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7371B1 - 칩부품도입장치 - Google Patents

칩부품도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7371B1
KR100277371B1 KR1019970069049A KR19970069049A KR100277371B1 KR 100277371 B1 KR100277371 B1 KR 100277371B1 KR 1019970069049 A KR1019970069049 A KR 1019970069049A KR 19970069049 A KR19970069049 A KR 19970069049A KR 100277371 B1 KR100277371 B1 KR 100277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oduction
chip
component
chip compon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157A (ko
Inventor
고지 사이토
다로 야스다
히로유키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다 미쓰구, 다이요 유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다 미쓰구
Publication of KR1998006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8Simultaneously loading a plurality of loose objects, e.g. by means of vibrations, pressure differences,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칩부품 도입장치는 수납실내에 벌크 상태로 수납된 각주형상의 칩부품을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한다. 제 1 도입부재(3)와 제 2 도입부재(4)를 서로의 평면이 면접촉한 상태로 상대적으로 상하이동시키면, 양 도입부재(3과 4)의 평면에 면접촉하고 있는 칩부품(P)이 가이드면(3b와 4b)을 이용하여 서서히 중앙으로 유도하고, 상기 칩부품이 홈(3a와 4a)으로 구성된 통로(T)내에 길이방향에서 도입되어 상기 방향 그대로 상기 통로(T)내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한다.

Description

칩 부품 도입장치{CHIP COMPONENTS INTRODUC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납실내에 벌크 상태로 수납된 각주형상의 칩 부품을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칩 부품 도입장치는 벌크 피더등의 칩 부품 공급장치에 있어서의 부품 도입기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칩 부품 도입장치를 개시한 것으로서, 일본국 특개평6-232596호가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칩 부품 도입장치는 다수의 칩 부품을 벌크 상태로 수납한 수납 박스와, 수납 박스의 하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부품 도입관과, 부품 도입관의 안쪽에 배치된 부품 반송관을 구비하고 있다.
이 칩 부품 도입장치는 부품 도입관을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수납 박스내의 칩 부품을 길이방향에서 한 개씩 부품 도입 관내로 도입하고, 도입한 칩 부품을 부품 반송관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칩부품 도입장치는 원주형상의 칩 부품을 도입 대상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2(a)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주형상의 칩 부품을 취급하기에는 매우 적합하지 않다.
즉, 도 2(a)와 (b)에 나타낸 각주형상의 칩 부품의 경우에는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제외하는 4측면의방향을 정리하여 도입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도입 자세의 제어를 행할 수 없다.
도입 자세의 제어를 행하기 위하여 상기 부품 도입관과 상기 부품 반송관의 내공 단면형을 칩 부품의 단면형상에 맞추는 것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부품 반송관의 바깥쪽에 있어서 부품 도입관을 상하 이동시키는 상기 장치에서는 각주형상의 칩부품을 부품 도입관으로 도입할 확률이 낮기 때문에 도입 실수를 빈번하게 일으킬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주형상의 칩 부품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할 수 있는 칩 부품 도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납실내에 벌크 상태로 수납된 각주형상의 칩 부품을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에 있어서, 서로의 면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두 개의 도입부재와;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간에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가 면접촉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수납실내의 칩 부품을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키는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접촉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칩 부품을 상기 통로의 상단을 향하여 유도하는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그것 이외의 목적과, 특징과, 이익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하여 분명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칩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2(a)와 (b)는 칩 부품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4(a)와 (b)는 가이드 부재의 배치 형태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도입부재와 부품 가이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부분 확대 상면도,
도 8은 도 3에 대응하는 동작 설명도,
도 9(a) 내지 (e)는 부품 도입 작용의 설명도,
도 10은 도 7에 대응하는 동작 설명도,
도 11(a)와 (b)는 가이드면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부분 단면도,
도 12는 도입부재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사시도,
도 13(a)와 (b)는 도입부재의 동작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종단면도,
도 14(a)와 (b)는 도입부재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종단면도와 사시도,
도 15는 도입부재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칩 부품 공급장치의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 상면도,
도 19는 도 16에 나타낸 도입부재와 파이프의 부분 사시도,
도 20은 도 16에 나타낸 파이프와 부품 가이드와 벨트 가이드의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21은 도 16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 측면도,
도 22는 도 16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일부를 파단한 부분 확대 상면도,
도 23은 도 16에 대응하는 동작 설명도,
도 24 (a)와 (b)는 도 16에 나타낸 칩 부품 공급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와 그 동작 설명도,
도 25 (a) 내지 (d)는 부품 도입 작용의 설명도,
도 26은 도 22에 대응하는 동작 설명도,
도 27 (a)와 (b)는 진동 부여 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의 정면도와 도입부재의 배면도,
도 28(a)와 (b)는 도 27 (a)와 (b)에 나타낸 진동 부여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29(a)와 (b)는 진동 부여 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스페이서의 정면도와 도입부재의 배면도,
도 30(a)와 (b)는 도 29(a)와 (b)에 나타낸 진동 부여 기구의 동작 설명도,
도 31(a)와 (b)는 도입부재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부분 종단면도와, 그 b-b선 화살표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32는 도입부재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부분 종단면도,
도 33(a)와 (b)는 도입부재의 상단 홈의형상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부분 정면도,
도 34 (a)와 (b)는 도입부재의 동작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입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을 칩 부품 공급장치에 적용한 제 1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동도에서의 부호 1은 프레임, 2는 호퍼, 3은 제 1 도입부재, 4는 제 2 도입부재, 5는 제 1 부품 가이드, 6은 제 2 부품 가이드, 7은 벨트 가이드, 8은 벨트, 9는 전후 한쌍의 풀리, 10은 부품 스토퍼, 11은 제 2 도입부재(4)를 상하이동시키는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 12는 벨트(8)를 간헐 이동시키는 벨트 이송 기구, 13은 부품 스토퍼(10)를 전후로 왕복이동시키는 부품 스토퍼 변위 기구이다.
프레임(1)은 후기하는 각 구성 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의 하면에는 장치 설치 상대(도시 생략)에 마련된위치 결정구멍에 삽입되는 두 개의 설치핀(1a)이 마련되어 있다.
호퍼(2)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측면을 프레임(1)에 착탈 자유롭게 고정하고 있다. 이 호퍼(2)는 수납실(2a)과 상기 수납실(2a)의 상단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덮개판(2b)과, 수납실(2a)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된 도입부재용 삽입구멍(2c)을 구비하고 있다. 호퍼(2)의 적어도 앞면은 투명하고, 수납실(2a)내의 부품량을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삽입구멍(2c)의 가로 단면형은 제 1 도입부재(3)와 제 2 도입부재(4)의 서로의 평면을 면 접촉시켰을 때의 가로 단면형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상기 수납실(2a)내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길이>폭>높이>의 관계를 가지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 예를 들어 칩 콘덴서, 칩 인덕터, 칩 저항기등으로 대표되는 칩 부품(P)의 한 종류가 벌크 상태로 다수개 수납되어 있다. 칩 부품(P)은 외부 전극이나 내부 도체등을 가지고 있고, 후기하는 영구자석(M)에 의하여 흡착할 수 있다. 이 수납실(2a)내에 수납된 칩 부품(P)은 부품 공급에 따라 바닥면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이동한다. 물론 후기하는 통로(T)의 가로 단면형상을 바꾸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길이>폭=높이의 관계를 가지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도입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 도입부재(3)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폭,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직방체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1 도입부재(3)는 제 1부품 가이드(5)에 그 하단을 고정하고, 그 상단이 상기 삽입구멍(2c)의 상단보다도 약간 낮아지는 것 같은위치관계로 상기 삽입구멍(2c)내로 수직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도입부재(4)와 면 접촉하는 제 1 도입부재(3)의 평면에는 소정의 폭 및 깊이를 가지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3a)이 그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에는 구면의 1/4정도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3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3b)의 가장 깊은 부분은 홈(3a)의 상단과 연속되어 있다.
제 2 도입부재(4)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입부재(3)와 동일 폭 및 두께와 제 1 도입부재(3)보다도 짧은 길이를 가지는 직육면체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제 2 도입부재(4)는 제 1부품 가이드(5)에 하단을 접하고, 그 상단이 상기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 보다도 약간 낮아지는 듯한위치 관계로 상기 삽입구멍(2c)내에 수직으로 또한 상하 이동가능하게 끼워 통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도입부재(3)와 면 접촉하는 제 2 도입부재의 평면에는 제 1 도입부재(3)의 홈(3a)과 동일 폭 및 깊이를 가지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4a)이 그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도입부재(4)의 상단에는 구면의 1/4정도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4b)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4b)의 가장 깊은 부분은 홈(4a)의 상단과 연속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제 2 도입부재(3과 4)에 형성된 홈(3a과 4a)은 두 개의 도입부재(3과 4)의 평면을 면 접촉한 상태에서 수직인 통로(T)를 구성한다. 이 통로(T)의 가로 단면형은 칩 부품(P)의 단면형상과 서로 비슷한 형이며,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길이방향에서 또한 가장 면적이 넓은 면의 한쪽이 제 1 도입부재(3)측을 향하고, 또한 다른 쪽이 제 2 도입부재(4)측을 향하는 자세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또 가이드면(3b와 4b)을 구성하는 곡면의 곡율에 관해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수납실(2a)내의 칩 부품(P)을 상기 통로(T)를 향해 원활하게 유도하려면 칩 부품(P)의 6면중 어느것 과도 면 접촉하지 않는 곡률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부품 가이드(5)는 도 1, 도 3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8)의 위쪽에 있어서, 그 측면을 프레임(1)에 고정하고 있다. 이 제 1부품 가이드(5)는 상기 통로(T)의 하단과 연속되고, 또한 통로 중심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만곡 통로(5a)를 내부에 가지고 있다. 이 만곡 통로(5a)는 측면에서 보아 90도 미만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그 가로 단면형은 상기 통로(T)의 가로 단면형과 대략 일치 또는 이것보다도 약간 크다. 즉 만곡 통로(5a)는 통로(T)로부터의 칩 부품 (P)을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킬 수 있고, 상기 자체 중량 통과일 때는 칩 부품(P)의 자세를 수직에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까지 변경할 수 있다. 또 만곡 통로(5)의 벨트 근방 부분은 상기 만곡 통로(5)로부터 벨트(8)로의 부품 도출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벨트 표면과 평행하게 절결되어 있다.
또 제 1부품 가이드(5)에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얇은 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5b)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5b)는 그 하단을 만곡 통로(5a)의 상단 개구에 고정하고, 그 상부를 제 2 도입부재(4)의 4a내에 삽입 배치하고 있다. 이 가이드 부재(5b)는 제 2 도입부재(4)가 상승하였을 때 상기 제 2 도입부재(4)와 제 1부품 가이드(5)사이에 생기는 간극을 매움과 동시에 상기 통로(T)내를 이동하는 칩 부품(P)을 아래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a)와 (b)는 상기 가이드 부재(5b)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4(a)의 것은 가이드 부재(5b)의 외면이 도입 홈(4a)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b)의 것은 도입 홈(4a)의 내면에 가이드 부재(5b)의 두께에 상당하는 오목부(4c)를 마련하여 상기 오목부(4c)에 가이드 부재(5b)를 끼워 넣도록 하고 있다. 어느 경우도 가이드 부재(5b)의 두께는 상기 통로(T)와 칩 부품(P)의 클리어런스보다도 얇다. 또 가이드 부재(5b)의 상단에는 칩 부품(P)과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따기 또는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제 2부품 가이드(6)는 도 1, 도 3,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8)의 상측에 있어 그 측면을 프레임(1)에 고정하고 있다. 이 제 2부품 가이드(6)는 상기 만곡 통로(5a)의 하단과 연속하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직선홈(6a)을 하면에 가지고 있다. 이 직선홈(6a)은 그 하면 개구를 벨트(8)로 폐색함으로써 반송통로(X)가 된다. 이 반송통로(X)의 가로 단면형은 상기 만곡 통로(5a)의 가로 단면형과 거의 일치하고 있고, 상기 만곡 통로(5a)로부터의 칩 부품(P)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벨트 이동에 따라 앞쪽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또 직선홈 (6a)의 앞쪽 끝에는 선두의 칩 부품(P)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부품 인출구(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홈(6a)의 앞부 측면에는 후기하는 부품 지지핀(13f)을 끼워 통하기 위한 구멍(6c)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7)는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8)의 하측에서 그 측면을 프레임(1)에 고정하고 있다. 이 벨트 가이드(7)는 벨트(8)의 폭 및 두께 보다도 약간 큰 소정의 폭 및 깊이의 직선홈(7a)을 상면에 가지고 있다. 이 직선홈(7a)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제 2부품 가이드(6)의 직선홈(6a)의 폭방향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벨트(8)는 도 1, 도 3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 또는 연질 수지등으로 형성된 비자성이고 또한 끝이 없는 모양의 평벨트 또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진다. 이 벨트(8)는 벨트 가이드(7)의 전후위치에 있어서 프레임(1)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한쌍의 풀리(9)에 감겨지고, 그 상측 부분을 벨트 가이드(7)의 직선홈(7a)내에위치하고, 감김인장에 의하여 상기 부분을 제 1, 제 2부품 가이드(5와 6)의 하면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접하고 있다.
부품 스토퍼(1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부품 가이드(6)의 직선홈(6a)의 깊이와 동등한 두께를 가지는 비자성의 장방형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부품 스토퍼(10)는 그 한쪽 끝을 핀(10a)을 개재하여 스토퍼지지 부재(10b)에 지지되고, 직선홈(6a)의 앞쪽 위치에서 벨트 표면과 평행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부품 스토퍼(10)는 스토퍼지지 부재(10b)와의 사이에 인장설치한 코일 스프링(S1)에 의하여 도 7중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그 일면을 부품 인출구(6b)의 앞쪽 끝에 접촉하였을 때(도 10참조), 소기의 부품 정지위치를 확보한다. 또한 부품 스토퍼(10)의 선두의 칩 부품(P)과 마주 보는위치에는 직육면체형상의 희토류 영구자석(M)이 그 N, S극의 한쪽이 선두의 칩 부품(P)과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영구자석(M)으로서 높이가 부품 스토퍼 (10)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고, 또한 폭이 칩 부품(P)의 폭보다도 큰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영구자석(M)의 높이는 부품(P)의 높이 이하이어도 되고, 폭도 칩 부품(P)의 폭이하로 하여도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예의 것에서는 반송통로(X)내에 존재하는 칩 부품(P)을 외부로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게 부품 스토퍼(10)를 회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스토퍼지지 부재(10b)를, 그 한쪽 끝을 핀(10c)을 개재하여 제 2부품 가이드(6)의 앞부에 상측방향으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지지 부재(10b)는 제 2부품 가이드(6)의 앞쪽 끝에 설치한 판 스프링(10d)에 그 앞부분을 걸어 맞춤으로써 부품 스토퍼(10)를 벨트 표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판 스프링 (10d)과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스토퍼지지 부재(10b)를 위쪽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부품 스토퍼(10)를 벨트(8)로부터 이간할 수 있다. 즉 스토퍼지지 부재(10b)의 위쪽 회동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10)를 벨트(8)로부터 위쪽으로 떼어 내면, 반송통로 (X)내에 존재하는 칩 부품(P)을 그 앞쪽 끝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11)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 (11a)와 조작레버(11a)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핀(11b)과 조작레버(11a)의 회동 한계위치를 규정하기 위한위치 결정 스토퍼(11c)와 조작레버(11a)를 도면중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S2)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레버(11a)는 핀(11b)을 개재하여 그 중앙부를 프레임(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선단을 제 2 도입부재(4)에 회동 자유롭게 걸어 맞추고 있다. 이 조작레버(11a)는 상하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고, 대기상태에서는 스프링 (S2)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2 도입부재(4)의 하단을 제 1 부품 가이드(5)의 상면에 눌러접촉하고 있다.
이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11)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 (11a)의 끝부에 외력(도 8중 투명 화살표 참조)을 가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11a)를 핀(11b)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 2 도입부재(4)를 하강위치로부터 위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도 8의 상태에서 조작레버(11a)의 한쪽 끝부의 힘을 해제함으로써 코일 스프링(S2)의 가세력에 의하여 제 2 도입부재(4)를 상승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도 3의 대기 상태로 복귀 시킬 수 있다.
벨트 이송 기구(12)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12a)와 상기 조작레버(12a)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된 중계레버(12b)와, 상기 중계레버(12b)에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고, 또한 앞쪽 풀리(9)와 동일축에서 회동 가능한 휠 작동레버(12c)와, 상기 휠 작동레버(12c)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걸어 맞춤 포올(12d)과 앞쪽 풀리(9)에 동축상에 고정된 래칫휠(12e)과 조작레버(12a)의 복귀위치를 규정하기 위한위치 결정 스토퍼(12f)와, 조작레버(12a)의 회동 한계위치를 규정하기 위한위치 결정 스토퍼(12g)와, 조작레버(12a)를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S3)과 걸어 맞춤 포올(12d)을 래칫휠 (12e)의 골부에 눌러접촉하는 코일 스프링(S4)으로 구성되어 있다.
조작레버(12a)는 핀(12h)을 개재하여 그 중앙부를 프레임(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 조작레버(12a)는 상하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대기 상태에서는 코일 스프링(S3)의 가세력에 의하여 위치결정 스토퍼(12f)에 접촉되어 있다. 또 래칫휠(12e)의 둘레면에는 골부와 산부가 소정의 각도피치로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이 벨트 이송기구(12)에서는 조작레버(12a)의 끝부에 외력(도 1중의 투명 화살표)을 가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12a)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중계레버(12b)를 개재하여 휠작동레버(12c)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휠작동레버(12c)의 걸어 맞춤 포올(12d)에 걸어 맞추는 래칫휠(12e)을 앞쪽 풀리(9)와 함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시켜 벨트(8)를 회동각에 따른 거리만큼 구체적으로는 칩 부품(P)의 길이보다도 큰 소정거리 만큼 전진시킬 수 있다. 또 조작레버(12a)의 끝부에 대한 힘을 해제함으로써 코일 스프링(S3)의 가세력에 의하여 중계레버(12b)를 개재하여 휠 작동레버(12c)를 회동 복귀시키고, 상기 휠 작동레버(12c)의 걸어 맞춤 포올(12d)을 시계 회전방향에 인접하는 골부로 이행시켜 다시 걸어 맞출 수 있다.
부품 스토퍼 변위 기구(13)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풀리(9)에 동축상에 고정된 캠휠(13a)과 핀(13b)에 의하여 프레임(1)의 측면에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스토퍼 작동레버(13c)와, 스토퍼 작동레버(13c)를 앞쪽으로 가세하여 그 작동돌기(13c1)를 캠휠(13a)의 둘레면에 눌러접촉하는 코일 스프링 (S5)과, 핀(13d)을 개재하여 제 2 부품 가이드(6)의 앞부분에 수평이동 자유롭게 설치한 핀 작동레버(13e)와, 핀 작동레버(13e)를 도 7중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S6)과, 직선홈(6a)의 앞부 측면에 마련된 구멍(6c)에 삽입된 부품 유지핀(13f)과, 부품 유지핀(13f)을 바깥쪽으로 가세하는 코일 스프링(S7)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휠(13a)의 둘레면에는 래칫휠(12e)과, 동일한 각도 피치로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또 코일 스프링(S6과 S7)에는 S6>S7의 힘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스토퍼 작동레버(13c)가 앞쪽 위치에 있는 대기 상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작동레버(13c)의 작동 돌기(13c1)는 코일 스프링(S5)의 가세력에 의하여 캠휠(13a)의 한 개의 골부에 눌러접촉되어 있다. 이로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작동레버(13e)가 코일 스프링(S6)에 의하여 도면중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부품 유지핀(13f)이 코일 스프링(S7)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직선홈 (6a)내로 밀어 넣어지고, 상기 부품 유지핀(13f)에 의하여 선두에서 2번째의 칩 부품(P)이 직선홈(6a)의 내면으로 꽉 눌러 동위치로 유지되어 있다. 또 스토퍼 작동레버(13c)의 가압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10)는 코일 스프링(S1)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앞쪽(부품 인출위치에서 앞쪽으로 이간된 부품 인출위치)으로 변위되어 지고, 선두의 칩 부품(P)은 영구자석(M)에 흡착된 상태로 부품 스토퍼(10)와 함께 앞쪽으로 변위하여 2번째 칩 부품(P)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 부품 스토퍼 변위 기구(13)에서는 캠휠(13a)이 상기한 벨트 이송 기구(13)의 래칫휠(12e)과 함께 소정의 각도 피치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간헐 회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캠휠(13a)의 골부와 산부의 기복을 이용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3c)를 대기위치로부터 소정 각도뒤쪽으로 회동시키고, 그리고 뒤쪽 회동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스토퍼 작동레버(13c)가 대기위치로부터 뒤쪽회동할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스토퍼(10)가 코일 스프링(S1)의 가세력에 의하여 부품 인출구 (6b)의 앞쪽 끝에 접촉하여 부품 정지위치가 확보된다. 이와 동시에 핀 작동레버 (13e)의 뒤쪽 끝의 작동돌기(13e1)가 스토퍼 작동레버(13c)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 (S6)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안쪽으로 밀어 넣어져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부품 유지핀(13f)이 코일 스프링(S7)의 가세력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2번째 칩 부품(P)의 유지가 해제되어 반송통로(T)에 있어서의 칩 부품 (P)의 정렬 반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상기한 칩 부품 공급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11)의 조작레버(11a)의 끝부와, 벨트 이송기구(12)의 조작레버(12a)의 끝부는 흡착노즐 등에 의하여 선두의 칩부품(P)을 부품 인출구(6)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흡착노즐 등의 일부 또는 다른 구동기구에 의하여 동시에 가압된다.
제 2 도입부재(4)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입부재(4)의 상단은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이때 제 2 도입부재(4)의 상단은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다. 이때 제 2 도입부재(4)의 상단과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의 거리는 칩 부품(P)의 길이보다도 크고, 양자의 단차 부분에는 소량의 칩 부품(P)이 들어가 있게 된다. 이 단차 부분에 들어간 칩 부품(P)의 자세는 다양하나, 도 9(a)와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개인가의 칩 부품(P)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면을, 상기 단차 부분에 노출한 제 1 도입부재(3)의 평면에 면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11)의 조작레버(11a)의 단부가 가압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1a)의 회동에 의하여 제 2 도입부재(4)가 제 1 도입부재(3)와 면 접촉한 상태 그대로 하강위치로부터 소정 스트로크 상승하여 그 상단이 수납실(2a)내로 약간 들어간다.
제 2 도입부재(4)가 하강위치로부터 상승위치까지 직선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입부재(4)에 의하여 단차 부분으로 들어가 있던 칩 부품(P)이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고, 또한 수납실(2a)내의 수납 부품이 해제 작용을 받는다.
또 상기 과정에서는 제 1 도입부재(3)의 평면에 면접촉하고 있던 칩부품(P)이 도 9(c)와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하는 제 2 도입부재(4)의 가이드 면(4b)에 의하여 서서히 중앙으로 유도되고, 그리고 홈(3a와 4a)으로 구성된 통로(T)내에 길이방향으로 도입되고, 그방향 그대로 상기 통로(T)내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한다.
제 2 도입부재(4)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도입부재(4)의 상단은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보다도 높은위치에 있다. 이때 제 2 도입부재(4)의 상단과 제 1 도입부재(3)의 상단과의 거리는 칩부품(P)의 길이보다도 크고, 양자의 단차부분에는 소량의 부품(P)이 들어가 있게 된다. 이 단차 부분에 들어간 칩 부품(P)의 자세를 다양하나, 도 9(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몇 개인가의 칩 부품(P)은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는 면을 상기 단차 부분으로 노출한 제 2 도입부재(4)의 평면에 면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11)의 조작레버(11a)의 끝부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1a)의 복귀에 의하여 제 2 도입부재 (4)가 제 1 도입부재(3)와 면 접촉한 상태 그대로, 상승위치에서 소정 스트로크 하강하여 복귀한다.
제 2 도입부재(4)가 상승위치로부터 하강위치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도입부재(4)의 하강에 의하여 수납 부품 전체가 강하하고, 양 도입부재(3과 4)의 단차 부분에 다시 소량의 칩 부품(P)이 들어가게 된다.
또 상기 과정에서는 제 2 도입부재(4)의 평면에 면 접촉하고 있던 칩 부품(P)이 도 9(c)와 (d)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상승하는 제 1 도입부재(3)의 가이드 면(36)에 의하여 서서히 중앙으로 유도되고, 그리고 홈(3a과 4a)에 의하여 구성된 통로(T)내에 길이방향으로 도입되고 상기 방향 그대로 상기 통로(T)내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한다.
이와 같이 양 도입부재(3과 4)의 홈(3a와 4a)에 의하여 구성된 통로(T)내로의 칩 부품(P)의 도입은 제 2 도입부재(4)의 상승 과정과 하강 과정의 양쪽에서 행하여진다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은 길이방향에서 또한 가장 면적이 넓은 면의 한쪽이 제 1 도입부재(3)측을 향하고, 또한 다른쪽이 제 2 도입부재(4)측을 향하도록 하는 자세로 통로(T)내로 한 개씩 도입된다.
통로(T)내에 길이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된 칩 부품(P)은 상기 통로(T)내를 가이드 부재(5b)로 안내되면서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 통과하고, 만곡 통로(5a)내로 상기 방향 그대로 들어간다. 만곡 통로(5a)내로 들어간 칩 부품(P)은 상기 만곡 통로(5a)내를 곡률을 따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하면서, 그 자세를 수직에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까지 변경한다. 만곡 통로(5a)내를 통과한 후의 칩 부품 (P)은 그 한쪽 끝부를 벨트(8)의 표면에 접촉하고, 후속하는 칩 부품(P)은 그후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도 3 참조).
한편, 벨트 이송 기구(12)의 조작레버(12a)의 끝부가 가압될 때에는 중계레버(12b)와 휠 작동레버(12c)의 회동에 의하여 걸어 맞춤 포올(12d)이 걸어 맞춰지는 래칫 휠(12e)이 앞쪽 풀리(9)와 함께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고, 벨트(8)가 회동각에 따른 거리, 구체적으로는 칩 부품(P)의 길이 보다도 큰 거리를 앞쪽으로 이동한다.
벨트(8)가 앞쪽으로 소정 거리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벨트(8)의 표면에 한쪽 끝부를 접촉하는 칩 부품(P)이 벨트(8)와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앞쪽으로 인출되어 벨트(8)상에 가로 걸쳐지고, 다음의 칩 부품(P)이 벨트(8)의 표면에 한쪽 끝부를 접촉한다(도 8참조).
벨트(8)의 간헐 이동은 조작레버(12a)가 가압될 때마다 즉 부품 인출구(6b)로부터 선두의 칩부품(P)이 인출될 때마다 반복되기 때문에 만곡 통로(5a)내에서 연결되는 칩 부품(P)은 순차 앞쪽으로 인출된다. 이로써 복수의 칩 부품(P)이 제 2부품 가이드(6)의 직선홈(6a)에 의하여 정렬 작용을 받으면서 일렬로 정렬하고, 이 정렬 상태 그대로 벨트(8)의 간헐 이동에 맞추어 앞쪽으로 반송된다.
한편, 벨트 이송 기구(12)의 래칫휠(12e)이 앞쪽 풀리(9)와 함께 회동하여 벨트(8)가 앞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이것과 같은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는 부품 스토퍼 변위 기구(13)의 캠휠(13a)에 의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3c)가 뒤쪽으로 회동하고, 그리고 뒤쪽 회동위치로부터 복귀한다.
캠휠(13a)의 골부로부터 시계회전방향에 인접하는 산부에 이르는 경로를 이용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3c)가 뒤쪽으로 회동할 때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가세력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10)가 뒤쪽으로 변위되고, 그 후 끝면이 부품 인출구(6b)의 앞쪽 끝에 접촉하여 소기의 부품 정지위치가 확보된다. 즉 벨트(8)에 의하여 반송되는 칩 부품(P)은 선두의 칩 부품(P)이 부품 스토퍼(10)에 접촉한 곳에서 정지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극 없이 일렬로 정렬하고, 선두의 칩 부품(P)은 영구자석(M)의 자력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10)에 흡착된다. 또 벨트 (8)의 1회전의 앞쪽 이동량이 칩 부품(P)의 길이 보다도 크기 때문에 부품 정지후도 부품접촉면과의 슬라이딩을 이용하여 상기 벨트(8)만이 약간 전진한다. 따라서 만일 반송통로(X)내의 칩 부품간에 간극이 생겼다고 하여도 상기 간극은 신속하게 없앨 수 있다.
또 캠휠(13a)의 산부에서 시계 회전방향에 인접하는 골부에 이르는 경로를 이용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3c)가 복귀할 때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작동레버(13e)의 회동 복귀에 의하여 부품 유지핀(13f)의 앞쪽 끝이 직선홈(6a)내로 돌출하여 2번째의 칩 부품(P)이 유지된다. 이것과 거의 동시에 부품 스토퍼(10)가 앞쪽으로 변위하여 부품 인출구(6)의 앞쪽 끝으로부터 이간됨과 동시에 선두의 칩 부품(P)이 영구자석(M)에 의하여 흡착된 상태 그대로 부품 스토퍼(10)와 함께 앞쪽으로 변위하여 2번째의 칩 부품(P)으로부터 이간되고, 선두의 칩 부품(P)과 두 번째의 칩 부품(P)과의 사이에 강제적으로 간극(C)이 형성된다.
흡착 노즐 등에 의한 선두의 칩 부품(P)의 인출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스토퍼(10)가 앞쪽으로 변위하여 선두의 칩부품(P)이 두 번째의 칩 부품(P)으로부터 완전하게 이간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선두의 칩 부품(P)과 두 번째의 칩 부품(P)이 습기등의 영향으로 달라 붙거나 걸리게 되는 경우에도 이들을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고, 선두의 칩 부품(P)을 두 번째의 칩 부품(P)과 간섭하지 않고, 또한 안정된 자세로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10에서 설명한 칩 부품 공급장치에 의하면, 제 1, 제 2 도입부재(3과 4)를 서로의 평면을 면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실(2a)내에 벌크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양 도입부재(3, 4)사이에 설치한 통로(T)내에 길이방향에서 또한 가장 면적이 넓은 면의 한쪽이 제 1 도입부재(3)측을 향하고, 또한 다른쪽이 제 2 도입부재(4)측을 향하는 자세로 한 개씩 도입할 수 있다
상기 도입 메카니즘에서는 각주형상의 칩부품(P)이 통로(T)내에 소정의 자세로 도입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도입 실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길이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3b와 4b)을 예시하였으나, 통로(T)로의 부품 도입을 더욱 높은 확률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면(3b와 4b)과, 도입홈(3a와 4a)의 경계 부분에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경사면(F)을 마련하거나 또는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차(G)을 마련하면 좋다. 이렇게 하면, 가이드면과 홈과의 경계 부분에서 멈추고자 하는 칩 부품(P)에 도면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자체 중량에 의거하는 회전력을 부여하여 상기 칩 부품(P)을 통로(T)내에 용이하게 떨어뜨려 넣을 수 있다. 물론, 상기 경사면(F)과 단차(G)는 부분적인 것이어도 좋고, 가이드면과 홈과의 경계부분 전체에 마련하여도 좋다.
또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의 도입부재(3, 4)로서 직육면체형상의 것을 이용하였으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단면형이 반원형을 이루고, 또한 서로의 평면에 홈(21a과 21b)을 가지는 부품을 제 1, 제 2 도입부재(21 과 22)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또 도시예와 같이 양 도입부재(21과 22)의 상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면(21b과 22b)의 최대 외형을 도입부재(21과 22)의 외형과 일치시키면, 양 도입부재(21과 22)의 상단으로부터 평탄한 부분을 배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양 도입부재(21과 22)의 상단에 칩 부품(P)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납실(2a)내에 수납되어 있는 칩 부품(P)을 최후의 1개까지 무리없이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두 개중 한쪽의 도입부재(4)만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3(a)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입부재(23과 24)를 교대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상기 마찬가지의 부품 도입을 행할 수 있다. 도입부재(23과 24)를 교대로 상하 이동시키려면, 양 도입부재(23과 24)를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링크를 그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정역 회전시키는 기구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면에 있어서의 부호 23a와 24a는 양 도입부재(23과 24)의 접촉면에 형성된 홈이고 23b와 24b는 양 도입부재(23과 24)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면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입부재(23과 24)의 각각에 부여하는 상하 이동 스트로크가 작아도 되기 때문에 그만큼 장치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 도입부재(3, 4)로서 직육면체형상의 것을 이용하였으나,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도입부재(25)를 원주형으로 하고, 다른쪽의 도입부재(26)에 도입부재(25)의 둘레면과 동일 곡률의 곡면을 마련하여 상기 곡면의 폭방향 중앙에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26a)을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홈(26a)의 끝부에 구면의 1/4 정도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면(26b)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된다.
원주형의 도입부재(25)는 그 둘레면의 일부가 수납실(2a)내로 노출하도록 호퍼(2)의 구멍(2c')내에 회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 고정측의 도입부재(26)는 그 상부가 수납실(2a)내로 노출하고, 또한 그 곡면이 도입부재(25)의 둘레면에 면접촉하도록 2c'내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측의 도입부재(25)를 소정방향으로 회동시키려면, 벨트 이동기구(12)와 동일한 래칫 기구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고정측의 도입부재(26)에 마련한 홈(26a)의 폭은 칩 부품(P)의 폭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깊이는 칩 부품(P)의 높이 보다도 약간 크다. 도시예의 것에서는 도입부재 (26)에 마련한 도입 홈(26a)만이 칩 부품(P)을 길이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키는 통로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원주형의 도입부재(25)를 도중 시계 회전방향으로 간헐 회동 또는 연속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도입부재(25)의 둘레면에 면접촉에 가까운 상태로 접촉하고 있던 칩부품(P)을 상대적으로 역회전하는 도입부재(26)의 가이드면 (26b)에 의하여 서서히 중앙으로 유도하고, 상기 칩 부품(P)을 통로내에 길이방향으로 도입하여 상기 방향 그대로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즉 도입부재(25)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부품 도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입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에 비하여 장치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원주형의 도입부재(25)의 둘레면 중앙에도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25a)을 마련하면, 상기 홈(25a)을 이용하여 통로에 도입되는 칩 부품(P)의 방향을 교정할 수도 있다.
도 16내지 도 26에는 본 발명을 칩 부품 공급장치에 적용한 제 2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면에서의 부호 101은 프레임, 102는 제 1 스페이서, 103은 제 2 스페이서, 104는 투명판, 105는 개폐 덮개, 106은 제 1 도입부재, 107은 제 2 도입부재, 108은 파이프, 109는 파이프홀더, 110은 부품 가이드, 111은 벨트 가이드, 112는 벨트, 113은 전후 한쌍의 풀리, 114는 부품 스토퍼, 115는 스토퍼 지지 부재, 116은 조작레버, 117은 도입부재 작동레버, 118은 벨트 이송레버, 119는 중계레버, 120은 휠작동레버, 121은 걸어 맞춤 포올, 122는 래칫휠, 123은 캠휠, 124는 스토퍼 작동레버, 125는 핀 작동레버, 126은 부품 지지핀이다.
프레임(101)은 후기하는 각 구성 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101)의 하면에는 장치 설치 상대(도시 생략)에 마련된위치 결정 구멍에 삽입 가능한 두 개의 설치 핀(101a)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제 2 스페이서(102와 103)는 이들 표면을 덮는 투명판(104)과 함께 프레임(101)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01)과 제 1 스페이서(102)와 제 2 스페이서 (103)와 투명판(104)으로 둘러 싸여진 스페이서에 의하여 세로단면 모양이 5각형을 이루는 소정폭의 수납실(R)이 형성되어 있다. 또 수납실(R)의 상단 개구에는 개폐 덮개(105)가 개폐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납실(R)내에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길이〉폭〉높이의 관계를 가지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 예를 들어 칩 콘덴서, 칩 인덕터, 칩 저항기등으로 대표되는 칩 부품(P)의 한 종류가 벌크 상태로 다수개 수납되어 있다. 칩 부품(P)은 외부 전극이나 내부 도체 등을 가지고 있고, 후기하는 영구자석(M)에 의하여 흡착할 수 있다. 이 수납실(R)내에 수납된 칩 부품(P)은 부품 공급에 따라 저면 경사를 따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이동한다. 물론, 후기하는 파이프 (108)의 가로 단면형상을 바꾸면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형상의 칩 부품(P)을 도입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제 1 스페이서(102)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실(R)의 저면을 구성하는 경사면(102a)과 이것과 연속하는 수직면(102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면(102b)을 제 2 스페이서(103)의 수직면(103b)에 접촉하고 있다. 또 경사면(102a)의 폭방향 중앙에는 칩 부품(P)의 폭보다도 약간 큰 폭과 칩 부품(P)의 높이 보다도 약간 작은 깊이를 가지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10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면(102b)의 폭방향 중앙에는 제 1 도입부재(106)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102d)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스페이서(103)는 도 17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실(R)의 저면을 구성하는 경사면(103a)과 이것과 연속하는 수직면(103b)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직면(103b)을 제 1 스페이서(102)의 수직면(102b)에 접촉하고 있다. 또 경사면(103a)의 폭방향 중앙에는 제 1 스페이서(102)의 안내 홈(102c)과 마찬가지의 홈(103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면(103b)의 폭방향 중앙에는 제 2 도입부재 (107)를 고정 상태로 수용하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103d)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도입부재(106)는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의 폭 및 깊이 보다도 약간 작은 폭 및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홈(102d)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 제 1 도입부재(106)의 상단에는 제 1 스페이서(102)의 경사면(102a)과 동일 각도의 경사면(10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106a)의 폭방향 중앙에는 제 1 스페이서(102)의 안내홈 (102c)과 마찬가지의 홈(10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도입부재(107)와 면접촉하는 제 1 도입부재(106)의 평면에는 파이프(108)의 폭보다도 약간 큰 폭과 파이프(108) 두께의 1/2에 상당하는 깊이를 가지며, 또한 홈(106b)과 각도를 가지고 연속하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106c)이 그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입부재(106)의 하단에는 머리가 있는 조작로드(106d)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조작 로드(06d)에는 와셔(106e)와 코일 스프링(SP1)이 장착되어 있다. 이 제 1 도입부재(106)는 상단의 경사면(106a)이 제 1 스페이서(102)의 경사면(102a)보다도 낮은 대기로부터 상단의 경사면(106a)의 제 1 스페이서(102)의 경사면(102a)보다도 높아지는위치까지 상승하고, 그리고 상승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하강하는 동작을 1사이클로서 동작한다.
제 2 도입부재(107)는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스페이서 (103)의 홈(103d)의 폭과 깊이와 대략 일치한 폭 및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홈(103d)내에 고정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또 제 2 도입부재(107)의 상단에는 제 2 스페이서(103)의 경사면(103a)과 동일 각도의 경사면(107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107a)의 폭방향 중앙에는 제 2 스페이서(103)의 안내 홈(103c)과 동일한 홈(107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107a)및 홈(107b)은 제 2 스페이서 (103)의 경사면(103a)및 홈(103c)과 단차없이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도입부재 (106)와 면접촉하는 제 2 도입부재(107)의 평면에는 파이프(108)의 폭보다도 약간 큰 폭과 파이프(108) 두께의 1/2에 상당하는 깊이를 가지며, 또한 홈(107b)과 각도를 가지고 연속하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홈(107c)이 그 폭방향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 1, 제 2 도입부재(106과 107)에 형성된 홈(106c과 107c)은 두 개의 도입부재(106과 107)의 평면을 면 접촉한 상태에서 수직한 통로(부호 없음)를 달성한다. 이 통로는 파이프(108)를 삽입하여 배치하기 위한 것으로, 그 가로 단면형은 파이프(108)의 가로 단면형과 서로 비슷한 형이다.
도시예의 것에서는 제 2 도입부재(107)를 제 2 스페이서(103)와 별개로 구성한 것을 나타내었으나, 제 2 스페이서(103)을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 등의 재료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 2 도입부재(107)를 제 2 스페이서(103)에 일체로 형성하여 제 2 도입부재(107)를 배제하여도 된다.
파이프(108)는 칩 부품(P)의 두께보다도 작은 두께를 가지는 각 파이프재로 이루어지고, 도 17 내지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입부재(106)와 제 2 도입부재(107)의 상호 접촉면에 형성된 통로에 삽입되고, 그 하단부를 파이프 홀더(109)(도 20참조)에 의하여 제 2 스페이서(103)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파이프 (108)는 하단이 부품 가이드(110)에 접촉하고, 또한 상단이 제 2 도입부재(107)의 홈(107b과 107c)의 경계선보다도 약간 낮아지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 파이프 (108)는 칩 부품(P)의 단면형상과 서로 비슷한 형의 각진 형 안쪽 구멍을 가지고 있다. 즉 도시예의 파이프(108)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길이방향에서 또한 가장 면적이 넓은 면의 한쪽이 제 1 도입부재(106)측으로 향하고, 또한 다른쪽이 제 2 도입부재(107)측을 향하는 자세로 한 개씩 도입할 수 있으며, 도입한 칩 부품(P)을 그대로의 자세로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파이프(108)의 안쪽 구멍 상단에 라운딩(도 11참조)이나 모따기부를 마련하면, 상기 파이프(108)에 대한 칩 부품(P)의 도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부품 가이드(110)는 도 17, 도 20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112)의 상측에 있어서, 제 2 스페이서(103)의 하면과 접하도록 프레임(10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부품 가이드(110)는 상기 파이프(108)의 하단 개구와 연속되고, 또한 통로 중심에 소정의 곡율을 가지는 만곡 통로(110a)를 내부에 가지며, 상기 만곡 통로(110a)와 단차 없이 연속하는 가로 단면 ㄷ자형의 직선홈(110b)을 그 하면에 가지고 있다. 만곡 통로(110a)는 측면에서 보아 90도 미만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있고, 그 가로 단면형은 상기 파이프(108)의 가로 단면형과 대략 일치 또는 이것보다도 약간 크다. 즉 만곡 통로(110a)는 파이프(108)로부터의 칩 부품(P)을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자체 중량 통과시에 칩 부품(P)의 자세를 수직을부터 수평에 가까운 상태까지 변경할 수 있다. 또 만곡 통로(110a)의 벨트 근방 부분은 상기 만곡 통로(110a)로부터 벨트(112)에 대한 부품도출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벨트 표면과 평행하게 절결되어 있다.
한편, 직선홈(110b)은 그 하면 개구를 벨트(112)에 의하여 폐색됨으로써 반송통로(Y)로 된다. 이 반송통로(Y)의 가로 단면형은 상기 만곡 통로(110a)의 가로 단면형과 대략 일치하고 있으며, 상기 반송통로(Y)는 만곡 통로(110a)로부터의 칩 부품(P)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벨트 이동에 따라 앞쪽으로 반송시킬 수 있다. 또 직선홈(110b)의 앞쪽 끝에는 선두의 칩 부품(P)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부품 인출구(11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직선홈(110b)의 앞부분 측면에는 후기하는 부품 유지 핀(126)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110d)이 형성되어 있다.
벨트 가이드(111)는 도 17, 도 20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112)의 아래쪽에서 그 측면을 프레임(101)에 고정하고 있다. 이 벨트 가이드(111)는 벨트(112)의 폭 및 두께보다도 약간 큰 폭 및 깊이의 직선홈(111a)을 상면에 가지고 있다. 이 직선홈(111a)의 폭방향 중심은 상기 부품 가이드(110)의 직선홈 (110b)의 폭방향 중심과 일치하고 있다.
벨트(112)는 도 16, 도 17, 도 20 내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고무나 수지등으로 형성된 비자성이며 또한 끝이 없는 모양의 평벨트 또는 타이밍 벨트로 이루어진다. 이 벨트(112)는 벨트 가이드(111)의 전후위치에 있어서 프레임 (101)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한쌍의 풀리(113)에 감겨지고, 그 상측 부분을 벨트 가이드(111)의 직선홈(111a)내에 위치하고, 감김인장에 의하여 상기 부분을 부품 가이드(110)의 하면에 이동가능한 상태로 접하고 있다.
부품 스토퍼(114)는 도 16,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품 가이드(110)의 직선홈(110b)의 깊이와 동등한 두께를 가지는 비자성의 장방형판으로 이루어진다. 이 부품 스토퍼(114)는 그 한쪽 끝을 핀(114a)을 개재하여 스토퍼 지지 부재(115)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직선홈(110b)의 앞쪽 위치에 있어서 벨트 표면과 평행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부품 스토퍼(114)는 스토퍼 지지 부재(115)와의 사이에 인장설치한 코일 스프링(SP2)에 의하여 도 22중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그 일면을 부품 인출구(110c)의 앞쪽 끝에 접촉하였을 때(도 26참조), 소기의 부품 정지위치를 확보한다. 또한 부품 스토퍼(114)의 선두의 칩 부품(P)과 마주보는 위치에는 직육면체형상의 희토류나 영구자석(M)이 그 N, S극의 한쪽이 칩 부품(P)과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시예에서는 영구자석(M)으로서 높이가 부품 스토퍼(114)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고, 또한 폭이 칩 부품(P)의 폭보다도 큰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상기 영구자석(M)의 높이는 칩 부품 (P)의 높이 이하이어도 되고, 폭도 칩 부품(P)의 폭 이하로 하여도 된다.
스토퍼 지지 부재(115)는 도 16,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한쪽 끝을 핀(115a)을 개재하여 부품 가이드(110)의 앞부분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부품 가이드(110)의 앞쪽 끝에 설치한 판 스프링(115b)과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상기 부품 스토퍼(114)를 벨트 표면과 평행한 상태로 유지한다. 또 판스프링 (115b)과의 걸어 맞춤 을 해제하여 스토퍼 지지부재(115)를 부품 스토퍼 (114)와 함께 위쪽으로 회동시켜 부품 스토퍼(114)를 벨트(112)로부터 분리하여 반송통로 (Y)내에 존재하는 칩 부품(P)을 그 앞쪽 끝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조작레버(116)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16a)을 개재하여 프레임(10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하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조작레버(116)의 복귀위치는 프레임(101)에 설치한 스토퍼(127)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도입부재 작동레버(117)는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 (116)의 아래쪽에 있어서 핀(117a)을 개재하여 프레임(10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상하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도입부재 작동레버(117)는 조작레버(116)와의 사이에 인장설치한 코일 스프링(SP3)에 의하여 도 17중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그 한쪽 끝을 조작레버(116)의 하면에 접촉하고 있다. 이 도입부재 작동레버(117)로부터의 가압에 의하여 조작레버(116)도 도 17중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그 상면을 스토퍼(127)에 접촉하고 있다. 또 도입부재 작동레버(117)의 뒤쪽 끝에는 U자형이나 ㄷ자형의 노치를 가지는 걸어 맞춤부 (117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어 맞춤부(117b)는 제 1 도입부재(106)의 조작로드(106d)의 머리부와 와셔(106e)사이에 삽입되어 걸어 맞춰져 있다.
도시예의 것에서는 상기 조작레버(116)와 도입부재 작동레버(117)에 의하여 제 1 도입부재(106)를 소정 스트로크로 상하 이동시키는 도입부재 상하 이동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벨트 이송레버(118)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레버(116)와 공통의 핀(116a)을 개재하여 프레임(10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상하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벨트 이송레버(118)는 벨트 가이드(111)와의 사이에 인장설치한 코일 스프링(SP4)에 의하여 도 16중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그 한쪽 끝을 스토퍼(128)에 접촉하여 복귀위치를 규정하고 있다. 또 벨트 이송레버 (118)의 회동 한계위치는 벨트 가이드(111)에 설치한 스토퍼(129)에 의하여 규정되어 있다.
이 벨트 이송레버(118)와 상기 조작레버(116)는 서로의 조작 끝부를 코일 스프링(SP5)을 개재하여 상하로 대향하고 있다. 즉 조작레버(116)의 끝부에 하향의 힘을 가하면, 이 힘을 코일 스프링(SP5)을 개재하여 벨트 이송레버(118)의 끝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스토퍼(127고 129)는 원판과 이것을 편심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나사로 구성되어 있고, 원판의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작레버(116)의 복귀위치와 벨트 이송레버(118)의 회동 한계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27)의 원판의방향을 바꾸어 조작레버(116)의 복귀위치를 도 16보다도 아래쪽으로 내리면, 제 1 도입부재(106)의 대기위치(하강위치)를 위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토퍼(129)의 원판의방향을 바꾸어 벨트 이송레버 (118)의 회동 한계위치를 도 16보다도 오른쪽으로 어긋나게 하면, 후기하는 벨트 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휠 작동레버(120)는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풀리(113)의 축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중계레버(119)를 개재하여 상기 벨트 이송레버 (118)와 연결하고 있다.
걸어 맞춤 포올(21)은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21a)을 개재하여 휠 작동레버(120)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핀(121a)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SP6)에 의하여 도 21중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대기 상태에서는 그 앞쪽 끝을 래칫 휠(122)의 한 개의 골부에 걸어 맞추고 있다.
래칫 휠(122)은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풀리(113)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앞쪽 풀리(113)또는 그 축에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래칫 휠(122)의 둘레면에는 골부와 산부가 소정의 각도 피치로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도시예의 것에서는 상기 벨트 이송레버(118)와 중계레버(119)와 휠 작동레버(120)와 걸어 맞춤 포올(121)과 래칫 휠(122)에 의하여 앞쪽 풀리(113)를 소정 각도로 간헐 회동시키는 벨트이송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캠휠(123)은 도 16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 풀리(113)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앞쪽 풀리(113)또는 그 축에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캠휠(123)의 둘레면에는 상기 래칫 휠(122)과 동일한 각도 피치로 골부와 산부가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작동레버(124)는 도 16,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24a)을 개재하여 프레임(101)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전뒤쪽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스토퍼 작동레버(124)는 벨트 가이드(111)와의 사이에 인장설치한 코일 스프링(SP7)에 의하여 도 21중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대기 상태에서는 그 작동 돌기(124b)를 캠휠(123)의 한 개의 골부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부품 스토퍼(114)를 앞쪽으로 가압 이동시켜 부품 가이드(110)의 앞쪽 끝으로부터 이간된 부품 인출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도 22참조).
핀 작동레버(125)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25a)을 개재하여 부품 가이드(110)의 앞부분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벨트 표면과 평행하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핀 작동레버(125)는 부품 가이드(110)와의 사이에 인장설치한 코일 스프링(SP8)에 의하여 도 22중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그 한쪽 끝을 부품 유지 핀(126)에 접촉하고 있고, 대기 상태에서는 다른쪽 끝에 설치한 작동 돌기(125b)를 부품 가이드(1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다.
부품 유지핀(126)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SP9)을 개재하여 부품 가이드(110)의 삽입구멍(110e)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SP9)과 상기 코일 스프링(SP8)은 SP9<SP8의 힘관계가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핀 작동레버(125)가 스토퍼 작동레버(124)에 의하여 가압되어 있지 않는 대기상태에서는 부품 유지핀(126)은 핀작동레버(125)에 의한 가압을 받아 그 앞쪽 끝을 가이드홈(110b)내로 돌출하고, 상기 위치에 있는 칩 부품(P)을 가이드홈 안쪽 면으로 밀어 붙치며 유지하고 있다(도 22참조).
도시예의 것에서는 상기 캠휠(123)과 스토퍼 작동레버(124)와 핀 작동레버 (125)와 부품 유지핀(126)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114)를 부품 인출위치와 부품 정지위치에서 회동 변위시키고, 또한 부품 스토퍼(114)가 부품 인출위치에 있을 때에는 부품 유지핀(126)을 가이드홈(110b)내로 돌출시키는 부품 스토퍼 변위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 상기 칩 부품 공급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조작레버(116)의 끝부는 도 23에 투명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착 노즐 등에 의하여 선두의 칩 부품(P)을 부품 인출구(110c)로부터 인출할 때, 상기 흡착 노즐 등의 일부 또는 다른 구동기구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가압된다.
제 1 도입부재(106)가 하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도 2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입부재(106)의 상단 경사면(106a)은, 제 2 도입부재(107)의 상단 경사면 (107b)보다도 낮은 위치에 있고, 양자의 단차 부분에는 소량의 칩부품(P)이 들어가 있다.
여기서 조작레버(116)의 끝부가 아래쪽으로 가압되면, 도입부재 작동레버 (117)의 회동에 의하여 제 1 도입부재(106)가 제 2 도입부재(107)와 면접촉한 상태 그대로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을 따라 하강위치로부터 소정 스트로크 상승하고,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단 경사면(106a)이 제 1 스페이서(102)의 경사면(102a)보다도 위쪽으로 돌출하여 수납실(R)내로 약간 들어 간다. 이 조작레버(116)의 끝부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도입부재 작동레버(117)의 복귀에 의하여 제 1 도입부재(106)가 상승위치로부터 소정 스트로크 하강하여 도 24(a)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제 1 도입부재(106)가 하강위치로부터 상승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제 1 도입부재(106)에 의하여 단차 부분으로 들어가 있던 칩 부품(P)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지고, 또한 수납실(R)내의 수납 부품이 해제 작용을 받는다. 또 제 1 도입부재(106)가 상승위치로부터 하강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제 2 도입부재(107)의 하강에 의하여 수납 부품 전체가 강하하고, 단차 부분에 다시 소량의 칩부품(P)이 들어 간다.
제 1 도입부재(106)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단차 부분으로 들어가 있는 칩부품(P)이나 양 도입부재(106과 107)의 상단 근방부분에 존재하는 칩 부품(P)의 자세는 다양하나, 몇 개인가의 칩 부품(P)은 양 도입부재(106과 107)의 저면에 접촉한 적정 자세로 들어감과 동시에 상승한 제 1 도입부재(106)의 홈 (106c)내에도 마찬가지의 적정 자세로 들어 간다.
즉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강위치에 있는 제 1 도입부재(106)의 상단 홈(106b)에 칩 부품(P)이 적정 자세로 들어가 있을 때에는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도입부재(106)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상기 칩 부품(P)이 홈(106b)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파이프(108)의 상단 개구로 슬라이딩하여 떨어져 상기 파이프(108)내로 도입된다.
또 도 2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도입부재(107)의 상단 홈(107b)에 칩 부품(P)이 적정 자세로 들어가 있을 때에는 제 1 도입부재(106)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칩 부품(P)이 홈(107b)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파이프(108)의 위쪽 개구로 슬라이딩하여 떨어져 상기 파이프(108)내로 도입된다.
또한 도 2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승위치에 있는 제 1 도입부재(106)의 측면홈(106c)에 칩 부품(P)이 적정 자세로 들어가 있을 때에는 상기 제 1 도입부재 (106)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칩 부품(P)이 홈(106c)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파이프(108)의 상단 개구로 슬라이딩하여 떨어져 상기 파이프(108)내로 도입된다.
이들 이외의 타이밍에서도 수납 부품(P)이 파이프(108)로 도입되는 것은 물론이며, 어느 경우도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은 길이방향에서 또한 가장 면적이 넓은 면의 한쪽이 제 1 도입부재(106)측을 향하고, 또한 다른쪽이 제 2 도입부재 (107)측을 향하는 자세로 파이프(108)내로 한 개씩 도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파이프(108)내로 들어간 칩 부품(P)은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대로의 자세로 파이프(108)내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하고, 만곡 통로(110a)내로 상기 방향 그대로 들어간다. 만곡 통로(110a)내로 들어간 칩 부품(P)은 상기 만곡 통로(110a)내를 곡률에 따라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하면서 그 자세를 수직에서 수평에 가까운 상태까지 변경된다. 만곡 통로(110a)내를 통과한 후의 칩 부품(P)은 그 한쪽 끝부를 벨트(112)의 표면에 접촉하고, 후속의 칩 부품(P)은 이후에 길이방향으로 이어진다.
한편, 조작레버(116)의 끝부가 아래쪽으로 가압될 때에는 그 아래쪽의 벨트 이송레버(118)의 끝부에도 가압력이 가해지고, 중계레버(119)의 회동에 의하여 휠 작동레버(120)가 도 23중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걸어 맞춤 포올(121)에 의하여 래칫 휠(122)이 앞쪽 풀리(113)와 함께 같은방향을 회동되고, 벨트(112)가 이 회동각에 따른 거리, 구체적으로는 칩 부품(P)의 길이 보다도 큰 거리만큼 앞쪽으로 이동한다. 조작레버(116)의 끝부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벨트 이송레버(118), 중계레버(119) 및 휠 작동레버(120)가 래칫 휠(122)을 역회동시키지 않고 복귀한다.
벨트(112)가 소정 거리 앞쪽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벨트(112)의 표면에 한쪽 끝부를 접촉하는 칩 부품(P)이 벨트(112)와의 마찰 저항에 의하여 앞쪽으로 인출되어 벨트(112)상에 가로 놓여지고, 다음의 칩부품(P)이 벨트(112)의 표면에 한쪽 끝부를 접촉한다.
벨트(112)의 간헐 이동은 조작레버(116)가 가압될 때 즉 부품 인출구(110c) 로부터 선두의 칩 부품(P)이 인출될 때마다 반복되기 때문에 만곡 통로(110a)내에서 이어지는 칩 부품(P)은 순차 앞쪽으로 인출된다. 이로써 복수의 칩 부품(P)이 부품 가이드(110)의 직선홈(110b)에 의하여 정렬 작용을 받으면서 일렬로 늘어서고, 이 정렬 상태 그대로 벨트(112)의 간헐 이동에 맞추어 앞쪽으로 반송된다.
한편, 벨트(112)의 간헐 이동과 동기하여 앞쪽 풀리(113)가 소정 각도 회동할 때에는 캠휠(123)도 상기 앞쪽 풀리(113)와 함께 상기 방향으로 회동하고, 캠휠 (112)의 골부와 산부의 기복에 의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24)가 뒤쪽으로 회동하고, 뒤쪽 회동위치에서 복귀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24)의 작동 돌기(124b)가 캠휠 (123)의 인접하는 골부로 이행하여 다시 걸어 맞춰진다.
캠휠(123)의 골부로부터 시계 회전방향에 인접하는 산부에 이르는 경로를 이용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24)가 뒤쪽 회동할 때에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뒤쪽 이동하는 스토퍼 작동레버(124)에 의하여 핀작동레버(125)의 작동 돌기(125b)가 안쪽을 밀어 붙혀지고, 상기 핀 작동레버(125)가 도 26중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부품 지지핀(126)이 코일 스프링(SP9)의 가세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구멍(110d)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와 동시에 스토퍼 작동레버(12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 부품 스토퍼(114)가 코일 스프링(SP2)의 가세력에 의하여 뒤쪽을 회동하여 그 후면을 부품 인출구(110c)의 앞쪽 끝에 접촉하고, 소기의 부품 정지위치가 확보된다. 즉 벨트 (112)에 의하여 반송되는 칩 부품(P)은 선두의 칩 부품(P)이 부품 스토퍼(114)에 접촉한 곳에서 정지하여 길이방향으로 간극없이 일렬로 정렬하고, 선두의 칩 부품(P)은 영구자석(M)의 자력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114)에 흡착된다. 또 벨트 (112)의 1회전의 앞쪽 이동량이 칩 부품(P)의 길이 보다도 크기 때문에 부품 정지후도 부품 접촉면과의 슬라이딩을 이용하여 상기 벨트(112)만이 약간 전진한다. 따라서 만일 반송통로(Y)내의 칩 부품간에 간극이 생긴다고 하여도 상기 간극은 신속하게 없앨 수 있다.
또 캠휠(123)의 산부로부터 시계 회전방향에서 인접하는 골부에 이르는 경로를 이용하여 스토퍼 작동레버(124)가 복귀할 때에는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 작동레버(124)에 의한 가압이 해제된 핀 작동레버(125)가 코일 스프링(SP8)의 가세력에 의하여 도 22중에서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부품 유지핀(126)이 핀 작동레버(125)에 의한 가압을 받아 그 앞쪽 끝을 직선홈(110b)내로 돌출하고, 상기 위치에 있는 두 번째 칩부품(P)을 홈내면으로 밀어 유지한다.
이것과 거의 동시에 스토퍼 작동레버(124)의 가압에 의하여 부품 스토퍼 (114)가 앞쪽으로 회동하여 부품 인출구(110c)의 앞쪽 끝으로부터 이간됨과 동시에 선두의 칩부품(P)이 영구자석(M)에 의하여 흡착된 상태 그대로 부품 스토퍼(114)와 함께 앞쪽으로 변위하여 두 번째의 칩 부품(P)으로부터 이간되고, 선두의 칩 부품(P)과 두 번째의 칩 부품(P)사이에 강제적으로 간극(C)이 형성된다.
흡착 노즐 등에 의한 선두의 칩 부품(P)의 인출은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품 스토퍼(114)가 앞쪽으로 변위하여 선두의 칩부품(P)이 두 번째의 칩 부품(P)으로부터 완전하게 이간되어 있는 상태에서 실시되기 때문에 선두의 칩 부품(P)과 두 번째의 칩 부품(P)이 습기 등의 영향으로 달라붙거나 걸려 있는 경우에도 이들을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고, 선두의 칩 부품(P)을 두 번째의 칩 부품(P)과 간섭하지 않고, 또한 안정된 자세로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6 내지 도 26에서 설명한 칩부품 공급장치에 의하면, 제 1, 제 2 도입부재(106과 107)를 서로의 평면을 면접촉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수납실(2a)내에 벌크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양 도입부재(3과 4)사이의 통로내에 배치한 파이프(108)내에 길이방향에서 또한 가장 면적이 넓은 면의 한쪽이 제 1 도입부재(106)측을 향하고, 또한 다른쪽이 제 2 도입부재(107)측을 향하는 자세로 한 개씩 도입할 수 있다.
상기 도입 메카니즘에서는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이 파이프(108)내에 소정 자세로 도입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도입 실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각주형상의 칩 부품(P)을 안정되고 효율적으로 길이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16내지 도 26에 나타낸 실시 상태에서는 제 1 도입부재(106)를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을 따라 상하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 1 도입부재(106)를 그 폭방향으로 미진동시키면서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면 제 1 도입부재(106)상에 칩 부품(P)이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이프(108)에 대한 부품 도입을 더 한층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은 진동 부여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의 폭을 진동량분(도 28(a)의 L1)만큼 크게 하고, 상기 홈(102d)의 내면에 한쌍의 돌기(102e)를 대향하여 마련하고 있다. 또 제 27도(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입부재(106)의 이면에 한쌍의 돌기(102e)에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한쌍의 파형 오목부(파형면을 가지는 오목부) (106f)를 대향하여 마련하고 있다.
상기 제 1 도입부재(106)를 도 28(a)의 하강위치로부터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을 따라 상승시키면, 파형 오목부(106f)의 파형면이 돌기(102e)에 슬라이딩 접촉할 때의 좌우 변위를 이용하여 상승하는 제 1 도입부재(106)를 도 28(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궤적으로 이동시켜 미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제 1 도입부재(106)가 하강할 때에도 마찬가지의 미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L1의 치수를 칩 부품(P)의 높이보다도 작게 설정하여 두면, L1에 상당하는 간극에 칩 부품(P)이 끼워 넣어지는 일도 없다.
도 29 및 도 30은 진동 부여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의 폭을 진동량분(도 30(a)의 L2의 2배)만큼 크게 하여 상기 홈(102d)내의 폭방향 중앙에 핀(102f)을 설치하고 있다. 또 도 2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도입부재(106)의 이면에 핀(102f)이 삽입 상태로 슬라이딩 접촉하는 파형홈(파형면을 가지는 홈)(106g)을 마련하고 있다. 또 제 1 스페이서(102)에는 상기 L2에 상당하는 간극을 매우기 위한 스프링 가세형의 가동 스페이서(102g)을 제 1 도입부재(106)의 양측면과 접하도록 슬라이딩홈(102d)의 상부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도입부재(106)를 도 30(a)의 하강위치로부터 제 1 스페이서(102)의 홈(102d)을 따라 상승시키면, 파형홈(106g)의 파형면이 핀(102f)에 슬라이딩 접촉할 때의 좌우 변위를 이용하여 상승하는 제 1 도입부재(106)를 도 30(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궤적으로 이동시켜 미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물론 제 1 도입부재 (106)가 하강할 때에도 마찬가지의 미진동을 부여할 수 있다. 제 1 도입부재(106)가 좌우로 변위할 때의 간극을 가동 스페이서(102g)에 의하여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L2의 2배분에 상당하는 최대 간극에 칩 부품(P)이 끼워지는 일도 없다.
또 도 16 내지 도 2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입부재(106)의 상단에 경사면(106a)을 마련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경사면(106a)의 홈(106b)을 제외하는 평탄부분에 정전기 등을 원인으로 하여 칩 부품(P)이 밀착된 채 움직이지 않게 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경사면(106a1)을 도 31(a)와 (b)에 나타내는 곡면으로 하여 상기 면에 대한 칩 부품(P)의 면접촉을 회피하면 된다. 물론, 제 2 도입부재 (107)및 제 1, 제 2 스페이서의 경사면도 마찬가지의 곡면으로 하여도 되고, 또 경사면에 미세한 단차이나 돌기를 몇 개인가 마련하도록 하여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도 16내지 도 2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입부재(106)의 상단 경사면(106a)에 일정 경사 각도의 홈(106b)을 마련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06b1)을 단차의 것으로 하면, 칩 부품(P)이 홈(106b1)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떨어지는 작용을 촉진하여 파이프(108)에 대한 부품 도입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물론 제 2 도입부재(107) 및 제 1, 제 2 스페이서의 안내홈에 동일한 단차를 설치하여도 된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6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제 1 도입부재(106)의 홈(106b)과 홈(106c)의 경계선이 부품 도입방향과 직교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경계선 부위에 칩 부품(P)이 정지할 염려가 있는 경우에는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06b2)의 바닥면을 상단 경사면(106a)과 비평행하게 하거나 또는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106b3)의 바닥면에 비틀림 각도를 가지게 하여 각홈(106b2와 106b3)의 바닥면과, 홈(106c)의 바닥면과의 경계선(BL)을 경사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부분에 정지하려고 하는 칩 부품(P)을 경사를 이용하여 불안정한 상태로 하여 상기 부분에서 후퇴시킬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 (108)에 대한 부품 도입을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26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두 개중 한쪽의 도입부재 (106)만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도입부재(106과 107)를 교대로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상기 마찬가지의 부품 도입을 행할 수 있다. 도입부재(106과 107)를 교대로 상하 이동시키려면 양 도입부재(106과 107)를 회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링크를 그 중앙을 지지점으로 하여 정역회전시키는 기구 등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도입부재(106과 107)의 각각에 부여하는 상하이동 스트로크가 작아도 되기 때문에 그만큼 장치의 높이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부품 가이드에 설치한 만곡 통로(5a또는 110a)에 의하여 칩 부품(P)의 자세 변경을 행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각 만곡 통로를 수직 통로로 바꾸어 통로(T)또는 파이프(108)로부터의 칩 부품(P)을 그대로 수직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켜 벨트 표면에 접촉시켜도 상기 칩 부품(P)을 전진하는 벨트에 의하여 인출하면서 옆으로 쓰러뜨려 동일한 자세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벨트에 의하여 부품 반송을 행하는 것을 칩 부품공급장치로서 예시하였으나, 직선홈(6a또는 110b)의 하면 개구를 고정 부품으로 막음으로써 반송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반송통로의 뒤에서 공기를 불어 넣거나 또는 상기 반송통로의 앞쪽에서 공기를 불어 넣도록 하여도 상기 마찬가지의 부품 반송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5)

  1. 수납실내에 벌크 상태로 수납된 각주형상의 칩 부품을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유도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에 있어서,
    서로의 면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두 개의 도입부재와;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간에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가 면접촉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할 때 수납실내의 칩 부품을 소정방향에서 한 개씩 도입하여 아래쪽으로 자체 중량으로 통과시키는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로는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접촉면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칩 부품을 상기 통로의 상단을 향하여 유도하는 가이드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는 평면을 각각 가지고, 서로의 평면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또한 직선적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의 이동방향이 상하이며, 한쪽 도입부재의 상단이 다른쪽의 도입부재의 상단을 통과하도록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의 상대적인 왕복 이동거리는 칩 부품의 길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도입부재는 곡면을 각각 가지고, 서로의 곡면을 면접촉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가로 단면형은 상기 칩 부품의 끝면 형상과 서로 비슷한 형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7.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내에 부품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칩 부품의 끝면 형상과 서로 비슷한 형상의 내공을 가지는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도입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은 단차를 가지는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12. 제 1항 및 제 9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에는 상기 통로의 상단과 연속하는 홈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이동하는 도입부재에 대하여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부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부여기구는 파형면과 도입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파형면에 접촉하면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면이 도입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도입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부품 도입장치.
KR1019970069049A 1996-12-17 1997-12-16 칩부품도입장치 KR1002773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7247 1996-12-17
JP8337247A JPH10178297A (ja) 1996-12-17 1996-12-17 部品供給装置の部品取込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157A KR19980064157A (ko) 1998-10-07
KR100277371B1 true KR100277371B1 (ko) 2001-01-15

Family

ID=1830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049A KR100277371B1 (ko) 1996-12-17 1997-12-16 칩부품도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6062423A (ko)
JP (1) JPH10178297A (ko)
KR (1) KR100277371B1 (ko)
CN (1) CN1130963C (ko)
HK (1) HK1017968A1 (ko)
TW (1) TW402163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8297A (ja) * 1996-12-17 1998-06-30 Taiyo Yuden Co Ltd 部品供給装置の部品取込機構
JPH11220290A (ja) * 1998-02-03 1999-08-10 Taiyo Yuden Co Ltd チップ部品取込装置
JP3259680B2 (ja) * 1998-04-07 2002-0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状電子部品供給装置
JP3459786B2 (ja) * 1999-02-18 2003-10-27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バルクフィーダおよびチップ供給システム
JP2001026316A (ja) 1999-05-12 2001-01-30 Fuji Mach Mfg Co Ltd 整列供給装置
US6237804B1 (en) * 1999-05-17 2001-05-29 Van Collin Peery Pill dispensing apparatus
JP3498692B2 (ja) * 1999-10-18 2004-02-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チップ部品の供給装置
JP4587556B2 (ja) 2000-07-03 2010-11-24 太陽誘電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DE10236425B4 (de) * 2002-08-08 2009-10-01 Bernd Schechinger Richt- und Fördergerät für Kegelrollen umfassend einen Aufgabetrichter mit nachgeschalteter Rollenzuführeinheit sowie Richt- und Fördermittel
US7066350B2 (en) * 2002-08-21 2006-06-27 Aylward Enterprises, Inc. Feeder tub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pills
KR100649448B1 (ko) * 2003-07-08 2006-11-29 아사히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세부품의 공급장치
CN1914969A (zh) * 2004-01-26 2007-02-14 株式会社帕普曼 电子元件自动安装装置以及元件库存管理装置
DE102005018651A1 (de) * 2005-04-21 2006-10-26 Uhlmann Pac-Systeme Gmbh & Co Kg Vorrichtung zum Orientieren und Weitertransport von Schüttgut
US7523594B2 (en) * 2005-08-24 2009-04-28 Greenwald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ckaging solid pharmaceutical and/or nutraceutical products and automatically arranging the solid pharmaceutical and nutraceutical products in a linear transmission system
JP4617244B2 (ja) * 2005-11-08 2011-01-19 富士通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供給方法
US7464803B2 (en) * 2006-07-24 2008-12-16 Eastman Kodak Company Orientating apparatus
DE102006035268A1 (de) * 2006-07-31 2008-02-07 Dr. August Oetker Nahrungsmittel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dosierten Abgeben eines schütt- oder rieselfähigen Gutes
FR2933631B1 (fr) * 2008-07-10 2010-08-27 Jean Yves Delattre Dispositif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composants
DE102012209503A1 (de) * 2012-06-05 2013-12-05 Balda Medical Gmbh & Co. Kg Spendervorrichtung für Festkörperportionen sowie Verfahren zum Spenden von Festkörperportionen
CN106392528A (zh) * 2015-07-31 2017-02-1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工件供给装置、机器人以及机器人系统
US10179705B2 (en) * 2016-11-16 2019-01-15 Sensata Technologies, Inc. Feeder and method for feeding components into an assembly line
CN106829333B (zh) * 2016-12-27 2018-11-16 重庆润跃机械有限公司 齿轮的运输装置
TWI619658B (zh) * 2017-06-09 2018-04-01 All Ring Tech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orting method and device
CN107187892B (zh) * 2017-06-12 2023-04-1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隔管上料装置及穿线设备
CN112499178A (zh) * 2019-10-14 2021-03-16 杭州富阳新堰纸制品有限公司 一种包装过程中用于筛选整理的设备
CN112317486B (zh) * 2020-10-16 2021-08-31 苏州煊凯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花盆清洗装置
US11738418B2 (en) * 2020-12-10 2023-08-29 Air Way Automation, Inc. Fastener delivery arrangement and related method
CN115092646B (zh) * 2022-05-18 2024-06-14 科来思(深圳)科技有限公司 震动式物料仓
CN115072358B (zh) * 2022-05-18 2024-01-30 科来思(深圳)科技有限公司 自动排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2290A1 (de) * 1979-05-31 1980-12-04 Boucherie Nv G B Vorrichtung zum orientieren von werkstuecken, insbesondere buerstenkoerpern
US4343997A (en) * 1980-07-14 1982-08-10 Siemens Medical Laboratories, Inc. Collimator assembly for an electron accelerator
US4457451A (en) * 1980-09-29 1984-07-03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feeding electric circuit elements
US4459743A (en) * 1980-12-05 1984-07-17 J. Osawa Camera Sales Co., Ltd. Automatic mounting apparatus for chip components
JPS59148400A (ja) * 1983-02-14 1984-08-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チツプ部品の取付装置
JPS62140030U (ko) * 1986-02-26 1987-09-03
JPH05247882A (ja) * 1992-02-28 1993-09-24 Hoechst Gosei Kk ガラス繊維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176893A (ja) * 1993-12-20 1995-07-14 Tdk Corp 角チップ部品供給方法及び装置
JP3430604B2 (ja) * 1993-12-28 2003-07-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H07212085A (ja) * 1994-01-24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ップ部品供給装置
JP3663651B2 (ja) * 1994-06-15 2005-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EP0805620B1 (en) * 1996-05-01 2002-02-20 Pop Man Corporation Apparatus for feeding chip components
JPH10178297A (ja) * 1996-12-17 1998-06-30 Taiyo Yuden Co Ltd 部品供給装置の部品取込機構
JP3579234B2 (ja) * 1997-12-09 2004-10-20 太陽誘電株式会社 チップ部品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78297A (ja) 1998-06-30
US20020011398A1 (en) 2002-01-31
CN1211161A (zh) 1999-03-17
US6290095B1 (en) 2001-09-18
TW402163U (en) 2000-08-11
US6062423A (en) 2000-05-16
KR19980064157A (ko) 1998-10-07
HK1017968A1 (en) 1999-12-03
CN1130963C (zh) 2003-12-10
US20010052446A1 (en) 2001-12-20
US6655547B2 (en) 200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7371B1 (ko) 칩부품도입장치
KR100277370B1 (ko) 칩부품공급장치
US4667865A (en) Staple magazine for multiple width staples
US41388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casing loaded with a plurality of articles
US5730317A (en) Structure of chip component feeder
JP2011511295A (ja) 自動分析器への反応キュベットの供給
KR100595044B1 (ko) 전자부품공급장치
JPH10181708A (ja) テーピング装置
US6296104B1 (en)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apparatus
CN116394663A (zh) 包埋盒打印装置及包埋盒打印方法
JP2007180280A (ja) ラジアル部品搬送方法及び部品フィーダ機構、並びに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装置
JPH10270895A (ja) チップ部品供給装置の部品取込機構
JPH07120871B2 (ja) チップ装着装置
JP2002158491A (ja) 部品供給装置の部品取込機構
GB2383183A (en) Dual passage cassette transfer apparatus
JP381710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329455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KR950015070B1 (ko) 핀 공급장치
KR950006959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 부품의 적재장치
JP3260287B2 (ja) 部品供給装置
JPH104290A (ja) 部品供給装置
JPH09321492A (ja) 部品供給装置
JP3260286B2 (ja) 部品供給装置
JPH0735715Y2 (ja) 部品組合わせ装置
JPH1022684A (ja) 部品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