는 위치 정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트랙 점프가 검출되면 기록 동작을 정지 제어하여 원래의 기록 트랙으로 복귀해서, 이 트랙 점프된 기록 트랙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타의 기록을 재개한다.
이 때, 메모리 회로(5)에 격납된 오디오 데이타를 클러스터 단위로 다시 출력하게 된다. 이로 인해 메모리 회로(5)를 버퍼 메모리로 사용하여 오디오 데이타의 누락을 회피할 수 있고, 광자기 디스크 장치(1) 전체가 진동 등으로 데이타 기록에 실패하여도, 연속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기록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재생시에는,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광 헤드(14)로부터 출력되는 광 빔의 광량을 기록시 보다 저감시킨다.
광자기 디스크(10)로부터 얻어지는 반사광의 편파면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커효과(Kerr Effect)를 이용하여 광자기 디스크 장치(10)의 기록 데이타를 재생한다.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증폭 회로(15)의 출력 신호를 데이타 처리 회로(6)에서 복조하여 오류 정정 처리 등을 실시한 후, 메모리 제어기(4)에 출력한다.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기록시와 동일하게 메모리 회로(5)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재생한 오디오 데이타를 음성 압축 신장 회로(3)에 출력하여, 여기서 음성 신장 처리한다.
이것으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이 음성 압축 신장 회로(3)에서 오디오 데이타(SDO)를 디지탈 오디오 신호(AO)로 복조한 후,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회로(16)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의 형식으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재생시에 광자기 디스크 장치(1)에서는 메인 데이타에 부가된 서브 데이타를 모니터함므로써 트랙 점프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에 따라 동일한 기록 트랙으로부터 클러스터 단위로 오디오 데이타를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시에 트랙 점프가 일어난 경우에도, 음이 끓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광자기 디스크 기록 재생 장치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5,224,087호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컴퓨터 등의 데이타를 유지하는 외부 기억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랜덤 액세스할 수 있고, 그만큼 액세스 시간을 단축시키는 특징이 있다.
또, 기억 용량도 크고, 오디오용으로 개발됨으로써 광자기 디스크 자체의 편리 및 대량 생산을 기대할 수 있어, 비용면에서 종래의 것보다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플로피 디스크와 같이 광자기 디스크를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하드디스크에 비해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데이타 레코더로 사용할 경우,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한 광자기 디스크를 잘못 장착할 경우도 발생될 수 있고, 또 이것과는 반대로 데이타 레코더용의 광자기 디스크를 잘못하여 오디오 데이타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데이타 레코더로서 사용할 수 있게 하면, 그만큼 사용자측에서 광자기 디스크의 관리를 확실히 실행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런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를 데이타 레코더용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광자기 디스크의 관리를 간단화할 수 있는 광자기 디스크 장치 및 광자기 디스크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디오 데이타용의 입·출력부와, 프로그램 데이타용의 입·출력부와, 상기 오디오 데이타용의 입·출력부에 접속되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타를 압축 처리함과 동시에 출력하는 오디오 데이타를 신장 처리하는 압축 신장 회로와, 상기 압축 신장 회로와 프로그램 데이타용의 입·출력부를 전환하는 전환 회로와, 장착된 기록 매체가 오디오용인지 프로그램 데이타용인지를 판별하는 판별 회로와, 상기 판별 회로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전환 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춘 오디오 데이타와 프로그램 데이타의 기록 재생 겸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장착된 기록 매체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갖추고, 상기 판별부에서 데이타 저장용 기록 매체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기록 재생 동작의 금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추도록 한 오디오용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착된 기록매체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갖추고, 상기 판별부에서 오디오용 기록 매체가 장착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기록 재생 동작의 금지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추도록 한 데이타 저장용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도록 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데이타 기록 재생 장치
상기 오디오용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대응하여, 다음에 데이타용 광자기 디 스크 장치를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1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 블럭은 공통된 번호를 사용한다.
제11도에 있어서, 참조 번호(20)는 전체적으로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적용한 데이타 레코더를 나타내고,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컴퓨터(21)의 외부 기억 장치로서 소망하는 데이타(DI 및 DO)를 기록 재생한다.
즉, 데이타 레코더(20)에 있어서는, 메모리 제어기(22)를 통해 데이타(DI)를 입력하고 DO를 출력함으로써 메모리 회로(5)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한다.
또한, 데이타 레코더(20)에서는 시스템 제어 회로(23)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광자기 디스크(10)의 종류에 따라 전체의 동작을 전환한다.
즉, 이런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10)에서는 컴팩트 디스크와 동일하게 피트(Pit)를 형성하여 오디오 데이타 등을 기록한 재생 전용의 재생 전용 디스크, 전면에 수직 자화막을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소망하는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수 있는 기록 재생 디스크, 이 재생 전용 디스크 및 이 기록 재생 디스크의 영역을 내주측 및 외주측에 함께 갖고 있는 복합 디스크가 있다.
상기 3종류의 모식도를 제8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다. 동심원 형태의 최내주와 최외주에 각각 독입 영역 및 독출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 광자기 디스크 장치(20)에서는 이 재생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에 대응하여 수광 소자의 출력 신호를 전환하여 출력하고, 이로 인해 컴팩트 디스크와 동일하게 피트로 이루어지는 재생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서도 재생 신호를 출력한다.
이들 중 독출 영역에서는 디스크의 최외주, 기록 영역의 종료 위치 등을 나타내는 여러가지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독입 영역에서는 이런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10)의 종류 등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기록 재생 또는 복합 디스크에서는 기록 재생 가능한 기록 재생 영역의 내주측에 UTOC 영역을 형성하고, 이 영역을 사용하여 기록된 데이타를 관리한다.
데이타 레코더(20)에서는 광자기 디스크(10)가 장착되면, 처음에 이 독입 영역을 재생하여 광자기 디스크(10)의 종류를 판별하고, 이 실시예의 경우, 이 독입 영역에 기록된 관리 정보에 따라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여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10)에서는 이 독입 영역에 관리용 데이타를 기록한 TOC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중 섹터0에 할당된 TOC 데이타에서는, 제4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TOC 데이타 테이블로서 규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TOC데이타 테이블에 있어서는, 종방향의 어드레스 「O」 내지 「3」으로 표시되는 각 16바이트의 데이타가 헤더에 할당되어, 계속되는 종방향의 어드레스 「4」이상의 영역이 메인 데이타에 할당되고 있다.
이들 중 종방향의 어드레스 「4」 내지 「5」로 표시되는 8바이트의 데이타에 있어서는 포맷으로 규정된 소정의 데이타가 할당되어 있다.
계속 종방향의 어드레스 「6」으로 표시되는 4바이트의 데이타로 음악용 광자기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데이타가 기억되어 있다.
이하, 음악용 디스크를 오디오 디스크라 하고, 이것에 대응하여 오디오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광자기 디스크를 데이타 디스크라 한다.
즉, 이 종방향 어드레스 「6」으로 표시되는 4바이트의 데이타에 있어서는,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코드를 사용하여 광자기 디스크(10)의 종류가 기록되고, 오디오 디스크에서는 「MINI」의 문자 코드가 기록되며, 데이타 디스크에서는 「MINX」의 문자 코드가 기록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데이타 레코더(20)에서는 이 문자 코드의 종류를 판별하여 오디오 디스크, 데이타 디스크를 판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이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에서는 계속 종방향 어드레스 「7」 내지 「11」로 표시되는 각 16바이트의 데이타에서 디스크의 종류(Disk type)를 기록하고, 기록 재생 디스크 및 복합 디스크에서는 기록시의 광량(Laser Power on recording mode), 기록 영역의 어드레스(First TNO, Last TNO) 등이 기록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데이타 레코더(20)에서 이 관리 데이타를 사용하여 소망하는 영역에 오디오 데이타 등을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데이타 레코더(20)에서는 광자기 디스크(10)가 장착되면, 이 독입 영역을 재생하여 제14도에 도시한 처리 절차를 실행하고, 이로 인해 잘못하여 오디오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기록 재생 동작을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데이타 레코더(2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SP1)에서 스텝(SP2)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10)가 장착된 경우, 계속 스텝(SP3)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서보 회로(12)에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여 광 헤드(14)를 독입 영역으로 이동시킨 후, 이 독입 영역을 재생하여 TOC 데이타를 받아들인다.
계속하여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스텝(SP4)으로 이동하여, 여기서 TOC 데이타 테이블의 28바이트째의 문자 코드가 「X」의 문자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10)가 데이타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스텝(SP5)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취지를 표시한다.
그리고, 계속해서 스텝(SP6)에서 이 광자기 디스크를 배출하고, 계속해서 스텝(SP7)에서 이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로 인해 데이타 레코더(20)에서는 광자기 디스크의 판리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오디오 디스크의 오장착을 검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기록 재생 디스크로 된 오디오 디스크에 기록한 오디오 데이타의 잘못된 소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올바르게 데이타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스텝(SP4)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짐으로써, 스텝(SP8)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소망하는 데이타(DI 및 DO)를 기록 재생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가 재생 전용 디스크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타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데이타 레코더(20)에서는, 예를 들면 재생 전용 디스크를 통해 공급되는 프로그램 등을 간편하게 컴퓨터(21)에서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가 복합 디스크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생 전용 영역을 재생하여 데이타를 출력하고, 또 기록 재생 영역을 사용하여 컴퓨터(21)의 입·출력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이 기록 재생 동작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텝(SP27)으로 이동하고, 이 처리 절차를 완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타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오디오 디스크의 잘못된 장착을 검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록 재생 디스크로 되어 있는 오디오 디스크에 기록한 오디오 데이타의 잘못된 소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의 관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2) 오디오 디스크용 기록 재생 장치
이에 대해 오디오 디스크를 전용으로 기록 재생하는 오디오 디스크용 광자기 디스크 장치(30)(제1도)에서는 시스템 제어 회로(11) 대신에 시스템 제어 회로(31)로서 제6도에 도시된 처리 절차를 실행함으로써, 데이타 디스크의 잘못된 소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광자기 디스크 장치(3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31)에서는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SP11)에서 스텝(SP12)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10)가 장착된 경우, 계속 스텝(SP13)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 회로(31)에서는 서보 회로(12)에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여 광 헤드(14)를 이동시켜 독입 영역을 재생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TOC 데이타를 받아들여 스텝(SP14)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 회로(31)에서는 TOC 데이타 테이블의 28바이트째의 문자 코드가 「I」의 문자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10)가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15)으로 이동하여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취지를 표시한다.
계속하여 시스템 제어 회로(31)에서는 계속해서 스텝(SP16)에서 이 광자기 디스크(10)를 배출하고, 계속해서 스텝(SP17)에서 이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30)에 있어서는, 광자기 디스크의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타 디스크의 잘못된 장착을 검출한다.
상기의 잘못된 장착의 검출에 의해, 기록 재생 디스크로 되는 데이타 디스크에 기록된 귀중한 데이타의 잘못된 소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올바르게 오디오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시스템 제어 회로(31)에서는 스텝(SP14)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짐으로써, 스텝(SP18)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오디오 신호(AI, AO)를 기록 재생한다.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가 재생 전용 디스크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 광자기 디스크에 기록된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것에 대하여,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가 복합 디스크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재생 전용 영역을 재생하여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또한 기록 재생영역을 사용하여 디지탈 오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한다.
또한,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가 기록 재생 디스크인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 광자기 디스크에 오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한다.
이로 인해, 시스템 제어 회로(23)에서는 이 기록 재생 동작이 완료하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스텝(SP17)으로 이동하여, 이 처리 절차는 완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데이타 디스크의 잘못된 장착을 검출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기록 재생 디스크로 되는 데이타 디스크에 기록된 귀중한 데이타의 잘못된 소거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의 관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3) 겸용형 광자기 디스크 장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의 쌍방을 기록 재생할 수 있으면,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또한 회로적으로 공통 부분이 많아서 비용면에서 다소의 인상만으로 제공할 수 있어 편리하다고 생각된다.
제16도에 도시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광자기 디스크(10)의 TOC 데이타 테이블에 따라 동작을 전환하고, 이로 인해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의 쌍방을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메모리 제어기(41)와 음성 압축 신장 회로(3) 사이에 선택 회로(42)를 배치하고, 이 선택 회로(42)의 접점을 시스템 제어회로(43)에서 전환한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오디오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음성 압축 신장 회로(3)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탈 오디오 신호(DAI)를 기록하고, 또 광자기 디스크(10)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디지탈 오디오 데이타(DAO)를 음성 압축 신장 회로(3)에 출력한다.
이에 대해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가 데이타 디스크인 경우,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외부 접속된 컴퓨터로부터 입력되는 소망하는 데이타(DI)를 메모리 제어기(41)에 출력하여 기록하고, 또 이 광자기 디스크(10)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여러가지 데이타(DO)를 컴퓨터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10)가 오디오 디스크인 경우, 메모리 회로(44)를 오디오 데이타의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함으로써, 음의 삭제 등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에 대해서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10)가 데이타 디스크인 경우, 이 메모리 회로(44)를 데이타(DO, DI)의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고, 소정의 전송 속도로 데이타(DI)를 입력하여, DO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 회로(43)는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SP2O)에서 스텝(SP21)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10)가 장착되면 계속 스텝(SP22)으로 이동하여, 독입 영역을 재생하여 TOC 데이타를 받아들인다.
계속하여 시스템 제어 회로(43)에서는 스텝(SP23)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TOC 데이타 테이블의 28바이트째의 문자 코드가 「X」의 문자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10)가 데이타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여기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24)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 회로(43)에서는 선택 회로(42)에 제어 데이타를 출력하고, 외부에 접속된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데이타(DI)를 입력하여 DO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 시스템 제어 회로(43)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데이타(DI 및 DO)를 기록 재생하고, 사용자가 동작 정지의 조작자를 조작 하면 스텝(SP25)으로 이동하여 처리 절차를 완료한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데이타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이 데이타 디스크에 따라 동작을 전환하고, 필요에 따라 이 데이타 디스크에 대응하는 데이타(DI, DO)를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해, 스텝(SP23)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시스템 제어 회로(43)에서는 스텝(SP26)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TOC 데이타 테이블의 28바이트째의 문자 코드 「I」인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장착된 광자기 디스크(10)가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시스템 제어 회로(43)는 스텝(SP27)으로 이동하고, 선택 회로(42)의 접점을 음성 압축 신장 회로(3)측으로 전환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오디오 신호(SI 및 50)를 기록 재생한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40)에서는 오디오 디스크가 장착된 경우, 이 오디오 디스크에 따라 동작을 전환하여, 필요에 따라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AI, AO)를 기록 재생하여, 사용자가 동작 정지의 조작자를 조작하면 스텝(SP25)으로 이동하여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에 대해, 스텝(SP26)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 경우 규정 외의 광자기 디스크로 판단됨에 따라, 시스템 제어 회로(43)에서는 스텝(SP28)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 규정 외의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취지를 표시한 후, 계속해서 스텝(SP29)에서 이 광자기 디스크를 배출하고, 계속해서 스텝(SP25)에서 이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제16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디스크의 관리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타 디스크, 오디오 디스크를 판별하여 동작을 전환함으로써, 데이타 디스크 및 오디오 디스크의 쌍방을 기록 및/또는 재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의 관리를 간략화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4) UTOC에 의한 판별
이 실시예에 있어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광자기 디스크의 UTOC 영역에 형성된 UTOC 데이타 테이블을 기준으로 하여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로 인해 대응하는 광자기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기록 재생한다.
상기에서도 설명했으나, 광자기 디스크에 있어서는(제8도 내지 제10도), 기록 재생 가능한 기록 재생 영역의 내주측에 UTOC 영역을 형성하도록 하고, 여기서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UTOC 데이타 테이블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UTOC 데이타 테이블은 TOC 데이타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헤더가 할당되고, 계속하여 소정의 데이타 영역이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이 데이타 영역을 갱신하여 계속되는 기록 재생시, 간편하게 기록 재생 영역의 구성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UTOC데이타 테이블에 있어서는, 종방향의 어드레스가 「12」 내지 「75」인 영역에는 각각 기록 재생 영역에 기록된 파일을 기록하고, 각 파일의 기록 영역을 종방향의 어드레스가 「78」 내지 「578」인 영역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이 UTOC 데이타 테이블에서는 헤더의 4바이트째, 제4비트의 데이타(d4)(밑선이 있는 「1」로 표시)에서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각각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일 때, 이 제4 비트의 데이타(d4)를 논리 「0」 및 논리 「1」로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에서는 기록 재생 영역에 기록한 데이타의 종류에 따라 이 제4 비트의 데이타(d4)를 설정하여,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또 이 제4 비트의 데이타(d4)를 미리 소정의 논리 레벨로 설정하여 오디오 디스크, 데이타 디스크로서 사용자에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UTOC 데이타 테이블에 대응하여 이 실시예에서, 데이타 레코더, 오디오 디스크용 광자기 디스크 장치 및 겸용형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TOC 데이타 테이블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기록 재생 동작을 전환하고, 이로 인해 대응하는 광자기 디스크에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 또는 오디오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다.
제5도에 도시된 구성에 의하면, 기록 재생 가능한 UTOC 영역에서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여도, 대응하는 광자기 디스크에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 또는 오디오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를 기록 재생 할 수 있고, 그만큼 디스크의 관리를 간략화하여 확실히 소망하는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수 있다.
(5) 디스크 카세트에 의한 판별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광자기 디스크의 기록 매체를 수납하는 디스크 카세트를 사용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한다.
즉,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런 종류의 광자기 디스크(50)에서는 디스크 카세트(51)에 수납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셔터(55)를 개폐하여 이 디스크 카세트(51)에 형성된 창을 통하여 광빔을 조사함과 동시에 소정의 변조 자계를 인가함으로써 이 디스크 카세트(51)에 수납된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에 소망하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디스크 카세트(51)에서는 소정 위치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이중 외측의 관통 구멍(52)에서는 소정의 리브를 슬라이드하여 이 관통 구멍(52)을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로 바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50)에서는 이 리브를 슬라이드하여 관통 구멍(52)에 창을 형성하고, 이 광자기 디스크(50)를 기록 금지 상태가 설정되도록 하였다.
또, 광자기 디스크(50)에서는 이 관통 구멍(52)에 인접하여 관통 구멍(53)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관통 구멍(53)이 형성될 때, 이 디스크 카세트(57)에 재기록 가능한 디스크 형태의 기록 매체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제2 관통 구멍(53)에 인접한 광자기 디스크(50)에서는 제3 관통 구멍(54)을 형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54)이 형성되어 있을 때, 광자기 디스크(50) 전체로 하여 데이타 디스크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이 제3 관통 구멍(54)의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오디오 디스크, 데이타 디스크를 판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관통 구멍의 유·무의 검지는 마이크로 스위치(56)(제1도, 제11도, 제16도)에 의해 실시되고, 상기 스위치의 온·오프를 시스템 제어부에서 판정함으로써 디스크를 판별한다.
이 광자기 디스크(50)에 대하여 오디오 디스크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제7도에 도시하는 처리 절차를 실행하여 동작을 전환하고, 이로 인해 대응하는 오디오 디스크에 관해서만 소망하는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는, 스텝(SP3O)에서 스텝(SP31)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50)가 장착되면, 계속 스텝(SP32)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56)의 선단을 이 관통구멍(54)이 형성된 위치에 압압하여, 이 마이크로 스위치(56)를 통해 관통 구멍(54)의 유·무를 검출한다.
이로 인해,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이 마이크로 스위치(56)의 접점 정보 기록한 후, 스텝(SP33)에서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스텝(SP34)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취지를 표시한 후, 계속해서 스텝(SP35)에서 이 광자기 디스크를 배출하고, 계속해서 스텝(SP36)에서 이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P33)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스텝(SP37)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 후, 스텝(SP36)으로 이동하여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디스크가 카세트(51)에 관통 구멍(54)을 형성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여도, 오디오 디스크만을 선택적으로 기록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데이타 레코더에서는 제15도에 도시한 처리 절차를 실행하여 대응하는 데이타 디스크에 관해서만 소망하는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다.
즉, 데이타 레코더에서는 스텝(SP4O)에서 스텝(SP41)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50)가 장착되면, 계속하여 스텝(SP32)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데이타 레코더에서는 오디오 디스크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경우와 동일하게 마이크로 스위치(56)의 선단을 이 관통 구멍(54)의 형성 위치로 압압함으로써 이 마이크로 스위치(56)를 통해 관통 구멍(54)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이 마이크로 스위치(56)의 접점 정보를 기록하고 스텝(SP43)으로 이동하여, 데이타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데이타 레코더에서는, 스텝(SP44)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취지를 표시한 후, 계속 스텝(SP45)에서 이 광자기 디스크를 배출하고, 계속하여 스텝(SP46)에서 이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P43)에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데이타 레코더에서는 스텝(SP47)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 후, 스텝(SP36)으로 이동하여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디스크 카세트(51)에 관통 구멍(54)을 형성하여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하여도, 데이타디스크만을 선택적으로 기록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 겸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제18도에 도시되는 처리 절차를 실행함으로써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에 대응하여 동작을 전환한다.
즉,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스텝(SP5O)에서 스텝(SP51)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광자기(50)가 장착되면, 계속해서 스텝(SP52)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데이타 레코더, 오디오 디스크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경우와 동일하게 마이크로 스위치(56)의 선단을 이 관통 구멍(54)의 형성 위치로 압압하고, 이 마이크로 스위치(56)의 접점 정보를 기록한 후, 스텝(SP53)에서 데이타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스텝(SP54)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 후, 스텝(SP55)으로 이동하여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P53)에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 서는 스텝(SP56)으로 이동하고, 여기서 오디오 디스크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여기서 긍정 결과가 얻어지면 스텝(SP57)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소망하는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재생한 후, 스텝(SP55)으로 이동하여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스텝(SP56)에 있어서 부정 결과가 얻어지면, 이 경우 규정 외의 광자기 디스크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는 스텝(SP58)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표시 수단을 통해 규정 외의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취지를 표시한 후, 계속하여 스텝(SP59)에서 이 광자기 디스크를 배출하고, 계속하여 스텝(SP55)에서 이 처리 절차를 종료한다.
이렇게 하여 디스크 카세트(51)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디스크의 종류를 판별함므로써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에 있어서, 각각 대응하는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수 있다,
(6) 다른 실시예
또,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TOC 데이타 테이블에서는 문자 코드로서, UTOC 테이블 데이타에서는 헤더의 소정 비트로서 디스크의 종류를 표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의 식별 데이타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가 잘못 장착된 경우,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여 디스크를 배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단순히 디스크를 배출하는 경우 등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오디오 디스크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이루어진 오디오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 재생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음성 압축한 오디오 데이타를 직접 입 ·출력하여 이 오디오 데이타를 기록 재생할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오디오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2a도는 디스크 상에 기록할 때의 데이타의 1 클러스터 단위를 도시한 모식도.
제2b도는 상기 1 클러스터의 상세한 데이타 구조를 도시한 모식도.
제3도는 디스크 카세트의 설명에 제공되는 사시도.
제4도는 재생 전용의 오디오 디스크의 TOC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도.
제5도는 기록가능한 오디오 디스크의 U-TOC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도.
제6도는 오디오 디스크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제7도는 오디오 디스크 전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제8도는 그 재생 전용 디스크를 도시한 개략도.
제9도는 그 기록 재생 디스크를 도시한 개략도.
제10도는 그 복합 디스크를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데이타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12도는 그 컴퓨터와의 접속을 도시한 블럭도.
제13도는 그 데이타 디스크의 TOC의 설명에 제공되는 개략도.
제14도는 데이타 레코더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제15도는 데이타 레코더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제16도는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 겸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제17도는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 겸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제18도는 오디오 디스크 및 데이타 디스크 겸용의 광자기 디스크 장치의 동작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자기 디스크 장치
5, 7 : 메모리 회로
6 : 데이타 처리 회로
8 : 자기 헤드 구동 회로
9 : 자기 헤드
10 : 광자기 디스크
12 : 서보 회로
13 : 드레드부
14 : 광 헤드
15 : 증폭 회로
16 : 어드레스 디코더
20 : 데이타 레코더
22 : 메모리 제어기
23 : 시스템 제어 회로

Claims (7)

  1.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내에 로드되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로부터 신호를 재생하여 상기 기록 매체에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헤드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된 신호의 특정 신호 처리를 상기 헤드를 이용하여 수행하고,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될 신호의 특정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 리 수단과;
    입력 오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신호 -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되어 상기 기록 매체내에 기록되는 신호임 - 를 수신하고,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되어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를 출력 오디오 스트림으로서 부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압축 신장 수단과;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기록 매체의 종류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재생되고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를 오디오 압축 신장 수단 대신에 데이타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제1 스위치 수단과;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기록 매체의 종류에 응답하여, 데이타 입력 단자로부터의 데이타 신호를 상기 오디오 압축 신장 수단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대신에 상기 기록 매체내에 기록될 신호로서 선택적으로 수신하기 위한 제2 스위 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에 의해 판별된 기록 매체의 종류가 오디오 디스크 또는 데이타 디스크가 아닌 경우 상기 로드된 기록 매체를 리젝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에 형성된 식별 구멍(discrimination holes)의 존재에 반응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어 정보 영역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정보에 반응하여 상기 디스크형 기록 매체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저장을 위한 기록 매체 이외의 것이 로드되는지를 상기 판별 수단이 판별하는 경우 경보음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상의 제어 정보 영역에 미리 기록되는 정보는 문자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코드는 "MINI" 또는 "MIN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KR1019930027696A 1992-12-15 1993-12-14 데이타저장용및오디오용재생장치와 기록장치 KR100346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354541 1992-12-15
JP4354541A JPH06187732A (ja) 1992-12-15 1992-12-15 光磁気デイスク装置及び光磁気デイス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6018A KR940016018A (ko) 1994-07-22
KR100346337B1 true KR100346337B1 (ko) 2002-11-23

Family

ID=1843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696A KR100346337B1 (ko) 1992-12-15 1993-12-14 데이타저장용및오디오용재생장치와 기록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64527A (ko)
EP (1) EP0602581B1 (ko)
JP (1) JPH06187732A (ko)
KR (1) KR100346337B1 (ko)
CN (1) CN1138275C (ko)
AT (1) ATE191293T1 (ko)
AU (1) AU670339B2 (ko)
DE (1) DE69328232T2 (ko)
MY (1) MY113824A (ko)
TW (1) TW2635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576B2 (ja) * 1995-06-29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00575B1 (ko) * 1996-02-01 1999-06-15 윤종용 광량 변화에 안정된 서보 제어 방법 및 장치
DE19709305A1 (de) * 1997-03-07 1998-09-17 Fraunhofer Ges Forschung Vorrichtung zur Ausgabe von auf einem Datenträger digital gespeicherten Daten
JP4144054B2 (ja) * 1997-07-24 2008-09-0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CN1131519C (zh) * 1997-09-25 2003-12-17 日本胜利株式会社 信息记录装置及其控制方法、和相应的外部电子装置
DE69932695T2 (de) * 1998-12-11 2007-09-13 Sony Corp. Technik zur Datenkopiersteuerung
KR100327798B1 (ko) * 1999-09-21 2002-03-15 구자홍 재생목록 정보를 이용한 서보 제어방법
KR100752872B1 (ko) * 2000-11-29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재생 장치
JP2002230786A (ja) * 2001-01-31 2002-08-16 Sony Corp 記録媒体、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再生装置及び再生制御方法
US6628465B2 (en) 2001-02-27 2003-09-30 Trace Storage Technologies Corporation Magnetic media defect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DE60304924T2 (de) * 2002-04-01 2007-01-11 Sony Corp. Verfahren zum Initialisieren einer Minidisk sowie Aufzeichnungs- und Wiedergabeverfahren und Aufzeichnungs- und Wiedergabegerät
JP2005004838A (ja) * 2003-06-10 2005-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8004163A (ja) * 2006-06-22 2008-01-10 Sony Corp 記録装置、異常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07051A (ja) * 1990-11-26 1991-09-10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461666A (ja) * 1990-06-28 1992-02-2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H0479047A (ja) * 1990-07-20 1992-03-12 Canon Inc 光磁気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54B2 (ja) * 1983-11-30 1996-03-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状記録媒体
US4796100A (en) * 1985-02-28 1989-01-0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ictorial information source system
JPS62187454U (ko) * 1986-05-20 1987-11-28
JPS636585U (ko) * 1986-06-28 1988-01-16
JPS6462883A (en) * 1987-09-01 1989-03-09 Nec Corp Optical disk cartridge
JPS6486326A (en) * 1987-09-28 1989-03-31 Nec Corp Optical disk device
JPH0770150B2 (ja) * 1988-05-20 1995-07-3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Cdオーディオ/rom兼用プレーヤ
JP2770394B2 (ja) * 1989-04-06 199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H031388A (ja) * 1989-05-30 1991-01-08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記録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記録/再生装置
JPH0317864A (ja) * 1989-06-14 1991-01-25 Sony Corp 映像信号の記録モード判別装置
JP2844783B2 (ja) * 1990-01-09 1999-01-06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JP3067157B2 (ja) * 1990-04-05 2000-07-1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媒体
EP0453108B2 (en) * 1990-04-17 2003-07-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Player for audio disk and memory disk
US5268889A (en) * 1990-06-21 1993-12-07 Yamaha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a compact disc player and a compact disc
JP3141242B2 (ja) * 1990-08-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装置
JPH04106761A (ja) * 1990-08-28 1992-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JPH04141858A (ja) * 1990-10-01 1992-05-15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4229479A (ja) * 1990-12-27 1992-08-18 Sony Corp 光ディスク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1666A (ja) * 1990-06-28 1992-02-2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
JPH0479047A (ja) * 1990-07-20 1992-03-12 Canon Inc 光磁気記録装置
JPH03207051A (ja) * 1990-11-26 1991-09-10 Sony Corp 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70339B2 (en) 1996-07-11
MY113824A (en) 2002-06-29
ATE191293T1 (de) 2000-04-15
CN1089053A (zh) 1994-07-06
JPH06187732A (ja) 1994-07-08
DE69328232T2 (de) 2000-09-07
EP0602581A2 (en) 1994-06-22
TW263584B (ko) 1995-11-21
EP0602581B1 (en) 2000-03-29
US5864527A (en) 1999-01-26
AU5205893A (en) 1994-06-30
DE69328232D1 (de) 2000-05-04
EP0602581A3 (en) 1996-05-01
CN1138275C (zh) 2004-02-11
KR940016018A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8038A (en) Method of data management using recorded flags to discriminate used allocation blocks and unwritten allocation blocks
EP0310678B1 (en)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disc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3199082B2 (ja) オーディオデータの区切り位置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S63224067A (ja) デイ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346337B1 (ko) 데이타저장용및오디오용재생장치와 기록장치
KR100314542B1 (ko) 기록매체및정보처리장치
JP3233234B2 (ja) ディスク記録装置
JP2001126452A (ja)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記録システム
JP3281899B2 (ja) ミニディスクレコーダ
JP3209369B2 (ja) 記録再生装置
JP2727837B2 (ja) 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KR100261889B1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코드 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JP3171395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JPH11283341A (ja) 記録媒体、記録装置、再生装置、記録方法、再生方法及び媒体
JPH0532551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518593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KR19990041936A (ko) 광 디스크 시스템의 코드 정보를 이용한 재생방법
JP3856989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自動フォーカスバイアス調整方法
JP3016265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
JP3452205B2 (ja) 記録装置
KR0170146B1 (ko) 광자기 디스크의 소거 데이타 복구 방법
JP3433829B2 (ja) 情報再生装置および高速再生方法
JP3363573B2 (ja) ミニディスク装置
JP3276803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1005667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書き換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0418

Effective date: 200204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