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427U -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427U
KR19990006427U KR2019970019893U KR19970019893U KR19990006427U KR 19990006427 U KR19990006427 U KR 19990006427U KR 2019970019893 U KR2019970019893 U KR 2019970019893U KR 19970019893 U KR19970019893 U KR 19970019893U KR 19990006427 U KR19990006427 U KR 1999000642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ox
fuse
connector
cover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427U/ko
Publication of KR199900064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427U/ko

Link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를 개시한다.
종래 자동차의 퓨즈 박스는 자동차의 비교적 구석진 부분에 설치되므로, 퓨즈 및 릴레이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을 수행할 경우 퓨즈 박스의 주변이 어둡기 때문에 퓨즈 및 릴레이의 식별이 곤란해지 등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측면 한쪽에 커넥터(21)가 접속구멍(22)을 갖도록 형성되는 퓨즈 박스(20)와; 퓨즈 박스(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쪽 측면에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에 대응되게 끼워져 접속되는 터미널(31)이 장착되는 커버(30)와;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과 터미널(31)의 접속에 의해 구동되도록 커버(30)의 하면 한쪽에 장착되는 램프(35)로 구성된다.
따라서, 퓨즈 박스의 커버에 장착되는 램프의 구동에 의해 퓨즈 및 릴레이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ca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검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되도록 한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fuse box)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engine)의 동력을 이용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것으로, 자동차의 구조는 기능적으로 크게 주행에 필요한 장치를 구비한 섀시(chassis)와, 사람이나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차체(body)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차체는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 차실(cabin)과 엔진룸(engine room), 트렁크(trunk) 및 펜더(fender)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자동차의 주행을 위한 전기장치에는 엔진의 작동과 관련되는 전기장치와, 차체의 각 부분에 장치되는 배터리(battery), 등화장치, 계기장치 등의 전장부품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자동차의 전기장치에는 퓨즈(fuse)가 각각 연결되고, 퓨즈는 전압의 변동이나 단락(shot), 그리고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가용체(可溶體)가 용단, 즉 가열되어 녹아 끊어지면서 전로(電路)를 차단하여 전기 회로를 자동적으로 오프시킴으로써 전자장치와 전기회로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 장치의 하나이며, 이러한 전기장치의 퓨즈는 관리 및 교환의 용이성을 위하여 퓨즈 박스에 모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자동차의 퓨즈 박스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즈 박스(10)의 상면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고, 이 퓨즈 박스(10)의 상면에 다수의 퓨즈(11) 및 릴레이(relay: 12)가 장착된다.
그리고, 퓨즈 박스(10)의 상부에 커버(cover: 15)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퓨즈 박스(10)는 도시하지 않은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nment panel)의 운전석이나 혹은 엔진 룸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차의 퓨즈 박스(10)는 자동차의 비교적 구석진 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퓨즈(11) 및 릴레이(12)의 점검 및 교환이 번거롭고 불편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퓨즈(11) 및 릴레이(12)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을 수행할 경우 퓨즈 박스(10)의 주변이 어둡기 때문에 퓨즈(11) 및 릴레이(12)의 식별이 곤란해지며, 특히 야간에 실내등이 구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작업성이 더욱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휴대용 전등이나 기타 조명기구의 불빛을 이용하여 퓨즈(11) 및 릴레이(12)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 및 구조에 의해 점검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되도록 한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퓨즈 박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퓨즈 박스 21: 퓨즈
22: 릴레이 25: 커넥터
26: 접속구멍 30: 커버
31: 터미널 35: 램프
36: 와이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측면 한쪽에 커넥터가 한쌍의 접속구멍을 갖도록 형성되는 퓨즈 박스와; 퓨즈 박스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쪽 측면에 커넥터의 접속구멍에 서로 대응되게 끼워져 접속되는 한쌍의 터미널이 장착되는 커버와; 커넥터의 접속구멍과 터미널의 접속에 의해 구동되도록 커버의 하면 한쪽에 장착되는 램프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즈 박스(20)의 상면은 다수의 퓨즈(21) 및 릴레이(22)가 장착되는 개방된 형태로 제작되고, 퓨즈 박스(20)의 측면 한쪽에 커넥터(connector: 25)가 형성되며, 커넥터(25)의 상면에 한쌍의 접속구멍(26)이 형성된다. 이때, 커넥터(25)는 퓨즈 박스(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받는다.
그리고, 퓨즈 박스(20)의 상부에 퓨즈(21) 및 릴레이(22)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3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커버(30)의 한쪽 측면에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에 서로 대응되게 끼워져 접속되는 한쌍의 터미널(terminal: 31)이 장착된다.
또한, 커버(30)의 하면 한쪽에 전원의 인가에 따라 구동되는 램프(lamp: 35)가 장착되며, 램프(35)는 와이어(wire: 36)에 의해 터미널(31)과 연결되고, 퓨즈 박스(20)는 도시하지 않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운전석이나 혹은 엔진 룸에 설치된다.
여기에서, 커버(30)는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에 터미널(31)이 끼워져 접속될 경우 대략 수직을 이루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램프(35)는 커버(3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퓨즈(21) 및 릴레이(22)의 이상 및 고장으로 인하여 이들을 점검 및 교환하고자 할 경우에는, 퓨즈 박스(20)와 커버(30)를 분리시켜 퓨즈 박스(20)의 상면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에 커버(30)의 터미널(31)을 끼워 접속시키게 되면, 전원이 램프(35)에 인가되어 램프(35)가 구동된다.
이와 같은 램프(35)의 구동에 의해 퓨즈 박스(20)의 주위에 빛이 비쳐지게 되므로, 운전자는 퓨즈(21) 및 릴레이(22)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을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자동차의 비교적 어두운 장소에 설치되는 퓨즈 박스(20)의 주위에 램프(35)의 구동에 의해 조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운전자는 별도의 휴대형 전등이나 기타의 조명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퓨즈(21) 및 릴레이(22)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에 의하면, 퓨즈 박스의 커버에 장착되는 램프의 구동에 의해 퓨즈 및 릴레이의 점검 및 교환 작업이 용이하고 간단하게 수행되어 작업성이 현저하게 개선되는 것이다.

Claims (1)

  1. 측면 한쪽에 커넥터(25)가 한쌍의 접속구멍(26)을 갖도록 형성되는 퓨즈 박스(20)와;
    상기 퓨즈 박스(2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한쪽 측면에 상기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에 서로 대응되게 끼워져 접속되는 한쌍의 터미널(31)이 장착되는 커버(30)와;
    상기 커넥터(25)의 접속구멍(26)과 상기 터미널(31)의 접속에 의해 구동되도록 상기 커버(30)의 하면 한쪽에 장착되는 램프(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KR2019970019893U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KR1999000642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93U KR19990006427U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93U KR19990006427U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427U true KR19990006427U (ko) 1999-02-25

Family

ID=6969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893U KR19990006427U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42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8022B2 (ja) 車両用電装機器の強制駆動装置
US6396380B1 (en) Electrical fuse box for motor vehicles
KR100387445B1 (ko) 자동차용 퓨즈 및 릴레이 박스
US5596233A (en) Light swi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008584A (en) Headlamp for a vehicle
KR19990006427U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KR100809007B1 (ko) 차량의 적용시스템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휴즈 및 릴레이박스
KR0130813Y1 (ko) 자동차용 휴즈
KR19990027639U (ko) 자동차 휴즈박스의 휴즈 점검장치
KR100221884B1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와 타임 컨트롤 유니트 공용 브래킷
KR100435901B1 (ko) 광섬유를 이용한 휴즈 단락 확인장치
JP2595181Y2 (ja) 放電灯を用いた車両用灯具
KR19980014741U (ko) 자동차의 퓨즈단락 경고장치
KR100186704B1 (ko) 차량용 도어 실 트림
KR0114129Y1 (ko) 자동차용 축전지(battery) 터미널 접속구조
KR19980042387U (ko) 자동차용 실내 휴즈박스의 조명장치
JPH0539017Y2 (ko)
KR19990025188U (ko) 자동차용 퓨즈
JPH10329603A (ja) 操作スイッチ構造および操作スイッチと線材束との配線構造
KR19980038903A (ko) 자동차의 전기장치 보호시스템
KR200155441Y1 (ko) 자동차 본네트램프의 스위치
KR20180037533A (ko) 차량용 퓨즈박스
KR19990024923U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이상여부 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46562U (ko) 자동차용 퓨즈 체크기
KR19990028097A (ko) 자동차의 휴즈단락 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