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733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733B1
KR100341733B1 KR1020000056586A KR20000056586A KR100341733B1 KR 100341733 B1 KR100341733 B1 KR 100341733B1 KR 1020000056586 A KR1020000056586 A KR 1020000056586A KR 20000056586 A KR20000056586 A KR 20000056586A KR 100341733 B1 KR100341733 B1 KR 10034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ma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7233A (ko
Inventor
세또리야마다께시
도모유끼요오지
이꾸마스스무
스즈끼히데노부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361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0047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4047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83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423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8360B2/ja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10067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7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3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 G03G15/32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in which the charge pattern is formed dotwise, e.g. by a thermal head by application of light, e.g. using a LED arra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 G03G15/043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with means for controlling illumination or exposure by introducing an optical element in the optical path, e.g. a fil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공급 수단,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 및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요소를 가진 제어 기판을 포함하며, 정착 수단과 시트 공급 수단 사이에 위치된 시트 안내부는 시트가 경사진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사실상 선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 기판은 장치의 바닥면과 시트 안내부 아래의 공간에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장치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 분야에서는, 화상 형성용 시트를 적층하고 지지하는 시트 카세트 또는 시트 트레이,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전사되는 화상을 반영구적으로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 및 장치의 조작과 화상 형성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이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안되어져 있다. 이하의 설명은 그 일 예로서 레이저 비임 프린터(이하, 간단하게 '프린터' 라고 칭함)를 예로 이용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프린터의 기본 구조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다.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프린터에는, 화상 형성용 시트를 지지하여 적층하는 시트 지지 수단으로서 역활을 하는 시트 카세트(101)와, 시트 카세트에 의해 지지되는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 수단(102)을 구비한 시트 공급부가 설치된다.
또한, 화상 형성부는, 화상 형성용 감광 드럼(104)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 감광 드럼을 일정하게 대전시키는 대전기, 감광 드럼과 토너 용기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 장치, 및 대전기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 상에 광 비임(light beam)에 의한 화상 정보를 기록하는 레이저 스캐너(105)로 구성된다.
시트 반송로를 횡단하는 감광 드럼의 반대 위치에는, 시트에 감광 드럼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으로 이루어진 전사 대전기(106)가 설치된다. 또한, 전사 수단의 하류 위치에는 시트에 전사되는 토너 화상을 반-영구적으로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으로 역활을 하는 쌍으로 이루어진 정착 롤러(107)가 제공되고,한 쌍의 정착 롤러에 의해 화상이 그 위에 정착된 시트가 그 후에 장치의 외측부에 제공된 시트 배출 트레이(108)에 배출된다.
상기 순서의 시트 상에 화상 형성 작업은 임의적 프린터에서 어느 정도 동일하지만, 프린터의 특징은 장치 내에 시트 반송로의 정렬 위치에 따라서 변경된다.
도4에 도시된 프린터에는 상술된 시트 반송로가 장치내에서 대략 수평적으로 설치된다. 도4에서, 시트 카세트(101)는 장치의 우측 단부에서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위치에 위치되고, 시트 공급 수단(102)은 시트 카세트의 단부 부분에 제공된다. 시트 반송 면은 한 쌍의 정착 롤러(107) 쪽으로 대체로 수평적으로 제공되고 반면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와 같은 화상 형성 수단이 반송로 위에 제공되고 전사 대전기(106)는 그와 반대되는 위치에 제공된다. 전사 화상을 갖는 시트는 시트 카세트(101)와 대체로 평행하게 위치된 시트 배출 트레이(108)에 배출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프린터는 90°로 도4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를 회전시키어 획득된 구조를 가진다. 보다 특정하게는, 이런 타입의 장치에서는 시트 카세트(101)와 시트 배출 트레이(108)가 대체로 수평적으로 제공되고, 장치의 최하부에서 시트 카세트(101)로부터 시트 공급 수단(102)에 의해 공급된 시트는 화상 형성 및 정착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수평면에 대해 사실상 수직한 방향으로 반송된다.
상술된 설명으로, 근래 프린터에 시트 반송로는 일반적으로 시트 공급 수단(102)으로부터 정착 수단(107)으로 선형이고 대체로 수평 또는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구조에서는 정착 수단(107)의 위치가 문제가 된다.
정착 수단(107)은, 시트에 부착된 토너를 용해시키어, 정착 롤러의 가열에 의해 발생된 열과, 한 쌍의 롤러의 닙(nip)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시트에 토너의 정착이 이루어진다. 결국, 정착 수단(107)은 화상 형성 시에 다량의 열이 발생하여, 장치에 온도를 상승시킨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가 대체로 수평적으로 반송되는 타입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와 레이저 스캐너(105)가 열원을 구성하는 정착 수단(107)의 측부와 위에 위치해서, 정착 수단(107)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3) 내의 토너를 용해 및 고형체로 하거나 레이저 스캐너(105)에 제공된 광학 렌즈의 굴절률을 변화시키는 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장치를 제어하는 전기 공급부 또는 구동부와 같은 제어 수단(109)의 회로 보드도 시트 반송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에 제공된다. 상기 전기 공급부와 구동부도 열을 발생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와 레이저 스캐너(105)가 상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정착 수단(107)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는 것과 같이 장치 내에서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런 문제는 장치 내부를 공기 냉각시키는 팬을 제공하거나 또는 장치 내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열 절연 부재를 제공하여 해결하고 있지만, 상기 수단은 장치의 제조비와 치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시트 공급 작업에서는, 시트 공급 수단(102)에 의해 공급된 시트의 선단부가 화상 형성부에 도달하여, 시트의 후미 단부가 시트 공급 수단(102)을 나오기 전에 화상 형성작업을 개시한다. 따라서, 시트의 트레이닝 단부가 시트 공급수단(102)을 벗어나면, 그 방향으로의 대형 전환에 의한 시트에서의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진동은 화상 형성부로 전달되어서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교란시킨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수직적으로 시트가 반송되는 타입의 장치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3)와 레이저 스캐너(105)가 장치의 최상부 위치에 정착 수단(107)의 설치로 열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지만, 시트가 중력의 힘에 대체로 수직적으로 대항하여 반송되기 때문에 상기 반송작업의 제어 및 화상 형성 작업에 상당히 높은 정확성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고 정확도는 시트가 수평으로 반송되는 장치보다 많은 수의 쌍으로 이루어진 반송 롤러와 시트 반송 안내부재를 제공하여 해결할 수 있지만, 상기 방식은 장치의 제조비와 크기를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의 장착 각도가 수평 반송 형식에서 보다 크게 되어서(도4) 스캐너 모터의 베어링에 상당한 로드를 초래하고, 따라서 베어링이 조기에 악화되어져 장치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킨다.
또한, 도4에 도시된 타입의 경우에서와 같이 시트 방향으로의 대형 전환은 진동 소음과 화상 동요와 같은 결점을 초래한다.
상술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장치는 전체 장치의 크기를 증가시키어 열에 민감한 성분으로부터 열-발생 정착 수단이 분리되게 또는 레이저 스캐너의 수평적 위치설정을 허용하는 레이아웃이 채택되게 설계되어져 있지만, 상기 방식은 상술된 결점을 기본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며, 장치의 크기 또는 제조비의 증가와 같은 다른 결점을 초래하는 것이다.
상술된 내용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량이 보다 가벼워진 경량의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반송능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공급 수단,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 및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요소를 가진 제어 기판을 포함하며, 정착 수단과 시트 공급 수단 사이에 제공된 시트 안내부는, 시트가 경사진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제어 기판이 장치의 바닥면에서 그리고 시트 안내부 아래 공간에 제공되는 방식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공급 수단,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 및 시트 공급 수단과 정착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며, 정착 수단과 시트 공급 수단 사이에 제공된 시트 안내부는, 시트가 경사진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구동원이 시트 안내부 아래 공간에 제공되는 방식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위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공급 수단,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장치의 상부에 위치된 정착 수단, 정착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장치의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어 기류를 유발하는 공기 통로(air path) 및 장치의 외부로 공기 통로에 기류를 방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공급 수단,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 시트 공급 수단과 정착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되고, 대체로 선형으로 위치되어 시트가 경사진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있는,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 시트 안내부 아래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제공되며, 전력을 장치의 본체에 공급하는 동력원을 구비하는 전기 공급부, 정착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장치의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어 기류를 유발하는 공기 통로 및 장치의 외부로 공기로 내에 기류를 방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 공급 수단,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 시트 공급 수단과 정착 수단과의 사이에 제공되고, 대체로 선형으로 위치되어 시트가 경사진 방향으로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있는,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 정착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장치의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어 기류를 유발하는 제1 공기 통로, 장치의 외부로 제1 공기 통로 내에 기류를 방출하는 제1 배기구, 시트 안내부 아래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제공된 전기 공급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장치의 하부로부터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어 기류를 유발시키는 제2 공기 통로, 장치의 외부로 제2 공기 통로 내에 기류를 방출하는 제2 배기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수단, 시트 지지 수단에서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 수단,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시키는 정착 수단을 포함하며, 시트 공급 수단에서 정착 수단으로 이어지는 시트 반송로는 시트 반송로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대각선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고 대체로 직선적인,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치의 설치면에 수직적으로 제공된 두 개의 측판, 측부 평판의 저부 측에 위치하고 두 개의 측판에 장착된 평판형 제1 스테이(stay), 장치의 상부측에 위치되고 두 개의 측판에 장착된 평판형 제2 스테이 및 제1 스테이와 제2 스테이 사이에 위치된 평판형 제3 스테이를 구비하는 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며, 제1, 제2 및 제3 스테이는 두 개의 측판 사이에 대체로 Z모양으로 주어지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2는 외부 커버가 없으며 경사진 후 방향으로 나타낸, 제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4 및 도5는 종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7은 외부 커버가 없으며, 경사진 후 방향으로 나타낸,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8은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변경예의 단면도.
도9는 제3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변경예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11은 외부 커버가 없으며, 경사진 후 방향으로 나타낸, 제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
도12는 제4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변경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시트 카세트
2: 시트 공급 롤러
4a, 4b: 반송 롤러
5: 레지스트 센서
6: 프로세스 카트리지
7: 감광 드럼
9: 현상 장치
10: 전사 롤러
11: 레이저 스캐너
12: 정착 롤러
13: 시트 안내부
14: 제어 기판
15: 구동 모터
16: 배출 롤러
18, 19: 측벽
22a, 22b: 방열공
24: 외부 커버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설명으로 명료하게 나타날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를 화상 형상 장치의 예로서 선택했다.
도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프린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프린터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시트 지지 수단을 구성하는 시트 카세트(1)는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시트 카세트(1)는, 시트 공급 롤러(2)와 접촉하여 시트를 분리하는 분리 패드(3)와 시트 공급 수단으로 구성된 시트 공급 롤러(2)에 의해 1매씩 공급되는 시트(S)를 적층한다. 전진된 시트(S)는 쌍으로 이루어진 반송 롤러(4a, 4b)에 의해 아래방향으로 더욱 반송된다.
시트(S)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시트 반송 방향으로 한 쌍의 반송 롤러(4)의 하류측에 센서(5)가 제공된다. 센서(5)의 검출 작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 쌍의 반송 롤러(4)의 하류 측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6)로서 일체로 구성되는, 토너를 수용한 토너 용기, 드럼(7)의 대전 면에 토너를 침착시키는 현상 장치(9), 드럼의 면을 균일하게 대전하는 주 대전기(8) 및 감광 드럼(7)이 제공된다. 시트 반송로를 가로질러 감광 드럼(7)에 대향된 위치에는 감광 드럼(7)에 침착된 토너 화상을 시트(S) 상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으로서 전사 롤러(10)가 제공된다.
대전기(8)에 의해 대전된 감광 드럼(7)에 화상 정보를 나타내는 레이저 스캐너(11)는 미러(mirror)에 의한 반사 후에 레이저 비임으로 변환되는 화상 정보로 감광 드럼(7)을 조사한다.
이와 같은 감광 드럼, 대전기, 레이저 스캐너, 현상 장치 및 전사 롤러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성한다.
정착 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정착 롤러(12)가 토너 화상을 담지한 시트(S)를 그 사이에 끼워서, 공급되는 열과 롤러 사이에 압력으로 시트(S)에 화상을 영구히 정착시킨다.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의해 정착된 토너 화상을 가진 시트(S)는 방향이 전환되어 한 쌍의 배출 롤러(16)에 의해 시트 배출 트레이(17)에 배출된다.
시트 공급 롤러(2)로부터 한 쌍의 정착 롤러(12)로의 시트의 반송작업은 시트(S)의 하부(화상 담지측에 반대측)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13)에 의해 한정되어진다.
시트 안내부(13) 아래에, 동력원을 구비하고 시트 공급 작업과 화상 형성 작업을 제어하는 기능을 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장치의 케이싱의 바닥면에 대체로 수평하게 제어 기판(14)이 제공된다. 또한, 장치 본체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모터(15)는 시트 안내부(13)보다 낮은 위치에서 장치의 케이싱의 측면에 고정된다.
상술된 구조의 프린터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화상 정보에 대응하는 시각성 토너 화상을 시트(S)에 형성시키는 역활을 한다. 대기 상태에 프린터로 비표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화상 정보는 제어 기판(14)에 제공된 비표현 비디오 콘트롤러로 유입된다. 전송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디오 콘트롤러는 화상 신호를 준비한다.
준비된 화상 신호는 제어 기판(14)에 제공되고 프린터의 제어 부분으로 역활을 하는 비표현 콘트롤러에 전송된다. 상기 신호에 반응하여 콘트롤러는 레이저 구동 신호를 준비한다. 또한, 시트 공급 롤러(2)의 회전을 개시하여 분리 패드(3)와 함께 작업하는 시트 카세트(1)로부터 시트(S)를 분리하여 전진한다.
분리된 시트(S)는 화상 형성 부분을 향하는 방향으로 반송되어 쌍으로 이루어진 반송 롤러(4) 사이에 끼워져서 더욱 하류로 반송된다. 시트(S)의 선단부가 센서(5)에 의해 검출되면, 콘트롤러가 상기 검출과 동시에 레이저 스캐너(11)에 레이저 구동 신호를 전송한다.
레이저 스캐너(11)에 전송되는 레이저 구동 신호에 반응하여, 그 곳에 제공된 레이저 유닛이 회전작업 스캐닝 미러(11a)를 향하는 방향으로 레이저 비임을 발사한다. 스캐닝 미러(11a)에 의해 굴절되는 레이저 비임은 감광 드럼(7) 쪽으로 굴절되도록 미러(11b)에 안내된다._
감광 드럼(7)의 표면은 대전기(8)에 의해 이미 균일하게 대전되어 있다. 레이저 비임에 의한 조사는 조사된 부분의 전하를 소산시켜서, 드럼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 장치(9)는 정전 잠상을 갖는 드럼에 토너를 침착해서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토너 화상은 화상 형성 타이밍과 동시에 반송되는 시트(S)에 전사 롤러(10)에 의해 연속으로 전사된다. 전사후, 시트(S)는 더욱 반송되어 한 쌍의 정착 롤러(12)의 닙에 끼워지고, 토너가 열과 압력에 의해 시트(S)에 정착된다. 다음, 시트(S)는 한 쌍의 배출 롤러(16)에 의해 배출되어 시트 배출 트레이(17)에 적층된다.
상술된 작업은 지정된 수의 횟수를 반복하고 프린터는 최종 시트(S)의 배출후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시트 반송로를 구성하는 시트 안내부(13)를 기본적으로 구비하는 프린터의 케이싱으로 역활을 하는 프레임과 외부 커버(24)의 구조를 도1 및 도2를 참고로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프레임과 외부 커버(24)는, 좌우측에 위치된 한 쌍의 도전성 측벽(18, 19), 그 사이에서 지지되는 수지성 시트 안내부(13), 레이저 스캐너(11)를 지지하는 도전성 스캐너 평판(20)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최하부에 도전성 바닥판(21)으로 구성된다. 도전재가 장치의 강성을 유지하고 전기 접지 및 전자기성 차폐를 달성하여야 함으로, 측벽(18, 19)은 금속 평판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동 수단을 구성하는 구동 모터(15)는 측벽(18)에 고정된다. 측벽에 구동 모터(15)를 고정시키는 목적은 측벽(18)에 구동 모터(15)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소산되도록 하는 것이고 진동은 고 강성 금속 평판에 고정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기적 접지작업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시트 안내부(13)는, 한 쌍의 반송 롤러(4), 전사 롤러(10) 및 한 쌍의 정착 롤러(12)와 같은 기본 유닛을 지지하는 부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고 반송 시트(S)를 안내하는 것이다. 복합 형상체가 조립 비용의 절감과 부품수의 감소에 의한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단일 부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높은 열절연 효율의 플라스틱재가 장치의 최하부에 위치한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에서 발생되는 열을 절연하도록 이용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시트 안내부(13)는 두 개의 측벽(18,19)에 장착된다.
시트 안내부(13)는 외부 커버(24)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재생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장치의 외부 부재의 재생 작업은 기본적으로 외부 부재를 다시 형성하거나 또는 다른 목적용의 재료로 사용하여 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외부 부재의 재사용은 일반적으로 다른 재료에 의한 오염 문제와 대응하는 색상 문제가 해결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기술 및 비용면에서 곤란한 것이다. 다른 한면에서, 장치에 기능 파트의 재사용은 상기 문제가 매우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경우에서는 재생을 위한 실질적인 재료를 채택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우기, 경사지는 방식으로 측벽(18, 19)에 고정하는 시트 안내부(13)는 그 측면 방향으로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장치의 케이싱 내에 최상부 단부에 한 쌍의 정착 롤러(12) 쪽으로 경사진 상승 위치에 대체로 선형으로 제공된 시트 안내부(13)는, 화상 형성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짧은 시트 반송로를 실현할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7), 레이저 스캐너(11), 제어 기판(14) 및 시트 안내부(13) 둘레에 구동 모터(15)의 유용한 위치설정도 허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콤팩트하게 이룰 수 있다.
고 강성 금속 평판은, 제어 기판(14)용의 전자기성 차폐와 장치의 전체 중량을 지지하는 강성을 실현하도록 장치의 최하부에 바닥판(21)용으로 그리고 레이저 유닛(11a)에 회전으로 초래되는 진동을 억압하도록 스캐너 평판(20)용으로 이용된다. 상술된 프레임 구조는 저렴한 비용으로 이루어지면서, 필요로 하는 열 절연, 고 경도 및 진동 억압에 부합하는 것이다.
스캐너 평판(20)과 바닥판(21)은 측벽(18, 19)에 장착된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1)(제1 스테이), 스캐너 평판(20)(제2 스테이) 및 시트 안내부(13)(제 3스테이)는 두 개의 측벽(18, 19) 사이에 대체로 Z모양으로 위치되며, 프레임의 강성은 단순한 구조에 의해서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안내부(13)에 한 쌍의 정착 롤러(12)가 최상부 단부에 설치되고, 시트 공급 롤러(2)가 위치된 시트 공급위치로부터 경사 상방향 방식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시트(S)를 그 곳으로 반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트 안내부(13)는 후술되는 이유로 수평면에 대해 45°의 각도로 프린터에 설치된다.
시트(S)의 반송 각도가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고 대체로 직선적이므로,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반송되는 시트에 주요한 방향 변환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서, 공급 시트의 뒤틀림 또는 빗나감과 같은 화상 형성의 안정성을 악화시키는 결함을 피할 수 있다.
다음은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소산시키는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장치의 최상부에 다량의 열을 방출하는 한 쌍의 정착 롤러(12)를 위치설정하고 한 쌍의 정착 롤러(12)의 근처에 외부 커버(12)의 상부에 제1 구멍으로 방열공(22a)을 설치하여,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소산되어서 장치에 온도 증가를 방지한다. 정착 롤러(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자연적으로 상향 이동하여, 정착 롤러(12)보다 하부에 위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6)와 레이저 스캐너(11)는 상기 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시트 안내부(13) 아래에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공급 롤러(2)로부터 측벽(18, 19)과 바닥판(21)과 한 쌍의 정착 롤러(12)로 시트 안내부(13)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 단면 모양의 공간(A)이 형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15)와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14)이 상기 공간(A)에 위치된다.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에서 발생되는 열은 공간(A)에서 방출되어 그 안에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킨다. 그러나, 시트 반송로를 구성하는 시트 안내부(13)가 제어 기판(14) 위에 수평면(바닥면(21))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되어서,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에서 발생되는 열이 한 쌍의 정착 롤러(12)의 측부에서 공간의 상층부로 자연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상기 성분 둘레에 머무르지 않는다.
외부 커버(24)에는 제2 구멍을 구성하는 제2 방열공(22b)이 공간(A)의 최상부 근처에 설치되고, 공간(A)의 상부 쪽으로 이동하는 열이 장치의 외부로 방열공(22b)을 통해 방출된다. 바닥판(21)에 대한 시트 안내부(13)의 경사 구조는 장치의 최하부로부터의 기류를 자연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구조이며, 여기서 제어 기판(14)은 기류를 강제로 발생시키는 팬과 같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것이며 장치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위치된다.
정착 롤러(12)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술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24)에 제공된방열공(22a)을 통하여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공기관을 구성하는 공간(B)이 정착 롤러(12)의 장치의 전방측에 반대측에 후방측과 외부 커버(24) 사이에 제공되어서, 기류가 외부로의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배기부에서 발생한다. 공간(B)은 방열공(22a)으로부터 시트 안내부(13) 아래에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이 내재된 공간(A)으로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에서 발생하는 열은, 공간(A)의 최상부 부분에 즉, 공간(A)이 공간(B)과 연통하는 부분에서, 바닥판(21)에 대해 경사지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시트 안내부(13)에 의해 수집된다. 장치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기류가 방열공(22a)을 통해 정착 롤러(12)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열 배기에 의해 공간(B)에서 발생함으로, 장치의 최하부에서 발생하여 시트 안내부(13)를 따라서 공간(A)의 상부에서 수집되는 열도,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을 따라서, 방열공(22b)을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다르게는, 상기 열도 정착 롤러(12)에서 발생되는 열과 함께 공간(B)을 통하여 지나가서, 장치의 외부로 방열공(22a, 22b)을 통해 방출된다.
그런데, 한 쌍의 정착 롤러(12)쪽으로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이동시키는 기류를 연속해서 발생시키기 위하여서는, 화상 형성 장치 안으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류가 시트 카세트(11) 아래에 외부 커버에 진공 흡입구(23)를 형성하여 발생되어서, 시트 공급 롤러(22)와 시트 카세트(1)를 구비하는 공급 수단 하부를 통하여 공간(A) 안으로 외부 공기를 도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공급 롤러(2)와 바닥판(21) 사이에 거리(L)는 진공 흡입구(23)을 통해 공간(A) 안으로 도입되는 외부 공기의 흐름을 자극하기 위해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상기 거리(L)는 장치를 콤팩트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아직은 공간(A) 안으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20mm로 선택한다. 즉, 공간(A)으로의 외부 공기의 유효한 도입은 적어도20mm에 거리(L)로 달성되고 이런 사실은, 후술되는 바로서, 상기 외부 공기 도입이 장치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경험적으로 확인되어 있다.
제어 기판(14) 위에 위치된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외부 커버(24)에 제공된 방열공(22a) 또는 제1 구멍을 통하여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한 쌍의 정착 롤러(12)의 하부와 장치의 케이싱과의 사이에 제공된 공간(A)으로 연장되는 기류관으로서의 공간(B)은 공간(A)으로부터의 공기 방출을 자극한다.
상기 공간 또는 관(B)은 제어 기판(1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기류를 자극하여, 외부 커버(24)에 제공된 제2 배기 수단을 구성하는 방열공(22b)을 통하여,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방출된다. 따라서, 배기 팬 또는 그와 같은 것을 이용하지 않고 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을 자연적으로 방출하여 조용하고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의 내부에서 열을 방출하는 구멍이 제1 및 제2 구멍으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구멍의 수가 본 발명의 범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류의 세기는 시트 안내부(13)와, 바닥판(21)에 수평으로 제공된 제어 수단을 구성하는 제어 기판(14)과의 사이에서 각도에 의해 즉, 제어 기판(14) 위에 공간(A)의 영역에 의해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안내부(13)와 제어 기판(14) 사이에 각도가 후술하는 이유로 상술된 바와 같이 45°를 선택한다.
다음의 표는 바닥판(21)과 시트 안내부(13) 사이에 각도가 0°, 30°, 45°, 및 60°로 변경될 때에, 프로세스 카트리지(6)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15° 30° 45° 60°
프로세스카트리지 57.3℃ 53.1℃ 49.1℃ 47.3℃ 45.7℃
레이저 스캐너 69.6℃ 66.9℃ 65.5℃ 61.5℃ 58.4℃
제어 기판 61.8℃ 56.2℃ 51.2℃ 48.1℃ 44.6℃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성분의 온도는 바닥판(21)과 시트 안내부(13) 사이에 각도가 적을 수록 낮게 된다. 만일 프로세스 카트리지(6)에 토너의 온도가 50℃를 넘게되면, 토너 용해의 가능성이 더 높게 된다. 용해와 접합되는 토너의 사용은 화상 형성에 결함을 초래함으로, 토너에 허용가능한 상한 온도를 50℃로 고려한다.
상한 온도50℃에 적합한 어느 정도의 공차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의 시트 안내부(13)와 바닥판(21)과의 사이에 각도는 약 45℃를 선택한다.
그런데, 상기 표에 나타낸 온도는 프로세스 카트리지(6)의 프레임의 면에서 측정된 것이다. 따라서, 토너 용기 내측에 실질 온도는 상기 표에 나타낸 값보다 더욱 낮아서, 30℃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큰 각도를 시트 안내부(13)와 바닥판(21) 사이에서 안전하게 채택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스캐너(11)의 온도가 광학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만큼 높지 않아서, 안정된 화상 형성 작업을 실행한다.
다른 면에서, 바닥판(21)과 시트 안내부(13)가 90℃에 접근하면, 시트 반송작업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장치에 온도 증가를 방지하고 저렴한 비용의 콤팩트한 제조를 고려하여, 상기 각도는 약 30℃ 내지 약 60℃ 범위 내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보다 작은 각도가 장치의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지만, 그 푸트프린트(footprint)가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21)과 시트 안내부(13) 사이에 각도를 비용, 푸트프린트 및 장치의 높이를 고려하여 45℃를 선택한다.
도 3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제2 실시예에서, 시트 안내부(13)는 상술된 바와 같이 설치되지만, 시트 배출 트레이(17)와 시트 카세트(1)의 장착 각도는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변경하였다. 상기 구조는 장치의 푸트프린트를 감소시키고 배출된 시트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시트 안내부(13)에 의해 한 쌍의 정착 롤러(12) 아래에 삼각형 단면 모양의 공간(A)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A)에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을 배치하고 상기 공간(A)과 정착 롤러(12)를 접속하는 한 쌍의 정착 롤러(12) 아래에 덕트 공간(B)도 형성하여, 냉각 또는 배기용 팬을 이용하지 않고도, 장치의 최하부에 구동 모터(15)와 제어 기판(14)으로부터 한 쌍의 정착 롤러(12)에 이르는 영역에서의 공기 배기 및 열 소산을 위한 자연적 기류를 발생할 수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에 열 축적을 없앴으며 그 곳에서의 온도 상승도 방지된다.
따라서, 팬이 필요없는 구조로 제조비의 감소를 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팬의 회전으로 인한 소음을 없애어서 조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시트 안내부(13)는 높은 열 절연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부재로 구성되어서, 열 영향으로부터 화상 형성 부분을 구성하는 레이저 스캐너(11)와 프로세스 카트리지(7)의 보호가 이루어진다.
더우기, 장치의 케이싱과 시트 안내부(13)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하였다. 보다 특정하게는, 상대적으로 높은 열이 발생하는 부품이 장치의 수직 평면 측에 장착되고 반면에, 상대적으로 낮은 열이 발생하는 부품은 수평면 측에 제공되어서, 열방출 효과가 더욱 향상되었다.
또한, 시트가 대체로 직선적이고 수평면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반송되어, 시트 반송작업이 방향의 주요한 변환을 포함하지 않아서, 반송 시트의 왜곡 또는 이탈과 같은 화상 형성의 안정성을 악화시키는 결점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더우기, 시트 안내부와의 충돌 시에 시트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소음이 감소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 시트 반송작업을 이용하는 프린터와 대비하여, 정밀한 반송작업에 대한 필요도가 완화되어서 시트 반송용 안내 부재와 쌍으로 이루어진 롤러의 수의 감소로 제조비가 저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반송로를 구성하는 시트 안내부(13)가 장치의 프레임의 대각선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장치의 다른 부재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설명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는 레이저 비임으로 감광 부재를 스캐닝하여 기록작업을 이루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한다.
도6을 참고로, 장치의 본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 시트 카세트(101)는 복수 적층된 기록 시트(P)를 구비한다. 기록 시트(P)는 시트 카세트(101)의 상부 전방 단부에 제공된 시트 공급 롤러(102)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 롤러(103a, 103b)에 의해 전사부에 반송된다.
상기 도면에는 레지스트 센서(104)와 미러(106)도 나타내었다. 레지스트 센서(104)는 노출 광원을 구성하는 레이저 스캐너(105)의 광방출 타이밍과 기록 시트(P)의 선단부 위치를 동기 시키는 역활을 하여서, 기록 시트(P)에 예정된 위치로부터 화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7)는 감광 부재(108), 현상 장치(117), 대전 롤러(118), 클리너(119) 등이 일체적으로 합체된다. 또한, 여기에는 기록 시트(P)상에 감광 부재(108)에 형성된 시각성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롤러(109)와, 열에 의해 기록 시트(P)에 시각성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장치(111)에 시각성 화상을 전사한 후에 기록매체(P)를 안내하는 반송 안내부(110)도 나타내었다. 정착 화상을 가진 기록 시트(P)는 외부 커버(113)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시트 배출 트레이(114)에 배출 롤러(112)에 의해 배출된다.
(기록 시트의 반송 각도)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된 시트 카세트(101)와 시트 공급 롤러(102)로 구성된 시트 공급 수단, 전사 롤러(109)에 의해 기록 시트(P)에 감광 부재(108)로부터 시각성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 그리고 기록 시트(P)에 시각성 화상을 열 정착하는 정착 장치(111)는, 최상부 위치에서 정착 장치(111)와 경사진 상방향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위치된다.
시트 카세트(101)에 적층된 기록 시트(P)는, 시트 공급 롤러(102)에 의해 전진된 후에, 대체로 직선인 반송로를 따라서 전사부에 반송 롤러(103a, 103b)에 의해 반송되고, 그 후에, 감광 부재(108)와 전사 롤러(109)사이에 끼워져서, 시각성 화상의 전사와 동시적으로 정착 장치에 반송된다. 상기 작업에서의 반송로가 대체로 직선이기 때문에, 그 반송되는 기록 시트(P)와 반송 안내부(110)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소음을 절감할 수 있으며, 기록 시트(P)는 매우 높은 신뢰성의 시트 반송이 이루어지는 안정적 방식으로 반송될 수 있다.
또한, 정착 장치(111)가 기록 시트 반송로의 최상부 부분에 설치되어, 정착 장치(111)에서 발생되는 열이, 지속적인 인쇄 작업인 경우에서도 외부 커버(113)에 형성된 나타나지 않은 방열공을 통하여 장치의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정착 장치(11)의 측부에 또는 아래에 위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7)와 레이저 스캐너(105)는 그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아서, 만족할 만한 출력 화상을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의 대각선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기록 시트 반송로를제공하여 다양한 메카니즘을 효율적으로 위치하여, 장치를 콤팩트하게 이룰 수 있다.
(레이저 스캐너의 위치)
도 7은 도6에 도시된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주요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다른 실시예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단면도이며, 레이저 스캐너(105)는 도6에 도시에서는 다각형 미러(105a)의 상부 우측에 또는 도 8에 도시에서는 상부 좌측에 설치된다.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도6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공급 수단, 전사 수단 및 정착 수단으로 이루어진 기록 시트 반송로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는 방향으로부터 감광 부재(108)로 레이저 비임을 도입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구조는 장치의 높이와 깊이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또한, 다각형 미러(105a)를 회전시키는 스캐너 모터(105b)는 스캐너 모터(105b)의 베어링에 로드를 제거하도록 대체로 수평적으로 위치하여서, 모터의 베어링의 스크렙핑에 의한 서비스 수명의 단축과 같은 결점을 해소하여 스캐너 모터(105b)의 연장된 수명 이상의 사용을 허용한다.
도6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7)가 시트 배출 트레이로부터 또는 그를 향하는 방향으로 대체로 수평적으로 부착 또는 탈착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107)의 대체 및 잼 프로세싱(jam processing)이 동일 방향으로부터 실행되어 유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7)가 위로부터 부착또는 탈착되지만, 레이저 스캐너(105)는 정착 장치(111)로부터 이격되어져 정착 장치(111)의 열에 의한 영향을 덜 받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레이저 비임의 입사 각도는 레이저 스캐너(105)의 위치설정에 상당한 자유를 제공하여, 유용성과 온도 상승에 제한을 회피할 수 있다.
(전기 공급 시스템의 레이아웃)
AC전원, DC전원 및 고전압을 구비하는 전기 공급 시스템(115)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공급 수단으로부터 정착 수단으로 경사 상방향으로 위치된 기록 시트 반송로 아래에 위치되어, 시트 공급부로부터 정착 부분으로의 영역에 전기 공급 부분을 위한 대형 공간을 확보하여서, 전기 공급 부분(115)으로부터 열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용의 통로를 확보한다.
또한, 전기 공급부(115) 위에 위치한 정착 장치(111)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 커버(113)에 제공된 비표현된 방열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외부 커버(113)와 정착 장치(111)의 배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서, 정착 장치(111)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공간에 기류가 발생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정착 장치(111) 아래에 대형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에 전기 공급부(115)를 위치하고, 정착 장치(111) 뒤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냉각팬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기 공급부(115)로부터 정착 장치로의 범위에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기류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어서, 장치에 열이 축적하는 것을 해결하였으며, 그 안에서의 온도 상승도 방지하여서, 팬이 설치 안된 구조를 실현하여서 제조비의 달성을 이루었으며 그리고 상기 팬의 소음을 없애어서 조용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시트 공급 수단에서 정착 수단으로 경사 상방향으로 배열된 기록 시트 반송로 아래에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하여, 전기 공급부(115)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형상 레이아웃으로 형성되어, 전기 공급부의 효율성이 더욱 향상된다. 보다 특정하게는, 비교적 높은 열 발생 부품 또는 요소가 장치의 수직 평면측에 장착되는 반면에, 비교적 낮은 열 발생 부품 또는 요소가 수평면 측에 설치되어서, 전기 공급부에서의 열 방출이 더욱 효과적으로 실행된다.
(구동원의 위치)
구동원을 이루는 모터(116)는 DC모터 또는 스텝핑 모터로 구성되고, 시트 공급 수단, 전사 수단 및 정착 수단을 구비하는 기록 시트 반송로 아래에 위치되어, 도전측 벽의 내부 면에 나사(126)로 직접 장착된다.
기록 시트 반송로 아래에 모터(116)의 상술된 위치 설정은, 화상 형성 장치가 보다 높은 처리 속도를 달성하도록 대형 모터로 또는 스텝핑 모터로부터 DC 모터로의 융통성 있는 변경을 허용한다. 따라서, 용이하게 예를 들어 10ppm 내지 20ppm의 고속도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도전성 프레임(20)의 내부 면에 모터(116)를 바로 장착하는 것은, 전체 도전성 프레임(120)에 용이하게 자체적으로 모터(116)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소산되게 하여서, 모터의 효율이 향상되고 모터의 접지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전체 장치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모터(116)가 도전성 프레임(120) 내측에 위치하여서, 모터 피니온이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어, 구동부가 프레임 외측에 위치된 기어 트레인(gear train)을 방해하지 않고 보다 얇게 만들수 있으며 그리고 전체 장치의 폭이 감소되어서 콤팩트한 장치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기록 시트 반송부 아래에 전기 공급부(115)와 모터(116)를 위치설정하고 모터(116)의 회전자 위에 핀(fin)(127)을 설치하여서, 자연 대류와 강제 대류에 의해서도 전기 공급부(115)로부터의 열 방출이 달성되도록 기류가 발생된다.
(프레임 구조)
본 실시예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프레임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한 쌍의 도전성 측벽을 이루는 도전성 프레임(120, 121), 시트 공급 수단과 반송수단과 전사 수단 및 정착 수단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제 반송 평판(122), 레이저 스캐너(105)를 지지하는 도전성 스캐너 평판(123) 그리고 전기 공급부(115)를 지지하고 장치의 최저부에 설치된 도전성 바닥판(124)으로 구성된다.
좌우측에 측벽을 구성하는 상술된 도전성 프레임(120, 121)은 강성으로 안정된 전기적 접지 및 전자기 차폐를 고려하여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금속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설명에서와 같이, 모터(116)는 좌측에 도전성 프레임(120)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재료는 열 소산, 진동 감소 및 전기 접지를 편리하게 하는 데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시트 공급 수단, 반송 수단, 전사 수단, 및 정착 수단과 같은 기본 유닛을 지지하는 부분과, 기록 시트(P)용 안내부를 구비하는 반송 평판(122)은, 전기 공급부(115)로부터의 열을 절연하고 단일 성분의 복합 형태 형성에 의한 비용절감을 고려하여서, 플라스틱재를 일체형 성형하여 형성된다.
전사 평판(123)은 다각형 미러(105a)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고 강성(high rigidity)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금속 평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장치의 최저부 파트에 위치된 상술된 바닥판(124)은, 전기 공급부(115)를 지지하는데 소요되는 전자기 차폐와 구성 부재의 일 파트에서 소요되는 강성을 고려하여, 금속 평판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프레임 구조는 저렴한 비용으로 달성되면서도, 열 절연, 고 강성, 열 소산, 및 진동 감소의 기능을 만족하는 것이다.
또한, 장치의 푸트프린트의 감소 또는 배출되는 기록 시트(P)의 관측의 용이함과 같은 목적에 의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조는 시트 배출 트레이(114)와 시트 카세트(101)의 각도의 변경에 의한 다양한 방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이런 경우에, 자연적으로, 전사 수단을 통해 시트 공급 수단으로부터 정착 수단으로의 경사진 상방향으로 기록 시트(P)를 반송하여 획득되는 효과는 상술된 실시예에서의 효과와 동일하다.
다음에서 도10 내지 도1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구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설명한다.
도10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반면에, 도11은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파트의 사시도이고 도12는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성분의 위치를 변경하여 단면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프린터만이 아니라, 예를 들면 후술되는 레이저 비임으로 화상 담지 부재(감광 부재)를 스캐닝하여 기록작업을 실행하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레이저 비임 프린터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먼저, 전체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시트 적층부를 구성하는 시트 카세트(201)는 화상 형성 장치에 탈착적으로 장착되고 그안에 적층된 시트(기록 시트)(S)를 포함한다.
시트(S)는 시트 카세트(201)의 상부 전방 단부에 제공된 공급 수단(202)(예를 들면 공급 롤러)에 의해 1매씩 분리되어 공급되며, 그리고 분리된 시트는 반송수단을 구성하는 반송 롤러(203a, 203b)에 의해 전사부에 더욱 반송된다.
레지스트 센서(204)는, 레이저 스캐너(205)의 광 방출 타이밍이 시트(S)의 선단부 위치와 동기하여, 시트(S)에 예정 위치로부터 화상을 나타내기 시작하도록 제공된다.
레이저 스캐너(205)에 미러(206)는 레이저 스캐너(205)에 제공된 스캐닝 다각형 미러(205a)에서 방출되는 레이저 비임의 통로 한정용으로 제공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207)는 화상 담지 부재(감광 부재)(208), 현상 장치, 클리너, 대전 롤러와 같은 공지된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해 미정착 화상을 형성하는 부재를 구비한다.
전사 수단(전사 롤러)(209)은 시트(S)상에 화상 담지 부재(208)에 형성된 미정착된 시각성 화상을 전사하는 역활을 하여 그 위에 미정착된 화상을 형성하고, 전사 수단(209)과 프로세스 카트리지(207)는 화상 형성 수단을 구성한다.
반송 안내부(210)는 화상을 가열작업으로 시트(S)에 미정착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정착 장치)(211)으로 전사한 후에, 시트(S)를 안내한다.
정착 화상을 담지한 시트(S)는 외부 커버(213)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시트 배출 트레이(214)에 배출 롤러(212)에 의해 방출된다.
다음에서는 시트 반송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수단(202)에 의해 구성된 공급부, 화상 형성 수단에 의해 구성된 화상 형성부(전사 수단(209)과 화상 담지 부재(209)의 접촉부의 근처), 그리고 정착 수단(21)에 의해 구성된 정착부는 최상부 위치에 정착부와 상방향 경사 방향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공급 수단(202)으로 이루어진 공급부에서 정착 수단(211)으로 이루어진 정착부로의 시트 반송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지는 방식으로 대체로 선형으로 제공된다.
시트 카세트(201)에 내재된 시트(S)는 직선 반송로를 따라서 반송 롤러(203)에 의해 전사부에 공급 수단(202)에 의해 공급된 후에 반송되고, 다음, 전사 수단(209)과 화상 담지 부재(208)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토너 화상의 전사와 동시적으로 정착 수단(211)에 추가로 더 반송된다.
이런 작업에서의 시트(S)용 반송로는 대체로 직선이므로, 시트 반송 중에 발생하는 안내 부재와 시트(S)와의 사이에 마찰 소음이 감소되고, 시트(S)의 안정적인 반송이 이루어지며, 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정착 수단(211)이 시트 반송로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정착 수단(211)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지속적인 인쇄작업에서도 외부 커버(213)에 형성된 제1 배기구를 구성하는 방열공(213a)을 통해 장치의 외부로 방출된다.
또한, 정착 수단(211)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온난하게 된 기류를 터치하지 않도록, 그로부터 이격되어서 정착 수단(211)보다 높거나 또는 낮은 위치에 제공된 레이저 스캐너(205)와 프로세스 카트리지(207)는, 정착 수단(21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아서, 안정된 출력 화상을 일정하게 제공한다.
외부 공기가 방열공(213a)에 도입되는 곳에 장치의 하부로부터 유동로(제1 유동로(R1))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방열공(213a)과 정착 수단(211)을 위치하여서, 기류가 팬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정착 수단(211)의 열 발생에 의해 제1 유동로(R1)에 화살표 방향으로 발생하며, 정착 수단(211)에서 발생되는 열은 다른 성분(특정하게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7)와 레이저 스캐너(205))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방열공(213a)을 통하여 방출된다.
따라서, 종래 팬을 사용하는 장치와 대비하여, 양질의 화상 형성을 가능하게 하는 온도 상승이 방지되면서, 간단하고, 콤팩트하면서 정숙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다양한 메카니즘이 화상 형성 장치의 대각선에 또는 대각선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시트 반송로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위치되어서, 장치를 콤팩트하게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는 레이저 스캐너의 배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10 및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이저 스캐너(205)는 다각형 미러(205a)에서 미러(206)로 상방향으로 경사지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도10과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공급 수단, 전사 수단 및 정착 수단에 대해 사실상 수직 방향으로부터 화상 담지 부재(208)로 레이저 비임을 유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구조는 화상 형성 장치의 깊이와 높이를 최소로 할 수 있게 한다.
도12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7)가 시트 배출 트레이에서 또는 그를 향하는 방향으로 대체로 수평적으로 부착 또는 탈착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107)의 대체 및 잼 프로세싱이 동일한 방향에서 실행되어 유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10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7)가 위로부터 부착 또는 탈착되지만, 레이저 스캐너(205)는 정착 장치(211)로부터 이격되어 정착 장치(211)의 열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레이저 비임의 경사 각도는 상당히 자유로운 레이저 스캐너(207)의 위치 설정을 제공하여서, 온도 상승과 유용성의 제한 요소를 피할 수 있다.
다음, 전기 공급 시트템의 레이아웃을 설명한다.
AC전원, DC전원 및 고전압원을 구비하는 전기 공급부(215)는, 설명된 바와 같이, 공급 수단(202)에 의해 구성되는 공급부로부터 정착 수단(211)에 의해 구성되는 정착부로의 경사진 상방향으로 위치되는 하부에 위치되어서, 공급부에서 정착부로의 영역에 전기 공급부(215)를 구비하는 대형 공간이 확보된다.
상기 구조는 전기 공급부(215)로부터의 열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용 통로(제2 유동로(R2))가 확보 된다.
상술된 공간의 상부에서 상술된 기류가 방출되도록 외부 커버(213)에 상기위치에 제2 배기구로서의 방열공(213b)을 형성하여, 기류가 팬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전기 공급부(215)의 열 발생에 의해 제2 유동로(R2)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발생되며, 전기 공급부(215)에서 발생되는 열은 다른 부품(특정하게는 프로세스 카트리지(207)와 레이저 스캐너(205))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고 방열공(213b)을 통하여 방출된다.
따라서,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양질의 화상 정보를 이루면서도, 팬을 사용하는 종래 장치와 대비하여 간단하고 콤팩트하며 정숙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통로(R1)와 제2 통로(R2)와 접속하는 접속로(R3)(정착 수단(211)과 외부 커버(213)의 하부 이면 사이에 공간을 제공하여 형성)는, 제1통로(R1)에 외부 공기의 유입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제2 통로(R2)에 기류를 자극시키기 위해서도 제공된다.
따라서, 전기 공급부(215)를 구비하는 공간 위에 위치된 정착 수단(211)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상술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213)에 제공된 방열공(213a)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정착 수단(211)에서 발생된 고온도의 기류는 통로(R3)에 상당한 흡입력을 발생하여, 제2 통로(R2)에 기류를 강화시킨다.
따라서, 전기 공급부(215)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기하는 기류를 자극하여, 연통로(R3)에 근접 위치된 방열공(213b)을 통한 장치의 외부로 전기 공급부의 열을 용이하게 배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정착 수단(211) 아래에 대형 공간을 형성하고, 그 하측부에 전기 공급부(215)를 위치하고, 또한 정착 장치의 영역과 전기 공급부의 영역을 연통하는 정착 수단(211)의 하부 이면 측에 통로도 형성하여, 냉각 또는 공기 배기용 팬을 이용하지 않고도 열 소산을 위한 충분한 기류 발생이 가능하여서, 화상 형성 장치에 열 축적문제가 해결되어 그 안에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따라서, 팬을 필요로 하지 않는 구조를 실현하여 비용절감을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팬에 의해 발생된 회전 소음을 없애어서 정숙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기도 하는 것이다.
또한, 공급부로부터 정착부로의 경사 상방향으로 위치된 시트 반송로 아래에 공간을 유효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전기 공급부(215)를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L형상 레이아웃으로 형성하여서, 전기 공급부의 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보다 특정하게는, 비교적 높은 열을 발생하는 성분 또는 요소는 장치의 수직 평면측에 장착하고 반면에 비교적 낮은 열을 발생하는 성분 또는 요소는 수평 평면측에 설치하여서, 전기 공급부로부터이 배출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된다.
다음, 구동원의 배열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동원을 구성하는 모터(216)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의 프레임의 일 파트를 이루는 도전성 좌측 벽(220)에 직접 장착되고 시트 반송로 아래에 위치된다.
시트 반송로 아래에 모터(216)의 상술된 위치 설정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 보다 높은 프로세스 속도를 달성하도록 융통성 있게 스텝핑 모터로부터 DC모터로의변경 또는 대형 모터로의 변경을 허용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10ppm 내지 20ppm의 고속도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도전성 프레임에 모터(216)의 직접 장착은 프레임에 용이하게 모터(216)에 의해 발생되는 열의 소산을 허용하여, 모터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모터의 접지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전체 장치의 비용을 절감한다.
또한, 시트 반송부 아래에 전기 공급 영역에 모터(216)를 위치 설정하여서, 모터(216)에서 발생되는 열도 전기 공급부(215)로부터의 열에 의해 제2 통로(R2)에서 발생되는 기류를 자극하여, 모터(216)와 전기 공급부(215)의 열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된다.
다음,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레이저 비임 프린터의 프레임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한 쌍의 도전성 측부 평판(220, 211)과, 공급 수단과, 반송 수단(반송 롤러(203a, 203b)), 전사 수단(209) 및 정착 수단(211)을 지지하는 합성수지제 반송 평판(222), 레이저 스캐너(205)를 지지하는 도전성 스캐너 평판(223) 그리고 장치의 최저 파트에 제공되고 전기 공급부(215)를 지지하는 도전성 바닥판(224)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도전성 좌우 평판(220, 221)은 전기적 접지 및 전자기성 차폐가 용이하게 강성을 고려하여 도전성 재료로 바람직하게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평판은 금속 평판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모터(216)는 좌측 평판(220)에 직접 장착되고 상기 재료는 열 소산, 진동 감소 및 전기적 접지 작업을 용이하게하는 주요한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급 수단(202), 반송 수단, 전사 수단(209) 및 정착 수단(211)을 지지하는 부분과, 시트(S)용 안내부를 구비하는 반송 평판(222)은, 전기 공급부(215)로부터의 열의 절연과 단일 성분의 복합 형태 형성에 의한 비용 절감을 고려하여, 플라스틱재로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스캐너 평판(223)은, 고 강성이 다각형 미러(205a)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하는데 필요하기 때문에 금속 평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장치의 최저 파트에 제공된 바닥판(224)은, 전기 공급부를 지지하기 위한 전자기 차폐작업과 구조 부재의 일 파트로서의 강성을 요구하는 것을 고려하여 금속 평판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프레임 구조는 열 절연, 고 강성, 열 소산 및 진동 감소의 기능을 만족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달성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된 시트의 시각성과 같은 것을 보다 용이하게 이룰 목적에 따라서는, 시트 배출 트레이와 시트 카세트(또는 공급 트레이)의 각도 변경에 의한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상기 경우에서도, 온도 상승의 방지와 같은 상술된 효과를 자연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다음, 기류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된 설명에서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기류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시스템으로 분리된다.
제1 시트템은 정착 수단(211)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강력한 기류이다.
제2 시스템은 전기 공급부(215)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비교적 빈약한 기류이다.
빈약한 기류를 자극하도록, 전기 공급부의 영역이 크게 만들어지고 반면에 배기구가 전기 공급부의 영역의 최상부에 제공되어, 전기 공급부에 대류를 향상하여 공기 배기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정착 장치 뒤에 전기 공급부의 영역과 정착부의 영역을 접속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그로부터의 강력한 기류가 전기 공급부의 약한 기류를 강화시키어서, 상기 약한 기류를 자극하고 전기 공급부에 공기 배기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의 이면에만 제공된다.
정착 장치 또는 전기 공급부로부터 방출되는 공기는 비교적 고온이고 불쾌한 것이어서, 장치의 작업측에서 최원거리로 화상 형성 장치의 이면에만 배출구를 위치 설정하여 작동 시에 사용자의 기분을 좋게 한다.
상술된 구조는 팬이 없이도 전기 공급부 또는 화상 형성부의 불필요한 온도 상승을 방지하여, 장치의 고장 또는 불완전한 화상과 같은 결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팬 없는 구조(fanless configuration)는 정숙하고 저렴한 비용의 화상 형성 장치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량이 경량이고, 시트 반송능이 우수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31)

  1.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과,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과,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을 제어하는 요소를 갖는 제어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과 시트 공급 수단 사이에 위치된 시트 안내부는 시트가 경사진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선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어 기판은 장치의 바닥면과 시트 안내부 아래에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장치의 바닥면에 대한 시트의 각도가 30°내지 60°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안내부는 시트상에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정착 수단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안내부는 장치의 내부를 횡단하는 대각선에 사실상 평행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안내부는 열 절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장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구멍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구멍은 정착 수단 근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정착 수단 위에 제공된 제1 구멍과 시트 안내부 아래에 공간의 최상부의 근처에 제공된 제2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는 제1 구멍과 제2 구멍을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시트 안내부 아래의 공간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하부에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시트 공급 카세트를 장착하는 카세트 장착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흡입구는 상기 카세트 장착부 아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안내부는 장치의 외부 케이싱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안내부는 재생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과,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와,
    상기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착 수단과 시트 공급 수단 사이에 위치된 시트 안내부는, 시트가 경사진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선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구동원은 시트 안내부 아래에 공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장치의 프레임은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원은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장치의 상부에 위치되고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사용하여 장치의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어 기류를 유발시키는 공기 통로와,
    장치의 외부로 공기 통로에 기류를 방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수단은 감광 부재와 상기 감광 부재에 화상을 노출하는 스캐너를 구비하며, 감광 부재와 스캐너는 정착 수단에 의해 온난하게된 기류가 통과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과,
    경사진 상방향으로 시트가 이동하는 방식으로 선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 사이에 위치된,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와,
    상기 시트 안내부 아래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제공되고 전력을 장치의 본체에 공급하는 전력원을 구비하는 전기 공급부와,
    전기 공급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사용하여 장치의 하부로부터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류를 유발시키는 공기 통로와,
    장치의 외부로 상기 공기 통로 내에 기류를 방출하는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상기 공간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시트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과,
    경사진 상방향으로 시트가 이동하는 방식으로 선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시트 공급 수단과 상기 정착 수단 사이에 위치된,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와,
    상기 정착 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사용하여 장치의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류를 유발하는 제1 유동로와,
    장치의 외부로 상기 제1 유동로에 기류를 방출하는 제1 배기구와,
    상기 시트 안내부 아래에 형성된 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전기 공급부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장치의 하부에서 외부 공기를 유입하여 기류를 유발하는 제2 유동로와,
    장치의 외부로 상기 제2 유동로 내에 기류를 방출하는 제2 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동로와 상기 제2 유동로를 연통하는 공기 통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장치의 본체의 후방면 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 수단과,
    시트 지지 수단에서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공급 수단과,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과,
    시트에 형성된 화상을 정착하는 정착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 공급 수단으로부터 상기 정착 수단까지의 시트 반송로는 상기 시트 반송로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대각선에 대해 사실상 평행하고 사실상 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금속 평판 작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덮는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진 외부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반송로 아래의 공간에 제공된 구동 모터 및 전력 공급 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는 장치의 설치면에 대해 수직하게 서 있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6. 장치의 설치면에 수직적으로 제공된 두 개의 측판과,
    상기 두 개의 측판에 장착되고 상기 측부 평판의 저부측에 위치된 평판형 제1 스테이와,
    두 개의 측판에 장착되고 상기 측부 평판의 상부측에 위치된 평판형 제2 스테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 사이에 위치되고 두 개의 측판에 장착된 평판형 제3 스테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스테이는 상기 두 개의 측판 사이에 Z모양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측판과 상기 제1 및 제2 스테이는 금속으로 구성되고, 제3 스테이는 수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감광 부재,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광으로 감광 부재를 스캐닝하는 스캐너, 시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트 안내부 및 동력원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스캐너는 제2 스테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시트 안내부는 제3 스테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동력 공급부는 제1 스테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안내부와 상기 제3 스테이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엔진 콘트롤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엔진 콘트롤러는 상기 제1 스테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 부재는 상기 제2 및 제3 스테이 사이에 제공된구멍을 통하여 장치에 부착되거나 장치로부터 탈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00056586A 1999-09-28 2000-09-27 화상 형성 장치 KR1003417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361199A JP2001100473A (ja) 1999-09-28 1999-09-28 画像形成装置
JP99-273611 1999-09-28
JP28404799A JP4508321B2 (ja) 1999-10-05 1999-10-05 画像形成装置
JP99-284047 1999-10-05
JP99-284239 1999-10-05
JP28423999A JP4208360B2 (ja) 1999-10-05 1999-10-05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7233A KR20010067233A (ko) 2001-07-12
KR100341733B1 true KR100341733B1 (ko) 2002-06-24

Family

ID=2733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586A KR100341733B1 (ko) 1999-09-28 2000-09-27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415118B1 (ko)
EP (1) EP1089142B1 (ko)
KR (1) KR100341733B1 (ko)
CN (1) CN1201208C (ko)
DE (1) DE6004123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056B1 (ko) 2006-04-27 2009-11-3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7102A (ja) 2000-12-01 2002-11-15 Clariant Gmbh アクリロイルジメチルタウリン酸をベースとするコポリマーおよび相乗作用添加物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2217560A (ja) * 2001-01-22 2002-08-02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3754899B2 (ja) * 2001-03-09 2006-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ガイド手段、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3292224A (ja) * 2002-01-31 2003-10-15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及び排紙装置
JP2004093708A (ja) * 2002-08-30 2004-03-25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3669353B2 (ja) 2002-09-12 2005-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157463A (ja) 2002-11-08 2004-06-03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4487232B2 (ja) * 2002-12-24 2010-06-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4262233A (ja) * 2003-02-13 2004-09-2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4258117A (ja) * 2003-02-24 2004-09-1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7110694B2 (en) * 2003-05-23 2006-09-19 Kyocera Mita Corporation Structure for cooling the interior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92186A (ja) * 2003-08-08 2005-04-0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6973277B2 (en) * 2003-11-25 2005-12-06 Eastman Kodak Company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improved control of airflow
JP2005227719A (ja) * 2004-02-16 2005-08-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6030790A (ja) * 2004-07-20 2006-02-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US7664425B2 (en) * 2004-08-10 2010-02-1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power source circuit board arranged on side portion thereof
US20060181601A1 (en) * 2005-02-17 2006-08-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50566B2 (ja) * 2005-09-12 2012-06-13 株式会社リコー 穿孔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JP4949284B2 (ja) * 2008-01-30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歯車駆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EP2546061B1 (en) * 2009-08-27 2013-09-18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5447320B2 (ja) * 2010-09-30 2014-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35725B2 (ja) 2011-10-31 2016-1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13095042A (ja) * 2011-10-31 2013-05-20 Brother Industries Ltd 画像記録装置
JP5978707B2 (ja) 2012-03-28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063885B2 (ja) * 2014-02-28 2017-01-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11384B2 (ja) * 2017-02-28 2021-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22094203A (ja) * 2020-12-14 202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2094206A (ja) * 2020-12-14 2022-06-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5892A (en) * 1987-09-30 1991-09-03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Recording paper transport mechanism
US4974033A (en) * 1987-12-21 1990-11-27 Olympus Optical Co., Ltd. Two-side image recording apparatus
JP2598285B2 (ja) 1987-12-21 1997-04-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002266A (en) 1987-12-26 1991-03-26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system
JPH03245791A (ja) * 1990-02-23 1991-11-01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EP0496400B1 (en) * 1991-01-25 1997-05-28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rocess cartridge mounting feature
JPH05224476A (ja) 1991-12-20 1993-09-03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装着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H06317953A (ja) * 1993-04-28 1994-11-15 Canon Inc フレーム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JPH06348096A (ja) 1993-06-03 1994-12-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写真印刷装置
JPH0710745U (ja) * 1993-07-23 1995-02-14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内部送風構造
JPH0741204A (ja) * 1993-07-29 1995-02-10 Mita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IT1266902B1 (it) 1993-08-05 1997-01-21 Seiko Epson Corp Apparecchio per la formazione delle immagini.
EP0656570A1 (en) 1993-12-02 1995-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JP3087815B2 (ja) * 1994-04-18 2000-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構造体
JP3313930B2 (ja) * 1994-04-28 2002-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787321A (en) * 1996-02-09 1998-07-2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Temperature controlling device for fixing unit
JP3528473B2 (ja) * 1996-11-07 2004-05-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冷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9056B1 (ko) 2006-04-27 2009-11-30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15118B1 (en) 2002-07-02
EP1089142B1 (en) 2008-12-31
EP1089142A3 (en) 2002-02-27
DE60041231D1 (de) 2009-02-12
CN1201208C (zh) 2005-05-11
CN1291733A (zh) 2001-04-18
KR20010067233A (ko) 2001-07-12
EP1089142A2 (en) 2001-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1733B1 (ko) 화상 형성 장치
JP7364006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
US90866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cooling air channels arranged in an internal spa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077788A (ja) 画像形成装置
JP5595340B2 (ja) 画像形成装置
US7542062B2 (en) Integrated circu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drive circuits
TWI831020B (zh) 成像設備
JP4510791B2 (ja) 画像形成装置
EP2680056B1 (en) Optical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he same
JP4208360B2 (ja) 画像形成装置
JP450832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1089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2533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00477A (ja) 画像形成装置
JP357199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018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5856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319115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124267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3591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8253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13709A (ja) 画像形成装置
JPH07140818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10047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6747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