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6014B1 - 소형자동2륜차의배기시스템에대한2차공기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소형자동2륜차의배기시스템에대한2차공기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6014B1
KR100296014B1 KR1019980009768A KR19980009768A KR100296014B1 KR 100296014 B1 KR100296014 B1 KR 100296014B1 KR 1019980009768 A KR1019980009768 A KR 1019980009768A KR 19980009768 A KR19980009768 A KR 19980009768A KR 100296014 B1 KR100296014 B1 KR 100296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ystem
secondary air
air supply
air cleaner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0511A (ko
Inventor
마사시 요코야마
겐스케 스즈키
다카아키 스즈키
노보루 요코야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8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82Catalytic reactor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e.g. exhaust silencers or other exhaust purification devices
    • F01N3/2885Catalytic reactors combined or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e.g. exhaust silencers or other exhaust purification devices with exhaust silencers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30Arrangements for supply of additional air
    • F01N3/34Arrangements for supply of additional air using air conduits or jet air pumps, e.g. near the engine exhaust 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1/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 F02B61/02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vehicles or for driving propellers;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gearing for driv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motor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080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 F01N3/081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using absorbents or adsorbents combined with catalytic converters, e.g. NOx absorption/storage reduction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보수유지작업시에 커버를 착탈할 필요를 없애고, 에어 클리너의 설계상의 제약을 없애서 소음효과를 향상시키고, 2차공기공급관의 길이를 단축하는 것이다.
소형 자동2륜차(1)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 배기시스템용 에어 클리너(35)에 연결되고, 또 그 중도에 역지(逆止)밸브(36)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37)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기시스템용 에어 클리너(35)가 머플러(28)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역지밸브(36)가 머플러(28)에 추가로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A SECONDARY AIR SUPPLYING APPARATUS FOR AN EXHAUST SYSTEM OF SMALL MOTORCYCLE}
본 발명은 스쿠터 등의 소형 자동2륜차에 있어서, 배기가스정화를 위해 내연기관의 배기시스템에 2차공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쿠터 등의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로는 배기시스템에 공급되는 2차공기를 청정화하기 위한 에어클리너(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를 차체프레임에 장착하고, 역지(逆止)밸브(리드밸브)를 본 기계 내연기관에 장착한 것(일본국 특개평5-139364호 공보, 동 특개평5-131969호 공보, 동 특개평5-332132호 공보),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시트 하측의 수납박스에 장착한 것(일본국 특개평4-47114호 공보) 등이 있다.
상기 종래의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는 차체프레임에 장착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내연기관에 장착된 역지밸브를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이나, 수납박스에 장착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배기시스템(2차공기공급관의 연결부)에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은 내연기관유닛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느슨한 부분(굴곡부)을 갖게 하여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나 역지밸브 등의 2차공기공급장치의 보수 유지 작업시에는 보디 커버의 착탈이 필요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차체프레임이나 수납박스에 장착되는 경우, 차체프레임, 수납박스 및 보디 커버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된 것이 많은데, 이 경우에는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의 형상, 용량의 설정에 제약을 받았다. 그리고, 예를들면 이와 같은 제약하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평면부가 많은 형상으로 설정되면 상기 평면부가 진동하여 소음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원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1)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소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종단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주요부(내연기관유닛부분)를 확대한 일부 횡단 개략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머플러부분만을 도시한 일부 종단 측면도,
도 5는 본원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2)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유닛부분의 일부 횡단 개략 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6은 본원의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3)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유닛부분의 개략 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7은 도 6의 에어클리너 케이스 부분의 횡단 평면도,
도 8은 본원의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4)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유닛부분의 개략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에어클리너 케이스 부분의 횡단 평면도,
도 10은 본원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5)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에어클리너 케이스 부분의 횡단 평면도로서, 도 9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본원의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6)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소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도 12는 본원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7)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내연기관유닛부분의 개략 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XIII방향에서 본 주요부의 측면도로서, 일부를 절취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원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8)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의 주요부 측면면도서, 일부를 절취 도시한 도 13에 대응하는 도면,
도 15는 본원의 청구항 13 및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9)에 관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를 구비한 소형 자동2륜차의 측면도,
도 16은 도 15의 주요부를 확대한 일부 횡단 개략 평면도로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
도 17은 도 15의 실시형태(실시형태9)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15와 같은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스쿠터형 자동2륜차 2:시트
3:플로어부 4:스티어링 헤드
5:핸들 6:핸들 회전축
7:헤드파이프 8:프론트포크
9:전륜 10:다운프레임
11:리어프레임 12:레그시일
13:플로어커버 14:보디 커버
15:센터커버 16:연료탱크
17:내연기관유닛(스윙유닛) 18:행거링크
19:쿠션유닛 20:내연기관
21:후륜 22:동력전달장치(벨트무단변속기)
23: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 23a, 23d:공기청정화실
23e, 23h:공기흡입구 24:기화기
25:흡기관 26:배기구
27:배기관(배기부) 28:머플러
30:머플러 본체부 31:연결부
32:촉매컨버터 34:2차공기도입구
35: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 35b:클린실
35g:공기청정화실 35h:공기흡입구
36:리드밸브(역지밸브) 37:2차공기공급관
38, 39:가요성 고무호스 40금속제 파이프
41:수직장착편 42:연결수단
43:장착편 44:연결수단
45:머플러 커버 46:연결수단
47:슈라우드(shroud) 48:연결수단
49:사이드커버 50:언더커버
본원의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으로, 그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또 그 중도에 역지밸브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머플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는 보디 커버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게 되므로, 그 보수 유지 작업시에 보디 커버를 착탈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그 형상, 용량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들면 소음효과에 알맞는 형상, 용량으로 하고,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전달되는 내연기관의 배기음이나 역지밸브의 진동음의 소음(消音)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와 같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는 모두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의 일부인 머플러와 함께 요동하게 되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 역지밸브 및 배기시스템(2차공기공급관의 연결부)의 각 상호간을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은 내연기관유닛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각 부분의 길이 및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는 모두 머플러에 합쳐서 설치되므로, 2차공기공급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는 모두 보디 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이들 보수 유지 작업시 보디 커버를 착탈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역지밸브는 내연기관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 이에 의한 열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또 그 중도에 역지밸브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머플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역지밸브는 보디 커버로부터 노출되게 설치되므로 그 보수 유지성이 향상된다. 또, 역지밸브는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의 일부인 머플러와 함께 요동하므로, 역지밸브와 배기시스템(2차공기공급관의 연결부)를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은 내연기관유닛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게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역지밸브는 내연기관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 그것에 의한 열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또, 청구항 4 기재와 같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도,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의 일부인 동력전달장치와 함께 요동하게 되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도 내연기관유닛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또 2차공기공급관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5 기재와 같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 단독의 에어클리너나 장착스테이(stay)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도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의 일부인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함께 요동하게 되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도 내연기관유닛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또 2차공기공급관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6 기재와 같이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2차공기공급관의 선단을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의 케이스를 관통시켜서 이것에 연결하는 것 만으로 청정화된 배기시스템용 2차공기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의 형성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청구항 7 기재와 같이 청구항 5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에 공급되는 2차공기의 공급시스템과, 흡기시스템에 공급되는 1차공기의 공급시스템 사이의 상호 간섭이 방지된다.
또, 청구항 8 기재와 같이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의 각 공기흡입구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 청구항 9 기재와 같이 청구항 7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에 공급되는 2차공기의 공급시스템과, 흡기시스템에 공급되는 1차공기의 공급시스템 사이의 상호 간섭이 더욱더 방지된다.
또, 청구항 10 기재와 같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를 차체프레임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머플러 및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 주위의 외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1 기재와 같이 청구항 3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도 내연기관과 함께 요동하게 되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도 내연기관유닛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또 2차공기공급관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를 머플러 본체부가 있는 쪽과 같은 쪽의 내연기관의 슈라우드(shroud)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가깝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2차공기공급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2 기재와 같이 청구항 11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 단독의 에어클리너 케이스나 장착스테이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거나 그 중도에 역지밸브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상기 역지밸브가 플로어의 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이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역지밸브를 내연기관유닛의 행거링 근방에 모아 배치할 수 있으므로,이것에 의해 2차공기공급관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2차공기공급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4 기재와 같이 청구항 13 기재의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2차공기공급관의 길이를 더욱 더 단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5 기재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본체부, 상기 머플러 본체부에 설치된 2차공기공급장치(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 역지밸브), 후륜 등의 보수 유지작업이 용이해진다.
또, 청구항 16 기재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머플러, 상기 머플러 혹은 플로어 하부에 설치된 2차공기공급장치(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 역지밸브)의 착탈 작업이 용이해짐과 동시에, 이들을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이들 보수 유지작업이 가능해지므로, 이들 후륜의 보수 유지작업이 더욱더 용이해진다. 아울러, 차량을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7 기재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2사이클 내연기관의 배기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키고, 충분히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 청구항 18 기재와 같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전달되는 내연기관의 배기음이나 역지밸브의 진동음의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1)에 대해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1)은 좌측면도로 도시된 본 실시형태1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가 적용된 스쿠터형 자동2륜차이고, 참조번호(2)는 시트이고, 그 전방에 낮은 플로어부(3)를 두고, 스티어링 헤드(4)가 직립하고 있다.
핸들(5)에 의해 회동되는 핸들 회전축(6)이 헤드파이프(7)에 축지지되어 있으며, 그 하단에는 프론트포크(8)를 통해 전륜(9)이 서스펜션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파이프(7)로부터 다운프레임(10)이 하측으로 뻗으며, 하부에 있어서 좌우로 분기하여 플로어부(3)를 후방으로 연장하고, 이어서 리어프레임(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리어프레임(11)은 대각선으로 위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하며, 시트(2)의 후단 하부에 도달하고 있다.
이들 다운프레임(10) 및 리어프레임(11)으로 프레임을 형성한 차체의 전방부는 다운프레임(10)의 후방부를 덮으며 이것을 따라 레그시일(1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그시일(12)은 후방부 하측으로 연장하며 차체의 중앙 플로어부를 덮는 플로어 커버(1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어 커버(13)는 수평에서 대각선 후방으로 직립한 지점에서 리어프레임(11)의 후방 연장부를 덮는 보디 커버(14)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보디 커버(14)는 그 전방부 상측부에서 센터 커버(15)에 접속되고 있으며, 상기 센터 커버(15)가 시트(2) 하측에 수용된 연료탱크(16)의 전방부분을 상기 시트(2)와 함께 덮도록 되어 있다.
참조번호(17)는 후륜 서스펜스용 내연기관유닛(스윙유닛)으로, 그 전방부를 행거링(18)을 통해 리어프레임(11)의 전방부 하측에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그 후방부를 쿠션유닛(19)을 통해 리어프레임(11)의 후방부에 매달려 있다.
내연기관유닛(17)의 전방부에는 내연기관(20)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후방부에는 후륜(21)이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내연기관(20)의 동력을 후륜(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벨트무단변속기)(22)와, 후술하는 배기시스템을 구성하는 일요소인 머플러(28)가 후륜(21)을 사이에 두고 내연기관유닛(17)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내연기관(20)은 2사이클 내연기관으로, 에어클리너(23), 기화기(24) 및 흡기관(25)으로 이루어진 흡기시스템이 내연기관(20)의 흡기구(도시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관(27)은 내연기관(20)의 실린더부에 형성된 배기구(26)로부터 전방으로 아래를 향해 연장된 후, 만곡되어 후방으로 향하고, 후방부에 머플러 본체부(30)가 연접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머플러(28)가 구성된다.
배기관(27)과 머플러 본체부(30)는 연결부(31)에서 각각의 플랜지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머플러 본체부(30) 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촉매체로 이루어진 촉매컨버터(32)가 수용되어 있으며, 배기관(27)에 의해 도입된 배기가스가 상기 촉매컨버터(32) 내에서 산화반응을 하여 완전 연소 가스체로 되어 정화된 상태에서대기중으로 방출된다.
상기 배기시스템에는 추가로 2차공기가 도입되어 상기 촉매컨버터(32)에 의한 배기가스정화효과를 높이고 있다. 이 2차공기는 배기관(27)이 내연기관(20)의 배기구(26)에 접속된 부분의 비교적 근방에 형성된 2차공기 도입구(34)로부터 후술하는 2차공기공급시스템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
상기 2차공기공급시스템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 리드밸브(36)로 이루어진 역지밸브 및 이들을 연결하며, 또 이들을 상기 2차공기도입구(34)에 접속하는 2차공기공급관(37)으로 구성되어 있다. 2차공기공급관(37)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를 접속하는 가요성 고무호스(38), 리드밸브(36)와 2차공기도입구(34)를 접속하는 리드밸브(36)측의 가요성 고무호스(39), 2차공기도입구(34)측의 금속제 파이프(40)로 구성되어 있다.
고무호스(38)는 접속부(37a, 37b)에 있어서 분할가능하게 되고, 또 리드밸브(36)의 연결부(37d)에 상기 리드밸브(36)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무호스(39)도 리드밸브(36)와의 연결부(37e)에 상기 리드밸브(36)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고무호스(39)와 금속제 파이프(40)는 리드밸브(36)와 2차공기도입구(34)의 대략 중간점에 있는 접속부(37c)에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는 그 공기흡입구(35a)를 전방부 하측을 향해 머플러 본체부(30)의 꼭지부에 수직하게 고착된 닭의 볏(鷄冠)형상의 수직장착편(41)(도4 참조)의 후방부에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42)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그 공기청정화실 내의 클린실(35b)측은 간막이판(35c)에 의해 2실로 분할되고, 양 실은 연통관(35d)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며, 필터(35e)에 의해 청정화된 공기가 이들 2실을 통해 출구(35f)로부터 나와서 2차공기공급관(37)의 고무호스(38) 부분에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리드밸브(36)는 수직장착편(41)의 전방 폭광부에 고착된 장착편(43)의 수평방향으로 길게 뻗은 전후 2개의 아암부(43a)(43b)에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연결수단(44)에 의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는 머플러 커버(45)에 의해 머플러 본체부(30)로부터 열이 차단되어 있다. 상기 머플러 커버(45)는 그 꼭지부의 슬릿부(45a)를 수직장착편(41)의 용착(溶着) 각부(41a)에 끼워결합시키고, 머플러 본체부(30)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1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는 모두 보디 커버(14)로부터 노출되어 설치되게 되며, 그 보수 유지작업시 보디 커버(14)를 착탈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의 형상, 용량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들면 원통형상으로 하거나, 용량을 크게 하거나, 그 실내의 클린실(35b)측을 일련으로 연통하는 다수의 실(室)로 분할되어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에 전달되는 내연기관(20)의 배기음이나 리드밸브(36)의 진동음을 효과적으로 소음할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는 모두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17)의 일부인 머플러 본체부(30)와 함께 요동하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 리드밸브(36), 2차공기도입구(34)의 상호간을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37)의 각 부분(38, 39, 40)은 내연기관유닛(17)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각 부분(38, 39, 40)의 길이 및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는 모두 머플러 본체부(30)에 합쳐서 설치되므로, 2차공기공급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 리드밸브(36)는 내연기관(20)으로부터 거리를 두고 설치되므로, 그것에의한 열손상을 받는 일도 없다.
또, 머플러 본체부(30)가 배기관(27)과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플러 본체부(30), 상기 머플러 본체부(30)에 설치된 2차공기공급장치(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 리드밸브(36)), 후륜(21) 등의 보수 유지작업을 행할 때 상기 머플러 본체부(30)를 2차공기공급장치와 함께 분리하고, 또는 후륜(21)을 분리해서 그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고무호스(39)도 금속제 파이프(40)에 대해 접속부(37c)에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무호스(39)를 금속제 파이프(4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또는 연결부(37e)에서의 연결을 풀고, 상기 고무호스(39)를 리드밸브(36)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머플러 본체부(30) 및 상기 머플러 본체부(30)에 설치된 2차공기공급장치를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의 보수 유지작업을 좀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고무호스(39)는 가요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이 머플러본체부(30) 및 상기 머플러 본체부(30)에 설치된 2차공기공급장치를 차량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의 보수 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메탈촉매가 머플러 본체부(30)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것과 배기시스템에 공급되는 2차공기에 의해 2사이클 내연기관(20)으로부터 나오는 미연소 성분이 많은 배기가스를 완전히 연소시키고 충분히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2)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2에 있어서는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가 동력전달장치(벨트무단변속기)(22)의 케이스상에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와 앞뒤로 나란히 도시되지 않은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한 연결수단에 의해 장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2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는 이 경우에도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17)의 일부인 동력전달장치(22)와 함께 요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를 연결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고무호스)(38)은 내연기관유닛(17)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또 2차공기공급관(37)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3)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3에 있어서는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가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와, 한 개의 공기청정화실(23a)을 공용하며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참조번호(23e)는 공기흡입구이다.
본 실시형태(3)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2차공기공급관 부분(고무호스)(38)의 선단을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의 내측케이스(23b)를 관통시켜 이것에 연결하는 것만으로, 청정화된 배기시스템용 2차공기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의 형성이 매우 용이해지고, 단독의 에어클리너 케이스나 장착스테이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23c는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의 외측케이스이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는 이 경우에도 요동하는 내연기관유닛(17의 일부인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와 함께 요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를 연결하는 2차공기도입관(고무호스)(38)은 내연기관유닛(17)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또 2차공기공급관(37) 전체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다음에,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7 및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4)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4에 있어서는 실시형태3과 달리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가,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와, 각각의 공기청정화실(35g, 23d)이 상호 분리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공기청정화실(35g, 23d)은 공통의 공기흡입구(23e)를 가지고 있다. 참조번호(23f)는 공통의 내측케이스(23b)에 세워져 설치되며, 이들 양 공기청정화실(35g, 23d)을 분리하는 간막이벽(23g)은 양 공기청정화실(35g, 23d)에 걸쳐서 배치된 필터이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형태3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연기관(20)의 배기가스정화를 위해 배기시스템에 공급되는 2차공기의 공급시스템과, 내연기관(20)의 연소용 공기로서 흡기시스템에 공급되는 1차공기의 공급시스템 사이에서의 상호간섭이 방지된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의 각 공기흡입구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다음에 도 10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5)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5에 있어서는 실시형태4와 달리 상기 양 공기청정화실(35g, 23d)이 별도의 공기흡입구(35h,23h)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양 공기청정화실(35g, 23d)은 공통의 내측케이스(23b)에 세워져 설치된 간막이벽(23i)과, 공통의 외측케이스(23c)에 세워져 설치된 간막이벽(23j)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를 위한 필터(35i),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를 위한 필터(23k)가 별도로 설치되고, 그들의 내측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간막이벽(23i)의 선단부에 반대방향에 형성된 홈에 고정 지지되고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형태4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5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2차공기의 공급시스템과 1차공기의 공급시스템 사이에서의 상호간섭이 좀더 방지된다.
다음에, 도 11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10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6)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6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 내지 실시형태5와 달리,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가 리어프레임(11), 내연기관(20)의 슈라우드(47) 및 보디 커버(14) 사이의 빈 공간에 배치되도록 리어프레임(11)에 볼트 및 너트 등을 사용한 연결수단(46)에 의해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의 사이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고무호스)(3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형태1와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6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를 리어프레임(11)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머플러 본체부(30) 및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23) 주변의 외관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7)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7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 내지 실시형태6과 달리,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가 내연기관(20)의 슈라우드(47) 우측면에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한 연결수단(48)에 의해 장착 설치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형태1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슈라우드(47)는 내연기관(20)의 실린더부를 덮고 있으며, 프론트 혹은 좌측면에 형성된 냉각풍 취입구로부터 외기가 팬에 의해 흡인되고, 슈라우드(47)를 통하여 흐르며 실린더부를 강제 냉각하도록 되어 있다(도시생략).
본 실시형태7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는 내연기관(20)과 함께 요동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를 접속하는 2차공기공급관 부분(고무호스)(38)은 내연기관유닛(17)의 요동으로 인한 신축을 흡수할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없어져서 그 길이를 단축할 수 있으며, 또 2차공기공급관(37)의 전체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는 머플러 본체부(30)가 있는 쪽과 같은 쪽의 슈라우드(47) 우측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를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서 2차공기공급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4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8)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8에 있어서는 실시형태7과 달리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가 내연기관(20)의 슈라우드(47)의 외벽에 이것과 일체로 형성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의 내측케이스(35j)는 내연기관(20)의 슈라우드(47)의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케이스(35k)는 필터(35l)의 장착 및 보수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별개로 형성되어 있다. 그밖의 구성은 실시형태7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8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 단독의 에어클리너 케이스나 장착스테이 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 다음에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본원의 청구항 13 및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의 일 실시형태(실시형태9)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9에 있어서는 실시형태1 내지 실시형태8과 달리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가 플로어(3) 하부의 다운프레임(10)의 수평연장부에 상기 다운프레임(10)으로부터 연장된 스테이와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한 연결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장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 리드밸브(36)를 내연기관(20)의 배기관(27)에 형성된 2차공기도입구(34)(도16참조)에 접속하는 2차공기도입관(37)은 내연기관유닛(17)의 행거링(18) 근방을 통해 배관되어 있다.
또, 여기서 도 15 및 도 16은 연직보다 약간 후방으로 기울어져 배치된 직립형 내연기관(20)을 구비한 소형 자동2륜차에 본 장치가 적용된 경우를, 도17은 수평보다 약간 세워져서 배치된 수평형 내연기관(20)을 구비한 소형 자동2륜차에 본 장치가 적용된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9에 있어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나 리드밸브(36)의 보수 유지를 행할 때에는 언더커버(50)(도 15, 도 17)를 분리하고 행한다.
본 실시형태9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35)와 리드밸브(36)를 내연기관유닛(17)의 행거링(18) 근방에 합쳐서 배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차공기공급관(37)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2차공기공급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는 보디 커버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치되므로, 그 보수 유지 작업시에 보디 커버를 착탈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 그 형상, 용량을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들면 소음효과에 알맞는 형상, 용량으로 하고,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전달되는 내연기관의 배기음이나 역지밸브의 진동음의 소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8)

  1.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또 그 중도에 역지밸브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머플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상기 머플러에 추가로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3.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또 그 중도에 역지밸브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역지밸브가 머플러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동력전달장치의 케이스 상에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앞뒤로 나란히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상기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상기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1개의 공기청정화실을 공용하도록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상기 흡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각각의 공기청정화실이 분리되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기청정화실이 공통의 공기흡입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공기청정화실이 별도의 공기흡입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리어프레임에 설치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내연기관의라우드(shroud)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가 상기 내연기관의라우드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3.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그 선단부가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에 연결되고 또 그 중도에 역지밸브가 끼워진 2차공기공급관을 통해 2차공기를 공급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와 상기 역지밸브가 플로어의 하부에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2차공기공급관이 내연기관유닛의 행거링 근방을 통해 배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머플러가 머플러 본체부와 배기관부로 이루어지고, 이들 머플러 본체부와 배기관부가 착탈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공기공급관은 상기 역지밸브로부터 상기 배기시스템에 이르기까지의 사이가 상기 역지밸브측의 가성 호스와 상기 배기시스템측의 금속제 파이프를 접속함으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7. 제1항 내지 제12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연기관2사이클 내연기관이고, 촉매가 머플러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시스템용 에어클리너는 그 실(室)내의 클린실측이 일련으로 연통하는 다수의 실로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자동2륜차의 배기시스템에 대한 2차공기공급장치.
KR1019980009768A 1997-04-24 1998-03-20 소형자동2륜차의배기시스템에대한2차공기공급장치 KR1002960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31597A JP3932439B2 (ja) 1997-04-24 1997-04-24 小型自動二輪車の排気系への2次空気供給装置
JP97-107315 1997-04-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511A KR19980080511A (ko) 1998-11-25
KR100296014B1 true KR100296014B1 (ko) 2001-09-06

Family

ID=1445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768A KR100296014B1 (ko) 1997-04-24 1998-03-20 소형자동2륜차의배기시스템에대한2차공기공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932439B2 (ko)
KR (1) KR100296014B1 (ko)
CN (2) CN1239816C (ko)
DE (1) DE19808500C2 (ko)
IT (1) ITTO980205A1 (ko)
TW (1) TW3879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0361B2 (ja) * 1999-06-07 2009-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吸気構造
JP4210472B2 (ja) * 2002-05-24 2009-0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二次空気供給装置
EP2159390B1 (en) * 2004-02-24 2011-04-13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Exhaust gas purifying device for engine
DE102004036083B4 (de) * 2004-07-24 2016-05-25 Audi Ag Ansaugvorrichtung
CN100443701C (zh) * 2005-03-18 2008-12-17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排气净化装置
JP2006291950A (ja) * 2005-03-18 2006-10-26 Yamaha Motor Co Ltd 排気ガス浄化装置
JP4520404B2 (ja) * 2005-09-28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2次空気供給装置
JP5002351B2 (ja) * 2007-06-28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スクータ型車両
JP5078769B2 (ja) * 2008-06-20 2012-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EP2159393B1 (en) * 2008-08-29 2011-02-23 Yamaha Motor Research & Development Europe s.r.l.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motorcycle and a motorcycle equipped with such a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JP2015113074A (ja) * 2013-12-13 2015-06-2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鞍乗型車両
DE102014207167A1 (de) 2014-04-15 2015-10-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saugvorrichtung mit formal integriertem Luftführungsansaugkanal
BR112019001337B1 (pt) * 2016-08-10 2023-04-18 Honda Motor Co., Ltd Estrutura de escape para veículo para montar
JP6458069B2 (ja) * 2017-03-13 2019-01-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エアクリーナ
CN214533262U (zh) * 2020-11-16 2021-10-29 浙江春风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摩托车
USD1013581S1 (en) * 2021-03-18 2024-02-06 Cake 0 emission AB Electric motorcycle
USD999113S1 (en) * 2021-11-03 2023-09-19 Vmoto Europe B.V. Motorcycle
USD1025839S1 (en) * 2022-11-08 2024-05-07 Piaggio & C. S.P.A. Motor scoot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1325B2 (ja) * 1976-09-03 1983-07-05 株式会社資生堂 染毛剤
JP2700941B2 (ja) * 1990-06-13 1998-0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系2次空気供給装置
JP3127527B2 (ja) * 1991-11-13 2001-01-29 スズキ株式会社 スクータの排気浄化装置
JPH05139364A (ja) * 1991-11-15 1993-06-08 Suzuki Motor Corp スクータの排気浄化装置
JP3312927B2 (ja) * 1992-05-28 2002-08-12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排気浄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980205A1 (it) 1999-09-11
JP3932439B2 (ja) 2007-06-20
CN1093217C (zh) 2002-10-23
CN1239816C (zh) 2006-02-01
CN1197155A (zh) 1998-10-28
CN1419040A (zh) 2003-05-21
JPH10299471A (ja) 1998-11-10
KR19980080511A (ko) 1998-11-25
DE19808500A1 (de) 1998-11-05
TW387968B (en) 2000-04-21
DE19808500C2 (de) 200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6014B1 (ko) 소형자동2륜차의배기시스템에대한2차공기공급장치
JP4282968B2 (ja) 低床式車両の排気管構造
JPS6345355B2 (ko)
JP2528288B2 (ja)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ナ装置
CA2442432C (en) Air cleaner and air intake structures for low-deck vehicle
JP3933875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1234747A (ja) 自動二輪車用4サイクルエンジンのオイルフィルタおよびオイルクーラ取付け構造
JPH05321657A (ja) 自動二輪車の2次空気供給装置
US4469189A (en) Motorcycle with turbo-charger
JP4456242B2 (ja) コンバイン
JP428036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の吸気構造
WO2022190252A1 (ja) V型エンジン及び作業機
JP389089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2次空気供給装置
JPH0996217A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WO2022190251A1 (ja) V型エンジン及び作業機
EP0805100A3 (en) Motorcycle
JP2020029840A (ja) エアクリーナー
JPS6215462Y2 (ko)
WO2022190250A1 (ja) V型エンジン及び作業機
WO2022190253A1 (ja) V型エンジン及び作業機
JP7465905B2 (ja) エアクリーナ装置
JP6638776B1 (ja) 自動二輪車
ES2296052T3 (es) Filtro de aire para un vehiculo.
JP2003293761A (ja) 車両用エンジン
JPH01237275A (ja)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