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719B1 -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719B1
KR100340719B1 KR1020000048142A KR20000048142A KR100340719B1 KR 100340719 B1 KR100340719 B1 KR 100340719B1 KR 1020000048142 A KR1020000048142 A KR 1020000048142A KR 20000048142 A KR20000048142 A KR 20000048142A KR 100340719 B1 KR100340719 B1 KR 100340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grooves
coil
groo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363A (ko
Inventor
무라타사토시
미하라히데유키
야마모토에츠지
다마다미노루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23295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6052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49030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67931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21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33Printed inductances with the coil helically wound around a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도체막이 플랜지를 갖는 코어의 표면 상에 제공된다. 제 1 플랜지 상에 제 1, 제 2 분할 홈 및 접속홈이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단자가 형성된다. 제 2 플랜지 상에 제 3, 제 4 분할 홈 및 접속홈이 형성되어, 제 3 및 제 4 단자가 형성된다. 각각의 분할 홈에 접속되고,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나선형홈이 제공된어, 제 1 및 제 3 단자에 접속된 코일 및 제 2 및 제 4 단자에 접속된 코일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인덕터, 초크 코일, LC 필터, 변압기, 발룬(balun) 변압기 등을 구성하는 코일 부품에 관한 발명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이 레이져 빔을 이용하여 코어의 표면에 제공된 도체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서 형성되는 코일 부품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 코일 부품의 한 예로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5-41324호에 기재된 코일 부품을 도 20을 참고로 하여 설명될 수 있다.
도 20에서, 솔레노이드(solenoid) 코일 100은 페라이트 등과 같은 절연 자성 재료로 만들어진 기둥 형상 보빈(bobbin) 101을 포함한다. 보빈 101의 표면 상에 도체막 102가 형성된다. 나선형으로 둘러싸인 홈 103은 레이져 빔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도체 막 102의 잔류부는 코일 104를 형성한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5-41324호는 적어도 두 쌍의 코일이 상기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체막을 절삭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복수의 코일이 형성되는 종래 기술과 관련하여, 각각의 코일의 경계를 정하는 나선형 홈을 어떻게 제공하는 지, 그리고, 상기 코일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를 어떻게 제공하는 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의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코일에 접속된 단자의 구성이 명확한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사시도;
도 2a는 코일 부품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본 도 1의 코일 부품의 부분 사시도;
도 2b는 타단에서 본 도 1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A-A 선을 따른 도 1의 코일 부품의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코일 부품의 개략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a는 코일 부품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본 도 7의 코일 부품의 부분 사시도;
도 8b는 타단에서 본 도 7의 코일 부품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A-A 선을 따른 도 7의 코일 부품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코일 부품의 개략 전개도;
도 11은 도 7의 코일 부품의 등가 회로도;
도 12a는 도 7의 코일 부품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b는 도 7의 코일 부품의 또 다른 변형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사시도;
도 14a는 코일 부품의 일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본 도 13의 코일 부품의 부분 사시도;
도 14b는 타단에서 본 도 13의 부분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코일 부품의 개략 전개도;
도 16은 도 13의 코일 부품의 등가 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구성하는 코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구성하는 코어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도 20은 종래의 코일 부품의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둥 형상의 코어에 제공되어 있는 도체막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코일이 형성되게 하는 코일 부품이 : 코어의 한 쪽 단부의 도체막에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체막에 제공되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단자; 코어의 다른 쪽 단부의 도체 막에제 3 분할 홈 및 제 4 분할 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체막에 제공되는,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 3 및 제 4 단자; 상기 제 1 분할 홈과 제 3 또는 제 4 분할 홈이 연속 되도록, 상기 제 1 분할 홈에서 부터 상기 제 3 또는 제 4 분할 홈까지 이어져, 도체막에 제공되는 제 1 나선형 홈; 상기 제 2 분할 홈과 상기 제 3 또는 제 4 분할 홈이 연속 되도록, 제 2 분할 홈에서 부터 제 3 또는 제 4 분할 홈까지 이어져, 상기 제 1 나선형 홈과 평행하도록 도체막에 제공되는 제 2 나선형 홈;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형 홈에 의하여 한정되는, 서로 평행한 제 1 코일 및 제 2 코일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설명한다.
도 1에서, 코일 부품 1은 페라이트로 만들어진 코어 2 및 코어 2의 일부를 덮는 외부 덮개막 21을 포함한다.
코어 2는 도 2a 및 2b에 도시되듯이 네 측면 2a, 2b, 2c 및 2d으로 된 사각 프리즘 형상을 갖는다. 코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서 코어 2의 방사선 방향으로 돌출된 각각 실질적으로 일본 핸드 드럼 형상을 갖는 플랜지 3 및 4가 형성된다. 플랜지 3은 단면 3a, 코어 2의 각각의 측면에 형행한 네 측면 3b, 및 코어 2의 방사선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네 경사면 3c로 구성된다. 유사하게, 플랜지 4는 단면 4a, 네 측면 4b, 및 네 경사면 4c로 구성된다.
플랜지 3에서, 제 1 단자 10 및 제 2 단자 11은 제 1 분할 홈 7, 제 2 분할 홈 8 및 제 1 접속홈 9를 형성함으로서 경계가 정하여 진다. 플랜지 4에서, 제 3단자 15 및 제 4 단자 16은 제 3 분할 홈 12, 제 4 분할 홈 13 및 제 2 접속홈 14를 형성함으로서 경계가 정하여 진다. 플랜지 3과 4 사이에 끼워진 코어 2의 일부에서, 제 1 코어 19 및 제 2 코어 20은 제 1 나선형 홈 17 및 제 2 나선형 홈 18을 형성함으로서 경계가 정하여 진다.
도 3에서 도시되듯이, 유리로 만들어진 피막 5가 코어 2의 표면 상에 제공된다. 또한, 도체막 6이 피막 5 상에 형성된다. 도체막 6은 코어 2의 전체 면 위에 형성된 제 1 도체막 6a, 및 플랜지 3 및 4에서 제 1 도체막 6a와 중첩되는 도체막 6b를 포함한다. 도 3의 단면도에서, 각각의 분할 홈 7, 8, 12 및 13, 그리고, 제 1 및 제 2 나선형홈 17 및 18에 의하여 제거되므로, 제 1 도체막 6a의 일부 및 제 2 도체막 6b의 전부는 도시되지 않는다.
제 1 도체막 6a는 무전해 도금법에 의하여 형성된 구리 또는 니켈 도금, 및 전기 도금법에 의하여 그 위에 형성된 구리 도금을 포함한다. 상기 두 도금 층은 위에 설명되듯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금이 형성되면, 두 충첩된 도금 층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구리 도금은 전기 도금에 의하여 한번에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도체막 6b는 전기 도금에 의하여 제 1 도체막 6a 위에 형성된 니켈 도금, 및 전기 도금에 의하여 그 위에 형성된 주석 도금을 포함한다.
미리 조정된 도체막 6의 일부는 레이져 빔으로 조사된다. 각각의 홈은 조사 부분을 제거함으로서 형성된다. 이 후, 각각의 홈의 외형은 도 2a, 2b 및 4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4는 외형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전개된 코어 2를 도시한다. 도시된 플랜지는 오목면 및 볼록면이 없는 코어로서, 코어와 동일한 평면 상에 플랜지가 있다고 가정하여, 플랜지 3 및 4를 도시한다. 플랜지 3에서, 제 1 분할 홈 7 및 제 2 분할 홈 8은 한 쌍의 대향 측면 3b 및 한 쌍의 경사면 3c 상으로 연장되어 제 2 도체막 6b 안에 형성된다. 상기 단면 3a에서, 제 1 및 제 2 분할 홈 7 및 8에 서로 접속된 접속 홈 9가 형성된다. 상기 홈들은 플랜지 3에서 제 2 도체막 6b를 분할하여 서로 절연된 제 1 단자 10 및 제 2 단자 11을 형성한다.
또한, 플랜지 4에서 제 3 분할 홈 12 및 제 4 분할 홈 13은 제 2 도체막 6b 안에서 한 쌍의 대향면 4b와 한 쌍의 경사면 4c 상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단면 4a에서, 제 3 및 제 4 분할 홈 12 및 13에 서로 접속된 접속홈 14가 형성된다. 상기 홈들에 의하여, 제 3 단자 15 및 제 4 단자 16이 서로 절연된 채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나선형 홈 17 및 제 2 나선형 홈 18이 서로 평행하게 코어 2의 각 측면 위에 있는 도체막 6a에 형성된다. 제 1 나선형 홈의 일단은 플랜지 3의 경사면 3c 상에서 제 1 분할 홈에 접속되고, 타단은 플랜지 4의 경사면 4c 상에서 제 3 분할 홈 12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나선형 홈 18의 일단은 플랜지 3의 경사면 3c에서 제 2 분할 홈에 접속되고, 타단은 플랜지 4의 경사면 4c의 제 4 분할 홈 13에 접속된다.
각각의 분할 홈 7, 8, 12 및 13의 폭은 각각의 나선형 홈 17 및 18의 폭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나선형 홈이 레이져 빔을 이용하여 분할 홈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는 경우에, 레이져 빔의 조사 위치가 이탈되는 경우에도, 나선형 홈은 분할 홈에 각각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 1, 2 나선형 홈 17 및 18을 이용하여, 제 1 코일 19와 제 2 코일 20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도 4에서, 제 1 코일 19는 제 1 및 제 2 코일 19와 20의 용이한 식별을 위하여 그림자 처리한다. 단자 10에 접속된 제 1 코일 19의 일단은 코일 2의 측면 2a, 2d, 2c 및 2b를 둘러싸도록 굽어지고, 타단은 제 3 단자 15에 접속된다. 반면, 제 2 단자 11에 접속된 제 2 코일 20의 일단은 측면 2b, 2a 2d 및 2c를 둘러싸도록 굽어지고, 타단은 제 4 단자 16에 접속된다.
레이져 빔의 조사에 의하여, 홈은 단지 제 1 및 제 2 도체막 6a 및 6b에 형성되어, 코일 19 및 20이 형성된다. 실제 제조 공정에서, 홈의 바닥은 피막 5 또는 코어 2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코어의 표면부가 레이져 빔의 조사에 의하여 제거되면, 코어를 구성하는 페라이트의 절연 저항은 감소한다. 하지만, 감소된 절연 저항은 피막 5를 구성하는 유리의 절연 저항에 의하여 보충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 1의 특성이 바람직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플랜지 3과 4 사이에 끼워진 코어 2의 일부에 코일 19 및 20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로 만들어진 외부 덮개막 21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덮개막 21의 표면은 플랜지 3 및 4 상에 제공된 제 2 도체막 6b의 표면과 동일 면에 위치한다. 전체적으로, 플랜지 3, 4와 코어 2 사이의 높이의 차이가 없어지므로, 코일 부품 1이 정사각형의 프리즘 형태를 취하게 된다.
코일 부품 1은 표면 실장형이고, 각각 그 안에 형성된 제 1 및 제 3 분할 홈 7 및 12를 갖는 플랜지 3 및 4의 측면 3b 및 4b를 이용하거나, 각각 그 안에 형성된 제 2 및 제 4 분할 홈 8 및 13을 갖는 측면 3b 및 4b를 이용하여 실장면에 실장된다. 특별히 도시되지는 않지만, 만약 지향성을 나타내는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 코어 2의 일단 또는 타단, 즉, 플랜지 3 및 4에 형성된다면, 전극과 코일의 형성, 및 부품의 실장은 적절히 수행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분할 홈 7, 8, 12 및 13은 또한 플랜지 3 및 4의 경사면 3c 및 4c로 각각 연장된다. 상기 분할 홈들과 제 1 및 제 2 나선형 홈 17 및 18 사이의 경계는 경사면 3c 및 4c 상에 각각 놓여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코일 19 및 20 각각은 그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외부 덮개막 21로 완전히 덮혀서, 실장면에 노출되지 않고, 보호된다.
도 5는 상기 설명한 실시예의 수정예를 도시한다. 도 5의 코일 부품 1a에서, 각각의 단자 및 코일 사이의 접속은 상기 실시예의 것과 다르다. 제 1 코일 19의 일단은 제 1 단자 10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 4 단자 16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코일 20의 일단은 제 2 단자 11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 3 단자 15에 접속된다. 다른 형상은 코일 부품 1의 것과 동일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설명된 구성을 갖는 코일 부품 1a의 실장을 위하여, 각각 그 안에 형성된 제 1 및 제 3 분할 홈 7 및 12를 갖는 플랜지 3 및 4의 측면 3b 및 4b, 또는 각각 그 안에 형성된 제 2 및 제 4 분할 홈 8 및 13을 갖는 측면 3b 및 4b는 실장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각 그 안에 형성된 제 1 내지 제 4 분할 홈 7, 8, 12 및 13을 갖지 않는 플랜지 3 및 4의 측면 3b 및 4b는 실장면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보듯이, 도체막은 플랜지 3 및 4의 측면 3a 및 4a에 제공될수 없다. 즉, 제 1 및 제 2 단자 10 및 11은 각각 단면 3a 및 4a로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플랜지 3만이 도시된다. 제 3 및 제 4 단자 15 및 16은 제 1 및 제 2 단자 10 및 11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추가로 설명한다.
도 7에서 코일 부품 51은 페라이트(ferrite)로 만들어진 코어 52 및 코어 52의 일부를 덮는 외부 덮개 막 521로 구성되어 있다.
코어 52는, 도 8a 및 8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 개의 측면 52a, 52b, 52c 및 52d를 갖는 정사각형의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어 52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에는, 코어 52의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본 핸드 드럼처럼 생긴 플랜지 53 및 5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53은 하나의 단면(end face) 53a, 코어 52의 각각의 측면과 평행한 한 쌍의 측면 53b1과 53b2, 및 코어 52의 각각의 측면과 연속되어 코어 52의 축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한 쌍의 경사면 53c1과 53c2를 가지고 있다. 비슷하게, 플랜지 54는 단면 54a, 측면 54b1과 54b2 및 경사면 54c1과 54c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53에서, 제 1 분할 홈 57a와 57b, 제 2 분할 홈 58a와 58b, 및 제 1 접속 홈 59a와 59b를 제공함으로써, 제 1 단자 510a, 제 2 단자 510b, 및 제 3 단자 510c가 형성된다. 플랜지 54에서, 제 3 분할 홈 512a와 512b, 제 4 분할 홈 513a와 513b, 및 제 2 접속 홈 514a와 514b를 제공함으로써, 제 4 단자 511a, 제 5 단자 511b, 및 제 6 단자 511c가 각각 형성된다. 코어 52에 있어서, 플랜지 53 및54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서, 나선형 홈 515a 내지 515d를 제공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4 코일 516 내지 519가 형성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리로 된 피막 55는 코어 52의 표면에 형성된다. 또한, 도체 막 56은 피막 55 상에 형성된다. 도체 막 56은 코어 52의 표면 전체에 형성된 제 1 도체 막 56a 및 플랜지 53 및 54에서 제 1 도체막 56a와 겹쳐져 있는 제 2 도체막 56b를 포함한다.
제 1 도체 막 56a는 무전해 도금(electroless plating) 방법에 의해 형성된 구리 또는 니켈 도금 및 그 위에 전기도금 방법에 의하여 형성된 구리 도금을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도금 층은 소정의 두께를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도금이 형성될 수 있다면, 두 개의 겹쳐진 도금 층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원하는 두께를 갖기 위하여, 전기 도금에 의하여 구리 도금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도체층 56b는, 무전해 도금에 의하여 제 1 도체막 56a에 형성된 니켈 도금 및 여기에 전기 도금에 의해 형성된 주석 도금을 포함한다.
미리 조정된 도체막 56의 일부는 레이저빔에 조사된다(irradiate). 조사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홈이 형성된다. 하기에서, 도 8a, 8b, 및 도 10을 참고로 하여, 각각의 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코어 52를 자세히 나타낸 모습을 보여준다. 플랜지 53 및 54는 오목한 부분이나 볼록한 부분이 없이 코어와 동일한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하여, 플랜지 53 및 54를 나타냈다.
플랜지 53에서, 제 1 분할 홈 57a와 57b, 및 제 2 분할 홈 58a와 58b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면인 53b1 및 한 쌍의 경사면인 53c1에 연장되어, 제 2 도체막 56b에 형성된다. 단면 53a에는, 이러한 분할 홈들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홈 59a 및 59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 및 접속 홈에 의하여, 제 1, 제 2 및 제 3 단자인 510a, 510b, 및 510c는 서로 서로 절연되어 플랜지 53에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 54에서, 제 3 분할 홈 512a와 512b 및 제 4 분할 홈 513a와 513b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면인 54b1 및 한 쌍의 경사면인 54c1에 연장되어, 제 2 도체 막 56b에 각각 형성된다. 단면 54a에서, 이러한 분할 홈들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 홈 514a 및 51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들에 의하여, 제 4, 제 5 및 제 6 단자인 511a, 511b, 및 511c는 서로 서로 절연되어 플랜지 54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나선형 홈 515a 내지 515d는, 서로 교차하지 않으면서 코어 52를 감으면서, 코어 52의 각각의 측면에서 제 1 도체막 56a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나선형 홈 515a는, 플랜지 53의 경사면 53c1 위의 제 1 분할 홈 57a의 끝에서부터 코어 52의 측면 52a로 연장되어 있으며, 코어 52의 측면 52a와 측면 52d 사이의 접선 위의 점 P를 통하여, 측면인 52d, 52c, 및 52b를 통과하여 측면 52a로 돌아오며, 플랜지 54의 경사면 54c1의 제 3 분할 홈 512a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나선형 홈 515b는, 플랜지 53의 경사면 53c1 위의 제 1 분할 홈 57b의 끝에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코어의 52의 측면 52a를 통과하고, 점 q를 통하여, 측면인 52d, 52c, 및 52b를 통과하며, 플랜지 54의 경사면 54c1의 제 3 분할 홈 512b에 접속된다.
제 3 나선형 홈 515c는, 플랜지 53의 경사면 53c1 위의 제 2 분할 홈 58a의 끝에서부터 코어 52의 측면 52c로 연장되어 있으며, 측면 52b 및 52a를 통과하고, 코어 52의 측면 52a와 52d 사이의 접선 위의 점 x를 통하여, 측면 52d를 통과하여 측면 52c로 돌아오며, 플랜지 54의 경사면 54c1의 제 4 분할 홈 513a에 접속된다. 또한, 제 4 나선형 홈 515d는, 제 2 분할 홈 58b의 끝에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코어의 52의 측면 52c, 52b 및 52a를 통과하고, 점 y를 통하여, 제 4 분할 홈 513b에 접속된다.
제 1 내지 제 4 분할 홈 57a, 57b, 58a, 58b, 512a, 512b, 513a 및 513b의 폭은 각각 제 1 내지 제 4 나선형 홈 515a 내지 515d의 폭보다 더 크게 조정된다. 이러한 이유로, 나선형 홈이 레이저빔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 레이저빔의 조사 위치가 빗나가더라도, 빗나가는 정도가 소정의 범위 내이기만 하면 상기 나선형 홈은 각각 상기 분할 홈과 안전하게 접속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나선형 홈 515a 내지 515d로써, 제 1 내지 제 4 코일 516 내지 519는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10에서, 제 1 내지 제 4 코일 516 내지 519를 쉽게 구별하기 위하여 각각의 코일을 그림자 처리하였다. 한 쪽 끝이 제 1 단자 510a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코일 516은 코어 52의 측면 52d 에서부터 측면 52c 및 52b를 통과하여 코어 52를 감고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측면 52a 상의 제 4 단자 511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 쪽 끝이 제 2 단자 510b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코일 517은 코어 52의 측면 52c, 52b 및 52a를 감고 있으며, 측면 52d를 통하여 면 52c로 돌아오고, 다른 쪽 끝은 제 5 단자 511b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쪽 끝이 제 3 단자 510c에 접속되어 있는 제 3 코일 518은 코어 52의 측면 52b, 52a, 52d 및 52c를 감고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제 6 단자 511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한 쪽 끝이 제 2 단자 510b에 접속되어 있는 제 4 코일 519는 코어 52의 측면 52a, 52d, 52c 및 52b를 감고 있으며, 측면 52a로 돌아온다. 다른 쪽 끝은 제 5 단자 511b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 517의 양단 및 제 4 코일 519의 양단은 제 2 단자 510b 및 제 5 단자 511b를 통하여 각각 서로 접속되어 집적되어(integrated) 있다.
도 11은 코일 부품 51의 등가 회로를 보여준다. 도 11에서, 제 1 내지 제 3 코일 516 내지 518은 독립된 코일을 형성한다. 제 4 코일 519는 제 2 코일 517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 부품 51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4 코일 516 내지 519는 서로 병렬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코일간의 커플링 정도가 높고, 코일간의 분포 용량이 동일하게 생성된다. 그러므로, 분포 상태 형태의 코일 부품을 실현할 수 있다.
집적되어 형성된 제 2 코일 517과 제 4 코일 519에서, 각각의 코일의 폭이 반으로 줄더라도 동일한 전류 수송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체에 의하여 차지되는 코어 52의 영역은 감소될 수 있다. 즉, 코일 부품 51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코일의 폭이 변하지 않는다면, 두 배의 전류 수송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레이저 빔의 조사에 의하여, 홈은 제 1 및 제 2 도체막인 56a 및 56b에서만 생성되며, 이것에 의하여, 제 1 내지 제 4 코일 516 내지 519가 형성된다. 실제적인 제조에 있어서, 홈의 바닥이 코어 52의 피막 55의 표면에까지 도달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코어의 표면 부분이 레이저빔의 조사 등에 의하여 제거될 경우, 코어를 구성하는 페라이트의 절연 저항은 감소된다. 그러나, 감소된 절연 저항은 피막 55를 구성하는 수지의 절연 저항에 의하여 만회가 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 51의 특성은 원하는 수준으로 맞춰질 수 있다.
코어 52에서 플랜지 53과 54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는 제 1 내지 제 4 코일 516 내지 519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지로 된 외부 덮개 521이 제공된다. 외부 덮개 막 521의 표면은 플랜지 53 및 54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다. 즉, 제 2 도체 막 56b의 표면은 플랜지 53 및 54에 제공된다. 전체적으로, 플랜지 53, 54와 코어 52 사이의 높이 차이는 없어지고, 코일 부품 51은 정사각형의 프리즘 형상이 된다.
상기 코일 부품 51은 표면 실장형이며, 그 위에 형성된 제 1 분할 홈 57a 및 57b를 갖는 플랜지 53의 측면 53b1 및 그 위에 형성된 제 3 분할 홈 512a 및 512b를 갖는 플랜지 54의 측면 54b1을 실장면으로 사용하여 실장된다. 또한, 그 위에 형성된 제 2 분할 홈 58a 및 58b를 갖는 플랜지 53의 측면 53b1 및 그 위에 형성된 제 4 분할 홈 513a 및 513b를 갖는 플랜지 54의 측면 54b1을 실장면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플랜지 53 및 54의 단면 53a 및 54a는 사각형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그로 인해, 전기적인 지향성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각각의 나선형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 처리 단계에서 코어 52를 기계에 넣을 때, 지향성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 지향성의 분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오목하고 볼록한 부분(나타나지 않음)이 코어 52의 한 쪽 또는 다른 쪽 끝, 즉, 전기적인 지향성을 분리하기 위하여 플랜지 53 또는 54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분할 홈 57a, 57b, 58a, 58b, 512a, 512b, 513a 및 513b는 각각 플랜지 53 및 54의 경사면 53c1 및 54c1에 더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 홈과 제 1 내지 제 4 나선형 홈 515a 내지 515d 사이의 경계는 각각 경사 표면 53c1 및 54c1에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코일 517 내지 519는, 보호를 위하여, 코일 517 내지 519가 실장면에 노출됨이 없이,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전체적으로 외부 덮개 막 521로 덮여있다.
도 12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 53에서, 도체막 56은 측면 53b1과 53b2 및 경사면 53c1과 53c2에만 형성되고, 제 1 분할 홈 57a와 57b 및 제 2 분할 홈 58a와 58b가 형성되고, 도 1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금 등에 의하여 스트립 도체 560이 플랜지 53의 단면 53a에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 53의 단면 53a에 연장되지 않은 제 1 단자 510a 및 제 3 단자 510c과, 플랜지 53의 단면 53a으로 더 연장되어 있는 제 2 단자 510b가 형성된다. 플랜지 54에 제공되어 있는 제 4 내지 제 6 단자 511a 내지 511c는 상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13, 14a, 14b 및 15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 내지 10에서와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참고 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에서, 코일 부품 51a는 코어 52 및 코어 52의 일부를 덮고 있는 외부 덮개 막 521을 포함한다.
코어 52는, 도 14a 및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 개의 측면 52a, 52b, 52c 및 52d를 갖는 정사각형의 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코어 52에는, 일본 핸드 드럼처럼 생긴 플랜지 53 및 54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53은 하나의 단면 53a, 한 쌍의 측면 53b1, 한 쌍의 측면 53b2, 한 쌍의 경사면 53c1 및 한 쌍의 경사면 53c2를 가지고 있다. 비슷하게, 플랜지 54는 단면 54a, 한 쌍의 측면 54b1, 한 쌍의 측면54b2, 한 쌍의 경사면 54c1 및 한 쌍의 경사면 54c2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 53에서, 제 1 분할 홈 527a, 527b 및 527c, 제 2 분할 홈 528a, 528b 및 528c, 및 제 1 접속홈 529a, 529b 및 529c를 제공함으로써, 제 1 단자 530a, 제 2 단자 530b, 제 3 단자 530c 및 제 4 단자 530d가 형성된다. 플랜지 54에서, 제 3 분할 홈 532a, 532b 및 532c, 제 4 분할 홈 533a, 533b 및 533c, 및 제 2 접속홈 534a, 534b 및 534c를 제공함으로써, 제 5 단자 531a, 제 6 단자 531b, 제 7 단자 531c 및 제 8 단자 531d가 형성된다. 코어 52에 있어서, 플랜지 53 및 54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서, 제 1 내지 제 6 나선형의 홈 535a 내지 535f를 제공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6 코일인 코일 536 내지 코일 549가 형성된다.
코어 52의 표면에 유리로 만들어진 피막이 제공되고, 나타나 있지는 않지만 도체 막이 상기 피막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 막은 코어 52의 전면에 형성된 제 1 도체 막, 및 플랜지 53 및 54에서 제 1 도체 막과 겹쳐져 있는 제 2 도체 막을 포함한다.
미리 조정된 도체막의 일부는 레이저빔에 조사된다. 조사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홈이 형성된다. 하기에서, 도 14a, 14b, 및 도 15를 참고로 하여,각각의 홈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코어 52를 자세히 나타낸 모습을 보여준다. 플랜지 53 및 54는 오목한 부분이나 볼록한 부분이 없이 코어와 동일한 평면상에 있다고 가정하여, 플랜지 53 및 54를 나타냈다.
플랜지 53에서, 제 1 분할 홈 527a 내지 527c 및 제 2 분할 홈 528a 내지 528c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면인 53b1 및 한 쌍의 경사면인 53c1에 연장되어, 도체 막에 형성된다. 단면 53a에는, 이러한 분할 홈들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 홈 529a 내지 529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분할 및 접속 홈은 서로 절연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4 단자인 530a 내지 530를 플랜지 53에 형성한다.
또한, 플랜지 54에서, 제 3 분할 홈 532a 내지 532c 및 제 4 분할 홈 533a 내지 533c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면인 54b1 및 한 쌍의 경사면인 54c1에 연장되어 도체 막에 형성된다. 단면 54a에서, 이러한 분할 홈들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 홈 534a 내지 53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들에 의하여, 제 5 내지 제 8 단자인 531a 내지 511d가 서로 절연되어 플랜지 54에 형성된다.
또한, 코어 52의 각각의 측면 상의 도체 막에는, 제 1 내지 제 6 나선형 홈 535a 내지 535f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코어 52를 감으면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나선형 홈 535a는, 플랜지 53의 경사면 53c1 위의 제 1 분할 홈 527a의 끝에서부터 코어 52의 측면 52a로 연장되어 있으며, 코어의 52의 측면 52a와 측면 52d 사이의 접선 위의 점 P를 통하여, 측면인 52d, 52c 및 52b를 통과하고 측면 52a로 돌아오며, 플랜지 54의 경사면 54c1의 제 3 분할 홈 532a에 접속된다. 또한, 제 2 나선형 홈 535b는, 플랜지 53의 경사면 53c1 위의 제 1 분할 홈 527b의 끝에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점 Q를 통하여, 측면 52d, 52c, 및 52b를 통과하며, 플랜지 54의 경사면 54c1의 제 3 분할 홈 532b에 접속된다. 또한, 제 3 나선형 홈 535c는, 제 1 분할 홈 527c의 끝에서부터 연장되어, 점 R을 통하여 측면 52d, 52c, 및 52b를 통과하여, 제 3 분할 홈 532c에 접속된다.
제 4 나선형 홈 535d는 플랜지 53의 경사면 53c1 위의 제 2 분할 홈 528a의 끝에서부터 코어 52의 측면 52c로 연장되어 있으며, 측면 52b 및 52a를 통과하고, 측면 52a와 측면 52d 사이의 접선 위의 점 X를 통하여, 측면 52d를 통과하여 측면 52c로 돌아오며, 플랜지 54의 경사면 54c1의 제 4 분할 홈 533a에 접속된다. 제 5 나선형 홈 535e는, 제 2 분할 홈 528b의 끝에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코어의 52의 측면 52c, 52b 및 52a를 통과하고, 점 Y를 통하여, 제 4 분할 홈 533b에 접속된다. 제 6 분할 홈 535f는 점 Z를 통하여 제 4 분할 홈 533c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6 나선형 홈 535a 내지 535f로써, 제 1 내지 제 6 코일인 536 내지 541은 서로 교차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15에서, 제 1 내지 제 6 코일인 536 내지 541을 쉽게 구별하기 위하여 각각의 코일을 그림자 처리하였다.
한 쪽 끝이 제 1 단자 530a에 접속되어 있는 제 1 코일 536은 코어 52의 측면 52d, 52c, 52b 및 52a 주위를 감고 있으며, 다른 쪽 끝은 제 5 단자 531a에 접속되어 있다. 한 쪽 끝이 제 2 단자 530b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코일 537은 코어 52의 측면 52a, 52d, 52c 및 52b를 감고 있으며, 측면 52a로 돌아온다. 다른 쪽 끝은 제 6 단자 531b에 접속되어 있다. 한 쪽 끝이 제 3 단자 530c에 접속되어 있는 제 3 코일 538은 코어 52의 측면 52a, 52d, 52c 및 52b를 감고 있으며, 측면52a로 돌아온다. 다른 쪽 끝은 제 7 단자 531c에 접속되어 있다. 한 쪽 끝이 제 4 단자 530d에 접속되어 있는 제 4 코일 539는 코어 52의 측면 52b, 52a, 52d, 및 52c를 감고 있으며, 측면 52b로 돌아온다. 다른 쪽 끝은 제 8 단자 531d에 접속되어 있다.
한 쪽 끝이 제 2 단자 530b에 접속되어 있는 제 5 코일 540은 코어 52의 측면 52c, 52b, 52a 및 52d를 감고 있으며, 측면 52c로 돌아온다. 다른 쪽 끝은 제 6 단자 531b에 접속되어 있다. 한 쪽 끝이 제 3 단자 530c에 접속되어 있는 제 6 코일 541은 코어 52의 측면 52c, 52b, 52a 및 52d를 감고 있으며, 측면 52c로 돌아온다. 다른 쪽 끝은 제 7 단자 531c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코일 537의 양단 및 제 5 코일 540의 양단은 제 2 단자 530b 및 제 6 단자 531b를 통하여 각각 서로 접속되어 집적되어 있다. 제 3 코일 538의 양단 및 제 6 코일 541의 양단은 제 3 단자 530c 및 제 7 단자 531c를 통하여 각각 서로 접속되어 집적되어 있다.
도 16은 코일 부품 51a의 등가 회로를 보여준다. 도 16에서, 제 1 내지 제 4 코일인 536 내지 539은 독립된 코일을 형성한다. 제 5 코일 540은 제 2 코일 537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제 6 코일 541은 제 3 코일 538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의 집적되어 형성된 두 세트의 코일에서, 각각의 코일의 폭이 반으로 줄더라도 동일한 전류수송 용량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도체에 의하여 차지되는 코어 52의 영역은 감소될 수 있다. 즉, 코일 부품 51a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코일의 폭이 변하지 않는다면, 두 배의 전류수송 용량을 얻을 수 있다.
코일 부품 51a는 위에서 상기 설명한 것에 더하여 코일 부품 51의 이점과 동일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코어의 도체에 형성된 각각의 나선형 홈 및 코일의 양단이 모두 코어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는 예 만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나선형 홈 및 코일의 한 쪽 끝과 다른 쪽 끝이 대향하는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코어에 제공되어 있는 플랜지의 모양과 크기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는 도 17에 나타난 플랜지 5301 또는 도 18에 나타난 플랜지 5302와 같은 모양이나 크기일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의 외부 덮개 막의 표면은 플랜지의 표면과 같은 평면에 놓이지 않고, 코어의 중심축 근처에 놓일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외부 덮개 막은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랜지의 표면으로부터 수축될 수도 있다.
코어를 형성하는 재료는 페라이트를 제외하고 자성체 물질일 수 있다. 코어는 유리, 유전체, 플라스틱, 알루미나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가 유리 또는 알루미나로 형성되는 경우, 레이저 빔 작업에 의하여 절연저항이 감소되는 일은 없으며, 그로 인해, 코어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된다. 이러한 경우, 도체막은 코어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코어의 형태는 프리즘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코어는 기둥 등의 형태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코일 및 상기 복수의 코일에 접속되어 있는 단자가 명확하게 한정되는 코일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코일은 서로 병렬이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간의 결합 정도가 높고, 코일 사이의 분포 용량을 동일하게 생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포 상수 형태의 코일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에서 분할 홈의 폭은 각각의 나선형 홈의 폭 보다 각각 더 크다. 이러한 이유로, 레이저 빔에 의하여 나선형 홈이 분할 홈과 각각 접속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레이저 빔의 조사 위치가 벗어나더라도, 벗어난 정도가 소정의 범위내 이기만 하면, 나선형 홈은 안전하게 분할 홈과 접속될 수 있다.
코어가 자성체 물질 또는 유전체로 형성되는 경우, 코어의 표면에는 유리로 된 피막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에 가해진 레이저 빔에 의하여 자성체 물질 또는 유전체가 변하고 코어의 절연 저항이 감소하더라도, 코팅막이 원하는 절연저항을 가질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코일 쌍 사이의 절연 저항은 원하는 수준으로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어에 제공된 각각의 플랜지의 단면은 사각형 모양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형태를 갖는다. 그로 인해, 전기적인 지향성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각각의 나선형의 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코어가 작업기계에 넣어질 때 지향성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코일 부품을 프린트된 회로 기판에 탑재할 때, 지향성의 분리를 쉽게 수행할 수 있다.
분할 홈과 코어에 제공된 나선형 홈 사이의 경계는 코어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플랜지의 경사면에 놓인다. 이러한 이유로, 외부 덮개가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코어의 부분을 채울 때, 나선형의 홈에 의해 한정된 코일은 보호를 위하여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까지 전체가 덮여지고 실장면에 노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코어에서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부분에는 외부 덮개가 제공되고, 외부 덮개 막의 표면은 플랜지의 표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있게 되거나, 또는 플랜지의 표면에서 코어의 축 중심을 향하여 수축된다. 따라서, 코일 부품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일 부품에 있어서, 코어 또는 외부 덮개 막의 재료로서 다른 유전 상수를 갖는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다른 정전 용량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의 분포 상수는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Claims (16)

  1. 기둥 형상의 코어에 제공된 도체막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서 형성되는 코일을 갖는 코일 부품에 있어서,
    상기 도체막에 제 1 분할 홈 및 제 2 분할 홈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코어의 일단부 상에서 상기 도체막에 제공되는 서로 절연된 제 1 및 제 2 단자;
    상기 도체막에 제 3 분할 홈 및 제 4 분할 홈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코어의 타단부 상에서 상기 도체막에 제공되는 서로 절연된 제 3 및 제 4 단자;
    상기 제 1 및 제 3 또는 4 분할 홈에 대하여 연속 되도록, 상기 제 1 분할 홈으로부터 상기 제 3 또는 제 4 분할 홈까지 상기 도체막 상에 제공되는 제 1 나선형홈;
    상기 제 2 및 제 4 또는 3 분할 홈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제 2 분할 홈으로부터 상기 제 4 또는 제 3 분할 홈까지 상기 도체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나선형홈과는 서로 평행한 제 2 나선형홈; 및
    상기 제 1 및 제 2 나선형홈에 의하여 경계가 정해지는 서로 평행한 제 1 및 제 2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절연된 적어도 세개의 단자의 전부는 적어도 두개의 제 1 분할 홈 및 적어도 두개의 제 2 분할 홈을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서로 절연된 적어도 세개의 단자의 전부는 적어도 두개의 제 3 분할 홈 및적어도 두개의 제 4 분할 홈을 형성하도록 제공되고,
    서로 평행한 적어도 네개의 나선형 홈은 상기 분할 홈들 각각에 대하여 연속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분할 홈으로 부터 상기 제 3 및 제 4 분할 홈으로 연장되고,
    서로 평행한 적어도 네개의 코일은 상기 적어도 네 개의 나선형홈에 의하여 경계가 정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 2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제 4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 1 단자에 접속되고, 타단은 제 4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 2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 2 단자에 접속되고, 터단은 상기 제 3 단자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적어도 한 쌍은 상기 코어의 일단 또는 타단 상에서 상기 단자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분할 홈에 서로 접속된 제 1 접속홈이 상기 도체막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타단에서, 상기 제 3 및 제 4 분할 홈에 서로 접속된 제 2 접속홈이 상기 도체막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분할 홈의 각각의 폭은 상기 각각의 나선형홈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일단부 및 타단부 상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코어의 방사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분할 홈과 상기 나선형홈 사이의 경계는 상기 코어의 표면과 이어지는 상기 플랜지의 표면에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표면에 이어지는 상기 플랜지의 표면은 상기 코어의 방사선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들은 상기 코어의 방사선 방향에 평행하게 직사각 단면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페라이트로 만들어지고, 피막이 상기 코일의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도체막이 상기 피막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피막은 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상기 코어의 일부는 외부 덮개막으로 제공되고, 상기 외부 덮개막의 표면은 상기 플랜지의 표면과 동일 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사이에 끼워진 코어의 일부는 외부 덮개막에 제공되고, 상기 덮개막은 상기 코어의 중앙 축 방향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의 표면과 동일 면 상에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부품.
KR1020000048142A 1999-08-19 2000-08-19 코일 부품 KR100340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32958A JP2001060524A (ja) 1999-08-19 1999-08-19 コイル部品
JP11-232958 1999-08-19
JP11-349030 1999-12-08
JP34903099A JP2001167931A (ja) 1999-12-08 1999-12-08 コイル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363A KR20010021363A (ko) 2001-03-15
KR100340719B1 true KR100340719B1 (ko) 2002-06-20

Family

ID=26530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142A KR100340719B1 (ko) 1999-08-19 2000-08-19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44784B1 (ko)
EP (1) EP1077455B1 (ko)
KR (1) KR100340719B1 (ko)
CN (1) CN1163919C (ko)
DE (1) DE60036760D1 (ko)
TW (1) TW446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02222A (ja) * 1999-09-30 2001-04-13 Tokin Corp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534474A (ja) * 2001-07-04 2004-11-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誘導性及び容量性のある電子部品
US7612641B2 (en) * 2004-09-21 2009-11-03 Pulse Engineering, Inc. Simplified surface-mount devices and methods
JP4783183B2 (ja) * 2006-03-16 2011-09-2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
JP2007311622A (ja) * 2006-05-19 2007-11-29 Toko Inc 小型面実装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
JP5327232B2 (ja) * 2008-12-25 2013-10-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巻線型コイル
JP5395852B2 (ja) * 2011-08-02 2014-01-22 太陽誘電株式会社 巻線部品用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巻線部品
CN102496453A (zh) * 2011-12-22 2012-06-13 德宙佑电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变压器焊锡前的加工方法
JP6276468B2 (ja) * 2014-09-15 2018-02-07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補助巻線を備える誘導性電気部品
TWI592955B (zh) * 2015-06-25 2017-07-21 Wafer Mems Co Ltd Embedded passive components and methods of mass production
TWI555044B (zh) * 2015-06-25 2016-10-21 Wafer Mems Co Ltd A method for producing a passive element with a terminal electrode
JP6554947B2 (ja) * 2015-07-06 2019-08-0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733179B2 (ja) * 2016-01-05 2020-07-29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これを備える回路基板
JP6966722B2 (ja) * 2017-12-18 2021-11-17 Tdk株式会社 コイ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8271C (de) * 1942-04-10 1953-08-31 Siemens Ag Stoerschutzdrossel
JPH0541324A (ja) * 1991-08-07 1993-02-19 Nec Corp ソレノイドコイル
US6087920A (en) * 1997-02-11 2000-07-11 Pulse Engineering, Inc. Monolithic inductor
US6094123A (en) * 1998-09-25 2000-07-25 Lucent Technologies Inc. Low profile surface mount chip inductor
US6087921A (en) * 1998-10-06 2000-07-11 Pulse Engineering, Inc. Placement insensitive monolithic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157283A (en) * 1998-11-24 2000-12-05 Taiyo Yuden Co., Ltd. Surface-mounting-type coil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077455A3 (en) 2001-03-07
EP1077455A2 (en) 2001-02-21
US6344784B1 (en) 2002-02-05
CN1163919C (zh) 2004-08-25
KR20010021363A (ko) 2001-03-15
TW446969B (en) 2001-07-21
CN1285597A (zh) 2001-02-28
EP1077455B1 (en) 2007-10-17
DE60036760D1 (de)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719B1 (ko) 코일 부품
TW490689B (en) Multilayer inductor
US5955931A (en) Chip type filter with electromagnetically coupled resonators
KR100364971B1 (ko) 다층 인덕터
US5903242A (en) Helical antenna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14936A (en) Multilayer coi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US4983934A (en) Noise filter
US5764197A (en) Chip antenna
US4639832A (en) Consolidated winding electrical capacitor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RU1838843C (ru)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нденсатор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слойных конденсаторов
US5694104A (en) Low profile high power surface mount transformer
US2974396A (en) Electrical capacitors
US5252941A (en) Spiral, self-terminating coi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2256214A (ja) チップ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7634A (ja) 積層型インダクタ
EP0236473B1 (en) Capacito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apacitors
JPH0969715A (ja) チップアンテナ
JP2001167931A (ja) コイル部品
JP2004193331A (ja) 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60524A (ja) コイル部品
JP2725904B2 (ja) マイクロ波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の周波数調整法
JP2002043144A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869915B2 (ja) チップ型フィルタ
JPH0476906A (ja) ノイズフィルタ
JP2001351817A (ja) 多層インダ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