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955B1 - 테스트보드착탈장치 - Google Patents

테스트보드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8955B1
KR100318955B1 KR1019980015169A KR19980015169A KR100318955B1 KR 100318955 B1 KR100318955 B1 KR 100318955B1 KR 1019980015169 A KR1019980015169 A KR 1019980015169A KR 19980015169 A KR19980015169 A KR 19980015169A KR 100318955 B1 KR100318955 B1 KR 100318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board
cover
test
rai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806A (ko
Inventor
요시나오 가모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 쇼오
안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 쇼오, 안도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 쇼오
Publication of KR1998008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8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89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테스트보드의 착탈동작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함과 동시에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테스트보드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테스트보드 착탈장치는, 테스트보드(2)를 보호하는 커버(3)와, 테스트보드(2)만의 삽입·인출이 가능한 고정레일(11)과, 테스트보드(2)를 탑재하여 승강하는 승강레일(16)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3)가 끼워진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하고, 커버(3)를 고정레일(11)에 남겨둔 상태로, 고정레일(11)과 승강레일을 통하여 테스트보드(2)만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테스트헤드(1)에 대한 착탈동작을 행한다.
또한, 테스트보드(2)의 착탈시에만 테스트보드(2)와 커버(3)의 착탈을 행하고, 착탈동작의 종료시점에서는 커버(3)는 테스트보드(2)에 끼워 맞춰져 있으므로 그대로 보관한다.

Description

테스트보드 착탈장치
본 발명은 테스트보드 착탈장치, 특히 특정품종의 IC소켓을 구비한 테스트보드를 보수가 용이한 상태로, 테스트헤드에 대하여 부착하거나 테스트헤드로부터 이탈가능하게 한 테스트보드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IC테스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일렉트로닉스회로등의 측정회로를 내장한 테스트헤드(100)와, 테스트헤드(100)에 접속하는테스트보드(200)를 구비한다.
테스트헤드(100)는 하우징(119)의 상면에 접속부품(118)을 구비하고, 피측정 디바이스인 IC의 자동공급장치, 예를 들면 수평반송용 오토핸들러(400)에 접속되어 있다.
테스트보드(200)는 섀시(270)와 지지판(220)을 구비하고, 섀시(270) 상에는 프린트기판(290)을 통하여 IC소켓(280)이 실장되어 있어, 이 IC소켓(280)에 측정대상인 IC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다품종의 IC를 시험할 경우에는, 그 IC에 맞는 특정품종의 IC소켓(280)을 실장한 테스트보드(200)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테스트보드(200)는 테스트헤드(10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해야 한다.
종래에 IC소켓(280)을 실장한 테스트보드(200)를 테스트헤드(100)에 장착할 경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우선, 작업자는 수평반송용 오토핸들러(400)로부터 테스트헤드(100)를 작업자의 손이 미치는 위치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IC소켓(280)을 실장한 테스트보드(200)를 그 테스트헤드(100)에 장착한다.
한편, 테스트보드(200)가 테스트헤드(100)로부터 제거되거나 이탈되어야 할 때는, 우선, 테스트헤드(100)를 작업자의 손이 미치는 위치까지 수평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IC소켓(280)을 실장한 테스트보드(200)를 테스트헤드(100)로부터 이탈시킨다.
또한, 테스트보드(200)는 테스트헤드(100)와 접속하지 않고 사용하지 않을경우에는 테스트헤드(100)의 접속부품(118)에 대응된 접속부품(210)이 노출된 상태 그대로 보관되어 있다.
종래의 테스트보드 착탈장치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① 테스트보드(200)를 테스트헤드(100)에 장착하거나, 그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이 번거롭다. 상술한 바와 같이, IC소켓(280)을 실장한 테스트보드(200)를 테스트헤드(100)에 대하여 착탈할 경우에는 테스트헤드(100) 자체를 수평 이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테스트보드(200)의 착탈동작이 번거롭고, 수고가 들며, 그 결과 작업효율이 저하된다.
② 테스트보드(200)의 보수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테스트보드(200)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접속부품(210)이 노출상태 그대로 보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테스트보드(2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속부품(210)이 손상되기 쉽다.
또한, 접속부품(210)은 테스트보드(200)의 저면에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손상을 알아채지 못한 상태로 테스트헤드(100)에 접속할 경우에는 테스트헤드(100)측의 접속부품(118)까지 손상되어 버릴 수 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나사등의 체결부품으로 테스트보드(200)의 접속부품(210)을 보호하는 커버가 제안되었지만, 체결작업이 번거로워, 이와 같은 커버는 결국 사용되지 않게 되며, 접속부품의 손상을 초래하여 보수 효율이 나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보드의 착탈동작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함과 동시에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테스트보드 착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테스트보드 착탈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테스트보드(2)와 커버(3)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테스트헤드(1)에 대한 테스트보드(2)의 탑재동작과 추출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테스트헤드(1)에 대한 테스트보드(2)의 삽입동작과 인출동작을 설명하는 도.
도 5는, 종래의 테스트보드 착탈장치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스트헤드 2 : 테스트보드
3 : 커버 4 : 수평반송용 오토핸들러
11 : 고정레일 11a : 궤도면
12 : 플레이트 13 : 블록
14 : 핀 15 : 바아
16 : 승강레일 16a : 궤도면
17 : 실린더 17a, 17b : 안내봉
17c : 피스톤 로드 18, 21 :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
19 : 하우징 19a : 전면
21 :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 22 : 지지판
23 : 가이드레일 24 : 마그네트
25 : 날개부 26 : 손잡이
27 : 섀시 28 : IC소켓
29 : 프린트기판 31 : 커버(3)의 구멍
32 : 커버(3)의 단부 100 : 테스트 헤드
118, 210 : 접속부품 119 : 하우징
200 : 테스트보드 220 : 지지판
270 : 섀시 280 : IC 소켓
290 : 프린트기판 400 : 오토핸들러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스트보드(2)에 대한 끼우거나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하고,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을 피복하는 커버(3)와, 테스트헤드(1)에 고정되고 커버(3)가 끼워진 테스트보드(2)를 탑재함과 동시에, 커버(3)를 걸어 테스트보드(2)만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고정레일(11)과, 고정레일(11)과 인접하여 직렬로 배치되고, 테스트보드(2)를 탑재하여 승강하고, 테스트보드(2)와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21, 28)끼리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승강레일(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보드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커버(3)가 끼워진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하는 것에 의해(도 3), 고정레일(11)을 연결하는 바아(15)의 핀(14)이 커버(3)의 구멍(31)에 삽입하여 커버(3)는 걸린상태가 된다.
따라서,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과 동일 평면상에 있는 승강레일(16)측에 밀어 넣으면, 커버(3)만이 고정레일(11)측에 남고, 테스트보드(2)만을 승강레일(16)측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도 4의 화살표 C), 승강레일(16)을 강하시켜서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과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을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는 테스트헤드(1)에 대하여 장착된다.
또한,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과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을 분리시킨 후, 승강레일(16)을 고정레일(11)과 동일한 평면상까지 상승시킴으로써,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도 4의 화살표 D).
따라서, 테스트보드(2)의 가이드레일(23)과 마그네트(24)의 작용에 의해 고정레일(11)측에 남아 있던 커버(3)는 테스트보드(2)에 끼워지므로, 테스트보드(2)를 커버(3)와 일체가 되어 떼어낼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는 테스트헤드(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이탈한 테스트보드(2)에는 커버(3)가 끼워져 있으므로, 그대로 보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테스트헤드(1)를 고정한 채, 테스트보드(2)만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착탈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테스트보드(2)의 착탈동작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되며, 또한 테스트보드(2)의 착탈시에만,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을 보호하는 커버(3)를 테스트헤드(1)에 남겨 둔채, 특별한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테스트보드(2)와 커버(3)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므로, 테스트보드(2)를 사용하지 않을 때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테스트헤드, (2)는 테스트보드, (3)은 커버이다.
테스트헤드(1)는 하우징(19)에 핀일렉트로닉스회로등의 측정회로(도시 생략)를 내장하고, IC 테스터본체(도시생략)와 접속되고, 이동 가능한 지지다리부(도시생략)상에 실려 있다.
하우징(19)의 전면(19a)의 상부에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레일(11)이 외측을향하여 고정되어 있다.
고정레일(11)은 후술하는 테스트보드(2)를 커버(3)가 끼워진 상태로 탑재함(도 1 참조)과 동시에, 커버(3)가 떼어진 상태로 궤도면(11a)을 따라서 안내한다(도 4 참조).
이 2개의 고정레일(11)은 바아(15)에 의해 연결되며, 바아(15)의 상면에는 핀(14)이 설치되며, 후술하는 커버(3)가 끼워진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하였을 때에 핀(14)이 커버(3)의 구멍(31)에 삽입한다.
또한, 2개의 고정레일(11)에는 후술하는 승강레일(16)과 반대측에 블록(13)이 승강레일(16)측에 플레이트(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블록(13)은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할 경우에(도 3의 화살표 A), 위치결정의 기능을 다하고, 테스트보드(2)를 승강레일(16)로부터 인출할 경우에(도 4의 화살표 D) 스토퍼의 기능을 한다.
플레이트(12)는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할 경우에(도 3의 화살표 A), 상기 블록(13)과 함께 위치결정의 기능을 한다.
또한, 하우징(19)의 상면에서, 그 내측에는 상기 고정레일(11)에 인접하여 레일(16)이 직렬로 설치되며, 레일(16)은 화살표(E, F)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도 4 참조).
승강레일(16)은 고정레일(11)로부터 이동되어지는 테스트보드(2)를 탑재하고, 상기와 같이 승강함과 동시에 테스트보드(2)를 그 궤도면(16a)을 따라서 안내한다.
승강레일(16)의 저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구동수단인 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7c)가 고정되고, 피스톤로드(17c)는 하우징(19)의 상면을 관통한다.
실린더(17)는 예를 들어 에어실린더로, 하우징(19)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레일(16)의 저면에는 안내봉(17a, 17b)이 고정되어 있고, 안내봉(17a, 17b)은 피스톤로드(17c)를 끼워서 배치되고, 하우징(19)의 상면을 관통한다.
이 구성에 의해, 승강레일(16)이 최상위치에 도달하였을 때에는 그 궤도면(16a)과, 고정레일(11)의 궤도면(11a)과는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하게 되어 있다.
이 2개의 승강레일(16) 사이에는 하우징(19)의 상면에 접속부품(18)이 실장되어 있다.
이 접속부품(18)은 후술하는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과 대응되어 있다.
예를 들면,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이 암 코넥터인 경우는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은 숫 코넥터이며,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이 포고핀(pogo pin)이라 일컬어지는 접촉자인 경우는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은 프린트기판이다.
이 구성에 의해, 실린더(17)를 작동시키면 승강레일(16)은 상기 고정레일(11)을 통하여 삽입된 테스트보드(2)를 탑재한 상태로 승강하고, 테스트보드(2)와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21, 18)끼리를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이가능하다.
한편, 테스트보드(2)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피측정디바이스인 IC를 장착하는 보드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시(27)와 지지판(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섀시(27)는 직방체형으로 형성되고, 섀시(27)의 상면에는 프린트기판(29)이 부착되고, 프린트기판(29)에는 IC소켓(28)이 실장되어 있다.
지지판(22)은 섀시(23)를 지지하고, 전체적으로 구형으로 형성되며, 지지판(22)의 하면에는 접속부품(21)이 실장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2)에는 그 양측면에 날개부(25)가 부착되어 있고, 날개부(25)의 상면에는 손잡이(2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2)의 저면에서 상기 접속부품(21)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3)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접속부품(21)의 전방에는 마그네트(24)가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후술하는 커버(3)를 테스트보드(2)에 대하여 끼우거나 떼어낼 수 있다.
즉, 커버(3)를 가이드레일(23)을 따라서 삽입함과 동시에 마그네트(24)에 흡착하는 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에 끼우고, 접속부품(21)을 피복하여 그것을 보호한다. 이 상태에서 테스트보드(2)를 보관해 두는데, 테스트헤드(1)에 대하여 착탈할 경우에는, 커버(3)를 떼어내고, 테스트보드(2)만을 고정레일(11)을 따라서 이동시킨다(도 4 참조).
또한, 커버(3)는 측면의 4면 중 한면이 없으며, 상대하는 측면의 상부에 단부(32)가 설치되고, 테스트보드(2)의 가이드레일(23)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3)의 나머지의 일측면인 전면(3a)은 테스트보드(2)의 마그네트(24)에 흡착되고, 맞닿는 면이다.
또한, 커버(3)에는 상술한 바아(15)의 핀(14)에 대응된 구멍(31)이 형성되고, 커버(3)가 끼워진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하였을 때, 이 구멍(31)에 핀(14)이 삽입된다(도 3 참조).
이에 따라, 커버(3)는 고정레일(11)에 걸리고, 커버(3)로부터 테스트보드(2)를 떼어내고(도 4), 테스트보드(2)만을 고정레일(11)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테스트헤드(1)에 대한 삽입 또는 인출을 행할 수 있다(도 4의 화살표 C 및 D).
이하, 상기 구성을 구비한 이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A) 테스트보드(2)의 보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스트보드(16)의 지지판(22)의 하면에 장치된 가이드레일(23)과, 지지판(22)의 하면 사이에 커버(3)의 단부(32)를 삽입하여 행하면, 커버(3)의 전면(3a)이 지지판(22)의 하면에 부착된 마그네트(24)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이것에 의해, 커버(3)는 테스트보드(2)에 끼워지고, 접속부품(21)이 커버(3)에 피복되는 것에 의해 보호되고, 또한 커버(3)와 테스트보드(2)가 일체로 되어 보관된다.
(B) 테스트보드(2)의 장착:
① 테스트보드(2)의 탑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가 끼워져 있는 테스트보드(2)를 그 손잡이(26)를 손으로 잡고서 보관장소에서 테스트헤드(1)까지 운반하고, 화살표 A 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스트헤드(1)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레일(11)상에 탑재시킨다.
이때, 테스트보드(2)의 날개부(25)가 테스트헤드(1)의 고정레일(11)의 상면에 설치된 플레이트(12)와 블록(13) 사이에 들어가도록 위치결정된다.
또한, 이 경우 테스트보드(2)에 끼워져 있는 커버(3)는 고정레일(11)을 연결하고 있는 바아(15) 상에 탑재되고, 커버(3)의 구멍(31)에 바아(15)의 핀(14)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커버(3)가 걸린다.
② 테스트보드(2)의 삽입
다음으로, 테스트보드(2)의 날개부(25)를 도 4의 화살표 C 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레일(11)의 궤도면(11a)상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측에서 승강레일(16)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2개의 손잡이(26) 사이의 길이는 2개의 플레이트(12) 사이의 길이보다도 작으며, 또한 날개부(25)의 두께는 플레이트(12)와 궤도면(11a) 사이의 거리보다도 작으므로, 테스트보드(2)의 날개부(25)는 플레이트(12)의 밑을 통과하여 고정레일(11)측으로부터 승강레일(16)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3)의 구멍(31)에 바아(15)의 핀(14)이 삽입하는 것에 의해 커버(3)는 고정레일(11)의 바아(15)에 걸려 있다.
따라서, 테스트보드(2)를 승강레일(16)측으로 밀어 넣는 것에 의해 그 밀어넣는 힘이 마그네트(24)의 자력을 이겨내어, 커버(3)의 전면(3a)으로부터 마그네트(24)가 떼어져, 테스트보드(2)를 커버(3)로부터 떼어내고, 테스트보드(2)만을 승강레일(16)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레일(16)측으로 이동시킨 테스트보드(2)를 더 밀어 넣어, 승강레일(16)의 접촉면(16b)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를 테스트헤드(1)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실린더(17)를 작동시키고, 테스트보드(2)가 탑재된 상태의 승강레일(16)을 화살표 E 로 나타낸 방향으로 강하시킴으로써 최하 위치까지 도달시키고,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과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을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는 테스트헤드(1)에 장착된다.
(C) 테스트보드의 이탈:
① 테스트보드의 인출
실린더(17)를 작동시키고, 테스트보드(2)가 탑재된 상태의 승강레일(16)을 도 4의 화살표(F)로 나타낸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과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을 분리시킴과 동시에, 승강레일(16)을 최상 위치까지 도달시키고, 그 궤도면(16a)과 고정레일(11)의 궤도면(11a)을 동일 평면상에 위치시킨다.
승강레일(16)이 최상 위치까지 도달하였을 때에, 그것에 탑재되어 있는 테스트보드(2)를 도 4의 화살표 D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레일(16)측으로부터 고정레일(11)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의 날개부(25)를 고정레일(11)의 블록(13)에 접촉시킨다.
이때,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측으로 이동시켜 가면, 테스트보드(2)의 지지판(22)의 가이드레일(23)과 지지판(22)의 저면 사이에 고정레일(11) 상에 남아 있는 커버(3)의 단부(32)가 삽입되고, 테스트보드(2)의 날개부(25)가 블록(13)에 맞닿는 것과 동시에 테스트보드(2)의 지지판(22)에 부착된 마그네트(24)가 커버(3)의 전면(3a)과 흡착된다.
이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와 커버(3)는 끼워 맞춰진다.
②테스트보드의 추출
테스트보드(2)와 커버(3)를 끼워 맞춘 경우(도 3), 테스트보드(2)의 날개부(25)는 고정레일(11)의 블록(13)과 플레이트(12) 사이에 위치한다(도 3).
따라서, 커버(3)가 끼워져 있는 테스트보드(2)의 손잡이(26)를 손으로 잡고, 화살표 B 로 나타낸 바와 같이 테스트보드(2)를 위로 들어 올리면 커버(3)와 일체인 상태로 테스트헤드(1)로부터 꺼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테스트보드(2)는 테스트헤드(1)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커버(3)가 끼워진 상태 그대로 보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테스트보드 착탈장치를 테스트보드를 보호하는 커버와, 테스트보드만의 삽입·인출이 가능한 고정레일과 테스트보드를 탑재하여 승강하는 승강레일로 구성함으로써, 커버를 고정레일에 남견 둔 상태로 고정레일과 승강레일을 통하여 테스트보드만을 이동시키고, 테스트헤드에 대한 착탈동작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테스트보드의 착탈시에만 나사등의 특별한 수단을 이용한체결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아, 테스트보드와 커버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테스트보드의 착탈동작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행함과 동시에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테스트보드(2)에 대하여 끼워맞추거나 또는 테스트보드(2)로부터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하고,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을 덮는 커버(3)와;
    테스트헤드(1)에 고정되고 커버(3)가 끼워맞춤된 테스트보드(2)를 탑재함과 동시에, 커버(3)를 걸어멈춤하여 테스트보드(2)만의 삽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고정레일(11)쌍과;
    고정레일(11)과 인접하여 직렬로 배치되고, 테스트보드(2)를 탑재하여 승강하고, 테스트보드(2)의 접속부품(21)과 테스트헤드(1)의 접속부품(18)끼리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승강레일(16)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보드 착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테스트보드(2)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3)이, 앞측에는 마그네트(24)가 각각 설치되고, 커버(3)의 단부(32)를 가이드레일(23)을 따라서 삽입하는 것에 의해, 커버(3)의 전면(3a)이 마그네트(24)에 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보드 착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레일(11)은 바아(15)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또한 바아(15)에는 핀(14)이 설치되고, 커버(3)가 끼워진 테스트보드(2)를 고정레일(11)에 탑재하였을 때에 핀(14)이 커버(3)의 구멍(3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보드 착탈장치.
KR1019980015169A 1997-04-30 1998-04-28 테스트보드착탈장치 KR100318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789997A JP3324445B2 (ja) 1997-04-30 1997-04-30 テストボード着脱装置
JP127899 1997-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806A KR19980081806A (ko) 1998-11-25
KR100318955B1 true KR100318955B1 (ko) 2002-03-20

Family

ID=14971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5169A KR100318955B1 (ko) 1997-04-30 1998-04-28 테스트보드착탈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324445B2 (ko)
KR (1) KR100318955B1 (ko)
GB (1) GB2325357B (ko)
IE (1) IE980260A1 (ko)
SG (1) SG650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52B1 (ko) * 2006-11-22 2007-11-02 프롬써어티 주식회사 웨이퍼 테스터용 테스트헤드와 퍼포먼스보드유닛의도킹장치
KR101883749B1 (ko) 2017-08-16 2018-07-31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표면조도 측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032B1 (ko) * 1999-07-14 2006-10-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프로브 카드 분리 가이드를 구비한 dc 검사장비
JP4835939B2 (ja) * 2006-05-25 2011-12-14 横河電機株式会社 Icテスタ及びテストボードの着脱方法
JP5368580B2 (ja) * 2009-11-25 2013-12-18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基板装着装置、テストヘッド、及び電子部品試験装置
CN102451820B (zh) * 2010-10-15 2014-04-16 王立民 电子产品的挑检方法
KR101348423B1 (ko) * 2013-10-08 2014-01-10 주식회사 아이티엔티 자동 테스트 장비의 테스트 보드용 이젝터 장치
TWI593469B (zh) * 2014-05-22 2017-08-01 旺矽科技股份有限公司 晶粒標示方法及晶粒標示設備
JP7109630B2 (ja) * 2019-11-07 2022-07-2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ウエハ検査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52B1 (ko) * 2006-11-22 2007-11-02 프롬써어티 주식회사 웨이퍼 테스터용 테스트헤드와 퍼포먼스보드유닛의도킹장치
KR101883749B1 (ko) 2017-08-16 2018-07-31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표면조도 측정지그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65062A1 (en) 1999-05-25
JP3324445B2 (ja) 2002-09-17
KR19980081806A (ko) 1998-11-25
JPH10300816A (ja) 1998-11-13
GB9807480D0 (en) 1998-06-10
GB2325357A (en) 1998-11-18
GB2325357B (en) 2001-07-18
IE980260A1 (en) 1998-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840B1 (ko) 반도체 시험장치
KR100318955B1 (ko) 테스트보드착탈장치
CN213181900U (zh) 适应多种pcb快速切换的测试装置
KR101250844B1 (ko) 커넥터 착탈장치 및 테스트헤드
KR101364485B1 (ko) 기판장착장치, 테스트 헤드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1218440B1 (ko) 프로브 장치
KR20090119581A (ko) 냉연강판의 샘플 라벨부착 및 취출용 로봇핸드
KR20070035440A (ko) 시험 장치 및 테스트 헤드
CN102066962B (zh) 测试头移动装置及电子元件测试装置
CN112595958B (zh) 一种pcba测试设备
CN211856390U (zh) 一种柔性线路板检测装置
CN115041422A (zh) 一种电子元器件半自动检测分选设备
KR100759080B1 (ko) 전자모듈 검사용 소켓
KR101999651B1 (ko) 검사 장치
CN111537769A (zh) 一种用于北斗导航芯片的电器元件插接工装
CN217475771U (zh) 一种对准导通机构
CN215725782U (zh) 一种电机检测工装
CN112098753A (zh) 一种电子组件老化测试系统、方法
CN218524755U (zh) 一种芯片加工用多功能夹具
CN220983155U (zh) 一种便于安装的电路板自动检测设备
CN211826348U (zh) 一种高效定制化ict自动测试设备
CN217360162U (zh) 一种用于标记线圈板测试不良品的打标机
JP3012541U (ja) 実装プリント基板の検査装置
CN219737556U (zh) 一种射频单板测试夹具
CN214953915U (zh) 一种电路板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