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813Y1 - 자동차용 휴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휴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813Y1
KR0130813Y1 KR2019950036431U KR19950036431U KR0130813Y1 KR 0130813 Y1 KR0130813 Y1 KR 0130813Y1 KR 2019950036431 U KR2019950036431 U KR 2019950036431U KR 19950036431 U KR19950036431 U KR 19950036431U KR 0130813 Y1 KR0130813 Y1 KR 01308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terminals
separat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6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559U (ko
Inventor
박명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6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813Y1/ko
Publication of KR970025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5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8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8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기장치 부품인 휴즈(FUSE)에 관한 것으로서, 휴즈하우징에 결합되는 한쌍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한 접속단자를 상·하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상부 접속단자의 하부를 절개하여 좌·우로 분리시키며, 분리되지 않은 접속단자에 병행하게 각각 휴즈 엘리멘트를 연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휴즈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자동차의 대시보드 정면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휴즈의 정면예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일측면 예시도.
제5도는 종래 고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즈하우징 12,14 : 접속단자
16 : 예비 접속단자 18 : 플랜지
20 : 휴즈박스 22 : 박스커버
30 : 계기판 40 : 대시보드
122 : 제1휴즈 엘리멘트 142 : 제2휴즈 엘리멘트
162 : 핑거부 182 : 접속홀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기장치 부품인 휴즈(FUSE)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즈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한 접속단자를 상·하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접속단자와 분리되지 않은 접속단자에 휴즈 엘리멘트를 각각 연결하여 주행중 과전류에 의해 하부에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는 휴즈 엘리멘트가 단락되더라도 상·하 분리된 접속단자를 연결함으로써 상부에 연결된 휴즈 엘리멘트에 의해 접속단자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휴즈의 기능이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휴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휴즈는 편의상 이 휴즈를 보호해주는 휴즈하우징과 접속단자를 포함하여 불리우는 명칭으로 상기 접속단자의 사이에 연결되어 접속단자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것이고, 재질은 납과 주석의 합금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기능은 전기회로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면 녹아 끊어져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전선이 타거나 부하에 과대한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며, 휴즈는 회로중에 직렬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휴즈는 대시보드의 계기판 좌측하단부에 형성된 휴즈박스내에 설치되며 휴즈의 점검 교환 박스커버를 열어서 하면 되는 것으로 휴즈박스내에 17개 내지 18개가 접속된다.
상기 휴즈는 전자제어모듈(E.C.M) 및 각종 조명등(예:제동등, 방향지시등,차폭등,후미등,후진등, 룸램프,도어 열림경고등)과 경음기, 에어콘,전동휀,파워윈도우 등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에는 제5도에서와 같이 플랜지(180)을 갖는 휴즈하우징(100)내에 결합되는 접속단자(120)와 접속단자(14)사이에 납과 주석이 합금으로 된 휴즈 엘리멘트(Fuse element)(16)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주행중 과대한 전류에 의해 휴즈 엘리멘트(160)가 단락되면 동일한 용량을 지니고 있는 예비휴즈로 교환하여 오고 있으나, 이러한 예비 휴즈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면 단락된 휴즈와 연결되는 기기의 작동을 포기하여 운행하다가 서비스센터 및 정비공장에서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예비휴즈가 준비되어 있지 않아 철사나 은종이 등으로 임시 연결하여 기기를 동작시키고 있으나, 이는 배선의 과열을 초래하여 기기의 손상 및 화재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휴즈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한 접속단자를 상·하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접속단자들과 분리되지 않은 접속단자에 휴즈 엘리멘트를 각각 연결하여 과대한 전류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휴즈 엘리멘트가 단락되더라도 상·하 분리된 접속단자를 연결하여 나머지 휴즈 엘리멘트에 의해 접속단자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휴즈와 연결된 기기의 작동이 지속될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휴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휴즈하우징에 결합되는 한쌍의 접속단자 중 어느 한 접속단자를 상·하로 분리하고 이 분리된 상부 접속단자의 하부를 절개하여 좌·우로 분리시키며, 분리되지 않은 접속단자에 병행하게 각각 휴즈 엘리멘트를 연결하여서 된 자동차용 휴즈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먼저 제1도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휴즈는 자동차 실내의 전면을 이루는 대시보드(40)의 계기판(30)하부의 좌측에 장착되는 휴즈박스(20)내에 설치되며, 이 휴즈박스(20)는 박스커버(22)가 설치되어 휴즈의 점검 및 교환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휴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용 휴즈는 휴즈하우징(10)과 접속단자(12,14,16) 및 휴즈 엘리멘트(122,142)로 구성된다.
상기 휴즈하우징(10)은 상부로 플랜지(18)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플랜지(18)에는 접속단자(16)의 상부면이 개방되도록 접속홀(182)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12)는 종래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고, 접속단자(14,16)는 일측의 접속단자(12)형상에서 상·하로 양분하여 상부에 예비 접속단자(16)를 갖는다.
상기 접속단자(14)는 종래와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며 일측의 접속단자(12)보다 짧은 길이를 갖으며, 예비 접속단자(16)는 접속단자(14)에서 분리된 나머지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이 예비 접속단자(16)는 하부가 반으로 절개되어 좌·우로 벌어지는 핑거부(162)를 갖으며, 이 핑거부(162)는 하부의 접속단자(14)와 일부 이격되어 동일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휴즈 엘리멘트(122,142)는 제1휴즈 엘리멘트(122)와 제2휴즈 엘리멘트(142)로 구별되고, 제1휴즈 엘리멘트(122)는 접속단자(14)와 접속단자(12)에 연결되며, 제2휴즈 엘리멘트(142)는 예비용으로 예비 접속단자(16)와 접속단자(12)에 연결된다.
그러면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효과에 관해 설명하겠다.
휴즈하우징(10)이 휴즈박스(20)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다가 과대한 전류에 의해 접속단자(12,14)를 연결해주는 제1휴즈 엘리멘트(122)기 단락되면 박스커버(22)를 열고, 휴즈플러그에서 휴즈하우징(10)을 휴즈박스(20)에서 분리하여 손으로 잡고 단부가 샤프한 공구(50)로 플랜지(18)에 형성된 접속홀(182)의 예비 접속단자(16)를 하향되게 밀어서 예비 접속단자(16)의 핑거부(162)가 접속단자(14)의 상부면에 면접되도록 한다.
그러면 예비 접속단자(16)와 접속단자(12)에 연결되어진 제2휴즈 엘리멘트(142)에 의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으로, 예비 접속단자(16)와 접속단자(14)의 접속이 완료되면 휴즈박스(20)에 원위치 시켜 이에 대응하는 기기가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지 점검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운행중 과대한 전류에 의해 휴즈가 단락되더라도 용이하게 예비 접속단자 및 접속단자를 접속시켜 제2휴즈 엘리멘트에 의해 전류가 통하도록 하여 휴즈의 교환작업이 필요치 않게 되고, 한번 사용된 휴즈를 한번 더 사용할 수 있어 교체될 휴즈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되는 휴즈하우징에 한쌍의 접속단자가 결합되며, 이 접속단자를 휴즈 엘리멘트가 연결해주는 자동차용 휴즈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 중 어느 한 접속단자를 상·하로 분리하고, 분리되지 않은 접속단자에 병행하게 각각 휴즈 엘리멘트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분리되는 접속단자의 상부단자 하부를 절개하여 좌·우로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휴즈.
KR2019950036431U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휴즈 KR01308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431U KR0130813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휴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6431U KR0130813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휴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59U KR970025559U (ko) 1997-06-20
KR0130813Y1 true KR0130813Y1 (ko) 1998-12-15

Family

ID=1943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6431U KR0130813Y1 (ko) 1995-11-29 1995-11-29 자동차용 휴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8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559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22357A (en) Wiring system for motor vehicle
US4712081A (en) Blade fuse assembly with indicator
US5596233A (en) Light switch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O2003047943A1 (en) Steering column module
KR0130813Y1 (ko) 자동차용 휴즈
JP2613871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装置
US4017772A (en) Turn signal wiring replacement harness
JP3606090B2 (ja) 自動車の配線構造
KR100809007B1 (ko) 차량의 적용시스템에 따라 분리가 가능한 휴즈 및 릴레이박스
KR19980028421U (ko) 점검이 용이한 퓨즈
US2264260A (en) Fuse block
KR0119193Y1 (ko) 퓨즈와 릴레이 내장형 컨넥터
JP2000095043A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
JPH0537718Y2 (ko)
CA1081341A (en) Turn signal wiring replacement harness
JPH0643999Y2 (ja) ブレード型ヒューズ
KR19990006427U (ko) 자동차의 퓨즈 박스용 조명장치
KR19990041350A (ko) 자동차용 퓨즈
KR970002511Y1 (ko) 자동차의 퓨즈 점검장치
KR19980047095U (ko) 자동차용 다이오드 내장 커넥터
JP2589375Y2 (ja) 自動車のランプ用ハーネス装置
KR19980019429U (ko) 자동차 퓨즈의 쇼트 안내등
KR19990024923U (ko) 자동차의 전장부품 이상여부 디스플레이장치
TH33495A (th) อุปกรณ์จำพวกฟิวส์สำหรับรถยนต์
KR19980031104U (ko) 차량의 퓨즈단선표시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