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798B1 -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798B1
KR100448798B1 KR10-2002-0019405A KR20020019405A KR100448798B1 KR 100448798 B1 KR100448798 B1 KR 100448798B1 KR 20020019405 A KR20020019405 A KR 20020019405A KR 100448798 B1 KR100448798 B1 KR 100448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er
mounting bracket
inner panel
sensor
ligh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660A (ko
Inventor
박명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19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798B1/ko
Publication of KR20030080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798B1/ko

Link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스터드볼트(51,53)가 결합되고 이 스터드볼트(51,53)가 센터필러인너패널(1)과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2) 및 사이드실인너패널(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각각의 너트(51a,53a)에 의해 조립되면서 일면이 상기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와, 상기 스터드볼트(51,53)중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를 관통하는 어느 한 개의 스터드볼트(53)에 의해 관통되면서 너트(53b)를 매개로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타면에 결합되는 세터라이트센서(60)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조립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고, 부품수가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게 되며,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증대되어 세터라이트센서(60)의 오작동이 예방되면서 사이드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satelite sensor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수가 단순화되고 작업자의 조립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며 결합강성이 증대되면서 사이드에어백이 불펠요하게 전개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에어백시스템(side air bag system)을 구성하는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필러인너패널(1)에 형성된 시트벨트리트렉터홀(1a)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디귿자(ㄷ)의 종단면모양으로 형성되면서 상하단의 플랜지(11)가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각각 용접으로 결합되는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와, 이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의 윗면에 안착되면서 복수개의 볼트(21)에 의해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와 결합되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와, 이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상에 안착되면서 볼트(31)에 의해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와 결합되는 세터라이트센서(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세터라이트센서(30)는 측면충돌시 발생된 충격량을 검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조립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시야(視野)가 확보되지 않아 조립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의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는 센터필러인너패널(1)과 미리 조립되어 작업라인으로 공급되는데, 이와 같이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가 용접결합된 센터필러인너패널(1)이 작업라인으로 공급되면 작업자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와 세터라이트센서(30)의 결합체를 시트벨트리트렉터홀(1a)을 통해 삽입시켜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 상기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에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를 결합시키게 된다.
하지만, 작업자가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에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시트벨트리트렉터홀(1a)을 통해 시야를 확보해야 하는데, 상기 시트벨트리트렉터홀(1a)의 크기가 작업자의 시야가 확보될 만큼 크게 형성되어 있지 않는 관계로 작업의 편의성이 나빠지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립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와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를 결합시킬 때 조립불량이 발생되면, 상기 세터라이트센서(30)가 작은 충격량에도 사이드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오작동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외관상 견고하게 보일지는 모르지만, 공진(共振)실험을 통해 결합강성을 테스트해보면 420Hz의 공진주파수에서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가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심하게 흔들리게 된다.
여기서, 공진주파수 420Hz는 인체에 손상을 주지 않는 아주 작은 충격량의 주파수범위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420Hz의 공진주파수에서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가 공진되면 세터라이트센서(30)는 아주 작은 충격량을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큰 충격량으로 검출하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드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근래에는 차량기술의 발전과 연동되어 상기 세터라이트센서(30)도 그 기능이 진일보된 새로운 세터라이트센서(30)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충격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새로운 세터라이트센서(30)는 420Hz의 공진주파수에서 센서마운팅브라켓트(20)가 공진되는 종래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에 적용시키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의 시야가 충분히 확보된 상태에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면서 조립불량을 발생되는 것을 미리 예방하고, 또한 부품수를 단순화시키면서 높은 공진주파수범위에서도 공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강성을 증대시켜 세터라이트센서의 오작동을 예방하며, 아울러 기능이 진일보되고 충격에 민감하게 작용하는 새로운 세터라이트센서도 장착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복수개의 스터드볼트가 결합되고 이 스터드볼트가 센터필러인너패널과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 및 사이드실인너패널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각각의 너트에 의해 조립되면서 일면이 상기 센터필러인너패널의 하단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와, 상기 스터드볼트중 센서마운팅브라켓트를 관통하는 어느 한 개의 스터드볼트에 의해 관통되면서 너트를 매개로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의 타면에 결합되는 세터라이트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구조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의 결합강성에 대한 해석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마운팅브라켓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센터필러인너패널 2 -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
3 - 사이드실인너패널 50 - 센서마운팅브라켓트
51,53 - 스터드볼트 51a,53a,53b - 너트
60 - 세터라이트센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단면도로서,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크게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복수개의 스터드볼트(51,53)가 결합된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와, 이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에 결합되어 측면충돌 발생시 충격량을 검출하는 세터라이트센서(6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위는 일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양단은 각각 기역자(ㄱ)모양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0a,50b)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볼트(51,53)중 어느 한 개의 스터드볼트(51)는 그 일단이 상기 플랜지(50a,50b)중에서 일측의 플랜지(50a)면에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나머지 한 개의 스터드볼트(53)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그 관통부위가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터라이트센서(60)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를 관통하는 스터드볼트(53)의 일단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터드볼트(53)에 체결되는 너트(53b)에의해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와 세터라이트센서(60)가 조립된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를 센터필러인너패널(1)에 형성된 시트벨트리트렉터홀(1a)로 삽입시켜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스터드볼트(51,53)를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관통구멍(1b)과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2)의 관통구멍(2b) 및 사이드실인너패널(3)의 관통구멍(3b)을 통해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그 끝단을 실내측으로 돌출시키고, 이상태에서 상기 스터드볼트(51,53)의 끝단에 각각의 너트(51a,53a)를 체결시키게 되면,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플랜지(50a,50b)가 너트(51a,53a)를 체결에 의해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밀착되게 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가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와 세터라이트센서(60)의 결합체로 이루어진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를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장착시킬 때 작업자가 실내측에서 너트(51a,53a)를 이용해 체결시키게 되므로,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벨트리트렉터홀(1a)을 통해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해야만 했던 종래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보다, 작업자의 조립성 및 편의성이 그만큼 향상되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립불량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세터라이트센서(60)의 오작동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잇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복수개의 스터드볼트(51,53)를 이용해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직접 장착시키게 되므로,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필러마운팅브라켓트(10)를 이용하여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장착시키던 종래의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보다, 전체적인 결합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높은 공진주파수범위에서도 공진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세터라이트센서(60)의 오작동도 미리 예방할 수 있는 잇점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즉,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두께(t)를 2.6mm로 형성시키고 복수개의 스터드볼트(51,53)를 이용해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공진(共振)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의 결합강성을 테스트해보면, 낮은 대역(1 ∼ 1000Hz)의 공진주파수에서는 물론 2000Hz의 공진주파수에서도 공진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세터라이트센서(60)의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사이드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것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공진주파수 2000Hz는 측면충돌사고 발생시 사이드에어백센서의 작동주파수 영역으로써, 2000Hz이내에서 공진이 발생될 경우 사이드에어백센서가 오작동될 가능성이 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공진주파수 2000Hz내에서는 공진이 되지 않는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두께(t)를 2.6mm로 형성시키는 것은 복수개의 스터드볼트(51,53)를 사용할 때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가 공진주파수 2000Hz내에서는 공진이 되지 않도록 강성을 유지시키기 위한 두께이다.
만약,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두께(t)가 2.6mm이하일 경우에는 2000Hz보다 낮은 공진주파수범위에서 공진이 발생되어 사이드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충분한 결합강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능이 진일보되고 충격에도 민감하게 작용하는 새로운 세터라이트센서(60)도 충분히 적용시킬 수가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에어백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종래의 조립체보다 부품수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어 차량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제조원가도 그만큼 절감시킬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는, 센터필러인너패널에 장착될 때 작업자의 조립성 및 편의성이 향상되고, 부품수가 단순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게 되며, 전체적인 결합강성이 증대되어 세터라이트센서의 오작동이 예방되면서 사이드에어백이 불필요하게 전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능이 진일보되고 충격에도 민감하게 작용하는 새로운 세터라이트센서도 충분히 적용시킬 수가 있게 되어 에어백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개의 스터드볼트(51,53)가 결합되고 이 스터드볼트(51,53)가 센터필러인너패널(1)과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2) 및 사이드실인너패널(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각각의 너트(51a,53a)에 의해 조립되면서 일면이 상기 센터필러인너패널(1)의 하단 안쪽면에 밀착되도록 장착되는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와, 상기 스터드볼트(51,53)중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를 관통하는 어느 한 개의 스터드볼트(53)에 의해 관통되면서 너트(53b)를 매개로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타면에 결합되는 세터라이트센서(6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51,53)중 어느 한 개는 일단이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일면에 결합되면서 타단이 센터필러인너패널(1)과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2) 및 사이드실인너패널(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스터드볼트(51)이고, 나머지 한 개는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3)의 중앙부를 관통하면서 일단은 센터필러인너패널(1)과 사이드실인너보강패널(2) 및 사이드실인너패널(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타단은 세터라이트센서(60)를 관통하는 스터드볼트(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운팅브라켓트(50)의 두께(t)가 2.6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조립체.
KR10-2002-0019405A 2002-04-10 2002-04-10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KR100448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405A KR100448798B1 (ko) 2002-04-10 2002-04-10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405A KR100448798B1 (ko) 2002-04-10 2002-04-10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60A KR20030080660A (ko) 2003-10-17
KR100448798B1 true KR100448798B1 (ko) 2004-09-16

Family

ID=3237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405A KR100448798B1 (ko) 2002-04-10 2002-04-10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7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800A (ja) * 1996-07-10 1998-01-27 Toyota Motor Corp 側面衝突用センサの取付構造
JPH1143010A (ja) * 1997-07-25 1999-02-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側部構造
KR100256617B1 (ko) * 1996-05-16 2000-05-15 와다 아끼히로 충돌 감지 장치
JP2000313305A (ja) * 1999-05-06 2000-11-14 Toyota Motor Corp サテライトセンサ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617B1 (ko) * 1996-05-16 2000-05-15 와다 아끼히로 충돌 감지 장치
JPH1024800A (ja) * 1996-07-10 1998-01-27 Toyota Motor Corp 側面衝突用センサの取付構造
JPH1143010A (ja) * 1997-07-25 1999-02-16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側部構造
JP2000313305A (ja) * 1999-05-06 2000-11-14 Toyota Motor Corp サテライトセンサ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660A (ko) 200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097B2 (en) Hood airba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JP3021413B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4306103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7048326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motor vehicle
US20090152838A1 (en) Airbag inflator devic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0448798B1 (ko) 자동차용 세터라이트센서 조립체
JPH05139241A (ja) 自動車用エアバツグセンサーの取付構造
JP3261048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の固定構造
KR20030096520A (ko) 도어 부착용 외부부착구가 없는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US8657331B2 (en) Airbag device
JPH05112195A (ja) 自動車用エアバツグセンサーの取付構造
JP4653885B2 (ja) エアバック装置
KR200160327Y1 (ko) 차량의 리어 써스팬션 쇽업소오버의 장착구조
JP3440761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取付構造
JP5335513B2 (ja) ドアマウントエアバッグの取付部構造
KR100503246B1 (ko)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KR100526796B1 (ko) 트림 마운팅용 브라켓
JP2575119Y2 (ja) エアバッグ装置におけるインフレータの固定構造
JPH11115597A (ja) リヤシートバック固定用ブラケット配設構造
JP3395052B2 (ja) 自動車のボディ構造
KR200269875Y1 (ko) 자동차의리어범퍼스테이마운팅구조
KR0129278Y1 (ko) 사이드 에어백의 시트고정구조
KR20030024492A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 백 고정용 스트라이커 장착 구조
KR20040039822A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 바 결합구조
JPH10226305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のセンサー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