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3246B1 -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3246B1
KR100503246B1 KR10-2002-0055127A KR20020055127A KR100503246B1 KR 100503246 B1 KR100503246 B1 KR 100503246B1 KR 20020055127 A KR20020055127 A KR 20020055127A KR 100503246 B1 KR100503246 B1 KR 100503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flange
instrument panel
airbag
passenge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5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3413A (ko
Inventor
전범진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55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3246B1/ko
Publication of KR2004002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3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는 조수석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에어백의 전개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외측면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를 향해 돌출되고 끝단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접하도록 절곡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이 수납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어댑터의 플랜지의 끝단을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어댑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체결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한다.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Mounting structure of passenger air-bag}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댑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체결된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에어백은 핸들에 장착되어 운전석의 운전자를 보호하는 운전자용 에어백과, 조수석 전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어 조수석의 승객을 보호하는 조수석 에어백으로 구분된다. 운전자용 에어백은 필수사양이고 조수석 에어백은 선택사양이지만, 최근 동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조수석 에어백을 필수 사양으로 하는 차량이 증가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장착되어 에어백(4)을 수납하고 있는 어댑터(6)와, 상기 어댑터(6)의 개방된 후방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에어백(4)의 개방된 후방과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4)이 상기 어댑터(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8)와, 상기 어댑터(6)의 개방된 후방 외측에 결합되고 차체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에어백(4)이 전개되도록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미도시)를 수납하고 있는 캔 하우징(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어댑터(6)는 인스트루먼트 패널(2)과 대향되는 전방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6)의 개방된 전방 끝단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밀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6a)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6a)에는 상기 어댑터(6)가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볼트 체결될 수 있도록 볼트 체결홀(6b)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테이너(8)는 중앙부위에 복수개의 홀(8a)이 형성된 평평한 패널로서, 상기 에어백(4)의 개방된 후방을 통해 상기 에어백(4)에 삽입된 다음, 외둘레가 상기 에어백(4)의 후방 끝단과 함께 상기 어댑터(6)의 후방에 볼트(12) 체결된다.
상기 캔 하우징(10)은 상기 어댑터(6)의 후방과 대향되는 전방이 개구되어 상기 어댑터(6)의 후방과 연결되고, 전방 외둘레에 상기 어댑터(6)의 후방 외측에 밀착될 수 있도록 플랜지(10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캔 하우징의 플랜지(10a)가 상기 어댑터(6)에 볼트(12) 체결되며, 후방에 차체에 볼트(14) 체결된 브라켓(16)이 결합되어 있어 차체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은 상기 어댑터(6)가 상기 에어백(4)의 전개방향으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에 볼트(18) 체결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4)의 전개시 상기 어댑터(6)와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볼트(18) 체결부위에 인장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은 상기 어댑터(6)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2)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어댑터(6)와 인스트루먼트 패널(2)의 볼트(18) 체결부위가 많기 때문에 조립 공수 및 부품의 수가 많아 제조비가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에어백(4)과 리테이너(8)를 어댑터(6)에 장착하는 작업 공간이 협소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어댑터를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견고하면서도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백과 리테이너를 어댑터에 장착할 때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는 조수석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에어백의 전개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에어백이 수납되고, 외측에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칠 수 있는 플랜지가 구비된 어댑터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어댑터의 플랜지을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하단이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내부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에어백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는 외둘레가 상기 어댑터의 절곡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지으이 마운팅 구조는, 조수석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에어백의 전개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에어백이 수납되고, 외측에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칠 수 있는 플랜지가 구비된 어댑터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어댑터의 플랜지을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플랜지는 상기 어댑터의 외측에 밀착된 제1부위와, 상기 제1부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 끝단에서 상기 어댑터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위와, 상기 제2부위에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쳐지는 제3부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는 조수석의 전면에 위치된 인스트루먼트 패널(52)과, 조수석과 대향되는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내부에 위치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조수석을 향해 전개되는 에어백(54)이 수납되는 어댑터(56)와, 상기 어댑터(56)를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 즉 화살표 S방향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52)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어댑터(56)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백(54)이 상기 어댑터(5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리테이너(58)가 장착되고, 상기 어댑터(56)의 하측에는 차체에 고정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에어백(54)에 가스를 공급하는 인플레이터(미도시)가 수납되는 캔 하우징(60)이 결합되며, 상기 캔 하우징(60)에는 차체에 고정되어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을 지지하는 브라켓(62)이 볼트(64) 결합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은 조수석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상기 어댑터(56)와 좌/우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으로 좌/우 플랜지(52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의 좌/우 플랜지(52a)에는 상기 어댑터(56)와 접하는 부위에 상기 어댑터(56)의 전후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제1 볼트 체결홀(52b)이 4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56)는 전후방향으로 길고 상/하가 개구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에어백(54)이 수납되고, 상측 좌/우 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좌/우 플랜지(52a)와 결합될 수 있는 좌/우 플랜지(57)가 부착된다.
상기 어댑터(56)의 좌/우 플랜지(57)는 각각 상기 어댑터(56)의 외측에 밀착된 제1부위(57a)와, 상기 제1부위(57a)의 인스트루먼트 패널(52) 측 끝단에서 상기 어댑터(56)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위(57b)와, 상기 제2부위(57b)에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좌/우 플랜지(52a)와 겹쳐지는 제3부위(57c)로 이루어진다.상기 어댑터(56)의 좌/우 플랜지(57)의 제3부위(57c)에는 각각 상기 제1 볼트 체결홀(52b)과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제2 볼트 체결홀(57d)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볼트 체결홀(52b)과 제2 볼트 체결홀(57d)이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합치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볼트 체결홀(52b)과 제2 볼트 체결홀(57d)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1 볼트(72a)와, 상기 제1 볼트(72a)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1 볼트(72a)의 볼트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 너트(72b)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은 내측면에 상기 어댑터(56)의 전/후 측면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으로 전/후 플랜지(미도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전/후 플랜지에는 각각 제3 볼트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56)는 전/후 외측면에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전/후 플랜지와 접하도록 전/후 플랜지(56a)가 수직하게 돌출되고, 상기 어댑터(56)의 전/후 플랜지(56a)에는 상기 제3 볼트 체결홀과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합치될 수 있는 제4 볼트 체결홀(5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3 볼트 체결홀과 제4 볼트 체결홀(56b)이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합치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볼트 체결홀과 제4 볼트 체결홀(56b)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2 볼트(미도시)와, 상기 제2 볼트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2 볼트의 볼트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 너트(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어댑터(56)는 하측 끝단(56c)이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중앙을 향해 절곡되되, 중앙부위에 상기 캔 하우징(60)과 연결되는 개구홀(56d)이 형성될 수 있도록 일정 길이 절곡되어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된 가스가 상기 에어백(54)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58)는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에 걸쳐질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 패널로서, 상기 어댑터(56)의 개구홀(56d)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기 인플레이터에서 분출된 가스가 상기 에어백(54)에 유입될 수 있도록 가스홀(58a)이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에 걸쳐지는 외둘레가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과 접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절곡된다.
즉,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에는 제5 볼트 체결홀(56e)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58)의 절곡부위(58b)에는 상기 제5 볼트 체결홀(56e)과 대응되는 제6 볼트 체결홀(58c)이 형성되며, 내부에 삽입된 리테이너(58)의 절곡부위(58b)를 감싸는 에어백(54)의 하측 끝단에는 상기 제5 볼트 체결홀(56e) 및 제6 볼트 체결홀(58c)과 대응되는 제7 볼트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테이너(58) 및 에어백(54)은 상기 제5, 제6, 제7 볼트 체결홀(56e,58c)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3 볼트(74a) 및 상기 제3 볼트(74a)의 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74b)에 의해 상기 어댑터(56)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캔 하우징(60)은 상기 어댑터(56)와 연결될 수 있도록 상측면이 개구되고, 상측 끝단(60a)이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며, 상측 끝단(60a)에 상기 제3 볼트(74a)에 의해 상기 어댑터(56)에 볼트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5, 제6, 제7 볼트 체결홀(56e,58c)과 대응되는 제8 볼트 체결홀(6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조립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댑터(56)의 하측에 캔 하우징(60)을 장착하면, 상기 캔 하우징(60)의 상측 끝단(60a)이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의 외측면과 밀착되고 상기 제5 볼트 체결홀(56e)과 제8 볼트 체결홀(60b)이 상호 체결방향으로 합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에어백(54)이 결합된 리테이너(58)를 어댑터(56)의 내부에 삽입하여 제6 볼트 체결홀(58a)이 상기 제5 볼트 체결홀(56e)과 체결방향으로 상호 합치되도록 위치시킨 다음, 제3 볼트(74a)를 상기 제5, 제6, 제7, 제8 볼트 체결홀(56e,58c,60b)을 동시에 체결하고, 제3 볼트(74a)의 단부에 제3 너트(74b)를 조여준다.
이 때, 상기 어댑터(56)의 하측 끝단(56c) 및 리테이너(58)의 절곡부위(58b)가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 대하여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3 볼트(74a)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공간이 넓어 작업이 용이하다.
다음, 상기 어댑터(56)를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전/후 플랜지와 좌/우 플랜지(52a) 사이에 위치시켜 상기 어댑터(56)의 좌/우 플랜지(57)의 제3부위(57c)와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좌/우 플랜지(52a)가 밀착되고 제1 볼트 체결홀(52b)과 제2 볼트 체결홀(57d)이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합치되도록 한 다음, 제1 볼트(72a)를 상기 제1, 제2 볼트 체결홀(52b,57d)에 동시에 체결하고 제1 볼트(72a)의 단부에 제1 너트(72b)를 조여준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56)의 전/후 플랜지(56a)와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전/후 플랜지가 밀착되어 제3 볼트 체결홀과 제4 볼트 체결홀(56b)이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합치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볼트를 상기 제3, 제4 볼트 체결홀(56b)에 동시에 체결한 다음, 제2 볼트의 단부에 제2 너트를 조여준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56)와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이 상기 에어백(54)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54)의 전개시 상기 제1 볼트(72a)와 제2 볼트에 인장력보다 작은 전단력이 작용되므로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이 견실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56)와 인스트루먼트 패널(52)의 체결부위에 인장력이 작용할 때보다 체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는 어댑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이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호 체결되기 때문에 에어백의 전개시 상기 어댑터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체결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므로 어댑터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견실하게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인스트루먼트 패널 54 : 에어백
56 : 어댑터 58 : 리테이너
60 : 캔 하우징 62 : 브라켓

Claims (6)

  1. 조수석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에어백의 전개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에어백이 수납되고, 외측에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칠 수 있는 플랜지가 구비된 어댑터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어댑터의 플랜지을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는 하단이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내부를 향해 절곡되고, 상기 에어백을 지지하는 리테이너는 외둘레가 상기 어댑터의 절곡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2. 조수석과 대향되는 내측면에 에어백의 전개방향으로 플랜지가 돌출된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상기 에어백이 수납되고, 외측에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칠 수 있는 플랜지가 구비된 어댑터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어댑터의 플랜지을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결합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댑터의 플랜지는 상기 어댑터의 외측에 밀착된 제1부위와, 상기 제1부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 끝단에서 상기 어댑터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위와, 상기 제2부위에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쳐지는 제3부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플랜지는 상기 어댑터의 전/후 외측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고정되는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어댑터의 플랜지에 함께 관통된 볼트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나사 체결된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플랜지는 상기 어댑터의 외측에 밀착된 제1부위와, 상기 제1부위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측 끝단에서 상기 어댑터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제2부위와, 상기 제2부위에서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플랜지와 겹쳐지는 제3부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플랜지는 상기 에어백의 전개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게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KR10-2002-0055127A 2002-09-11 2002-09-11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KR100503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127A KR100503246B1 (ko) 2002-09-11 2002-09-11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5127A KR100503246B1 (ko) 2002-09-11 2002-09-11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413A KR20040023413A (ko) 2004-03-18
KR100503246B1 true KR100503246B1 (ko) 2005-07-22

Family

ID=3732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127A KR100503246B1 (ko) 2002-09-11 2002-09-11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32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207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조립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607A (ja) * 1993-10-19 1995-05-09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KR19980016661U (ko) * 1996-09-18 1998-06-25 박병재 충격흡수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의 에어백
JP2000142292A (ja) * 1998-11-02 2000-05-23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構造
KR20030075024A (ko) * 2002-03-15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607A (ja) * 1993-10-19 1995-05-09 Honda Motor Co Ltd エアバッグ式乗員保護装置
KR19980016661U (ko) * 1996-09-18 1998-06-25 박병재 충격흡수기능이 강화된 자동차의 에어백
JP2000142292A (ja) * 1998-11-02 2000-05-23 Kansei Corp 車両用エアバッグ構造
KR20030075024A (ko) * 2002-03-15 2003-09-2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5207A (ko) * 2009-12-09 2011-06-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조립장치
KR101593404B1 (ko) 2009-12-09 2016-02-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조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3413A (ko) 200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250B2 (en) Airbag device
US5803487A (en)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JP2007196796A (ja) 車両用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CA2771880A1 (en) Airbag device
KR20040053541A (ko) 커튼에어백 장치
EP1644224B1 (en) Inflatable curtain asssembly
KR20080031413A (ko) 에어백 장치
US7552939B2 (en) Airbag apparatus having support member attached to vehicle via easily-deformable brackets at both ends
US7374198B2 (en) Airbag module canister
US8235414B2 (en) Glove door-installed knee air bag apparatus
US20040041379A1 (en) Airbag apparatus for front passenger seat
US6663141B2 (e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assembly and methods of installing such an inflatable safety restraint assembly
JPH10166984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451486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9154670A (ja) インフレータ取付装置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0503246B1 (ko) 조수석 에어백 하우징의 마운팅 구조
US6971668B2 (en) Vehicle interior lining assembly
JP3625735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支持構造
JP3393756B2 (ja) 乗員保護装置
WO2010143289A1 (ja) グラブドア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641034B1 (ko) 에어백장치
KR100783933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모듈의 설치구조
KR20070070314A (ko) 필러트림 결합구조
JPH0825865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3185555B2 (ja) ニーボルスター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