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019B1 -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019B1
KR100323019B1 KR1019997007051A KR19997007051A KR100323019B1 KR 100323019 B1 KR100323019 B1 KR 100323019B1 KR 1019997007051 A KR1019997007051 A KR 1019997007051A KR 19997007051 A KR19997007051 A KR 19997007051A KR 100323019 B1 KR100323019 B1 KR 100323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outlet
cas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0789A (ko
Inventor
아끼히로 쯔루시마
도시유끼 요시다
마사하루 온다
도시야 우찌다
가쯔아끼 고시다
가쯔히로 구로까와
Original Assignee
오오 노 하루 오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4580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2301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02403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33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53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503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64043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827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1383097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8897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 노 하루 오,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 노 하루 오
Publication of KR2000007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1/000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the air being firstly cooled and subsequently heated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788With valve or movable deflector at junction
    • Y10T137/87812Pivoted valve or deflector

Abstract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공기 통로(10, 11) 내에 설치되는 혼합 도어(5)를 상류측 공기 통로(10)로부터 송풍된 공기류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형으로 했다. 이 도어(5)는 원호형의 홈 캠(19)에 안내되고, 활주 기구(M)에 의해 상하로 개폐한다. 유닛의 소형화를 꾀하면서 통기 저항이 낮고, 원활하게 조작할 수 있어 밀봉성이나 온도 조절 특성에도 우수한 것이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DOOR MECHANISM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내외측의 공기를 도입하는 흡기 유닛, 도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냉각기 유닛, 도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유닛을 포함하며, 이들 3개의 유닛은 직렬로 합체되어 계기판 아래에 한정된 공간과 같은 차실내의 제한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3개의 유닛을 직렬로 연결하기 때문에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어 소형의 차량에 탑재하면, 좁은 차실 내부 공간을 더욱 좁게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 유닛(101)과 가열기 유닛(102)을 서로 근접 배치하고, 유닛들을 차량의 전후 방향에 위치하도록 연결 배치하여 차량 전후 방향의 치수(L)와 차폭 방향을 작게 한 것도 있다. 유닛은 증발기(103)와 가열기 코어(104) 사이의 치수를 작게 하는 동시에 냉풍과 온풍을 만들어 내기 위한 혼합 도어(이하 도어)(105)의 크기도 작게 함으로써 소형화를 꾀하고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증발기(103)에는 냉각 사이클 내에서 유동하는 저온 저압의 냉매가 내부를 유통하고 있으며, 여기에 도입된 공기는 냉매와 열교환됨으로써 냉각되어 냉풍으로 된다. 또한, 가열기 코어(104)에는 고온의 엔진 냉각수가 내부를 유통하고 있으며, 여기에 도입된 공기는 고온의 엔진 냉각수와 열교환됨으로써 가열되어 온풍으로 된다.
또, 서리 제거 도어(defroster door, 106)는 창의 흐림을 맑게 하는 서리 제거 모드에서 서리 제거 취출구(defroster opening, 106a)를 개방하며, 통기 도어(vent door, 107)는 승객의 상반신에 냉풍을 송풍하는 통기 모드에서 통기 취출구((107a)를 개방하며, 푸트 도어(foot door, 108)는 승객의 하반신에 온풍을 송풍하는 푸트 모드에서 푸트 취출구(foot opening, 108a)를 개방한다.
이런 구성의 유닛은 도어(105)를 소형화함으로써 냉풍과 온풍의 배풍(blow) 제어를 어렵게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면중 파선으로 나타낸 보조 도어(105a)를 설치해서 가열기 코어(104)로 유입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할 필요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렇게 하면 구성이 복잡하게 되어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이로 인해, 최근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훨씬 소형화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 실용 신안 공개 평6-71222호 공보 참조).
이 장치는 냉각기 유닛(101)과 가열기 유닛(102)을 일체화하여 증발기(103)와 가열기 코어(104)를 더욱 근접 배치시킴으로써 소형화되어 있다. 즉, 증발기(103)와 가열기 코어(104) 사이에 설치되고 한 지지점에 의해 지지된 도17의 혼합 도어(105)에서와 같이, 지지점을 중심으로 도어(105)를 회전시키는 것은 큰공간을 차지하므로, 이것을 편평한 판형상 도어(109)(도면에 도시된 도어는 링크 기구로 이루어진 도어 작동 기구에 핀(pa, pb)을 거쳐 연결된 2개의 도어(109a, 109b)로 이루어져 있다)로 하고 레일(109c)을 따라 상하 활주시킴으로써 온도 조절 제어를 행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하 활주식 도어 기구는 통기 저항이 높고, 작동성에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공보의 도어는 편평한 직선형 도어(109)이므로, 유통하는 공기류는 직각으로 충돌하게 되어 공기 저항이 매우 높고 공기의 유통량도 저감한다. 따라서, 특히 냉방시의 냉풍의 시원함이 없어지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도어(109)의 주변 부분으로부터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레일(109c)과 도어(109)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지나치게 간극을 좁게 하면 도어의 활주 이동 저항이 커져서 도어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않게 된다. 도어(109)와 레일(109c) 사이에 시일 부재를 제공한다고 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어 작동을 원활화하기 위해 간극을 크게 하면, 공기 누설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이율 배반적인 문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도어와 같이 활주 기구가 링크 기구로 구성되면, 도어 작동시에 핀과 링크 사이의 연결에 덜컥거림이 발생하기 쉽고, 공기가 유통할 때 풍압이 도어에 가해지면, 덜컥거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고 이 소음이 차실 내로 전파되면 승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도 유닛을 소형화시키고 통기 저항을 저감시키고 작동성을 원활하게 하고 밀봉성 및 온도 조절 특성도 우수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가열기 유닛에는 혼합실(111)의 주위에 서리 제거 취출구(106a), 통기 취출구(107a) 및 푸트 취출구(108a)가 배치되고, 이들 각 취출구(opening)에 각각 서리 제거 도어(106)나 통기 도어(107) 등의 모드 도어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모드 도어중 하나가 작동하면, 혼합실(111) 내로 도어가 인입하게 된다. 또, 이들 모드 도어가 혼합실(111)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회전하도록 하면, 유닛 자체가 비대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모드 도어중 하나가 작동하면, 혼합실(111) 내를 유통하는 공기류의 방향이 변하여 흩트러지고, 냉풍과 온풍을 혼합할 때의 안정성을 얻을 수 없으며, 또한 모드 도어 자체에 의해 공기 저항이 증대하여 소음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컨대, 통기 모드에서는 증발기(103)에 의해 냉각된 냉풍이 혼합 도어(105)에 의해 일부가 우회 통로(B)측으로, 나머지가 가열기 코어(104)측으로 분기되고, 이들 온풍과 냉풍이 혼합실(111)에서 혼합되어 소정 온도에서 통기 취출구(107a)로부터 배풍된다.
그러나, 서리 제거 도어(106)가 서리 제거 취출구(106a)를 개방하면, 서리 제거 도어(106)가 혼합실(111) 내로 인입하게 되어 서리 제거 도어(106)에 의해 우회 통로(B)를 유통하는 냉풍의 흐름이 흩트러지고, 혼합실(111)의 영역이 변화하므로, 냉풍과 온풍이 안정되게 혼합되지 않아 안정된 온도 조절 제어가 곤란해진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혼합실(111) 내에 고정된 온도 조절 리브를 세워 설치하여 온도 조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이렇게 온도 조절 리브를 세워 설치하는 경우 온도 조절 리브의 크기 선택이나 세워 설치하는 위치의 설정이 어렵고, 온도 조절 리브라 하는 부품이 증대하므로, 케이스의 제조나 조립 작업성이 번거로워져 비용면에서도 불리해진다. 또한, 혼합실(111) 내에 온도 조절 리브를 세워 설치하면, 이 온도 조절 리브에 의해 통기 저항도 증대하여 소망의 송풍량을 얻을 수 없는 우려도 있다. 또한 통기 모드로서 가장 적절한 위치나 크기로 결정된 온도 조절 리브라도 이 통기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통기 도어(107)가 폐쇄되어 다른 도어가 개방된 상태)로 하면, 상기 온도 조절 리브가 다른 모드의 온도 조절 상태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도 있다.
또, 전술한 예에서는 서리 제어 모드의 경우지만, 이렇게 불합리한 경우는 통기 모드나 푸트 모드의 경우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모드에서도 냉풍과 온풍의 혼합이 안정적으로 행해지고, 통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는 온도 조절 특성이 우수한 소형이면서 조작력이 저감한, 구성이 간소화된 비용적으로도 유리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의 제공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푸트 덕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유닛을 한층 소형화하는 것이다.
그리고, 통기 취출구로서, 혼합실 상방의 케이스 상벽에 중심 통기 취출구 및 중심 통기 취출구의 좌우 양측부에 인접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를 구비하고, 통기 모드시에 상기 혼합실에서 적정 온도로 조절된 공기를 이들 중심 통기 취출구및 측면 통기 취출구로부터 송풍시키는 공기 조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케이스 상벽의 제약된 면적 내에서 중심 통기 취출구의 좌우 양측부에 측면 통기 취출구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 통기 취출구 및 측면 통기 취출구의 개구 면적이 작게 제약되어 통기 저항이 증대하고, 이들 취출구로부터의 풍량이 저하해 버리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차량의 수단에 의해 중심 통기 취출구를 완전히 폐쇄한 때, 측면 통기 취출구로부터 온도 조절 공기의 일부를 불어내게 해 도어 측면 윈도우 패널의 흐림 방지를 행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중심 통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에 의해 배풍 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풍량 제어의 조정이 어려워져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중심 통기 취출구 및 측면 통기 취출구의 개구 면적을 작게 제한하지 않고, 이들 취출구로부터 송풍되는 온도 조절 공기의 풍량을 증대할 수 있고, 측면 통기 취출구로부터 항상 측면 통기풍을 누설하는 경우 그 풍량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제공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협소한 부분 내에서 활주하여 공기류를 원활하게 제어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평면도이다.
도3은 도어 기구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이다.
도4는 도어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5는 도3의 5-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6은 도어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7은 홈 캠 부분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8은 지지 롤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관한 도어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1은 부분 기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5와 같은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통기 취출구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6은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17은 종래의 다른 예의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류측 공기 통로로부터 흘러내린 공기류를 분기된 2개의 하류측 공기 통로에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든지 각 하류측 공기 통로에 소정의 비율로 공기를 흐르게 하도록 배치된 소정 크기의 도어를 갖고, 상기 도어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도어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도어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상류측 공기 통로로부터 송풍된 공기류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신축 연장되면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swelled) 원호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상류측 공기 통로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류가 원호형의 도어에 닿으므로, 통기 저항이 상승하지 않아 공기의 유통량도 저감하지 않고, 원활하게 유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냉방시의 냉풍의 시원함이 없어지는 일도 없으며, 바람직한 공기 조절이 가능하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어 본체는 동력 방향으로 상하로 활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도어 자체가 공기류의 유동 방향 하류측에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팽출하는 원호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동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며, 도어는 소정의 제어량에 의해 동작하고 제어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어는 상기 공기 통로를 형성하는 케이스에,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홈 캠과, 도어 본체에 형성된 톱니부와, 이 톱니부에 맞물리는 기어와, 이 기어를 회전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활주 기구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된 안내 부재가 상기 홈 캠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도어 본체는 기어에 의해 구동되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의 조작성도 향상되어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쾌적한 도어 제어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어 본체는 외주 부분을 평탄하게 내방 부분을 팽출한 형상의 것이며, 밀봉 부재를 평탄한 외주 부분에 점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밀봉 부재를 도어 본체의 일부에 부착하면 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밀봉에 필요한 가압력도 불필요하게 높일 필요가 없어져 도어 작동의 구동부도 큰 토오크를 필요로 하는 일도 없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 상기 공기 통로는 2개의 케이싱 피스를 대면 관계로 합치게 한 상기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 내에 형성한 것이며, 상기 도어 본체의 폭 방향의 중심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 본체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지지 롤러를 상기 2개의 케이싱 피스 합체시에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간단하게 지지 롤러를 설치할 수 있어 도어 본체가 근접하여 설치된 증발기나 가열기 코어로부터의 열적 영향에 의해 다소 변형해도, 또한 도어 본체에 큰 풍압이 가해져도 도어 본체의 변형을 예방 또는 수정하고, 소정의 도어 작동이 가능해져 활주 기구를 기어식으로 해도, 기어 작동시에 톱니 건너뛰기 작동 등의 이상도 없어 원활하게 작동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어 본체는 증발기로부터 송풍된 공기류가 유통하는 공기 통로에, 상기 증발기의 하류측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가열기 코어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에 송풍된 공기류를 전량 상기 가열기 코어측 또는 상기 가열기 코어를 우회하는 통로측에 흐르게 하거나 또는 양방으로 소정의 비율로 흐르게 하도록 한 혼합 도어이며, 상기 도어 본체의 활주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가열기 코어의 지지벽에 상기 지지 롤러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 본체를 혼합 도어에 사용하면, 도어는 상단부 위치, 하단부 위치 및 소정의 중간 위치를 취하게 되지만, 어떠한 경우도 도어 본체의 활주 방향 중심에서 도어 본체를 지지하면, 여기에서 통상 사공간(dead space)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 사공간을 이용하여 지지 롤러를 가열기 코어의 지지벽에 의해 지지하면,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는 일 없이 지지 롤러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 도어는 하류측의 2개의 통로에 배풍하므로 중간 위치를 취하게 되지만, 이 중간 위치에 설치한 때도 덜걱거림없이 소망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는 케이스 내에 도입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와, 이 증발기의 하류측에 설치된 가열기 코어와, 상기 증발기와 가열기 코어 사이에 설치되고, 증발기로부터의 냉풍을 상기 가열기 코어측이나, 이 가열기 코어를 우회하는 우회 통로측에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가열기 코어측과 우회 통로측의 양통로에 소정의 비율로 분기하여 흐르게 하는 혼합 도어와, 상기 냉풍과 온풍이 혼합되는 혼합실과, 이 혼합실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벽에 개방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와, 이 취출구를 개폐 제어하는 복수의 모드 도어를 갖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도어 내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벽 또는 이 내측벽의 연장선을 따라서 활주 기구에 의해 활주 이동하는 활주 도어로 하고, 다른 모드 도어는 상기 활주 도어 및 내측벽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상기 혼합실의 범위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모드 도어를 활주 도어로 하면, 이것을 작동하여 배풍의 절환을 행하는 경우의 공간이 극히 작은 공간이 되어서 케이스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활주 도어 및 내측벽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혼합실의 범위 내에 다른 모드 도어가 인입되지 않으므로, 냉풍과 온풍의 혼합이 안정적으로 행해져 혼합성이 향상된다. 이 결과, 혼합실 내에 온도 조절 리브를 세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기 저항이 증대하는 일도 없으며, 온도 조절 특성도 향상된다. 또한, 혼합실의 혼합 영역이 변경되지 않으며, 냉풍과 온풍이 충돌하는 각도도 어떠한 모드에 있어서도 대략 일정해지므로, 이 점에서도 안정된 혼합성이나 온도 조절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온도 조절 리브가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도어 작동 기구가 간소화되므로 비용적으로는 매우 유리해진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내측벽 또는 이 내측벽의 연장선은 단면 원호형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단면 원호형의 곡면인 내측벽을 따라서 흐른 공기류는 매우 원활한 흐름이 되므로, 흐름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 저항도 증대하지 않고 온도 조절 특성도 향상된다. 특히, 활주 도어를 작동하여 모드 제어하는 경우 활주 도어를 따라서 공기류가 흐르게 되며, 이 활주 도어 자체가 일종의 가이드벽으로서 기능하므로, 온도 조절 제어가 한층 원활한 것이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활주 기구는 상기 모드 도어의 도어 본체에 형성된 톱니부에 기어를 맞물려 이 기어를 구동부와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에 상기 도어 본체의 안내 부재가 삽입되는 홈 캠이 형성되고, 이 홈 캠은 상기 도어 본체를 상기 혼합실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벽의 곡면을 따라서 활주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활주 기구는 기어에 의해 구동되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의 조작성도 향상되고,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쾌적한 도어 제어가 가능해지고, 도어 본체는 홈 캠을 따라서 작동하므로, 도어 본체가 풍압을 받아도 덜걱거림없이 작동한다.
청구항 10 발명에 있어서는, 증발기를 통과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를 통과한 온풍이 혼합하는 혼합실 상방의 케이스 상벽에 통기 취출구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혼합실의 후방측에 상기 통기 취출구의 근방에서 혼합실에 연통하여 하측에 푸트 취출구를 갖는 푸트 통로를 구획 형성하고, 상기 통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를, 활주 기구에 의해 통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푸트 통로로의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 상벽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게 하여 활주 도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1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케이스 상벽에 통기 취출구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서리 제거 취출구를 설치하고, 이 서리 제거 취출구를 개폐하는 서리 제거 도어를 활주 기구에 의해 서리 제거 취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증발기 배치부 상방의 장착 위치에 걸쳐 케이스 상벽의 내면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한 활주 도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2 발명에 있어서, 활주 기구는 활주 도어의 배면에 설치한 톱니부와, 톱니부에 맞물린 구동 기어와, 활주 도어의 측면 모서리에 돌출 설치한 가이드핀과,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을 활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홈 캠을 갖고, 이 홈 캠은 종단부 위치에서 가이드 핀을 활주 도어가 케이스 상벽 내면측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3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구동 기어는 톱니부의 일부에 톱니의 높이가 높은 톱니를 구비하고, 활주 도어의 폐쇄 위치에 상기 활주 도어를 케이스 상벽 내면측을 향하여 삽입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4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3에 기재된 활주 도어는 그 폐쇄 위치에서 대응하는 취출구의 개구 모서리에 밀접하는 밀봉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5의 발명에 있어서는 증발기를 통과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를 통과한 온통이 혼합하는 혼합실 상방의 케이스 상벽에 중심 통기 취출구를 설치하고, 이 중심 통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를 활주 기구에 의해 중심 통기 취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이 중심 통기 취출구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벗어난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 상벽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게 한 활주 도어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활주 도어의 장착 위치에 대응한 케이스의 측벽에 측면 통기 취출구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활주 도어에 중심 통기 취출구의 개폐와 동기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를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6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5에 기재된 서브 도어의 완전 폐쇄 위치를 측면 통기 취출구가 약간 개구하는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 발명에 따르면, 유닛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상류측 공기 통로로부터 흘러내린 공기류가 원호형의 도어에 닿으므로 통기 저항이 상승하지 않고, 공기의 유통량도 저감하지 않아 원활하게 유동 방향이 변경되고, 특히 냉방시의 냉풍의 시원함이 없어지는 일도 없어 바람직한 공기 조절이 가능하다.
청구항 2 발명은 도어 자체가 공기류의 유동 방향 하류측에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팽출하는 원호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어를 연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동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며, 도어는 소정의 제어량에 의해 동작하고, 제어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3 발명은 도어 본체는 기어에 의해 구동되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의 조작성도 향상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쾌적한 도어 제어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4 발명에서는 밀봉 부재를 도어 본체의 접촉 부분에만 부착하면 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밀봉에 필요한 압박력도 불필요하게 높일 필요가 없어지며 도어 작동의 구동부도 큰 토오크를 필요로 하는 일도 없다.
청구항 5 발명은 간단하게 지지 롤러를 설치할 수 있어 도어 본체가 열이나 풍압에 의한 영향을 받아도 변형이 예방 또는 수정되고, 소정의 도어 작동이 가능해져 활주 기구를 기어식으로 해도 원활하게 작동한다.
청구항 6 발명은 도어 본체를 혼합 도어로 한 때, 불필요한 공간이 발생하지 않아 지지 롤러를 지지할 수 있고, 중간 위치에 설치한 때도 덜걱거림없이 소정의 제어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7 발명에 따르면, 모드 도어를 활주 도어로 하였으므로, 배풍 절환을작은 공간에서 행할 수 있어 유닛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활주 도어 및 내측벽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혼합실의 범위 내에 모드 도어가 인입되지 않으므로, 통기 저항이 증대하는 일 없이 혼합성이 향상되고, 온도 조절 리브를 세워 설치하지 않아도 온도 조절 특성도 향상된다. 또한, 혼합실의 혼합 영역이 변화하지 않고, 냉풍과 온풍의 충돌하는 각도도 어떠한 모드에 있어서도 대략 일정해지므로, 이 점에서도 안정된 혼합성이나 온도 조절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어 동작 기구가 간소화되므로 비용적으로는 매우 유리해진다.
청구항 8 발명은 내측벽의 곡면을 따라서 흐르는 공기류가 극히 원활한 흐름이 되므로, 유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 저항도 증대하지 않고, 온도 조절 특성도 향상된다. 특히, 제1 모드 도어를 작동하여 모드 제어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자체가 일종의 가이드벽으로서 기능하므로, 온도 조절 제어가 한 층 원활한 것이 된다.
청구항 9 발명에서는 기어 구동의 활주 기구이므로, 작동이 원활하여 도어 조작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쾌적한 도어 제어가 가능해지며, 또한 도어 본체는 홈 캠을 따라서 작동하므로, 도어 본체가 풍압을 받아도 덜걱거림없이 작동한다.
청구항 10 발명에 따르면, 혼합실 상방 케이스 상벽에 설치한 통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는 활주 기구에 의해 케이스 상벽 내면에 따라서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회전 타입의 것과 달리 통기 취출구의 개방시에 통기 도어가 하방 회전에 의해 혼합실 내를 향하여 급상승하여 통풍을 편향하는 일이 없어서 혼합실에서의 냉풍과 온풍의 에어 혼합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통기 취출구로의 배풍을 적절히 행할 수 있고, 또한 통기 도어가 통기 저항이 되어 통기 취출구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이 통기 도어의 격납 위치를 푸트 통로로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하고 있으므로, 통기 취출구와 푸트 취출구로부터 온도 조절 공기를 송풍하는 이중 레벨 모드시에 통기 도어가 푸트 통로로 유통하는 공기의 통기 저항이 되는 일이 없어서 푸트 취출구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는 일 없이 이중 레벨 취출 작용을 적절히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푸트 통로를 혼합실의 후방측에 구획 형성하고 있으므로, 통기 도어의 회전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케이스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는 것과 아울러 유닛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차실 내부로의 탑재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청구항 11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상벽의 통기 취출구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설치한 서리 제거 취출구를 개폐하는 서리 제거 도어도 통기 도어와 마찬가지인 활주 도어로 구성되고, 또한 서리 제거 도어의 장착 위치를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증발기 배치부의 상방 위치로 하고 있으므로, 혼합실에서의 공기 혼합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서리 제거 취출구로의 배풍 제어를 적절히 행할 수 있고, 서리 제거 도어가 통기 저항이 되어 서리 제거 취출구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청구항 12 발명에 따르면, 활주 도어를 작동하는 활주 기구를 기어 구동하고있으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소음 발생이 없는 쾌적한 도어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활주 도어의 가이드 핀을 안내하는 홈 캠은 종단부 위치에서 가이드 핀을 활주 도어가 케이스 상벽면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활주 도어를 홈 캠의 종단부 위치에서 케이스 상벽면에 압박하여 고정 위치시킬 수 있어 활주 도어의 덜걱거림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13 발명에 따르면, 활주 도어를 홈 캠의 종단부 위치에서 기어의 높은 톱니에 의해 확실히 가압 이동할 수 있으므로, 활주 도어의 가압 이동 기구를 간단히 할 수 있는 동시에, 큰 구동 토오크를 요하는 일도 없다.
청구항 14 발명에 따르면, 활주 도어는 그 폐쇄 위치에서 밀봉 부재가 대응하는 취출구의 개구 모서리에 밀접하여 밀봉하므로, 공기의 누설을 회피할 수 있어 특정한 취출구로부터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는 일이 없으며, 품질감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5 발명에 따르면, 혼합실 상방의 케이스 상벽에 형성된 중심 통기 취출구에 대해 측면 통기 취출구는 이 중심 통기 취출구보다도 전후 방향으로 벗어난 활주 도어 장착 위치에 대응한 케이스 측벽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 통기 취출구 및 측면 통기 취출구 모두 충분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이들 각 취출구의 통기 저항을 작게 하여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중심 통기 취출구를 개폐하는 활주 도어에는 측면 도어를 연장 설치하고, 이 측면 도어에 의해 중심 통기 취출구의 개폐와 동기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를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중심 통기 취출구와 측면 통기 취출구로부터 불어내어지는 온도 조절 공기의 배풍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16 발명에 따르면, 서브 도어의 완전 폐쇄 위치를 측면 통기 취출구가 약간 개구하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이 측면 통기 취출구로부터 항상 온도 조절 공기의 일부를 측면 통기풍으로서 누설시켜 도어 측면 윈도우 패널 등의 흐림 방지를 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풍량 제어는 서브 도어의 완전 폐쇄 위치의 설정에 의해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2의 1-1선을 따른 단면도, 도2는 도1의 평면도, 도3은 도어 기구를 도시한 수평 단면도, 도4는 도어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5는 도3의 5-5선에 따른 단면도, 도6은 도어 요부의 확대 설명도, 도7은 홈 캠 부분을 도시한 설명도, 도8은 지지 롤러를 도시한 것으로, 도7의 8-8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는 혼합 도어에 적용한 것이다.
이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 유닛(1)과 가열기 유닛(2)을 일체화하고, 차량의 전후 방향의 치수(L)(도16 참조)를 짧게 한 케이스(C)를 갖고, 이 케이스(C)의 상류측 공기 통로(10) 내에는 증발기(3)가 설치되고, 하류측 공기 통로(11) 내에는 가열기 코어(4)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이들 공기 통로(10, 11)는 조립성 및 제조의 용이화를 위해, 케이스(C)를 구성하는 2개의 케이싱 피스(C1, C2)(도3 참조)를 대면 관계로 결합함으로써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류측 공기 통로(10)로부터 흘러내린 공기류는 증발기(3)와 가열기 코어(4) 사이에 설치된 혼합 도어(5)를 활주 기구(M)로 동작함으로써, 가열기 코어(4)측과 이 가열기 코어(4)를 우회하는 우회 통로(B)측으로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가열기 코어(4)측과 우회 통로(B)측이라 하는 각 공기 통로에 소정 비율로 공기를 흐르게 한다.
여기에서, 혼합 도어(5)의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증발기(3)와 가열기 코어(4)가 근접 설치되어 있지만, 이들은 도어(5)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도어(5)의 이동 자유를 규제하는 부재가 되므로, 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규제 부재(K)라 칭한다.
또한, 도어(5)와 활주 기구(M)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우선, 혼합 도어(5)는 상기 규제 부재(K)인 증발기(3)와 가열기 코어(4) 사이에서 상류측 공기 통로(10)로부터의 공기류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고 또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형으로 한 도어 본체(12)를 지니고 있다.
이 도어 본체(12)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이 상류측 공기 통로(10)와 하류측 공기 통로(11)의 개구부(14)의 대략 1/2 정도이며, 폭 방향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C)의 일측으로부터 다른측까지 설치된 것이다.
도어 본체(12)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체로 외주 부분이 평탄부(12a)가 되고, 또한 내측이 돔형상의 팽출부(12b)가 되어 이 팽출부(12b)의 외주를 권취하는 평탄부(12a)의 외면에는 발포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부재(15)가 점착되어 있다. 단, 이 밀봉 부재(15)는 팽출부(12b)의 배면측 뿐만 아니라, 복면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 후술하는 톱니부(17)가 형성되어 있는 도어 본체(12)의 측단부 부위는 단면 원호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본체(12)의 측단부 부위에는 도어 본체(12)의 보강과 공기류의 안내 기능을 갖는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16)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보강 플레이트(16)와 도어 본체(12)의 측단부 사이에는 상세하게 후술하는 구동부(23)에 있어서의 부분 기어(20)와 맞물리는 톱니부(17)가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 본체(12)의 상하 4개의 측단부에는 상세하게 후술하는 케이스(C)의 내측벽으로부터 돌출한 가이드용 홈 캠(19) 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안내 롤러(18)가 돌출되어 있다. 또, 이 안내 롤러(18)는 경우에 따라서는 구름 이동하지 않는 원주형의 핀이라도 좋다.
다음에, 이 활주 도어(5)를 작동시키기 위한 활주 기구(M)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C)의 내측벽에 형성된 홈 캠(19)과, 도어 본체(12)의 일면에 형성된 톱니부(17)에 맞물리는 한 쌍의 부분 기어(20)와, 부분 기어(20)를 서로 연결하는 축(21)과, 축(21) 단부에 고정 부착된 구동 기어(22)와, 구동 기어(22)를 구동하는 모터 또는 모터 작동기 등의 구동부(23)(도1, 도2 참조)를 지니고 있다. 또, 구동부(23)는 경우에 따라서 제어기와 와이어 케이블을 거쳐 연결된 수동 조작 기구일 수 있다.
여기에서, 홈 캠(19)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5)의 곡률 반경과 대략 같은 곡률 반경(r)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도어 본체(12)의 4개의 안내 롤러(18)를 지지하고, 도어 본체(12)가 풍압을 받아도 덜걱거림없이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홈 캠(19)은 각 내측벽에 원호형으로 형성된 것이 상하 한 쌍 형성되어 있지만, 이런 형상은 소정의 곡률 반경(r)으로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도어 본체(12)를 혼합 도어로 사용하는 경우, 동력 방향, 즉 연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홈 캠(19)이 도어 본체(12)의 중량을 지지하므로, 상하 활주시에 도어는 중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소정의 제어량으로 동작하게 되어 제어성이 향상된다. 특히 상기 상부의 안내 롤러(18)는 상부의 홈 캠(19)에, 하부의 안내 롤러(18)는 하부의 홈 캠(19)에 각각 끼움 삽입되어 있으므로, 중력의 영향을 4개의 안내 롤러(18)가 방지하게 된다.
또한, 각 홈 캠(19)의 종단부(19a)는 도어 본체(12)가 활주의 종단부 위치에서 상기 활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도시한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의 원호형의 활주 방향으로부터 경사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밀봉 부재(15)가 케이스(C)의 격벽(13)에 접촉 가압되고, 밀봉성의 향상을 꾀하도록 하고 있다. 즉, 밀봉 부재(15)는 항상 격벽(13)과 접촉하지 않고 필요한 때에만 접촉하게 되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밀봉성의 저하가 방지되어 밀봉성이 향상된다. 또, 밀봉 부재(15)가 접촉하는 접촉 부재(1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C)의 격벽(13)을 이용한 것이지만,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의 홈 캠(19)은 각각 별도로 상하 한 쌍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안내 롤러(18)가 종단부 위치에서 활주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고, 예컨대 상하 한 쌍의 홈 캠(19) 종단부(19a)를 서로 연속한 형상이라도 좋다. 이렇게 하면, 합성 수지에 의해 케이스(C)를 성형하는 경우에 성형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활주 기구(M)는 홈 캠(19), 한 쌍의 부분 기어(20), 축(21) 및 구동 기어(22)로 이루어지지만, 이들과 상기 도어(5)를 하나의 유닛으로 하고, 유닛을 케이스(C)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삽입하여 부착하도록 해도 좋다. 이런 경우에는 각 기종에 따라 여러 다른 유닛을 형상할 수 있어 주된 부분을 공용하면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부분 기어(20)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본체(12)가 활주 종단부 위치에서 상기 활주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단부에 형성된 톱니 또는 그 근방의 톱니를 다른 톱니(20b)보다도 톱니 높이가 높은 높은 톱니(20a)로 하고, 구동부(23)가 상기 부분 기어(20)를 회전함으로써 상기 높은 톱니(20a)가 도어 본체(12)에 형성된 톱니부(17)를 거쳐서 도어 본체(12)를 가압하여 상기 홈 캠(19)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어 본체(12)에 형성된 톱니부(17)는 도5,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단부 또는 그 근방의 톱니부가 다른 톱니(17b)보다도 톱니 높이가 높은 높은 톱니(17a)로 하고 있다. 즉, 톱니부(17) 단부의 높은 톱니(17a)의 톱니끝이 회전 중심(O)으로부터의 반경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r1, r2, r3, r4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하고, 상기 부분 기어(20)의 높은 톱니 부분(20a)과 확실히 맞물려 도어 본체(12)를 홈 캠(19)에 따르도록 하고 있다. 또, 도면 중 rp는 피치원이다.
이와 같이 도어 본체(12)는 한 쌍의 부분 기어(20)에 의해 회전되지만, 도어 본체(12)가 폭 방향으로 비교적 긴 경우에는 폭 방향으로 풍압에 의해 변형할 우려가 있다.
이 변형은 기어와의 맞물림에서도, 또한 도어 본체(12)가 행하는 온도 조절 제어성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본체(12)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지지 롤러(24)에 의해 지지하고, 지지 롤러(24)에 의해 도어 본체(12)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지지 롤러(24)는 드럼 형상 부분(24a)과, 이 드럼 형상 부분(24a)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돌출한 탄성을 갖는 한 쌍의 지지 아암(24b)으로 구성하고, 예컨대 가열기 코어(4)의 상방 지지벽 등을 이용한 중심 격벽(25)에 형성된 오목부(25) 내로 지지 아암(24b)을 부착하는 동시에 드럼 형상 부분(24a)이 중심 격벽(25)으로부터 약간 돌출하도록 배치하고, 드럼 형상 부분(24a)이 탄성적으로 도어 본체(12)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 롤러(24)를 중심 격벽(25)에 조립하는 데 있어서, 상기 2개의 케이싱 피스(C1, C2)를 대면 관계로 결합해서 케이스(C)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케이스(C)를 성형할 때, 이미 2개로 분할된 중심 격벽(25)의 오목부(26) 내에 수납해 두면 동시에 조립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 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난방 모드(Full Hot Mode))
가열 모드로서 냉풍을 전량 가열하여 차실 내부로 송풍하는 난방 모드의 경우, 도어 본체(12)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에 위치시키고, 흡기 유닛으로부터 취입되어 냉각기 유닛에서 냉각된 공기를 전량 가열기 코어(4)로 통과시킨다.
이 경우, (도시 안된) 제어기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구동부(23)를 동작시키고 부분 기어(20)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도어 본체(12)에 형성된 기어부(17)와 맞물린 부분 기어(20)는 도어 본체(12)를 홈 캠(19)을 따라 상승시킨다.
도어 본체(12)가 상승하여 종단부 위치에 도달하면, 부분 기어(20)의 높은 톱니 부분(20a)이 도어 본체(12)의 높은 톱니 부분(17a)과 맞물리므로, 도어 본체(12)는 부분 기어(20)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되는 동시에 홈 캠(19)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밀봉 부재(15)가 케이스(C)의 측벽에 형성된 격벽(13)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이 결과, 도어 본체(12)의 밀봉성이 향상되고, 공기 누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온도 조절 특성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기어 구동에 의해 도어 이동이 행해지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의 조작성도 향상되고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 쾌적한 도어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모드에서 냉각기 유닛으로부터 냉각된 공기는 원호형의 도어 본체(12)에 충돌하지만, 공기류는 도어 본체(12)의 표면을 따라 원활하게 가열기 코어(4)의 방향을 향하도록 유동 방향을 변경할 수 있게 되므로, 통기 저항이 상승하지 않고, 공기의 유통량도 저감하지 않아 전량 가열기 코어(4)로 유도된다.
(온도 조절 모드)
냉각/가열 모드로서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소정 온도로 하여 차실내부로송풍하는 온도 조절 모드의 경우에는 도어 본체(12)를 도1에 있어서 상하 방향 중간 위치에 설치하고, 냉각기 유닛(1)으로부터의 냉풍의 일부를 도어 본체(12)의 상부 공간 영역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냉풍을 도어 본체(12)의 하부 공간 영역을 통과시켜 가열기 코어(4)로 유도한다.
이 경우도, 제어기에 의해 구동부(23)가 동작되고, 부분 기어(20)의 회전에 의해 도어 본체(12)의 안내 롤러(18)가 홈 캠(19)을 따라 이동하여 상하 방향 중간에 위치되지만, 이 상태는 안내 롤러(18)와 홈 캠(19)의 접촉뿐이므로, 활주 이동 저항은 극히 작고 작동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도어 본체(12)는 동력 방향, 즉 연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홈 캠(19)이 도어 본체(12)의 중량을 지지하므로, 중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우며, 어느 위치에 설치하는 경우라도 소정의 제어량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 제어성이 향상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부분 기어(20)와 도어 본체(12)측 톱니(17)와의 맞물림에 의해 도어 본체(12)의 위치가 유지되어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은 적다. 가령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다고 해도, 부분 기어(20)와 도어 본체(12)측의 톱니부(17) 사이의 백러쉬 정도의 극히 소량이므로, 도어 위치는 정확히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냉풍과 온풍은 합류하여 혼합되고, 소정 온도가 되어 차실 내로 송풍된다. 또, 이 경우 상기 원호형 도어의 경우, 어느 정도 통기 저항이 증대하지만, 공기를 소정 방향으로 배풍하는 배풍성이 향상하므로, 온도 조절 모드의 경우와 같이 풍량보다도 제어성이 중시될 때에는 극히 유효한 것이 된다.
(냉방 모드(Full Cool Mode))
냉풍을 전량 가열하지 않고 차실 내부에 송풍하는 냉각 모드의 냉방 모드의 경우에는 상기 도어 본체(12)의 위치를 상하 방향 최하단부에 위치시키는 것 이외는 사실상 도어 본체(12)의 작동은 난방 모드의 경우와 같지만, 이 냉방 모드의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서 승객이 다량의 냉풍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도, 공기류는 도어 본체(12)의 표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통기 취출구(7a)의 방향을 향하도록 유동 방향이 변경되게 되므로, 통기 저항이 상승하지 않고 공기의 유통량도 저감하지 않아 쾌적한 냉풍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이 냉방 모드에서 다량의 냉풍이 도어 본체(12)에 충돌하게 되어 비교적 폭 방향으로 긴 도어 본체(12)가 후방으로 변형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도어 본체(12)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분기 롤러(2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도어 본체(12)에 큰 풍압이 가해져도 도어 본체(12)의 변형을 예방하고 기어식 활주 기구라도, 톱니 건너뛰기 작동 등의 이상도 없이 원활하게 작동하고, 또한 도어 본체(12)의 변형에 수반하는 온도 조절 특성의 저하도 없다. 또한, 도어 본체(12)가 근접하여 설치된 증발기(3)나 가열기 코어(4)로부터의 열적 영향에 의해 다소 변형해도, 도어 본체(12)의 변형을 수정할 수 있다.
또, 지지 롤러(24)는 항상 도어 본체(12)의 중심 부분을 지지하므로, 냉방 모드뿐만 아니라 어떠한 모드 상태라도 도어 본체(12)의 상하 원호형 작동도 극히 원활한 것이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관한도어 기구가 적용된 도어는 혼합 도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도어라도 상관없다. 또한, 도어를 하류측에 원호형으로 팽출한 때의 곡률 반경은 각 기종 또는 도어의 크기, 풍량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값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의 혼합 도어(5)는 한 쌍의 부분 기어(20)에 의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지만,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본체(12)의 중심 부분에 하나의 기어(20)를 설치하고, 이로써 작동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부품 갯수가 저감되여 조립도 용이해지므로, 비용적으로도 유리해지고, 또한 중심 지지 롤러(24)와의 협동에 의해 도어 본체(12)를 협지하게 되므로, 도어 자체가 다소 변형해도 온도 조절 특성에는 악영향이 없다.
<실시 형태 2>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기 유닛(1)과 가열기 유닛(2)을 차량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나란히 일체화하고, 차량의 전후 방향의 치수(L)를 짧게 한 유닛 케이스(C)를 갖고 있다.
유닛 케이스(C) 내에는 도입 공기를 냉각하여 냉풍을 만드는 증발기(3)와, 냉풍을 가열하여 온풍을 만드는 가열기 코어(4)와, 냉풍과 온풍을 혼합하여 소정 온도로 하는 혼합실(31)과, 혼합실(31)과 단면 원호형의 내측벽(30)에 의해 구획된 푸트 덕트(8d)와, 내측벽(30)의 연장선 위에 개방 설치된 서리 제거 취출구(6a) 및 통기 푸트 취출구(40)와, 냉온풍을 제어하는 도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 기구는 증발기(3)와 가열기 코어(4) 사이에 설치된 활주식 혼합 도어(5)와, 서리 제거 취출구(6a)와 통기 푸트 취출구(40)를 개폐하는 활주식 제1 모드 도어(Dm1)와, 푸트 덕트(8d)의 상단부 부분에 설치된 통기 취출구(7a)와 푸트 취출구(8a)를 개폐하는 회전식 제2 모드 도어(Dm2)로 구성되어 있다.
혼합 도어(5)는 증발기(3)로부터의 냉풍을 가열기 코어(4)측이나 이 가열기 코어(4)를 우회하는 우회 통로(B)측에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가열기 코어(4)측과 우회 통로(B)측의 양통로에 소정의 비율로 분기하여 흐르게 하고, 불어낸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제1 모드 도어(Dm1)는 모드에 따라서 서리 제거 취출구(6a)와 통기 푸트 취출구(40) 중 어느 한 쪽만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상태와, 양 취출구(6a, 40)를 소정 비율로 개폐하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즉, 제1 모드 도어(Dm1)의 이동에 의해 서리 제거 취출구(6a)를 개방하는 서리 제어 모드(온풍을 전방 및 측면의 글라스에 불어내어 흐림을 맑게 하는 모드)와, 제2 모드 도어(Dm2)와의 협동에 의해 통기 푸트 취출구(40)를 개방하여 행하는 통기 모드(냉풍을 통기 덕트(7d)로부터 차실 내의 상반신을 향하여 흐르게 하는 모드)와, 이중 레벨 모드(냉풍을 차실 내의 승객의 상반신을 향하여 흐르게 하고, 온풍을 승객의 발밑을 향하여 흐르게 하는 두한족열 모드), 푸트 모드(온풍을 차실 내의 승객의 발밑을 향하여 흐르게 하는 모드)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식 제2 모드 도어(Dm2)는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상기 통기 푸트 취출구(40)가 개방된 때, 유입된 공기류(통상 온풍 또는 온도 조절된 공기)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배풍하는 것이다. 이 제2 모드 도어(Dm2)에 의해 선택되는 모드는 공기류를 통기 덕트(7d)로 유도하는 통기 모드와, 푸트 덕트(8d)로 유도하여 승객의 발밑을 난방하는 푸트 모드와, 양자에 흐르게 하는 이중 레벨 모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모드 도어(Dm1)를 중간으로 이동하여 서리 제거 취출구(6a)와 통기 푸트 취출구(40)를 개방하고, 제2 모드 도어(Dm2)를 푸트 덕트(8d)를 개방하는 위치로 함으로써, 서리 제거 덕트(6d)와 푸트 덕트(8d)에 소정의 비율로 동시에 흐르게 함으로써 창의 흐림을 맑게 하면서 발밑을 난방하는 서리 제거 푸트 모드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모드 도어(Dm1) 및 내측벽(30)에 의해 구획 형성된 혼합실(31)의 범위 내에, 제2 모드 도어(Dm2)가 인입되지 않도록 회전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하면, 제2 모드 도어(Dm2)가 작동하고, 통기 모드 또는 푸트 모드 상태를 만들 때도, 이 제2 모드 도어(Dm2)에 의해 냉풍이나 온풍의 흐름이 흐트러지지 않고, 냉풍과 온풍은 안정되게 흐르고, 냉풍과 온풍의 혼합이 안정적으로 행해져 혼합성이 향상된다. 이 결과, 종래와 같이 혼합실 내에 온도 조절 리브를 세워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통기 저항이 증대하는 일도 없으며, 온도 조절 특성도 향상된다. 또한 온도 조절 리브가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도어 작동 기구가 간소화되므로, 비용적으로는 매우 유리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혼합 도어(5), 제1 모드 도어(Dm1) 및 제2 모드 도어(Dm2)에 의해 통기 모드, 이중 레벨 모드, 서리 제거 모드, 푸트 모드 및 서리 제거 푸트 모드라는 다수의 모드 상태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또한 공기류가 유닛 케이스(C) 내를 흐르는 경로가 가장 긴 푸트 모드일 때라도 공기류는 통기 저항이 증대할 우려도 없으며 원활하게 통기 푸트 취출구(40)로부터 푸트 덕트(8d)로 들어가고, 또한 회전식 제2 모드 도어(Dm2)도 활주식 제1 모드 도어(Dm1)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양 도어가 간섭을 일으킬 우려가 없으므로, 협소한 공간에서의 도어 작동도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제1 모드 도어(Dm1)는 혼합실(31)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열기 코어(4)를 통과하여 가열된 온풍이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 흐른 뒤에, 상기 제1 모드 도어(Dm1)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유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 저항이 증대하지 않아 매우 원활한 흐름이 된다. 가열기 코어(4)를 우회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4)를 통과한 온풍이 항상 같은 각도로 충돌하므로 혼합성이 안정된다. 상기 혼합 도어(5) 및 제1 모드 도어((Dm1)와, 그 활주 기구(M)는 전술한 실시 형태 1과 거의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 2의 작용을 설명한다.
(통기 모드)
통기 모드는 차실 내부를 냉방하는 모드이다. 이 통기 모드에 있어서, 냉풍을 전량 가열하지 않고 차실 내로 송풍하는 냉방 모드인 경우에는 혼합 도어(5)의 위치를 도면 중 상하 방향 최하단부에 설치하고, 또한 중간의 온도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상하 방향 중간에 설치한다.
이 경우, (도시 안된)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받아 구동부(23)를 동작시키고, 부분 기어(20)를 회전시킨다. 이로써 혼합 도어(5)의 도어 본체(12)에 형성된 톱니부(17)에 맞물린 부분 기어(20)는 도어 본체(12)를 홈 캠(19)을 따라 하강시킨다.
냉방 모드의 경우, 도어 본체(12)가 하강하여 종단부 위치까지 도달하지만, 여기에서는 부분 기어(20)의 높은 톱니 부분(20a)이 도어 본체(12)의 높은 톱니 부분(17a)과 맞물리므로, 도어 본체(12)는 부분 기어(20)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되는 동시에 홈 캠(19)을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하고, 밀봉 부재(15)가 케이스(C)의 측벽에 형성된 접촉벽부(Sc, Sd)에 접촉하여 가압된다.
이 결과, 도어 본체(12)의 밀봉성이 향상되어 가열기 코어에서 따뜻해진 공기가 유입되는 일은 사라진다. 따라서 풀쿨시에 가열기 코어로 온수가 흐르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바람 누설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온도 조절 특성도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기어 구동에 의해 도어 이동이 행해지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의 조작성도 향상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쾌적한 도어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제1 모드 도어(Dm1)를 도10의 좌측단부에 위치시키면, 증발기(3)에 의해 냉각된 공기류는 혼합 도어(5)의 곡면을 따라서 흐른 뒤에, 혼합실(31)을 통과하여 대략 곧바로 통기 푸트 취출구(40)를 통과하여 통기 취출구(7a)로 유입하고, 통기 덕트(7d)를 통해 차실 내부를 향하여 배풍된다. 이 경우, 통기 저항이 낮으므로 대량의 냉풍을 차실 내로 불어낼 수 있다.
이 냉방 모드의 경우에는 때로는 승객이 다량의 냉풍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다량의 냉풍이 도어 본체(12)에 충돌하여 비교적 폭 방향으로 긴도어 본체(12)가 후방으로 변형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어 본체(12)의 폭 방향의 중심 부분을 지지 롤러(24)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으므로, 도어 본체(12)에 큰 풍압이 가해져도 도어 본체(12)의 변형을 예방하고, 기어식 활주 기구라도, 톱니 건너뛰기 작동 등의 이상도 없이 원활하게 작동하고, 또한 도어 본체(12)의 변형에 수반하는 온도 조절 특성의 저하도 없다. 또한 도어 본체(12)가 근접 설치된 증발기(3)나 가열기 코어(4)로부터의 열적 영향에 의해 다소 변형해도 도어 본체(12)의 변형을 수정할 수 있다.
또, 이 지지 롤러(24)는 항상 도어 본체(12)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냉방 모드뿐만 아니라 어떠한 모드 상태일지라도, 도어 본체(12)의 상하 원호형 작동도 매우 원활한 것이 된다.
중간의 온도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혼합 도어(5)의 위치를 상하 방향 중간에 설치한다. 이 경우도, 제어기에 의해 구동부(23)가 동작되고, 부분 기어(20)의 회전에 의해 도어 본체(12)의 안내 롤러(18)가 홈 캠(19)을 따라서 이동하여 상하 방향 중간 위치가 되지만, 이 상태는 안내 롤러(18)와 홈 캠(19)과의 접촉뿐이므로, 활주 이동 저항은 극히 작아 작동은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부분 기어(20)와 도어 본체(12)측의 톱니부(17)와의 맞물림에 의해 혼합 도어(5)의 위치가 유지되고, 위치 어긋남을 일으킬 가능성은 적다. 가령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다고 해도, 부분 기어(20)와 도어 본체(12)측의 톱니부(17) 사이의 백러쉬만큼 정도이며, 매우 정확하게 도어 위치가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증발기(3)에 의해 냉각된 공기류는 일부가 혼합 도어(5)의 상단부와 상부의 접촉벽부(Sa) 사이를 통과해 우회 통로(B)로부터 혼합실(31)에 이르고, 나머지의 공기류는 혼합 도어(5)의 하단부와 하부의 접촉 벽부(Sd) 사이를 통과하여 가열기 코어(4)에 의해 가열되고,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서 흐른 뒤에 혼합실(31)에 이른다. 이 혼합실(31)에 있어서 냉풍과 온풍은 혼합되어 소정 온도의 공기류가 되어 통기 취출구(7a)로부터 통기 덕트(7d)를 거쳐서 차실 내부를 향하게 된다.
특히, 이 혼합실(31)의 범위 내에는 제2 모드 도어(Dm2)가 존재하지 않고, 종래의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와 같이 모드 도어가 내부로 인입 회전하는 일도 없으므로, 우회 통로(B)를 유통하는 공기류는 그 흐름이 도어에 의해 흐트러지지 않고 원활하게 흐르므로, 온풍과의 혼합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온도 조절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혼합실(31)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벽(30)은 곡면이 되고, 제1 모드 도어(Dm1)는 이 곡면을 따라서 활주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가열기 코어(4)를 통하여 가열된 온풍은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서 흐른 후에, 상기 제1 모드 도어(Dm1)를 따라서 이동하여 흐르게 되므로, 유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통기 저항이 증대하지 않고, 매우 원활한 흐름이 되어 상기 냉풍과의 혼합이 이 점에서도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푸트 모드)
푸트 모드는 차실 내부를 난방하는 모드이다. 증발기(3)로부터의 냉풍을 전량 가열기 코어(4)에 의해 가열하여 차실 내부로 송풍하는 난방 모드인 경우에는 도면 외의 제어기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구동부(23)를 동작하고, 혼합 도어(5)의 위치를 도면 중 상하 방향 최상단부에 설치하게 되며, 또한 중간의 온도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혼합 도어(5)의 위치를 상하 방향 중간에 설치하게 된다.
난방 모드인 경우에는 도어 본체(12)가 상승하여 종단부 위치까지 도달하면, 전술한 경우와 같이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어 본체(12)의 밀봉성이 향상되어 온도 조절 특성이 우수하고, 도어 이동이 원활한 제어가 된다. 그리고, 제1 모드 도어(Dm1)를 도10에 있어서 좌측단부에 위치시키면, 가열기 코어(4)에 의해 가열된 온풍은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서 흐른 뒤에, 바로 통기 푸트 취출구(40)로 유입되고, 여기에서 제2 모드 도어(Dm2)에 의해 통기 취출구(7a)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온풍은 푸트 덕트(8d)로 흐르고, 승객의 발밑을 향하여 배풍된다. 이 푸트 모드의 경우, 공기류는 통기 푸트 취출구(40)로부터 푸트 덕트(8d)로 원활하게 들어오므로, 통기 저항이 증대할 우려는 없다.
(이중 레벨 모드)
이 모드는 냉풍을 통기 취출구(7a)로부터 통기 덕트(6d)를 통과하여 차실내부의 승객의 상반신을 향하여 배풍하고, 온풍을 통기 푸트 취출구(40)로부터 푸트 덕트(8d)를 통하여 차실 내부의 승객의 발 밑을 향하여 배풍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혼합 도어(5)는 상하 방향 중간에 설치되고, 제1 모드 도어(Dm1)는 서리 제거 취출구(6a)를 폐쇄하도록 설치되고, 제2 모드 도어(Dm2)는 통기 취출구(7a)와 푸트 취출구(8c)의 양자를 개방하는 중간 위치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증발기(3)에 의해 냉각된 공기류는 일부가 혼합 도어(5)의 상단부와 상부의 접촉 벽부(Sa)와의 사이를 통하여 우회 통로(B)로부터 혼합실(31)에 이르고, 나머지의 공기류는 모드 도어(5)의 하단부와 하부의 접촉 벽부(Sd)와의 사이를 통하여 가열기 코어(4)에 의해 가열되고,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서 흐른 뒤에, 혼합실(31)에 이른다.
그러나, 냉풍은 통기 취출구(7a)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우회 통로로부터 곧바로 통기 덕트(7d)에 이르고, 온풍은 통기 푸트 취출구(40)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여기에서 제2 모드 도어(Dm2)로 제어되어 푸트 덕트(8d)에 이른다. 이 결과, 냉풍과 온풍은 혼합되는 일 없이, 통기 덕트(7d) 또는 푸트 덕트(8d)를 통하여 냉풍은 승객의 상반신에, 온풍은 승객의 발밑에 각각 배풍된다.
(서리 제거 모드)
서리 제거 모드는 앞 유리 등의 흐림을 맑게 하는 모드이다. 즉, 고온풍을 송풍하는 경우에는 혼합 도어(5)를 상단부까지 상승시키고, 중간 온풍을 송풍하는 경우에는 혼합 도어(5)를 중간 위치에 설치한다. 그리고, 제1 모드 도어(Dm1)를 도10에 있어서 우측 단부로 위치시키고, 가열기 코어(4)로부터의 온풍을 서리 제거 취출구(6a)로 유입시킨다.
서리 제거 모드에서 통기 푸트 취출구(40)는 제1 모드 도어(Dm1)에 의해 폐쇄되므로, 온풍은 서리 제거 덕트(6d)로 흐르고, 앞유리 등을 향하여 배풍된다. 가열기 코어(4)를 통과하여 따뜻해진 공기는 내측벽을 따라서 상승하고, 또한 제1 모드 도어(Dm1)를 따라서 흐르므로, 원활하게 서리 제거 취출구(6a)로 유입된다. 통기 저항도 저감하므로 대량의 공기가 앞유리를 향하여 불어낼 수 있다. 따라서, 창의 흐림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 도어(Dm1)는 원호형이지만, 경우에 따라 직선형으로 해도 좋고, 부착 위치도 단면 원호형 내측벽(30)의 연장선 뿐만 아니라 이 내측벽(30)을 긴 것으로 하면 상기 내측벽(30) 자체에 부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도11은 부분 기어(20)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위치의 톱니부(20c)(도면 중에 예시적으로 3군데 사선을 붙이고 있는 톱니부) 사이에 설치된 톱니부(20b)의 반경 방향 내방 부분에 연약 유지부(N)(사선 부분)를 형성하여 이 부분 기어(20)를 회전하고, 바로 앞의 도어 본체(12)측에 형성된 톱니부(17)와 맞물려 상기 도어 본체(12)를 이동시킬 때, 소정 위치의 톱니부(20c)와 다른 톱니부(20b)의 맞물림 상태가 변화하도록 하고, 이로써 수동 조작시 조작자에게 손의 위치를 알려주는 클릭감을 발생시키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통기 모드, 이중 레벨 모드, 서리 제거 모드, 푸트 모드 또는 통기 푸트 모드를 설치될 때, 도어 본체(12)의 소정 위치로 회전하여 가는 기어부를 상기 소정 위치의 톱니부(20c)로 하고, 이들 톱니부(20c) 상호간의 톱니부(20b)의 반경 방향 내방 부분을 절삭하여 모떼기 부분을 형성하고, 모떼기 부분에 의해 톱니부(20c)와 톱니부(20b)의 지지 상태가 상위하도록 하고, 상기 소정 위치의 톱니부(20c)가 도어 본체(12)측의 톱니부(17)와 맞물리면, 부분 기어(20)의회전축(21)에 다른 맞물림 상태와는 다른 감각을 발생시키고, 이로써 수동 조작시의 클릭감이 발생하도록 하면, 조작성 내지 취급성이 향상된다.
단, 이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반드시 모떼기 부분을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부분 기어(20) 전체를 ABS와 같은 딱딱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상기 모떼기 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을 폴리아세탈과 같은 연질의 재료로 하고, 재질의 차이에 의해 클릭감을 발생시켜도 좋다.
<실시 형태 3>
도12, 도13에 있어서, 201은 공기 조절 유닛의 케이스를 나타내고, 상기 케이스(201) 내에는 송풍기 접속구(202)에 접속한 도면 외의 송풍기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상류측으로부터 증발기(203)와 가열기 코어(204)를 이 순서대로 배치하고 있다.
증발기(203)와 가열기 코어(204) 사이에는 증발기(203)를 통과한 냉풍을 가열기 코어(204)로 지향시키는 하향으로, 또는 가열기 코어(204)를 우회하는 상향으로 선택적으로 통풍시키고, 또는 상기 냉풍을 상기 양방으로 적절한 비율로 분배하는 에어 혼합 도어(205)를 배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가열기 코어(204)의 상방 부분을 상기 증발기(203)를 통과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204)를 통과한 온풍과 혼합하는 혼합실(206)로 하고 있다.
혼합실(206) 상방의 케이스(201) 상벽에는 통기 도어(208)에 의해 개폐되는 통기 취출구(207)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혼합실(206)의 후방측에는 격벽(209)에 의해 푸트 통로(210)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푸트 통로(210)는 케이스(201)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하단부에 푸트 취출구(211)를 갖고, 상측부가 상기 통기 취출구(207)의 근방에서 혼합실(206)에 연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푸트 통로(201)의 하측 후방벽에 푸트 취출구(211)에 근접하여 후방 취출구(212)를 개방 설치하고, 이들 푸트 취출구(211)측과 후방 취출구(212)측으로 통풍을 절환하는 모드 도어(213)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통기 도어(208)는 전술한 도3 내지 도6과 같은 활주 기구(M)에 의해 통기 취출구(20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이 통기 취출구(207)를 개방하는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201)의 상벽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통기 도어(208)의 장착 위치는 상기 통기 도어(208)가 푸트 통로(210)로의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기 도어(208)를 상기 통기 취출구(20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로부터 케이스(208) 후방의 푸트 통로(210)측으로 활주시켜 장착하도록 하고 있으며, 통기 도어(208)를 완전 개방 이동한 때, 이 통기 도어(208)의 후방단부가 푸트 통로(210)의 상측부와 혼합실(206)의 연통 부분에 약간 인입하는 위치가 장착 위치로서 설정되어 있다.
즉, 격벽(209)의 상단부 끝이 푸트 통로(210)와 혼합실(206)의 연통 부분을 확정하므로, 이 격벽(209)의 상단부 끝의 위치를 상기 완전 폐쇄 이동시킨 통기 도어(208)의 후방단부 위치 부근이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통기 도어(208)의 장착 위치가 결정된다.
통기 도어(208)는 케이스(201) 상벽의 만곡 형상으로 정합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기 도어(208)의 전방단부 양측면 모서리와 후방단부 양측면 모서리에 가이드 핀(214)을 돌출 설치하고 있다. 이 가이드 핀(214)은 물론 롤러로 구성해도 좋다.
한편, 케이스(201)의 측벽에는 상기 전후 가이드 핀(214)이 개별로 활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고, 통기 도어(208)의 상기 폐쇄 위치와 장착 위치로의 활주 이동을 안내하는 전후 2개의 홈 캠(215)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홈 캠(215)은 통기 도어(208)를 케이스(201) 상벽의 만곡 형상을 따라서 활주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201) 상벽의 만곡 형상에 정합하여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통기 도어(208)의 폐쇄 위치를 규제하는 전방측 종단부(215a)를 케이스(201)의 상벽측을 향하여 절곡 성형되고, 가이드 핀(214)이 이 전방측 종단부(215a)에 안내됨으로써, 통기 도어(208)를 그 폐쇄 위치에서 케이스(201)의 상벽 내면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통기 도어(208)의 상부면 주변에는 밀봉 부재(216)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통기 도어(208)가 폐쇄 위치에서 케이스(201)의 상벽 내면측을 향하여 이동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216)가 통기 취출구(207)의 개구연에 밀접하여 밀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통기 도어(207) 이면의 예컨대 양측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톱니부(217)를 형성하고 있는 한편, 케이스(201)에는 그 양측벽에 걸쳐서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된 구동축(219)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톱니부(217)에 맞물린 구동 기어(218)를 장착하고 있다.
이 구동 기어(218)는 케이스(201) 밖으로 돌출한 구동축(219) 단부에 설치한 감속 기어 기구(220)를 거쳐서 정역 회전되는 것으로, 톱니부(218a)의 일부에 톱니의 높이가 높은 높은 톱니부(218b)를 구비하고, 통기 도어(208)의 폐쇄 위치에서 이 통기 도어(208)를 이 높은 톱니부(218b)에 의해 케이스(201)의 상벽 내면측을 향하여 압박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201)의 상벽에 상기 통기 취출구(207)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서리 제거 도어(222)에 의해 개폐되는 서리 제거 취출구(221)를 설치하고 있다.
이 서리 제거 도어(222)도 상기 통기 도어(208)와 같이 활주 기구(M)에 의해 폐쇄 위치와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201)의 상벽 내면을 따라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리 제거 도어(222)를 구성하는 활주 도어의 구조 및 활주 기구(M)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서리 제거 도어(222)의 장착 위치는 서리 제거 도어(222)가 폐쇄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활주 이동해서 서리 제거 취출구(221)가 완전 폐쇄되어 서리 제거 취출구(221)로의 통풍이 방해되지 않는 증발기(203) 상방의 사공간(dead space)에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전술한 공기 혼합 도어(205)도, 이들 통기 도어(208) 및 서리 제거 도어(222)와 같이 활주 기구(M)에 의해 상하로 활주 이동하는 원호형의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지만, 활주 기구(M)의 상하 홈 캠(215)은 각각 상하 종단부(215a)를 후방으로 절곡 형성하고 있는 한편, 구동 기어(218)의 톱니부(218a)에는 2개의 높은 톱니부(218b)를 설치하고, 공기 혼합 도어(205)가 가열기 코어(204)측을 완전 개방하는 난방 모드시, 및 우회측을 완전 개방으로 하는 냉방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혼합 도어(205)가 후방 이동되어 대응하는 개구 부분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이 공기 혼합 도어(205)는 좌우 한 쌍 설치하여 운전자석과 조수석이 독립하여 온도 조정 작용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 구조에 따르면, 혼합실(206) 상방의 케이스(201) 상벽에 설치한 통기 취출구(207)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208)는 활주 기구(M)에 의해 케이스(201)의 상벽 내면을 따라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 타입의 것과 달리 통기 취출구(207)의 개방시에 하방 회전에 의해 통기 도어(208)가 혼합실(206) 내를 향하여 급상승하여 통풍을 편향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혼합실(206)에서의 냉풍과 온풍의 공기 혼합성(온도 조절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통기 취출구(207)로의 배풍을 적절히 행할 수 있고, 또한 통기 도어(208)가 통기 저항이 되어 통기 취출구(207)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이 통기 도어(208)의 장착 위치를 푸트 통로(210)로의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통기 취출구(207)와 푸트 취출구(211)로부터 온도 조절 공기를 송풍하는 이중 레벨 모드시, 또는 푸트 통로(210)에 설치한 후방취출구(212)에서도 온도 조절 공기를 송풍하는 경우에, 통기 도어(208)가 푸트 통로(210)로 유통하는 공기의 통기 저항이 되는 일이 없어서 푸트 취출구(211) 또는 후방 취출구(212)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을 저하하지 않고, 이들 푸트 취출구(211) 또는 후방 취출구(212)로부터의 공기 취출 작용을 적절히 행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푸트 통로(210)를 혼합실(206)의 후방측에 구획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술한 통기 도어(208)를 활주 도어로서 회전 공간을 확보할 필요없이 케이스(201)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아울러 유닛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어 차실 내부로의 탑재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갯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201) 상벽의 통기 취출구(207)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설치한 서리 제거 취출구(221)를 개폐하는 서리 제거 도어(222)도, 통기 도어(208)와 같은 활주 기구(M)에 의해 케이스(201) 상벽을 따라서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로 구성하고, 또한 상기 서리 제거 도어(222)의 장착 위치를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증발기(203) 배치부 상방의 사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상기 상방 부분에 설정하고 있으므로, 혼합실(206)에서의 공기 혼합성을 향상할 수 있는 동시에 서리 제거 취출구(221)로의 배풍 제어를 적절히 행할 수 있고, 또한 서리 제거 도어(222)가 통기 저항이 되어 서리 제거 취출구(221)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는 일도 없다.
또한, 활주 도어를 작동하는 활주 기구(M)를 기어 구동으로 하고 있으므로, 작동이 원활해져 도어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소음 발생이 없는 쾌적한 도어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활주 도어의 가이드 핀(214)를 안내하는 홈 캠(215)은 종단부 위치에서 가이드 핀(214)을 활주 도어가 케이스(201)의 상벽면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분(215a)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활주 도어를 폐쇄 위치에서 케이스(201)의 상벽면에 가압시켜 주연부의 밀봉 부재(216)를 통기 도어(208) 및 서리 제거 취출구(212)에 밀접시켜 확실히 밀봉하여 공기의 누설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취출구로부터의 취출 공기량이 저하하지 않고, 또한 활주 도어를 확실히 고정 설치하여 덜걱거림을 회피할 수 있어서 품질감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14에 있어서, 301은 공기 조절 유닛의 케이스를 나타내고, 상기 케이스(301) 내부에는 송풍기 접속구(302)에 접속한 도면 외의 송풍기 유닛으로부터 송풍되는 공기의 상류측으로부터 증발기(303)와 가열기 코어(304)를 이 순서대로 배치하고 있다.
증발기(303)와 가열기 코어(304) 사이에는 증발기(303)를 통과한 냉풍을 가열기 코어(304)에 지향시키는 하향으로, 또는 가열기 코어(304)를 우회하는 상향으로 선택적으로 통풍시키고, 또는 상기 냉풍을 상기 양방으로 적절한 비율로 분배하는 공기 혼합 도어(305)를 배치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가열기 코어(304)의 상방 부분을 상기 증발기(303)를 통과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304)를 통과한 온풍이 혼합하는 혼합실(306)로 하고 있다.
혼합실(306) 상방의 케이스(301)의 상벽에는 통기 도어(308)에 의해 개폐되는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설치하고 있으며, 또한 혼합실(306)의 후방측에는 격벽(309)에 의해 푸트 통로(310)를 구획 형성하고 있다.
푸트 통로(310)는 케이스(31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부에 푸트 취출구(311)를 지니고, 상측부가 상기 혼합실(306)에 연통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푸트 통로(310)의 하측 후방벽에 푸트 취출구(311)에 근접하여 후방 취출구(312)를 개방 설치하고, 이들 푸트 취출구(311)측과 후방 취출구(312)로 통풍을 절환하는 모드 도어(313)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통기 도어(308)는 기어(314)와 래크(315)로 이루어지는 기어 기구와, 가이드 핀(316)과 가이드 레일(317)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기구를 구비한 활주 기구(M)에 의해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중심 통기 취출구(307)보다도 전방으로 벗어난 증발기(303) 상측의 격벽(319)과 케이스(301) 상벽 사이의 사공간에 설정된 장착 위치에 걸쳐서, 상기 케이스(301)의 상벽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래크(315) 및 가이드 핀(316)은 모두 활주 도어에 설치되고, 가이드 레일(317)은 케이스(301)의 측벽에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기어(314)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여 저어널되어 모터 구동되는 샤프트(318)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301) 상벽의 중심 통기 취출구(307)의 후방측에 인접하여 서리 제거 도어(321)에 의해 개폐되는 서리 제거 취출구(320)를 설치하고 있다.
이 서리 제거 도어(321)도 상기 통기 도어(308)와 같이 활주 기구(M)에 의해개폐 위치와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301)의 상벽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서리 제거 도어(321)의 장착 위치는 서리 제거 도어(321)가 폐쇄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활주 이동한 때, 상기 서리 제거 도어(321)가 푸트 통로(310)로의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설정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공기 혼합 도어(305)도, 이들 통기 도어(308) 및 서리 제거 도어(321)와 같이 활주 기구(M)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활주 이동하는 원호형의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통기 도어(308)를 구성하는 활주 도어에 대응하는 케이스(301)의 상부측벽, 즉 사공간(S)의 측벽에는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형성하고 있는 한편, 상기 통기 도어(308)를 구성하는 활주 도어의 전방단부에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323)를 연장 설치하고 있다.
이 서브 도어(323)는 통기 도어(308)의 전방단부로부터 하향으로 대략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통기 도어(308)에 의한 중심 통기 취출구(307)의 완전 폐쇄 위치, 즉 폐쇄 위치에서는 사공간(S)의 혼합실(306)과 연통한 개구 부분을 폐쇄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322)로의 공기의 유통을 차단하고, 통기 도어(308)가 전방의 장착 위치로 활주 이동하여 중심 통기 취출구(307)가 완전 개방되면, 서브 도어(323)도 측면 통기 취출구(322)의 개구 전방 모서리 위치까지 이동하여 이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완전 개방하게 하고, 중심 통기 취출구(307)의 개폐와 동기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24는 서브 도어(323)의 완전 폐쇄 위치에서 상기 도어 주연부가 착좌하여 밀봉하는 도어 시트부를 나타낸다.
이상의 실시 형태 구조에 따르면, 통기 모드 운전시에는 통기 도어(308)가 장착 위치에 전방으로 활주 이동하여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개방하는 동시에, 서브 도어(323)가 통기 도어(308)와 일체로 전방의 장착 위치로 이동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개방하므로, 혼합실(306)에서 온도 조절된 공기는 이들 중심 통기 취출구(307) 및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경유하여 중심 통기풍 및 측면 통기풍으로서 차실 내로 불어내게 된다.
통기 모드, 이중 레벨 모드 이외의 운전시는 통기 도어(308)가 폐쇄 위치에서 후방으로 활주 이동하여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폐쇄하는 동시에, 서브 도어(323)도 통기 도어(308)와 일체로 후방의 완전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폐쇄하고, 이들 중심 통기 취출구(307) 및 측면 통기 취출구(322)로의 온도 조절 공기의 유통을 차단한다.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혼합실(306) 상방의 케이스(301) 상벽에 형성된 중심 통기 취출구(307)에 대해 측면 통기 취출구(322)는 이 중심 통기 취출구(307)보다도 전방으로 벗어난 통기 도어(308)를 구성하는 활주 도어의 장착 위치에 대응한 케이스(301) 측벽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 통기 취출구(307) 및 측면 통기 취출구(322) 중 모두 충분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서 이들 각 취출구(307, 322)의 통기 저항을 작게 하여 풍량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통기 도어(308)를 구성하는 활주 도어의 전방단부에 서브 도어(323)를연장 설치하고, 상기 서브 도어(323)에 의해 중심 통기 취출구(307)의 개폐와 동기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측면 통기 취출구(322)로부터 불어내게 되는 온도 조절 공기의 배풍 제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그 후방 모서리가 서브 도어(323)의 완전 폐쇄 위치에 대해 후방으로 어긋나도록 확대 개방하고, 서브 도어(323)의 전체 폐쇄 위치가 측면 통기 취출구(322)가 약간 개구하는 위치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통기 모드, 이중 레벨 모드 이외의 운전시라도, 측면 통기 취출구(322)로부터 항상 온도 조절 공기의 일부를 측면 통기풍으로서 누설시켜 도어 측면 윈도우 패널의 흐림 방지를 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그 풍량 제어는 서브 도어(323)의 완전 폐쇄 위치의 설정에 의해 용이하게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도14와 도15 중 어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케이스(301)의 측벽에 설치되는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중심 통기 취출구(307)보다도 전방에 오프셋하여 형성하고 있으므로, 중심 통기 취출구(307)에 접속되는 중심 통기 덕트 및 측면 통기 취출구(322)에 접속되는 측면 통기 덕트(중심 통기 덕트, 측면 통기 덕트는 모두 도시 생략)의 상호 간섭이 없어 이들 덕트의 배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7)

  1. 상류측 공기 통로(10)로부터 흘러내린 공기류를, 분기된 2개의 하류측 공기 통로(11)에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각 하류측 공기 통로(11)에 소정 비율로 공기를 흐르게 하도록 배치된 소정 크기의 도어(5)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5)의 상류측과 하류측에 각각 도어 작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K)가 도어(5)에 근접하여 존재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5)는 상기 상류측 공기 통로(10)로부터 송풍된 공기류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신장되면서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형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는 중력 방향으로 상하로 활주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5)는 상기 공기 통로(10, 11)를 형성하는 케이스(C)에,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공기의 유동 방향 하류측으로 팽출하도록 원호형으로 형성된 홈 캠(19)과, 도어 본체(12)에 형성된 톱니부(17)와, 이 톱니부(17)에 맞물리는 기어(20)와, 이 기어(2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3)로 이루어지는 활주 기구(M)와 연결되고, 상기 도어 본체(12)에 설치된 안내 부재(18)가 상기 홈 캠(19)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12)는 외주 부분을 평탄하게 하면서 내방 부분을 팽출한 형상의 것이며, 밀봉 부재(15)를 상기 평탄한 외주 부분에 부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10, 11)는 2개의 케이싱 피스(C1, C2)를 대면 관계로 결합한 상기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케이스(C) 내에 형성된 것이며, 상기 도어 본체(12)의 폭 방향의 중심에 설치되는, 상기 도어 본체(12)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지지 롤러(24)를 상기 2개의 케이싱 피스(C1, C2) 합체시에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12)는 증발기(3)로부터 송풍된 공기류가 유통하는 공기 통로(10)에 상기 증발기(3)의 하류측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가열기 코어(4)를 설치하고, 상기 증발기(3)로부터 상기 공기 통로(10)에 송풍된 공기류를 전량 상기 가열기 코어(4)측 또는 상기 가열기 코어(4)를 우회하는 우회 통로(B)측으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양방으로 소정 비율로 흐르게 하도록 한 혼합 도어(5)이며, 상기 도어 본체(12)의 활주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는 상기 가열기 코어(4)의 지지벽(25)에 상기 지지 롤러(24)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7. 케이스(C) 내에 도입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와, 이 증발기(3)의 하류측에 설치된 가열기 코어(4)와, 상기 증발기(3)와 가열기 코어(4) 사이에 설치되고, 증발기(3)로부터의 냉풍을 상기 가열기 코어(4)측이나, 이 가열기 코어(4)를 우회하는 우회 통로(B)측에 선택적으로 흐르게 하거나, 또는 가열기 코어(4)측과 우회 통로(B)측의 양통로에 소정의 비율로 분기하여 흐르게 하는 혼합 도어(5)와, 상기 냉풍과 온풍이 혼합되는 혼합실(31)과, 상기 혼합실(31)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벽(30)에 개방 설치된 복수의 취출구(6a, 7a, 8c)와, 이 취출구(6a, 7a, 8c)를 개폐 제어하는 복수의 모드 도어(Dm)를 지니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도어(Dm)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내측벽(30) 또는 이 내측벽(30)의 연장선을 따라 활주 기구(M)에 의해 활주 이동하는 활주 도어로 하고, 다른 모드 도어(Dm)는 상기 활주 도어 및 내측벽(30)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상기 혼합실(31)의 범위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작동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30) 또는 이 내측벽(30)의 연장선은 단면 원호형이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 기구(M)는 상기 모드 도어(Dm)의 도어 본체(12)에 형성된 톱니부(17)에 기어(20)를 맞물리고, 이 기어(20)를 구동부(23)와 연결하고, 상기 케이스(C)에 상기 도어 본체(12)의 안내 부재(18)가 삽입되는 홈 캠(19)이 형성되고, 이 홈 캠(19)은 상기 도어 본체(12)를 상기 혼합실(31)을 구획 형성하는 내측벽(30)의 곡면을 따라 활주 이동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10. 증발기(203)를 통과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204)를 통과한 온풍이 혼합하는 혼합실(206) 상방의 케이스(201) 상벽에 통기 취출구(207)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혼합실(206)의 후방측에 상기 통기 취출구(207)의 근방에서 혼합실(206)에 연통하여 하방측에 푸트 취출구(211)를 갖는 푸트 통로(210)를 구획 형성하고, 또한 상기 통기 취출구(207)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208)를 활주 기구(M)에 의해 통기 취출구(20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푸트 통로(210)로의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격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201) 상벽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게 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케이스(201) 상벽에 통기 취출구(207)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서리 제거 취출구(221)를 설치하고, 이 서리 제거 취출구(221)를 개폐하는 서리 제거 도어(222)를 활주 기구(M)에 의해 서리 제거 취출구(221)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통풍의 방해가 되지 않는 증발기(203) 배치부 상방의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201) 상벽의 내면을 따라서 활주 가능하게 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활주 기구(M)는 활주 도어의 배면에 설치한 톱니부(217)와, 이 톱니부(217)에 맞물린 구동 기어(218)와, 활주 도어의 측면에 돌출 설치한 가이드 핀(214)과, 케이스(201)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 핀(214)을 활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 홈 캠(215)을 지니고, 또한 이 홈 캠(215)은 종단부 위치에서 가이드 핀(214)을 활주 도어가 케이스(201) 상벽 내면측을 향해 이동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부분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구동 기어(218)는 톱니부(218a)의 일부에 톱니의 높이가 높은 톱니부(218b)를 구비하고, 활주 도어의 폐쇄 위치에서 상기 활주 도어를 케이스(201) 상벽 내면측을 향해 압박 이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활주 도어는 폐쇄 위치에서 대응하는 취출구(207, 221)의 개구 모서리에 밀접하는 밀봉 부재(21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5. 증발기(303)를 통과한 냉풍과 가열기 코어(304)를 통과한 온풍을 혼합하는 혼합실(306) 상방의 케이스(301) 상벽에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설치하고, 상기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개폐하는 통기 도어(308)를 활주 기구(M)에 의해 중심 통기 취출구(307)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중심 통기 취출구(307)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벗어난 장착 위치에 걸쳐서 케이스(301) 상벽 내면을 따라 활주 가능한 활주 도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활주 도어의 장착 위치에 대응한 케이스(301)의 측벽에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활주 도어에 중심 통기 취출구(307)의 개폐와 동기하여 측면 통기 취출구(322)를 개폐하는 서브 도어(323)를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서브 도어(323)의 완전 폐쇄 위치를 측면 통기 취출구(322)가 약간 개구하는 위치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17. 공기가 유동하는 상류측 공기 통로(10)를 구비하는 케이스(C), 상기 상류측 공기 통로(10)에 설치된 증발기(3), 상기 상류측 공기 통로(10)의 하류측 단부로부터 분기된 제1 및 제2 하류측 공기 통로, 및 상기 제2 하류측 공기 통로 내에 설치된 히터 코어(4)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3) 및 상기 히터 코어(4)가 서로 근접하게 위치함으로써 상류측 공기 통로(10)와 제1 및 제2 하류측 공기 각각의 사이에서 정의된 공간을 제한하고,
    상기 공간에 위치한 도어 메커니즘이:
    상기 공간 내에 설치되고 상기 상류측 공기 통로(10)로부터 제1 및 제2 하류측 공기 통로(11)에 공기 분배율을 변화시키도록 활주가능하며,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하류측 방향으로 팽출된 활주 도어(5);
    상기 활주 도어(5)의 상류측 위치에 제공된 구동 기어(20); 및
    상기 도어(5) 상에 제공되고 상기 구동 기어(20)와 결합된 톱니 거어(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9997007051A 1997-02-06 1998-02-0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KR100323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4030 1997-02-06
JP02403097A JP3793309B2 (ja) 1997-02-06 1997-02-06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機構
JP97-53697 1997-03-07
JP9053697A JPH10250347A (ja) 1997-03-07 1997-03-07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機構
JP26404397A JP3827829B2 (ja) 1997-09-29 1997-09-29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97-264043 1997-09-29
JP97-313830 1997-11-14
JP31383097A JP3798897B2 (ja) 1997-11-14 1997-11-14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789A KR20000070789A (ko) 2000-11-25
KR100323019B1 true KR100323019B1 (ko) 2002-02-09

Family

ID=27458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051A KR100323019B1 (ko) 1997-02-06 1998-02-06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305462B1 (ko)
EP (2) EP0958951A4 (ko)
KR (1) KR100323019B1 (ko)
WO (1) WO1998034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8951A4 (en) * 1997-02-06 2002-08-14 Calsonic Kansei Corp SHUTTER MECHANISM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JP3982097B2 (ja) 1998-11-11 2007-09-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6453991B1 (en) 1999-03-29 2002-09-24 Calsonickansei Corporation Automotive air conditioner
US6609563B1 (en) 1999-04-13 2003-08-26 Calsonic Kansei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cluding a detachably installed mix door assembly
DE60024560T2 (de) * 1999-10-14 2006-06-14 Calsonic Kansei Corp Schiebetüreinheit einer Kraftfahrzeug-Klimaanlage
FR2829067B1 (fr) 2001-08-30 2003-12-12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mixage d'un flux d'air et appareil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ce dispositif
US6769480B2 (en) * 2001-09-13 2004-08-03 Trw Inc. Torque balan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n automotive temperature control system
US6540604B1 (en) * 2001-09-20 2003-04-0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pparatus for directing air flow to a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JP3858712B2 (ja) * 2002-01-31 2006-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EP1517807B2 (de) * 2002-06-21 2010-08-04 Behr GmbH & Co. KG Modulare heizungs- und/oder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US6751979B2 (en) 2002-10-16 2004-06-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ground support air conditioning unit with temperature-biased flow control
DE10322457A1 (de) * 2003-05-16 2004-12-02 Behr Gmbh & Co. Kg Luftverteilervorrichtung oder Luftmischvorrichtung
DE102004027914A1 (de) * 2003-06-26 2005-03-17 Behr Gmbh & Co. Kg Verschluss für mindestens eine Öffnung
US20050045320A1 (en) * 2003-08-25 2005-03-0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Compact vehicle temperature control system
DE502005006654D1 (de) * 2004-06-24 2009-04-02 Behr Gmbh & Co Kg Klimaanlage, insbesondere kraftfahrzeug-klimaanlage
US8113268B2 (en) * 2004-08-27 2012-02-14 Delphi Technologies, Inc. Sequential valve member driving mechanism for an HVAC system
US20060042778A1 (en) * 2004-08-27 2006-03-02 Stevenson Mark W Valve driving mechanism for an HVAC system
US7371161B2 (en) * 2004-08-27 2008-05-13 Delphi Technologies, Inc. Sliding film valve driven at edge
US7527551B2 (en) 2004-08-27 2009-05-05 Delphi Technologies, Inc. Sliding valve, especially for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7412840B2 (en) * 2005-03-08 2008-08-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craft ground support cart with component life optimization control
GB0603903D0 (en) * 2006-02-28 2006-04-05 Delphi Tech Inc Variable flow valve
DE102008040338B3 (de) * 2008-07-10 2010-04-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Township Fahrzeugklimaanlage
US20110059685A1 (en) * 2009-09-08 2011-03-10 Keihin Corporation Slide damper device
JP5492590B2 (ja) * 2010-02-17 2014-05-14 株式会社ケーヒン スライドドア装置
JP5470084B2 (ja) * 2010-02-17 2014-04-16 株式会社ケーヒン スライドドア装置
JP5665376B2 (ja) * 2010-06-09 2015-02-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703661B1 (ko) * 2010-08-27 2017-02-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WO2012053511A1 (ja) * 2010-10-19 2012-04-26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533684B2 (ja) * 2011-01-14 2014-06-25 株式会社デンソー 空気通路開閉装置
US9381788B2 (en) * 2011-02-15 2016-07-05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013124077A (ja) * 2011-12-16 2013-06-24 Keihin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5855448B2 (ja) * 2011-12-26 2016-02-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ミックスドア構造
US9636968B2 (en) * 2011-12-26 2017-05-02 Calsonic Kansei Corporation Vehicle air conditioner including sub-casing sandwiched by division casings
JP5977975B2 (ja) * 2012-03-27 2016-08-24 株式会社ケーヒン 車両用空調装置
KR101595244B1 (ko) * 2012-10-30 2016-02-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6442961B2 (ja) * 2014-10-01 2018-12-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10611209B2 (en) 2017-01-04 2020-04-0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VAC unit
FR3071594B1 (fr) * 2017-09-26 2019-11-01 Valeo Systemes Thermiques Volet pour un dispositif de chauffage, ventilation et/ou climatisation d'un vehicule automobile
KR102512384B1 (ko) * 2018-02-27 2023-03-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JP7054655B2 (ja) * 2018-06-29 2022-04-14 マーレ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ドア駆動装置
CN111002787B (zh) * 2018-10-08 2023-04-11 翰昂汽车零部件有限公司 带贯通孔的部件及具备该部件的车辆用空调装置
KR102556807B1 (ko) * 2018-10-24 2023-07-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N113646196A (zh) * 2019-02-07 2021-11-12 法雷奥热系统公司 机动车辆的加热、通风和/或空调装置
JP7186676B2 (ja) * 2019-08-01 2022-12-09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空調装置
DE102019219539A1 (de) * 2019-12-13 2021-06-17 Mahle International Gmbh Belüftungsvorrichtung
DE102019219536A1 (de) * 2019-12-13 2021-06-17 Mahle International Gmbh Belüftungsvorrichtung
CN112937251A (zh) * 2021-04-29 2021-06-11 吉林大学 一种车载空调压缩机控制方法及系统
JP2023142999A (ja) * 2022-03-25 2023-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4309A (en) * 1980-04-25 1981-11-28 Diesel Kiki Co Ltd Car air-conditioner
JPS5932325B2 (ja) * 1980-11-20 1984-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空調装置
JPS59124721A (ja) 1982-12-29 1984-07-18 Fujitsu Ltd プレ−ト支持方法
JPS59124721U (ja) * 1983-02-14 1984-08-2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ケ−シング
JPS6015215A (ja) * 1983-07-05 1985-01-25 Diesel Kiki Co Ltd 車輌用空気調和装置
US4541296A (en) * 1983-07-18 1985-09-17 Ford Motor Company Shock absorbing motor gear
FR2568196B1 (fr) * 1984-07-24 1988-09-02 Chausson Usines Sa Dispositif de liaison pour elements en forme de boitier et son application a la realisation de boitiers pour climatiseurs de vehicules.
US4568730A (en) 1984-08-13 1986-02-04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merization catalyst
DE3435832A1 (de) * 1984-09-28 1986-04-10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Heiz- und/oder klimaanlage fuer kraftfahrzeuge
JPS6187711U (ko) * 1984-11-16 1986-06-09
JPS63270215A (ja) * 1987-04-28 1988-11-08 Diesel Kiki Co Ltd 車輌用空気調和装置
US4794537A (en) * 1987-04-29 1988-12-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Scheduled comfort control system with adaptive compensation for stall and overshoot
EP0313307A1 (en) 1987-10-23 1989-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ir care compositions
DE3820525A1 (de) * 1988-06-16 1989-12-21 Opel Adam Ag Luftverteiler
JPH0215508A (ja) * 1988-07-04 1990-01-19 Fujikura Ltd 半導電層形成用組成物
JPH0272110U (ko) * 1988-11-22 1990-06-01
FR2651001B1 (fr) 1989-08-17 1993-03-12 Bp Chemicals Sa Procede de preparation d'un catalyseur de type ziegler-natta a base de vanadium et de titane
JPH0388808U (ko) * 1989-12-27 1991-09-11
JPH03273923A (ja) * 1990-03-22 1991-12-05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5009392A (en) * 1990-05-11 1991-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tary air valve
US5062473A (en) * 1990-06-18 1991-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passenger compartment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5062352A (en) * 1990-07-16 1991-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Motor vehicle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combined mode/temperature door
US5080140A (en) * 1990-12-10 1992-01-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Rotary air valve for air distribution system in vehicles
JP2946852B2 (ja) 1991-07-08 1999-09-06 オムロン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13811U (ja) * 1991-08-06 1993-02-23 カルソニツク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ヒータユニツト
JP3201534B2 (ja) * 1991-09-11 2001-08-20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式車両用空調装置
US5228475A (en) * 1992-07-02 1993-07-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flow control valve for a HVAC module
US5372065A (en) * 1993-07-02 1994-12-13 Pitney Bowes Inc. Value selection mechanism including means for weakening a drive gear to permit distortion thereof
JPH07172144A (ja) * 1993-12-21 1995-07-11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3326543B2 (ja) * 1994-05-26 2002-09-24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空調ドアの開閉制御用リンク機構
JP2970490B2 (ja) * 1994-09-22 1999-11-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空調装置
JP3586925B2 (ja) 1995-04-24 2004-11-10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空調装置
DE19611193B4 (de) * 1995-03-23 2006-08-03 Denso Corp., Kariya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FR2746714B1 (fr) * 1996-03-29 1998-05-22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t/ou climatis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US5881558A (en) * 1996-04-03 1999-03-16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s
EP0958951A4 (en) * 1997-02-06 2002-08-14 Calsonic Kansei Corp SHUTTER MECHANISM FOR AUTOMOTIVE AIR CONDITIONER
JPH10297246A (ja) * 1997-04-28 1998-11-10 Mitsubish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05462B1 (en) 2001-10-23
US6659167B2 (en) 2003-12-09
EP1614560A2 (en) 2006-01-11
EP1614560A3 (en) 2007-05-30
KR20000070789A (ko) 2000-11-25
US20010027861A1 (en) 2001-10-11
EP0958951A1 (en) 1999-11-24
WO1998034805A1 (fr) 1998-08-13
EP0958951A4 (en)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019B1 (ko)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US6453991B1 (en) Automotive air conditioner
US6270400B1 (en) Door mechanism for automobile air conditioner
JP4084911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EP1557307A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unit for automotive vehicles
JP2001270320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3824105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機構
JP4067735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取付け構造
JPH10250348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機構
JP2007168619A (ja) 送風切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自動車用空調装置
JP3827829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3793309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機構
JPH10250347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ドア機構
CN216443443U (zh) 一种车载空调出风口调节装置
KR100582123B1 (ko) 공조유니트
KR10109335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JP3895472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CN116802068A (zh) 车辆用空调装置
JP2003054242A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KR1018402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3793310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CN114013249A (zh) 一种车载空调出风口调节装置
JPH0345847Y2 (ko)
KR100859127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H11139140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701

Effective date: 201109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11221

Effective date: 20120703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1104

Effective date: 2012081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11

Effective date: 2012092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