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832B1 - 자동차용퓨즈박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퓨즈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832B1
KR100307832B1 KR1019980706880A KR19980706880A KR100307832B1 KR 100307832 B1 KR100307832 B1 KR 100307832B1 KR 1019980706880 A KR1019980706880 A KR 1019980706880A KR 19980706880 A KR19980706880 A KR 19980706880A KR 100307832 B1 KR100307832 B1 KR 100307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trip
fuse box
housing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456A (ko
Inventor
위르겐 기르케
칼-하인츠 뵈흘파르트
Original Assignee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1999008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4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low voltage fuses, i.e. below 1000 V, or of fuses where the applicable voltage is not specifi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4Means for preventing insertion of incorrect f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H01H2085/0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a binding post of a storag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75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 H01H2085/208Junction box, having holders integrated with several other holders in a particular wiring layout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5Electric connections to contacts on the base

Abstract

자동차용 퓨즈 박스는 콘수머 또는 와이어 섹션을 보호하는 하나 이상의 전기 퓨즈(19, 35)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3)을 구비한다. 퓨즈 박스(1)는 자동차의 배터리 상에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퓨즈 박스{FUSE BOX FOR MOTOR VEHICLES}
공지의 자동차용 퓨즈 박스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전방 구역, 예컨대 엔진실 또는 탑승자의 발 공간에 내장되어 개개의 전기 소비 장치를 위한 퓨즈 또는 안전 박스로부터 분기되는 케이블 스트랜드를 위한 퓨즈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퓨즈 박스에 있어서, 퓨즈 박스 또는 그 속에 수납된 퓨즈 각각의 일단부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경유하여 차량 배터리의 전극,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 플러스 전극에 접속된다. 퓨즈 각각의 타단부는 인출되는 케이블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에 접속된다. 전기 소비 장치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퓨즈의 경우, 인출되는 케이블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에 접속된 퓨즈의 단부에는 해당 전기 소비 장치만이 접속된다. 해당 퓨즈가 전체의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할 경우에는 대다수의 전기 소비 장치가 그 케이블 스트랜드에 접속되는데, 개개의 전기 소비 장치는 각각 케이블 스트랜드로부터 분기된 후에 다시 한 번 별개의 퓨즈에 의해 전기적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자체의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고 필요로 하는 높은 세기의 전류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소위 스트립 퓨즈를 특히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대부분이 개개의 전기 소비 장치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꽂아 넣는 방식의 통상의 평면 퓨즈와는 대조적으로, 그러한 스트립 퓨즈의 교환은 통상적으로 전문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전체의 케이블 스트랜드를 위한 스트립 퓨즈가 파괴되었을 때에는 과도한 세기의 전류가 유발되어 해당 퓨즈의 용융 구역이 용융되었다는 중대한 결함이 차량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된 것으로 추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반면에, 개개의 전기 소비 장치를 위한 퓨즈의 교환은 통상적으로 미숙련자, 예컨대 차량 운전자에 의해서도 가능한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경우에는 허용될 수 없는 높은 세기의 전류가 작은 전기적 결함, 예컨대 전구의 탈락에 따른 그 필라멘트의 단락에 의해서도 유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지의 퓨즈 박스의 단점은 차량이 충돌하여 퓨즈 박스와 차량 배터리 사이의 케이블 스트랜드가 기계적으로 파괴되었을 때에 여전히 배터리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파괴된 케이블 스트랜드의 단부와 배터리의 다른 전극의 전위가 걸려 있는 차체 사이에 단락이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경우, 불꽃이 발생되어 차량의 화재 및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용 퓨즈 박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의 부분 단면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퓨즈 박스의 부분 단면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안전 박스와 함께 사용되는 스트립 퓨즈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Ⅰ-Ⅰ 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차량 배터리 상에 조립된 상태에 있는 도 2에 따른 퓨즈 박스의 일부 구역의 부분 단면 확대도.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 단락 및 그에 의해 발생되는 위험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제조되어 차량에 조립될 수 있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퓨즈 박스를 자동차의 배터리 상에 직접적으로, 즉 퓨즈 박스에 접속되는 배터리 전극의 바로 근처에 마련함에 의해,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도 위험한 케이블 스트랜드의 파괴 및 그에 의한 불꽃 형성이 일어날 수 없도록 보장된다.
퓨즈, 특히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퓨즈는 매우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스트립 퓨즈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스트립 퓨즈의 각각의 단부는 차량 배터리의 전극에 직접 접속될 수 있는 공통의 도전 레일에 접속된다.
스트립 퓨즈의 단부를 접촉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안과는 대조적으로, 배터리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소자와 퓨즈 박스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브 및 나사와 너트를 사용함에 따라 접촉 저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주어진다. 그에 의해, 추가로 퓨즈 박스가 기계적으로 매우 간단한 구조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장점도 주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스트립 퓨즈는 각각의 나사 볼트와 너트에 의해 퓨즈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2 개의 구멍을 구비한다.
공통의 도전 레일에 접촉하는 스트립 퓨즈의 단부는 공통의 도전 레일에 있는 구멍을 통해 돌출되는 나사 볼트 상에 끼워 넣어져서 너트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퓨즈와 너트 사이에는 너트의 체결 토크를 미리 주어진 값으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스프링 원판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스트립 퓨즈가 아연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특히 필요한데, 그 이유는특히 도전 레일과 스트립 퓨즈 사이의 접속부에 온도 사이클이 작용할 때에 아연 재료의 침하 거동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체결 토크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스트립 퓨즈의 회전 방지를 위한 측방 정지면이 마련된다. 그에 의해, 너트를 돌려서 조일 때에 스트립 퓨즈의 회전 또는 비틀림이 방지되는 장점이 주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스트립 퓨즈의 용융 구역이 하우징에 마련된 차단 구역에 의해 차단되도록 형성된다. 그에 의해, 퓨즈가 용융되었을 때에 용융된 재료가 하우징의 내부의 원하지 않는 장소에 도달되지 못하는 장점이 주어진다.
동시에, 그러한 차단 구역은 사용하려는 스트립 퓨즈를 기계적으로 코드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낮은 정격 전류의 퓨즈를 위해 마련된 장소에 높은 정격 전류의 퓨즈가 사용되는 것이 방지된다. 왜냐하면, 높은 정격 전류의 퓨즈는 동일한 두께에서도 낮은 정격 전류의 퓨즈보다 더 넓은 용융 구역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해당 스트립 퓨즈에 접속하려는 케이블 슈우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하우징의 구역은 그 구역에 의해 기계적인 코드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관련하여,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전기 소비 장치로 인도되는 케이블의 단부 또는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단부에 있는 개개의 케이블 슈우는 물론 상이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슈우를 그를 위해 마련된 것이 아닌 퓨즈 장소에 실수로잘못 사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한 코드화 조처에 추가하여, 하우징은 해당 케이블의 인출을 위한 것으로서 해당 케이블의 직경과 일치되는 측방 개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높은 전류를 인도하기 위한 케이블은 낮은 전류를 인도하기 위한 케이블보다 더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높은 전류를 위한 케이블을 낮은 전류를 위한 퓨즈 장소에 사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반대로, 낮은 전류를 위한 가는 케이블을 높은 전류를 위한 퓨즈 장소에 사용하는 것도 바로 눈에 띄게 되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경우에 케이블은 하우징에 의해 밀봉적으로 폐쇄되지 못하거나 견고하게 유지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스트립 퓨즈의 회전 방지를 위한 하우징의 정지면, 퓨즈의 용융 구역의 차단을 위해 하우징에 마련된 차단 구역, 퓨즈 코드화 구역 또는 케이블 슈우 코드화 구역은 하우징 속에 끼워질 수 있는 중간 바닥부 상에 형성된다. 그에 의해, 퓨즈 박스를 상이한 퓨즈 크기 또는 상이한 퓨즈 개수에 맞춰 융통적으로 적합화시키는 장점이 주어진다. 또한, 그 경우에 나사 볼트의 나사부를 중간 바닥부에 있는 구멍을 통해 돌출시켜 나사 볼트의 헤드부를 하우징 바닥부와 중간 바닥부의 하측면 사이에 유지시킴에 의해, 나사 볼트가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퓨즈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전극에 접속되지 않는 스트립 퓨즈의 단부를 유지시키기 위한 나사 볼트는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압입되는 스프링 슬리브를 통해 돌출된다. 스프링 슬리브는 중간 바닥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그 중간 바닥부에 마련된 구멍에 압입될 수 있다. 그 경우, 스프링 슬리브는 나사 볼트의 나사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압입되는 슬리브 구역 및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스트립 퓨즈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칼라를 구비한다.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칼라는 그 탄성 특성에 의해 해당 케이블 슈우를 나사 볼트 또는 해당 퓨즈 단부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의 체결 토크를 초기와 그대로 유지시킨다.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에 유지되는 나사 볼트 및 스프링 슬리브를 마련함에 의해, 제조업자는 미리 스트립 퓨즈가 장착되어 있는 스트립 퓨즈를 공급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배터리 전극에 접속되지 않은 퓨즈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 볼트 상에는 볼트, 퓨즈 또는 스프링 슬리브를 유지시키기 위한 너트가 나사 결합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퓨즈 박스를 차량에 조립할 경우에는 퓨즈 박스를 배터리 상에 고정시키고 케이블 슈우를 스트립 퓨즈의 해당 단부에 접속시키기만 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은 물 및 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잔여 하우징부에 결합될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한다. 그 경우, 그러한 덮개는 스냅식 기구 또는 나사에 의해 잔여 하우징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의해, 덮개를 개방했을 때에는 전체의 퓨즈에 손쉽게 출입할 수 있는 한편, 덮개를 폐쇄했을 때에는 퓨즈를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주어지기 때문에, 스트립 퓨즈를 위한 개개의 보호 캡 또는 밀봉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청구 범위의 종속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퓨즈 박스(1)는 전체적으로 바닥부(5)와 덮개부(7)로 이루어진 하우징(3)을 구비하는데, 그 하우징(3)의 덮개부(7)는 하나 이상의 퓨즈 수납 구역(9)(도 2 참조)을 차폐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부(7)는 조인트(11)를 경유하여 바닥부(5)에 선회가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빗장식으로 맞물려 고정되는 체결 장치(1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퓨즈 수납 구역(9)에서는 안정성의 이유로 L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도전 레일(15)이 돌출되는데, 이 도전 레일(15)의 일단부는 자동차의 배터리의 해당 전극(17)에 직접 접속된다(도 5 참조).
도 1, 도 2 및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구역 및 도 5에 확대 도시된 구역은 동시에 배터리의 해당 전극, 바람직하게는 플러스 전극을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그러한 구역도 역시 덮개에 의해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덮개부를 개방하거나 퓨즈 박스(1)의 전체를 제거함이 없이 예컨대 시동기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해당 전극으로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덮개부(7)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는 도 2에 따른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총 5 개의 스트립 퓨즈(19)가 그 각각의 일단부에 의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도전 레일(15)에 접속되어 있다. 그와 관련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볼트(21)를 마련하여 각각의 스트립 퓨즈(19)를 유지시키는데, 이 나사 볼트(21)는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헤드 인입 볼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나사 볼트(21)는 그 나사부에 의해 도전 레일(15)에 있는 구멍(23)을 통해 돌출된다. 그 경우, 도전 레일(15)은 하우징(3)의 바닥부(5)에 결합되고 도전 레일(15)에 맞물리는 쇼울더(27)를 구비한 부분(25) 및 바닥부(5)에 끼워질 수 있는 중간 바닥부(29)에 의해 하우징(3)에 고정되는데, 그 중간 바닥부(29)도 역시 구역(29a)에 의해 도전 레일(15)에 맞물린다.
나사 볼트(21)는 그 헤드가 바닥부(5)와 고정된 도전 레일(15) 사이의 수납 구역(31) 속에 수납되는 헤드 인입 나사로서 형성되기 때문에, 그러한 방식으로 나사 볼트(21)의 분실됨이 없는 고정이 이루어진다.
도 3의 확대 평면도에 개별 부품으로서 도시된 해당 스트립 퓨즈(19)는 나사볼트(21) 상에 끼워 넣어지기 위한 구멍(33)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 퓨즈(19)는 나사 볼트(21) 상에 끼워 넣어진 후에 너트(35)에 의해 도전 레일(15)에 접속되는데, 이 경우에 너트(35)의 하측면과 스트립 퓨즈(19)의 상측면 사이에는 스프링 원판(37)이 배치된다. 스프링 원판(37)은 그 탄성 특성에 의해 체결 토크 또는 스트립 퓨즈(19)의 도전 레일(15)에 대한 가압력이 미리 주어진 값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해준다.
스트립 퓨즈(19)의 각각의 타단부도 역시 추가의 나사 볼트(39)에 의해 하우징(3)에 유지되는데, 이 경우의 나사 볼트(39)도 마찬가지로 그 헤드가 하우징(3)의 바닥부(5)의 수납 구역(41) 속에 수납되는 헤드 인입 나사로서 형성된다. 나사 볼트(39)의 나사부는 중간 바닥부(29)에 있는 구멍(43)을 통해 돌출되고, 그에 의해 볼트(39)도 역시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3)에 고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중간 바닥부(29)는 예컨대 스냅식으로 바닥부(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중간 바닥부(29)는 물론 예컨대 접착되는 것과 같이 고정적으로 바닥부(5)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에 의해, 덮개를 폐쇄했을 때에 하우징의 밀봉성이 더욱 용이하게 보장될 수 있다.
스프링 슬리브(45)는 나사 볼트(39)의 나사부에 대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그 슬리브부에 의해 중간 바닥부(29)에 있는 구멍(43) 속에 압입된다. 그러한 압입에 의해, 스프링 슬리브(45)도 역시 분실됨이 없이 하우징(3) 또는 중간 바닥부(29)에 유지된다.
스프링 슬리브(45)의 상단에 있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는 스트립퓨즈(19)의 해당 단부와의 접촉부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그 단부에 마련된 구멍(33)도 역시 스트립 퓨즈(19)를 나사 볼트(39) 상에 끼워 넣기 위한 역할을 한다.
나사 볼트(39) 상에는 도시를 생략한 방식으로 케이블 슈우가 끼워 넣어질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케이블 슈우에는 구멍 또는 절결부가 마련된다. 케이블 슈우는 도면에 쇄선으로 도시된 너트(47)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되고 전기적으로 스트립 퓨즈(19)에 접속된다. 스프링 슬리브(45)의 칼라는 그 탄성 특성에 의해 체결 토크 또는 케이블 슈우의 스트립 퓨즈(19)에 대한 가압력을 미리 주어진 대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간 바닥부(29) 상에는 스트립 퓨즈(19)의 측면을 위한 정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측벽(61)이 스트립 퓨즈(19)의 측방 구역에 마련된다. 그에 의해, 너트(35 또는 47)를 돌려서 조일 때에 스트립 퓨즈의 회전 또는 비틀림이 방지된다. 그와 동시에, 측벽(61)은 스트립 퓨즈(19)의 용융 구역(19a)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그에 의해, 스트립 퓨즈(19)가 용융되었을 때에 잔여 퓨즈 또는 접속 소자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케이블 슈우를 수납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블 슈우 코드화 구역(49)이 각각의 케이블 슈우의 고정을 위한 볼트(39)에 연접되어 마련된다. 코드화를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코드화 구역(49)은 그 각각에 상보되는 외형 윤곽을 구비한 케이블 슈우만이 해당 코드화 구역(49)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이한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케이블 슈우를 그에 속하는 스트립 퓨즈가 아닌 다른 스트립 퓨즈에 잘못 배정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와 관련하여, 중간 바닥부(29) 상에는 코드화 구역(49)을 측방에서 한정하여 그 각각의 윤곽을 결정하는 벽(51)이 마련된다.
각각의 케이블 슈우와 접촉되는 케이블은 하우징(3)의 측벽에 있는 개구부(53)를 통해 외부로 안내된다. 그 경우, 각각의 개구부(53)의 직경은 각각의 케이블의 직경과 일치된다. 그에 의해, 다시 추가적인 코드화가 실현된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구부(53)는 한편으로는 중간 바닥부(29)의 측벽에 있는 수직으로 연장된 상향 개방 슬릿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덮개부(7)에 있는 하향 개방 슬릿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으로, 퓨즈 박스(1)는 각종의 중간 바닥부(29) 및 덮개부(7)에 의해 필요로 하는 스트립 퓨즈의 개수 및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케이블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두께에 맞춰 적합화될 수 있다. 그러한 적합화를 위해, 단지 중간 바닥부용 사출 공구 및 필요에 따라서는 덮개부용 사출 공구만을 그에 상응하게 변경시키면 된다.
지금까지 전술된 스트립 퓨즈(19)는 통상적으로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정격 전류가 100 A 이상인 스트립 퓨즈가 반응을 한 경우라면 자동차의 전기 시스템에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스트립 퓨즈의 교환은 통상적으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그러나, 퓨즈 박스(1)는 예컨대 잠김 방지 시스템(ABS), 에어 백, 전조등 등과 같은 전기 소비 장치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종래의 퓨즈를 수납하는 역할도 한다. 그러한 퓨즈는 도 2에 도면 부호 55로 지시되어 있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꽂아 넣는 방식의 평면 퓨즈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퓨즈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접속 접점부(도 4를 참조)에 의해 접촉되는데, 하우징(3) 또는 바닥부(5)에는 평면 퓨즈의 접촉을 위한 다수의 플러그가 마련된다.
이미 전술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바닥부(5)에 결합되는 덮개부(7)는 그것을 폐쇄시켰을 때에 물 및 습기가 누설되지 않는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Claims (15)

  1. a) 전기 소비 장치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다수의 전기 퓨즈(19, 55)를 수납하는 하우징(3)을 구비하며,
    b) 상기 퓨즈들(19, 55) 중 하나 이상의 부분은 스트립 퓨즈(19)로서 형성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1)에 있어서,
    c) 상기 스트립 퓨즈(19) 각각의 용융 구역(19a)은 상기 하우징(3)에 마련된 차단 구역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1)는 자동차의 배터리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퓨즈(19)는 배터리의 전극(17)에 접속되어 상기 스트립 퓨즈(19)를 기계적으로 유지시키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킬 수 있는 공통의 도전 레일(15) 상에 조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퓨즈(19)는 2 개의 나사 볼트(21, 39) 및 너트(35, 47)에 의해 조립시키기 위한 2 개의 구멍(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스트립 퓨즈(19)는 상기 하우징(3)의 측방 정지면(61)에 의해 회전 및 비틀림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구역은 용융 구역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하려는 상기 스트립 퓨즈(19)의 기계적 코드화를 위한 퓨즈 코드화 구역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전기 소비 장치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에 접속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상기 스트립 퓨즈(19)의 단부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3)의 구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측벽(51)에 의해 한정되어 케이블 슈우를 기계적으로 코드화시키는 구역(49)이며, 상기 케이블 슈우 코드화 구역(49)은 스트립 퓨즈(19)에 접속하려는 케이블 슈우의 형상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의 정지면(61)과, 상기 하우징(3)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상기 차단 구역과, 하나 이상의 퓨즈 코드화 구역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케이블 슈우 코드화 구역(49)은 상기 하우징(3) 속에 배치된 중간 바닥부(29)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려는 전기 소비 장치 또는 케이블 스트랜드에 접속될 수 있는 상기 스트립 퓨즈(19)의 단부는 분실됨이 없이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는 나사 볼트(39)와 그 나사 볼트(39) 상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47)에 의해 나사 볼트(39) 상에 끼워 넣어질 수 있는 해당 케이블 슈우에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볼트(39)는 헤드 인입 나사로서 형성되고, 상기 헤드 인입 나사의 나사부는 중간 바닥부(29)에 있는 구멍(43)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헤드 인입 나사의 헤드부는 상기 중간 바닥부(29)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3)에서는 상기 너트(47)와 상기 스트립 퓨즈(19) 사이에 스프링 슬리브(45)가 배치되어 상기 너트의 체결 토크를 미리 주어진 대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45)는 나사부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리브 구역에 의해 분실됨이 없이 상기 하우징(3)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45)는 중간 바닥부(29)에 있는 구멍(43) 내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슬리브(45)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칼라를 구비하여 상기 스트립 퓨즈(19)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박스(1)는 꽂아 넣는 방식으로 유지되는 퓨즈(55)를 구비하여 전기 소비 장치의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고, 상기 스트립 퓨즈(19)를 구비하여 케이블 스트랜드의 전기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퓨즈 박스.
KR1019980706880A 1996-04-19 1997-03-05 자동차용퓨즈박스 KR100307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15561.4 1996-04-19
DE19615561A DE19615561C2 (de) 1996-04-19 1996-04-19 Sicherungsbox für Kraftfahrzeuge
PCT/DE1997/000414 WO1997040510A1 (de) 1996-04-19 1997-03-05 Sicherungsbox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56A KR19990087456A (ko) 1999-12-27
KR100307832B1 true KR100307832B1 (ko) 2001-11-02

Family

ID=7791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880A KR100307832B1 (ko) 1996-04-19 1997-03-05 자동차용퓨즈박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96380B1 (ko)
EP (1) EP0894328B1 (ko)
JP (1) JPH11509961A (ko)
KR (1) KR100307832B1 (ko)
CN (1) CN1134038C (ko)
AU (1) AU2566697A (ko)
BR (1) BR9708586A (ko)
DE (2) DE19615561C2 (ko)
ES (1) ES2146092T3 (ko)
PT (1) PT894328E (ko)
WO (1) WO1997040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24734B1 (en) * 1997-12-17 2003-11-12 Meccanotecnica Codognese S.p.A. A high-current protection device
DE19906000B4 (de) * 1999-02-15 2006-09-28 Volkswagen Ag Energieanschlussleiste für Kraftfahrzeuge
US6707688B2 (en) * 2000-01-28 2004-03-16 Hendry Mechanical Works Electric apparatus with electric terminals and fused structures
DE60135405D1 (de) * 2000-03-21 2008-10-02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Leistungsverteiler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azu
US6600236B2 (en) * 2001-11-05 2003-07-29 Michael Rhodes Universal fleet electrical system
US6545861B1 (en) * 2001-11-20 2003-04-08 Fci Americas Technology, Inc. High voltage distribution box with pre-molded lead frame
US20040048142A1 (en) * 2002-06-04 2004-03-11 Marusak Brian T. Power management and distribution assembly mountable to a battery
DE10330568B4 (de) * 2002-07-09 2008-01-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Sicherungsbox
JP3994810B2 (ja) * 2002-07-09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ヒューズを内蔵したボックス
US6902434B2 (en) * 2002-07-23 2005-06-0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Battery fuse bus bar assembly
US7612646B2 (en) * 2003-04-04 2009-11-03 Yazaki Corporation Fuse cavity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JP4385896B2 (ja) * 2003-12-24 2009-12-16 住友電装株式会社 自動車用の電気接続箱
JP4381845B2 (ja) * 2004-02-19 2009-12-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ヒューズモジュール
US20060022522A1 (en) * 2004-07-27 2006-02-02 Plummer Lew E Electrical power unit and power distribution center therefor
US7301432B1 (en) * 2005-01-11 2007-11-27 Tii Network Technologies, Inc. Fusing terminal device
DE102006046347B4 (de) * 2006-09-28 2012-06-06 Auto-Kabel Management Gmbh Elektrische Sicherungsvorrichtung und Batterie mit einer derartigen Sicherungsvorrichtung
CN101174527B (zh) * 2006-10-30 2010-10-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车自锁保险组合开关
US7613003B2 (en) * 2007-12-07 2009-11-03 Lea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JP5185608B2 (ja) * 2007-12-21 2013-04-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ジャンクションブロック
US7990738B2 (en) * 2008-04-02 2011-08-02 Littelfuse, Inc. Master fuse module
GB2460055B (en) * 2008-05-14 2012-05-23 Cooper Technologies Co Base unit for a fuse assembly and modular fuse system
JP4630367B2 (ja) * 2008-11-25 2011-02-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高圧電装ユニット
JP5580058B2 (ja) * 2010-01-08 2014-08-2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固定構造
US8422203B2 (en) * 2010-09-17 2013-04-16 Telect Inc. Low-resistance telecommunications power distribution panel
JP5840895B2 (ja) * 2011-08-22 2016-01-0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源遮断装置
JP6065522B2 (ja) * 2012-10-31 2017-01-25 株式会社ノーリツ リモコン装置
US9265164B2 (en) 2013-07-09 2016-02-16 Lear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box
EP3058605B1 (en) 2013-10-16 2023-12-06 Ambri Inc. Seals for high temperature reactive material devices
JP6252191B2 (ja) * 2014-01-17 2017-12-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電源供給システム
DE102015204295A1 (de) 2015-03-10 2016-09-15 Robert Bosch Gmbh Sicherungshalter
CN105513918B (zh) * 2015-11-24 2017-11-03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蓄电池正极接头保险丝盒及总成
JP6335960B2 (ja) * 2016-03-18 2018-05-30 矢崎総業株式会社 分岐箱
US10040412B2 (en) 2016-05-10 2018-08-07 Deere & Company Utility vehicle power distribution module
US20180093622A1 (en) * 2016-09-30 2018-04-05 Tony Matijevich Wire harness with cylinder valve protection
CN106711885A (zh) * 2016-12-28 2017-05-2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线束分线盒
CN106997835A (zh) * 2017-05-26 2017-08-01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瓶正极保险盒及其安装方法
US20190123522A1 (en) * 2017-10-23 2019-04-25 Lear Corporation Electrical unit
US10283917B1 (en) * 2017-10-23 2019-05-07 Lear Corporation Electrical unit
US11165227B2 (en) * 2018-03-21 2021-11-02 Volvo Truck Corporation Power distribution unit, such as a fuse box for a vehicle
US10381184B1 (en) * 2018-05-24 2019-08-13 Aamp Of Florida, Inc. Multiple-use interlocking fused power and grounding distribution block
CN111371004B (zh) * 2018-12-25 2022-03-29 李尔公司 防止不正确安装的电气组件
DE102019102792B4 (de) * 2019-02-05 2021-08-19 Auto-Kabel Management Gmbh Schmelzvorrichtung, Schaltungsanordnung und Kraftfahrzeug mit Schaltungsanordnung
EP3943343A1 (en) 2020-07-23 2022-01-26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for mounting a fuse box on a vehicle battery
FR3121890B1 (fr) * 2021-04-15 2023-07-14 Renault Sas Agencement comprenant une protection pour boîtier de fusible de véhicule.
CN114068265B (zh) * 2021-11-01 2024-02-2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保险丝盒和车辆
WO2023147070A1 (en) * 2022-01-27 2023-08-03 Ambri Inc. Improved energy storage devi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9565A2 (en) * 1994-08-24 1996-03-06 The Whitaker Corporation Fused car battery therminal and fuselink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13414A (fr) * 1919-09-05 1921-02-15 Maxime Diaz Boite de jonction et de sécurité pour les appareils d'éclairage électrique des voitures automobiles
US3163728A (en) * 1962-03-28 1964-12-29 Howard F Martin Combination safety socket and fuse box
JPS56103637A (en) * 1980-01-22 1981-08-18 Nissan Motor Co Ltd Fuse block for vehicle
CA1169898A (en) * 1980-04-28 1984-06-26 Pacific Engineering Co., Ltd. Fuse
SE452675B (sv) * 1986-08-29 1987-12-07 Z Lyften Prod Ab Anordning i form av en elektrisk sekring, som er kombinerad med ett anslutningsdon
US4842534A (en) * 1988-10-14 1989-06-27 Interlock Corporation Fuse/bus bar assembly
JPH03159511A (ja) * 1989-08-24 1991-07-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自動車用電気接続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6313Y2 (ja) * 1989-10-24 1995-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器
US5023752A (en) * 1989-10-31 1991-06-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center
JPH0629878Y2 (ja) * 1990-10-11 1994-08-10 エス・オー・シー株式会社 高遮断超小型ヒューズ
US5179503A (en) * 1991-04-19 1993-01-12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Modular automobile power distribution box
JP2634524B2 (ja) * 1991-12-06 1997-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暗電流ヒューズの断続機構
JP2718606B2 (ja) * 1992-09-04 1998-02-25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ボックス
US5785532A (en) * 1993-06-09 1998-07-2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Power distribution box and system
JPH07134938A (ja) * 1993-11-11 1995-05-23 Honda Motor Co Ltd ヒューズ付きバッテリーカプラー
US5504655A (en) * 1994-06-10 1996-04-02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 vehicle power distribution module
DE9409851U1 (de) * 1994-06-22 1994-08-04 Pudenz Wilhelm Gmbh Sicherungssystem zur Absicherung von elektrischen Stromkreisen vorzugsweise in Fahrzeugen
DE9411394U1 (de) * 1994-07-14 1994-09-22 Pudenz Wilhelm Gmbh Sicherungseinsatz und Sicherungshalter hierfür
JP3042579B2 (ja) * 1994-07-22 2000-05-15 矢崎総業株式会社 配電函のねじ止め構造
DE9418381U1 (de) * 1994-11-16 1995-01-12 Grote & Hartmann Einrichtung zum Erkennen einer Manipulation an einem geschlossenen Sicherungsgehäuse
IT1275158B (it) * 1995-02-15 1997-07-30 Cavis Srl Sezionatore complessivo di sicurezza per il distacco automatico di carichi elettrici particolarmente per autoveicoli e simili
DE29508326U1 (de) * 1995-05-19 1995-08-10 Reinshagen Kabelwerk Gmbh Batterieklemme
US5731944A (en) * 1995-05-29 1998-03-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ircuit protecting device for an automotive wiring harness
US5645448A (en) * 1995-10-16 1997-07-08 Yazaki Corporation Battery connecting module with fuse mounting
US5643693A (en) * 1995-10-30 1997-07-01 Yazaki Corporation Battery-mounted power distribution module
US5841338A (en) * 1996-04-17 1998-11-2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use combination,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fuse circuit including the same
US5764487A (en) * 1996-08-06 1998-06-09 Yazaki Corporation Junction block with integral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 connector for same
GB2326287B (en) * 1997-06-09 2001-10-24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Fuse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9565A2 (en) * 1994-08-24 1996-03-06 The Whitaker Corporation Fused car battery therminal and fuselink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4328A1 (de) 1999-02-03
AU2566697A (en) 1997-11-12
CN1134038C (zh) 2004-01-07
BR9708586A (pt) 1999-08-03
CN1216633A (zh) 1999-05-12
DE19615561A1 (de) 1997-10-23
DE59701722D1 (de) 2000-06-21
JPH11509961A (ja) 1999-08-31
EP0894328B1 (de) 2000-05-17
ES2146092T3 (es) 2000-07-16
WO1997040510A1 (de) 1997-10-30
DE19615561C2 (de) 1998-12-10
PT894328E (pt) 2000-10-31
US6396380B1 (en) 2002-05-28
KR19990087456A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7832B1 (ko) 자동차용퓨즈박스
US6222439B1 (en) Circuit breaking device
IE852647L (en) Fittings for motor vehicles
US6765776B2 (en) Configurable interrupter for circuit overcurrent conditions
US20030108789A1 (en) Structure of connecting battery terminals to bus bars
US4723117A (en) Fuse assembly
US6157288A (en) Current breaking system for vehicle
KR20120126383A (ko) 배터리 터미널 보호용 캡
WO1995013621A1 (en) Short circuit protected splice connector
MXPA98008611A (en) Fuse box for vehicu
JP3640755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への電線接続構造及び電線接続方法
KR200451284Y1 (ko) 멀티커넥터
KR200147059Y1 (ko) 자동차의 퓨즈박스용 단자 체결부재
KR0181875B1 (ko) 자동차의 퓨즈 릴레이 박스
KR19980042387U (ko)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JP2003031108A (ja) ヒューズの取付構造
KR19980051614U (ko) 자동차용 휴즈 및 휴즈박스 어셈블리
JPH10324207A (ja) 車両の安全装置
KR20200075791A (ko) 배터리 캡
KR20200075787A (ko) 배터리 캡
KR20200075788A (ko) 배터리 캡
KR20200075789A (ko) 배터리 캡
KR19980028421U (ko) 점검이 용이한 퓨즈
KR19980016970U (ko) 자동차용 퓨즈박스의 커버체결구조
KR19980063398U (ko) 자동차용 휴즈박스의 리테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