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6617B1 - 충돌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충돌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6617B1
KR100256617B1 KR1019970018711A KR19970018711A KR100256617B1 KR 100256617 B1 KR100256617 B1 KR 100256617B1 KR 1019970018711 A KR1019970018711 A KR 1019970018711A KR 19970018711 A KR19970018711 A KR 19970018711A KR 100256617 B1 KR100256617 B1 KR 10025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acceleration sensor
collision detection
fram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370A (ko
Inventor
에쯔히사 미무라
슈이찌 이시모또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7007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006Mounting of electrical components i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Bag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프레임 부재상에 배치되고,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중심 필라에 대한 측면 충돌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도어의 차량 실내의 내부를 향해 지향된 변형에 기초하고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도어에 대한 측면 충돌에 기인해 일어나는 변위 부하의 전달의 결과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 측면 충돌 검출을 위한 충돌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돌 감지 장치
본 발명은 충돌 감지 장치,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량의 충돌시 차량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충돌을 검출하여 차량의 내부 및 차량의 측면부 사이에서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키는 충돌 감지 장치는 공지되어있다. 이같은 충돌 감지 장치의 한 예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6-64491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충돌 감지 장치에 관하여 에어백 장치를 팽창시키는 팽창 신호를 공급하는 방법 및 장치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8-67227호에 개시되어 있고, 에어백 장치의 작동 장치가 국제 특허 공개 공보 WO95/31357호 및 독일 특허 DE4309827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70) 내부에서, 이 충돌 감지 장치에는 에어백 장치(72)와 에어백 장치(72)내에 수용된 에어백 몸체(74)를 팽창시키도록 에어백 장치(72)를 작동시키는 센서(76)가 제공된다. 이 센서(76)는 시트(70)의 시트 쿠션(70A)의 프레임(78)의 한 단부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 충돌 감지 장치에서 넓은 범위의 충돌이 단일 센서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센서(76)는 도어에 제공되는 플라스틱 블록과 시트(70)에 제공되는 프레임 부재에 의해 전달되는 측면 충돌시 충돌 부하에 의해 작동되도록 배열된다. 이 이유로 장치의 중량 및 경비가 현저히 증가한다.
전술한 상황에 비추어, 본 발명의 한 목적은 중량 및 경비의 현저한 증가를 방지하고, 단일 가속도 센서에 의해 넓은 범위에 걸친 도어 및 중심 필라에 대한 측면 충돌을 짧은 시간에 검출할 수 있는 충돌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하면,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고,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중심 필라에 대한 측면 충돌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도어에 대한 측면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도어의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한 변형에 기초한 변위 부하의 전달 결과로서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다른 차량이 중심 필라에 대해 횡방향으로 충돌할 때 프레임 부재상에 제공된 가속 센서는 프레임 부재에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한다. 또한 다른 차량이 도어에 대해 측면 충돌할 때 변위 부하는 차량 격실 내부를 향한 도어의 변형 때문에 프레임 부재에 전달되고 이 변위 부하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가 프레임 부재상에 제공된 가속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이 이유로 넓은 범위에 걸친 도어 및 중심 필라에 대한 측면 충돌이 단일 가속 센서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검출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부가적인 부재들을 부가하는 것이 불필요하므로 중량 및 경비의 현저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한 충돌 검출 장치에서 가속 센서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한 도어의 변형과 관련하여 프레임 부재에 대해 상대적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제공된 가속 센서는 다른 차량에 의한 측면 충돌에 기인한 차량 격실 내부를 향한 도어의 변형과 관련하여 프레임 부재에 대해 상대 변위를 겪는다. 따라서 도어의 변형에 의해 초래된 충돌이 차량의 프레임 부재를 통해 가속 센서에 의해 검출되기 전에 가속 센서는 차량의 내부를 향한 도어의 상대 변위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를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측면충돌을 더 신속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양태에 의한 충돌 검출 장치에서, 가속 센서는 도어의 종방향 중심부와 도어의 후방에 제공된 필라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 부재의 한 부분상의 위치에 장착된다.
따라서 대각선 방향 등의 다른 형태의 충돌로 중심 필라 및 도어에 대해 다른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도 이같은 측면 충돌은 도어의 종방향 중심 및 도어의 후방에서의 필라 사이에 위치한 프레임 부재상의 위치, 즉 승차자의 측면 위치를 구성하는 프레임 부재상의 위치에 위치한 가속 센서에 의해 효과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 이유로 넓은 범위에 걸친 측면 충돌이 검출 지연을 초래함이 없이 그 충돌의 형태에 관계없이 단일 가속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것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확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의, 차량 후방에서 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의 일부분의, 차량의 대각선 외측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가 응용되는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가 응용된 차량과 다른 차량 사이의 충돌을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의 일부분의, 차량의 대각선 외측에서 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의, 차량 후방에서 본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의 일부분의, 차량의 대각선 외측에서 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의, 차량 후방에서 본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가 응용되는 차량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충돌 감지 장치가 응용되는 차량의 좌측 반부를 도시한 개략적 평면도.
제11도는 종래의 충돌 감지 장치가 응용되는 시트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전방 도어 16 : 측면 문턱
18 : 가속 센서 24 : 브라켓
27 : 플러어 패널 28 : 간격
32 : 도어 외부 패널 34 : 도어 내부 패널
38 : 토크 박스 40 : 도어 트림
46 : 플로어 크로스 부재 48 : 돌출부
50 : 슬릿 64 : 보강 부재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돌 검출 장치의 제1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서 화살표 FR은 차량의 전방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UP은 차량의 상부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IN은 차량의 내측 횡방향을 나타낸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량(10)은 투도어(two-door) 차량이다. 가속 센서(18)가 전방 도어(12)의 종방향 중심과 도어의 후방에 위치한 B 필라(즉 중심 필라) 사이의 소정의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프레임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측면 문턱(16)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문턱(16)은 측면 문턱(16)의 차량 내부 측면부를 구성하는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와 측면 문턱(16)의 차량 외부 측면부를 구성하는 측면 문턱 외부 부재(22)로 구성되고,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부(23)를 갖는다. 가속 센서(18)는 금속판으로부터 형성된 장착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브라켓(24)에 의해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상에 장착된다. 차량의 종방향에서 볼때 브라켓(24)의 단면 형상은 하향 개구를 갖는 대체로 U형이고, 플랜지(24B)가 차량의 횡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방식으로 차량의 횡방향 외측상의 직립 벽부분(24A)의 하부 단부에서 형성된다. 이 플랜지(24B)는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의 상부 벽부분(20A)에 연결된다. 브라켓(24)의 차량의 횡방향 내측의 직립부(24C)의 하부 단부 부분(24D)이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의 수직 벽부분(20B)에 연결된다. 또한 플랜지(27A)가 플로어 패널(27)의 횡방향 외부 단부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방식으로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의 직립 벽 부분(20B)의 하부 단부에 연결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센서(18)는 스크루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에 의해 브라켓(24)의 차량 횡방향 내측의 직립 벽부분(24C)의 상부에 고정된다. 밀폐된 상태의 전방 도어(12)의 하부 부분은 소정의 간격(28)으로 브라켓(24)과 대향하고, 가속 센서(18)는 전방 도어(12)의 하부와 대면하는 그 측면과 대향인 브라켓( 24)의 측면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전방 도어(12)가 차량의 횡방향 내측 방향으로의, 소정의 값 이상의 변형(즉 제1도의 화살표 A의 방향)이 될 때, 브라켓(24)은 측면 문턱(16)에 대해 대체로 차량 격실의 내부로 향하여(즉 제1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전방 도어(12)는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측부를 구성하는 도어 외부 패널 (32)과 전방 도어(12)의 도어 내부 측부를 구성하는 도어 내부 패널(34)로 구성된다. 도어 외부 패널(32)의 외부 주연부(32A)와 도어 내부 패널(34)의 외부 주연 부(34A)는 도어의 상부 부분을 배제하는 범위에 걸쳐 함께 헴 가공(hemmed)된다.
보강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토크 박스(38)가 도어 외부 패널(32)와 소정의 간격(36)에서 도어 내부 패널(34)의 바닥부(34B)에 배치된다. 플랜지(38A)가 토크 박스(38)의 외부 주연부에 형성되고, 도어 내부 패널(34)에 연결된다.
또한 도어 트림(40)이 도어 내부 패널(34)의 차량 격실 측부에 부착되고, 브라켓(24)은 전방 도어(12)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어 트림(40)의 하부 부분에 형성된 리세스부(42)에 수용된다.
다음에 제1 실시예의 작동이 설명된다.
제1 실시예에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차량(44)의 범퍼(44A)가 본 실시예의 차량(10)의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에 대해 충돌할 경우, 충격이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즉 제1도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인가되고, 도어 외부 패널(32)이 처음에 찌그러짐으로써 간격(36)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전방 도어(12)의 토크 박스(38)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간격(28)은 감소한다. 토크 박스(38)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 더 이동할 때, 토크 박스(38)는 전방 도어(12)의 차량 격실 측면부에 의해 브라켓(24)에 대해 충돌 접촉하여, 브라켓(24)이 측면 문턱(16)에 대해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즉 제1도의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변위되게 한다. 이때 측면 문턱(16)은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이고, 전방 도어(12) 및 브라켓(24)에 비해 변위 및 이동이 어려우므로, 브라켓(24)은 측면 문턱(16)에 대해 즉시 변위된다.
이 이유로 충격은 가속 센서(18)에 즉시 전달되어 전방 도어(12)의 측면 충돌이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검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속 센서(18)에 의한 측면 충돌의 검출시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 제어 장치가 측면 충돌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킨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1 실시예의 충돌 감지 장치에서 충격은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 토크 박스(38), 브라켓(24) 및 가속 센서(18)의 순서로 전달되고, 측면 문턱(16)이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이고 전방 도어(12) 및 브라켓(24)에 비해 변위 및 이동이 어려우므로, 브라켓(24)은 측면 문턱(16)에 대한 상대 변위를 즉시 겪게된다.
이 이유로 전방 도어(12)의 변형에 의해 초래된 충격이 측면 문턱(16)을 통해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되기 전에, 가속 센서(18)는 브라켓(24)의 상대 변위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를 신속히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전방 도어(12)의 측면 충돌을 짧은 시간내에 신뢰성있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실시예의 충돌 감지 장치에서 다른 차량(44)의 범퍼(44A)가 이 실시예의 차량(10)의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에 대해 충돌한 경우, B 필라(즉 중심 필라)로부터 측면 문턱(16)으로 전달되는 충격은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 결과,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에 가속 센서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의 측면 충돌도 또한 단일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신뢰성있게 검출될 수 있다.
약한 측면 충돌의 경우 간격(28, 36)으로서 흡수될 수 있는 충격이 강제로 감소되므로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속 수준이 작아지고, 그럼으로써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센서(18)가 전방 도어(12)의 종방향 중심 및 도어의 후방의 B 필라(즉 중심 필라, 14) 사이에, 즉 시트에 앉은 승차자의 측면위치를 구성하는 위치에 배치된 프레임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측면 문턱(16)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다른 차량이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의 전방 도어(12)에 대해 횡방향으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각선 방향등으로부터의 충돌 등 다른 형태로 충돌되었을 때에도, 이같은 측면 충돌이 가속 센서(18)에 의해 효과적으로 검출될 수 있다. 이 이유로 넓은 범위에 걸친 측면 충돌이 충돌의 형태에 관계없이 검출의 지연을 초래하지 않고 단일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부의 넓은 범위에 걸친 측면 충돌이 부가적 부재의 부가에 의해 검출되는 종래의 구조 장치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중량 및 경비의 현저한 증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돌 검출 장치의 제2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의 역할을 하고 차량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46)가 측면 문턱(16)의 차량 횡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차량의 횡방향 외측에서 본 이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단면은 그 개구가 하향으로 열린 모자의 형태이고, 개구의 전방 단부 및 후방 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46A)는 플로어 패널(27)의 상부면(27B)과 연결된다. 또한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차량 횡방향 외부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46B)가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에 연결된다.
장착부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48)가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상부 벽부분 (46C)의 차량 횡방향 외부 단부의 근처에 배치된다. 이 돌출부(48)는 그 개구가 하향으로 개방된 상자형 형상을 갖고, 그 횡방향 외부 측면을 제외한 그 외주연 주위에 형성된 플랜지(48A)가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의 상부벽 부분(20A)과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상부 벽부분(46C)에 연결된다.
가속 센서(18)는 돌출부(48)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크루와 같은 도시되지 않은 공정 부재에 의해 돌출부(48)의 차량 전방 수직벽부(48B) 및 차량 후방 수직벽부( 48C)에 고정된다.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작동이 설명된다.
제2실시예에서,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이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즉 제6도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인가되면, 도어 외부 패널(32)이 처음에 찌그러짐으로써 간격(36)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전방 도어(12)의 토크 박스(38)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간격(28)은 감소한다. 토크 박스(38)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 더 이동할 때, 토크 박스(38)는 전방 도어(12)의 차량 격실 측면부에 의해 돌출부(48)에 대해 충돌 접촉하여, 충격이 가속 센서(18)에 전달되게 한다.
이때 측면 문턱(16)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46)는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이고 전방 도어(12)에 비해 변위 및 이동이 어렵다. 이 이유로 충격은 가속 센서(18)에 즉시 전달되어 전방 도어(12)의 측면 충돌이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검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속 센서(18)에 의한 측면 충돌의 검출시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 제어 장치가 측면 충돌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킨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2 실시예의 충돌 감지 장치에서 충격은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 토크 박스(38), 돌출부(48) 및 가속 센서(18)의 순서로 전달되고, 측면 문턱(16)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46)는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이고 전방 도어(12)에 비해 변위 및 이동이 어려우므로, 전방 도어(12)에 대한 측면 충돌은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차량의 범퍼가 이 실시예의 차량(10)의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에 대해 충돌한 경우, 충격은 B 필라(즉 중심 필라)로부터 측면 문턱(16)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으로 전달되고,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에 가속 센서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의 측면 충돌도 또한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신뢰성있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약한 측면 충돌의 경우 간격(28, 36)으로서 흡수될 수 있는 충격이 강제로 감소되므로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속 수준이 작아지고, 그럼으로써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돌출부(48)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유의하라. 또한 가속 센서(18)는 제6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문턱 내부 부재(20)의 내부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충돌 검출 장치의 제3 실시예가 설명된다.
제2실시예와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지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 한쌍의 슬릿(50)이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상부 벽부(46C)의 차량 횡방향 외부 단부 근처에 형성된다. 가속 센서(18)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슬릿(50)을 따라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상부 벽부(46C)에 장착된다.
가속 센서(18)는 블록 형상이고, 차량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하는 장착 부재의 역할을 하는 한 쌍의 장착 플랜지(18A, 18B)를 갖는다. 도시되지 않은 구멍이 이들 장착 플랜지(18A, 18B)에 형성되고, 이들 장착 구멍들은 한쌍의 슬릿(50)에 대해 면 대 면 관계로 배열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의 내부에는 장착 부재로서의 역할을 하는 너트(60, 62)가 장착 부재의 역할을 하는 볼트(56, 58)와 나사 체결되고, 한쌍의 슬릿(50)과 가속 센서(18)의 장착 플랜지(18A, 18B)에 제공된 장착 구멍을 통과한다. 볼트(56, 58) 및 너트(60, 62)를 위한 체결력과, 볼트(56, 58)의 생크 직경과, 슬릿(50)의 폭 사이의 관계는 차량의 횡방향 내측 방향을 따른 그 성분이 소정의 값을 넘는 외력이 가속 센서(18)에 인가될 경우, 가속 센서(18)는 전방 도어(46)에 대해 차량의 횡방향 내측(제8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벌집 구조 등을 갖는 보강 부재(64)가 도어 트림(40)의 하부에서 보강부재 (64)가 가속 센서(18)와 대면하고 플로어 크로스 부재(12)가 닫힌 위치에서 형성된다.
다음에 제3실시예의 작동이 설명된다.
제3실시예에서, 충격이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에 횡방향으로 (즉 제8도의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인가되면, 도어 외부 패널(32)이 처음에 찌그러짐으로써 간격(36)을 감소시킨다. 다음에 전방 도어(12)의 토크 박스(38) 및 도어 트림(40)의 보강부(64)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간격(28)은 감소한다. 토크 박스(38) 및 보강부(64)가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 더 이동할 때, 보강부(64)는 도어 트림(40)을 통해 가속 센서(18)에 대해 충돌 접촉하여, 가속 센서(18)가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에 대해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해(즉 제8도의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때 플로어 크로스 부재(46)는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이고, 변위 및 이동이 어려우므로, 가속 센서(18)는 슬릿(50)에 대해 볼트(56, 58) 및 너트(60, 62)와 함께 즉시 이동한다.
이 이유로 충격은 가속 센서(18)에 즉시 전달되어 전방 도어(12)의 측면 충돌이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검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가속 센서(18)에 의한 측면 충돌의 검출시 도시되지 않은 에어백 제어 장치가 측면 충돌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공지된 에어백 장치를 작동시킨다.
전술한 방식으로 제3 실시예의 충돌 감지 장치에서 충격은 전방 도어(12)의 도어 외부 패널(32), 토크 박스(38), 보강 부재(64) 및 가속 센서(18)의 순서로 전달되고, 플로어 크로스 부재(46)가 차량(10)의 프레임 부재이고 변위 및 이동이 어려우므로, 가속 센서(18)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46)에 대한 상대 변위를 즉시 겪는다.
이 이유로 전방 도어(12)의 변형에 의해 초래된 충격이 측면 문턱(16)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46)를 통해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되기 전에, 가속 센서(18)는 가속 센서(18)의 상대 변위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를 신속히 검출한다. 결과적으로 전방 도어(12)의 측면 충돌을 짧은 시간내에 신뢰성있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차량의 범퍼가 이 실시예의 차량(10)의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에 대해 충돌한 경우, B 필라(즉 중심 필라)로부터의 충격은 측면 문턱(16)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46)로 전달되고,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에 가속 센서를 제공할 필요가 없어,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의 측면 충돌도 또한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내에 신뢰성있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약한 측면 충돌의 경우 간격(28, 36)으로서 흡수될 수 있는 충격이 강제로 감소되므로 가속 센서(18)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가속 수준이 작아지고, 그럼으로써 에어백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것에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주어졌지만, 본 발명은 이같은 실시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도어(four-door) 차량(63)에도 적용가능하다. 이 경우 가속 센서(18)는 후방 도어(66) 내에서 C 필라(즉 쿼터 필라, 55) 및 B 필라(즉 중심 필라, 14)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측면 문턱(16)의 상부에 부가적으로 배치되어 후방 도어(66)가 제10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충돌에 기인해 차량의 내부를 향해 변형될 때에도 후방 도어(66)의 측면 충돌이 가속 센서(18)에 의해 짧은 시간 내에 검출될 수 있다. 또한 가속 센서(18)는 가속 센서(18)가 장착되는 부재들이 충격이 차량 내부로의 도어의 변형에 의해 전달되는 차량의 프레임 부재인 한, A 필라(즉 전방 필라, 67), B 필라(즉 중심 필라, 14), C 필라(즉 쿼터 필라, 65), 루프 사이드레일(68)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포도어 차량(63)의 경우에,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구의 내측을 향한 돌출부(69)가 측면 문턱(16) 및 B 필라(즉 중심 필라, 14)의 전방 하부 단부 사이의 연결부에 제공될 수 있고, 가속 센서(18)는 전방 도어(12)에 대면하는 위치에서 돌출부(69)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도어 개구의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71)가 측면 문턱(16)의 후방 단부의 상부에 제공될 수 있고, 가속 센서(18)는 후방 도어(66)를 대면하는 위치에서 돌출부(7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차량에 설치되는 측면 충돌 감지 장치의 중량 및 경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고, 단일의 가속도 센서에 의해 넓은 범위에 걸친 도어 및 중심 필라에 대한 측면 충돌을 짧은 시간에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9)

  1. 차량의 측면 충돌을 검출하는 충돌 감지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프레임 부재에 배치되고,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중심 필라에 대한 측면 충돌에 기인해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고, 차량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도어에 대한 측면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도어의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한 변형에 기초한 변위 부하의 전달 결과로서 일어나는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가속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센서는 차량 격실의 내부를 향한 도어의 변형과 관련하여 프레임 부재에 대해 상대적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센서는 도어의 종방향 중심부와 도어의 후방에 제공된 필라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 부재상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센서는 도어의 종방향 중심부와 도어의 후방에 제공된 필라 사이에 위치된 프레임 부재상의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 센서를 프레임 부재에 장착하는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측면 문턱에 연결된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측면 문턱 및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연결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프레임 부재를 구성하는 플로어 크로스 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과할 수 있는 나사 체결 부재와, 상기 가속 센서상에 제공되고 상기 나사 체결 부재가 통과할 수 있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부재는 도어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감지 장치.
KR1019970018711A 1996-05-16 1997-05-15 충돌 감지 장치 KR100256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21494 1996-05-16
JP12149496 1996-05-16
JP97-44228 1997-02-27
JP04422897A JP3419235B2 (ja) 1996-05-16 1997-02-27 衝突感知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370A KR970074370A (ko) 1997-12-10
KR100256617B1 true KR100256617B1 (ko) 2000-05-15

Family

ID=2638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8711A KR100256617B1 (ko) 1996-05-16 1997-05-15 충돌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34703A (ko)
EP (1) EP0807559B1 (ko)
JP (1) JP3419235B2 (ko)
KR (1) KR100256617B1 (ko)
DE (1) DE6972450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98B1 (ko) * 2002-04-10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0648B2 (en) * 2001-01-08 2002-10-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Impact senso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a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083506B2 (ja) * 2002-08-23 2008-04-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車両
JP4361440B2 (ja) 2004-08-04 2009-1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センサ配設構造
JP2006056295A (ja) * 2004-08-17 2006-03-02 Toyota Motor Corp 車両側部構造
JP4586505B2 (ja) * 2004-11-18 2010-1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衝突状態判断装置
JP4549826B2 (ja) * 2004-11-26 2010-09-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自動車
US7093886B2 (en) * 2004-12-17 2006-08-22 Benteler Automotive Corporation Vehicle door beam with reinforced tab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186967B2 (ja) 2005-07-27 2008-1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側面衝突検出センサを備えたボディー構造
US20070088479A1 (en) * 2005-10-19 2007-04-19 Trw Automotive U.S. Llc Apparatus with sensor assembly for sensing a vehicle crash condition and associated method
DE102005053326B3 (de) * 2005-11-07 2007-02-22 Siemens Ag Anordnung mit einer an einem Kraftfahrzeugteil befestigten Beschleunigungssensorvorrichtung
JP4935063B2 (ja) * 2005-11-29 2012-05-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JP4905372B2 (ja) * 2007-06-27 2012-03-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衝撃センサの取付構造
DE102008054319B4 (de) * 2007-11-07 2014-05-28 Denso Corporation Erfassungsvorrichtung für eine Seitenkollision bei einem Fahrzeug und Fahrgastschutzsystem, das diese Erfassungsvorrichtung aufweist
WO2009118609A1 (en) 2008-03-26 2009-10-0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Impact detection structure, impa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and occupa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4640431B2 (ja) * 2008-03-26 2011-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検知構造及び乗員保護システム
CN102026848B (zh) * 2009-07-22 2013-05-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用侧门结构
US20120267882A1 (en) * 2011-04-19 2012-10-25 Honda Motor Co., Ltd. Method To Achieve Early/Robust G-Signal For Side Pole
JP5892102B2 (ja) * 2013-04-01 2016-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JP5888313B2 (ja) * 2013-12-13 2016-03-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側突検知装置
JP6481815B2 (ja) * 2015-02-26 2019-03-13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側部の構造
JP6409747B2 (ja) * 2015-11-16 2018-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サイドドア構造
JP7124755B2 (ja) * 2019-02-20 2022-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5208A (en) * 1991-02-05 1992-09-08 Ideatech, Inc. Air bag device for vehicles
SE470096B (sv) * 1992-04-10 1993-11-08 Volvo Ab Luftkuddesystem för sidokollisioner
GB2266075B (en) * 1992-04-16 1995-08-1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US5623246A (en) * 1992-04-16 1997-04-22 Autoliv Development Ab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for detecting a side impact
DE4309827C2 (de) * 1993-03-26 1995-12-14 Daimler Benz Ag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 Sicherheits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Seiten-Airbag
GB2289448B (en) * 1994-05-13 1997-08-06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impact detect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safety system
US5484166A (en) * 1994-07-22 1996-01-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deployment signal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during a side impact crash
JPH0958400A (ja) * 1995-08-16 1997-03-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798B1 (ko) * 2002-04-10 2004-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24509T2 (de) 2004-08-05
US5934703A (en) 1999-08-10
KR970074370A (ko) 1997-12-10
EP0807559A2 (en) 1997-11-19
EP0807559A3 (en) 2000-04-19
EP0807559B1 (en) 2003-09-03
JP3419235B2 (ja) 2003-06-23
DE69724509D1 (de) 2003-10-09
JPH1029500A (ja) 1998-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617B1 (ko) 충돌 감지 장치
US6095553A (en) Side impact sensor system and method
GB2266075A (en)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JPH10315905A (ja) 側突センサの取付構造
US7118126B2 (en) Side airbag deployment signal enhancement
JP2001080451A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JPH09323601A (ja) キャブオーバ車における衝突検出センサ取付構造
KR20220153334A (ko) 차량용 외장 에어백
KR200146703Y1 (ko) 자동차 도어구조
JP4585145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跳返り防止構造
KR200188443Y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JPH061035U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2000255376A (ja) 側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の取付構造
KR0139360B1 (ko) 자동차 도어와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0133770B1 (ko) 자동차 사이드실의 보강구조
KR20020134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도어의 벨트라인부 보강구조
JP2019093854A (ja) 衝突検出装置
JPH06227359A (ja) 車両側面衝突用エアバッグセンサ配設構造
KR19980058558U (ko) 차량 충격시 시트 이동장치
KR19980062299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55145A (ko) 자동차 사이드 에어백 센서 브라켓트 고정구조
KR19980035655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19980034049U (ko) 자동차용 도어 임팩트 바
KR19980037656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9980048443U (ko) 자동차 도어의 사이드 임팩트 바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