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387U -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387U
KR19980042387U KR2019960055491U KR19960055491U KR19980042387U KR 19980042387 U KR19980042387 U KR 19980042387U KR 2019960055491 U KR2019960055491 U KR 2019960055491U KR 19960055491 U KR19960055491 U KR 19960055491U KR 19980042387 U KR19980042387 U KR 199800423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cover
opening
lighting device
switch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5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2387U/ko
Publication of KR199800423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8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시 실내룸의 조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차량 실내의 휴즈박스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설치되어 각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통전되도록 하고 이상전류가 발생할 경우 단락시키도록 하는 커버가 구비된 휴즈박스에 있어서, 상기 휴즈박스와 대향되어 끼워지는 커버의 내면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게 형성된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과 대향하는 휴즈박스의 일측에 커버가 장착될 경우 개폐봉에 의해 항상 단락되고 탈거시 접점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간시 실내룸의 조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차량 실내의 휴즈박스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뱃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전기기구들이 즐비하다.
운전자나 승차자의 편의를 위한 최근의 차량에 이러한 기구 장착율이 높은데 이에 따라 전기 배선을 위한 와이어 하네스가 무수히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는 커넥터에 의해 신장 연결되어 있고 전원부로부터 이상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단락시키도록 하는 휴즈박스가 중간 차단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휴즈박스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하부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쪽의 페달부(8) 측면의 후미진 곳에 설치되는데, 그 체결수단은 볼트(9)이다.
상기 휴즈박스(10)는 그 박스(10)내로 침투되는 이물질로부터 보호되고 퓨즈를 보호하도록 하는 커버(12)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커버(12) 후면에 형성된 클립(14)으로 착탈되게 끼움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휴즈박스는 매우 후미진 곳에 설치되어 휴즈 교체작업시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야간시 룸램프를 점등시킨다 하더라도 설치위치상 조사범위에 포함되지 않아 운전자가 단락상태를 인지하기가 매우 어려워 별도의 조명기구를 구비하여야만 하는 매우 불편한 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야간시 실내룸의 조사범위에 해당하지 않는 차량 실내의 휴즈박스에 상기 박스를 보호하는 커버를 탈거시키면 점등되는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휴즈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차체에 설치되어 각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통전되도록 하고 이상전류가 발생할 경우 단락시키도록 하는 커버가 구비된 휴즈박스에 있어서,
상기 휴즈박스와 대향되어 끼워지는 커버의 내면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게 형성된 개폐봉과;
상기 개폐봉과 대향하는 휴즈박스의 일측에 커버가 장착될 경우 개폐봉에 의해 항상 단락되고 탈거시 접점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램프를 포함하여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휴즈박스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a은 휴즈박스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2b는 휴즈박스에 커버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휴즈박스, 12: 커버,
14: 클립, 16: 개페봉,
18: 램프, 20: 스위칭수단,
22: 끼움요홈, 24: '-'단자,
26: 탄성스프링, 28: '+'단자,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은 휴즈박스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2b는 휴즈박스에 커버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차체에 설치되어 각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통전되도록 하고 이상전류가 발생할 경우 단락시키도록 하는 커버(12)가 구비된 휴즈박스(10)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은, 상기 휴즈박스(10)와 대향되어 끼워지는 커버(12)의 내면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게 형성된 개폐봉(16)과;
상기 개폐봉(16)과 대향하는 휴즈박스(10)의 일측에 커버(12)가 장착될 경우 개폐봉(16)에 의해 항상 단락되고 탈거시 접점되는 스위칭 수단(20); 및 상기 스위칭 수단(20)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램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스위칭 수단(20)은 그 수단(20)이 설치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하는 것이 개폐봉(16)과 대향하여 끼움결합되는 끼움요홈(22)의 형성이다.
'-'단자(24)를 상기 끼움요홈(22)내로 위치되게 하고 상기 '-'단자(24)의 하부에는 항상 그 단자(24)를 밀려는 탄성력을 갖는 통전재질의 탄성스프링(26)이 개재됨과 아울러 상기 탄성스프링(26)의 일단에는 와이어(도시안됨)가 전기적으로 연결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요홈(22)의 상부 일측에 탄성스프링(26)의 탄발력에 의해 '-'단자(24)와 접점되어 램프(18)를 발광시키도록 하는 '+'단자(28)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휴즈에 이상이 발생하여 이를 교체하고자 커버(12)를 휴즈박스(10)로부터 이탈시키면 끼움요홈(22)으로 끼워진 개폐봉(16)이 같이 이탈되는데 이 때 가압된 '+'단자(28)가 탄지된 탄성스프링(26)의 복귀력에 의해 '-'단자(24)와 접속되어 통전되고 이에 따라 램프(18)가 발광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커버(12)를 휴즈박스(10)에 끼우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12)에 형성된 클립(14)에 의해 끼워져 고정되는 한편, 개폐봉(16)이 상기 끼움요홈(22)으로 인입되면서 '+'단자(28)를 누르면 '-'단자(24)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되어 램프(18)가 꺼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실차에 적용하게 되면, 야간시 갑자기 휴즈에 이상이 발생되어 그 휴즈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커버만 이탈시키면 발광되는 조명램프에 의해 그 위치가 쉽게 인지되어 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발생되는 한편 별도의 조명기구가 필요없기 때문에 구입비가 절감되는 비용상의 효과가 커지게 된다.

Claims (1)

  1. 차체에 설치되어 각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통전되도록 하고 이상전류가 발생할 경우 단락시키도록 하는 커버(12)가 구비된 휴즈박스(10)에 있어서,
    상기 휴즈박스(10)와 대향되어 끼워지는 커버(12)의 내면 일측에 일정길이를 갖게 형성된 개폐봉(16)과;
    상기 개폐봉(16)과 대향하는 휴즈박스(10)의 일측에 커버(12)가 장착될 경우 개폐봉(16)에 의해 항상 단락되고 탈거시 접점되는 스위칭 수단(20); 및 상기 스위칭 수단(20)에 연결되어 발광하는 램프(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KR2019960055491U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KR199800423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491U KR19980042387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491U KR19980042387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87U true KR19980042387U (ko) 1998-09-25

Family

ID=53995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491U KR19980042387U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23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67B1 (ko) * 2019-04-25 2019-12-05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1867B1 (ko) * 2019-04-25 2019-12-05 (주) 더베스트이앤씨 공동주택의 전기와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8584A (en) Headlamp for a vehicle
US5596233A (en) Light swi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GB2189095A (en) Fuse with indicating device
JP2001294083A (ja) 車両の室内照明装置
KR19980042387U (ko)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JP3062708B2 (ja) 放電灯点灯装置
US3701904A (en) Vehicle headlight switch with time delay
KR0167055B1 (ko) 차량용 보조 휴즈박스
JP2595181Y2 (ja) 放電灯を用いた車両用灯具
JP3677773B2 (ja) 照明装置
KR200155441Y1 (ko) 자동차 본네트램프의 스위치
US2265122A (en) Automatic safety control for auxiliary lights
KR200149816Y1 (ko) 자동차 번호등 브라켓의 구조
KR19980047095U (ko) 자동차용 다이오드 내장 커넥터
GB2332267A (en) Detachable interior vehicle lamp
KR19980027016U (ko) 전기 통전/운전상태 표시용 led램프가 부설된 모터
KR0138582Y1 (ko) 승합차의 슬라이딩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200262520Y1 (ko) 제어용 트랜스 스위치
KR100210779B1 (ko) 이동식 엔진룸램프
KR0130813Y1 (ko) 자동차용 휴즈
EP0774380B1 (en) Improved-wiring device for controlling the emergency lights in motor vehicles
KR200152750Y1 (ko) 차량용 램프 시일구조
CN2333588Y (zh) 新型汽车灯光开关保护器
KR19990006427U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KR19990019625U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