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2942B1 - 입체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입체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2942B1
KR100332942B1 KR1019990043533A KR19990043533A KR100332942B1 KR 100332942 B1 KR100332942 B1 KR 100332942B1 KR 1019990043533 A KR1019990043533 A KR 1019990043533A KR 19990043533 A KR19990043533 A KR 19990043533A KR 100332942 B1 KR100332942 B1 KR 100332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space
movable
storag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943A (ko
Inventor
이케나가타카노부
타니모토신사쿠
코바야시히데오
요네자와시로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00028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주행대차장치(5)의 주행공간(4)의 측부에 장해부재로 되는 지지기둥(8)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지지기둥(8)사이에 차가 통과할 수 있는 출납공간(11)을 형성하여 저부에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를 배치하고, 이 출납공간(11)의 안쪽에 형성된 수납인도 주차실(13)의 양측에 가동주차실(14A, 14B)을 형성하고, 이들 가동주차실(14A, 14B)과 수납인도 주차실(13) 사이에서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15A, 15B)에,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사이에서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가동선반 컨베이어장치(16F, 16R)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서 지지기둥(8)의 방해부재에 의해서 차를 출납시킬 수 없었던 안쪽의 공간에 차를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주차설비{MULTI-STORY PARKING FACILITY}
본 발명은, 건물내에서 복수 층으로 형성된 주차실에 차를 수용하는 입체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복수 층에 걸쳐서 차를 수용하는 공지의 입체주차설비의 경우, 통상 건물의 설계단계에서 수납실이 설계되어 가장 효율이 좋게 차의 입출고 및 수납을 할 수 있는 구조가 선택된다.
그러나, 기존의 건물이나 신설 건물의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그것에 입체주차설비를 설치하는 경우, 건물의 형상이나 기둥 등의 장해물이 장해로 되어 효율이 좋게 차를 수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건물이나 신설 건물의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입체주차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건물구조물이 입체주차설비에 장해로 되지 않으면서도, 건물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효율이 좋게 수납할 수 있는 입체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건물내에, 복수의 주차층에 걸쳐서 형성된 승강공간에 승강할 수 있는 승강대를 보유하는 승강장치와, 각 주차층에 각각 형성된 주행공간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주행대차장치(走行臺車裝置)와, 상기 주행공간의 양측에 형성되고 주차선반을 보유하는 복수의 주차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대와 주행대차장치와 주차선반에 각각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반송장치가 배치된 입체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공간을 따라 배치된 장해부재사이에 출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출납공간의 저부에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중계반송장치가 설치되고, 그 출납공간의 안쪽에 인접하는 공간부가 수납인도 주차실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수납인도 주차실의 양측에 연속하는 복수의 공간부가 가동주차실로 형성되고, 이들 가동주차실에 수납인도 주차실로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장해부재사이에 중계반송장치를 보유하는 출납공간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장해부재의 안쪽에 형성된 가동주차실의 가동선반을 출납공간을 향하는 수납인도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주행대차장치로부터 중계반송장치를 통해서 가동주차실의 가동선반에 차를 입고 및 출고할 수 있고, 또한 가동선반을 수납인도 주차실과 가동주차실과의 사이에서 시프트시킴으로써, 다른쪽의 가동선반에 대하여 차를 입출고할 수 있다. 따라서, 장해부재의 간섭에 의해서 주행대차장치로부터 직접 차의 수납인도가 곤란한 건물구조에서도, 출납공간의 중계반송장치에 의해서 차를 수용할 수 있고, 장해부재 안쪽의 건물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장해부재 안쪽의 건물내의 공간이란 건물 기둥과 건물 벽면 사이의 공간으로서, 자동차가 어떤 장치의 도움도 없이 자체적으로 전진 후진하여 주차하기가 불가능하게 좁은 공간을 의미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발명은, 건물내에, 복수의 주차층에 걸쳐서 형성된 승강공간에 승강할 수 있는 승강대를 보유하는 승강장치와, 각 주차층에 각각 형성된 주행공간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주행대차장치와, 상기 주행공간의 양측에 형성되고 주차선반을 보유하는 복수의 주차실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대와 주행대차장치와 주차선반에 각각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반송장치가 배치된 입체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공간을 따라 배치된 장해부재 사이에 출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출납공간의 저부에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중계반송장치가 설치되고, 그 출납공간에 인접하여 상기 승강공간이 설치되고, 그 승강공간의 출납공간 반대측에 수납인도 주차실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수납인도 주차실의 양측에 연속하여 가동주차실이 형성되고, 이들 가동주차실에 수납인도 주차실로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승강공간에 인접하는 공간을 수납인도 주차실로 하고, 이것에 연속하는 가동주차실을 형성하여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을 설치함으로써, 반송대차장치로부터 출납공간 및 승강대를 통해서 차를 입출고할 수 있고, 건물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입체주차설비의 1개의 주차층을 표시한 전체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표시한 A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3은 도1에 표시한 B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4는 입체주차설비의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중요부분 평면도이다.
도5는 입체주차설비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표시한 중요부분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건물 2A, 2B ‥‥‥‥‥승강공간
3A, 3B‥‥‥‥‥승강대 3F, 3R‥‥‥‥‥컨베이어장치
4‥‥‥‥‥주행공간 5‥‥‥‥주행대차장치
5F, 5R‥‥‥‥‥컨베이어장치 6A, 6B‥‥‥‥주차선반
6F, 6R‥‥‥‥‥컨베이어장치 7A, 7B‥‥‥‥‥주차실
8‥‥‥‥‥지지기둥 11‥‥‥‥‥출납공간
12F, 12R‥‥‥‥‥중계컨베이어장치 13 ‥‥‥‥‥수납인도 주차실
14A, 14B‥‥‥‥‥가동주차실 15A, 15B‥‥‥‥‥가동선반
16F, 16R‥‥‥‥‥가동선반 컨베이어장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1에 표시하듯이, 입체주차설비는, 복수의 주차층이 형성된 건물(1)과, 그 건물(1)안의 각 주차층에 걸쳐서 형성된 입고용 승강공간(2A) 및 출고용 승강공간(2B)과, 이들 입고용 승강공간(2A) 및 출고용 승강공간(2B)을 따라 승강할 수 있는 승강대(3A, 3B)를 보유하는 승강장치와, 각 주차층에 각각 형성된 주행공간(4)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주행대차장치(5)와, 상기 주행공간(4)의 양측에 형성되고 주차선반(6A, 6B)을 보유하는 1대의 차가 입고가능한 1대용 주차실(도1에서는 1개)(7A) 및 2대의 차가 입고가능한 2대용 주차실(7B)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승강대(3)와 주행대차장치(5)와 주차실(7A, 7B)의 주차선반(6A, 6B)에는, 각각 차를 이송할 수 있는 전륜(前輪)용 컨베이어장치(반송장치)(3F, 5F, 6F) 및 후륜용 컨베이어장치(반송장치)(3R, 5R, 6R)가 배치되고, 이들 전륜용 컨베이어장치(3F, 5F, 6F) 및 후륜용 컨베이어장치(3R, 5R, 6R)에 의해서, 승강대(3)와 주행대차장치(5) 사이, 주행대차장치(5)와 주차실(6A, 6B) 사이에서 각각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건물(1)에는 입체주차설비의 설치에 장해로 되는 복수의 지지기둥(장해부재)(8)이나 거더재, 보강재 등의 건물구성부재나 다른 장해물이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주행공간(4)은 이들 지지기둥(8)에 간섭하지 않도록 지지기둥(8)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기둥(8)의 반대측의 공간에는 주차실(7A, 7B)이 형성되어 있지만, 지지기둥(8)측의 공간은 지지기둥(8)이 간섭되기 때문에, 일부밖에 주차실을 형성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1의 A부분이 확대된 도2에 표시하듯이, 우선 지지기둥(8, 8)사이에 차를 출납할 수 있는 출납공간(11)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출납공간(11)의 저부에 차를 이송할 수 있는 중계반송장치인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납공간(11)의 안쪽에 수납인도 주차실(13)이 형성되고, 수납인도 주차실(13)의 좌우 양쪽(또는 한쪽)에는, 연속하는 복수의 공간에 가동주차실(14A, 14B)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가동주차실(14A, 14B)과 수납인도 주차실(13)에는, 2대의 차를 각각 입고할 수 있는 가동선반(15A, 15B)이 가동주차실(14A, 14B)과 수납인도 주차실(13) 사이에서 시프트할 수 있게 배치되고, 이들 가동선반(15A, 15B)에,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 사이에서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가동선반 컨베이어장치(반송장치)(16F, 16R)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행대차장치(5)는, 네개의 구석위치에 배치된 주행차륜(22)에 의해서, 주행공간(4)에 부설된 좌우 1쌍의 주행레일(23)위를 대차프레임(21)이 주행할 수 있게 배치되고, 주행구동모터(24)에 의해서 전후 한쪽의 주행차륜(22)이 회전구동되어 대차프레임(21)이 주행구동된다. 입체주차설비의 컨베이어장치(3F, 3R, 5F, 5R, 6F, 6R, 12F, 12R, 16F, 16R)는, 이동할 수 있게 병렬로 설치된 복수의 체인 사이에 걸쳐서 슬랫 바(slat bar)가 가로지른 슬랫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차의 전륜 또는 후륜을 반송이 자유롭게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차프레임(21)에 설치된 전륜용 및 후륜용 컨베이어장치(5F, 5R)는, 좌우의 연동축(25, 25)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어 연동되고, 컨베이어구동모터(26)에 의해서 각각 구동된다. 또한 대차프레임(21)의 좌우의 연동축(25, 25)에 기어식 동력전달장치(27, 27)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주차실(7A, 7B)의 유전식(遊轉式) 컨베이어장치(6F, 6R) 및 출납공간(11)의 유전식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의 각 연동축(31)에 수동기어장치(32)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전륜용 및 후륜용 컨베이어장치(5F, 5R)의 연동축(25)의 동력이, 기어식 동력전달장치(27, 27)로부터 수동기어장치(32)를 통해서 컨베이어장치(6F, 6R) 및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에 전달된다. 도면부호(28)은 전륜용 컨베이어장치(5F)에 설치되어 전륜을 고정시키는 전륜고정장치이다.
또한, 출납공간(11)의 유전식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에는, 수납인도 주차실(13)측에 설치된 안쪽 연동축(33)에, 기어식 동력전달장치(27)와 동일한 구조의 기어식 중계동력전달장치(34)가 설치되어 있고, 주행대차장치(5)의 컨베이어장치(5F, 5R)로부터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로 전달된 동력은, 기어식 중계동력전달장치(34)로부터 가동측 수동기어장치(35)를 통해서 가동선반(15A, 15B)의 가동선반 컨베이어장치(16F, 16R)에 전달된다.
상기 가동선반(15A, 15B)은, 수납인도 주차실(13)과 가동주차실(14A, 14B)에 걸쳐서 부설된 시프트레일(41)에 시프트용 차륜(42)을 통해서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선반(15A, 15B)은, 각각 별도로 하여도 되지만, 시프트 이동을 일체로 하여도 되기 때문에, 제1실시형태에서는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행구동모터나 실린더장치, 잭, 와이어 로프와 활차, 윈치를 사용한 견인구동기구 중 적당히 선택할 수 있는 시프트구동장치(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가동선반(15A)이 수납인도 주차실(13)과 가동주차실(14A) 사이에서 왕복이동되고, 가동선반(15B)이 수납인도 주차실(13)과 가동주차실(14B) 사이에서 왕복이동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기둥(8)이 간섭되어 주차실이 형성될 수 없는 공간에서도, 지지기둥(8)사이에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가 설치된 출납공간(11)을 형성하고, 출납공간(11)의 안쪽의 수납인도 주차실(13)에 이동할 수 있는 가동선반(15A, 15B)을 보유하는 가동주차실(14A, 14B)을 설치함으로써, 주행대차장치(5)의 차를 출납공간(11)을 통해서 가동주차실(14A, 14B)의 가동선반(15A, 15B)에 수납인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지지기둥(8)의 안쪽에서 종래에서는 사용불가능한 공간을 주차실로 하여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수용대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도1의 B부분 및 도3에 표시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승강대(3)의 승강공간(2A, 2B)과 주행대차장치(5)의 주행공간(4) 사이에서, 지지기둥(8)과 지지기둥(8) 사이에 출납공간(11)이 형성되어 연이어 통하고, 그 출납공간(11)의 저부에 차를 이송할 수 있는 중계컨베이어장치(12F, 12R)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고용 승강공간(2B)에서 출납공간(11)의 반대측에 인접하여 수납인도 주차실(13)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수납인도 주차실(13)의 양측에 가동주차실(14A, 14B)이 연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동주차실(14A, 14B)에 수납인도 주차실(13)로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15A, 15B)이 설치되고, 이들 가동선반(15A, 15B)에 가동선반 컨베이어장치(16F, 16R)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51)은 승강대(3)가 부착된 컨베이어장치(3F, 3R)의 구동모터이고, 컨베이어장치(3F, 3R)에는 연동축(52, 52)이 설치되어 있고, 수납인도 주차실(13)측의 연동축(52)에 기어식 동력전달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반송대차장치(5)에 의해서 반송된 차를 출납공간(11)으로부터, 출고용 승강공간(2B)에 정지된 승강대(3B)에 일단 탑재시키고, 그 승강대(3B)로부터 수납인도 주차실(13)에 정지된 가동선반(15A) 또는 가동선반(15B)에 수납인도함으로써, 승강공간(2B)의 안쪽의 공간을 수납인도 주차실(13) 및 가동주차실(14A, 14B)로 하여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1개의 주차층에 대해서 4대의 수용이 증가될 수 있고, 예를 들면 5층 건물에서는 합계 20대분의 수용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도4는 1개의 수납인도 공간(13)과 4개의 가동주차실(14A~14D)을 설치하여 3대의 가동선반(15A~15C)을 시프트 이동할 수 있게 배치한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제4실시형태)
또한, 도5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가동선반(15A, 15B)을 분리하는 것과 동시에, 수납인도 주차실(13)에 대하여 시프트방향이 90°다른 가동주차실(14E)을 형성하고, 가동주차실(14E)과 수납인도 주차실(13) 사이에서 시프트 이동할 수 있는 가동선반(15D)을 설치한 제4실시형태이다.
상기 제3실시형태 및 제4실시형태에서는, 이전의 실시형태보다 2대의 수용능력을 더 증가시킬 수 있고, 동일 양상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반송장치를 차륜을 직접 실어서 반송하는 슬랫식 컨베이어장치로 하였지만, 팰릿위에 차를 탑재시키고 반송하여 입출고하는 팰릿식이나, 반송대차와 주차실(승강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포크(fork)에 의해 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빗톱니 포크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장해부재를 지지기둥으로 하였지만, 이들 지지기둥을 다른 거더재나 격벽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입체주차설비는 기존의 건물이나 신설 건물의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입체주차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건물이나 신설 건물의 지하공간을 이용하여 입체주차설비를 설치하는 경우에, 건물구조물이 입체주차설비에 장해가 되지 않고, 건물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이 좋게 수납할 수 있는 입체주차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건물내에, 복수의 주차층에 걸쳐서 형성된 승강공간(2A, 2B)에 승강할 수 있는 승강대(3A, 3B)를 보유하는 승강장치와, 각 주차층에 각각 형성된 주행공간(4)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주행대차장치(5)와, 상기 주행공간(4)의 양측에 형성되고 주차선반(6A, 6B)을 보유하는 복수의 주차실(7A, 7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대(3A, 3B)와 주행대차장치(5)와 주차선반(6A, 6B)에 각각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반송장치(3F, 3R, 5F, 5R, 6F, 6R)가 배치된 입체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공간(4)을 따라 배치된 장해부재(8)사이에 출납공간(11)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출납공간(11)의 저부에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중계반송장치(12F, 12R)가 설치되어 있고,
    그 출납공간(11)의 안쪽에 인접하는 공간부가 수납인도 주차실(13)로 구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수납인도 주차실(13)의 양측에 연속하는 복수의 공간부가 가동주차실(14A, 14B)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가동주차실(14A, 14B)에 수납인도 주차실(13)로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15A, 15B)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설비.
  2. 건물내에, 복수의 주차층에 걸쳐서 형성된 승강공간(2A, 2B)에 승강할 수 있는 승강대(3A, 3B)를 보유하는 승강장치와, 각 주차층에 각각 형성된 주행공간(4)을 따라 주행할 수 있는 주행대차장치(5)와, 상기 주행공간(4)의 양측에 형성되고주차선반(6A, 6B)을 보유하는 복수의 주차실(7A, 7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승강대(3A, 3B)와 주행대차장치(5)와 주차선반(6A, 6B)에 각각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반송장치(3F, 3R, 5F, 5R, 6F, 6R)가 배치된 입체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행공간(4)을 따라 배치된 장해부재(8)사이에 출납공간(11)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출납공간(11)의 저부에 차를 수납인도할 수 있는 중계반송장치(12F, 12R)가 설치되어 있고,
    그 출납공간(11)에 인접하여 상기 승강공간(2B)이 설치되어 있고,
    그 승강공간(2B)의 출납공간(11) 반대측에, 수납인도 주차실(13)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그 수납인도 주차실(13)의 양측에 연속하여 가동주차실(14A, 14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가동주차실(14A, 14B)에 수납인도 주차실(13)로 시프트할 수 있는 가동선반(15A, 15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주차설비.
KR1019990043533A 1998-10-09 1999-10-08 입체주차설비 KR1003329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714498A JP3497085B2 (ja) 1998-10-09 1998-10-09 立体駐車設備
JP98-287144 1998-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943A KR20000028943A (ko) 2000-05-25
KR100332942B1 true KR100332942B1 (ko) 2002-04-20

Family

ID=1771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3533A KR100332942B1 (ko) 1998-10-09 1999-10-08 입체주차설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497085B2 (ko)
KR (1) KR100332942B1 (ko)
TW (1) TW463870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3870U (en) 2001-11-11
JP3497085B2 (ja) 2004-02-16
KR20000028943A (ko) 2000-05-25
JP2000110392A (ja) 2000-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3284B2 (ja) 多層複列型収納設備
KR100332942B1 (ko) 입체주차설비
KR0175426B1 (ko) 입체주차장
KR20050021067A (ko) 다층형 주차타워 및 그 주차타워에서의 주차 방법
WO1997048865A1 (fr) Systeme de parking a etages multiples et procede permettant d'y faire entrer ou d'en faire sortir des voitures
JP3069716B2 (ja) 立体駐車装置における車両搬送用の台車
JPH03137366A (ja)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の車両移載入出庫機構
JP7289209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662819B2 (ja) 走行台車の移動式通路を設けた駐車装置
JP3888755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2075265B1 (ko) 평면왕복 다열주차 장치용 주행카트
JP3185075B2 (ja) 立体駐車装置用のエレベータ装置
KR200332656Y1 (ko) 다층형 주차타워
JPH07238708A (ja) 機械式駐車装置
JPH06235269A (ja) 水平循環式立体格納庫
JP293516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922081B2 (ja) 立体駐車場
JP3295066B2 (ja) 多段式立体駐車装置
JPH08128221A (ja) 連立型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JP2001146852A (ja) 駐車装置
JP2837062B2 (ja) 立体駐車場のエレベーター装置
JPH0756177B2 (ja) 自動車駐車装置におけるパレットの水平移送装置
JPH0565773A (ja) 駐車装置
JP2742739B2 (ja) 立体駐車設備
JPH11324385A (ja) 立体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